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44
제 1절 생명공학 육성정책
제 2절 생명공학 경쟁력 지표 및 주요연구성과


                                3조
  박건태, 강영은, 김상현, 김유림, 김경훈, 안정렬, 표민지
1절 생명공학 육성정책                2절 생명공학 경쟁력 지표 및
1. 생명공학 연구개발 지원정책            주요연구성과
2. 생명공학산업 육성정책              1. 투자현황
3. 생명공학 기초과학진흥 및 인력         2. 인력현황
  양성정책                      3. 특허현황
4. 농식품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4. 논문현황
5. 보건의료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5. 인프라현황
6. 정보통신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6. 주요연구성과현황
7. 환경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8. 해양수산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참고] Bio-Vision 2016 추진현황
1. 개요
 1982년 : 과학기술부에서 생명공학을 핵심전략
  기술로 선정하여 특정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을 시
  작하면서부터 정부 차원의 생명공학 육성이 시작.
 1983년 : 「유전공학육성법」(現 「생명공학육성법
  」)을 제정하여 정부의 생명공학 육성․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
   1985년 : 동법을 기반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부설로 “유전공학센터”를 설립하여 생명
    공학의 본격적 육성․지원을 시작.
   2009년 : 2009년 생명공학 분야의 국제적 경쟁
    력확보와 initiative 선점을 위하여 기존사업의
    전략적인 조정이 이루어짐.
- 기초연구 사업
 1989년 : 이공학 분야의 기초연구분야 육성을
  위해 국가지정 연구실사업(NRL), 우수연구센터
  (SRC, ERC),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기초 의
  과학 연구센터(MRC)를 운영
 2009년 : 한국재단이 설립되면서 크게 2개 그룹
  (개인 + 집단), 5개 연구사업으로 재편.
  - 개인연구 : 일반연구자, 중견연구자, 리더연구
  자 지원사업으로 구분하여 추진
  - 집단연구 : 기초연구실과 선도연구센터의 연구
  협력센터를 대학 내에 설치하여 연구를 지원.
2. 연구개발 지원 체제
(1) 법적, 제도적 기반
 생명공학 육성법
  - 생명공학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여 생명공학을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
  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함.
  - 주요내용은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및 연차 별
  시행계획의 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설치
  ․운영, 5개 부처(교육과학기술부, 농림 수산식품
  부, 지식경제부, 보건 복지가족부, 환경부)의 생
  명공학 육성시책의 강구 등이다.
   뇌 연구촉진법
    - 뇌 연구 촉진을 기반으로 조성하여 뇌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
    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복지의 향상 및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주요 내용은 뇌 연구 촉진기본계획 및 연차 별
    시행계획의 수립, 뇌 연구 촉진심의회의 구성․운
    영, 뇌 연구 투자의 확대, 3개 부처의(교육과학기
    술부, 지식경제부, 보건 복지가족부) 뇌 연구 촉
    진시책 강구 등이다.
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그 집
    행 및 조정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소속 하에 5개 부처의
    차관 및 민간전문위원으로 구성된 기구를
    두어 전반적인 계획 수립 및 조정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정부출연연구소로 교육과학기술부에 소속
  되어 있다. 주요기능으로는 바이오융합, 바
  이오신약, 바이오 소재, 바이오 정보분야의
  첨단 생명공학기술분야 연구개발 및 원천기
  술 개발․보급
 - 공공인프라 구축지원, 국가정책의 Think-
  tank 및 전문인력 양성
(3)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육성법」 제4조에 근
  거하여 생명공학 분야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촉진
  을 위하여 ‟94년부터 범국가적인 “생명공학육성기
  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였고, 이어서 제2차 생
  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2016)을 수립하
  여 시행
생명공학육성 연도별 시행계획수립
-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육성법』 제5
 조에 근거하여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생명공
 학육성기본계획에 따른 연도별 “생명공학육
 성 연도별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하여 시행
- 교과부 등 6개 부처에서 2008년 실적 대비
 하여 총 약 9,763억 원을 투입하여 연구개발
 과 공공 R&D 인프라 구축을 위한 출연기관의
 예산 확대 등의 시설 및 기반구축사업, 인력
 양성을 지원하며 부처별연구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3. 주요 연구개발 프로그램
 (1) 기초과학육성사업
   리더연구자지원사업
 - 세계 수준의 연구리더 육성을 위하여 차세대 연구
   자를 발굴하여 글로벌 리더로 집중 육성하고, 검증
   된 세계수준의 연구자가 해당분야의 연구거점으로
   성장토록 지원하는 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와 도약연구의 두 가지 지원분야로 나누
   어지며, 핵심연구는 기초연구의 전주기적 지원체
   재구축을 위해 일정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중견
   연구자를 중심으로 개인 및 소규모(2~3인) 협동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
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
-   이공학분야(SRC/ERC), 기초의과학분야(MRC) 및
    학제 간 융합분야(NCRC)의 세 분야로 나누어진다.
-   이공학 분야는 국내대학에 산재되어있는 우수한
    연구인력을 특정분야별로 조직․체계화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세계적 수준의 선도과학자 군으로
    육성
-   기초 의과학 분야는 의과․치과․한의과 대학의 기초
    의학교실과 약학대학을 중심으로 연구인력과 자원
    을 조직․체계화하여 기초의약학 부문 거점연구조
    직을 육성
-   학제간 융합분야는 국가차원의 전략적 육성이 필
    요한 미래지향적 과학기술분야의 전략적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 세계수준의 지식 및 경쟁력을 창출하
    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2)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 바이오 기술을 통한 미래 핵심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
  적 지원 사업으로 총 10개 사업을 지원
- 신약타겟디스커버리, 바이오소재연구, 뇌연구, 노화연
  구, 오믹스연구, 바이오재생연구사업, 바이오인포메틱
  스, 바이오인터페이스사업, 질환별 글로벌신약후보물
  질 발굴사업을 추진
(3)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 미래원천기술, 공공원천기술 중 강점분야를 전략적으
  로 선택하여 세계 초일류기술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한 장기 대형 연구개발 사
  업
- 인간유전체기능연구,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 작물유
  전체기능연구,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세포응용연구,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개발,
  뇌기능활용 및 뇌질환치료 기술개발 등 8개 사업
(4)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 장기사업)
- 우리에게 강점이 있고 부가가치가 큰 바이오신약․
  장기 분야의 핵심제품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핵심
  기술의 특허출원 및 제품화가 가능한 분야 위주로
  최종목표와 사업범위를 구체화하여 추진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단백질칩 기술개발, 약물
  전달시스템기술개발, 면역기능제어기술개발 등 4
  개 분야의 핵심제품을 개발
4. 추진방향 및 발전과제
- 국가 생명공학 분야의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
  에서는 생명공학분야의 미래 유망 핵심원천기술의
  확보 및 선진화 기반을 확충하고자 생명공학 분야
  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와 initiative의 선점을 위한
  과감하고 전략적인 생명공학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할 계획
- 주요 9개 질환중심의 글로벌 신약후보물질 개발지
  원을 통하여 국내 제약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혁
  신적인 신약개발에 역점을 두는 한편 의사-이공계
  과학 기술자간의 협력연구 활성화를 통한 생명공
  학분야의 다학제간 창의적인 융합연구의 역량 강
  화를 적극 추진 할 계획
- 신약개발에 있어서도 후보물질, 전임상, 임상까지
  전 주기적인 분야에서 관련부처와 효율적인 연계
  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예
  정.
1.    국내 생명공학산업의 가능성과 한계
-    국내 생명공학산업(바이오산업)은 1994년 생명공
     학육성법이 제정된 이래 집중적인 투자를 받았지
     만 아직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흡하고 글로벌 경쟁력도 취약한 것이 사
     실이지만, 짧은 역사에 비해 높은 신약개발 성과와
     역량을 보유
-    현재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은 선진국 대비
     60~70%의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5
     ~10년 이내에 글로벌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
-    한계점 : 논문, 특허 등의 연구 성과에 비해 기술료
     수입, 매출 등의 사업화 성과가 미흡하고 민간 투
     자가 부진
2. 생명공학산업 육성을 위한 지식경제부의 주요 정
  책
- 지식경제부는 산업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때
  까지 산업화 지원에 중점을 둔다는 기본 정책방향
  을 가지고 있다. 기술변화와 산업성장 추세를 감안
  하여 전략적 투자방향을 설정할 것이며, 부처 협조
  체제 강화와 산업화 촉진을 위한 비즈니스 환경 조
  성에 주력할 계획
(1)    국가 R&D 투자 효율성 제고
 -    지식경제부는 과거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성장동
      력기술개발사업 등으로 분산되어 있던 R&D 사업
      구조를 2008년부터 산업원천 기술개발사업으로
      통합하여 일원화 하였고 이에 생명공학산업 R&D
      도 바이오의료기기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일
      원화 하여 운영
 -    개편된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에서는 정부의 산업
      발전전략, 특허 연계형 기술 등에 기반한 Top-
      down방식과 함께 기술수요조사에 기반한
      Bottom-up방식을 동시에 고려하여 과제를 기획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    지식경제부는 현장 수요를 고려한 기술 개발을 전
      략적으로 추진하여 산업화 성공사례를 창출해 나
      갈 계획
(2) 바이오산업 인프라의 활용도 제고
 지역 바이오 활성화 기반 구축
- 자원, 인력, 기술 등 지역특성을 바탕으로 구축된
  지역 바이오 센터를 특성화하여 이를 통해 창업 보
  육과 지역 고용 창출을 활성화 하고„1사+1상품‟
  성공사례를 발굴해 확산시킬 계획
- 충청권에 의약 바이오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을 추
  진하여 의약 유효물질․후보물질 개발 및 효능검증
  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사업과 신약 및 의료소재
  실용화 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
 코리아 바이오허브(Korea Bio-Hub) 구축 사업 개
  편
- 기존에 지역바이오센터의 네트워킹 역할 위주였던
  코리아 바이오허브 구축 사업을개편․강화하여 기
  존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네트워
  크 구축을 강화할 계획
- 국내 바이오클러스터와 해외 클러스터 간 파트너
  링을 강화하고 기업 해외마케팅 지원을 확대할 계
  획
 인프라 자립기반 구축
- 일부 상업적 활용가치가 큰 인프라들의 경우 공공
  성과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경영기
  법 도입 등 자립기반을 구축할 예정
   바이오아웃소싱서비스(CRO, CMO) 기반 구축
-   위탁연구, 위탁생산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서비
    스기관들의 활성화를 통해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거대시장에 직접 마케팅 할 수 있
    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
-   이를 위하여 CRO, CMO 등 바이오아웃소싱서비스
    시설을 구축하고 관련 전문 인력을 적극 양성할 계
    획
(3) 바이오 스타기업 육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
  고
- 현재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제품개발․판매경험이
  거의 전무하여 미국, 유럽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취약한 상황
-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는 치료제․진단시스템 등 단
  기 상용화가 가능한 사업 분야에 대해 선도적 집중
  투자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을 생산하는 바이
  오 스타기업 육성에 주력
(4) 녹색성장을 위한 바이오 화학산업(산업바이오)
  육성 본격화
- 바이오 화학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할 수 있
  는 친환경 녹색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 동안
  국가적 관심과 투자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
- 이에 따라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뿐만 아니라
  석유의존도 감소, 에너지 절약 등이 가능한 바이오
  화학산업을 본격 육성할 계획
- 이를 위해 바이오플라스틱 등 바이오 화학제품 개
  발 관련 R&D 지원을 확대함과 동시에 인증제 도
  입 등도 검토할 계획
3. 생명공학육성과 지식경제부
- 생명공학산업(바이오산업)은 고령화, 기후변화, 삶
  의 질 향상이라는 시대적 메가 트렌드에 부응하고
  IT혁명의 뒤를 이을 고부가가치 미래 신산업
 지식경제부는 2015년 생산 60조 원, 수출 250억
  달러, 바이오 7대 강국 달성 등을 목표로 생명공학
  기술의 산업화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다할 계획
1.  생명공학분야 기초과학진흥
(1) 필요성
 - 최근 유전체학/단백체학 및 세포체학/대사체학 연
   구 등에서 급속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생명공학은
   우리의 미래 생활에 큰 변화를 예고
 - 생명공학의 성과는 생물학, 생화학, 생리학, 생물
   물리학 등 관련 기초과학의 다양한 실험 기술의 성
   과에서 기인한 것으로 관련분야의 기초과학 발전
   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
(2) 정부의 기초과학 진흥 추진 과정
- 대학교수, 박사 후 연구원 등 관계 전문가의 연수
  및 연구비 지원
-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장학금 지원
- 연구교수 제도, 교수의 연구 휴가제도, 객원교수제
  도 및 객원연구원제도의 활용
- 대학의 연구시설 및 기자재 지원
- 대학부설연구소 및 우수 연구 집단 형성 지원
- 대학, 국공립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 및 기업부설
  연구소와의 공동연구 추진 등 산업계, 학계 및 연
  구소간 교류 촉진
- 기업의 대학 기초과학 연구 활동 지원 추진
- 기타 연구 환경 조성 및 연구기반 구축에 필요한
  사항 등
(3)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과학연구지원 현황
- 한국연구재단에서는 대학연구소 전문화 및 특성화
  를 위해 대학부설연구소를 지원하는 중점연구소지
  원사업과 연구를 위한 소재은행구축 및 운영을 위
  한 연구소재 은행 사업, 그리고 신진 연구인력을
  지원하기 위한 학문후속세대 사업을 지원
- 정부에서 이공분야에 지원하는 총 R&D 투자액 중
  생명과학분야의 범주에 속하는 생명과학, 농림수
  산, 보건의료 부문에 지원되는 총 투자액수는 전체
  R&D 투자액의 17.5%를 차지
2. 생명공학 분야 인력 양성
(1) BK21 사업

 - 제2단계 BK21(2006~2012년)사업의 경우 생명공
   학 관련으로 21개 전문서비스(의치의학) 사업단, 과
   학기술(기초 분야) 14개 사업단과 31개 사업팀, 과
   학기술(응용)분야 17개 사업단과 29개 사업팀을 지
   원
(2)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
- 인력양성지원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가균
  형발전을 목표로 지방대학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4년 시작
- 생명과학 분야 누리사업 지원현황
가. 농식품생명공학 추진배경
-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농식품분야에서 신성장동력의 창출을
 위한 핵심수단이 농식품생명공학이라는 인식이 확산.
- 농식품생명공학기술은 적용 범위가 다양.
- 농식품생명산업 분야에 대한 수요는 최근 급격한 증가 추세.
  → 정부는 농식품생명공학 산업을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
 양한 정책을 추진.
나. 육성현황
- 농식품생명공학 육성은 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이루어짐.
- 제 1차 생명과학육성계획이 추진된 1994년~2006년까지 지난 13년간 농
 림수산식품부에서는 초 5,566억 원(국가생명공학 투자액의 12.8%)을 투자.
나. 육성현황
(1) 농림기술개발사업
- 농식품생명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협동 연구개발을 통한 농림기술의
실용화 촉진을 목표로 추진.
- 2006년부터는 생명공학 분야 중 고기능성 농식품, 생물자원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산업체의 연구과제 참여 강화 등 농림생명공학의 실용화
성과 실현에 많은 역점을 두고 추진.
(2) 수의과학기술개발사업
- 선진화된 수의과학기술 개방을 목표로 1998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사업
으로 동물 질병, 검역, 동물의약품 개발 등의 기술연구가 진행.
(3) 수산생명공학연구
- 수산과학기술 개발을 목표로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사업.
(4) 바이오그린21사업
- 2001년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약 3,30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농업생명공학 분야의 고부가가치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농
림생명공학 분야의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
- 5개의 연구 분야( 자원 다양성, 유전체분석, 안전성 등)에 대해 8개 연구단
(농업생물자원다양성연구단, 동물유전체개발연구단, 분자육종연구단, 기능
성소재연구단, GMO안정성연구단 등) 형태로 운영됨.
(5) 바이오장기생산사업
- 장기 부족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의료복지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 바이오장기 제공용 무균돼지를 효율적으로 산업화 시키는데 초점을 맞추
고 사업을 3개의 중점 분야로 특화하여 연구를 진행.
(6) 농업유전자원의 국가관리체계 확립 및 활용사업
- 농업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 장기 안전보존 및 종합전산화를 통한 국가
관리체계 구축 등 국가의 자원주권 확보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2006년 11월에는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가 준공되어 농업유전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됨.
(7) 임업시험연구사업
-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고부가가치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 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
- 2004년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약 17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산림자원 유래 신기능성 물질 개발‟, „세포공학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창출‟,
„ 임목의 고유유전자 특성 규명 및 신기능 품종 육성‟을 실현해 나갈 계획.


다. 향후 추진방향
- 농림분야도 생명공학 기반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해 기술·지식 집약적
 농림업으로 전환되어야 함.
- 우리나라 농림생명공학은 아직 산업화 태동기나 성장잠재력이 높아 향후
 국가기간산업으로의 규모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
- 장기간의 기술 개발 소요기간, 복잡한 산업화 과정과 대규모 자본투입을
 요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농림생명공학은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가 요구됨.
- 농림생명공학 투자는 산업화 실현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함.
- 독자적인 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개발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
 한 투자가 뒤따라야 함.
- 세계적으로 농림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
 나라의 일부 기술도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음.
- 정부의 지속적인 기술기반과 인프라 투자 지원, 연구기관의 차별화된 기술
 개발, 산업체의 고부가치 상품 생산을 선순환 체계 구축을 통해 농림생명공
 학은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거듭날 것임.

※ 농업유전자원 기본계획 수립·시행
 - 유전자원은 현재와 미래의 농업의 무한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자산
  으로 인식되어 세계 각국은 유전자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 21세기 국부척도는 유전자원의 양과 질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농업유전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① 국내외 유용 유전자원에 대한 사전조사 강화, 유전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국내 대학, 연구소, 유전자원 책임기관 등이 참여하는 유전자원 조사·
  수집팀 구성·운영하며, 토종자원의 반환 추진을 위한 국가간 협력체계 강화
  하고 국제농업기구 및 그 소속 연구기관과의 협력 확대.
②연구자·육종가 등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유전자원
특성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농진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를 정밀평가 중심기
관으로 운영하고 관리기관을 유전자원 병·충·기능성 성분에 따라 분야별
정밀평가 전문기관으로 육성.
③ 소량 및 저활력 유전자원의 안전한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산·
학·연 및 유전자원 관리기관과 협력체계구축, 특별증식사업을 획기적으로
확대.
④ 재래종 유전자원 등 국가 중요자원에 대한 DNA뱅크를 구축하여 자원주
권 확보 및 생명산업 소재 활용에 더 노력하고 식물, 동물, 미생물 유전자원
정보늬 효율적 관리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종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
용자에게 On-stop 서비스를 제공.
⑤ 유전자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유전자원 책임기관에 단기전문과정을
개설·운영하며, 유전자원 관리기관의 지정을 대학 중심으로 확대.
가. 개요
- 보건의료분야 : 국민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서비스 등의 전반적 분야.
-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의료기술을 활용한 건강사회구축을 위해 “건강수명
 의 연장, 삶의 질 향상, 보건의료 산업의 경쟁력 강화”의 비전으로 투자, 인
 프라 구축 등 지원.
나. 주요 연구개발사업
(1)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가) 개요
   -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의료기술진흥법(1995.12)을 제정하여 『보건
 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을 추진.
   - 지난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간 총 1조 308억 원의 정부 연구개
 발 자금을 지원.
   - R&D투자 비율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투자가 점진적으로 확대.
   - 기반기술 분야에는 연구개발비 전액 지원.
   -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실용화 및 제품화 기술과제에는 연구개발비 50%
 이내 지원.
(나) 지원내용
 - 지원분야는 의과학,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 정보, 건강기능 제품 등 분
야를 포함.
(2) 한의학 선도기술 개발
 (가) 개요
   - WTO에서는 세계 전통의학 시장이 2000년 600억달러에서 2008년까
 지 2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 이용자가 급격히 증가래 세계인구의 6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
   - 현대의학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의료비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전통의
 학과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세계 전통의학 시장이 넓어
 지고 있음.
   - 세계적인 관심 속에 우리의 한의학적 접근 방법을 통한 치료기술개발은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 정부는 오랜 전통을 지닌 한의약의 경험과 지식정보를 이용해 핵심원천
 기술과 응용기술 개발하고, 한의약의 안정성·유효성을 입증해 국민보건향
 상과 한방산업에 기여하고자 1998년부터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2020프로젝트)」을 추진.
 (나) 지원내용
   - 새로운 한방치료기술과 한약제제 등의 연구개발을 활성화 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부처계획인 „한방치료기술개발사업 중장기 발전계획
 (2008~2017)‟을 2008년 2월 21일 재수립.
(3) 질병관리연구
 (가) 개요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연구로 1999년부터 본격
 적으로 시작되었음.
   - 주요 연구 분야 : 국내 발생 전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 진단 및 치
 료 기술 개발연구와 질환관련 유전체 분석을 통해 질병을 예측하는 유전체
 사업
 (나) 지원내용
   - 질병관리연구는 주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의 자체 수행과제.
   - 부가적 비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역과제의 형태로 외부 연구기관에 위
 탁하여 수행
   - 질병관리분부는. 연구사업의 수행을 바탕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
 는 일선 기관으로의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
(4) 국립암연구소 지원
 (가)개요
   - 2000년에 국립암센터법을 제정해 국립암센터를 설립·운영.
   -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과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으로 총 814
 억 원의 정부연구개발자금이 지원.
   - 향후 암에 관한 연구와 투자는 국민의 보건 상향에 중요한 만큼 선진국
 에 버금가는 투자를 하도록 확대되어야 함.
 (나) 지원내용
   -국립안센터는 암 발생률과 사망률 감소 및 치료율 제고와 직결되는 4대
 연구분야를 선택해 집중 수행.
   -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해 환자의 치료 수준과 삶
 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이행성 연구에 중점을 둠.
다. 향후 발전방향
-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질
 병구조의 변화 등 새로운 정책 수요를 반영한 종합적인 보건의료 R&D 중장
 기계획을 마련함.
-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에서 탈피해 수요자(국민)가 체감할 수 있는 보건
 의료 R&D사업의 목표를 질병극복·건강증진 중심으로 정함.
[참고]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1) 배경
  (가) 포스트지놈 시대에 현저히 발전하고 있는 유체연구기술로 예측의학,
  맞춤의학 시대의 도래
  (나) 인체자원 종합관리 필요성 대두
 (2) 추진체계
  (가) 2012년까지 유전자 정보와 질병과의 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양적
  측면과 질적측면을 만족시키는 인체자원 확보
  (나) 2016년까지 선정된 단위은행의 유지 및 활용성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국내 인적자원 공급과 관련정보획득의 편의성 제공
  (다) 인체자원 관리의 범부처적 통합관리를 위한 역할분담
(3) 사업성과
 (가) 은행 간 연계확대 및 종합 관리체계 구축
   - 2009년, 12대 인체자원단위은행 선정 및 지원
   - 인체자원 은행 표준운영메뉴얼, 정도관리 표준 프로토콜 등 운영정책개
 발 및 도입
   - 인체자원 종합관리 및 연계 시스템(KBM) 구축 및 운영
가. 추진배경
-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을 거쳐 와이브로에 이르기까지 고
 도화된 IT가 BT와 접목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의 능력을 극대화 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임.
- 세계적인 고령화문제, 환경·안전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IT
 와 BT의 융합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됨.
- 선진국에서는 차세대 산업으로 융합기술의 성장가능성을 인식하여 융합기
 술 발전전략을 수립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
- IT에 강한 우리나라는 IT산업을 기반으로 융합기술을 선점해 블루오션 창
 출과 초고령화로 치닫는 국내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
나. IT융합기술 서비스 현황 및 전망
- IT융합기술을 활용해 가장 두드러지게 활성화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는 건
 강·의료 서비스 분야.
-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의료, 재택의료가 도입되었고 유비쿼터스(u) 시대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건강관리가 가능한 u-헬스 시대가 열리고 있
 다.
- IT융합기술을 활용해 파생되는 새로운 서비스는 매우 다양하며 전 산업의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
다. IT융합기술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 IT융합기술시장의 가장 큰 분야인 u-헬스케어 시장규모는 고령화와 만성
 질환자 증가에 따라 크게 확대될 전망.
- 2010년경 u-헬스케어 국내 시장규모는 서비스와 장비를 포함해 약 1조 5
 천억 원으로 추정됨. 이는 연평균 성장률 124%로 전체의료비의 3.7%에 해
 당.




- IT융합기술 시장은 기술별로 2010년에 바이오전자 510억 달러, 생물정보
 100억 달러, 생체정보인터페이스 70억 달러 등의 시장규모를 전망.
- IT융합기술의 가장 큰 해외시장인 미국에서는 만성질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는 홈&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할 전망.
 →2006년 9.7억 달러에서 2010년 57억 달러, 2015년 336억 달러로 성
 장할 전망.




라. 융합기술 산업 현황
- 국내 업계는 신 산업의로서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기술의
 난이성과 시장개척의 위험성으로 적극적인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우리나라는 원격 및 재택 진료에 필수적인 무선 통신 인프라는 잘 갖춰져
 있지만 바이오센서나 휴대용 의료기기 기반기술, 의료정보 분석 및 보안기
 술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고 상용화 중인 대부분의 휴대용 생체신호계측
 기기를 수입에 의존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함.
마. IT융합기술 전략분석
- 정부는 IT융합기술 8개 전략분야를 선정
 → 생물정보분석SW, 바이오센서, 생체이미징, 바이오칩, 유해유기물센서,
 생체신호인터페이스, 바이오데이터보호, 생체정보보호
- 미래사회의 서비스 수요를 최대한 충족할 수 있도록 전략서비스 분야로 건
 강환경도우미(Pervasive Lifecare Company)를 선정
바. IT융합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화 추진개획
- IT융합기술 사업화 검증을 위한 표준 정형화된 테스트베드 플랫폼을 구현
 하해 지자체 등 시범단지에서 u-그린케어와 u-실버케어를 서비스해서 사
 업화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계획.
- IT융합기술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예산지원
 이 요구되기 때문에 원천기술 개발부터 제품화 R&D, 표준화 선도. 사업화
 지원, 국내외 시장창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까지 패키지화된 형태로 전주
 기적인 기업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함.
- 경제 저성장과 고령화에 따른 국가 재정의 악화에 대처하고 고령자의 건강
 과 목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IT융합으로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위
 해 IT융합형 고령친화제품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체계를 포괄하는 마스터플
 랜 수립이 추진 중.
7. 환경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가.기술개발 필요성
    (1)환경생명공학기술
환경기술(Enbironmental Technology,ET)
:환경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람과 자연에 대한 환경    피
해 유발요인을 억제,제거하는 기술로서 환경오염을 사전에 미리
예방 또는 저감시키거나 오염 및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는 등 환경
의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기술

환경생명공학기술(Enviro Bio Technology,EBT)
:환경오염을 저감,예방,복원시키기 위하여 생물과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이용하는 생명공학기술(BT)을 ET에 접목 또는 융합하는
기술로서 환경과학, 생태학, 분자생물학간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
요한 기술분야
생물공정기술,미생물이용기술을 주로 활용
기존의 환경기술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를 해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부각
근래 각 분야에서 첨단기술이 발달되어 오염환경정화,오염예방,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오염검출 분야로 그 영역이 커질것으로 전
망됨
(2)환경기술개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새로이 등장한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대응
을 위한 환경기술개발의 중요성 증가
-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메조수준의 단위시스템관점→매크로(macro)수준의
네트워크 개념의 사회적통합관점
- 과학기술적분야연구+사회과학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전략 강화
- 나노(nano)수준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설명 가능해짐→나노수준의 과학적 규
명에 바탕을둔 환경정책의 추진 필요
1. 투자현황
가.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
 -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국가연구개발 사업 투자
 규모 가 지속적으로 증가.
 - 2008년, „577 Initiative‟를 수립해 7대 기술분야
 를 중점 육성
 - 7대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2012년 과학기술 7
 대 강국을 달성
-   BT를 미래유망기술로 선정 투자 및 확대
나. 부처의 BT분야 연구개발 투자 현황
 (1)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현황
(3)주요 부처 투자 현황 :(가)교육과학기술부
(나) 농림수산식품부,농촌진흥청,산림청
다) 보건복지가족부, 식품의약품안정청
(라)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2. 인력현황
가. 바이오산업의 인력현황
 - 예전에 비해 학사가 늘어났지만 여전히 고학력
 비중이 높다.
- 바이오산업의 인력구성
나. 바이오산업의 고용 추이
- 4년마다 인력규모가 2배 이상 늘어남. 바이오산
 업의 급격한 성장을 보여준다.
- 인력 수요가 연구직에서 생산직으로 이행
3. 특허현황
가. 생명공학 특허개요
  - 생명공학분야에서 특허는 매우 중요한 의미
 - 시장진입을 위한 기간이 장기간이므로 특허 획득
 이 중요
 - 특허정보는 연구개발성과를 측정, 국가의 과학기
 술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다. 한국에 출원된 생명공학특허건수 동향
- 1999년, 2000년, 2006년, 2007년에 급격한 증
 가
- 측정 시험 분야, 단백질체의 펩티드분야, 유전체
 의 유전공학분야 등
- 신약후보물질분야는 급격한 감소세
- 측정 시험, 유전공학, 치료용 항체분야는 2007년
 에 급격히 증가
라. 한국특허로 본 생명공학분야 중 기초산업의 선
 두주자

- 생명공학연구원이 전 분야에서 상위 3개사에 포
 함
- 서울대학교가 3개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
 원
마. 미국에 등록된 생명공학특허건수 동향
- 1990년대에 급성장, 2000년 이후 주춤세
- 1998년 휴먼게놈프로젝트 종료 후 수익성 중시
 경향이 나타나며 조정기를 거치는 중.
- 신약후보물질분야가 한국과 마찬가지로 감소 중.
- 생물의약 치료 항체 분야는 증가세
바. 미국특허로 본 생명공학분야의 기술분야별 선두
 주자

- 유전체에서 Pioneer Hi-Bred Int‟l, Inc.가 128건,
- 단백질체 및 항체 이용에서 Genentech Inc.가 각
  각 262건, 175건의 특허 보유
사. 고인용(Highly Cited Patent) 특허로 본 우수특허
 발굴
- 2008년에 가장 많이 이용된 특허

: 형질전환동식물 중 신규 식물 분야,
  측정진단기술 중 측정, 시험분야,
  생물공정기술 중 생물적합성분야
   2008년 SCI 세계 논문 수는 1,158,247편이며 우
    리나라 논문 수는 세계논문수의 3.07%인 35,569
    편으로 세계 순위는 12위를 차지했다.
    최근 5년 간 우리나라가 발표한 논문 141,640편 중 1회 이상 인용된 논문
    은 79,062편으로 논문의 피인용 비율은 56%이고, 5년 간 논문의 총 피인용
    횟수는 465,022회로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3.28회로 세계평균
    (4.62회)의 71% 수준이나 연별피인용 횟수를 보면 연도가 누적됨에 따라
    피인용도가 높아지는 성향을 보이고있다.
    우리나라 논문의 5년 주기별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세계 전체평균보다
    낮은수준이나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논문의 질적인 측면도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SCI 과학기술 18개 분야 중 최근 5년간(2004~
    2008) 우리나라가 발표한 생명공학 6개 분야의 논
    문현황은 다음과 같다.
   생명공학 6개 분야 중 3개 분야(약리학, 미생물학, 생물학&생화학)에서 세
    계 상위10위권에 포함되는 등 최근 들어 생명공학분야 논문의 세계 점유율
    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국가별 생명공학분야 논문수를 보면 미국
    이 6개 분야 모두 월등히 앞서며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순으로 뒤를 이었
    고, BRICs국가(브라질, 러시아, 인도,중국)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치를 보
    였다.
    우리나라 생명공학분야 SCI 발표 논문 수는 1990년
    에는 6개 분야의 합이 112편에 불과하였으나, 1999
    년에는 면역학(119편)이 39.7배, 미생물학(306편)이
    34.0배, 분자생물학&유전학(175편)이 21.9배, 생물
    학&생화학 (794편)이 11.3배, 신경과학&행동과학
    (187편)이 31.2배, 약리학(291편)이 18.2배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다. 2008년에는 10년전과 비교하여 면
    역학(234편)이 2.0배, 미생물학(896편)이 2.9배, 분자
    생물학&유전학(833편)이 4.8배, 생물학&생화학
    (1,831편)이 2.3배, 신경과학&행동과학(592편)이 3.2
    배, 약리학(1,034편)이3.6배 늘었다.
    최근 5년 간 면역학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 980편 중 1회 이상 인용된 논문
    은 743편으로 논문의 피인용율은 75.82%로, 국내평균 피인용율(55.93%)
    의 1.36배이며, 생물학&생화학은 71.40%로 1.28배, 신경과학&행동과학은
    71.23%로 1.27배, 분자생물학&유전학은 70.23%로 1.26배, 약리학
    65.83%로 국내평균의 1.18배이고, 면역학․생물학&생화학, 약리학, 신경과
    학&행동과학 등 4개 분야에서 같은 분야 세계대비 비율 수치에 근접하게 나
    타났다.
    최근 5년간 생명공학분야 발표논문에 대한 피인
    용 현황을 보면 평균인용지수는 국내평균지수
    (3.28)에 비해 분자생물학&유전학이 3.5배 6개분
    야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분야 세계대비
    비율은 매우 저조하지만 지식구조에 있어서 1999
    년∼2003년의 세계 평균 대비 국내 피인용수에 비
    해 2004년∼2008년 사이에 우리나라 지식구조가
    세계와 유사한 경향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1. 기초 응용연구 단계 인프라

2. 개발 시생산 및 산업화 단계 인프라

3.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
(1) 기초 응용연구 단계 인프라
   기초․응용연구 단계 인프라는 기초이론과 실험,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의 개
   념을 정립하고 연구실 규모의 기본성능을 검증하고 부품과 시스템의 핵심성능 평가
   등을 지원하 는 인프라이다. 주로 국책연구원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형성되어 기술개
   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기초․응용연구 단계에서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는 한국생
   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제품 안전성평가와 정보관리, 국가영장류센터 운영, 바이오융
   합 연구, 해외생물소재 허브센터 운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 및 확산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표적지향형 신규항암제 후보물질 연구와 실시
   간 분자영상 스마트센터기술 연구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한의약연구원
   은 한의학표준화연구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유비쿼터스 건강관리시스템 연구 등
   의 중요한인프라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그러나 기초․응용연구 환경에 종합적으로 필요한 2개의 핵심 인프라로 한국기초과
   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에 설치된 한국세포주은행을 꼽을 수 있다. 한국세포주은행은
   1982년 전국의 연구기관에 필요한 세포주를 개발하고 공급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세
   포주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보존․공급하고 있으며, 세포주와 관련된 각종
   교육․연수․학술회의를 맡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 세포주의 기탁과 보존의 기능을 담
   당하고 있다. 1993년 UN 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로부터 특허미생물의 국제기탁기
   관의 지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자체개발 세포주 330여종(109종 분양가능), 외국도입
   세포주 428종을 보유하고 있다.
(2) 개발 시생산 및 산업화 단계 인프라
    산업화 지원 인프라는 기본적으로 기업성장 단계별 지원(창업보육 등), 시설․장비구
     축․활용, 교육훈련, 정보교류, 기술지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의 형태로
     크게 구분하면, ① 생물산업실용화기반(cGMP, 발효미생물활용센터), ② 바이오안전
     성기반(LMO), ③ 연계협력기반(Korea Bio-Hub), ④ 산업기술기반조성(BVC, 산학연
     공동연구기반), ⑤ 지역클러스터(지역특화센터) 등이며, 국내 생물산업의 여건과 경
     쟁력을 고려하여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구축되었다. 생물산업실용화기
     반 부분을 살펴보면 1998년 국내 생물의약 분야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FDA의
     인증을 받은 우수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기준인 cGMP19)기준의 생산공장이 전무한
     실정을 감안하여 선진국 수출지원을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에 맞는 생물의약
     품 전문생산시설(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1998년~2007년)20)이 구축되었으며,
     2007년 국내 발효식품산업 육성과 위해 전통발효식품(고추장, 된장등)의 안전성 확
     보 및 발효미생물자원의 허브 구축을 위하여 발효미생물종합활용센터(1998년
     ∼2007년)21)가 구축되었다. 바이오안전성기반 부분을 살펴보면, 2002년 유전자변
     형생물체(LMO)를 중심으로 대두된 국제무역질서에 대응하기 위한 의무사항의 교육
     과 홍보를 위해 바이오안전 성정보센터(2002년~계속)를 구축하였으며, 연계협력기
     반 부분에서는 국내외 바이오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성화, 그리고 웹포털 구축으로 각
     종 협업기관을 지원하기 위하여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2004년~계속)를 구축하였다.
     또한, 산업기술기반조성과 지역클러스터 부분으로는, 수도권을 포함한 각 지역에 소
     재한 중소 바이오벤처기업의 특성화를 유도하고 현장 밀착형 지원을 위해 산업정책
     차원에서 바이오벤처기업지원센터(BVC, 1998년∼2007년)22)와 산학연공동연구기
     반구축(2004년∼2011년)23),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 바이오클러스터(지역특
     화센터, 2002년∼2012년)24)가 구축되었다.
(3)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
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는 최종 개발제품의 산업화 전
  후 단계에서 인체에 적용해 체내에서 안전성과 유효성
  에 대한 신뢰(비임상, 임상 등)를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
  이다. 대부분 보건복지가족부(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인
  허가를 획득한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형성되
  어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비임
  상시험관리기준(GLP, Good LaboratoryPractice) 시
  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2006년 현재 15개 기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임상시험관리기준(GCP, Good
  Clinical Practice) 기준에 맞는 자격기준을 갖추어 식
  약청으로부터 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지정된 국내기관
  은 2007년 현재 228개(임상1상 32개, 임상2상 87개,
  임상3상 109개) 기관이 운영 중이다.
   정부가 내세운 투자 계획들이 얼마만큼의 실효성
    을 가지고 있을까?



   정부차원의 투자로만은 부족하기 때문에 기업차원
    에서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서 어떤 방법을 쓰면 좋겠는가?
하장완 학생
 - 정부가 내세운 투자 계획들이 너무 많은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일단 모든 계
획들을 실행한 후에, 성과가 두드러지는 분야들만 뽑아서 하는 게 어떠하겠는가?

발표자의 코멘트
 - 그렇게 된다면 뽑히지 못한 분야의 연구자들이나 거기에 투자를 한 기업들에게
는 어떻게 보상을 해 줄지가 문제가 된다.

신상범 학생
 - 기업의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해당 분야에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에게 투
자비율에 따라 먼저 여러 가지 이익을 주는 제도가 필요할 것 같다.

이성무 학생
 - 국가차원에서는 먼저 혜택을 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기업이 투자를 하는 것을
본 후에 혜택을 주어야 하는지 의문이다.
 - 리더연구자 지원사업은 어떻게 진행 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발표자의 코멘트
 - 국가차원에서 먼저 혜택을 주게 되면, 사기업들은 당연히 그 혜택만을 노릴 것
이며, 원활한 투자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될 것이다.
박영준 학생
 - 최소한의 보장 후에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송재창 학생
 - 대학연구소의 어떤 분야가 전문화,특성화 되어있나?

발표자의 코멘트
 - 우리와 같은 분야는 아니지만 저의 고향의 예를 들어보자면 울산대학교가 대표
적이다. 이 학교는 조선분야, 자동차공학분야, 화학공학 분야에 전문화, 특성화가 이
루어 지고 있는데, 학교측에서도 많은 지원을 해 주고 무엇보다도 울산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기업들의 지원이 상당히 많아서 이러한 전문화와 특성화가 원활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
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야 할 큰 흐름중의 하나인 „정책‟
    이란 것과, 또한 생명과학 분야의 여러 정책들을 살펴봄
    으로써, 앞으로 우리가 어떤 연구를 해야 할 것이고, 어떻
    게 하면 자신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인지를 알
    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앞으
    로 우리는 이런 정부의 정책들과 연구현황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더 생명
    과학 분야의 발전을 이룩해야 할 것이다.
   국내 생명과학분야의 경쟁력 지표를 통한 평가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정
    부와 기업 차원의 과감한 투자, 우수한 인력 양성 등이 필
    수적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Sci Feel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Soo-Ik Chang
 
성과평가 신청서2015
성과평가 신청서2015성과평가 신청서2015
성과평가 신청서2015roorouny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두원 차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Soo-Ik Chang
 
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다솜 김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atelier t*h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atelier t*h
 
BK21PLUS-BIOMASS
BK21PLUS-BIOMASSBK21PLUS-BIOMASS
BK21PLUS-BIOMASSroorouny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Sanghyeok Park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Soo-Ik Chang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Jaewoo park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Min Jung So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guestb89ff8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Namkug Kim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mamzzik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Weviokorea
 

Similar to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20)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2009 생명공학백서 2장
2009 생명공학백서 2장
 
제 5절
제 5절제 5절
제 5절
 
성과평가 신청서2015
성과평가 신청서2015성과평가 신청서2015
성과평가 신청서2015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 정책 구조 및 방향성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2009 생명공학백서 1장
2009 생명공학백서 1장
 
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BK21PLUS-BIOMASS
BK21PLUS-BIOMASSBK21PLUS-BIOMASS
BK21PLUS-BIOMASS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
산학협력단정책방향 20140226 경남과기대박상혁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성과평가 신청서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의대컨소시엄 소개 자료 3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시설·장비 현황 및 개선방향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
YD생명과학 사업계획서 생방송 발표자료 v.4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More from Soo-Ik Chang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Soo-Ik Chang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Soo-Ik Chang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Soo-Ik Chang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Soo-Ik Chang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Soo-Ik Chang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Soo-Ik Chang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Soo-Ik Chang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Soo-Ik Chang
 
2009 생명공학백서 4장
2009 생명공학백서 4장2009 생명공학백서 4장
2009 생명공학백서 4장Soo-Ik Chang
 
German korean-workshop 2012
German korean-workshop 2012German korean-workshop 2012
German korean-workshop 2012Soo-Ik Chang
 

More from Soo-Ik Chang (10)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
2013 충북대 생화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리플렛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
App and SNS information for New students in the Dept. of Biochem. at Chungbu...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
The 4th Symposium of the Global Research Lab (GRL) Program of Korea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충북대학교 2013학년도 교육과정 편성 생화학과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Osong Bio Technopolis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안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전공진로 길라잡이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5장
 
2009 생명공학백서 4장
2009 생명공학백서 4장2009 생명공학백서 4장
2009 생명공학백서 4장
 
German korean-workshop 2012
German korean-workshop 2012German korean-workshop 2012
German korean-workshop 2012
 

2009 생명공학백서 3장

  • 1. 제 1절 생명공학 육성정책 제 2절 생명공학 경쟁력 지표 및 주요연구성과 3조 박건태, 강영은, 김상현, 김유림, 김경훈, 안정렬, 표민지
  • 2. 1절 생명공학 육성정책 2절 생명공학 경쟁력 지표 및 1. 생명공학 연구개발 지원정책 주요연구성과 2. 생명공학산업 육성정책 1. 투자현황 3. 생명공학 기초과학진흥 및 인력 2. 인력현황 양성정책 3. 특허현황 4. 농식품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4. 논문현황 5. 보건의료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5. 인프라현황 6. 정보통신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6. 주요연구성과현황 7. 환경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8. 해양수산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참고] Bio-Vision 2016 추진현황
  • 3. 1. 개요  1982년 : 과학기술부에서 생명공학을 핵심전략 기술로 선정하여 특정연구개발사업으로 지원을 시 작하면서부터 정부 차원의 생명공학 육성이 시작.  1983년 : 「유전공학육성법」(現 「생명공학육성법 」)을 제정하여 정부의 생명공학 육성․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
  • 4. 1985년 : 동법을 기반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부설로 “유전공학센터”를 설립하여 생명 공학의 본격적 육성․지원을 시작.  2009년 : 2009년 생명공학 분야의 국제적 경쟁 력확보와 initiative 선점을 위하여 기존사업의 전략적인 조정이 이루어짐.
  • 5. - 기초연구 사업  1989년 : 이공학 분야의 기초연구분야 육성을 위해 국가지정 연구실사업(NRL), 우수연구센터 (SRC, ERC), 국가핵심연구센터(NCRC), 기초 의 과학 연구센터(MRC)를 운영  2009년 : 한국재단이 설립되면서 크게 2개 그룹 (개인 + 집단), 5개 연구사업으로 재편. - 개인연구 : 일반연구자, 중견연구자, 리더연구 자 지원사업으로 구분하여 추진 - 집단연구 : 기초연구실과 선도연구센터의 연구 협력센터를 대학 내에 설치하여 연구를 지원.
  • 6.
  • 7. 2. 연구개발 지원 체제 (1) 법적, 제도적 기반  생명공학 육성법 - 생명공학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여 생명공학을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 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함. - 주요내용은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및 연차 별 시행계획의 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설치 ․운영, 5개 부처(교육과학기술부, 농림 수산식품 부, 지식경제부, 보건 복지가족부, 환경부)의 생 명공학 육성시책의 강구 등이다.
  • 8. 뇌 연구촉진법 - 뇌 연구 촉진을 기반으로 조성하여 뇌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 의 산업화를 촉진하여 국민복지의 향상 및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주요 내용은 뇌 연구 촉진기본계획 및 연차 별 시행계획의 수립, 뇌 연구 촉진심의회의 구성․운 영, 뇌 연구 투자의 확대, 3개 부처의(교육과학기 술부, 지식경제부, 보건 복지가족부) 뇌 연구 촉 진시책 강구 등이다.
  • 9.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그 집 행 및 조정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소속 하에 5개 부처의 차관 및 민간전문위원으로 구성된 기구를 두어 전반적인 계획 수립 및 조정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정부출연연구소로 교육과학기술부에 소속 되어 있다. 주요기능으로는 바이오융합, 바 이오신약, 바이오 소재, 바이오 정보분야의 첨단 생명공학기술분야 연구개발 및 원천기 술 개발․보급 - 공공인프라 구축지원, 국가정책의 Think- tank 및 전문인력 양성
  • 10. (3)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육성법」 제4조에 근 거하여 생명공학 분야의 효율적인 연구개발 촉진 을 위하여 ‟94년부터 범국가적인 “생명공학육성기 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였고, 이어서 제2차 생 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2016)을 수립하 여 시행
  • 11. 생명공학육성 연도별 시행계획수립 -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육성법』 제5 조에 근거하여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생명공 학육성기본계획에 따른 연도별 “생명공학육 성 연도별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하여 시행 - 교과부 등 6개 부처에서 2008년 실적 대비 하여 총 약 9,763억 원을 투입하여 연구개발 과 공공 R&D 인프라 구축을 위한 출연기관의 예산 확대 등의 시설 및 기반구축사업, 인력 양성을 지원하며 부처별연구개발 투자실적 및 계획
  • 12.
  • 13. 3. 주요 연구개발 프로그램 (1) 기초과학육성사업  리더연구자지원사업 - 세계 수준의 연구리더 육성을 위하여 차세대 연구 자를 발굴하여 글로벌 리더로 집중 육성하고, 검증 된 세계수준의 연구자가 해당분야의 연구거점으로 성장토록 지원하는 사업  중견연구자지원사업 - 핵심연구와 도약연구의 두 가지 지원분야로 나누 어지며, 핵심연구는 기초연구의 전주기적 지원체 재구축을 위해 일정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중견 연구자를 중심으로 개인 및 소규모(2~3인) 협동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
  • 14.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 - 이공학분야(SRC/ERC), 기초의과학분야(MRC) 및 학제 간 융합분야(NCRC)의 세 분야로 나누어진다. - 이공학 분야는 국내대학에 산재되어있는 우수한 연구인력을 특정분야별로 조직․체계화하여 집중 지원함으로써 세계적 수준의 선도과학자 군으로 육성 - 기초 의과학 분야는 의과․치과․한의과 대학의 기초 의학교실과 약학대학을 중심으로 연구인력과 자원 을 조직․체계화하여 기초의약학 부문 거점연구조 직을 육성 - 학제간 융합분야는 국가차원의 전략적 육성이 필 요한 미래지향적 과학기술분야의 전략적 공동연구 수행을 통해 세계수준의 지식 및 경쟁력을 창출하 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 15. (2)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 바이오 기술을 통한 미래 핵심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 적 지원 사업으로 총 10개 사업을 지원 - 신약타겟디스커버리, 바이오소재연구, 뇌연구, 노화연 구, 오믹스연구, 바이오재생연구사업, 바이오인포메틱 스, 바이오인터페이스사업, 질환별 글로벌신약후보물 질 발굴사업을 추진 (3)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 미래원천기술, 공공원천기술 중 강점분야를 전략적으 로 선택하여 세계 초일류기술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한 장기 대형 연구개발 사 업 - 인간유전체기능연구,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 작물유 전체기능연구,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세포응용연구,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개발, 뇌기능활용 및 뇌질환치료 기술개발 등 8개 사업
  • 16. (4) 차세대성장동력사업(바이오신약 장기사업) - 우리에게 강점이 있고 부가가치가 큰 바이오신약․ 장기 분야의 핵심제품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핵심 기술의 특허출원 및 제품화가 가능한 분야 위주로 최종목표와 사업범위를 구체화하여 추진  장기복제이식기술개발, 단백질칩 기술개발, 약물 전달시스템기술개발, 면역기능제어기술개발 등 4 개 분야의 핵심제품을 개발
  • 17. 4. 추진방향 및 발전과제 - 국가 생명공학 분야의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 에서는 생명공학분야의 미래 유망 핵심원천기술의 확보 및 선진화 기반을 확충하고자 생명공학 분야 의 국제적 경쟁력 확보와 initiative의 선점을 위한 과감하고 전략적인 생명공학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할 계획 - 주요 9개 질환중심의 글로벌 신약후보물질 개발지 원을 통하여 국내 제약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혁 신적인 신약개발에 역점을 두는 한편 의사-이공계 과학 기술자간의 협력연구 활성화를 통한 생명공 학분야의 다학제간 창의적인 융합연구의 역량 강 화를 적극 추진 할 계획 - 신약개발에 있어서도 후보물질, 전임상, 임상까지 전 주기적인 분야에서 관련부처와 효율적인 연계 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예 정.
  • 18. 1. 국내 생명공학산업의 가능성과 한계 - 국내 생명공학산업(바이오산업)은 1994년 생명공 학육성법이 제정된 이래 집중적인 투자를 받았지 만 아직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흡하고 글로벌 경쟁력도 취약한 것이 사 실이지만, 짧은 역사에 비해 높은 신약개발 성과와 역량을 보유 - 현재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은 선진국 대비 60~70%의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5 ~10년 이내에 글로벌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 - 한계점 : 논문, 특허 등의 연구 성과에 비해 기술료 수입, 매출 등의 사업화 성과가 미흡하고 민간 투 자가 부진
  • 19. 2. 생명공학산업 육성을 위한 지식경제부의 주요 정 책 - 지식경제부는 산업계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때 까지 산업화 지원에 중점을 둔다는 기본 정책방향 을 가지고 있다. 기술변화와 산업성장 추세를 감안 하여 전략적 투자방향을 설정할 것이며, 부처 협조 체제 강화와 산업화 촉진을 위한 비즈니스 환경 조 성에 주력할 계획
  • 20. (1) 국가 R&D 투자 효율성 제고 - 지식경제부는 과거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성장동 력기술개발사업 등으로 분산되어 있던 R&D 사업 구조를 2008년부터 산업원천 기술개발사업으로 통합하여 일원화 하였고 이에 생명공학산업 R&D 도 바이오의료기기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일 원화 하여 운영 - 개편된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에서는 정부의 산업 발전전략, 특허 연계형 기술 등에 기반한 Top- down방식과 함께 기술수요조사에 기반한 Bottom-up방식을 동시에 고려하여 과제를 기획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 지식경제부는 현장 수요를 고려한 기술 개발을 전 략적으로 추진하여 산업화 성공사례를 창출해 나 갈 계획
  • 21. (2) 바이오산업 인프라의 활용도 제고  지역 바이오 활성화 기반 구축 - 자원, 인력, 기술 등 지역특성을 바탕으로 구축된 지역 바이오 센터를 특성화하여 이를 통해 창업 보 육과 지역 고용 창출을 활성화 하고„1사+1상품‟ 성공사례를 발굴해 확산시킬 계획 - 충청권에 의약 바이오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을 추 진하여 의약 유효물질․후보물질 개발 및 효능검증 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사업과 신약 및 의료소재 실용화 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
  • 22.
  • 23.  코리아 바이오허브(Korea Bio-Hub) 구축 사업 개 편 - 기존에 지역바이오센터의 네트워킹 역할 위주였던 코리아 바이오허브 구축 사업을개편․강화하여 기 존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네트워 크 구축을 강화할 계획 - 국내 바이오클러스터와 해외 클러스터 간 파트너 링을 강화하고 기업 해외마케팅 지원을 확대할 계 획  인프라 자립기반 구축 - 일부 상업적 활용가치가 큰 인프라들의 경우 공공 성과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경영기 법 도입 등 자립기반을 구축할 예정
  • 24. 바이오아웃소싱서비스(CRO, CMO) 기반 구축 - 위탁연구, 위탁생산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서비 스기관들의 활성화를 통해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나아가 거대시장에 직접 마케팅 할 수 있 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 - 이를 위하여 CRO, CMO 등 바이오아웃소싱서비스 시설을 구축하고 관련 전문 인력을 적극 양성할 계 획
  • 25. (3) 바이오 스타기업 육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 고 - 현재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제품개발․판매경험이 거의 전무하여 미국, 유럽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취약한 상황 -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는 치료제․진단시스템 등 단 기 상용화가 가능한 사업 분야에 대해 선도적 집중 투자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을 생산하는 바이 오 스타기업 육성에 주력
  • 26. (4) 녹색성장을 위한 바이오 화학산업(산업바이오) 육성 본격화 - 바이오 화학산업은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할 수 있 는 친환경 녹색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 동안 국가적 관심과 투자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 - 이에 따라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뿐만 아니라 석유의존도 감소, 에너지 절약 등이 가능한 바이오 화학산업을 본격 육성할 계획 - 이를 위해 바이오플라스틱 등 바이오 화학제품 개 발 관련 R&D 지원을 확대함과 동시에 인증제 도 입 등도 검토할 계획
  • 27. 3. 생명공학육성과 지식경제부 - 생명공학산업(바이오산업)은 고령화, 기후변화, 삶 의 질 향상이라는 시대적 메가 트렌드에 부응하고 IT혁명의 뒤를 이을 고부가가치 미래 신산업  지식경제부는 2015년 생산 60조 원, 수출 250억 달러, 바이오 7대 강국 달성 등을 목표로 생명공학 기술의 산업화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다할 계획
  • 28. 1. 생명공학분야 기초과학진흥 (1) 필요성 - 최근 유전체학/단백체학 및 세포체학/대사체학 연 구 등에서 급속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생명공학은 우리의 미래 생활에 큰 변화를 예고 - 생명공학의 성과는 생물학, 생화학, 생리학, 생물 물리학 등 관련 기초과학의 다양한 실험 기술의 성 과에서 기인한 것으로 관련분야의 기초과학 발전 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
  • 29. (2) 정부의 기초과학 진흥 추진 과정 - 대학교수, 박사 후 연구원 등 관계 전문가의 연수 및 연구비 지원 -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장학금 지원 - 연구교수 제도, 교수의 연구 휴가제도, 객원교수제 도 및 객원연구원제도의 활용 - 대학의 연구시설 및 기자재 지원 - 대학부설연구소 및 우수 연구 집단 형성 지원 - 대학, 국공립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 및 기업부설 연구소와의 공동연구 추진 등 산업계, 학계 및 연 구소간 교류 촉진 - 기업의 대학 기초과학 연구 활동 지원 추진 - 기타 연구 환경 조성 및 연구기반 구축에 필요한 사항 등
  • 30. (3)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과학연구지원 현황 - 한국연구재단에서는 대학연구소 전문화 및 특성화 를 위해 대학부설연구소를 지원하는 중점연구소지 원사업과 연구를 위한 소재은행구축 및 운영을 위 한 연구소재 은행 사업, 그리고 신진 연구인력을 지원하기 위한 학문후속세대 사업을 지원 - 정부에서 이공분야에 지원하는 총 R&D 투자액 중 생명과학분야의 범주에 속하는 생명과학, 농림수 산, 보건의료 부문에 지원되는 총 투자액수는 전체 R&D 투자액의 17.5%를 차지
  • 31. 2. 생명공학 분야 인력 양성 (1) BK21 사업 - 제2단계 BK21(2006~2012년)사업의 경우 생명공 학 관련으로 21개 전문서비스(의치의학) 사업단, 과 학기술(기초 분야) 14개 사업단과 31개 사업팀, 과 학기술(응용)분야 17개 사업단과 29개 사업팀을 지 원
  • 32. (2)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NURI) - 인력양성지원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가균 형발전을 목표로 지방대학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4년 시작 - 생명과학 분야 누리사업 지원현황
  • 33. 가. 농식품생명공학 추진배경 -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농식품분야에서 신성장동력의 창출을 위한 핵심수단이 농식품생명공학이라는 인식이 확산. - 농식품생명공학기술은 적용 범위가 다양. - 농식품생명산업 분야에 대한 수요는 최근 급격한 증가 추세. → 정부는 농식품생명공학 산업을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다 양한 정책을 추진. 나. 육성현황 - 농식품생명공학 육성은 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이루어짐. - 제 1차 생명과학육성계획이 추진된 1994년~2006년까지 지난 13년간 농 림수산식품부에서는 초 5,566억 원(국가생명공학 투자액의 12.8%)을 투자.
  • 34. 나. 육성현황 (1) 농림기술개발사업 - 농식품생명산업 육성을 위해 산·학·연 협동 연구개발을 통한 농림기술의 실용화 촉진을 목표로 추진. - 2006년부터는 생명공학 분야 중 고기능성 농식품, 생물자원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산업체의 연구과제 참여 강화 등 농림생명공학의 실용화 성과 실현에 많은 역점을 두고 추진.
  • 35. (2) 수의과학기술개발사업 - 선진화된 수의과학기술 개방을 목표로 1998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사업 으로 동물 질병, 검역, 동물의약품 개발 등의 기술연구가 진행. (3) 수산생명공학연구 - 수산과학기술 개발을 목표로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사업. (4) 바이오그린21사업 - 2001년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약 3,30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농업생명공학 분야의 고부가가치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농 림생명공학 분야의 대규모 프로젝트 사업. - 5개의 연구 분야( 자원 다양성, 유전체분석, 안전성 등)에 대해 8개 연구단 (농업생물자원다양성연구단, 동물유전체개발연구단, 분자육종연구단, 기능 성소재연구단, GMO안정성연구단 등) 형태로 운영됨. (5) 바이오장기생산사업 - 장기 부족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의료복지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 바이오장기 제공용 무균돼지를 효율적으로 산업화 시키는데 초점을 맞추 고 사업을 3개의 중점 분야로 특화하여 연구를 진행.
  • 36. (6) 농업유전자원의 국가관리체계 확립 및 활용사업 - 농업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 장기 안전보존 및 종합전산화를 통한 국가 관리체계 구축 등 국가의 자원주권 확보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2006년 11월에는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가 준공되어 농업유전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됨. (7) 임업시험연구사업 -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고부가가치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 기술 개발을 목표로 추진. - 2004년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약 17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산림자원 유래 신기능성 물질 개발‟, „세포공학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창출‟, „ 임목의 고유유전자 특성 규명 및 신기능 품종 육성‟을 실현해 나갈 계획. 다. 향후 추진방향 - 농림분야도 생명공학 기반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해 기술·지식 집약적 농림업으로 전환되어야 함. - 우리나라 농림생명공학은 아직 산업화 태동기나 성장잠재력이 높아 향후 국가기간산업으로의 규모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 - 장기간의 기술 개발 소요기간, 복잡한 산업화 과정과 대규모 자본투입을 요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농림생명공학은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가 요구됨.
  • 37. - 농림생명공학 투자는 산업화 실현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함. - 독자적인 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개발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 한 투자가 뒤따라야 함. - 세계적으로 농림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 나라의 일부 기술도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 있음. - 정부의 지속적인 기술기반과 인프라 투자 지원, 연구기관의 차별화된 기술 개발, 산업체의 고부가치 상품 생산을 선순환 체계 구축을 통해 농림생명공 학은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거듭날 것임. ※ 농업유전자원 기본계획 수립·시행 - 유전자원은 현재와 미래의 농업의 무한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국가자산 으로 인식되어 세계 각국은 유전자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 21세기 국부척도는 유전자원의 양과 질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 다. 『농업유전자원 보존·관리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① 국내외 유용 유전자원에 대한 사전조사 강화, 유전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국내 대학, 연구소, 유전자원 책임기관 등이 참여하는 유전자원 조사· 수집팀 구성·운영하며, 토종자원의 반환 추진을 위한 국가간 협력체계 강화 하고 국제농업기구 및 그 소속 연구기관과의 협력 확대.
  • 38. ②연구자·육종가 등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유전자원 특성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농진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를 정밀평가 중심기 관으로 운영하고 관리기관을 유전자원 병·충·기능성 성분에 따라 분야별 정밀평가 전문기관으로 육성. ③ 소량 및 저활력 유전자원의 안전한 보존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산· 학·연 및 유전자원 관리기관과 협력체계구축, 특별증식사업을 획기적으로 확대. ④ 재래종 유전자원 등 국가 중요자원에 대한 DNA뱅크를 구축하여 자원주 권 확보 및 생명산업 소재 활용에 더 노력하고 식물, 동물, 미생물 유전자원 정보늬 효율적 관리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종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 용자에게 On-stop 서비스를 제공. ⑤ 유전자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유전자원 책임기관에 단기전문과정을 개설·운영하며, 유전자원 관리기관의 지정을 대학 중심으로 확대.
  • 39. 가. 개요 - 보건의료분야 : 국민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서비스 등의 전반적 분야. -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의료기술을 활용한 건강사회구축을 위해 “건강수명 의 연장, 삶의 질 향상, 보건의료 산업의 경쟁력 강화”의 비전으로 투자, 인 프라 구축 등 지원.
  • 40. 나. 주요 연구개발사업 (1)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가) 개요 - 보건복지가족부는 보건의료기술진흥법(1995.12)을 제정하여 『보건 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을 추진. - 지난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간 총 1조 308억 원의 정부 연구개 발 자금을 지원. - R&D투자 비율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투자가 점진적으로 확대. - 기반기술 분야에는 연구개발비 전액 지원. -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실용화 및 제품화 기술과제에는 연구개발비 50% 이내 지원.
  • 41. (나) 지원내용 - 지원분야는 의과학, 의약품, 의료기기, 의료 정보, 건강기능 제품 등 분 야를 포함.
  • 42. (2) 한의학 선도기술 개발 (가) 개요 - WTO에서는 세계 전통의학 시장이 2000년 600억달러에서 2008년까 지 2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 - 이용자가 급격히 증가래 세계인구의 6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 - 현대의학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의료비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전통의 학과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세계 전통의학 시장이 넓어 지고 있음. - 세계적인 관심 속에 우리의 한의학적 접근 방법을 통한 치료기술개발은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 정부는 오랜 전통을 지닌 한의약의 경험과 지식정보를 이용해 핵심원천 기술과 응용기술 개발하고, 한의약의 안정성·유효성을 입증해 국민보건향 상과 한방산업에 기여하고자 1998년부터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2020프로젝트)」을 추진. (나) 지원내용 - 새로운 한방치료기술과 한약제제 등의 연구개발을 활성화 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부처계획인 „한방치료기술개발사업 중장기 발전계획 (2008~2017)‟을 2008년 2월 21일 재수립.
  • 43. (3) 질병관리연구 (가) 개요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수행 중인 연구로 1999년부터 본격 적으로 시작되었음. - 주요 연구 분야 : 국내 발생 전염병 및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 진단 및 치 료 기술 개발연구와 질환관련 유전체 분석을 통해 질병을 예측하는 유전체 사업 (나) 지원내용 - 질병관리연구는 주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의 자체 수행과제. - 부가적 비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역과제의 형태로 외부 연구기관에 위 탁하여 수행 - 질병관리분부는. 연구사업의 수행을 바탕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 는 일선 기관으로의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
  • 44. (4) 국립암연구소 지원 (가)개요 - 2000년에 국립암센터법을 제정해 국립암센터를 설립·운영. -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과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으로 총 814 억 원의 정부연구개발자금이 지원. - 향후 암에 관한 연구와 투자는 국민의 보건 상향에 중요한 만큼 선진국 에 버금가는 투자를 하도록 확대되어야 함. (나) 지원내용 -국립안센터는 암 발생률과 사망률 감소 및 치료율 제고와 직결되는 4대 연구분야를 선택해 집중 수행. -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해 환자의 치료 수준과 삶 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이행성 연구에 중점을 둠. 다. 향후 발전방향 -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및 질 병구조의 변화 등 새로운 정책 수요를 반영한 종합적인 보건의료 R&D 중장 기계획을 마련함. -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에서 탈피해 수요자(국민)가 체감할 수 있는 보건 의료 R&D사업의 목표를 질병극복·건강증진 중심으로 정함.
  • 45. [참고]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1) 배경 (가) 포스트지놈 시대에 현저히 발전하고 있는 유체연구기술로 예측의학, 맞춤의학 시대의 도래 (나) 인체자원 종합관리 필요성 대두 (2) 추진체계 (가) 2012년까지 유전자 정보와 질병과의 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양적 측면과 질적측면을 만족시키는 인체자원 확보 (나) 2016년까지 선정된 단위은행의 유지 및 활용성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국내 인적자원 공급과 관련정보획득의 편의성 제공 (다) 인체자원 관리의 범부처적 통합관리를 위한 역할분담
  • 46. (3) 사업성과 (가) 은행 간 연계확대 및 종합 관리체계 구축 - 2009년, 12대 인체자원단위은행 선정 및 지원 - 인체자원 은행 표준운영메뉴얼, 정도관리 표준 프로토콜 등 운영정책개 발 및 도입 - 인체자원 종합관리 및 연계 시스템(KBM) 구축 및 운영
  • 47. 가. 추진배경 -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을 거쳐 와이브로에 이르기까지 고 도화된 IT가 BT와 접목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의 능력을 극대화 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임.
  • 48. - 세계적인 고령화문제, 환경·안전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IT 와 BT의 융합기술의 필요성이 강조됨. - 선진국에서는 차세대 산업으로 융합기술의 성장가능성을 인식하여 융합기 술 발전전략을 수립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 - IT에 강한 우리나라는 IT산업을 기반으로 융합기술을 선점해 블루오션 창 출과 초고령화로 치닫는 국내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 나. IT융합기술 서비스 현황 및 전망 - IT융합기술을 활용해 가장 두드러지게 활성화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는 건 강·의료 서비스 분야.
  • 49. - 인터넷의 발달로 원격의료, 재택의료가 도입되었고 유비쿼터스(u) 시대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건강관리가 가능한 u-헬스 시대가 열리고 있 다.
  • 50. - IT융합기술을 활용해 파생되는 새로운 서비스는 매우 다양하며 전 산업의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
  • 51. 다. IT융합기술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 IT융합기술시장의 가장 큰 분야인 u-헬스케어 시장규모는 고령화와 만성 질환자 증가에 따라 크게 확대될 전망. - 2010년경 u-헬스케어 국내 시장규모는 서비스와 장비를 포함해 약 1조 5 천억 원으로 추정됨. 이는 연평균 성장률 124%로 전체의료비의 3.7%에 해 당. - IT융합기술 시장은 기술별로 2010년에 바이오전자 510억 달러, 생물정보 100억 달러, 생체정보인터페이스 70억 달러 등의 시장규모를 전망.
  • 52. - IT융합기술의 가장 큰 해외시장인 미국에서는 만성질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는 홈&모바일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할 전망. →2006년 9.7억 달러에서 2010년 57억 달러, 2015년 336억 달러로 성 장할 전망. 라. 융합기술 산업 현황 - 국내 업계는 신 산업의로서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기술의 난이성과 시장개척의 위험성으로 적극적인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우리나라는 원격 및 재택 진료에 필수적인 무선 통신 인프라는 잘 갖춰져 있지만 바이오센서나 휴대용 의료기기 기반기술, 의료정보 분석 및 보안기 술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고 상용화 중인 대부분의 휴대용 생체신호계측 기기를 수입에 의존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함.
  • 53. 마. IT융합기술 전략분석 - 정부는 IT융합기술 8개 전략분야를 선정 → 생물정보분석SW, 바이오센서, 생체이미징, 바이오칩, 유해유기물센서, 생체신호인터페이스, 바이오데이터보호, 생체정보보호 - 미래사회의 서비스 수요를 최대한 충족할 수 있도록 전략서비스 분야로 건 강환경도우미(Pervasive Lifecare Company)를 선정
  • 54. 바. IT융합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화 추진개획 - IT융합기술 사업화 검증을 위한 표준 정형화된 테스트베드 플랫폼을 구현 하해 지자체 등 시범단지에서 u-그린케어와 u-실버케어를 서비스해서 사 업화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계획.
  • 55. - IT융합기술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예산지원 이 요구되기 때문에 원천기술 개발부터 제품화 R&D, 표준화 선도. 사업화 지원, 국내외 시장창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까지 패키지화된 형태로 전주 기적인 기업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함. - 경제 저성장과 고령화에 따른 국가 재정의 악화에 대처하고 고령자의 건강 과 목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IT융합으로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위 해 IT융합형 고령친화제품 기술개발과 산업육성체계를 포괄하는 마스터플 랜 수립이 추진 중.
  • 56. 7. 환경분야 생명공학 육성정책 가.기술개발 필요성 (1)환경생명공학기술 환경기술(Enbironmental Technology,ET) :환경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사람과 자연에 대한 환경 피 해 유발요인을 억제,제거하는 기술로서 환경오염을 사전에 미리 예방 또는 저감시키거나 오염 및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는 등 환경 의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기술 환경생명공학기술(Enviro Bio Technology,EBT) :환경오염을 저감,예방,복원시키기 위하여 생물과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이용하는 생명공학기술(BT)을 ET에 접목 또는 융합하는 기술로서 환경과학, 생태학, 분자생물학간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 요한 기술분야 생물공정기술,미생물이용기술을 주로 활용 기존의 환경기술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를 해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부각 근래 각 분야에서 첨단기술이 발달되어 오염환경정화,오염예방,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오염검출 분야로 그 영역이 커질것으로 전 망됨
  • 57. (2)환경기술개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새로이 등장한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대응 을 위한 환경기술개발의 중요성 증가 -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메조수준의 단위시스템관점→매크로(macro)수준의 네트워크 개념의 사회적통합관점 - 과학기술적분야연구+사회과학적 연구의 통합적 접근전략 강화 - 나노(nano)수준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설명 가능해짐→나노수준의 과학적 규 명에 바탕을둔 환경정책의 추진 필요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1. 투자현황 가.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현황 -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국가연구개발 사업 투자 규모 가 지속적으로 증가. - 2008년, „577 Initiative‟를 수립해 7대 기술분야 를 중점 육성 - 7대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2012년 과학기술 7 대 강국을 달성
  • 100.
  • 101. - BT를 미래유망기술로 선정 투자 및 확대
  • 102. 나. 부처의 BT분야 연구개발 투자 현황 (1)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현황
  • 103.
  • 104. (3)주요 부처 투자 현황 :(가)교육과학기술부
  • 108. 2. 인력현황 가. 바이오산업의 인력현황 - 예전에 비해 학사가 늘어났지만 여전히 고학력 비중이 높다.
  • 110. 나. 바이오산업의 고용 추이 - 4년마다 인력규모가 2배 이상 늘어남. 바이오산 업의 급격한 성장을 보여준다. - 인력 수요가 연구직에서 생산직으로 이행
  • 111. 3. 특허현황 가. 생명공학 특허개요 - 생명공학분야에서 특허는 매우 중요한 의미 - 시장진입을 위한 기간이 장기간이므로 특허 획득 이 중요 - 특허정보는 연구개발성과를 측정, 국가의 과학기 술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 112.
  • 113. 다. 한국에 출원된 생명공학특허건수 동향 - 1999년, 2000년, 2006년, 2007년에 급격한 증 가 - 측정 시험 분야, 단백질체의 펩티드분야, 유전체 의 유전공학분야 등 - 신약후보물질분야는 급격한 감소세 - 측정 시험, 유전공학, 치료용 항체분야는 2007년 에 급격히 증가
  • 114.
  • 115.
  • 116. 라. 한국특허로 본 생명공학분야 중 기초산업의 선 두주자 - 생명공학연구원이 전 분야에서 상위 3개사에 포 함 - 서울대학교가 3개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 원
  • 117.
  • 118. 마. 미국에 등록된 생명공학특허건수 동향 - 1990년대에 급성장, 2000년 이후 주춤세 - 1998년 휴먼게놈프로젝트 종료 후 수익성 중시 경향이 나타나며 조정기를 거치는 중. - 신약후보물질분야가 한국과 마찬가지로 감소 중. - 생물의약 치료 항체 분야는 증가세
  • 119.
  • 120.
  • 121. 바. 미국특허로 본 생명공학분야의 기술분야별 선두 주자 - 유전체에서 Pioneer Hi-Bred Int‟l, Inc.가 128건, - 단백질체 및 항체 이용에서 Genentech Inc.가 각 각 262건, 175건의 특허 보유
  • 122.
  • 123. 사. 고인용(Highly Cited Patent) 특허로 본 우수특허 발굴
  • 124. - 2008년에 가장 많이 이용된 특허 : 형질전환동식물 중 신규 식물 분야, 측정진단기술 중 측정, 시험분야, 생물공정기술 중 생물적합성분야
  • 125.
  • 126. 2008년 SCI 세계 논문 수는 1,158,247편이며 우 리나라 논문 수는 세계논문수의 3.07%인 35,569 편으로 세계 순위는 12위를 차지했다.
  • 127. 최근 5년 간 우리나라가 발표한 논문 141,640편 중 1회 이상 인용된 논문 은 79,062편으로 논문의 피인용 비율은 56%이고, 5년 간 논문의 총 피인용 횟수는 465,022회로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3.28회로 세계평균 (4.62회)의 71% 수준이나 연별피인용 횟수를 보면 연도가 누적됨에 따라 피인용도가 높아지는 성향을 보이고있다.  우리나라 논문의 5년 주기별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는 세계 전체평균보다 낮은수준이나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논문의 질적인 측면도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128. SCI 과학기술 18개 분야 중 최근 5년간(2004~ 2008) 우리나라가 발표한 생명공학 6개 분야의 논 문현황은 다음과 같다.
  • 129. 생명공학 6개 분야 중 3개 분야(약리학, 미생물학, 생물학&생화학)에서 세 계 상위10위권에 포함되는 등 최근 들어 생명공학분야 논문의 세계 점유율 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국가별 생명공학분야 논문수를 보면 미국 이 6개 분야 모두 월등히 앞서며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순으로 뒤를 이었 고, BRICs국가(브라질, 러시아, 인도,중국)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치를 보 였다.
  • 130. 우리나라 생명공학분야 SCI 발표 논문 수는 1990년 에는 6개 분야의 합이 112편에 불과하였으나, 1999 년에는 면역학(119편)이 39.7배, 미생물학(306편)이 34.0배, 분자생물학&유전학(175편)이 21.9배, 생물 학&생화학 (794편)이 11.3배, 신경과학&행동과학 (187편)이 31.2배, 약리학(291편)이 18.2배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다. 2008년에는 10년전과 비교하여 면 역학(234편)이 2.0배, 미생물학(896편)이 2.9배, 분자 생물학&유전학(833편)이 4.8배, 생물학&생화학 (1,831편)이 2.3배, 신경과학&행동과학(592편)이 3.2 배, 약리학(1,034편)이3.6배 늘었다.
  • 131.
  • 132. 최근 5년 간 면역학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 980편 중 1회 이상 인용된 논문 은 743편으로 논문의 피인용율은 75.82%로, 국내평균 피인용율(55.93%) 의 1.36배이며, 생물학&생화학은 71.40%로 1.28배, 신경과학&행동과학은 71.23%로 1.27배, 분자생물학&유전학은 70.23%로 1.26배, 약리학 65.83%로 국내평균의 1.18배이고, 면역학․생물학&생화학, 약리학, 신경과 학&행동과학 등 4개 분야에서 같은 분야 세계대비 비율 수치에 근접하게 나 타났다.
  • 133. 최근 5년간 생명공학분야 발표논문에 대한 피인 용 현황을 보면 평균인용지수는 국내평균지수 (3.28)에 비해 분자생물학&유전학이 3.5배 6개분 야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분야 세계대비 비율은 매우 저조하지만 지식구조에 있어서 1999 년∼2003년의 세계 평균 대비 국내 피인용수에 비 해 2004년∼2008년 사이에 우리나라 지식구조가 세계와 유사한 경향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 134.
  • 135. 1. 기초 응용연구 단계 인프라 2. 개발 시생산 및 산업화 단계 인프라 3.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
  • 136. (1) 기초 응용연구 단계 인프라  기초․응용연구 단계 인프라는 기초이론과 실험,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의 개 념을 정립하고 연구실 규모의 기본성능을 검증하고 부품과 시스템의 핵심성능 평가 등을 지원하 는 인프라이다. 주로 국책연구원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형성되어 기술개 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기초․응용연구 단계에서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는 한국생 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제품 안전성평가와 정보관리, 국가영장류센터 운영, 바이오융 합 연구, 해외생물소재 허브센터 운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 및 확산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표적지향형 신규항암제 후보물질 연구와 실시 간 분자영상 스마트센터기술 연구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한의약연구원 은 한의학표준화연구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유비쿼터스 건강관리시스템 연구 등 의 중요한인프라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 그러나 기초․응용연구 환경에 종합적으로 필요한 2개의 핵심 인프라로 한국기초과 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에 설치된 한국세포주은행을 꼽을 수 있다. 한국세포주은행은 1982년 전국의 연구기관에 필요한 세포주를 개발하고 공급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세 포주 자원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보존․공급하고 있으며, 세포주와 관련된 각종 교육․연수․학술회의를 맡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 세포주의 기탁과 보존의 기능을 담 당하고 있다. 1993년 UN 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로부터 특허미생물의 국제기탁기 관의 지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자체개발 세포주 330여종(109종 분양가능), 외국도입 세포주 428종을 보유하고 있다.
  • 137. (2) 개발 시생산 및 산업화 단계 인프라  산업화 지원 인프라는 기본적으로 기업성장 단계별 지원(창업보육 등), 시설․장비구 축․활용, 교육훈련, 정보교류, 기술지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의 형태로 크게 구분하면, ① 생물산업실용화기반(cGMP, 발효미생물활용센터), ② 바이오안전 성기반(LMO), ③ 연계협력기반(Korea Bio-Hub), ④ 산업기술기반조성(BVC, 산학연 공동연구기반), ⑤ 지역클러스터(지역특화센터) 등이며, 국내 생물산업의 여건과 경 쟁력을 고려하여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구축되었다. 생물산업실용화기 반 부분을 살펴보면 1998년 국내 생물의약 분야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FDA의 인증을 받은 우수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기준인 cGMP19)기준의 생산공장이 전무한 실정을 감안하여 선진국 수출지원을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에 맞는 생물의약 품 전문생산시설(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1998년~2007년)20)이 구축되었으며, 2007년 국내 발효식품산업 육성과 위해 전통발효식품(고추장, 된장등)의 안전성 확 보 및 발효미생물자원의 허브 구축을 위하여 발효미생물종합활용센터(1998년 ∼2007년)21)가 구축되었다. 바이오안전성기반 부분을 살펴보면, 2002년 유전자변 형생물체(LMO)를 중심으로 대두된 국제무역질서에 대응하기 위한 의무사항의 교육 과 홍보를 위해 바이오안전 성정보센터(2002년~계속)를 구축하였으며, 연계협력기 반 부분에서는 국내외 바이오네트워크의 구축과 활성화, 그리고 웹포털 구축으로 각 종 협업기관을 지원하기 위하여 코리아바이오허브센터(2004년~계속)를 구축하였다. 또한, 산업기술기반조성과 지역클러스터 부분으로는, 수도권을 포함한 각 지역에 소 재한 중소 바이오벤처기업의 특성화를 유도하고 현장 밀착형 지원을 위해 산업정책 차원에서 바이오벤처기업지원센터(BVC, 1998년∼2007년)22)와 산학연공동연구기 반구축(2004년∼2011년)23),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 바이오클러스터(지역특 화센터, 2002년∼2012년)24)가 구축되었다.
  • 138. (3)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  신뢰성평가 단계 인프라는 최종 개발제품의 산업화 전 후 단계에서 인체에 적용해 체내에서 안전성과 유효성 에 대한 신뢰(비임상, 임상 등)를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 이다. 대부분 보건복지가족부(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인 허가를 획득한 지원기관을 중심으로 인프라가 형성되 어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비임 상시험관리기준(GLP, Good LaboratoryPractice) 시 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2006년 현재 15개 기관이 운영 중에 있으며, 임상시험관리기준(GCP, Good Clinical Practice) 기준에 맞는 자격기준을 갖추어 식 약청으로부터 임상시험실시기관으로 지정된 국내기관 은 2007년 현재 228개(임상1상 32개, 임상2상 87개, 임상3상 109개) 기관이 운영 중이다.
  • 139.
  • 140.
  • 141. 정부가 내세운 투자 계획들이 얼마만큼의 실효성 을 가지고 있을까?  정부차원의 투자로만은 부족하기 때문에 기업차원 에서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 서 어떤 방법을 쓰면 좋겠는가?
  • 142. 하장완 학생 - 정부가 내세운 투자 계획들이 너무 많은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일단 모든 계 획들을 실행한 후에, 성과가 두드러지는 분야들만 뽑아서 하는 게 어떠하겠는가? 발표자의 코멘트 - 그렇게 된다면 뽑히지 못한 분야의 연구자들이나 거기에 투자를 한 기업들에게 는 어떻게 보상을 해 줄지가 문제가 된다. 신상범 학생 - 기업의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해당 분야에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에게 투 자비율에 따라 먼저 여러 가지 이익을 주는 제도가 필요할 것 같다. 이성무 학생 - 국가차원에서는 먼저 혜택을 주어야 하는지, 아니면 기업이 투자를 하는 것을 본 후에 혜택을 주어야 하는지 의문이다. - 리더연구자 지원사업은 어떻게 진행 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발표자의 코멘트 - 국가차원에서 먼저 혜택을 주게 되면, 사기업들은 당연히 그 혜택만을 노릴 것 이며, 원활한 투자가 이루어 지지 않게 될 것이다.
  • 143. 박영준 학생 - 최소한의 보장 후에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송재창 학생 - 대학연구소의 어떤 분야가 전문화,특성화 되어있나? 발표자의 코멘트 - 우리와 같은 분야는 아니지만 저의 고향의 예를 들어보자면 울산대학교가 대표 적이다. 이 학교는 조선분야, 자동차공학분야, 화학공학 분야에 전문화, 특성화가 이 루어 지고 있는데, 학교측에서도 많은 지원을 해 주고 무엇보다도 울산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기업들의 지원이 상당히 많아서 이러한 전문화와 특성화가 원활하게 이루 어지고 있다.
  • 144.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야 할 큰 흐름중의 하나인 „정책‟ 이란 것과, 또한 생명과학 분야의 여러 정책들을 살펴봄 으로써, 앞으로 우리가 어떤 연구를 해야 할 것이고, 어떻 게 하면 자신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인지를 알 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앞으 로 우리는 이런 정부의 정책들과 연구현황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더 생명 과학 분야의 발전을 이룩해야 할 것이다.  국내 생명과학분야의 경쟁력 지표를 통한 평가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정 부와 기업 차원의 과감한 투자, 우수한 인력 양성 등이 필 수적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