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2013년 1월 25일
                        가이아쓰리디㈜
                       대표이사 신상희


        Homepage:	
  www.gaia3d.com	
  
         Contact:	
  info@gaia3d.com
목차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일반적 정의
        I-2 프리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I-3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론
        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장점
        I-6 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1 독점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II-2 독점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식
        II-3 독점 소프트웨어의 장점
    III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1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III-2 개발 방법론 특성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
        II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III-5 독점 소프트웨어의 혁신
        III-6 특성 비교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IV-2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IV-3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IV-4 특화 시장 침투 전략
    V 결론
    References
* 본 발표 자료는 국토연구원의 2012년 연구과제 ‘스마트사회에 대응한 국가공간정보인프라 체계 재정립’ 연구의 성과물을 다수 포함하
고 있습니다.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일반적 정의
FOSS(Free & Open Source Software): 공개소프트웨어

§  FOSS에서는 특정 라이선스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음

§  일반적으로 FOSS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유로운 사용, 복사, 수정, 개작 및 재배포의
    권한을 부여 받음

§  FOSS 의 Free는 ‘공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소스 코드에 접근하고, 프로그램을
    사용, 수정, 재 배포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함

§  FOSS는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과는 다른 의미. 하지만 일반적으로 FOSS는 국제적
    인 표준을 따르는 경향이 있음(OGC와 OSGeo는 다른 조직)




     All	
  rights	
  reserved.   4               신상희(shshin@gaia3d.com)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2 프리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Freeware vs FOSS

§  FOSS는 ‘공짜(No-Cost)’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개념임

§  최근에는 FOSS 또한 상업용(Commercial) 소프트웨어로 간주되기 시작함

§  FOSS의 상대어는 폐쇄(Closed Source) 또는 독점(Proprietary) 소프트웨어로 보는 게 일
    반적임


                                          프리웨어(Freeware)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소스 코드                          많은 경우 소스코드 접근 및 수정 불가능          접근 및 수정 가능


   원작자 부재 시                       원 저작자가 개인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개발 중단이    원 저작자의 상황과 상관 없이 해당 소프트웨어의 사
                                  가능함. (이런 경우 최종 버전은 개발자가 마지막으로   용자 또는 개발자 그룹이 계속 이를 활용하고 발전 시
                                  배포한 상태로 머물게 됨)                  킬 수 있음


   유지 보수                          특정 그룹 혹은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관리하면서 테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강력한 사용자 그
   관리 주체                          트 혹은 특정 목적을 위해 초반에 무료로 배포하지만,   룹이나 개발자 그룹이 자유롭게 해당 프로젝트들을
                                  추후에는 유료화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           유지 관리




     All	
  rights	
  reserved.                            5                        신상희(shshin@gaia3d.com)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3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저작권이 비독점 소유

§  저작권의 비독점 소유 방식은 특정 라이선스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소프트웨어 사용, 연구, 수정 및 배포에
    있어서 전반적인 권한을 제공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 관리 및 저작권 관계
                                                                                   커뮤니티

                                     사용 및 피드백                        저작권 및 성과 귀속


                                     소스코드 재배포                        소스코드 개발, 관리

   사용자                                                   소스코드




§  주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무료로 소프트웨어 이용 및 배포   소스코드 취득 및       2차적 저작물   독점소프트웨어와
                                           허용 가능           수정 가능          재공개 의무     결합 가능
  GPL                                           O           O               O           X
  LGPL                                          O           O               O           O
  MPL                                           O           O               O           O
  BSD License                                   O           O               X           O
  Apache license                                O           O               X           O

        All	
  rights	
  reserved.                              6                  신상희(shshin@gaia3d.com)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론
공동 개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  하나의 프로젝트 혹은 소프트웨어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사람들과 조직이 어우러져서 개발을 진
    행하는 방식

§  공통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함께 특정 소프트웨어나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관계로 자사의 개발과 투자 비용
    을 절감하고, 기업 외부의 인력과 기술을 내재화할 수 있는 특성이 있음
    §      외부 인력과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을 이해하는 많은 외부 인력이 존재하고 이
            들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의 기술과 능력을 공유할 정도의 환경과 규모가 필요

§  공동 개발 방식은 소위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개발 방식으로 특정 임계
    점(Tipping Point) 이상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해야만 성공적으로 소프트웨어가 유지, 관리,
    개발되는 특성이 있음
                                               §    발전 방향
                                               §    설계안
                                               §    소프트웨어
                                   핵심 개발자들                       커뮤니티
                                               커뮤니티에 기여


                                                     개발에 기여
                                               §    평가
                                               §    사용 사례 피드백
                         프로젝트 관         개발자들   §    테스트
                           리자                  §    문서화
                                               §    번역
                                               §    기능 요청
                                               §    타 사용자 지원
                                               §    버그 수정
      All	
  rights	
  reserved.                      7                 신상희(shshin@gaia3d.com)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장점
비용 절감, 자원 절감, 안정성 증가, 소스 코드 직접 수정 가능, 다수의 외부 개발자와 직접 접촉 가
능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업적 측면                     기타
§    세계적 수준의 소프트웨                  §    저렴한 도입 비용           §    자사의 부족한 제품군을    §    에너지 절감
      어를 빠른 속도로 개발                                                  단숨에 보완 가능
      가능                            §    세계적 수준의 오픈 소스                             §    심리적 만족감
                                          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비       §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다
§    다수의 외부 개발자들에                        용 절감                      양한 고객의 수요에 대응   §    낮은 이직률
      의한 소스 코드 검토를                                                  가능
      통해 소프트웨어 안정성                  §    소스 코드 레벨의 커스터
      증가                                  마이징                 §    회사 브랜드 가치 제고

§    주요 시장지배적 소프트                  §    우수 성공 사례를 소스
      웨어 사업자와의 기술 격                       코드 레벨에서 재활용 가
      차 해소 가능                             능

§    뛰어난 외부 개발자의 내
      재화




           기술과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협업적으로 사회를 발전시키는 기반으로 작동


       All	
  rights	
  reserved.                         8                               신상희(shshin@gaia3d.com)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6 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GIS 분야의 특성: 여러 소프트웨어의 복잡한 수직적 구성

    Client	
                        ArcMAP	
               Google	
  Earth	
                  QGIS	
                   Web	
  


  Interface	
                        WMS	
                       WFS	
                         WCS	
                   CSW	
  



 Middleware	
                                ArcTMS	
                            TMS	
                   GeoWebCache	
  


    Server	
                       ArcServer	
                 ArcSDE	
                    GeoServer	
                 MIP	
  


    DBMS	
                                                     Oracle	
                    PostgreSQL	
  


     Data	
                                      Map	
                       Image	
                         DEM	
  

      All	
  rights	
  reserved.                                   9                                          신상희(shshin@gaia3d.com)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1 독점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저작권이 독점 소유

§    대부분의 독점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이 해당 제품을 개발한 기업(혹인 개인)에게 독점 소유되는 형태
      §        저작권의 독점 소유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 당사자가 본인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권리를 독점적으로 소유
                하고, 라이선스를 통해 사용자들 및 고객들에게 제한된 기능 혹은 제한된 시간으로 사용을 제한적으로 허용

§    저작권이 개인이나 기업에 독점적으로 귀속되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사용권(라이선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

§    라이선스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능별, 성능별, 기간별로 다르게 발급이 되고, 각각의 제품
      의 특성과 기능에 맞춰서 가격이 책정됨

§    Microsoft, Adobe Systems, Oracle, ESRI, HEXAGON 등과 같은 전통적인 대형 소프트웨어 회사에
      서 사용하는 방식




        All	
  rights	
  reserved.        11                    신상희(shshin@gaia3d.com)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2 독점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식
독립 개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    한 개인이나 특정 그룹 혹은 기업체에서 내부의 인력, 자원, 기술을 활용하여 내부적인 계획을 통해 소프트
      웨어를 독립적으로 개발

§    독립 개발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의 내부 전문가에 의해 철저하게 개발                     상업적 독점 소프트웨어 회사
      사양과 수준, 개발 기간, 비용 등이 관리되는 목표 지향적 개발 방식임
                                                                     소프트웨어 개발
§    개인 혹은 기업의 이익과 직결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우 혹은 보안과 관련된
      이슈가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
                                                                               개발 계획

                                                                               자원 관리
§  고객의 요구(Needs)를 상세히 파악하고 이를 빠르게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개
    요소                                                                        발




§  독점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자신들의 투자에 대한 손실 우려 때문에 시장 조사,
    마케팅 분석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고객들의 목소리를 더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자원      소프트웨
                                                                                   어
    에 반영하려고 노력
                                                                      시장출시작업

                                                      이용료

                                                                     판매        마케팅     서비스
                                                      완제품
                                                  (Whole Product)                      제품/고객
                                                                     교육         지원
                                                                                        관리
                                         고객/협력사

       All	
  rights	
  reserved.   12                                신상희(shshin@gaia3d.com)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3 독점 소프트웨어의 장점
안정적 수익성, 전문성이 강한 소프트웨어, 고객의 요구사항의 빠른 수용, 체계적인 유지보수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업적 측면                     기타
§    전문성이 강한 소프트웨                  §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립         §    사업적으로 대 규모의 계   §    소스코드의 보호가 가능
      어 개발 가능                             가능                         약을 맺을 경우, 안정적
                                                                     수익구조 가능         §    우수한 인력의 타 회사
§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    금전적 보상을 통한 혁신                                    로의 유실을 막을 수 있
      전문팀을 구성하여, 체계                       이 가능                 §    적극적으로 고객의 요구          음
      적이고, 안정적인 소프트                                                  사항을 파악하고, 제품에
      웨어 검증및 테스트 가능                 §    수익성을 바탕으로 신제               반영을 위해 노력
                                          품 출시를 위한 투자가
§    우수한 개발자를 고용하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제         §    적극적인 마케팅
      여 지속적인 제품의 개발                       품 개발 가능
      이 가능                                                     §    제품의 브랜드화를 통한
                                                                     회사이미지 제고가 가능
§    타 제품과의 경쟁력을 제                                                  하고, 기업공개 시에 유
      고할 수 있음                                                        리한 점이 있을 수 있음

                                                               §    틈새 시장 공략 가능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한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

       All	
  rights	
  reserved.                         13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1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성당 모형                                  시장 모형




                                          위계적           협력적
                                          폐쇄적           개방적




              Leverage own knowledge                            Leverage others knowledge too


§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개발이 내부에서 이루어짐                         §  설계와 개발이 다중에 의해 협력적으로 이루어짐
§  내부의 지식, 지적재산권, 경험을 활용하여 개발                       §  자신의 역량과 외부 타인의 역량을 함께 결합하여 개발
§  전문적, 체계적 소프트웨어 개발에 유리할 수 있음                      §  ‘We are smarter than Me’로 요약되는 개발방법론



     All	
  rights	
  reserved.                 15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2 개발 방법론 특성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특성별 비교
         개발방법론의 특성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독점 소프트웨어
                                    성격   동시다발적, 수평적                       나선형, 반복적, 수직적
프로세스
                             개발 단계       개발에 특별한 단계가 없음                   계획, 디자인, 수행
 모델
                              마일스톤       정해진 작업 일정 없음                     작업 일정 존재
                       요구사항 이해도          높음                               낮음
요구사항
정의와 설              요구사항 변경 및 추가          자유롭게 추가 가능                       요구사항 변경 및 추가가 쉽지 않음
  계
                      요구사항 결정권자          프로젝트의 핵심 멤버들                     프로젝트 매니저와 시스템 아키텍트
                                         공식 문서가 항상 존재하지는 않음               프로젝트 계획, 요구사항, 설계, 테스트 등 모든 사항들이 문서로 존
                   문서화
                                                                          재
            분석 및 디자인                     프로젝트 디자인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음          프로젝트 디자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임
           소프트웨어 구조                      일관성 유지가 쉽지 않음                    일관성 유지가 잘됨
                                         요구사항:수행 = 1:N 방식                 요구사항:수행 = 1:1 방식
                     수행
                                         (같은 요구사항으로 여러 개의 수행이 가능)         (하나의 요구사항에는 하나의 수행만 가능)
                 소스 코드                   공개                               비공개
                   테스트                   공개 테스트                           내부 테스트
              출시 및 전달                    일 단위 혹은 주 단위                     일반적으로 연 단위
                 유지보수                    공개 협력 유지 보수                      별도의 유지보수 서비스 필요
                                         프로젝트 종료의 개념이 희미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항   특정 단계(프로젝트 종료단계)에 도달했을 때 제품화
                   제품화
                                         시 받아들이면 진화를 거듭함.

           소프트웨어 종류                      작은 컴포넌트 단위의 소프트웨어가 많음            특정 회사나 조직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같은 솔루션이 많음

                                         독점 소프트웨어보다 보안이 취약하지 않음           보안에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책임소재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보
                     보안
                                                                          다 명확함


       All	
  rights	
  reserved.                                16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1)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비교
패키지 판매                                정액제
전통적인 독점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모델로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의 사용료를 특정 기간 단위(한 달 혹은 일 년)로 계약을
를 패키지화하여 단품으로 판매하는 방식                 맺고 해당 기간마다 사용료를 지불




이중 라이선스(Dual License)                 오픈 코어(Open Core)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독점 라이선스로 배포하   기본적인 기능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특정 고부가 기능에 대
는 방식                                  해서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부가적으로 개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
                                      식




     All	
  rights	
  reserved.       17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2)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비교
제품 전문가                                 플랫폼 제공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과 함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도 사용하여 비즈   소프트웨어의 선택, 지원, 통합, 유지보수와 같은 서비스 전체를 제공
니스를 만들어 내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방식                하고, 테스트부터 확인 작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




컨설팅                                    유지 보수 제공자
직접 개발을 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대   다양한 종류의 각각의소프트웨어에 대한 종합 유지 보수를 제공하는 방식
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All	
  rights	
  reserved.       18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특성

§  집단지성을 활용한 선구적 개발방법
§  협력을 통한 혁신




                                  We	
  
                                  are	
  smarter	
  than	
  Me
                                                                 	
  




     All	
  rights	
  reserved.
                                          >    19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독점 소프트웨어의 특성

§  철저하게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맞춤형 개발
§  금전적 보상이 최고의 혁신




                                  Gold	
  wins	
  everything!

     All	
  rights	
  reserved.                 20              신상희(shshin@gaia3d.com)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6 특성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특성 비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독점 소프트웨어

             비용

     개발 기간

          전문성

             보안

          마케팅

    사용자 편의

       유지보수

     All	
  rights	
  reserved.            21        신상희(shshin@gaia3d.com)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      명확히 차별화되는 특화 기능을 독점 소프트웨어로 개발하고, 나머지 근간 기능과 일반 기능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나 타 사의 라이브러리, 기술 등을 활용하는 전략
                                         직접 개발   외부 구매   오픈 소스
                                                                 §    근간 사양(Commodity Features): 소프트웨어의 프레임워크와 유사한 것.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거

                                                                       의 인지하지 못한 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일반 기능과 특화 기
특화 사양(Differentiated Features)            1       2       3
                                                                       능이 작동.

                                                                 §    기본 사양(Baseline Features): 소비자가 해당 제품에서 기대하는 기능. GIS 소프트웨어에서 SHP이
      기본 사양(Baseline Features)            2       1       2            나 GeoTiff를 읽어 들여서 화면에 표시하거나, GIS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과 같

                                                                       은 기본 기능. 기본사양이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지는 않음.

                                                                 §    특화 사양(Differentiated Features): 사용자에게 최종적인 부가가치(Added Value)를 제공하는 것. 사
 근간 사양(Commodity Features)                3       2       1
                                                                       용자가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



                           특화사양                                  직접 개발                                        차별성과 수익성 추구



                           기본사양                                  아웃소싱                                           비용과 시간 절감


                                                                                                             비용과 시간 절감 및
                           근간사양                                  오픈 소스
                                                                                                            오픈 소스 사용자 층 유입

            All	
  rights	
  reserved.                                   23                                             신상희(shshin@gaia3d.com)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2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  해외 유수 기업의 사용자층과 기술을 지렛대 삼아 우리나라 업체가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

§  국산 독점 GIS 소프트웨어를 해외 유수 GIS 소프트웨어의 보완재로 기능할 수 있는 플러그인 형태 등으로
    출시하는 전략




           보완재(Complement Goods)란? 경제학에서 어떤 한 재화의 수
소프트웨어 가격




           요가 늘어날 때 함께 수요가 늘어나는 재화를 의미

                                                                  Plugin 제품   §  핵심제품의 마케팅과 브랜드 이용
                                                                              §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핵심 제품 판매 증가




                                                                   핵심 제품       Plugin 제품
                                   핵심 제품 판매 감소




                                                  소프트웨어 판매


            All	
  rights	
  reserved.                       24                            신상희(shshin@gaia3d.com)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3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  과거 이동 통신 분야에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상용화한 것과 같은 빠른 도약(Le
    ap Frogging) 전략

§  최첨단 기술 분야에서 국산 독점 GI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새로운 시장 지
    배적 사업자를 키우는 전략


                                                          §    최첨단 기술 분야에서 국산 독점 GI         §    금전적 보상은 인재를 유입시킴
                                                                S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투자




        시장 지배적
                                                                                                     새로운 시장 지배적
         사업자                                  Open Sour                                                 사업자
                                                 ce                   신규 사업자 탄생




§    호환성 유지 비용 증가                   §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 분야에선 특성                         §    신기술의 빠른 적용
§    경영의 보수성                              을 발휘하기 어려움                                  §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빠른 적용
§    경직된 조직 문화                                                                        §    경영의 효율화
                                                                                       §    유연한 조직 문화

        All	
  rights	
  reserved.                                  25                                    신상희(shshin@gaia3d.com)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4 특화 시장 침투 전략
특화 시장 침투 전략

§  인프라적인 성격의 기술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이러한 인프라적인 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Value)를 창출하는 분야에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전략




 오픈 소스                            §    가치보다 기술에 집중
 소프트웨어                            §    범용 인프라 기술적 성격의 시장                      독점 소프트웨어로
                                                                                틈새 시장 공략
 독점                               §    고객 친화성
 소프트웨어                            §    틈새 시장
                                                                                기술과 틈새 시장의
                                                                           체화 지식(Embodied Knowledge)를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




                                            한국형
                                        독점 GIS 소프트웨어
                                             탄생

                                                                        Technology             Business	
  Logic
                                                                 고객의 가치 향상이 비즈니스의 최종 목적임을 고려하여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키는 가치를 제공하는 시장 공략 방식으로 전환
     All	
  rights	
  reserved.                             26                              신상희(shshin@gaia3d.com)
V 결론
V 결론


          독점
         소프트웨어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싼게 비지떡’일 수도 있고, 이러한 통념이 장애물이 될 수도 있음
§  ‘개발자를 위한 개발자의 의한 개발자의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
    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금전적 보상이 적거나 없기 때문에 특정 임계점 이상의 개발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지속 가능
    한 개발이 어려울 수 있음

   All	
  rights	
  reserved.   28           신상희(shshin@gaia3d.com)
V 결론


          독점
         소프트웨어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금전적 보상은 최고의 혁신이지만, 고객에겐 최고의 고민거리이기도 함
§  고객의 요구사항을 항상 만족시키려고 노력한다고, 반드시 만족하는 것도 아님
§  독점 소프트웨어는 완성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새 버전 출시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빠른 대응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음)



   All	
  rights	
  reserved.   29           신상희(shshin@gaia3d.com)
V 결론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All	
  rights	
  reserved.          30         신상희(shshin@gaia3d.com)
감사합니다!
Reference
§  Eric	
  Raymond,	
  The	
  Magic	
  Cauldron,	
  hJp://www.catb.org/esr/wriMngs/magic-­‐cauldron/	
  
§  John	
  Carroll,	
  ‘Open	
  source	
  vs	
  proprietary:	
  Both	
  have	
  advantages’,	
  ZDNet,	
  2004.	
  
    hJp://www.zdnet.com/open-­‐source-­‐vs-­‐proprietary-­‐both-­‐have-­‐advantages-­‐3039155570/	
  
§  Arnoud	
  Engelfriet,	
  ‘Mixed-­‐source	
  so^ware	
  development’,	
  Intellectual	
  Asset	
  Magazine	
  issue	
  19,	
  A
    ugust/September	
  2006.	
  
§  John	
  Carrol,	
  ‘How	
  the	
  so^ware	
  economy	
  is	
  driven	
  by	
  proprietary	
  work’,	
  ZDNet,	
  
    hJp://www.zdnet.com/how-­‐the-­‐so^ware-­‐economy-­‐is-­‐driven-­‐by-­‐proprietary-­‐work-­‐1139148761/
    ,	
  2004.	
  
§  이창양,	
  ‘자연발생하는 일시적 독점현상은 기술 혁신을 앞당긴다’,	
  마이크로소프트 매거진,	
  2004년 11
    월/12월 호
§  James	
  Dixon,	
  The	
  Wild	
  Hive	
  Model	
  for	
  Open	
  Source	
  Projects,	
  
    hJp://jamesdixon.wordpress.com/the-­‐bees-­‐and-­‐the-­‐trees/proprietary-­‐model/	
  
§  Detlev	
  J.	
  Hoch	
  외,	
  ‘Secrets	
  of	
  So^ware	
  Succes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  James	
  Dixon,	
  The	
  Maple	
  Syrup	
  Farm	
  Model	
  for	
  Proprietary	
  So^ware	
  Companies	
  
    hJp://jamesdixon.wordpress.com/the-­‐bees-­‐and-­‐the-­‐trees/proprietary-­‐model/	
  
§  Vidyasagar	
  Potdar	
  &	
  Elizabeth	
  Chang,	
  ‘Open	
  Source	
  and	
  Closed	
  So^ware	
  Development	
  Methodol
    ogies’,	
  ICSE,	
  2004	
  
§  문장원,	
  ‘이중라이센스(Dual-­‐license)	
  :	
  오픈 소스 상업화 실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SW정책연구센
    터,	
  2006.	
  
§  공개소프트웨어 포털의 공개SW라이선스 소개 자료, http://www.oss.kr/oss_intro06
§  신상희,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이해’, 공간정보공동 추계학회, 2009.


        All	
  rights	
  reserved.                                 32                                           신상희(shshin@gaia3d.co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Masayuki Wakizaka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firewood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Yugo Shimizu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HayatoOkuma1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Teiichi Ota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Takashi Yoshinaga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Masayuki Wakizaka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Shohei Okada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Yuichi Ishii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IIJ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Masahiro Hidaka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樽八 仲川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android sola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モノビット エンジン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Shingo Kitayama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Koichi Tanaka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System x 部 (生!) : しすなま! @ Lenovo Enterprise Solutions Ltd.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光晶 上原
 

What's hot (20)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Testing Android App Bundle with Appium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WkWebViewのキャッシュについて調べた
 
Mongo sharding
Mongo shardingMongo sharding
Mongo sharding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リアルタイムサーバー 〜Erlang/OTPで作るPubSubサーバー〜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実践! Argo cd &amp; rollouts による canary release(cndt2021)
 
Gplとの付き合い方
Gplとの付き合い方Gplとの付き合い方
Gplとの付き合い方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HTML5時代のネット動画技術〜良い子悪い子普通の子(増補改訂版)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HoloLensハンズオン:ハンドトラッキング&音声入力編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Appium 2.0 ではじめるモバイルアプリテスト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の考え方にもとづく Laravel との付き合い方 #phpconokinawa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UnityによるAR/VR/MR 開発体験講座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IIJにおけるGlusterFS利用事例 GlusterFSの詳解と2年間の運用ノウハウ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Android カスタムROMの作り方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脱RESTful API設計の提案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カスタムROM開発者の視点から見たAndroid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MRU : Monobit Reliable UDP ~5G世代のモバイルゲームに最適な通信プロトコルを目指して~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OpenStackDaysTokyo】4-B1-3 自動化を支えるCICDパイプラインの世界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AR / VR / MRの世界に、置けるUI、置けないUI、置くべきUI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第31回「今アツい、分散ストレージを語ろう」(2013/11/28 on しすなま!)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自宅で出来る!ゲームサーバの作り方
 

Viewers also liked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Ji-Woong Choi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SANGHEE SHIN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Min Heo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Yongjae Park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SANGHEE SHIN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Seung-won CHAE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SANGHEE SHIN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ATTO Research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ATTO Research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SANGHEE SHIN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SANGHEE SHIN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SANGHEE SHIN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Eun-Jo Lee
 
스마트러닝시장동향
스마트러닝시장동향스마트러닝시장동향
스마트러닝시장동향
Duke Kim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Kevin Kim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Hong-Seok Kim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Jaimie Kwon (권재명)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Kevin Kim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Ji-Woong Choi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Ji-Woong Choi
 

Viewers also liked (20)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FOSS4G 서울 대회를 통한 공간정보 세계화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FOSS4G Korea 2016, Golden time analysis in Seoul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 GIS와 OSGeo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오픈소스소프트웨어와 지식재산권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오픈 소스 사고 기반의 공간정보기술개발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SDN컨트롤러 오벨_아토리서치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3D기반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 헤르메스_아토리서치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공간정보 대량맞춤화 정보지원체계 연구 소개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
R을 이용한 게임 데이터 분석
 
스마트러닝시장동향
스마트러닝시장동향스마트러닝시장동향
스마트러닝시장동향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빅데이터와 로봇 (Big Data in Robotics)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실리콘 밸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하루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오픈소스컨설팅]소프트웨어 개발 준비 과정
 

Similar to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slhead1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slhead1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SANGHEE SHIN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Hannah Kim
 
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
SANGHEE SHIN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Kevin Kim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mosaicnet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Kevin Kim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Kevin Kim
 
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
slhead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승우 백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Kenu, GwangNam Heo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Minsuk Lee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mosaicnet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NAVER D2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if kakao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Kevin Kim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Opennaru, inc.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Channy Yun
 

Similar to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20)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OSS and R&D
OSS and R&DOSS and R&D
OSS and R&D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IT서비스업체에서의 공개SW 1부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오픈소스 S/W 도입과 운영 방안 - 독점 소프트웨어와의 차이점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More from SANGHEE SHIN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SANGHEE SHIN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SANGHEE SHIN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SANGHEE SHIN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
SANGHEE SHIN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SANGHEE SHIN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SANGHEE SHIN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SANGHEE SHIN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SANGHEE SHIN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SANGHEE SHIN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SANGHEE SHIN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SANGHEE SHIN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SANGHEE SHIN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SANGHEE SHIN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ANGHEE SHIN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ANGHEE SHIN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SANGHEE SHIN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SANGHEE SHIN
 

More from SANGHEE SHIN (20)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Do we need a new standard for visualizing the invisible?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디지털트윈 몇몇 기술 동향과 사례 - 대한공간정보학회 신년학술대회 발표 자료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오픈소스로 사업하기 - 가이아쓰리디 이야기(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단 특강)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FOSS4G 2023 Prizren 참가기
 
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책 "제품의 탄생" 소개
책 "제품의 탄생" 소개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재테크 2주일만 하면 신상희만큼 한다!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공간정보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FOSS4G Firenze 2022 참가기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와 도시 디지털트윈(부산DX컨퍼런스 발표자료)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공간정보 최근 동향과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도시와 공간정보 관점에서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ICT 기반 환경영향평가 가시화 플랫폼 설계와 시범 구현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디지털트윈 기술 및 스마트시티 적용 사례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Introduction to OpenIndoorMap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State of mago3D, An Open Source Based Digital Twin Platform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A Research on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ata Visualization Technol...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Integration of BIM and GIS: From Ideal to Reality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 1.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2013년 1월 25일 가이아쓰리디㈜ 대표이사 신상희 Homepage:  www.gaia3d.com   Contact:  info@gaia3d.com
  • 2. 목차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일반적 정의 I-2 프리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I-3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론 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장점 I-6 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1 독점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II-2 독점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식 II-3 독점 소프트웨어의 장점 III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1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III-2 개발 방법론 특성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 II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III-5 독점 소프트웨어의 혁신 III-6 특성 비교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IV-2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IV-3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IV-4 특화 시장 침투 전략 V 결론 References * 본 발표 자료는 국토연구원의 2012년 연구과제 ‘스마트사회에 대응한 국가공간정보인프라 체계 재정립’ 연구의 성과물을 다수 포함하 고 있습니다.
  • 3.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 4.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일반적 정의 FOSS(Free & Open Source Software): 공개소프트웨어 §  FOSS에서는 특정 라이선스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음 §  일반적으로 FOSS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유로운 사용, 복사, 수정, 개작 및 재배포의 권한을 부여 받음 §  FOSS 의 Free는 ‘공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소스 코드에 접근하고, 프로그램을 사용, 수정, 재 배포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함 §  FOSS는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과는 다른 의미. 하지만 일반적으로 FOSS는 국제적 인 표준을 따르는 경향이 있음(OGC와 OSGeo는 다른 조직) All  rights  reserved. 4 신상희(shshin@gaia3d.com)
  • 5.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2 프리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Freeware vs FOSS §  FOSS는 ‘공짜(No-Cost)’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개념임 §  최근에는 FOSS 또한 상업용(Commercial) 소프트웨어로 간주되기 시작함 §  FOSS의 상대어는 폐쇄(Closed Source) 또는 독점(Proprietary) 소프트웨어로 보는 게 일 반적임 프리웨어(Freeware)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FOSS) 소스 코드 많은 경우 소스코드 접근 및 수정 불가능 접근 및 수정 가능 원작자 부재 시 원 저작자가 개인 사정에 따라 언제든지 개발 중단이 원 저작자의 상황과 상관 없이 해당 소프트웨어의 사 가능함. (이런 경우 최종 버전은 개발자가 마지막으로 용자 또는 개발자 그룹이 계속 이를 활용하고 발전 시 배포한 상태로 머물게 됨) 킬 수 있음 유지 보수 특정 그룹 혹은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관리하면서 테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강력한 사용자 그 관리 주체 트 혹은 특정 목적을 위해 초반에 무료로 배포하지만, 룹이나 개발자 그룹이 자유롭게 해당 프로젝트들을 추후에는 유료화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 유지 관리 All  rights  reserved. 5 신상희(shshin@gaia3d.com)
  • 6.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3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저작권이 비독점 소유 §  저작권의 비독점 소유 방식은 특정 라이선스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소프트웨어 사용, 연구, 수정 및 배포에 있어서 전반적인 권한을 제공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 관리 및 저작권 관계 커뮤니티 사용 및 피드백 저작권 및 성과 귀속 소스코드 재배포 소스코드 개발, 관리 사용자 소스코드 §  주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무료로 소프트웨어 이용 및 배포 소스코드 취득 및 2차적 저작물 독점소프트웨어와 허용 가능 수정 가능 재공개 의무 결합 가능 GPL O O O X LGPL O O O O MPL O O O O BSD License O O X O Apache license O O X O All  rights  reserved. 6 신상희(shshin@gaia3d.com)
  • 7.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론 공동 개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  하나의 프로젝트 혹은 소프트웨어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사람들과 조직이 어우러져서 개발을 진 행하는 방식 §  공통관심사를 갖는 사람들이 함께 특정 소프트웨어나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관계로 자사의 개발과 투자 비용 을 절감하고, 기업 외부의 인력과 기술을 내재화할 수 있는 특성이 있음 §  외부 인력과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을 이해하는 많은 외부 인력이 존재하고 이 들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신의 기술과 능력을 공유할 정도의 환경과 규모가 필요 §  공동 개발 방식은 소위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개발 방식으로 특정 임계 점(Tipping Point) 이상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해야만 성공적으로 소프트웨어가 유지, 관리, 개발되는 특성이 있음 §  발전 방향 §  설계안 §  소프트웨어 핵심 개발자들 커뮤니티 커뮤니티에 기여 개발에 기여 §  평가 §  사용 사례 피드백 프로젝트 관 개발자들 §  테스트 리자 §  문서화 §  번역 §  기능 요청 §  타 사용자 지원 §  버그 수정 All  rights  reserved. 7 신상희(shshin@gaia3d.com)
  • 8.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장점 비용 절감, 자원 절감, 안정성 증가, 소스 코드 직접 수정 가능, 다수의 외부 개발자와 직접 접촉 가 능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업적 측면 기타 §  세계적 수준의 소프트웨 §  저렴한 도입 비용 §  자사의 부족한 제품군을 §  에너지 절감 어를 빠른 속도로 개발 단숨에 보완 가능 가능 §  세계적 수준의 오픈 소스 §  심리적 만족감 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비 §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다 §  다수의 외부 개발자들에 용 절감 양한 고객의 수요에 대응 §  낮은 이직률 의한 소스 코드 검토를 가능 통해 소프트웨어 안정성 §  소스 코드 레벨의 커스터 증가 마이징 §  회사 브랜드 가치 제고 §  주요 시장지배적 소프트 §  우수 성공 사례를 소스 웨어 사업자와의 기술 격 코드 레벨에서 재활용 가 차 해소 가능 능 §  뛰어난 외부 개발자의 내 재화 기술과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협업적으로 사회를 발전시키는 기반으로 작동 All  rights  reserved. 8 신상희(shshin@gaia3d.com)
  • 9. 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개 I-6 오픈 소스 GIS 소프트웨어 GIS 분야의 특성: 여러 소프트웨어의 복잡한 수직적 구성 Client   ArcMAP   Google  Earth   QGIS   Web   Interface   WMS   WFS   WCS   CSW   Middleware   ArcTMS   TMS   GeoWebCache   Server   ArcServer   ArcSDE   GeoServer   MIP   DBMS   Oracle   PostgreSQL   Data   Map   Image   DEM   All  rights  reserved. 9 신상희(shshin@gaia3d.com)
  • 11.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1 독점 소프트웨어의 저작권 저작권이 독점 소유 §  대부분의 독점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이 해당 제품을 개발한 기업(혹인 개인)에게 독점 소유되는 형태 §  저작권의 독점 소유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 당사자가 본인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권리를 독점적으로 소유 하고, 라이선스를 통해 사용자들 및 고객들에게 제한된 기능 혹은 제한된 시간으로 사용을 제한적으로 허용 §  저작권이 개인이나 기업에 독점적으로 귀속되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사용권(라이선스)을 사용자에게 제공함 §  라이선스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능별, 성능별, 기간별로 다르게 발급이 되고, 각각의 제품 의 특성과 기능에 맞춰서 가격이 책정됨 §  Microsoft, Adobe Systems, Oracle, ESRI, HEXAGON 등과 같은 전통적인 대형 소프트웨어 회사에 서 사용하는 방식 All  rights  reserved. 11 신상희(shshin@gaia3d.com)
  • 12.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2 독점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식 독립 개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  한 개인이나 특정 그룹 혹은 기업체에서 내부의 인력, 자원, 기술을 활용하여 내부적인 계획을 통해 소프트 웨어를 독립적으로 개발 §  독립 개발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의 내부 전문가에 의해 철저하게 개발 상업적 독점 소프트웨어 회사 사양과 수준, 개발 기간, 비용 등이 관리되는 목표 지향적 개발 방식임 소프트웨어 개발 §  개인 혹은 기업의 이익과 직결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경우 혹은 보안과 관련된 이슈가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 개발 계획 자원 관리 §  고객의 요구(Needs)를 상세히 파악하고 이를 빠르게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한 소프트웨어 개 요소 발 §  독점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자신들의 투자에 대한 손실 우려 때문에 시장 조사, 마케팅 분석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고객들의 목소리를 더 자신들의 소프트웨어 자원 소프트웨 어 에 반영하려고 노력 시장출시작업 이용료 판매 마케팅 서비스 완제품 (Whole Product) 제품/고객 교육 지원 관리 고객/협력사 All  rights  reserved. 12 신상희(shshin@gaia3d.com)
  • 13. II 독점 소프트웨어 소개 II-3 독점 소프트웨어의 장점 안정적 수익성, 전문성이 강한 소프트웨어, 고객의 요구사항의 빠른 수용, 체계적인 유지보수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업적 측면 기타 §  전문성이 강한 소프트웨 §  안정적인 수익구조 확립 §  사업적으로 대 규모의 계 §  소스코드의 보호가 가능 어 개발 가능 가능 약을 맺을 경우, 안정적 수익구조 가능 §  우수한 인력의 타 회사 §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한 §  금전적 보상을 통한 혁신 로의 유실을 막을 수 있 전문팀을 구성하여, 체계 이 가능 §  적극적으로 고객의 요구 음 적이고, 안정적인 소프트 사항을 파악하고, 제품에 웨어 검증및 테스트 가능 §  수익성을 바탕으로 신제 반영을 위해 노력 품 출시를 위한 투자가 §  우수한 개발자를 고용하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제 §  적극적인 마케팅 여 지속적인 제품의 개발 품 개발 가능 이 가능 §  제품의 브랜드화를 통한 회사이미지 제고가 가능 §  타 제품과의 경쟁력을 제 하고, 기업공개 시에 유 고할 수 있음 리한 점이 있을 수 있음 §  틈새 시장 공략 가능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한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 All  rights  reserved. 13 신상희(shshin@gaia3d.com)
  • 14. III 오픈 소스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 15.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1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모형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성당 모형 시장 모형 위계적 협력적 폐쇄적 개방적 Leverage own knowledge Leverage others knowledge too §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개발이 내부에서 이루어짐 §  설계와 개발이 다중에 의해 협력적으로 이루어짐 §  내부의 지식, 지적재산권, 경험을 활용하여 개발 §  자신의 역량과 외부 타인의 역량을 함께 결합하여 개발 §  전문적, 체계적 소프트웨어 개발에 유리할 수 있음 §  ‘We are smarter than Me’로 요약되는 개발방법론 All  rights  reserved. 15 신상희(shshin@gaia3d.com)
  • 16.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2 개발 방법론 특성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특성별 비교 개발방법론의 특성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독점 소프트웨어 성격 동시다발적, 수평적 나선형, 반복적, 수직적 프로세스 개발 단계 개발에 특별한 단계가 없음 계획, 디자인, 수행 모델 마일스톤 정해진 작업 일정 없음 작업 일정 존재 요구사항 이해도 높음 낮음 요구사항 정의와 설 요구사항 변경 및 추가 자유롭게 추가 가능 요구사항 변경 및 추가가 쉽지 않음 계 요구사항 결정권자 프로젝트의 핵심 멤버들 프로젝트 매니저와 시스템 아키텍트 공식 문서가 항상 존재하지는 않음 프로젝트 계획, 요구사항, 설계, 테스트 등 모든 사항들이 문서로 존 문서화 재 분석 및 디자인 프로젝트 디자인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음 프로젝트 디자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임 소프트웨어 구조 일관성 유지가 쉽지 않음 일관성 유지가 잘됨 요구사항:수행 = 1:N 방식 요구사항:수행 = 1:1 방식 수행 (같은 요구사항으로 여러 개의 수행이 가능) (하나의 요구사항에는 하나의 수행만 가능) 소스 코드 공개 비공개 테스트 공개 테스트 내부 테스트 출시 및 전달 일 단위 혹은 주 단위 일반적으로 연 단위 유지보수 공개 협력 유지 보수 별도의 유지보수 서비스 필요 프로젝트 종료의 개념이 희미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항 특정 단계(프로젝트 종료단계)에 도달했을 때 제품화 제품화 시 받아들이면 진화를 거듭함. 소프트웨어 종류 작은 컴포넌트 단위의 소프트웨어가 많음 특정 회사나 조직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같은 솔루션이 많음 독점 소프트웨어보다 보안이 취약하지 않음 보안에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책임소재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보 보안 다 명확함 All  rights  reserved. 16 신상희(shshin@gaia3d.com)
  • 17.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1)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비교 패키지 판매 정액제 전통적인 독점 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모델로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의 사용료를 특정 기간 단위(한 달 혹은 일 년)로 계약을 를 패키지화하여 단품으로 판매하는 방식 맺고 해당 기간마다 사용료를 지불 이중 라이선스(Dual License) 오픈 코어(Open Core)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오픈 소스 라이선스와 독점 라이선스로 배포하 기본적인 기능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특정 고부가 기능에 대 는 방식 해서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부가적으로 개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 식 All  rights  reserved. 17 신상희(shshin@gaia3d.com)
  • 18.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3 비즈니스 모델 비교(2)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비교 제품 전문가 플랫폼 제공 직접 개발한 프로그램과 함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도 사용하여 비즈 소프트웨어의 선택, 지원, 통합, 유지보수와 같은 서비스 전체를 제공 니스를 만들어 내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방식 하고, 테스트부터 확인 작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 컨설팅 유지 보수 제공자 직접 개발을 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대 다양한 종류의 각각의소프트웨어에 대한 종합 유지 보수를 제공하는 방식 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All  rights  reserved. 18 신상희(shshin@gaia3d.com)
  • 19.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4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특성 §  집단지성을 활용한 선구적 개발방법 §  협력을 통한 혁신 We   are  smarter  than  Me   All  rights  reserved. > 19 신상희(shshin@gaia3d.com)
  • 20.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5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혁신 독점 소프트웨어의 특성 §  철저하게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맞춤형 개발 §  금전적 보상이 최고의 혁신 Gold  wins  everything! All  rights  reserved. 20 신상희(shshin@gaia3d.com)
  • 21. III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독점 소프트웨어 비교 III-6 특성 비교 독점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특성 비교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독점 소프트웨어 비용 개발 기간 전문성 보안 마케팅 사용자 편의 유지보수 All  rights  reserved. 21 신상희(shshin@gaia3d.com)
  • 22.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 23.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전략 §  명확히 차별화되는 특화 기능을 독점 소프트웨어로 개발하고, 나머지 근간 기능과 일반 기능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나 타 사의 라이브러리, 기술 등을 활용하는 전략 직접 개발 외부 구매 오픈 소스 §  근간 사양(Commodity Features): 소프트웨어의 프레임워크와 유사한 것.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거 의 인지하지 못한 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일반 기능과 특화 기 특화 사양(Differentiated Features) 1 2 3 능이 작동. §  기본 사양(Baseline Features): 소비자가 해당 제품에서 기대하는 기능. GIS 소프트웨어에서 SHP이 기본 사양(Baseline Features) 2 1 2 나 GeoTiff를 읽어 들여서 화면에 표시하거나, GIS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과 같 은 기본 기능. 기본사양이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지는 않음. §  특화 사양(Differentiated Features): 사용자에게 최종적인 부가가치(Added Value)를 제공하는 것. 사 근간 사양(Commodity Features) 3 2 1 용자가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 특화사양 직접 개발 차별성과 수익성 추구 기본사양 아웃소싱 비용과 시간 절감 비용과 시간 절감 및 근간사양 오픈 소스 오픈 소스 사용자 층 유입 All  rights  reserved. 23 신상희(shshin@gaia3d.com)
  • 24.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2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주요 독점 소프트웨어 보완재(Complement) 전략 §  해외 유수 기업의 사용자층과 기술을 지렛대 삼아 우리나라 업체가 해외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 §  국산 독점 GIS 소프트웨어를 해외 유수 GIS 소프트웨어의 보완재로 기능할 수 있는 플러그인 형태 등으로 출시하는 전략 보완재(Complement Goods)란? 경제학에서 어떤 한 재화의 수 소프트웨어 가격 요가 늘어날 때 함께 수요가 늘어나는 재화를 의미 Plugin 제품 §  핵심제품의 마케팅과 브랜드 이용 §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핵심 제품 판매 증가 핵심 제품 Plugin 제품 핵심 제품 판매 감소 소프트웨어 판매 All  rights  reserved. 24 신상희(shshin@gaia3d.com)
  • 25.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3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첨단 기술 분야 집중 전략 §  과거 이동 통신 분야에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상용화한 것과 같은 빠른 도약(Le ap Frogging) 전략 §  최첨단 기술 분야에서 국산 독점 GI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새로운 시장 지 배적 사업자를 키우는 전략 §  최첨단 기술 분야에서 국산 독점 GI §  금전적 보상은 인재를 유입시킴 S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투자 시장 지배적 새로운 시장 지배적 사업자 Open Sour 사업자 ce 신규 사업자 탄생 §  호환성 유지 비용 증가 §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 분야에선 특성 §  신기술의 빠른 적용 §  경영의 보수성 을 발휘하기 어려움 §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빠른 적용 §  경직된 조직 문화 §  경영의 효율화 §  유연한 조직 문화 All  rights  reserved. 25 신상희(shshin@gaia3d.com)
  • 26. IV 한국의 독점 GIS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IV-4 특화 시장 침투 전략 특화 시장 침투 전략 §  인프라적인 성격의 기술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이러한 인프라적인 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Value)를 창출하는 분야에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전략 오픈 소스 §  가치보다 기술에 집중 소프트웨어 §  범용 인프라 기술적 성격의 시장 독점 소프트웨어로 틈새 시장 공략 독점 §  고객 친화성 소프트웨어 §  틈새 시장 기술과 틈새 시장의 체화 지식(Embodied Knowledge)를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 한국형 독점 GIS 소프트웨어 탄생 Technology Business  Logic 고객의 가치 향상이 비즈니스의 최종 목적임을 고려하여 고객 요구(Needs)를 만족시키는 가치를 제공하는 시장 공략 방식으로 전환 All  rights  reserved. 26 신상희(shshin@gaia3d.com)
  • 28. V 결론 독점 소프트웨어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싼게 비지떡’일 수도 있고, 이러한 통념이 장애물이 될 수도 있음 §  ‘개발자를 위한 개발자의 의한 개발자의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 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 §  금전적 보상이 적거나 없기 때문에 특정 임계점 이상의 개발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지속 가능 한 개발이 어려울 수 있음 All  rights  reserved. 28 신상희(shshin@gaia3d.com)
  • 29. V 결론 독점 소프트웨어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  금전적 보상은 최고의 혁신이지만, 고객에겐 최고의 고민거리이기도 함 §  고객의 요구사항을 항상 만족시키려고 노력한다고, 반드시 만족하는 것도 아님 §  독점 소프트웨어는 완성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새 버전 출시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빠른 대응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음) All  rights  reserved. 29 신상희(shshin@gaia3d.com)
  • 30. V 결론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All  rights  reserved. 30 신상희(shshin@gaia3d.com)
  • 32. Reference §  Eric  Raymond,  The  Magic  Cauldron,  hJp://www.catb.org/esr/wriMngs/magic-­‐cauldron/   §  John  Carroll,  ‘Open  source  vs  proprietary:  Both  have  advantages’,  ZDNet,  2004.   hJp://www.zdnet.com/open-­‐source-­‐vs-­‐proprietary-­‐both-­‐have-­‐advantages-­‐3039155570/   §  Arnoud  Engelfriet,  ‘Mixed-­‐source  so^ware  development’,  Intellectual  Asset  Magazine  issue  19,  A ugust/September  2006.   §  John  Carrol,  ‘How  the  so^ware  economy  is  driven  by  proprietary  work’,  ZDNet,   hJp://www.zdnet.com/how-­‐the-­‐so^ware-­‐economy-­‐is-­‐driven-­‐by-­‐proprietary-­‐work-­‐1139148761/ ,  2004.   §  이창양,  ‘자연발생하는 일시적 독점현상은 기술 혁신을 앞당긴다’,  마이크로소프트 매거진,  2004년 11 월/12월 호 §  James  Dixon,  The  Wild  Hive  Model  for  Open  Source  Projects,   hJp://jamesdixon.wordpress.com/the-­‐bees-­‐and-­‐the-­‐trees/proprietary-­‐model/   §  Detlev  J.  Hoch  외,  ‘Secrets  of  So^ware  Succes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  James  Dixon,  The  Maple  Syrup  Farm  Model  for  Proprietary  So^ware  Companies   hJp://jamesdixon.wordpress.com/the-­‐bees-­‐and-­‐the-­‐trees/proprietary-­‐model/   §  Vidyasagar  Potdar  &  Elizabeth  Chang,  ‘Open  Source  and  Closed  So^ware  Development  Methodol ogies’,  ICSE,  2004   §  문장원,  ‘이중라이센스(Dual-­‐license)  :  오픈 소스 상업화 실험’,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SW정책연구센 터,  2006.   §  공개소프트웨어 포털의 공개SW라이선스 소개 자료, http://www.oss.kr/oss_intro06 §  신상희,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이해’, 공간정보공동 추계학회, 2009. All  rights  reserved. 32 신상희(shshin@gaia3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