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권 2호 
The Journal of $pecial Children Education 
2008. Vol. 10, No. 2, 247-266 
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섬려적 
살행기능특성 벼교 
송찬원 (경회학교) • 김하경 (경회학교, 대구대학교) • 장희대 (경회학교)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가능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실행기능 점수를 비교해 
보면 일반학생이 경우 실행지 능이 가장 높았으며 , 처리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읽기 · 쓰기 학 
습장애학생의 경우 주의가능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기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하위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가 나타났다 하지만 주의기능과 시공간기능은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두 
집단 간에 언어기능이 가장 많은 기능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들의 가장 
심각한 학습 결함이 언어기능에 편중되어 있음을 시사해준다. 일반학생 집단에서의 요인별 상관 
성은 주의기능 기억기능, 기억기능-시공간기능, 처리속도- 기억기능, 실행지능- 기억기능을 제외 
한 모든 하위요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에서의 요인별 상관성은 실행지능- 언어기능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실행기능의 5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 중 
어느 요인이 전체실행지능(EIQl 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지를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일 
반학생은 처리속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은 기억기능이 가장 큰 영향 
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했 핵심어 신경심리 , 실행기능, 읽기학습장애 
I. 서 
로 
L 
모든 학생들은 저마다의 신체적, 인지적 , 정서 • 행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찾 
고 그에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박화문, 2001; 전헌선 외, 2(03) .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 및 행동 특성의 차이를 어떻게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가? 
특히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의 정의와 진단 기준을 어떻게 명확히 구분 지 
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은 지난 십 수 년 간 진행되어온 우리나라 특수교육계의 큰 쟁점이었
248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다(김자경, 2001; 이나미, 윤점룡, 1990; 이상훈, 1999; 정대영, 2002, 2005, 2006). 수년전 우리나 
라에도 학습장애학회가 설립 (2004.7) 이 됨으로써 학문적 토대위에서 이 쟁점의 해결점 을 찾고자 
학분적 탐색과 연구 활동(정대영, 2005, 2α)6)이 진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해결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논쟁의 배경을 살펴보면 첫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 
및 일반학생은 모두 지능(IQ) 이 정상수준에 속하지만, 지각손상이나 뇌손상이나 메타인지의 결 
함이 심하면 학습장애로 분류하고, 문화실조나 환경실조, 경제실조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으면 저성취 학습부진으로 진단이 되며 지능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정상범주에 속하 
면 일반학생으로 분류된다. 둘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 저성취 학습부진아의 학습능력과 행동 
특성 의 차이 는 명확히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논쟁 의 배경을 해결해 
줄 대안이 아직까진 미흡하다. 무엇보다 국내에서의 지능검사의 경우가 KEDI-WISC m에 거의 
의 존하가 있으며,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지 못한 지능검사와 진단검사가 개발되지 못한 것 
이 또 다른 원인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지능검사 도구인 KEDI-WISC m는 지적 능력과 습득된 능력을 독립적으로 분리해 
서 측정 하지 못하고 있고, 내용이 중복되어 측정되기 때문에 검사결과를 두 능력에 비추어 해석 
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문수백 변창진 1997). 그리고 상위인지기 능의 각 요인별 점수를 
모두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변찬석 · 이성환(2006)은 현재의 지능검사 접근 방식을 향후에는 
신경심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좀 더 세분화하고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지각의 결함이 어디 
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하게 규명하여 학습장애의 진단 준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김홍근(2005)은 KEDI-WISC m 지능검사의 약점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위인지 
기능을 신경심리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전두엽 -신경심리검사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 
장하였다. 그는 학생의 지적인 능력과 목표행동 도달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영역이 바로 상위인 
지기능이며, 구체적으로 전두엽-실행기능이라고 역설하였다(김홍근, 2001, 2oo5a). 
이상에서 언급한 몇 가지 쟁점의 해결책을 위해서는 지능검사에 있어 신경심리적 진단 검사 
의 병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현재의 KEDI-WISC m 지능검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 
한 신경심리적 지능검사 의 병행은 지적능력이 연속선상에 있는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 및 일반학생의 상위인지요인의 특성 차이를 보다 명확히 제시할 수 있으며 . 인지요 
인 특성에 따른 적절한 교육적 중재방법이나 효과적인 교수 • 학습자료 구안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신경심리학적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는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관리기능, 집행기능이라고도 함)이다. 이 실행기능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신경심리검사에 
서 반드시 측정 (Welsh, 1991; Hodges, 1994; Lezak, 1995; Spreen & Strauss, 1998)되어야 할 항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49 
목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된다. Ozonoff(1 998)는 실행기 능은 상위인지 개념으로서 계획하기, 작업 
기억, 인지적 유연성, 반웅 억제, 조직적 탐색 동의 5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한편, 
실행기능은 여러 뇌부위 중 전전두엽 ( prefronta1)이 담당한다고 밝혀졌다(Benton & Tranel 
(994). 이 들은 실행기능은 상위인지기능으로서 단순한 과제보다는 복잡한 과제, 일상적 과제보 
다는 창의적 과제, 자동적 과제보다는 통제를 요하는 과제에 중점적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결 
국 실행기 능 결함은 구체적으로 전두엽병변 환자가 보여주는 인지장애라고 하였다. 이처럼 실행 
기 능을 담당하는 전전두엽은 인간의 인지기능에서 매우 중요하다. Mcevoy 와 Rogers (1993)는 실 
행기능 결함에 대한 연구는 실행기 능 장애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신경심리학적 영역을 밝혀내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실행기 능이 손상되면 창의성이나 자발성, 사고, 계획 및 조직, 기억, 
언어 , 주의집중, 시공간, 자기조절 능력의 결함을 초래하며 (Ozonoff, 1998; Kirk, Gallagher, & 
Ansatiow, 2(03), 반대 로 실행기 능이 발달하게 되면,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위하여 자신의 정신적 
표상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게 되어, 목표행 동을 계획하고, 충동을 억제하며, 주 
의 를 집중하는 작업기억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효과적이고 분별력 있는 사회적 
행동이 가능하다(Pemer & Lang, 200ü)고 발표되었다. 
이처 럼 최근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지금까지 크게 Ozonoff0991, 1994, 
1997, 1998) 와 Barkley( 1990, 1992, 1995, 1997, 1998)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최근의 
여러 연구들 중 대부분은 ADHD와 자폐아의 ‘전두엽 -실행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었다. 
최근 몇 년간은 학습장애 영역에서도 실행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점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Manganello, 1995; Mikael Heirnan, 1999; Brown, 2002; Westby, 2003; Rona1d & Maggie; 
Ronald, Maggie & Keith, 2004; Ernick, 2005; Eric, Alysa & Doyle, 2005; Geoffrey, Renate & 
Caine, 2α)6; Melzer & Lynn, 2α)6; Brown, 2006; Amy , 2(07). 
최 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실행기능 관련 논문들이 학계에 발표되기 시작되었으며, 구체적인 연 
구 분야를 살펴보면, 자폐아, 정신분열증, ADHD 각 집단과 비장애아 집단과의 실행기능을 비교 
분석(박혜 근, 1999; 성형모 & 박형배, 2α)(); 정혜영, 2α)(); 김홍근, 2001; 서완석 동, 2002; 한소희, 
2002; 이정애 등, 2002; 손양희 , 2003 ; 이효신, 2003; 김사리, 2003; 서석교 & 김홍근, 2004; 한현 
주, 2005; 송문화, 2005; 신은수, 2005; 김홍근, 2005a, 2006; 이명주 · 홍창희, 2아)6)한 논문들로서 
대부분 양적연구에 그쳤다. 이효신 · 손양희 (2003)는 ‘성인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 
사’을 사용하여 ADHD집단과 비장애아집단간에 실행기능의 하위요소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김 
홍근(2001 , 2004, 2005a, 2α)6)의 연구에서 ‘전두엽 -실행기능’에 관한 신경섬리학적 접근과 연구 
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김홍근(2005a)은 현재의 펙슬러 지능검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고, 신경심리학적으로 학생의 학습능력과 밀접한 메타인지의 한 영역인 실행기능을 전문적으
250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로 측정하기위해서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 능 표준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 도 
구를 통하여 메타인지인 실행기능의 하위요소들이 전문적인 측정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 능 검사’는 크게 ‘인출효율성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스 
트룹 검사’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신경심리학적 측면에서 실행기능을 보다 세 
부적으로 측정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김진구(2007) 는 김홍근(2005a) 이 개발한 ‘아동용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일반학생과 ADHD 학생의 실행기 능을 하위인지요인별 
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최근 국내의 실행기능 연구 분야가 ADHD, 자폐아, 정신분열증환자 집단과 비장애아 
집단과의 실행기능 비교 연구에 한정되고 있는 통향을 살펴볼 때, 실행기능 결함으로 지능과 학 
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학습장애 분야에서 실행기능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학 
습장애와 지적 능력과 학습능력 및 행동 특성이 비 슷한 저성취 학습부진아와 ADHD집단 및 일 
반학생과의 실행기능 하위요인별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펼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최 
근 일반학교 현장에는 지적능력과 학습능력에서 심한 결함을 갖고 있는 학습장애아에게 높은 출 
현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장애와 일반학생은 서로 밀접하고 유사한 학습특성과 행동특 
성이 있지만, 교육적 중재방법은 엄연히 차이가 있으며 학생의 인지 특성에 맞게 개별적으로 적 
용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비슷한 정신연령대 및 지 능수준, 비슷한 행동과 학습 특성의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과 일반학생을 신경심리적 측면에서 비교한 연구는 전무하다. 
무엇보다 전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중 출현률 80% 정도를 차지하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 
생과 일반학생의 인지능력과 학습 능력들의 차이를 신경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들의 상위 
인지기능인 실행기능을 하위요인별로 비교 및 분석해 보는 일은 매우 홍미로운 일이며 학문적으 
로도 좀 더 명확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 두 집단의 실행기능 하위요소별 차이 
를 규명해 보는 일은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의 진단 준거에도 도움을 줄 것이며, 각 하위인지요 
인의 차이에 따른 적합한 교육적 중재방법의 개선과 효과적인 교수 • 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성 
모색에도 도움올 줄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하위인지요인별 능력과 학업성취와의 상관성을 파 
악하는 데에도 교육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된 ‘아동용 전두엽 -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김홍근, 2oo5a)’ 도구 및 KEDI-WISC m 지능검사와 ‘Rey Kim 기억검사’를 병행 사용함으로 
써, 지능 수준과 정신연령 및 학습 특성이 비슷한 학습장애와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을 측정하여 
신경심리학적 차원에서 상위인지기능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과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의 전체적인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내 하위요인들 
상호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의 진단 준거에 대한 쟁점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1 
의 해결점을 모색하고, 진단 준거를 보다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나아가 
현재적으로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부진아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중재 방법 모색과 아울러 효과적인 교수-학습 계획 수 
립과 자료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문제 
이에 본 연구는 지능과 정신연령 이 비슷한 수준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실 
행기능의 전체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 점을 이해하고 집단내 하위요인별 상관성이 있는지를 살 
펴봄으로써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지능검사 
측정에 있어 신경심리 지능검사의 병행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진단 준거 
논쟁의 해결점을 모색하고, 나아가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적절한 교육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에서 집단간 실행지능(EIQ) 과 
하위인지요인들(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실행지능(EIQ) 및 하위인지 
요인들(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 
셋째, 원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에서 하위인지요인들(주의기 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3. 용어의 정의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1 )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본 연구에서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이라함은 KEDI-WISC m 지능 80이상이고, 기 
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와 쓰기, 셈하기 중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해당학년 (- ) 1.5이상 표준 
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며, 셋째, KlSE- 학습장애 선별척도 검사에서 총점 62이하(언어성
252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21 이하, 비언어성 42 점 이하)로 분류되 는 학생 들을 의미한다. 단, 이 들은 시각, 청각, 발달장애, 
정서장애 등의 외적인 손상과 다른 장애요인이 없는 학생이다. 
2) 실행기능 
본 연구에서 실행기 능은 우리나라의 김홍근( 2001)이 제시한 4가지 하위인지기 능인 주의기 능 
언어기 능, 시 공간기 능, 기억기 능을 지휘하고 통제하며 도와주며 관리하는 상위인지기능으로 정 
의한다. 
3) 하위인지요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의 하위인지요인은 주의 (FDI,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 언어 (VCI, verbal comprehension index), 시공간(POI,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 기 
억 (MQ, memory quotient), 처리속도( PSI, processing speed) , 실행지능(EIQ, 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의 6개 하위인지요인으로 제한한다. 
II. 연구 방법 
1 .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 및 경북의 일반초둥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들로서, 읽기 및 쓰 
기 영역에서 학습장애 를 보이는 30명과 일반학생 30명으로서 총 60명이다. 
1)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이 연구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일반초둥학교의 학 
습장애를 가진 학생들 중에서 선정하였다.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해당학교에서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들로 판별된 4-6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 선정은 우선 1 차적으로 학교에 
서 기 초 · 기본 학습부진아로 판별된 학생들 중 학부모와 담임교사의 동의와 추천을 받은 학생 
50 명을 무선표집한 뒤, 이 들에게 3가지 검사(K- WISC m 지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 KISE- 학 
습장애 선별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학생 30명을 최종 선발 
하였다. 첫째, 지능이 80 이상이고, 둘째, 기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 • 쓰기 중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학년 (-) 1.5이상 표준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며 , 셋째, KISE 학습장애 선별척도 검사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3 
에서 학습장애로 분류되는 학생 들이다. 이들은 학습결함과 부진의 원인이 시각, 청각, 발달장애, 
정서장애 동의 외 적인 손상과 다른 장애요인에 의한 것 이 아닌 학생들이다. 기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해당학년 H 1.5이상 표준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는 30명을 읽 
기 · 쓰기 학습장애로 분류 선정하였다. 
2) 일반학생 
이 연구의 일반학생 집단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일반초동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서 해당학교 4 -6년 담임교사들로부터 추천받은 50 명 학생 들 중, K-WISC III 지능검사 실시 결 
과 지능지수가 80이상인 학생 들을 1차 선별한 뒤. 이들 중 국어 및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가 평 
균이 상인 학생들을 학년과 남녀 비율을 고려하여 최종 30 명 선정하였다. 
〈표 1) 연구 대상의 특성 
집단 
표집수 CA IQ 
남 여 겨| M SD M SD 
읽기 · 쓰기 14 16 30 1l.2 82 99.2 10.4 
학습장애학생 
일반학생 17 13 30 1l.4 .85 102.7 10.6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를 살펴보면 첫째, 지능검사를 위해 K-WISC - ill를 사용하였고 
둘째, 학생의 실행기능 전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 능 신경심리검 
사’를 사용하였고, 기억검사를 위해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를 사용하였다. 
1) K-WISC-III(한국 헥슬러 아동지능검사) 
K -WISC- III ( 곽금주 외, 2001)는 펙슬러 아통 지능검사(WISC; Wechsler, 1949 ) 의 세 번째 개 
정판에 기초하여 제작되었다. K-WISC-III는 6 세 0개월에서 16세 11 7~ 월 사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별지능검사이다. 이 검사는 크게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전체 IQ로 구분되며, 지능의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소검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10 7}지의 소검사와 3가지의 보충 소검사 
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254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2)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oo5a) 는 2001 년 성인용 관리기능검사 
인 ‘Kims 전두엽 -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아동용으로 개정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 
시킨 검사도구로서 만 7세 - 1 5세까지의 아동들을 위한 실행기능(관리기능으로도 번역됨) 검사도 
구이다. 이 검사는 크게 4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스트룹 검사는 실행기능의 하위기 
능영역인 주의 능력을 측정하고, 단어유창성검사는 언어능력을 측정 하며, 도안유창성 검사는 시 
공간능력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인출효율성검사는 기억능력을 측정 하게 된다.4 개 소검사들의 
실시 순서는 인출효율성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도안유창성 검사 순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 
이다. 그러나 소검사들의 실시 순서 는 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로 실시해도 무방하다. 검사 실시 
시간은 총 25-30분 정도 소요된다. 본 검사의 평정자간의 산출한 결과, 각 소 검사간에 상관이 
.90 - .96의 범위로 나타나 매우 신뢰로운 결과라 할 수 있다. 
3)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 
‘아동용 Rey- Kim 기억검 λ}'( 김홍근, 2oo5b) 는 김홍근( 1999) 이 발표한 바 있는 성인용 기억검 
사를 아동에 적합하도록 개편한 한국형 표준화 검사이며 적용 연령은 7- 15세이다. 이 검사는 언 
어기억검사인 K -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K -A VLT) 와 시각기억검사인 K-Complex 
Figure Test(K -CFT) 의 두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K- AVLT는 Andre Rey (l 964) 가 개발한 언 
어기억 검사 AVLT를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표준화한 것이다.본 검사의 평정자간의 산출 
한 결과, 각 두 소 검사간에 상관이 .93과 .97로 나타나 매우 신뢰로운 결과라 할 수 있다. 
3. 연구 절차 
1) 검사자 선정 및 훈련 
본 연구의 검사자는 연구자들 외 1 명의 특수교육 분야 전문가이다. 연구자는 기록 검사자에게 
각 검사의 실시 방법과 유의점들을 훈련하였다. 검사자는 학부과정 및 대 학원이상에서 특수교육 
분야를 전공하고, 현장 특수교육 경력 3년 이상인 현직 특수교사이다. 
2) 검사 내용 및 방법 
1 차 K-WISC - ill지능검 A}, 2차 해당 영역 진단검사(기초학습 기능검사,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선별척도 검사)를 통해 최종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30 명, 일반학생 30명으로 선정된 학생들 
에게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 능 신경심리검사(스트룹 검사, 단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5 
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 및 ‘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K- AVLT 검 
사, K- CFT검사)’의 실 시 시간은 검사안내 시간을 포함하여 30분-45분 내외 로 제한하였다. 
III. 연구 결과 
1 .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요인 비교 
1 ) 두 집단의 실행지능 비교 
두 집단의 실행지능을 비교한 결과는 아래 〈표 2> 와 같다. 
집단 
일반학생 
실행지능 |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 p< .001 
〈표 2) 두 집단의 실행지능 평균 비교 
표준편차 
8.26 
7.38 
t검증 평균차 
8.00*** 13.67 
〈표 2> 에서와 같이, 두 집단간의 실행지능은 유의한 차가 있었다(p < .(01). 이 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들의 실행지능(M=85.48) 이 일반학생들의 실행지능(M= 104.24) 에 비해 낮고 학습의 
결손이 잠재적으로 많이 있어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2) 실행지능의 하위인지요인 비교 
두 집단의 실행지 능 하위인지요인을 비교한 결과는 〈표 3> 과 같다. 
〈표 3) 두 집단의 실행지능 하위인지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검증 평균차 
일반학생 30 102.37 7.49 
언어기 능 읽기·쓰기 14.18*** 20.17 
학습장애학생 
30 85.20 8.14 
일반학생 30 103.70 7.99 
주의기능 읽기·쓰기 1.17 1.47 
학습장애학생 
30 102.23 5.61
256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일반학생 30 105.42 9.16 
시공간 읽기 · 쓰기 .13 .17 
학습장애학생 
30 101.60 8.71 
일반학생 30 102.67 8.79 
기억기능 읽기 · 쓰기 7.35*** 11.37 
학습장애학생 
30 91.30 6.99 
일반학생 30 102.36 9.71 
처리속도 읽기·쓰기 5.32*** 9.50 
학습장애학생 
30 93.없 7.93 
〈표 3> 에서와 같이, 일반학생 집단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들이 실행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면, 시공간기능005.42) , 주의기능003.70) , 기억기능002.67) , 언 어 기능(102.37) , 처리속도 
(102.36) 순서로 나타났다 시공간기능005.42) 이 가장 높았으며, 처리속도002.36)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의 경우에 는 주의기능002.23) , 시공간기능001.60) , 
처리속도(93.83) , 기억기능(91.3) , 언어기능(85.20) 순서로 나타났다. 주의기능(102.23) 이 가장 높 
았으며, 언어기능(85.20)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집단의 경우 언어 
기능이 수준이 다른 여러 하위기능들보다는 가장 낮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언어기 
능이 수준이 매우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언어성 장애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동반하는 것임을 
알수 있다. 
하위인지요인별 두 집단 간에 는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에서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p< 
.001). 그러나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하위 
인지요인별 가장 많은 유의한 차가 나타난 순서를 살펴보면 언어 기능(14.18*** ), 기억기능 
(7.35***), 처리속도(5.32***) 순이 었다 이 는 두 집단 간에 언어 기능이 가장 많은 기능 차이 를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들의 가장 학습 결함인 언어기능이 가장 
낮은 것에 기인됨을 시사해준다. 그리고 처리속도((5.32*** )가 가장 적은 기능 차이 를 보여주었 
다. 이는 일반학생과 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처리속도 기능은 유의 미한 차이 가 있지만 다른 
요인들에 비해 그 차이 가 비교적 낮음을 시사해준다. 반면, 두 집단 간에 주의기능과 시공간 기 
능은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는데, 이는 두 집단 간에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은 거의 차이 가 나지 
않음을 알수 있다. 
2.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 요인간 상관성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 요인간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 해 실행지능과 하위인지요 
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간 상관분석을 일반학생 집단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7 
집단별로 각각 실시하였다. 
1 ) 일반학생 집단 
일반학생 집단내에서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들의 상호간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는 〈표 4> 와 같다 
〈표 4> 에서와 같이, 주의기능은 언어기능(r= .60, p< .0 1)과 시공간기능(r= .38, p< .05) 및 처 
리속도(r= .63, p< .01 ) 와 실행지능(r= .60, p<. 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기능은 주의기능(r= .60, p< .01) 과 시공간기능(r= .71, p< .01)과 기억기능 
(r= .48, p< .01) 및 처리속도(r= .78, p< .Ol)와 실행지능(r= .75, p< .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었다. 시공간기능은 주의기능(r= .38, p< .05) 과 언어기능(r= .71, p< .0 1)과 처리속도(r= .45, p< 
.05) 와 실행지능(r= .55, p< .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기 
능은 언어기능(r= .48, p< .01) 에만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속도는 주의기능(r= 
.63, p< .0 1)과 언어기능(r= .78, p< .0 1)과 시공간기능(r= .45, p< .05) 및 실행지능(r= .79,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은 주의기능(r= .60, p< .01)과 언어기 
능(r= .75, p< .01) 그리고 시공간기능(r= .55, p< .01) 및 처리속도(r= .79, p< .01)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억기능(r= .30)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표 4) 일반학생의 실행지늠 및 하위인지요인간 상관성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주의기능 1.00 
언어기능 .60** 1.00 
시공간 .38* .71** 1.00 
기억가능 0.12 짧** 0.26 1.00 
처리속도 .없** .78** .45* 0.16 1.00 
실행지능 .60** .75** 또** 0.30 .79** 1.00 
** p< .01, * p< .05 
2) 원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 
읽기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내에서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 
도)들의 상호간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는 〈표 5> 와 같다.
258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표 5> 에서, 주의기능은 언어기능(r= .55, p< .01)과 시공간기능(r= .88, p< .01) 및 기억기능 
(r= .69, p< .1)과 처리속도(r= .84, p< .01) 및 실행지능(r= .47, p< .01)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 기능은 주의기능(r= .55, p< .01)과 시공간기능(r= .47, p< .01) 
및 기억기능(r= .44, p< .05)과 처리속도(r= .64, p< .0 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시공간기 
능은 주의기능(r= .88, p< .01)와 언어기 능( r= .47, p< .01) 및 기억기능(r= .82, p< .0 1)과 처리속 
도(r= .89, p< .01)와 실행지능(r= .49, p< .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 
기 능은 주의기능(r= .69, p< .01) 과 언어기능( r= .44, p< .05)과 시공간기능(r= .82, p< .01) 및 처 
리속도(r= .79, p< .01)와 실행지능(r= .53,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처리속도는 주 
의기 능(r= .84, p< .01)과 언어기능(r= .64, p< .01) 및 시공간기능(r= .89, p< .01) 과 기억기능(r= 
.79, p< .0 1)과 실행지능(r= .49,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행지능은 주의기능(r= .47, p< .0 1)과 시공간기능(r= .49, p< .01) 및 기억기능(r= .53, p< .01) 
과 처리속도(r= .49, p< .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요인간 상관분석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주의기능 1.00 
언어기능 .또** 1.00 
시공간 88** .생* * 1.00 
기억기능 .69** .얘** .82** 1.00 
처리속도 .없** .64** .89** .79** 1.(깨 
실행지능 .엉** 0.25** .49** .딩** .49** 1.00 
** p< .01, * p< .05 
3. 5 개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티 Q) 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의 5 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어떤 영 
향을 주는 지를 각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각 집단별로 〈표 6> 과 〈표 7> 로 각각 나타 
났다. 
1) 일반학생 집단 
하위인지요인(시공간, 기억,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한 결과 회귀식은 (F=44.87, p< .0 1)로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9 
유의한 정적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변수간의 다중공선성 
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의 크기는 (R2 = .616) 로 실행지능지수(EIQ) 의 
61 .6%를 설명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독립변수들 가운데서는 처리속도만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변인은 설명력이 
적어 모델의 구성에서 제외되었다. 
〈표 6) 일반학생 집단의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 ( EIQ) 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유의 공선성 통계량 
모형 
B 표준오차 버|타 확률 공차한계 VIF 
(상수) 7.03 17.53 0.40 0.69 
처리속도 1.14 0.l7 0.79 6.70 0.00 1 
R제곱(,616) F (44.87**) 
** p< .01 
2)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 
하위인지요인(시공간, 기억, 처리속도) 이 실행지능지수(EIQ)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한 결과, 회귀식은 (F= 1l.02, p< 
.01)로 유의한 정적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변수간의 다 
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의 크기는 (R2=.2fj7)로 실행지능지수 
(EIQ ) 의 25.7%를 설명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독립변수들 가운데서 는 기억기능만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변인은 설명력 이 
적어 모델의 구성 에서 제외되었다. 
〈표 7)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의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티 Q) 에 미치는 영향 
모형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유확의률 공선성 통계량 
B 표준오차 버|타 공차한계 VIF 
(상수) 66.09 9.20 7.l9 0 
기억기능 0.33 0.l0 0.53 3.32 0.003 
R제곱(.257) F (1 1.02**) 
** p< .01
260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N. 결론 및 제언 
1 . 결 론 
본 연구는 최근 교육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신 
경심리적 실행기능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지능과 정신연령이 비슷 
한 수준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의 전체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점 
을 이해하고, 집단내 하위요인별 상관성 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차 
이 흡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를 통해 향후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진단 준거 논쟁의 해결점 
을 모색하고, 나아가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인지 
특성 에 적합한 교육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교수- 학습 수립 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 간 실행지능 접수를 비교한 결과는 일반학생의 경우 실행지능 
(104.24)로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85.48)보다 높았으며 두 집단의 하위인지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요인들은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p< .(01),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또한 일반학생의 경우에는 시공간 기능 
005.42)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102.36)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읽기 · 쓰기 학습 
장애학생의 경우는 주의가능002 .23) 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기능(85.20)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똘째,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 인지 요인간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는 일반학생 집단의 경 
우애 주의기능-기억기능 시공간기 능- 기억기능 처리속도-기억기능 실행지능- 기억기능을 제외 
한 모든 하위 인지 요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집단의 경우에도 실행지능-언어기능을 제외한 모든 하위 인지 요인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실행기능의 5 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 리속도) 중 어느 요인이 실행 
지능(EIQ ) 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지를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일반학생은 처리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은 기억기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 
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1 
첫째 , 후속연구에서는 실행기능의 하위 요인들 간에 높은 상관성을 밝히고, 또한 집단에 따라 
EIQ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의 원인이 무엇인지 를 규명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둘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이외에 현장에서 출현률이 매우 많은 수학학습장애를 가진 학 
생과 ADHD 장애의 실행기 능 특성을 밝히고 비교 · 분석하는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장애학생과 더불어 지체부자유 학생의 실행기능 특성을 밝히고 비교 • 분석하는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사리 (2003).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에 대한 행동억제훈련이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자경 (2001). 학습장애 판별 방법 및 절차에 관한 고찰: 학습장애 정의에 따른 관련 논문 분석 
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6(1), 101- 126. 
김진구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신경심리적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노문 
김홍곤 (2001).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__ (2001). 전두엽 증후군의 엄상 평가. 재활심리연구, 8(2), 173- 190.: 
(2005a).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2005b). 아동용 Rey-Kims 기억검사 : 해설서 .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__ (2α)6). wechsler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의 비교. 효택심리학회지, 25 (1), 
257- 27l. 
문수백, 변창진 (1997). Korean Ka때n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교육심리 측정 도구. 
서울: 학지사. 
박혜근 (1999). 자폐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화문 (2001).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변찬석, 이성환 (2006). 학습장애아의 인지적 특성에 대한 탐색과 의의, 특수교육저널, 7(4), 
493-515.
262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서석교, 김홍근 (2004). 정신분열병 환자의 전두엽-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23(2), 23- 43. 
서완석, 정성덕, 이종범, 김진성, 염형욱, 배대석, 박형배 (200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lphenidate 치료 후의 변화. 대한정신약물 학회지, 13(3), 
194- 204. 
성형모 (999). 자폐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노 」 
송문화 (2005). 집단게임놀이가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충동성, 자기 통제 
력에 미치 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은수 (2005). 3,4,5세 유아의 마음이 론 발달과 가장놀이 · 언어의 표상능력 · 실행기능 · 그리고 
중앙통합 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 (1), 65- 90. 
이나미 • 윤점룡 (990). 학습장애아 특성 분석과 진단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명주, 홍창희 (2아)()).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효댁심리학회지, 25(2), 587- 602. 
이정애 외 (2001). 정신과 환자 집단의 실행기능 연구. 신경정신의학, 4 1(2), 322- 334. 
이효신 (2003).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실행기능: 신경심리학적 접근. 특수교육학 연구, 37(4), 
143- 163. 
이효신,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정서 · 행동장애 연구, 
19(4), 243- 263. 
전헌선 외 12 인 (2003). 중복 • 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정대영 (2002). 학습장애의 개념 및 진단평가의 문제와 과제. 정서 · 학습장애연구, 18(1), 63-87. 
정대영 (2005). 행동과학과 특수교육 연구의 희망적 전망과 해결 과제. 정서 • 행동장애연구, 
21 (1), 1-24. 
정대영 (2α)()).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의 대안 탐색. 2005 춘계심포지움. 한국학습장애학회, 
20- 24. 
정혜영 (2때). 품행장애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결핍.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소희 (2002) 고기능 자폐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마음이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투L 
1.- l!.. • 
한현주 (2005).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my (2007). ADHD and Math Disabilities: Cognitive Similarities and Instructional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3 
1nterv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1), 29- 43. 
Barkley, R. A. 099이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arkley, R. A., Grodzinsky, G., & Dupaul, G. ]. (1992).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2), 163- 188. 
Barkley, R. A. (995). Taking c때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Barkley, R. A. (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ition: 
constructing a unj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 (1), 65- 94. 
Barkley, R. A. (998). Attention- dψcit/hyperactiuity disorder. New york Guklford Press. 
Benton & Tranel, Anderson. (994). Prefrontal injury and behavior in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ry, 145, 185- 190. 
Brown (2아)6).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rnplications 
of two conflicting views. 1ntemational joumal of 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Vol. 53, No. 1, 35- 46. 
Denckla, M. B. (996).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1n G. R. Lyon & N. A. 
Krasnegor(EdsJ , Attention, memOTγ, and executive function (pp. 263-278). Baltirnore: 
Brookes. 
Emick (2005). Association between Formal Operational Thought and Executive Function as 
Measured by the Tower of Hanoi-Revised. Learning and lndividl따1 Dijferences. 16, 
145- 167. 
Eric, Alysa & Doyle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y of Attention­DeficiνHyperactivity 
Disorder: A Meta- Analytic Review. Biol Psych따tη" 57, 
1잃6- 1싫6. 
Evans, ]. ]., Floyd, R. G., McGrew, K. S., & Leforgee, M. H. (2001). The relations between 
measures of Cattell-Hom- Carroll(CHC) cognitive abilities and reading achieve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Review, 31(2), 껑6-262. 
Geoffrey, Renate & Caine (2006). Meaningful Leaming and the Executive Functions of the 
Br머n. New Direction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No. 110, 53-63. 
Gr려larn, S. (997). Executive control in the revis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and writing 
difficul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223-234.
264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Hayes, ]. R. (996).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gnition and affect in writing. In 
C. M. 
Hodges, B. A. (994): Taking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Kellogg, R. T. (1996). A model of working memory in writing. In C. M. Levy & S. Ransdell 
(Eds,), The science of writing: Theories, methods, individl따1 di₩rences, and 
applications (pp. 57- 71). M때wah , NJ: Erlbaum. 
Kirk, S. A., Gallagher, ]. ]., & Anastasiow, N. ]. (2003).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JOth 
ed).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Levy & S. Ransdell (Eds,) , The science of writing: Theories, methods, individual 
differences, and applications (pp. 1- 27). Mahwah, NJ: Erlbaum.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Oxford: Oxford uiversity 
Press. 
Manganello, Robert (1995).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the Post-secondary Student 
Population. Research and Teaching in Developmental Education, v12 n1 15- 22. 
Mcevoy, B. Y. & Rogers, C, ]. & Pennington, B. F.(993). A context for hyperactivity. In 
K. Gradow & 1. Bialer(Eds,} Advances in leam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ol 4. 
273- 343. 
McGrew, K. S.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cock- Johnson Psychoeducational 
Battery- Revised Gf-Gc clusters and reading achievement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WJ-R Monograph, 39- 53. 
Mcgrew, K. S., & Flanagn, D. P. (1998). The intelligence test desk r양rence(ITDR): Gf-Gc 
cross-battery assessment. Boston: Allyn & Bacon. 
McGrew, K. S., Vanderwood, M., Flanagan, D., & Keith, T. (997). Stuck on g? Gf-Gc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reading achievement form grades 
1 through 12. Manuscript in preparation. 
Miller, B. D. (2α)()) . Utilizing Cattell-Hom- Carroll Cross-Battery Assessment to Predict 
Reading Achievement in Leaming 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Melzer & Lynn (2007). Executive Function in Education. Guilford Publications. New York, 
NY 10012. 
Mikael heiman (999). Deficits in boys with Asperger syndrome, attention disorder and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5 
reading/ writing disorder. Development and Education. vol 3(3). 213- 228. 
Ozonoff, S., Pennington, B., & Rogers, S. 0991a). Executive function in igh- functioning 
autistic chilren: Relationship to theory of mind. Jorm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2, 1081- 1106. 
Ozonoff, S., & Rogers, S., Pennington, B., (1991b). Asperger’ syndrome: of an empirical 
distinction from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2, 1107- 1122. 
Ozonoff, S., & McEvoy, R. E. (1994). A longitudin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ory 
of mind development in autism.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 415- 431. 
Ozonoff, S. (997). Causal mechanisms of autism: Unifying perspectives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 1n D.j. Cohen, & F. R. Volkmar (EdsJ Handbook 
o[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p. 868- 879).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Ozonoff, S., & Strayer, D. L. (997). 1nhibitory function in nonretarded children with autism, 
Joum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7, 59- 77. 
Ozonoff, S. (998).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executive dysfunction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1n E, Schopler, G. B. Mesibov, & L. J Kunce (Eds.) ,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pp. 263- 292). New york Plenum press. 
Pemer, J. Lang. (2α)()) .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al mind. Carnbridge, MA MIT 
Press. 
Ronald, Maggie & Keith (2004). Differential relationships between RAN performance, 
behaviour ratings, and executive function measures: Searching for a double 
dissociation.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17: 891-914. 
Sernrud- Clikeman. (2005). Neuropsychologica1 Aspects for Evaluating Learning Disabilities. 
] ournal of Leaming Disabilities, ‘'38, 6, 563-568. 
Spreen & Strauss (1998).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L. M. bloomingdale & J A. Sergeant (Eds.) , Attention d렌αit 
disorder: Criteria, cognition, intervention(pp. 65- 82). London: Pergarnon Press.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isser, D. B. (991). A normative developmenta1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 131-149.
266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Abstract 
Comparision of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Song, Chan-Won (Kyunghee special sch。이) 
Kim, Ha-Gyung (Kyunghee special school & Daegu University) 
Chang, Hee-Dae (Kyunghee special schooll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ming disabiltites and general students were 
compared on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III,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and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Test fo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s had EIQ signifcantly higher levels, but 
lower levels than the students with reading/ 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in PSI. The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had FDI higher levels, but lower levels than the 
others in VCI. 
Second1y, it showed significant1y different and related with most of factors of EIQ. 
Third1y, the general students was influenced by PSI, and the students with 
reading/ 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was affected by MQ. 
※ Key Words neuropsychology. executive function.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논문접수 : 2008. 4. 30 / 수정본 접수: 2008. 6. 5/ 게재승인 : 2008. 6. 10 
※ 교신저자 : Kim. Ha-Gyung(hakyung@hanmir.co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혜원 정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혜원 정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혜원 정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혜원 정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혜원 정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혜원 정
 

What's hot (8)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Viewers also liked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ESTIC56JonathanAlexis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Seung-taek Lim
 
2012 봉즐 ot
2012 봉즐 ot2012 봉즐 ot
2012 봉즐 ot문구 김
 
창의적발상
창의적발상창의적발상
창의적발상
진선 박
 
G star 방문기
G star 방문기G star 방문기
G star 방문기
minki43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bjavjxtj3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lunchNtouch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DaishinSecurities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Gitaek kwon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sfalzgyc2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krthrghgfh
 
Media literacy reflection
Media literacy reflectionMedia literacy reflection
Media literacy reflection다운 이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krthrghgfh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dewberry00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lycttidl2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DaishinSecurities
 
드림테스트
드림테스트드림테스트
드림테스트
Joshua Choi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DaishinSecurities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thtlwl4561
 

Viewers also liked (20)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Procedimiento para realizar mi revista digital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
토즈 홍대점 이미지 슬라이드
 
2012 봉즐 ot
2012 봉즐 ot2012 봉즐 ot
2012 봉즐 ot
 
창의적발상
창의적발상창의적발상
창의적발상
 
정지용
정지용정지용
정지용
 
G star 방문기
G star 방문기G star 방문기
G star 방문기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동탄오피/일산오피/청주오피/부천오피/장안오피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온라인 P2P투자 대출 플랫폼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
대신브라우저_모닝미팅_150317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킴스큐 워크샵 2013-1 초대장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분당건마 선릉건마 《목동오피》 인천건마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스포츠배팅 ox600 ˛ CΘM 스포츠배팅
 
Media literacy reflection
Media literacy reflectionMedia literacy reflection
Media literacy reflection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배팅사이트 ox600 ˛ CΘM 배팅사이트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지하철커뮤니티프로젝트10:30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동탄오피 청주오피 수원오피 일산오피걸 무료성인자료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305
 
드림테스트
드림테스트드림테스트
드림테스트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
헤드라인 종합 - 2013년 6월 28일 대신증권 리포트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정품비아그라구입 {VIA33ㆍKR} [정품비아그라구입]
 

Similar to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혜원 정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혜원 정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혜원 정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혜원 정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혜원 정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혜원 정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Similar to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20)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송찬원 2009 학습장애아와 adhd아동 및_일반아의_실행기능_특성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이경화 여종일 2012 영재아동 일반 사회적 기술 및 적응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김윤희 박성옥 2011 게임 실행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
인성검사실시요강(2014) (1)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송찬원김하경2008 일반 읽기쓰기장애 신경심리적 실행기능특성비교

  • 1.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권 2호 The Journal of $pecial Children Education 2008. Vol. 10, No. 2, 247-266 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섬려적 살행기능특성 벼교 송찬원 (경회학교) • 김하경 (경회학교, 대구대학교) • 장희대 (경회학교) 요 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가능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실행기능 점수를 비교해 보면 일반학생이 경우 실행지 능이 가장 높았으며 , 처리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읽기 · 쓰기 학 습장애학생의 경우 주의가능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기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하위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가 나타났다 하지만 주의기능과 시공간기능은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두 집단 간에 언어기능이 가장 많은 기능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들의 가장 심각한 학습 결함이 언어기능에 편중되어 있음을 시사해준다. 일반학생 집단에서의 요인별 상관 성은 주의기능 기억기능, 기억기능-시공간기능, 처리속도- 기억기능, 실행지능- 기억기능을 제외 한 모든 하위요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에서의 요인별 상관성은 실행지능- 언어기능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실행기능의 5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 중 어느 요인이 전체실행지능(EIQl 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지를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일 반학생은 처리속도가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은 기억기능이 가장 큰 영향 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했 핵심어 신경심리 , 실행기능, 읽기학습장애 I. 서 로 L 모든 학생들은 저마다의 신체적, 인지적 , 정서 • 행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찾 고 그에 부합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박화문, 2001; 전헌선 외, 2(03) .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 장애를 가진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 및 행동 특성의 차이를 어떻게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가? 특히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의 정의와 진단 기준을 어떻게 명확히 구분 지 을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은 지난 십 수 년 간 진행되어온 우리나라 특수교육계의 큰 쟁점이었
  • 2. 248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다(김자경, 2001; 이나미, 윤점룡, 1990; 이상훈, 1999; 정대영, 2002, 2005, 2006). 수년전 우리나 라에도 학습장애학회가 설립 (2004.7) 이 됨으로써 학문적 토대위에서 이 쟁점의 해결점 을 찾고자 학분적 탐색과 연구 활동(정대영, 2005, 2α)6)이 진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해결점은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의 논쟁의 배경을 살펴보면 첫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 및 일반학생은 모두 지능(IQ) 이 정상수준에 속하지만, 지각손상이나 뇌손상이나 메타인지의 결 함이 심하면 학습장애로 분류하고, 문화실조나 환경실조, 경제실조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으면 저성취 학습부진으로 진단이 되며 지능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정상범주에 속하 면 일반학생으로 분류된다. 둘째,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 저성취 학습부진아의 학습능력과 행동 특성 의 차이 는 명확히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논쟁 의 배경을 해결해 줄 대안이 아직까진 미흡하다. 무엇보다 국내에서의 지능검사의 경우가 KEDI-WISC m에 거의 의 존하가 있으며,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지 못한 지능검사와 진단검사가 개발되지 못한 것 이 또 다른 원인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지능검사 도구인 KEDI-WISC m는 지적 능력과 습득된 능력을 독립적으로 분리해 서 측정 하지 못하고 있고, 내용이 중복되어 측정되기 때문에 검사결과를 두 능력에 비추어 해석 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문수백 변창진 1997). 그리고 상위인지기 능의 각 요인별 점수를 모두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변찬석 · 이성환(2006)은 현재의 지능검사 접근 방식을 향후에는 신경심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좀 더 세분화하고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지각의 결함이 어디 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하게 규명하여 학습장애의 진단 준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김홍근(2005)은 KEDI-WISC m 지능검사의 약점과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위인지 기능을 신경심리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전두엽 -신경심리검사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 장하였다. 그는 학생의 지적인 능력과 목표행동 도달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영역이 바로 상위인 지기능이며, 구체적으로 전두엽-실행기능이라고 역설하였다(김홍근, 2001, 2oo5a). 이상에서 언급한 몇 가지 쟁점의 해결책을 위해서는 지능검사에 있어 신경심리적 진단 검사 의 병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현재의 KEDI-WISC m 지능검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 한 신경심리적 지능검사 의 병행은 지적능력이 연속선상에 있는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 학습부진아 및 일반학생의 상위인지요인의 특성 차이를 보다 명확히 제시할 수 있으며 . 인지요 인 특성에 따른 적절한 교육적 중재방법이나 효과적인 교수 • 학습자료 구안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신경심리학적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는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관리기능, 집행기능이라고도 함)이다. 이 실행기능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신경심리검사에 서 반드시 측정 (Welsh, 1991; Hodges, 1994; Lezak, 1995; Spreen & Strauss, 1998)되어야 할 항
  • 3.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49 목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된다. Ozonoff(1 998)는 실행기 능은 상위인지 개념으로서 계획하기, 작업 기억, 인지적 유연성, 반웅 억제, 조직적 탐색 동의 5가지 하위요소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한편, 실행기능은 여러 뇌부위 중 전전두엽 ( prefronta1)이 담당한다고 밝혀졌다(Benton & Tranel (994). 이 들은 실행기능은 상위인지기능으로서 단순한 과제보다는 복잡한 과제, 일상적 과제보 다는 창의적 과제, 자동적 과제보다는 통제를 요하는 과제에 중점적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결 국 실행기 능 결함은 구체적으로 전두엽병변 환자가 보여주는 인지장애라고 하였다. 이처럼 실행 기 능을 담당하는 전전두엽은 인간의 인지기능에서 매우 중요하다. Mcevoy 와 Rogers (1993)는 실 행기능 결함에 대한 연구는 실행기 능 장애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신경심리학적 영역을 밝혀내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 실행기 능이 손상되면 창의성이나 자발성, 사고, 계획 및 조직, 기억, 언어 , 주의집중, 시공간, 자기조절 능력의 결함을 초래하며 (Ozonoff, 1998; Kirk, Gallagher, & Ansatiow, 2(03), 반대 로 실행기 능이 발달하게 되면,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위하여 자신의 정신적 표상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게 되어, 목표행 동을 계획하고, 충동을 억제하며, 주 의 를 집중하는 작업기억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효과적이고 분별력 있는 사회적 행동이 가능하다(Pemer & Lang, 200ü)고 발표되었다. 이처 럼 최근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는 1990년 초반부터 지금까지 크게 Ozonoff0991, 1994, 1997, 1998) 와 Barkley( 1990, 1992, 1995, 1997, 1998)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최근의 여러 연구들 중 대부분은 ADHD와 자폐아의 ‘전두엽 -실행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었다. 최근 몇 년간은 학습장애 영역에서도 실행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점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Manganello, 1995; Mikael Heirnan, 1999; Brown, 2002; Westby, 2003; Rona1d & Maggie; Ronald, Maggie & Keith, 2004; Ernick, 2005; Eric, Alysa & Doyle, 2005; Geoffrey, Renate & Caine, 2α)6; Melzer & Lynn, 2α)6; Brown, 2006; Amy , 2(07). 최 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실행기능 관련 논문들이 학계에 발표되기 시작되었으며, 구체적인 연 구 분야를 살펴보면, 자폐아, 정신분열증, ADHD 각 집단과 비장애아 집단과의 실행기능을 비교 분석(박혜 근, 1999; 성형모 & 박형배, 2α)(); 정혜영, 2α)(); 김홍근, 2001; 서완석 동, 2002; 한소희, 2002; 이정애 등, 2002; 손양희 , 2003 ; 이효신, 2003; 김사리, 2003; 서석교 & 김홍근, 2004; 한현 주, 2005; 송문화, 2005; 신은수, 2005; 김홍근, 2005a, 2006; 이명주 · 홍창희, 2아)6)한 논문들로서 대부분 양적연구에 그쳤다. 이효신 · 손양희 (2003)는 ‘성인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 사’을 사용하여 ADHD집단과 비장애아집단간에 실행기능의 하위요소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김 홍근(2001 , 2004, 2005a, 2α)6)의 연구에서 ‘전두엽 -실행기능’에 관한 신경섬리학적 접근과 연구 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김홍근(2005a)은 현재의 펙슬러 지능검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고, 신경심리학적으로 학생의 학습능력과 밀접한 메타인지의 한 영역인 실행기능을 전문적으
  • 4. 250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로 측정하기위해서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 능 표준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 도 구를 통하여 메타인지인 실행기능의 하위요소들이 전문적인 측정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 능 검사’는 크게 ‘인출효율성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스 트룹 검사’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신경심리학적 측면에서 실행기능을 보다 세 부적으로 측정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김진구(2007) 는 김홍근(2005a) 이 개발한 ‘아동용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일반학생과 ADHD 학생의 실행기 능을 하위인지요인별 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최근 국내의 실행기능 연구 분야가 ADHD, 자폐아, 정신분열증환자 집단과 비장애아 집단과의 실행기능 비교 연구에 한정되고 있는 통향을 살펴볼 때, 실행기능 결함으로 지능과 학 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학습장애 분야에서 실행기능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학 습장애와 지적 능력과 학습능력 및 행동 특성이 비 슷한 저성취 학습부진아와 ADHD집단 및 일 반학생과의 실행기능 하위요인별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펼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최 근 일반학교 현장에는 지적능력과 학습능력에서 심한 결함을 갖고 있는 학습장애아에게 높은 출 현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장애와 일반학생은 서로 밀접하고 유사한 학습특성과 행동특 성이 있지만, 교육적 중재방법은 엄연히 차이가 있으며 학생의 인지 특성에 맞게 개별적으로 적 용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비슷한 정신연령대 및 지 능수준, 비슷한 행동과 학습 특성의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과 일반학생을 신경심리적 측면에서 비교한 연구는 전무하다. 무엇보다 전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중 출현률 80% 정도를 차지하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 생과 일반학생의 인지능력과 학습 능력들의 차이를 신경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들의 상위 인지기능인 실행기능을 하위요인별로 비교 및 분석해 보는 일은 매우 홍미로운 일이며 학문적으 로도 좀 더 명확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 두 집단의 실행기능 하위요소별 차이 를 규명해 보는 일은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의 진단 준거에도 도움을 줄 것이며, 각 하위인지요 인의 차이에 따른 적합한 교육적 중재방법의 개선과 효과적인 교수 • 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성 모색에도 도움올 줄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하위인지요인별 능력과 학업성취와의 상관성을 파 악하는 데에도 교육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된 ‘아동용 전두엽 -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김홍근, 2oo5a)’ 도구 및 KEDI-WISC m 지능검사와 ‘Rey Kim 기억검사’를 병행 사용함으로 써, 지능 수준과 정신연령 및 학습 특성이 비슷한 학습장애와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을 측정하여 신경심리학적 차원에서 상위인지기능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과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의 전체적인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내 하위요인들 상호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의 진단 준거에 대한 쟁점
  • 5.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1 의 해결점을 모색하고, 진단 준거를 보다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나아가 현재적으로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과 저성취부진아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중재 방법 모색과 아울러 효과적인 교수-학습 계획 수 립과 자료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문제 이에 본 연구는 지능과 정신연령 이 비슷한 수준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실 행기능의 전체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 점을 이해하고 집단내 하위요인별 상관성이 있는지를 살 펴봄으로써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지능검사 측정에 있어 신경심리 지능검사의 병행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진단 준거 논쟁의 해결점을 모색하고, 나아가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적절한 교육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에서 집단간 실행지능(EIQ) 과 하위인지요인들(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실행지능(EIQ) 및 하위인지 요인들(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 셋째, 원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에서 하위인지요인들(주의기 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3. 용어의 정의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1 )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본 연구에서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이라함은 KEDI-WISC m 지능 80이상이고, 기 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와 쓰기, 셈하기 중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해당학년 (- ) 1.5이상 표준 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며, 셋째, KlSE- 학습장애 선별척도 검사에서 총점 62이하(언어성
  • 6. 252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21 이하, 비언어성 42 점 이하)로 분류되 는 학생 들을 의미한다. 단, 이 들은 시각, 청각, 발달장애, 정서장애 등의 외적인 손상과 다른 장애요인이 없는 학생이다. 2) 실행기능 본 연구에서 실행기 능은 우리나라의 김홍근( 2001)이 제시한 4가지 하위인지기 능인 주의기 능 언어기 능, 시 공간기 능, 기억기 능을 지휘하고 통제하며 도와주며 관리하는 상위인지기능으로 정 의한다. 3) 하위인지요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에서의 하위인지요인은 주의 (FDI,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 언어 (VCI, verbal comprehension index), 시공간(POI,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 기 억 (MQ, memory quotient), 처리속도( PSI, processing speed) , 실행지능(EIQ, 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의 6개 하위인지요인으로 제한한다. II. 연구 방법 1 .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 및 경북의 일반초둥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들로서, 읽기 및 쓰 기 영역에서 학습장애 를 보이는 30명과 일반학생 30명으로서 총 60명이다. 1)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이 연구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일반초둥학교의 학 습장애를 가진 학생들 중에서 선정하였다.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해당학교에서 학습장애 를 가진 학생들로 판별된 4-6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 선정은 우선 1 차적으로 학교에 서 기 초 · 기본 학습부진아로 판별된 학생들 중 학부모와 담임교사의 동의와 추천을 받은 학생 50 명을 무선표집한 뒤, 이 들에게 3가지 검사(K- WISC m 지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 KISE- 학 습장애 선별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학생 30명을 최종 선발 하였다. 첫째, 지능이 80 이상이고, 둘째, 기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 • 쓰기 중 어느 한 영역에 해당학년 (-) 1.5이상 표준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며 , 셋째, KISE 학습장애 선별척도 검사
  • 7.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3 에서 학습장애로 분류되는 학생 들이다. 이들은 학습결함과 부진의 원인이 시각, 청각, 발달장애, 정서장애 동의 외 적인 손상과 다른 장애요인에 의한 것 이 아닌 학생들이다. 기초 학습기능검사 결과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해당학년 H 1.5이상 표준편차의 심한 학습부진을 보이는 30명을 읽 기 · 쓰기 학습장애로 분류 선정하였다. 2) 일반학생 이 연구의 일반학생 집단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일반초동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서 해당학교 4 -6년 담임교사들로부터 추천받은 50 명 학생 들 중, K-WISC III 지능검사 실시 결 과 지능지수가 80이상인 학생 들을 1차 선별한 뒤. 이들 중 국어 및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가 평 균이 상인 학생들을 학년과 남녀 비율을 고려하여 최종 30 명 선정하였다. 〈표 1) 연구 대상의 특성 집단 표집수 CA IQ 남 여 겨| M SD M SD 읽기 · 쓰기 14 16 30 1l.2 82 99.2 10.4 학습장애학생 일반학생 17 13 30 1l.4 .85 102.7 10.6 2.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를 살펴보면 첫째, 지능검사를 위해 K-WISC - ill를 사용하였고 둘째, 학생의 실행기능 전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 능 신경심리검 사’를 사용하였고, 기억검사를 위해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를 사용하였다. 1) K-WISC-III(한국 헥슬러 아동지능검사) K -WISC- III ( 곽금주 외, 2001)는 펙슬러 아통 지능검사(WISC; Wechsler, 1949 ) 의 세 번째 개 정판에 기초하여 제작되었다. K-WISC-III는 6 세 0개월에서 16세 11 7~ 월 사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개별지능검사이다. 이 검사는 크게 언어성 IQ와 동작성 IQ, 전체 IQ로 구분되며, 지능의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소검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10 7}지의 소검사와 3가지의 보충 소검사 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작성 소검사와 언어성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 8. 254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2)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아동용 Kims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oo5a) 는 2001 년 성인용 관리기능검사 인 ‘Kims 전두엽 -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아동용으로 개정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 시킨 검사도구로서 만 7세 - 1 5세까지의 아동들을 위한 실행기능(관리기능으로도 번역됨) 검사도 구이다. 이 검사는 크게 4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스트룹 검사는 실행기능의 하위기 능영역인 주의 능력을 측정하고, 단어유창성검사는 언어능력을 측정 하며, 도안유창성 검사는 시 공간능력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인출효율성검사는 기억능력을 측정 하게 된다.4 개 소검사들의 실시 순서는 인출효율성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도안유창성 검사 순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 이다. 그러나 소검사들의 실시 순서 는 상황에 따라 다른 순서로 실시해도 무방하다. 검사 실시 시간은 총 25-30분 정도 소요된다. 본 검사의 평정자간의 산출한 결과, 각 소 검사간에 상관이 .90 - .96의 범위로 나타나 매우 신뢰로운 결과라 할 수 있다. 3)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 ‘아동용 Rey- Kim 기억검 λ}'( 김홍근, 2oo5b) 는 김홍근( 1999) 이 발표한 바 있는 성인용 기억검 사를 아동에 적합하도록 개편한 한국형 표준화 검사이며 적용 연령은 7- 15세이다. 이 검사는 언 어기억검사인 K -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K -A VLT) 와 시각기억검사인 K-Complex Figure Test(K -CFT) 의 두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K- AVLT는 Andre Rey (l 964) 가 개발한 언 어기억 검사 AVLT를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표준화한 것이다.본 검사의 평정자간의 산출 한 결과, 각 두 소 검사간에 상관이 .93과 .97로 나타나 매우 신뢰로운 결과라 할 수 있다. 3. 연구 절차 1) 검사자 선정 및 훈련 본 연구의 검사자는 연구자들 외 1 명의 특수교육 분야 전문가이다. 연구자는 기록 검사자에게 각 검사의 실시 방법과 유의점들을 훈련하였다. 검사자는 학부과정 및 대 학원이상에서 특수교육 분야를 전공하고, 현장 특수교육 경력 3년 이상인 현직 특수교사이다. 2) 검사 내용 및 방법 1 차 K-WISC - ill지능검 A}, 2차 해당 영역 진단검사(기초학습 기능검사,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선별척도 검사)를 통해 최종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30 명, 일반학생 30명으로 선정된 학생들 에게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사용된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 능 신경심리검사(스트룹 검사, 단
  • 9.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5 어유창성 검사, 도안유창성 검사, 인출효율성 검사)’ 및 ‘ 아동용 Rey-Kim 기억검사(K- AVLT 검 사, K- CFT검사)’의 실 시 시간은 검사안내 시간을 포함하여 30분-45분 내외 로 제한하였다. III. 연구 결과 1 .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요인 비교 1 ) 두 집단의 실행지능 비교 두 집단의 실행지능을 비교한 결과는 아래 〈표 2> 와 같다. 집단 일반학생 실행지능 |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 p< .001 〈표 2) 두 집단의 실행지능 평균 비교 표준편차 8.26 7.38 t검증 평균차 8.00*** 13.67 〈표 2> 에서와 같이, 두 집단간의 실행지능은 유의한 차가 있었다(p < .(01). 이 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들의 실행지능(M=85.48) 이 일반학생들의 실행지능(M= 104.24) 에 비해 낮고 학습의 결손이 잠재적으로 많이 있어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2) 실행지능의 하위인지요인 비교 두 집단의 실행지 능 하위인지요인을 비교한 결과는 〈표 3> 과 같다. 〈표 3) 두 집단의 실행지능 하위인지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검증 평균차 일반학생 30 102.37 7.49 언어기 능 읽기·쓰기 14.18*** 20.17 학습장애학생 30 85.20 8.14 일반학생 30 103.70 7.99 주의기능 읽기·쓰기 1.17 1.47 학습장애학생 30 102.23 5.61
  • 10. 256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일반학생 30 105.42 9.16 시공간 읽기 · 쓰기 .13 .17 학습장애학생 30 101.60 8.71 일반학생 30 102.67 8.79 기억기능 읽기 · 쓰기 7.35*** 11.37 학습장애학생 30 91.30 6.99 일반학생 30 102.36 9.71 처리속도 읽기·쓰기 5.32*** 9.50 학습장애학생 30 93.없 7.93 〈표 3> 에서와 같이, 일반학생 집단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들이 실행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면, 시공간기능005.42) , 주의기능003.70) , 기억기능002.67) , 언 어 기능(102.37) , 처리속도 (102.36) 순서로 나타났다 시공간기능005.42) 이 가장 높았으며, 처리속도002.36)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의 경우에 는 주의기능002.23) , 시공간기능001.60) , 처리속도(93.83) , 기억기능(91.3) , 언어기능(85.20) 순서로 나타났다. 주의기능(102.23) 이 가장 높 았으며, 언어기능(85.20)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집단의 경우 언어 기능이 수준이 다른 여러 하위기능들보다는 가장 낮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언어기 능이 수준이 매우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언어성 장애인 읽기 · 쓰기 학습장애를 동반하는 것임을 알수 있다. 하위인지요인별 두 집단 간에 는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에서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p< .001). 그러나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하위 인지요인별 가장 많은 유의한 차가 나타난 순서를 살펴보면 언어 기능(14.18*** ), 기억기능 (7.35***), 처리속도(5.32***) 순이 었다 이 는 두 집단 간에 언어 기능이 가장 많은 기능 차이 를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들의 가장 학습 결함인 언어기능이 가장 낮은 것에 기인됨을 시사해준다. 그리고 처리속도((5.32*** )가 가장 적은 기능 차이 를 보여주었 다. 이는 일반학생과 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처리속도 기능은 유의 미한 차이 가 있지만 다른 요인들에 비해 그 차이 가 비교적 낮음을 시사해준다. 반면, 두 집단 간에 주의기능과 시공간 기 능은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는데, 이는 두 집단 간에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은 거의 차이 가 나지 않음을 알수 있다. 2.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 요인간 상관성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 요인간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기 위 해 실행지능과 하위인지요 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간 상관분석을 일반학생 집단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 11.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7 집단별로 각각 실시하였다. 1 ) 일반학생 집단 일반학생 집단내에서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들의 상호간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는 〈표 4> 와 같다 〈표 4> 에서와 같이, 주의기능은 언어기능(r= .60, p< .0 1)과 시공간기능(r= .38, p< .05) 및 처 리속도(r= .63, p< .01 ) 와 실행지능(r= .60, p<. 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기능은 주의기능(r= .60, p< .01) 과 시공간기능(r= .71, p< .01)과 기억기능 (r= .48, p< .01) 및 처리속도(r= .78, p< .Ol)와 실행지능(r= .75, p< .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었다. 시공간기능은 주의기능(r= .38, p< .05) 과 언어기능(r= .71, p< .0 1)과 처리속도(r= .45, p< .05) 와 실행지능(r= .55, p< .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기 능은 언어기능(r= .48, p< .01) 에만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속도는 주의기능(r= .63, p< .0 1)과 언어기능(r= .78, p< .0 1)과 시공간기능(r= .45, p< .05) 및 실행지능(r= .79,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기능은 주의기능(r= .60, p< .01)과 언어기 능(r= .75, p< .01) 그리고 시공간기능(r= .55, p< .01) 및 처리속도(r= .79, p< .01)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억기능(r= .30)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표 4) 일반학생의 실행지늠 및 하위인지요인간 상관성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주의기능 1.00 언어기능 .60** 1.00 시공간 .38* .71** 1.00 기억가능 0.12 짧** 0.26 1.00 처리속도 .없** .78** .45* 0.16 1.00 실행지능 .60** .75** 또** 0.30 .79** 1.00 ** p< .01, * p< .05 2) 원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 읽기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내에서의 5가지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 도)들의 상호간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는 〈표 5> 와 같다.
  • 12. 258 특수아동교육연구 저110 권 2호 〈표 5> 에서, 주의기능은 언어기능(r= .55, p< .01)과 시공간기능(r= .88, p< .01) 및 기억기능 (r= .69, p< .1)과 처리속도(r= .84, p< .01) 및 실행지능(r= .47, p< .01)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 기능은 주의기능(r= .55, p< .01)과 시공간기능(r= .47, p< .01) 및 기억기능(r= .44, p< .05)과 처리속도(r= .64, p< .0 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시공간기 능은 주의기능(r= .88, p< .01)와 언어기 능( r= .47, p< .01) 및 기억기능(r= .82, p< .0 1)과 처리속 도(r= .89, p< .01)와 실행지능(r= .49, p< .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 기 능은 주의기능(r= .69, p< .01) 과 언어기능( r= .44, p< .05)과 시공간기능(r= .82, p< .01) 및 처 리속도(r= .79, p< .01)와 실행지능(r= .53,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처리속도는 주 의기 능(r= .84, p< .01)과 언어기능(r= .64, p< .01) 및 시공간기능(r= .89, p< .01) 과 기억기능(r= .79, p< .0 1)과 실행지능(r= .49, p <.0 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행지능은 주의기능(r= .47, p< .0 1)과 시공간기능(r= .49, p< .01) 및 기억기능(r= .53, p< .01) 과 처리속도(r= .49, p< .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실행지능 및 하위인지요인간 상관분석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주의기능 1.00 언어기능 .또** 1.00 시공간 88** .생* * 1.00 기억기능 .69** .얘** .82** 1.00 처리속도 .없** .64** .89** .79** 1.(깨 실행지능 .엉** 0.25** .49** .딩** .49** 1.00 ** p< .01, * p< .05 3. 5 개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티 Q) 에 미치는 영향 실행기능의 5 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어떤 영 향을 주는 지를 각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각 집단별로 〈표 6> 과 〈표 7> 로 각각 나타 났다. 1) 일반학생 집단 하위인지요인(시공간, 기억, 처리속도)이 실행지능(EIQ)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 적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한 결과 회귀식은 (F=44.87, p< .0 1)로
  • 13.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59 유의한 정적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변수간의 다중공선성 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의 크기는 (R2 = .616) 로 실행지능지수(EIQ) 의 61 .6%를 설명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독립변수들 가운데서는 처리속도만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변인은 설명력이 적어 모델의 구성에서 제외되었다. 〈표 6) 일반학생 집단의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 ( EIQ) 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유의 공선성 통계량 모형 B 표준오차 버|타 확률 공차한계 VIF (상수) 7.03 17.53 0.40 0.69 처리속도 1.14 0.l7 0.79 6.70 0.00 1 R제곱(,616) F (44.87**) ** p< .01 2)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 하위인지요인(시공간, 기억, 처리속도) 이 실행지능지수(EIQ)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한 결과, 회귀식은 (F= 1l.02, p< .01)로 유의한 정적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변수간의 다 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의 결정계수의 크기는 (R2=.2fj7)로 실행지능지수 (EIQ ) 의 25.7%를 설명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독립변수들 가운데서 는 기억기능만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변인은 설명력 이 적어 모델의 구성 에서 제외되었다. 〈표 7)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집단의 하위인지요인이 실행지능(티 Q) 에 미치는 영향 모형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유확의률 공선성 통계량 B 표준오차 버|타 공차한계 VIF (상수) 66.09 9.20 7.l9 0 기억기능 0.33 0.l0 0.53 3.32 0.003 R제곱(.257) F (1 1.02**) ** p< .01
  • 14. 260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N. 결론 및 제언 1 . 결 론 본 연구는 최근 교육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신 경심리적 실행기능의 특성 차이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지능과 정신연령이 비슷 한 수준의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실행기능의 전체 특성과 하위요인별 차이점 을 이해하고, 집단내 하위요인별 상관성 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차 이 흡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를 통해 향후 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진단 준거 논쟁의 해결점 을 모색하고, 나아가 일반학교 현장에서 가장 출현률이 높은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인지 특성 에 적합한 교육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적인 교수- 학습 수립 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 간 실행지능 접수를 비교한 결과는 일반학생의 경우 실행지능 (104.24)로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85.48)보다 높았으며 두 집단의 하위인지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언어기능, 기억기능, 처리속도, 실행지능 요인들은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p< .(01), 주의 기능과 시공간기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또한 일반학생의 경우에는 시공간 기능 005.42)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102.36)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읽기 · 쓰기 학습 장애학생의 경우는 주의가능002 .23) 이 가장 높았으며, 언어기능(85.20)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똘째, 두 집단의 실행지능 및 하위 인지 요인간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는 일반학생 집단의 경 우애 주의기능-기억기능 시공간기 능- 기억기능 처리속도-기억기능 실행지능- 기억기능을 제외 한 모든 하위 인지 요인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읽기 · 쓰기 학습장애 학생 집단의 경우에도 실행지능-언어기능을 제외한 모든 하위 인지 요인간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실행기능의 5 개 하위인지요인(주의, 언어, 시공간, 기억, 처 리속도) 중 어느 요인이 실행 지능(EIQ ) 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지를 집단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일반학생은 처리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은 기억기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 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 15.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1 첫째 , 후속연구에서는 실행기능의 하위 요인들 간에 높은 상관성을 밝히고, 또한 집단에 따라 EIQ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의 원인이 무엇인지 를 규명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둘째,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 이외에 현장에서 출현률이 매우 많은 수학학습장애를 가진 학 생과 ADHD 장애의 실행기 능 특성을 밝히고 비교 · 분석하는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장애학생과 더불어 지체부자유 학생의 실행기능 특성을 밝히고 비교 • 분석하는 연 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사리 (2003).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에 대한 행동억제훈련이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자경 (2001). 학습장애 판별 방법 및 절차에 관한 고찰: 학습장애 정의에 따른 관련 논문 분석 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6(1), 101- 126. 김진구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신경심리적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노문 김홍곤 (2001).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__ (2001). 전두엽 증후군의 엄상 평가. 재활심리연구, 8(2), 173- 190.: (2005a).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2005b). 아동용 Rey-Kims 기억검사 : 해설서 . 대구 : 도서출판 신경심리. __ (2α)6). wechsler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의 비교. 효택심리학회지, 25 (1), 257- 27l. 문수백, 변창진 (1997). Korean Ka때n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교육심리 측정 도구. 서울: 학지사. 박혜근 (1999). 자폐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화문 (2001).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변찬석, 이성환 (2006). 학습장애아의 인지적 특성에 대한 탐색과 의의, 특수교육저널, 7(4), 493-515.
  • 16. 262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서석교, 김홍근 (2004). 정신분열병 환자의 전두엽-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23(2), 23- 43. 서완석, 정성덕, 이종범, 김진성, 염형욱, 배대석, 박형배 (200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실행기능의 특성과 Methylphenidate 치료 후의 변화. 대한정신약물 학회지, 13(3), 194- 204. 성형모 (999). 자폐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관한 신경심리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노 」 송문화 (2005). 집단게임놀이가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충동성, 자기 통제 력에 미치 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은수 (2005). 3,4,5세 유아의 마음이 론 발달과 가장놀이 · 언어의 표상능력 · 실행기능 · 그리고 중앙통합 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 (1), 65- 90. 이나미 • 윤점룡 (990). 학습장애아 특성 분석과 진단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명주, 홍창희 (2아)()).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효댁심리학회지, 25(2), 587- 602. 이정애 외 (2001). 정신과 환자 집단의 실행기능 연구. 신경정신의학, 4 1(2), 322- 334. 이효신 (2003). 자폐스펙트럼 장애와 실행기능: 신경심리학적 접근. 특수교육학 연구, 37(4), 143- 163. 이효신, 손양희 (2003).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분석. 정서 · 행동장애 연구, 19(4), 243- 263. 전헌선 외 12 인 (2003). 중복 • 지체부자유아 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정대영 (2002). 학습장애의 개념 및 진단평가의 문제와 과제. 정서 · 학습장애연구, 18(1), 63-87. 정대영 (2005). 행동과학과 특수교육 연구의 희망적 전망과 해결 과제. 정서 • 행동장애연구, 21 (1), 1-24. 정대영 (2α)()). 학습장애의 개념과 분류의 대안 탐색. 2005 춘계심포지움. 한국학습장애학회, 20- 24. 정혜영 (2때). 품행장애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결핍.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소희 (2002) 고기능 자폐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마음이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투L 1.- l!.. • 한현주 (2005).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my (2007). ADHD and Math Disabilities: Cognitive Similarities and Instructional
  • 17.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3 1nterv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1), 29- 43. Barkley, R. A. 099이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arkley, R. A., Grodzinsky, G., & Dupaul, G. ]. (1992).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2), 163- 188. Barkley, R. A. (995). Taking c때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Barkley, R. A. (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ition: constructing a unj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 (1), 65- 94. Barkley, R. A. (998). Attention- dψcit/hyperactiuity disorder. New york Guklford Press. Benton & Tranel, Anderson. (994). Prefrontal injury and behavior in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ry, 145, 185- 190. Brown (2아)6).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rnplications of two conflicting views. 1ntemational joumal of 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Vol. 53, No. 1, 35- 46. Denckla, M. B. (996). A theory and model of executive function. 1n G. R. Lyon & N. A. Krasnegor(EdsJ , Attention, memOTγ, and executive function (pp. 263-278). Baltirnore: Brookes. Emick (2005). Association between Formal Operational Thought and Executive Function as Measured by the Tower of Hanoi-Revised. Learning and lndividl따1 Dijferences. 16, 145- 167. Eric, Alysa & Doyle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y of Attention­DeficiνHyperactivity Disorder: A Meta- Analytic Review. Biol Psych따tη" 57, 1잃6- 1싫6. Evans, ]. ]., Floyd, R. G., McGrew, K. S., & Leforgee, M. H. (2001). The relations between measures of Cattell-Hom- Carroll(CHC) cognitive abilities and reading achievement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Review, 31(2), 껑6-262. Geoffrey, Renate & Caine (2006). Meaningful Leaming and the Executive Functions of the Br머n. New Direction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No. 110, 53-63. Gr려larn, S. (997). Executive control in the revis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and writing difficul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 223-234.
  • 18. 264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Hayes, ]. R. (996).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gnition and affect in writing. In C. M. Hodges, B. A. (994): Taking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ress. Kellogg, R. T. (1996). A model of working memory in writing. In C. M. Levy & S. Ransdell (Eds,), The science of writing: Theories, methods, individl따1 di₩rences, and applications (pp. 57- 71). M때wah , NJ: Erlbaum. Kirk, S. A., Gallagher, ]. ]., & Anastasiow, N. ]. (2003).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JOth ed).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Levy & S. Ransdell (Eds,) , The science of writing: Theories, methods, individual differences, and applications (pp. 1- 27). Mahwah, NJ: Erlbaum.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Oxford: Oxford uiversity Press. Manganello, Robert (1995).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the Post-secondary Student Population. Research and Teaching in Developmental Education, v12 n1 15- 22. Mcevoy, B. Y. & Rogers, C, ]. & Pennington, B. F.(993). A context for hyperactivity. In K. Gradow & 1. Bialer(Eds,} Advances in leam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Vol 4. 273- 343. McGrew, K. S.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odcock- Johnson Psychoeducational Battery- Revised Gf-Gc clusters and reading achievement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WJ-R Monograph, 39- 53. Mcgrew, K. S., & Flanagn, D. P. (1998). The intelligence test desk r양rence(ITDR): Gf-Gc cross-battery assessment. Boston: Allyn & Bacon. McGrew, K. S., Vanderwood, M., Flanagan, D., & Keith, T. (997). Stuck on g? Gf-Gc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reading achievement form grades 1 through 12. Manuscript in preparation. Miller, B. D. (2α)()) . Utilizing Cattell-Hom- Carroll Cross-Battery Assessment to Predict Reading Achievement in Leaming 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Melzer & Lynn (2007). Executive Function in Education. Guilford Publications. New York, NY 10012. Mikael heiman (999). Deficits in boys with Asperger syndrome, attention disorder and
  • 19. 일반학생과 읽기 •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265 reading/ writing disorder. Development and Education. vol 3(3). 213- 228. Ozonoff, S., Pennington, B., & Rogers, S. 0991a). Executive function in igh- functioning autistic chilren: Relationship to theory of mind. Jorm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2, 1081- 1106. Ozonoff, S., & Rogers, S., Pennington, B., (1991b). Asperger’ syndrome: of an empirical distinction from high- functioning autism.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32, 1107- 1122. Ozonoff, S., & McEvoy, R. E. (1994). A longitudinal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nd Theory of mind development in autism.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 415- 431. Ozonoff, S. (997). Causal mechanisms of autism: Unifying perspectives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 1n D.j. Cohen, & F. R. Volkmar (EdsJ Handbook o[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p. 868- 879).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Ozonoff, S., & Strayer, D. L. (997). 1nhibitory function in nonretarded children with autism, Joum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7, 59- 77. Ozonoff, S. (998).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executive dysfunction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1n E, Schopler, G. B. Mesibov, & L. J Kunce (Eds.) ,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pp. 263- 292). New york Plenum press. Pemer, J. Lang. (2α)()) .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al mind. Carnbridge, MA MIT Press. Ronald, Maggie & Keith (2004). Differential relationships between RAN performance, behaviour ratings, and executive function measures: Searching for a double dissociation.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17: 891-914. Sernrud- Clikeman. (2005). Neuropsychologica1 Aspects for Evaluating Learning Disabilities. ] ournal of Leaming Disabilities, ‘'38, 6, 563-568. Spreen & Strauss (1998).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L. M. bloomingdale & J A. Sergeant (Eds.) , Attention d렌αit disorder: Criteria, cognition, intervention(pp. 65- 82). London: Pergarnon Press. Welsh, M. c., Pennington, B. F., & Groisser, D. B. (991). A normative developmenta1 study of executive function: A Window on prefrontal function childre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7, 131-149.
  • 20. 266 특수아동교육연구 제 10 권 2호 Abstract Comparision of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Song, Chan-Won (Kyunghee special sch。이) Kim, Ha-Gyung (Kyunghee special school & Daegu University) Chang, Hee-Dae (Kyunghee special schooll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ming disabiltites and general students were compared on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III,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and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Test fo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s had EIQ signifcantly higher levels, but lower levels than the students with reading/ 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in PSI. The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had FDI higher levels, but lower levels than the others in VCI. Second1y, it showed significant1y different and related with most of factors of EIQ. Third1y, the general students was influenced by PSI, and the students with reading/ 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was affected by MQ. ※ Key Words neuropsychology. executive function. the students with reading/writing learning disabiltites 논문접수 : 2008. 4. 30 / 수정본 접수: 2008. 6. 5/ 게재승인 : 2008. 6. 10 ※ 교신저자 : Kim. Ha-Gyung(hakyung@hanmi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