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2015년5월31일
양세진(소셜이노베이션그룹)
2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3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4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5
순종적 참여
(서비스 이용, 사용.
현상 유지 자원봉사
및 마을활동,
자본주의 경제아래에서
착한소비실천 등…)
시민참여
6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7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8
정치적 중립. 정치색을 탈피하여 순수한 ‘민주
시민교육’을 하겠다...그런데, 이게 뭔말인지?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9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민주공화국의 ‘주권’의 주체로서 ‘민’의 본래
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방식에 대한 캐물음.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0
민주공화시민의 본래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방식을 무력화시키고, ‘순종적 참여’
의 주체로 가두는 것이 공화국의 위기.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1
순종적 참여
(서비스 이용, 사용.
현상 유지 자원봉사
및 마을활동,
자본주의 경제아래에서
착한소비실천 등…)
저항적 참여
(저항적 창조, 변화와
혁신을 위한 봉사와
마을활동, 사회적경제로서
대안경제활동 및
생태계 생성 등…)
시민참여
12
“분노할 일에 분노하기를
결코 단념하지 않는 사람
이라야 자신의 존엄과 공
동체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고, 자신의 행복과 공동
체의 행복을 지킬 수 있
다”
스테판 에셀(1917~2013)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3
시민불복종이 일어나는 것은 상당수의 시민들이 변화를
이루어 낼 정상적 통로가 더 이상 기능하지 못하고 불만
이 더 이상 청취되지 않거나 처리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들 때, 또는 그와 반대로 정부가 그 적법성과 합헌성이 심
각히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어떤 변화를 꾀하거나 정책에
착수하고 추진한다는 확신이 들 때이다. 범죄자가 공공의
눈을 피하려는 것과 시민불복종자가 공개적인 저항 차원
에서 법을 무시하는 것은 전적으로 다른 일이다.
[공화국의 위기], 116~117쪽.
14
푸코의 철학적 주제인 “권력’의 문제를
계보학적으로 탐색한 대한 텍스트.
“권력관계와 주체성 / 행정권력과 통치성
/ 자본권력과 신자유주의”의 성찰이 수렴
되고 확산되는 중심에 위치한 텍스트.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5
지난 몇 년간 우리는 비록 피상적인 차원이기는 하지만 ‘안
돼, 앎은 필요없어, 삶 자체가 중요해’,‘인식은 이제 그만, 오
로지 사실만을’, ‘책 같은 건 필요 없어, 돈만 있으면 돼’ 등의
주제들을 자주 접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생겨나고 있
는 것은 ‘예속된 앎’이다. 예속된 앎이란 형식적 체계화 안
에 감싸여지고 은폐된 역사적 내용을 가리킨다. 따라서 요
양원 혹은 감옥에 대한 비판을 했던 것은 예속된 앎에 대한
저항이었다. ‘예속된 앎’이란 충분히 가공되지 않은 앎, 또는
비개념적 앎들로 폄하된 일련의 앎들을 지칭했다. 순진하
고, 낮은 수준에 속하며, 자격 없고, 폄하되기까지 하는 앎
들에 갇혀 있는 삶. 정신의학 대상자의 앎, 환자의 앎, 수용
자의 앎, 그리고 보통 사람들의 앎으로까지 확대되는 이러
한 예속적인 앎을 비판하고 극복하려고 했다.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24-25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6
푸코(1926~1984)
“나에게 철학함이란 단순히 지식의 습득만
을 보장해 주는 호기심이 아니었다. 우리가
현재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생각
할 수 있다(팡세 오트르멍 penser
autrement, think different)’는 의문이 반
드시 필요했고, 이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철학이란 다르게 생각하면서 기존
의 사유에 대한 비판 작업이라 생
각했다. 그것은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것
을 정당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그리고
어디까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가를 알아내려는 노력, 바로
그것이다.”
17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강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떤 사회에 속해있나?
2강 규율권력과 주권권력
3강 규율권력과 생명관리권력
4강 통치성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필수교재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각자구입)
* 수강료 : 6만원/1인
* 강의시간 : 2시간 / 평일 저녁 7시~9시.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여름계절학기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WorldHumanRightsCitiesForum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lee won don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Jeong Eun Kim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은영 김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Green Korea United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humandasan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SIMIN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창열 이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humandasan
 
2013 03 도라지꽃
2013 03 도라지꽃2013 03 도라지꽃
2013 03 도라지꽃마 법사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환경연대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humandasan
 
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
humandasan
 
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
Rohjoonshik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ecobuddha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은영 김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SIMIN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여성환경연대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은영 김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HWPL
 

Similar to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여름계절학기 (20)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Neoliberalism, Privatization and State Violence」HONG Seong-Tae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학부모신문 267호(20131205)입니다.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강의]시민이니셔티브 정보연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2년 7,8월호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2020 강한시민사회 5차포럼 - 코로나 딜레마, 그럼에도 잊지말아야 할 가치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7, 8월호
 
2013 03 도라지꽃
2013 03 도라지꽃2013 03 도라지꽃
2013 03 도라지꽃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4호 (소식지, 2005)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Dasan Human Rights Center 2023 annual reports
 
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2020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
 
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촛불세대의 코칭
촛불세대의 코칭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생명운동 작은대학 - 생태주의 논의와 생명운동의 지향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역사교과서 국정화 토론회 자료집 (20140211)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2020 강한시민사회 4차포럼 - 지금 다시, 연대와 협력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신인간과 새로운 공동체 생명사상 (2003)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학부모신문 263호입니다. (20130805)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한반도 평화 통일 염원 강연 콘서트
 

More from 세진 양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세진 양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세진 양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세진 양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세진 양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세진 양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세진 양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세진 양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세진 양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세진 양
 
양세진 프로필 2013
양세진 프로필 2013양세진 프로필 2013
양세진 프로필 2013세진 양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세진 양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세진 양
 
강수진 2013
강수진 2013강수진 2013
강수진 2013
세진 양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세진 양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세진 양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세진 양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세진 양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세진 양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세진 양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세진 양
 

More from 세진 양 (20)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나눔의 본질을 묻다 사랑의열매 정동아카데미 35회 20160216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시민개념학과 2015 여름 계절학기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레비나스 철학 소개 양세진 2014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충북여성장애인연대 여성주의철학아카데미 7강_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온전한 시민성의 철학 2104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
토마스 피케티 자신이 요약 정리한 [21세기 자본론]의 핵심 보고서입니다.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울림과어울림의 공명리더십워크숍 4월26일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상호주관성 양세진 2013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
사회학을 찬미하다 피에르부르디외
 
양세진 프로필 2013
양세진 프로필 2013양세진 프로필 2013
양세진 프로필 2013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울림이 있는 변화, 공명리더십워크숍 3월22일 하루 집중과정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 2월22일
 
강수진 2013
강수진 2013강수진 2013
강수진 2013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사회적경제 인간다운 삶의 추구 양세진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최저임금법 개정제안 국회보 2013년1월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공명리더십 참고자료 2013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공명리더십 2013년1월24 25일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사회적 경제와 사회서비스 정책(공유) 20121207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덕의 관점에 본 공직윤리의 철학 20121226 양세진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공명리더십워크숍 2013년1월24 25(목_금)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여름계절학기

  • 1. 1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2015년5월31일 양세진(소셜이노베이션그룹)
  • 2. 2
  • 3.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3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 4.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4
  • 5.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5 순종적 참여 (서비스 이용, 사용. 현상 유지 자원봉사 및 마을활동, 자본주의 경제아래에서 착한소비실천 등…) 시민참여
  • 6. 6
  • 7.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7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8. 8 정치적 중립. 정치색을 탈피하여 순수한 ‘민주 시민교육’을 하겠다...그런데, 이게 뭔말인지?
  • 9.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9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민주공화국의 ‘주권’의 주체로서 ‘민’의 본래 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방식에 대한 캐물음.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10.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0 민주공화시민의 본래적이고 본질적인 존재방식을 무력화시키고, ‘순종적 참여’ 의 주체로 가두는 것이 공화국의 위기.
  • 11.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1 순종적 참여 (서비스 이용, 사용. 현상 유지 자원봉사 및 마을활동, 자본주의 경제아래에서 착한소비실천 등…) 저항적 참여 (저항적 창조, 변화와 혁신을 위한 봉사와 마을활동, 사회적경제로서 대안경제활동 및 생태계 생성 등…) 시민참여
  • 12. 12 “분노할 일에 분노하기를 결코 단념하지 않는 사람 이라야 자신의 존엄과 공 동체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고, 자신의 행복과 공동 체의 행복을 지킬 수 있 다” 스테판 에셀(1917~2013)
  • 13.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3 시민불복종이 일어나는 것은 상당수의 시민들이 변화를 이루어 낼 정상적 통로가 더 이상 기능하지 못하고 불만 이 더 이상 청취되지 않거나 처리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들 때, 또는 그와 반대로 정부가 그 적법성과 합헌성이 심 각히 의심스러운 방식으로 어떤 변화를 꾀하거나 정책에 착수하고 추진한다는 확신이 들 때이다. 범죄자가 공공의 눈을 피하려는 것과 시민불복종자가 공개적인 저항 차원 에서 법을 무시하는 것은 전적으로 다른 일이다. [공화국의 위기], 116~117쪽.
  • 14. 14 푸코의 철학적 주제인 “권력’의 문제를 계보학적으로 탐색한 대한 텍스트. “권력관계와 주체성 / 행정권력과 통치성 / 자본권력과 신자유주의”의 성찰이 수렴 되고 확산되는 중심에 위치한 텍스트.
  • 15.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5 지난 몇 년간 우리는 비록 피상적인 차원이기는 하지만 ‘안 돼, 앎은 필요없어, 삶 자체가 중요해’,‘인식은 이제 그만, 오 로지 사실만을’, ‘책 같은 건 필요 없어, 돈만 있으면 돼’ 등의 주제들을 자주 접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생겨나고 있 는 것은 ‘예속된 앎’이다. 예속된 앎이란 형식적 체계화 안 에 감싸여지고 은폐된 역사적 내용을 가리킨다. 따라서 요 양원 혹은 감옥에 대한 비판을 했던 것은 예속된 앎에 대한 저항이었다. ‘예속된 앎’이란 충분히 가공되지 않은 앎, 또는 비개념적 앎들로 폄하된 일련의 앎들을 지칭했다. 순진하 고, 낮은 수준에 속하며, 자격 없고, 폄하되기까지 하는 앎 들에 갇혀 있는 삶. 정신의학 대상자의 앎, 환자의 앎, 수용 자의 앎, 그리고 보통 사람들의 앎으로까지 확대되는 이러 한 예속적인 앎을 비판하고 극복하려고 했다.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24-25
  • 16. 신촌대학교 _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6 푸코(1926~1984) “나에게 철학함이란 단순히 지식의 습득만 을 보장해 주는 호기심이 아니었다. 우리가 현재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생각 할 수 있다(팡세 오트르멍 penser autrement, think different)’는 의문이 반 드시 필요했고, 이것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철학이란 다르게 생각하면서 기존 의 사유에 대한 비판 작업이라 생 각했다. 그것은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것 을 정당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그리고 어디까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가를 알아내려는 노력, 바로 그것이다.”
  • 17. 17 신촌대학교 [민주공화시민학과] 2015 여름계절학기 1강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떤 사회에 속해있나? 2강 규율권력과 주권권력 3강 규율권력과 생명관리권력 4강 통치성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필수교재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각자구입) * 수강료 : 6만원/1인 * 강의시간 : 2시간 / 평일 저녁 7시~9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