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PLANT, MACHINE, POWER, AUTOMOTIVE, BUILDING & HOME COMMUNICATION NETWORKs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015년 03월호 통권 제97호 | 정가 8,200원
발행처 아이씨엔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 Web www.icnweb.kr | E-mail icn@icnweb.co.kr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No.97
www.icnweb.co.kr
MARCH 2015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 가치 창조를 위한 비즈니스 최적화
전력전자 엔지니어를 위한 국내외 최신 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은 국내 전력전자 엔지니어와 함께
지속가능한 공유 에너지 사회를 추구합니다.
아이씨엔 icn@icnweb.co.kr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www.powerelectronics.co.kr
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우리의 제휴가
EtherNet/IP™의 생명력입니다
제조 운영과 IT를 통합하는 융합된 공통 네트워크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니즈를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세계 수준의 자동화 제어
및 정보에 대한 전문성을 네트워킹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CISCO®
의 전문성과 결합시켰습니다.
표준 이더넷 EtherNet/IP™ 기술을 극대화하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공동으로 개발, 글로벌 제조사가 최상의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최선의 적용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업 전체를 아우르는 안전한 솔루션, 증가된 유연성 그리고 높아진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무료 파트너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십시오.
www.apac.rockwellautomation.com/ethernetip/ICNKOALL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주) 서울시 강남구 삼성로 511 골든타워 16, 17층 (135-745) Tel : 02-2188-4400
부산지사 051-606-1500 / 광주지사 062-945-8666 / 대구지사 053-604-3960 www.rockwellautomation.co.kr

2015년 03월호 통권 제97호 2015년 3월 6일 발행
편집장 Editor-in-Chief 오승모 TIMOTHY S.M., OH· oseam@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김철민 CHOL MIN, KIM· min@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오상원 CHRIS, OH· chris@icnweb.co.kr
기자 News Editor 오윤경 YUN KYUNG, OH· news@icnweb.co.kr
웹마스터 Web Master 손성수 SUNG SOO, SON· icn@icnweb.co.kr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is published by ICN Corp.
ISSN 	 1975-552X
등록번호	서대문 라 00035 Registration Number
등록일	 2006년 6월 29일 Registration Date
발행인	 오승모 Publisher
인쇄인	 YSP 함용헌 Printing House
발행처	 아이씨엔 ICN Corp.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홍제동)
	 25-13, Hongjewonkil, Seodaemun-gu, Seoul, 120-854, Korea
전화	 0505-379-1234
팩스	 0505-379-5678
이메일	 icn@icnweb.co.kr
웹	 www.icnweb.co.kr
뉴스웹	 www.icnweb.kr
가격	 8,200원 Price
월간 아이씨엔
03 | 2015
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합니다.
정가 8,200원 (1년 정기구독료 82,000원) [구독문의:0505-379-123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No.97
ww.ICNweb.k
https://www.facebook.com/icnweb/
https://twitter.com/oseam/
http://www.youtube.com/user/icnwebTV/
http://www.pinterest.com/timothyoh/industrial-infographics/
https://www.linkedin.com/in/icnweb/
COMPETENCE IN COMMUNICATION
Phone: 031-789-3715
info@hilscher.kr
www.hilscher.com
One Gateway for All
고객 여러분의 모든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Gateway를 제공합니다.
Gateway netTAP:
 필드버스와 Real-Time-Ethernet용
 300가지 이상의 프로토콜 조합
 Master와 Slave의 자유로운 조합
 5ms 이하의 빠른 데이터 변환 시간
One Partner ›› One Chip ›› All Systems
Automation World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일시: 2015년 3월 18일(수) ~ 20일(금)
장소: 서울 코엑스
부스번호: C132
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 분석
포커스
급진적인 기술 개발에 힘입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사례들이 강화되면서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
크 시장도 매우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과 공장 자동화 분석에 대한 필요성
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들로 꼽히고 있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지사에 따르면,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은 2014
년 해당 시장 수익은 12억 달러였으며,
2020년에는 18.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32억 6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
로 예측됐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M&I(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산업부의 라젠다
투수(Rajender Thusu) 디렉터는 “가전제
품을 제외하고 모든 산업들에서 모니터
링용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
고 있다. 빌딩 자동화와 공급체인, 방위,
자재관리, 식료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는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트랙킹, 태그용
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
다”고 전했다.
하지만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
선 센서 통신 및 소수 off/on 특성들을
제외하고는 제어하는 역할로 충분히 활
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주요 고객들
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해 신뢰도와
보안면에서 우려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
이 실사용자들은 최근 한정되어 있는 대
역폭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필
요한 투자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독자적인 무선 네트워크 표준으로 인해
더욱 불거진 통합 부족이 과제로 떠오르
고 있다. 자유로운 데이터 흐름과 데이
터 패킷 손실 가능성 제거, 일정한 전송
속도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표준이 시행되어
야 한다.
다양한 시장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
다.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장비들은
단거리, 낮은 비트 속도, 저전력, 저비용
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장비
들은 실제 애플리케이션들과 물리적 환
경을 연결할 때 쓰인다. 국제인터넷표준
화기구(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IEEE 802.15.4와 같은 표준을
바탕으로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
(WSN)를 통해 IPv6 패킷 전송을 달성하
기 위해 개발한 6LoWPAN을 비롯해, 여
러 노력들이 줄을 잇고 있다. Zensys가
개발한 빌딩 자동화 및 스마트 홈 시장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Z-Wave 솔루
션과 얼라이언스(Alliance) 모드 프로토
콜과 칩 개발, 장비 상품화에 기반을 두
고 1GHz 이하 라디오 기술에 초점을 맞
춘 DASH7 Alliance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다양한 표준들과의 상
호 운영성을 용이하게 해준다.
투수 디렉터는 “WirelessHART 프로토
콜과 ISA100이 여러 산업들에 걸쳐 일반
표준들로 쓰일 것이다. 통합 표준들로
실사용자들은 자산 및 인력 추적 시스템
과 같은 다른 기능들과 공정 제어 및 자
동화 센서들을 쉽게 통합시킬 수 있다”
고 전했다.©
www.frost.com
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CSRmesh, 홈 오토메이션의 간결하고 원활한 제
어 및 연결 제공
포커스
CSR은 난방, 환기, 에어콘, 출입문 잠금 장치, 창문 여닫힘 센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CSRmesh™ 2.0 홈 오토메이션을 발표했다.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장착된 Bluetooth Smart
기기들을 간단하게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은 기존 개발
예제로 제공해 왔던 스마트폰, 태블릿
뿐 아니라 PC,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
어러블기기로도 제어가 가능하며, 센서
(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장착
된 Bluetooth Smart 기기들을 간단하게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작년 최초로 발표된 CSRmesh 프로토콜
의 초기 버전은 조명 제어에 최적화 되
어 있었다. CSR은 CSRmesh의 기능을 지
속적으로 추가, 확장하여 홈 오토메이
션, IoT(사물인터넷) 등을 위해 고객들이
Mesh 네트워크에 추가하고 싶은 다양한
센서 또는 액튜에이터들을 제어할 수 있
도록 지원한다.
홈 사물인터넷 커넥티비티 제공
CSR의 앤서니 머레이(Anthony Murray)
비즈니스그룹 수석 부사장은 "우리의
Mesh 프로토콜은 이미 사물인터넷에 흥
미로운 기능을 더했고 우리의 고객은 설
정과 사용이 쉬운 스마트 조명 솔루션
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며, "우리가 내
놓은 새로운 버전은 스마트 홈 개발자를
위한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며 확장이 가
능한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 덧붙였다.
CSRmesh는 CSR의 CSR101x 제품들을
포함한 검증된 Bluetooth Smart 칩셋
솔루션들로 제품화할 수 있고, 관련 소
프트웨어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는
Bluetooth Smar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에 패킷 릴레이 방식으
로 메시지를 보내고 전달한다. 전송 프
로토콜의 직관성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
은 초기 제품 등록 과정을 제외한 복잡
한 설정, 페어링 등이 필요치 않으며, 라
우터, 브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SRmesh 기술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혹은 웨어러블기
기들을 통한 제어뿐만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 가능한 형태인 스위치나 제어
패널 같은 범용의 제어 장치도 컨트롤러
로서 사용될 수 있다.
CSR은 최근 Mesh 프로토콜을 통해 직접
적인 제어하는 방식 이외에도 클라우드
네트워크(cloud network)를 통한 원격
감시, 제어를 위한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멀리 출장 또는 여행 중
에도 문이나 창문이 열려 있는지, 집안
의 가전이 켜져 있는지, 화재 경보기가
꺼져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
이 가능해 진다. CSRmesh 홈 오토메이
션 솔루션은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개발
지원을 통해 언제, 어느 곳에 있어도 가
정 내의 다양한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
하고 통제할 수 있다.
CSR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블루투스
스마트 Mesh Protocol의 표준화를 위하
여 블루투스 특별 이익 단체(SIG)의 블
루투스 Smart Mesh 스터디 그룹 내에
서도 관련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
다.© www.csr.com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BI 센터 204호
1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인더스트리 4.0에서의 자동화 기술
포커스
스마트제조와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산업용 이더넷 핵심기술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이더넷파워링크협회
(Ethernet POWERLINK Standardization Group; EPSG)는 중국 우한에 POWERLINK 모션 제어 센터를 설립했
다고 밝혔다.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오픈 로보틱스 &
인더스트리4.0” 박람회에서 인더스트리
4.0의 미래가 오늘날의 자동화 기술에
서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해 설명했다.
EPSG와 멤버인 B&R, Cognex, Comau
와 Festo으로 부터 초대받은 120곳 이상
의 전문가들은 이분야에 가장 최신의 기
술을 발견하기 위해 리옹으로 향했다.
로봇 제조업체인 Comau는 로봇과 인간
이 손을 맞잡고 일할 수 있는 개방형 로
보틱스 플랫폼을 발표했다. 핵심기술인
새로운 “C5G Open”는 로봇 컨트롤러와
실시간 POWERLINK네트워크는 최고수
준의 성능과 속도를 제공한다.
전시된 많은 솔루션들 중에, Festo에
서 출신된 CPX자동화 플랫폼은 특히
POWERLINK 네트워크를 쉽게 통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즉 인더스트리 4.0의 생산시스템의 특
징중 하나인 분산화된 자동화 로직은 필
연적으로 고속의 제한되지 않은 개방형
안전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사항을
긴급하게 만들었습니다. POWERLINK
와 openSAFET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기반을 모두 다져놓은 상태입니다.”라고
EPSG의 Technology marketing manager
인 스테파네 포티에씨는 말한다.©
(www.ethernet-powerlink.org
임베디드 월드 2015
세이프티, 스포트라이트를 받다
EPSG는 다수의 시스템 인터그레이터들과 함께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2월 24일부
터 26일까지 열리는 임베디드월드 2015에서 openSAFETY 솔루션에 대한 광범위
한 스펙트럼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이프티 필드버스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은 비용과 개발환경구축이라는 제약사
항을 항상 염두해야 하는 제조업체들에게는 항상 도전일 수 밖에 없습니다. EPSG
부스에 기존 개발 비용의 최대 8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전시될 예정이
며, 이러한 특징이 openSAFETY가 시장에서 가장 흥미로운 솔루션이 되도록 만들
었습니다.”라고 EPSG의 Managing Director인 스테판 쉐네거씨는 말한다.
또한 EPSG는 2014년 바우마 중국 트레이드쇼에서, 중국 POWERlINK협회가 건설
장비제어기술에 관련된 연구및 응용분야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Port Machinery company를 포함한 유명한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전기 엔지니어들
이 참석한 성공적인 이벤트는, 건설업계에 POWERLINK솔루션의 혜텍에 대한 인
식이 성장하였다는 것을 반영한다. 또한 건설기계제어분야에 필요한 지능 및 원
격 데이터 수집, 강화된 세이프티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POWERLINK와
openSAFETY를 이용한 개발 및 통합의 실용적인 측면을 발표했다.©
IEC 62026-2 국제표준, 필드레벨 개방형
네트워크, 전세계 350개 이상의 공급업체
가 제공하는 1,800개 이상의 인증받은 방
대한 제품군을 자랑하는 AS-Interface는
거의 모든 자동화 네트워크에서 센서와 액
추에이터의 통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
니다.
www.asi.or.kr
간편함과 경제적 효율성의 또 다른 이름
AS-Interface
1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온세미, 임베디드월드 2015에서 IoT 관련 이미
징, 커넥티비티, 모터 제어 및 파워 솔루션 발표
에너지 효율 혁신을 추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2월 24-26일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되는 Embedded
World Conference 2015에서 혁신적인 신형 임베디드 시스템 솔루션들을 선보인다.
IoT용 모터 제어 및 파워 솔루션
온세미컨덕터는 IoT 용도에 필요한 엄
격한 전원 관리 및 제어와 부합하는 여
러 가지 새로운 혁신을 공개할 예정이
다. 브러쉬리스 DC (BLDC) 모터용 고
급 Direct Torque Control Space Vector
Modulation (DTC-SVM) 모터 제어 플랫
폼도 소개된다. 신형 플랫폼은 온세미컨
덕터의 Integrated Power Module(IPM)
을 Intel Quark™ SoC에 집적시킨 것으
로 저속의 높은 토크에서 역동적인 성능
을 발휘하며 스위칭 손실을 10% 감소시
키고 레이턴시를 10배나 축소시킨다.
전시 기간 중에는 또한 배터리 잔량
을 정확히 측정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
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LC709203F 배
터리 연료 게이지도 선보이게 된다. 신
형 NCP785 와이드 인풋 레인지 선형 레
귤레이터는 AC 메인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원 전압 변동 제거비가 매
우 높으면서도 대기 전류가 극히 낮다.
SOT-89 패키지로 제공되는 이 소자는 산
업 및 홈 자동화, 스마트 계량 및 가전 용
품 등 공간 제약을 받는 용도에 이상적
이다.
이미징
온세미컨덕터는 초당 60프레임(fps) 속
도로 고선명 (HD) 1080p 동영상 데이터
를 캡처 할 수 있는 신형 AR0230CS 이미
지 센서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소자는
HDR 비디오, 개선된 움직임 변환 보상,
ALTM (advanced local tone mapping)
및 움직임 훼손을 최소화하고 HDR 색상
재현을 향상시키는 DLO(digital lateral
overflow) 기능을 집적해 HDR 1080p 카
메라 디자인의 출시 기간을 단축시킨다.
온세미컨덕터는 또한 AR1820 컬러 이미
지 센서의 4k 동영상 능력도 시연한다.
A-PixHS™ BSI Pixel 및 고속 센서 기술
을 탑재한 고해상도 센서는 18 메가픽셀
(MP) 24 fps (15fps MIPI) 해상도로 놀라
운 화질과 풍부한 동영상 기능들을 제공
한다. 온세미컨덕터는 스캐닝, 머신비
전 및 기타 산업 용도의 PYTHON 1300
1.3 MP 글로벌 셔터 CMOS 이미지 센서
도 전시한다. 1280 x 1024 픽셀 어레이
의 이 고감도 센서는 노이즈가 적으면서
도 효율이 높은 초고화질 글로벌 셔터를
제공한다.
통신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시장에서 통신용 송수신기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온세미컨덕터는 유선 KNX,
HART 및 Fieldbus 모듈로 센서와 액츄
에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주
는 저전력, 고효율 에너지로 설계된 여
러 가지 통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온세미컨덕터는 또한 다양한 소프트
웨어 스택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신형
NCS36510 802.15.4 초 저출력 무선 송
수신기도 전시할 예정이다.©
무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는 많습니다.
하지만, 플랜트 현장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솔루션, 과연 가능할까요?
한층 더 향상된 가시성, 실행성, 수익성,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에머슨의 스마트무선은 업계에서 가장 많은 고객 싸이트와 운영 시간을 보유하고 있는 검증된 무선 기
술입니다. 스마트무선은 보다 많은 현장 지점에서 가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고객의 비전을 확장하였으
며, 자가형성 메쉬 네트워크(self-organizing mesh network)를 통해 최고의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무선은 시장 내 현존하는 가장 지능적이고, 안전하며, 비용 효율적인 운영 전반 무선
기술 옵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EmersonProcess.com/SmartWireless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 솔루션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株)
대표전화 02-3438-4600 www.emersonprocess.co.kr
에머슨 로고는 Emerson Electric Co.의 상표 및 서비스표 입니다. © 2014 Emerson Electric Co.
1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키사이트, 업계 최초로 BERT에 조정 가능한
내장형 심볼간 간섭 기능 출시
키사이트 코리아가 J-BERT M8020A 고성능 BERT를 위한 조정 가능한 내장형 ISI(Intersymbol Interference)
기능을 선보였다.
엔지니어들은 인증을 위해 고속 디지털
수신기를 테스트하고 특성화할 때, 특정
한 채널 손실을 에뮬레이트 해야 할 필
요가 있다. 새로운 조정 가능하며 프로
그래밍 가능한 ISI 기능은 채널 손실 에
뮬레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기
능은 J-BERT M8020A의 각 패턴 발생기
채널에 통합되어 있어 별도의 케이블 작
업이 필요 없고, 외부에 장착된 ISI 트레
이스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 보다 간편하
게 테스트를 셋업할 수 있다.
차세대 디지털 설계의 특성을 분석하면
서 연구개발과 검증팀은 다양한 어려움
을 경험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송신기 및
수신기간의 채널 손실 부분은 더욱 더
중요해졌다. 채널 손실은 신호 경로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 트레이스와 커
넥터 및 케이블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손실은 ISI를 야기하며, 채널 소재
(material)와 디멘젼, 데이터 전송률 및
비트 패턴에 따라 좌우된다. 모든 고속
디지털 수신기는 일정한 양의 전체 지터
(total jitter)를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전체 지터에는 채널 손실에
의하여 발생하는 일부 ISI도 포함된다.
따라서 엔지니어들은 수신기 특성 분석
및 인증 테스트 시에 이러한 손실에 대
한 부분도 에뮬레이트 해야 한다. 지금
까지 채널 손실을 에뮬레이트 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은 별도의 케이블과 스위칭
이 필요한 외부 트레이스 보드를 사용하
였다. 기존 셋업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
로 하고 테스트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빠르고 정확한 테스트 제공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디지털 포토닉스
테스트 디비젼 제너럴 매니저 유르겐 벡
(Juergen Beck) 부사장은 “오늘날 최고
수준의 통합 기능을 갖춘 M8020A 고성
능 BERT로 수신기 특성화 및 인증 테스
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
다.”며, “M8020A의 새로운 통합형 조정
가능한 ISI 기능으로 엔지니어는 차세대
고속 디지털 설계 테스트상의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고, 새로운
표준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J-BERT M8020A 고성능 BERT는 디지털
설계에 대한 통찰력을 가속화 할 수 있
다. 신제품은 최대 16-Gb/s 및 32-Gb/s
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싱글레인(single
lane) 및 멀티레인(multilane) 디바이스
를 위하여 빠르면서도 정확한 수신기 특
성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내장된 ISI 기
능은 각 패턴 발생 채널을 위해 프로그
래밍할 수 있다. 최대16-Gb/s의 전송 속
도까지 외부 트레이스로 스위칭 할 필요
가 없고, 별도의 케이블 작업이 필요하
지 않기에 수신기 테스트 자동화를 단순
화할 수 있다.
키사이트는 보다 정확한 수신기 특성 검
사를 위한 관련 제품과 소프트웨어 솔루
션을 제공한다.
한편 키사이트는 1월 28-29일, 산타클라
라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DesignCon
2015 전시회에 J-BERT M8020A를 포함
한 고속 디지털 테스트 솔루션을 선보였
다.©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www.keysight.co.kr
피닉스컨택트 파워서플라이
피닉스컨택트의 파워서플라이는
광범위한 사용환경 및 온도범위뿐만
아니라 폭넓은 입력전압범위와 다양한
국제인증으로 인해, 전세계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신제품인 UNO 파워서플라이는 컴팩트한
크기와 높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피닉스컨택트 주식회사
대표전화: 1899-2166
www.phoenixcontact.co.kr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파워서플라이
신제품
UNO POWER
•최대 에너지 효율성
•초소형 사이즈
•최대 100 W 지원
•안정적인 전원 공급 (12 VDC, 24 VDC)
© PHOENIX CONTACT 2013
블로그 런칭기념 이벤트
피닉스컨택트의 블로그 런칭 1주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아래 이벤트 No.를 블로그에 등록하시고 간단한 퀴즈 풀고 선물 응모하세요~!
●기간: 2015.02.01~ 2015. 04.30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http://blog.naver.com/pxckr
●이벤트 No.: PXC620150130
●퀴즈: 피닉스컨택트는 매년 신제품을 소개하는 (한글)를
발간하고 있다.(Hint. Highlight)
정답을 이벤트 No.(PXC620150130)와 함께 블로그에 비밀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소니 블루투스 스피커 X1을 선물로 드립니다.
(※ 추후 개별 통보 예정)
Automation World 2015 부스 방문 쿠폰
피닉스컨택트가 Automation World 2015 전시회에
참가합니다.
피닉스컨택트 부스(번호: D 115)에 쿠폰을 오려오시면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일정: 2015.03.18(수)~03.20(금)
10:00~18:00 / 서울 코엑스
PXC620150130
1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SafeTI™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기능안전 ASIL D 및 SIL 3 레벨 인증 취득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자사의 SafeTI™ “기능 안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가 ISO 26262 및 IEC
61508 준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에 적합하다고 인증 받았음을 발표했다.
이 프로세스는 품질 및 안정성 규격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 국제 공인 독
립 평가 기관인 TUV NORD(독일기술검
사협회)에서 심사하였다. 더불어 TI는
인증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서를 기
반으로 새로운 SafeTI 인증 지원 패키지
(CSP, Compliance Support Package)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Hercules™ 마이크
로컨트롤러(MCU)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에 사용되고 있다. CSP는 Hercules 소프
트웨어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자사의 최
종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 인증을 더욱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SO 26262 및 IEC 61508 준수
기능안전 구현
SafeTI CSP는 정적 및 동적 분석 테스트
결과, 규격 적합성에 대한 코드 추적가
능성(code traceability to requirements),
코드 커버리지, 코드 품질 지수 등을 포
함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 CSP를 이용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검증 작업에 대
한 수고를 줄이고, 최종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 인증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
다. TI는 CSP 개발에 LDRA(Liverpool
Data Research Associates) 소프트웨어
분석 툴 수트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들 CSP는 LDRAunit을 활용한 테스트 자
동화 유닛(Test Automation Unit)을 포
함하며 고객들은 그들의 환경에 이 유
닛 레벨 테스트 사례를 재실행할 수 있
다. 이들 CSP는 HALCoGen(Hardware
Abstraction Layer Code Generator) 디
바이스 드라이버와 Hercules MCU의
SafeTI 진단 라이브러리에 이용가능하
다. 이러한 TUV 인증 SafeTI “기능 안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와 이를 적용
한 SafeTI CSP, 그리고 최근 출시된 인
증 Hercules TMS57011x/12x 및 RM46x
MCU는 향후 고객들이 기능 안전 애플리
케이션을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
와주는 포괄적인 SafeTI 설계 패키지로,
TI의 고객 지원을 위한 노력을 잘 설명
해주고 있다.
한편 TI의 HALCoGen 디바이스 드라이
버와 SafeTI Hercules 진단 라이브러리
에 이 CSP를 이용함으로써 고객들은 제
품의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검증 작업
에 대한 수고를 줄이며, 소프트웨어 인
증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현재 이들
CSP 평가판 뿐만 아니라 1인용 또는 멀
티용 정식 라이선스도 이용 가능하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
www.ti.com/ww/kr
www.ethernet-powerlink.org Over
3,000
OEMs
✪
J
O
K
E
R
✪
J
O
K
E
R
✪
J
O
K
E
R
✪
J
O
K
E
R
yOurwOrld
OfmOtiOn
yOur wOrld
Of mOtiOn
leading ManufacturErs.
High-quality prOducts.
Countless applicatiOns.
Global standard.
NEWS
1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무선 소프트웨어 플랫폼
에머슨 프로세스
매 니 지 먼 트 는 무
선을 대규모의 무
선 네트워크 극대
화를 위한 신규 소
프트웨어 플랫폼
인 Smart Wireless
Navigator를 선보
였다. Navigator
는 네트워크의 계획, 관리, 유지 보수를 위한 Smart
Wireless 툴을 총제적으로 제공하는데, Smart Wireless
환경을 능률화하는 무선 도구와 더불어 중요한 무선 네
트워크와 장치 진단 및 데이터는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Smart Wireless Navigator는 확대되는 무선 인프라를 손
쉽게 관리하고 무선 네트워크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
도록 돕는다. 이러한 단일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설계로,
사용자들은 Functional Group으로 대규모로 배치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실행 효
용성 있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전달한다.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www.emersonprocess.co.kr
배선인출형 마이크로 포토센서
BS5 시리즈는 K형, T형, L형, Y
형, V형의 총 5가지 외형으로
설치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선택
이 가능해 사용자 작업 환경에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
라 초소형 사이즈로 협소한 공
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2kHz의 응답 주파수로 고속 물체의 검출이 가능
함은 물론, 투ㆍ수광부가 보호창으로 보호되어 먼지가
많은 생산 현장에서도 높은 검출 신뢰성과 내구성을 자
랑한다.
이외에도 본 제품은 5-24VDC의 폭 넓은 전원 전압 사
양으로 각종 IC, 릴레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 러 등에
접속이 용이하며, 적색 동작 표시 LED로 동작 상태 확
인 용이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켰다.
오토닉스 www.autonics.co.kr
BlueNRG-MS 블루투스 4.1 네트워크
프로세서
새로운 BlueNRG-MS 네트워크 프로세서에는 블루투
스 PHY와 2.4GHz 무선 연결, 블루투스 4.1 프로토콜 스
택을 구동하는 ARM Cortex-M0 마이크로컨트롤러, 전
용 AES-128 보안 코프로세서가 탑재됐다. API와 전력관
Altera, 20nm SoC 샘플 공급 시작
Altera는 2세대 SoC 제품의 샘플 공급을 시작함으로써
SoC FPGA 제품에 있어서 자사의 앞선 입지를 더욱 더
확고히 하게 되었다. Arria 10 SoC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ARM 프로세서와 20nm FPGA 패브릭을 결합한 프로그
래머블 디바이스이다. Arria 10 SoC은 비약적인 성능 향
상을 이룸으로써 이전 세대 SoC FPGA를 이용한 것과 비
교해서 더 높은 성능을 달성하고, 더 낮은 전력을 소모하
고, 더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Altera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되는 2015년
“Embedded World” 전시회에서 업계 유일의 20nm SoC
FPGA를 비롯한 자사의 SoC 기반 솔루션들을 전시한다.
Altera의 SoC 제품 담당 선임 마케팅 이사인 Chris Balough
는 “우리 회사는 고객들이 우리 회사 28nm SoC 제품에 대
해서 보여준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서 SoC FPGA 디바이스
의 로드맵 추진에 더욱 더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이제 그
약속대로 2세대 20nm SoC FPGA를 제공하게 되었다. 빠
르게 부상하는 이 디바이스 부문에 있어서 Altera의 헌신과
기술력을 믿고 기다려준 조기의 고객들에게 샘플 공급을
시작하게 되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베디드 개발자들은 이미 SoC FPGA의 가치를 충분히 깨
닫고 있으며, 이제 Altera를 통해서 명확한 이전 경로가 주
어지게 됨으로써 자사의 차세대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Arria 10 SoC은 Altera의 이전 세대
28nm SoC 제품과 완벽하게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하므
로 제품 세대 간에 매끄럽게 소프트웨어 이전이 가능하다.
Arria 10 SoC은 이전 세대와 비교해서 50퍼센트 더 높은
성능과 40퍼센트 더 낮은 전력을 가능하게 한다. Altera의
SoC 포트폴리오는 또 64비트 쿼드 코어 ARM Cortex-A53
프로세서를 채택한 3세대 14nm Stratix 10 SoC을 포함하므
로 최대의 성능과 전력 효율을 요구하는 임베디드 개발자
들의 요구를 충족할 것이다.
Altera SoC FPGA는 단일 칩을 이용해서 하드웨어에 있어
서나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나 제품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
므로 더욱 더 지능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ARM 프로세서와 FPGA 패브릭을 결합함으로써 전력을 줄
이고, 비용을 낮추고, 보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더
욱 더 높은 시스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Arria 10 SoC은
무선 인프라, 유선 통신, 컴퓨터 및 스토리지, 브로드캐스
트 장비 분야의 차세대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으로 필요
로 하는 성능, 전력, 보안, 비용 요구를 충족할 것이다.
알테라 www.altera.com
이슈in뉴스
NEWS
www.icnweb.kr _19
신제품 뉴스
리 기능 및 플래시 메모리가 이미 통합되어 있어서 간단
한 SPI 버스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호스트 컨트롤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면서도 네트워크 프로세서와 호스트
마이크로컨트롤러 간에는 명확한 소프트웨어 분할을 적
용한다.
새로운 블루투스 4.1 사양은 에너지 효율성을 한층 더
높여주며, 마스터, 슬래이브 역할의 디바이스를 포함
하는 듀얼 모드 토폴로지를 지원한다. 새로운 로우 듀
티 싸이클 디렉티드 애드버타이징(Low-Duty-Cycle
Directed Advertising) 기술로 인식 완료된 디바이스에
연결할 때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한다. 또한 블루투
스 4.1에는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도 도입하여 다채널 통신과 서비스 품질로 데
이터를 유연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www.st.com
4Mbps CAN 트랜시버
이 제품은 값비싼 보호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필드 오류를 획기
적으로 감소시킨다. 실제
CAN 시스템에서, 설치
교차연결(cross-wiring)
오류, 접지 전압 오류 또
는 조명 유도 서지 전압은 일반적인 트랜시버의 최대
절대 등급을 초과할 수 있는 과전압 조건을 유발할 수
있다. LTC2875는 데이터 전송 라인에서 ±60V 과전
압 오류 및 ±25kV HBM ESD 보호 기능의 특징을 제
공하며, 동작 및 셧다운 기간 동안 버스 핀을 보호한
다. 회로가 전송되어 수신되거나 파워 오프되던지 간에,
LTC2875는 손상없이 ±60V 내에서 전압을 견뎌내고
일반적인 CAN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CAN 버스 시스템은 산업 제어, 계측 네트워크, 자동
차 전자제품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CAN 버스는
독립형 컨트롤러, FPGA 및 ASIC 지원을 위해 잘 정의
된 프로토콜 스택을 갖추고 있으며, RS485와 같은 대
안적인 인터페이스에서 더 쉬운 구현방식을 제공한다.
LTC2875는 3.3V 또는 5V 레일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5V 레일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높은
오류 및 ESD 보호 기능과 함께, 이 디바이스는 전송 데
이터(TXD) 전용 타이머를 갖춘 저 EME(electromagnetic
emission) 드라이버의 특징이 있어 오류 컨트롤러
가 버스를 클램프하는 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전
기적 잡음에서 동작과 접지 루프가 있을 때 동작
을 실현시키는 ±36V의 확장 커먼 모드 범위의 높은
EMI(electromagnetic immunity) 리시버도 제공한다.
리니어 테크놀로지 www.linear.com
인터넷-온-칩™ Wi-Fi 모듈
TI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SimpleLink™ Wi-Fi CC3100 및 CC3200 모듈을
출시한다. 올해 초 발표된 새로운 SimpleLink 제품군은
저전력 플랫폼으로서 IoT 솔루션에 대한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인증된 인터넷-온-칩(Internet-
on-a-chip)™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설계 유
연성을 활용하고 다양한 유형의 가정용, 산업용, 소비자
전자기기에 임베디드 Wi-Fi와 인터넷 커넥티비티 기능
을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개발자들
은 개발 비용을 줄이고 출시 시간을 단축하며, 조달 및
인증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들 모듈은 완전한 안테나 레퍼런스 디자인을 제공해 통
합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TI Korea www.ti.com
고밀도 2 단 구조 PCB 터미널 블록
피닉스컨택트의 신제
품 SPTD 1,5 시리즈
PCB 터미널 블록은 고
밀도의 2 단 구조가 적
용되어 있어, 최대 1.5
mm²의 전선(페룰 사용
시)을 이용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더욱 쉽게 연
결할 수 있다. 신제품은 최대 200 V 및 최대 10 A에 맞
게 설계되었으며 철도 및 가전제품 등의 애플리케이션
에 적합하다.
컴팩트하게 설계되어 있어 디바이스 전면부에 패널
마운팅이 가능하며, 특히 공간이 좁거나 제한적일 경
우 제품의 이중 구조는 높은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2~12핀의 제품을 제공하며, 12핀 이상의 제품이 필요할
경우 개별 상담이 필요하다.
터미널 블록은 푸쉬-인(push-in) 연결방식의 통합 스프
링 레버를 내장하고 있다. 전면부의 마킹영역, 추가 테
스트 연결영역은 운영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피닉스컨택트 www.phoenixcontact.co.kr
BlueCore CSRB5348 듀얼모드
시스템온칩
Bluetooth Smart를 지원하는 이 새로운 플랫폼은 다
양한 기능과 가성비가 높은 솔루션으로서 차세대 임
베디드 시스템 및 모듈에 적합한 솔루션이다. 특히 응
용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SoC와
Bluetooth 및 Bluetooth Smart Ready 지원을 통해 새롭
게 떠오르는 수 많은 종류의 사물 인터넷(IoT)에서 활용
NEWS
2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4-in-1 원격 I/O 솔루션
MOXA는 통합 I/O 기능, 이더
넷 스위치, 직렬/Modbus 커
넥티비티 및 32GB 데이터 로
깅을 단일 원격 I/O 디바이스
에 통합한 효율적인 4-in-1
데이터 수집 솔루션인 ioLogik
2500 시리즈를 출시한다. 강
력한 새로운 툴인 ioLogik
2500을 사용하면 엔지니어
는 데이터 수집의 효율과 정
확도는 높이면서 전체 시스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통합형 4-in-1 원격 I/O 솔루션은 필요한
부품과 연결 수를 줄여줌으로 많은 리와이어링 필요를
없애준다.
ioLogik 2500은 고유의 I/O 확장 설계를 사용해 사용자
가 하나의 IP 주소에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I/O 채널
을 연결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
로 수집할 수 있다. 이 밖에 새로운 Click&Go Plus™ 제
어 로직은 최대 48가지 규칙을 지원하며 8가지 조건/
액션으로 추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오프라인/
온라인 환경에서 강력한 IOxpress 구성 툴을 사용할 수
있어 모든 I/O 파라미터를 오프라인으로 구성한 다음
온라인 디바이스에 설정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로써 I/
O 시스템 관리와 구성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
일 수 있다. MOXA www.moxa.com
NFC 지원 mPOS용 보안 솔루션
NXP 반도체는 크레딧콜(Creditcall) 및 뷰앳 테크놀로지
(ViewAt Technology Co)와 함께, 보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mPOS(mobile Point of
Sale) 솔루션용 완벽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레퍼런
스 데모 제품을 선보였다. 이 데모 제품은 카드와 모바
일 결제를 포함한 모든 결제 기술을 위한 범용 솔루션
컴팩트하고 강력한 PC 기반 컨트롤러
SIMATIC ET 200SP
개방형 컨트롤러는
PC 기반 소프트웨
어 컨트롤러의 기능
과 시각화, PC 애플
리케이션, 중앙 I/O를
컴팩트 기기 한 대로
결합한 최초의 동종
컨트롤러다.
이미 설치되고 사전 구성된 SIMATIC S7-1500 소프트웨어
컨트롤러는 SIMATIC S7-1500의 PC 기반 버전으로 제어용
으로 사용된다. 이 컨트롤러는 Windows와는 별도로 작동
하므로 높은 시스템 가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컨트롤러의
가동 속도를 높여주고 작동 중 Windows 업데이트와 재부
팅이 가능하다. 심지어 Windows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컨
트롤러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SIMATIC ET 200SP 개방형 컨트롤러는 노하우와 액세스
보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축 위치 조정, 통합 시스
템 진단, Profinet 인터페이스와 같은 중요한 자동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개방형 컨트롤러는 ET 200SP 모듈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고 분산 아키텍처가 적용된 장비뿐만 아니라 시리즈
장비 제조용으로 최적화되어 있다. ET 200SP 개방형 컨트
롤러는 컴팩트한 디자인 덕분에 최소한의 공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하고 컴팩트한 컨트롤 박스에 장착해 장비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컨트롤러 사용 시 가격 대비 성능이 매우 우수한 자동
화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인터페이
스를 통해 연결된 SIMATIC 인더스트리얼 플랫 패널 모니
터를 활용해 뛰어난 시각화를 제공하고 멀티터치 기능으
로 보다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시운전이 필요한 경우
에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와 키보드를 직접 연
결하면 된다. 이와 더불어,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보다 높은 수준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우수한 성능을 제
공한다.
지멘스 www.siemens.co.kr
이슈in뉴스
될 수 있다.
BlueCore CSRB534x 시리즈
에 속해 있는 산업용 등급의
SoC는 80MHz RISC MCU,
40MHz DSP, USB 충전 기능
및 많은 수의 디지털/아날로
그 입출력(I/O) 핀들을 지원한
다. 이처럼 고도로 통합 된 패
키지 덕분에 부품 원가(BOM)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도 뛰어난
유연성을 제공한다. CSR www.csr.com
NEWS
www.icnweb.kr _21
신제품 뉴스
으로, 국제적인 EMVCo와 PCI(Payment Card Industry)
표준에 대한 사전 검증을 완료했다. 이 데모 제품은 또
한, 금융 거래를 위한 중국인민은행(PBOC, People's
Bank of China) 규격을 준수해, 소규모 지역 유통 사업
자, 지역 서비스 업체, 택시 기사, 식품 배달 서비스 등
운송/배달 위주의 유통 상인들이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게 돕는다. mPOS 데모 제품은 소규모 유통 상인
들에게 완벽한 결제 단말기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대기
인원을 줄이고 결제 시간을 단축한다. 매장 직원들에게
mPOS 디바이스를 지급함으로써 유통 상인들은 매장
내 여러 곳에서 결제할 수 있어 판매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NXP 반도체 www.nxp.com
POF/HPCF 케이블 어셈블리
안정적인 저비용의 솔루션인 이 어셈블리 및 하네스는
진단 조영 등의 의료 용도, 광 센서 또는 데이터, 엑스레
이 기기 및 치과 장비 등 갈바닉 절연 목적의 데이터 및
광 케이블 설계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중단거리 데이터 통신용으로 적합한 Molex Polymicro
200/230 PolyClad Optical Fiber는 임상 센터와 병원 등
에서 액체, 화학 물질, 방사능 노출 등의 혹독한 조건을
잘 견딘다. 이 제품은 고객이 정확히 필요로 하는 어셈
블리와 하네스를 파악하도록 설계된 강력한 무료 구성
툴과 함께 제공된다.
Molex POF 케이블 어셈블리 및 하네스는 -55 ~
+105°C의 혹독한 온도 환경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여러
제조사들의 폴리머 및 금속 커넥터와 호환되므로 비용
절감을 위한 부품 선택이 가능하며 삽입 시 손실도 적
은 편이다. 몰렉스 www.molex.com
컴팩트한 나이프 분리 단자대
PTTBS 2,5-2MTB 2단
나이프 분리 단자대는
푸쉬-인 연결방식을 갖
춘 컴팩트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장
점을 제공한다. 컴팩트
분리 단자대는 1,2단 모
두에 분리기능을 제공하며, 컬러 레버 및 분리 나이프
로 분리 나이프에서 접점으로 연결되는 라인의 명확한
식별 및 배열이 큰 장점이다. 이중 기능 샤프트를 통해
유연하게 전위를 분배 시킬 수 있다. 레버 브릿지는 편
리한 브릿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모든 접점에 2.4
mm의 테스트 연결이 가능하다.
나이프 분리 단자대는 기존 Clipline complete 모듈형
단자대 시스템의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다. 푸쉬-인
(Push-in) 연결기술이 적용되어 어떠한 공구없이도 전
선을 바로 단자대에 연결할 수 있다. 전선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힘은 기존 대비 50% 줄어들고 연결은 더욱
쉽고 강력해졌다.
피닉스컨택트 www.phoenixcontact.co.kr
통합 안전 기술: UL 인증 수여
B&R 사의 광범위한 통
합 안전 기술이 UL로
부터 IEC 61508, IEV
62061 및 ISO 13849에
부합된다고 확인받았다.
UL에 의한 기능 안전
인증은 해당되는 ANSI/UL 1998과 같은 북미 표준에도
부합한다.
인증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B&R사의 통합안
전기술 제품은 현재 카나다의 ESPC7 범주에 부합됨은
물론 ESPC 범주 안에서 UL에도 등록되었다. UL 인증
database안의 FSPA/FSPA7 범주 하에 등록된 B&R사
의 제품들은, 미국과 카나다의 최종 소비자에게 기계를
공급하는 유럽 제조사들을 위하여 시장에서의 기계 설
치를 위한 승인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B&R 코리아 www.br-automation.com
5메가 네트워크 카메라
디지털 시큐리티 전문
업체 삼성테크윈이 초
고해상도 5메가픽셀
영상을 지원하는 박스
카메라 SNB-8000 및
반달 돔 카메라 SNV-
8080을 출시했다.
SNB-8000 및 SNV-8080은 강력한 인코딩 기술로 최
대 5메가픽셀 20프레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소리감
지, 탬퍼링 알람 등 지능형 영상 분석 기능을 탑재해 더
욱 체계적이고 스마트한 영상 감시를 구현한다.
H.264/MJPEG 듀얼 코덱, Day&Night(ICR), Micro SD/
SDHC/SDXC 메모리슬롯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내
장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P-lris(SNB-8000)
및 Simple Focus가 지원되어 심도 및 포커스
를 더 욱 세 밀 하 고 간 편 하 게 제 어 할 수 있 다 .
삼성테크윈 www.samsungtechwin.co.kr
2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커버스토리
커넥티드 스마트 팩토리(CSF)와 스마트공장의 실현을 위한 제조업에서의 IT
도입과 활용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산업 사물인터넷(IIoT)으로의 변화는 이러
한 제조업에 새로운 혁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에 이러한 스마트공장의 실
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보안이 중요해졌다. 보안은 제조업체가 사물인터넷을 통
해 사람과 프로세스, 기술을 연결하고 최고의 제조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하는
핵심요소이기도 하다.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제조업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의 중요성
www.icnweb.kr _23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축한다는
것은 단순히 분리된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 이
력 데이터는 물론 여러 공장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비즈니스 및 거래
(Transactional) 데이터로 데이터가 생성
되는 모든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의 모든 제어 및 정보 수준을
완벽하고 안전하게 연결하는 것을 의미
한다. 기업정보시스템(ERP 등)과 생산
현장 네트워크간에 존재하는 이력 정보
의 공백이 메워지기 때문에 제조기업들
은 잠재적인 보안 위험을 보다 잘 이해
할 필요가 생긴다. 네트워크, 자산 또는
지적 재산 등 기업의 모든 운영은 내외
부의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되어
야 한다. 위협이 우발적이든 의도적이든
마찬가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글로벌 시장 개발
부사장인 John Nesi는 “커넥티드 엔터프
라이즈로의 전환에 관해 거론을 하면 고
객들은 대부분 비용과 보안과 관련된 우
려를 제기한다”며, “이런 문제를 논의해
나가는 과정에서 커넥티드 엔터프라이
즈의 비전은 가치 창출과 함께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고 말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회장 겸 CEO인
Keith Nosbusch는 “커넥티드 엔터프라
이즈는 사람들이 기업 내부에서 어떤 일
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 데이터를 정보로, 또 정
보를 지식으로 전환하고 궁극적으로는
의미있는 의사 결정을 위한 통찰력을 제
공하여 실질적인 고객 가치를 창조한
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장제어
단과 기업정보단을 통합하는 표준 보안
Ethernet 인프라가 필요하다.
그는 “가치 창출의 기회는 기술적 선점
기회에서 직접 만들어 진다. 모든 비즈
니스 및 거래 데이터에서 진정한 혁신적
가치를 제공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과 지식을 보유하는 기업이 차기 선두주
자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기술의 변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전략 제휴 파트너
인 Cisco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 사
업부에서 상무 겸 총괄을 맡고 있는 Rob
Soderbery는 “지금 우리는 비즈니스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 변화의 소용
돌이 속에 있다”고 말한다.
Soderbery는 다음 세 가지 경제사회 추
세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
명한다.
1. 신흥 국가 vs. 선진 국가의 성장의 경
제원리
2. 미래의 에너지 소비, 수요 및 에너지
원에 대한 중요성
3.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신흥 시장의 사
회 인구학적 특성과 선진국의 노동 인구
절감 및 인구 고령화
생산성을 이러한 이슈의 해결을 위한 핵
심 요소로 꼽는 그는 “차기 생산성 혁명
은 사물인터넷(IoT)에서 비롯될 것”이라
고 말한다. IoT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을 통한 거의 무한한 장치들 간의 상호
연결성이 포함된다. 2020년에는 인터넷
에 연결된 장치 수가 약 500억개에 달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로 Cisco는 향후 10년 간 IoT의 수익
가치가 민간 부문에서만 $14.4조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Soderbery는 “그
가치가 혁신 확장, 고객 경험 향상, 자산
보안은 제조업체가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람, 프로
세스, 기술을 연결하여 최고의 운영 효율성을 달성
하게 해주는 핵심 요소
2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활용, 직원의 생산성, 공급망 및 물류 개선 부
문에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14.4조의 가치 중 약 $3.7조는 제조 분
야에서 발생할 것이라며, “큰 영향, 즉 막대한
기회는 제조산업 분야에 존재한다”고 한다.
“사물, 프로세스,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연결하
면 물류처럼 공급망의 상위 분야에 실제적인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클라우드는 복잡한 분석을 위해 장치 및 정보, 대규모 스토리
지, 컴퓨팅 역량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제공한다.
원격 액세스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정보 액세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우선 과제가 된다. 빅데이터 및 분석은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는
다른 어떤 분야 보다 더 많은 빅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Nosbusch는 말한다.
최전선에 선 보안
분산된 네트워크의 융합 및 통합에서 분석 정보를 데이터 소스로 송출하여 분
산된 인텔리전스를 수집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사
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Soderbery는 이 모든 것 중 가장 중요한 문제는 보안이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IoT 보안은 왜 다를까? 그 이유 중 하나는 “공격 표면(attack surface)”
때문이다.
Soderbery는 “공장의 공격 표면은 규모가 크고 복잡하다. 개선 프로세스 또한
다르다. 프로세스 업계가 공격을 받는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가동을 중
단하는 것은 실질적이지도, 쉽지도 않은 대응책이다.”
그는 IoT 보안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액세스 제어는 방어벽
그 이상이다. 딥-패킷 검사 엔진과 같은 도구를 통해 네트워크상의 콘텐츠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문맥(context) 이다. 장치는 무엇을 위한 것
이고 어떤 데이터를 생성하며 표시된 대로 정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가? 콘텐
츠와 상황화된 문맥을 결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결론을 추출할 수가 있다.”
이는 기업 내 네트워크의 위협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주며 위협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Mike Assante는 미국의 국가 정보보안검사 이사회(National Board of
Information Security Examiners)의 자문가이며 최고 책임자이다. SANS 연구
www.icnweb.kr _25
소의 산업 제어 시스템(ICS) 및 SCADA
보안 프로젝트의 리더이기도 한 그는 공
장을 운영하는 엔드유저 제조업체와 공
급망만 분석 정보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
고 말한다.
그는 “기계 및 장비제조사는 자사가 판
매하는 장비에 액세스하여 운영 계층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를 함으로써
기계를 최적화하고, 보다 안전하게 작동
할 수 있도록 만들길 원한다”고 그는 설
명한다.
Assante는 업계에 대한 위협이 점점 더
체계적이고 표적화되고 있다고 지적한
다. 그는 이러한 표적 공격의 피해자 중
94%는 제3 자가 알려줄 때까지 이러한
공격 사실을 알지 못하거나 다른 업체의
서버에서 자사의 정보가 발견된 후에야
깨닫게 된다고 말한다.
Assante는 “보고된 모든 사례에서 보면,
피해 기업들은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며 업계 표준 보안
관행을 따르고 있었음에도 공격을 당했
다”며, 이는 전통적인 보안 접근 방식이
이러한 종류의 위협에는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그는 이제 변화해야 할 시기라고 말한
다. Assante는 가장 먼저 보호해야 하는
것은 직원들이라면서 자동화 엔지니어
들이 사이버 보안 담당 직원과 협조하여
서로의 강점과 필요성에 대해 상호 교
차 교육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보안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이어질 것이다.
클라우드의 실용화
일부에서는 클라우드와 IoT가 생산 공장
직원들의 실생활과 어떠한 관련이 있을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로크웰 소프트웨어의 시장 개발 디렉터
인 Keith McPherson은 “우리에게 빅 데
이터는 생산 현장에 존재하는 모든 정
보를 의미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이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을 찾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는 사용자들이 정보를 연결 및 체
계화하여 올바른 문맥으로 표현하고, 대
시보드를 설정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이
고 수익성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적
절한 직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
다”며, “우리는 수십 년 전에 통합 아키
텍처(Integrated Architecture) 시스템을
변경되지 않은 표준 Ethernet에 기반하
기로 결정했다. 이 때문에 현재 수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가상 컴퓨팅과 클라
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구현하기가 훨씬
쉽다”고 설명한다.
로크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기 시작한
FactoryTalk VantagePoint Mobile App
(Window Store에서 다운로드 가능)은
FactoryTalk VantagePoint 엔터프라이즈
원격 액세스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정보 액세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우선 과
제가 된다. 빅데이터 및 분석은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는 다른 어떤 분야 보다 더 많은
빅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로크웰오토메이션의 Nosbusch CEO는 말한다.
제조 인텔리전스(EMI) 소프트웨어 버전
5.0에 기반한다. McPherson은 Windows
8처럼 화면이 스크린 타일 형태로 구성
된 이 새로운 앱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
한 모든 핵심성과지표(KPI)를 즉석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앱,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기반
의 프로젝트를 대용량 가상화 하드웨어
로 지원하기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다수의 운영체제와 앱을 가상화 서버에
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전 설계
된 확장 가능한 인프라인 ‘산업용 데이터
센터(Industrial Data Center)’를 제공한
다. 산업 데이터 센터에는 외함, 전략적
제휴 파트너 사인 Panduit에 의한 온도
조절, Cisco의 통합 컴퓨팅 시스템(UCS
서버 및 Catalyst 스위치)이 포함된다. 이
는 가상화된 PlantPAx DCS 솔루션과 다
양한 FactoryTalk 및 타사 소프트웨어 패
키지를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에서 실
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2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수요 증가, 보안에 대한 위협 증가
전세계 인구가 800억에 육박하면서 수 많은 사람들이 극심한 빈곤 상태에 머
물러 있다. 또한 중산층의 증가로 인해 식량, 주택 및 교통 수단의 수요 역시
증가했다. 모두 제조되어 유통되는 제품들이다. 이는 제조업체와 인프라, 식
수 및 원자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 희귀 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는
제조의 비효율성을 야기하고 자원 생산성 혁신을 위해 $1조에 해당하는 금액
이 소비되고 있다고 Nosbusch는 말한다.
그는 “우리는 사물인터넷과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의 통합이 만나 생겨난 전
환점에 서 있다”고 말한다.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와 이를 지원하는 기술로
원활하고 안전하며 생산적인 운영을 위한 직원, 생산현장 시스템 및 기업 간
의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안이 한층 더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로크웰오토메이션 www.rockwellautomation.co.kr
|Connected Enterprise|
QR코드를 통해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제공하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로크웰 오토메이션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웹사이트
http://rockwellautomation.com/connectedenterprise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사장 겸 CEO인 Keith Nosbusch의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에 대한 '오토메이션페어 2014'에
서의 기조 강연 동영상
h t t p : / / w w w . r o c k w e l l a u t o m a t i o n . c o m /
rockwellautomation/events/automation-fair/press/
automation-perspectives.page
The Connected Industrial Enterprise [PDF] 무료 백서
http://www.rockwellautomation.com/resources/
downloads/rockwellautomation/pdf/news/releases/
The-Connected-Industrial-Enterprise.pdf
www.westermo.co.kr
산업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스위치
탄력적인 네트워크 솔루션
2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피플
최두환 사장은 지난 10일 여의도 한국거
래소에서 기업설명회(IR)를 갖고, 스마
트팩토리에 대한 제조현장 적용구상을
밝혔다. 포스코ICT는 첨단ICT 기술을 적
용해 포스코와 계열사의 본원 경쟁력 강
화를 지원하는 한편, 월드 베스트 레퍼
런스를 확보하여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
화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스마트팩토리
와 에너지최적화, 중국 대기환경 솔루션
공급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최두환 사장은 최근들어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산업용인터넷(Industrial
Internet)의 한 분야인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구축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팩토리는 센
서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공장내의 모든
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설비는 제
대로 가동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
산업IoT와 빅데이터 접목한 스마트팩토리에
사활건다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이 산업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와 빅데이터를 접목해 제조현장에 적용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제어
되는 지능화된 시스템이다. 이로써 작업
자의 경험에 의존했던 공정들이 자동으
로 이뤄지게 된다.
포스코ICT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의 성공
을 기반으로 IoT와 빅데이터를 제조업
과 융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산
업용인터넷, 즉 제조업 경영전반의 효율
화를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을 비롯해 산업IoT, 산업용 빅데이
터 부분의 세계시장을 선도해나간다는
구상이다. 현재 포스코 내부에 인더스트
리 4.0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있다.
포스코의 글로벌 경영체제인 포스피아
3.0을 해외법인과 생산기지에 확대 적용
해 생산, 구매, 판매, 재무 등 모든 업무
에 대한 글로벌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예
정이다. 브라질 등에 건설 중인 해외 제
철소에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도
확대한다.
최두환 사장은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
로 새로운 성장동력에 집중해 올해 매출
1조원과 영업이익 650억원을 달성한다
는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아이씨엔 오상원 기자
www.icnweb.kr _29
대니 맥거크,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회장
메모리 반도체가 사물인터넷(IoT)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
대니 맥거크(Dennis P. McGuirk)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지난 2월 3일 삼성동 코엑스인터콘
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5 (SEMICON Korea 2015)’ 전시회 기자간담회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가 사물인터넷(IoT) 비즈니스 기회포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가 유리한 입장에 있는
메모리 반도체가 사물인터넷(IoT) 비즈
니스에 큰 기회를 제공한다는 분석이 나
왔다.
대니 맥거크(Dennis P. McGuirk) 국제
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메모
리 반도체 분야가 사물인터넷(IoT) 비즈
니스 기회포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메모리분야는 2년마다 집적도가 2배씩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 40년간 100만배
늘어났다. 특히 대니 맥거크 회장은 “스
마트기기, 네트워크 인프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있어 메모리가 계속해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모리 기업들은 이러한 급속한 수요에
대해서 지속적인 혁신으로 부합하고 있
다. 삼성전자 8GB DDR4의 경우 전력소
비가 감소하면서도, 미세공정을 통해 전
력효율은 높였다.
또한 3D IC 분야도 주목되는 분야다. 대
니 맥거크 회장은 “3D IC 분야는 우리가
상당히 오랫동안 기다려온 부문이다. 낸
드 솔루션으로서 그 결실을 보고 있다.
사이즈 조정 및 트랜지스터 밀도 변화로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는 또한 “한국의 반도체 장비와 소재
부문 지출은 2015년 140억 달러(약 15조
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하고,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디바이
스 기술개발, 신소재 칩, 패키지 통합, 신
규 폼팩터 패키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모바일
전자 분야에서 필요한 시스템 통합 발전
을 리드한다고도 밝혔다.
소재부문에서의 성장도 긍정적인 평가
를 했다. “소재부문은 디바이스 및 패키
징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자리매
김하고 있다. 한국은 팹과 패키징 머티
리얼 시장 규모가 크다. 2015년 세계 2
대 반도체 소재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
이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팹 패키
징 투자가 늘어나면서 소재 관련 지출이
2003년 대비 3배 증가했다. 그리고 소재
부문은 2015년~ 16년에 계속 성장할 전
망이지만, 비용절감 압박으로 패키징 소
재의 전반적인 성장은 약간 둔화될 전망
이다.”라고 밝혔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3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이벤트 리뷰
산업IoT 구현을 위한 EtherNet/IP 세미나 개최
커넥티드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공장, 인더스트리 4.0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이들을 어떻게 구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ODVA가 주최한 산업IoT 구현을 위한 산업용 이더넷 EtherNet/IP
세미나가 주목받은 이유다.
‘사물인터넷 기술활용을 위한 산업네트
워크 EtherNet/IP & DeviceNet 기술 전
시&세미나’가 11일 서울 과학기술회관
에서 개최됐다.
이벤트에서는 사물인터넷 시대에서의
산업분야 네트워크 솔루션 구현방안과
도입 효과, 미래 전망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스마트 팩토리 및 스마트 제
조를 구체화하는 기술 솔루션들이 소개
됐다.
ODVA 협회 이순열 회장(로크웰 오토메
이션)은 “정보기술(IT)과 제조 운영 기술
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공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 전체를 하나로 끊김없이
연결하는 표준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수
적이며, 이는 EtherNet/IP만이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빅데이터, 보안을
비롯한 사물인터넷 기술은 이런 네트워
크 인프라의 중요성을 더욱 확대하고 있
다."고 밝혔다.
한국폴리텍대학교 서경호 교수는 '이더
넷의 진화와 산업 사물인터넷'이라는 기
조발표에서 "사물인터넷(IoT)이 이제 제
조업 현장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서경호 교수는 "산업현
장에서 사용되는 사물인터넷은 다른 분
야에서의 사용과는 달리 오작동이 발생
할 경우 장비의 이상작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까지 위협할 수 있
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실시간성'과 '네트워크 호환
성'을 강조하며, 사물인터넷 접속을 위한
필요요소인 이더넷 접속에서 별도의 컨
버터가 필요치 않고, 모션 커트롤의 실
시간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EtherNet/IP
가 유일한 (산업통신망) 기술"이라고 강
조했다.
세미나에서는 또한 회원사들의 주요 기
술 및 산업별 적용사례와 방안들이 다수
발표돼 주목받았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에너지 관리를 위
한 EtherNet/IP'를 주제로 제조 플랜트
및 빌딩에서의 에너지 관리 적용 사례들
이 소개됐다.
www.icnweb.kr _31
ODVA 코리아 주최의 ‘사물인터넷 기술활용을 위한 산업네트워크 EtherNet/IP & DeviceNet 기술 전시&세미나’가 11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
데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됐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보안, 안전
및 프로세스 산업을 위한 EtherNet/IP'를
주제로 산업IoT 분야에서의 스마트 팩
토리 구성을 위해 요구되고 있는 보안과
안전 문제에 대해 적용가능한 솔루션들
을 제시했다.
한국훼스토는 "장비자동화 및 모션제어
를 위한 EtherNet/IP"를 주제로 기계 장
비에서의 자동화 기술 구현과 모션 컨트
롤 적용에서의 산업용 이더넷 접목 솔루
션을 통해 산업 기계에서의 실시간 성능
구현과 네트워크 연결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세미나 주최기관인 ODVA는 국제
개방형 산업통신망 기술인 EtherNet/IP,
DeviceNet 등을 프로모션 하는 국제적
인 협회기관으로 로크웰오토메이션, 슈
나이더일렉트릭, 오므론 등이 주도하고
있다.© ODVA TAG Korea
www.odva.or.kr
3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모바일 제어 및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를 위한 웹 시각화
새로운 아우디 TT에서는 가상 조종석(Virtual Cockpit)과 함께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3 세대
차량에서는 속도측정기 또는 회전속도계와 같은 아날로그적인 요소들이 대형 LCD 디스플레이로 대체되었
다. 차량에서는 이처럼 작은 부분에 적용되었던 이 솔루션은 인더스트리 4.0의 세계에서 더욱 크게 적용된
다. ‘’가상화’’는 물리적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추상화 시킬 수 있는 마법과 같은 존재이다.
이슈
아우디의 새로운 가상 조종석은 하나의
컴포넌트로 설계, 개발, 생산을 대체 할
수 있어, 그 과정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
게 되었다. 미래에는 조종석의 변경사항
을 소프트웨어상의 수정만으로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진보적 디지털
화 및 이에 따른 가상화를 비추어 보았
을 때, 10년 안에 차량이 직접 스스로 생
각하고 운전하며, 인간은 관찰자 역할을
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자동화 산업에서 실제 버튼,
다이얼, 아날로그 미터는 시스템의 전
곧 과거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
대신, 운영자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
여 시스템을 통해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
를 제어하게 되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시대가 올 것이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멀티 태스킹 콘택
스트에서 내장 카메라는 필드 기기 QR
태그를 스캔 하여 기기정보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SAP시스템에
서 직접 유지 보수 작업을 제공하는 스
캐너의 역할을한다. 실제 기업의 생산라
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동작 파라미터의
글_ 아민 백(Armin Beck), 게이트웨이 프로덕트 매니저, Hilscher GmbH
형적인 구성요소였다. 인더스트리 4.0
의 진정한 목적에 맞춰, 새로운 장비 설
계 및 설치 시에도 가상화 트렌드를 따
르고 있다. 기계가 스스로 직접 의사 결
정 및 구동을 하게 되고, 인간의 역활은
사용자에서 관찰자로 변화하게 될 것이
다.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향후 사
용자가 이동 단말기에서도 다기능 HMI
를 통해 전송된 생산공정 내용을 모니터
링 할수 있게 되었다. 장치 바인딩 운영
시스템에 의존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
된 고정 장치와 같은 고전적인 장치는
www.icnweb.kr _33
실시간 변화는 MES System를 통해 웹 페
이지에 표시되어, 서비스 기술자에게 균
일한 웹 기반 운영 개념을 제공하게 된
다. 진단 소프트웨어의 전체범위는 브라
우저상에서만 감소하게 된다.
PLC 시각화가 되지 않은 곳,
힐셔가 업그레이드
인간 - 기계 상호 작용의 성공적인 변화
를 위해, 오늘날의 시스템은 무선 기술
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모바일 사용 범위를 추
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웹 시
각화의 역할이 아직은 부족하다.
오늘날의 PLC 통합 솔루션은 여전히 인
간 공학적인면에서 그 용도가 현저히 낮
게 간주되고 있다. 웹 기술은 PLC 제조
업체의 핵심 역량이 아니기 때문에, 사
용자가 HTML 언어의 페이지를 프로그
래밍 하기 위해서는 전문 웹 디자이너
수준의 공부가 필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힐셔의 netSCADA 시각화 모델은 기계
관련 시각화 PLC를 리프로핏 하는 것이
므로 별도의 PLC가 제공되지 않는다.
HMI 웹서버 장치는 컨트롤러에 누락된
전문 시각화를 추가하고 직접 또는 네트
워크를 통해 일정한 접촉을 유지한다.
이는 PLC 데이터를 RTU 또는 TCP와 같
은 표준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통해 로드
된 웹 페이지에 관련 콘텍스트방식으로
전송한다.
특히 지멘스 제어시스템을 위한 특정 모
델에 대한 서버로의 연결을 PROFINET
또는 PROFIBUS를 통해 제공한다. 그러
나 모드 버스 접근 방법은 일반적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각 시스템을 시각화
할 수 있다. 모드 버스는 35 년간 시장에
서 세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업
프로토콜로 여겨진다. 지멘스, 알렌 브
래들리, ABB, 슈나이더 일렉트릭 및 요
코가와 등 모든 PLC는 각 함수 PLS는 함
수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모드 버스를 제
공한다.
개정된 자율 웹 서버 솔루션을 통해 이
미 설치된 시스템에 대한 시장에 대한
문제 해결 또한 가능하다. 기존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수준 높은 모드버스 지원
을 통해, 오래된 기계 및 전체 생산 시스
템을 손쉽게 개조할 수 있다. 이 솔루션
은 이미 시멘트 생산 플랜트, 천연 가스
발전소 및 분수제어 시스템 등에서 웹
시각화를 통한 성공적 발전 및 운영사례
를 보여주고 있다.
빠른 시스템 설계를 위한 템플릿 제어
이 서버의 경우, 힐셔는 오스트리아
CERTEC의 웹 시각화 솔루션을 사용하
여, 별도의 HTML 프로그래밍 전문 지식
이 필요없이도 간단한 마우스 조작으로
손쉽게 시각화 페이지를 설계할 수 있게
했다. 페이지로의 드래그만으로 제어 시
스템의 변수 및 심볼이 함께 링크되어
최소한의 노력으로 짧은 기간에 설계를
아우디 자동차의 가상 조송석, Virtual Cockpit
그림 1. 모던 모바일 HMI
3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보장한다.
사용자는 간단한 그림판 프로그램을 사
용하는 것처럼 단순히 빌더 도구를 통해
탐색하게 된다. 직접 오브젝트 및 수입
그래픽을 그릴 수 있으며, 역동화 기능
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회전 및 크기조
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심볼에 관하여
설정한다. 마우스 클릭, 키 입력, 타이머
등과 같은 이벤트는 추가 트리거를 제공
한다. 약 30분정도면 매력적인 디자인과
완벽한 인터페이스가 생성 되며, 모든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웹 가능 HDTV
에서 HTML 웹 표준을 기반으로 한 페이
지에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의 복잡성
시각화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지능형 공
장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것은 공정의 단순한 시각화 이다. 특히
문제가 시스템 종료에 이어질 수도 있
어, 사용자는 신속하게 관련 조건을 인
식 할 수 있어야 한다. 힐셔 솔루션은 이
러한 상황 시 직접 문제화면을 디스플레
이상으로 전송하고 직접 이에 대한 작
업 지침 및 일람메시지를 지원한다. 템
플레잇을 사용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고유의 제어 및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전 세계적
으로 생산공정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중
요한 균일한 운영 개념의 구현을 지원한
다. 동일한 모양, 색상 및 위치를 인식한
다. 이는 사용자 훈련 및 교육을 단순화
하여, 대체인력이 투입 될 경우에도 신
속한 업무인계가 가능하다.
유지보수 잡업을 감소시켜 시스템의 생
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전 관리 개
념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불
충분한 계획은 실제로 자산 관리실패
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처하
기 위해, 힐셔의 솔루션은 트렌드에 따
라 시간에 따른PLC 변수에 대한 그래픽
을 시각화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초기 단계에서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어 빠른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
다.
그림 2. netSCADA 디바이스 시리즈의 Web-
HMI 서버
그림 3. 컨트롤 템플릿은 시스템 설계 노력을 줄여준다
Close to the machine
힐셔의 웹 시각화 솔루션은 모바일로 기
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
적의 솔루션 이다. 고정 HMI 스테이션
의 제거로, 기계의 작동이 보다 유연하
게 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작업 및 오류
에 대한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할 수 있
다. 이는 생산시스템의 효율을 증가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큰 경쟁력이 된다. 모
바일 스테이션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웹
에서 가상화를 통해 실제 생산 시스템에
가깝게 운영할 수 있으며, 이는 생산공
정의 최적화를 통한 성공적인 결과를 줄
것이다. 힐셔의 netSCADA제품은 최상
의 정보통신 관리를 구현 할 수 있는 있
는 솔루션이다.©
힐셔코리아 www.hilscher.com
www.icnweb.co.kr _15
http://onlineshop.knx.org
Open
Fast
Easy
All prices: + VAT; + Service fee (15,– E / order)
www.knx.orgNew licenses PC dependent
Host-ID
PC independent
Dongle
Restrictions
ETS4 Professional 900,00 E 950,00 E
ETS4 Supplementary 50,00 E 100,00 E For Notebooks, max. 2 licenses, only
together with ETS4 Professional
ETS4 Lite 100,00 E 150,00 E max. 20 products
ETS Apps see KNX Online Shop see KNX Online Shop
Upgrade licenses
ETS3 Pro > ETS4 Pro 250,00 E 300,00 E
ETS3 Supplementary >
ETS4 Supplementary
50,00 E 100,00 E
ETS3 Trainee > ETS4 Lite 50,00 E 100,00 E
Educational licenses
ETS4 Training Package 1.000,00 E 1.500,00 E 1 x ETS4 Professional, 10 x ETS4 Lite /
2 x Trainingshandbook
ETS4 Professional
ETS AppsNEW NEW
3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이슈
한국파워링크협회, 협회장에 김두일 박사 추대
하고 국내 활동 공식화
한국파워링크협회가 협회장에 김두일 박사를 추대하고 유럽의 산업용 네트워크 전문엔니지어를 영입하며,
본격적인 국내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협회장에 추대된 김두일 박사는 현재
SMART Power Co. Ltd.의 대표이사를
수행중이다. 지난 2014년 12월 19일부로
한국파워링크협회의 협회장에 추대되어
2015년부터 공식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김두일 신임 협회장은 연세대학교를 거
쳐 독일 아헨(Aachen)에서 에너지(석사)
및 기계공학(박사)을 전공했으며, 독일
원자력연구원(KFA), 한국원자력연구원,
지멘스원자력 한국대표, 지멘스코리아
경영고문, TUV SUD코리아 대표이사 등
을 역임했다.
김두일 신임 협회장(사진)은 “미래의 자
동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는 높은 수준의 개방형 기술의 사용과
세이프티 기술을 접목하는 것이 매우 중
요합니다.”라고 밝히고, POWERLINK와
openSAFETY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
두 만족시키는 현존하는 최강의 네트워
크 기술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다.
김두일 협회장은 공식적인 첫 이벤트
로 오는 3월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
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 최대규모
의 산업자동화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
드 2015(Automation World 2015)에 참
가한다. 전시회에서는 POWERLINK와
openSAFETY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제
품의 전시뿐만 아니라, 산업 사물인터넷
(Industrial IoT) 구현을 위한 두가지 개
방형 네트워크 기술의 다양한 장점을 국
내 자동화시장에 적극 소개할 예정이다.
유럽 네트워크 설계 엔지니어 초빙
2015년 1월부터 Lukas Emersberger씨
가 한국파워링크협회에 합류했다. 오
스트리아에서 개최된 “경영정보 및 통
신기술(Enterpri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네트워
크 관리자 공모전에서 1등의 수상경력을
자랑하는 그는 산업용 네트워크 관련 분
야 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하드웨어 디
자인 분야까지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
고 있다.
한국파워링크협회 관계자는 “에너지 및
자동화 산업분야는 물론 국제 인증 기관
에서 많은 경험을 가진 신임 협회장과
함께 산업용 네트워크 분야 전문가를 유
럽에서 초빙하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국내 파워링크 및 세이프티 기술 보급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라며, “동
시에 국제표준기술인 POWERLINK가 지
난해말에는 국내 국가표준인 KS표준으
로도 인증받아, 자동화 기기들을 효과적
으로 연결하고 센서/액츄에이터, 모션제
어, 비전, 로봇, 장비 세이프티와 같은 개
별기술을 효율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www.ethernet-POWERLINK.org
www.icnweb.kr _37
한국파워링크협회, ‘오토메이션월드 2015’에서
산업 사물인터넷(IIoT) 기술 선보여
한국파워링크협회(회장 김두일)가 오는 3월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 최대규
모의 산업자동화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15(Automation World 2015)’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를 위한 산
업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 IIoT) 구현 기술을 선보인다.
인더스트리 4.0과 산업 사물인터넷
(Industrial IoT) 구현 방안 제시
최근들어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 부상하
고 있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과
산업 사물인터넷(IIoT)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요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
다.
이에 한국파워링크협회는 국제 개방
형 표준기술이며, 국내 KS표준기술인
POWERLINK 기술은 물론 openSAFETY
기술을 통해 국내 스마트 팩토리 추진을
위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자동화 기기(
센서/액츄에이터, 모션제어, 비전, 로봇,
장비 세이프티)에서 선진 혁신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지원을 추
진하고 있다.
Ethernet POWERLINK 기술은 완벽
한 특허 무료, 벤더 독립적 및 완전
한 하드 실시간 성능을 제공하는 소
프트웨어 기반의 통신 시스템으로
Ethernet POWERLINK Standardization
Group(EPSG)이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지난 2008년 개방형 시스템으로
무료 오픈하였고, 2003년 POWERLINK
협회 설립 이후 11년이 지난 지금도 자
동화 시장 곳곳에서 끊임없이 굳건한 위
치를 고수하고 있다.
반도체장비를 위한 POWERLINK 솔
루션, 세이프티 및 이중화 기술 제공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국내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반
도체장비를 위한 완벽한 솔루션, 세
이프티와 이중화, 강력하고 개방적인
POWERLINK 시스템을 데모장비와 함께
선보여 참관객들이 자사의 상황에 맞게
기술도입을 고려할 수 있도록 기술상담
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파워링크협회 관계자는 “오토메
이션월드 2015 전시회에서 국내 반
도체업체의 최신 요구사항에 대해,
POWERLINK기술이 탑재된 최적의 솔
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또
한 “유럽에서 부상하고 있는 인더스트리
4.0과 산업 사물인터넷(IIoT) 구현을 위
해 필수적인 하드 실시간 성능과 Safety
성능을 제공하는 혁신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오토메이션월드 2015 전시회에서
한국파워링크협회 부스(부스번호.
B124)를 찾아 오면, POWERLINK 및
openSAFETY 기술 관련 데모 시연, 세부
기술 소개, 협회 회원 가입 및 기술상담
도 가능하다.©
www.ethernet-POWERLINK.org
3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시스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분석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5년내 10배 늘어나"
시스코 코리아(www.cisco.com/kr)는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
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
망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 및 한국의 모
바일 데이터 트래픽 규모와 ▲모바일 환
경 확산에 따른 셀룰러 트래픽 추이 ▲
3G, 4G 연결율 추이 ▲웨어러블 기기 및
M2M 트래픽 증가 ▲모바일 클라우드 및
동영상 확산 등에 대한 중요 트렌드를
발표했다.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2019
년 10배 가량 증가할 것
시스코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오는
이슈
2019년 한국은 지난해 1.4엑사바이트에
달했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6배 가
량 증가해 8엑사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경
우, 2014년 30엑사바이트 대비 10배 가
까이 증가해 2019년에는 292엑사바이트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1엑사바이트
는 100경 바이트에 달하는 속도 및 용량
단위이다.
시스코는 급격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의 증가 요인으로 ▲모바일 유저 수의
증가 ▲모바일 접속 빈도 및 디바이스의
증가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증가 ▲모
바일 환경에서의 비디오 영상 사용 증가
를 배경을 꼽았다.
한국, 모바일 사용 확산에 따라 2019
년 셀룰러 트래픽 아태지역 최고치
전망
모바일 사용인구 확산에 따라, 한국의
모바일 사용자 한 명이 매월 사용하는
셀룰러 트래픽은 2014년 2,505 메가바이
트에서 2019년 13,055 메가바이트에 달
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일본, 중국, 호
주 등을 포함한 전체 아태지역 국가 대
비 최고의 트래픽양이다.
한편 한국 모바일 사용자는 2014년
4,380만명으로 이를 해석하면 전체 인구
중 88% 가량이 모바일을 사용했다는 의
미이다. 2019년에는 4,570만명의 모바
일 사용자가 예측되며 이는 전체 인구의
90%에 달하는 수치이다.
한국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가, 전세
계 평균 대비 높은 3G, 4G 연결율 보여
한국을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가(일
본, 호주, 뉴질랜드)에서의 3G, 4G 연결
이 전세계 평균 대비 월등히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전세계 국가들의 평균 수치를 보면,
2014년 3G는 32%, 4G는 6% 에 불과했
으며 2019년에는 3G는 44%, 4G는 26%
까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을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
가(일본,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2014년
3G는 54%, 4G는 43%의 연결율을 보였
으며, 2019년에는 3G가 31%, 4G가 45%
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글로벌 모바일 유저는 2014년 43억명에서
오는 2019년에는 52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모바일 트래픽 사용
자가 2019년에는 28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는 총 110억개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되어
1인당 평균 1.5개의 모바일 기기 사용이 기대된다.
www.icnweb.kr _39
한국, M2M 트래픽 및 웨어러블 기기
증가 추세
한편 만물인터넷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주요 동인인 M2M과 웨어러블 기기의 트
래픽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M2M
이란 무선 시스템이 GPS 네비게이션, 자
산 추적, 수도/가스/전기 계량, 보안/감
시 비디오와 같은 기능을 가진 동일한
유형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웨어러블 기기
도 M2M 연결 영역에 포함된다.
한국의 웨어러블 기기 수는 2014년 530
만개에서 2019년 2,450만개로 늘어날 전
망인 가운데 웨어러블 기기가 생성하는
트래픽은 2014년 월 396 메가바이트에
서 2019년 월 954 메가바이트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세계 웨어러블 기기 수는 2014년
1억 900만개에서 2019년 5억 7,800만 개
로 약 5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모바일 클라우드 및 동영상 확
산될 것
또한, 한국의 모바일 클라우드 트래픽은
2014년 월 94.3 페타바이트에서 2019년
월 604.4 페타바이트로 약 6.4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
션이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차
지하는 비중은 2014년 83%에서 2019년
에는 9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계 모바일 클라우드 트래픽은 2014
년 월 2엑사바이트에서 2019년 월 21.8
엑사바이트로 약 11배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2014년 81%에서 2019년 90%로 증
가할 전망이다.
한편 한국은 모바일 동영상 사용 비중도
이미 상당했다. 한국은 2014년 전체 모
바일 데이터 트래픽 중 모바일 동영상이
59%에 달했으며, 2019년에는 75%를 차
지해 전세계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
냈다. 전세계의 경우, 전체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중 모바일 동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55%에서 2019년 72%로
늘어날 전망이다.
시스코의 제품 및 솔루션 마케팅을 총
괄하는 더그 웹스터(Doug Webster) 부
사장은 “보다 기능이 강력해지는 모바
일 기기의 확산과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M2M 애플리케이션이 도처에서 활용되
고 보다 빠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늘
면서 모바일 트래픽이 큰 폭으로 성장하
고 있다”며 “이 같은 모바일 중심의 환경
은 통신사업자들이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시대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일반 소비자들은 물론 기업
고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모바
일 서비스와 함께 경험을 제공할 수 있
도록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
고 밝혔다.
올해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
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의 전세계 수
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전세계 모바일 트래픽, 유선 트래픽
보다 보다 3배 높은 증가율 왜?
2014부터 2019년 사이 전세계 모바일 데
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전세계 유선 데이
터 트래픽 증가율보다 3배 더 많을 것으
로 전망된다.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
래픽 증가를 주도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
과 같다.
●모바일 사용자 증가:
모바일 사용자는 2014년 43억명에서
2019년 52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를 분석하면, 2014년 전세계 인구(72억
명) 가운데 59% 가량이 모바일을 사용했
고, 2019년에는 전세계 인구(76억명) 가
운데 69% 이상이 모바일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림 1. 한국의 모바일 사용자 한 명이 매월 사용하는 셀룰러 트래픽은 아태지역 국가 중 최고
수치를 보였다. (2014년 2,505 메가바이트에서 2019년 13,055 메가바이트에 달할 것으로 전망)
4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모바일 접속 증가:
전세계 모바일 접속 기기 및 M2M 접속
횟수는 2014년 74억에서 2019년 약 115
억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개인 모
바일 기기를 이용한 접속 횟수는 83억,
M2M 접속 횟수는 32억에 이를 예상이
다.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증가:
전세계 모바일 네트워크의 평균 속도는
2014년 1.7 메가비트에서 2019년 4.0 메
가비트로 2.4배 가량 빨라질 것으로 보
인다.
전세계 모바일 M2M 접속과 웨어러
블 기기 확산도 ‘한몫’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웨어러블 기
기에서 생성되는 모바일 트래픽은 18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트
래픽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에서 발생할
전망이다. 2014년 기본 휴대 단말기는
월 22메가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
성한 반면 일반 웨어러블 기기는 이보다
6배 더 많은 월 141메가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성했다.
●고급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고프로(GoPro) 비디오 카
메라의 라이브스트리밍으로 분당 약 5메
가바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
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14년 일반 M2M 모듈은 기본
휴대 단말기보다 3배 더 많은 월 70메가
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성했다.
전세계적으로 4G 도입확산
현재 많은 전세계 통신사업자들이 고객
요구의 맞춰 4G 기술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신흥 시장에서는 시작부터 4G 솔
루션으로 새로운 모바일 인프라를 개발
하는 동시에, 일부 성숙한 시장에서는
기존의 2G나 3G 솔루션을 4G 기술로 보
완하거나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세계 4G 접속은 2014년 4억 5,900
만에서 2019년 30억으로 약 1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3G는 2G를 제치고 전세계 최
고의 통신망 기술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
다.
●2014년 4G 네트워크가 전체 모바
일 데이터 트래픽의 40%를 처리했다면
2019년에는 그 비중이 68%로 증가할 전
망이다.
●2014년 4G 네트워크는 월 2.2 기가바
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성했
지만 2019년에는 이 수치가 월 5.6 기가
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4G가 아닌 다른 접속을 통해 생성되는
1.0 GB보다 5.4배 더 높은 수치이다.
셀룰러 트래픽 능가하는 전세계 ‘와
이파이 오프로드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란 듀얼 모드 기기에
서 생성되는 트래픽으로 와이파이 및 스
몰셀 네트워크를 통해 노트북을 제외한
셀룰러 및 와이파이 접속을 지원하는 것
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나 기기가 셀룰
러 접속에서 와이파이와 스몰셀 액세스
로 전환하는 경우 오프로드가 발생한다.
이번 조사는 공공 장소의 핫스팟 및 일
반 가정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생성
되는 트래픽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014년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46%가 오프로드 되었고, 2019년 이 수치
는 54%로 증가할 전망이다.
●오프로드가 없다면, 2014년에서 2019
년 사이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연평균성장률은 57%에서 65%로 증가할
것이다
전세계 음성 와이파이(VoWi-Fi), 음
성 LTE 능가 예상
초기 VoWi-Fi 솔루션의 경우 솔루션 도
입과 사용자 경험에 있어 일부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와이파이만
지원하는 태블릿 등 SIM 기반이 아닌 기
기에 서비스되는 통신사업자급의 VoWi-
Fi가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VoWi-Fi
는 향후 5년간 급성장을 기대할 만한 잠
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8년 VoWi-Fi는 연 사용 분 수
(number of minutes used)에서 VoLTE
를 앞설 것으로 보인다.
●2019년 VoWi-Fi 사용 분 수는 전체 모
바일 IP 음성 트래픽의 절반이 넘는 53%
를 차지할 전망이다.
●2017년 VoWi-Fi는 연 사용 페타바이
트를 기준으로 음성 LTE(VoLTE)를 앞서
면서 대중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와이파이로 연결된 태블릿과
PC의 수는 셀룰러로 연결된 수에 비해
3.5배 가량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 지역별 모바일 데이터 추이
2019년까지 가장 많은 모바일 데이터 트
래픽을 생성해 내는 곳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일 것이란 전망이다. 지역별 전망치
는 다음과 같다.
1.아시아태평양 지역: 월 9.5 엑사바이트
2.북미 지역: 월 3.8 엑사바이트
3.서유럽 지역: 월 2.4 엑사바이트
4.중유럽 및 동유럽 지역: 월 3.5 엑사바
이트
5.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월 3.0 엑사바
이트
6.라틴 아메리카 지역: 월 2.0 엑사바이
트
2014년부터 2019년 사이 모바일 데이터
www.icnweb.kr _41
트래픽은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1.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의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증가율은 연평균성장률 72%
를 기록해 2014년 대비 15.3배 증가할
전망이다.
2. 중부유럽 및 동유럽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연평균성장률
71%로 14.4배 증가가 예상된다.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2014년 대비 9.7배 증
가해 연평균성장률 58%를 보일 것이다.
4.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연평균성장률
59%로 10.1배 증가가 전망된다.
5. 북미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
가율은 연평균성장률 47%로 6.8배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6. 서유럽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은 2014년 대비 7.1배 증가해 연평균성
장률 48%을 기록할 예상이다.
한편,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
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는 전세계 통신사업자, 정부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전세계 모바일 데
이터 트래픽 전망을 파악하고, 이를 참
고하여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보고서에는
시스코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모바일 애
플리케이션 도입율, 분 단위 사용량 및
전송 속도 수치 등과 제3의 애널리스트
전망 보고서와 실제 모바일 데이터 사용
량 등이 반영됐다.©
시스코 www.cisco.com
www.icnweb.kr _41
4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인더스트리
POWERLINK를 탑재한 다목적 가공
Handling systems
다목적 카멜레온 핸들링 시스템은 공작물, 광범위한 분야의 기계를 위한 전극과 밀링툴의 안정적인 공급을 제공한다.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Donghyung Shin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Donghyung Shin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What's hot (20)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5) Nov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6) Dec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Feb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0) Ju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anuar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8) Ap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1) Jul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r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
이노베이션3.0 책 강연 자료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Similar to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Similar to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14)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5) Jan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pril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l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December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June 201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4) Oct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August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3) Sep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May 2012.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Sep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7) Mar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 1.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PLANT, MACHINE, POWER, AUTOMOTIVE, BUILDING & HOME COMMUNICATION NETWORKs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015년 03월호 통권 제97호 | 정가 8,200원 발행처 아이씨엔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 Web www.icnweb.kr | E-mail icn@icnweb.co.kr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No.97 www.icnweb.co.kr MARCH 2015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 가치 창조를 위한 비즈니스 최적화
  • 2. 전력전자 엔지니어를 위한 국내외 최신 기술정보를 제공합니다.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은 국내 전력전자 엔지니어와 함께 지속가능한 공유 에너지 사회를 추구합니다. 아이씨엔 icn@icnweb.co.kr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www.powerelectronics.co.kr  파워일렉트로닉스 매거진
  • 3. 우리의 제휴가 EtherNet/IP™의 생명력입니다 제조 운영과 IT를 통합하는 융합된 공통 네트워크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객의 니즈를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세계 수준의 자동화 제어 및 정보에 대한 전문성을 네트워킹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CISCO® 의 전문성과 결합시켰습니다. 표준 이더넷 EtherNet/IP™ 기술을 극대화하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공동으로 개발, 글로벌 제조사가 최상의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최선의 적용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업 전체를 아우르는 안전한 솔루션, 증가된 유연성 그리고 높아진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무료 파트너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십시오. www.apac.rockwellautomation.com/ethernetip/ICNKOALL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주) 서울시 강남구 삼성로 511 골든타워 16, 17층 (135-745) Tel : 02-2188-4400 부산지사 051-606-1500 / 광주지사 062-945-8666 / 대구지사 053-604-3960 www.rockwellautomation.co.kr
  • 4.  2015년 03월호 통권 제97호 2015년 3월 6일 발행 편집장 Editor-in-Chief 오승모 TIMOTHY S.M., OH· oseam@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김철민 CHOL MIN, KIM· min@icnweb.co.kr 기자 Technical Editor 오상원 CHRIS, OH· chris@icnweb.co.kr 기자 News Editor 오윤경 YUN KYUNG, OH· news@icnweb.co.kr 웹마스터 Web Master 손성수 SUNG SOO, SON· icn@icnweb.co.kr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is published by ICN Corp. ISSN 1975-552X 등록번호 서대문 라 00035 Registration Number 등록일 2006년 6월 29일 Registration Date 발행인 오승모 Publisher 인쇄인 YSP 함용헌 Printing House 발행처 아이씨엔 ICN Corp.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원길 25-13 (홍제동) 25-13, Hongjewonkil, Seodaemun-gu, Seoul, 120-854, Korea 전화 0505-379-1234 팩스 0505-379-5678 이메일 icn@icnweb.co.kr 웹 www.icnweb.co.kr 뉴스웹 www.icnweb.kr 가격 8,200원 Price 월간 아이씨엔 03 | 2015  <월간 아이씨엔: 인더스트리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한국도서잡지윤리위원회의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월간 아이씨엔은 지속가능한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이 어려운 표지코팅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작합니다. 정가 8,200원 (1년 정기구독료 82,000원) [구독문의:0505-379-123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No.97 ww.ICNweb.k https://www.facebook.com/icnweb/ https://twitter.com/oseam/ http://www.youtube.com/user/icnwebTV/ http://www.pinterest.com/timothyoh/industrial-infographics/ https://www.linkedin.com/in/icnweb/
  • 5. COMPETENCE IN COMMUNICATION Phone: 031-789-3715 info@hilscher.kr www.hilscher.com One Gateway for All 고객 여러분의 모든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Gateway를 제공합니다. Gateway netTAP:  필드버스와 Real-Time-Ethernet용  300가지 이상의 프로토콜 조합  Master와 Slave의 자유로운 조합  5ms 이하의 빠른 데이터 변환 시간 One Partner ›› One Chip ›› All Systems Automation World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일시: 2015년 3월 18일(수) ~ 20일(금) 장소: 서울 코엑스 부스번호: C132
  • 6. 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 분석 포커스 급진적인 기술 개발에 힘입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사례들이 강화되면서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 크 시장도 매우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과 공장 자동화 분석에 대한 필요성 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들로 꼽히고 있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지사에 따르면, 세계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장은 2014 년 해당 시장 수익은 12억 달러였으며, 2020년에는 18.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32억 6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 로 예측됐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M&I(Measurement and Instrumentation) 산업부의 라젠다 투수(Rajender Thusu) 디렉터는 “가전제 품을 제외하고 모든 산업들에서 모니터 링용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 고 있다. 빌딩 자동화와 공급체인, 방위, 자재관리, 식료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는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트랙킹, 태그용 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 다”고 전했다. 하지만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 선 센서 통신 및 소수 off/on 특성들을 제외하고는 제어하는 역할로 충분히 활 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주요 고객들 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해 신뢰도와 보안면에서 우려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 이 실사용자들은 최근 한정되어 있는 대 역폭을 해결하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필 요한 투자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독자적인 무선 네트워크 표준으로 인해 더욱 불거진 통합 부족이 과제로 떠오르 고 있다. 자유로운 데이터 흐름과 데이 터 패킷 손실 가능성 제거, 일정한 전송 속도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 표준이 시행되어 야 한다. 다양한 시장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 다.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장비들은 단거리, 낮은 비트 속도, 저전력, 저비용 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장비 들은 실제 애플리케이션들과 물리적 환 경을 연결할 때 쓰인다. 국제인터넷표준 화기구(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IEEE 802.15.4와 같은 표준을 바탕으로 저전력 무선 센서 네트워크 (WSN)를 통해 IPv6 패킷 전송을 달성하 기 위해 개발한 6LoWPAN을 비롯해, 여 러 노력들이 줄을 잇고 있다. Zensys가 개발한 빌딩 자동화 및 스마트 홈 시장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Z-Wave 솔루 션과 얼라이언스(Alliance) 모드 프로토 콜과 칩 개발, 장비 상품화에 기반을 두 고 1GHz 이하 라디오 기술에 초점을 맞 춘 DASH7 Alliance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다양한 표준들과의 상 호 운영성을 용이하게 해준다. 투수 디렉터는 “WirelessHART 프로토 콜과 ISA100이 여러 산업들에 걸쳐 일반 표준들로 쓰일 것이다. 통합 표준들로 실사용자들은 자산 및 인력 추적 시스템 과 같은 다른 기능들과 공정 제어 및 자 동화 센서들을 쉽게 통합시킬 수 있다” 고 전했다.© www.frost.com
  • 7.
  • 8. 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CSRmesh, 홈 오토메이션의 간결하고 원활한 제 어 및 연결 제공 포커스 CSR은 난방, 환기, 에어콘, 출입문 잠금 장치, 창문 여닫힘 센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CSRmesh™ 2.0 홈 오토메이션을 발표했다. 센서(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장착된 Bluetooth Smart 기기들을 간단하게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CSRmesh 홈 오토메이션은 기존 개발 예제로 제공해 왔던 스마트폰, 태블릿 뿐 아니라 PC,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 어러블기기로도 제어가 가능하며, 센서 (sensor)와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장착 된 Bluetooth Smart 기기들을 간단하게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다. 작년 최초로 발표된 CSRmesh 프로토콜 의 초기 버전은 조명 제어에 최적화 되 어 있었다. CSR은 CSRmesh의 기능을 지 속적으로 추가, 확장하여 홈 오토메이 션, IoT(사물인터넷) 등을 위해 고객들이 Mesh 네트워크에 추가하고 싶은 다양한 센서 또는 액튜에이터들을 제어할 수 있 도록 지원한다. 홈 사물인터넷 커넥티비티 제공 CSR의 앤서니 머레이(Anthony Murray) 비즈니스그룹 수석 부사장은 "우리의 Mesh 프로토콜은 이미 사물인터넷에 흥 미로운 기능을 더했고 우리의 고객은 설 정과 사용이 쉬운 스마트 조명 솔루션 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며, "우리가 내 놓은 새로운 버전은 스마트 홈 개발자를 위한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며 확장이 가 능한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 덧붙였다. CSRmesh는 CSR의 CSR101x 제품들을 포함한 검증된 Bluetooth Smart 칩셋 솔루션들로 제품화할 수 있고, 관련 소 프트웨어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는 Bluetooth Smar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에 패킷 릴레이 방식으 로 메시지를 보내고 전달한다. 전송 프 로토콜의 직관성을 통해 일반 사용자들 은 초기 제품 등록 과정을 제외한 복잡 한 설정, 페어링 등이 필요치 않으며, 라 우터, 브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SRmesh 기술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혹은 웨어러블기 기들을 통한 제어뿐만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 가능한 형태인 스위치나 제어 패널 같은 범용의 제어 장치도 컨트롤러 로서 사용될 수 있다. CSR은 최근 Mesh 프로토콜을 통해 직접 적인 제어하는 방식 이외에도 클라우드 네트워크(cloud network)를 통한 원격 감시, 제어를 위한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멀리 출장 또는 여행 중 에도 문이나 창문이 열려 있는지, 집안 의 가전이 켜져 있는지, 화재 경보기가 꺼져 있는지 등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 이 가능해 진다. CSRmesh 홈 오토메이 션 솔루션은 칩에서 클라우드까지 개발 지원을 통해 언제, 어느 곳에 있어도 가 정 내의 다양한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 하고 통제할 수 있다. CSR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블루투스 스마트 Mesh Protocol의 표준화를 위하 여 블루투스 특별 이익 단체(SIG)의 블 루투스 Smart Mesh 스터디 그룹 내에 서도 관련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 다.© www.csr.com
  • 9.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BI 센터 204호
  • 10. 1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인더스트리 4.0에서의 자동화 기술 포커스 스마트제조와 인더스트리 4.0을 위한 산업용 이더넷 핵심기술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이더넷파워링크협회 (Ethernet POWERLINK Standardization Group; EPSG)는 중국 우한에 POWERLINK 모션 제어 센터를 설립했 다고 밝혔다.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오픈 로보틱스 & 인더스트리4.0” 박람회에서 인더스트리 4.0의 미래가 오늘날의 자동화 기술에 서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대해 설명했다. EPSG와 멤버인 B&R, Cognex, Comau 와 Festo으로 부터 초대받은 120곳 이상 의 전문가들은 이분야에 가장 최신의 기 술을 발견하기 위해 리옹으로 향했다. 로봇 제조업체인 Comau는 로봇과 인간 이 손을 맞잡고 일할 수 있는 개방형 로 보틱스 플랫폼을 발표했다. 핵심기술인 새로운 “C5G Open”는 로봇 컨트롤러와 실시간 POWERLINK네트워크는 최고수 준의 성능과 속도를 제공한다. 전시된 많은 솔루션들 중에, Festo에 서 출신된 CPX자동화 플랫폼은 특히 POWERLINK 네트워크를 쉽게 통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즉 인더스트리 4.0의 생산시스템의 특 징중 하나인 분산화된 자동화 로직은 필 연적으로 고속의 제한되지 않은 개방형 안전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사항을 긴급하게 만들었습니다. POWERLINK 와 openSAFET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기반을 모두 다져놓은 상태입니다.”라고 EPSG의 Technology marketing manager 인 스테파네 포티에씨는 말한다.© (www.ethernet-powerlink.org 임베디드 월드 2015 세이프티, 스포트라이트를 받다 EPSG는 다수의 시스템 인터그레이터들과 함께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2월 24일부 터 26일까지 열리는 임베디드월드 2015에서 openSAFETY 솔루션에 대한 광범위 한 스펙트럼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이프티 필드버스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은 비용과 개발환경구축이라는 제약사 항을 항상 염두해야 하는 제조업체들에게는 항상 도전일 수 밖에 없습니다. EPSG 부스에 기존 개발 비용의 최대 8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전시될 예정이 며, 이러한 특징이 openSAFETY가 시장에서 가장 흥미로운 솔루션이 되도록 만들 었습니다.”라고 EPSG의 Managing Director인 스테판 쉐네거씨는 말한다. 또한 EPSG는 2014년 바우마 중국 트레이드쇼에서, 중국 POWERlINK협회가 건설 장비제어기술에 관련된 연구및 응용분야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Port Machinery company를 포함한 유명한 건설업계를 대표하는 전기 엔지니어들 이 참석한 성공적인 이벤트는, 건설업계에 POWERLINK솔루션의 혜텍에 대한 인 식이 성장하였다는 것을 반영한다. 또한 건설기계제어분야에 필요한 지능 및 원 격 데이터 수집, 강화된 세이프티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POWERLINK와 openSAFETY를 이용한 개발 및 통합의 실용적인 측면을 발표했다.©
  • 11. IEC 62026-2 국제표준, 필드레벨 개방형 네트워크, 전세계 350개 이상의 공급업체 가 제공하는 1,800개 이상의 인증받은 방 대한 제품군을 자랑하는 AS-Interface는 거의 모든 자동화 네트워크에서 센서와 액 추에이터의 통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 니다. www.asi.or.kr 간편함과 경제적 효율성의 또 다른 이름 AS-Interface
  • 12. 1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온세미, 임베디드월드 2015에서 IoT 관련 이미 징, 커넥티비티, 모터 제어 및 파워 솔루션 발표 에너지 효율 혁신을 추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2월 24-26일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되는 Embedded World Conference 2015에서 혁신적인 신형 임베디드 시스템 솔루션들을 선보인다. IoT용 모터 제어 및 파워 솔루션 온세미컨덕터는 IoT 용도에 필요한 엄 격한 전원 관리 및 제어와 부합하는 여 러 가지 새로운 혁신을 공개할 예정이 다. 브러쉬리스 DC (BLDC) 모터용 고 급 Direct Torque Control Space Vector Modulation (DTC-SVM) 모터 제어 플랫 폼도 소개된다. 신형 플랫폼은 온세미컨 덕터의 Integrated Power Module(IPM) 을 Intel Quark™ SoC에 집적시킨 것으 로 저속의 높은 토크에서 역동적인 성능 을 발휘하며 스위칭 손실을 10% 감소시 키고 레이턴시를 10배나 축소시킨다. 전시 기간 중에는 또한 배터리 잔량 을 정확히 측정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 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LC709203F 배 터리 연료 게이지도 선보이게 된다. 신 형 NCP785 와이드 인풋 레인지 선형 레 귤레이터는 AC 메인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원 전압 변동 제거비가 매 우 높으면서도 대기 전류가 극히 낮다. SOT-89 패키지로 제공되는 이 소자는 산 업 및 홈 자동화, 스마트 계량 및 가전 용 품 등 공간 제약을 받는 용도에 이상적 이다. 이미징 온세미컨덕터는 초당 60프레임(fps) 속 도로 고선명 (HD) 1080p 동영상 데이터 를 캡처 할 수 있는 신형 AR0230CS 이미 지 센서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소자는 HDR 비디오, 개선된 움직임 변환 보상, ALTM (advanced local tone mapping) 및 움직임 훼손을 최소화하고 HDR 색상 재현을 향상시키는 DLO(digital lateral overflow) 기능을 집적해 HDR 1080p 카 메라 디자인의 출시 기간을 단축시킨다. 온세미컨덕터는 또한 AR1820 컬러 이미 지 센서의 4k 동영상 능력도 시연한다. A-PixHS™ BSI Pixel 및 고속 센서 기술 을 탑재한 고해상도 센서는 18 메가픽셀 (MP) 24 fps (15fps MIPI) 해상도로 놀라 운 화질과 풍부한 동영상 기능들을 제공 한다. 온세미컨덕터는 스캐닝, 머신비 전 및 기타 산업 용도의 PYTHON 1300 1.3 MP 글로벌 셔터 CMOS 이미지 센서 도 전시한다. 1280 x 1024 픽셀 어레이 의 이 고감도 센서는 노이즈가 적으면서 도 효율이 높은 초고화질 글로벌 셔터를 제공한다. 통신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시장에서 통신용 송수신기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온세미컨덕터는 유선 KNX, HART 및 Fieldbus 모듈로 센서와 액츄 에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을 보여주 는 저전력, 고효율 에너지로 설계된 여 러 가지 통신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온세미컨덕터는 또한 다양한 소프트 웨어 스택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신형 NCS36510 802.15.4 초 저출력 무선 송 수신기도 전시할 예정이다.©
  • 13. 무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는 많습니다. 하지만, 플랜트 현장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솔루션, 과연 가능할까요? 한층 더 향상된 가시성, 실행성, 수익성,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에머슨의 스마트무선은 업계에서 가장 많은 고객 싸이트와 운영 시간을 보유하고 있는 검증된 무선 기 술입니다. 스마트무선은 보다 많은 현장 지점에서 가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고객의 비전을 확장하였으 며, 자가형성 메쉬 네트워크(self-organizing mesh network)를 통해 최고의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무선은 시장 내 현존하는 가장 지능적이고, 안전하며, 비용 효율적인 운영 전반 무선 기술 옵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EmersonProcess.com/SmartWireless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에머슨의 스마트 무선 솔루션을 통한 수익성 강화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株) 대표전화 02-3438-4600 www.emersonprocess.co.kr 에머슨 로고는 Emerson Electric Co.의 상표 및 서비스표 입니다. © 2014 Emerson Electric Co.
  • 14. 1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키사이트, 업계 최초로 BERT에 조정 가능한 내장형 심볼간 간섭 기능 출시 키사이트 코리아가 J-BERT M8020A 고성능 BERT를 위한 조정 가능한 내장형 ISI(Intersymbol Interference) 기능을 선보였다. 엔지니어들은 인증을 위해 고속 디지털 수신기를 테스트하고 특성화할 때, 특정 한 채널 손실을 에뮬레이트 해야 할 필 요가 있다. 새로운 조정 가능하며 프로 그래밍 가능한 ISI 기능은 채널 손실 에 뮬레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본 기 능은 J-BERT M8020A의 각 패턴 발생기 채널에 통합되어 있어 별도의 케이블 작 업이 필요 없고, 외부에 장착된 ISI 트레 이스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 보다 간편하 게 테스트를 셋업할 수 있다. 차세대 디지털 설계의 특성을 분석하면 서 연구개발과 검증팀은 다양한 어려움 을 경험하게 된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송신기 및 수신기간의 채널 손실 부분은 더욱 더 중요해졌다. 채널 손실은 신호 경로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 트레이스와 커 넥터 및 케이블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손실은 ISI를 야기하며, 채널 소재 (material)와 디멘젼, 데이터 전송률 및 비트 패턴에 따라 좌우된다. 모든 고속 디지털 수신기는 일정한 양의 전체 지터 (total jitter)를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전체 지터에는 채널 손실에 의하여 발생하는 일부 ISI도 포함된다. 따라서 엔지니어들은 수신기 특성 분석 및 인증 테스트 시에 이러한 손실에 대 한 부분도 에뮬레이트 해야 한다. 지금 까지 채널 손실을 에뮬레이트 하기 위해 엔지니어들은 별도의 케이블과 스위칭 이 필요한 외부 트레이스 보드를 사용하 였다. 기존 셋업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 로 하고 테스트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빠르고 정확한 테스트 제공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디지털 포토닉스 테스트 디비젼 제너럴 매니저 유르겐 벡 (Juergen Beck) 부사장은 “오늘날 최고 수준의 통합 기능을 갖춘 M8020A 고성 능 BERT로 수신기 특성화 및 인증 테스 트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 다.”며, “M8020A의 새로운 통합형 조정 가능한 ISI 기능으로 엔지니어는 차세대 고속 디지털 설계 테스트상의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을 쉽게 해결하고, 새로운 표준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J-BERT M8020A 고성능 BERT는 디지털 설계에 대한 통찰력을 가속화 할 수 있 다. 신제품은 최대 16-Gb/s 및 32-Gb/s 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싱글레인(single lane) 및 멀티레인(multilane) 디바이스 를 위하여 빠르면서도 정확한 수신기 특 성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내장된 ISI 기 능은 각 패턴 발생 채널을 위해 프로그 래밍할 수 있다. 최대16-Gb/s의 전송 속 도까지 외부 트레이스로 스위칭 할 필요 가 없고, 별도의 케이블 작업이 필요하 지 않기에 수신기 테스트 자동화를 단순 화할 수 있다. 키사이트는 보다 정확한 수신기 특성 검 사를 위한 관련 제품과 소프트웨어 솔루 션을 제공한다. 한편 키사이트는 1월 28-29일, 산타클라 라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DesignCon 2015 전시회에 J-BERT M8020A를 포함 한 고속 디지털 테스트 솔루션을 선보였 다.©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www.keysight.co.kr
  • 15. 피닉스컨택트 파워서플라이 피닉스컨택트의 파워서플라이는 광범위한 사용환경 및 온도범위뿐만 아니라 폭넓은 입력전압범위와 다양한 국제인증으로 인해, 전세계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신제품인 UNO 파워서플라이는 컴팩트한 크기와 높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피닉스컨택트 주식회사 대표전화: 1899-2166 www.phoenixcontact.co.kr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파워서플라이 신제품 UNO POWER •최대 에너지 효율성 •초소형 사이즈 •최대 100 W 지원 •안정적인 전원 공급 (12 VDC, 24 VDC) © PHOENIX CONTACT 2013 블로그 런칭기념 이벤트 피닉스컨택트의 블로그 런칭 1주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아래 이벤트 No.를 블로그에 등록하시고 간단한 퀴즈 풀고 선물 응모하세요~! ●기간: 2015.02.01~ 2015. 04.30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http://blog.naver.com/pxckr ●이벤트 No.: PXC620150130 ●퀴즈: 피닉스컨택트는 매년 신제품을 소개하는 (한글)를 발간하고 있다.(Hint. Highlight) 정답을 이벤트 No.(PXC620150130)와 함께 블로그에 비밀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소니 블루투스 스피커 X1을 선물로 드립니다. (※ 추후 개별 통보 예정) Automation World 2015 부스 방문 쿠폰 피닉스컨택트가 Automation World 2015 전시회에 참가합니다. 피닉스컨택트 부스(번호: D 115)에 쿠폰을 오려오시면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일정: 2015.03.18(수)~03.20(금) 10:00~18:00 / 서울 코엑스 PXC620150130
  • 16. 1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포커스 SafeTI™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기능안전 ASIL D 및 SIL 3 레벨 인증 취득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이하 TI)는 자사의 SafeTI™ “기능 안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가 ISO 26262 및 IEC 61508 준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에 적합하다고 인증 받았음을 발표했다. 이 프로세스는 품질 및 안정성 규격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 국제 공인 독 립 평가 기관인 TUV NORD(독일기술검 사협회)에서 심사하였다. 더불어 TI는 인증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서를 기 반으로 새로운 SafeTI 인증 지원 패키지 (CSP, Compliance Support Package)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Hercules™ 마이크 로컨트롤러(MCU)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에 사용되고 있다. CSP는 Hercules 소프 트웨어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자사의 최 종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 인증을 더욱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SO 26262 및 IEC 61508 준수 기능안전 구현 SafeTI CSP는 정적 및 동적 분석 테스트 결과, 규격 적합성에 대한 코드 추적가 능성(code traceability to requirements), 코드 커버리지, 코드 품질 지수 등을 포 함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 CSP를 이용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검증 작업에 대 한 수고를 줄이고, 최종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 인증을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 다. TI는 CSP 개발에 LDRA(Liverpool Data Research Associates) 소프트웨어 분석 툴 수트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들 CSP는 LDRAunit을 활용한 테스트 자 동화 유닛(Test Automation Unit)을 포 함하며 고객들은 그들의 환경에 이 유 닛 레벨 테스트 사례를 재실행할 수 있 다. 이들 CSP는 HALCoGen(Hardware Abstraction Layer Code Generator) 디 바이스 드라이버와 Hercules MCU의 SafeTI 진단 라이브러리에 이용가능하 다. 이러한 TUV 인증 SafeTI “기능 안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와 이를 적용 한 SafeTI CSP, 그리고 최근 출시된 인 증 Hercules TMS57011x/12x 및 RM46x MCU는 향후 고객들이 기능 안전 애플리 케이션을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도 와주는 포괄적인 SafeTI 설계 패키지로, TI의 고객 지원을 위한 노력을 잘 설명 해주고 있다. 한편 TI의 HALCoGen 디바이스 드라이 버와 SafeTI Hercules 진단 라이브러리 에 이 CSP를 이용함으로써 고객들은 제 품의 출시 시간을 단축하고 검증 작업 에 대한 수고를 줄이며, 소프트웨어 인 증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현재 이들 CSP 평가판 뿐만 아니라 1인용 또는 멀 티용 정식 라이선스도 이용 가능하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 www.ti.com/ww/kr
  • 17. www.ethernet-powerlink.org Over 3,000 OEMs ✪ J O K E R ✪ J O K E R ✪ J O K E R ✪ J O K E R yOurwOrld OfmOtiOn yOur wOrld Of mOtiOn leading ManufacturErs. High-quality prOducts. Countless applicatiOns. Global standard.
  • 18. NEWS 1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무선 소프트웨어 플랫폼 에머슨 프로세스 매 니 지 먼 트 는 무 선을 대규모의 무 선 네트워크 극대 화를 위한 신규 소 프트웨어 플랫폼 인 Smart Wireless Navigator를 선보 였다. Navigator 는 네트워크의 계획, 관리, 유지 보수를 위한 Smart Wireless 툴을 총제적으로 제공하는데, Smart Wireless 환경을 능률화하는 무선 도구와 더불어 중요한 무선 네 트워크와 장치 진단 및 데이터는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Smart Wireless Navigator는 확대되는 무선 인프라를 손 쉽게 관리하고 무선 네트워크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 도록 돕는다. 이러한 단일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설계로, 사용자들은 Functional Group으로 대규모로 배치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실행 효 용성 있는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전달한다. 에머슨 프로세스 매니지먼트 www.emersonprocess.co.kr 배선인출형 마이크로 포토센서 BS5 시리즈는 K형, T형, L형, Y 형, V형의 총 5가지 외형으로 설치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선택 이 가능해 사용자 작업 환경에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 라 초소형 사이즈로 협소한 공 간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2kHz의 응답 주파수로 고속 물체의 검출이 가능 함은 물론, 투ㆍ수광부가 보호창으로 보호되어 먼지가 많은 생산 현장에서도 높은 검출 신뢰성과 내구성을 자 랑한다. 이외에도 본 제품은 5-24VDC의 폭 넓은 전원 전압 사 양으로 각종 IC, 릴레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 러 등에 접속이 용이하며, 적색 동작 표시 LED로 동작 상태 확 인 용이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켰다. 오토닉스 www.autonics.co.kr BlueNRG-MS 블루투스 4.1 네트워크 프로세서 새로운 BlueNRG-MS 네트워크 프로세서에는 블루투 스 PHY와 2.4GHz 무선 연결, 블루투스 4.1 프로토콜 스 택을 구동하는 ARM Cortex-M0 마이크로컨트롤러, 전 용 AES-128 보안 코프로세서가 탑재됐다. API와 전력관 Altera, 20nm SoC 샘플 공급 시작 Altera는 2세대 SoC 제품의 샘플 공급을 시작함으로써 SoC FPGA 제품에 있어서 자사의 앞선 입지를 더욱 더 확고히 하게 되었다. Arria 10 SoC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ARM 프로세서와 20nm FPGA 패브릭을 결합한 프로그 래머블 디바이스이다. Arria 10 SoC은 비약적인 성능 향 상을 이룸으로써 이전 세대 SoC FPGA를 이용한 것과 비 교해서 더 높은 성능을 달성하고, 더 낮은 전력을 소모하 고, 더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Altera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되는 2015년 “Embedded World” 전시회에서 업계 유일의 20nm SoC FPGA를 비롯한 자사의 SoC 기반 솔루션들을 전시한다. Altera의 SoC 제품 담당 선임 마케팅 이사인 Chris Balough 는 “우리 회사는 고객들이 우리 회사 28nm SoC 제품에 대 해서 보여준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서 SoC FPGA 디바이스 의 로드맵 추진에 더욱 더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이제 그 약속대로 2세대 20nm SoC FPGA를 제공하게 되었다. 빠 르게 부상하는 이 디바이스 부문에 있어서 Altera의 헌신과 기술력을 믿고 기다려준 조기의 고객들에게 샘플 공급을 시작하게 되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베디드 개발자들은 이미 SoC FPGA의 가치를 충분히 깨 닫고 있으며, 이제 Altera를 통해서 명확한 이전 경로가 주 어지게 됨으로써 자사의 차세대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Arria 10 SoC은 Altera의 이전 세대 28nm SoC 제품과 완벽하게 소프트웨어 호환이 가능하므 로 제품 세대 간에 매끄럽게 소프트웨어 이전이 가능하다. Arria 10 SoC은 이전 세대와 비교해서 50퍼센트 더 높은 성능과 40퍼센트 더 낮은 전력을 가능하게 한다. Altera의 SoC 포트폴리오는 또 64비트 쿼드 코어 ARM Cortex-A53 프로세서를 채택한 3세대 14nm Stratix 10 SoC을 포함하므 로 최대의 성능과 전력 효율을 요구하는 임베디드 개발자 들의 요구를 충족할 것이다. Altera SoC FPGA는 단일 칩을 이용해서 하드웨어에 있어 서나 소프트웨어에 있어서나 제품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 므로 더욱 더 지능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ARM 프로세서와 FPGA 패브릭을 결합함으로써 전력을 줄 이고, 비용을 낮추고, 보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더 욱 더 높은 시스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Arria 10 SoC은 무선 인프라, 유선 통신, 컴퓨터 및 스토리지, 브로드캐스 트 장비 분야의 차세대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으로 필요 로 하는 성능, 전력, 보안, 비용 요구를 충족할 것이다. 알테라 www.altera.com 이슈in뉴스
  • 19. NEWS www.icnweb.kr _19 신제품 뉴스 리 기능 및 플래시 메모리가 이미 통합되어 있어서 간단 한 SPI 버스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호스트 컨트롤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하면서도 네트워크 프로세서와 호스트 마이크로컨트롤러 간에는 명확한 소프트웨어 분할을 적 용한다. 새로운 블루투스 4.1 사양은 에너지 효율성을 한층 더 높여주며, 마스터, 슬래이브 역할의 디바이스를 포함 하는 듀얼 모드 토폴로지를 지원한다. 새로운 로우 듀 티 싸이클 디렉티드 애드버타이징(Low-Duty-Cycle Directed Advertising) 기술로 인식 완료된 디바이스에 연결할 때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한다. 또한 블루투 스 4.1에는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도 도입하여 다채널 통신과 서비스 품질로 데 이터를 유연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www.st.com 4Mbps CAN 트랜시버 이 제품은 값비싼 보호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필드 오류를 획기 적으로 감소시킨다. 실제 CAN 시스템에서, 설치 교차연결(cross-wiring) 오류, 접지 전압 오류 또 는 조명 유도 서지 전압은 일반적인 트랜시버의 최대 절대 등급을 초과할 수 있는 과전압 조건을 유발할 수 있다. LTC2875는 데이터 전송 라인에서 ±60V 과전 압 오류 및 ±25kV HBM ESD 보호 기능의 특징을 제 공하며, 동작 및 셧다운 기간 동안 버스 핀을 보호한 다. 회로가 전송되어 수신되거나 파워 오프되던지 간에, LTC2875는 손상없이 ±60V 내에서 전압을 견뎌내고 일반적인 CAN 네트워크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CAN 버스 시스템은 산업 제어, 계측 네트워크, 자동 차 전자제품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CAN 버스는 독립형 컨트롤러, FPGA 및 ASIC 지원을 위해 잘 정의 된 프로토콜 스택을 갖추고 있으며, RS485와 같은 대 안적인 인터페이스에서 더 쉬운 구현방식을 제공한다. LTC2875는 3.3V 또는 5V 레일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5V 레일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높은 오류 및 ESD 보호 기능과 함께, 이 디바이스는 전송 데 이터(TXD) 전용 타이머를 갖춘 저 EME(electromagnetic emission) 드라이버의 특징이 있어 오류 컨트롤러 가 버스를 클램프하는 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전 기적 잡음에서 동작과 접지 루프가 있을 때 동작 을 실현시키는 ±36V의 확장 커먼 모드 범위의 높은 EMI(electromagnetic immunity) 리시버도 제공한다. 리니어 테크놀로지 www.linear.com 인터넷-온-칩™ Wi-Fi 모듈 TI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SimpleLink™ Wi-Fi CC3100 및 CC3200 모듈을 출시한다. 올해 초 발표된 새로운 SimpleLink 제품군은 저전력 플랫폼으로서 IoT 솔루션에 대한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인증된 인터넷-온-칩(Internet- on-a-chip)™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설계 유 연성을 활용하고 다양한 유형의 가정용, 산업용, 소비자 전자기기에 임베디드 Wi-Fi와 인터넷 커넥티비티 기능 을 간편하게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개발자들 은 개발 비용을 줄이고 출시 시간을 단축하며, 조달 및 인증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들 모듈은 완전한 안테나 레퍼런스 디자인을 제공해 통 합 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TI Korea www.ti.com 고밀도 2 단 구조 PCB 터미널 블록 피닉스컨택트의 신제 품 SPTD 1,5 시리즈 PCB 터미널 블록은 고 밀도의 2 단 구조가 적 용되어 있어, 최대 1.5 mm²의 전선(페룰 사용 시)을 이용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더욱 쉽게 연 결할 수 있다. 신제품은 최대 200 V 및 최대 10 A에 맞 게 설계되었으며 철도 및 가전제품 등의 애플리케이션 에 적합하다. 컴팩트하게 설계되어 있어 디바이스 전면부에 패널 마운팅이 가능하며, 특히 공간이 좁거나 제한적일 경 우 제품의 이중 구조는 높은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2~12핀의 제품을 제공하며, 12핀 이상의 제품이 필요할 경우 개별 상담이 필요하다. 터미널 블록은 푸쉬-인(push-in) 연결방식의 통합 스프 링 레버를 내장하고 있다. 전면부의 마킹영역, 추가 테 스트 연결영역은 운영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피닉스컨택트 www.phoenixcontact.co.kr BlueCore CSRB5348 듀얼모드 시스템온칩 Bluetooth Smart를 지원하는 이 새로운 플랫폼은 다 양한 기능과 가성비가 높은 솔루션으로서 차세대 임 베디드 시스템 및 모듈에 적합한 솔루션이다. 특히 응 용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SoC와 Bluetooth 및 Bluetooth Smart Ready 지원을 통해 새롭 게 떠오르는 수 많은 종류의 사물 인터넷(IoT)에서 활용
  • 20. NEWS 2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신제품 뉴스 4-in-1 원격 I/O 솔루션 MOXA는 통합 I/O 기능, 이더 넷 스위치, 직렬/Modbus 커 넥티비티 및 32GB 데이터 로 깅을 단일 원격 I/O 디바이스 에 통합한 효율적인 4-in-1 데이터 수집 솔루션인 ioLogik 2500 시리즈를 출시한다. 강 력한 새로운 툴인 ioLogik 2500을 사용하면 엔지니어 는 데이터 수집의 효율과 정 확도는 높이면서 전체 시스템 비용과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통합형 4-in-1 원격 I/O 솔루션은 필요한 부품과 연결 수를 줄여줌으로 많은 리와이어링 필요를 없애준다. ioLogik 2500은 고유의 I/O 확장 설계를 사용해 사용자 가 하나의 IP 주소에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I/O 채널 을 연결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를 효율적으 로 수집할 수 있다. 이 밖에 새로운 Click&Go Plus™ 제 어 로직은 최대 48가지 규칙을 지원하며 8가지 조건/ 액션으로 추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오프라인/ 온라인 환경에서 강력한 IOxpress 구성 툴을 사용할 수 있어 모든 I/O 파라미터를 오프라인으로 구성한 다음 온라인 디바이스에 설정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이로써 I/ O 시스템 관리와 구성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 일 수 있다. MOXA www.moxa.com NFC 지원 mPOS용 보안 솔루션 NXP 반도체는 크레딧콜(Creditcall) 및 뷰앳 테크놀로지 (ViewAt Technology Co)와 함께, 보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하는 mPOS(mobile Point of Sale) 솔루션용 완벽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레퍼런 스 데모 제품을 선보였다. 이 데모 제품은 카드와 모바 일 결제를 포함한 모든 결제 기술을 위한 범용 솔루션 컴팩트하고 강력한 PC 기반 컨트롤러 SIMATIC ET 200SP 개방형 컨트롤러는 PC 기반 소프트웨 어 컨트롤러의 기능 과 시각화, PC 애플 리케이션, 중앙 I/O를 컴팩트 기기 한 대로 결합한 최초의 동종 컨트롤러다. 이미 설치되고 사전 구성된 SIMATIC S7-1500 소프트웨어 컨트롤러는 SIMATIC S7-1500의 PC 기반 버전으로 제어용 으로 사용된다. 이 컨트롤러는 Windows와는 별도로 작동 하므로 높은 시스템 가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컨트롤러의 가동 속도를 높여주고 작동 중 Windows 업데이트와 재부 팅이 가능하다. 심지어 Windows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컨 트롤러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SIMATIC ET 200SP 개방형 컨트롤러는 노하우와 액세스 보호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축 위치 조정, 통합 시스 템 진단, Profinet 인터페이스와 같은 중요한 자동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개방형 컨트롤러는 ET 200SP 모듈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고 분산 아키텍처가 적용된 장비뿐만 아니라 시리즈 장비 제조용으로 최적화되어 있다. ET 200SP 개방형 컨트 롤러는 컴팩트한 디자인 덕분에 최소한의 공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하고 컴팩트한 컨트롤 박스에 장착해 장비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컨트롤러 사용 시 가격 대비 성능이 매우 우수한 자동 화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인터페이 스를 통해 연결된 SIMATIC 인더스트리얼 플랫 패널 모니 터를 활용해 뛰어난 시각화를 제공하고 멀티터치 기능으 로 보다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시운전이 필요한 경우 에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우스와 키보드를 직접 연 결하면 된다. 이와 더불어,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보다 높은 수준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우수한 성능을 제 공한다. 지멘스 www.siemens.co.kr 이슈in뉴스 될 수 있다. BlueCore CSRB534x 시리즈 에 속해 있는 산업용 등급의 SoC는 80MHz RISC MCU, 40MHz DSP, USB 충전 기능 및 많은 수의 디지털/아날로 그 입출력(I/O) 핀들을 지원한 다. 이처럼 고도로 통합 된 패 키지 덕분에 부품 원가(BOM)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도 뛰어난 유연성을 제공한다. CSR www.csr.com
  • 21. NEWS www.icnweb.kr _21 신제품 뉴스 으로, 국제적인 EMVCo와 PCI(Payment Card Industry) 표준에 대한 사전 검증을 완료했다. 이 데모 제품은 또 한, 금융 거래를 위한 중국인민은행(PBOC, People's Bank of China) 규격을 준수해, 소규모 지역 유통 사업 자, 지역 서비스 업체, 택시 기사, 식품 배달 서비스 등 운송/배달 위주의 유통 상인들이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게 돕는다. mPOS 데모 제품은 소규모 유통 상인 들에게 완벽한 결제 단말기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대기 인원을 줄이고 결제 시간을 단축한다. 매장 직원들에게 mPOS 디바이스를 지급함으로써 유통 상인들은 매장 내 여러 곳에서 결제할 수 있어 판매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NXP 반도체 www.nxp.com POF/HPCF 케이블 어셈블리 안정적인 저비용의 솔루션인 이 어셈블리 및 하네스는 진단 조영 등의 의료 용도, 광 센서 또는 데이터, 엑스레 이 기기 및 치과 장비 등 갈바닉 절연 목적의 데이터 및 광 케이블 설계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중단거리 데이터 통신용으로 적합한 Molex Polymicro 200/230 PolyClad Optical Fiber는 임상 센터와 병원 등 에서 액체, 화학 물질, 방사능 노출 등의 혹독한 조건을 잘 견딘다. 이 제품은 고객이 정확히 필요로 하는 어셈 블리와 하네스를 파악하도록 설계된 강력한 무료 구성 툴과 함께 제공된다. Molex POF 케이블 어셈블리 및 하네스는 -55 ~ +105°C의 혹독한 온도 환경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여러 제조사들의 폴리머 및 금속 커넥터와 호환되므로 비용 절감을 위한 부품 선택이 가능하며 삽입 시 손실도 적 은 편이다. 몰렉스 www.molex.com 컴팩트한 나이프 분리 단자대 PTTBS 2,5-2MTB 2단 나이프 분리 단자대는 푸쉬-인 연결방식을 갖 춘 컴팩트한 디자인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장 점을 제공한다. 컴팩트 분리 단자대는 1,2단 모 두에 분리기능을 제공하며, 컬러 레버 및 분리 나이프 로 분리 나이프에서 접점으로 연결되는 라인의 명확한 식별 및 배열이 큰 장점이다. 이중 기능 샤프트를 통해 유연하게 전위를 분배 시킬 수 있다. 레버 브릿지는 편 리한 브릿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모든 접점에 2.4 mm의 테스트 연결이 가능하다. 나이프 분리 단자대는 기존 Clipline complete 모듈형 단자대 시스템의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다. 푸쉬-인 (Push-in) 연결기술이 적용되어 어떠한 공구없이도 전 선을 바로 단자대에 연결할 수 있다. 전선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힘은 기존 대비 50% 줄어들고 연결은 더욱 쉽고 강력해졌다. 피닉스컨택트 www.phoenixcontact.co.kr 통합 안전 기술: UL 인증 수여 B&R 사의 광범위한 통 합 안전 기술이 UL로 부터 IEC 61508, IEV 62061 및 ISO 13849에 부합된다고 확인받았다. UL에 의한 기능 안전 인증은 해당되는 ANSI/UL 1998과 같은 북미 표준에도 부합한다. 인증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B&R사의 통합안 전기술 제품은 현재 카나다의 ESPC7 범주에 부합됨은 물론 ESPC 범주 안에서 UL에도 등록되었다. UL 인증 database안의 FSPA/FSPA7 범주 하에 등록된 B&R사 의 제품들은, 미국과 카나다의 최종 소비자에게 기계를 공급하는 유럽 제조사들을 위하여 시장에서의 기계 설 치를 위한 승인 획득을 용이하게 한다. B&R 코리아 www.br-automation.com 5메가 네트워크 카메라 디지털 시큐리티 전문 업체 삼성테크윈이 초 고해상도 5메가픽셀 영상을 지원하는 박스 카메라 SNB-8000 및 반달 돔 카메라 SNV- 8080을 출시했다. SNB-8000 및 SNV-8080은 강력한 인코딩 기술로 최 대 5메가픽셀 20프레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소리감 지, 탬퍼링 알람 등 지능형 영상 분석 기능을 탑재해 더 욱 체계적이고 스마트한 영상 감시를 구현한다. H.264/MJPEG 듀얼 코덱, Day&Night(ICR), Micro SD/ SDHC/SDXC 메모리슬롯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내 장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P-lris(SNB-8000) 및 Simple Focus가 지원되어 심도 및 포커스 를 더 욱 세 밀 하 고 간 편 하 게 제 어 할 수 있 다 . 삼성테크윈 www.samsungtechwin.co.kr
  • 22. 2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커버스토리 커넥티드 스마트 팩토리(CSF)와 스마트공장의 실현을 위한 제조업에서의 IT 도입과 활용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산업 사물인터넷(IIoT)으로의 변화는 이러 한 제조업에 새로운 혁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에 이러한 스마트공장의 실 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보안이 중요해졌다. 보안은 제조업체가 사물인터넷을 통 해 사람과 프로세스, 기술을 연결하고 최고의 제조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하는 핵심요소이기도 하다.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제조업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의 중요성
  • 23. www.icnweb.kr _23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축한다는 것은 단순히 분리된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 이 력 데이터는 물론 여러 공장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비즈니스 및 거래 (Transactional) 데이터로 데이터가 생성 되는 모든 지점에서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의 모든 제어 및 정보 수준을 완벽하고 안전하게 연결하는 것을 의미 한다. 기업정보시스템(ERP 등)과 생산 현장 네트워크간에 존재하는 이력 정보 의 공백이 메워지기 때문에 제조기업들 은 잠재적인 보안 위험을 보다 잘 이해 할 필요가 생긴다. 네트워크, 자산 또는 지적 재산 등 기업의 모든 운영은 내외 부의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되어 야 한다. 위협이 우발적이든 의도적이든 마찬가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글로벌 시장 개발 부사장인 John Nesi는 “커넥티드 엔터프 라이즈로의 전환에 관해 거론을 하면 고 객들은 대부분 비용과 보안과 관련된 우 려를 제기한다”며, “이런 문제를 논의해 나가는 과정에서 커넥티드 엔터프라이 즈의 비전은 가치 창출과 함께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고 말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회장 겸 CEO인 Keith Nosbusch는 “커넥티드 엔터프라 이즈는 사람들이 기업 내부에서 어떤 일 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 데이터를 정보로, 또 정 보를 지식으로 전환하고 궁극적으로는 의미있는 의사 결정을 위한 통찰력을 제 공하여 실질적인 고객 가치를 창조한 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장제어 단과 기업정보단을 통합하는 표준 보안 Ethernet 인프라가 필요하다. 그는 “가치 창출의 기회는 기술적 선점 기회에서 직접 만들어 진다. 모든 비즈 니스 및 거래 데이터에서 진정한 혁신적 가치를 제공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과 지식을 보유하는 기업이 차기 선두주 자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기술의 변화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전략 제휴 파트너 인 Cisco의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킹 사 업부에서 상무 겸 총괄을 맡고 있는 Rob Soderbery는 “지금 우리는 비즈니스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 변화의 소용 돌이 속에 있다”고 말한다. Soderbery는 다음 세 가지 경제사회 추 세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 명한다. 1. 신흥 국가 vs. 선진 국가의 성장의 경 제원리 2. 미래의 에너지 소비, 수요 및 에너지 원에 대한 중요성 3.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신흥 시장의 사 회 인구학적 특성과 선진국의 노동 인구 절감 및 인구 고령화 생산성을 이러한 이슈의 해결을 위한 핵 심 요소로 꼽는 그는 “차기 생산성 혁명 은 사물인터넷(IoT)에서 비롯될 것”이라 고 말한다. IoT에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을 통한 거의 무한한 장치들 간의 상호 연결성이 포함된다. 2020년에는 인터넷 에 연결된 장치 수가 약 500억개에 달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로 Cisco는 향후 10년 간 IoT의 수익 가치가 민간 부문에서만 $14.4조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Soderbery는 “그 가치가 혁신 확장, 고객 경험 향상, 자산 보안은 제조업체가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람, 프로 세스, 기술을 연결하여 최고의 운영 효율성을 달성 하게 해주는 핵심 요소
  • 24. 2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활용, 직원의 생산성, 공급망 및 물류 개선 부 문에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14.4조의 가치 중 약 $3.7조는 제조 분 야에서 발생할 것이라며, “큰 영향, 즉 막대한 기회는 제조산업 분야에 존재한다”고 한다. “사물, 프로세스,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연결하 면 물류처럼 공급망의 상위 분야에 실제적인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클라우드는 복잡한 분석을 위해 장치 및 정보, 대규모 스토리 지, 컴퓨팅 역량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제공한다. 원격 액세스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정보 액세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우선 과제가 된다. 빅데이터 및 분석은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는 다른 어떤 분야 보다 더 많은 빅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Nosbusch는 말한다. 최전선에 선 보안 분산된 네트워크의 융합 및 통합에서 분석 정보를 데이터 소스로 송출하여 분 산된 인텔리전스를 수집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사 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Soderbery는 이 모든 것 중 가장 중요한 문제는 보안이 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IoT 보안은 왜 다를까? 그 이유 중 하나는 “공격 표면(attack surface)” 때문이다. Soderbery는 “공장의 공격 표면은 규모가 크고 복잡하다. 개선 프로세스 또한 다르다. 프로세스 업계가 공격을 받는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가동을 중 단하는 것은 실질적이지도, 쉽지도 않은 대응책이다.” 그는 IoT 보안을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액세스 제어는 방어벽 그 이상이다. 딥-패킷 검사 엔진과 같은 도구를 통해 네트워크상의 콘텐츠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문맥(context) 이다. 장치는 무엇을 위한 것 이고 어떤 데이터를 생성하며 표시된 대로 정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가? 콘텐 츠와 상황화된 문맥을 결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결론을 추출할 수가 있다.” 이는 기업 내 네트워크의 위협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주며 위협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Mike Assante는 미국의 국가 정보보안검사 이사회(National Board of Information Security Examiners)의 자문가이며 최고 책임자이다. SANS 연구
  • 25. www.icnweb.kr _25 소의 산업 제어 시스템(ICS) 및 SCADA 보안 프로젝트의 리더이기도 한 그는 공 장을 운영하는 엔드유저 제조업체와 공 급망만 분석 정보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 고 말한다. 그는 “기계 및 장비제조사는 자사가 판 매하는 장비에 액세스하여 운영 계층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를 함으로써 기계를 최적화하고, 보다 안전하게 작동 할 수 있도록 만들길 원한다”고 그는 설 명한다. Assante는 업계에 대한 위협이 점점 더 체계적이고 표적화되고 있다고 지적한 다. 그는 이러한 표적 공격의 피해자 중 94%는 제3 자가 알려줄 때까지 이러한 공격 사실을 알지 못하거나 다른 업체의 서버에서 자사의 정보가 발견된 후에야 깨닫게 된다고 말한다. Assante는 “보고된 모든 사례에서 보면, 피해 기업들은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며 업계 표준 보안 관행을 따르고 있었음에도 공격을 당했 다”며, 이는 전통적인 보안 접근 방식이 이러한 종류의 위협에는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그는 이제 변화해야 할 시기라고 말한 다. Assante는 가장 먼저 보호해야 하는 것은 직원들이라면서 자동화 엔지니어 들이 사이버 보안 담당 직원과 협조하여 서로의 강점과 필요성에 대해 상호 교 차 교육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보안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이어질 것이다. 클라우드의 실용화 일부에서는 클라우드와 IoT가 생산 공장 직원들의 실생활과 어떠한 관련이 있을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로크웰 소프트웨어의 시장 개발 디렉터 인 Keith McPherson은 “우리에게 빅 데 이터는 생산 현장에 존재하는 모든 정 보를 의미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이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을 찾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는 사용자들이 정보를 연결 및 체 계화하여 올바른 문맥으로 표현하고, 대 시보드를 설정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이 고 수익성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적 절한 직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 다”며, “우리는 수십 년 전에 통합 아키 텍처(Integrated Architecture) 시스템을 변경되지 않은 표준 Ethernet에 기반하 기로 결정했다. 이 때문에 현재 수많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가상 컴퓨팅과 클라 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구현하기가 훨씬 쉽다”고 설명한다. 로크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기 시작한 FactoryTalk VantagePoint Mobile App (Window Store에서 다운로드 가능)은 FactoryTalk VantagePoint 엔터프라이즈 원격 액세스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정보 액세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우선 과 제가 된다. 빅데이터 및 분석은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는 다른 어떤 분야 보다 더 많은 빅 데이터를 생성한다”고 로크웰오토메이션의 Nosbusch CEO는 말한다. 제조 인텔리전스(EMI) 소프트웨어 버전 5.0에 기반한다. McPherson은 Windows 8처럼 화면이 스크린 타일 형태로 구성 된 이 새로운 앱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 한 모든 핵심성과지표(KPI)를 즉석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앱, 빅 데이터와 클라우드 기반 의 프로젝트를 대용량 가상화 하드웨어 로 지원하기 위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다수의 운영체제와 앱을 가상화 서버에 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전 설계 된 확장 가능한 인프라인 ‘산업용 데이터 센터(Industrial Data Center)’를 제공한 다. 산업 데이터 센터에는 외함, 전략적 제휴 파트너 사인 Panduit에 의한 온도 조절, Cisco의 통합 컴퓨팅 시스템(UCS 서버 및 Catalyst 스위치)이 포함된다. 이 는 가상화된 PlantPAx DCS 솔루션과 다 양한 FactoryTalk 및 타사 소프트웨어 패 키지를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에서 실 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 26. 2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수요 증가, 보안에 대한 위협 증가 전세계 인구가 800억에 육박하면서 수 많은 사람들이 극심한 빈곤 상태에 머 물러 있다. 또한 중산층의 증가로 인해 식량, 주택 및 교통 수단의 수요 역시 증가했다. 모두 제조되어 유통되는 제품들이다. 이는 제조업체와 인프라, 식 수 및 원자재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 희귀 자원에 대한 수요 증가는 제조의 비효율성을 야기하고 자원 생산성 혁신을 위해 $1조에 해당하는 금액 이 소비되고 있다고 Nosbusch는 말한다. 그는 “우리는 사물인터넷과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의 통합이 만나 생겨난 전 환점에 서 있다”고 말한다.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와 이를 지원하는 기술로 원활하고 안전하며 생산적인 운영을 위한 직원, 생산현장 시스템 및 기업 간 의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보안이 한층 더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로크웰오토메이션 www.rockwellautomation.co.kr |Connected Enterprise| QR코드를 통해서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제공하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로크웰 오토메이션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 웹사이트 http://rockwellautomation.com/connectedenterprise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사장 겸 CEO인 Keith Nosbusch의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에 대한 '오토메이션페어 2014'에 서의 기조 강연 동영상 h t t p : / / w w w . r o c k w e l l a u t o m a t i o n . c o m / rockwellautomation/events/automation-fair/press/ automation-perspectives.page The Connected Industrial Enterprise [PDF] 무료 백서 http://www.rockwellautomation.com/resources/ downloads/rockwellautomation/pdf/news/releases/ The-Connected-Industrial-Enterprise.pdf
  • 27. www.westermo.co.kr 산업분야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스위치 탄력적인 네트워크 솔루션
  • 28. 2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피플 최두환 사장은 지난 10일 여의도 한국거 래소에서 기업설명회(IR)를 갖고, 스마 트팩토리에 대한 제조현장 적용구상을 밝혔다. 포스코ICT는 첨단ICT 기술을 적 용해 포스코와 계열사의 본원 경쟁력 강 화를 지원하는 한편, 월드 베스트 레퍼 런스를 확보하여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 화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스마트팩토리 와 에너지최적화, 중국 대기환경 솔루션 공급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최두환 사장은 최근들어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산업용인터넷(Industrial Internet)의 한 분야인 스마트팩토리 (Smart Factory) 구축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팩토리는 센 서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공장내의 모든 활동이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설비는 제 대로 가동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 산업IoT와 빅데이터 접목한 스마트팩토리에 사활건다 최두환 포스코ICT 사장이 산업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와 빅데이터를 접목해 제조현장에 적용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제어 되는 지능화된 시스템이다. 이로써 작업 자의 경험에 의존했던 공정들이 자동으 로 이뤄지게 된다. 포스코ICT는 스마트팩토리 사업의 성공 을 기반으로 IoT와 빅데이터를 제조업 과 융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산 업용인터넷, 즉 제조업 경영전반의 효율 화를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을 비롯해 산업IoT, 산업용 빅데이 터 부분의 세계시장을 선도해나간다는 구상이다. 현재 포스코 내부에 인더스트 리 4.0을 위한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있다. 포스코의 글로벌 경영체제인 포스피아 3.0을 해외법인과 생산기지에 확대 적용 해 생산, 구매, 판매, 재무 등 모든 업무 에 대한 글로벌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예 정이다. 브라질 등에 건설 중인 해외 제 철소에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도 확대한다. 최두환 사장은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 로 새로운 성장동력에 집중해 올해 매출 1조원과 영업이익 650억원을 달성한다 는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아이씨엔 오상원 기자
  • 29. www.icnweb.kr _29 대니 맥거크,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회장 메모리 반도체가 사물인터넷(IoT)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 대니 맥거크(Dennis P. McGuirk)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지난 2월 3일 삼성동 코엑스인터콘 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2015 (SEMICON Korea 2015)’ 전시회 기자간담회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가 사물인터넷(IoT) 비즈니스 기회포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가 유리한 입장에 있는 메모리 반도체가 사물인터넷(IoT) 비즈 니스에 큰 기회를 제공한다는 분석이 나 왔다. 대니 맥거크(Dennis P. McGuirk) 국제 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회장은 메모 리 반도체 분야가 사물인터넷(IoT) 비즈 니스 기회포착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메모리분야는 2년마다 집적도가 2배씩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 40년간 100만배 늘어났다. 특히 대니 맥거크 회장은 “스 마트기기, 네트워크 인프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있어 메모리가 계속해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모리 기업들은 이러한 급속한 수요에 대해서 지속적인 혁신으로 부합하고 있 다. 삼성전자 8GB DDR4의 경우 전력소 비가 감소하면서도, 미세공정을 통해 전 력효율은 높였다. 또한 3D IC 분야도 주목되는 분야다. 대 니 맥거크 회장은 “3D IC 분야는 우리가 상당히 오랫동안 기다려온 부문이다. 낸 드 솔루션으로서 그 결실을 보고 있다. 사이즈 조정 및 트랜지스터 밀도 변화로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는 또한 “한국의 반도체 장비와 소재 부문 지출은 2015년 140억 달러(약 15조 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하고,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디바이 스 기술개발, 신소재 칩, 패키지 통합, 신 규 폼팩터 패키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모바일 전자 분야에서 필요한 시스템 통합 발전 을 리드한다고도 밝혔다. 소재부문에서의 성장도 긍정적인 평가 를 했다. “소재부문은 디바이스 및 패키 징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자리매 김하고 있다. 한국은 팹과 패키징 머티 리얼 시장 규모가 크다. 2015년 세계 2 대 반도체 소재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 이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팹 패키 징 투자가 늘어나면서 소재 관련 지출이 2003년 대비 3배 증가했다. 그리고 소재 부문은 2015년~ 16년에 계속 성장할 전 망이지만, 비용절감 압박으로 패키징 소 재의 전반적인 성장은 약간 둔화될 전망 이다.”라고 밝혔다.© 아이씨엔 오승모 기자
  • 30. 3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이벤트 리뷰 산업IoT 구현을 위한 EtherNet/IP 세미나 개최 커넥티드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공장, 인더스트리 4.0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이들을 어떻게 구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ODVA가 주최한 산업IoT 구현을 위한 산업용 이더넷 EtherNet/IP 세미나가 주목받은 이유다. ‘사물인터넷 기술활용을 위한 산업네트 워크 EtherNet/IP & DeviceNet 기술 전 시&세미나’가 11일 서울 과학기술회관 에서 개최됐다. 이벤트에서는 사물인터넷 시대에서의 산업분야 네트워크 솔루션 구현방안과 도입 효과, 미래 전망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스마트 팩토리 및 스마트 제 조를 구체화하는 기술 솔루션들이 소개 됐다. ODVA 협회 이순열 회장(로크웰 오토메 이션)은 “정보기술(IT)과 제조 운영 기술 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공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 전체를 하나로 끊김없이 연결하는 표준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수 적이며, 이는 EtherNet/IP만이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빅데이터, 보안을 비롯한 사물인터넷 기술은 이런 네트워 크 인프라의 중요성을 더욱 확대하고 있 다."고 밝혔다. 한국폴리텍대학교 서경호 교수는 '이더 넷의 진화와 산업 사물인터넷'이라는 기 조발표에서 "사물인터넷(IoT)이 이제 제 조업 현장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서경호 교수는 "산업현 장에서 사용되는 사물인터넷은 다른 분 야에서의 사용과는 달리 오작동이 발생 할 경우 장비의 이상작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까지 위협할 수 있 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실시간성'과 '네트워크 호환 성'을 강조하며, 사물인터넷 접속을 위한 필요요소인 이더넷 접속에서 별도의 컨 버터가 필요치 않고, 모션 커트롤의 실 시간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EtherNet/IP 가 유일한 (산업통신망) 기술"이라고 강 조했다. 세미나에서는 또한 회원사들의 주요 기 술 및 산업별 적용사례와 방안들이 다수 발표돼 주목받았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에너지 관리를 위 한 EtherNet/IP'를 주제로 제조 플랜트 및 빌딩에서의 에너지 관리 적용 사례들 이 소개됐다.
  • 31. www.icnweb.kr _31 ODVA 코리아 주최의 ‘사물인터넷 기술활용을 위한 산업네트워크 EtherNet/IP & DeviceNet 기술 전시&세미나’가 11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 데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됐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산업보안, 안전 및 프로세스 산업을 위한 EtherNet/IP'를 주제로 산업IoT 분야에서의 스마트 팩 토리 구성을 위해 요구되고 있는 보안과 안전 문제에 대해 적용가능한 솔루션들 을 제시했다. 한국훼스토는 "장비자동화 및 모션제어 를 위한 EtherNet/IP"를 주제로 기계 장 비에서의 자동화 기술 구현과 모션 컨트 롤 적용에서의 산업용 이더넷 접목 솔루 션을 통해 산업 기계에서의 실시간 성능 구현과 네트워크 연결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세미나 주최기관인 ODVA는 국제 개방형 산업통신망 기술인 EtherNet/IP, DeviceNet 등을 프로모션 하는 국제적 인 협회기관으로 로크웰오토메이션, 슈 나이더일렉트릭, 오므론 등이 주도하고 있다.© ODVA TAG Korea www.odva.or.kr
  • 32. 3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모바일 제어 및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를 위한 웹 시각화 새로운 아우디 TT에서는 가상 조종석(Virtual Cockpit)과 함께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3 세대 차량에서는 속도측정기 또는 회전속도계와 같은 아날로그적인 요소들이 대형 LCD 디스플레이로 대체되었 다. 차량에서는 이처럼 작은 부분에 적용되었던 이 솔루션은 인더스트리 4.0의 세계에서 더욱 크게 적용된 다. ‘’가상화’’는 물리적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추상화 시킬 수 있는 마법과 같은 존재이다. 이슈 아우디의 새로운 가상 조종석은 하나의 컴포넌트로 설계, 개발, 생산을 대체 할 수 있어, 그 과정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 게 되었다. 미래에는 조종석의 변경사항 을 소프트웨어상의 수정만으로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진보적 디지털 화 및 이에 따른 가상화를 비추어 보았 을 때, 10년 안에 차량이 직접 스스로 생 각하고 운전하며, 인간은 관찰자 역할을 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자동화 산업에서 실제 버튼, 다이얼, 아날로그 미터는 시스템의 전 곧 과거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 대신, 운영자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 여 시스템을 통해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 를 제어하게 되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시대가 올 것이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멀티 태스킹 콘택 스트에서 내장 카메라는 필드 기기 QR 태그를 스캔 하여 기기정보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SAP시스템에 서 직접 유지 보수 작업을 제공하는 스 캐너의 역할을한다. 실제 기업의 생산라 인에서 진행되고 있는 동작 파라미터의 글_ 아민 백(Armin Beck), 게이트웨이 프로덕트 매니저, Hilscher GmbH 형적인 구성요소였다. 인더스트리 4.0 의 진정한 목적에 맞춰, 새로운 장비 설 계 및 설치 시에도 가상화 트렌드를 따 르고 있다. 기계가 스스로 직접 의사 결 정 및 구동을 하게 되고, 인간의 역활은 사용자에서 관찰자로 변화하게 될 것이 다.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향후 사 용자가 이동 단말기에서도 다기능 HMI 를 통해 전송된 생산공정 내용을 모니터 링 할수 있게 되었다. 장치 바인딩 운영 시스템에 의존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 된 고정 장치와 같은 고전적인 장치는
  • 33. www.icnweb.kr _33 실시간 변화는 MES System를 통해 웹 페 이지에 표시되어, 서비스 기술자에게 균 일한 웹 기반 운영 개념을 제공하게 된 다. 진단 소프트웨어의 전체범위는 브라 우저상에서만 감소하게 된다. PLC 시각화가 되지 않은 곳, 힐셔가 업그레이드 인간 - 기계 상호 작용의 성공적인 변화 를 위해, 오늘날의 시스템은 무선 기술 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모바일 사용 범위를 추 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웹 시 각화의 역할이 아직은 부족하다. 오늘날의 PLC 통합 솔루션은 여전히 인 간 공학적인면에서 그 용도가 현저히 낮 게 간주되고 있다. 웹 기술은 PLC 제조 업체의 핵심 역량이 아니기 때문에, 사 용자가 HTML 언어의 페이지를 프로그 래밍 하기 위해서는 전문 웹 디자이너 수준의 공부가 필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힐셔의 netSCADA 시각화 모델은 기계 관련 시각화 PLC를 리프로핏 하는 것이 므로 별도의 PLC가 제공되지 않는다. HMI 웹서버 장치는 컨트롤러에 누락된 전문 시각화를 추가하고 직접 또는 네트 워크를 통해 일정한 접촉을 유지한다. 이는 PLC 데이터를 RTU 또는 TCP와 같 은 표준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통해 로드 된 웹 페이지에 관련 콘텍스트방식으로 전송한다. 특히 지멘스 제어시스템을 위한 특정 모 델에 대한 서버로의 연결을 PROFINET 또는 PROFIBUS를 통해 제공한다. 그러 나 모드 버스 접근 방법은 일반적이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각 시스템을 시각화 할 수 있다. 모드 버스는 35 년간 시장에 서 세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산업 프로토콜로 여겨진다. 지멘스, 알렌 브 래들리, ABB, 슈나이더 일렉트릭 및 요 코가와 등 모든 PLC는 각 함수 PLS는 함 수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모드 버스를 제 공한다. 개정된 자율 웹 서버 솔루션을 통해 이 미 설치된 시스템에 대한 시장에 대한 문제 해결 또한 가능하다. 기존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수준 높은 모드버스 지원 을 통해, 오래된 기계 및 전체 생산 시스 템을 손쉽게 개조할 수 있다. 이 솔루션 은 이미 시멘트 생산 플랜트, 천연 가스 발전소 및 분수제어 시스템 등에서 웹 시각화를 통한 성공적 발전 및 운영사례 를 보여주고 있다. 빠른 시스템 설계를 위한 템플릿 제어 이 서버의 경우, 힐셔는 오스트리아 CERTEC의 웹 시각화 솔루션을 사용하 여, 별도의 HTML 프로그래밍 전문 지식 이 필요없이도 간단한 마우스 조작으로 손쉽게 시각화 페이지를 설계할 수 있게 했다. 페이지로의 드래그만으로 제어 시 스템의 변수 및 심볼이 함께 링크되어 최소한의 노력으로 짧은 기간에 설계를 아우디 자동차의 가상 조송석, Virtual Cockpit 그림 1. 모던 모바일 HMI
  • 34. 34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보장한다. 사용자는 간단한 그림판 프로그램을 사 용하는 것처럼 단순히 빌더 도구를 통해 탐색하게 된다. 직접 오브젝트 및 수입 그래픽을 그릴 수 있으며, 역동화 기능 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회전 및 크기조 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심볼에 관하여 설정한다. 마우스 클릭, 키 입력, 타이머 등과 같은 이벤트는 추가 트리거를 제공 한다. 약 30분정도면 매력적인 디자인과 완벽한 인터페이스가 생성 되며, 모든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웹 가능 HDTV 에서 HTML 웹 표준을 기반으로 한 페이 지에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의 복잡성 시각화는 점점 더 복잡해지는 지능형 공 장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것은 공정의 단순한 시각화 이다. 특히 문제가 시스템 종료에 이어질 수도 있 어, 사용자는 신속하게 관련 조건을 인 식 할 수 있어야 한다. 힐셔 솔루션은 이 러한 상황 시 직접 문제화면을 디스플레 이상으로 전송하고 직접 이에 대한 작 업 지침 및 일람메시지를 지원한다. 템 플레잇을 사용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고유의 제어 및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는 특히 전 세계적 으로 생산공정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중 요한 균일한 운영 개념의 구현을 지원한 다. 동일한 모양, 색상 및 위치를 인식한 다. 이는 사용자 훈련 및 교육을 단순화 하여, 대체인력이 투입 될 경우에도 신 속한 업무인계가 가능하다. 유지보수 잡업을 감소시켜 시스템의 생 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전 관리 개 념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불 충분한 계획은 실제로 자산 관리실패 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처하 기 위해, 힐셔의 솔루션은 트렌드에 따 라 시간에 따른PLC 변수에 대한 그래픽 을 시각화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초기 단계에서 이상 상황을 감지할 수 있어 빠른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 다. 그림 2. netSCADA 디바이스 시리즈의 Web- HMI 서버 그림 3. 컨트롤 템플릿은 시스템 설계 노력을 줄여준다 Close to the machine 힐셔의 웹 시각화 솔루션은 모바일로 기 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최 적의 솔루션 이다. 고정 HMI 스테이션 의 제거로, 기계의 작동이 보다 유연하 게 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작업 및 오류 에 대한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할 수 있 다. 이는 생산시스템의 효율을 증가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큰 경쟁력이 된다. 모 바일 스테이션을 활용하여 작업자가 웹 에서 가상화를 통해 실제 생산 시스템에 가깝게 운영할 수 있으며, 이는 생산공 정의 최적화를 통한 성공적인 결과를 줄 것이다. 힐셔의 netSCADA제품은 최상 의 정보통신 관리를 구현 할 수 있는 있 는 솔루션이다.© 힐셔코리아 www.hilscher.com
  • 35. www.icnweb.co.kr _15 http://onlineshop.knx.org Open Fast Easy All prices: + VAT; + Service fee (15,– E / order) www.knx.orgNew licenses PC dependent Host-ID PC independent Dongle Restrictions ETS4 Professional 900,00 E 950,00 E ETS4 Supplementary 50,00 E 100,00 E For Notebooks, max. 2 licenses, only together with ETS4 Professional ETS4 Lite 100,00 E 150,00 E max. 20 products ETS Apps see KNX Online Shop see KNX Online Shop Upgrade licenses ETS3 Pro > ETS4 Pro 250,00 E 300,00 E ETS3 Supplementary > ETS4 Supplementary 50,00 E 100,00 E ETS3 Trainee > ETS4 Lite 50,00 E 100,00 E Educational licenses ETS4 Training Package 1.000,00 E 1.500,00 E 1 x ETS4 Professional, 10 x ETS4 Lite / 2 x Trainingshandbook ETS4 Professional ETS AppsNEW NEW
  • 36. 36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이슈 한국파워링크협회, 협회장에 김두일 박사 추대 하고 국내 활동 공식화 한국파워링크협회가 협회장에 김두일 박사를 추대하고 유럽의 산업용 네트워크 전문엔니지어를 영입하며, 본격적인 국내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협회장에 추대된 김두일 박사는 현재 SMART Power Co. Ltd.의 대표이사를 수행중이다. 지난 2014년 12월 19일부로 한국파워링크협회의 협회장에 추대되어 2015년부터 공식업무를 시작하게 된다. 김두일 신임 협회장은 연세대학교를 거 쳐 독일 아헨(Aachen)에서 에너지(석사) 및 기계공학(박사)을 전공했으며, 독일 원자력연구원(KFA), 한국원자력연구원, 지멘스원자력 한국대표, 지멘스코리아 경영고문, TUV SUD코리아 대표이사 등 을 역임했다. 김두일 신임 협회장(사진)은 “미래의 자 동화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는 높은 수준의 개방형 기술의 사용과 세이프티 기술을 접목하는 것이 매우 중 요합니다.”라고 밝히고, POWERLINK와 openSAFETY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모 두 만족시키는 현존하는 최강의 네트워 크 기술 중 하나입니다.”라고 말했다. 김두일 협회장은 공식적인 첫 이벤트 로 오는 3월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 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 최대규모 의 산업자동화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 드 2015(Automation World 2015)에 참 가한다. 전시회에서는 POWERLINK와 openSAFETY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제 품의 전시뿐만 아니라, 산업 사물인터넷 (Industrial IoT) 구현을 위한 두가지 개 방형 네트워크 기술의 다양한 장점을 국 내 자동화시장에 적극 소개할 예정이다. 유럽 네트워크 설계 엔지니어 초빙 2015년 1월부터 Lukas Emersberger씨 가 한국파워링크협회에 합류했다. 오 스트리아에서 개최된 “경영정보 및 통 신기술(Enterpri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네트워 크 관리자 공모전에서 1등의 수상경력을 자랑하는 그는 산업용 네트워크 관련 분 야 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하드웨어 디 자인 분야까지 전문적인 지식을 보유하 고 있다. 한국파워링크협회 관계자는 “에너지 및 자동화 산업분야는 물론 국제 인증 기관 에서 많은 경험을 가진 신임 협회장과 함께 산업용 네트워크 분야 전문가를 유 럽에서 초빙하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국내 파워링크 및 세이프티 기술 보급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라며, “동 시에 국제표준기술인 POWERLINK가 지 난해말에는 국내 국가표준인 KS표준으 로도 인증받아, 자동화 기기들을 효과적 으로 연결하고 센서/액츄에이터, 모션제 어, 비전, 로봇, 장비 세이프티와 같은 개 별기술을 효율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www.ethernet-POWERLINK.org
  • 37. www.icnweb.kr _37 한국파워링크협회, ‘오토메이션월드 2015’에서 산업 사물인터넷(IIoT) 기술 선보여 한국파워링크협회(회장 김두일)가 오는 3월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유일, 최대규 모의 산업자동화전시회인 ‘오토메이션월드 2015(Automation World 2015)’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를 위한 산 업 사물인터넷(Industrial IoT; IIoT) 구현 기술을 선보인다. 인더스트리 4.0과 산업 사물인터넷 (Industrial IoT) 구현 방안 제시 최근들어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 부상하 고 있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과 산업 사물인터넷(IIoT)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요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 다. 이에 한국파워링크협회는 국제 개방 형 표준기술이며, 국내 KS표준기술인 POWERLINK 기술은 물론 openSAFETY 기술을 통해 국내 스마트 팩토리 추진을 위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자동화 기기( 센서/액츄에이터, 모션제어, 비전, 로봇, 장비 세이프티)에서 선진 혁신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지원을 추 진하고 있다. Ethernet POWERLINK 기술은 완벽 한 특허 무료, 벤더 독립적 및 완전 한 하드 실시간 성능을 제공하는 소 프트웨어 기반의 통신 시스템으로 Ethernet POWERLINK Standardization Group(EPSG)이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지난 2008년 개방형 시스템으로 무료 오픈하였고, 2003년 POWERLINK 협회 설립 이후 11년이 지난 지금도 자 동화 시장 곳곳에서 끊임없이 굳건한 위 치를 고수하고 있다. 반도체장비를 위한 POWERLINK 솔 루션, 세이프티 및 이중화 기술 제공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국내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반 도체장비를 위한 완벽한 솔루션, 세 이프티와 이중화, 강력하고 개방적인 POWERLINK 시스템을 데모장비와 함께 선보여 참관객들이 자사의 상황에 맞게 기술도입을 고려할 수 있도록 기술상담 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파워링크협회 관계자는 “오토메 이션월드 2015 전시회에서 국내 반 도체업체의 최신 요구사항에 대해, POWERLINK기술이 탑재된 최적의 솔 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또 한 “유럽에서 부상하고 있는 인더스트리 4.0과 산업 사물인터넷(IIoT) 구현을 위 해 필수적인 하드 실시간 성능과 Safety 성능을 제공하는 혁신 기술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오토메이션월드 2015 전시회에서 한국파워링크협회 부스(부스번호. B124)를 찾아 오면, POWERLINK 및 openSAFETY 기술 관련 데모 시연, 세부 기술 소개, 협회 회원 가입 및 기술상담 도 가능하다.© www.ethernet-POWERLINK.org
  • 38. 38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시스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분석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5년내 10배 늘어나" 시스코 코리아(www.cisco.com/kr)는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킹 인 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 망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 및 한국의 모 바일 데이터 트래픽 규모와 ▲모바일 환 경 확산에 따른 셀룰러 트래픽 추이 ▲ 3G, 4G 연결율 추이 ▲웨어러블 기기 및 M2M 트래픽 증가 ▲모바일 클라우드 및 동영상 확산 등에 대한 중요 트렌드를 발표했다.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2019 년 10배 가량 증가할 것 시스코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오는 이슈 2019년 한국은 지난해 1.4엑사바이트에 달했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6배 가 량 증가해 8엑사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경 우, 2014년 30엑사바이트 대비 10배 가 까이 증가해 2019년에는 292엑사바이트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1엑사바이트 는 100경 바이트에 달하는 속도 및 용량 단위이다. 시스코는 급격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의 증가 요인으로 ▲모바일 유저 수의 증가 ▲모바일 접속 빈도 및 디바이스의 증가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증가 ▲모 바일 환경에서의 비디오 영상 사용 증가 를 배경을 꼽았다. 한국, 모바일 사용 확산에 따라 2019 년 셀룰러 트래픽 아태지역 최고치 전망 모바일 사용인구 확산에 따라, 한국의 모바일 사용자 한 명이 매월 사용하는 셀룰러 트래픽은 2014년 2,505 메가바이 트에서 2019년 13,055 메가바이트에 달 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일본, 중국, 호 주 등을 포함한 전체 아태지역 국가 대 비 최고의 트래픽양이다. 한편 한국 모바일 사용자는 2014년 4,380만명으로 이를 해석하면 전체 인구 중 88% 가량이 모바일을 사용했다는 의 미이다. 2019년에는 4,570만명의 모바 일 사용자가 예측되며 이는 전체 인구의 90%에 달하는 수치이다. 한국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가, 전세 계 평균 대비 높은 3G, 4G 연결율 보여 한국을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가(일 본, 호주, 뉴질랜드)에서의 3G, 4G 연결 이 전세계 평균 대비 월등히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전세계 국가들의 평균 수치를 보면, 2014년 3G는 32%, 4G는 6% 에 불과했 으며 2019년에는 3G는 44%, 4G는 26% 까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을 포함한 일부 아태지역 국 가(일본,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2014년 3G는 54%, 4G는 43%의 연결율을 보였 으며, 2019년에는 3G가 31%, 4G가 45% 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트렌드를 분석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글로벌 모바일 유저는 2014년 43억명에서 오는 2019년에는 52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다. 특히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모바일 트래픽 사용 자가 2019년에는 28억명을 넘어설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는 총 110억개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되어 1인당 평균 1.5개의 모바일 기기 사용이 기대된다.
  • 39. www.icnweb.kr _39 한국, M2M 트래픽 및 웨어러블 기기 증가 추세 한편 만물인터넷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주요 동인인 M2M과 웨어러블 기기의 트 래픽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M2M 이란 무선 시스템이 GPS 네비게이션, 자 산 추적, 수도/가스/전기 계량, 보안/감 시 비디오와 같은 기능을 가진 동일한 유형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해 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웨어러블 기기 도 M2M 연결 영역에 포함된다. 한국의 웨어러블 기기 수는 2014년 530 만개에서 2019년 2,450만개로 늘어날 전 망인 가운데 웨어러블 기기가 생성하는 트래픽은 2014년 월 396 메가바이트에 서 2019년 월 954 메가바이트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세계 웨어러블 기기 수는 2014년 1억 900만개에서 2019년 5억 7,800만 개 로 약 5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모바일 클라우드 및 동영상 확 산될 것 또한, 한국의 모바일 클라우드 트래픽은 2014년 월 94.3 페타바이트에서 2019년 월 604.4 페타바이트로 약 6.4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 션이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차 지하는 비중은 2014년 83%에서 2019년 에는 9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계 모바일 클라우드 트래픽은 2014 년 월 2엑사바이트에서 2019년 월 21.8 엑사바이트로 약 11배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이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 중은 2014년 81%에서 2019년 90%로 증 가할 전망이다. 한편 한국은 모바일 동영상 사용 비중도 이미 상당했다. 한국은 2014년 전체 모 바일 데이터 트래픽 중 모바일 동영상이 59%에 달했으며, 2019년에는 75%를 차 지해 전세계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 냈다. 전세계의 경우, 전체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중 모바일 동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55%에서 2019년 72%로 늘어날 전망이다. 시스코의 제품 및 솔루션 마케팅을 총 괄하는 더그 웹스터(Doug Webster) 부 사장은 “보다 기능이 강력해지는 모바 일 기기의 확산과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M2M 애플리케이션이 도처에서 활용되 고 보다 빠른 무선 네트워크 접속이 늘 면서 모바일 트래픽이 큰 폭으로 성장하 고 있다”며 “이 같은 모바일 중심의 환경 은 통신사업자들이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시대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일반 소비자들은 물론 기업 고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모바 일 서비스와 함께 경험을 제공할 수 있 도록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 고 밝혔다. 올해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 트워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의 전세계 수 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전세계 모바일 트래픽, 유선 트래픽 보다 보다 3배 높은 증가율 왜? 2014부터 2019년 사이 전세계 모바일 데 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전세계 유선 데이 터 트래픽 증가율보다 3배 더 많을 것으 로 전망된다.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 래픽 증가를 주도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 과 같다. ●모바일 사용자 증가: 모바일 사용자는 2014년 43억명에서 2019년 52억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를 분석하면, 2014년 전세계 인구(72억 명) 가운데 59% 가량이 모바일을 사용했 고, 2019년에는 전세계 인구(76억명) 가 운데 69% 이상이 모바일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림 1. 한국의 모바일 사용자 한 명이 매월 사용하는 셀룰러 트래픽은 아태지역 국가 중 최고 수치를 보였다. (2014년 2,505 메가바이트에서 2019년 13,055 메가바이트에 달할 것으로 전망)
  • 40. 40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모바일 접속 증가: 전세계 모바일 접속 기기 및 M2M 접속 횟수는 2014년 74억에서 2019년 약 115 억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중 개인 모 바일 기기를 이용한 접속 횟수는 83억, M2M 접속 횟수는 32억에 이를 예상이 다.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증가: 전세계 모바일 네트워크의 평균 속도는 2014년 1.7 메가비트에서 2019년 4.0 메 가비트로 2.4배 가량 빨라질 것으로 보 인다. 전세계 모바일 M2M 접속과 웨어러 블 기기 확산도 ‘한몫’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웨어러블 기 기에서 생성되는 모바일 트래픽은 18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트 래픽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에서 발생할 전망이다. 2014년 기본 휴대 단말기는 월 22메가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 성한 반면 일반 웨어러블 기기는 이보다 6배 더 많은 월 141메가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성했다. ●고급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고프로(GoPro) 비디오 카 메라의 라이브스트리밍으로 분당 약 5메 가바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 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2014년 일반 M2M 모듈은 기본 휴대 단말기보다 3배 더 많은 월 70메가 바이트의 모바일 트래픽을 생성했다. 전세계적으로 4G 도입확산 현재 많은 전세계 통신사업자들이 고객 요구의 맞춰 4G 기술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신흥 시장에서는 시작부터 4G 솔 루션으로 새로운 모바일 인프라를 개발 하는 동시에, 일부 성숙한 시장에서는 기존의 2G나 3G 솔루션을 4G 기술로 보 완하거나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세계 4G 접속은 2014년 4억 5,900 만에서 2019년 30억으로 약 1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3G는 2G를 제치고 전세계 최 고의 통신망 기술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 다. ●2014년 4G 네트워크가 전체 모바 일 데이터 트래픽의 40%를 처리했다면 2019년에는 그 비중이 68%로 증가할 전 망이다. ●2014년 4G 네트워크는 월 2.2 기가바 이트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생성했 지만 2019년에는 이 수치가 월 5.6 기가 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4G가 아닌 다른 접속을 통해 생성되는 1.0 GB보다 5.4배 더 높은 수치이다. 셀룰러 트래픽 능가하는 전세계 ‘와 이파이 오프로드 트래픽’ ‘오프로드(Offload)’란 듀얼 모드 기기에 서 생성되는 트래픽으로 와이파이 및 스 몰셀 네트워크를 통해 노트북을 제외한 셀룰러 및 와이파이 접속을 지원하는 것 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나 기기가 셀룰 러 접속에서 와이파이와 스몰셀 액세스 로 전환하는 경우 오프로드가 발생한다. 이번 조사는 공공 장소의 핫스팟 및 일 반 가정의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생성 되는 트래픽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014년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46%가 오프로드 되었고, 2019년 이 수치 는 54%로 증가할 전망이다. ●오프로드가 없다면, 2014년에서 2019 년 사이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연평균성장률은 57%에서 65%로 증가할 것이다 전세계 음성 와이파이(VoWi-Fi), 음 성 LTE 능가 예상 초기 VoWi-Fi 솔루션의 경우 솔루션 도 입과 사용자 경험에 있어 일부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와이파이만 지원하는 태블릿 등 SIM 기반이 아닌 기 기에 서비스되는 통신사업자급의 VoWi- Fi가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VoWi-Fi 는 향후 5년간 급성장을 기대할 만한 잠 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8년 VoWi-Fi는 연 사용 분 수 (number of minutes used)에서 VoLTE 를 앞설 것으로 보인다. ●2019년 VoWi-Fi 사용 분 수는 전체 모 바일 IP 음성 트래픽의 절반이 넘는 53% 를 차지할 전망이다. ●2017년 VoWi-Fi는 연 사용 페타바이 트를 기준으로 음성 LTE(VoLTE)를 앞서 면서 대중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와이파이로 연결된 태블릿과 PC의 수는 셀룰러로 연결된 수에 비해 3.5배 가량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 지역별 모바일 데이터 추이 2019년까지 가장 많은 모바일 데이터 트 래픽을 생성해 내는 곳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일 것이란 전망이다. 지역별 전망치 는 다음과 같다. 1.아시아태평양 지역: 월 9.5 엑사바이트 2.북미 지역: 월 3.8 엑사바이트 3.서유럽 지역: 월 2.4 엑사바이트 4.중유럽 및 동유럽 지역: 월 3.5 엑사바 이트 5.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월 3.0 엑사바 이트 6.라틴 아메리카 지역: 월 2.0 엑사바이 트 2014년부터 2019년 사이 모바일 데이터
  • 41. www.icnweb.kr _41 트래픽은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1.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의 모바일 데이 터 트래픽 증가율은 연평균성장률 72% 를 기록해 2014년 대비 15.3배 증가할 전망이다. 2. 중부유럽 및 동유럽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연평균성장률 71%로 14.4배 증가가 예상된다.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가율은 2014년 대비 9.7배 증 가해 연평균성장률 58%를 보일 것이다. 4. 라틴 아메리카 지역은 연평균성장률 59%로 10.1배 증가가 전망된다. 5. 북미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증 가율은 연평균성장률 47%로 6.8배 증가 할 것으로 보인다. 6. 서유럽 지역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은 2014년 대비 7.1배 증가해 연평균성 장률 48%을 기록할 예상이다. 한편, ‘2014-2019 시스코 비주얼 네트워 킹 인덱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는 전세계 통신사업자, 정부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전세계 모바일 데 이터 트래픽 전망을 파악하고, 이를 참 고하여 향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보고서에는 시스코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모바일 애 플리케이션 도입율, 분 단위 사용량 및 전송 속도 수치 등과 제3의 애널리스트 전망 보고서와 실제 모바일 데이터 사용 량 등이 반영됐다.© 시스코 www.cisco.com www.icnweb.kr _41
  • 42. 42_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2015 인더스트리 POWERLINK를 탑재한 다목적 가공 Handling systems 다목적 카멜레온 핸들링 시스템은 공작물, 광범위한 분야의 기계를 위한 전극과 밀링툴의 안정적인 공급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