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6 비영리미디어컨퍼런스 체인지온@공룡
Q&A : 한계적 상황의 재구성을 위한 묻고 답하기
전혜영 | 아카이브랩 souldrive@archivelab.co.kr 010.3231.7951| 2016.10.29
[섹션 3] 함께 만드는 기록의 힘
기록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아카이브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사례
3. 아카이브 구축 방향 수립
목차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3
아카이브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치
를 가진 기록물에 대한
보존 행위의 주체이자
기록이 모여져 있는 장
소, 혹은 기록 그 자체
아카이빙
기록물을 장기간 관리
하여 이후의 이용을 보
장하는 활동.
넓은 의미로는 아카이
브의 구축 및 운영에 이
르는 활동 일체
디지털 아카이빙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
치를 가진 디지털 객체
를 장기간 관리하여 이
후 이용을 보장하는 활
동 일체
VS VS
아카이브시스템
기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서 수집, 보존, 서비스 등 제 과
정을 기계적으로 통제하는 시
스템전반
RMS
Record Management system
AMS
Archive Management system
• 현용기록 관리 (매일 생산되는 기록)
• 업무관리시스템과의 연동 필요
• 보존기록 관리 (평가.선별된 기록)
• (장기)보존, 서비스 기능의 강화
1) 아카이브 이해용어정리
4
홈페이지
카페
SNS
협업도구
아카이브
VS.
사업수행, 홍보
전문적/특화된 정보
소통과 공유
기록과 정보의 누적
• 의식적, 의도적, 역사적 활동
• 무한 축적 < 선별적 수집
• 역사적 보존 + 미래의 활용
• 내용 + 맥락과 구조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 아카이브 이해아카이브의 특징
정책
 아카이브 방향, 주요 수집기록물, 주요 이용자층
등에 대한 방향 정립
 로드맵 등 실행전략 수립
수집
 주요 소장처, 리드 발굴
 참여형 수집, 이벤트 및 기획수집
 구술 및 인터뷰
 일지 및 맥락정보 보충수집
관리
 등록 및 기술 (목록작업)
 기록-맥락정보 연결
 디지털화, 매체변환, 장기보존, 보안 등
서비스
 기록콘텐츠 개발
 교육용콘텐츠 집중 개발
 이용자군별 서비스 내용 다각화
시스템
 기능요건에 따른 시스템 개발 및 유지
 개발 기능 현행화 및 안정화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 아카이브 이해아카이브의 주요 업무
5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NPO 기록의 특성과 아카이빙의 이슈
6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NPO 아카이빙의 현실
기록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 (반면, 활동가들은 문서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요
구가 높은 편임)
기록관리 전담 인력은 거의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홍보 및 정책 업무 담당자가 병행하는 경
우가 많음. 기록관리를 위한 예산이 미비하거나 없음
문서고, 보존실, 열람실 등 기록관리를 위한 공간 없음. 기록관리 업무를 위한 도구 및 장
비, 시설 등이 거의 갖춰져 있지 않음
문서관리, 폴더관리 등의 내부규정이 있는 조직도 일부 있음. 일부 조직에서 활동가 대
상 문서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대체로 이뤄지고 있지 않음
예결산, 회의록 등 일부 기록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는 경우가 대부분
기록관리시스템(혹은 아카이브시스템)이 거의 구축되어 있지 않음. 공용폴더, 드라이브 등에 문서
를 저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정책
인력
예산
공간
시설
업무
교육
서비스
시스템
7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NPO 아카이빙 한계의 원인
시장 미형성
지원체계 부족
인프라 부족
인식 부족
• NPO에 적합한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업체 부재
• NPO 특성에 맞는 아카이빙 컨설팅,
교육, 네트워킹 등 지원프로그램 및
지원조직 부재
• NPO내 기록관리를위한 인력, 예산,
공간, 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미비. 여
력 부족
• 아카이브에대한조직내부의인식과(특히
의사결정권자의)의지부족
누구냐, 너는?
아카이브에서 하는 업무와
서비스를 경험해본 적이
없음
8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아카이브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NPO 아카이빙
지원체계 마련
NPO 아카이빙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
NPO 아카이빙
인프라 확충
NPO 아카이빙
활성화
지원체계
인프라
시장
인식
①
②
③
④① ②
③
④
9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아카이브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10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체계적인 관리 기록의 내용과 맥락, 관리이력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기록의 진본성과 신뢰성을 확보
(장기) 보존메타데이터와 기록 사이의 링크를 유지
하여, 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신뢰성
과 무결성을 확보
효과적인 활용
검색 기능을 통해 기록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기록관 홍보
서비스플랫폼이 있을 경우, 기관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에게 기록관의 존재와 역할
등을 어필할 수 있음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아카이브시스템 도입 시 고려사항
11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1
시스템 활용을 통해 기록관리의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인지 명확해야 함
(전면적인 기록관리 도입 vs 기록물 서비스 제
공 vs 기록물 등록)
기술 발달, 조직의 여건 변화, 기록관리의 범위 확
대 등 대내외적 변화요인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
기 위해서는 확장가능성이 담보되는 시스템의 도
입이 요구됨
시스템은 구축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지원이 가능한 업체
혹은 소프트웨어의 선택이 중요함
도입 목적
확장가능성
지속성과 안전성
예산
시스템의 확장가능성, 안
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
여 중장기 예산이 설정되
지 않으면 시스템의 안정
적인 유지․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기대효과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조직 유지와 가치 확보를 위해서는 NGO의 활동을
잘 홍보하고 NPO 운영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함. 이
는 기록을 잘 관리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를 통해 외
부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회원의 증가, 지원의 확대
등 NGO 경영에 필요한 이익을 얻을 수 있음
 NPO는 소규모 인력으로 수많은 사업을 벌이
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활동가의 업무 효율성
과 조직 전체의 경영 효율성이 매우 중요함
 업무와 관련된 풍부한 자료를 마음껏 활용할
수 있으면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음 (과거의 업무경험을 확인․검토하
여 현재의 업무를 수행함)
 NPO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NGO를 왜 만들었으며, 어떤 활동을 하고, 사
회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구성원들이 명확하
게 알고 있어야 함 (경력이 짧은 활동가들조
차 조직의 역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
가 있음)
 NPO의 활동, 역사, 조직 현황을 쉽게 알
수 있는 기록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한
다면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
민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함께 활동하고 싶다는 참여의지
도 고취시킬 수 있음
12
Herstory Writers Workshop Special Collection
- 2009년 <Herstory Writers Workshop>이라는 단체가 뉴욕 스토니브룩대학에 기증한 기록
- 1996년부터 2008년까지의 글쓰기 활동기록(사진/편지/잡지/신문/팜플릿/매뉴얼/비디오)
- 3개 상자 9개 시리즈 37개 파일
- 특징 : 국제표준에 따른 깔끔한 기술(ISAD(G))
Herstory Writers Workshop : -롱아일랜드의 취약계층 재소자 여성들을 위한 글쓰기 워크숍
Herstory Collection
가난하고 소외받는 여성들의 글쓰기 기록
2. 사례
1) 해외사례
13
JMABC (Jewish Museum & Archives of BC)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유대인 공동체 역사기록 아카이브 구축
150년 역사를 담은 사진 30만 건, 구술 700 건
홈페이지 (WordPress) 아카이브 (AtoM) 크라우드펀딩
2. 사례
1) 해외사례
14
World Bank Group
행정기록을 스캔하여 아카이브시스템에 공개 (2015 월드뱅크그룹의 투명성/개방성 정책 일환)
개발지원 업무기록, 프로젝트 결과물, 경제학 연구자료, 역사자료 등 2만여 건 (스캔문서 800건)
1
5
2. 사례
1) 해외사례
DPLA
미국의 도서관, 박물관, 아카이브, 문화유산기관 소장기록 통합서비스
2014년 기준 1,200개 기관이 7백만 건 기록 제공
1
6
2. 사례
1) 해외사례
Our Marathon
2013년 보스톤 마라톤 폭탄테러 관련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시민들이 직접 기록 제출
1
7
2. 사례
1) 해외사례
Cleveland Historical
클리블랜드 주의 역사적 장소 관련 기록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 (모바일 앱 제공)
563개 장소별 사진, 오디오, 동영상을 27개 투어로 제공 (뮤직히스토리, 교통, 이주민 역사 등)
1
8
2. 사례
1) 해외사례
부산대학교 로컬리티 아카이브
부산항 역사, 밀양 송전탑 갈등, 부산의 노동자와 생활사 기록 연구결과물/수집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1
9
2. 사례
2) 국내사례
성공회대학교 - 대한마이크로노동조합 아카이브
1980년대 결성되었던 인천 대한마이크로 노조원들의 활동과 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지금은 40~50대가 된 노조원들의 참여로 당시의 기록물 기증, 구술 진행 중
2. 사례
2) 국내사례
20
동대문구 기억여행
동대문구의 20개 대표적 장소 관련기록을 수집하여 아카이브 구축
청량리, 한의약 등 2개 투어 제공
2
1
2. 사례
2) 국내사례
서울대학교 - 김세진이재호 기억저장소
1986년 4월 28일 전방입소를 거부하며 분신한 김세진.이재호 아카이브 구축 중
기록위원회 결성, 83~87학번 집단구술을 통해 80년대 학생운동 관련 기록컨텐츠 개발 예정
2. 사례
2) 국내사례
22
서울시 북부교육청 - 교육역사전시관
관내 20개 초등학교/중학교 기록을 수집하여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 (Omeka)
교육청 역사, 학교별 전시, 주제별 전시(공문서로 보는 시대변화, 학교의 소리 등) 제공
2. 사례
2) 국내사례
23
2
4
풀무학교 전공부
농촌마을의 역사 아카이브
풀무학교 전공부 10주년 컬렉션
- 2011년 마을공동체 문화연구소와 공동작업으로 진행 (3개월 간)
- <사진과 내러티브>를 주제로 공부사진 42,384장(50GB) 수집
- 학교 보유사진 + 졸업생과 교사 기증사진
- 특징 : 이야기 기술(Narrative Description) 사용 (기록학 표준 배제)
풀무학교: 충남 홍성군의 2년 성인과정 농업대학 (오전엔 인문학 공부, 오후에는 논농사/밭농사)
2. 사례
2) 국내사례
2
5
416기억저장소
이우학교
동물보호단체 카라
.
.
.
2. 사례
2) 국내사례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사업취지
아카이브의
성격
수집기록물
주요 이용자군
구축전략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선행 고려 사항
26
중학교
고등학교
설림인가
1997년 현재2003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고 확산하는 학교
 이우학교 정신/가치의 공유와 확산
 2013년 10주년 기념의 후속 작업
 2013년 아카이브 개요 수업과 이후 아카이빙 활동의 연속선
(1) 사업취지 :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는 무엇인가
27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우학교
(2) 아카이브의 성격 : 무엇을 위한 아카이브인가
모든 것의 아카이브
역시 기록
업무 기록
+ ?
조직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일단 모아보자
역사자료와 정보를 발굴하고,
구술 등 진행
주요 활동의 결과, 프로젝트 성
과 등 특정 컬렉션을 중심으로
아카이빙
28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3)수집 대상 기록물 : 누가 어떤 기록을 가지고 있는가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마을
• 수업과제, 학교행사 관련
• 학생회, 자치활동 관련
• 소통과 공유 (플랫폼)
• 교육과정, 교수학습 관련
• 학급운영, 학생생활 관련
• 학교행정 관련
• 급별, 학년별, 졸부 조직
• 주요기능별 조직
• 학교연혁, 주요사업 등
• 학교 공식 조직, 회의체계, 행정
• 이우학교 재학생, 졸업생 중심 마을 기록
학교기록 마을기록
29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우학교
(3)수집 대상 기록물 : 아이템 보다는 기억
30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 기록 자체보다는 기억과 관계에 집중
 기록의 내용과 함께 그 맥략과 구조도 함께 재현
 관련 정보간의 연결포인트 확보
 기록-맥락정보 연결
 기록과 관련된 맥락정보(인물, 단체, 사건, 일지 등)를 상호연결함
 기록-기록간 연결 (예) 교수학습자료 - 학생수행과제
 맥락정보-맥락정보간 연결 (에) 주요행사 – 관련 인물
기록
인물
단체
사건
일지
연표
(4) 주요 이용자군 : 누구를 위한 아카이브인가
학생, 학부모
교직원, 학교
비이해당사자
-연구자, 교육자,학생, 컨텐츠제공자(CP)
 학생의 지적, 신체적 성장의 과정
 학교생활의 관계, 학부모 활동의 역동성
 교수학습 자료의 축적과 활용
 학교정체성 공유와 확산
 연구, 교육, 컨텐츠개발 등 이용목적에 맞는
raw 데이터, 관련 콘텐츠 제공
 우선순위는?
- 수집 우선순위, 수집범위, 보여주는 방식,
컨텐츠 개발방향 등에 영향을 미침
- 시기별로 우선순위는 변동될 수 있음
31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
(5) 아카이브의 구축 전략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 학교
비이해당사자
-연구자, 교육자,학생, 컨텐츠제공자(CP)
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다양하고 간명한 참여 기능)
 디지털 아카이브
 (학교자료와 기억저장소)
 연구자, CP - raw 데이터 제공
 교육자, 학생 - 교수학습콘텐츠 개발
디지털
아카이브
참여형
아카이브
교육용
컨텐츠 제공
32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
대체로 무해한 아카이브연구소
감사합니다
아카이브랩
@lab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Han Woo PARK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ChangeON@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humandasan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ChangeON@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ChangeON@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ChangeON@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daumfoundation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daumfoundation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Han Woo PARK
 

Viewers also liked (12)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특강 - KBS방송문화연구소 이태경 부장] 방송의 이해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2016 체인지온@벌집]주민이 상상하는 마을과 행정의 역할_황석연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151203 민중총궐기 국가폭력조사단 기자회견 자료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
방송학개론(2011년 개정판) 1주차 방송의 개념과 범위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2016 체인지온@벌집] 커뮤니티 비즈니스, 비밀_김정우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1장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2016 체인지온@벌집] 석교동 마을공동체 이야기_이명숙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2016 체인지온@벌집] 와글와글 시민의 힘으로 만드는 더 나은 민주주의_진소연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2016 체인지온] 부산지역 청년잡지 지잡_김영욱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2016 체인지온] 공간이 나에게 말을 걸다, 공간공감_김은화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1장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Similar to [2016 체인지온@공룡] 기록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아카이브 - 전혜영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inktomy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Daejin An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Suntae Kim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선옥 장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Youngcheol Lee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glorykim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glorykim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Kwon-Jung J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glorykim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Youngcheol Lee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Kay Kim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광영 김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glorykim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daumfoundation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Npocenter Seoul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ChangeON@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Baro Kim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Suntae Kim
 
웹 2.0과 도서관
웹 2.0과 도서관웹 2.0과 도서관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Hansung University
 

Similar to [2016 체인지온@공룡] 기록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아카이브 - 전혜영 (20)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재사용과공유를위한수업자료큐레이션시스템기능에대한연구 (3)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AtoM으로 아카이브 만들기 lite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연구데이터! 기승전도서관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기독지식정보콘텐츠개발방안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
Unist Library Annual Report 2011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0 0603 황혜경_해외저널_0603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2013 아카이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기억과기록경영연구원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20100407 박진호 d_lifecycle_kisti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UNIST 리포지터리 현황 및 발전방안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국중2016.5) 큐레이션의 이해와 도서관 적용사례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웹 2.0과 도서관
웹 2.0과 도서관웹 2.0과 도서관
웹 2.0과 도서관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More from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ChangeON@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ChangeON@
 

More from ChangeON@ (20)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9_체인지온@벌집] 청년, 금산에 살다_전하연, 박성연(금산 들락날락 협동조합)
 

[2016 체인지온@공룡] 기록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아카이브 - 전혜영

  • 1. 2016 비영리미디어컨퍼런스 체인지온@공룡 Q&A : 한계적 상황의 재구성을 위한 묻고 답하기 전혜영 | 아카이브랩 souldrive@archivelab.co.kr 010.3231.7951| 2016.10.29 [섹션 3] 함께 만드는 기록의 힘 기록하고 기억하고 행동하는 아카이브
  • 2.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사례 3. 아카이브 구축 방향 수립 목차
  • 3.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3 아카이브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치 를 가진 기록물에 대한 보존 행위의 주체이자 기록이 모여져 있는 장 소, 혹은 기록 그 자체 아카이빙 기록물을 장기간 관리 하여 이후의 이용을 보 장하는 활동. 넓은 의미로는 아카이 브의 구축 및 운영에 이 르는 활동 일체 디지털 아카이빙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 치를 가진 디지털 객체 를 장기간 관리하여 이 후 이용을 보장하는 활 동 일체 VS VS 아카이브시스템 기록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서 수집, 보존, 서비스 등 제 과 정을 기계적으로 통제하는 시 스템전반 RMS Record Management system AMS Archive Management system • 현용기록 관리 (매일 생산되는 기록) • 업무관리시스템과의 연동 필요 • 보존기록 관리 (평가.선별된 기록) • (장기)보존, 서비스 기능의 강화 1) 아카이브 이해용어정리
  • 4. 4 홈페이지 카페 SNS 협업도구 아카이브 VS. 사업수행, 홍보 전문적/특화된 정보 소통과 공유 기록과 정보의 누적 • 의식적, 의도적, 역사적 활동 • 무한 축적 < 선별적 수집 • 역사적 보존 + 미래의 활용 • 내용 + 맥락과 구조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 아카이브 이해아카이브의 특징
  • 5. 정책  아카이브 방향, 주요 수집기록물, 주요 이용자층 등에 대한 방향 정립  로드맵 등 실행전략 수립 수집  주요 소장처, 리드 발굴  참여형 수집, 이벤트 및 기획수집  구술 및 인터뷰  일지 및 맥락정보 보충수집 관리  등록 및 기술 (목록작업)  기록-맥락정보 연결  디지털화, 매체변환, 장기보존, 보안 등 서비스  기록콘텐츠 개발  교육용콘텐츠 집중 개발  이용자군별 서비스 내용 다각화 시스템  기능요건에 따른 시스템 개발 및 유지  개발 기능 현행화 및 안정화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 아카이브 이해아카이브의 주요 업무 5
  • 6.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NPO 기록의 특성과 아카이빙의 이슈 6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7.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NPO 아카이빙의 현실 기록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 (반면, 활동가들은 문서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요 구가 높은 편임) 기록관리 전담 인력은 거의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홍보 및 정책 업무 담당자가 병행하는 경 우가 많음. 기록관리를 위한 예산이 미비하거나 없음 문서고, 보존실, 열람실 등 기록관리를 위한 공간 없음. 기록관리 업무를 위한 도구 및 장 비, 시설 등이 거의 갖춰져 있지 않음 문서관리, 폴더관리 등의 내부규정이 있는 조직도 일부 있음. 일부 조직에서 활동가 대 상 문서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대체로 이뤄지고 있지 않음 예결산, 회의록 등 일부 기록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는 경우가 대부분 기록관리시스템(혹은 아카이브시스템)이 거의 구축되어 있지 않음. 공용폴더, 드라이브 등에 문서 를 저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정책 인력 예산 공간 시설 업무 교육 서비스 시스템 7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8. NPO 아카이빙 한계의 원인 시장 미형성 지원체계 부족 인프라 부족 인식 부족 • NPO에 적합한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업체 부재 • NPO 특성에 맞는 아카이빙 컨설팅, 교육, 네트워킹 등 지원프로그램 및 지원조직 부재 • NPO내 기록관리를위한 인력, 예산, 공간, 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미비. 여 력 부족 • 아카이브에대한조직내부의인식과(특히 의사결정권자의)의지부족 누구냐, 너는? 아카이브에서 하는 업무와 서비스를 경험해본 적이 없음 8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9. 아카이브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NPO 아카이빙 지원체계 마련 NPO 아카이빙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 NPO 아카이빙 인프라 확충 NPO 아카이빙 활성화 지원체계 인프라 시장 인식 ① ② ③ ④① ② ③ ④ 9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10. 아카이브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10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체계적인 관리 기록의 내용과 맥락, 관리이력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기록의 진본성과 신뢰성을 확보 (장기) 보존메타데이터와 기록 사이의 링크를 유지 하여, 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신뢰성 과 무결성을 확보 효과적인 활용 검색 기능을 통해 기록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기록관 홍보 서비스플랫폼이 있을 경우, 기관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에게 기록관의 존재와 역할 등을 어필할 수 있음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11. 아카이브시스템 도입 시 고려사항 11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11 시스템 활용을 통해 기록관리의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인지 명확해야 함 (전면적인 기록관리 도입 vs 기록물 서비스 제 공 vs 기록물 등록) 기술 발달, 조직의 여건 변화, 기록관리의 범위 확 대 등 대내외적 변화요인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 기 위해서는 확장가능성이 담보되는 시스템의 도 입이 요구됨 시스템은 구축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지원이 가능한 업체 혹은 소프트웨어의 선택이 중요함 도입 목적 확장가능성 지속성과 안전성 예산 시스템의 확장가능성, 안 전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 여 중장기 예산이 설정되 지 않으면 시스템의 안정 적인 유지․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12. 기대효과 1. 아카이브 @비영리단체 2) 비영리단체의 아카이빙  조직 유지와 가치 확보를 위해서는 NGO의 활동을 잘 홍보하고 NPO 운영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함. 이 는 기록을 잘 관리함으로써 가능하며 이를 통해 외 부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회원의 증가, 지원의 확대 등 NGO 경영에 필요한 이익을 얻을 수 있음  NPO는 소규모 인력으로 수많은 사업을 벌이 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활동가의 업무 효율성 과 조직 전체의 경영 효율성이 매우 중요함  업무와 관련된 풍부한 자료를 마음껏 활용할 수 있으면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음 (과거의 업무경험을 확인․검토하 여 현재의 업무를 수행함)  NPO의 정체성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NGO를 왜 만들었으며, 어떤 활동을 하고, 사 회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구성원들이 명확하 게 알고 있어야 함 (경력이 짧은 활동가들조 차 조직의 역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 가 있음)  NPO의 활동, 역사, 조직 현황을 쉽게 알 수 있는 기록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한 다면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 민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함께 활동하고 싶다는 참여의지 도 고취시킬 수 있음 12
  • 13. Herstory Writers Workshop Special Collection - 2009년 <Herstory Writers Workshop>이라는 단체가 뉴욕 스토니브룩대학에 기증한 기록 - 1996년부터 2008년까지의 글쓰기 활동기록(사진/편지/잡지/신문/팜플릿/매뉴얼/비디오) - 3개 상자 9개 시리즈 37개 파일 - 특징 : 국제표준에 따른 깔끔한 기술(ISAD(G)) Herstory Writers Workshop : -롱아일랜드의 취약계층 재소자 여성들을 위한 글쓰기 워크숍 Herstory Collection 가난하고 소외받는 여성들의 글쓰기 기록 2. 사례 1) 해외사례 13
  • 14. JMABC (Jewish Museum & Archives of BC)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유대인 공동체 역사기록 아카이브 구축 150년 역사를 담은 사진 30만 건, 구술 700 건 홈페이지 (WordPress) 아카이브 (AtoM) 크라우드펀딩 2. 사례 1) 해외사례 14
  • 15. World Bank Group 행정기록을 스캔하여 아카이브시스템에 공개 (2015 월드뱅크그룹의 투명성/개방성 정책 일환) 개발지원 업무기록, 프로젝트 결과물, 경제학 연구자료, 역사자료 등 2만여 건 (스캔문서 800건) 1 5 2. 사례 1) 해외사례
  • 16. DPLA 미국의 도서관, 박물관, 아카이브, 문화유산기관 소장기록 통합서비스 2014년 기준 1,200개 기관이 7백만 건 기록 제공 1 6 2. 사례 1) 해외사례
  • 17. Our Marathon 2013년 보스톤 마라톤 폭탄테러 관련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시민들이 직접 기록 제출 1 7 2. 사례 1) 해외사례
  • 18. Cleveland Historical 클리블랜드 주의 역사적 장소 관련 기록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 (모바일 앱 제공) 563개 장소별 사진, 오디오, 동영상을 27개 투어로 제공 (뮤직히스토리, 교통, 이주민 역사 등) 1 8 2. 사례 1) 해외사례
  • 19. 부산대학교 로컬리티 아카이브 부산항 역사, 밀양 송전탑 갈등, 부산의 노동자와 생활사 기록 연구결과물/수집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1 9 2. 사례 2) 국내사례
  • 20. 성공회대학교 - 대한마이크로노동조합 아카이브 1980년대 결성되었던 인천 대한마이크로 노조원들의 활동과 기록을 아카이브로 구축 지금은 40~50대가 된 노조원들의 참여로 당시의 기록물 기증, 구술 진행 중 2. 사례 2) 국내사례 20
  • 21. 동대문구 기억여행 동대문구의 20개 대표적 장소 관련기록을 수집하여 아카이브 구축 청량리, 한의약 등 2개 투어 제공 2 1 2. 사례 2) 국내사례
  • 22. 서울대학교 - 김세진이재호 기억저장소 1986년 4월 28일 전방입소를 거부하며 분신한 김세진.이재호 아카이브 구축 중 기록위원회 결성, 83~87학번 집단구술을 통해 80년대 학생운동 관련 기록컨텐츠 개발 예정 2. 사례 2) 국내사례 22
  • 23. 서울시 북부교육청 - 교육역사전시관 관내 20개 초등학교/중학교 기록을 수집하여 온라인 아카이브 구축 (Omeka) 교육청 역사, 학교별 전시, 주제별 전시(공문서로 보는 시대변화, 학교의 소리 등) 제공 2. 사례 2) 국내사례 23
  • 24. 2 4 풀무학교 전공부 농촌마을의 역사 아카이브 풀무학교 전공부 10주년 컬렉션 - 2011년 마을공동체 문화연구소와 공동작업으로 진행 (3개월 간) - <사진과 내러티브>를 주제로 공부사진 42,384장(50GB) 수집 - 학교 보유사진 + 졸업생과 교사 기증사진 - 특징 : 이야기 기술(Narrative Description) 사용 (기록학 표준 배제) 풀무학교: 충남 홍성군의 2년 성인과정 농업대학 (오전엔 인문학 공부, 오후에는 논농사/밭농사) 2. 사례 2) 국내사례
  • 26.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사업취지 아카이브의 성격 수집기록물 주요 이용자군 구축전략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선행 고려 사항 26
  • 27. 중학교 고등학교 설림인가 1997년 현재2003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고 확산하는 학교  이우학교 정신/가치의 공유와 확산  2013년 10주년 기념의 후속 작업  2013년 아카이브 개요 수업과 이후 아카이빙 활동의 연속선 (1) 사업취지 :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는 무엇인가 27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우학교
  • 28. (2) 아카이브의 성격 : 무엇을 위한 아카이브인가 모든 것의 아카이브 역시 기록 업무 기록 + ? 조직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일단 모아보자 역사자료와 정보를 발굴하고, 구술 등 진행 주요 활동의 결과, 프로젝트 성 과 등 특정 컬렉션을 중심으로 아카이빙 28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 29. (3)수집 대상 기록물 : 누가 어떤 기록을 가지고 있는가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마을 • 수업과제, 학교행사 관련 • 학생회, 자치활동 관련 • 소통과 공유 (플랫폼) • 교육과정, 교수학습 관련 • 학급운영, 학생생활 관련 • 학교행정 관련 • 급별, 학년별, 졸부 조직 • 주요기능별 조직 • 학교연혁, 주요사업 등 • 학교 공식 조직, 회의체계, 행정 • 이우학교 재학생, 졸업생 중심 마을 기록 학교기록 마을기록 29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우학교
  • 30. (3)수집 대상 기록물 : 아이템 보다는 기억 30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 기록 자체보다는 기억과 관계에 집중  기록의 내용과 함께 그 맥략과 구조도 함께 재현  관련 정보간의 연결포인트 확보  기록-맥락정보 연결  기록과 관련된 맥락정보(인물, 단체, 사건, 일지 등)를 상호연결함  기록-기록간 연결 (예) 교수학습자료 - 학생수행과제  맥락정보-맥락정보간 연결 (에) 주요행사 – 관련 인물 기록 인물 단체 사건 일지 연표
  • 31. (4) 주요 이용자군 : 누구를 위한 아카이브인가 학생, 학부모 교직원, 학교 비이해당사자 -연구자, 교육자,학생, 컨텐츠제공자(CP)  학생의 지적, 신체적 성장의 과정  학교생활의 관계, 학부모 활동의 역동성  교수학습 자료의 축적과 활용  학교정체성 공유와 확산  연구, 교육, 컨텐츠개발 등 이용목적에 맞는 raw 데이터, 관련 콘텐츠 제공  우선순위는? - 수집 우선순위, 수집범위, 보여주는 방식, 컨텐츠 개발방향 등에 영향을 미침 - 시기별로 우선순위는 변동될 수 있음 31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
  • 32. (5) 아카이브의 구축 전략은? 학생, 학부모 교직원, 학교 비이해당사자 -연구자, 교육자,학생, 컨텐츠제공자(CP) 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 (다양하고 간명한 참여 기능)  디지털 아카이브  (학교자료와 기억저장소)  연구자, CP - raw 데이터 제공  교육자, 학생 - 교수학습콘텐츠 개발 디지털 아카이브 참여형 아카이브 교육용 컨텐츠 제공 32 3. 아카이브 구축방향 수립 (예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