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교육정책
의사결정
의사소통
요약 및 적용
I
II
III
IV
 교육정책은 정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하나
의 중요한 의사결정이다.
 교육목적 실현을 도모한다는 특성을 지녔다.
 행위의 측면-의사결정
형성 혹은 과정의 측면-정치적 과정
효과의 측면-교육목적의 실현
- 정책의 정치적 성격을 강조함
- 정책결정 과정에서 공직적인 권위를 가진 집단이 중심
적인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함
- 정책은 어떤 목표나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행동계획으로 이해
- 정책이 내포하고 있는 개방성과 포괄성을 말해줌
- 정책의 규범성과 행동지향성, 정책효과 등을 강조
- 정책은 권위 있는 기관에 의해 이루어짐
- 주로 공공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며 국민에 대한 약속
- 궁극적으로 공익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정책의 윤리가
매우 중요
- 매우 복잡한 동태적인 성격을 지님
- 과정 뿐만 아니라 내용도 중요한 요소
-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특성을 반영
-> 가치함축성을 띔
- 단기적인 행동계획을 넘어 장기적인 지침을 부여
- 행동지향적인 동시에 바람직한 미래상을 반영
정책은 “권위 있는 공식기관(정부 등)이 문제해결이나
공적 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치적·행정적 과정을
거치거나 당위성에 입각하여 의도적으로 선택한 장래
의 행동계획”
 사회적·공공적·조직적 활동으로서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국
민의 동의를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의 공권력을 배경으로 강
행되는 국가의 기본방침
 최적의 대안을 의도적으로, 합리적으로 선택한 것이 교육정
책☞국가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 기본적 수단, 정책의 시행
과정인 협의의 교육행정에 대해서는 기본 방침 또는 지침이
됨
적합성
합리성
민주성
효과성
능률성
책무성
– 교육정책이 그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정도
– 교육정책의 수립과 집행 및 평가의 과정에서
합리성이 존중되어야 하며, 이치에 맞고 상식이
통하는 것임을 뜻함
– 전횡과 독단을 배제하고 책임과 권한을 분산시
키며, 조직구성원의 참여의 폭을 넓히는 것
– 목표성취의 정도
–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
키는 정도
– 자신이 속하는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하여 스스로 행동을 책임지고 설명
할 수 있음을 뜻함. 공정성·책임의식·
준법정신 등이 그기저에 깔려있음
형평성
수월성
자율성
공익성
– 모든 국민에게 교육의 기회와 여건을
균등하게 하고자함
– 교육의 성과가 훌륭히 나타나는 정도
– 어떠한 개인이나 기관이 스스로 결정하
고 선택하는 자주적 결정의 정도
– 공공의 이익을 앞세움. 사회를 구성하
는 대다수의 일반이익을 추구함
 구스리(Guthrie), 감스(Garms), 피어스(Pierce)
- 평등성, 효율성, 자유
 위트(Wirt)
- 형평성, 효율성, 선택의 자유, 질
 보이드(Boyd)
- 효율성, 자유, 수월성
 스완슨(Swanson)
- 평등성, 효율성, 자유, 일체감, 경제적 성장
 서지오바니(Sergiovanni)
- 형평성, 효율성, 자유, 수월성
수월성
자유
평등성
효율성
I
(분권적 정예주의)
II
(평등적 자유주의)
III
(관료적 정예주의)
IV
(관료적 자유주의)
정책결정자(정부)
국민(여론)
국회·정당 신문·방송 이익집단 연구소·학자
환경
정책
내부환류
산출
외부환류
투입(요구·지원)
 일반적 개념: “여러 대안 중 어느 안의 선택”
 둘 또는 그 이상의 대안 중에서 의식적인 선택
 두 개 이상의 가능한 행동방안 중에서 한 가지의 행동방안
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행위
 보통 행동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목표의 수립, 수단의 선
택 및 결과의 판정 등 합리적 행동의 제 단계에 있어서 불
가결의 요소
의사결정은 “어떤 문제해결과 관련한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한 가지 대안을 판단하여
선택·결정하는 행위”
단순한 의도의 범위에서 벗어나 실제로 행
동으로 옮기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정형적 결정
비정형적 결정
단독결정
집단결정
- 반복적, 일상화된 결정으로 의사결정을 해야 할 사안이
예측되는 결정
- 과거에 했던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위험도
가 적음
- 일상적이지 않으며 중요하고 긴급한 문제가 생겼을 때
내리는 결정
- 대안의 탐색과 결과를 예상하기가 매우 어렵고 위험부
담이 큼
- 최고경영자나 관리자가 혼자서 결정하는 방법
- 신속한 결정을 요하는 경우, 결정에 따른 이의나 논쟁
이 없을 경우, 결정에 비밀을 요하는 경우에 발생
- 공동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하는 방법
- 고도의 기술성과 전문성이 요구되거나 구성원들의 참
여의식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 발생
- 단독결정보다 신속하지 못하지만, 오류를 범하지 않고
수용성이 높음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모형
최적모형
쓰레기통 모형
- 합리성을 강조하는 고전적인 모형
- 의사결정을 위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인간의 전능
성을 전제로 함
- ①모든 가능한 해결 대안을 인식하고, ②각 대안의 모
든 가능한 결과를 알아내고, ③그의 가치체제와 반대되
는 결과를 평가할 수 있고, ④목표를 충족하는 정도에
따른 대안의 순서를 정하고 나서, ⑤목표달성도를 극대
화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순으로 전개
- 자료분석 및 종합에서 계량적 방법이 강조
- 인간의 복잡한 심리적 요소가 고려되지 않고, 객관성만
강조☞현실적인 측면보다는 논리적인 당위성만을 강조
- 지나치게 객관성을 강조한 합리모형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
해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입장을 고려한 모형
- 사이몬(Simon)과 마치(March): 의사결정의 객관적인 상황보
다 주관적인 입장에서 의사결정자가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중요시
- 어떤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없고 현실적으로 단지
다른 해결안보다 더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있을 뿐
- 한계점: 만족의 정도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이 부
족하다.
- 기존의 정책이나 결정을 점진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것
- 기존의 틀 속에서 기존의 정책에서 한 발짝 더 수정하
여 보다 개선된 대안을 추구하는 모형
- 획기적인 대안의 선택보다는 기본적인 목표의 틀 속에
서 현행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은 다소 향상된 정책결정
에 만족
-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안들을 계속적으로 비교함
- 한계점: 개혁이나 혁신적인 의사결정에는 부적합
-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을 혼합한 것
- 인간의 완벽함에 의존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합리모형의 단점과 커다란 기존
의 틀과 정책은 변화하지 않는 가운데 정책결정이 이루
어져 보수적이라는 점증모형의 단점을 보완
- 정책이나 기본적인 방향서정은 합리모형에 따르고, 기
본방향이 설정된 후의 세부적인 문제는 점증모형을 따
름
- 점증모형의 타성적이고 현실 안주적인 성격을 비판하
면서 그 대안으로 제안한 것
-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의 절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혼
합모형과 유사하지만 합리성과 초합리성을 동시에 고
려하는 최적치를 추구하는 규범적인 모형이라는 점에
서 다름
- 드로어(Dror): 비정형적인 의사결정에서 불가피하게 초
합리적인 직관, 판단, 창의 등 잠재적인 의식이 개입되
어 진다고 주장
- 한계점: 불분명한 초합리성이라는 개념에 의존하고 있
어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라는 비판을 받음
- 의사결정에 있어서 비합리적, 우연적 선택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봄
- 코헨(Cohen)과 마치(March): ‘조직화된 무정부 조직’ 상
황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모형
- 의사결정은 의사결정의 요소들인 문제, 해결책, 참여자, 선
택의 기회들이 서로 다른 시간에 우연적 요인에 의하여 통
(can)안에 모일 때 이루어진다고 봄
-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
문제의 인지 및 정의
자료 수집 및 분석
문제해결을위한 준거설정
행동계획과 전략 개발
행동계획의 실행과 평가
- 의사결정의 첫 단계
- 문제를 인지하고 정의하는 것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료, 정보, 지식을 수집하고 분석
하는 단계
- 자료수집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과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
-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의 목표를
정하는 단계
- 이상과 현실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
- 수집·분석된 자료에 입각하여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전략
을 개발하는 단계
- 브레인스토밍, 명목집단기술, 델파이방법 등 여러가지 기
법을 사용할 수 있음
- 대안의 평가 과정
①의사결정자는 각 대안으로부터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모
든 가능한 결과를 인식해야 한다.
②의사결정자는 각 결과의 가치를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평가해야 한다.
③의사결정자는 각 대안마다 가능한 결과의 가능성을 평가
한다.
- 여러 대안 중에서 실천 가능한 대안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
 조직구성원들이 의사결정의 수용영역 범위 안에 있느냐 아
니면 밖에 있느냐에 따라 참여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 구성원들이 수용영역 안에 속하는 문제를 증명하기 위한 두
가지 검증
①적절성(관련성)검토 : ‘의사결정에 구성원이 개인적 이해
관계를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따라 이루어짐
②전문성 검토 :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성원이 유용한 공헌
을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
 상황1. 교사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적절성)와 전문적 지식
(전문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수용영역 밖에 있는 경우
 상황2. 구성원이 결과에 대해 이해관계(적절성)는 가지고
있으나 전문적 지식(전문성)이 없는 경우
 상황3. 구성원이 이해관계는 가지고 있지 않고 전문성이 있
는 경우
 상황4. 구성원이 전문성도 없고 이해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
은 경우
형 태 방 법
AI
(단독결정)
행정가가 현존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독으로 결정
AII
(정보수집
후 단독결정)
행정가는 구성원들로부터 정보를 구하고 나서 단독으로 결정
을 내린다. 구성원은 정보를 제공할 뿐 대안의 탐색이나 평가
에 관여하지 않는다.
CI
(개별자문
후 결정)
행정가가 구성원들과 집단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의견교환을 통해 아이디어와 제안을 얻고 나서 의사결정을 한
다.
CII
(집단자문
후 결정)
행정가가 구성원들과 집단적으로 만나 함께 문제를 논의하여
그들의 집약된 아이디어와 제안을 얻고 나서 의사결정을 한다.
GII
(집단결정)
참여적 방법으로 행정가는 집단적으로 문제와 상황을 함께 논
의하여 결정한다.
 직관이나 경험으로 내리는 의사결정보다는 의사결정이 필
요한 정보와 자료를 적절히 이용하여 분석적인 사고과정을
거칠 줄 알아야 함
 단독결정보다는 조직구성원의 참여와 합의를 적절히 반영
할 수 있어야 함
 오웬스(Owens) : 적절성의 검토, 전문적 의견의 검토와 더
불어 관할영역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함
 의사소통이란? 생각이나 아이디어, 감정 등 의도하는 바를
남에게 전달하는 과정
 의사소통의 기능
① 조정 및 통제를 위한 수단 : 구성원의 행동을 일사분란
하게 하고 질서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
②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수단 : 구성원이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음
③ 조직통솔과 리더십의 발휘 : 구성원을 통솔하고 조직목
표에의 공헌과 추종을 유도할 수 있음
④ 사기앙양 및 동기유발 :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
원 간의 협동과 몰입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
 의사소통 과정의 구성요소 : 착상(ideating), 부호화
(encoding), 전달(transmitting), 수신(receiving), 해독
(decoding), 실행(acting), 피드백(feedback)
 의사소통의 방향 : 하향식, 상향식, 수평적 방법
- 상대방을 희생시키고 자신의 갈등을 해소하는 형
-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욕구 충족은 포
기하더라도 상대방의 갈등이 해소되도록 노력하는 방법
- 다수의 이익을 우선하기 위해 양측이 상호교환과 희생을
통해 부분적 만족을 취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는 유형
- 양쪽이 다 만족할 수 있는 갈등해소책을 찾는 방법
- 갈등이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여 의도적으로 피하는 방법
제 6장 교육정책과 의사결정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 6장 교육정책과 의사결정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khi9476
 
Open 200205 선거에 부쳐
Open 200205 선거에 부쳐Open 200205 선거에 부쳐
Open 200205 선거에 부쳐
jihoon jung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jihoon jung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Jahee Lee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jihoon jung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commbooks
 
Hcd 방법론 intro
Hcd 방법론 introHcd 방법론 intro
Hcd 방법론 introHajin Lim
 
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
Jongwon Moon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Namkee Chung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Korea Institute of Marketing Education
 
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skghs1214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Dong Cho Lee
 
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skghs1214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JAEHUN KIM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Yeseul Song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혁신모델의 탄생
혁신모델의 탄생혁신모델의 탄생
혁신모델의 탄생
인형 장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JAEHUN KIM
 
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Young Choi
 

Similar to 제 6장 교육정책과 의사결정 (20)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
(교육행정) 201225001 강효인
 
Open 200205 선거에 부쳐
Open 200205 선거에 부쳐Open 200205 선거에 부쳐
Open 200205 선거에 부쳐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정부정책제안 - 1. 발상의 전환 행복이 다가옵니다.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소시오크라시 이해 (Intro to Sociocracy)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OPEN_190405_정책의 발굴.선택.시행 방법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
 
Hcd 방법론 intro
Hcd 방법론 introHcd 방법론 intro
Hcd 방법론 intro
 
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소셜미디어와 PR
소셜미디어와 PR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TOC for Education] Approaches to Problem Solving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코틀러 & 켈러 Marketing Management: 6장
 
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De dreu et al.(2008) pspr mip g dc lee
 
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제2장 ppt - 김가희
제2장 ppt - 김가희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강의자료) 사회문제해결사에 관하여 김재훈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information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혁신모델의 탄생
혁신모델의 탄생혁신모델의 탄생
혁신모델의 탄생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국민디자인단 운영툴킷 통합본 (ppt)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강의자료) 전략왕 김재훈 0902
 
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
 

제 6장 교육정책과 의사결정

  • 1.
  • 3.
  • 4.  교육정책은 정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하나 의 중요한 의사결정이다.  교육목적 실현을 도모한다는 특성을 지녔다.  행위의 측면-의사결정 형성 혹은 과정의 측면-정치적 과정 효과의 측면-교육목적의 실현
  • 5. - 정책의 정치적 성격을 강조함 - 정책결정 과정에서 공직적인 권위를 가진 집단이 중심 적인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함 - 정책은 어떤 목표나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전반적인 행동계획으로 이해
  • 6. - 정책이 내포하고 있는 개방성과 포괄성을 말해줌 - 정책의 규범성과 행동지향성, 정책효과 등을 강조
  • 7. - 정책은 권위 있는 기관에 의해 이루어짐 - 주로 공공기관에 의해 이루어지며 국민에 대한 약속 - 궁극적으로 공익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정책의 윤리가 매우 중요 - 매우 복잡한 동태적인 성격을 지님
  • 8. - 과정 뿐만 아니라 내용도 중요한 요소 -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특성을 반영 -> 가치함축성을 띔 - 단기적인 행동계획을 넘어 장기적인 지침을 부여 - 행동지향적인 동시에 바람직한 미래상을 반영
  • 9. 정책은 “권위 있는 공식기관(정부 등)이 문제해결이나 공적 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치적·행정적 과정을 거치거나 당위성에 입각하여 의도적으로 선택한 장래 의 행동계획”
  • 10.  사회적·공공적·조직적 활동으로서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국 민의 동의를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의 공권력을 배경으로 강 행되는 국가의 기본방침  최적의 대안을 의도적으로, 합리적으로 선택한 것이 교육정 책☞국가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 기본적 수단, 정책의 시행 과정인 협의의 교육행정에 대해서는 기본 방침 또는 지침이 됨
  • 11.
  • 13. – 교육정책이 그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정도 – 교육정책의 수립과 집행 및 평가의 과정에서 합리성이 존중되어야 하며, 이치에 맞고 상식이 통하는 것임을 뜻함 – 전횡과 독단을 배제하고 책임과 권한을 분산시 키며, 조직구성원의 참여의 폭을 넓히는 것
  • 14. – 목표성취의 정도 –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 키는 정도 – 자신이 속하는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하여 스스로 행동을 책임지고 설명 할 수 있음을 뜻함. 공정성·책임의식· 준법정신 등이 그기저에 깔려있음
  • 16. – 모든 국민에게 교육의 기회와 여건을 균등하게 하고자함 – 교육의 성과가 훌륭히 나타나는 정도 – 어떠한 개인이나 기관이 스스로 결정하 고 선택하는 자주적 결정의 정도 – 공공의 이익을 앞세움. 사회를 구성하 는 대다수의 일반이익을 추구함
  • 17.  구스리(Guthrie), 감스(Garms), 피어스(Pierce) - 평등성, 효율성, 자유  위트(Wirt) - 형평성, 효율성, 선택의 자유, 질  보이드(Boyd) - 효율성, 자유, 수월성  스완슨(Swanson) - 평등성, 효율성, 자유, 일체감, 경제적 성장  서지오바니(Sergiovanni) - 형평성, 효율성, 자유, 수월성
  • 19.
  • 20. 정책결정자(정부) 국민(여론) 국회·정당 신문·방송 이익집단 연구소·학자 환경 정책 내부환류 산출 외부환류 투입(요구·지원)
  • 21.
  • 22.  일반적 개념: “여러 대안 중 어느 안의 선택”  둘 또는 그 이상의 대안 중에서 의식적인 선택  두 개 이상의 가능한 행동방안 중에서 한 가지의 행동방안 을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행위  보통 행동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목표의 수립, 수단의 선 택 및 결과의 판정 등 합리적 행동의 제 단계에 있어서 불 가결의 요소
  • 23. 의사결정은 “어떤 문제해결과 관련한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한 가지 대안을 판단하여 선택·결정하는 행위” 단순한 의도의 범위에서 벗어나 실제로 행 동으로 옮기는 과정까지 포함한다.
  • 25. - 반복적, 일상화된 결정으로 의사결정을 해야 할 사안이 예측되는 결정 - 과거에 했던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위험도 가 적음 - 일상적이지 않으며 중요하고 긴급한 문제가 생겼을 때 내리는 결정 - 대안의 탐색과 결과를 예상하기가 매우 어렵고 위험부 담이 큼
  • 26. - 최고경영자나 관리자가 혼자서 결정하는 방법 - 신속한 결정을 요하는 경우, 결정에 따른 이의나 논쟁 이 없을 경우, 결정에 비밀을 요하는 경우에 발생 - 공동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하는 방법 - 고도의 기술성과 전문성이 요구되거나 구성원들의 참 여의식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 발생 - 단독결정보다 신속하지 못하지만, 오류를 범하지 않고 수용성이 높음
  • 27.
  • 29. - 합리성을 강조하는 고전적인 모형 - 의사결정을 위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인간의 전능 성을 전제로 함 - ①모든 가능한 해결 대안을 인식하고, ②각 대안의 모 든 가능한 결과를 알아내고, ③그의 가치체제와 반대되 는 결과를 평가할 수 있고, ④목표를 충족하는 정도에 따른 대안의 순서를 정하고 나서, ⑤목표달성도를 극대 화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순으로 전개
  • 30. - 자료분석 및 종합에서 계량적 방법이 강조 - 인간의 복잡한 심리적 요소가 고려되지 않고, 객관성만 강조☞현실적인 측면보다는 논리적인 당위성만을 강조
  • 31. - 지나치게 객관성을 강조한 합리모형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 해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입장을 고려한 모형 - 사이몬(Simon)과 마치(March): 의사결정의 객관적인 상황보 다 주관적인 입장에서 의사결정자가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중요시 - 어떤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은 없고 현실적으로 단지 다른 해결안보다 더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있을 뿐 - 한계점: 만족의 정도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이 부 족하다.
  • 32. - 기존의 정책이나 결정을 점진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것 - 기존의 틀 속에서 기존의 정책에서 한 발짝 더 수정하 여 보다 개선된 대안을 추구하는 모형 - 획기적인 대안의 선택보다는 기본적인 목표의 틀 속에 서 현행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은 다소 향상된 정책결정 에 만족 -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대안들을 계속적으로 비교함 - 한계점: 개혁이나 혁신적인 의사결정에는 부적합
  • 33. -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을 혼합한 것 - 인간의 완벽함에 의존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합리모형의 단점과 커다란 기존 의 틀과 정책은 변화하지 않는 가운데 정책결정이 이루 어져 보수적이라는 점증모형의 단점을 보완 - 정책이나 기본적인 방향서정은 합리모형에 따르고, 기 본방향이 설정된 후의 세부적인 문제는 점증모형을 따 름
  • 34. - 점증모형의 타성적이고 현실 안주적인 성격을 비판하 면서 그 대안으로 제안한 것 - 합리모형과 점증모형의 절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혼 합모형과 유사하지만 합리성과 초합리성을 동시에 고 려하는 최적치를 추구하는 규범적인 모형이라는 점에 서 다름
  • 35. - 드로어(Dror): 비정형적인 의사결정에서 불가피하게 초 합리적인 직관, 판단, 창의 등 잠재적인 의식이 개입되 어 진다고 주장 - 한계점: 불분명한 초합리성이라는 개념에 의존하고 있 어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이라는 비판을 받음
  • 36. - 의사결정에 있어서 비합리적, 우연적 선택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봄 - 코헨(Cohen)과 마치(March): ‘조직화된 무정부 조직’ 상 황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모형 - 의사결정은 의사결정의 요소들인 문제, 해결책, 참여자, 선 택의 기회들이 서로 다른 시간에 우연적 요인에 의하여 통 (can)안에 모일 때 이루어진다고 봄 -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에 강조점을 두고 있음
  • 37.
  • 38.
  • 39. 문제의 인지 및 정의 자료 수집 및 분석 문제해결을위한 준거설정 행동계획과 전략 개발 행동계획의 실행과 평가
  • 40. - 의사결정의 첫 단계 - 문제를 인지하고 정의하는 것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료, 정보, 지식을 수집하고 분석 하는 단계 - 자료수집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과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
  • 41. -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의 목표를 정하는 단계 - 이상과 현실을 인식하는 일이 중요 - 수집·분석된 자료에 입각하여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전략 을 개발하는 단계 - 브레인스토밍, 명목집단기술, 델파이방법 등 여러가지 기 법을 사용할 수 있음
  • 42. - 대안의 평가 과정 ①의사결정자는 각 대안으로부터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모 든 가능한 결과를 인식해야 한다. ②의사결정자는 각 결과의 가치를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평가해야 한다. ③의사결정자는 각 대안마다 가능한 결과의 가능성을 평가 한다.
  • 43. - 여러 대안 중에서 실천 가능한 대안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
  • 44.
  • 45.  조직구성원들이 의사결정의 수용영역 범위 안에 있느냐 아 니면 밖에 있느냐에 따라 참여 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 구성원들이 수용영역 안에 속하는 문제를 증명하기 위한 두 가지 검증 ①적절성(관련성)검토 : ‘의사결정에 구성원이 개인적 이해 관계를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따라 이루어짐 ②전문성 검토 :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성원이 유용한 공헌 을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
  • 46.  상황1. 교사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적절성)와 전문적 지식 (전문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수용영역 밖에 있는 경우  상황2. 구성원이 결과에 대해 이해관계(적절성)는 가지고 있으나 전문적 지식(전문성)이 없는 경우  상황3. 구성원이 이해관계는 가지고 있지 않고 전문성이 있 는 경우  상황4. 구성원이 전문성도 없고 이해관계도 가지고 있지 않 은 경우
  • 47. 형 태 방 법 AI (단독결정) 행정가가 현존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독으로 결정 AII (정보수집 후 단독결정) 행정가는 구성원들로부터 정보를 구하고 나서 단독으로 결정 을 내린다. 구성원은 정보를 제공할 뿐 대안의 탐색이나 평가 에 관여하지 않는다. CI (개별자문 후 결정) 행정가가 구성원들과 집단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의견교환을 통해 아이디어와 제안을 얻고 나서 의사결정을 한 다. CII (집단자문 후 결정) 행정가가 구성원들과 집단적으로 만나 함께 문제를 논의하여 그들의 집약된 아이디어와 제안을 얻고 나서 의사결정을 한다. GII (집단결정) 참여적 방법으로 행정가는 집단적으로 문제와 상황을 함께 논 의하여 결정한다.
  • 48.
  • 49.  직관이나 경험으로 내리는 의사결정보다는 의사결정이 필 요한 정보와 자료를 적절히 이용하여 분석적인 사고과정을 거칠 줄 알아야 함  단독결정보다는 조직구성원의 참여와 합의를 적절히 반영 할 수 있어야 함  오웬스(Owens) : 적절성의 검토, 전문적 의견의 검토와 더 불어 관할영역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함
  • 50.
  • 51.  의사소통이란? 생각이나 아이디어, 감정 등 의도하는 바를 남에게 전달하는 과정  의사소통의 기능 ① 조정 및 통제를 위한 수단 : 구성원의 행동을 일사분란 하게 하고 질서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 ②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수단 : 구성원이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음 ③ 조직통솔과 리더십의 발휘 : 구성원을 통솔하고 조직목 표에의 공헌과 추종을 유도할 수 있음 ④ 사기앙양 및 동기유발 :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 원 간의 협동과 몰입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
  • 52.  의사소통 과정의 구성요소 : 착상(ideating), 부호화 (encoding), 전달(transmitting), 수신(receiving), 해독 (decoding), 실행(acting), 피드백(feedback)  의사소통의 방향 : 하향식, 상향식, 수평적 방법
  • 53. - 상대방을 희생시키고 자신의 갈등을 해소하는 형 -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자신의 욕구 충족은 포 기하더라도 상대방의 갈등이 해소되도록 노력하는 방법 - 다수의 이익을 우선하기 위해 양측이 상호교환과 희생을 통해 부분적 만족을 취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는 유형 - 양쪽이 다 만족할 수 있는 갈등해소책을 찾는 방법 - 갈등이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여 의도적으로 피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