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신문 개방화 전략의 관점에서  英 가디언紙의  뉴스 오픈 플랫폼  살펴보기 2009-04-22 by GOODgle
Guardian  오픈 플랫폼이란 ?   기사 ,  이미지 ,  동영상 ,  음성 ,  갤러리 등 가디언을 보유한 콘텐츠를 외부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것 .  기사의 키워드 ,  투표 ,  블로그 ,  기사 타입 등 유형 분류까지 구분한  open API 를 제공하고 있다 .   이러한 오픈 플랫폼을 활용하면 ,  가디언이 아닌 다른 매체나 기업 ,  기관 ,  심지어 개인까지도 가디언의 콘텐츠를 재조합해서 새로운 형태의 웹서비스나 뉴스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 . Guardian API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News Readers & Web Sites 이미지 ,  텍스트 ,  동영상 등 가디언의 표준 규격화된 콘텐츠를 개방 체계화된 분류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를 외부로 공급하는 기술적 채널 제공 개방 정책에만 동의하면 가디언의 콘텐츠를 외부 웹사이트나 서비스에 삽입 ,  배치 ,  활용할 수 있음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내용   가디언 오픈 플랫폼은 크게 콘텐트  API(Content API) 와 데이터 스토어 (Data Store) 로 제품군으로 구분된다 . 1.  콘텐트  API   가이언이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를 외부로 손쉽게 끌어갈 수 있는 기술적 채널 .  가이언의 콘텐츠가 필요한 외부 웹사이트가 콘텐츠  API 를 통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 1999 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100 만 건 가량의 뉴스 콘텐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   2.  데이터 스토어   낱개의 콘텐츠가 아닌 가디언의 편집진에 의해 가공된 각종 자료 ,  그래프 ,  분석 기사 등의 콘텐츠 모음집 .  고품질 콘텐츠인 만큼 가이언 제휴사 (Partners) 에게 제공되며 다양한 형식과 계약 방식에 따라 공급이 가능하다 .  콘텐츠는 가디언이 편집 제공하며 ,  구글과 제휴해  Google Docs  서비스가 해당 콘텐츠의 유통과 배포 (Hosting) 를 맡고 있다 .  기본적으로 콘텐트  API 의 사용은 가디언의 제한 규정에만 따른다면 ,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단 ,  가이언의 광고 프로그램이 삽입될 수 있다 . 가디언 曰   “플랫폼으로서의 신문”   뉴스 콘텐츠 서비스에서 한 단계 나아가 뉴스 플랫폼이라는 관점에서 웹을 적극 활용한 사례 . 타 언론사들이 자사 콘텐츠를 저작권으로 꽁꽁 묶어놓은 것과 달리 ,  가디언은 저작권의 제한을 완화하고 누구나 자사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1.  ContentTagger   http://www.contenttagger.org   가디언의 기사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기사 내용을 파악해 태그 (Tag,  키워드 ) 를 정의하는 서비스 .  가디언 콘텐트  API 를 통해 특정 가디언 기사를 불러와 해당 기사의 내용에 맞는 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다 .  콘텐트  API 를 활용한 실험적인 서비스이며 ,  기사 콘텐츠 내용 파악에 필수적인 태그를 기자나 편집자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  일종의 태그 입력의  UCC 화 . 사용자 정의 태그 입력칸 문맥 분석  or  사전에 정의된 태그 표시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2.  API Maps   http://guardian.apimaps.org   가디언의 기사에 위치 정보 ( 지도 ) 를 삽입하는 서비스 .   기사에서 언급되는 해당 지역의 위치 정보를 지도와 함께 표현할 수 있다 .  아래 예의 경우 ,  지난  2002 년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이 이탈리아를  2:1 로 물리쳤다는 내용의 기사이며 ,  독자에게 대한민국 (South Korea) 이 아시아의 어느 곳에 위치한 나라인지 ,  어디에서 경기가 열렸는지 등 해당 위치에 관한 정보를 지도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관련 기사 관련 기사에 대한 위치 정보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3.  Cass Sculpture Foundation   http:// http://www.sculpture.org.uk/news   캐스조각미술재단의 경우 가디언 오픈 플랫폼을 활용해 재단 웹사이트에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가디언에 소개된 기사 중 캐스조각미술재단에 관련된 기사만 추려내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것이다 .  기사 선별 및 게시는 뉴스 오픈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  또한 아웃링크가 아닌 해당 기사를 오픈 플랫폼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 뉴스 메뉴 가디언의 기사 중 캐스 조각미술 재단에 관한 기사만 선별 ,  재단 웹사이트에 해당 뉴스를 게시함 . 기사를 클릭하면  Outlink 로 가디언 웹사이 트로 이동하지 않고 ,  재단 웹사이트에서 직접 해당 기사를 볼 수 있다 .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4.  Data Blog  http://www.guardian.co.uk/news/datablog   가디언이 운영하는  Data Blog 는 데이터 스토어 활용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  블로그 내용을 바탕으로 그와 연관된 다양한 표와 그래프 ,  통계 수치 ,  사료 ,  분석기사 등을 링크하거나 연관 배치하는 형태이다 .  아래 예의 경우 영국 대학 입학 관련 블로그 글에 가디언이 수집 ,  가공한 영국 대학 랭킹 정보가 링크되어 있다 .  이러한 데이터는 단순한 연관 기사 링크와 달리 미디어 전체의 품질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 1)  링크를 클릭 2)  영국 대학 정보에 관한 해당 블로그 글과 연관성이 있는 대학 평가 자료를 즉석에서 열람할 수 있다 . 이러한 정보들은 가디언 편집자가 사전에 가공하여 배열한 것이며 ,  가디언 오픈 플랫폼의 데이터 스토어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배경과 목적 배경  > -  영미의 경우 신문 시장의 침체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 .  가디언과 같은 유력 미디어들이 새로운 웹 기술을 흡수 ,  독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모색 중 . -  오픈 플랫폼 전략은 신문사가 보유하고 있는 양질의 방대한 콘텐츠를 온라인에서 효과적으로 유통시킴으로써 자사의 개발 및 배포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법의 일환 . -  오픈 플랫폼 전략 추구를 위해서는 콘텐츠 제공자 ( 신문사 ) 와 서비스 사업자 ( 포털 ,  웹서비스 ,  개인 ) 간의 상호 데이터 규격 및 교환 방법을 표준화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  가디언의 경우  웹 서비스 강화 전략을 통해 이미 이러한 데이터 표준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  태그 (Tag) 를 활용한 콘텐츠 문맥 분석 기반 광고 시스템 개발과 도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 목적  > - API  개방은 곧 콘텐츠 개방을 뜻함 .   콘텐츠를 널리 배포시키는 것에 더하여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이용자의 입맛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  이러한 토대를 기반으로 신문사 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 Ex.  되로 주고 말로 받기 -  자사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독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동적인 전략에서 ,  콘텐츠가 독자를 찾아가는 능동적인 전략으로 탈바꿈 . -  자사의 서비스 및 기술 제약에서 벗어나 타 매체 ,  포털 ,  웹서비스 기업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빌어 단순한 콘텐츠 제공자에서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포부 .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수익 모델   가디언의 경우 오픈 플랫폼 전략을 공표하면서 ,  개방되는 콘텐츠에 가디언의 광고가 삽입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  즉 ,  오픈 플랫폼의 주요 수익 모델은  1)  콘텐츠 기반 광고의 노출  2)  뉴스 신디케이션 사업의 확장 이 있다 .  무료 제공되는 콘텐트에는 광고 삽입을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며 ,  그에 따른 파트너 확대를 통해 고품질 기사는 뉴스 신디케이션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유료 판매하겠다는 의도이다 . Guardian Website 1)  독자 방문 2)  콘텐츠 제공 +  광고 배너 <  기존  Biz Model > <  오픈 플랫폼  Biz Model > Guardian Open API 1)  독자 방문 2)  콘텐츠 제공 +  광고 배너 3)  광고 효과 Partners :  콘텐츠 허브 (Hub)  역할
Guardian  오픈 플랫폼이 국내 신문 시장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 서비스는 국내외 웹서비스 업계의 주요 트랜드 Google, Flickr, Y!OS  등 해외 벤처에서 시작해 국내 포털과 웹서비스 업계에서 다양하게 활용 .   -  포털 업체  :  포털 시장의 성장 한계로 인해 새로운 시장 및 돌파구 모색의 일환   Ex.  네이버 뉴스 / 오픈캐스트 ,  네이버 / 다음 지도 오픈 API  등   -  기술벤처 / 웹서비스 업체  :  제한된 자원과 기술 투자로 광범위한 서비스 영역 구축 기대   Ex. VoIP( 인터넷폰 ), LBS( 위치기반서비스 ),  동영상 검색 등   -  정부  :  정보 공개 및 투명성 재고 ,   Ex. ' 국가정보자원공개 ',  즉 공공 오픈 API 를 추진 중 국내 미디어 업계와 뉴스 오픈 플랫폼   가디언의 예와 같이 ,  기존 종이 신문 시장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자 온라인 미디어에 투자할 경우 단순한  CP  개념에서 벗어나 콘텐츠 플랫폼 구축을 통한 시장 장악 능력 확보가 필요 .  뉴스 오픈 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콘텐츠 유통 채널의 다양화는 물론 문맥 분석 기반 광고 시스템과 결합해 보다 다양한 광고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 .   -  표준화된 콘텐츠 규격 확보와  DB  정비 필요  Ex.  한국언론재단 주도 국제표준뉴스규격  NewsML    -  아직 국내 미디어 업체에서 뉴스 오픈 플랫폼을 도입한 사례는 없음 .   -  광고 영역에서 제한된 시도가 진행  Ex.  뉴스뱅크   -  가디언과 뉴욕타임즈의 전혀 새로운 시도    수익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듯
유사 사례  Nytimes.com   가디언의 오픈 플랫폼 이전에 뉴욕타임즈에서도 오픈 플랫폼 전략을 펼치고 있다 .  다만 가이언의 체계적이고 시스템화된 방식보다는 개방 정도나 기술적 완성도 ,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뉴욕타임즈의 오픈 플랫폼 전략은 다음과 같이  3 가지로 나뉜다 . 1.  무료  API  제공   무료  API 를 통해 외부 개발자나 웹사이트에서  1981 년부터 지금까지 약  280 만 개의 기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  그러나 광고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아직 뚜렷하지 않아 수익성 확보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2. The Local  프로젝트   뉴욕의 브루클린 등 몇 개 지역을 대상으로 한  ' 지역 블로그 네트워크 ' 이다 .  지역에 기반한 풀뿌리 저널리즘을 표방하고 있으며 ,  지역 공동체 ( 행사 )  소식 ,  사건 사고 소식 ,  지역 주민들의 생활상 등을 담아낸다 .  기존 언론사 블로그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뉴욕시립대학 언론학과 학생들이 도우미로 참여해 ,  지역 주민들이 직접  ' 블로거 ' 가 되어 지역 이야기를 기사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이다 . 국내 사례와 비유하자면 , ‘ 블로그 기반의 미국판 오마이뉴스’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3. One in 8 Million  프로젝트   뉴욕에 거주하는  800 만 시민 한 명 한 명을 소개하겠다는 야심 찬 프로젝트이다 .  뉴욕 시민의 생활상을 흑백 사진으로 이뤄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제공한다 .  시민의 목소리와 생생한 삶의 현장을 담아 세련되게 표현한다는 점에서 과거  Life 紙가 제공했던 것과 유사한 그래픽 저널리즘을 표방하고 있다 . 그 외 …   로이터의 경우 ‘칼레이 (Calais)’ 라는 서비스 개발을 통해 미래의 뉴스 제작 및 온라인 유통 시스템 확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칼레이는 로이터의 뉴스  DB 를 체계화하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연관 기사와 자료를 자동으로 검색 ,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개방형 뉴스 플랫폼이다 .
본 리포트 작성에 참조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명승은님의 링블로그 http://ringblog.net/1529 http://ringblog.net/1523 강정수님의  Berlin Log http://npool.ktpage.net/103 가디언 오픈 플랫폼 공식 페이지 http://www.guardian.co.uk/open-platform/getting-started http://www.guardian.co.uk/media/2009/mar/10/guardian-open-platform http://www.guardian.co.uk/open-platform/getting-started 캐스조각미술재단 http://www.sculpture.org.uk/news/ 리드라이트웹닷컴 기사 http://www.readwriteweb.com/archives/newspaper_as_a_platform_guardian_announces_apis.php 용진님의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autolian?Redirect=Log&logNo=30044435348 본 리포트에 대한 문의는 굿글 블로그  http://goodgle.kr   또는  [email_address]   로 가능하다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About Guadian OpenPlatform

나스리포트 262호 total
나스리포트 262호 total나스리포트 262호 total
나스리포트 262호 total
Nasmedia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Channy Yun
 
나스리포트 264호 total
나스리포트 264호 total나스리포트 264호 total
나스리포트 264호 total
Nasmedia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휘웅 정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Nasmedia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Nasmedia
 
Content marketing landscape
Content marketing landscapeContent marketing landscape
Content marketing landscape
Eunhye Lee
 
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
yonsei87
 
나스리포트 275호 total
나스리포트 275호 total나스리포트 275호 total
나스리포트 275호 total
Nasmedia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Kit-bee Kim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Yeon Soo Kim
 
Content creation 서비스
Content creation 서비스Content creation 서비스
Content creation 서비스
Eunhye Lee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Youngjo Seong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나스리포트 269호 total
나스리포트 269호 total나스리포트 269호 total
나스리포트 269호 total
Nasmedia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MezzoMedia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Seungtae(Peter) Kim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ezzoMedia
 

Similar to About Guadian OpenPlatform (20)

웹2.0소개
웹2.0소개웹2.0소개
웹2.0소개
 
나스리포트 262호 total
나스리포트 262호 total나스리포트 262호 total
나스리포트 262호 total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나스리포트 264호 total
나스리포트 264호 total나스리포트 264호 total
나스리포트 264호 total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나스리포트 271호 total
나스리포트 271호 total
 
Content marketing landscape
Content marketing landscapeContent marketing landscape
Content marketing landscape
 
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
 
나스리포트 275호 total
나스리포트 275호 total나스리포트 275호 total
나스리포트 275호 total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성공하는 모바일비즈니스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Open API 발표자료 - 김연수
 
Content creation 서비스
Content creation 서비스Content creation 서비스
Content creation 서비스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오픈플랫폼(Open platform) 개요 및 사례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MezzoMedia Media &Market Report (2018.07)
 
나스리포트 269호 total
나스리포트 269호 total나스리포트 269호 total
나스리포트 269호 total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24 트렌드 리포트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졸업논문_ Web2.0시대 pr블로그 에디터의 역할 김승태
 
디콘개론
디콘개론디콘개론
디콘개론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12월 호]
 

More from GOODgle :)

2013 where is_everyone
2013 where is_everyone2013 where is_everyone
2013 where is_everyone
GOODgle :)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GOODgle :)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GOODgle :)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GOODgle :)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GOODgle :)
 
News media revenue v11
News media revenue v11News media revenue v11
News media revenue v11GOODgle :)
 

More from GOODgle :) (7)

2013 where is_everyone
2013 where is_everyone2013 where is_everyone
2013 where is_everyone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About Car Sharing "왜 카셰어링인가?"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기획에서 요구사항이 중요한 이유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기획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기자를위한 SNS 가이드라인
 
My finisher
My finisherMy finisher
My finisher
 
News media revenue v11
News media revenue v11News media revenue v11
News media revenue v11
 

About Guadian OpenPlatform

  • 1. 신문 개방화 전략의 관점에서 英 가디언紙의 뉴스 오픈 플랫폼 살펴보기 2009-04-22 by GOODgle
  • 2. Guardian 오픈 플랫폼이란 ? 기사 , 이미지 , 동영상 , 음성 , 갤러리 등 가디언을 보유한 콘텐츠를 외부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것 . 기사의 키워드 , 투표 , 블로그 , 기사 타입 등 유형 분류까지 구분한 open API 를 제공하고 있다 . 이러한 오픈 플랫폼을 활용하면 , 가디언이 아닌 다른 매체나 기업 , 기관 , 심지어 개인까지도 가디언의 콘텐츠를 재조합해서 새로운 형태의 웹서비스나 뉴스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 . Guardian API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News Readers & Web Sites 이미지 , 텍스트 , 동영상 등 가디언의 표준 규격화된 콘텐츠를 개방 체계화된 분류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를 외부로 공급하는 기술적 채널 제공 개방 정책에만 동의하면 가디언의 콘텐츠를 외부 웹사이트나 서비스에 삽입 , 배치 , 활용할 수 있음
  • 3.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내용 가디언 오픈 플랫폼은 크게 콘텐트 API(Content API) 와 데이터 스토어 (Data Store) 로 제품군으로 구분된다 . 1. 콘텐트 API 가이언이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를 외부로 손쉽게 끌어갈 수 있는 기술적 채널 . 가이언의 콘텐츠가 필요한 외부 웹사이트가 콘텐츠 API 를 통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 1999 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100 만 건 가량의 뉴스 콘텐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 2. 데이터 스토어 낱개의 콘텐츠가 아닌 가디언의 편집진에 의해 가공된 각종 자료 , 그래프 , 분석 기사 등의 콘텐츠 모음집 . 고품질 콘텐츠인 만큼 가이언 제휴사 (Partners) 에게 제공되며 다양한 형식과 계약 방식에 따라 공급이 가능하다 . 콘텐츠는 가디언이 편집 제공하며 , 구글과 제휴해 Google Docs 서비스가 해당 콘텐츠의 유통과 배포 (Hosting) 를 맡고 있다 . 기본적으로 콘텐트 API 의 사용은 가디언의 제한 규정에만 따른다면 ,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단 , 가이언의 광고 프로그램이 삽입될 수 있다 . 가디언 曰 “플랫폼으로서의 신문” 뉴스 콘텐츠 서비스에서 한 단계 나아가 뉴스 플랫폼이라는 관점에서 웹을 적극 활용한 사례 . 타 언론사들이 자사 콘텐츠를 저작권으로 꽁꽁 묶어놓은 것과 달리 , 가디언은 저작권의 제한을 완화하고 누구나 자사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 4.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1. ContentTagger http://www.contenttagger.org 가디언의 기사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기사 내용을 파악해 태그 (Tag, 키워드 ) 를 정의하는 서비스 . 가디언 콘텐트 API 를 통해 특정 가디언 기사를 불러와 해당 기사의 내용에 맞는 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다 . 콘텐트 API 를 활용한 실험적인 서비스이며 , 기사 콘텐츠 내용 파악에 필수적인 태그를 기자나 편집자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 일종의 태그 입력의 UCC 화 . 사용자 정의 태그 입력칸 문맥 분석 or 사전에 정의된 태그 표시
  • 5.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2. API Maps http://guardian.apimaps.org 가디언의 기사에 위치 정보 ( 지도 ) 를 삽입하는 서비스 . 기사에서 언급되는 해당 지역의 위치 정보를 지도와 함께 표현할 수 있다 . 아래 예의 경우 , 지난 2002 년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이 이탈리아를 2:1 로 물리쳤다는 내용의 기사이며 , 독자에게 대한민국 (South Korea) 이 아시아의 어느 곳에 위치한 나라인지 , 어디에서 경기가 열렸는지 등 해당 위치에 관한 정보를 지도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관련 기사 관련 기사에 대한 위치 정보
  • 6.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3. Cass Sculpture Foundation http:// http://www.sculpture.org.uk/news 캐스조각미술재단의 경우 가디언 오픈 플랫폼을 활용해 재단 웹사이트에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가디언에 소개된 기사 중 캐스조각미술재단에 관련된 기사만 추려내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것이다 . 기사 선별 및 게시는 뉴스 오픈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 또한 아웃링크가 아닌 해당 기사를 오픈 플랫폼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 뉴스 메뉴 가디언의 기사 중 캐스 조각미술 재단에 관한 기사만 선별 , 재단 웹사이트에 해당 뉴스를 게시함 . 기사를 클릭하면 Outlink 로 가디언 웹사이 트로 이동하지 않고 , 재단 웹사이트에서 직접 해당 기사를 볼 수 있다 .
  • 7. Guardian 오픈 플랫폼 활용 사례 4. Data Blog http://www.guardian.co.uk/news/datablog 가디언이 운영하는 Data Blog 는 데이터 스토어 활용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 블로그 내용을 바탕으로 그와 연관된 다양한 표와 그래프 , 통계 수치 , 사료 , 분석기사 등을 링크하거나 연관 배치하는 형태이다 . 아래 예의 경우 영국 대학 입학 관련 블로그 글에 가디언이 수집 , 가공한 영국 대학 랭킹 정보가 링크되어 있다 . 이러한 데이터는 단순한 연관 기사 링크와 달리 미디어 전체의 품질과 신뢰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 1) 링크를 클릭 2) 영국 대학 정보에 관한 해당 블로그 글과 연관성이 있는 대학 평가 자료를 즉석에서 열람할 수 있다 . 이러한 정보들은 가디언 편집자가 사전에 가공하여 배열한 것이며 , 가디언 오픈 플랫폼의 데이터 스토어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
  • 8.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배경과 목적 배경 > - 영미의 경우 신문 시장의 침체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 . 가디언과 같은 유력 미디어들이 새로운 웹 기술을 흡수 , 독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모색 중 . - 오픈 플랫폼 전략은 신문사가 보유하고 있는 양질의 방대한 콘텐츠를 온라인에서 효과적으로 유통시킴으로써 자사의 개발 및 배포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법의 일환 . - 오픈 플랫폼 전략 추구를 위해서는 콘텐츠 제공자 ( 신문사 ) 와 서비스 사업자 ( 포털 , 웹서비스 , 개인 ) 간의 상호 데이터 규격 및 교환 방법을 표준화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 가디언의 경우 웹 서비스 강화 전략을 통해 이미 이러한 데이터 표준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 태그 (Tag) 를 활용한 콘텐츠 문맥 분석 기반 광고 시스템 개발과 도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 목적 > - API 개방은 곧 콘텐츠 개방을 뜻함 . 콘텐츠를 널리 배포시키는 것에 더하여 해당 콘텐츠를 온라인 이용자의 입맛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 이러한 토대를 기반으로 신문사 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 Ex. 되로 주고 말로 받기 - 자사 웹사이트에 방문하는 독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동적인 전략에서 , 콘텐츠가 독자를 찾아가는 능동적인 전략으로 탈바꿈 . - 자사의 서비스 및 기술 제약에서 벗어나 타 매체 , 포털 , 웹서비스 기업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빌어 단순한 콘텐츠 제공자에서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포부 .
  • 9. Guardian 오픈 플랫폼의 수익 모델 가디언의 경우 오픈 플랫폼 전략을 공표하면서 , 개방되는 콘텐츠에 가디언의 광고가 삽입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 즉 , 오픈 플랫폼의 주요 수익 모델은 1) 콘텐츠 기반 광고의 노출 2) 뉴스 신디케이션 사업의 확장 이 있다 . 무료 제공되는 콘텐트에는 광고 삽입을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며 , 그에 따른 파트너 확대를 통해 고품질 기사는 뉴스 신디케이션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유료 판매하겠다는 의도이다 . Guardian Website 1) 독자 방문 2) 콘텐츠 제공 + 광고 배너 < 기존 Biz Model > < 오픈 플랫폼 Biz Model > Guardian Open API 1) 독자 방문 2) 콘텐츠 제공 + 광고 배너 3) 광고 효과 Partners : 콘텐츠 허브 (Hub) 역할
  • 10. Guardian 오픈 플랫폼이 국내 신문 시장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 서비스는 국내외 웹서비스 업계의 주요 트랜드 Google, Flickr, Y!OS 등 해외 벤처에서 시작해 국내 포털과 웹서비스 업계에서 다양하게 활용 . - 포털 업체 : 포털 시장의 성장 한계로 인해 새로운 시장 및 돌파구 모색의 일환 Ex. 네이버 뉴스 / 오픈캐스트 , 네이버 / 다음 지도 오픈 API 등 - 기술벤처 / 웹서비스 업체 : 제한된 자원과 기술 투자로 광범위한 서비스 영역 구축 기대 Ex. VoIP( 인터넷폰 ), LBS( 위치기반서비스 ), 동영상 검색 등 - 정부 : 정보 공개 및 투명성 재고 , Ex. ' 국가정보자원공개 ', 즉 공공 오픈 API 를 추진 중 국내 미디어 업계와 뉴스 오픈 플랫폼 가디언의 예와 같이 , 기존 종이 신문 시장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고자 온라인 미디어에 투자할 경우 단순한 CP 개념에서 벗어나 콘텐츠 플랫폼 구축을 통한 시장 장악 능력 확보가 필요 . 뉴스 오픈 플랫폼을 활용할 경우 콘텐츠 유통 채널의 다양화는 물론 문맥 분석 기반 광고 시스템과 결합해 보다 다양한 광고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 . - 표준화된 콘텐츠 규격 확보와 DB 정비 필요 Ex. 한국언론재단 주도 국제표준뉴스규격 NewsML - 아직 국내 미디어 업체에서 뉴스 오픈 플랫폼을 도입한 사례는 없음 . - 광고 영역에서 제한된 시도가 진행 Ex. 뉴스뱅크 - 가디언과 뉴욕타임즈의 전혀 새로운 시도  수익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듯
  • 11. 유사 사례 Nytimes.com 가디언의 오픈 플랫폼 이전에 뉴욕타임즈에서도 오픈 플랫폼 전략을 펼치고 있다 . 다만 가이언의 체계적이고 시스템화된 방식보다는 개방 정도나 기술적 완성도 ,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뉴욕타임즈의 오픈 플랫폼 전략은 다음과 같이 3 가지로 나뉜다 . 1. 무료 API 제공 무료 API 를 통해 외부 개발자나 웹사이트에서 1981 년부터 지금까지 약 280 만 개의 기사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 그러나 광고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아직 뚜렷하지 않아 수익성 확보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2. The Local 프로젝트 뉴욕의 브루클린 등 몇 개 지역을 대상으로 한 ' 지역 블로그 네트워크 ' 이다 . 지역에 기반한 풀뿌리 저널리즘을 표방하고 있으며 , 지역 공동체 ( 행사 ) 소식 , 사건 사고 소식 , 지역 주민들의 생활상 등을 담아낸다 . 기존 언론사 블로그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뉴욕시립대학 언론학과 학생들이 도우미로 참여해 , 지역 주민들이 직접 ' 블로거 ' 가 되어 지역 이야기를 기사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이다 . 국내 사례와 비유하자면 , ‘ 블로그 기반의 미국판 오마이뉴스’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 3. One in 8 Million 프로젝트 뉴욕에 거주하는 800 만 시민 한 명 한 명을 소개하겠다는 야심 찬 프로젝트이다 . 뉴욕 시민의 생활상을 흑백 사진으로 이뤄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제공한다 . 시민의 목소리와 생생한 삶의 현장을 담아 세련되게 표현한다는 점에서 과거 Life 紙가 제공했던 것과 유사한 그래픽 저널리즘을 표방하고 있다 . 그 외 … 로이터의 경우 ‘칼레이 (Calais)’ 라는 서비스 개발을 통해 미래의 뉴스 제작 및 온라인 유통 시스템 확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칼레이는 로이터의 뉴스 DB 를 체계화하고 정확하게 분류하여 연관 기사와 자료를 자동으로 검색 ,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개방형 뉴스 플랫폼이다 .
  • 12. 본 리포트 작성에 참조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명승은님의 링블로그 http://ringblog.net/1529 http://ringblog.net/1523 강정수님의 Berlin Log http://npool.ktpage.net/103 가디언 오픈 플랫폼 공식 페이지 http://www.guardian.co.uk/open-platform/getting-started http://www.guardian.co.uk/media/2009/mar/10/guardian-open-platform http://www.guardian.co.uk/open-platform/getting-started 캐스조각미술재단 http://www.sculpture.org.uk/news/ 리드라이트웹닷컴 기사 http://www.readwriteweb.com/archives/newspaper_as_a_platform_guardian_announces_apis.php 용진님의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autolian?Redirect=Log&logNo=30044435348 본 리포트에 대한 문의는 굿글 블로그 http://goodgle.kr 또는 [email_address] 로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