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동향과 추세
- 계량서지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2010. 9. 3.
천문 ( 연 ) 과 미래전략 세미나
천문 ( 연 ) 미래전략팀장 권
기석
2
차례
서론 및 방법론Ⅰ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Ⅱ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Ⅲ
천문 ( 연 ) 연구동향과 추세I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V
3
Ⅰ. 서론 및 방법론
서지계량학 방법론과 분석 데이타
서지계량학서지계량학 논문의 서지정보 ( 저자의 인적사항 , 주제어 , 초록 ) 분석
방법론방법론
ISI SCIE database, SC A&A데이타데이타
4
Trend analysis, Social network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5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6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7
II-1.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국
가별 , 기관별 논문 성과는 어떠한가 ?
8
세계 천문우주연구의 성장
< 그림 1> 지난 20 년간 (1989 년 -2009 년 ) 천문학 논문의 생산 추이와 성장
률
* 주 : 막대그래프는 논문의 수 , 실선은 전년대비 성장률을 나타냄
.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전체 논문 수는
1989 년 5678 편에
서 2009 년 12961
편으로 20 년간 약
2 배 이상 증가하였
음 . 이를 연평균 성
장률로 계산하면
4.34% 에 해당
9
국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2>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생산 순위 ( 상위 20 위권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13,170 건 중 3582 건 (27.2%) 을 생산한 미국이 1
위를 차지하였음 . 독일 , 영국 , 프랑스 , 이태리가
미국의 3 분의 1 에서 5 분의 1 수준에서 뒤를 잇고
있음 . 한국은 151 건 ( 점유율 1.1%) 을 생산하여
18 위를 기록
1989 년 , 1999 년 , 2009 년의 국가별 점유율을 비교해
보면 미국의 점유율은 낮아졌으나 , 2 위 이하 상위권 국
가들의 논문생산 점유율이 상승하여 국가가 논문생산의
불평등은 심화
10
국가별 논문인용 – 질적 측면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 그림 3>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인용 순위 ( 상위 20 위권 )
논문 생산량 순위과는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 . 일
본 , 캐나다 , 중국 , 스위스 , 인도 , 브라질 , 한국 , 벨기에 ,
이스라엘의 경우 양적 생산성 순위보다 높은 질적 순위를 기록
미국의 경우 , 논문의 인용수에 있어서 다른 국가와의 격차가 더
욱 벌려 질적인 측면에서 전세계를 주도 ( 상위 20 개국 중 생산
점유율은 26%, 인용 점유율은 38%)
11
국가별 논문 생산– 질적 / 양적 모두 고려시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주 : 그래프의 선은 선형추세선임 , 주저자 기준으
로 미국은 3582 개의 논문이 12883 회의 인용을 받
음 .
미국 ( 주 참조 ) 은 물론 독일 , 영국 , 캐나다 ,
스위스 등이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중국
이나 러시아 , 인도 등은 그렇지 않음 .
12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생산량 순위
전체논문 13,172 건 중 1.6% 에 해당하는 216 건을 중국
과학원 (Chinese Academy of Science) 이 생산 1 위 차지 .
20 위 내의 기관 중 9 개의 기관이 미국 소속
일본의 동경대 , 교토대 , 국립천문대는 각각 8 위 , 10
위 , 90 위를 차지하였음 . 한국의 서울대는 83 위 , 천문
( 연 ) 이 95 위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13
기관별 논문생산 – 질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인용수 순위
생산량 순위와 다르게 미항공우주국 (NASA), 캘리포니아공대 , 하바드스미소니
언 천체물리센터 , 버클리대 , 캠브리지 대학이 중국과학원보다 높은 논문의 질 .
러시아과학원은 인용수 72 회로 106 위로 나타나 생산량에 비해 턱없이 낮은 인
용 수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14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 질적 측면 동시 고려시
< 그림 > 천문학 분야 연구의 생산성과 질 ( 생산량 상위 20 위 기관 기
준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러시아과학원은 그림에서 Outlier 로 처
리 .
미항공우주국 , 버클리대학 , 막스플랑크 천
체물리연구소 등이 생산량 대비 인용률이 높
은 반면 , CNRS, 멕시코국립대 , 중국과학원
등이 상대적 인용율이 낮음
15
II-2.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어떤 분야가 활
성화되어 있고 이와 국가와 기관간의 관계를 어떠한가 ?
16
고려시
주제어 ( 빈도순위 ) 빈도 인용 주제어 ( 인용순위 ) 빈도 인용
galaxies: active 505 1835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galaxies: evolution 502 2271 galaxies: evolution 502 2271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active 505 1835
methods: numerical 367 1101 Dark matter 253 1600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cosmic microwave bgr. 122 1460
methods: data analysis 294 667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galaxies: formation 260 1381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methods: numerical 367 1101
X-rays: binaries 265 563 large-scale structure of uni 202 1042
galaxies: formation 260 1381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cosmology: theory 256 879 surveys 194 1006
hydrodynamics 254 715 galaxies: high-red shift 187 952
Dark matter 253 1600 early universe 65 929
ISM: molecules 253 518 cosmology: theory 256 879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kinematics & dynamics 237 611 space vehicles: instruments 20 844
Sun: magnetic fields 236 456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2009 년도에 전 세계에서 생산된 천문학 및 천체물리분야 SCIE 급 논문 13,289 편의 주제어 (keyword) 분석을
실시한 결과 , 3 만 9 천여 개의 주제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 galaxies: active (505 회 )’ 로 나타났으
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502 회 )’, ‘stars: formation (477 회 )’, ‘method: numerical (367 회 )’ 등으로
나타났음 . 한편 총 10 만여 회의 인용 중 , 인용수가 가장 높은 주제어는 ‘ cosmology: observations (2316
회 )’ 이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2271 회 )’, ‘galaxies: active (1835 회 )’, ‘Dark matter (1600 회 )’ 의
순위로 나타났음 . 빈도순위와 인용순위에 있어 상위 20 위까지의 주제어를 표시하면 다음 표와 같음 .
17
주제어 분석
주제어 별 빈도수 순위를 보여주는 위의 표의 왼쪽 부분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그림에 의하
면 , ‘cosmology: observation', 'Dark matter', 'galaxies: formation' 이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높은 주제어로
나타났음 . 빈도수 기준으로 표현된 아래 그림에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표현되지 않았지만 , ’space
vehicles: instruments', 'early univers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또한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앞의 표 우측 참조 ).
18
미국 / 일본 / 한국 주제어 순위 (2009 년도 )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alaxies: active 170 744
galaxies: evolution 164 835
stars: formation 142 577
planetary systems 118 554
black hole physics 101 415
cosmology:
observations
101 1278
accretion, accretion
disks
100 300
MHD 98 338
methods: numerical 92 295
Sun: corona 90 309
circumstellar matter 89 274
galaxies: formation 87 584
X-rays: galaxies 84 341
galaxies: clusters:
general
82 339
cosmology: theory 79 336
ISM: clouds 79 259
methods: data analysis 78 166
infrared: stars 75 289
hydrodynamics 74 208
X-rays: binaries 74 196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accretion, accretion
disks
36 116
galaxies: active 28 70
stars: formation 26 70
X-rays: ISM 24 36
ISM: clouds 21 28
Galaxy: center 20 52
hydrodynamics 20 46
ISM: molecules 20 47
dust, extinction 19 39
black hole physics 18 38
galaxies: formation 18 38
Radiative transfer 18 82
cosmology: theory 16 23
galaxies: ISM 16 49
ISM: supernova
remnants
16 38
supernovae: general 16 49
galaxies: evolution 15 56
methods: numerical 15 32
relativity 15 26
X-rays: galaxies 15 31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ravitational lensing 9 20
galaxies: evolution 8 21
stars: formation 8 8
black hole physics 7 0
shock waves 7 9
galaxies: starburst 5 11
hydrodynamics 5 0
infrared: ISM 5 11
planetary systems 5 17
accretion, accretion
disks
4 0
cosmology: theory 4 7
dark matter theory 4 22
galaxies: formation 4 11
galaxies: general 4 10
galaxies: ISM 4 2
galaxies: photometry 4 7
HII regions 4 4
inflation 4 30
ISM: clouds 4 4
ISM: molecules 4 2
미국 일본 한국
19
III-1.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주체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내는지 ?
기관간 관계는 어떠한지 ?
한국천문학의 성장
20
지난 20 년간 한국 천문학 분야의 10 배 이상의 논문 증가를 보여주고 있음 . 총 논문 수는
서울대 (882 개 ), 천문연 (474), 연세대 (462 개 ), 경북대 (387 개 ), 성균관대 (311 개 ),
고등과학원 (250 개 ), 고려대 (209 개 ), 한국과학기술원 (163 개 ), 세종대 (161 개 ) 의 순
위
한국천문학 연구기관의 양 / 질
21
2009 년도 한국이 주저자로 생산한 151 개의 논문을 기관별로 논문의 수와 인용수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
음 . 고등과학원 , 카이스트 , 서울대가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경희대 , 연세대 , 천문 ( 연 ) 등은 그
렇지 않음 .
< 그림 > 한국 천문학 분야 기관별 연구 생산성과 질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2009 년 성과
22
한국천문학의 국가별 연구 네트워크
Korea USA Japan Germany Russia Taiwan France England
Switzerlan
d
China
Korea 1055 492 265 194 172 159 153 145 141 131
USA 492 496 190 156 154 141 142 128 137 100
Japan 265 190 268 109 126 125 80 89 118 76
Germany 194 156 109 196 109 82 104 101 95 51
Russia 172 154 126 109 172 118 87 79 129 82
Taiwan 159 141 125 82 118 160 63 59 112 64
France 153 142 80 104 87 63 153 96 75 32
England 145 128 89 101 79 59 96 146 74 24
Switzerlan
d
141 137 118 95 129 112 75 74 141 71
China 131 100 76 51 82 64 32 24 71 132
* 링크 빈도 140 이상
23
한국천문학의 기관별 연구 네트워크
* 링크 빈도 60 이상
SNU KASI YU KNU UT JHU OCU UCLA ITEP UI
SNU 305 30 58 108 93 62 104 58 83 74
KASI 30 206 12 16 6 6 0 4 0 1
YU 58 12 173 54 69 33 52 35 52 19
KNU 108 16 54 159 56 55 109 57 88 74
UT 93 6 69 56 125 7 52 3 54 22
JHU 62 6 33 55 7 115 55 88 31 57
OCU 104 0 52 109 52 55 112 55 83 72
UCLA 58 4 35 57 3 88 55 112 34 55
ITEP 83 0 52 88 54 31 83 34 107 65
UI 74 1 19 74 22 57 72 55 65 104
Seoul Natl Univ
Korea Astron & Space Sci Inst
Yonsei Univ
Kyungpook Natl Univ
Univ Tokyo
Johns Hopkins Univ
Osaka City Univ
Univ Calif Los Angeles
Inst Theoret & Expt Phys
Univ Illinois
24
III-2.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지 ?
25
한국천문학의 주제어 빈도수 / 인용수 순위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alaxies: evolution 56 667 inflation 16 70
galaxies: active 33 228 cosmology: observations 15 164
gravitational lensing 32 69 infrared: galaxies 15 86
stars: formation 28 94 Sun: corona 15 43
ultraviolet: galaxies 28 320 Sun: magneticfields 15 31
large-scale structure of
universe
24 93 surveys 15 276
ISM: clouds 20 70 galaxies: structure 14 64
ISM: molecules 20 34 dark matter 13 61
black hole physics 19 41 methods: dataanalysis 13 94
cosmology: theory 19 38 turbulence 13 42
galaxies:
ellipticalandlenticular,cD
19 201 methods: numerical 12 22
galaxies: starburst 19 143 methods: statistical 12 17
galaxies:
fundamentalparameters
18 320 shock waves 12 56
galaxies: formation 17 157 super nova remnants 12 27
galaxies: clusters: general 16 123
galaxies: kinematics and
dynamics
11 60
26
IV-1.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네트워크
27
천문 ( 연 ) 의 국가별 연구네트워크
* 링크 빈도 20 이상
Korea USA Japan China England Germany Russia Poland Chile India
Korea 694 256 74 49 42 43 42 40 34 30
USA 256 260 30 17 27 29 12 23 24 17
Japan 74 30 88 7 14 12 5 10 8 4
China 49 17 7 49 2 8 3 5 0 2
England 42 27 14 2 43 11 0 12 8 2
Germany 43 29 12 8 11 43 8 13 7 2
Russia 42 12 5 3 0 8 43 12 4 4
Poland 40 23 10 5 12 13 12 40 17 1
Chile 34 24 8 0 8 7 4 17 34 0
India 30 17 4 2 2 2 4 1 0 31
28
천문 ( 연 ) 의 기관별 연구네트워크
KASI SNU KNU CNU KHU CAS SU CfA KAIST YU
KASI 641 97 63 53 44 32 36 32 29 29
SNU 97 102 3 2 6 2 3 4 1 6
KNU 63 3 69 3 0 1 8 0 2 0
CNU 53 2 3 59 2 0 7 8 2 2
KHU 44 6 0 2 47 2 0 1 0 0
CAS 32 2 1 0 2 37 1 3 0 0
SU 36 3 8 7 0 1 37 1 0 1
CfA 32 4 0 8 1 3 1 36 0 0
KAIST 29 1 2 2 0 0 0 0 31 0
YU 29 6 0 2 0 0 1 0 0 31
* 링크 빈도 10 이상
29
천문 ( 연 ) 의 개인별 연구네트워크
2010 년 1 월 11 일 기준 Korea* Ast* 로 검색한 논문
727 편의 공저자 네트워크
30
중심성
저자별 중앙성 정도
순위
근접 중심성
Closeness
연결정도 중심성
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
Node Betweenness Centrality
1 Kim,SL 0.18226 Raiteri,CM 0.132812 Raiteri,CM 0.145847
2 Jin,H 0.180072 Gould,A 0.065104 Lee,CU 0.145141
3 Lee,CU 0.176471 Stello,D 0.054688 Kim,SL 0.126357
4 Lee,JW 0.170648 Moon,YJ 0.044271 Jin,H 0.115757
5 Lee,MG 0.166297 Kim,SL 0.039062 Lee,MG 0.094455
6 Stello,D 0.163221 Edelstein,J 0.039062 Lee,SG 0.06969
7 Edelstein,J 0.16269 Seon,KI 0.036458 Stello,D 0.067104
8 Seon,KI 0.162514 Lee,MG 0.033854 Kim,HI 0.062991
9 Kim,HI 0.160772 Dong,SB 0.03125 Kim,KS 0.059547
10 Park,BG 0.160428 Cho,KS 0.03125 Gould,A 0.056204
11 Park,JH 0.158395 Jeong,WS 0.028646 Lee,JW 0.053741
12 Kim,D 0.155925 Lee,DH 0.026042 Cho,KS 0.052264
13 Yuk,IS 0.15448 Kim,YH 0.020833 Park,BG 0.050379
14 Youn,JH 0.152439 Lee,JW 0.020833 Lee,S 0.049472
15 Jeon,YB 0.152284 Kim,J 0.020833 Lee,DH 0.041745
16 Han,W 0.151976 Park,YD 0.020833 Edelstein,J 0.037981
17 Raiteri,CM 0.151668 Joshi,B 0.020833 Seon,KI 0.036249
18 Han,C 0.14985 Kim,KH 0.020833 Kim,KH 0.035745
근접중심성은 한 점이 다른 점
에 얼마만큼 가깝게 있는가를
말한다 ( 두 점 사이의 거리가
핵심개념 ). 다른 점과 가까이
있다면 그들과 쉽게 관계를 맺
을 수 있다고 본다 . ( 예 , 김승
리 )
연결정도 중심성은 다른 점과의
연결된 정도를 보는데 , 한 점
에 연결된 다른 점의 수로 측정
된다 ( 연결된 점의 수가 핵심
개념 ). 협력을 얼마나 폭넓게
열심히 하는가의 문제
매개중심성은 한 점이 얼마나
다른 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
는데 중개자 혹은 다리 역할을
하느냐이다 . ( 예 , 이충욱 )
31
IV-2.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분야 변화
32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천문 ( 연 ) 의 지난 20 년간 주요 연구주제
주제어 빈도수 주제어 빈도수
ISM 454 circumstellar matter 31
stars 375 cosmology 26
galaxies 299 line 26
Sun 190 MHD 25
binaries 114 turbulence 25
accretion 73 ultraviolet 25
Galaxy 68 X-rays 24
methods 48 hydrodynamics 23
infrared 43 shock waves 23
techniques 43 astrometry 20
gravitational
lensing
39 planetary systems 20
instabilities 38 radio lines 20
GPS 34 총 빈도수 2106
총 주제어 3148 개 중 10 회
이상의 빈도를 보인 주제어
(2106 회로 67% 에 해당 ) 를
빈도수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
음과 같음 . 천문 ( 연 ) 이 지
난 20 년간 생산한 논문의 연
구대상 혹은 주제는 빈도수에
따라 성간물질 (ISM), 별
(stars), 외부은하 (galaxies),
태양 (Sun), 쌍성 (binaries)
의 순서로 나타났다 .
33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그렇다면 ISM 과 stars 에서도 어느 세부분야를 연구하는가 ?
주제어 ISM 의 세부 키워드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 clouds 63 stars : variables 46
ISM : molecules 38 stars : formation 41
ISM : abundances 28 stars : evolution 22
ISM : structure 17 stars : binaries 17
ISM : kinematics and dynamics 14 stars : oscillations 17
ISM : lines and bands 14 stars : binaries : eclipsing 10
ISM : magnetic fields 12 stars : low-mass 10
ISM : jets and outflows 11 stars : pre-main sequence 10
ISM : bubbles 9 stars : general 10
ISM : individual (NGC 1333 IRAS 4) 7 stars : fundamental parameters 9
ISM : globules 6 stars : activity 8
ISM : individual : Sgr A East 5 stars : magnetic fields 7
ISM : atoms 4 stars : white dwarfs 7
ISM : evolution 4 stars : abundances 6
ISM : individual (HB 21) 4 stars : late-type 6
ISM : individual : NGC 6822 4 stars : low-mass, brown dwarfs 6
ISM : individual (G216-2.5) 4 stars : novae, cataclysmic variables 6
34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주제어의 결합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stars binaries 52 planetary systems gravitational lensing 8
ISM stars 29 quasars galaxies 7
ISM instabilities 19 blue stragglers stars 7
ISM ultraviolet 15 black hole physics accretion 7
stars accretion 13 galaxies accretion 7
ISM Galaxy 12 accretion ISM 7
ISM infrared 11 galaxies techniques 7
ISM turbulence 11 astrometry stars 6
Sun shock waves 11 binaries X-rays 6
stars techniques 10 catalogs galaxies 6
stars circumstellar matter 10 Galaxy stars 6
ISM radio lines 9 Galaxy gravitational lensing 6
ISM HII regions 9 infrared stars 6
instabilities MHD 9 ISM MHD 6
ISM supernova remnants 8 ISM line 6
별 (stars), 성간물질 (ISM) 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다른 주제어와 연계되
고 있다 . 두 그림을 비교해보면 3 번째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인 외부은하
(galaxies) 상대적으로 약하게 앞의 두 주요 주제어와 연계되어 있다 . 태양
(Sun) 연구는 shock waves 와 함께 별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 이를
technique 가 두 주요주제어와 약하게 연결시켜주고 있다 .
35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ISM 81 ISM 110 ISM 277
Stars 37 Stars 96 Stars 244
Galaxies 22 Galaxies 41 Galaxies 237
Binaries 21 Sun 36 Sun 152
Circumstellarmatter 14 Binaries 35 Binaries 58
Galaxy 14 Instabilities 19 Accretion 52
Line 13 Accretion 14 Galaxy 40
Instabilities 11 Galaxy 14 Methods 38
Masers 9 Astrometry 13 Techniques 35
Accretion 7 Gravitationallensing 12 Infrared 32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변화
36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Binaries Stars 8 Binaries Stars 20 Binaries Stars 28
Binaries X-Rays 7 Instabilities ISM 12 ISM Stars 22
Galaxy ISM 5 Open cluster Stars 6 ISM Ultraviolet 14
ISM Radio lines 5 ISM Stars 6 Shockwaves Sun 11
Instabilities ISM 5 Hiiregions ISM 5 ISM Turbulence 9
Galaxy Stars 5 Blue stragglers Stars 5 Techniques Stars 8
Line ISM 4 Accretion Stars 5 Accretion Stars 8
Circumstellar m. Stars 4 Instabilities Mhd 5 Infrared ISM 8
Line Rad.
transfer
3 Astrometry Stars 5 Galaxies Quasars 7
Circumstellar m. Masers 3 Galaxy ISM 5 Galaxy ISM 7
37
2000 년대 후반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2000 년대 초반
1990 년대
38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계량서지분석 ,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기관 연구개발 정책 수립
39
향후 과제 – 천문학의 세부연구분야와 매칭
1 차분야 2 차분야
Applied
Mathematics,
Physics
Mathematical Papers Relates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Computing, Physical Papers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nomical
Instruments &
Techniques
Astronomical Optics, Astronomical Instruments, Radio
Telescopes and Equipment, Auxiliary Instrumentation, Space
Instrumentation, Methods of Observation and Reduction, Data
Processing
Positional
Astronomy,
Celestial
Mechanics
Astrometry, Celestial Mechanics, Figures of Celestial
Bodies, Astronomical Constants, Reference systems, Time and
Latitude Determination, Earth Rotation, Polar Motion,
Astronomical Geodesy, Satellite Geodesy, Navigation,
Ephemerides, Almanacs, Calendars, Chronology
Space Research
Extraterrestrial Research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dynamic, Navigation of Space Vehicles,
Artificial satellites, Space Probes
Theoretical
Astrophysics
General Aspects, Hydrodynamics, Magnetohydrodynamics,
Plasma, Radiative Transfer, Scattering, Stella Atmospheres,
Stella Envelopes, Mass Loss, Accretion, Stella Structure and
Evolution, Relativistic Atmosphysics, Gravitation Theory,
Atmosphysics of Compact Objects (Neutron Stars, Black Holes)
Sun
Photosphere, Spectrum, Sunspots, Faculae, Activity Cycles,
Solar Patrol, Chromosphere Flares, Prominences, Corona,
Solar Wind, Magnetic Fields, UV, X, Gamma Radiation, Radio,
Infrared Radiation, Cosmic Radiation, Solar Eclipses,
Atmosphere, Figure, Internal Constitution, Neutrinos, etc
Earth
Structure etc, Atmosphere, Ionosphere, Aurorae, Solar-
terrestrial Relations
Planetary system
Physics and Dynamics of the Planetary System, Mercury,
Venus, Moon, Lunar Eclipses, Lunar and Planetary
Occultations, Mars, Minor Planets, Jupiter, Saturn, Uranus,
Comets Meteors, Meteorites, Interplanetary Matter,
Cosmogony
Stars
Parallaxes, Spectra, Luminosities, Rotation, Close
Binaries, Visual Binaries, Eclipsing Binaries,
Spectroscopic Binaries, Early-stage Stars, Intrinsic
Variables, variables Stars, Novae, Supernovae, Degenerate
Stars, Stella Evolution
Interstella
Matter, Nebulae
Interstella Matter (Molecular Cloudes, Reflection Nebulae,
etc.), Star Formation, HⅡRegions Emission Nebulae,
Infrared Sources, Planetary Nebulae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Kinematics, Dynamics),
Stella Associations, Open clusters, Globular clusters
Galaxy,
Extragalactic
Objects
Galaxy, Magellanic Clouds, Normal Galaxies, Active
Galaxies, Quasi-stella Objects, Galaxy Groups
Cosmology Universe, Cosmology, Background Radiation
Historical
천문기록연구 , 천문기기연구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Han Woo PARK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Yulee Kwon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carpediemrds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POSTECH Library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Hanbat National Univerisity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JIHYUNPARK87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MoonBanghee
 
2020 eResources@UNIST LIBRARY
2020 eResources@UNIST LIBRARY2020 eResources@UNIST LIBRARY
2020 eResources@UNIST LIBRARY
yeon0517
 

Similar to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9)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소행성분야 계량정보분석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09 2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Start your Research in UNIST Library: Chemistry + ECHE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
2013 천문연구원 여름호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2011 도서관 리소스 가이드(물리)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2019 e resources@unist-library20190131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SKKU 온라인 튜토리얼 - JCR
 
2020 eResources@UNIST LIBRARY
2020 eResources@UNIST LIBRARY2020 eResources@UNIST LIBRARY
2020 eResources@UNIST LIBRARY
 

More from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Hanbat National Univerisity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Hanbat National Univerisity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Hanbat National Univerisity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Hanbat National Univerisity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Hanbat National Univerisity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Hanbat National Univerisity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Hanbat National Univerisity
 

More from Hanbat National Univerisity (20)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권기석 과학기술 씽크탱크 정부학회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00 출연(연) 발전방안 (2017년 12월)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과학은 왜 이식되기 어려운가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Kwon 트리플헬릭스 양적방법론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시스템 불확실성을 활용한 기술에측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녹색산업 기술경쟁력 지수 개발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국제과학기술협력 전략에 대한 연구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비이공계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행정학 네트워크 - 정책학회발표본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권기석 과학정책의 개념틀과 이슈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Kapa 발표 한국 이공계 대학교수의 특성과 산학협력의 방식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계량정보포럼 국내 및 해외 학위자 네트워크 분석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산학협력 이론과 전략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Does regional innovation occur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Government policies and_the_internationalisation_of_universities
 

천문우주 연구동향 계량분석

  • 1.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동향과 추세 - 계량서지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2010. 9. 3. 천문 ( 연 ) 과 미래전략 세미나 천문 ( 연 ) 미래전략팀장 권 기석
  • 2. 2 차례 서론 및 방법론Ⅰ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Ⅱ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Ⅲ 천문 ( 연 ) 연구동향과 추세I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V
  • 3. 3 Ⅰ. 서론 및 방법론
  • 4. 서지계량학 방법론과 분석 데이타 서지계량학서지계량학 논문의 서지정보 ( 저자의 인적사항 , 주제어 , 초록 ) 분석 방법론방법론 ISI SCIE database, SC A&A데이타데이타 4 Trend analysis, Social network
  • 5.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5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 6. 과학기획의 방법론과 절차 6 출처 : 권기석 · 이문영 (2009)
  • 7. 7 II-1.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국 가별 , 기관별 논문 성과는 어떠한가 ?
  • 8. 8 세계 천문우주연구의 성장 < 그림 1> 지난 20 년간 (1989 년 -2009 년 ) 천문학 논문의 생산 추이와 성장 률 * 주 : 막대그래프는 논문의 수 , 실선은 전년대비 성장률을 나타냄 .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전체 논문 수는 1989 년 5678 편에 서 2009 년 12961 편으로 20 년간 약 2 배 이상 증가하였 음 . 이를 연평균 성 장률로 계산하면 4.34% 에 해당
  • 9. 9 국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2>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생산 순위 ( 상위 20 위권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13,170 건 중 3582 건 (27.2%) 을 생산한 미국이 1 위를 차지하였음 . 독일 , 영국 , 프랑스 , 이태리가 미국의 3 분의 1 에서 5 분의 1 수준에서 뒤를 잇고 있음 . 한국은 151 건 ( 점유율 1.1%) 을 생산하여 18 위를 기록 1989 년 , 1999 년 , 2009 년의 국가별 점유율을 비교해 보면 미국의 점유율은 낮아졌으나 , 2 위 이하 상위권 국 가들의 논문생산 점유율이 상승하여 국가가 논문생산의 불평등은 심화
  • 10. 10 국가별 논문인용 – 질적 측면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 그림 3> 2009 년도 국가별 논문 인용 순위 ( 상위 20 위권 ) 논문 생산량 순위과는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 . 일 본 , 캐나다 , 중국 , 스위스 , 인도 , 브라질 , 한국 , 벨기에 , 이스라엘의 경우 양적 생산성 순위보다 높은 질적 순위를 기록 미국의 경우 , 논문의 인용수에 있어서 다른 국가와의 격차가 더 욱 벌려 질적인 측면에서 전세계를 주도 ( 상위 20 개국 중 생산 점유율은 26%, 인용 점유율은 38%)
  • 11. 11 국가별 논문 생산– 질적 / 양적 모두 고려시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주 : 그래프의 선은 선형추세선임 , 주저자 기준으 로 미국은 3582 개의 논문이 12883 회의 인용을 받 음 . 미국 ( 주 참조 ) 은 물론 독일 , 영국 , 캐나다 , 스위스 등이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중국 이나 러시아 , 인도 등은 그렇지 않음 .
  • 12. 12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생산량 순위 전체논문 13,172 건 중 1.6% 에 해당하는 216 건을 중국 과학원 (Chinese Academy of Science) 이 생산 1 위 차지 . 20 위 내의 기관 중 9 개의 기관이 미국 소속 일본의 동경대 , 교토대 , 국립천문대는 각각 8 위 , 10 위 , 90 위를 차지하였음 . 한국의 서울대는 83 위 , 천문 ( 연 ) 이 95 위 출처 : 저자 , ISI database
  • 13. 13 기관별 논문생산 – 질적 측면 < 그림 > 2009 년도 기관별 논문 인용수 순위 생산량 순위와 다르게 미항공우주국 (NASA), 캘리포니아공대 , 하바드스미소니 언 천체물리센터 , 버클리대 , 캠브리지 대학이 중국과학원보다 높은 논문의 질 . 러시아과학원은 인용수 72 회로 106 위로 나타나 생산량에 비해 턱없이 낮은 인 용 수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 14. 14 기관별 논문생산 – 양적 / 질적 측면 동시 고려시 < 그림 > 천문학 분야 연구의 생산성과 질 ( 생산량 상위 20 위 기관 기 준 )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러시아과학원은 그림에서 Outlier 로 처 리 . 미항공우주국 , 버클리대학 , 막스플랑크 천 체물리연구소 등이 생산량 대비 인용률이 높 은 반면 , CNRS, 멕시코국립대 , 중국과학원 등이 상대적 인용율이 낮음
  • 15. 15 II-2. 세계 연구동향과 추세 세계 천문우주분야 연구에 있어 전체적으로 어떤 분야가 활 성화되어 있고 이와 국가와 기관간의 관계를 어떠한가 ?
  • 16. 16 고려시 주제어 ( 빈도순위 ) 빈도 인용 주제어 ( 인용순위 ) 빈도 인용 galaxies: active 505 1835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galaxies: evolution 502 2271 galaxies: evolution 502 2271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active 505 1835 methods: numerical 367 1101 Dark matter 253 1600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cosmic microwave bgr. 122 1460 methods: data analysis 294 667 stars: formation 477 1399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galaxies: formation 260 1381 cosmology: observations 270 2316 methods: numerical 367 1101 X-rays: binaries 265 563 large-scale structure of uni 202 1042 galaxies: formation 260 1381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clusters: general 272 1006 cosmology: theory 256 879 surveys 194 1006 hydrodynamics 254 715 galaxies: high-red shift 187 952 Dark matter 253 1600 early universe 65 929 ISM: molecules 253 518 cosmology: theory 256 879 planetary systems 247 1024 black hole physics 259 844 galaxies: kinematics & dynamics 237 611 space vehicles: instruments 20 844 Sun: magnetic fields 236 456 accretion, accretion disks 295 766 2009 년도에 전 세계에서 생산된 천문학 및 천체물리분야 SCIE 급 논문 13,289 편의 주제어 (keyword) 분석을 실시한 결과 , 3 만 9 천여 개의 주제어 중 가장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 galaxies: active (505 회 )’ 로 나타났으 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502 회 )’, ‘stars: formation (477 회 )’, ‘method: numerical (367 회 )’ 등으로 나타났음 . 한편 총 10 만여 회의 인용 중 , 인용수가 가장 높은 주제어는 ‘ cosmology: observations (2316 회 )’ 이며 , 다음으로 ‘ galaxies: evolution (2271 회 )’, ‘galaxies: active (1835 회 )’, ‘Dark matter (1600 회 )’ 의 순위로 나타났음 . 빈도순위와 인용순위에 있어 상위 20 위까지의 주제어를 표시하면 다음 표와 같음 .
  • 17. 17 주제어 분석 주제어 별 빈도수 순위를 보여주는 위의 표의 왼쪽 부분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그림에 의하 면 , ‘cosmology: observation', 'Dark matter', 'galaxies: formation' 이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높은 주제어로 나타났음 . 빈도수 기준으로 표현된 아래 그림에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표현되지 않았지만 , ’space vehicles: instruments', 'early univers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또한 빈도수 대비 인용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 앞의 표 우측 참조 ).
  • 18. 18 미국 / 일본 / 한국 주제어 순위 (2009 년도 )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alaxies: active 170 744 galaxies: evolution 164 835 stars: formation 142 577 planetary systems 118 554 black hole physics 101 415 cosmology: observations 101 1278 accretion, accretion disks 100 300 MHD 98 338 methods: numerical 92 295 Sun: corona 90 309 circumstellar matter 89 274 galaxies: formation 87 584 X-rays: galaxies 84 341 galaxies: clusters: general 82 339 cosmology: theory 79 336 ISM: clouds 79 259 methods: data analysis 78 166 infrared: stars 75 289 hydrodynamics 74 208 X-rays: binaries 74 196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accretion, accretion disks 36 116 galaxies: active 28 70 stars: formation 26 70 X-rays: ISM 24 36 ISM: clouds 21 28 Galaxy: center 20 52 hydrodynamics 20 46 ISM: molecules 20 47 dust, extinction 19 39 black hole physics 18 38 galaxies: formation 18 38 Radiative transfer 18 82 cosmology: theory 16 23 galaxies: ISM 16 49 ISM: supernova remnants 16 38 supernovae: general 16 49 galaxies: evolution 15 56 methods: numerical 15 32 relativity 15 26 X-rays: galaxies 15 31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ravitational lensing 9 20 galaxies: evolution 8 21 stars: formation 8 8 black hole physics 7 0 shock waves 7 9 galaxies: starburst 5 11 hydrodynamics 5 0 infrared: ISM 5 11 planetary systems 5 17 accretion, accretion disks 4 0 cosmology: theory 4 7 dark matter theory 4 22 galaxies: formation 4 11 galaxies: general 4 10 galaxies: ISM 4 2 galaxies: photometry 4 7 HII regions 4 4 inflation 4 30 ISM: clouds 4 4 ISM: molecules 4 2 미국 일본 한국
  • 19. 19 III-1.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주체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내는지 ? 기관간 관계는 어떠한지 ?
  • 20. 한국천문학의 성장 20 지난 20 년간 한국 천문학 분야의 10 배 이상의 논문 증가를 보여주고 있음 . 총 논문 수는 서울대 (882 개 ), 천문연 (474), 연세대 (462 개 ), 경북대 (387 개 ), 성균관대 (311 개 ), 고등과학원 (250 개 ), 고려대 (209 개 ), 한국과학기술원 (163 개 ), 세종대 (161 개 ) 의 순 위
  • 21. 한국천문학 연구기관의 양 / 질 21 2009 년도 한국이 주저자로 생산한 151 개의 논문을 기관별로 논문의 수와 인용수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 음 . 고등과학원 , 카이스트 , 서울대가 생산성 대비 질이 높은 반면 , 경희대 , 연세대 , 천문 ( 연 ) 등은 그 렇지 않음 . < 그림 > 한국 천문학 분야 기관별 연구 생산성과 질 출처 : 저자 , ISI data base, 2009 년 성과
  • 22. 22 한국천문학의 국가별 연구 네트워크 Korea USA Japan Germany Russia Taiwan France England Switzerlan d China Korea 1055 492 265 194 172 159 153 145 141 131 USA 492 496 190 156 154 141 142 128 137 100 Japan 265 190 268 109 126 125 80 89 118 76 Germany 194 156 109 196 109 82 104 101 95 51 Russia 172 154 126 109 172 118 87 79 129 82 Taiwan 159 141 125 82 118 160 63 59 112 64 France 153 142 80 104 87 63 153 96 75 32 England 145 128 89 101 79 59 96 146 74 24 Switzerlan d 141 137 118 95 129 112 75 74 141 71 China 131 100 76 51 82 64 32 24 71 132 * 링크 빈도 140 이상
  • 23. 23 한국천문학의 기관별 연구 네트워크 * 링크 빈도 60 이상 SNU KASI YU KNU UT JHU OCU UCLA ITEP UI SNU 305 30 58 108 93 62 104 58 83 74 KASI 30 206 12 16 6 6 0 4 0 1 YU 58 12 173 54 69 33 52 35 52 19 KNU 108 16 54 159 56 55 109 57 88 74 UT 93 6 69 56 125 7 52 3 54 22 JHU 62 6 33 55 7 115 55 88 31 57 OCU 104 0 52 109 52 55 112 55 83 72 UCLA 58 4 35 57 3 88 55 112 34 55 ITEP 83 0 52 88 54 31 83 34 107 65 UI 74 1 19 74 22 57 72 55 65 104 Seoul Natl Univ Korea Astron & Space Sci Inst Yonsei Univ Kyungpook Natl Univ Univ Tokyo Johns Hopkins Univ Osaka City Univ Univ Calif Los Angeles Inst Theoret & Expt Phys Univ Illinois
  • 24. 24 III-2. 한국 연구동향과 추세 한국의 연구는 어떤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지 ?
  • 25. 25 한국천문학의 주제어 빈도수 / 인용수 순위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주제어 빈도수 인용수 galaxies: evolution 56 667 inflation 16 70 galaxies: active 33 228 cosmology: observations 15 164 gravitational lensing 32 69 infrared: galaxies 15 86 stars: formation 28 94 Sun: corona 15 43 ultraviolet: galaxies 28 320 Sun: magneticfields 15 31 large-scale structure of universe 24 93 surveys 15 276 ISM: clouds 20 70 galaxies: structure 14 64 ISM: molecules 20 34 dark matter 13 61 black hole physics 19 41 methods: dataanalysis 13 94 cosmology: theory 19 38 turbulence 13 42 galaxies: ellipticalandlenticular,cD 19 201 methods: numerical 12 22 galaxies: starburst 19 143 methods: statistical 12 17 galaxies: fundamentalparameters 18 320 shock waves 12 56 galaxies: formation 17 157 super nova remnants 12 27 galaxies: clusters: general 16 123 galaxies: kinematics and dynamics 11 60
  • 26. 26 IV-1.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네트워크
  • 27. 27 천문 ( 연 ) 의 국가별 연구네트워크 * 링크 빈도 20 이상 Korea USA Japan China England Germany Russia Poland Chile India Korea 694 256 74 49 42 43 42 40 34 30 USA 256 260 30 17 27 29 12 23 24 17 Japan 74 30 88 7 14 12 5 10 8 4 China 49 17 7 49 2 8 3 5 0 2 England 42 27 14 2 43 11 0 12 8 2 Germany 43 29 12 8 11 43 8 13 7 2 Russia 42 12 5 3 0 8 43 12 4 4 Poland 40 23 10 5 12 13 12 40 17 1 Chile 34 24 8 0 8 7 4 17 34 0 India 30 17 4 2 2 2 4 1 0 31
  • 28. 28 천문 ( 연 ) 의 기관별 연구네트워크 KASI SNU KNU CNU KHU CAS SU CfA KAIST YU KASI 641 97 63 53 44 32 36 32 29 29 SNU 97 102 3 2 6 2 3 4 1 6 KNU 63 3 69 3 0 1 8 0 2 0 CNU 53 2 3 59 2 0 7 8 2 2 KHU 44 6 0 2 47 2 0 1 0 0 CAS 32 2 1 0 2 37 1 3 0 0 SU 36 3 8 7 0 1 37 1 0 1 CfA 32 4 0 8 1 3 1 36 0 0 KAIST 29 1 2 2 0 0 0 0 31 0 YU 29 6 0 2 0 0 1 0 0 31 * 링크 빈도 10 이상
  • 29. 29 천문 ( 연 ) 의 개인별 연구네트워크 2010 년 1 월 11 일 기준 Korea* Ast* 로 검색한 논문 727 편의 공저자 네트워크
  • 30. 30 중심성 저자별 중앙성 정도 순위 근접 중심성 Closeness 연결정도 중심성 Degree Centrality 매개중심성 Node Betweenness Centrality 1 Kim,SL 0.18226 Raiteri,CM 0.132812 Raiteri,CM 0.145847 2 Jin,H 0.180072 Gould,A 0.065104 Lee,CU 0.145141 3 Lee,CU 0.176471 Stello,D 0.054688 Kim,SL 0.126357 4 Lee,JW 0.170648 Moon,YJ 0.044271 Jin,H 0.115757 5 Lee,MG 0.166297 Kim,SL 0.039062 Lee,MG 0.094455 6 Stello,D 0.163221 Edelstein,J 0.039062 Lee,SG 0.06969 7 Edelstein,J 0.16269 Seon,KI 0.036458 Stello,D 0.067104 8 Seon,KI 0.162514 Lee,MG 0.033854 Kim,HI 0.062991 9 Kim,HI 0.160772 Dong,SB 0.03125 Kim,KS 0.059547 10 Park,BG 0.160428 Cho,KS 0.03125 Gould,A 0.056204 11 Park,JH 0.158395 Jeong,WS 0.028646 Lee,JW 0.053741 12 Kim,D 0.155925 Lee,DH 0.026042 Cho,KS 0.052264 13 Yuk,IS 0.15448 Kim,YH 0.020833 Park,BG 0.050379 14 Youn,JH 0.152439 Lee,JW 0.020833 Lee,S 0.049472 15 Jeon,YB 0.152284 Kim,J 0.020833 Lee,DH 0.041745 16 Han,W 0.151976 Park,YD 0.020833 Edelstein,J 0.037981 17 Raiteri,CM 0.151668 Joshi,B 0.020833 Seon,KI 0.036249 18 Han,C 0.14985 Kim,KH 0.020833 Kim,KH 0.035745 근접중심성은 한 점이 다른 점 에 얼마만큼 가깝게 있는가를 말한다 ( 두 점 사이의 거리가 핵심개념 ). 다른 점과 가까이 있다면 그들과 쉽게 관계를 맺 을 수 있다고 본다 . ( 예 , 김승 리 ) 연결정도 중심성은 다른 점과의 연결된 정도를 보는데 , 한 점 에 연결된 다른 점의 수로 측정 된다 ( 연결된 점의 수가 핵심 개념 ). 협력을 얼마나 폭넓게 열심히 하는가의 문제 매개중심성은 한 점이 얼마나 다른 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 는데 중개자 혹은 다리 역할을 하느냐이다 . ( 예 , 이충욱 )
  • 31. 31 IV-2. 천문 ( 연 ) 의 연구동향과 추세 천문 ( 연 ) 의 연구분야 변화
  • 32. 32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천문 ( 연 ) 의 지난 20 년간 주요 연구주제 주제어 빈도수 주제어 빈도수 ISM 454 circumstellar matter 31 stars 375 cosmology 26 galaxies 299 line 26 Sun 190 MHD 25 binaries 114 turbulence 25 accretion 73 ultraviolet 25 Galaxy 68 X-rays 24 methods 48 hydrodynamics 23 infrared 43 shock waves 23 techniques 43 astrometry 20 gravitational lensing 39 planetary systems 20 instabilities 38 radio lines 20 GPS 34 총 빈도수 2106 총 주제어 3148 개 중 10 회 이상의 빈도를 보인 주제어 (2106 회로 67% 에 해당 ) 를 빈도수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 음과 같음 . 천문 ( 연 ) 이 지 난 20 년간 생산한 논문의 연 구대상 혹은 주제는 빈도수에 따라 성간물질 (ISM), 별 (stars), 외부은하 (galaxies), 태양 (Sun), 쌍성 (binaries) 의 순서로 나타났다 .
  • 33. 33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그렇다면 ISM 과 stars 에서도 어느 세부분야를 연구하는가 ? 주제어 ISM 의 세부 키워드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의 세부 주제어 빈도수 ISM : clouds 63 stars : variables 46 ISM : molecules 38 stars : formation 41 ISM : abundances 28 stars : evolution 22 ISM : structure 17 stars : binaries 17 ISM : kinematics and dynamics 14 stars : oscillations 17 ISM : lines and bands 14 stars : binaries : eclipsing 10 ISM : magnetic fields 12 stars : low-mass 10 ISM : jets and outflows 11 stars : pre-main sequence 10 ISM : bubbles 9 stars : general 10 ISM : individual (NGC 1333 IRAS 4) 7 stars : fundamental parameters 9 ISM : globules 6 stars : activity 8 ISM : individual : Sgr A East 5 stars : magnetic fields 7 ISM : atoms 4 stars : white dwarfs 7 ISM : evolution 4 stars : abundances 6 ISM : individual (HB 21) 4 stars : late-type 6 ISM : individual : NGC 6822 4 stars : low-mass, brown dwarfs 6 ISM : individual (G216-2.5) 4 stars : novae, cataclysmic variables 6
  • 34. 34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주제어의 결합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주제어 쌍 빈도수 stars binaries 52 planetary systems gravitational lensing 8 ISM stars 29 quasars galaxies 7 ISM instabilities 19 blue stragglers stars 7 ISM ultraviolet 15 black hole physics accretion 7 stars accretion 13 galaxies accretion 7 ISM Galaxy 12 accretion ISM 7 ISM infrared 11 galaxies techniques 7 ISM turbulence 11 astrometry stars 6 Sun shock waves 11 binaries X-rays 6 stars techniques 10 catalogs galaxies 6 stars circumstellar matter 10 Galaxy stars 6 ISM radio lines 9 Galaxy gravitational lensing 6 ISM HII regions 9 infrared stars 6 instabilities MHD 9 ISM MHD 6 ISM supernova remnants 8 ISM line 6 별 (stars), 성간물질 (ISM) 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다른 주제어와 연계되 고 있다 . 두 그림을 비교해보면 3 번째로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인 외부은하 (galaxies) 상대적으로 약하게 앞의 두 주요 주제어와 연계되어 있다 . 태양 (Sun) 연구는 shock waves 와 함께 별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 이를 technique 가 두 주요주제어와 약하게 연결시켜주고 있다 .
  • 35. 35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ISM 81 ISM 110 ISM 277 Stars 37 Stars 96 Stars 244 Galaxies 22 Galaxies 41 Galaxies 237 Binaries 21 Sun 36 Sun 152 Circumstellarmatter 14 Binaries 35 Binaries 58 Galaxy 14 Instabilities 19 Accretion 52 Line 13 Accretion 14 Galaxy 40 Instabilities 11 Galaxy 14 Methods 38 Masers 9 Astrometry 13 Techniques 35 Accretion 7 Gravitationallensing 12 Infrared 32 시기별 주제어 빈도수 변화
  • 36. 36 천문 ( 연 ) 의 연구주제 변화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90 년대 00 년 초반 00 년 후반 Binaries Stars 8 Binaries Stars 20 Binaries Stars 28 Binaries X-Rays 7 Instabilities ISM 12 ISM Stars 22 Galaxy ISM 5 Open cluster Stars 6 ISM Ultraviolet 14 ISM Radio lines 5 ISM Stars 6 Shockwaves Sun 11 Instabilities ISM 5 Hiiregions ISM 5 ISM Turbulence 9 Galaxy Stars 5 Blue stragglers Stars 5 Techniques Stars 8 Line ISM 4 Accretion Stars 5 Accretion Stars 8 Circumstellar m. Stars 4 Instabilities Mhd 5 Infrared ISM 8 Line Rad. transfer 3 Astrometry Stars 5 Galaxies Quasars 7 Circumstellar m. Masers 3 Galaxy ISM 5 Galaxy ISM 7
  • 37. 37 2000 년대 후반 시기별 주제어 결합 변화 2000 년대 초반 1990 년대
  • 38. 38 V.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계량서지분석 ,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기관 연구개발 정책 수립
  • 39. 39 향후 과제 – 천문학의 세부연구분야와 매칭 1 차분야 2 차분야 Applied Mathematics, Physics Mathematical Papers Relates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Computing, Physical Papers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nomical Instruments & Techniques Astronomical Optics, Astronomical Instruments, Radio Telescopes and Equipment, Auxiliary Instrumentation, Space Instrumentation, Methods of Observation and Reduction, Data Processing Positional Astronomy, Celestial Mechanics Astrometry, Celestial Mechanics, Figures of Celestial Bodies, Astronomical Constants, Reference systems, Time and Latitude Determination, Earth Rotation, Polar Motion, Astronomical Geodesy, Satellite Geodesy, Navigation, Ephemerides, Almanacs, Calendars, Chronology Space Research Extraterrestrial Research Related to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rodynamic, Navigation of Space Vehicles, Artificial satellites, Space Probes Theoretical Astrophysics General Aspects, Hydrodynamics, Magnetohydrodynamics, Plasma, Radiative Transfer, Scattering, Stella Atmospheres, Stella Envelopes, Mass Loss, Accretion, Stella Structure and Evolution, Relativistic Atmosphysics, Gravitation Theory, Atmosphysics of Compact Objects (Neutron Stars, Black Holes) Sun Photosphere, Spectrum, Sunspots, Faculae, Activity Cycles, Solar Patrol, Chromosphere Flares, Prominences, Corona, Solar Wind, Magnetic Fields, UV, X, Gamma Radiation, Radio, Infrared Radiation, Cosmic Radiation, Solar Eclipses, Atmosphere, Figure, Internal Constitution, Neutrinos, etc Earth Structure etc, Atmosphere, Ionosphere, Aurorae, Solar- terrestrial Relations Planetary system Physics and Dynamics of the Planetary System, Mercury, Venus, Moon, Lunar Eclipses, Lunar and Planetary Occultations, Mars, Minor Planets, Jupiter, Saturn, Uranus, Comets Meteors, Meteorites, Interplanetary Matter, Cosmogony Stars Parallaxes, Spectra, Luminosities, Rotation, Close Binaries, Visual Binaries, Eclipsing Binaries, Spectroscopic Binaries, Early-stage Stars, Intrinsic Variables, variables Stars, Novae, Supernovae, Degenerate Stars, Stella Evolution Interstella Matter, Nebulae Interstella Matter (Molecular Cloudes, Reflection Nebulae, etc.), Star Formation, HⅡRegions Emission Nebulae, Infrared Sources, Planetary Nebulae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Radio Sources, High Energy Astrophysic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Stella systems (Kinematics, Dynamics), Stella Associations, Open clusters, Globular clusters Galaxy, Extragalactic Objects Galaxy, Magellanic Clouds, Normal Galaxies, Active Galaxies, Quasi-stella Objects, Galaxy Groups Cosmology Universe, Cosmology, Background Radiation Historical 천문기록연구 , 천문기기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