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전액 환불부터 서버 폭발까지 온갖 수난을 겪었지만
소위 말하는 약 빤 홍보를 통해 어떻게든 살아남았습니다.
여러분들께 그간 겪은 시행착오 그리고 소득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로그(LOG) - 항해의 시작 서비스 421일차
01
02
03
04
예산이 한정된 인디게임 홍보에서는 무의미합니다.
퍼포먼스 마케팅도 클릭 기반이라 효율 상승
로그(LOG) - 항해의 시작이 걸어온 길
2016.05 구글 플레이 1차 소프트 런칭 / 게임 내 문제점 점검 후 전액 환불
2017.01 분산 서버 구조 개편
2016.02 최초 기획 / 프로토 타입 개발 시작
2016.07 구글 재 런칭
2016.11 내부 시스템 개편 / Google 금주의 추천게임 및 Play 추천게임 선정
2017.06 iOS 런칭 후 국내 인기 무료 게임 1위 달성, 유저 폭증으로 인한 서버 다운
2017.07 One Store 이달의 인디게임 대상작 선정
2017.08 한국콘텐츠진흥원 모바일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지원대상 선정
2017.08 부산인디커넥트 페스티발(BIC Festival) 전시작 선정
2017.04 도쿄증권거래소 1부 상장사와 일본 퍼블리싱 계약 체결
[IGC 2017] 에피드게임즈 한정현 - 인디게임은 어떻게 홍보해야될까 - 로그 항해의 시작
[IGC 2017] 에피드게임즈 한정현 - 인디게임은 어떻게 홍보해야될까 - 로그 항해의 시작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강 민우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강 민우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강 민우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강 민우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강 민우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강 민우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강 민우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강 민우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강 민우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강 민우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강 민우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강 민우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강 민우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강 민우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강 민우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강 민우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강 민우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강 민우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강 민우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강 민우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강 민우
 

More from 강 민우 (20)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IGC2018] 엔씨소프트 이경종 - 심층강화학습을 활용한 프로게이머 수준의 AI 만들기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IGC2018] 청강대 이득우 - 언리얼에디터확장을위해알아야할것들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IGC2018] SUB 윤민 - 나만의 사운드—제작하고 연출하기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이락디지털문화연구소 남기덕 - 게임 디자인의 시작, 테마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IGC2018] 왓스튜디오 방영훈 - 놀면서공부하기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IGC2018] 넷마블 이상철 - 모바일 게임 보안 AR(Android Republic) 변조앱 내부를 파헤치다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IGC2018] TeamHoray 문지환 - 던그리드, 이랬으면 더 좋았을 텐데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IGC2018] 에픽게임즈 신광섭 - 언리얼엔진4 포트나이트 멀티플랫폼 개발 지원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IGC2018] 잔디소프트 윤세민 - HTML5 게임 어디까지 가능한가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IGC2018] 해피툭 김봉균 - 대만 게임 시장 진출시 유의해야 할 점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IGC2018] 캡콤 토쿠다 유야 - 몬스터헌터 월드의 게임 컨셉과 레벨 디자인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IGC2018] 산타모니카스튜디오 에이브 타라키 - 게임의 컨셉 디자인과 세계를 만드는 법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IGC2018] 펄어비스 강건우 - 펄어비스에서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IGC2018] 스튜디오EIM 정사인 - 좋은 소리는 무엇인가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IGC2018] 유유자적라이프 김윤정 - SunShine 베를린을 밝게 비추다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IGC2018] 자라나는 씨앗 김효택 - MazM 시리즈로 바라본 스토리 게임의 가능성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인플루전 곽노진 - 인디게임이 망할 수 밖에 없는 현실과 이유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IGC2018] 라운드8 박성준 - 블레스 언리쉬드 우리는 왜 모든것을 재설계했나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IGC2018] 아이봉 정봉재 - 아직 아이 망하니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IGC2018] 퍼니파우 최재영 - 감성을 위한 개발요소
 

[IGC 2017] 에피드게임즈 한정현 - 인디게임은 어떻게 홍보해야될까 - 로그 항해의 시작

  • 1.
  • 2. 전액 환불부터 서버 폭발까지 온갖 수난을 겪었지만 소위 말하는 약 빤 홍보를 통해 어떻게든 살아남았습니다. 여러분들께 그간 겪은 시행착오 그리고 소득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로그(LOG) - 항해의 시작 서비스 421일차
  • 4.
  • 5.
  • 6.
  • 7.
  • 8.
  • 9.
  • 10.
  • 11. 예산이 한정된 인디게임 홍보에서는 무의미합니다.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퍼포먼스 마케팅도 클릭 기반이라 효율 상승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로그(LOG) - 항해의 시작이 걸어온 길 2016.05 구글 플레이 1차 소프트 런칭 / 게임 내 문제점 점검 후 전액 환불 2017.01 분산 서버 구조 개편 2016.02 최초 기획 / 프로토 타입 개발 시작 2016.07 구글 재 런칭 2016.11 내부 시스템 개편 / Google 금주의 추천게임 및 Play 추천게임 선정 2017.06 iOS 런칭 후 국내 인기 무료 게임 1위 달성, 유저 폭증으로 인한 서버 다운 2017.07 One Store 이달의 인디게임 대상작 선정 2017.08 한국콘텐츠진흥원 모바일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지원대상 선정 2017.08 부산인디커넥트 페스티발(BIC Festival) 전시작 선정 2017.04 도쿄증권거래소 1부 상장사와 일본 퍼블리싱 계약 체결

Editor's Notes

  1. 그럼 뭐 어쩌라고? 인디게임을 알리는데 가장 기본은 발품이예요 발품! 요즘 세상에는 공짜로도 할 수 있는 것들이 참 많습니다. 이메일 읽씹 당하는 거 정도는 다반사인데 그냥 버텨야 해요.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돈이 부족하면 열심히 홍보자료라도 직접 뿌리면서 노오력이라도 해야죠!!! 까여봐야 기분만 상하는거지 금전적인 손해를 보는 건 아니잖아요? 교통비나 전화비조차 아깝다고 하시는 분들은 진짜 창업하시면 안 됩니다. (짤방: 노오오오력이 부족하다)
  2. 세상에 공짜는 없다? 아뇨 여기 인벤조차도 맨날 덧글에 이거 기사 돈 받고 쓰냐고 까이는데 현실은 저희같은 인디업체 기사도 재작년부터 현재까지 메인 1면에 10번 가까이 띄워줬습니다. 무슨 니니지도 아니고 저희같은 영세업체가 무슨 돈이 있다고 그럴까요. 이게 다 선입견이라는 겁니다 일단 부딫쳐 보세요. 실패에 부채라도 따라오면 모를까, 인생에서 무언가를 하고 후회하는 것과 해보지도 않고 뒤늦게 후회하는 건 정말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짤방: 사전예약, 인벤 기사, 쿠폰, SNS 등)
  3. 그러면 이렇게 발품을 뛰어서 효과가 좋을까요? 아뇨 발품도 현명하게 뛰어야 효과가 좋습니다. 노오오오오력은 기본 중의 기본이고 덤으로 현명하게 그 노력을 써야되요. 그런데 현명하려면?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차별화가 되어야 됩니다. 소위 저 놈은 진짜 미쳤다라는 말이 오히려 칭찬이라는 뜻이죠. 이런 노력이 쌓여서 뜻하지 않은 행운이 찾아오고 거기서 대박이 터지는 겁니다. (짤방: Work Intelligent)
  4. 그러면 어떻게 차별화를 해야될까? 유료 광고던 무료 광고던 결국은 아이디어, 즉 소재싸움입니다. 영상이 됐던 텍스트가 됐던 이미지가 됐던 일단 대중들 눈에 들어와야 된다는거죠. 페인트 히어로즈는 요런 식으로 광고를 했는데 별로 효과가 없었어요오 (짤방: 양산형 광고 그 자체)
  5. 발품 실제 사례 설명 -> 런칭 전 무료 사전예약 활용, 그리고 구글 피처드도 운 좋게 1달 동안 받았다. 이 무료 웹툰은 선데이토즈 내부 인트라넷에서도 돌아다니는 명물 짤방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6월에 올라간 웹툰은 작가님 조회수는 5만 이내인데 바이럴로 엄청나게 퍼져서 검색으로 찾은 누적 조회수만 40만이 넘어갑니다.
  6. ★ 이미지 순서는 롤갤 광고 -> 파없찐&파있찐 -> 트잉여 순으로 보여줍시다 ☆ 클릭율 신기록 갱신 이야기는 그냥 구두로 설명하겠습니다 유료 광고 소재 -> 중요한 건 떡밥과 타이밍입니다 이거 봐요 단순히 광고소재만 바꿨는데 클릭율이 며칠만에 이만큼 벌어지잖아요 참고로 이 광고는 디시인사이드 18년 역사상 최고 클릭율을 갱신했습니다.
  7. ★ 이미지 순서는 롤갤 광고 -> 파없찐&파있찐 -> 트잉여 순으로 보여줍시다 ☆ 클릭율 신기록 갱신 이야기는 그냥 구두로 설명하겠습니다 유료 광고 소재 -> 중요한 건 떡밥과 타이밍입니다 이거 봐요 단순히 광고소재만 바꿨는데 클릭율이 며칠만에 이만큼 벌어지잖아요 참고로 이 광고는 디시인사이드 18년 역사상 최고 클릭율을 갱신했습니다.
  8. 사실 이런 광고들이 따로 놀면 효과가 적어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데이터로 추적이 힘든 바이럴이 저평가되는 추세이기도 하지만 이게 시너지가 되면 요런 효과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죠? 이런 노오오력으로 기적같이 행운이 찾아와도 최종관문이 남아있습니다. (짤방: DAU 폭발 -> 대박 -> 또속냐?)
  9. 사실 이런 광고들이 따로 놀면 효과가 적어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데이터로 추적이 힘든 바이럴이 저평가되는 추세이기도 하지만 이게 시너지가 되면 요런 효과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죠? 이런 노오오력으로 기적같이 행운이 찾아와도 최종관문이 남아있습니다. (짤방: DAU 폭발 -> 대박 -> 또속냐?)
  10. 다른 지표는 몰라도 제가 DAU하고 리텐션을 강조했는데 그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무언가 계기가 되어서 유저가 물밀듯이 쏟아지면 그걸 발전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유지시키거나 경착륙 시킬 수 있어야 되는데 저희는 여기서 서버가 터졌습니다. 마키아벨리가 말했죠 행운은 준비된 자에게나 축복이라고요. (희키 서버폭파 짤방 활용)
  11. 변명이라면 구글 피처드 당시에도 DAU 1만이 넘어가진 않았는데 설마 그 이상 터지겠어? 였는데 그것이 실제 일어났습니다. 런칭 1주년을 불과 20일 놔두고 다들 정신줄이 날아갔죠. 3일 철야로 어떻게든 수습은 했는데 그 유저풀이 돌아오진 않았습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