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데이터 리포지토리 요건 -
2019. 7. 17
김선태 / kim.suntae@jbnu.ac.kr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스위트호텔 남원
목 차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용어 정의
• 요구사항 개요
• 요구사항 상세
• 질의 응답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제2조(정의)
• 18. "연구데이터"란 연구개발과제 수행 과정에서 실시하는 각종 실험,
관찰, 조사 및 분석 등을 통하여 산출된 사실 자료로서 연구결과의 검증
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말한다.
• 19. "데이터관리계획"이란 연구데이터의 생산·보존·관리 및 공동활용
등에 관한 계획을 말한다.
• [시행일 : 2019. 9. 1.] 제2조
• 제7조(연구개발과제의 선정)
• 10. 데이터관리계획에 따른 연구데이터 생산·보존·관리의 충실성 및 공
동활용 가능성(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연구개발과
제의 경우만 해당한다)
• 제25조(연구개발정보의 관리)
• ㉘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연구데이터의 생산·보존·관리 및 공동활용 등
에 관한 시책을 수립·추진할 수 있다. <신설 2019. 3. 19.>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
용어 정의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
Document
• A generic term for a physical entity consisting of any
substance on which is recorded all or a portion of one or
more works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or
preserving knowledge. In the words of the communication
theorist Marshall McLuhan, a document is the "medium"
in which a "message" (information) is communicated.
Document formats include manuscripts, print publications
(books, pamphlets, periodicals, reports, maps, prints,
etc.), microforms, nonprint media, electronic resources,
etc. Abbreviated doc. See also: core
document, documentary editing, document delivery
service, false document, government documents,
and internal document.
용어 정의
민감 정보 공개 위험
• 조사에 참여한 개인을 식별할 수 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정확
한 위치, 고고학적 유적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민감 정보
가 공개되는 위험을 말한다.
archive
• The building, facility, or area that houses
an archival collection (the term repository is preferred by
most archivists). Also, to place documents in storage,
usually to preserve them as a historical, informational,
legal, or evidential record, permanently or for a finite or
indefinite period of time. See also: digital archive.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
용어 정의
archival collection
• A body of archival material formed by or around a person,
family, group, corporate body, or subject, either from a
common source as a natural product of activity or
function, or gathered purposefully or artificially without
regard for original provenance (Archives, Personal Papers,
and Manuscript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989).
An archival collection may
contain manuscript materials, correspondence, memorand
a, maps or charts, drawings, pamphlets, broadsides, tear
sheets
from periodicals, newspaper clippings, photographs, moti
on pictures, sound recordings, computer files, etc.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
용어 정의
repository
• The physical space (building, room, area) reserved
for the permanent or intermediate
storage of archival materials (manuscripts, rare
books, government documents, papers, photographs,
etc.). To preserve and protect archival collections,
modern repositories are equipped to meet
current standards of environmental control
and security. Whether a repository is open or closed
to the public depends on the policy of the parent
institution. Sometimes used synonymously
with depository. See also: digital repository.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7
용어 정의
digital repository
• Many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are actively engaged in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of books, papers, theses, media, and
other works of interest to the institution served, as a means
of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scholarly information. Usually
locally authored or produced, content can be either born
digital or reformatted. Access is generally unrestricted, in
compliance with the Open Archives Initiative (OAI) 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 which makes such
archives interoperable and cross-searchable (see this
example maintained by the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the role of digital repositories
in scholarly communication, courtesy of the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8
요구사항 개요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Extended Guidance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Requirements for
2017–2019
• Extended Guidance
• Version 1.1: June 2018
• 이 문서는 2017-2019년 핵심 신뢰 가능 데이터 리포지토리 요구사
항과 CoreTrustSeal 검토자 및 지원자에 대한 확장 지침으로 구성
• CoreTrustSeal은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를
촉진하는 커뮤니티 기반 비영리 조직
• ICSU World Data System (ICSU-WDS) 인증과 Data Seal of
Approval (DSA) 인증 대체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9
요구사항 개요
• 요구사항 17개
• 모든 요구사항은 필수
• 동일한 가중치
• 독립 실행 항목
• 체크리스트는 비 포괄적이며 추가 가능
• 준수 수준
• 0점 ~ 4 점
• 0 적용 불가, 1 고민해 보지 않았음, 2 이론적 개념을 파악하고
있음, 3 구현 단계에 있음, 4 구현 완료
• 준수 수준 보다는 ‘증거'에 기반해 수준 판단
• 응답은 영어로, 증거가 다른 언어일 경우는 영어 요약 제공
• 3년 마다 재평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0
Core Certified Repositories – US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1
Core Certified Repositories – Europe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2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 R0. 리포지토리에 대한 일반정보
• R1. 리포지토리는 그것의 도메인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보존하는 명시적인
사명을 가지고 있다.
•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액세스와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해당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액세스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R5. 리포지토리는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명확한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충분한 자금과 충분한 수의 자격을 갖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 R6. 리포지토리는 지속적인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을 확보하기 위해 메커니즘을
채택한다(해당되는 경우 내부 또는 과학적 지침을 포함한 외부).
•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의 관련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의
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3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의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
한다.
• R10. 리포지토리는 장기 보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계획되고 문서화된 방식으로 이 기능을
수행한다.
• R11. 저장소는 기술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품질을 다루는 적절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
며, 최종 사용자가 품질 관련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가용한 충분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R12. 아카이빙은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에 따라 수행된다.
• R13. 리포지토리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적절한 인용문을 통해 데이터를 영
구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 R14. 리포지토리는 시간이 흘러도 데이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이
해와 사용을 지원하는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보장해야한다.
• R15. 리포지토리는 잘 지원되는 운영 체제 및 기타 핵심 기반 소프트웨어에서 작동하며
지정된 커뮤니티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R16. 리포지토리 기술 인프라는 시설과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이용자를 보호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4
요구사항 16가지는 아래 5가지 기준을 근거로 함
• 데이터는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 데이터는 접근 가능해야 한다. (명확한 저작권과 라이선스)
• 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형식이어야 한다.
•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 데이터는 식별 가능해야 하며 지속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참조
가능해야 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5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6
배경 정보
컨텍스트
R0. 리포지토리 배경 정보를 기술하시오.
• 리포지토리 유형
• 복수 선택 (도메인, 주제, 국가, 기관, 도서관/박물관/아카이브, 연구프
로젝트 등)
• 타겟 커뮤니티
• 예: 양적 사회과학 연구자 및 강사
• 큐레이션 수준
• 복수 선택 (그대로, 메타데이터 추가, 포맷 변환, 데이터 무결성 및 버전
관리) - 모든 수준이 원본 복사본을 대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함. 데이터 유형 및 데이터 제출자와의
합의에 따라 두 개 이상 선택 가능
• 아웃소싱 파트너
• 예: 저장 장치 파트너, 웹사이트 유지 파트너 - (도표 표현 권장)
• 기타 관련 정보
• 데이터 사용 및 영향력, 리포지토리 역할(국가, 지역 또는 글로벌), 리포
지토리가 속한 글로벌 클러스터 또는 네트워크 조직, re3data 레코드,
직원 수, 평균 다운로드 수, 컬렉션 크기, 시간에 따른 진화내용, 비즈니
스 또는 자금조달 모델 등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7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8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 임무/범위
R1. 리포지토리는 해당 도메인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보존하는 명
시적인 사명을 가지고 있다.
• 데이터 접근과 보존 사명을 갖고 있는가?
• 데이터 접근과 보존 임무에 대한 명시적 선언문이 있는가?
• 예: 승인된 공개 성명, 기금 제공자가 위임한 역할, 이사회가
서명한 정책 서명 등 - (명시적 선언문에 대한 링크 제공이 가능함)
(확장 가이드)
• ‘데이터 관리’가 사명서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준수 수준을
3이상으로 할 수 없음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9
명시적 사명서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0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 라이센스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 리포지토리 자체 설정 규정과 관련분야에서 받아들여지는 규정과도
관련이 있음
•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하고, 이에 대해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며, 수준 준수를 모니터링해
야 함
• 다음 내용 기술이 권고됨
• 사용중인 라이센스 계약
• 사용조건(배포, 의도된 사용, 민감 데이터 보호 등)
• 접근 및 사용 조건 ‘미 준수 시’ 조치 방법
• 이 요구사항은 R4(기밀성/윤리)와 함께 고민되어야 함
• 데이터 제출 라이선스가 데이터 유지, 보존, 접근 제공에 관한 충분한
권한을 리포지토리에 부여하고 있는지는 R10(보존 계획)에 기술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1
데이터 제출 및
배포 관련 라이센스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 라이센스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확장 가이드)
• 접근 및 사용 조건은 표준 약관 또는 조건들에 따라 다르게 설정
될 수 있음
• 특정 제출자 또는 데이터세트에 대해 차별화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음
• 큐레이션 수준, 책임 수준, 데이터에 대한 책임 수준, 사용 제한,
사용 환경 제한(안전한 공간, 안전한 원격 액세스) 및 사용자 유
형 제한(승인 연구자, 교육을 받은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음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참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
른 대안도 가능
• 신청자가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최소 준수
수준은 4이어야 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2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3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I. 접근의 영속성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 현재와 미래의 보유 데이터에 접근과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 중인 조치
• 환경변화속에 내재한 위험을 제대로 준비하기위한 근거를 검토하기에 필요
•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기술을 권고
• 보장되는 보존 기간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해 필요한 책임 수준
• 데이터의 지속적인 가용성과 접근성을 보증하기 위한 중기(3~5년) 및 장기
(5년 초과) 계획
• 활동의 다른 기관으로의 이전 또는 이행 또는 소유주에게 데이터 보유
의 반환(즉, 데이터 생산자)을 위한 옵션을 표시. 예를 들어 자금지원
중단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이지? 시간제한 프로젝트 리포지토리
에 대한 자금조달 계획 종료 후 어떻게 할 것인지? 기술
• R10(보존 계획)과 R14(데이터 재사용)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technical) 정
보 보다는 거버넌스 관련 요구사항 증거가 제시
• R3은 R1(임무/범위) 변화 내용을 수용해야 함
• 보존 및 접근 기능의 완전한 비즈니스 연속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R15(기술 인프
라) 및 R16(보안)과 대비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4
지속적 접근과 보존 보장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I. 접근의 영속성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확장 가이드)
• 당신이 주요한 사람인가 아니면 유일한 관리인인가?
• 데이터 제출자에게도 책임이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일정 기간 동안 최소한의 품질 수준으로 접근, 보
존 및/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는가?
•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은 리포지토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
위 조직의 손에 있을 수 있음.
• 리포지토리가 그렇게 상위 조직의 일부라면, 이 조직이나 다른
조직(예: 국가 아카이브)이 중대한 사업 연속성 실패의 경우에
책임을 떠맡을 것을 보증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와 그러한 조직 사이에 공식적인 서면 합의가 없는 경
우, 준수 수준은 최대 3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5
지속적 접근과 보존 보장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6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V. 기밀성/윤리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접
근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윤리 규범을 준수하는 것은 책임 있는 과학에 매우 중요
• 기술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음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에 대한 (기밀성/윤리) 모범 사례 보유
• 개인/민감 데이터를 리포지토리에 저장하기로 동의한 이들과 신뢰 유지
• 다음 내용 기술
• 리포지토리는 적용 가능한 분야별 규범을 어떻게 준수하는가?
• 데이터 생산자의 지리적 위치나 분야(예: 윤리적 검토 위원회/제도적 검토
위원회 또는 데이터 보호 법률)에 널리 퍼져 있는 법적 윤리적 기준에 따라
데이터 수집 또는 생성이 수행되었음을 리포지토리에서 확인하도록 요청하
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특별한 절차를 적용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저장하여 접근을 제한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는 적절한 조건에서 배포하고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7
기밀성 및 윤리규범 준수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V. 기밀성/윤리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접
근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데이터에서 공개 위험을 검토하고, 파일 익명화 또는 안전한 방법으로 접근을 제
공하는 데 필요한 단계적 절차를 시행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 관리 교육을 받고 있는가?
•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공개 또는 잠재적 공개 데이터의 책임 있는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
공하고 있는가?
• R12(워크플로) 및 R2(라이센스)에 명시된 절차에 대한 규정과 일치해야 함
(확장 가이드)
• 과학적 관례에 의해 기대되는 수준으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음
• 개인, 기업 또는 기타 조직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는 리포지토리인 경우, 데이터 주체
의 권리가 보호될 것이라는 기대도 추가로 존재
• 개인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경우 최소 준수 수준은 4
• 법적 환경과 관련된 윤리적 관행을 이해하고 있으며 절차를 문서화했다는 증거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8
기밀성 및 윤리규범 준수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9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V.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R5. 리포지토리는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명확한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충분한 자금과 충분한 수의 자격을 갖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가 포함되어야 함
• 리포지토리는 지정된 커뮤니티에 적합한 인정된 기관(장기적 안
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에 의해 호스팅 됨
• 직원 자원, IT 자원 및 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예산을 포함하여 충
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이것은 3년에서 5년 사
이의 기간
• 직원들이 지속적인 훈련과 전문적 개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
• 조직과 직원 모두의 전문지식 범위와 깊이가 임무에 적합
(확장 가이드)
• 자금 후원은 어느 정도 구조적인가, 아니면 프로젝트 기반인가? 이것
은 전일제 환산 인력(FTE)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0
충분한 자금과 직원 보유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1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VI. 전문가 가이드
R6. 리포지토리는 지속적인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을 확보하기 위해 메
커니즘을 채택한다(내부 또는 외부, 해당되는 경우 과학적 지침 포함)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 내부 자문위원들 또는 기술위원, 데이터 과학
전문가 및 분야 전문가로 채워질 수 있는 외부 자문 위원회
가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어떻게 전문가와 조언을 주고 받는가?
• 리포지토리는 지정된 커뮤니티와 어떻게 통신하여 피드백을
받는가?
(확장 가이드)
• 'R0'에 따라 '리포지토리의 지정된 커뮤니티' 및 '기타 관련 정보'
에 간략한 설명이 제공되는 경우, 그것을 언급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2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 확보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3
디지털 객체 관리
VII.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수집, 아카이브 저장소 및 데이터 액세스 프로세스 중에 무결성
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적합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관리 시
스템 운영 증거 제공
• 무결성 관련 다음 증거 포함
• 디지털 개체가 변경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
한 검사(즉, 불변성 검사)에 대한 설명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의 완전성 문서화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기록되는 방
법에 대한 상세 내역
• 버전 관리 전략 설명
• 적절한 국제 표준 및 지정되어야 하는 규약의 사용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4
무결성 :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
신뢰성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디지털 객체 관리
VII.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신뢰성 관리 관련 다음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 데이터 변경 전략이 있는가? 데이터 생산자들이 이 전략
을 알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입증 데이터 및 관련 감사 추적을 유지하고 있는가? '감사
추적'이란 시스템의 변경 정보를 기록한 정보. 사용자의 허가되지 않은
행위, 사용자 행위의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정보 조사가 가능 (출처:
http://kb.supremainc.com/knowledge/doku.php?id=ko:audi
t_trail)
• 리포지토리에서 메타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세트에 대한 링크를 유지하
십니까?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 리포지토리가 동일한 파일의 서로 다른 버전의 기본 속성을 비교하는가?
어떻게?
•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 제출자의 신원을 확인하나?
• 전체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을 다루며, 따라서 수집에 대한 R8(평가), 아카이
브 저장소에 대한 R9(문서화된 보관 절차), R10(보존 계획), R12–R14(워
크플로우, 데이터 검색 및 식별 및 데이터 재사용) 등과 같은 다른 요구 사항
에 포함된 워크플로우 단계와 관계를 가짐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5
무결성 :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
신뢰성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6
디지털 객체 관리
VIII. 평가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해서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을 보
장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가 포함
• 리포지토리가 아카이빙을 위한 데이터 선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컬렉션 개발 정책을 사용하는가?
• 리포지토리는 제출된 데이터의 완전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품질관리 체크 수단을 가지고 있는가?
• 데이터 해석 및 사용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
는 절차가 리포지토리에 마련되어 있는가?
• 제공된 메타데이터가 장기 보존에 불충분할 경우 리포지토리의
접근방식은 무엇인가?
• 리포지토리에서 선호하는 형식 목록을 게시하는가?
• 데이터 생산자가 선호하는 형식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품
질 관리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가?
• 선호되지 않는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방식은 무엇
인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7
컬렉션 개발 정책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 보장
디지털 객체 관리
VIII. 평가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해서 적절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
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확장 가이드)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사이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품질보증
• 지정된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메타데이터 및 데이터 품질을 다루
는 R11(데이터 품질)과 대조
• 신청자는 수집 정책에 적합한 데이터만 허용되도록 절차가 마련
되어 있음을 입증
• 리포지토리 직원은 지정된 커뮤니티에 적용되는 장기 보존 및 사
용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 절차 및 기술을 보유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8
컬렉션 개발 정책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 보장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9
디지털 객체 관리
IX. 문서화된 보관 절차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 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한다.
• 리포지토리는 제출 시점부터 수집 프로세스, 접근 지점까지 데이
터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보존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리포지토리는 OAIS 용어로서 '아카이브 저장공간'을 제공
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관련 프로세스 및 절차를 어떻게 문서화하고 관리하고 있는
가?
• 어떤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보안은 어떻게 지원되
고 있는가?
• 데이터 저장 장치는 보존 정책에 의해 어떻게 처리되는가?
• 리포지토리에 백업/복수 복사본에 대한 전략이 있는가? 만
약 그렇다면, 과연 무엇인가?
• 데이터 복구 조항이 마련되어 있는가? 그것들은 무엇인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0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디지털 객체 관리
IX. 문서화된 보관 절차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 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전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위험관리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 아카이브 복사본 간에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검사를 시행
하고 있는가?
• 저장 장치의 퇴화는 어떻게 처리 및 모니터링되고 있는가?
• 연속성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준비를 다룸. 백업, 물리적/논리적 보
안, 페일 오버 및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
한 내용은 R15(기술 인프라) 및 R16(보안) 참조
(확장 가이드)
• 서로 다른 데이터 관리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절차가 문서화 되고 표준화 되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1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2
디지털 객체 관리
X. 보존 계획
R10. 리포지토리는 장기 보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계획되고 문서화된
방식으로 이 기능을 수행한다.
• 리포지토리는 이러한 책임을 질 수 있는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절차는
반드시 문서화하고 그 완료를 보장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가 포함되어야 한다.
• 보존 계획이 마련되어 있는가?
• 각 항목에 대한 '보존 수준'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것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 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간의 계약이 책임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제공하고 있는가?
• 관리권과 책임 이관 전달이 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에게 명확한가?
• 리포지토리에 해당 항목에 대한 접근 권한과 복사, 변환 및 저장 권한이 있
는가?
• 관리권 이전, 제출 정보 표준 및 보관 정보 표준을 포함하여 보존과 관련된
조치내용들이 문서화 되어있는가?
• 이러한 조치들이 확실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들이 있는가?
• 보존 계획/정책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 그들은 최대 준수 수준 3에 불과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3
문서화된 보존 계획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4
디지털 객체 관리
XI. 데이터 품질
R11. 리포지토리는 기술(technical)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품질을 다
루는 적절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최종 사용자가 품질 관련 평가
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용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하십시오.
• 리포지토리에서 취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품질에 대한 접근 방식
• 관련 스키마에 대한 메타데이터 준수 자동 평가
• 지정된 커뮤니티의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또는 평가 기능
• 관련 산출물에 대한 인용 또는 인용 지수에 대한 링크 제공 여부
• 데이터 품질에 대한 규정도 다른 요건에 의해 보장된다. 특히, 다음을 참조하
십시오. R8(평가), R12(워크플로) 및 R7(데이터 무결성 및 신뢰성)
(확장 가이드)
• 신청자는 데이터 제출자로부터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품질 수준을 이해
한다는 점을 답변에서 분명히 해야 한다. 그들은 큐레이션 동안 품질을 보증하
는 방법과 사용자의 품질 기대치를 설명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5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6
디지털 객체 관리
XII. 워크플로우
R12. 아카이빙은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에 따라 수
행된다.
• 데이터세트와 서비스를 가로지르는 활동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임시 및 사후 대응
활동을 방지하려면 보관 워크플로우를 문서화해야 하며, 관리 변경에 대한 규정
이 마련되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워크플로우/비즈니스 프로세스 설명
• 데이터 제출자 및 사용자에게 데이터 취급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 보안 수준 및 워크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주체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
• 산출물의 질적 및 정량적 점검
• 데이터 평가 및 선택
• 임무/수집 프로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 취급
• 관리되는 데이터 유형 및 워크플로에 미치는 영향
• 워크플로우 내 의사 결정 처리(예: 아카이브 데이터 변환)
• 워크플로우 관리 변경
• 이 요구사항은 모든 워크플로가 문서화 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워크플로우의
증거는 R8(평가), R9(문서화된 보관 절차), R16(보안), R4(기밀성/윤리)의 기
밀성 등과 같은 다른 작업 별 요구사항의 일부로 제공되었을 수 있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7
데이터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8
디지털 객체 관리
XIII. 데이터 발견 및 식별
R13. 리포지토리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적절한 인용문을
통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 효과적인 데이터 발견은 데이터 공유의 핵심이며, 대부분의 리포지토
리는 잠재적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
터를 평가할 수 있도록 자신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검색 가능한 목록을
제공한다. 일단 발견되면, 데이터 세트는 영구적인 식별자를 포함하여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인용문을 통해 참조될 수 있어야 한다. 인용은
데이터셋을 만드는데 공헌한 개개인에게 명예와 귀속성을 제공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가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검색 가능한 메타데이터 목록을 적절한(국제적으로
합의된) 표준에 따라 유지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메타데이터의 자동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가?
• 하나 이상의 분야별 또는 일반 자원 레지스트리에 리포지토리가
포함되어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권장되는 데이터 인용을 제공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영구 식별자를 제공하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9
데이터 검색, 발견, 인용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0
디지털 객체 관리
XIV. 데이터 재사용
R14. 리포지토리는 시간이 흘러도 데이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이해와 사용을 지원하는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보장해
야한다.
• 리포지토리는 기술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이해하고 효과적으
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 요구사항은 데이터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취한 조치를 평가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데이터를 제공할 때 리포지토리에서 요구하는 메타데이터(예: 더
블린 코어 또는 콘텐트 지향 메타데이터)는?
• 지정된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가? 어떤 형식인가?
• 포맷의 진화를 고려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 향후 마이그레이션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어떻게 보장하는가?
• 재사용은 R2(라이센스)에서 다루는 해당 라이센스에 따라 달라진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1
데이터 재사용 보장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2
기술
XV.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R15. 리포지토리는 잘 지원되는 운영 체제 및 기타 핵심 기반 소프트웨
어에서 작동하며 지정된 커뮤니티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하드웨
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서 참조용으로 사용하는 표준은? 해당 표준은 국제
및/또는 커뮤니티 표준(예: Space Data Infrastructure(SDI)
표준, OGC, W3C 또는 ISO 19115)인가? 이것들은 얼마나 자
주 검토되는가?
• 그 기준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표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가?
• 리포지토리에 인프라 개발 계획이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과연
무엇인가?
• 소프트웨어 인벤토리가 유지되고 있으며 시스템 문서를 사용할
수 있는가?
• 커뮤니티 지원 소프트웨어가 사용 중인가?
• 실시간에서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스트림의 경우, 리포지
토리의 글로벌 및/또는 지역적 책임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대역폭
에서 24시간 내내 공용 및 개인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제공
하고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3
리포지토리 H/W, S/W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4
기술
XVI. 보안
R16. 리포지토리 기술 인프라는 시설과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이용
자를 보호한다.
• 리포지토리는 잠재적 위협을 분석하고 위험을 평가하며 일관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리포지토리와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사
용자에게 위협이 되는 악성 행위, 인적 오류 또는 기술적 고장에 기반
한 손상 시나리오를 기술해야 한다.
•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
• 운영 중단 시 필수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 또는 백업을 제공하기 위
한 절차 및 준비
• IT 보안 시스템, 재해 계획 및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보안과 관련
된 역할(예: 보안 책임자) 및 사용하는 모든 위험 분석 도구(예:
DRAMBORA)
• 다른 요구사항이 일반적으로 다루는 일부 측면(예: R12(워크플로우)
을 설명하며, R9(문서화된 보관 절차)를 보완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5
잠재적 위험 대응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4 기밀성과 윤리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6
Q & 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7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1. The repository has an explicit mission to provide access to and preserve data
in its domain.
2. The repository maintains all applicable licenses covering data access and use
and monitorscompliance.
3. The repository has a continuity plan to ensure ongoing access to and
preservation of its holdings.
4. The repository ensures, to the extent possible, that data are created, curated,
accessed, and used in compliance with disciplinary and ethical norms.
5. The repository has adequate funding and sufficient numbers of qualified staff
managed through a clear system of governance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mission.
6. The repository adopts mechanism(s) to secure ongoing expert guidance and
feedback (either in-house, or external, including scientific guidance, if relevant).
7. The repository guarantees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data.
8. The repository accepts data and metadata based on defined criteria to ensure
relevance and understandability for data user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8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9. The repository applies documented processes and procedures in managing archival
storage of the data.
10. The repository assumes responsibility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manages this
function in a planned and documented way.
11. The repository has appropriate expertise to address technical data and metadata
quality and ensures that sufficient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end users to make
quality-related evaluations.
12. Archiving takes place according to defined workflows from ingest to dissemination.
13. The repository enables users to discover the data and refer to them in a persistent
way through proper citation.
14. The repository enables reuse of the data over time, ensuring that appropriate
metadata are available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data.
15. The repository functions on well-supported operating systems and other core
infrastructural software and is using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ies appropriate
to the services it provides to its Designated Community.
16. The technical infrastructure of the repository provides for protection of the facility
and its data, products, services, and user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9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0
https://www.iso.org/standard/56510.html
http://files.d
nb.de/nestor
/zertifizierun
g/notes_nest
or_Seal.pdf
The criteria for assigning the Data Seal of Approval to data repositories are
in accordance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digital data
archiving such as
• Kriterienkatalog vertrauenswürdige digitale Langzeitarchive as developed
by NESTOR (the Network of Expertise in Long-Term Storage of Digital
Resources)
• 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DRAMBORA) published by the Digital Curation Centre (DCC) and
DigitalPreservationEurope (DPE)
•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and Certification (TRAC): Criteria and
Checklist of the Research Library Group (RLG)
Furthermore the following has been taken into account:
• Foundations of Modern Language Resource Archives of the Max Planck
Institute
• Stewardship of Digital Research Data: A Framework of Principles and
Guidelines published by the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The DSA Guidelines can be seen as a minimum set distilled from the above
proposal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1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Requirements
v01.00
• Data Seal of Approval has merged into CoreTrustSeal
• The repository is recognized in the community as a
trustworthy source of dat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2
리포지토리 자체 평가를 위한
Data Seal of Approval 온라인 도구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3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4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5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6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7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Suntae Kim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Suntae Kim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Suntae Kim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Suntae Kim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Suntae Kim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Suntae Kim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glorykim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Suntae Kim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Suntae Kim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Creative Commons Korea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glorykim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Hansung University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Hansung University
 
Linked Data 이야기
Linked Data 이야기Linked Data 이야기
Linked Data 이야기
Haklae Kim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Hansung University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특허청(KIPO)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Hansung University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glorykim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glorykim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Hansung University
 

What's hot (20)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1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학을 과학답게 만드는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I rods분석(20170313,01,김선태)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패러다임 변화와-데이터-집중-과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Linked Data 이야기
Linked Data 이야기Linked Data 이야기
Linked Data 이야기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정부3.0] 표준특허의 대중화 및 창출기반 강화(특허정보진흥센터 신재욱 팀장) [특허청]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Similar to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Hansung University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ssuserde0b2d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glorykim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Hansung University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bigdatacampus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Gruter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ABRC_DATA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Youngcheol Lee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Hansung University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eungjin cho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Haklae Kim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구중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JeongWoo Kim
 
Big data 20111203_배포판
Big data 20111203_배포판Big data 20111203_배포판
Big data 20111203_배포판
Hyoungjun Kim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ABRC_DATA
 
bsk_3_1_2
bsk_3_1_2bsk_3_1_2
bsk_3_1_2
Tae Hwa Kim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Bill Kim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Ji-Woong Choi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YeLim Yu
 

Similar to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20)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20100407 이규철 digital archiving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201210 그루터 빅데이터_플랫폼_아키텍쳐_및_솔루션_소개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중소기업형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 심포지엄] 대용량 거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버인프라 활용 사례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학습분석(Learning Analytics) 활용 가능성 및 전망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2014 data 보안 가이드라인 그랜드컨퍼런스 20140930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공공데이터 개방현황 및 포털 발전방향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
도서관 이해관계자의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구축 및 활용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아이리스닷넷 김정우 발표용
 
Big data 20111203_배포판
Big data 20111203_배포판Big data 20111203_배포판
Big data 20111203_배포판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빅데이터윈윈 컨퍼런스_대용량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사례
 
bsk_3_1_2
bsk_3_1_2bsk_3_1_2
bsk_3_1_2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Swift] Data Structure Introduction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오픈소스컨설팅] About Storage Cloud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More from Suntae 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Suntae Kim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Suntae Kim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Suntae Kim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Suntae Kim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Suntae Kim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Suntae Kim
 
Inside p cube
Inside p cubeInside p cube
Inside p cube
Suntae Kim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Suntae Kim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Suntae Kim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Suntae Kim
 

More from Suntae Kim (10)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Inside p cube
Inside p cubeInside p cube
Inside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 1.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데이터 리포지토리 요건 - 2019. 7. 17 김선태 / kim.suntae@jbnu.ac.kr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스위트호텔 남원
  • 2. 목 차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용어 정의 • 요구사항 개요 • 요구사항 상세 • 질의 응답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
  • 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 제2조(정의) • 18. "연구데이터"란 연구개발과제 수행 과정에서 실시하는 각종 실험, 관찰, 조사 및 분석 등을 통하여 산출된 사실 자료로서 연구결과의 검증 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말한다. • 19. "데이터관리계획"이란 연구데이터의 생산·보존·관리 및 공동활용 등에 관한 계획을 말한다. • [시행일 : 2019. 9. 1.] 제2조 • 제7조(연구개발과제의 선정) • 10. 데이터관리계획에 따른 연구데이터 생산·보존·관리의 충실성 및 공 동활용 가능성(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연구개발과 제의 경우만 해당한다) • 제25조(연구개발정보의 관리) • ㉘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연구데이터의 생산·보존·관리 및 공동활용 등 에 관한 시책을 수립·추진할 수 있다. <신설 2019. 3. 19.>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
  • 4. 용어 정의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 Document • A generic term for a physical entity consisting of any substance on which is recorded all or a portion of one or more works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or preserving knowledge. In the words of the communication theorist Marshall McLuhan, a document is the "medium" in which a "message" (information) is communicated. Document formats include manuscripts, print publications (books, pamphlets, periodicals, reports, maps, prints, etc.), microforms, nonprint media, electronic resources, etc. Abbreviated doc. See also: core document, documentary editing, document delivery service, false document, government documents, and internal document.
  • 5. 용어 정의 민감 정보 공개 위험 • 조사에 참여한 개인을 식별할 수 있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정확 한 위치, 고고학적 유적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민감 정보 가 공개되는 위험을 말한다. archive • The building, facility, or area that houses an archival collection (the term repository is preferred by most archivists). Also, to place documents in storage, usually to preserve them as a historical, informational, legal, or evidential record, permanently or for a finite or indefinite period of time. See also: digital archive.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
  • 6. 용어 정의 archival collection • A body of archival material formed by or around a person, family, group, corporate body, or subject, either from a common source as a natural product of activity or function, or gathered purposefully or artificially without regard for original provenance (Archives, Personal Papers, and Manuscripts,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989). An archival collection may contain manuscript materials, correspondence, memorand a, maps or charts, drawings, pamphlets, broadsides, tear sheets from periodicals, newspaper clippings, photographs, moti on pictures, sound recordings, computer files, etc.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
  • 7. 용어 정의 repository • The physical space (building, room, area) reserved for the permanent or intermediate storage of archival materials (manuscripts, rare books, government documents, papers, photographs, etc.). To preserve and protect archival collections, modern repositories are equipped to meet current standards of environmental control and security. Whether a repository is open or closed to the public depends on the policy of the parent institution. Sometimes used synonymously with depository. See also: digital repository.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7
  • 8. 용어 정의 digital repository • Many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are actively engaged in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of books, papers, theses, media, and other works of interest to the institution served, as a means of preserving and disseminating scholarly information. Usually locally authored or produced, content can be either born digital or reformatted. Access is generally unrestricted, in compliance with the Open Archives Initiative (OAI) protocol for metadata harvesting, which makes such archives interoperable and cross-searchable (see this example maintained by the University of Texas Libraries). Click here to learn more about the role of digital repositories in scholarly communication, courtesy of the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8
  • 9. 요구사항 개요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Extended Guidance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Requirements for 2017–2019 • Extended Guidance • Version 1.1: June 2018 • 이 문서는 2017-2019년 핵심 신뢰 가능 데이터 리포지토리 요구사 항과 CoreTrustSeal 검토자 및 지원자에 대한 확장 지침으로 구성 • CoreTrustSeal은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를 촉진하는 커뮤니티 기반 비영리 조직 • ICSU World Data System (ICSU-WDS) 인증과 Data Seal of Approval (DSA) 인증 대체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9
  • 10. 요구사항 개요 • 요구사항 17개 • 모든 요구사항은 필수 • 동일한 가중치 • 독립 실행 항목 • 체크리스트는 비 포괄적이며 추가 가능 • 준수 수준 • 0점 ~ 4 점 • 0 적용 불가, 1 고민해 보지 않았음, 2 이론적 개념을 파악하고 있음, 3 구현 단계에 있음, 4 구현 완료 • 준수 수준 보다는 ‘증거'에 기반해 수준 판단 • 응답은 영어로, 증거가 다른 언어일 경우는 영어 요약 제공 • 3년 마다 재평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0
  • 11. Core Certified Repositories – US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1
  • 12. Core Certified Repositories – Europe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2
  • 13.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 R0. 리포지토리에 대한 일반정보 • R1. 리포지토리는 그것의 도메인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보존하는 명시적인 사명을 가지고 있다. •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액세스와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해당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액세스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R5. 리포지토리는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명확한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충분한 자금과 충분한 수의 자격을 갖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 R6. 리포지토리는 지속적인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을 확보하기 위해 메커니즘을 채택한다(해당되는 경우 내부 또는 과학적 지침을 포함한 외부). •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의 관련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의 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3
  • 14.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의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 한다. • R10. 리포지토리는 장기 보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계획되고 문서화된 방식으로 이 기능을 수행한다. • R11. 저장소는 기술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품질을 다루는 적절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 며, 최종 사용자가 품질 관련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가용한 충분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R12. 아카이빙은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에 따라 수행된다. • R13. 리포지토리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적절한 인용문을 통해 데이터를 영 구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 R14. 리포지토리는 시간이 흘러도 데이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이 해와 사용을 지원하는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보장해야한다. • R15. 리포지토리는 잘 지원되는 운영 체제 및 기타 핵심 기반 소프트웨어에서 작동하며 지정된 커뮤니티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R16. 리포지토리 기술 인프라는 시설과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이용자를 보호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4
  • 15. 요구사항 16가지는 아래 5가지 기준을 근거로 함 • 데이터는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 데이터는 접근 가능해야 한다. (명확한 저작권과 라이선스) • 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형식이어야 한다. • 데이터는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 데이터는 식별 가능해야 하며 지속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참조 가능해야 한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5
  • 16.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6
  • 17. 배경 정보 컨텍스트 R0. 리포지토리 배경 정보를 기술하시오. • 리포지토리 유형 • 복수 선택 (도메인, 주제, 국가, 기관, 도서관/박물관/아카이브, 연구프 로젝트 등) • 타겟 커뮤니티 • 예: 양적 사회과학 연구자 및 강사 • 큐레이션 수준 • 복수 선택 (그대로, 메타데이터 추가, 포맷 변환, 데이터 무결성 및 버전 관리) - 모든 수준이 원본 복사본을 대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함. 데이터 유형 및 데이터 제출자와의 합의에 따라 두 개 이상 선택 가능 • 아웃소싱 파트너 • 예: 저장 장치 파트너, 웹사이트 유지 파트너 - (도표 표현 권장) • 기타 관련 정보 • 데이터 사용 및 영향력, 리포지토리 역할(국가, 지역 또는 글로벌), 리포 지토리가 속한 글로벌 클러스터 또는 네트워크 조직, re3data 레코드, 직원 수, 평균 다운로드 수, 컬렉션 크기, 시간에 따른 진화내용, 비즈니 스 또는 자금조달 모델 등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7
  • 18.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8
  • 19.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 임무/범위 R1. 리포지토리는 해당 도메인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보존하는 명 시적인 사명을 가지고 있다. • 데이터 접근과 보존 사명을 갖고 있는가? • 데이터 접근과 보존 임무에 대한 명시적 선언문이 있는가? • 예: 승인된 공개 성명, 기금 제공자가 위임한 역할, 이사회가 서명한 정책 서명 등 - (명시적 선언문에 대한 링크 제공이 가능함) (확장 가이드) • ‘데이터 관리’가 사명서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준수 수준을 3이상으로 할 수 없음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19 명시적 사명서
  • 20.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0
  • 21.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 라이센스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 리포지토리 자체 설정 규정과 관련분야에서 받아들여지는 규정과도 관련이 있음 •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하고, 이에 대해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며, 수준 준수를 모니터링해 야 함 • 다음 내용 기술이 권고됨 • 사용중인 라이센스 계약 • 사용조건(배포, 의도된 사용, 민감 데이터 보호 등) • 접근 및 사용 조건 ‘미 준수 시’ 조치 방법 • 이 요구사항은 R4(기밀성/윤리)와 함께 고민되어야 함 • 데이터 제출 라이선스가 데이터 유지, 보존, 접근 제공에 관한 충분한 권한을 리포지토리에 부여하고 있는지는 R10(보존 계획)에 기술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1 데이터 제출 및 배포 관련 라이센스
  • 22.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 라이센스 R2.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접근과 사용, 수준 준수 모니터링을 포함하는 모든 라이센스를 유지 관리한다. (확장 가이드) • 접근 및 사용 조건은 표준 약관 또는 조건들에 따라 다르게 설정 될 수 있음 • 특정 제출자 또는 데이터세트에 대해 차별화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음 • 큐레이션 수준, 책임 수준, 데이터에 대한 책임 수준, 사용 제한, 사용 환경 제한(안전한 공간, 안전한 원격 액세스) 및 사용자 유 형 제한(승인 연구자, 교육을 받은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음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를 참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 른 대안도 가능 • 신청자가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 최소 준수 수준은 4이어야 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2
  • 23.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3
  • 24.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I. 접근의 영속성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 현재와 미래의 보유 데이터에 접근과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행 중인 조치 • 환경변화속에 내재한 위험을 제대로 준비하기위한 근거를 검토하기에 필요 •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기술을 권고 • 보장되는 보존 기간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해 필요한 책임 수준 • 데이터의 지속적인 가용성과 접근성을 보증하기 위한 중기(3~5년) 및 장기 (5년 초과) 계획 • 활동의 다른 기관으로의 이전 또는 이행 또는 소유주에게 데이터 보유 의 반환(즉, 데이터 생산자)을 위한 옵션을 표시. 예를 들어 자금지원 중단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이지? 시간제한 프로젝트 리포지토리 에 대한 자금조달 계획 종료 후 어떻게 할 것인지? 기술 • R10(보존 계획)과 R14(데이터 재사용)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technical) 정 보 보다는 거버넌스 관련 요구사항 증거가 제시 • R3은 R1(임무/범위) 변화 내용을 수용해야 함 • 보존 및 접근 기능의 완전한 비즈니스 연속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R15(기술 인프 라) 및 R16(보안)과 대비됨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4 지속적 접근과 보존 보장
  • 2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II. 접근의 영속성 R3. 리포지토리는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 접근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한 연속성 계획을 가지고 있다. (확장 가이드) • 당신이 주요한 사람인가 아니면 유일한 관리인인가? • 데이터 제출자에게도 책임이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일정 기간 동안 최소한의 품질 수준으로 접근, 보 존 및/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는가? •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은 리포지토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 위 조직의 손에 있을 수 있음. • 리포지토리가 그렇게 상위 조직의 일부라면, 이 조직이나 다른 조직(예: 국가 아카이브)이 중대한 사업 연속성 실패의 경우에 책임을 떠맡을 것을 보증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와 그러한 조직 사이에 공식적인 서면 합의가 없는 경 우, 준수 수준은 최대 3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5 지속적 접근과 보존 보장
  • 26.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6
  • 27.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V. 기밀성/윤리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접 근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윤리 규범을 준수하는 것은 책임 있는 과학에 매우 중요 • 기술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음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에 대한 (기밀성/윤리) 모범 사례 보유 • 개인/민감 데이터를 리포지토리에 저장하기로 동의한 이들과 신뢰 유지 • 다음 내용 기술 • 리포지토리는 적용 가능한 분야별 규범을 어떻게 준수하는가? • 데이터 생산자의 지리적 위치나 분야(예: 윤리적 검토 위원회/제도적 검토 위원회 또는 데이터 보호 법률)에 널리 퍼져 있는 법적 윤리적 기준에 따라 데이터 수집 또는 생성이 수행되었음을 리포지토리에서 확인하도록 요청하 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특별한 절차를 적용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저장하여 접근을 제한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는 적절한 조건에서 배포하고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7 기밀성 및 윤리규범 준수
  • 28.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IV. 기밀성/윤리 R4. 리포지토리는 분야별 및 윤리 규범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 관리, 접 근 및 사용되는 것을 가능한 한 보장한다. • 데이터에서 공개 위험을 검토하고, 파일 익명화 또는 안전한 방법으로 접근을 제 공하는 데 필요한 단계적 절차를 시행하고 있는가? • 공개 위험이 있는 데이터 관리 교육을 받고 있는가? •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공개 또는 잠재적 공개 데이터의 책임 있는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 공하고 있는가? • R12(워크플로) 및 R2(라이센스)에 명시된 절차에 대한 규정과 일치해야 함 (확장 가이드) • 과학적 관례에 의해 기대되는 수준으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가 있음 • 개인, 기업 또는 기타 조직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는 리포지토리인 경우, 데이터 주체 의 권리가 보호될 것이라는 기대도 추가로 존재 • 개인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경우 최소 준수 수준은 4 • 법적 환경과 관련된 윤리적 관행을 이해하고 있으며 절차를 문서화했다는 증거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8 기밀성 및 윤리규범 준수
  • 29.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29
  • 30.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V.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R5. 리포지토리는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명확한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충분한 자금과 충분한 수의 자격을 갖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가 포함되어야 함 • 리포지토리는 지정된 커뮤니티에 적합한 인정된 기관(장기적 안 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에 의해 호스팅 됨 • 직원 자원, IT 자원 및 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예산을 포함하여 충 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이것은 3년에서 5년 사 이의 기간 • 직원들이 지속적인 훈련과 전문적 개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 • 조직과 직원 모두의 전문지식 범위와 깊이가 임무에 적합 (확장 가이드) • 자금 후원은 어느 정도 구조적인가, 아니면 프로젝트 기반인가? 이것 은 전일제 환산 인력(FTE)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0 충분한 자금과 직원 보유
  • 31.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1
  • 32.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VI. 전문가 가이드 R6. 리포지토리는 지속적인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을 확보하기 위해 메 커니즘을 채택한다(내부 또는 외부, 해당되는 경우 과학적 지침 포함)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 내부 자문위원들 또는 기술위원, 데이터 과학 전문가 및 분야 전문가로 채워질 수 있는 외부 자문 위원회 가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어떻게 전문가와 조언을 주고 받는가? • 리포지토리는 지정된 커뮤니티와 어떻게 통신하여 피드백을 받는가? (확장 가이드) • 'R0'에 따라 '리포지토리의 지정된 커뮤니티' 및 '기타 관련 정보' 에 간략한 설명이 제공되는 경우, 그것을 언급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2 전문가 지침 및 피드백 확보
  • 33.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3
  • 34. 디지털 객체 관리 VII.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수집, 아카이브 저장소 및 데이터 액세스 프로세스 중에 무결성 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적합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관리 시 스템 운영 증거 제공 • 무결성 관련 다음 증거 포함 • 디지털 개체가 변경되거나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 한 검사(즉, 불변성 검사)에 대한 설명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의 완전성 문서화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기록되는 방 법에 대한 상세 내역 • 버전 관리 전략 설명 • 적절한 국제 표준 및 지정되어야 하는 규약의 사용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4 무결성 :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 신뢰성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 35. 디지털 객체 관리 VII.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 R7.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 신뢰성 관리 관련 다음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 데이터 변경 전략이 있는가? 데이터 생산자들이 이 전략 을 알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입증 데이터 및 관련 감사 추적을 유지하고 있는가? '감사 추적'이란 시스템의 변경 정보를 기록한 정보. 사용자의 허가되지 않은 행위, 사용자 행위의 처리 과정, 등에 대한 정보 조사가 가능 (출처: http://kb.supremainc.com/knowledge/doku.php?id=ko:audi t_trail) • 리포지토리에서 메타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세트에 대한 링크를 유지하 십니까?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 리포지토리가 동일한 파일의 서로 다른 버전의 기본 속성을 비교하는가? 어떻게? •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 제출자의 신원을 확인하나? • 전체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을 다루며, 따라서 수집에 대한 R8(평가), 아카이 브 저장소에 대한 R9(문서화된 보관 절차), R10(보존 계획), R12–R14(워 크플로우, 데이터 검색 및 식별 및 데이터 재사용) 등과 같은 다른 요구 사항 에 포함된 워크플로우 단계와 관계를 가짐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5 무결성 : 손상되지 않은 데이터 신뢰성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 36.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6
  • 37. 디지털 객체 관리 VIII. 평가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해서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을 보 장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가 포함 • 리포지토리가 아카이빙을 위한 데이터 선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컬렉션 개발 정책을 사용하는가? • 리포지토리는 제출된 데이터의 완전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품질관리 체크 수단을 가지고 있는가? • 데이터 해석 및 사용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지 확인하 는 절차가 리포지토리에 마련되어 있는가? • 제공된 메타데이터가 장기 보존에 불충분할 경우 리포지토리의 접근방식은 무엇인가? • 리포지토리에서 선호하는 형식 목록을 게시하는가? • 데이터 생산자가 선호하는 형식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품 질 관리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가? • 선호되지 않는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방식은 무엇 인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7 컬렉션 개발 정책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 보장
  • 38. 디지털 객체 관리 VIII. 평가 R8.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해서 적절성과 이해가능성을 보장 하기 위해 정의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허용한다. (확장 가이드) •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사이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품질보증 • 지정된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메타데이터 및 데이터 품질을 다루 는 R11(데이터 품질)과 대조 • 신청자는 수집 정책에 적합한 데이터만 허용되도록 절차가 마련 되어 있음을 입증 • 리포지토리 직원은 지정된 커뮤니티에 적용되는 장기 보존 및 사 용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 절차 및 기술을 보유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8 컬렉션 개발 정책 적절성과 이해 가능성 보장
  • 39.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39
  • 40. 디지털 객체 관리 IX. 문서화된 보관 절차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 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한다. • 리포지토리는 제출 시점부터 수집 프로세스, 접근 지점까지 데이 터와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보존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리포지토리는 OAIS 용어로서 '아카이브 저장공간'을 제공 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관련 프로세스 및 절차를 어떻게 문서화하고 관리하고 있는 가? • 어떤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며, 이러한 보안은 어떻게 지원되 고 있는가? • 데이터 저장 장치는 보존 정책에 의해 어떻게 처리되는가? • 리포지토리에 백업/복수 복사본에 대한 전략이 있는가? 만 약 그렇다면, 과연 무엇인가? • 데이터 복구 조항이 마련되어 있는가? 그것들은 무엇인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0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 41. 디지털 객체 관리 IX. 문서화된 보관 절차 R9.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보관 저장소를 관리하는 데 문서화 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적용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전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위험관리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 아카이브 복사본 간에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검사를 시행 하고 있는가? • 저장 장치의 퇴화는 어떻게 처리 및 모니터링되고 있는가? • 연속성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준비를 다룸. 백업, 물리적/논리적 보 안, 페일 오버 및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 한 내용은 R15(기술 인프라) 및 R16(보안) 참조 (확장 가이드) • 서로 다른 데이터 관리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절차가 문서화 되고 표준화 되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1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 42.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2
  • 43. 디지털 객체 관리 X. 보존 계획 R10. 리포지토리는 장기 보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계획되고 문서화된 방식으로 이 기능을 수행한다. • 리포지토리는 이러한 책임을 질 수 있는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절차는 반드시 문서화하고 그 완료를 보장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가 포함되어야 한다. • 보존 계획이 마련되어 있는가? • 각 항목에 대한 '보존 수준'을 이해하고 있는가? 이것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 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간의 계약이 책임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제공하고 있는가? • 관리권과 책임 이관 전달이 데이터 제출자와 리포지토리에게 명확한가? • 리포지토리에 해당 항목에 대한 접근 권한과 복사, 변환 및 저장 권한이 있 는가? • 관리권 이전, 제출 정보 표준 및 보관 정보 표준을 포함하여 보존과 관련된 조치내용들이 문서화 되어있는가? • 이러한 조치들이 확실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들이 있는가? • 보존 계획/정책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 그들은 최대 준수 수준 3에 불과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3 문서화된 보존 계획
  • 44.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4
  • 45. 디지털 객체 관리 XI. 데이터 품질 R11. 리포지토리는 기술(technical) 데이터와 메타데이터 품질을 다 루는 적절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최종 사용자가 품질 관련 평가 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용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하십시오. • 리포지토리에서 취한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품질에 대한 접근 방식 • 관련 스키마에 대한 메타데이터 준수 자동 평가 • 지정된 커뮤니티의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또는 평가 기능 • 관련 산출물에 대한 인용 또는 인용 지수에 대한 링크 제공 여부 • 데이터 품질에 대한 규정도 다른 요건에 의해 보장된다. 특히, 다음을 참조하 십시오. R8(평가), R12(워크플로) 및 R7(데이터 무결성 및 신뢰성) (확장 가이드) • 신청자는 데이터 제출자로부터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품질 수준을 이해 한다는 점을 답변에서 분명히 해야 한다. 그들은 큐레이션 동안 품질을 보증하 는 방법과 사용자의 품질 기대치를 설명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5 문서화된 프로세스와 절차
  • 46.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6
  • 47. 디지털 객체 관리 XII. 워크플로우 R12. 아카이빙은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에 따라 수 행된다. • 데이터세트와 서비스를 가로지르는 활동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임시 및 사후 대응 활동을 방지하려면 보관 워크플로우를 문서화해야 하며, 관리 변경에 대한 규정 이 마련되어야 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워크플로우/비즈니스 프로세스 설명 • 데이터 제출자 및 사용자에게 데이터 취급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 보안 수준 및 워크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주체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 • 산출물의 질적 및 정량적 점검 • 데이터 평가 및 선택 • 임무/수집 프로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데이터 취급 • 관리되는 데이터 유형 및 워크플로에 미치는 영향 • 워크플로우 내 의사 결정 처리(예: 아카이브 데이터 변환) • 워크플로우 관리 변경 • 이 요구사항은 모든 워크플로가 문서화 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워크플로우의 증거는 R8(평가), R9(문서화된 보관 절차), R16(보안), R4(기밀성/윤리)의 기 밀성 등과 같은 다른 작업 별 요구사항의 일부로 제공되었을 수 있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7 데이터 수집에서 배포에 이르는 정의된 워크플로우
  • 48.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8
  • 49. 디지털 객체 관리 XIII. 데이터 발견 및 식별 R13. 리포지토리를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적절한 인용문을 통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참조할 수 있다. • 효과적인 데이터 발견은 데이터 공유의 핵심이며, 대부분의 리포지토 리는 잠재적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 터를 평가할 수 있도록 자신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검색 가능한 목록을 제공한다. 일단 발견되면, 데이터 세트는 영구적인 식별자를 포함하여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인용문을 통해 참조될 수 있어야 한다. 인용은 데이터셋을 만드는데 공헌한 개개인에게 명예와 귀속성을 제공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가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는 검색 가능한 메타데이터 목록을 적절한(국제적으로 합의된) 표준에 따라 유지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가 메타데이터의 자동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가? • 하나 이상의 분야별 또는 일반 자원 레지스트리에 리포지토리가 포함되어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권장되는 데이터 인용을 제공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영구 식별자를 제공하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49 데이터 검색, 발견, 인용
  • 50.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0
  • 51. 디지털 객체 관리 XIV. 데이터 재사용 R14. 리포지토리는 시간이 흘러도 데이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이해와 사용을 지원하는 적절한 메타데이터를 보장해 야한다. • 리포지토리는 기술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이해하고 효과적으 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 요구사항은 데이터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취한 조치를 평가한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데이터를 제공할 때 리포지토리에서 요구하는 메타데이터(예: 더 블린 코어 또는 콘텐트 지향 메타데이터)는? • 지정된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가? 어떤 형식인가? • 포맷의 진화를 고려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 향후 마이그레이션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 리포지토리에서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어떻게 보장하는가? • 재사용은 R2(라이센스)에서 다루는 해당 라이센스에 따라 달라진다.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1 데이터 재사용 보장
  • 52.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2
  • 53. 기술 XV.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R15. 리포지토리는 잘 지원되는 운영 체제 및 기타 핵심 기반 소프트웨 어에서 작동하며 지정된 커뮤니티에 제공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하드웨 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다음 질문과 관련된 증거 포함 • 리포지토리에서 참조용으로 사용하는 표준은? 해당 표준은 국제 및/또는 커뮤니티 표준(예: Space Data Infrastructure(SDI) 표준, OGC, W3C 또는 ISO 19115)인가? 이것들은 얼마나 자 주 검토되는가? • 그 기준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표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가? • 리포지토리에 인프라 개발 계획이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과연 무엇인가? • 소프트웨어 인벤토리가 유지되고 있으며 시스템 문서를 사용할 수 있는가? • 커뮤니티 지원 소프트웨어가 사용 중인가? • 실시간에서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스트림의 경우, 리포지 토리의 글로벌 및/또는 지역적 책임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대역폭 에서 24시간 내내 공용 및 개인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제공 하고 있는가?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3 리포지토리 H/W, S/W
  • 54.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R4 기밀성과 윤리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4
  • 55. 기술 XVI. 보안 R16. 리포지토리 기술 인프라는 시설과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이용 자를 보호한다. • 리포지토리는 잠재적 위협을 분석하고 위험을 평가하며 일관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리포지토리와 그 데이터, 제품, 서비스 및 사 용자에게 위협이 되는 악성 행위, 인적 오류 또는 기술적 고장에 기반 한 손상 시나리오를 기술해야 한다. •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 • 운영 중단 시 필수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 또는 백업을 제공하기 위 한 절차 및 준비 • IT 보안 시스템, 재해 계획 및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보안과 관련 된 역할(예: 보안 책임자) 및 사용하는 모든 위험 분석 도구(예: DRAMBORA) • 다른 요구사항이 일반적으로 다루는 일부 측면(예: R12(워크플로우) 을 설명하며, R9(문서화된 보관 절차)를 보완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5 잠재적 위험 대응
  • 56. R2 접근 / 사용 라이선스 R6 전문 가이드를 위한 내·외부 자문 위원회 / 기술 위원회 R4 기밀성과 윤리 R3 거버넌스 측면에서 영속적 접근성 / 가용성 R1 데이터 리포지토리 임무 / 범위 R0 컨텍스트 R7 데이터 무결성 / 신뢰성 R8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평가 (제출자와 리포지토리 상호작용 관점) R16 보안 R10 보존 계획 (권한위임 등) R11 (메타) 데이터 품질 (큐레이션 동안 품질 보증 방법 등, 커뮤니티 관점) R13 데이터 발견 / 식별 제출자 이용자 R14 데이터 재사용 이용자 R5 조직적 인프라스트럭처 (예산지원과 인력) 관리자 R15 기술적 인프라스트럭처 (리포지토리 S/W 및 H/W) R9 문서화된 보관 절차 (절차 문서화, 보안, 복사본 전략, 데이터 복구 조항, 저장장치 퇴화 등) R12 (문서화된) 워크플로우에 따른 아카이빙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6
  • 57. Q & 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7
  • 58.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1. The repository has an explicit mission to provide access to and preserve data in its domain. 2. The repository maintains all applicable licenses covering data access and use and monitorscompliance. 3. The repository has a continuity plan to ensure ongoing access to and preservation of its holdings. 4. The repository ensures, to the extent possible, that data are created, curated, accessed, and used in compliance with disciplinary and ethical norms. 5. The repository has adequate funding and sufficient numbers of qualified staff managed through a clear system of governance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mission. 6. The repository adopts mechanism(s) to secure ongoing expert guidance and feedback (either in-house, or external, including scientific guidance, if relevant). 7. The repository guarantees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data. 8. The repository accepts data and metadata based on defined criteria to ensure relevance and understandability for data user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8
  • 59. The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y Requirements 9. The repository applies documented processes and procedures in managing archival storage of the data. 10. The repository assumes responsibility for long-term preservation and manages this function in a planned and documented way. 11. The repository has appropriate expertise to address technical data and metadata quality and ensures that sufficient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end users to make quality-related evaluations. 12. Archiving takes place according to defined workflows from ingest to dissemination. 13. The repository enables users to discover the data and refer to them in a persistent way through proper citation. 14. The repository enables reuse of the data over time, ensuring that appropriate metadata are available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data. 15. The repository functions on well-supported operating systems and other core infrastructural software and is using hardware and software technologies appropriate to the services it provides to its Designated Community. 16. The technical infrastructure of the repository provides for protection of the facility and its data, products, services, and user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59
  • 60.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0 https://www.iso.org/standard/56510.html http://files.d nb.de/nestor /zertifizierun g/notes_nest or_Seal.pdf
  • 61. The criteria for assigning the Data Seal of Approval to data repositories are in accordance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digital data archiving such as • Kriterienkatalog vertrauenswürdige digitale Langzeitarchive as developed by NESTOR (the Network of Expertise in Long-Term Storage of Digital Resources) • Digital Repository Audit Method Based on Risk Assessment (DRAMBORA) published by the Digital Curation Centre (DCC) and DigitalPreservationEurope (DPE) •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and Certification (TRAC): Criteria and Checklist of the Research Library Group (RLG) Furthermore the following has been taken into account: • Foundations of Modern Language Resource Archives of the Max Planck Institute • Stewardship of Digital Research Data: A Framework of Principles and Guidelines published by the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The DSA Guidelines can be seen as a minimum set distilled from the above proposals.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1
  • 62. • Core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Requirements v01.00 • Data Seal of Approval has merged into CoreTrustSeal • The repository is recognized in the community as a trustworthy source of data.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2
  • 63. 리포지토리 자체 평가를 위한 Data Seal of Approval 온라인 도구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3
  • 64.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4
  • 65.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5
  • 66.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6
  • 67. 2019-1차 통합포털도서관 시스템 구축 추진협의회 워크숍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