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펠로우로 살펴보는 아쇼카의 역사”
1982년, 인도
Gloria de Souza
아쇼카 최초 펠로우
글로리아 데 소우자
인도 뭄바이 시내 한 초등학교의 45세 여교사는 20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교직생활을 해왔습니다. 그녀는 학교 복도를 지날 때 당시 인도의 콩나물시루
같은 교실에서 학생들이 이 노래말을 반복하는 것이 세상에서 제일
괴로웠습니다.
“ Here We Go Round the Mulberry Bush
뽕나무 숲을 ~ 둘러서 가자 ~ ”
학생들이 즐겨 부르던 “뽕나무 숲을 둘러서 가자!”
사실, 앞선 노래는 영국의 전통 동요로 영국 식민 시대의 잔재로서 당시 인도의
기계적인 주입식 교육의 산물이었습니다.
식민지에서 벗어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아이들은 영국 동요를 부르고
있었고 그녀는 식민시대의 잔재인 기계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이들의
감수성을 죽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국 식민시대의 잔재
데 소우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0년대 인도에서 굉장히 실험적이었던
쌍방향 열린 교육방법을 도입하려 했지만 동료 교사들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훌륭한 방법인 것 같지만 인도에서는 맞지 않아. 기본 철학은 좋은데 우리
현실에서는 무용지물이야.”
동료 교사들의 거부
고심 끝에 글로리아는 혼자서라도 시작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녀는 인도에는 없는 유럽울새, 푸른울새, 버드나무 등에 관한 이야기만 쓰여
있는 교과서를 버리고 학생들을 야외로 데리고 나갑니다.
변화의 시작 : 일상 생활
자신들이 사는 마을의 새와 나무들을 직접 본 학생들은 “몬순은 왜 찾아오고
어떻게 사라지나?”처럼 실제로 살면서 느꼈던 의문점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또한 글로리아는 또 교과서에 쓰인 영국식 이름을 로버Rover나 키티kitty
아룬Arun과 라일라Laila 등의 인도 이름으로 바꿔 불렀습니다.
* 몬순: 인도나 동남아시아에서 여름의 계절풍이 초래하는 우기, 또는 우기에 내리는 비
학생의 수동성보단 능동성
또한 인도 역사와 건축양식을 가르치기 위해 ‘게이트웨이 오브 인디아’ 등 주요
유적과 기념관 등에서 견학수업을 시작하고, 학생회장 선거를 실시해 민주주의
체험의 장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 게이트웨이 오브 인디아: 뭄바이를 상징하는 건축물
인도에서 최초로 시도
다른 교사들과 행정 관리들은 그가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이용한다고
비난했지만, 학생들의 호응은 열광적 이었습니다.
실제 자기가 사는 세상을 학생 스스로 탐구하게 하는 EVS 교육방법은 학생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맥락 속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성장시켜 줬습니다.
EVS(Envirionmental Stuides) 교육방법
하지만, 1개 사립학교에서 큰 호응을 얻었을 뿐 인도 전체의 사정과는 완전히
동떨어져 있었습니다. 진짜 문제는 일단 뭄바이 공립학교 전체에 이 교육방법을
확대하고 그 이상으로 나아갈 수 있겠는가 였습니다.
빌 드레이튼(아쇼카 설립자)은 우선 글로리아가 인도사회 전체를 염두에
두고 일을 시작한 것인지 궁금해 했습니다.
‘교육전문가’ 인가 ‘사회혁신기업가’ 인가
빌 드레이튼의 질문에 대한 글로리아의 대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이죠.”
“뭄바이에 있는 어린이 중 70%가 이민가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 사회 어딘가가
심각하게 잘못돼 있어요. 나는 교육에 관한 내 아이디어로 아주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학생들이 단순 암기, 반복 학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문제를 풀고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면, 또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면,
지금과는 다른 굉장히 새로운 세대가 탄생할 수 있겠죠. 그렇게 되면 인도 전체가 달라질 테고,
그게 바로 혁명이죠!”
‘사회혁신기업가’ 로서의 의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레이튼의 관점에서는 EVS 교육방법은 그다지 새로운
개념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미국과 캐나다, 유럽에서는 이미 정착된
접근법이었기 때문이죠. 오죽하면 드레이튼은 “글로리아와 이야기를 나누고
열린 교육에 대해 생각하다 보면 따분해서 ‘아, 그래요? 그렇군요‘ 하고 응답이나
하게 되곤 했어요“ 라고 반복했습니다.
빌 드레이튼의 의문점
하지만, 빌 드레이튼과 아쇼카 이사진은 글로리아가 타고난 혁신가 라는 점을
발견해냈습니다. 바로 그녀의 교수법을 높이 산 것이 아니라 교육개념을 당시
1980년 인도 현지 사정에 맞게 응용하고 또 그 개념을 교육시장에 마케팅할
줄 아는 능력을 알아보았던 것입니다.
타고났던 사회혁신기업가 적인 자질
‘가르치는 일’ 이 아닌 ‘퍼뜨리는 일’
융통성 없던 인도의 관료주의 교육 체제 속에서 공무원과 교직원, 학부모 및 학생들을 설득하는
과정, 위협적이지 않고 매력적인 것으로 자신의 방법론을 소개하는 방법, 교사들에게 열린
교육기법을 활용하게 하는 과정 등은 결정적으로 그녀의 사회혁신기업가적 자질을 살펴볼 수
있는 사례였습니다.
결국, 1981년, 글로리아는 빌 드레이튼과의 만남에서 자신의 교육방법을 널리 퍼뜨리는 일에
전념하고 싶다고 말했고, 아쇼카는 그녀에게 4년간 봉급으로 1만 달러를 제공하기로 결정합니다.
환경에 대한 희망, Parisar Asha
다음해 글로리아는 파리사르 아샤Parisar Asha라는 단체를 만들어 EVS(Environmental
Studies) 교육법을 보급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EVS 방식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읽기시험에서는 2배 높은 점수를 받고, 고급 작문과 수학 문제를 3배 빨리 푸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EVS 교육법: 자연적, 사회적, 교육적 환경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교육법
* Parisar Asha: 산스크리스트어로 ‘환경에 대한 희망‘ 을 뜻함.
교수법 확장을 넘어서 교육환경을 변화시키다.
그리고 1980년대 말,
인도 교육부는 EVS를 국가 교육과정에 도입, 1~3학년 학생들을 가르치는
공식 교수법 기준으로 인정합니다.
1985년 까지 모두 1700개 학교에서 시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성공하여,
1982년 단체 설립 후 100만 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EVS 교수법의 혜택을 받게
된 것입니다.
최초의 아쇼카 펠로우 ‘글로리아 데 소우자’ 가 여러분 에게
“훌륭한 방법인 것 같지만 한국에서는 맞지 않아. 기본 철학은 좋은데 우리
현실에서는 무용지물이야.” 이런 말들이 당신을 가로막을 때, 1982년 선정된 첫
아쇼카 펠로우인 글로리아 데 소우자를 떠올려보면 어떨까요?
* 영국 식민 잔재 교육을 없애고 이전에 없던 새로운 교육방법을 인도에 도입했던 글로리아 데
소우자는, 1982년 아쇼카가 선정한 최초의 펠로우로서 2013년 4월 3일 생을 마감 하셨습니다.
페이스북 컨텐츠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Life after school
Life after schoolLife after school
Life after school
newsouthwales
 
Caroline photo narrative
Caroline photo narrativeCaroline photo narrative
Caroline photo narrative
newsouthwales
 
Narrative nicco
Narrative niccoNarrative nicco
Narrative nicco
newsouthwales
 
Blog post asa hagwons
Blog post   asa hagwonsBlog post   asa hagwons
Blog post asa hagwons
missricki
 
Picture narrative Maria
Picture narrative MariaPicture narrative Maria
Picture narrative Maria
newsouthwales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 communicantes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communicantes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communicantes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 communicantes
Alexis Conia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Bénédicte Aocd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newsouthwales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missricki
 
Intention
IntentionIntention
Intention
newsouthwales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Bénédicte Aocd
 

Viewers also liked (11)

Life after school
Life after schoolLife after school
Life after school
 
Caroline photo narrative
Caroline photo narrativeCaroline photo narrative
Caroline photo narrative
 
Narrative nicco
Narrative niccoNarrative nicco
Narrative nicco
 
Blog post asa hagwons
Blog post   asa hagwonsBlog post   asa hagwons
Blog post asa hagwons
 
Picture narrative Maria
Picture narrative MariaPicture narrative Maria
Picture narrative Maria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 communicantes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communicantes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communicantes
Utiliser Skype et Skype for Business pour rendre vos applications communicantes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Bilan saison 2015 activités nautiques - Nautisme en Finistère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Anneline Narrative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Blog post asa activities at home
 
Intention
IntentionIntention
Intention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Intervention Julien Martin - Communauté de Communes du Cap-Sizun
 

Similar to 페이스북 컨텐츠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thecirclefoundation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ki544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경희 배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경희 배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bskks606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지현 김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경희 배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hiiocks kim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은영 김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은영 김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Jeeyun Park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Jeeyun Park
 
학부모신문 284호
학부모신문 284호학부모신문 284호
학부모신문 284호
경희 배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은영 김
 

Similar to 페이스북 컨텐츠 (20)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Dudwk7
Dudwk7Dudwk7
Dudwk7
 
Dudwk7
Dudwk7Dudwk7
Dudwk7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참교육 학부모신문 297호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호그와트_탐방 계획서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281호>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교육과정 파워포인트 75~101p 요약 201325038 최주희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Journal1
Journal1Journal1
Journal1
 
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학부모신문 291호
학부모신문 291호
 
Edu46 2
Edu46 2Edu46 2
Edu46 2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학부모신문 265호입니다. (201310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학부모신문 258호 (20130305)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교학 팀플 14조 piaget
교학 팀플 14조 piaget
 
학부모신문 284호
학부모신문 284호학부모신문 284호
학부모신문 284호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학부모신문 271호입니다. (20140405)
 

페이스북 컨텐츠

  • 1. “펠로우로 살펴보는 아쇼카의 역사” 1982년, 인도 Gloria de Souza 아쇼카 최초 펠로우 글로리아 데 소우자
  • 2. 인도 뭄바이 시내 한 초등학교의 45세 여교사는 20년 동안 초등학교에서 교직생활을 해왔습니다. 그녀는 학교 복도를 지날 때 당시 인도의 콩나물시루 같은 교실에서 학생들이 이 노래말을 반복하는 것이 세상에서 제일 괴로웠습니다. “ Here We Go Round the Mulberry Bush 뽕나무 숲을 ~ 둘러서 가자 ~ ” 학생들이 즐겨 부르던 “뽕나무 숲을 둘러서 가자!”
  • 3. 사실, 앞선 노래는 영국의 전통 동요로 영국 식민 시대의 잔재로서 당시 인도의 기계적인 주입식 교육의 산물이었습니다. 식민지에서 벗어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아이들은 영국 동요를 부르고 있었고 그녀는 식민시대의 잔재인 기계적인 주입식 교육이 아이들의 감수성을 죽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국 식민시대의 잔재
  • 4. 데 소우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0년대 인도에서 굉장히 실험적이었던 쌍방향 열린 교육방법을 도입하려 했지만 동료 교사들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훌륭한 방법인 것 같지만 인도에서는 맞지 않아. 기본 철학은 좋은데 우리 현실에서는 무용지물이야.” 동료 교사들의 거부
  • 5. 고심 끝에 글로리아는 혼자서라도 시작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녀는 인도에는 없는 유럽울새, 푸른울새, 버드나무 등에 관한 이야기만 쓰여 있는 교과서를 버리고 학생들을 야외로 데리고 나갑니다. 변화의 시작 : 일상 생활
  • 6. 자신들이 사는 마을의 새와 나무들을 직접 본 학생들은 “몬순은 왜 찾아오고 어떻게 사라지나?”처럼 실제로 살면서 느꼈던 의문점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또한 글로리아는 또 교과서에 쓰인 영국식 이름을 로버Rover나 키티kitty 아룬Arun과 라일라Laila 등의 인도 이름으로 바꿔 불렀습니다. * 몬순: 인도나 동남아시아에서 여름의 계절풍이 초래하는 우기, 또는 우기에 내리는 비 학생의 수동성보단 능동성
  • 7. 또한 인도 역사와 건축양식을 가르치기 위해 ‘게이트웨이 오브 인디아’ 등 주요 유적과 기념관 등에서 견학수업을 시작하고, 학생회장 선거를 실시해 민주주의 체험의 장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 게이트웨이 오브 인디아: 뭄바이를 상징하는 건축물 인도에서 최초로 시도
  • 8. 다른 교사들과 행정 관리들은 그가 학생들을 실험대상으로 이용한다고 비난했지만, 학생들의 호응은 열광적 이었습니다. 실제 자기가 사는 세상을 학생 스스로 탐구하게 하는 EVS 교육방법은 학생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맥락 속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성장시켜 줬습니다. EVS(Envirionmental Stuides) 교육방법
  • 9. 하지만, 1개 사립학교에서 큰 호응을 얻었을 뿐 인도 전체의 사정과는 완전히 동떨어져 있었습니다. 진짜 문제는 일단 뭄바이 공립학교 전체에 이 교육방법을 확대하고 그 이상으로 나아갈 수 있겠는가 였습니다. 빌 드레이튼(아쇼카 설립자)은 우선 글로리아가 인도사회 전체를 염두에 두고 일을 시작한 것인지 궁금해 했습니다. ‘교육전문가’ 인가 ‘사회혁신기업가’ 인가
  • 10. 빌 드레이튼의 질문에 대한 글로리아의 대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이죠.” “뭄바이에 있는 어린이 중 70%가 이민가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우리 사회 어딘가가 심각하게 잘못돼 있어요. 나는 교육에 관한 내 아이디어로 아주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학생들이 단순 암기, 반복 학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문제를 풀고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면, 또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면, 지금과는 다른 굉장히 새로운 세대가 탄생할 수 있겠죠. 그렇게 되면 인도 전체가 달라질 테고, 그게 바로 혁명이죠!” ‘사회혁신기업가’ 로서의 의지
  • 11.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레이튼의 관점에서는 EVS 교육방법은 그다지 새로운 개념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미국과 캐나다, 유럽에서는 이미 정착된 접근법이었기 때문이죠. 오죽하면 드레이튼은 “글로리아와 이야기를 나누고 열린 교육에 대해 생각하다 보면 따분해서 ‘아, 그래요? 그렇군요‘ 하고 응답이나 하게 되곤 했어요“ 라고 반복했습니다. 빌 드레이튼의 의문점
  • 12. 하지만, 빌 드레이튼과 아쇼카 이사진은 글로리아가 타고난 혁신가 라는 점을 발견해냈습니다. 바로 그녀의 교수법을 높이 산 것이 아니라 교육개념을 당시 1980년 인도 현지 사정에 맞게 응용하고 또 그 개념을 교육시장에 마케팅할 줄 아는 능력을 알아보았던 것입니다. 타고났던 사회혁신기업가 적인 자질
  • 13. ‘가르치는 일’ 이 아닌 ‘퍼뜨리는 일’ 융통성 없던 인도의 관료주의 교육 체제 속에서 공무원과 교직원, 학부모 및 학생들을 설득하는 과정, 위협적이지 않고 매력적인 것으로 자신의 방법론을 소개하는 방법, 교사들에게 열린 교육기법을 활용하게 하는 과정 등은 결정적으로 그녀의 사회혁신기업가적 자질을 살펴볼 수 있는 사례였습니다. 결국, 1981년, 글로리아는 빌 드레이튼과의 만남에서 자신의 교육방법을 널리 퍼뜨리는 일에 전념하고 싶다고 말했고, 아쇼카는 그녀에게 4년간 봉급으로 1만 달러를 제공하기로 결정합니다.
  • 14. 환경에 대한 희망, Parisar Asha 다음해 글로리아는 파리사르 아샤Parisar Asha라는 단체를 만들어 EVS(Environmental Studies) 교육법을 보급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EVS 방식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읽기시험에서는 2배 높은 점수를 받고, 고급 작문과 수학 문제를 3배 빨리 푸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EVS 교육법: 자연적, 사회적, 교육적 환경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교육법 * Parisar Asha: 산스크리스트어로 ‘환경에 대한 희망‘ 을 뜻함.
  • 15. 교수법 확장을 넘어서 교육환경을 변화시키다. 그리고 1980년대 말, 인도 교육부는 EVS를 국가 교육과정에 도입, 1~3학년 학생들을 가르치는 공식 교수법 기준으로 인정합니다. 1985년 까지 모두 1700개 학교에서 시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성공하여, 1982년 단체 설립 후 100만 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EVS 교수법의 혜택을 받게 된 것입니다.
  • 16. 최초의 아쇼카 펠로우 ‘글로리아 데 소우자’ 가 여러분 에게 “훌륭한 방법인 것 같지만 한국에서는 맞지 않아. 기본 철학은 좋은데 우리 현실에서는 무용지물이야.” 이런 말들이 당신을 가로막을 때, 1982년 선정된 첫 아쇼카 펠로우인 글로리아 데 소우자를 떠올려보면 어떨까요? * 영국 식민 잔재 교육을 없애고 이전에 없던 새로운 교육방법을 인도에 도입했던 글로리아 데 소우자는, 1982년 아쇼카가 선정한 최초의 펠로우로서 2013년 4월 3일 생을 마감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