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정말 어려운 이야기
          여성운동의 새로운 운동방식(뉴미디어 전략) 모색

                           2010.01.07. 장상미
                             amy 또는 신비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amy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
0/kr/
인터넷은 또 하나의 세계

      "한편, 만3세 이상 국민의 인터넷이용률은 77.2%, 이용자수는 3,658만명으로, 전년대비
      각각 0.7%p와 39만명이 증가하였다(표본오차 : ±0.12%p, 95% 신뢰수준). 남성의
      인터넷이용률은 82.4%, 여성은 71.9%이며,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층(10대 99.9%,
      20대 99.7%, 30대 98.8%)의 대부분이 인터넷 이용자이고, 3-9세 및 40대의 이용률도 각각
      85.4%, 84.3%로 나타났다. 특히, 50대(52.3%)의 경우 인터넷이용률이 2008년 대비 3.4%p
      증가하며 처음으로 50%대를 넘어섰다.

      주요 인터넷 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이메일 이용률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쇼핑(62.3%), 블로그 (이용률 59.7%, 운영률 44.6%), 메신저(51.0%),
      인터넷뱅킹(41.2%) 등의 순이었다. " (인터넷통계정보시스템, 2009)



"<포춘>지에 백만장자가 표지 모델로 나왔는데, ‘세컨드 라이프’
아바타였다. 그 사람이 ‘세컨드 라이프’에서 상담을 하고 번 돈이
1백만달러가 넘었다. 주식시장이 생기는 거랑 뭐가 다른가. 주식가치도
사람들의 공유된 믿음이다. 주식 그 자체가 가치다. ‘세컨드 라이프’는
미국에선 기존 오프라인 기업들이 대수롭지 않게 참여한다. NASA는
체험관을 짓고, 스웨덴은 외교부를 짓고, IBM은 빌딩도 있다. 누구는
티셔츠를 만들어 팔고, 어떤 사람은 집을 지어 판다. 비즈니스도 이뤄지고,
회사 빌딩에서 컨퍼런스도 연다. 세계 각국에서 동시에 모이니 시·공간
제약도 없다. " (장근영)
새로움?

"새로움의 탄생은 바로 변화의 결과이다. 역으로 변화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것들이 등장한다고 할 수도 있다. 변화와 새로움은 이렇게 서로 의미의
호환성을 지닐 만큼 밀접하다." (김용석)



새로움을 위한 준비
  새로움은 변화와 뗄 수 없는 것
  변화는 고통을 수반

찻잔 속의 태풍 vs 나비효과
  일상의 변화, 매뉴얼화된 업무방식의 변화를 요구
     정보의 생산, 유통, 공유 방식과 익숙한 매뉴얼을 바꿀 수 있는지?
  한 사람의 열 걸음이 열 사람의 한 걸음을 가능케 함
     힘과 무게를 실어줄 수 있는지? 함께 걸을 준비는 되었는지?
뉴미디어?

미디어는 매개자
 기존 미디어: 대중매체. 1대多 소통. 선형적(시간의 흐름), Broadcasting
 뉴미디어: 웹/모바일 커뮤니케이션매체. 多대多 소통. 비선형적,
 Narrowcasting

어떻게?
 도구를 바꾸는 행위로서가 아닌 새로운 공간과 대상으로서 접근할 것
 오프라인을 옮겨놓는 공간이 아님 => 또 하나의 지역, 또 하나의 운동의 장
 무엇을 누구에게 => 어디에서 어떻게
 예측할 수 없고 측정하기 어렵지만 흐름은 존재
   흐름을 읽고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능력 => "리터러시"를 키워야.
 결국은 사람. 데이터를 통해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과정을 그려볼 것
쓰는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소셜 미디어는 숙의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을까. 지난 2008년 박노일 교수가 쓴
‘블로그 쓰기와 사회정치 참여에 관한 연구’
논문을 보자. 블로그를 읽는 사례와 직접
쓰는 사례로 나눠 연구한 결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블로그 글을 읽는 행위가 사람들에게
정치 효능감, 즉 정치의 필요성과 기능을
인정하게는 하지만 실제 오프라인 참여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한다. 이와 달리
블로그를 열심히 쓰는 사람은 정치 효능감을
인정할 뿐 아니라 실제 정치 참여로 이어지고
있다고 논문은 보고하고 있다. 요컨대
사람들이 블로그를 많이 쓰게 하는 것이 정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사례다."
(이성규)
                            by 이성규



                       블로그를 쓰면 엄청난 기세로 성장하게 된다. 이는 최근
                       1년반동안 내가 직접 실감함 것이다. 블로그를 통해 내가
                       배운 최대의 교훈은 '자신이 직접 돈으로 바꾸어낼 수
                       없는 정보와 아이디어는 감춰두기보다는 무료로
                       방출할 경우(무형의)커다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는
                       것이다. (우에다 모치오, 2006)
스스로 제안하고, 스스로 모인다




by cck
         만남과 재미를 원하는 사람들 + 나눌 이야기가 있는
         사람들
         =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대화와 소통의 장 형성
새로움과 불확실함에 가치를 두라


             WIDGET
             Open Source
             Mash-Up
     블로그     Cloud Computing
     토렌트
      넷북
     아이폰
     트위터
             SNS
     유튜브     WIKI
       ...
             CCL
지금 여기서 공유하라

협업과 집단지성
= 거창해 보이지만 실은 여성의 일상적 소통방식과 매우 닮아있는 이야기
= 불필요한 체계와 중복작업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자




                  작업과 대화가 공존
           각자의 작은 기여로 전체를 만듬
          규칙은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
        완벽한 설계도보다 과정과 조율이 중요
참신하거나, 꾸준하거나

온라인에서 인기를 얻는(!) 딱 두 가지 방법 (장근영)
  참신하거나, 꾸준하거나.
  그 중에서는 꾸준한 것이 최고.


그 밖의 자잘한 tip..
  정보? 언젠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해야
  블로그? 기획도 중요하지만, 진솔함과 성실성이 필수
  댓글? 일방적 예의, 일방적 상식이 아닌 대화를 통한 합의가 중요
  홈페이지? 핵심기능과 친절한(!) 소개, 그 밖에는 검색이 제일 중요함
  트위터? 지금 누군가 궁금해할 만한 일상과 세상의 한 단면을 읽어주기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의 다름을 인정할 것
    블로거와 네티즌이 특별한 종족은 아님.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
    그러나 정체성과 소통방식이 달라지며, 과정과 결과의 파장 또한 달라짐
    양면을 동일시할 것이 아니라 적절히 혼용하는 센스 필요
한번은 읽어봐줬으면 하는 책들
이상,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은"
   짧은 이야기였습니다.

    @sinbi, 2010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sinbi 장상미
 
America
AmericaAmerica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sinbi 장상미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sinbi 장상미
 
Habitat 2010
Habitat 2010Habitat 2010
Habitat 2010
Marines Betancourt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sinbi 장상미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sinbi 장상미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sinbi 장상미
 
Calendar 2009 pp07
Calendar 2009 pp07Calendar 2009 pp07
Calendar 2009 pp07
Marines Betancourt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Marines Betancourt
 
Time
TimeTim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Marines Betancourt
 
Inside the earth
Inside the earthInside the earth
Inside the earth
Marines Betancourt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sinbi 장상미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sinbi 장상미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sinbi 장상미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sinbi 장상미
 

Viewers also liked (1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America
AmericaAmerica
America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익숙하지만낯선이름,블로거(200811 성미산마을강의안)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녹색연합20100222
 
소셜테크랩
소셜테크랩소셜테크랩
소셜테크랩
 
Habitat 2010
Habitat 2010Habitat 2010
Habitat 2010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소셜미디어와사회운동 이화리더십200910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소셜네트워크가가꾸는숲 생명의숲20100426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소통과만남온라인의가능성(20080103 녹색연합)
 
Calendar 2009 pp07
Calendar 2009 pp07Calendar 2009 pp07
Calendar 2009 pp07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Time
TimeTime
Tim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Grammar nouns plural and possessive
 
소셜테크랩
소셜테크랩소셜테크랩
소셜테크랩
 
Inside the earth
Inside the earthInside the earth
Inside the earth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비영리 활동가에게 유용한 웹서비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호기심은 공포를 이긴다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2011년의세계와소셜미디어(원고) 이대모자환경보건팀(20110926)
 

Similar to 정말어려운이야기 여성운동과뉴미디어(20100107 여성연합)

소셜 웹 혁명
소셜 웹 혁명소셜 웹 혁명
소셜 웹 혁명
Jae Yeon Kim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SIMIN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Hugh Choi 최형욱
 
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
Sue Hyun Jung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tdreamtree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karisina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karisina
 
개인의 소셜미디어
개인의 소셜미디어개인의 소셜미디어
개인의 소셜미디어
성민 황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kang Anthony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지훈 정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actioncan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주)위브스튜디오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지훈 정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unghyun Shin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daumfoundation
 
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네이티브
DaeSeung Choi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Youngmi Kang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choi wi hwan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The Change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Peter OH
 

Similar to 정말어려운이야기 여성운동과뉴미디어(20100107 여성연합) (20)

소셜 웹 혁명
소셜 웹 혁명소셜 웹 혁명
소셜 웹 혁명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청소년진로와 소셜미디어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200903 웹인간론 요약본
 
개인의 소셜미디어
개인의 소셜미디어개인의 소셜미디어
개인의 소셜미디어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소셜미디어와 Hrd (for di sc 컨퍼런스 2012)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20041005 인터넷에서살아남기ver2(조양호)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소셜미디어&소셜네트워크를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제7회 인터넷리더십] 매뉴얼
 
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네이티브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비영리 소셜 네트워크로 진화하라~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변화를 위한 새로운 도전 (thinkcafe.org)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190612 blockchain bookclub_who can you trust
 

정말어려운이야기 여성운동과뉴미디어(20100107 여성연합)

  • 1. 정말 어려운 이야기 여성운동의 새로운 운동방식(뉴미디어 전략) 모색 2010.01.07. 장상미 amy 또는 신비 amy@action.or.kr http://episode.or.kr/amy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 0/kr/
  • 2. 인터넷은 또 하나의 세계 "한편, 만3세 이상 국민의 인터넷이용률은 77.2%, 이용자수는 3,658만명으로, 전년대비 각각 0.7%p와 39만명이 증가하였다(표본오차 : ±0.12%p, 95% 신뢰수준). 남성의 인터넷이용률은 82.4%, 여성은 71.9%이며,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층(10대 99.9%, 20대 99.7%, 30대 98.8%)의 대부분이 인터넷 이용자이고, 3-9세 및 40대의 이용률도 각각 85.4%, 84.3%로 나타났다. 특히, 50대(52.3%)의 경우 인터넷이용률이 2008년 대비 3.4%p 증가하며 처음으로 50%대를 넘어섰다. 주요 인터넷 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이메일 이용률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인터넷쇼핑(62.3%), 블로그 (이용률 59.7%, 운영률 44.6%), 메신저(51.0%), 인터넷뱅킹(41.2%) 등의 순이었다. " (인터넷통계정보시스템, 2009) "<포춘>지에 백만장자가 표지 모델로 나왔는데, ‘세컨드 라이프’ 아바타였다. 그 사람이 ‘세컨드 라이프’에서 상담을 하고 번 돈이 1백만달러가 넘었다. 주식시장이 생기는 거랑 뭐가 다른가. 주식가치도 사람들의 공유된 믿음이다. 주식 그 자체가 가치다. ‘세컨드 라이프’는 미국에선 기존 오프라인 기업들이 대수롭지 않게 참여한다. NASA는 체험관을 짓고, 스웨덴은 외교부를 짓고, IBM은 빌딩도 있다. 누구는 티셔츠를 만들어 팔고, 어떤 사람은 집을 지어 판다. 비즈니스도 이뤄지고, 회사 빌딩에서 컨퍼런스도 연다. 세계 각국에서 동시에 모이니 시·공간 제약도 없다. " (장근영)
  • 3. 새로움? "새로움의 탄생은 바로 변화의 결과이다. 역으로 변화의 결과에 따라 새로운 것들이 등장한다고 할 수도 있다. 변화와 새로움은 이렇게 서로 의미의 호환성을 지닐 만큼 밀접하다." (김용석) 새로움을 위한 준비 새로움은 변화와 뗄 수 없는 것 변화는 고통을 수반 찻잔 속의 태풍 vs 나비효과 일상의 변화, 매뉴얼화된 업무방식의 변화를 요구 정보의 생산, 유통, 공유 방식과 익숙한 매뉴얼을 바꿀 수 있는지? 한 사람의 열 걸음이 열 사람의 한 걸음을 가능케 함 힘과 무게를 실어줄 수 있는지? 함께 걸을 준비는 되었는지?
  • 4. 뉴미디어? 미디어는 매개자 기존 미디어: 대중매체. 1대多 소통. 선형적(시간의 흐름), Broadcasting 뉴미디어: 웹/모바일 커뮤니케이션매체. 多대多 소통. 비선형적, Narrowcasting 어떻게? 도구를 바꾸는 행위로서가 아닌 새로운 공간과 대상으로서 접근할 것 오프라인을 옮겨놓는 공간이 아님 => 또 하나의 지역, 또 하나의 운동의 장 무엇을 누구에게 => 어디에서 어떻게 예측할 수 없고 측정하기 어렵지만 흐름은 존재 흐름을 읽고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능력 => "리터러시"를 키워야. 결국은 사람. 데이터를 통해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과정을 그려볼 것
  • 5. 쓰는 사람이 세상을 바꾼다 "소셜 미디어는 숙의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을까. 지난 2008년 박노일 교수가 쓴 ‘블로그 쓰기와 사회정치 참여에 관한 연구’ 논문을 보자. 블로그를 읽는 사례와 직접 쓰는 사례로 나눠 연구한 결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블로그 글을 읽는 행위가 사람들에게 정치 효능감, 즉 정치의 필요성과 기능을 인정하게는 하지만 실제 오프라인 참여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한다. 이와 달리 블로그를 열심히 쓰는 사람은 정치 효능감을 인정할 뿐 아니라 실제 정치 참여로 이어지고 있다고 논문은 보고하고 있다. 요컨대 사람들이 블로그를 많이 쓰게 하는 것이 정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사례다." (이성규) by 이성규 블로그를 쓰면 엄청난 기세로 성장하게 된다. 이는 최근 1년반동안 내가 직접 실감함 것이다. 블로그를 통해 내가 배운 최대의 교훈은 '자신이 직접 돈으로 바꾸어낼 수 없는 정보와 아이디어는 감춰두기보다는 무료로 방출할 경우(무형의)커다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는 것이다. (우에다 모치오, 2006)
  • 6. 스스로 제안하고, 스스로 모인다 by cck 만남과 재미를 원하는 사람들 + 나눌 이야기가 있는 사람들 =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대화와 소통의 장 형성
  • 7. 새로움과 불확실함에 가치를 두라 WIDGET Open Source Mash-Up 블로그 Cloud Computing 토렌트 넷북 아이폰 트위터 SNS 유튜브 WIKI ... CCL
  • 8. 지금 여기서 공유하라 협업과 집단지성 = 거창해 보이지만 실은 여성의 일상적 소통방식과 매우 닮아있는 이야기 = 불필요한 체계와 중복작업을 피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자 작업과 대화가 공존 각자의 작은 기여로 전체를 만듬 규칙은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 완벽한 설계도보다 과정과 조율이 중요
  • 9. 참신하거나, 꾸준하거나 온라인에서 인기를 얻는(!) 딱 두 가지 방법 (장근영) 참신하거나, 꾸준하거나. 그 중에서는 꾸준한 것이 최고. 그 밖의 자잘한 tip.. 정보? 언젠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해야 블로그? 기획도 중요하지만, 진솔함과 성실성이 필수 댓글? 일방적 예의, 일방적 상식이 아닌 대화를 통한 합의가 중요 홈페이지? 핵심기능과 친절한(!) 소개, 그 밖에는 검색이 제일 중요함 트위터? 지금 누군가 궁금해할 만한 일상과 세상의 한 단면을 읽어주기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의 다름을 인정할 것 블로거와 네티즌이 특별한 종족은 아님.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람들 그러나 정체성과 소통방식이 달라지며, 과정과 결과의 파장 또한 달라짐 양면을 동일시할 것이 아니라 적절히 혼용하는 센스 필요
  • 11. 이상,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은" 짧은 이야기였습니다. @sinbi,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