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3
제 4장 1절 생명공학분야
      5. 시스템생물학


      생화학과 2011026029 여이슬
가. 개요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한 시스템생물학 연구




시스템생물학 - 시스템이론을 생명과학에 응용하여 생체구성 인자간의 상호관계
와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생명현상의 창발적 현상과 그 속에 잠재된
지배원리를 시스템 차원에서 이해케 하는 신기술 융합분야
 시스템생물학은 전체기능계를 이루는 구성인자들 사
  이의 상호관계를 통해 전체기능계를 이해하고, 구성
  인자들의 기능은 다른 구성인자들과의 관계성에 의해
  이해한다.
 시스템생물학의 개념은 예전부터 있었으나 시스템의
  구성인자에 관한 정보획득의 어려움 때문에 21세기에
  들어와서야 사용되었다. 그 동안 축적되어온 오믹스
  로 표현되는 다층적인 대량의 데이터 발굴과 컴퓨팅
  능력의 조합이 이런 시스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
  다.
시스템생물학 관련 논문의 연도별 발표 현황




Pubmed에 등록된 시스템생물학관련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과거 3년간 발표된 논문수가
전체 논문수의 절반이상을 차지
시스템생물학 연구분야의 성장은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최근에는 유전자의 신
기능 예측 및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 해외동향
국외 시스템생물학-관련 주요 연구 기관 및 프로그램



                               시스템생물학은 2000년
                               대에 들어와 시작된 연구
                               지만 현재 선진국을 중심
                               으로 매우 활발하게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 SBI 등
                               미국 – AfCS, 시스템생
                               물학연구소, 분자과학연
                               구소 등
2010년 ICSB 국가별 포스터 발표 상위 10위 (교신저자 기준)




범세계적인 시스템생물학자들이 모이는 시스템생물학 국제 심포지움(ICSB)은 미국, 유
럽, 일본을 돌아가며 매년 개최되는데, 2010년에는 영국 에딘버러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52개국에서 연구자들이 참가
2010년 ICSB에는 시스템생물학업체가 참여하여 학계와 대형 제약업체가 교류함
다. 국내 현황
 2002년 - 시스템생물학 연구회 구성으로 그룹화, 상호연계연구,
    연구대상 생체시스템의 체계적인 선정
   2003년 4월 - 서울대 문화관에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스템생
    물학 국제학술대회가 개최
   2003년 6월 - 시스템 생물학을 국책연구사업과제로 선정하여 "시
    스템생물학사업단"을 출범시켰으며 11개 세부과제를 중심으로
    시스템생물학연구가 시작
   2005년 - 2단계 사업으로 진핵세포를 대상으로 "칼슘대사 시스템
    생물학연구(KOSBI)"와 원핵세포를 대상으로한 "대사회로분석
    및 가상세포시스템연구"가 선정
   2008년 - 3단계 사업
   2009년 - GIST에 시스템생물학연구소가 설립되어, 이화여대시
    스템생물학연구소,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와 함께
    시스템생물학 인프라구축사업을 추진
   2010년 - 4단계 사업
국내 시스템생물학 관련 주요 학술 대회 및 학술 활동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국내 시스템생물학 관련
                                학술 활동이 꾸준히 증가
                                하고 있고, 국제적인 심포
                                지움도 개최하여 연구 성
                                과를 교류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라. 발전 과제

 시스템생물학은 생명과학, 정보과학, 컴퓨터 기술 등
  의 새로운 기술의 집약과 다양한 학문분야의 협력이
  요구되는 자본 기술 집약적인 분야인 만큼, 인프라 구
  축을 위한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
 이 분야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시스템생물학
  연구소의 설립이 시급
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 실험계획의 단계에서부터 시스
  템과학 전공자와 의논할 수 있는 학문적 분위기가 조
  성되어야 하고, 공동연구수행을 위한 상호노력이 이
  루어져야 한다.
키워드 "systems biology"로 검색한 국가별 누적논문 통계




우리나라는 총 61편으로 누적 논문수는 13위를 차지하나, 지난 1년간 논문수 증가율은 6위를 차지하
고 있고 국내에서도 시스탬생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연구 및 학술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신약 관련 기업의 시스템생물학연구 현황




                        시스템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효과
                        적 질병원인 규명, 약물의 효과 예
                        측, 신약후보 물질 및 바이오마커 발
                        굴은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려다임
                        으로써 많은 신약개발에 큰 영향을
                        미침


                        세계 10대 제약업체 중 많은수가 신
                        약개발에 시스템생물학적 접근법을
                        도입하거나 시스템생물학 기술을
                        가진 업체와 협력하여 신약개발을
                        하고 있다.
요약
시스템생물학은 시스템이론을 생명과학에 응용한 것으
로, 학체 간 융합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새로운 신약개발
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점차 활발하게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시스템생물학 인프라
를 구축하고 있고 국가 차원에서 더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
하다.

느낀점
이 PPT를 만들면서 앞으로의 신약 개발은 우리가 공부하
는 생화학분야 단독의 기술 뿐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분야
와 함께 연구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 생
각하였다. 그러므로 우리가 공동체의식을 가져서 서로 협
력 연구해야 한다고 느꼈다.
생명공학백서 4.1.5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생명공학백서 4.1.5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Soo-Ik Chang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Soo-Ik Chang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Soo-Ik Chang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Soo-Ik Chang
 
생명공학백서 4.1.6
생명공학백서 4.1.6생명공학백서 4.1.6
생명공학백서 4.1.6
Su Jung Woo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Han Woo PARK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Hanbat National Univerisity
 

Similar to 생명공학백서 4.1.5 (20)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 이용자 매뉴얼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 이용자 매뉴얼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 이용자 매뉴얼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 이용자 매뉴얼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Data for project text mining
Data for project text miningData for project text mining
Data for project text mining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생명공학백서 4.1.6
생명공학백서 4.1.6생명공학백서 4.1.6
생명공학백서 4.1.6
 
Dkdkdkdk
DkdkdkdkDkdkdkdk
Dkdkdkdk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신경건축학 (Neuroarchitecture)과 서비스 디자인
신경건축학(Neuroarchitecture)과 서비스 디자인신경건축학(Neuroarchitecture)과 서비스 디자인
신경건축학 (Neuroarchitecture)과 서비스 디자인
 
Biotechnologies to watch in 2021 주목할 바이오 분야 7가지 기술
Biotechnologies to watch in 2021 주목할 바이오 분야 7가지 기술 Biotechnologies to watch in 2021 주목할 바이오 분야 7가지 기술
Biotechnologies to watch in 2021 주목할 바이오 분야 7가지 기술
 
덕성여자대학교 ASPB 이용자 매뉴얼
덕성여자대학교 ASPB 이용자 매뉴얼덕성여자대학교 ASPB 이용자 매뉴얼
덕성여자대학교 ASPB 이용자 매뉴얼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Identifying prolific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ir collaboration network i...
Identifying prolific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ir collaboration network i...Identifying prolific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ir collaboration network i...
Identifying prolific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ir collaboration network i...
 

생명공학백서 4.1.5

  • 1. 제 4장 1절 생명공학분야 5. 시스템생물학 생화학과 2011026029 여이슬
  • 2. 가. 개요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한 시스템생물학 연구 시스템생물학 - 시스템이론을 생명과학에 응용하여 생체구성 인자간의 상호관계 와 상호작용의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생명현상의 창발적 현상과 그 속에 잠재된 지배원리를 시스템 차원에서 이해케 하는 신기술 융합분야
  • 3.  시스템생물학은 전체기능계를 이루는 구성인자들 사 이의 상호관계를 통해 전체기능계를 이해하고, 구성 인자들의 기능은 다른 구성인자들과의 관계성에 의해 이해한다.  시스템생물학의 개념은 예전부터 있었으나 시스템의 구성인자에 관한 정보획득의 어려움 때문에 21세기에 들어와서야 사용되었다. 그 동안 축적되어온 오믹스 로 표현되는 다층적인 대량의 데이터 발굴과 컴퓨팅 능력의 조합이 이런 시스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 다.
  • 4. 시스템생물학 관련 논문의 연도별 발표 현황 Pubmed에 등록된 시스템생물학관련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과거 3년간 발표된 논문수가 전체 논문수의 절반이상을 차지 시스템생물학 연구분야의 성장은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최근에는 유전자의 신 기능 예측 및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본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5. 나. 해외동향 국외 시스템생물학-관련 주요 연구 기관 및 프로그램 시스템생물학은 2000년 대에 들어와 시작된 연구 지만 현재 선진국을 중심 으로 매우 활발하게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 SBI 등 미국 – AfCS, 시스템생 물학연구소, 분자과학연 구소 등
  • 6. 2010년 ICSB 국가별 포스터 발표 상위 10위 (교신저자 기준) 범세계적인 시스템생물학자들이 모이는 시스템생물학 국제 심포지움(ICSB)은 미국, 유 럽, 일본을 돌아가며 매년 개최되는데, 2010년에는 영국 에딘버러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52개국에서 연구자들이 참가 2010년 ICSB에는 시스템생물학업체가 참여하여 학계와 대형 제약업체가 교류함
  • 7. 다. 국내 현황  2002년 - 시스템생물학 연구회 구성으로 그룹화, 상호연계연구, 연구대상 생체시스템의 체계적인 선정  2003년 4월 - 서울대 문화관에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스템생 물학 국제학술대회가 개최  2003년 6월 - 시스템 생물학을 국책연구사업과제로 선정하여 "시 스템생물학사업단"을 출범시켰으며 11개 세부과제를 중심으로 시스템생물학연구가 시작  2005년 - 2단계 사업으로 진핵세포를 대상으로 "칼슘대사 시스템 생물학연구(KOSBI)"와 원핵세포를 대상으로한 "대사회로분석 및 가상세포시스템연구"가 선정  2008년 - 3단계 사업  2009년 - GIST에 시스템생물학연구소가 설립되어, 이화여대시 스템생물학연구소,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와 함께 시스템생물학 인프라구축사업을 추진  2010년 - 4단계 사업
  • 8. 국내 시스템생물학 관련 주요 학술 대회 및 학술 활동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국내 시스템생물학 관련 학술 활동이 꾸준히 증가 하고 있고, 국제적인 심포 지움도 개최하여 연구 성 과를 교류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 9. 라. 발전 과제  시스템생물학은 생명과학, 정보과학, 컴퓨터 기술 등 의 새로운 기술의 집약과 다양한 학문분야의 협력이 요구되는 자본 기술 집약적인 분야인 만큼, 인프라 구 축을 위한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  이 분야 선진국의 경우와 같이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시스템생물학 연구소의 설립이 시급 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 실험계획의 단계에서부터 시스 템과학 전공자와 의논할 수 있는 학문적 분위기가 조 성되어야 하고, 공동연구수행을 위한 상호노력이 이 루어져야 한다.
  • 10. 키워드 "systems biology"로 검색한 국가별 누적논문 통계 우리나라는 총 61편으로 누적 논문수는 13위를 차지하나, 지난 1년간 논문수 증가율은 6위를 차지하 고 있고 국내에서도 시스탬생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연구 및 학술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 11. 신약 관련 기업의 시스템생물학연구 현황 시스템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효과 적 질병원인 규명, 약물의 효과 예 측, 신약후보 물질 및 바이오마커 발 굴은 신약개발의 새로운 패려다임 으로써 많은 신약개발에 큰 영향을 미침 세계 10대 제약업체 중 많은수가 신 약개발에 시스템생물학적 접근법을 도입하거나 시스템생물학 기술을 가진 업체와 협력하여 신약개발을 하고 있다.
  • 12. 요약 시스템생물학은 시스템이론을 생명과학에 응용한 것으 로, 학체 간 융합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새로운 신약개발 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점차 활발하게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시스템생물학 인프라 를 구축하고 있고 국가 차원에서 더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 하다. 느낀점 이 PPT를 만들면서 앞으로의 신약 개발은 우리가 공부하 는 생화학분야 단독의 기술 뿐만이 아니라 여러 다른 분야 와 함께 연구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 생 각하였다. 그러므로 우리가 공동체의식을 가져서 서로 협 력 연구해야 한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