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69 -
1)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영*
박부진**
서 론I.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는 인간을 일컬어 이라(Aristoteles) 'zoon politikon'
하였는데 이는 인간이 사회공동체의 형성자이며 더불어 사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사회적
존재라는 것이다 인간이 사회적이 된다는 것은 그 사회를 함께 이루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태어나 처음으로 부모와 관계를.
*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박사수료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교수**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
저학년 아동 중에서 사회성 점수가 낮은 아동 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명 통제집단12 6 , 6
명으로 무선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주2012 11 8 2012 12 27 1
회 매 회기 분씩 주 동안 총 회기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 50 8 , 8 .
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
으며 사전 사후 사회성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비모수검정의 부호 순위 검증을, - Wilcoxon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 ,
시 후 참여 아동의 사회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책임감. ,
협동성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행동 관찰에서 프로그램의 초반에, .
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후반에는 타인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적절
히 표현하거나 의사소통하는 등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0 -
맺으며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점차 성장하면서 그 관계의 범위를 확대시켜 그 사회의 구성원
으로 적응해간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아동이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하며 사회성을 발달시키.
는데 방해되는 요인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의 핵가족화와 적은 수의 자녀 한 부모 가정 맞. , ,
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가족구조 변화는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교류를 감소시켜 아
동의 사회성 발달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성공 위주의 양육방식은 아동.
을 경쟁으로 내몰아 타인을 소통과 배려의 상대가 아닌 경쟁자로 인식하게 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타인과 어울리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시청 컴퓨터 스마트폰의 사용 등은 아동이 타인과 어울리는 시간을 빼앗고 타인과의TV , ,
교류를 단절시키고 있다 그 결과 아동은 타인을 배려하기 보다는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자.
기중심적 사고를 하여 왕따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사회적 기술이 미숙하여 고,
립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소아우울증과 불안 등 이차적인 심리문제를 야기 시키
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아동의 미숙한 사회성 발달은 아동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개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 가족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사회적 접촉의 범위를 학교 또래집단으,
로 확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에릭슨 의 심리사회적 발. (E. Erikson)
달이론에 따르면 세 아동은 근면성 대 열등감의 시기로 이 시기에 아동은 중요한 사6~12
회적 학업적 기술을 숙달해야만 하는데 만약 이러한 기술들의 습득에 실패하게 되면 열등감·
을 가져오게 된다 자아중심적이던 유아는 세에 접어들며 타인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 8~10
게 된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같은 정보를 받았을 때에도 자신과 타인의 관점이 갈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시작한다 또한 그들은 타인의 입장을 바꾸어 볼 수 있고 그래서 자신들. ,
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예측하기 시작하므로 사회성 발달(David R. Shaffer, 2005)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에 놓이게 된다.
특히 학령기 아동은 타인과의 관계 중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데 아동이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장차 성장하는데 중요
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약 아동이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 아동은 또래 친.
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아동이 되고 그로 인해 보다 건강하고 활발하며 주도적이고 안정
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애정이 있으며 사려 깊고 수용적인 특성을 보인다 반면에 또. .
래 친구들 사이에서 배척당하거나 무시당하고 거부당하는 등 부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아동인 경우 점차 또래 집단에서 소외당하게 되면서 자신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불안
감이 높아지면서 우울증 사회적 불안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차후에 사, ,
회적 문제로 변모할 가능성을 갖게 된다 심희옥 이처럼 인간이 잘 성장하기 위해서( , 2000).
는 아동기에 긍정적인 사회성을 확립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아동의 성장에 있어서 사회성의 확립이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아
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 접근법 중의 하나
로 음악치료가 있다 음악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이 중 하나로 의사소통의 기능과 사회.
통합에의 기여가 있다 음악은 오랫동안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여겨져 왔으며 사람들이 자.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1 -
신을 표현할 수 있는 상징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Berlyne, 1971; Kreitler & Kreitler,
음악은 평범한 대화를 통해서는 쉽게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나 생각들을 표현하는1972).
매체이기 때문에 감정의 전달자로서 사회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Radocy & Boyle, 1979) ,
한다 또한 음악은 사회적 결속 협동 그리고 조화를 위한 단결된(William B. Davis, 1999). , ,
관점을 만든다 음악 활동은 집단 형태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하(Merriam, 1964). ,
게 구조화된 음악적 사건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게 하는 경험을 제공한다(Sears,
도 개인을 집단으로 통합시키는 음악의 기능을 통하여 음악이 사람1968). Merriam(1964)
에게 만족과 즐거움을 주며 내부적 외부적 동기제의 역할을 하고 에너지를 고양시킴으로, ,
써 치료적 원리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김선하 재인용 특히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연( , 2008 ).
주는 음악을 완성하기 위해 타인과 협력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수용하고 자신을 집단 안에
통합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악을 완.
성해가는 집단음악치료는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집단음악치료는
오락과 여흥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 아동들이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Merriam, 1964)
다른 아동들과 쉽게 어울릴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뿐 아니라 같은 박자와 음악 속에서 소
속감과 동질감을 조성하여 아동들의 사회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고 사회성이 부족한 초등학교 아동에게 집
단음악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
연구문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 2]
는가?
이론적 배경.Ⅱ
아동의 사회성1.
사회성이란 인격 또는 성격을 나타내는 한 특성으로서 일반적으로 개체의 사회적응성 대,
인관계의 원만성 정도를 가리킨다 한국교육심리학회 사회성은 한 개인이 태어나 그( , 2009).
사회의 문화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활양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사회공통의 행동특성인 가
치 신념 지식 등을 배워나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성의 발달은 타인과의 상호작, , .
용 속에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를 조절해 나가면서 자아를 형, ,
성하고 타인과 협력할 수 있는 인간관계능력을 학습하고 배양하는 것이다 강경미 외( ,
는 사회성을 첫째 다른 사람과 관계를 주도하고 긍정적 관계를 주도2006). Walker(1988) ,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2 -
하는 것 지시에 따르고 적절한 방법으로 필요한 것을 요구하는 것이며 둘째 또래에 수용, ,
되고 학급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기본적 상호작용 기술 대화기술 친구를 사, , ,
귀는 기술 등이라 하였고 셋째 사회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하는 것으로 보았,
다 김선하 즉 사회성이란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에 적응하( , 2008). ,
며 살아가기 위한 기술을 배워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꾸준히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성을 발달시
킨다 생애 초반 부모와 가족에 집중되어 있던 사회적 접촉은 아동이 학령기에 이르러 그.
폭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학령기는 발달 단계상 부모에 대한 의존성에서 탈피하.
여 정신적으로 독립하려는 욕구가 강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자기표현을 통한 인간관계의 훈
련은 조화로운 인간관계의 형성과 정신건강의 유지 궁극적으로 자기 성장을 위한 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강희숙 특히 이 시기의 아동에게 있어서( , 2001).
또래관계는 매우 중요한데 아동들은 또래관계에서 타인의 사고와 태도 및 행동 등을 이해하
는 능력을 형성하게 되고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이 자신과 다른 존재임을 알게 된다
이향란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 1996).
통해 다양한 역할을 갖게 되며 서로 강화와 모방을 통해 배운다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갈등을 통해 아동은 상호간에 협상하고 타협하는 기술을 배우므로 사회적 상호작용
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을 획득하게 된다 최석란 이 과정을 통해 아( , 2002).
동은 타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자신을 새롭게 지각하
기 시작하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아동의 성격과 자존감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성을 잘 발달시킨 아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성장하면서 원만한 대인관계
를 맺고 사회활동에 더욱 잘 적응해 나간다 이러한 아동은 타인과의 집단 활동을 즐기며.
집단내의 규칙이나 규정 등을 잘 지키고 친구를 쉽게 사귀며 동정적이고 협동적이다 뿐만, .
아니라 적절한 방법으로 자기를 표현할 수 있고 자신감이 있으며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면서
주어진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김수경 반면에 사회성을 잘 발달시키지( , 2012).
못한 아동은 타인과 어울리는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사회 안에서 고립되고 외로운 정서를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성이 낮은 아동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거.
나 억제하여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교우관계 발달에 실패하게.
되고 그 문제가 교우관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경험의 실패로 이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성인기로 성장하면서 사회적 마찰을 빚게 되어 범죄적 행동으로 나타나거나 고
립되고 무능력한 사회인으로 전락하기 쉽다 위영란 또한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은( , 2003).
대체로 충동적인 경향이 있으며 인간관계에 잘 대처하지 못해 심각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
례가 많다 조한숙 결과적으로 부적절한 대인관계는 갈등과 정서적 긴장을 일으켜( , 2000).
아동의 정서적 성장을 더디게 하여 김미성 아동의 전생애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 2001)
미치게 된다.
집단음악치료2.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3 -
음악치료란 내담자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음악적 경험과 관계들을 통해 역동적인 변
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치료과정이다(Bruscia, 1989).
음악치료에서 치료의 주요한 매체로 사용되는 음악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은 이러한 음악의 기능 이 곧 치료적 상황에서 음악을 사용하는Merriam(1964) ‘ (functions)’
이유 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음악은 감정표현 미적 즐거움 오락 의사소통 상징‘ (reasons)' . , , , ,
적 표현 신체적 반응 사회적 규범 사회기관과 종교의식의 확인 사회와 문화의 연속성에, , , ,
기여 사회의 통합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문명, (Rudolf E. Radocy & David Boyle, 1997),
과 문화를 뛰어넘어 전 세계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음(Merriam, 1964).
악의 기능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게 도우며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내담,
자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음악은 리듬의 원시적 생리적인 수준에서 의사소. , ,
통을 가능하게 하고 언어로써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공감적이고 심리적인 교류로서 발전
시키는데 힘을 지니고 있어 심리치료에 적합한 매체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Hudson, 1973) .
치료에서 악기를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 관계를 촉진시키며 감각기관의 형태운동을 유도하
고 감정적 사회적 수단을 통해서 서로 공감을 느끼도록 이끌어 집단을 공동행위로 연합시, ·
키고 음악 외적 행동상의 변화에 이르게 한다 뿐만 아니라 구조화된 음악(Gaston, 1968).
소리는 목적적인 행위를 유발하고 인간을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분열에서 통합으로 경험에, ,
대한 무자각에서 자각으로 이끎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 유기체에 도달하게 하는 역할도 가
지고 있다(Boxill, 1984).
이러한 음악의 기능에 집중하여 국내의 많은 연구들 김선하 박지수 안지( , 2008; , 2008;
숙 최애나 이선화 한영미 이 음악치료가 아동의 사회성 향상, 2008; , 2007; , 2010; , 2010)
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는 주로 집단으로 진행되는.
데 은 그가 분류한 음악과 사람과의 관계 에서 음악의 힘은 집단에서 극대화Gaston(1968) ‘ ’
된다고 하였다 음악은 사람을 참여하게 하고 동기를 유발하며 유대감을 갖도록 한다 이렇. , .
게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음악적 경험은 역동력을 가지고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도
록 유도한다 최병철 아동은 집단 내에서 음악활동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 , 1999).
게 됨과 더불어 타인을 수용하는 기회도 가지게 된다 음악적 표현을 통해 인간은 타인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참된 자아 및 자신의 잠재력과 만날 수 있다 음악은 참여를 증진하고, .
동기를 유발하며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적 인정과 보상을 동시에 받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는 아동들이 직접 연주하는 악기활동을 통한 직접(Sears, 1968). Bailey(1983)
적인 경험은 집단에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집단 안에서 타인을
인식하여 사회적응행동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최병철 은 음악적 자극은 실. (1999)
패로 인한 좌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상호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고 활동으로 참여를 격려하여 타인과의 교류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
다 또한 그는 음악이 주는 긍정적인 정서와 리듬의 계속적인 진행은 지시를 쉽게 받아들이.
게 하여 사회적 인지와 사회적 행동이 집단 속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4 -
인간은 음악활동 속에서 사회 작용을 경험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집단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성 증진을 목표로 진행되는 집단음악치료의 기법으로는 악기연주 즉흥연주 음악극, ,
등이 있다 악기연주는 기존에 작곡된 음악을 연주하는 구조화된 연주로 멜로디연주 화음. ,
연주 리듬연주의 방법이 있다 는 악기연주활동을 통하여 집단 안에서 각, . Goldberg(1989)
자의 활동이 하나로 어우러짐으로 진정한 공감의 발달과 집단 역동성을 고무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악기연주 활동에서 아동은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차례 지키기 등과 같은 사회. , ,
적 기술들을 배울 수 있으며 합주활동이라는 집단의 경험은 개인과 집단의 관련성과 응집력
을 증가시켜 다함께 한 가지의 목표를 이루어내는 성공적인 경험을 하도록 돕(Boxil, 1983)
는다 또한 악기합주는 음악적 화성의 아름다움과 음색의 입체미 등을 통하여 음악적 의미.
와 더불어 인간적인 어우러짐의 조화를 느끼도록 돕는다 김선하( , 2008).
음악에서의 즉흥연주는 이미 작곡된 악보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연주하는 동안 즉흥적
으로 음악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즉흥연주는 비구조화(Apel & Daniel, 2003).
된 연주로 집단원 간의 음악적인 만남을 이루게 하고 개인에게 일체감과 동시성을 발생시,
키며 음악적 비음악적 의사소통을 격려할 수 있다 즉 즉흥연주는 자연발, (Bruscia, 1989). ,
생적이고 자발적이며 유연성을 갖고 있는 연주이며 집단원 간에 서로 결합함으로써 마음, ,
의 호응과 공감이라는 집단치료적인 기능으로 발전이 가능한 것이다 유영선( , 2003).
음악극은 음악을 주 매개체로 하여 이야기 중심으로 전개되는 활동을 의미하며 노래 부르
기 악기연주 등의 음악활동과 이야기가 결합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활동이다, (Miller,
사회적 요소가 가미된 음악극은 유아들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을 증진1984).
시키며 사회적 인식과 적절한 관계형성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적 능력 발달을 향상시킨다
은 음악극 안에서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야(Smilansky, 1968). Bolton(1994)
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상황에서 통찰력을 발견하고 협동성을 기르게 된다고 하였으
며 유덕희 도 상상적 체험을 통한 상호작용은 자기를 발전시킬 뿐 아니라 협동하는, (1997)
것이 즐거운 것임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주효주 재인용( , 2012 ).
연구방법.Ⅲ
연구 대상1.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으로 하○○
였다 연구의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으로 정한 이유는 이 시기의 아동이 사회적 관계.
의 범위를 가족에서 학교와 또래집단으로 확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때문
이다 또한 이 시기의 아동은 자아중심적이던 유아기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고려할 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5 -
있게 되고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예측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할 수는 없어서 적절하게 사회성을 발(David R. Shaffer, 2005)
달시키지 못하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에게 사회성 검사 척도를 실시하여 점수가 낮은 아동 명을 선별하였으며 이 선별검사를12
사전검사로 사용하였다 선별된 명의 아동은 실험집단 명 통제집단 명으로 무선 배정. 12 6 , 6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주 회로 매 회기 분씩 주 동안 총 회2012 11 8 2012 12 27 1 50 8 , 8
기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학수 이윤수가 제작한 생활지,
도 진단검사를 참조하여 오경준 이 개발한 사회성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2000) .
실제 생활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MM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의 를 비롯한 국내외의 인성검사 문제 진단검사 및 행동 진단Bell Adjustment Inventory ,
검사의 문항을 참고 또는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다 오경준 은 이 중에서 초등학교 아. (2000)
동의 사회적 행동을 평가하고 있는 근면성 책임감 협동성 준법성 자주성 등 개의 변인, , , , 5
만을 추출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는 총 문항으로 점 평가 척도 항. 40 4 Likert (
상 그렇다 점 자주 그렇다 점 가끔 그렇다 점 전혀 그렇지 않다 점 를 이용하였다-4 , -3 , -2 , -1 ) .
총점의 범위는 점 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사회성이 잘 발달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40~160 ’ .
사회성 검사의 검사 신뢰도는 이며 하위 척도와 각 하위 영역별 신뢰도는 표 과 같.79 , [ 1]
다.
하위영역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근면성 1, 6, 11, 16, 21, 26, 31, 36 8 .89
책임감 2, 7, 12, 17, 22, 27, 32, 37 8 .82
협동성 3, 8, 13, 18, 23, 28, 33, 38 8 .75
준법성 4, 9, 14, 19, 24, 29, 34, 39 8 .81
자주성 5, 10, 15, 20, 25, 30, 35, 40 8 .70
표 사회성 척도의 하위영역 구성 및 신뢰도[ 1]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3.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문헌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악의 힘을 극대화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6 -
회 기 과 정 구체적 목표 프로그램 진행내용
회기1
자기소개
및
관계형성
집단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집단원들에게 자기를 소개한
다.
인사노래①
노래를 통해 자기를 소개하기②
악기 연주로 자신을 소개하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2
게임을 통해 에 대- session
한 참여를 유도한다.
소집단을 형성하여 음악게-
임을 통해 집단의 관계를 형성
하고 응집력을 키운다.
인사노래①
소집단 형성하기②
음악 윷놀이게임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3
집단 안에
자기를
통합하기
자신이 연주해야 할 때와-
멈추어야 할 때를 구분하여 연
주한다.
자신의 연주뿐만 아니라 다-
른 사람의 연주도 들으며 두
개의 그룹이 서로 주고받는 연
주를 완성한다.
인사노래①
한 가지 악기를 선택한 후 박자 두 마디의4/4②
리듬을 만들어 집단원 전체가 릴레이로 이어가기
음악에 맞추어 두 개의 소그룹이 대화하듯 연③
주를 주고받기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4
집단원들이 협동하여 칼라-
악보를 만든다.
만든 칼라악보를 공명실로-
폰으로 함께 연주한다.
인사노래①
색종이 조각을 이용하여 공동작업으로 칼라 악②
보 만들기
각자 공명실로폰을 하나씩 맡아서 칼라 악보를③
보고 협주하기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5
집단원들과 함께 만들어가-
는 화음을 경험한다.
자신이 맡은 부분을 잘 연-
주하여 집단원들과 화음으로
이루어진 연주를 한다.
인사노래①
핸드벨로 기본 화음을 만들어보고 느껴보기②
화음으로 이루어진 노래 연주를 완성하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6
집단
역동성
경험하기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
한다.
지휘자가 되어 집단을 이끌-
어본다.
인사노래①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하기 지휘자가 되어,②
집단을 이끌어 가기
지휘자가 되었을 때와 연주자가 되었을 때의③
경험에 대해 나누기
마침노래④
회기7
모든 집단원이 함께 참여하-
는 드럼서클을 경험한다.
구조화되지 않은 연주를 통-
해 집단이 음악으로 소통한다.
인사노래①
드럼서클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규칙에 대해②
숙지하고 드럼서클 경험하기
자신이 직접 드럼서클을 이끌어보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8 종결하기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짧-
은 음악극을 완성한다.
음악치료에 대한 소감을 나-
눈다.
인사노래①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음악극 만들기②
음악치료 소감 나누기③
마침노래④
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2]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7 -
하기 위하여 명의 아동으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실시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6 .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고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아동을 위해 사회성 향상에 목적을
두고 타인과 상호교류하여 음악을 완성해가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음악치료의 매 회기는 인사노래 집단음악치료 활동 소감 나누기 마침노래 와 같이‘ - - - ’
비교적 일정한 구조 안에서 진행되었다 집단음악치료 활동의 내용은 회기와 회기에 소개. 1 2
와 관계형성 회기부터 회기는 리듬악기 연주 멜로디악기 연주 등 구조화된 연주로 집단, 3 5 ,
의 응집력을 키우고 아동들이 연주 안에서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차례 지키기 협동하, , ,
기 등과 같은 사회적 기술들을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부터 회기는 즉흥연주 음악. 6 8 ,
극으로 구성하여 자발적이고 유연성을 갖는 연주를 통해 집단원 간에 서로 호응하고 공감하
며 음악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별 구체적인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표 와. [ 2]
같다.
연구결과.Ⅳ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1.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Mann-Whitney U .
두 집단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표 또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사전 사(Z=-.57, n.s) ([ 3]). -
후 사회성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비모수검정의 부호 순위 검증 실시한 결과 사회Wilcoxon
성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Z=-2.21, p<.05) .
을 통해 아동의 사회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표 와 같다. [ 4] .
표 사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 동질성[ 3]
구분 하위영역 집단구분 N 평균 순위 순위합
Mann-
Whitney U
Z
아동
사회성
근면성
실험집단 6 6.08 36.50
15.50 -.41
통제집단 6 6.92 41.50
책임감
실험집단 6 6.50 39.00
18.00 .00
통제집단 6 6.50 39.00
협동심
실험집단 6 6.17 37.00
16.00 -.33
통제집단 6 6.83 41.00
준법성
실험집단 6 5.58 33.50
12.50 -.90
통제집단 6 7.42 44.50
자주성
실험집단 6 6.58 39.50
17.50 -.10
통제집단 6 6.42 38.50
전 체
실험집단 6 5.92 35.50
14.50 -.57
통제집단 6 7.08 42.50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8 -
표 프로그램 사전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의 사회성 차이[ 4] ・
*p < .0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후 실험집단의 책임감, (Z=-2.22,
협동성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p<.05), (Z=-2.23, p< .05), (Z= -2.26, p<.05)
났다 즉 아동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책임감을 향상시키. ,
고 또래와 협동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자주성을 획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집, .
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일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반면 근면성 과 준법성 의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 (Z=-1.89, n.s) (Z=-1.86, n.s)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행동 변화2.
본 연구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
구분 하위영역
집단
구분
사전 사후 음의순위    양의순위
ZM
(SD)
M
(SD)
N
평균
순위
순위합 N
평균
순위
순위
합
아동
사회성
근면성
실험
집단
21.17
(3.43)
23.17
(4.26)
0 .00 .00 4 2.50 10.00 -1.89
통제
집단
21.83
(3.19)
23.00
(3.95)
1 1.00 1.00 2 2.50 2.50 -1.07
책임감
실험
집단
20.00
(2.61)
22.33
(3.39)
0 .00 .00 6 3.50 21.00 -2.22
*
통제
집단
20.17
(2.56)
19.83
(2.48)
1 3.00 3.00 2 1.50 1.50 .000
협동성
실험
집단
18.17
(2.79)
20.00
(2.61)
0 .00 .00 6 3.50 21.00 -2.23*
통제
집단
18.50
(2.43)
18.17
(1.94)
2 1.50 3.00 0 .00 .00 -1.41
준법성
실험
집단
19.33
(3.45)
21.00
(4.82)
0 .00 .00 4 2.50 10.00 -1.86
통제
집단
20.33
(3.50)
19.83
(3.55)
3 2.67 8.00 1 2.00 2.00 -1.13
자주성
실험
집단
20.83
(3.13)
22.33
(3.01)
0 .00 .00 6 3.50 21.00 -2.26
*
통제
집단
20.50
(3.45)
20.00
(3.35)
2 1.50 3.00 0 .00 .00 -1.34
전체
실험
집단
99.50
(9.07)
109.00
(9.08)
0 .00 .00 6 3.50 21.00 -2.21*
통제
집단
101.33
(7.69)
100.83
(8.13)
3 3.33 10.00 2 2.50 5.00 -.68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9 -
구분 아동의 행동 변화
아동1
회기에는 어머니와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머니와 함께 집단실에 들어왔으나 회기1
중간에 어머니와 떨어져 혼자 참여하였으며 회기부터는 웃는 얼굴로 혼자 집단실에 들어2
왔다 악기 연주에 매우 흥미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자발적 참여도 증가하였다 악. .
기 연주를 할 때에 초반에는 차례 지키기가 잘 되지 않았으나 중반에 멜로디 연주와 화음
연주같은 구조적 연주를 할 때에는 다른 참여자들과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초.
반에는 집단으로 진행되는 활동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지 못하였으나 회
기가 진행되면서 점차 치료사에게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회기에 지휘자가 되어서는 집단을7
상대로 지휘하기도 할 수 있었다.
아동2
초반에는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거나 자신의 연주 차례가 되어도 매우 짧게 연주하고 작은
소리로 연주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회기의 음악으로 대화하기 부터 자신의 소리를 내기 시3 ‘ ’
작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타인과의 협동을 통해 구조화된 음악을 완성하는.
활동에서는 멜로디나 화음 연주를 실수 없이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였고 후반의 비
구조화된 연주에서는 적극적으로 연주하고 다양한 변주를 시도하기도 하며 타인과 음악으
로 소통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동3
초반 타인의 이야기는 듣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후반으로 갈수
록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도 하였다 특히 차례를 지켜 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에서.
는 타인의 연주를 듣기도 하고 자신이 연주해야 할 시점에 정확히 연주하였다 초반에는 주.
로 치료사와 상호작용하려 하였으나 회기가 진행 될수록 집단의 또래들과 어울리며 상호작
용하기 시작하였다.
아동4
초반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연주를 할 때에는 차례 지키기가 전혀 되
지 않았다 또한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지시 사항을 설명할 때에는 전혀 지시 따르기가 되.
지 않았고 개별적으로 이름을 호명하고 이야기해야 대답을 하였다 하지만 구조화된 연주.
활동에서 반복적으로 시도했을 때 자신의 차례를 지켜서 연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비구조.
화된 연주에서 집단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가끔 다른 아동을 쳐
다보며 연주하기도 하였다.
아동5
초반에는 착석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치료실을 이탈하는 행동도 나타났다 하지만 회기가.
진행되면서 치료실 이탈의 횟수가 감소하였고 회기부터는 치료실을 전혀 나가지 않았다5 .
회기가 거듭될수록 착석하는 시간도 늘어났으며 회기부터는 활동이 전환되는 시간에만 잠5
시 자리를 떠났고 활동 중에는 자신의 자리에 앉아서 참여하였으며 지시 따르기도 향상되
었다 음악으로 다른 아동들과 소통하는 능력은 부족하였으나 공명실로폰으로 구조화된 음.
악을 연주할 때에는 자신의 차례를 지키며 함께 음악을 완성하려고 노력하였다.
아동6
초반에는 치료사의 말에 그게 뭐에요 에이 그걸 어떻게 해요 라는 말을 자주 하였으며‘ ’, ‘ ~ ’
정해진 규칙을 바꾸려고 하는 시도를 가끔 하였으나 점차 그러한 행동이 감소하였다 중반.
이후 구조화된 음악의 합주와 드럼서클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지시 따르기와 차례
지키기 협동을 통해 음악을 방해하지 않고 완성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자리에 앉아 있을, .
때에는 큰소리로 말하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도 하였으나 지휘자가 되어 다른 사람들 앞
에 섰을 때에는 매우 수줍어하며 자신감 없는 소리로 혼자서 지휘를 할 수 없다고 말하였
다 치료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함께 진행하였으며 다소 익숙해지자 스스로 변주를 시도하.
며 집단을 상대로 혼자 지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행동 변화[ 5]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80 -
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아동의 행동 변화는 표 와 같다. [ 5] .
결론 및 논의.Ⅴ
본 연구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
로 나타났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참여 아동의 사회성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사회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통계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책임감 협동성, . , ,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의 사회성 변화는 행동 관찰에 의한 아동의 행동 변화에서도 나타났다 초반에.
는 연주를 할 때에 지시 따르기와 차례 지키기 등이 지켜지지 않았고 치료사가 아닌 집단의
다른 참여자 얼굴을 쳐다보며 대화를 나누는 등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았으며 자발적 참여율도 저조하였다 하지만 회기가 진행 될수록 지시 따르기와 박자 지키.
기 차례 지키기 등에 의한 연주가 가능해졌고 자신이 맡은 역할에 충실하여 음악적 화음을,
완성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자발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고 타인에게 자신의 요구사항
을 적절히 표현하거나 의사소통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도 증가하였다.
아동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보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타인과 교류하고 음악
안에서 상호의사소통하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였다 또한 구조화된 음악의 연주와 비구조.
화된 음악의 연주 그리고 음악극을 통해서 집단 안에서 각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
자의 역할들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게 되는 경험을 통하여 협동의 중요성을 체득하였다.
집단악기연주는 아동에게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
차례 지키기 협동하기 등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형성을 유도하여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도,
록 이끌었다 그리고 음악이 가지고 있는 미적 기능을 통해 아동들이 음악적 하모니의 완성.
을 추구하여 타인과 조화를 이루도록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음악이 가지고 있는 유희의.
기능은 아동들이 음악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우며 자주성을 발달시키도록 하였
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음악적 상호작용과 자발적인 참여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
한 아동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척도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악합주가 아동
의 책임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정은나 교회 기악합주 활동이 아동의( , 2006),
협동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서현주 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대상의( , 2004) .
차이는 있으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 안지숙 권윤주 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 2008; , 2010) .
이상에서 살펴 본 연구 결론을 토대로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 발달. ,
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81 -
하였다 이로써 향후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의 음악적 교육 배경과 관련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
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대상 선정에 제약 없이 다양한 대상에게 프로그램.
을 적용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
본 연구는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아동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12○○
상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대상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프로.
그램의 효과성을 일반화시키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
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 ,
는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지속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근면성과 준법성의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
다 이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기간이 회기로 단기간에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 8
되는바 프로그램의 회기를 좀 더 길게 확대하여 실시하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강경미 김경옥 최순영 아동발달론 형설출판사· · (2006). . .
권윤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2010). .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연 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 그림 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치료학(1998). (KSD) .
회 제 권 제 호5 2 . 300-301.
김미성 시설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2001). .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영 집단음악치료가 방과후교실 아동의 공격성과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2009).
효과 즉흥연주와 난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김선하 리듬악기합주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2008). .
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경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지역아동센터(2012). ;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연미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2010). .
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수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2008).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현주 교회기악합주의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단국(2004). : .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희옥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한국아동학(2000). .
회지, 19-33.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82 -
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2008).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경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2000).
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영선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2003). .
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지영 아동의 사회성 함양을 위한 오르프 교수법의 수업 구안 방안 연구 춘천교(2008). .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지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2009). .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화 저소득층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대한 집단음악치료의 효과(2010). .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향란 방과 후 아동지도의 실태와 기관운영에 관한 연구 공부방을 중심으로 이(1996). : .
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지현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대(2009). .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나 중학교 남학생의 음악교과 인식 변화를 위한 지도방안 학년 기악합주 수(2006). : 1
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한숙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2000). .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효주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연구 이(2012). .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애나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2007). (
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병철 음악치료학 학지사(1999). . .
최석란 어린이의 또래관계 다음세대(2002).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2009). .
한영미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리듬음악활동의 효과성 연구 경북대학교(2010). .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pel, W. & Daniel, R. T. (2003).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Bailey, L. M. (1983). The effects of live music versus tape-recorded music o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Music Therapy.
Berlyne D. E. (1971).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ew York: Appleton-century-
Crofts.
Bolton, G. (1994). Drama for Learning. Heinemann
Boxill, E. H. (1985).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pen.
Publishers, Inc.
Brusia, K. E. (1989). Defining Music Therapy. Pennsylvania: Spring House Books.
Brusia, K. E. (1998). Defining Music Therapy. PA: Temple University: Published by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83 -
Spring House Books.
발달심리학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역 시그마프레스David R. Shaffer (2005). . , , , .
가Gaston, E. T. (1968). Music Therapy. New Yo : The Macmillan Compahy. pp.34
Goldberg, F. (1989). Music Psychotherapy in acute Psychiatric inpatient and pricate
practice setting. Music therapy perspectives. 6. 40-43
Kreitler, H. & S. Kreitler (1972), Psychology of the art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Mahler, C. A. (1969). Group Counselling in the school. Boston: Houghton Miffin.
Merriam, A. P. (1964), The anthropology of music.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Miller, S. (1984). Opera made elementary. Mucis Educators Journal, 71, 52-54.
Nordoff, P. & Robbins, C. (1971).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ollancy. Ltd.
Radocy, R. E., and J. D. Boyle (1979).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Sears, W. W. (1968),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Music in therapy, edited by E.
T. Gaston, 30-44, New York: Macmillan.
Smilansky (1968). The effect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ew York: Wiley.
Walker, H. M. (1988). The Walker sicial skills curriculum: The Accepts program.
Austin, Texas pro-ed.
William B. Davis (1999).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Wm. C. Brown Publishers.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혜원 정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혜원 정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Eun Suh Jang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혜원 정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혜원 정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ki544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혜원 정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Christina Suh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혜원 정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eunji-kim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롱이 롱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21ERICK
 

Similar to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황영랑 2000리코더 adhd 문제행동 효과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교육공학 삼총과 Proposal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1 신현숙 학업수월성 지향학교 사회정서학습 필요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고찰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
김형일2002 학습장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적중재 시사점고찰 (2)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2014 한경인공감향상 프로그램 통합학급학생 공감능력 공격행동 학급풍토인식 영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이인재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1 김명한 ‘합창과 인성교육’ -_합창을_통한_인성교육_프로그램_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삼총과 기획안 최종
삼총과 기획안 최종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2006김재숙 정신지체아동 사회정서적 발달에 관한 음악치료사례연구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 제2장 교육과정의 기초(33p~73p)
 
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교육과정의 기초
교육과정의 기초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중앙교육연수원 학교폭력예방우수교원 심화연수(최종) -학습부진 및 학교폭력에 대안 두뇌과학적 이해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혜원 정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혜원 정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0 이인재 초중등 학생 인성수준 조사 및 검사도구의 현장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2014)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14 이지은 사회정서학습 도덕교육적 함의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2009 손진희 인성교육참여 청소년 심리사회성숙도 함양 자기조절 인간관게능력함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 1. - 69 - 1)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영* 박부진** 서 론I.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는 인간을 일컬어 이라(Aristoteles) 'zoon politikon' 하였는데 이는 인간이 사회공동체의 형성자이며 더불어 사회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사회적 존재라는 것이다 인간이 사회적이 된다는 것은 그 사회를 함께 이루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태어나 처음으로 부모와 관계를. *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박사수료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교수**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 저학년 아동 중에서 사회성 점수가 낮은 아동 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명 통제집단12 6 , 6 명으로 무선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주2012 11 8 2012 12 27 1 회 매 회기 분씩 주 동안 총 회기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 50 8 , 8 . 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 으며 사전 사후 사회성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비모수검정의 부호 순위 검증을, - Wilcoxon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 , 시 후 참여 아동의 사회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책임감. , 협동성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행동 관찰에서 프로그램의 초반에, . 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후반에는 타인에게 자신의 요구사항을 적절 히 표현하거나 의사소통하는 등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2.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0 - 맺으며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점차 성장하면서 그 관계의 범위를 확대시켜 그 사회의 구성원 으로 적응해간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아동이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하며 사회성을 발달시키. 는데 방해되는 요인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의 핵가족화와 적은 수의 자녀 한 부모 가정 맞. , , 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가족구조 변화는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교류를 감소시켜 아 동의 사회성 발달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성공 위주의 양육방식은 아동. 을 경쟁으로 내몰아 타인을 소통과 배려의 상대가 아닌 경쟁자로 인식하게 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타인과 어울리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시청 컴퓨터 스마트폰의 사용 등은 아동이 타인과 어울리는 시간을 빼앗고 타인과의TV , , 교류를 단절시키고 있다 그 결과 아동은 타인을 배려하기 보다는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자. 기중심적 사고를 하여 왕따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사회적 기술이 미숙하여 고, 립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소아우울증과 불안 등 이차적인 심리문제를 야기 시키 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아동의 미숙한 사회성 발달은 아동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인 개입이 절실한 상황이다.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 가족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사회적 접촉의 범위를 학교 또래집단으, 로 확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게 된다 에릭슨 의 심리사회적 발. (E. Erikson) 달이론에 따르면 세 아동은 근면성 대 열등감의 시기로 이 시기에 아동은 중요한 사6~12 회적 학업적 기술을 숙달해야만 하는데 만약 이러한 기술들의 습득에 실패하게 되면 열등감· 을 가져오게 된다 자아중심적이던 유아는 세에 접어들며 타인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 8~10 게 된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같은 정보를 받았을 때에도 자신과 타인의 관점이 갈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시작한다 또한 그들은 타인의 입장을 바꾸어 볼 수 있고 그래서 자신들. , 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예측하기 시작하므로 사회성 발달(David R. Shaffer, 2005) 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에 놓이게 된다. 특히 학령기 아동은 타인과의 관계 중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데 아동이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회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장차 성장하는데 중요 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약 아동이 긍정적인 또래 관계를 형성하게 되면 아동은 또래 친. 구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아동이 되고 그로 인해 보다 건강하고 활발하며 주도적이고 안정 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애정이 있으며 사려 깊고 수용적인 특성을 보인다 반면에 또. . 래 친구들 사이에서 배척당하거나 무시당하고 거부당하는 등 부정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아동인 경우 점차 또래 집단에서 소외당하게 되면서 자신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불안 감이 높아지면서 우울증 사회적 불안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차후에 사, , 회적 문제로 변모할 가능성을 갖게 된다 심희옥 이처럼 인간이 잘 성장하기 위해서( , 2000). 는 아동기에 긍정적인 사회성을 확립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아동의 성장에 있어서 사회성의 확립이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아 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 접근법 중의 하나 로 음악치료가 있다 음악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데 이 중 하나로 의사소통의 기능과 사회. 통합에의 기여가 있다 음악은 오랫동안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 여겨져 왔으며 사람들이 자.
  • 3.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1 - 신을 표현할 수 있는 상징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Berlyne, 1971; Kreitler & Kreitler, 음악은 평범한 대화를 통해서는 쉽게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이나 생각들을 표현하는1972). 매체이기 때문에 감정의 전달자로서 사회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Radocy & Boyle, 1979) , 한다 또한 음악은 사회적 결속 협동 그리고 조화를 위한 단결된(William B. Davis, 1999). , , 관점을 만든다 음악 활동은 집단 형태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절하(Merriam, 1964). , 게 구조화된 음악적 사건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게 하는 경험을 제공한다(Sears, 도 개인을 집단으로 통합시키는 음악의 기능을 통하여 음악이 사람1968). Merriam(1964) 에게 만족과 즐거움을 주며 내부적 외부적 동기제의 역할을 하고 에너지를 고양시킴으로, , 써 치료적 원리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김선하 재인용 특히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연( , 2008 ). 주는 음악을 완성하기 위해 타인과 협력하는 과정에서 타인을 수용하고 자신을 집단 안에 통합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여 음악을 완. 성해가는 집단음악치료는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집단음악치료는 오락과 여흥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 아동들이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Merriam, 1964) 다른 아동들과 쉽게 어울릴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뿐 아니라 같은 박자와 음악 속에서 소 속감과 동질감을 조성하여 아동들의 사회성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고 사회성이 부족한 초등학교 아동에게 집 단음악치료를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 연구문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 2] 는가? 이론적 배경.Ⅱ 아동의 사회성1. 사회성이란 인격 또는 성격을 나타내는 한 특성으로서 일반적으로 개체의 사회적응성 대, 인관계의 원만성 정도를 가리킨다 한국교육심리학회 사회성은 한 개인이 태어나 그( , 2009). 사회의 문화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활양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사회공통의 행동특성인 가 치 신념 지식 등을 배워나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성의 발달은 타인과의 상호작, , . 용 속에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를 조절해 나가면서 자아를 형, , 성하고 타인과 협력할 수 있는 인간관계능력을 학습하고 배양하는 것이다 강경미 외( , 는 사회성을 첫째 다른 사람과 관계를 주도하고 긍정적 관계를 주도2006). Walker(1988) ,
  • 4.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2 - 하는 것 지시에 따르고 적절한 방법으로 필요한 것을 요구하는 것이며 둘째 또래에 수용, , 되고 학급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기본적 상호작용 기술 대화기술 친구를 사, , , 귀는 기술 등이라 하였고 셋째 사회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적응하는 것으로 보았, 다 김선하 즉 사회성이란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에 적응하( , 2008). , 며 살아가기 위한 기술을 배워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꾸준히 누군가와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성을 발달시 킨다 생애 초반 부모와 가족에 집중되어 있던 사회적 접촉은 아동이 학령기에 이르러 그. 폭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학령기는 발달 단계상 부모에 대한 의존성에서 탈피하. 여 정신적으로 독립하려는 욕구가 강한 시기이므로 올바른 자기표현을 통한 인간관계의 훈 련은 조화로운 인간관계의 형성과 정신건강의 유지 궁극적으로 자기 성장을 위한 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강희숙 특히 이 시기의 아동에게 있어서( , 2001). 또래관계는 매우 중요한데 아동들은 또래관계에서 타인의 사고와 태도 및 행동 등을 이해하 는 능력을 형성하게 되고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이 자신과 다른 존재임을 알게 된다 이향란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 1996). 통해 다양한 역할을 갖게 되며 서로 강화와 모방을 통해 배운다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갈등을 통해 아동은 상호간에 협상하고 타협하는 기술을 배우므로 사회적 상호작용 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을 획득하게 된다 최석란 이 과정을 통해 아( , 2002). 동은 타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자신을 새롭게 지각하 기 시작하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아동의 성격과 자존감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회성을 잘 발달시킨 아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성장하면서 원만한 대인관계 를 맺고 사회활동에 더욱 잘 적응해 나간다 이러한 아동은 타인과의 집단 활동을 즐기며. 집단내의 규칙이나 규정 등을 잘 지키고 친구를 쉽게 사귀며 동정적이고 협동적이다 뿐만, . 아니라 적절한 방법으로 자기를 표현할 수 있고 자신감이 있으며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면서 주어진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김수경 반면에 사회성을 잘 발달시키지( , 2012). 못한 아동은 타인과 어울리는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사회 안에서 고립되고 외로운 정서를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성이 낮은 아동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거. 나 억제하여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교우관계 발달에 실패하게. 되고 그 문제가 교우관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경험의 실패로 이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성인기로 성장하면서 사회적 마찰을 빚게 되어 범죄적 행동으로 나타나거나 고 립되고 무능력한 사회인으로 전락하기 쉽다 위영란 또한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은( , 2003). 대체로 충동적인 경향이 있으며 인간관계에 잘 대처하지 못해 심각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 례가 많다 조한숙 결과적으로 부적절한 대인관계는 갈등과 정서적 긴장을 일으켜( , 2000). 아동의 정서적 성장을 더디게 하여 김미성 아동의 전생애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 2001) 미치게 된다. 집단음악치료2.
  • 5.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3 - 음악치료란 내담자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음악적 경험과 관계들을 통해 역동적인 변 화를 이끌어 내는 체계적인 치료과정이다(Bruscia, 1989). 음악치료에서 치료의 주요한 매체로 사용되는 음악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은 이러한 음악의 기능 이 곧 치료적 상황에서 음악을 사용하는Merriam(1964) ‘ (functions)’ 이유 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음악은 감정표현 미적 즐거움 오락 의사소통 상징‘ (reasons)' . , , , , 적 표현 신체적 반응 사회적 규범 사회기관과 종교의식의 확인 사회와 문화의 연속성에, , , , 기여 사회의 통합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문명, (Rudolf E. Radocy & David Boyle, 1997), 과 문화를 뛰어넘어 전 세계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음(Merriam, 1964). 악의 기능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게 도우며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내담, 자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음악은 리듬의 원시적 생리적인 수준에서 의사소. , , 통을 가능하게 하고 언어로써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을 공감적이고 심리적인 교류로서 발전 시키는데 힘을 지니고 있어 심리치료에 적합한 매체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Hudson, 1973) . 치료에서 악기를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 관계를 촉진시키며 감각기관의 형태운동을 유도하 고 감정적 사회적 수단을 통해서 서로 공감을 느끼도록 이끌어 집단을 공동행위로 연합시, · 키고 음악 외적 행동상의 변화에 이르게 한다 뿐만 아니라 구조화된 음악(Gaston, 1968). 소리는 목적적인 행위를 유발하고 인간을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분열에서 통합으로 경험에, , 대한 무자각에서 자각으로 이끎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 유기체에 도달하게 하는 역할도 가 지고 있다(Boxill, 1984). 이러한 음악의 기능에 집중하여 국내의 많은 연구들 김선하 박지수 안지( , 2008; , 2008; 숙 최애나 이선화 한영미 이 음악치료가 아동의 사회성 향상, 2008; , 2007; , 2010; , 2010) 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는 주로 집단으로 진행되는. 데 은 그가 분류한 음악과 사람과의 관계 에서 음악의 힘은 집단에서 극대화Gaston(1968) ‘ ’ 된다고 하였다 음악은 사람을 참여하게 하고 동기를 유발하며 유대감을 갖도록 한다 이렇. , . 게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음악적 경험은 역동력을 가지고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도 록 유도한다 최병철 아동은 집단 내에서 음악활동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 , 1999). 게 됨과 더불어 타인을 수용하는 기회도 가지게 된다 음악적 표현을 통해 인간은 타인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참된 자아 및 자신의 잠재력과 만날 수 있다 음악은 참여를 증진하고, . 동기를 유발하며 유대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적 인정과 보상을 동시에 받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는 아동들이 직접 연주하는 악기활동을 통한 직접(Sears, 1968). Bailey(1983) 적인 경험은 집단에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집단 안에서 타인을 인식하여 사회적응행동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최병철 은 음악적 자극은 실. (1999) 패로 인한 좌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상호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고 활동으로 참여를 격려하여 타인과의 교류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 다 또한 그는 음악이 주는 긍정적인 정서와 리듬의 계속적인 진행은 지시를 쉽게 받아들이. 게 하여 사회적 인지와 사회적 행동이 집단 속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 6.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4 - 인간은 음악활동 속에서 사회 작용을 경험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집단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성 증진을 목표로 진행되는 집단음악치료의 기법으로는 악기연주 즉흥연주 음악극, , 등이 있다 악기연주는 기존에 작곡된 음악을 연주하는 구조화된 연주로 멜로디연주 화음. , 연주 리듬연주의 방법이 있다 는 악기연주활동을 통하여 집단 안에서 각, . Goldberg(1989) 자의 활동이 하나로 어우러짐으로 진정한 공감의 발달과 집단 역동성을 고무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악기연주 활동에서 아동은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차례 지키기 등과 같은 사회. , , 적 기술들을 배울 수 있으며 합주활동이라는 집단의 경험은 개인과 집단의 관련성과 응집력 을 증가시켜 다함께 한 가지의 목표를 이루어내는 성공적인 경험을 하도록 돕(Boxil, 1983) 는다 또한 악기합주는 음악적 화성의 아름다움과 음색의 입체미 등을 통하여 음악적 의미. 와 더불어 인간적인 어우러짐의 조화를 느끼도록 돕는다 김선하( , 2008). 음악에서의 즉흥연주는 이미 작곡된 악보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연주하는 동안 즉흥적 으로 음악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즉흥연주는 비구조화(Apel & Daniel, 2003). 된 연주로 집단원 간의 음악적인 만남을 이루게 하고 개인에게 일체감과 동시성을 발생시, 키며 음악적 비음악적 의사소통을 격려할 수 있다 즉 즉흥연주는 자연발, (Bruscia, 1989). , 생적이고 자발적이며 유연성을 갖고 있는 연주이며 집단원 간에 서로 결합함으로써 마음, , 의 호응과 공감이라는 집단치료적인 기능으로 발전이 가능한 것이다 유영선( , 2003). 음악극은 음악을 주 매개체로 하여 이야기 중심으로 전개되는 활동을 의미하며 노래 부르 기 악기연주 등의 음악활동과 이야기가 결합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활동이다, (Miller, 사회적 요소가 가미된 음악극은 유아들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을 증진1984). 시키며 사회적 인식과 적절한 관계형성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적 능력 발달을 향상시킨다 은 음악극 안에서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야(Smilansky, 1968). Bolton(1994) 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해주는 상황에서 통찰력을 발견하고 협동성을 기르게 된다고 하였으 며 유덕희 도 상상적 체험을 통한 상호작용은 자기를 발전시킬 뿐 아니라 협동하는, (1997) 것이 즐거운 것임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주효주 재인용( , 2012 ). 연구방법.Ⅲ 연구 대상1.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으로 하○○ 였다 연구의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으로 정한 이유는 이 시기의 아동이 사회적 관계. 의 범위를 가족에서 학교와 또래집단으로 확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때문 이다 또한 이 시기의 아동은 자아중심적이던 유아기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고려할 수.
  • 7.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5 - 있게 되고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예측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 관점을 동시에 고려할 수는 없어서 적절하게 사회성을 발(David R. Shaffer, 2005) 달시키지 못하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에게 사회성 검사 척도를 실시하여 점수가 낮은 아동 명을 선별하였으며 이 선별검사를12 사전검사로 사용하였다 선별된 명의 아동은 실험집단 명 통제집단 명으로 무선 배정. 12 6 , 6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주 회로 매 회기 분씩 주 동안 총 회2012 11 8 2012 12 27 1 50 8 , 8 기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학수 이윤수가 제작한 생활지, 도 진단검사를 참조하여 오경준 이 개발한 사회성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2000) . 실제 생활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MM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의 를 비롯한 국내외의 인성검사 문제 진단검사 및 행동 진단Bell Adjustment Inventory , 검사의 문항을 참고 또는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다 오경준 은 이 중에서 초등학교 아. (2000) 동의 사회적 행동을 평가하고 있는 근면성 책임감 협동성 준법성 자주성 등 개의 변인, , , , 5 만을 추출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는 총 문항으로 점 평가 척도 항. 40 4 Likert ( 상 그렇다 점 자주 그렇다 점 가끔 그렇다 점 전혀 그렇지 않다 점 를 이용하였다-4 , -3 , -2 , -1 ) . 총점의 범위는 점 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사회성이 잘 발달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40~160 ’ . 사회성 검사의 검사 신뢰도는 이며 하위 척도와 각 하위 영역별 신뢰도는 표 과 같.79 , [ 1] 다. 하위영역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 근면성 1, 6, 11, 16, 21, 26, 31, 36 8 .89 책임감 2, 7, 12, 17, 22, 27, 32, 37 8 .82 협동성 3, 8, 13, 18, 23, 28, 33, 38 8 .75 준법성 4, 9, 14, 19, 24, 29, 34, 39 8 .81 자주성 5, 10, 15, 20, 25, 30, 35, 40 8 .70 표 사회성 척도의 하위영역 구성 및 신뢰도[ 1]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3.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문헌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악의 힘을 극대화
  • 8.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6 - 회 기 과 정 구체적 목표 프로그램 진행내용 회기1 자기소개 및 관계형성 집단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집단원들에게 자기를 소개한 다. 인사노래① 노래를 통해 자기를 소개하기② 악기 연주로 자신을 소개하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2 게임을 통해 에 대- session 한 참여를 유도한다. 소집단을 형성하여 음악게- 임을 통해 집단의 관계를 형성 하고 응집력을 키운다. 인사노래① 소집단 형성하기② 음악 윷놀이게임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3 집단 안에 자기를 통합하기 자신이 연주해야 할 때와- 멈추어야 할 때를 구분하여 연 주한다. 자신의 연주뿐만 아니라 다- 른 사람의 연주도 들으며 두 개의 그룹이 서로 주고받는 연 주를 완성한다. 인사노래① 한 가지 악기를 선택한 후 박자 두 마디의4/4② 리듬을 만들어 집단원 전체가 릴레이로 이어가기 음악에 맞추어 두 개의 소그룹이 대화하듯 연③ 주를 주고받기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4 집단원들이 협동하여 칼라- 악보를 만든다. 만든 칼라악보를 공명실로- 폰으로 함께 연주한다. 인사노래① 색종이 조각을 이용하여 공동작업으로 칼라 악② 보 만들기 각자 공명실로폰을 하나씩 맡아서 칼라 악보를③ 보고 협주하기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5 집단원들과 함께 만들어가- 는 화음을 경험한다. 자신이 맡은 부분을 잘 연- 주하여 집단원들과 화음으로 이루어진 연주를 한다. 인사노래① 핸드벨로 기본 화음을 만들어보고 느껴보기② 화음으로 이루어진 노래 연주를 완성하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6 집단 역동성 경험하기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 한다. 지휘자가 되어 집단을 이끌- 어본다. 인사노래①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연주하기 지휘자가 되어,② 집단을 이끌어 가기 지휘자가 되었을 때와 연주자가 되었을 때의③ 경험에 대해 나누기 마침노래④ 회기7 모든 집단원이 함께 참여하- 는 드럼서클을 경험한다. 구조화되지 않은 연주를 통- 해 집단이 음악으로 소통한다. 인사노래① 드럼서클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규칙에 대해② 숙지하고 드럼서클 경험하기 자신이 직접 드럼서클을 이끌어보기③ 소감 나누기④ 마침노래⑤ 회기8 종결하기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짧- 은 음악극을 완성한다. 음악치료에 대한 소감을 나- 눈다. 인사노래① 집단원 전체가 참여하는 음악극 만들기② 음악치료 소감 나누기③ 마침노래④ 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2]
  • 9.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7 - 하기 위하여 명의 아동으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실시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6 .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고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아동을 위해 사회성 향상에 목적을 두고 타인과 상호교류하여 음악을 완성해가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음악치료의 매 회기는 인사노래 집단음악치료 활동 소감 나누기 마침노래 와 같이‘ - - - ’ 비교적 일정한 구조 안에서 진행되었다 집단음악치료 활동의 내용은 회기와 회기에 소개. 1 2 와 관계형성 회기부터 회기는 리듬악기 연주 멜로디악기 연주 등 구조화된 연주로 집단, 3 5 , 의 응집력을 키우고 아동들이 연주 안에서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차례 지키기 협동하, , , 기 등과 같은 사회적 기술들을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부터 회기는 즉흥연주 음악. 6 8 , 극으로 구성하여 자발적이고 유연성을 갖는 연주를 통해 집단원 간에 서로 호응하고 공감하 며 음악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기별 구체적인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표 와. [ 2] 같다. 연구결과.Ⅳ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1.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Mann-Whitney U . 두 집단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표 또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사전 사(Z=-.57, n.s) ([ 3]). - 후 사회성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비모수검정의 부호 순위 검증 실시한 결과 사회Wilcoxon 성에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Z=-2.21, p<.05) . 을 통해 아동의 사회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표 와 같다. [ 4] . 표 사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 동질성[ 3] 구분 하위영역 집단구분 N 평균 순위 순위합 Mann- Whitney U Z 아동 사회성 근면성 실험집단 6 6.08 36.50 15.50 -.41 통제집단 6 6.92 41.50 책임감 실험집단 6 6.50 39.00 18.00 .00 통제집단 6 6.50 39.00 협동심 실험집단 6 6.17 37.00 16.00 -.33 통제집단 6 6.83 41.00 준법성 실험집단 6 5.58 33.50 12.50 -.90 통제집단 6 7.42 44.50 자주성 실험집단 6 6.58 39.50 17.50 -.10 통제집단 6 6.42 38.50 전 체 실험집단 6 5.92 35.50 14.50 -.57 통제집단 6 7.08 42.50
  • 10.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78 - 표 프로그램 사전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의 사회성 차이[ 4] ・ *p < .05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후 실험집단의 책임감, (Z=-2.22, 협동성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p<.05), (Z=-2.23, p< .05), (Z= -2.26, p<.05) 났다 즉 아동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책임감을 향상시키. , 고 또래와 협동하는 능력이 향상되며 자주성을 획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집, . 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일부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반면 근면성 과 준법성 의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 (Z=-1.89, n.s) (Z=-1.86, n.s)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행동 변화2. 본 연구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 구분 하위영역 집단 구분 사전 사후 음의순위    양의순위 ZM (SD) M (SD) N 평균 순위 순위합 N 평균 순위 순위 합 아동 사회성 근면성 실험 집단 21.17 (3.43) 23.17 (4.26) 0 .00 .00 4 2.50 10.00 -1.89 통제 집단 21.83 (3.19) 23.00 (3.95) 1 1.00 1.00 2 2.50 2.50 -1.07 책임감 실험 집단 20.00 (2.61) 22.33 (3.39) 0 .00 .00 6 3.50 21.00 -2.22 * 통제 집단 20.17 (2.56) 19.83 (2.48) 1 3.00 3.00 2 1.50 1.50 .000 협동성 실험 집단 18.17 (2.79) 20.00 (2.61) 0 .00 .00 6 3.50 21.00 -2.23* 통제 집단 18.50 (2.43) 18.17 (1.94) 2 1.50 3.00 0 .00 .00 -1.41 준법성 실험 집단 19.33 (3.45) 21.00 (4.82) 0 .00 .00 4 2.50 10.00 -1.86 통제 집단 20.33 (3.50) 19.83 (3.55) 3 2.67 8.00 1 2.00 2.00 -1.13 자주성 실험 집단 20.83 (3.13) 22.33 (3.01) 0 .00 .00 6 3.50 21.00 -2.26 * 통제 집단 20.50 (3.45) 20.00 (3.35) 2 1.50 3.00 0 .00 .00 -1.34 전체 실험 집단 99.50 (9.07) 109.00 (9.08) 0 .00 .00 6 3.50 21.00 -2.21* 통제 집단 101.33 (7.69) 100.83 (8.13) 3 3.33 10.00 2 2.50 5.00 -.68
  • 11.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79 - 구분 아동의 행동 변화 아동1 회기에는 어머니와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머니와 함께 집단실에 들어왔으나 회기1 중간에 어머니와 떨어져 혼자 참여하였으며 회기부터는 웃는 얼굴로 혼자 집단실에 들어2 왔다 악기 연주에 매우 흥미를 보였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자발적 참여도 증가하였다 악. . 기 연주를 할 때에 초반에는 차례 지키기가 잘 되지 않았으나 중반에 멜로디 연주와 화음 연주같은 구조적 연주를 할 때에는 다른 참여자들과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초. 반에는 집단으로 진행되는 활동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지 못하였으나 회 기가 진행되면서 점차 치료사에게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회기에 지휘자가 되어서는 집단을7 상대로 지휘하기도 할 수 있었다. 아동2 초반에는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거나 자신의 연주 차례가 되어도 매우 짧게 연주하고 작은 소리로 연주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회기의 음악으로 대화하기 부터 자신의 소리를 내기 시3 ‘ ’ 작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타인과의 협동을 통해 구조화된 음악을 완성하는. 활동에서는 멜로디나 화음 연주를 실수 없이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였고 후반의 비 구조화된 연주에서는 적극적으로 연주하고 다양한 변주를 시도하기도 하며 타인과 음악으 로 소통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동3 초반 타인의 이야기는 듣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후반으로 갈수 록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도 하였다 특히 차례를 지켜 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에서. 는 타인의 연주를 듣기도 하고 자신이 연주해야 할 시점에 정확히 연주하였다 초반에는 주. 로 치료사와 상호작용하려 하였으나 회기가 진행 될수록 집단의 또래들과 어울리며 상호작 용하기 시작하였다. 아동4 초반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연주를 할 때에는 차례 지키기가 전혀 되 지 않았다 또한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지시 사항을 설명할 때에는 전혀 지시 따르기가 되. 지 않았고 개별적으로 이름을 호명하고 이야기해야 대답을 하였다 하지만 구조화된 연주. 활동에서 반복적으로 시도했을 때 자신의 차례를 지켜서 연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비구조. 화된 연주에서 집단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가끔 다른 아동을 쳐 다보며 연주하기도 하였다. 아동5 초반에는 착석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치료실을 이탈하는 행동도 나타났다 하지만 회기가. 진행되면서 치료실 이탈의 횟수가 감소하였고 회기부터는 치료실을 전혀 나가지 않았다5 . 회기가 거듭될수록 착석하는 시간도 늘어났으며 회기부터는 활동이 전환되는 시간에만 잠5 시 자리를 떠났고 활동 중에는 자신의 자리에 앉아서 참여하였으며 지시 따르기도 향상되 었다 음악으로 다른 아동들과 소통하는 능력은 부족하였으나 공명실로폰으로 구조화된 음. 악을 연주할 때에는 자신의 차례를 지키며 함께 음악을 완성하려고 노력하였다. 아동6 초반에는 치료사의 말에 그게 뭐에요 에이 그걸 어떻게 해요 라는 말을 자주 하였으며‘ ’, ‘ ~ ’ 정해진 규칙을 바꾸려고 하는 시도를 가끔 하였으나 점차 그러한 행동이 감소하였다 중반. 이후 구조화된 음악의 합주와 드럼서클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지시 따르기와 차례 지키기 협동을 통해 음악을 방해하지 않고 완성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자리에 앉아 있을, . 때에는 큰소리로 말하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도 하였으나 지휘자가 되어 다른 사람들 앞 에 섰을 때에는 매우 수줍어하며 자신감 없는 소리로 혼자서 지휘를 할 수 없다고 말하였 다 치료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함께 진행하였으며 다소 익숙해지자 스스로 변주를 시도하. 며 집단을 상대로 혼자 지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행동 변화[ 5]
  • 12.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80 - 펴보기 위하여 아동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아동의 행동 변화는 표 와 같다. [ 5] . 결론 및 논의.Ⅴ 본 연구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 로 나타났다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참여 아동의 사회성 차이를 검증. 한 결과 사회성 검사에서 유의미한 통계결과가 나왔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책임감 협동성, . , , 자주성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의 사회성 변화는 행동 관찰에 의한 아동의 행동 변화에서도 나타났다 초반에. 는 연주를 할 때에 지시 따르기와 차례 지키기 등이 지켜지지 않았고 치료사가 아닌 집단의 다른 참여자 얼굴을 쳐다보며 대화를 나누는 등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 았으며 자발적 참여율도 저조하였다 하지만 회기가 진행 될수록 지시 따르기와 박자 지키. 기 차례 지키기 등에 의한 연주가 가능해졌고 자신이 맡은 역할에 충실하여 음악적 화음을, 완성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자발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고 타인에게 자신의 요구사항 을 적절히 표현하거나 의사소통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도 증가하였다. 아동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보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타인과 교류하고 음악 안에서 상호의사소통하며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였다 또한 구조화된 음악의 연주와 비구조. 화된 음악의 연주 그리고 음악극을 통해서 집단 안에서 각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 자의 역할들이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게 되는 경험을 통하여 협동의 중요성을 체득하였다. 집단악기연주는 아동에게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지시 따르기 박자 지키기, , 차례 지키기 협동하기 등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형성을 유도하여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도, 록 이끌었다 그리고 음악이 가지고 있는 미적 기능을 통해 아동들이 음악적 하모니의 완성. 을 추구하여 타인과 조화를 이루도록 유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음악이 가지고 있는 유희의. 기능은 아동들이 음악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우며 자주성을 발달시키도록 하였 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음악적 상호작용과 자발적인 참여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 한 아동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척도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기악합주가 아동 의 책임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정은나 교회 기악합주 활동이 아동의( , 2006), 협동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서현주 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대상의( , 2004) . 차이는 있으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 안지숙 권윤주 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 2008; , 2010) . 이상에서 살펴 본 연구 결론을 토대로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 발달. , 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
  • 13.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81 - 하였다 이로써 향후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의 음악적 교육 배경과 관련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 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대상 선정에 제약 없이 다양한 대상에게 프로그램. 을 적용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 본 연구는 서울시 구 소재 치료센터에 내원중인 아동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12○○ 상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대상의 수가 적어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프로. 그램의 효과성을 일반화시키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 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 , 는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지속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근면성과 준법성의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 다 이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기간이 회기로 단기간에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 8 되는바 프로그램의 회기를 좀 더 길게 확대하여 실시하면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강경미 김경옥 최순영 아동발달론 형설출판사· · (2006). . . 권윤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2010). .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동연 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 그림 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치료학(1998). (KSD) . 회 제 권 제 호5 2 . 300-301. 김미성 시설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2001). .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영 집단음악치료가 방과후교실 아동의 공격성과 정서적 부적응행동에 미치는(2009). 효과 즉흥연주와 난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김선하 리듬악기합주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2008). . 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경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지역아동센터(2012). ;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연미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사회개(2010). . 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수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2008).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현주 교회기악합주의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단국(2004). : .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희옥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한국아동학(2000). . 회지, 19-33.
  • 14. 아동가족치료연구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Vol. 11, 2012. - 82 - 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2008).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경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2000). 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영선 즉흥연주 음악치료가 청소년의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2003). . 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지영 아동의 사회성 함양을 위한 오르프 교수법의 수업 구안 방안 연구 춘천교(2008). .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지혜 집단표현예술치료가 고위험군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2009). .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화 저소득층 저학년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대한 집단음악치료의 효과(2010). .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향란 방과 후 아동지도의 실태와 기관운영에 관한 연구 공부방을 중심으로 이(1996). : . 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지현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대(2009). .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나 중학교 남학생의 음악교과 인식 변화를 위한 지도방안 학년 기악합주 수(2006). : 1 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한숙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2000). .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효주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극 프로그램 연구 이(2012). .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애나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2007). ( 층과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병철 음악치료학 학지사(1999). . . 최석란 어린이의 또래관계 다음세대(2002). .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2009). . 한영미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집단리듬음악활동의 효과성 연구 경북대학교(2010). .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pel, W. & Daniel, R. T. (2003).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Bailey, L. M. (1983). The effects of live music versus tape-recorded music o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Music Therapy. Berlyne D. E. (1971).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ew York: Appleton-century- Crofts. Bolton, G. (1994). Drama for Learning. Heinemann Boxill, E. H. (1985).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pen. Publishers, Inc. Brusia, K. E. (1989). Defining Music Therapy. Pennsylvania: Spring House Books. Brusia, K. E. (1998). Defining Music Therapy. PA: Temple University: Published by
  • 15.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83 - Spring House Books. 발달심리학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역 시그마프레스David R. Shaffer (2005). . , , , . 가Gaston, E. T. (1968). Music Therapy. New Yo : The Macmillan Compahy. pp.34 Goldberg, F. (1989). Music Psychotherapy in acute Psychiatric inpatient and pricate practice setting. Music therapy perspectives. 6. 40-43 Kreitler, H. & S. Kreitler (1972), Psychology of the art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Mahler, C. A. (1969). Group Counselling in the school. Boston: Houghton Miffin. Merriam, A. P. (1964), The anthropology of music.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Miller, S. (1984). Opera made elementary. Mucis Educators Journal, 71, 52-54. Nordoff, P. & Robbins, C. (1971). Therapy in Music for Handicapped Children London: Victor Gollancy. Ltd. Radocy, R. E., and J. D. Boyle (1979).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Sears, W. W. (1968), Processes in music therapy. In Music in therapy, edited by E. T. Gaston, 30-44, New York: Macmillan. Smilansky (1968). The effect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ew York: Wiley. Walker, H. M. (1988). The Walker sicial skills curriculum: The Accepts program. Austin, Texas pro-ed. William B. Davis (1999).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Wm. C. Brow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