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ntroduction to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1
Minimum Input   Maximum Output




                                 2
부호체계
화자의 정보 의도       (code system)로서의
                      언어관습



   부호화
 (encoding)


                                         청자가
  화자의          탈부호화                   도출(retrieve)한
  메시지         (decoding)
                                        정보 의도




                    Ruled by the Principle of Economy
                                                        3
“소개팅 어땠어?”




“키도 작아 -_-+”




                        4
“소개팅 어땠어?”




       “키도 작아 -_-+”


  Implicit Information
[1] There are more than one criteria for them to evaluate/describe a
person.

[2] For them, a man‟s height was one of them.

[3] (At least for that woman) Being tall is one of positive values.

[4] The blind date guy mentioned above had been negatively
assessed in criteria other than his height.                            5
You don‟t need to mention EVERYTHING explicitly

             “소개팅 어땠어?”


             어 있잖아 남잘 볼 땐
             여러 가지를 봐야 하
             잖아 나도 그래 그런
                 데…

        많은 사람들에게도
        그렇듯이 나에겐 키
          도 중요해…

       그리고 여기서 중요
       하다는 건 키는 컸으
         면 좋겠어…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그
   놈은 약속에도 늦게 왔고 밥
   도 흘리면서 먹었고 유머 감                   ZZZ…..
    각도 형편 없었는데 키도
        작았지만…                                     6
Mary got pregnant and John was very pleased.



Mary got pregnant but John was very pleased.




                                               7
언어의 경제성의 원칙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



소통자는 피소통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일일이 외연화하여
전달할 필요가 없다. 대신,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피소통자가 추
   론해 낼 수 있도록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전달하면 된다.




                                      8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논리력
    과도한 지적 수고                            reasoning
(intellectual labor) 없이
  도 전달되도록 함축된                  추론
      최소한의 정보                        추          추론
                                     론
  추론에 필요한 커뮤니케이
  션의 열쇠 (communicative              화용적 지식
  clues)는 다 있다고 믿고 정                pragmatic
        보 의도 추론                     knowledge
                                                     9
의도한 정보



                                         Cost

                                           Benefit

               인지 환경 (cognitive
              environment) 에 변화
                    문맥 효과
               (contextual effects)
     지식 기반 (knowledge basis)에 변화

기존 문맥적 가정 (contextual assumption)의 타당
        성을 강화하거나 제거

   Minimum Cost                         Maximum Benefit   10
Listeners and speakers speak cooperatively and accept
mutually in order to
“make their contribution such as it is required, at the stage
at which it occurs, by the accepted purpose or direction of
the talk exchange in which they are engaged.”
- Paul Grice




    대화 참가자들은 정보와 관련이 없는 무의미한 말을 주고받는 것
    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이라는 공통된 목적을 위해 서로
    협력한다.


                                                                11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ntity(양의 격률)
 Make your contribution as informative as is required (for the current
purposes of the exchange).
 Do not make your contribution more informative than is required.

Maxim of Quality(질의 격률): Be Truthful
 Do not say what you believe to be false.
 Do not say that for which you lack adequate evidence.


Maxim of Relation(관계의 격률): Be relevant.

Maxim of Manner(양태의 격률)
   Be Clear
   Avoid obscurity of expression.
   Avoid ambiguity.
   Be brief (avoid unnecessary prolixity).
   Be orderly.                                                           12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ntity(양의 격률)
 Make your contribution as informative as is required (for the current
purposes of the exchange).
 Do not make your contribution more informative than is required.

       대화를 할 때 소통자는 피소통자가 정보의도를 추론해낼 수
        있도록 필요한 만큼의 정보는 모두 제공한다
       그러므로, 어떤 정보가 주어져 있지 않다는 것은, 그 정보는
        해당 커뮤니케이션에서 소통자가 의도한 정보 의도를 추론하
        는 데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13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lity(질의 격률): Be Truthful
 Do not say what you believe to be false.
 Do not say that for which you lack adequate evidence.

    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이라고 확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   즉, 사실이 아닌 것을 말했다면 말할 당시에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몰랐어야 한다




                                                          14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Relation(관계의 격률): Be relevant.
   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또는 사안과 관련해
       연관이 있는 사실만을 말해야 한다




                                            15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Manner(양태의 격률)
   Be Clear
   Avoid obscurity of expression.
   Avoid ambiguity.
   Be brief (avoid unnecessary prolixity).
   Be orderly.
         일부러 애매모호하거나 뒤죽박죽으로 말하지 말고, 최선을 다
          해 논리정연하고 분명하고 오해의 여지가 없게 말한다




                                                      16
Explicature
                                            Implicature
             외연의
              외축                              내포의
             명시의                               내축
                                            비(非)명시의



대화의 격률은 대체적으로 준수되며, 이들을 의도적으로
위반(violate, flout, breach)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내포
된 다른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동인(動因, drive)이 있
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화의 격률 위반 행위에 대
 한 추론을 통해 명시되지 않은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17
Do you know where the
nearest gas station is?




                          Go three more blocks
                             down the road.




                                                 18
Do you know where the
       nearest gas station is?


Maxim of
                          Yes, I do.
Relevance


Maxim of           Can you tell me where I
Quantity          can find that gas station?


                                         Yes, I can.

                                        Do you mind telling me
                                          how to get there?

                                                 No, I don‟t.


                                          Go three more blocks
                                             down the road.
                                                                 19
김철수 씨 다음 팀장으로 어
     떻습니까?




                  노래는 잘 해요
                  글씨도 이쁘고.



                             20
김철수 씨 다음 팀장으로
          어떻습니까?

노래와 필체는 회사 팀장 자격요건으로 중요
하지 않다는 것을 두 사람이 이미 알고 있으므
   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양의 격률)

    „…는‟이라는 주제어 표시(topic market)는
    „…주제에 관한 한‟이라는 한정을 나타낸다.
        다른 것은 잘하지 못한다는 뜻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부정적인 평가를 한 이유는?
                  다른 동인이 있어서이다
                  굳이 김철수 씨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직접 하기
                  싫다는 숨은 의도
                  고의적인 양태의 격률(Maxim of Manner) 위반으
                  로 자신의 부정적 태도 강력히 전달


                      노래는 잘 해요
                      글씨도 이쁘고.                    21
언어사용의 관습(convention)은 의도적으로 화자가 위반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하여 암묵적이고 함축적인 메시지를 전달
할 수도 있다.“메시지는 애매모호하지 않도록 분명하게 규정
되고, 합의된 언어규칙을 위반하는 경우에도 소통이 가능하
다” (Dan Sperber & Deirdre Wilson)




                                      22
Explicature
                                  Implicature
          외연의
           외축                       내포의
          명시의                        내축
                                  비(非)명시의



            명시적 언어표현으로 전달


화자와 청자 사이의 대화상황 특유의 화용적 가정(pragmatic assumption)과 공유된
          원칙에 근거를 둔 추론과정을 통해 도출되는 것.
화자가 의도한 바를 직선적으로 발화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암시해서 나타나는 의미
                                                        23
<First-round communication>


                        ST
ST 저자       ST
                        독자




                        번역가          TT        TT 독자



                             <Second-round communication>



                                                       24
북한 공산당,
  동족상잔,
  인민재판,                          RED
학살… „빨갱이‟




  Red - the blood of angry men!
  Black - the dark of ages past!
  Red - a world about to dawn!
  Black - the night that ends at last!




                                         25
ST 저                ST
              ST
     자                  독자



                        번역가        TT      TT 독자


   서로 다른 부호체계를 쓰는 두 문화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처음에 말한 사
    람의 의도가 의도만큼 도출되지 못하고 이해용이성(accessibility)이 떨어질 수
    도 있다.
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는 언어라는 부호체계 (단어, 문법, 용법)를 잘못 사
    용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전달하려는 정보의도를 추론하도록 의도된 전제나 가
    정에 대해 잘못된 추론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   통·번역사의 중개행위는 언어중개뿐 아니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중개, 즉 메시
    지의 의미의 총합을 제대로 평가하고 양쪽에서 등가가 이루어지며 이해용이성도
    높아지는 방법이 필요하다.
                                                   26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Jinyoung Yoon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Jinyoung Yoon
 
13th assignment
13th assignment13th assignment
13th assignment
Jinyoung Yoon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Jinyoung Yoon
 
9주차 과제 예시
9주차 과제 예시9주차 과제 예시
9주차 과제 예시
Jinyoung Yoon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Jinyoung Yoon
 
5월 11일 과제
5월 11일 과제5월 11일 과제
5월 11일 과제
Jinyoung Yoon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Jinyoung Yoon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Jinyoung Yoon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Jinyoung Yoon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Jinyoung Yoon
 
Week 6 과제
Week 6 과제Week 6 과제
Week 6 과제
Jinyoung Yoon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Jinyoung Yoon
 
Week 5: Translatability
Week 5: TranslatabilityWeek 5: Translatability
Week 5: TranslatabilityJinyoung Yoon
 
Week 4: Message and Meaning
Week 4: Message and MeaningWeek 4: Message and Meaning
Week 4: Message and MeaningJinyoung Yoon
 
Week 1 Introduction to T&I
Week 1 Introduction to T&IWeek 1 Introduction to T&I
Week 1 Introduction to T&IJinyoung Yoon
 

More from Jinyoung Yoon (17)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4: 물주구문과 관계절의 번역
 
13th assignment
13th assignment13th assignment
13th assignment
 
w11/12 samples
w11/12 samplesw11/12 samples
w11/12 samples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
문법 차원의 등가 3: 수동태 문장의 번역
 
9주차 과제 예시
9주차 과제 예시9주차 과제 예시
9주차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7,8차 번역 과제 예시
 
5월 11일 과제
5월 11일 과제5월 11일 과제
5월 11일 과제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2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7강 문법 차원의 등가의 번역: 수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단어 차원 이상의 등가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통번역의 이해 상반기 번역 과제 예시
 
Week 6 과제
Week 6 과제Week 6 과제
Week 6 과제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
Week 6: 단어 차원의 등가
 
4월 3일 과제
4월 3일 과제4월 3일 과제
4월 3일 과제
 
Week 5: Translatability
Week 5: TranslatabilityWeek 5: Translatability
Week 5: Translatability
 
Week 4: Message and Meaning
Week 4: Message and MeaningWeek 4: Message and Meaning
Week 4: Message and Meaning
 
Week 1 Introduction to T&I
Week 1 Introduction to T&IWeek 1 Introduction to T&I
Week 1 Introduction to T&I
 

W3: Understanding Communication in T&I, Introduction to T&I UG

  • 1. Introduction to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1
  • 2. Minimum Input Maximum Output 2
  • 3. 부호체계 화자의 정보 의도 (code system)로서의 언어관습 부호화 (encoding) 청자가 화자의 탈부호화 도출(retrieve)한 메시지 (decoding) 정보 의도 Ruled by the Principle of Economy 3
  • 5. “소개팅 어땠어?” “키도 작아 -_-+” Implicit Information [1] There are more than one criteria for them to evaluate/describe a person. [2] For them, a man‟s height was one of them. [3] (At least for that woman) Being tall is one of positive values. [4] The blind date guy mentioned above had been negatively assessed in criteria other than his height. 5
  • 6. You don‟t need to mention EVERYTHING explicitly “소개팅 어땠어?” 어 있잖아 남잘 볼 땐 여러 가지를 봐야 하 잖아 나도 그래 그런 데… 많은 사람들에게도 그렇듯이 나에겐 키 도 중요해… 그리고 여기서 중요 하다는 건 키는 컸으 면 좋겠어… …이러한 기준으로 볼 때 그 놈은 약속에도 늦게 왔고 밥 도 흘리면서 먹었고 유머 감 ZZZ….. 각도 형편 없었는데 키도 작았지만… 6
  • 7. Mary got pregnant and John was very pleased. Mary got pregnant but John was very pleased. 7
  • 8. 언어의 경제성의 원칙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 소통자는 피소통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를 일일이 외연화하여 전달할 필요가 없다. 대신,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피소통자가 추 론해 낼 수 있도록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전달하면 된다. 8
  • 9.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정보 논리력 과도한 지적 수고 reasoning (intellectual labor) 없이 도 전달되도록 함축된 추론 최소한의 정보 추 추론 론 추론에 필요한 커뮤니케이 션의 열쇠 (communicative 화용적 지식 clues)는 다 있다고 믿고 정 pragmatic 보 의도 추론 knowledge 9
  • 10. 의도한 정보 Cost Benefit 인지 환경 (cognitive environment) 에 변화 문맥 효과 (contextual effects) 지식 기반 (knowledge basis)에 변화 기존 문맥적 가정 (contextual assumption)의 타당 성을 강화하거나 제거 Minimum Cost Maximum Benefit 10
  • 11. Listeners and speakers speak cooperatively and accept mutually in order to “make their contribution such as it is required, at the stage at which it occurs, by the accepted purpose or direction of the talk exchange in which they are engaged.” - Paul Grice 대화 참가자들은 정보와 관련이 없는 무의미한 말을 주고받는 것 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이라는 공통된 목적을 위해 서로 협력한다. 11
  • 12.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ntity(양의 격률)  Make your contribution as informative as is required (for the current purposes of the exchange).  Do not make your contribution more informative than is required. Maxim of Quality(질의 격률): Be Truthful  Do not say what you believe to be false.  Do not say that for which you lack adequate evidence. Maxim of Relation(관계의 격률): Be relevant. Maxim of Manner(양태의 격률)  Be Clear  Avoid obscurity of expression.  Avoid ambiguity.  Be brief (avoid unnecessary prolixity).  Be orderly. 12
  • 13.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ntity(양의 격률)  Make your contribution as informative as is required (for the current purposes of the exchange).  Do not make your contribution more informative than is required.  대화를 할 때 소통자는 피소통자가 정보의도를 추론해낼 수 있도록 필요한 만큼의 정보는 모두 제공한다  그러므로, 어떤 정보가 주어져 있지 않다는 것은, 그 정보는 해당 커뮤니케이션에서 소통자가 의도한 정보 의도를 추론하 는 데 필요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13
  • 14.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Quality(질의 격률): Be Truthful  Do not say what you believe to be false.  Do not say that for which you lack adequate evidence. 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이라고 확신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 즉, 사실이 아닌 것을 말했다면 말할 당시에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몰랐어야 한다 14
  • 15.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Relation(관계의 격률): Be relevant.  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또는 사안과 관련해 연관이 있는 사실만을 말해야 한다 15
  • 16. Four Conversational Maxims Maxim of Manner(양태의 격률)  Be Clear  Avoid obscurity of expression.  Avoid ambiguity.  Be brief (avoid unnecessary prolixity).  Be orderly.  일부러 애매모호하거나 뒤죽박죽으로 말하지 말고, 최선을 다 해 논리정연하고 분명하고 오해의 여지가 없게 말한다 16
  • 17. Explicature Implicature 외연의 외축 내포의 명시의 내축 비(非)명시의 대화의 격률은 대체적으로 준수되며, 이들을 의도적으로 위반(violate, flout, breach)하는 경우, 의도적으로 내포 된 다른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동인(動因, drive)이 있 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화의 격률 위반 행위에 대 한 추론을 통해 명시되지 않은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17
  • 18. Do you know where the nearest gas station is? Go three more blocks down the road. 18
  • 19. Do you know where the nearest gas station is? Maxim of Yes, I do. Relevance Maxim of Can you tell me where I Quantity can find that gas station? Yes, I can. Do you mind telling me how to get there? No, I don‟t. Go three more blocks down the road. 19
  • 20. 김철수 씨 다음 팀장으로 어 떻습니까? 노래는 잘 해요 글씨도 이쁘고. 20
  • 21. 김철수 씨 다음 팀장으로 어떻습니까? 노래와 필체는 회사 팀장 자격요건으로 중요 하지 않다는 것을 두 사람이 이미 알고 있으므 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양의 격률) „…는‟이라는 주제어 표시(topic market)는 „…주제에 관한 한‟이라는 한정을 나타낸다.  다른 것은 잘하지 못한다는 뜻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부정적인 평가를 한 이유는? 다른 동인이 있어서이다 굳이 김철수 씨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직접 하기 싫다는 숨은 의도 고의적인 양태의 격률(Maxim of Manner) 위반으 로 자신의 부정적 태도 강력히 전달 노래는 잘 해요 글씨도 이쁘고. 21
  • 22. 언어사용의 관습(convention)은 의도적으로 화자가 위반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하여 암묵적이고 함축적인 메시지를 전달 할 수도 있다.“메시지는 애매모호하지 않도록 분명하게 규정 되고, 합의된 언어규칙을 위반하는 경우에도 소통이 가능하 다” (Dan Sperber & Deirdre Wilson) 22
  • 23. Explicature Implicature 외연의 외축 내포의 명시의 내축 비(非)명시의 명시적 언어표현으로 전달 화자와 청자 사이의 대화상황 특유의 화용적 가정(pragmatic assumption)과 공유된 원칙에 근거를 둔 추론과정을 통해 도출되는 것. 화자가 의도한 바를 직선적으로 발화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암시해서 나타나는 의미 23
  • 24. <First-round communication> ST ST 저자 ST 독자 번역가 TT TT 독자 <Second-round communication> 24
  • 25. 북한 공산당, 동족상잔, 인민재판, RED 학살… „빨갱이‟ Red - the blood of angry men! Black - the dark of ages past! Red - a world about to dawn! Black - the night that ends at last! 25
  • 26. ST 저 ST ST 자 독자 번역가 TT TT 독자  서로 다른 부호체계를 쓰는 두 문화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처음에 말한 사 람의 의도가 의도만큼 도출되지 못하고 이해용이성(accessibility)이 떨어질 수 도 있다. 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의 실패는 언어라는 부호체계 (단어, 문법, 용법)를 잘못 사 용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전달하려는 정보의도를 추론하도록 의도된 전제나 가 정에 대해 잘못된 추론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한다.  통·번역사의 중개행위는 언어중개뿐 아니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중개, 즉 메시 지의 의미의 총합을 제대로 평가하고 양쪽에서 등가가 이루어지며 이해용이성도 높아지는 방법이 필요하다.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