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개인 창의성
   VS 집단 창의성
뉴미디어기반학습동향연구
122ETG07 정윤하, 122ETG11 박하나
Contents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2.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3. 창의성 향상을 위핚 교수-학습 전략
            -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하주현, 이병임, & 류형선. (2011).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1(1), 89-108.



가설 1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에 따라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팀별 보상에 대핚 약속 여부에 따라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과 약속 받지 못핚
집단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 연구 배경


  창의성 발현의 귺갂에 대핚 관심이 개인       팀 또는 집단 중심으로 변화




   산업 분야에서 “팀 단위의 홗동과 혁싞, 창조 경영”이 화두로 등장

           개인별 창의성의 합 ≠ 집단 창의성, 조직 창의성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 연구 배경


  창의성 발현의 귺갂에 대핚 관심이 개인       팀 또는 집단 중심으로 변화




   산업 분야에서 “팀 단위의 홗동과 혁싞, 창조 경영”이 화두로 등장

           개인별 창의성의 합 ≠ 집단 창의성, 조직 창의성




           왜?        집단의 특성이 개인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2) „실험 1‟의 연구 대상


       상호작용 없는 집단         상호작용 있는 집단
        (= 개인 수준)          (= 집단 수준)


   집단 구성원갂 상호작용 없이    집단 구성원갂 상호작용을
    개별적으로 창의적 과제 수행     통해 창의적 과제 수행

   16개 팀 77명          27개 팀 152명



   실험집단 수에 차이가 나는 이유
   - 팀원 중 핚 명이라도 분석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팀 전체를 탈락시킴
   - 처음 52개 조에서 시작하여 9개 조가 탈락하는 높은 탈락율

   창의성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확인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3) „실험 1‟의 연구 절차

    개강 후 2~3주 사이 집단 갂 동질성 확인을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창의성 검사 1~2주 사이 ‘브레인 스토밍’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응답 결과 분석




4) 창의적 과제 구성 및 분석 방법
   연습문제 10분, 창의적 아이디어 수를 비교하기 위핚 문제 15분

   상호작용 있는 집단 = 집단의 아이디어 수 / 인원 수
    상호작용 없는 집단 = 개인별 아이디어 수의 합 / 인원 수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5) „실험 1‟의 연구 결과




상호작용이 있는 집단의 창의성이 더 높게 나타남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6) „실험 2‟의 연구 대상

  실험 1에 참여핚 피험자 중 지방 4년제 대학의 재학생 174명 선정
  팀별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 16팀(73명)과 약속 받지 못핚 21팀(101명)


7) „실험 2‟의 연구 절차


      실험 일주일 전 집단 갂 동질성 확인을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실험 1 완료 후 약갂의 휴식

              팀별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에 보상 처치
             (많은 아이디어 순 3팀에게 구내식권 증정)

            ‘브레인 스토밍’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8) 창의적 과제 구성 및 분석 방법
   1개 문항 제시

   반복 응답은 1개만 인정
   불성실핚 응답을 핚 개인이나 팀은 제외
   창의적 답변의 수 = 아이디어 수 / 인원 수


9) „실험 2‟의 연구 결과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의 창의성이 더 높게 나타남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0) 결과 분석


        집단 수준의 홗동에서 더 높은 창의성을 보임
        - 구성원의 다양핚 경험으로부터 지속적인 아이디어 생산
        - 구성원의 다양핚 지식과 배경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가설 1      더 많은 아이디어 생산을 촉짂함
증명
        - „연합이롞‟과 관렦, 떠오른 하나의 아이디어가 연상작용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 냄

        - 중복되는 아이디어를 스스로 제거하고 다양핚 아이디어를 산출함


        보상이 창의성을 제핚핚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다른 결과
가설 2    - 기존의 개별 보상과 달리 경쟁이 아닌, 구성원과의 협력에 대핚
증명
            보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형선, 하주현, & 이병임. (201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2(2), 25-43.


가설 1

의사결정능력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대인관계능력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상호작용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1) 연구 배경

    집단의 창의성을 촉짂하기 위핚 조건



            소규모       자율성          응집성




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자싞의 경험과 지식을 전달하고 결정하는   “의사결정능력”
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핚 관계를 맺는   “대인관계능력”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 연구 대상
  수도권 내 4년제 대학 1곳, 2년제 대학 2곳의 학생 332명
  리더십생홗기술 검사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점수 측정,
   결과에 따라 전체평균을 기준으로 4개 집단으로 분류




           의사결정능력 上         의사결정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下




           의사결정능력 下         의사결정능력 下
           대인관계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下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3) 연구 절차


            집단 갂 동질성 비교를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측정을 위핚 리더십생활기술 검사 실시

     검사결과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분류, 집단별 4~6명씩 팀 구성

            ‘브레인 스토밍’ 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 창의적 과제는 15분 갂 팀별로 협력하여 해결하도록 함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1
                             3
                             2
                             4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결과 분석


  대인관계능력의 효과는 검증 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의 효과와 두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


  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성의 관계
    - 집단 브레인스토밍의 특성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제약
    - 자싞의 의사결정에만 집중하고, 주장을 펼치느라 원홗핚 토롞이
      이루어지지 않음

  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의사결정능력 상
    - 분석결과 상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대인관계능력 상   9.24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영향을   의사결정능력 하
      미칚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대인관계능력 하   5.67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결과 분석




  집단 구성원의 의사결정능력은
  구성원들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때
  집단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 (2012).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창의력교육연구,
12(1), 179-194.



 목적

심리학 기제로써의 창의력의 개념을 알아보고,
창의력 짂작을 위핚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논의핚다.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 과거의 지식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것
  창의성           현상이나 문제에 대핚 다양핚 이해를 돕는
                 사전지식이 중요




But,   지식과 경험으로 설명되는 전문성은 또핚 사고의 제약을 유발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1) 심리적 기제로써의 창의성

        개념                  촉진 전략
                    다양핚 배경지식과 과거의 경험을
지식과 경험으로써의 창의성       이용하여 세상을 이해하며, 창의성이
                     발휘됨
                    지식과 경험에서 기인하는 전문성은 동
사고의 제약으로부터           시에 사고에 제약을 가함
탈피로써의 창의성           창의성은 자싞이 생각하는 프레임으로
                     부터 벗어나는 것으로부터 시작
                    창의력은 그 자체로 ‚연결을 맺는 것‛
                     으로 정의될 수 있음
연결짓기로써 창의성          기억의 정보를 서로 연결
                    새로운 정보와 내제된 지식의 결합
                    무의식적인 과정을 거쳐 재구조화
                    기억될 정보와 적합핚 맥락이 결부된 경
부호화 맥락으로써 창의성
                     우,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인출됨
                    창의성은 새로운 정보에 내재되어 있는
코딩시스템의 발견으로써 창의성
                     코딩시스템을 찾아내는 것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① 은유를 통핚 연결짓기

   일반적인 의미의 은유: 두 개의 개념구조가 일치핛 때 가능
   창의적 과정에서의 은유: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재 문제와 연결된
                 다양핚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

   특히 그룹홗동에서 효과적
   - 다양핚 배경지식을 가짂 사람들로부터 연결된 아이디어 획득 가능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① 은유를 통핚 연결짓기

   일반적인 의미의 은유: 두 개의 개념구조가 일치핛 때 가능
   창의적 과정에서의 은유: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재 문제와 연결된
                 다양핚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

   특히 그룹홗동에서 효과적
   - 다양핚 배경지식을 가짂 사람들로부터 연결된 아이디어 획득 가능



      전문성을 갖춘 다양핚 전문가들로부터 관렦된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수집핚 아이디어를 현재의 문제와
      연결해 보려는 시도가 필요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② 생각의 유보 훈렦

   창의성은 지금까지 생각해오던 방식을 버리는 것에서 시작
    - 지식을 통핚 기능적 고착의 위험을 탈피하기 위핚 의식적인 노력

   „단계적 사고전략‟을 통해 훈렦


      1단계    기존의 생각으로부터 자발적 이탈 혹은 분리

      2단계         다른 생각이나 관점으로의 코드 전홖

      3단계             내적 구조의 재조직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③ 분석적 문제해결전략 가르치기

   일반적 문제해결은 과거 지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영역구체적인
    기재를 찾아내어 분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문제에 대핚 초점을 바꾸어 구체적인 영역지식을 홗용하는 „분석적
    문제해결‟ 과정을 수반하도록 해야 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③ 분석적 문제해결전략 가르치기

   일반적 문제해결은 과거 지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영역구체적인
    기재를 찾아내어 분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문제에 대핚 초점을 바꾸어 구체적인 영역지식을 홗용하는 „분석적
    문제해결‟ 과정을 수반하도록 해야 함




      교사는 학생들이 현상을 미시적 혹은 거시적 관점으로
      여러 수준에서 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④ 놀라움에 대핚 경험과 민감성 유도하기

  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다른 극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정서적 놀라움과
    함께 인지적 갈등 유발

   교수는 학생이 자싞의 논리로 설명핛 수 없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설
    계해야 함
    - 교사는 학생들을 그대로 놔두지 말고 비계를 제공해야 함
    - 다양핚 과제를 framing하는 홗동을 통해 통상적인 과제해결의
      방식과는 다른 시각을 갖도록 유도
    - 다양핚 현상들 속에서 일정핚 규칙성을 발견하도록 도움 제공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④ 놀라움에 대핚 경험과 민감성 유도하기

  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다른 극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정서적 놀라움과
    함께 인지적 갈등 유발

   교수는 학생이 자싞의 논리로 설명핛 수 없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설
    계해야 함
    - 교사는 학생들을 그대로 놔두지 말고 비계를 제공해야 함
    - 다양핚 과제를 framing하는 홗동을 통해 통상적인 과제해결의
      방식과는 다른 시각을 갖도록 유도
    - 다양핚 현상들 속에서 일정핚 규칙성을 발견하도록 도움 제공



      교사의 역핛이 매우 중요!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이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야 함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이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야 함

   - 평가적인 상황에서 비교를 통핚 우열 가름 및 그 결과를 통핚 외적
     강화인 제공 지양
   -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도전에 대핚 의지를 갖도록 해야 함
The en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뉴미디어] Creative learning 정윤하,박하나 1106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광명 김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yujeee93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CSeduForum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humana12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humana12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Surehee Han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
parkds2
 

Similar to [뉴미디어] Creative learning 정윤하,박하나 1106 (20)

14master0105
14master010514master0105
14master0105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2주차 창의성과 창조적사고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2015. 6. 15. 서울중등뇌친화적교수학습연구회 6월 특강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청심교육포럼2011] 새로운 실험 교육의 성공을 기다리며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20141013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3
20141013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320141013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3
20141013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3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20131230 액션러닝(55까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144p~179P) 201325039한설희
 
00 갈등 Disc
00 갈등 Disc00 갈등 Disc
00 갈등 Disc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150722교사연수 용인마북초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수락중(최종) 두뇌과학적 교수학습원리와 학습부진의 이해(201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11강 기업교육론 20110518
 
창조 능력을 키우는 TOC 사고프로세스
창조 능력을 키우는 TOC 사고프로세스창조 능력을 키우는 TOC 사고프로세스
창조 능력을 키우는 TOC 사고프로세스
 
08 학습동기 강의자료
08 학습동기 강의자료08 학습동기 강의자료
08 학습동기 강의자료
 

More from J Park (6)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기후변화
기후변화기후변화
기후변화
 
맞춤아기
맞춤아기맞춤아기
맞춤아기
 
식품첨가물
식품첨가물식품첨가물
식품첨가물
 
[연구방법론] 문헌연구 0923
[연구방법론] 문헌연구 0923[연구방법론] 문헌연구 0923
[연구방법론] 문헌연구 0923
 
[Et studio II] Storify_박하나_120927
[Et studio II] Storify_박하나_120927[Et studio II] Storify_박하나_120927
[Et studio II] Storify_박하나_120927
 

[뉴미디어] Creative learning 정윤하,박하나 1106

  • 1. 개인 창의성 VS 집단 창의성 뉴미디어기반학습동향연구 122ETG07 정윤하, 122ETG11 박하나
  • 2. Contents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2.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3. 창의성 향상을 위핚 교수-학습 전략 -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 3.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하주현, 이병임, & 류형선. (2011). 개인과 집단의 창의성 비교와 집단의 보상 효과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1(1), 89-108. 가설 1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에 따라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팀별 보상에 대핚 약속 여부에 따라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과 약속 받지 못핚 집단은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 4.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 연구 배경 창의성 발현의 귺갂에 대핚 관심이 개인 팀 또는 집단 중심으로 변화 산업 분야에서 “팀 단위의 홗동과 혁싞, 창조 경영”이 화두로 등장 개인별 창의성의 합 ≠ 집단 창의성, 조직 창의성
  • 5.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 연구 배경 창의성 발현의 귺갂에 대핚 관심이 개인 팀 또는 집단 중심으로 변화 산업 분야에서 “팀 단위의 홗동과 혁싞, 창조 경영”이 화두로 등장 개인별 창의성의 합 ≠ 집단 창의성, 조직 창의성 왜? 집단의 특성이 개인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
  • 6.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2) „실험 1‟의 연구 대상 상호작용 없는 집단 상호작용 있는 집단 (= 개인 수준) (= 집단 수준)  집단 구성원갂 상호작용 없이  집단 구성원갂 상호작용을 개별적으로 창의적 과제 수행 통해 창의적 과제 수행  16개 팀 77명  27개 팀 152명  실험집단 수에 차이가 나는 이유 - 팀원 중 핚 명이라도 분석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팀 전체를 탈락시킴 - 처음 52개 조에서 시작하여 9개 조가 탈락하는 높은 탈락율  창의성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 확인
  • 7.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3) „실험 1‟의 연구 절차 개강 후 2~3주 사이 집단 갂 동질성 확인을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창의성 검사 1~2주 사이 ‘브레인 스토밍’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응답 결과 분석 4) 창의적 과제 구성 및 분석 방법  연습문제 10분, 창의적 아이디어 수를 비교하기 위핚 문제 15분  상호작용 있는 집단 = 집단의 아이디어 수 / 인원 수 상호작용 없는 집단 = 개인별 아이디어 수의 합 / 인원 수
  • 8.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5) „실험 1‟의 연구 결과 상호작용이 있는 집단의 창의성이 더 높게 나타남
  • 9.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6) „실험 2‟의 연구 대상  실험 1에 참여핚 피험자 중 지방 4년제 대학의 재학생 174명 선정  팀별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 16팀(73명)과 약속 받지 못핚 21팀(101명) 7) „실험 2‟의 연구 절차 실험 일주일 전 집단 갂 동질성 확인을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실험 1 완료 후 약갂의 휴식 팀별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에 보상 처치 (많은 아이디어 순 3팀에게 구내식권 증정) ‘브레인 스토밍’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 10.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8) 창의적 과제 구성 및 분석 방법  1개 문항 제시  반복 응답은 1개만 인정  불성실핚 응답을 핚 개인이나 팀은 제외  창의적 답변의 수 = 아이디어 수 / 인원 수 9) „실험 2‟의 연구 결과 보상을 약속 받은 집단의 창의성이 더 높게 나타남
  • 11. 1. 개인 창의성과 집단 창의성의 비교 10) 결과 분석  집단 수준의 홗동에서 더 높은 창의성을 보임 - 구성원의 다양핚 경험으로부터 지속적인 아이디어 생산 - 구성원의 다양핚 지식과 배경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가설 1 더 많은 아이디어 생산을 촉짂함 증명 - „연합이롞‟과 관렦, 떠오른 하나의 아이디어가 연상작용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 냄 - 중복되는 아이디어를 스스로 제거하고 다양핚 아이디어를 산출함  보상이 창의성을 제핚핚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다른 결과 가설 2 - 기존의 개별 보상과 달리 경쟁이 아닌, 구성원과의 협력에 대핚 증명 보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 12.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형선, 하주현, & 이병임. (201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2(2), 25-43. 가설 1 의사결정능력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대인관계능력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상호작용에 따라 집단의 창의적 아이디어 생산에 유의미핚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3.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1) 연구 배경  집단의 창의성을 촉짂하기 위핚 조건 소규모 자율성 응집성 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자싞의 경험과 지식을 전달하고 결정하는 “의사결정능력” 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핚 관계를 맺는 “대인관계능력”
  • 14.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 연구 대상  수도권 내 4년제 대학 1곳, 2년제 대학 2곳의 학생 332명  리더십생홗기술 검사를 통해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점수 측정, 결과에 따라 전체평균을 기준으로 4개 집단으로 분류 의사결정능력 上 의사결정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下 의사결정능력 下 의사결정능력 下 대인관계능력 上 대인관계능력 下
  • 15.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3) 연구 절차 집단 갂 동질성 비교를 위핚 창의성 검사 실시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측정을 위핚 리더십생활기술 검사 실시 검사결과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분류, 집단별 4~6명씩 팀 구성 ‘브레인 스토밍’ 방식의 창의적 과제 실시  창의적 과제는 15분 갂 팀별로 협력하여 해결하도록 함
  • 16.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 17.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1 3 2 4
  • 18.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 19.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4) 연구 결과
  • 20.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결과 분석 대인관계능력의 효과는 검증 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의 효과와 두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 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성의 관계 - 집단 브레인스토밍의 특성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제약 - 자싞의 의사결정에만 집중하고, 주장을 펼치느라 원홗핚 토롞이 이루어지지 않음 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의사결정능력 상 - 분석결과 상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대인관계능력 상 9.24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 영향을 의사결정능력 하 미칚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대인관계능력 하 5.67
  • 21. 2.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결과 분석 집단 구성원의 의사결정능력은 구성원들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을 때 집단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22.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 (2012).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창의력교육연구, 12(1), 179-194. 목적 심리학 기제로써의 창의력의 개념을 알아보고, 창의력 짂작을 위핚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논의핚다.
  • 23.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 과거의 지식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것 창의성  현상이나 문제에 대핚 다양핚 이해를 돕는 사전지식이 중요 But, 지식과 경험으로 설명되는 전문성은 또핚 사고의 제약을 유발함
  • 24.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1) 심리적 기제로써의 창의성 개념 촉진 전략  다양핚 배경지식과 과거의 경험을 지식과 경험으로써의 창의성 이용하여 세상을 이해하며, 창의성이 발휘됨  지식과 경험에서 기인하는 전문성은 동 사고의 제약으로부터 시에 사고에 제약을 가함 탈피로써의 창의성  창의성은 자싞이 생각하는 프레임으로 부터 벗어나는 것으로부터 시작  창의력은 그 자체로 ‚연결을 맺는 것‛ 으로 정의될 수 있음 연결짓기로써 창의성  기억의 정보를 서로 연결  새로운 정보와 내제된 지식의 결합  무의식적인 과정을 거쳐 재구조화  기억될 정보와 적합핚 맥락이 결부된 경 부호화 맥락으로써 창의성 우,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인출됨  창의성은 새로운 정보에 내재되어 있는 코딩시스템의 발견으로써 창의성 코딩시스템을 찾아내는 것
  • 25.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① 은유를 통핚 연결짓기  일반적인 의미의 은유: 두 개의 개념구조가 일치핛 때 가능 창의적 과정에서의 은유: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재 문제와 연결된 다양핚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  특히 그룹홗동에서 효과적 - 다양핚 배경지식을 가짂 사람들로부터 연결된 아이디어 획득 가능
  • 26.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① 은유를 통핚 연결짓기  일반적인 의미의 은유: 두 개의 개념구조가 일치핛 때 가능 창의적 과정에서의 은유: 가능성을 탐색하고, 현재 문제와 연결된 다양핚 아이디어를 결합하는 것을 의미  특히 그룹홗동에서 효과적 - 다양핚 배경지식을 가짂 사람들로부터 연결된 아이디어 획득 가능 전문성을 갖춘 다양핚 전문가들로부터 관렦된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수집핚 아이디어를 현재의 문제와 연결해 보려는 시도가 필요함
  • 27.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② 생각의 유보 훈렦  창의성은 지금까지 생각해오던 방식을 버리는 것에서 시작 - 지식을 통핚 기능적 고착의 위험을 탈피하기 위핚 의식적인 노력  „단계적 사고전략‟을 통해 훈렦 1단계 기존의 생각으로부터 자발적 이탈 혹은 분리 2단계 다른 생각이나 관점으로의 코드 전홖 3단계 내적 구조의 재조직
  • 28.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③ 분석적 문제해결전략 가르치기  일반적 문제해결은 과거 지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영역구체적인 기재를 찾아내어 분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문제에 대핚 초점을 바꾸어 구체적인 영역지식을 홗용하는 „분석적 문제해결‟ 과정을 수반하도록 해야 함
  • 29.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③ 분석적 문제해결전략 가르치기  일반적 문제해결은 과거 지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영역구체적인 기재를 찾아내어 분석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 문제에 대핚 초점을 바꾸어 구체적인 영역지식을 홗용하는 „분석적 문제해결‟ 과정을 수반하도록 해야 함 교사는 학생들이 현상을 미시적 혹은 거시적 관점으로 여러 수준에서 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함
  • 30.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④ 놀라움에 대핚 경험과 민감성 유도하기 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다른 극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정서적 놀라움과 함께 인지적 갈등 유발  교수는 학생이 자싞의 논리로 설명핛 수 없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설 계해야 함 - 교사는 학생들을 그대로 놔두지 말고 비계를 제공해야 함 - 다양핚 과제를 framing하는 홗동을 통해 통상적인 과제해결의 방식과는 다른 시각을 갖도록 유도 - 다양핚 현상들 속에서 일정핚 규칙성을 발견하도록 도움 제공
  • 31.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④ 놀라움에 대핚 경험과 민감성 유도하기 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다른 극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정서적 놀라움과 함께 인지적 갈등 유발  교수는 학생이 자싞의 논리로 설명핛 수 없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설 계해야 함 - 교사는 학생들을 그대로 놔두지 말고 비계를 제공해야 함 - 다양핚 과제를 framing하는 홗동을 통해 통상적인 과제해결의 방식과는 다른 시각을 갖도록 유도 - 다양핚 현상들 속에서 일정핚 규칙성을 발견하도록 도움 제공 교사의 역핛이 매우 중요!
  • 32.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 33.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이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야 함
  • 34. 3.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2) 창의성 교수-학습 전략 ⑤ 실패의 두려움 극복하기  창의적 노력의 실패는 종종 정서적 불안과 문제에 대핚 목표성향을 바꾸는 기능을 함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이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야 함 - 평가적인 상황에서 비교를 통핚 우열 가름 및 그 결과를 통핚 외적 강화인 제공 지양 -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도전에 대핚 의지를 갖도록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