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The way of accelerating media consumption on TV
배경
2
- 인터넷 보급률 증가, 모바일 인터넷의 활성화 등으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각종 웹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
-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각 이용자의 이용시간도 자연스럽게 증가하였으나 실제로 미디어 소비에 있어서 이
부분을 이용하는 방법의 부재.
- 많은 미디어 소비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습득에 의해 이루어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폭발적인 성장
배경
3
- 많은 미디어 소비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습득에 의해 이루어짐.
생산된 미디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확장되는 과정
착안점과 아이디어
4
- 많은 시간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수많은 미디어 정보를 접하게 됨.
-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없으므로 그 것을 도와줄 시스템 혹은 장치가 필요.
- 이러한 시스템 혹은 장치의 경우 복잡한 시스템 보다는 단순하지만 필요한 순간에 바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함.
아이디어
착안점
 실제 웹서핑 도중 혹은 Twitter, Facebook과 같은 Social Network Service(SNS)를 이용하는 도중에 많은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특정 정보에 대해서는 이 미디어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TV앞에 앉으면
항상 어떤 것을 볼지 채널을 무의미하게 보게 됨. VOD컨텐츠의 경우에도 수많은 컨텐츠가 IPTV환경이나 Connected
TV환경에 존재하지만 비슷하게 어떤 컨텐츠를 볼지 고민하게 됨. 사업자들은 이러한 미디어 컨텐츠들에 대하여 단순한
나열 혹은 최신작에 대한 소개에 그침으로 인해서 실제 소비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음.
아이디어
 많은 웹서비스들(포털, 검색엔진 등)을 비롯해서 Twitter, Facebook으로 대표되는 SNS의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서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브라우저의 종류에 관계없이 웹표준을 준수하는 Javascript program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를 북마크릿(Bookmarklet)의 형태로 서비스하면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 Bookmarklet: http://en.wikipedia.org/wiki/Bookmarklet
 이 시스템은 복잡한 추천 알고리즘 등을 가지기 보다는 단순하게 현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혹은 SNS를
통해서 인식한 미디어 컨텐츠들 중 나중에 다시 상기하기를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저장 기능을 보유하였다가 현재
진행중인 웹표준인 HTML5를 지원하는 Connected TV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다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
Concept
5
- 브라우저에 북마크릿 형태로 설치된 Q it 버튼을 이용해서 SNS나 각종 웹서비스를 이용 중에 원하는 컨텐츠를 Media Q에 저장.
- Media Q는 Netflix, IMDB, YouTube와 같이 미디어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API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
- HTML5와 같은 웹표준을 지원하는 Connected TV환경에서 Media Q에 저장된 내역을 Web을 통해 확인하거나 Media Q에서
API형태로 저장데이터를 가져와 사업자가 재가공하여 기존 IPTV환경에서 저장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저장된 미디어를 실제
방송사업자의 미디어 팜과 연계해서 미디어가 실제로 소비.
간단한 실제 활용 예
6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간단한 실제 활용 예
7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간단한 실제 활용 예
8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간단한 실제 활용 예
9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구조도
10
- OAuth를 이용한 인증(로그인)과 TV용 인증(내부인증)을 처리하는 부분.
- 3개의 DB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User), 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main_queue),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history_queue).
- API를 활용하여 외부 DB에서 데이터(미디어 메타데이터, SNS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한 부분.
- TV 서비스 페이지(TV Interface)
- 인터넷 서비스 페이지(Web Interface)
사용자정보
DB
큐
DB
히스토리
DB
TV
Interface
Web
Interface
내부인증 시스템
외부데이터
수집 시스템
Network
로그인 시스템
Web
Browser
IPTV,
Connected TV
OAuth,
Open ID
미디어 사업자
(Netflix, IMDB,
YouTube 등)
Media Q
11
FlowChart
Web interface의 동작
12
FlowChart
TV Interface의 동작
13
FlowChart
로그인 시스템의 동작
14
FlowChart
외부데이터 수집시스템의 동작
15
1. 미디어큐의 설치 (GIF 이미지 애니메이션, 슬라이드쇼 요망)
미디어큐 설치 페이지에 접속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미디어큐 북마클릿(bookmarklet)을 설치(즐겨찾기 추가)한다.
16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Q it" 북마클릿을 등록한 후에, 웹 서핑을 하다가 자신이 큐에 저장하고 싶은 컨텐츠 정보(웹 객체:글자, 사진, 음악 등)를 드래그한
후에 "Q it"을 클릭한다.
* 큐(MediaQ): 사용자가 보고 싶은 컨텐츠 정보를 담고 있는 웹 상의 저장공간
클릭 하면 새 창(오버레이 화면)에 컨텐츠 키워드로 검색되는 컨텐츠 리스트와 각 컨텐츠의 세부정보(타이틀, 썸네일, 평점, 재생시간,
장르 등)들이 출력된다. 자신의 큐에 넣기 위해서 인증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새로운 아이디를 만들 필요가 없이 OAuth나 Open-ID를
사용하는 기성 SNS 사이트(트위터, facebook 등)의 아이디를 이용해서 인증한다
17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사용자가 임의의 SNS 아이디로 접속하면 사용자에게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후에 처음에 사용한 SNS 아이디와 다른 SNS
아이디를 함께 인증하면 부여한 고유아이디와 새로운 SNS 아이디를 바인딩한다. (스샷)
(예: 사용자가 처음에 트위터 아이디 "A"로 로그인 하면 고유 아이디가 숫자형태로 부여(11), 후에 트위터 아이디 "A"로 로그인 한
상태에서 페이스북 아이디 "B"로 로그인 하면 "A"와 "B"가 같은 사용자로 인식되어 고유 아이디(11)을 공유하게 되어 나중에는
"B"로만 로그인해도 같은 큐를 사용하게 된다.)
18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로그인을 하면 컨텐츠 리스트에 "ADD" 버튼이 활성화 되어 컨텐츠를 큐에 저장할 수 있게된다.
- 이미 자신의 큐에 있다면 "ADDED"라고 뜬다
- 컨텐츠 제공자의 DB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 리스트 정렬 옵션 제공(최신순, 평점순)
19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저장을 한 후에 자신의 큐를 확인 하기 위해 미디어큐 아이콘을 클릭하여 웹페이지로 이동 한다.
20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페이지에는 현재 큐 및 히스토리 큐에 있는 컨텐츠 정보(썸네일, 제목, 평점, 출처, 등록시간(본시간), 재생시간, 장르, 시놉시스)를 볼
수 있다. 실제 구현에서는 썸네일 화면을 클릭 시 아래에 확장된 창으로 컨텐츠 정보가 표시.
- 자신이 보고 싶지 않은 정보는 삭제가 가능하다. (미구현: 큐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21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Q on your TV"를 클릭해서 TV에서 미디어큐에 연결하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
- TV에서는 입력 장치(리모콘)가 복잡한 문자열을 입력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단순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필요
- 웹 상에서 TV에서 사용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중복확인)
22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집에 돌아와서 TV를 켜서 미디어큐를 실행하면, 웹에서 설정한 TV용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큐의 목록을 볼 수 있다.
아래의 스크린샷을 보면 기존에 로그인한 적인 있는 유저의 경우 표시를 해주고 지금 TV에서 처음 새롭게 로그인을 하는 상황이면
New User를 선택하고 TV용으로 등록한 ID와 Password를 넣는다.
23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TV에서는 컨텐츠 정보 보기, 재생, 큐 리스트 순서변경, 히스토리에서 재생, 컨텐츠에 대한 SNS 사용자들의 피드백 보기 등이
가능하다.
- TV환경에서는 리모콘만을 이용해서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입력 장치가 있으면 그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24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 큐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웹에서 시간상으로 빨리 넣은 컨텐츠가 상단에 먼저 부각되어 보이며, 히스토리에서는 역으로 가장 최근에
재생한 컨텐츠가 가장 처음에 보이게 된다.
-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했을때 재생된 컨텐츠는 자동으로 큐 리스트에서 히스토리로 옮겨진다.
25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 큐 리스트에 있는 컨텐츠를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 큐 리스트 안에서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 사용자는 히스토리에 있는 컨텐츠를 다시 자신의 큐 리스트로 이동 시킬 수 있다.
- 사용자는 컨텐츠 플레이가 끝난 후, 메뉴 선택을 통해 평점을 매겨서 그것을 자신의 SNS에 올라가게 하거나, 추천 메시지를 자신의
SNS에 등록할 수 있다.(둘 다도 가능)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Media Q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YOO SE KYUN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MezzoMedia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kang Anthony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sung
 
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
yonsei87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JM code group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MezzoMedia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Nasmedia
 
[Nux]03 introduction
[Nux]03 introduction[Nux]03 introduction
[Nux]03 introductionjylee_kgit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MezzoMedia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iNhoRUN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iNhoRUN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MezzoMedia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Park Jonggun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Innobirds Media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ollehkt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ollehktsocial
 

Similar to Media Q (20)

2강
2강2강
2강
 
2강
2강2강
2강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201207_디지털 미디어 이슈리포트_DMC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메조미디어] 2022 상반기 미디어 이슈 결산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Digital Convergence Portal Media 200606 Kd Up D
 
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web 2.0 & Diffusion
web 2.0 & Diffusion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UCC(사용자손수제작콘텐츠)동국대특강 제4차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메조미디어] 2014 미디어 트렌드 전망_2013.12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The role of digital in tv research, fanship and viewing
 
[Nux]03 introduction
[Nux]03 introduction[Nux]03 introduction
[Nux]03 introduction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메조미디어] Media&Market Report (2022.09)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소셜웹으로 가는 길, 소셜커넥트
 
웹2.0소개
웹2.0소개웹2.0소개
웹2.0소개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메조미디어] 2019 소셜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IoT] MAKE with Open H/W + Node.JS - 5th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Innobirds social weekly review vol.42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QOOK TV OPEN 서비스 설명회
 

More from Seokhyun Song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Seokhyun Song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Seokhyun Song
 
Sound Camera
Sound CameraSound Camera
Sound Camera
Seokhyun Song
 
The Mirror
The MirrorThe Mirror
The Mirror
Seokhyun Song
 
Kai-square Project
Kai-square ProjectKai-square Project
Kai-square Project
Seokhyun Song
 
Service Routing
Service RoutingService Routing
Service Routing
Seokhyun Song
 
Vision of IPTV with Media 2.0
Vision of IPTV with Media 2.0Vision of IPTV with Media 2.0
Vision of IPTV with Media 2.0
Seokhyun Song
 

More from Seokhyun Song (10)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NFT의 법적 의의 및 이슈 (Legal Considerations for NFT)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The Mirror - Technical Description
 
Sound Camera
Sound CameraSound Camera
Sound Camera
 
The Mirror
The MirrorThe Mirror
The Mirror
 
Kai-square Project
Kai-square ProjectKai-square Project
Kai-square Project
 
Service Routing 2
Service Routing 2Service Routing 2
Service Routing 2
 
Service Routing
Service RoutingService Routing
Service Routing
 
Vision of IPTV with Media 2.0
Vision of IPTV with Media 2.0Vision of IPTV with Media 2.0
Vision of IPTV with Media 2.0
 
Future of IPTV
Future of IPTVFuture of IPTV
Future of IPTV
 
Web based TV
Web based TVWeb based TV
Web based TV
 

Media Q

  • 1. The way of accelerating media consumption on TV
  • 2. 배경 2 - 인터넷 보급률 증가, 모바일 인터넷의 활성화 등으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각종 웹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 -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각 이용자의 이용시간도 자연스럽게 증가하였으나 실제로 미디어 소비에 있어서 이 부분을 이용하는 방법의 부재. - 많은 미디어 소비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습득에 의해 이루어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폭발적인 성장
  • 3. 배경 3 - 많은 미디어 소비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습득에 의해 이루어짐. 생산된 미디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확장되는 과정
  • 4. 착안점과 아이디어 4 - 많은 시간 인터넷 환경에 노출되어 수많은 미디어 정보를 접하게 됨. -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없으므로 그 것을 도와줄 시스템 혹은 장치가 필요. - 이러한 시스템 혹은 장치의 경우 복잡한 시스템 보다는 단순하지만 필요한 순간에 바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함. 아이디어 착안점  실제 웹서핑 도중 혹은 Twitter, Facebook과 같은 Social Network Service(SNS)를 이용하는 도중에 많은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특정 정보에 대해서는 이 미디어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TV앞에 앉으면 항상 어떤 것을 볼지 채널을 무의미하게 보게 됨. VOD컨텐츠의 경우에도 수많은 컨텐츠가 IPTV환경이나 Connected TV환경에 존재하지만 비슷하게 어떤 컨텐츠를 볼지 고민하게 됨. 사업자들은 이러한 미디어 컨텐츠들에 대하여 단순한 나열 혹은 최신작에 대한 소개에 그침으로 인해서 실제 소비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음. 아이디어  많은 웹서비스들(포털, 검색엔진 등)을 비롯해서 Twitter, Facebook으로 대표되는 SNS의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서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브라우저의 종류에 관계없이 웹표준을 준수하는 Javascript program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를 북마크릿(Bookmarklet)의 형태로 서비스하면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 Bookmarklet: http://en.wikipedia.org/wiki/Bookmarklet  이 시스템은 복잡한 추천 알고리즘 등을 가지기 보다는 단순하게 현재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혹은 SNS를 통해서 인식한 미디어 컨텐츠들 중 나중에 다시 상기하기를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저장 기능을 보유하였다가 현재 진행중인 웹표준인 HTML5를 지원하는 Connected TV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다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
  • 5. Concept 5 - 브라우저에 북마크릿 형태로 설치된 Q it 버튼을 이용해서 SNS나 각종 웹서비스를 이용 중에 원하는 컨텐츠를 Media Q에 저장. - Media Q는 Netflix, IMDB, YouTube와 같이 미디어에 대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API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 - HTML5와 같은 웹표준을 지원하는 Connected TV환경에서 Media Q에 저장된 내역을 Web을 통해 확인하거나 Media Q에서 API형태로 저장데이터를 가져와 사업자가 재가공하여 기존 IPTV환경에서 저장된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저장된 미디어를 실제 방송사업자의 미디어 팜과 연계해서 미디어가 실제로 소비.
  • 6. 간단한 실제 활용 예 6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 7. 간단한 실제 활용 예 7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 8. 간단한 실제 활용 예 8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 9. 간단한 실제 활용 예 9 - Twitter에 아래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많은 정보가 존재. - 그 중 Shrek the third 라는 컨텐츠를 나중에 봐야겠다고 사용자가 생각할 경우 그 부분을 블록을 잡은 뒤 브라우저 북마크에 북마크릿으로 설치된 Q it 버튼을 누르면 Media Q에 검색된 컨텐츠가 나오고 선택하여 ADD. - 나중에 TV에서 Media Q에 접속하면 자신이 저장했던 큐 리스트가 나오고 그 것을 통해 미디어를 실제로 소비할 수 있음. 아이디어
  • 10. 구조도 10 - OAuth를 이용한 인증(로그인)과 TV용 인증(내부인증)을 처리하는 부분. - 3개의 DB :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User), 큐 리스트 데이터베이스(main_queue),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history_queue). - API를 활용하여 외부 DB에서 데이터(미디어 메타데이터, SNS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한 부분. - TV 서비스 페이지(TV Interface) - 인터넷 서비스 페이지(Web Interface) 사용자정보 DB 큐 DB 히스토리 DB TV Interface Web Interface 내부인증 시스템 외부데이터 수집 시스템 Network 로그인 시스템 Web Browser IPTV, Connected TV OAuth, Open ID 미디어 사업자 (Netflix, IMDB, YouTube 등) Media Q
  • 15. 15 1. 미디어큐의 설치 (GIF 이미지 애니메이션, 슬라이드쇼 요망) 미디어큐 설치 페이지에 접속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미디어큐 북마클릿(bookmarklet)을 설치(즐겨찾기 추가)한다.
  • 16. 16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Q it" 북마클릿을 등록한 후에, 웹 서핑을 하다가 자신이 큐에 저장하고 싶은 컨텐츠 정보(웹 객체:글자, 사진, 음악 등)를 드래그한 후에 "Q it"을 클릭한다. * 큐(MediaQ): 사용자가 보고 싶은 컨텐츠 정보를 담고 있는 웹 상의 저장공간 클릭 하면 새 창(오버레이 화면)에 컨텐츠 키워드로 검색되는 컨텐츠 리스트와 각 컨텐츠의 세부정보(타이틀, 썸네일, 평점, 재생시간, 장르 등)들이 출력된다. 자신의 큐에 넣기 위해서 인증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새로운 아이디를 만들 필요가 없이 OAuth나 Open-ID를 사용하는 기성 SNS 사이트(트위터, facebook 등)의 아이디를 이용해서 인증한다
  • 17. 17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사용자가 임의의 SNS 아이디로 접속하면 사용자에게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후에 처음에 사용한 SNS 아이디와 다른 SNS 아이디를 함께 인증하면 부여한 고유아이디와 새로운 SNS 아이디를 바인딩한다. (스샷) (예: 사용자가 처음에 트위터 아이디 "A"로 로그인 하면 고유 아이디가 숫자형태로 부여(11), 후에 트위터 아이디 "A"로 로그인 한 상태에서 페이스북 아이디 "B"로 로그인 하면 "A"와 "B"가 같은 사용자로 인식되어 고유 아이디(11)을 공유하게 되어 나중에는 "B"로만 로그인해도 같은 큐를 사용하게 된다.)
  • 18. 18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로그인을 하면 컨텐츠 리스트에 "ADD" 버튼이 활성화 되어 컨텐츠를 큐에 저장할 수 있게된다. - 이미 자신의 큐에 있다면 "ADDED"라고 뜬다 - 컨텐츠 제공자의 DB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 리스트 정렬 옵션 제공(최신순, 평점순)
  • 19. 19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저장을 한 후에 자신의 큐를 확인 하기 위해 미디어큐 아이콘을 클릭하여 웹페이지로 이동 한다.
  • 20. 20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페이지에는 현재 큐 및 히스토리 큐에 있는 컨텐츠 정보(썸네일, 제목, 평점, 출처, 등록시간(본시간), 재생시간, 장르, 시놉시스)를 볼 수 있다. 실제 구현에서는 썸네일 화면을 클릭 시 아래에 확장된 창으로 컨텐츠 정보가 표시. - 자신이 보고 싶지 않은 정보는 삭제가 가능하다. (미구현: 큐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 21. 21 2-1. 미디어큐의 이용 (Web) "Q on your TV"를 클릭해서 TV에서 미디어큐에 연결하기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 - TV에서는 입력 장치(리모콘)가 복잡한 문자열을 입력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단순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필요 - 웹 상에서 TV에서 사용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중복확인)
  • 22. 22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집에 돌아와서 TV를 켜서 미디어큐를 실행하면, 웹에서 설정한 TV용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 큐의 목록을 볼 수 있다. 아래의 스크린샷을 보면 기존에 로그인한 적인 있는 유저의 경우 표시를 해주고 지금 TV에서 처음 새롭게 로그인을 하는 상황이면 New User를 선택하고 TV용으로 등록한 ID와 Password를 넣는다.
  • 23. 23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TV에서는 컨텐츠 정보 보기, 재생, 큐 리스트 순서변경, 히스토리에서 재생, 컨텐츠에 대한 SNS 사용자들의 피드백 보기 등이 가능하다. - TV환경에서는 리모콘만을 이용해서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입력 장치가 있으면 그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 24. 24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 큐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웹에서 시간상으로 빨리 넣은 컨텐츠가 상단에 먼저 부각되어 보이며, 히스토리에서는 역으로 가장 최근에 재생한 컨텐츠가 가장 처음에 보이게 된다. -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했을때 재생된 컨텐츠는 자동으로 큐 리스트에서 히스토리로 옮겨진다.
  • 25. 25 2-2. 미디어큐의 이용 (TV) - 큐 리스트에 있는 컨텐츠를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다. - 큐 리스트 안에서 컨텐츠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 사용자는 히스토리에 있는 컨텐츠를 다시 자신의 큐 리스트로 이동 시킬 수 있다. - 사용자는 컨텐츠 플레이가 끝난 후, 메뉴 선택을 통해 평점을 매겨서 그것을 자신의 SNS에 올라가게 하거나, 추천 메시지를 자신의 SNS에 등록할 수 있다.(둘 다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