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제3장 문항제작
미술교육과 20140189 박 은 지
1. 문항 제작의 기초
1)문항의 요건
1) 문항의 요건
 좋은 문항의 조건
①문항내용과 평가목표가 일치하는 문항
②복합성을 지닌 문항
=고등 정신 능력 묻는 문항
③참신성을 지닌 문항
(너무 참신해서 생소한 문항은 X)
④모호하지 않고 구조화된 문항
=체계적이고 명료한 문항
(서답형보단 선택형이 더 구조화된 문항)
⑤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문항
⑥문항의 제작 원리(유의점)와 검토 지침에 충실한 문항
(검사 목적, 학생 수준에 적합하고 공정한 문항)
1. 문항 제작의 기초
2)문항의 유형
2)문항의 유형
 문항의 채점 -객관적 : 객관식
-주관적 : 주관식(채점자 주관 개입 多)
 피험자가 제한된 답지에서 -답 선택 : 선택형
-답 구성해 작성 : 서답형
‘객관식과 선택형’, ‘주관식과 서답형’ 동일시하는 오류 범함
분류기준이 다르므로 동일시X
2)문항의 유형
선택형
직위형
연결형
선다형
서답형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
채점 과정에서 채점자의 주관성 개입수준
- 객관적 : 직위형, 연결형, 선다형, 단답형, 완성형
- 주관적 : 논술형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①진위형
피험자에게 진술문을 제시하고 그것의 진위,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하는 문항 형식
-장점 실시시간 적어서 한 검사에 많은 학습 목표 포함 가능
학생들에게 실직적인 과제 제공
초등학교 저학년의 평가 문항으로 적당
채점이 빠르고 객관적
-단점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정보 많이 다룸
읽지 않고도 정답 확률 50%로 학생들에게 추측 반응 조장
모호한 진술문이 되기 쉬움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②연결형(=배합형)
일련의 전제와 답지, 전제와 답지를 배합시키는 지시문까지
세가지로 구성되는 문항 형식
(전제,답지 : 단어, 어구, 문장, 기호 등 사용)
-장점 실시시간 적은 편으로 많은 학습목표 다룸
채점 객관적
-단점 좋은 연결형 문항 제작 어려움
동질적인 전제와 답지 만들기 어려움
전제와 답지의 배합이 진행될수록 답 추측 가능성 높아짐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③선다형
문두와 그에 따른 두 개 이상의 답지로 구성되어
답을 택하는 문항 형식
(문두 : 서술적이거나 불완전한 문장)
-장점 : 문항형식의 융통성과 우수성이 높음
채점 쉽고 객관적
모든 학년에 사용 용이(초등학교 저학년 제외)
-단점 : 문항 제작 어려움-좋은 오답지 만들기 어려움
반응시간 많이 걸림(푸는 데 오래 걸림)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③선다형
답지의 구성방식에 따라
▶ 최선답형 : 여러 답지 중 ‘가장 맞는 답’ 선택하는 형식
▶ 정답형 : 여러 답지 중 한 개만 정답,
다른 것은 전혀 관계없는 형식
▶ 다답형 : 답지 중 정답이 여러 개인 형식
-정답을 ‘여러 개 골라야 한다’를 문두에 명시하고 밑줄 긋기
(다 맞아야 맞은 것으로 인정)
▶ 합답형 : 여러 답지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합해서
정답이 되는 형식
-장점 : 완전히 이해해야 풀 수 있음
-단점 : 묶여 있는 답지군 때문에 정답의 단서 줄 가능성 있음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①단답형
간단한 단어, 구 , 문장, 숫자, 그림 등 제한된 형태로
대답하게 하는 문항 형식
②완성형(=완결형)
진술문의 일부분을 띄어 놓고 단어, 어구, 숫자, 기호, 문장을
써넣게 하는 문항 형식
-장점 : 선택형 문항에 비해 추측요인 줄일 수 있음
연결형, 선다형에 비해 문항 작성 비교적 쉬움
-단점 : 채점이 선택형 문항보다 쉬움
원리 적용보단 정보 지식을 재는 경향이 있음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③논술형
학생 반응의 자유도가 높으면서도
응답해야 할 분량이 많은 문항 형식
-장점 : 반응의 자유도가 높음
고등정신기능 측정에 효과적
문항 제작이 비교적 용이
고차적 사고력 학습에 기여-개념이나 원리적용을 묻기 때문
-단점 : 채점자들의 판단에 일관성 확보 어려움
(=채점의 객관성이 낮음)
문항표집 수가 제한됨
(한 문항에서 긴 반응 요구로 출제 문항이 적어짐,
측정 못하는 학습목표 생김,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낮아짐)
채점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듦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③논술형
▶반응의 허용 정도에 따라
-응답 자유형(확대 반응형) : 응답 내용범위와 서술양식, 답안 길이 제한X
-응답 제한형 : 반응 내용과 형식을 제한
(응답제한 방식에 따라 : 분량/내용범위/서술양식 제한형)
▶자료 제시 여부에 따라
-단독 과제형 : 자료나 정보 없이 특정 질문에 응답하도록 함
-자료 제시형 : 문항 속에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응답하도록 함
▶평가 내용에 따라
-일반 쓰기 능력형 : 문항의 내용이 표현력과 관계됨
기본적인 의사소통능력 포함 요구
-교과 관련 능력형 : 문제 내용이 특정교과목과 직접 관련되거나 범교과적
사고능력 포함 요구
1. 문항 제작의 기초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검사의 목적 확인
검사 청사진 작성
-평가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의 분석
-평가목표, 평가장면, 문항유형 결정
-평가목표 이원분류표 작성
문항 초안 작성
문항 검토 및 수정
검사 편집 및 인쇄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1) 검사의 목적 확인
검사 목적에 따라
측정내용, 문항 유형, 난이도 수준, 시험 절차 및 방법
달라짐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2) 검사 청사진 작성
-평가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의 분석
학습단위를 분석하여 교육목표가 위계적 관계로 조직
교육목표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도록 진술
최저 성취 기준 제시
-평가목표, 평가장면, 문항유형 결정
평가목표는 평가의 핵심
평가장면(=문제사태): 어떤 행동의 성취증거가 나타날 수 있는
장면을 선정하는 일
문항유형: 평가목표, 수험자의 특성 및 능력수준,
검사목적과 활용도, 검사 제작 및 실시 여건과의
부합성에 따라 결정
-평가목표 이원분류표 작성
이원분류표 : 검사 제작 전 출제자가 참고하는 표
각 문항이 어떤 내용으로 어떤 행동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지를 내용과 행동으로 나누어 구성한 표
(세로 : 측정 내용, 가로 : 행동 영역)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3) 문항 초안 작성
이미 설정된 평가대상 목표의 도달 정도를 파악 가능한 문항,
최소한 최종 확정시킬 목표의 2배수 정도를 작성
-> ‘문항카드’에 기록
* 문항카드의 음영부분
(문항의 수정 및 검토 과정에서의 특이사항이나
검사 실시 후 실제 자료를 분석하여
해당 문항에 대한 총평을 기입하는 부분)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4) 문항 검토 및 수정
출제자의 관점 + 수험자의 관점으로 검토
검토항목, 검토요령에 유의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5) 검사 편집 및 인쇄
①목표 측정에 적절한가
검사 문항 표현이나 배열상에 결점이 있는가
②가능한 한 동일한 교수목표를 측정하는 문항끼리 묶기
③검사 받는데 대한 지시
각 문항 유형에 따른 응답에 관한 지시하기
④간단한 것에서 복잡한 순으로 배열
⑤학생이 읽기 쉽고 채점 편하도록 배열
⑥문항번호는 일렬로 매기기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제3장 문항 제작
제3장 문항 제작제3장 문항 제작
제3장 문항 제작
원호 강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승일 최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Minsoo Jung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Minsoo Jung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Minsoo Jung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Minsoo Jung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hyebinyun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Minsoo Jung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534297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Minsoo Jung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na-yeonlee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유정 서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혜진 양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Minsoo Jung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hyungjoo park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Minsoo Jung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pzh3553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지영 김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Minsoo Jung
 

Similar to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20)

제3장 문항 제작
제3장 문항 제작제3장 문항 제작
제3장 문항 제작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교육평가 20120258 최승일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교육평가의 이해(수행평가) 송한슬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제3장p77 문항제작기초(선택형서답형문항제작) 3최화경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5장표준화검사컴퓨터화검사 송화담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제6장p193 교육평가이해(교육관평가개념기능) 3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윤혜빈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제6장193p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최주혜
 
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Ppt 요약정리
Ppt 요약정리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규탐이이나연)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제 1장 교육평가의_이해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교육평가
교육평가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표준화검사 20130065 사회교육과 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제5장173p 표준화검사 4양혜진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
[이러닝 블로그 : 박형주] 학습목표기술 및 평가도구개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6장p193 교육평가의이해(수행평가) 4박다솜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제1장 교육평가의이해 박지현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6장 수행평가 초등교육과 김지영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5장p179 컴퓨터화검사 3김준호
 

제3장문항제작 박은지

  • 2. 1. 문항 제작의 기초 1)문항의 요건
  • 3. 1) 문항의 요건  좋은 문항의 조건 ①문항내용과 평가목표가 일치하는 문항 ②복합성을 지닌 문항 =고등 정신 능력 묻는 문항 ③참신성을 지닌 문항 (너무 참신해서 생소한 문항은 X) ④모호하지 않고 구조화된 문항 =체계적이고 명료한 문항 (서답형보단 선택형이 더 구조화된 문항) ⑤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문항 ⑥문항의 제작 원리(유의점)와 검토 지침에 충실한 문항 (검사 목적, 학생 수준에 적합하고 공정한 문항)
  • 4. 1. 문항 제작의 기초 2)문항의 유형
  • 5. 2)문항의 유형  문항의 채점 -객관적 : 객관식 -주관적 : 주관식(채점자 주관 개입 多)  피험자가 제한된 답지에서 -답 선택 : 선택형 -답 구성해 작성 : 서답형 ‘객관식과 선택형’, ‘주관식과 서답형’ 동일시하는 오류 범함 분류기준이 다르므로 동일시X
  • 6. 2)문항의 유형 선택형 직위형 연결형 선다형 서답형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 채점 과정에서 채점자의 주관성 개입수준 - 객관적 : 직위형, 연결형, 선다형, 단답형, 완성형 - 주관적 : 논술형
  • 7.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①진위형 피험자에게 진술문을 제시하고 그것의 진위,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하는 문항 형식 -장점 실시시간 적어서 한 검사에 많은 학습 목표 포함 가능 학생들에게 실직적인 과제 제공 초등학교 저학년의 평가 문항으로 적당 채점이 빠르고 객관적 -단점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정보 많이 다룸 읽지 않고도 정답 확률 50%로 학생들에게 추측 반응 조장 모호한 진술문이 되기 쉬움
  • 8.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②연결형(=배합형) 일련의 전제와 답지, 전제와 답지를 배합시키는 지시문까지 세가지로 구성되는 문항 형식 (전제,답지 : 단어, 어구, 문장, 기호 등 사용) -장점 실시시간 적은 편으로 많은 학습목표 다룸 채점 객관적 -단점 좋은 연결형 문항 제작 어려움 동질적인 전제와 답지 만들기 어려움 전제와 답지의 배합이 진행될수록 답 추측 가능성 높아짐
  • 9.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③선다형 문두와 그에 따른 두 개 이상의 답지로 구성되어 답을 택하는 문항 형식 (문두 : 서술적이거나 불완전한 문장) -장점 : 문항형식의 융통성과 우수성이 높음 채점 쉽고 객관적 모든 학년에 사용 용이(초등학교 저학년 제외) -단점 : 문항 제작 어려움-좋은 오답지 만들기 어려움 반응시간 많이 걸림(푸는 데 오래 걸림)
  • 10. 2)문항의 유형 *선택형 ③선다형 답지의 구성방식에 따라 ▶ 최선답형 : 여러 답지 중 ‘가장 맞는 답’ 선택하는 형식 ▶ 정답형 : 여러 답지 중 한 개만 정답, 다른 것은 전혀 관계없는 형식 ▶ 다답형 : 답지 중 정답이 여러 개인 형식 -정답을 ‘여러 개 골라야 한다’를 문두에 명시하고 밑줄 긋기 (다 맞아야 맞은 것으로 인정) ▶ 합답형 : 여러 답지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합해서 정답이 되는 형식 -장점 : 완전히 이해해야 풀 수 있음 -단점 : 묶여 있는 답지군 때문에 정답의 단서 줄 가능성 있음
  • 11.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①단답형 간단한 단어, 구 , 문장, 숫자, 그림 등 제한된 형태로 대답하게 하는 문항 형식 ②완성형(=완결형) 진술문의 일부분을 띄어 놓고 단어, 어구, 숫자, 기호, 문장을 써넣게 하는 문항 형식 -장점 : 선택형 문항에 비해 추측요인 줄일 수 있음 연결형, 선다형에 비해 문항 작성 비교적 쉬움 -단점 : 채점이 선택형 문항보다 쉬움 원리 적용보단 정보 지식을 재는 경향이 있음
  • 12.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③논술형 학생 반응의 자유도가 높으면서도 응답해야 할 분량이 많은 문항 형식 -장점 : 반응의 자유도가 높음 고등정신기능 측정에 효과적 문항 제작이 비교적 용이 고차적 사고력 학습에 기여-개념이나 원리적용을 묻기 때문 -단점 : 채점자들의 판단에 일관성 확보 어려움 (=채점의 객관성이 낮음) 문항표집 수가 제한됨 (한 문항에서 긴 반응 요구로 출제 문항이 적어짐, 측정 못하는 학습목표 생김, 검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낮아짐) 채점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듦
  • 13. 2)문항의 유형 *서답형 ③논술형 ▶반응의 허용 정도에 따라 -응답 자유형(확대 반응형) : 응답 내용범위와 서술양식, 답안 길이 제한X -응답 제한형 : 반응 내용과 형식을 제한 (응답제한 방식에 따라 : 분량/내용범위/서술양식 제한형) ▶자료 제시 여부에 따라 -단독 과제형 : 자료나 정보 없이 특정 질문에 응답하도록 함 -자료 제시형 : 문항 속에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응답하도록 함 ▶평가 내용에 따라 -일반 쓰기 능력형 : 문항의 내용이 표현력과 관계됨 기본적인 의사소통능력 포함 요구 -교과 관련 능력형 : 문제 내용이 특정교과목과 직접 관련되거나 범교과적 사고능력 포함 요구
  • 14. 1. 문항 제작의 기초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 15.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검사의 목적 확인 검사 청사진 작성 -평가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의 분석 -평가목표, 평가장면, 문항유형 결정 -평가목표 이원분류표 작성 문항 초안 작성 문항 검토 및 수정 검사 편집 및 인쇄
  • 16.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1) 검사의 목적 확인 검사 목적에 따라 측정내용, 문항 유형, 난이도 수준, 시험 절차 및 방법 달라짐
  • 17.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2) 검사 청사진 작성 -평가하고자 하는 교육목표의 분석 학습단위를 분석하여 교육목표가 위계적 관계로 조직 교육목표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도록 진술 최저 성취 기준 제시 -평가목표, 평가장면, 문항유형 결정 평가목표는 평가의 핵심 평가장면(=문제사태): 어떤 행동의 성취증거가 나타날 수 있는 장면을 선정하는 일 문항유형: 평가목표, 수험자의 특성 및 능력수준, 검사목적과 활용도, 검사 제작 및 실시 여건과의 부합성에 따라 결정 -평가목표 이원분류표 작성 이원분류표 : 검사 제작 전 출제자가 참고하는 표 각 문항이 어떤 내용으로 어떤 행동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지를 내용과 행동으로 나누어 구성한 표 (세로 : 측정 내용, 가로 : 행동 영역)
  • 18.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3) 문항 초안 작성 이미 설정된 평가대상 목표의 도달 정도를 파악 가능한 문항, 최소한 최종 확정시킬 목표의 2배수 정도를 작성 -> ‘문항카드’에 기록 * 문항카드의 음영부분 (문항의 수정 및 검토 과정에서의 특이사항이나 검사 실시 후 실제 자료를 분석하여 해당 문항에 대한 총평을 기입하는 부분)
  • 19.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4) 문항 검토 및 수정 출제자의 관점 + 수험자의 관점으로 검토 검토항목, 검토요령에 유의
  • 20. 3)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5) 검사 편집 및 인쇄 ①목표 측정에 적절한가 검사 문항 표현이나 배열상에 결점이 있는가 ②가능한 한 동일한 교수목표를 측정하는 문항끼리 묶기 ③검사 받는데 대한 지시 각 문항 유형에 따른 응답에 관한 지시하기 ④간단한 것에서 복잡한 순으로 배열 ⑤학생이 읽기 쉽고 채점 편하도록 배열 ⑥문항번호는 일렬로 매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