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석 사 학 위 논 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석 사 학 위 논 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
석 사 학 위 논 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지도교수 하 은 혜 
이 논문을 아동복지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12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
오선화의 아동복지학 석사 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2013년 12월 
심사위원장 교수(印) 
위 원 교수(印) 
위 원 교수(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목 차 
목 차····························································ⅰ 
표 목 차····························································ⅲ 
부록목차····························································ⅳ 
국문요약····························································ⅴ 
Ⅰ.서 론·································································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연구문제·····························································5 
Ⅱ.이론적 배경·····················································7 
1.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7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10 
3.아동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15 
Ⅲ.연구방법························································20 
1.연구대상····························································20 
2.측정도구····························································22 
1)실행기능 결함 질문지··········································22 
2)ADHD 증상 척도···············································23 
3)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24 
3.연구절차····························································25 
4.자료처리 및 분석·················································25 
Ⅳ.연구결과························································27 
1.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27 
i
2.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32 
3.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34 
4.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35 
Ⅴ.논의·····························································37 
1.논의 및 결론······················································37 
2.제언·································································42 
참고문헌····························································43 
부 록····························································52 
ABSTRACT·······················································61 
ii
표 목 차 
표 1.성별 및 학년별 분포············································21 
표 2.학년 및 성별에 따른 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21 
표 3.인구학적 특성····················································22 
표 4.실행기능 결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23 
표 5.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24 
표 6.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5 
표 7.스마트폰 이용 실태·············································27 
표 8.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 및 만족하는 부분················28 
표 9.주로 사용하는 휴대폰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29 
표 10.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30 
표 11.스마트폰 중독,실행기능 결함,ADHD 증상의 상관관계··33 
표 12.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34 
표 13.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34 
표 14.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35 
표 15.ADHD 증상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36 
iii
부 록 목 차 
부록 1.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53 
부록 2.실행기능 결함 질문지·········································57 
부록 3.ADHD 증상 척도··············································59 
부록 4.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61 
iv
국 문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98명을 대상으로,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ADHD 증상 
척도,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을 조사한 결과,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이 39.3%로 가장 많았고,1-2시간 
미만이 29.9%,2-3시간이 14.2%를 차지하였다. 
둘째,주 사용 기능으로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 
였고,최다 사용 어플리케이션도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 
터,카카오스토리,인스타그램 등)’가 32.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 
지하였다. 
셋째,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점 및 ADHD 증상 총점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정적 상관관계 
를 나타내,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에 빠질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총점과 하위 요인 모두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도 주의집중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한 결과,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ADHD 증 
상 하위 요인 중 주의산만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 
다.한편,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유 
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아동,실행기능 결함,ADHD 증상,스마트폰 중독 
v
Ⅰ.서 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스마트폰 의존 증후군을 경 
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등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부작용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스마트폰이란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 
어 있어 상시 접속이 가능한 미디어로(Chen,2012),미디어 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및 
게임 중독만큼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김형지,김정환,정세 
훈,2012).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 이용에 몰두하는 시간이 길 
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황하성,손승혜,최 
윤정,2011)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우려와 문제점들이 지 
속적으로 조명되고 있는 것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아직까지 미비한 수준이다(황하성 등,2011;Park & Lee, 
2011).또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리 스마트폰은 매우 빨리 확산 
되고 있어 기기에 대한 인식이 이미 대중화 단계에 들어서 있음에 
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라는 매체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많 
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된 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아,아 
직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뒷받침 할 충분한 증거나 연구가 부족하 
다.최근에 들어서야 스마트폰 사용의 역작용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 
되기 시작하였지만,비교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가 많이 축적 
되지 않은 실정이다.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에 인터넷 및 휴대폰 중 
독 개념을 차용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인터넷 중독의 역작용에 대한 연구에서는 인터넷 과다 사용은 사 
회적 철회나 우울증 같은 새로운 정신병리를 유발할 수 있고 
(Mitchell,2000),우울증,사회공포증,충동조절장애,ADHD와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를 좀 더 심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Orzack,1996). 
또한,성장기 뇌 발달을 저해하고 정체성의 확립에 장애를 일으키기
도 하는데,청소년 및 성인에 비해 아동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김선숙,2004)연령이 어릴수록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윤혜연,2008).인터넷 중독에 대한 선행연구이 
지만 스마트폰 이용자 중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 
자(한국인터넷진흥원,2013)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폐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또한 어릴수록 역작용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 습성에 대해 확인한 선행연구(이국용, 
2012)에서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어떤 행위를 하지만,동 
일한 행위를 반복하다보면 그 행위에 강한 충성도를 가지게 되어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고,추후 해당 행위를 하지 않게 되면 심리적 
으로 불안해진다고 하였다.결국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용자들은 스 
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에서는 물질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 혹 
은 타인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행위를 수행하려는 충동이나 욕구,유 
혹 등에 저항하지 못하는 행동장애를 충동 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로 규정하고 있다(APA,2000).즉,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충동성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충동성과 관련하여,뇌의 전전두 피질은 충동성 통제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데,전전두 피질의 전두-선조체(fronto-striatal)억압 체계 
의 손상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Kalenscher, Ohmann, & 
Güntürkün,2006;Lane,Cherek,Rhodes,& Tcheremissine,2003). 
최근 이러한 충동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실행기능 
(executivefunction)이 규명되었다. 
실행기능이란 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적절한 문제해 
결 틀(set)을 유지하는 능력으로(Welsh & Pennington,1988),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지속시키는 인지적 과정이다(Razza& Blair,2009). 
즉,대뇌피질의 한 영역인 전전두엽(prefrontalcortex)이 자기조절을 
2
가능하게 하는 정신활동을 통제하며,결국 이 정신활동을 실행기능 
이라는 용어로 통합하면서 전두엽 영역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주장하였다.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전두엽의 손상은 실행기 
능의 결함으로 연결되며,이는 반응 억제 능력의 이상 또는 반응지 
연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Barkley & Murphy, 
1998).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실행기능과 관련된 선행연구 
들에서는 충동조절장애에 해당되는 사람은 전두엽 실행기능에 문제 
가 있다고(Horn,Dolan,Elliott,Deakin,& Woodruff,2003)거론되 
고 있다.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진행 
되었으며,자폐 아동,학습장애 아동,뚜렛 장애 아동 등 임상적 장 
면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 
었다.또한 비행청소년이나 인터넷 중독자와 같이 최근 우리사회에 
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대상들도 연구되었다(공영숙,임지 
영,2011).그러나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초기단계이며 지 
금까지 수행기반의 검사들을 활용하여 일대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대상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이러한 이유들 
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스마트폰 중독의 경우에도 최근 
에 쟁점이 된 문제이기 때문에 두 변인 간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 
었다. 
실행기능과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구에서는 인터 
넷 게임 중독 집단에서 충동성 및 새로운 경험 추구 차원이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났으며,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김신희,안창일,2005).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을 밝힌 전혜연,현명호,전영민(2011)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 
독 성향자들에게서 충동성이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유연성이 낮게 
나타나 전두엽 실행기능의 성격/정서적 측면에 손상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실행기능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 
구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매우 소수였으며,스마트폰 중독과의 관 
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다.최근 스마트폰 중독이 쟁 
3
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이며,중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충동조절 
의 어려움이 규명되고 있으므로 충동성을 조절하는 인지기능의 메 
카인 실행기능의 영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인터넷은 사람이 가진 본능적인 충동을 자극하고 튀어나오 
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는데,평범한 이용자들은 그러한 충동 
을 경험하지 않거나 적절히 제어한다.그러나 이에 취약한 사람들은 
인터넷 중독에 쉽게 빠질 수 있다고 하였다(Cau,Su,Liu,& Gao, 
2007).그런데 이러한 취약성을 지닌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이하 ADHD)가 연구되고 있다.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부주의(주의력 결핍)와 과잉행동ㆍ충동성의 범주에 
해당되는 증상을 보이는 병리이다(APA,2000). 
ADHD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에 의 
해 검증되고 있는데,높은 수준의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에게서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Yoo etal., 
2004),병원을 찾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문제를 살펴본 연구에서 
도 ADHD 아동이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에 비해 인터넷 중독에 빠 
질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권수경,장은영,2010).또한 
높은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용익,이동훈,박원 
모,2010;위지희,채규만,2004). 
한편,최근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ADHD와의 관 
련성을 규명한 결과,스마트폰 중독군에서 ADHD 증상을 가지고 있 
을 가능성이 더 높았고 스마트폰 중독인 경우,스마트폰 중독 정도 
가 심할수록 성인 ADHD일 가능성이 높았다(김동현 등,2013). 
위의 선행연구들을 통해,실행기능 및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실행기능 
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접적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제한적이었다.따라서 ADHD 증상이 스 
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한편,ADHD는 과잉행동ㆍ충동성 우세형(ADHD-HI),주의력 결 
4
핍 우세형(ADHD-I),그리고 복합형(ADHD-C)의 세 가지 하위 유 
형으로 구분된다(APA,2000).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들 
에도 차이가 있게 되는데,복합형은 과잉행동/충동성과 지속적 부주 
의에서,주의력 결핍형은 느린 인지적 템포/과소각성 부주의에서 두 
드러진 문제가 있다(이명주,홍창희,2006b).이와 관련하여 김정순 
(2008)은 ADHD의 하위 유형의 증상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정 
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의력 결핍형,충동성 및 과 
잉행동형,혼합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중독을 알아보고자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ADHD 하위 유형 중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 
넷 중독 비율은 55.5%,충동성 및 과잉행동 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 
율은 35.3%,혼합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0%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김용 
익 등(2010)의 연구에서는 ADHD 하위 유형 중 혼합형이 인터넷 고 
위험 사용자군(48.39%)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주의력 결핍형은 잠 
재적 위험 사용자군(56.58%)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이러한 결과들은 ADHD 하위 유형 각각의 증상 정도에 따라 중 
독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따라서 ADHD 증상 하 
위요인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뒤,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영 
향력을 규명하였다. 
5 
2.연구문제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아동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은 어떠한가?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실행기능 결함의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 
6 
은 어떠한가? 
2-2.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3.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ADHD 증상의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ADHD 증상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이론적 배경 
1.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최근 중독 현상이 여러 매체 영역까지 확장되었으며,2009년 말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용어가 새 
롭게 등장하였다(노미정,김진화,이재범,2010).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발표한 인터넷 중독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로 2010년 8.3%에 
불과했던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이 2011년에는 39.2%로 증가하였다. 
또한 스마트 기기 이용률의 전망에 대해서는 2013년 스마트폰 이용 
률은 68.3%,스마트패드 이용률은 16.9%로 전체 스마트기기 이용률 
이 70.2%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이렇게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는 주된 원인으로 무선인터넷이용자의 증가를 들고 있는데, 
공간 제약적 매체인 PC와 달리 이동매체인 스마트폰은 이동 중에도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이용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과 여성가족부(2013)에서 발표한 청소년 통계 보고 
서 결과에 따르면,2012년 12-19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80.7%로 2011년에 비해 40.7% 증가하였다.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 
과,일평균 2.6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1시간 미만 7.7%,1-2시간 
미만 28.9%,2-3시간 미만 27%,3시간 이상 36.4%로,3시간 이상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았다.이용 기능으로는 음성·영상 통화 
가 29.3%였고,문자메시지(SMS,MMS)36.7%,무선 인터넷 및 애 
플리케이션이 3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휴대폰으로 
써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기능을 대체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한 인터넷 이용 증가는 정보공유 활동 증 
가,학업 및 업무 생산성 향상 등 우리의 삶에 여러 가지 편리함을 
7
가져왔지만(이민석,2011),그로 인한 문제점들도 늘어나고 있다.특 
히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중독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이러한 현상은 이전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던 ‘컴퓨터 게임 중독’,‘인터넷 중독’이 이동 
매체인 스마트폰으로 고스란히 옮겨져(박용민,2011)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에서는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의 
다르면서도 매우 유사한 특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첫째,구인적인 측면에서 금단,내성,의존,초조,불안,강박적 사 
용,생활장애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둘째,즐거움,외로움,대인관계로 사용동기를 정리해볼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편리성 면에서 PC를 이용한 인터넷과 차별성을 
가진다.여기서 주목해야 할 차이점은 인터넷 중독은 현실도피,도 
전/성취동기가 있는데 비해,스마트폰 중독은 자기과시,체면 차리 
기,인정이 대한 동기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두 매체 모두 사용하지 않을 때 금단,내성의 증상을 보이 
고 일상생활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며,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사용 
하지 않고 있을 때에도 하고 있는 듯한 환상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보다 우울,편집,반항,강박 등 
에서 더 큰 문제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스마트폰 중독은 
우울보다는 산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는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여기에 인터넷 중독과 비교하여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에 추가될 
내용으로 스마트폰이 PC를 이용한 인터넷보다 편리하고 접근성이 
증대되어 있다는 점,그리고 제공하는 앱이 무수히 많아 원하는 카 
테고리 별로 찾을 수 있어서 인터넷 사용보다 훨씬 사용자 중심으 
로 맞추어져 있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컨텐츠 별 중독 가 
능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보다 더 손쉽게 중독될 위험 
성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최근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폰 중 
독이 심각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서울시가 시립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2013)에서 2012년 11-12월 강북·성 
8
북 지역 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S-척도)’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유효 응 
답자 1447명 중 85명(5.9%)이 스마트폰 중독 사용군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사 결과로는,여학생의 8.3%가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 
한 잠재적 위험군과 집중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등 중독 사용군으 
로 나타났는데,이는 남학생(2.8%)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였다.학 
령별로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8.5%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 
생과 대학생이 각각 5.0%,고등학생이 4.7%로 조사됐다.학년별로는 
초등학교 6학년(11.8%),중학교 3학년(9.3%),중학교 1학년(8.8%), 
중학교 2학년(7.4%)순으로,초등학교 6학년에서 가장 중독률이 높 
았다.중독 사용군은 평균 사용 시간은 평일에 7.8시간,주말에 9.8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2012)에서도 2012년 9월 3-21일 도내 초등학교 3-6 
학년생 53만6029명,중학교 및 고등학교 전 학생 91만5305명 등 145 
만1334명을 대상으로 학급단위 집단 지필검사 방식으로 스마트폰 
이용습관을 조사하였다.그 결과,66%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으며,보유 비율은 고등학생이 77.2%,중학생 75.9%, 
초등학생 47.6% 순이었다.학생들의 평균 사용 시간은 1-3시간 미 
만이 45%로 가장 많았고,5시간 이상 사용한다는 학생도 10%에 달 
했다.스마트폰 사용 기능에 대해 조사 결과로는 채팅 및 메신저가 
7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전화·문자(67%),음악·MP3(64%),정 
보검색(54%),게임(52%)순으로 조사되었다.이렇게 조사된 설문 결 
과를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진단 척도 
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2.2%가 중독 고위험군(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는데,이는 인터넷 중독 위험군(1.01%)과 비교하여 2배가 
넘는 수치였다.잠재적 위험군 또한 5.7%로,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 
험군 비율인 2.93%의 2배가 넘는 수치로 조사되었다.학령별로 스마 
트폰 중독 고위험 비율을 살펴보면 중학생이 2.81%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생 2.42%,초등학생은 1.04%였으며,이들 10명 가운데 1명은 
하루 5시간 이상 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초·중·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중독보다 더욱 심각하 
9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스마트폰 이용자의 인터넷중독률 
(7.6%)이 비이용자(6.3%)보다 1.3% 높아,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 
터넷 중독 위험성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이는 
아동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 
이다. 
이상의 확인된 바와 같이,최근 몇 년 사이에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하였고,아동ㆍ청소년에게까지 무분별하게 보급되면서 ‘중독’이 
라는 심각한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중독으로 이 
어지는 관련 요인들을 검증하고 개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는 물질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 
인 혹은 타인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행위를 수행하려는 충동이나 욕 
구, 유혹 등에 저항하지 못하는 행동장애를 충동조절장애 
(Impulse-ControlDisorder)로 규정하고 있다(APA,2000).충동조절 
장애의 하위 범주에 속해 있는 병적 도박(pathologicalgambling)의 
경우 물질 사용에 의한 중독과 유사한 내성 및 금단증상이 나타난 
다(이형초,2002).도박 중독에서의 중독은 ‘addiction’으로 표현하며, 
행위 중독(behavioraladdiction)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이는 생리적 
인 중독과 구별되는 행위적인 중독이라고 할 수 있는데(조민자, 
2010),이 장애 역시 내성,금단현상,일상생활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 역시 내성,금단현상,일 
상생활 장애 등과 같은 기준으로 진단되므로,행위 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시작하여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마감하는’소비층이 증가하면서(금창민,2013)행위 중독의 
한 유형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거론되고 있다.이렇게 스마트폰을 과 
다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중독의 부작용이 쟁점으로 부각되기 시작 
하면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과 역작용에 대한 연 
10
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다.그러나 스마트폰이라는 매체 
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뒷받침 
할 충분한 증거나 연구가 부족하다.이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의 개 
념이나 정의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는 연구는 드물었다 
(Oulasvirta,Rattenbery,Ma,& Raita,2012).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폰 중독에 인터넷 및 휴대폰 중독 개념을 차용하여 선행연구를 검 
토하였다. 
인터넷 중독의 역기능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과다한 인터넷 사 
용이 대인 간의 직접적인 사회활동을 인터넷을 통한 활동으로 대치 
하여 사회적 참여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위협하여 우울증과 
관련이 되며,동기저하,낮은 자존감,인정욕구 그리고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Young & Rogers, 
1998).또한 과다한 채팅이나 게임 역할은 다면적인 정체성을 형성 
하여 현실세계와의 부적응(Griffiths,1997)이나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신수경,2001)을 유발할 수 있 
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우울증, 사회공포증, 충동조절장애, 
ADHD와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를 더욱 심화시키는 경향도 있다고 
하였다(Orzack,1996).휴대폰 중독 관련 연구에서는 휴대폰 중독이 
우울(이명희,2006,이혜경,2008),불안(황광민,2005),충동성(이명 
희,2006)과는 정적 상관을,통제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이명희,2006),매체 중독들 간의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자아정체성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낮 
은 자기 통제력과 효능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터넷과 같은 매체 
중독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박재성,2004),성인에 비해 아동이 매체 
중독에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김선숙,2004).또 
한,연령이 어릴수록 인터넷 중독이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윤혜연,2008). 
이와 관련하여 인터넷 중독을 포함한 여러 중독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실행기능이 대두되고 있다.실행기능은 계획 
(planning),의사결정(decision making),목표설정(self-dircted goal 
11
sel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으로(Pennington & Ozonoff,1996), 
‘미래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적절한 문제 해결 경향을 유지하는 능 
력’이라는 특성을 지닌다(Welsh & Pennington,1988).이는 새롭고 
활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에 작용하며,인지ㆍ정서ㆍ행동적 기 
능들을 안내(guiding)하고 지시(directing)하고 관리(managing)하는 
것을 책임지는 과정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Gioia,Isquith,Guy, 
& Kerrworthy,2000).또한 여러 가지 복잡한 정보를 가용한 상태 
로 활성화시켜 유지하고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 기억,목표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조율하고 감독하는 능력(self-regulation)과 오류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능력(self-correction)도 실행기능의 중요한 측면 
이라 할 수 있다(신민섭,김현미,2006). 
실행기능은 전두엽이 발달 되는 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까지 발 
달되며,특히 10살 이후 청소년기부터는 전두엽의 효율성이 증가하 
여 원초적인 변연계(limbicsystem)가 정서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전두엽이 관장하게 된다.실행기능을 관장하는 전두엽에 있는 뉴런 
의 경우 10대 후반에서야 수초화가 이루어지며,전두엽에 수초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의력의 폭이 증가하고 정보처리 속도가 빨라지 
게 된다(신민섭,김현미,2006).실행기능은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에 따라 발달되는 시점이 달라진다.‘주의 통제’는 
유아기 때 나타나서 초기 아동기 때 급속하게 발달하여 9세 이상의 
아동은 자신의 ‘행동을 잘 감독하고 조절하는 경향’이 있다.아울러 
인지적 융통성 영역 중 복합적인 차원인 ‘전환’과제에 대한 대처 능 
력은 7세에서 9세 사이에,그리고 목표 지향 영역 중 ‘계획 및 조직 
적인 기술’은 7세에서 10세 사이에 크게 발달한다(Anderson, 
Anderson,Northam,Jacobs,& Mikiewicz,2002).또한 ‘전환’및 
‘억제’능력은 각각 5세와 8세,5세와 6세 사이에 발달한다(Best, 
Miller,& Jones,2009).‘계획’능력의 경우 아동기 중기 때에는 비 
교적 단순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으며,보다 복잡한 계 
획은 아동기 후기나 청소년기에 발달한다.마지막으로 ‘작업 기억’은 
4세에서 15세까지 선형적인 수행의 증가가 발견되었으며(Gathercole, 
Pickering,Ambridge,& Wearing,2004),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12
복잡한 작업 기억 보다는 ‘기본적인 집중력’의 발달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박주리,송현주,2012). 
이러한 실행기능 영역에 결함이 있는 전두엽 증후군은 크게 인지 
적인 측면과 성격적인 측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홍근, 
2001).인지적 측면에서 판단력,통찰력,인지적 유연성,창의성,계 
획력,추상적 사고 등이 심한 감퇴를 보이고,적응 행동에 매우 광 
범위하고 심각한 문제를 보인다.성격/정서적 측면에서는 탈억제형 
(충동적 행동),무감동형(무관심),사회성숙도의 퇴행,거친 언사,과 
잉 성행동,안절부절 못하는 태도,감정의 변화무쌍,자발성 결여,성 
충동 감소,둔화된 감정표현,무언증의 특징을 보인다고 제안하였다 
(전혜연 등,2011). 
특히 실행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전전두 피질은 충동성 통제에 중 
요한 역할을 하는데,전전두 피질의 전두-선조체(fronto-striatal)억 
압 체계의 손상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Kalenscheretal.,2006; 
Laneetal.,2003).Barkley와 Murphy(1998)는 대뇌피질의 한 영역 
인 전전두엽(prefrontalcortex)이 자기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활 
동을 통제하며,결국 이 정신활동을 실행기능이라는 용어로 통합하 
면서 전두엽 영역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주장하였는데,그는 전 
두엽 손상으로 인해 아동들에게 실행기능의 결함이 발생되며 이는 
반응 억제 능력의 이상 또는 반응지연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 
다고 하였다.최근,실행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충 
동조절장애에 해당되는 사람은 전두엽 실행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Hornetal.,2003)거론되고 있다. 
실행기능 결함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 대해 규명한 선행연구에 
서는 인터넷 중독과 유사한 인터넷 게임과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발 
생하는 충동성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그 결과 인터넷 게임 중 
독 집단이 충동성 및 새로운 경험 추구 차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 
타났으며,비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김신희,안 
창일,2005).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실행기능의 특징에 대해 규명한 전혜연 등 
(2011)은 DSM-5에서 행위 중독의 하위 요인으로써 병적 도박이 물 
13
질 사용 장애와 함께 ‘중독 및 관련 장애’범주로 묶일 것이고 ‘도박 
중독’으로 명명될 것이며,인터넷 중독 또한 이 범주의 부록에 실릴 
예정일 것이라고 하였다.그러나 여전히 인터넷 중독 진단 분류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O'Brien,2010;Holden,2010;Stanton, 
2010),인터넷 중독자가 병적도박 환자와 유사한 특징이 있는지 실 
행기능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확인하고자 하였다.병적 도박 환자들 
은 근시안적 특징으로 인지적 유연성에서의 손상을 보이며 
(Cavedini,Ribold,Deller,D'Annucci,& Bellodi,2002),충동적인 행 
동을 보인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인터넷 중독 성향자로 선정된 
집단을 대상으로 실행기능의 인지적 유연성과 억제기능,충동성을 
측정하여 일반 집단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이를 위해 병적 
도박자들과 비슷한 의사결정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도박과제, 
충동성을 측정하는 연속수행과제,반응 억제 수준을 측정하는 스트 
룹 검사,그리고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성을 측정하는 단어유창성 검 
사를 시행하였다.그 결과,의사결정 방식과 선택적 억제능력 수행 
은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의 충동 
성이 높고 인지적 유연성이 낮게 나타나 전두엽 실행기능의 성격/정 
서적 측면에서의 손상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이 결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분석한 결과,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에서는 단어 유창 
성의 단어 반복 억제 지표와 연속수행과제의 오경보 오류 지표 간 
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즉,인터넷 중독 성향자는 비목표 자극에 
대한 운동 반응을 제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충동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중독 성향자가 일부 전두엽 실행기능 
의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인터넷 중독과 실행기능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 
구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매우 드물었으며,스마트폰 중독과의 관 
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다.스마트폰 및 실행기능 모 
두 비교적 많이 연구되지 않은 분야이고,특히 실행기능의 경우,대 
부분 ADHD 증상을 가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수행 기반의 검사를 
진행해왔기 때문에 광범위한 표집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들을 실 
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 
14
는 시간 및 비용 면에서 효율적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을 측정할 수 
있고,전두엽 손상을 비롯한 실행기능 결함과 관련된 다양한 장애 
및 문제점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실행기능 측정의 생태학적 타당 
도를 높인 박주리와 송현주(2012)의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두 개의 상위 요인(주의 통제,목표 지향)과 그에 대한 각각 두 개 
의 하위 요인(주의 집중,전환 /계획 및 조직화,행동 및 정서 조 
절)으로 분류되어 있어,기본적인 작업 기억 능력을 포괄하는 주의 
집중력,전환 능력,비교적 단순한 계획 및 조직화 능력,행동 및 정 
서 조절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박주리,송현주, 
2012).이와 같은 특성 상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아동들이 
자신의 실행기능을 스스로 점검하여 효율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고 일반화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행기능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보다 명확히 검증하였다. 
3.아동의 ADHD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부주의(주의력 결핍)와 과잉 
행동ㆍ충동성의 범주에 해당되는 증상을 보이는 병리이다(APA, 
2000). ADHD에 대한 해외 연구(Polanczyk, de Lima, Horta, 
Biederman,& Rohde,2007)에서는 그 유병률이 세계 아동 및 청소 
년 중 5.3%로 보고되었다.국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1)에서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20세 이하의 대상으로 
ADHD에 대해 분석한 결과,7세-13세의 점유율이 68.2%였으며,10 
세가 11.2%,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15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은 ADHD 증상 자체로 인해 인터넷 중 
독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김정순,2008;김혜리,2005;위 
지희,채규만,2004).ADHD 아동들이 중독에 취약한 구체적인 이유 
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은 주의 
력결핍 증상 때문에 주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지고 주의력이 
떨어져 지속적으로 주의를 자극하는 신호와 메시지를 전달받아야 
한다(류진아,2003).그런데 인터넷이나 게임,멀티미디어 등은 감각 
적이고 자극적인 장면들을 계속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흥미를 충족 
시키고 지속적인 만족을 얻으려 할 위험이 있다(이명수,오은영,조 
선미,홍만제,문재석,2001).이는 스마트폰이라는 매체에서도 나타 
나는 특징이므로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둘째,ADHD 아동은 의학적으로 중추신경계의 각성도가 
낮아 각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과잉행동을 하는 것으로 설명 
되기도 하는데,각성도를 높이기 위한 과잉행동을 인터넷에 몰두하 
는 행동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Talbott, 1994). 마지막으로 
ADHD는 충동성과 관련 있는 대표적인 정신병리이며,인터넷 중독 
또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충동조절 장애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므 
로(Beard& Wolf,2001;Davis,2001;Young,1996),충동성이 일반 
아동보다 높은 ADHD 아동이 인터넷 중독에 빠져들 위험이 더 높 
다고 볼 수 있다.뿐만 아니라 ADHD로 진단된 사람들은 인터넷 중 
독 외의 알코올,니코틴과 같은 물질 중독에 빠질 위험도 일반인들 
에 비해 2배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Biederman et al.,1997). 
ADHD로 진단된 아동이 나이가 들수록 일반 아동에 비해 알코올, 
니코틴,약물 사용에 있어 더욱 심한 중독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보 
고한(Molina& Pelham,2003;Realmutoetal.,2009)종단연구의 결 
과들은 ADHD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일반인들에 비해 중독에 취약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한편,인터넷과 비교하였을 때 스마트폰이라는 매체는 인터넷과 
매우 유사한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인터넷보다 접근이 쉽 
고 다양한 컨텐츠들을 한데 묶어놓은 특징이 있다.따라서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스마트폰에 몰두하고 중독 
16
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이를 지지하는 선 
행 연구로,최근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ADHD를 관 
련성을 확인한 연구를 들 수 있다.연구 결과로,스마트폰 중독군에 
서 ADHD 증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았고 스마트폰 중독 
인 경우,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성인 ADHD일 가능성이 
높았다(김동현 등,2013). 
이와 같이 최근에 스마트폰 중독 현상과 관련된 역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비교적 초기단계의 연구들이기 때문에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을 관련지은 연구는 제한적이었다.그 
런데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라는 점에서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ADHD 증상과 인터넷 과다 사용의 관계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 
에 의해 검증되고 있다.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의력결 
핍,과잉행동/충동성 성향 모두와 인터넷,휴대폰 중독 수준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최진오,2011),성인 ADHD와 인터넷 중독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Ko,Yen,Chen,& Yen,2008; 
Yen,Yen,Chen,Tang,& Ko,2009).또한 높은 수준의 ADHD 증 
상을 가진 아동에게서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Yooetal.,2004),병원을 찾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문 
제를 살펴본 연구에서도 ADHD 아동이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에 
비해 인터넷 중독에 빠질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권수 
경,장은영,2010).뿐만 아니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높은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김용익 등,2010; 
위지희,채규만,2004). 
이와 같이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다수 존재하 
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이었 
다.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 
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17
한편,ADHD는 과잉행동ㆍ충동성 우세형(ADHD-HI),주의력 결 
핍 우세형(ADHD-I),그리고 복합형(ADHD-C)의 세 가지 하위 유 
형으로 구분된다(APA,2000).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들 
에도 차이가 있게 되는데,복합형은 과잉행동/충동성과 지속적 부주 
의에서,주의력 결핍 우세형은 느린 인지적 템포/과소각성 부주의에 
서 두드러진 문제가 있다.이러한 이유로 복합형 아동들은 지시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충동적으로 반응할 뿐만 아니라 모터가 달린 
듯이 과도하게 행동하는 양상을 보인다.이 아동들은 쉽게 주의가 
분산되고,생각하기에 앞서 행동하는 양상을 보인다.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들은 동작이 굼떠서 지시나 과제를 주었을 때 제 때에 
수행하지 못 할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동작 역시 느리다.또한 
이들은 멍하게 딴 생각에 빠져 있어 백일몽을 꾸고 있는 듯이 보이 
고,굼뜨고 느린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이명주,홍창희,2006b). 
이렇듯 ADHD 증상은 하위 유형이 나눠져 있으며 하위 유형 간 
드러나는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김정순(2008)이 
ADHD의 하위 유형의 증상 정도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정도에 차이 
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의력 결핍형,충동 
성 및 과잉행동형,혼합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중독을 알아보고자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ADHD 하위 유형 중 주의력 결핍형 
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5.5%,충동성 및 과잉행동 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35.3%,혼합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0%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김용익 등(2010)의 연구에서는 ADHD 하위 유형 중 혼합형이 
인터넷 고위험 사용자군(48.39%)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주의력 결 
핍형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56.58%)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은 ADHD 하위 유형 각각의 증상 정도에 
따라 중독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런데 위의 선행연구들에서는 ADHD 선별을 위한 척도를 활용 
하여 ADHD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범주를 나눈 뒤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자가진단척도를 활용하여 ADHD 집단을 구분하고 선별 
하는 것은 선별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18
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을 선별하 
기보다는 ADHD 증상 총점 및 하위 요인의 총점을 기준으로 증상 
의 정도를 파악한 뒤,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19
Ⅲ. 연 구 방 법 
20 
1.연구 대상 
서울ㆍ경기 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9곳에 재학 중인 5,6학년 아동 
들에게 1,317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1,287부가 
회수되었다.회수된 질문지 중 답변이 매우 불성실한 설문 14부를 
제외하고,휴대폰이 없다고 기록한 설문 138부를 제외하였다.남은 
1,135부에서 비스마트폰 사용자라고 기록한 설문 201부를 제외한 나 
머지 948부 중 무성의한 응답 등을 제거한 뒤 798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한 근거는 실행기능이 6 
세부터 10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며 12세쯤이 되면 성인 수준의 
수행을 보이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례미,조수철,김붕년,김재원,신 
민섭,2010)와 국내에서 최근 5년 간(2007-2011년)20세 이하를 대 
상으로 ADHD에 대해 분석한 결과,7세-13세의 점유율이 68.2%였 
으며,10세가 11.2%,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는 
결과(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1)에 기초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1,273명(100.0%)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 
과,남학생이 679명(53.3%)으로 594명(46.7%)인 여학생보다 약 6.6%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응답자 중,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은 
356명(28.0%),여학생은 317명(24.9%)이었고,6학년 남학생은 323명 
(25.4%),여학생은 277(21.8%)명이었다. 
휴대폰 유무에 대해서는 1,273명 중 1,135명(89.1%)은 휴대폰을 가 
지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138명(10.9%)은 휴대폰이 없다고 응답하 
였다.휴대폰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1,135명 중,936명(82.5%)은 스 
마트폰이었고,나머지 199명(17.5%)는 비스마트폰이었다. 
연구대상의 성별과 연령별 분포,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에 대 
해 조사한 결과를 각각 표 1,2에 제시하였다.
표 1. 성별 및 학년별 분포 (명/%) (N=1,273) 
학년 
성별 
계 
남 여 
5학년 356(28.0) 317(24.9) 673(52.9) 
6학년 323(25.4) 277(21.8) 600(47.1) 
계 679(53.3) 594(46.7) 1,273(100.0) 
표 2. 학년 및 성별에 따른 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 (N=1,273) 
학년 성별 명(%) 
21 
휴대폰 유 
5 
남 303 
590(46.3) 
여 289 
6 
남 280 
545(42.8) 
여 263 
1,135(89.1) 
휴대폰 무 
5 
남 53 
81( 6.3) 
여 28 
6 
남 43 
57( 4.6) 
여 14 
138(10.9) 
계 1,273(100.0) 
스마트폰 
5 
남 248 
484(42.7) 
여 236 
6 
남 236 
452(39.8) 
여 216 
936(82.5) 
비스마트폰 
5 
남 55 
108( 9.5) 
여 53 
6 
남 44 
91( 8.0) 
여 47 
199(17.5) 
계 1,135(100.0)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2 
표 3. 인구학적 특성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부학력 모학력 
부모 
학력 
고졸 미만 24(3.4) 17(2.4) 
고졸 175(25.1) 227(32.5) 
대졸 378(54.2) 354(50.6) 
대학원 이상 121(17.3) 101(14.4) 
경제 
수준 
하류 9(1.2) 
중하류 63(8.3) 
중류 409(53.9) 
중상류 229(30.2) 
상류 49(6.5) 
성적 
최상위권 45(5.8) 
상위권 241(31.1) 
중위권 379(48.9) 
하위권 91(11.7) 
최하위권 19(2.5) 
2.측정 도구 
1)실행기능 결함 질문지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박주리와 송현주(2012)가 초등학 
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이다.이 질 
문지는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상위 요인인 주의 
통제와 목표 지향을 측정한다.주의 통제는 주의집중,전환,목표 지 
향은 계획 및 조직화,행동 및 정서조절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져 있
다.이 척도는 매우 아니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박주리와 송현주(2012)의 연구 
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ɑ=.88이었다.본 연구에서 
확인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92이었다.아동용 실행기능 결 
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3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주의 
통제 
주의집중 (7문항) 1,2,3,4,5,6,7 7 .85 
전환 (4문항) 8,9,10,11 4 .76 
목표 
지향 
계획 및 조직화* 
(10문항) 
12,13,14,15,16, 
17,18,19,20,21 
10 .91 
행동 및 정서 
조절*(8문항) 
22,23,24,25,26, 
27,28,29 
8 .87 
전체(29문항) 29 .92 
*는 역채점 문항임. 
2)ADHD 증상 척도 
아동의 ADHD 증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김종운(2002)이 개발한 
ADHD 아동용 척도를 사용하였다.김종운의 연구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93이었다.이 척도는 전혀 아니다(1점)에서 
아주 그렇다(5점)까지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에 아동들이 답하도 
록 제작되어 있으며,점수가 높을수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이 척도는 네 가지 하위 척도인 주의산 
만(15문항),충동성(10문항),과잉행동(15문항),대인관계(10문항)에 
관한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본 연구에서는 ADHD의 핵심 
증상인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을 하위척도로 하여 40문항을 사 
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ɑ=.94였다. 
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5에 제시하였다.
표 5. 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24 
주의산만 
(15문항) 
1,2,3,4,5,6,7,8,9,10*, 
11,12*,13,14*,15* 
15 .87 
충동성 
(10문항) 
16*,17,18,19,20,21,22, 
23,24,25 
10 .76 
과잉행동 
(15문항) 
26,27,28,29,30,31,32, 
33,34,35,36,37,38,39,40 
15 .91 
전체(40문항) 40 .94 
*는 역채점 문항임. 
3)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S 척도)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을 변별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 
에서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의 연구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88이었다.이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까지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4점 Likert척도에 아동들이 
답하도록 제작되었다.단,문항 8번,10번,13번은 역채점을 실시한 
다.이 척도는 네 하위 척도인 일상생활장애(5문항),가상세계지향성 
(2문항),금단(4문항),내성(4문항)에 관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총점 45점 이상이거나 일상생활장애증상 16점 이상,금단 증 
상 13점 이상,내성 증상 14점 이상이 모두 해당되는 경우,고위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되며,총점이 42점-44점 이하이거나 일상생활장 
애증상 14점 이상,금단 증상 12점 이상,내성 증상 13점 중 하나라 
도 해당되는 경우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된다.이 두 가지 
사용자 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일반 사용자 군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을 나누지 않고 총점을 기준으로 중독 정도를 
측정하였으며.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88이었다.S 척도의 문 
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 문항구성 및 신뢰도 
25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일상생활 장애(5문항) 1,5,9,12,13* 5 .72 
가상세계 지향성(2문항) 2,6 2 .56 
금단(4문항) 3,7,10*,14 4 .73 
내성(4문항) 4,8*,11,15 2 .71 
전체(15문항) 15 .88 
*는 역채점 문항. 
3.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7월 말까지 서울,경기 내 초등학교 9 
곳을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밝히고 협조를 구한 뒤 학급 담임선 
생님들에게 연구의 목적,실시방법,유의사항에 대한 안내와 함께 
설문지를 전달하였다.각 반 담임선생님들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 
였고,설문이 마무리 되는대로 회수하였다. 
4.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및 연구문제 1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N),백분율(%)을 구하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각 측정도구의 내적합치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ɑ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연구문제 2-1,2-2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 4개를 독 
립변인으로,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다섯째,연구문제 3-1,3-2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의 ADHD 증상 
총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뒤,ADHD 하위 요인 3가지를 독립변인 
으로,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26
Ⅳ. 연 구 결 과 
1.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아동 79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에 대해 조사하였다.그 결과는 표 7,8,9와 같다. 
27 
표 7. 스마트폰 이용 실태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스마트폰 사용 기간 명(%) 
6개월 미만 130(16.5) 
6개월-1년 151(19.2) 
1년-2년 미만 282(35.9) 
2-3년 미만 173(22.0) 
3년 이상 50(6.4) 
하루 총 스마트폰 사용시간 명(%) 
1시간 미만 310(39.3) 
1시간-2시간 미만 236(29.9) 
2시간-3시간 미만 112(14.2) 
3시간-4시간 미만 66(8.4) 
4시간-6시간 미만 46(5.8) 
6시간 이상 18(2.3) 
한달 평균 사용요금 명(%) 
2만원 미만 181(24.1) 
2-4만원 미만 267(35.6) 
4-6만원 미만 180(24.0) 
6-8만원 미만 68(9.1) 
8-10만원 미만 39(5.2) 
10만원 이상 16(2.1)
28 
<표 7계속> 
사용동기 명(%) 
최근 유행이어서 175(22.9) 
뉴스 및 각종 정보들을 바로 검색하기 위해 72(9.4) 
업무 및 학업에 도움이 되어서 44(5.8)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206(27.0) 
기타 266(34.9) 
스마트폰 사용 전 후 요금 비교(단말기 할부금 포함) 명(%) 
예전보다 줄었다 52(6.8) 
비슷하다 379(49.5) 
예전보다 늘었다 335(43.7) 
표 8. 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 및 만족하는 부분 (명/%) 
(N=798,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매우 만족 만족 그저 그렇다 불만족 
317(40.0) 369(46.5) 96(12.1) 11(1.4) 
가장 만족하는 부분 
웹 검색의 각종 정보 획득/활용이 쉬워짐 187(27.9)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통한 
폭넓은 인맥형성 
309(46.1) 
각종 게임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됨 175(26.1)
표 9. 주로 사용하는 휴대폰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음성통화 64(8.6) 
문자메시지 25(3.3) 
인터넷 정보검색 68(9.1) 
음악/영화감상 및 DMB시청 79(10.6) 
게임 등 취미오락 기능 201(26.9) 
카카오톡 등 SNS 311(41.6)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플 유형 
자료 및 정보 획득 
(뉴스,날씨,교육,학습.어학,정보검색 등) 
29 
67(8.8)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틱톡,라인 등), 
문자 메시지(SMS,MMS) 
190(25.0)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 
246(32.4) 
모바일 게임 및 오락 208(27.4) 
기타:일정관리,알람,대중교통서비스,사진촬영 등 49(6.4) 
스마트폰 이용 실태에 대한 질문 중,스마트폰 총 사용기간에 대 
해서는 ‘1-2년 미만’이 282명(35.9%)으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으로 
173명(22.0%)이 ‘2년-3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하루 평균 사용 시 
간은 ‘1시간 미만’이 310명(39.3%)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1-2시간 미만’이 236명(29.9%)으로 나타나 2시간 미만 사용 
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 달 평균 요금을 묻는 질문에서는 단말기 할부금 포함 ‘2-4만원’ 
이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267명(35.6%)으로 가장 많았다.이 전 휴대 
폰 요금과 스마트폰 사용 후 요금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예전 
과 비슷하다’가 379명(49.5%),‘예전보다 늘었다’가 335명(43.7%)이었
으며,‘예전보다 줄었다’고 응답한 아동들은 52명(6.8%)에 그쳤다. 
스마트폰 사용 동기에 대해서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 
케이션을 위해’가 206명(27.0%)으로 가장 많았다.주로 사용하는 기 
능은 ‘카카오톡 등 SNS’311명(41.6%),‘게임 등 취미오락 기능’201 
명(26.9%),‘음악/영화감상 및 DMB시청’79명(10.6%),‘인터넷 정보 
검색’68명(9.1%),‘음성통화’64명(8.6%),‘문자메시지’25명(3.3%)순 
이었다.최다 사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 
트위터,카카오스토리,인스타그램 등)’가 246명(32.4%)으로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는 678명(86.5%)이 만족 
또는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하였으며,이들에게 가장 만족하는 부분 
에 대해 질문한 결과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활용한 
폭넓은 인맥형성’이 309명(46.1%)으로 가장 많았다. 
각 어플리케이션의 하루 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A B C D 
30 
정보 
검색 
어학 
및 
교육 
일정 
관리 
% 
모바일 
메신저 
SNS % 
모바일 
게임 
(SNG, 
멀티게임) 
모바일 
게임 
(싱글 
게임) 
거의 
안함 
372 
(46.9) 
500 
(63.3) 
416 
(53.0) 54.4 
129 
(16.3) 
182 
(23.2) 19.7 
201 
(25.4) 
356 
(44.9) 
30분 
이내 
346 
(43.6) 
210 
(26.6) 
296 
(37.7) 36.0 
273 
(34.5) 
229 
(29.2) 31.9 
241 
(30.4) 
246 
(31.0) 
30분- 
1시간 
58 
(7.3) 
58 
(7.3) 
55 
(7.0) 7.2 
216 
(27.3) 
181 
(23.1) 25.2 
198 
(25.0) 
126 
(15.9) 
1-2 
시간 
14 
(1.8) 
15 
(1.9) 
14 
(1.8) 1.8 
96 
(12.1) 
116 
(14.8) 13.5 
93 
(11.7) 
47 
(5.9) 
2시간 
이상 
1 
(0.1) 
5 
(0.6) 
4 
(0.5) 0.4 
49 
(6.2) 
39 
(5.0) 5.6 
42 
(5.3) 
11 
(1.4) 
3시간 
이상 
2 
(0.3) 
2 
(0.3) 
0 
(0.0) 0.2 
28 
(3.5) 
36 
(4.6) 4.1 
17 
(2.1) 
7 
(0.9)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유사 속성에 따라 A,B,C,D유형으로 
분류하였다.A유형은 정보추구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정보검색,어학 
및 교육,일정 관리를 포함하고 있으며,B유형은 관계 형성 및 유지 
를 위해 활용되는 모바일메신저와 SNS가 포함된다.그리고 SNG와 
멀티 모바일게임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즐기는 게임이라는 점에 
서 C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싱글 모바일 게임은 D유형으로 분류하 
였다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A유형 어플 
리케이션은 ‘거의 안함’과 ‘30분 이내’가 90%를 차지하여,사용 빈도 
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유형의 총 사용빈도는,‘30분 이내’가 31.9%로 가장 많았고,다음 
으로 ‘30분-1시간’25.2%,‘거의 안함’19.7%,‘1-2시간’13.5%,‘2-3 
시간’5.6%,‘3시간 이상’4.1% 순이었다. 
B유형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모바일 메신 
저는 ‘30분 이내’가 273명(34.5%),‘30분-1시간’이 216명(27.3%),‘거 
의 안함’129명(16.3%),‘1-2시간’96명(12.1%),‘2시간 이상’49명 
(6.2%),‘3시간 이상’28명(3.5%)순이었다.SNS 또한 ‘30분 이내’가 
229명(29.2%)으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으로는 ‘거의 안함’과 ‘30분 
-1시간’이 각각 182명(23.2%)과 181명(23.1%)으로 비슷한 비율을 차 
지하였다.그 외 ‘1-2시간’116명(14.8%),‘2시간 이상’39명(5.0%),‘3 
시간 이상’36명(4.6%)으로 나타났다. 
C유형으로 분류된 모바일게임(SNG,멀티게임)은 ‘30분 이내’241 
명(30.4%),‘거의 안함’201명(25.4%), ‘30분-1시간’181명(23.1%), 
‘1-2시간’93명(11.7%),‘2시간 이상’42명(5.3%),‘3시간 이상’17명 
(2.1%)순이었다.이와 달리,D유형 모바일게임(싱글게임)은 ‘거의 
안함’이 356명(44.9%)으로 거의 절반 가량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30분 이내’가 246명(31.0%)으로 조사되었다.그 외 ‘30 
분-1시간’126명(15.9%),‘1-2시간’47명(5.9%),‘2시간 이상’42명 
(1.4%),‘3시간 이상’7명(0.9%)으로 확인되었다. 
31
32 
2.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의 상관관계를 확 
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11에 제시하 
였다. 
첫째,독립변인인 실행기능 결함의 총점은 종속변인인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3,p<.01).또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인 주의집중(r=.54),전환(r=.43),계획 및 
조직화(r=.38),행동 및 정서조절(r=.25)도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p<.0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독립변인인 ADHD 증상의 총점은 종속변인인 스마트폰 중 
독 총점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62,p<.01).하위 
요인인 주의산만(r=.61),충동성(r=.46),과잉행동(r=.55)역시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표 11. 스마트폰 중독, 실행기능 결함, ADHD 증상의 상관관계 (N=798) 
 1 2 2-1 2-1a 2-1b 2-2 2-2a 2-2b 3 3-1 3-2 3-3 
1.스마트폰 중독 총점 1 
2.실행기능 결함 총점 .53** 1 
2-1.주의통제 .56** .75** 1 
2-1a.주의집중 .54** .73** .93** 1 
2-1b.전환 .43** .57** .83** .56** 1 
2-2.목표지향 .37** .90** .38** .40** .25** 1 
2-2a.계획 및 조직화 .38** .86** .44** .47** .26** .92** 1 
2-2b.행동 및정서조절 .25** .70** .21** .21** .16** .84** .56** 1 
3.ADHD 총점 .62** .71** .75** .74** .56** .49** .52** .31** 1 
3-1.주의산만 .61** .74** .69** .69** .51** .58** .60** .40** .88** 1 
3-2.충동성 .46** .50** .56** .57** .39** .33** .35** .20** .85** .61** 1 
3-3.과잉행동 .55** .60** .71** .69** .55** .37** .40** .21** .93** .69** .74** 1 
33 
평균 
(SD) 
26.35 
(7.12) 
71.09 
(18.22) 
24.89 
(8.70) 
15.48 
(5.87) 
9.41 
(3.91) 
46.20 
(13.01) 
28.20 
(8.50) 
18.00 
(6.19) 
84.10 
(23.16) 
32.40 
(9.37) 
21.33 
(5.92) 
30.37 
(10.70) 
**p< .01
3.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b t  F 
표 12와 같이 실행기능 결함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그 설명력은 28%였다(b=.21,t=17.53, 
p<.001).또한 실행기능 결함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의 각 하위 요인 
인 일상생활 장애(b=.08,t=15.89),가상세계 지향성(b=.02,t=11.21),금 
단(b=.04,t=10.96),내성(b=.07,t=15.62)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1),그 설명력은 13-24%였다. 
한편,실행기능 결함의 4개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 
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 
과는 표 13과 같다. 
34 
일상생활 장애 
실행기능 
결함 총점 
.08 15.89*** .24 252.39*** 
가상세계 지향성 .02 11.21*** .14 125.67*** 
금단 .04 10.96*** .13 120.09*** 
내성 .07 15.62*** .24 244.18*** 
스마트폰 중독 총점 .21 17.53*** .28 307.11*** 
***p< .001 
표 13.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  F 
스마트폰 
중독 
주의통제 .40 15.56*** 
.34 201.96*** 
목표지향 .10 5.74*** 
주의집중 .36 9.37*** 
.39 101.10 전환 .19 5.32 *** *** 
계획 및 조직화 .11 2.93** 
행동 및 정서조절 .08 2.41* 
***p< .001,**p< .01,*p< .05
표 13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주의통제요인(β=.40,p<.001)및 목표 
지향요인(β=.10,p<.001)모두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력 
을 미쳤고,그 설명력은 34%이었으며,주의통제요인의 상대적 영향 
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또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 
모두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그 설명력은 39% 
이었다(F=101.10,p<.001).하위 요인들 중 주의집중(β=.36,p<.001) 
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전환(β=.19, 
p<.001),계획 및 조직화(β=.11,p<.01),행동 및 정서조절(β=.08, 
p<.05)순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ADHD 증상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력 
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b t  F 
35 
일상생활 장애 
ADHD 
증상 총점 
.07 18.73*** .31 350.75*** 
가상세계 지향성 .02 14.26*** .20 203.25*** 
금단 .05 15.61*** .23 243.65*** 
내성 .06 17.54*** .28 307.78*** 
스마트폰 중독 
총점 
.19 22.11*** .38 488.72*** 
***p< .001 
표 14와 같이 ADHD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설명력은 38%이었 
다(b=.19,t=22.11,p<.001).또한 ADHD 증상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의 각 하위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b=.07,t=18.73),가상세계 지향
성(b=.02,t=14.26),금단(b=.05,t=15.61),내성(b=.06,t=17.54)모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 설명력은 
20-31%였다. 
한편,ADHD 증상 3개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 ADHD 증상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  F 
36 
스마트폰 
중독 총점 
주의산만 .44 11.39*** 
.40 178.34*** 충동성 .03 .71 
과잉행동 .22 4.90*** 
***p< .001 
표 15와 같이 ADHD 증상의 하위 요인인 주의집중(β=.44, 
p<.001)과 과잉행동(β=.22,p<.001)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40%이었다 
(F=178.34,p<.001).그러나 하위 요인 중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논 의 
37 
1.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98 
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 
이 39.3%로 가장 많았고,1-2시간 미만이 29.9%,2-3시간이 14.2% 
를 차지하였다.이는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에서 2012년 
수행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에서 초등학생 
4-6학년의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 중 1시간 미만이 66.2%로 나타 
난 결과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다.특히 학년 별 조사에서 하루에 
1시간 미만 사용하는 비율이 4학년은 84.7%,5학년 71%,6학년 
40.9%로 나타났으며,1시간 이상 사용하는 비율은 고학년일수록 늘 
어났다.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 
이 늘어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도 표준화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S 척도)를 활용하여 만 10세-49세 스마트폰 이용자 10,683의 스마 
트폰 중독률을 산출하였는데,그 결과 2012년 아동·청소년(만 10세 
-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18.4%로,전년(11.4%)대비 7% 증가하 
여,성인(9.1%)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이렇듯 최근 들어 아 
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그 시작점은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점인 초등학교 5,6학년이 될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부모나 교사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감독하여 이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와주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에 대해서는 절반에 가까운 인
원인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였고,최다 사용 어플 
리케이션도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인 
스타그램 등)’가 32.4%로 가장 많았다.그리고 가장 만족하는 부분 
에 대해서는 거의 절반에 가까운 46.1%가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통한 폭넓은 인맥형성’이라고 응답하여 가장 많은 비 
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수행한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에서 아동·청소년(10-19세)의 모바일 메신저 사용 비율이 68.5%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하다.또한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에서 
수행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2012)에서 초 
등학생의 채팅메신저 및 SNS 사용 비율이 37.9%로 다른 유형에 비 
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결과와도 유사하다. 
그러나 채팅 메신저 및 SNS 사용률을 학령별로 나누어 좀 더 자 
세히 조사한 결과,중학생 46.2%,고등학생 62.6%로(강북 인터넷 중 
독 예방 상담센터,2012),학령이 올라갈수록 모바일 메신저 및 SNS 
사용비율이 높았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모바일 메신저 및 SNS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사용 비율이 높은 것은 중·고등학생들과 비슷 
한 양상을 보이나,전체 어플리케이션 사용 비율에 있어서는 학령 
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아동의 실행기능 결 
함과 ADHD 증상은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이 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 
저하로 충동적이고 인지적 유연성이 저하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전혜연 등,2011)와 관련이 있다.또한,초등학교 4-6학년을 대 
상으로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 성향 모두 인터넷,휴대폰 중독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최진오,2011)와도 일관되 
게 검증되었다.그리고 높은 수준의 ADHD 증상을 가진 아동들이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Yoo etal, 
2004)한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38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실행기능 능력이 부족할수록,ADHD 증상 
정도가 심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한 결과,실행기능 결함이 클수록 스마트폰 중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또한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 요 
인인 일상생활 장애,가상세계 지향성,금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의 전두엽 실행 
기능 특징을 확인한 전혜연 등(2011)의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 성향 
자들이 비목표 자극에 대한 운동 반응을 제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충동적인 것으로 나타나,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분이 저하되어 있 
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와 유사하다.그러나 이를 아동에까지 확장하 
여 적용하는 데에는 지지할만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으므로,후 
속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한편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 
향력에 대해서 확인한 결과,‘목표지향요인’보다 ‘주의통제요인’이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주의통제요인에 
해당하는 ‘주의집중’의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 
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스마트폰이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휴대 
용 기기인 것과 관련이 있다.이러한 기기 특징으로 아동들은 스마 
트폰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꺼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 
로 집중이 분산될 때마다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을 꺼내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또한 대부분의 아동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 
다고 응답한 모바일 메신저나 SNS의 경우 대부분 진동이나 알림음 
등을 통해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데,전두엽의 결함이 
있는 경우,불편한 외부자극에 대한 반사적인 반응,즉 주의가 분산 
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능력인 ‘초점 주의력’에도 결함이 있어(조수 
철,2001),알림이 울리는 순간 확인하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집중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더욱 취약할 수 
39
40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ADHD 증상 정도가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들은 그들이 가진 중추신경계의 흥분 
도가 낮기 때문에(Talbott,1994)그것을 높이기 위해 과잉행동 대신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인터넷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Yen etal., 
2009)는 것을 확인한 연구를 지지한다.Zentall과 Zentall(1983)의 
연구에 따르면 ADHD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더 자극적이며 
강한 감각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단일 자극에 오랫동안 주 
의를 기울이지 못하기 때문에 동적이며 화려한 자극에 더 많이 주 
의를 집중한다.그런데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 
러한 특징으로 인해 ADHD 증상을 가진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고,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서 중 
독될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ADHD 하위 요인별로 스 
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아동의 주의 산만이 충 
동성 및 과잉행동 증상에 비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 
을 확인한 연구(김정순,2008)와 유사하다.또한,본 연구에서 실행 
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 중 주의집중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이 보이는 주의 특성을 느린 인지 
적 템포라고 명명(Lathey,Schaughency,Frame,& Strauss,1985) 
한 것과 관련이 있다.느린 인지적 템포란 느린 정보처리,게을러 
보이는 듯한 느린 행동,무기력해 보이는 것,백일몽,낮은 수준의 
각성, 비활동성, 그리고 수동성을 말한다(Barkley, Dupaul, & 
McMurry,1990;Latheyetal,1985;Latheyetal,1987).이로 인해 
주의의 이동과 이탈에 어려움이 생기고,결국 정보처리 효율성이 낮
아지게 되는 것이다(이명주,홍창희,2006a).이러한 이유로 주의가 
산만한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이 잦아져 일상생활의 장애를 겪게 
되더라도 그 상황을 효율적으로 생각하고 전환하는데 어려움이 있 
어,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줄이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사용하여 결국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 ADHD 하위 요인 중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확인되었다.이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충동성을 꼽은 국외 연구들(Beard 
& Wolf,2001;Davis,2001;Realmutoetal,2009;Young,1996)과 
상반되는 결과이다.그런데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둘 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 
다.이 결과는 충동성이 ADHD 하위 요인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 
적인 영향력이 크지는 않으나,단독적으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 
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있으나 다른 ADHD 
하위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스마트폰 사용 결과로 산 
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는 문제를 든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스마 
트폰을 사용하고 난 뒤 산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은 또 다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이러한 과정 
이 반복되면서 아동이 스마트폰을 더욱 자주,그리고 오래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이 경로를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므로 후속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 
로 확장하였고,자기보고식 실행기능 결함 척도와 ADHD 증상 척도 
를 사용하여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요 
인 중 ‘주의 집중’결함과 ADHD증상 하위 요인 중 ‘주의 산만’이 
스마트폰 중독을 상대적으로 가장 잘 설명한다는 결과는 아동의 스 
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주의 집중 능력의 향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1
42 
2.제 언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ADHD 증상 변인의 경우,진단을 받은 환아들이 아닌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ADHD 진단을 받은 아동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따라서 연구결과를 임상 
범위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ADHD 진단을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스마트폰이 출시되어 이용률이 증가한지 오래되지 않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한지도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 
에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념화 및 진단 기준이 명확하게 확립되 
어있지 않다.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이를 논 
의하기 위해 대부분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참조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중독은 공통점도 있지만 분명히 차이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추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와 더불 
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을 세분화하여 
하위영역별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실행기능 
이 ‘내적인 자기조절감으로 작동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중독과 관 
련이 깊을 수 있으며,ADHD 또한 증상의 특성으로 인해 중독에 취 
약할 수 있다.따라서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매개효과나 조절 
효과 검증 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치료 및 예방에 도 
움이 될 수 있는 중재 변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 (2013,2월).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 -강북․성북 지역 중심으로-.서울:김 
은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5.12).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장애 10 
명중 8명 '男'(보도자료).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 
hira.or.kr. 
경기도교육청 (2012.10.24).스마트폰 ‘하루 5시간 이상’10% <2012학생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 결과 고위험군 2.2%...인터넷 위험사 
용자군의 2배.http://www.goe.go.kr/main.ado?menugrp=050300&ma 
ster=bbs&act=view&master_sid=163&sid=29234&SearchColumn=title 
&SearchValue=스마트폰&Page=1&SearchCategory=도교육청. 
공영숙,임지영 (2011).국내 실행기능 연구의 동향 분석.아동교육, 
43 
20(1),61-75. 
권수경,장은영 (2010).정신과 방문아동의 인터넷 사용문제:동시이 
환 장애 및 영향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9(4),1067-1086. 
금창민 (2013).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 
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 
문. 
김동현,이경은,이유진,차서현,임성환,원창연,권혁민,한미아 
(2013).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와의 관련성.한국모자보건학회지, 17(1),105-112. 
김선숙 (2004).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 실태 분석. 
초등교육학회지,11(1),19-37. 
김신희,안창일 (2005).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 
식.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415-430. 
김용익,이동훈,박원모 (2010).고등학생의 ADHD 증상과 인터넷 
과다사용 및 우울과의 관계.상담학연구, 11(1),245-264. 
김정순 (2008).청소년 ADHD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
향의 매개효과.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종운 (2002).ADHD 아동용 척도 개발.부산교육학회지,15(1), 
44 
25-38. 
김형지,김정환,정세훈 (2012).스마트폰 중독과 멀티태스킹에 관한 
연구.한국언론학회, 5(1),117-118. 
김혜리 (2005).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와의 관계.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홍근 (2001).전두엽 증후군의 임상 평가: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재활심리연구, 8(2),173-190. 
노미정,김진화,이재범 (2010).스마트폰과 서비스 컨버전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4),59-77. 
도례미,조수철,김붕년,김재원,신민섭 (2010).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한국심리치료학회지, 2(2),1-12. 
류진아 (2003).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 
인.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맹미희 (2003).스트레스,자기통제력,충동성,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상관 연구.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용민 (2011).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상 
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재성 (2004).청소년의 인터넷 중독현상과 자기통제기대의 구조적 
경로모형에 관한 연구.보건교육 보건증진학회지, 21(3),1-17. 
박주리,송현주(2012).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1(1), 
1-23. 
신민섭,김현미 (2006).발달 신경심리학.소아청소년정신의학, 16(1), 
33-46. 
위지희,채규만 (2004).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성향과 심리, 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97-416. 
윤혜연 (2008).NEO 아동성격검사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인 
터넷 중독 성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45 
위 청구논문. 
이국용 (2012).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한국경영교육학회, 27(5),183-208. 
이명수,오은영,조선미,홍만제,문재석 (2001).청소년 인터넷 중독 
증과 우울,사회적 불안,또래관계 문제와의 연관성 조사.신경 
정신의학, 40(4),616-626. 
이명주,홍창희 (2006a).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른 행동 특성과 주의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69-986. 
이명주,홍창희 (2006b).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별 
인지적 템포와 부주의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1), 
459-476. 
이명희 (2006).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충동성,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불안, 우울 등.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민석 (2011).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연세대학 
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신수경 (2002).중ㆍ고교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불안,우울,자기 효능감의 연관성.신경정신의 
학, 40(6),1174-1184. 
이형초 (2002).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효 
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혜경 (2008).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한 
국심리학회지: 사회, 22(1),133-157. 
전혜연,현명호,전영민 (2011).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 
기능의 특징.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215-22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스마트 기기 이용행태 실증분석. 
정은다 (2013).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충동성 및 사회성 
과의 관계.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민자 (2010).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조절 변인 탐색.청소 
년시설환경, 8(3),29-42. 
조수진 (2012).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과 자존감,충동성,사회성
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수철 (2001).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서울대학교 출판부. 
조현옥 (201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충 
동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진선애 (2006).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충동성 및 대인관계.경희대 
46 
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진오(2011).초등학생의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특수아 
동교육연구, 13(3),207-226. 
통계청,여성가족부 (2013).2013청소년 통계.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2013).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황광민 (2005).중학생의 휴대폰 사용, 불안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동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황하성,손승혜,최윤정 (2011).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5(2), 
277-3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rev de(text 
revision).Washington,DC:AmericanPsychiatricAssociation 
Inc.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Mikiewicz,O.(2002).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measures of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braindisease.ChildNeuropsychology,8(4),231-240. 
Barkley, R. A., Dupaul, G, J., & McMurry, M. B. (1990). 
Compregensive evaluation ofattention deficitdisorderwith 
and withouthyperactivity as defined by research criteria. 
JournalofConsulting andClinicalPsychology,58,775-789.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Up cycling ppt.JINHANSOL
Up cycling ppt.JINHANSOLUp cycling ppt.JINHANSOL
Up cycling ppt.JINHANSOL
Jin Hansol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Kwanhee Cho
 
노인복지정책 발표
노인복지정책 발표노인복지정책 발표
노인복지정책 발표
Jung sungmi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Jin Hansol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Jeong-Soo KANG
 
Up cycling ppt_JINHANSOL
Up cycling ppt_JINHANSOLUp cycling ppt_JINHANSOL
Up cycling ppt_JINHANSOL
Jin Hansol
 
How to Grow & Gain Traction
How to Grow & Gain TractionHow to Grow & Gain Traction
How to Grow & Gain Traction
Erik Bernskiöld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Dynamic Signal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Yunseok Song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Kissmetrics on SlideShare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Wrike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o_senior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Obama White House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Visage
 
Which font should I use?
Which font should I use?Which font should I use?
Which font should I use?
Alexei Kapterev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Jungwon An
 

Viewers also liked (16)

Up cycling ppt.JINHANSOL
Up cycling ppt.JINHANSOLUp cycling ppt.JINHANSOL
Up cycling ppt.JINHANSOL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비영리단체를 위한 www.미디어.이야기
 
노인복지정책 발표
노인복지정책 발표노인복지정책 발표
노인복지정책 발표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컬러배스 PPT_JINHANSOL(진행중)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
네트워크 후생 Network Welfare
 
Up cycling ppt_JINHANSOL
Up cycling ppt_JINHANSOLUp cycling ppt_JINHANSOL
Up cycling ppt_JINHANSOL
 
How to Grow & Gain Traction
How to Grow & Gain TractionHow to Grow & Gain Traction
How to Grow & Gain Traction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Rethink Employee Communications: Adapting to the Digital Age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야매피티 : 피피티로 날밤새지 말고 피피티로 무시받지 말자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How To Skyrocket Your Blog Following and Create A Revenue-Generating Machine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4 Biggest Challenges for Creative Teams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피키캐스트] 5학년선배 ppt 템플릿 레이아웃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White House State of the Union 2016 - Enhanced Graphics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Data Visualization 101: How to Design Charts and Graphs
 
Which font should I use?
Which font should I use?Which font should I use?
Which font should I use?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디발자가 말하는 시선을 끄는 PPT
 

Similar to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Myeongun Ryu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JM code group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혜원 정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Hyunjeong Lee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혜원 정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yejin Kim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yejin Kim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Taboola
 
Genie
GenieGenie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A-juAn
 
UX Research
UX ResearchUX Research
UX Research
Billy Choi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혜원 정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혜원 정
 
장기기증 중간발표
장기기증 중간발표장기기증 중간발표
장기기증 중간발표
sangmin song
 

Similar to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20)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명우니닷컴] PWR3 중가고사 대체 논문 발표자료(스마트폰 사용자패턴을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 중독지수 체크시스템)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효과적인 강의기법 (스마트 교육)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주은미2014 동작중심 음악치료 adhd주의집중력 과잉행동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 요인 [한국HCI학회2015]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김예진 2주차 자료조사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Genie
GenieGenie
Genie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lderly People: Human-Centered Design App...
 
UX Research
UX ResearchUX Research
UX Research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장기기증 중간발표
장기기증 중간발표장기기증 중간발표
장기기증 중간발표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오선화 2014 아동 실행 adhd 스마트폰 중독

  •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 2. 석 사 학 위 논 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석 사 학 위 논 문
  • 3.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
  • 4. 석 사 학 위 논 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지도교수 하 은 혜 이 논문을 아동복지학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12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오 선 화
  • 5. 오선화의 아동복지학 석사 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EffectsofChildren'sExecutiveFunction ImpairmentsandADHD symptoms ontheSmartPhoneAddiction 2013년 12월 심사위원장 교수(印) 위 원 교수(印) 위 원 교수(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6. 목 차 목 차····························································ⅰ 표 목 차····························································ⅲ 부록목차····························································ⅳ 국문요약····························································ⅴ Ⅰ.서 론·································································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연구문제·····························································5 Ⅱ.이론적 배경·····················································7 1.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7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10 3.아동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15 Ⅲ.연구방법························································20 1.연구대상····························································20 2.측정도구····························································22 1)실행기능 결함 질문지··········································22 2)ADHD 증상 척도···············································23 3)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24 3.연구절차····························································25 4.자료처리 및 분석·················································25 Ⅳ.연구결과························································27 1.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27 i
  • 7. 2.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32 3.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34 4.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35 Ⅴ.논의·····························································37 1.논의 및 결론······················································37 2.제언·································································42 참고문헌····························································43 부 록····························································52 ABSTRACT·······················································61 ii
  • 8. 표 목 차 표 1.성별 및 학년별 분포············································21 표 2.학년 및 성별에 따른 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21 표 3.인구학적 특성····················································22 표 4.실행기능 결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23 표 5.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24 표 6.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5 표 7.스마트폰 이용 실태·············································27 표 8.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 및 만족하는 부분················28 표 9.주로 사용하는 휴대폰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29 표 10.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30 표 11.스마트폰 중독,실행기능 결함,ADHD 증상의 상관관계··33 표 12.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34 표 13.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34 표 14.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35 표 15.ADHD 증상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36 iii
  • 9. 부 록 목 차 부록 1.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53 부록 2.실행기능 결함 질문지·········································57 부록 3.ADHD 증상 척도··············································59 부록 4.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61 iv
  • 10. 국 문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98명을 대상으로,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ADHD 증상 척도,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을 조사한 결과,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이 39.3%로 가장 많았고,1-2시간 미만이 29.9%,2-3시간이 14.2%를 차지하였다. 둘째,주 사용 기능으로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 였고,최다 사용 어플리케이션도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 터,카카오스토리,인스타그램 등)’가 32.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 지하였다. 셋째,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점 및 ADHD 증상 총점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정적 상관관계 를 나타내,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에 빠질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총점과 하위 요인 모두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도 주의집중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한 결과,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ADHD 증 상 하위 요인 중 주의산만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 다.한편,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유 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 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아동,실행기능 결함,ADHD 증상,스마트폰 중독 v
  • 11. Ⅰ.서 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스마트폰 의존 증후군을 경 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등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부작용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스마트폰이란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 어 있어 상시 접속이 가능한 미디어로(Chen,2012),미디어 중독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및 게임 중독만큼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김형지,김정환,정세 훈,2012).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 이용에 몰두하는 시간이 길 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태(황하성,손승혜,최 윤정,2011)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사회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우려와 문제점들이 지 속적으로 조명되고 있는 것에 비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아직까지 미비한 수준이다(황하성 등,2011;Park & Lee, 2011).또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리 스마트폰은 매우 빨리 확산 되고 있어 기기에 대한 인식이 이미 대중화 단계에 들어서 있음에 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라는 매체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많 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된 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아,아 직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뒷받침 할 충분한 증거나 연구가 부족하 다.최근에 들어서야 스마트폰 사용의 역작용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 되기 시작하였지만,비교적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연구가 많이 축적 되지 않은 실정이다.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에 인터넷 및 휴대폰 중 독 개념을 차용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인터넷 중독의 역작용에 대한 연구에서는 인터넷 과다 사용은 사 회적 철회나 우울증 같은 새로운 정신병리를 유발할 수 있고 (Mitchell,2000),우울증,사회공포증,충동조절장애,ADHD와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를 좀 더 심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Orzack,1996). 또한,성장기 뇌 발달을 저해하고 정체성의 확립에 장애를 일으키기
  • 12. 도 하는데,청소년 및 성인에 비해 아동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김선숙,2004)연령이 어릴수록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윤혜연,2008).인터넷 중독에 대한 선행연구이 지만 스마트폰 이용자 중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 자(한국인터넷진흥원,2013)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폐해가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또한 어릴수록 역작용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 습성에 대해 확인한 선행연구(이국용, 2012)에서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어떤 행위를 하지만,동 일한 행위를 반복하다보면 그 행위에 강한 충성도를 가지게 되어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고,추후 해당 행위를 하지 않게 되면 심리적 으로 불안해진다고 하였다.결국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용자들은 스 마트폰이 없으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에서는 물질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 혹 은 타인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행위를 수행하려는 충동이나 욕구,유 혹 등에 저항하지 못하는 행동장애를 충동 조절장애(Impulse-Control Disorder)로 규정하고 있다(APA,2000).즉,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충동성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충동성과 관련하여,뇌의 전전두 피질은 충동성 통제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데,전전두 피질의 전두-선조체(fronto-striatal)억압 체계 의 손상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Kalenscher, Ohmann, & Güntürkün,2006;Lane,Cherek,Rhodes,& Tcheremissine,2003). 최근 이러한 충동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실행기능 (executivefunction)이 규명되었다. 실행기능이란 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적절한 문제해 결 틀(set)을 유지하는 능력으로(Welsh & Pennington,1988),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지속시키는 인지적 과정이다(Razza& Blair,2009). 즉,대뇌피질의 한 영역인 전전두엽(prefrontalcortex)이 자기조절을 2
  • 13. 가능하게 하는 정신활동을 통제하며,결국 이 정신활동을 실행기능 이라는 용어로 통합하면서 전두엽 영역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주장하였다.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전두엽의 손상은 실행기 능의 결함으로 연결되며,이는 반응 억제 능력의 이상 또는 반응지 연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Barkley & Murphy, 1998).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기반으로 실행기능과 관련된 선행연구 들에서는 충동조절장애에 해당되는 사람은 전두엽 실행기능에 문제 가 있다고(Horn,Dolan,Elliott,Deakin,& Woodruff,2003)거론되 고 있다.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진행 되었으며,자폐 아동,학습장애 아동,뚜렛 장애 아동 등 임상적 장 면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 었다.또한 비행청소년이나 인터넷 중독자와 같이 최근 우리사회에 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대상들도 연구되었다(공영숙,임지 영,2011).그러나 실행기능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초기단계이며 지 금까지 수행기반의 검사들을 활용하여 일대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대상에게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이러한 이유들 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스마트폰 중독의 경우에도 최근 에 쟁점이 된 문제이기 때문에 두 변인 간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 었다. 실행기능과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구에서는 인터 넷 게임 중독 집단에서 충동성 및 새로운 경험 추구 차원이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났으며,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김신희,안창일,2005).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을 밝힌 전혜연,현명호,전영민(2011)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 독 성향자들에게서 충동성이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유연성이 낮게 나타나 전두엽 실행기능의 성격/정서적 측면에 손상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실행기능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 구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매우 소수였으며,스마트폰 중독과의 관 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다.최근 스마트폰 중독이 쟁 3
  • 14. 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이며,중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충동조절 의 어려움이 규명되고 있으므로 충동성을 조절하는 인지기능의 메 카인 실행기능의 영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인터넷은 사람이 가진 본능적인 충동을 자극하고 튀어나오 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는데,평범한 이용자들은 그러한 충동 을 경험하지 않거나 적절히 제어한다.그러나 이에 취약한 사람들은 인터넷 중독에 쉽게 빠질 수 있다고 하였다(Cau,Su,Liu,& Gao, 2007).그런데 이러한 취약성을 지닌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이하 ADHD)가 연구되고 있다.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부주의(주의력 결핍)와 과잉행동ㆍ충동성의 범주에 해당되는 증상을 보이는 병리이다(APA,2000). ADHD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에 의 해 검증되고 있는데,높은 수준의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에게서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Yoo etal., 2004),병원을 찾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문제를 살펴본 연구에서 도 ADHD 아동이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에 비해 인터넷 중독에 빠 질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권수경,장은영,2010).또한 높은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용익,이동훈,박원 모,2010;위지희,채규만,2004). 한편,최근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ADHD와의 관 련성을 규명한 결과,스마트폰 중독군에서 ADHD 증상을 가지고 있 을 가능성이 더 높았고 스마트폰 중독인 경우,스마트폰 중독 정도 가 심할수록 성인 ADHD일 가능성이 높았다(김동현 등,2013). 위의 선행연구들을 통해,실행기능 및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실행기능 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접적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제한적이었다.따라서 ADHD 증상이 스 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한편,ADHD는 과잉행동ㆍ충동성 우세형(ADHD-HI),주의력 결 4
  • 15. 핍 우세형(ADHD-I),그리고 복합형(ADHD-C)의 세 가지 하위 유 형으로 구분된다(APA,2000).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들 에도 차이가 있게 되는데,복합형은 과잉행동/충동성과 지속적 부주 의에서,주의력 결핍형은 느린 인지적 템포/과소각성 부주의에서 두 드러진 문제가 있다(이명주,홍창희,2006b).이와 관련하여 김정순 (2008)은 ADHD의 하위 유형의 증상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정 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의력 결핍형,충동성 및 과 잉행동형,혼합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중독을 알아보고자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ADHD 하위 유형 중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 넷 중독 비율은 55.5%,충동성 및 과잉행동 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 율은 35.3%,혼합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0%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김용 익 등(2010)의 연구에서는 ADHD 하위 유형 중 혼합형이 인터넷 고 위험 사용자군(48.39%)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주의력 결핍형은 잠 재적 위험 사용자군(56.58%)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이러한 결과들은 ADHD 하위 유형 각각의 증상 정도에 따라 중 독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따라서 ADHD 증상 하 위요인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뒤,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영 향력을 규명하였다. 5 2.연구문제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아동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은 어떠한가?
  • 16.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실행기능 결함의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 6 은 어떠한가? 2-2.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3.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ADHD 증상의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ADHD 증상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 17. Ⅱ.이론적 배경 1.아동ㆍ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최근 중독 현상이 여러 매체 영역까지 확장되었으며,2009년 말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용어가 새 롭게 등장하였다(노미정,김진화,이재범,2010).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발표한 인터넷 중독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 수의 급격한 증가로 2010년 8.3%에 불과했던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이 2011년에는 39.2%로 증가하였다. 또한 스마트 기기 이용률의 전망에 대해서는 2013년 스마트폰 이용 률은 68.3%,스마트패드 이용률은 16.9%로 전체 스마트기기 이용률 이 70.2%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이렇게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는 주된 원인으로 무선인터넷이용자의 증가를 들고 있는데, 공간 제약적 매체인 PC와 달리 이동매체인 스마트폰은 이동 중에도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이용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과 여성가족부(2013)에서 발표한 청소년 통계 보고 서 결과에 따르면,2012년 12-19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80.7%로 2011년에 비해 40.7% 증가하였다.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 과,일평균 2.6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1시간 미만 7.7%,1-2시간 미만 28.9%,2-3시간 미만 27%,3시간 이상 36.4%로,3시간 이상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았다.이용 기능으로는 음성·영상 통화 가 29.3%였고,문자메시지(SMS,MMS)36.7%,무선 인터넷 및 애 플리케이션이 3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휴대폰으로 써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기능을 대체하는 도구로 이용하고 있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한 인터넷 이용 증가는 정보공유 활동 증 가,학업 및 업무 생산성 향상 등 우리의 삶에 여러 가지 편리함을 7
  • 18. 가져왔지만(이민석,2011),그로 인한 문제점들도 늘어나고 있다.특 히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중독현상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이러한 현상은 이전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던 ‘컴퓨터 게임 중독’,‘인터넷 중독’이 이동 매체인 스마트폰으로 고스란히 옮겨져(박용민,2011)새로운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에서는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의 다르면서도 매우 유사한 특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첫째,구인적인 측면에서 금단,내성,의존,초조,불안,강박적 사 용,생활장애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둘째,즐거움,외로움,대인관계로 사용동기를 정리해볼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은 편리성 면에서 PC를 이용한 인터넷과 차별성을 가진다.여기서 주목해야 할 차이점은 인터넷 중독은 현실도피,도 전/성취동기가 있는데 비해,스마트폰 중독은 자기과시,체면 차리 기,인정이 대한 동기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두 매체 모두 사용하지 않을 때 금단,내성의 증상을 보이 고 일상생활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며,인터넷이나 휴대폰을 사용 하지 않고 있을 때에도 하고 있는 듯한 환상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보다 우울,편집,반항,강박 등 에서 더 큰 문제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스마트폰 중독은 우울보다는 산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는 문제가 더 심각할 수 있다. 여기에 인터넷 중독과 비교하여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에 추가될 내용으로 스마트폰이 PC를 이용한 인터넷보다 편리하고 접근성이 증대되어 있다는 점,그리고 제공하는 앱이 무수히 많아 원하는 카 테고리 별로 찾을 수 있어서 인터넷 사용보다 훨씬 사용자 중심으 로 맞추어져 있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컨텐츠 별 중독 가 능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보다 더 손쉽게 중독될 위험 성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최근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폰 중 독이 심각한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서울시가 시립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2013)에서 2012년 11-12월 강북·성 8
  • 19. 북 지역 초·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S-척도)’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유효 응 답자 1447명 중 85명(5.9%)이 스마트폰 중독 사용군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사 결과로는,여학생의 8.3%가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 한 잠재적 위험군과 집중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등 중독 사용군으 로 나타났는데,이는 남학생(2.8%)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였다.학 령별로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8.5%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 생과 대학생이 각각 5.0%,고등학생이 4.7%로 조사됐다.학년별로는 초등학교 6학년(11.8%),중학교 3학년(9.3%),중학교 1학년(8.8%), 중학교 2학년(7.4%)순으로,초등학교 6학년에서 가장 중독률이 높 았다.중독 사용군은 평균 사용 시간은 평일에 7.8시간,주말에 9.8 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2012)에서도 2012년 9월 3-21일 도내 초등학교 3-6 학년생 53만6029명,중학교 및 고등학교 전 학생 91만5305명 등 145 만1334명을 대상으로 학급단위 집단 지필검사 방식으로 스마트폰 이용습관을 조사하였다.그 결과,66%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으며,보유 비율은 고등학생이 77.2%,중학생 75.9%, 초등학생 47.6% 순이었다.학생들의 평균 사용 시간은 1-3시간 미 만이 45%로 가장 많았고,5시간 이상 사용한다는 학생도 10%에 달 했다.스마트폰 사용 기능에 대해 조사 결과로는 채팅 및 메신저가 7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전화·문자(67%),음악·MP3(64%),정 보검색(54%),게임(52%)순으로 조사되었다.이렇게 조사된 설문 결 과를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진단 척도 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2.2%가 중독 고위험군(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되었는데,이는 인터넷 중독 위험군(1.01%)과 비교하여 2배가 넘는 수치였다.잠재적 위험군 또한 5.7%로,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 험군 비율인 2.93%의 2배가 넘는 수치로 조사되었다.학령별로 스마 트폰 중독 고위험 비율을 살펴보면 중학생이 2.81%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생 2.42%,초등학생은 1.04%였으며,이들 10명 가운데 1명은 하루 5시간 이상 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초·중·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중독보다 더욱 심각하 9
  • 20.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스마트폰 이용자의 인터넷중독률 (7.6%)이 비이용자(6.3%)보다 1.3% 높아,스마트미디어 이용이 인 터넷 중독 위험성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이는 아동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 이다. 이상의 확인된 바와 같이,최근 몇 년 사이에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하였고,아동ㆍ청소년에게까지 무분별하게 보급되면서 ‘중독’이 라는 심각한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중독으로 이 어지는 관련 요인들을 검증하고 개입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는 물질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 인 혹은 타인에게 해가 될 수 있는 행위를 수행하려는 충동이나 욕 구, 유혹 등에 저항하지 못하는 행동장애를 충동조절장애 (Impulse-ControlDisorder)로 규정하고 있다(APA,2000).충동조절 장애의 하위 범주에 속해 있는 병적 도박(pathologicalgambling)의 경우 물질 사용에 의한 중독과 유사한 내성 및 금단증상이 나타난 다(이형초,2002).도박 중독에서의 중독은 ‘addiction’으로 표현하며, 행위 중독(behavioraladdiction)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이는 생리적 인 중독과 구별되는 행위적인 중독이라고 할 수 있는데(조민자, 2010),이 장애 역시 내성,금단현상,일상생활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 역시 내성,금단현상,일 상생활 장애 등과 같은 기준으로 진단되므로,행위 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시작하여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마감하는’소비층이 증가하면서(금창민,2013)행위 중독의 한 유형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거론되고 있다.이렇게 스마트폰을 과 다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중독의 부작용이 쟁점으로 부각되기 시작 하면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과 역작용에 대한 연 10
  • 21. 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다.그러나 스마트폰이라는 매체 가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된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뒷받침 할 충분한 증거나 연구가 부족하다.이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의 개 념이나 정의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는 연구는 드물었다 (Oulasvirta,Rattenbery,Ma,& Raita,2012).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폰 중독에 인터넷 및 휴대폰 중독 개념을 차용하여 선행연구를 검 토하였다. 인터넷 중독의 역기능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과다한 인터넷 사 용이 대인 간의 직접적인 사회활동을 인터넷을 통한 활동으로 대치 하여 사회적 참여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위협하여 우울증과 관련이 되며,동기저하,낮은 자존감,인정욕구 그리고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Young & Rogers, 1998).또한 과다한 채팅이나 게임 역할은 다면적인 정체성을 형성 하여 현실세계와의 부적응(Griffiths,1997)이나 높은 수준의 불안과 우울(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신수경,2001)을 유발할 수 있 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우울증, 사회공포증, 충동조절장애, ADHD와 같은 기존의 정신병리를 더욱 심화시키는 경향도 있다고 하였다(Orzack,1996).휴대폰 중독 관련 연구에서는 휴대폰 중독이 우울(이명희,2006,이혜경,2008),불안(황광민,2005),충동성(이명 희,2006)과는 정적 상관을,통제력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이명희,2006),매체 중독들 간의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자아정체성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낮 은 자기 통제력과 효능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인터넷과 같은 매체 중독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박재성,2004),성인에 비해 아동이 매체 중독에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김선숙,2004).또 한,연령이 어릴수록 인터넷 중독이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윤혜연,2008). 이와 관련하여 인터넷 중독을 포함한 여러 중독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실행기능이 대두되고 있다.실행기능은 계획 (planning),의사결정(decision making),목표설정(self-dircted goal 11
  • 22. sel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으로(Pennington & Ozonoff,1996), ‘미래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적절한 문제 해결 경향을 유지하는 능 력’이라는 특성을 지닌다(Welsh & Pennington,1988).이는 새롭고 활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에 작용하며,인지ㆍ정서ㆍ행동적 기 능들을 안내(guiding)하고 지시(directing)하고 관리(managing)하는 것을 책임지는 과정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Gioia,Isquith,Guy, & Kerrworthy,2000).또한 여러 가지 복잡한 정보를 가용한 상태 로 활성화시켜 유지하고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 기억,목표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조율하고 감독하는 능력(self-regulation)과 오류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능력(self-correction)도 실행기능의 중요한 측면 이라 할 수 있다(신민섭,김현미,2006). 실행기능은 전두엽이 발달 되는 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까지 발 달되며,특히 10살 이후 청소년기부터는 전두엽의 효율성이 증가하 여 원초적인 변연계(limbicsystem)가 정서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전두엽이 관장하게 된다.실행기능을 관장하는 전두엽에 있는 뉴런 의 경우 10대 후반에서야 수초화가 이루어지며,전두엽에 수초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의력의 폭이 증가하고 정보처리 속도가 빨라지 게 된다(신민섭,김현미,2006).실행기능은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에 따라 발달되는 시점이 달라진다.‘주의 통제’는 유아기 때 나타나서 초기 아동기 때 급속하게 발달하여 9세 이상의 아동은 자신의 ‘행동을 잘 감독하고 조절하는 경향’이 있다.아울러 인지적 융통성 영역 중 복합적인 차원인 ‘전환’과제에 대한 대처 능 력은 7세에서 9세 사이에,그리고 목표 지향 영역 중 ‘계획 및 조직 적인 기술’은 7세에서 10세 사이에 크게 발달한다(Anderson, Anderson,Northam,Jacobs,& Mikiewicz,2002).또한 ‘전환’및 ‘억제’능력은 각각 5세와 8세,5세와 6세 사이에 발달한다(Best, Miller,& Jones,2009).‘계획’능력의 경우 아동기 중기 때에는 비 교적 단순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으며,보다 복잡한 계 획은 아동기 후기나 청소년기에 발달한다.마지막으로 ‘작업 기억’은 4세에서 15세까지 선형적인 수행의 증가가 발견되었으며(Gathercole, Pickering,Ambridge,& Wearing,2004),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12
  • 23. 복잡한 작업 기억 보다는 ‘기본적인 집중력’의 발달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박주리,송현주,2012). 이러한 실행기능 영역에 결함이 있는 전두엽 증후군은 크게 인지 적인 측면과 성격적인 측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홍근, 2001).인지적 측면에서 판단력,통찰력,인지적 유연성,창의성,계 획력,추상적 사고 등이 심한 감퇴를 보이고,적응 행동에 매우 광 범위하고 심각한 문제를 보인다.성격/정서적 측면에서는 탈억제형 (충동적 행동),무감동형(무관심),사회성숙도의 퇴행,거친 언사,과 잉 성행동,안절부절 못하는 태도,감정의 변화무쌍,자발성 결여,성 충동 감소,둔화된 감정표현,무언증의 특징을 보인다고 제안하였다 (전혜연 등,2011). 특히 실행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전전두 피질은 충동성 통제에 중 요한 역할을 하는데,전전두 피질의 전두-선조체(fronto-striatal)억 압 체계의 손상은 충동성과 관련이 있다(Kalenscheretal.,2006; Laneetal.,2003).Barkley와 Murphy(1998)는 대뇌피질의 한 영역 인 전전두엽(prefrontalcortex)이 자기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정신활 동을 통제하며,결국 이 정신활동을 실행기능이라는 용어로 통합하 면서 전두엽 영역과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을 주장하였는데,그는 전 두엽 손상으로 인해 아동들에게 실행기능의 결함이 발생되며 이는 반응 억제 능력의 이상 또는 반응지연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 다고 하였다.최근,실행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충 동조절장애에 해당되는 사람은 전두엽 실행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Hornetal.,2003)거론되고 있다. 실행기능 결함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 대해 규명한 선행연구에 서는 인터넷 중독과 유사한 인터넷 게임과 실행기능의 결함으로 발 생하는 충동성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그 결과 인터넷 게임 중 독 집단이 충동성 및 새로운 경험 추구 차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 타났으며,비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김신희,안 창일,2005).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실행기능의 특징에 대해 규명한 전혜연 등 (2011)은 DSM-5에서 행위 중독의 하위 요인으로써 병적 도박이 물 13
  • 24. 질 사용 장애와 함께 ‘중독 및 관련 장애’범주로 묶일 것이고 ‘도박 중독’으로 명명될 것이며,인터넷 중독 또한 이 범주의 부록에 실릴 예정일 것이라고 하였다.그러나 여전히 인터넷 중독 진단 분류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O'Brien,2010;Holden,2010;Stanton, 2010),인터넷 중독자가 병적도박 환자와 유사한 특징이 있는지 실 행기능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확인하고자 하였다.병적 도박 환자들 은 근시안적 특징으로 인지적 유연성에서의 손상을 보이며 (Cavedini,Ribold,Deller,D'Annucci,& Bellodi,2002),충동적인 행 동을 보인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인터넷 중독 성향자로 선정된 집단을 대상으로 실행기능의 인지적 유연성과 억제기능,충동성을 측정하여 일반 집단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이를 위해 병적 도박자들과 비슷한 의사결정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한 도박과제, 충동성을 측정하는 연속수행과제,반응 억제 수준을 측정하는 스트 룹 검사,그리고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성을 측정하는 단어유창성 검 사를 시행하였다.그 결과,의사결정 방식과 선택적 억제능력 수행 은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의 충동 성이 높고 인지적 유연성이 낮게 나타나 전두엽 실행기능의 성격/정 서적 측면에서의 손상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이 결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분석한 결과,인터넷 중독 성향자 집단에서는 단어 유창 성의 단어 반복 억제 지표와 연속수행과제의 오경보 오류 지표 간 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즉,인터넷 중독 성향자는 비목표 자극에 대한 운동 반응을 제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충동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중독 성향자가 일부 전두엽 실행기능 의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인터넷 중독과 실행기능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 선행연 구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매우 드물었으며,스마트폰 중독과의 관 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다.스마트폰 및 실행기능 모 두 비교적 많이 연구되지 않은 분야이고,특히 실행기능의 경우,대 부분 ADHD 증상을 가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수행 기반의 검사를 진행해왔기 때문에 광범위한 표집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들을 실 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 14
  • 25. 는 시간 및 비용 면에서 효율적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을 측정할 수 있고,전두엽 손상을 비롯한 실행기능 결함과 관련된 다양한 장애 및 문제점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실행기능 측정의 생태학적 타당 도를 높인 박주리와 송현주(2012)의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두 개의 상위 요인(주의 통제,목표 지향)과 그에 대한 각각 두 개 의 하위 요인(주의 집중,전환 /계획 및 조직화,행동 및 정서 조 절)으로 분류되어 있어,기본적인 작업 기억 능력을 포괄하는 주의 집중력,전환 능력,비교적 단순한 계획 및 조직화 능력,행동 및 정 서 조절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박주리,송현주, 2012).이와 같은 특성 상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아동들이 자신의 실행기능을 스스로 점검하여 효율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실행기능 결함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고 일반화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실행기능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보다 명확히 검증하였다. 3.아동의 ADHD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부주의(주의력 결핍)와 과잉 행동ㆍ충동성의 범주에 해당되는 증상을 보이는 병리이다(APA, 2000). ADHD에 대한 해외 연구(Polanczyk, de Lima, Horta, Biederman,& Rohde,2007)에서는 그 유병률이 세계 아동 및 청소 년 중 5.3%로 보고되었다.국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1)에서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20세 이하의 대상으로 ADHD에 대해 분석한 결과,7세-13세의 점유율이 68.2%였으며,10 세가 11.2%,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15
  • 26.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은 ADHD 증상 자체로 인해 인터넷 중 독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김정순,2008;김혜리,2005;위 지희,채규만,2004).ADHD 아동들이 중독에 취약한 구체적인 이유 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은 주의 력결핍 증상 때문에 주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지고 주의력이 떨어져 지속적으로 주의를 자극하는 신호와 메시지를 전달받아야 한다(류진아,2003).그런데 인터넷이나 게임,멀티미디어 등은 감각 적이고 자극적인 장면들을 계속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흥미를 충족 시키고 지속적인 만족을 얻으려 할 위험이 있다(이명수,오은영,조 선미,홍만제,문재석,2001).이는 스마트폰이라는 매체에서도 나타 나는 특징이므로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둘째,ADHD 아동은 의학적으로 중추신경계의 각성도가 낮아 각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과잉행동을 하는 것으로 설명 되기도 하는데,각성도를 높이기 위한 과잉행동을 인터넷에 몰두하 는 행동으로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Talbott, 1994). 마지막으로 ADHD는 충동성과 관련 있는 대표적인 정신병리이며,인터넷 중독 또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충동조절 장애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므 로(Beard& Wolf,2001;Davis,2001;Young,1996),충동성이 일반 아동보다 높은 ADHD 아동이 인터넷 중독에 빠져들 위험이 더 높 다고 볼 수 있다.뿐만 아니라 ADHD로 진단된 사람들은 인터넷 중 독 외의 알코올,니코틴과 같은 물질 중독에 빠질 위험도 일반인들 에 비해 2배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Biederman et al.,1997). ADHD로 진단된 아동이 나이가 들수록 일반 아동에 비해 알코올, 니코틴,약물 사용에 있어 더욱 심한 중독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보 고한(Molina& Pelham,2003;Realmutoetal.,2009)종단연구의 결 과들은 ADHD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일반인들에 비해 중독에 취약 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한편,인터넷과 비교하였을 때 스마트폰이라는 매체는 인터넷과 매우 유사한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인터넷보다 접근이 쉽 고 다양한 컨텐츠들을 한데 묶어놓은 특징이 있다.따라서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스마트폰에 몰두하고 중독 16
  • 27. 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이를 지지하는 선 행 연구로,최근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ADHD를 관 련성을 확인한 연구를 들 수 있다.연구 결과로,스마트폰 중독군에 서 ADHD 증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았고 스마트폰 중독 인 경우,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성인 ADHD일 가능성이 높았다(김동현 등,2013). 이와 같이 최근에 스마트폰 중독 현상과 관련된 역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비교적 초기단계의 연구들이기 때문에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을 관련지은 연구는 제한적이었다.그 런데 스마트폰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매체라는 점에서 많은 부분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ADHD 증상과 인터넷 과다 사용의 관계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들 에 의해 검증되고 있다.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주의력결 핍,과잉행동/충동성 성향 모두와 인터넷,휴대폰 중독 수준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최진오,2011),성인 ADHD와 인터넷 중독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Ko,Yen,Chen,& Yen,2008; Yen,Yen,Chen,Tang,& Ko,2009).또한 높은 수준의 ADHD 증 상을 가진 아동에게서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Yooetal.,2004),병원을 찾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문 제를 살펴본 연구에서도 ADHD 아동이 다른 장애를 가진 아동에 비해 인터넷 중독에 빠질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권수 경,장은영,2010).뿐만 아니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높은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김용익 등,2010; 위지희,채규만,2004). 이와 같이 ADHD 증상과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다수 존재하 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이었 다.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ADHD 증상과 스마트폰 중독 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17
  • 28. 한편,ADHD는 과잉행동ㆍ충동성 우세형(ADHD-HI),주의력 결 핍 우세형(ADHD-I),그리고 복합형(ADHD-C)의 세 가지 하위 유 형으로 구분된다(APA,2000).유형에 따라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들 에도 차이가 있게 되는데,복합형은 과잉행동/충동성과 지속적 부주 의에서,주의력 결핍 우세형은 느린 인지적 템포/과소각성 부주의에 서 두드러진 문제가 있다.이러한 이유로 복합형 아동들은 지시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충동적으로 반응할 뿐만 아니라 모터가 달린 듯이 과도하게 행동하는 양상을 보인다.이 아동들은 쉽게 주의가 분산되고,생각하기에 앞서 행동하는 양상을 보인다.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들은 동작이 굼떠서 지시나 과제를 주었을 때 제 때에 수행하지 못 할뿐만 아니라 이를 수행하는 동작 역시 느리다.또한 이들은 멍하게 딴 생각에 빠져 있어 백일몽을 꾸고 있는 듯이 보이 고,굼뜨고 느린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이명주,홍창희,2006b). 이렇듯 ADHD 증상은 하위 유형이 나눠져 있으며 하위 유형 간 드러나는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김정순(2008)이 ADHD의 하위 유형의 증상 정도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정도에 차이 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의력 결핍형,충동 성 및 과잉행동형,혼합형에서 나타나는 인터넷 중독을 알아보고자 검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ADHD 하위 유형 중 주의력 결핍형 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5.5%,충동성 및 과잉행동 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35.3%,혼합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은 50%로 나타나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김용익 등(2010)의 연구에서는 ADHD 하위 유형 중 혼합형이 인터넷 고위험 사용자군(48.39%)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주의력 결 핍형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56.58%)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은 ADHD 하위 유형 각각의 증상 정도에 따라 중독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런데 위의 선행연구들에서는 ADHD 선별을 위한 척도를 활용 하여 ADHD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범주를 나눈 뒤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자가진단척도를 활용하여 ADHD 집단을 구분하고 선별 하는 것은 선별 신뢰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18
  • 29. 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을 선별하 기보다는 ADHD 증상 총점 및 하위 요인의 총점을 기준으로 증상 의 정도를 파악한 뒤,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19
  • 30. Ⅲ. 연 구 방 법 20 1.연구 대상 서울ㆍ경기 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9곳에 재학 중인 5,6학년 아동 들에게 1,317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1,287부가 회수되었다.회수된 질문지 중 답변이 매우 불성실한 설문 14부를 제외하고,휴대폰이 없다고 기록한 설문 138부를 제외하였다.남은 1,135부에서 비스마트폰 사용자라고 기록한 설문 201부를 제외한 나 머지 948부 중 무성의한 응답 등을 제거한 뒤 798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한 근거는 실행기능이 6 세부터 10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하며 12세쯤이 되면 성인 수준의 수행을 보이게 된다는 연구 결과(도례미,조수철,김붕년,김재원,신 민섭,2010)와 국내에서 최근 5년 간(2007-2011년)20세 이하를 대 상으로 ADHD에 대해 분석한 결과,7세-13세의 점유율이 68.2%였 으며,10세가 11.2%,9세가 10.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는 결과(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1)에 기초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1,273명(100.0%)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 과,남학생이 679명(53.3%)으로 594명(46.7%)인 여학생보다 약 6.6%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응답자 중,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은 356명(28.0%),여학생은 317명(24.9%)이었고,6학년 남학생은 323명 (25.4%),여학생은 277(21.8%)명이었다. 휴대폰 유무에 대해서는 1,273명 중 1,135명(89.1%)은 휴대폰을 가 지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138명(10.9%)은 휴대폰이 없다고 응답하 였다.휴대폰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1,135명 중,936명(82.5%)은 스 마트폰이었고,나머지 199명(17.5%)는 비스마트폰이었다. 연구대상의 성별과 연령별 분포,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에 대 해 조사한 결과를 각각 표 1,2에 제시하였다.
  • 31. 표 1. 성별 및 학년별 분포 (명/%) (N=1,273) 학년 성별 계 남 여 5학년 356(28.0) 317(24.9) 673(52.9) 6학년 323(25.4) 277(21.8) 600(47.1) 계 679(53.3) 594(46.7) 1,273(100.0) 표 2. 학년 및 성별에 따른 휴대폰 및 스마트폰 유무 (N=1,273) 학년 성별 명(%) 21 휴대폰 유 5 남 303 590(46.3) 여 289 6 남 280 545(42.8) 여 263 1,135(89.1) 휴대폰 무 5 남 53 81( 6.3) 여 28 6 남 43 57( 4.6) 여 14 138(10.9) 계 1,273(100.0) 스마트폰 5 남 248 484(42.7) 여 236 6 남 236 452(39.8) 여 216 936(82.5) 비스마트폰 5 남 55 108( 9.5) 여 53 6 남 44 91( 8.0) 여 47 199(17.5) 계 1,135(100.0)
  • 32. 조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2 표 3. 인구학적 특성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부학력 모학력 부모 학력 고졸 미만 24(3.4) 17(2.4) 고졸 175(25.1) 227(32.5) 대졸 378(54.2) 354(50.6) 대학원 이상 121(17.3) 101(14.4) 경제 수준 하류 9(1.2) 중하류 63(8.3) 중류 409(53.9) 중상류 229(30.2) 상류 49(6.5) 성적 최상위권 45(5.8) 상위권 241(31.1) 중위권 379(48.9) 하위권 91(11.7) 최하위권 19(2.5) 2.측정 도구 1)실행기능 결함 질문지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는 박주리와 송현주(2012)가 초등학 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척도이다.이 질 문지는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상위 요인인 주의 통제와 목표 지향을 측정한다.주의 통제는 주의집중,전환,목표 지 향은 계획 및 조직화,행동 및 정서조절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져 있
  • 33. 다.이 척도는 매우 아니다(1점)부터 매우 그렇다(5점)까지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박주리와 송현주(2012)의 연구 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ɑ=.88이었다.본 연구에서 확인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92이었다.아동용 실행기능 결 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23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주의 통제 주의집중 (7문항) 1,2,3,4,5,6,7 7 .85 전환 (4문항) 8,9,10,11 4 .76 목표 지향 계획 및 조직화* (10문항) 12,13,14,15,16, 17,18,19,20,21 10 .91 행동 및 정서 조절*(8문항) 22,23,24,25,26, 27,28,29 8 .87 전체(29문항) 29 .92 *는 역채점 문항임. 2)ADHD 증상 척도 아동의 ADHD 증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김종운(2002)이 개발한 ADHD 아동용 척도를 사용하였다.김종운의 연구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93이었다.이 척도는 전혀 아니다(1점)에서 아주 그렇다(5점)까지로 구성된 5점 Likert척도에 아동들이 답하도 록 제작되어 있으며,점수가 높을수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이 척도는 네 가지 하위 척도인 주의산 만(15문항),충동성(10문항),과잉행동(15문항),대인관계(10문항)에 관한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본 연구에서는 ADHD의 핵심 증상인 주의산만,충동성,과잉행동을 하위척도로 하여 40문항을 사 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ɑ=.94였다. 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5에 제시하였다.
  • 34. 표 5. ADHD 증상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24 주의산만 (15문항) 1,2,3,4,5,6,7,8,9,10*, 11,12*,13,14*,15* 15 .87 충동성 (10문항) 16*,17,18,19,20,21,22, 23,24,25 10 .76 과잉행동 (15문항) 26,27,28,29,30,31,32, 33,34,35,36,37,38,39,40 15 .91 전체(40문항) 40 .94 *는 역채점 문항임. 3)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S 척도)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을 변별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 에서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의 연구에서 보고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88이었다.이 척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4점)까지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4점 Likert척도에 아동들이 답하도록 제작되었다.단,문항 8번,10번,13번은 역채점을 실시한 다.이 척도는 네 하위 척도인 일상생활장애(5문항),가상세계지향성 (2문항),금단(4문항),내성(4문항)에 관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총점 45점 이상이거나 일상생활장애증상 16점 이상,금단 증 상 13점 이상,내성 증상 14점 이상이 모두 해당되는 경우,고위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되며,총점이 42점-44점 이하이거나 일상생활장 애증상 14점 이상,금단 증상 12점 이상,내성 증상 13점 중 하나라 도 해당되는 경우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된다.이 두 가지 사용자 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일반 사용자 군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을 나누지 않고 총점을 기준으로 중독 정도를 측정하였으며.전체 신뢰도는 Cronbach’sɑ=.88이었다.S 척도의 문 항구성 및 신뢰도를 표 6에 제시하였다.
  • 35. 표 6.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 문항구성 및 신뢰도 25 (N=798)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신뢰도(ɑ) 일상생활 장애(5문항) 1,5,9,12,13* 5 .72 가상세계 지향성(2문항) 2,6 2 .56 금단(4문항) 3,7,10*,14 4 .73 내성(4문항) 4,8*,11,15 2 .71 전체(15문항) 15 .88 *는 역채점 문항. 3.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7월 말까지 서울,경기 내 초등학교 9 곳을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밝히고 협조를 구한 뒤 학급 담임선 생님들에게 연구의 목적,실시방법,유의사항에 대한 안내와 함께 설문지를 전달하였다.각 반 담임선생님들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 였고,설문이 마무리 되는대로 회수하였다. 4.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및 연구문제 1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N),백분율(%)을 구하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각 측정도구의 내적합치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ɑ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36. 넷째,연구문제 2-1,2-2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총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 4개를 독 립변인으로,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다섯째,연구문제 3-1,3-2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의 ADHD 증상 총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 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뒤,ADHD 하위 요인 3가지를 독립변인 으로,스마트폰 중독 총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 시하였다. 26
  • 37. Ⅳ. 연 구 결 과 1.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아동 79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유형에 대해 조사하였다.그 결과는 표 7,8,9와 같다. 27 표 7. 스마트폰 이용 실태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스마트폰 사용 기간 명(%) 6개월 미만 130(16.5) 6개월-1년 151(19.2) 1년-2년 미만 282(35.9) 2-3년 미만 173(22.0) 3년 이상 50(6.4) 하루 총 스마트폰 사용시간 명(%) 1시간 미만 310(39.3) 1시간-2시간 미만 236(29.9) 2시간-3시간 미만 112(14.2) 3시간-4시간 미만 66(8.4) 4시간-6시간 미만 46(5.8) 6시간 이상 18(2.3) 한달 평균 사용요금 명(%) 2만원 미만 181(24.1) 2-4만원 미만 267(35.6) 4-6만원 미만 180(24.0) 6-8만원 미만 68(9.1) 8-10만원 미만 39(5.2) 10만원 이상 16(2.1)
  • 38. 28 <표 7계속> 사용동기 명(%) 최근 유행이어서 175(22.9) 뉴스 및 각종 정보들을 바로 검색하기 위해 72(9.4) 업무 및 학업에 도움이 되어서 44(5.8)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206(27.0) 기타 266(34.9) 스마트폰 사용 전 후 요금 비교(단말기 할부금 포함) 명(%) 예전보다 줄었다 52(6.8) 비슷하다 379(49.5) 예전보다 늘었다 335(43.7) 표 8. 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 및 만족하는 부분 (명/%) (N=798,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매우 만족 만족 그저 그렇다 불만족 317(40.0) 369(46.5) 96(12.1) 11(1.4) 가장 만족하는 부분 웹 검색의 각종 정보 획득/활용이 쉬워짐 187(27.9)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통한 폭넓은 인맥형성 309(46.1) 각종 게임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됨 175(26.1)
  • 39. 표 9. 주로 사용하는 휴대폰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음성통화 64(8.6) 문자메시지 25(3.3) 인터넷 정보검색 68(9.1) 음악/영화감상 및 DMB시청 79(10.6) 게임 등 취미오락 기능 201(26.9) 카카오톡 등 SNS 311(41.6)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플 유형 자료 및 정보 획득 (뉴스,날씨,교육,학습.어학,정보검색 등) 29 67(8.8)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틱톡,라인 등), 문자 메시지(SMS,MMS) 190(25.0)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 246(32.4) 모바일 게임 및 오락 208(27.4) 기타:일정관리,알람,대중교통서비스,사진촬영 등 49(6.4) 스마트폰 이용 실태에 대한 질문 중,스마트폰 총 사용기간에 대 해서는 ‘1-2년 미만’이 282명(35.9%)으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으로 173명(22.0%)이 ‘2년-3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하루 평균 사용 시 간은 ‘1시간 미만’이 310명(39.3%)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1-2시간 미만’이 236명(29.9%)으로 나타나 2시간 미만 사용 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 달 평균 요금을 묻는 질문에서는 단말기 할부금 포함 ‘2-4만원’ 이라고 응답한 아동들이 267명(35.6%)으로 가장 많았다.이 전 휴대 폰 요금과 스마트폰 사용 후 요금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예전 과 비슷하다’가 379명(49.5%),‘예전보다 늘었다’가 335명(43.7%)이었
  • 40. 으며,‘예전보다 줄었다’고 응답한 아동들은 52명(6.8%)에 그쳤다. 스마트폰 사용 동기에 대해서는 ‘주변 사람들과의 폭넓은 커뮤니 케이션을 위해’가 206명(27.0%)으로 가장 많았다.주로 사용하는 기 능은 ‘카카오톡 등 SNS’311명(41.6%),‘게임 등 취미오락 기능’201 명(26.9%),‘음악/영화감상 및 DMB시청’79명(10.6%),‘인터넷 정보 검색’68명(9.1%),‘음성통화’64명(8.6%),‘문자메시지’25명(3.3%)순 이었다.최다 사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 트위터,카카오스토리,인스타그램 등)’가 246명(32.4%)으로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후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는 678명(86.5%)이 만족 또는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하였으며,이들에게 가장 만족하는 부분 에 대해 질문한 결과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활용한 폭넓은 인맥형성’이 309명(46.1%)으로 가장 많았다. 각 어플리케이션의 하루 이용 시간을 조사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 (명/%) (N=798, 합계는 무응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A B C D 30 정보 검색 어학 및 교육 일정 관리 % 모바일 메신저 SNS % 모바일 게임 (SNG, 멀티게임) 모바일 게임 (싱글 게임) 거의 안함 372 (46.9) 500 (63.3) 416 (53.0) 54.4 129 (16.3) 182 (23.2) 19.7 201 (25.4) 356 (44.9) 30분 이내 346 (43.6) 210 (26.6) 296 (37.7) 36.0 273 (34.5) 229 (29.2) 31.9 241 (30.4) 246 (31.0) 30분- 1시간 58 (7.3) 58 (7.3) 55 (7.0) 7.2 216 (27.3) 181 (23.1) 25.2 198 (25.0) 126 (15.9) 1-2 시간 14 (1.8) 15 (1.9) 14 (1.8) 1.8 96 (12.1) 116 (14.8) 13.5 93 (11.7) 47 (5.9) 2시간 이상 1 (0.1) 5 (0.6) 4 (0.5) 0.4 49 (6.2) 39 (5.0) 5.6 42 (5.3) 11 (1.4) 3시간 이상 2 (0.3) 2 (0.3) 0 (0.0) 0.2 28 (3.5) 36 (4.6) 4.1 17 (2.1) 7 (0.9)
  • 41.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유사 속성에 따라 A,B,C,D유형으로 분류하였다.A유형은 정보추구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정보검색,어학 및 교육,일정 관리를 포함하고 있으며,B유형은 관계 형성 및 유지 를 위해 활용되는 모바일메신저와 SNS가 포함된다.그리고 SNG와 멀티 모바일게임은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즐기는 게임이라는 점에 서 C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싱글 모바일 게임은 D유형으로 분류하 였다 각 항목에 대한 하루 이용 시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A유형 어플 리케이션은 ‘거의 안함’과 ‘30분 이내’가 90%를 차지하여,사용 빈도 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유형의 총 사용빈도는,‘30분 이내’가 31.9%로 가장 많았고,다음 으로 ‘30분-1시간’25.2%,‘거의 안함’19.7%,‘1-2시간’13.5%,‘2-3 시간’5.6%,‘3시간 이상’4.1% 순이었다. B유형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모바일 메신 저는 ‘30분 이내’가 273명(34.5%),‘30분-1시간’이 216명(27.3%),‘거 의 안함’129명(16.3%),‘1-2시간’96명(12.1%),‘2시간 이상’49명 (6.2%),‘3시간 이상’28명(3.5%)순이었다.SNS 또한 ‘30분 이내’가 229명(29.2%)으로 가장 많았으며,그 다음으로는 ‘거의 안함’과 ‘30분 -1시간’이 각각 182명(23.2%)과 181명(23.1%)으로 비슷한 비율을 차 지하였다.그 외 ‘1-2시간’116명(14.8%),‘2시간 이상’39명(5.0%),‘3 시간 이상’36명(4.6%)으로 나타났다. C유형으로 분류된 모바일게임(SNG,멀티게임)은 ‘30분 이내’241 명(30.4%),‘거의 안함’201명(25.4%), ‘30분-1시간’181명(23.1%), ‘1-2시간’93명(11.7%),‘2시간 이상’42명(5.3%),‘3시간 이상’17명 (2.1%)순이었다.이와 달리,D유형 모바일게임(싱글게임)은 ‘거의 안함’이 356명(44.9%)으로 거의 절반 가량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30분 이내’가 246명(31.0%)으로 조사되었다.그 외 ‘30 분-1시간’126명(15.9%),‘1-2시간’47명(5.9%),‘2시간 이상’42명 (1.4%),‘3시간 이상’7명(0.9%)으로 확인되었다. 31
  • 42. 32 2.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의 상관관계를 확 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11에 제시하 였다. 첫째,독립변인인 실행기능 결함의 총점은 종속변인인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53,p<.01).또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인 주의집중(r=.54),전환(r=.43),계획 및 조직화(r=.38),행동 및 정서조절(r=.25)도 스마트폰 중독 총점과 p<.01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독립변인인 ADHD 증상의 총점은 종속변인인 스마트폰 중 독 총점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62,p<.01).하위 요인인 주의산만(r=.61),충동성(r=.46),과잉행동(r=.55)역시 p<.01 수준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43. 표 11. 스마트폰 중독, 실행기능 결함, ADHD 증상의 상관관계 (N=798)  1 2 2-1 2-1a 2-1b 2-2 2-2a 2-2b 3 3-1 3-2 3-3 1.스마트폰 중독 총점 1 2.실행기능 결함 총점 .53** 1 2-1.주의통제 .56** .75** 1 2-1a.주의집중 .54** .73** .93** 1 2-1b.전환 .43** .57** .83** .56** 1 2-2.목표지향 .37** .90** .38** .40** .25** 1 2-2a.계획 및 조직화 .38** .86** .44** .47** .26** .92** 1 2-2b.행동 및정서조절 .25** .70** .21** .21** .16** .84** .56** 1 3.ADHD 총점 .62** .71** .75** .74** .56** .49** .52** .31** 1 3-1.주의산만 .61** .74** .69** .69** .51** .58** .60** .40** .88** 1 3-2.충동성 .46** .50** .56** .57** .39** .33** .35** .20** .85** .61** 1 3-3.과잉행동 .55** .60** .71** .69** .55** .37** .40** .21** .93** .69** .74** 1 33 평균 (SD) 26.35 (7.12) 71.09 (18.22) 24.89 (8.70) 15.48 (5.87) 9.41 (3.91) 46.20 (13.01) 28.20 (8.50) 18.00 (6.19) 84.10 (23.16) 32.40 (9.37) 21.33 (5.92) 30.37 (10.70) **p< .01
  • 44. 3.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b t  F 표 12와 같이 실행기능 결함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그 설명력은 28%였다(b=.21,t=17.53, p<.001).또한 실행기능 결함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의 각 하위 요인 인 일상생활 장애(b=.08,t=15.89),가상세계 지향성(b=.02,t=11.21),금 단(b=.04,t=10.96),내성(b=.07,t=15.62)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1),그 설명력은 13-24%였다. 한편,실행기능 결함의 4개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 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 과는 표 13과 같다. 34 일상생활 장애 실행기능 결함 총점 .08 15.89*** .24 252.39*** 가상세계 지향성 .02 11.21*** .14 125.67*** 금단 .04 10.96*** .13 120.09*** 내성 .07 15.62*** .24 244.18*** 스마트폰 중독 총점 .21 17.53*** .28 307.11*** ***p< .001 표 13.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  F 스마트폰 중독 주의통제 .40 15.56*** .34 201.96*** 목표지향 .10 5.74*** 주의집중 .36 9.37*** .39 101.10 전환 .19 5.32 *** *** 계획 및 조직화 .11 2.93** 행동 및 정서조절 .08 2.41* ***p< .001,**p< .01,*p< .05
  • 45. 표 13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주의통제요인(β=.40,p<.001)및 목표 지향요인(β=.10,p<.001)모두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력 을 미쳤고,그 설명력은 34%이었으며,주의통제요인의 상대적 영향 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또한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 모두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그 설명력은 39% 이었다(F=101.10,p<.001).하위 요인들 중 주의집중(β=.36,p<.001) 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전환(β=.19, p<.001),계획 및 조직화(β=.11,p<.01),행동 및 정서조절(β=.08, p<.05)순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ADHD 증상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영향력 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b t  F 35 일상생활 장애 ADHD 증상 총점 .07 18.73*** .31 350.75*** 가상세계 지향성 .02 14.26*** .20 203.25*** 금단 .05 15.61*** .23 243.65*** 내성 .06 17.54*** .28 307.78*** 스마트폰 중독 총점 .19 22.11*** .38 488.72*** ***p< .001 표 14와 같이 ADHD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그 설명력은 38%이었 다(b=.19,t=22.11,p<.001).또한 ADHD 증상 총점이 스마트폰 중독 의 각 하위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b=.07,t=18.73),가상세계 지향
  • 46. 성(b=.02,t=14.26),금단(b=.05,t=15.61),내성(b=.06,t=17.54)모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그 설명력은 20-31%였다. 한편,ADHD 증상 3개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그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 ADHD 증상 하위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N=798) 종속변인 독립변인 β t   F 36 스마트폰 중독 총점 주의산만 .44 11.39*** .40 178.34*** 충동성 .03 .71 과잉행동 .22 4.90*** ***p< .001 표 15와 같이 ADHD 증상의 하위 요인인 주의집중(β=.44, p<.001)과 과잉행동(β=.22,p<.001)이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40%이었다 (F=178.34,p<.001).그러나 하위 요인 중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 총점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47. Ⅴ. 논 의 37 1.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과 ADHD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798 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 실태 및 사용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스마트폰 하루 총 사용시간은 1시간 미만 이 39.3%로 가장 많았고,1-2시간 미만이 29.9%,2-3시간이 14.2% 를 차지하였다.이는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에서 2012년 수행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에서 초등학생 4-6학년의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 중 1시간 미만이 66.2%로 나타 난 결과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다.특히 학년 별 조사에서 하루에 1시간 미만 사용하는 비율이 4학년은 84.7%,5학년 71%,6학년 40.9%로 나타났으며,1시간 이상 사용하는 비율은 고학년일수록 늘 어났다.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 이 늘어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도 표준화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S 척도)를 활용하여 만 10세-49세 스마트폰 이용자 10,683의 스마 트폰 중독률을 산출하였는데,그 결과 2012년 아동·청소년(만 10세 -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18.4%로,전년(11.4%)대비 7% 증가하 여,성인(9.1%)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이렇듯 최근 들어 아 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그 시작점은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점인 초등학교 5,6학년이 될 수 있다.이러한 결과는 부모나 교사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감독하여 이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와주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에 대해서는 절반에 가까운 인
  • 48. 원인 41.6%가 ‘카카오톡 등 SNS’라고 응답하였고,최다 사용 어플 리케이션도 ‘SNS(소셜네트워크,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인 스타그램 등)’가 32.4%로 가장 많았다.그리고 가장 만족하는 부분 에 대해서는 거의 절반에 가까운 46.1%가 ‘SNS(카카오톡,트위터 등)서비스를 통한 폭넓은 인맥형성’이라고 응답하여 가장 많은 비 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수행한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에서 아동·청소년(10-19세)의 모바일 메신저 사용 비율이 68.5%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하다.또한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에서 수행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2012)에서 초 등학생의 채팅메신저 및 SNS 사용 비율이 37.9%로 다른 유형에 비 해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결과와도 유사하다. 그러나 채팅 메신저 및 SNS 사용률을 학령별로 나누어 좀 더 자 세히 조사한 결과,중학생 46.2%,고등학생 62.6%로(강북 인터넷 중 독 예방 상담센터,2012),학령이 올라갈수록 모바일 메신저 및 SNS 사용비율이 높았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모바일 메신저 및 SNS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사용 비율이 높은 것은 중·고등학생들과 비슷 한 양상을 보이나,전체 어플리케이션 사용 비율에 있어서는 학령 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아동의 실행기능 결 함과 ADHD 증상은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이 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 저하로 충동적이고 인지적 유연성이 저하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전혜연 등,2011)와 관련이 있다.또한,초등학교 4-6학년을 대 상으로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 성향 모두 인터넷,휴대폰 중독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최진오,2011)와도 일관되 게 검증되었다.그리고 높은 수준의 ADHD 증상을 가진 아동들이 심각한 수준의 인터넷 사용률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Yoo etal, 2004)한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38
  • 49.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실행기능 능력이 부족할수록,ADHD 증상 정도가 심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한 결과,실행기능 결함이 클수록 스마트폰 중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또한 실행기능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 요 인인 일상생활 장애,가상세계 지향성,금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성향자들의 전두엽 실행 기능 특징을 확인한 전혜연 등(2011)의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 성향 자들이 비목표 자극에 대한 운동 반응을 제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충동적인 것으로 나타나,전두엽 실행기능의 일부분이 저하되어 있 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와 유사하다.그러나 이를 아동에까지 확장하 여 적용하는 데에는 지지할만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으므로,후 속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한편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 향력에 대해서 확인한 결과,‘목표지향요인’보다 ‘주의통제요인’이 상대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주의통제요인에 해당하는 ‘주의집중’의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 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스마트폰이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휴대 용 기기인 것과 관련이 있다.이러한 기기 특징으로 아동들은 스마 트폰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꺼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 로 집중이 분산될 때마다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을 꺼내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또한 대부분의 아동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 다고 응답한 모바일 메신저나 SNS의 경우 대부분 진동이나 알림음 등을 통해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데,전두엽의 결함이 있는 경우,불편한 외부자극에 대한 반사적인 반응,즉 주의가 분산 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능력인 ‘초점 주의력’에도 결함이 있어(조수 철,2001),알림이 울리는 순간 확인하려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집중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더욱 취약할 수 39
  • 50. 40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아동의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ADHD 증상 정도가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들은 그들이 가진 중추신경계의 흥분 도가 낮기 때문에(Talbott,1994)그것을 높이기 위해 과잉행동 대신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인터넷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Yen etal., 2009)는 것을 확인한 연구를 지지한다.Zentall과 Zentall(1983)의 연구에 따르면 ADHD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더 자극적이며 강한 감각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단일 자극에 오랫동안 주 의를 기울이지 못하기 때문에 동적이며 화려한 자극에 더 많이 주 의를 집중한다.그런데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 러한 특징으로 인해 ADHD 증상을 가진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고,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서 중 독될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ADHD 하위 요인별로 스 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아동의 주의 산만이 충 동성 및 과잉행동 증상에 비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주의력 결핍형에서 인터넷 중독 비율이 가장 높은 것 을 확인한 연구(김정순,2008)와 유사하다.또한,본 연구에서 실행 기능 결함의 하위 요인 중 주의집중 결함이 스마트폰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한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이 보이는 주의 특성을 느린 인지 적 템포라고 명명(Lathey,Schaughency,Frame,& Strauss,1985) 한 것과 관련이 있다.느린 인지적 템포란 느린 정보처리,게을러 보이는 듯한 느린 행동,무기력해 보이는 것,백일몽,낮은 수준의 각성, 비활동성, 그리고 수동성을 말한다(Barkley, Dupaul, & McMurry,1990;Latheyetal,1985;Latheyetal,1987).이로 인해 주의의 이동과 이탈에 어려움이 생기고,결국 정보처리 효율성이 낮
  • 51. 아지게 되는 것이다(이명주,홍창희,2006a).이러한 이유로 주의가 산만한 아동들은 스마트폰 사용이 잦아져 일상생활의 장애를 겪게 되더라도 그 상황을 효율적으로 생각하고 전환하는데 어려움이 있 어,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줄이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사용하여 결국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 ADHD 하위 요인 중 충동성은 스마트폰 중독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확인되었다.이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충동성을 꼽은 국외 연구들(Beard & Wolf,2001;Davis,2001;Realmutoetal,2009;Young,1996)과 상반되는 결과이다.그런데 충동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둘 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 다.이 결과는 충동성이 ADHD 하위 요인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 적인 영향력이 크지는 않으나,단독적으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 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이 있으나 다른 ADHD 하위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에서 스마트폰 사용 결과로 산 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는 문제를 든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스마 트폰을 사용하고 난 뒤 산만하고 에너지가 상승하게 되는 것은 또 다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이러한 과정 이 반복되면서 아동이 스마트폰을 더욱 자주,그리고 오래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그러나 이 경로를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므로 후속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 로 확장하였고,자기보고식 실행기능 결함 척도와 ADHD 증상 척도 를 사용하여 실행기능 결함과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실행기능 결함의 하위요 인 중 ‘주의 집중’결함과 ADHD증상 하위 요인 중 ‘주의 산만’이 스마트폰 중독을 상대적으로 가장 잘 설명한다는 결과는 아동의 스 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주의 집중 능력의 향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1
  • 52. 42 2.제 언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ADHD 증상 변인의 경우,진단을 받은 환아들이 아닌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ADHD 진단을 받은 아동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따라서 연구결과를 임상 범위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ADHD 진단을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스마트폰이 출시되어 이용률이 증가한지 오래되지 않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한지도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 에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개념화 및 진단 기준이 명확하게 확립되 어있지 않다.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이를 논 의하기 위해 대부분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참조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중독은 공통점도 있지만 분명히 차이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추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와 더불 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본 연구에서는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을 세분화하여 하위영역별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실행기능 이 ‘내적인 자기조절감으로 작동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중독과 관 련이 깊을 수 있으며,ADHD 또한 증상의 특성으로 인해 중독에 취 약할 수 있다.따라서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매개효과나 조절 효과 검증 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치료 및 예방에 도 움이 될 수 있는 중재 변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53. 참 고 문 헌 강북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 (2013,2월).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실태 및 중독 현황 조사 -강북․성북 지역 중심으로-.서울:김 은영.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5.12).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장애 10 명중 8명 '男'(보도자료).서울: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 hira.or.kr. 경기도교육청 (2012.10.24).스마트폰 ‘하루 5시간 이상’10% <2012학생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 결과 고위험군 2.2%...인터넷 위험사 용자군의 2배.http://www.goe.go.kr/main.ado?menugrp=050300&ma ster=bbs&act=view&master_sid=163&sid=29234&SearchColumn=title &SearchValue=스마트폰&Page=1&SearchCategory=도교육청. 공영숙,임지영 (2011).국내 실행기능 연구의 동향 분석.아동교육, 43 20(1),61-75. 권수경,장은영 (2010).정신과 방문아동의 인터넷 사용문제:동시이 환 장애 및 영향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 상, 29(4),1067-1086. 금창민 (2013).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proneness)’ 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 문. 김동현,이경은,이유진,차서현,임성환,원창연,권혁민,한미아 (2013).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와의 관련성.한국모자보건학회지, 17(1),105-112. 김선숙 (2004).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 실태 분석. 초등교육학회지,11(1),19-37. 김신희,안창일 (2005).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 식.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415-430. 김용익,이동훈,박원모 (2010).고등학생의 ADHD 증상과 인터넷 과다사용 및 우울과의 관계.상담학연구, 11(1),245-264. 김정순 (2008).청소년 ADHD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
  • 54. 향의 매개효과.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종운 (2002).ADHD 아동용 척도 개발.부산교육학회지,15(1), 44 25-38. 김형지,김정환,정세훈 (2012).스마트폰 중독과 멀티태스킹에 관한 연구.한국언론학회, 5(1),117-118. 김혜리 (2005).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와의 관계.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홍근 (2001).전두엽 증후군의 임상 평가: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재활심리연구, 8(2),173-190. 노미정,김진화,이재범 (2010).스마트폰과 서비스 컨버전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4),59-77. 도례미,조수철,김붕년,김재원,신민섭 (2010).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한국심리치료학회지, 2(2),1-12. 류진아 (2003).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 인.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맹미희 (2003).스트레스,자기통제력,충동성,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상관 연구.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용민 (2011).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상 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재성 (2004).청소년의 인터넷 중독현상과 자기통제기대의 구조적 경로모형에 관한 연구.보건교육 보건증진학회지, 21(3),1-17. 박주리,송현주(2012).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1(1), 1-23. 신민섭,김현미 (2006).발달 신경심리학.소아청소년정신의학, 16(1), 33-46. 위지희,채규만 (2004).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성향과 심리, 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97-416. 윤혜연 (2008).NEO 아동성격검사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인 터넷 중독 성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 55. 45 위 청구논문. 이국용 (2012).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한국경영교육학회, 27(5),183-208. 이명수,오은영,조선미,홍만제,문재석 (2001).청소년 인터넷 중독 증과 우울,사회적 불안,또래관계 문제와의 연관성 조사.신경 정신의학, 40(4),616-626. 이명주,홍창희 (2006a).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른 행동 특성과 주의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969-986. 이명주,홍창희 (2006b).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 유형별 인지적 템포와 부주의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1), 459-476. 이명희 (2006).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충동성,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불안, 우울 등.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민석 (2011).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연세대학 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신수경 (2002).중ㆍ고교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불안,우울,자기 효능감의 연관성.신경정신의 학, 40(6),1174-1184. 이형초 (2002).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효 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혜경 (2008).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한 국심리학회지: 사회, 22(1),133-157. 전혜연,현명호,전영민 (2011).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 기능의 특징.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215-22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스마트 기기 이용행태 실증분석. 정은다 (2013).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충동성 및 사회성 과의 관계.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민자 (2010).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조절 변인 탐색.청소 년시설환경, 8(3),29-42. 조수진 (2012).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과 자존감,충동성,사회성
  • 56. 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수철 (2001).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서울대학교 출판부. 조현옥 (201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충 동성 및 지각된 스트레스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진선애 (2006).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충동성 및 대인관계.경희대 46 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진오(2011).초등학생의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특수아 동교육연구, 13(3),207-226. 통계청,여성가족부 (2013).2013청소년 통계.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2011b).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2013).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황광민 (2005).중학생의 휴대폰 사용, 불안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동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황하성,손승혜,최윤정 (2011).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5(2), 277-3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rev de(text revision).Washington,DC:AmericanPsychiatricAssociation Inc.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Mikiewicz,O.(2002).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measures of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with braindisease.ChildNeuropsychology,8(4),231-240. Barkley, R. A., Dupaul, G, J., & McMurry, M. B. (1990). Compregensive evaluation ofattention deficitdisorderwith and withouthyperactivity as defined by research criteria. JournalofConsulting andClinicalPsychology,58,775-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