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대명사-
기능

의미

체언

명사 : 사물의 명칭을 나타냄.
수사 : 수나 순서를 나타냄.

관계언

불변어

조사 : 관계를 표시.
서술격 조사 (이다) : 체언이나 서술어의 기능을
부여함, 활용함.

용언

형태

동사 : 움직임을 표시.

가변어
/활용어/

형용사 : 성질, 상태를 표시.
수식언

관형사 : 체언을 제한.
부사 : 용언을 제한.

독립언

감탄사 : 느낌, 응답을 표시.

불변어
명사의 종류

성격 및 정의

보기

자립성 유무에
따라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붙여지는
이름

동대문, 몽골,
뭉흐바야르

보통 명사

쓰이는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

사물에 쓰이는 것

지하철, 학교, 집,
사람

자립 명사

다른 말의 도움이
없이 쓰이는 명사

하늘, 사랑, 문,
가방

의존 명사

다른 말에 기대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명사

분, 것, 개, 수, 지
정의:
 명사를 대신하여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의 집합. 따라서 명사

의 특징을 대부분 그대로 가진다. 단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는 없다. (새 너, 헌 그…)

종류:
 인칭 대명사 – 사람의 이름 대신 사람을 가리키는 말
 지시 대명사 – 사물이나 장소를 대신 가리키는 말

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
대명사의 종류

대명사의 예

일인칭

나, 우리, 저, 저희

이인칭

너, 자네, 그대, 당신

정칭

지시 대명사

삼인칭

미지칭

누구

부정칭

아무

재귀

인칭 대명사

그, 그녀, 저이, 그이, 이분, 그분

자기, 당신

사물 대명사

이것, 저것, 그것, 이, 그, 저, 무엇

장소 대명사

여기, 저기, 거지, 어디

시간 대명사

언제(이때, 저때, 그때)
 근칭: 화자에게 가까운 사람, 대상을 가리키는 말
 중칭: 청자에게 가까운 사람, 대상을 가리키는 말
 원칭: 화자, 청자에게서 함께 먼 사람, 대상을 가리키

는말
 재귀대명사: 앞에 쓰인 명사(=선행사 주로 3인칭 주어

)를 가리키는 말
철수는 자기 이름도 못 쓴다.
할아버지는 당신의 일을 즐기신다.
 한국어는 높임 표현이 발달되어 있어 일인칭 대명사도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존대 관계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먼저 듣는 사람을 높여야 할 경우에 말하는
사람은 ‘나’ 대신에 자신을 낮추는 표현인 ‘저’를 사용한다.

- 나는 오늘 영화 보러 갈 거야. /이 책은 내 책이야.
- 저 오늘 늦을 거예요. /그런 제 일인데요.
- 저는 김영이야.(x)/ 제 이름은 김영이야. (x)

/대명사와 어미/
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신을 ‘본인’이라고 쓰기도 한다.

공식적인 문서에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 본인은 2013년 10월 7일로부터 상기 사유로 사직하고자
한다.
 이인칭 대명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높여야 할 대상을

대명사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당신, 언제 차 바꿨어?
- 자네, 언제 미국에 돌아가니?

- 영수야, 너 이거 어디서 샀어?
 이인칭 대명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높여야 할 대상을

대명사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당신, 언제 차 바꿨어?
- 자네, 언제 미국에 돌아가니?

- 영수야, 너 이거 어디서 샀어?
 따라서 한국어에서 높여야 할 대상을 부를 때는

대명사를 사용하기보다는 상대방의 직함을
사용하거나 성이나 이름 뒤에 직함을 붙여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민수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 선생님께서는 언제 오셨습니까?
 특별히 사용할 직함이 없을 때에는 (김 선생님)과 같이

‘선생님’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선생님’은
‘가르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직함이 없는 사람을 정중히 대우하여 부르는 말이다.
한편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면 이름 뒤에 ‘씨’를
붙여 부른다.

- 긴민수 씨가 제 전화를 받았어요?
- 민수 씨가 이 글을 썼어요?
 일인칭 대명사나 이인칭 대명사가 나타날 자리에 장소

대명사를 써서 그 기능을 대신하기도 한다.

- 그럼 회의는 네가 준비하겠니? 나는 행사 진행을

맡을게.
- 그럼 회의는 그쪽에서 준비하겠습니까? 이쪽에서는
행사 진행을 맡겠습니다.
 삼인칭 청징 대명사로는 ‘그’ ‘그녀’와 지시 관형사 ‘이’,

‘그’, ‘저’에 의존 명사 ‘분’이나 ‘이’가 붙어 만들어진
‘이분, 저분, 그분’ , ‘이이, 그이, 저이’ 등이 있다.
 재귀 대명사
- 앞에 나온 명사나 대명사를 다시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 그 여자는 자기에게 불리한 말을 했다.
- 우리 집 막내는 저밖에 몰라.
- 할머니는 당신께서 직접 요리를 하셔야 맛있다고

믿으신다.
근칭

중칭

원칭

미지칭

부정칭

사물

이것

그것

저것

무엇, 어느 것

아무것

장소

여기이곳

거기그곳

저기저곳

어디

아무데

시간
지시부사

언제
이리

그리

저리
 누구, 무엇, 언제, 어디
- 누구 기다리십니까?
- 무엇을 좀 잡수시겠습니까?
- 언제 한 번 오시겠습니까?
- 어디 나갑니까?
 부정 대명사는 가리키는 사람이나 사물을 정확히 밝힐

-

필요가 없거나 잘 모를 때 쓰는 대명사이다.
의문문에서 쓰이는 의문 대명사 ‘누구, 무엇, 언제,
어디’ 등이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에 쓰이게 되면 부정
대명사가 된다.
누군가 안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는 무엇이든지 잘 먹어요.
언제 우리 좀 봅시다.
김 선생님이 지금 어디에 가셨습니다.
 다음 문장에서 대명사를 찾아 밑줄 그으세요.
- 그때는 정전도 잦았는데, 그러면 선생생님은 그

숙제를 다음 날 해 오라고 했다.
- 우리는 오랜만에 크게 웃었다.
- 모두 나처럼 도시로 떠났다.
- 그러고는 아직 너의 모습을 보지 못했다.

• 위에서 찾은 대명사의 종류를 구분하여 쓰세요.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7과 대명사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ErdenechimegCC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Altai2013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Altai2013
 
제6과 명사
제6과 명사제6과 명사
제6과 명사Altai2013
 
한국어의 문장 성분
한국어의 문장 성분한국어의 문장 성분
한국어의 문장 성분
혜웅 박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thai nguyen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ssuserda0f2e1
 
국문학 용어 정리
국문학 용어 정리국문학 용어 정리
국문학 용어 정리
혜웅 박
 
Grammar Book
Grammar BookGrammar Book
Grammar Book
sc79420
 
grammar book
grammar bookgrammar book
grammar book
sc79420
 

Similar to 제7과 대명사 (14)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үгзүй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형태론 강의
형태론 강의
 
제6과 명사
제6과 명사제6과 명사
제6과 명사
 
토픽.docx
토픽.docx토픽.docx
토픽.docx
 
한국어의 문장 성분
한국어의 문장 성분한국어의 문장 성분
한국어의 문장 성분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국문학 용어 정리
국문학 용어 정리국문학 용어 정리
국문학 용어 정리
 
Grammar Book
Grammar BookGrammar Book
Grammar Book
 
grammar book
grammar bookgrammar book
grammar book
 

More from Altai201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Altai2013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Altai2013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Altai2013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Altai2013
 
제15과 단어의 형성
제15과 단어의 형성제15과 단어의 형성
제15과 단어의 형성Altai2013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제14과 부사 및 감탄사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Altai2013
 
제13과 관형사
제13과 관형사제13과 관형사
제13과 관형사Altai2013
 
제12과 어미
제12과 어미제12과 어미
제12과 어미Altai2013
 
제11과 활용
제11과 활용제11과 활용
제11과 활용Altai2013
 
제10과 용언
제10과 용언제10과 용언
제10과 용언Altai2013
 
제9과 조사
제9과 조사제9과 조사
제9과 조사Altai2013
 
제8과 수사
제8과 수사제8과 수사
제8과 수사Altai2013
 
제5과 품사
제5과 품사제5과 품사
제5과 품사Altai2013
 
제4과 단어
제4과 단어제4과 단어
제4과 단어Altai2013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Altai2013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Altai2013
 
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Altai2013
 
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Altai2013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Altai2013
 

More from Altai2013 (20)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
убд 3 хичээлийн тодорхойлолт, сэдэвчилсэн төлөвлөгөө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
대학종합평가기준 몽골어
 
Altai 1
Altai 1Altai 1
Altai 1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
항의서, 축하장, 경고, 조문 몽골어 번역 Docx
 
제15과 단어의 형성
제15과 단어의 형성제15과 단어의 형성
제15과 단어의 형성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제14과 부사 및 감탄사
제14과 부사 및 감탄사
 
제13과 관형사
제13과 관형사제13과 관형사
제13과 관형사
 
제12과 어미
제12과 어미제12과 어미
제12과 어미
 
제11과 활용
제11과 활용제11과 활용
제11과 활용
 
제10과 용언
제10과 용언제10과 용언
제10과 용언
 
제9과 조사
제9과 조사제9과 조사
제9과 조사
 
제8과 수사
제8과 수사제8과 수사
제8과 수사
 
제5과 품사
제5과 품사제5과 품사
제5과 품사
 
제4과 단어
제4과 단어제4과 단어
제4과 단어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2과 문법과 문법 지식
 
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제1과 언어와 문화
제1과 언어와 문화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
과목 소개 및 평가 방법
 

제7과 대명사

  • 2. 기능 의미 체언 명사 : 사물의 명칭을 나타냄. 수사 : 수나 순서를 나타냄. 관계언 불변어 조사 : 관계를 표시. 서술격 조사 (이다) : 체언이나 서술어의 기능을 부여함, 활용함. 용언 형태 동사 : 움직임을 표시. 가변어 /활용어/ 형용사 : 성질, 상태를 표시. 수식언 관형사 : 체언을 제한. 부사 : 용언을 제한. 독립언 감탄사 : 느낌, 응답을 표시. 불변어
  • 3. 명사의 종류 성격 및 정의 보기 자립성 유무에 따라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붙여지는 이름 동대문, 몽골, 뭉흐바야르 보통 명사 쓰이는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 사물에 쓰이는 것 지하철, 학교, 집, 사람 자립 명사 다른 말의 도움이 없이 쓰이는 명사 하늘, 사랑, 문, 가방 의존 명사 다른 말에 기대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명사 분, 것, 개, 수, 지
  • 4. 정의:  명사를 대신하여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의 집합. 따라서 명사 의 특징을 대부분 그대로 가진다. 단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는 없다. (새 너, 헌 그…) 종류:  인칭 대명사 – 사람의 이름 대신 사람을 가리키는 말  지시 대명사 – 사물이나 장소를 대신 가리키는 말 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
  • 5. 대명사의 종류 대명사의 예 일인칭 나, 우리, 저, 저희 이인칭 너, 자네, 그대, 당신 정칭 지시 대명사 삼인칭 미지칭 누구 부정칭 아무 재귀 인칭 대명사 그, 그녀, 저이, 그이, 이분, 그분 자기, 당신 사물 대명사 이것, 저것, 그것, 이, 그, 저, 무엇 장소 대명사 여기, 저기, 거지, 어디 시간 대명사 언제(이때, 저때, 그때)
  • 6.  근칭: 화자에게 가까운 사람, 대상을 가리키는 말  중칭: 청자에게 가까운 사람, 대상을 가리키는 말  원칭: 화자, 청자에게서 함께 먼 사람, 대상을 가리키 는말  재귀대명사: 앞에 쓰인 명사(=선행사 주로 3인칭 주어 )를 가리키는 말 철수는 자기 이름도 못 쓴다. 할아버지는 당신의 일을 즐기신다.
  • 7.  한국어는 높임 표현이 발달되어 있어 일인칭 대명사도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존대 관계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먼저 듣는 사람을 높여야 할 경우에 말하는 사람은 ‘나’ 대신에 자신을 낮추는 표현인 ‘저’를 사용한다. - 나는 오늘 영화 보러 갈 거야. /이 책은 내 책이야. - 저 오늘 늦을 거예요. /그런 제 일인데요. - 저는 김영이야.(x)/ 제 이름은 김영이야. (x) /대명사와 어미/
  • 8. 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신을 ‘본인’이라고 쓰기도 한다. 공식적인 문서에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 본인은 2013년 10월 7일로부터 상기 사유로 사직하고자 한다.
  • 9.  이인칭 대명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높여야 할 대상을 대명사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당신, 언제 차 바꿨어? - 자네, 언제 미국에 돌아가니? - 영수야, 너 이거 어디서 샀어?
  • 10.  이인칭 대명사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높여야 할 대상을 대명사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당신, 언제 차 바꿨어? - 자네, 언제 미국에 돌아가니? - 영수야, 너 이거 어디서 샀어?
  • 11.  따라서 한국어에서 높여야 할 대상을 부를 때는 대명사를 사용하기보다는 상대방의 직함을 사용하거나 성이나 이름 뒤에 직함을 붙여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민수 과장님, 손님 오셨습니다. - 김 선생님께서는 언제 오셨습니까?
  • 12.  특별히 사용할 직함이 없을 때에는 (김 선생님)과 같이 ‘선생님’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선생님’은 ‘가르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직함이 없는 사람을 정중히 대우하여 부르는 말이다. 한편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면 이름 뒤에 ‘씨’를 붙여 부른다. - 긴민수 씨가 제 전화를 받았어요? - 민수 씨가 이 글을 썼어요?
  • 13.  일인칭 대명사나 이인칭 대명사가 나타날 자리에 장소 대명사를 써서 그 기능을 대신하기도 한다. - 그럼 회의는 네가 준비하겠니? 나는 행사 진행을 맡을게. - 그럼 회의는 그쪽에서 준비하겠습니까? 이쪽에서는 행사 진행을 맡겠습니다.
  • 14.  삼인칭 청징 대명사로는 ‘그’ ‘그녀’와 지시 관형사 ‘이’, ‘그’, ‘저’에 의존 명사 ‘분’이나 ‘이’가 붙어 만들어진 ‘이분, 저분, 그분’ , ‘이이, 그이, 저이’ 등이 있다.
  • 15.  재귀 대명사 - 앞에 나온 명사나 대명사를 다시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 그 여자는 자기에게 불리한 말을 했다. - 우리 집 막내는 저밖에 몰라. - 할머니는 당신께서 직접 요리를 하셔야 맛있다고 믿으신다.
  • 17.  누구, 무엇, 언제, 어디 - 누구 기다리십니까? - 무엇을 좀 잡수시겠습니까? - 언제 한 번 오시겠습니까? - 어디 나갑니까?
  • 18.  부정 대명사는 가리키는 사람이나 사물을 정확히 밝힐 - 필요가 없거나 잘 모를 때 쓰는 대명사이다. 의문문에서 쓰이는 의문 대명사 ‘누구, 무엇, 언제, 어디’ 등이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에 쓰이게 되면 부정 대명사가 된다. 누군가 안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는 무엇이든지 잘 먹어요. 언제 우리 좀 봅시다. 김 선생님이 지금 어디에 가셨습니다.
  • 19.  다음 문장에서 대명사를 찾아 밑줄 그으세요. - 그때는 정전도 잦았는데, 그러면 선생생님은 그 숙제를 다음 날 해 오라고 했다. - 우리는 오랜만에 크게 웃었다. - 모두 나처럼 도시로 떠났다. - 그러고는 아직 너의 모습을 보지 못했다. • 위에서 찾은 대명사의 종류를 구분하여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