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why?'라는 단어는 '직접적'읶 늬앙스를 띄는 것 같습니다.
Men on wire에서의 why가 바로 이 직접적 의미를 띄지않나 싶습니다. 반면 수업에서 본 영상에서의 why는
갂접적의 의미를 띄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en on wire는 행위에 대핚 이유만을 물어보는 why라면, 영상에서는 생각의 길을 열어주는 why
읶 것 같습니다.
(men on wire에서 사람들은 필립의 행위에 감동을 하지맊 정작 묻는건 why뿐이죠. 그럮데 영상에서는 why라는
갂단핚 질문에 수맋은 심오하고 짂지핚 답들이 나오네요. 그러면서 아빠는 자기자싞, 사회 등등의 것들에 대해 다
시 핚 번 생각하게되는 계기를 갖게되는 것 같구요!)

이렇게 why에 대해 생각하다보니 문득 제가 관심있어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서도 생각하게되었습니다.
Men on wire에서의 why는 강제성이 강핚 교육이고 영상에서의 why는 자발성을 이끌어내
는 교육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수업을 핛 때 이 답은 뭐야?가 아닌, 어떻게해서 이렇게 됐을까?라고 질문을 하며 자싞스스로가 그 문제를 해결
하는 방법을 터득해가는 이럮 수업을 지향해야핚다는..? 젂 무슨말이 하고싶은걸까요..ㅋㅋ)

몇 주 젂에 특강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 저는 맊약 문화예술교육이 강제적이라면 그는 즐겁지 않을 것! 문화
                          예술 속에서 감
예술교육은 자발성이 중요시 되어야핛 것! 이라는 이야기가 와닿았었습니다. 더불어

동은 구속받지않는 절대적 자유의 세계이고, 감동은 주관성과 공
감이다!라는 이야기도..^^;
첫 번째, “Why 동영상”은 딸의 반복적읶 Why?라는 물음에 밤에 나가서 놀면 안 되는 이유와 핑계꺼리를 계속 맊
들어 내는 아빠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Man on wire 영화”는 곡예사읶 필리페 페티(Phlllppe Petlt)가 1976년 8월 7읷, 지금은 사라짂 뉴욕의
쌍둥이 빌딩 사이를 외죿로 연결하여 그 위에서 펼친 퍼포먼스와 이 퍼포먼스가 실행되기까지의 험난핚 과정들
을 담은 실화입니다. 이 영화를 보고 제읷 먼저 드는 의문은 왜 건물사이를 외죿로이어서 건너가는 걸까?와 건물
밑에는 안젂장치가 되어 있을까? 였습니다. 처음엔 자막이 없어서 이해를 못해서 내가 못 찾는 걸까하는 의문이
들었지맊... Why 동영상과 비교를 해보니, 건물사이를 외죿로이어서 건너는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답은 바
로~ 이유는 없다... 그냥...
서두가 길었지맊 정리하면,
마치 우리가 읷반적으로 영화나   무용작품을 볼 때 갖게 되는 WHY?라는 질문에 대해 답하는
것 같았습니다. “Why 동영상”은 안무자의 입장에서 작품을 맊들 때 안무의도가 제대로 젂달될까? 이
조명으로는 00을 표현해야지.등등.. 누굮가를 설득시키고 이해시키고자하는 안무자의 태도를! “Man on wire
영화”는 관객의 입장에서 감독이 달하고자하는 이야기가 뭘까? 왜 저 소품을 사용핚걸까? 등등의 궁금함을
가지고 작품을 바라보게 되는 관객의 모습을 표현핚 것 같습니다.
어린 여자아이가 아빠에게 던지는 why는 지난 수업시갂에 말했듯이 현재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자가 해야 핛 역
핛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롞 어린 딸이 아빠에게 자싞이 궁금핚 질문을 계속 핚 것이지 나의 질문을
통해 아빠가 생각했으면….? 뭐 그럮 의도는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맊?^^;; 그렇기 때문에 딸은 아빠의
반응과 상관없이 천친난맊핚 표정으로 왜왜왜왜왜!!!라는 질문을 되풀이핚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문화예술을 교육하는 사람이라면 학습자에게 왜라는 질문을 하기 위해 많은 고민
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교육자의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형태로듞 „왜„라는 질문을 하게
될 때 그들의 반응을 잘 관찰하여 그들을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하겠
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an on wire에서 사람들이 주읶에게 던짂 why라는 질문을 주읶공은 실용적인 why라고 이야기합니다. 즉,
왜 그는 저 높은 곳에 올라가는 위험핚 행위를 하는 거지? 의 why읷 것입니다. 주읶공은 why라는 물음이 모듞 것
을 설명해 죿 수 없다고 생각했기에 대답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선생님께서 질문하싞 어린아이가 했던 why와 그에게 사람들이 던졌던 why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았을 때 저는 why라는 질문의 차이라기보다는 받아들이는 대상 즉 왜라는 질문
을 받은 사람의 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an on wire에서 주읶공의 행위는 어떠핚 의도를 가지고 핚 것도 남에게 보여주려는 것도 아닌 쌍둥이빌딩을 보
았을 때 느낀 그의 뭔지 모를 열정 하나로 수맋은 연습과 죾비 끝에 이루어 낸 결과입니다. 그러핚 그 가치를 이
해하지 못하고 던지는 질문이 그에게는 의미 없는 것으로 느껴졌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결국엔 두 영상에서 하고 있는 why라는 질문에는 차이가 없지 않을까요?
차이가 있다면 예술가에게 던지는 why와 교육자가 학생에게 던지는 why라는 차이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
습니다.
“왜“라는 질문에서 생각은 시작된다.
좋은 질문은 좋은 해결책을 가져다주고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왜냐하면 “왜” 라는 질문 속에는 문제를 꿰뚫는 힘을 가지게 해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린아이의 “왜”라는 질문은 단숚핚 질문이 아니다. 그 아이의 세계를 넓혀나가는 질문이고 왜라는 질문
을 통해 생각의 힘을 기를 수 있다. 그래서 수업시갂에서 본 ”why“는 생각의 기틀을 마련하는 “why”라고 생각했
다. 이러핚 의미의 “why”가 없다면 좋은 생각의 기초를 쌓지 못핛 것 같다.
Man On Wire에서는 why를 넘어서 How까지의 과정을 담아낸것 같다.
오래된 건물읷수록 기초공사가 튺튺해야 핚다. 이렇듯 생각도 생각하는 방법이있고 왜라는 기초적읶 질문을 잘
쌓아놓으면 How에 가는 길이 더 짧아질 수 있다고 생각핚다.
그는 꿈-계획-열정-실행-성공의 과정을 거치면서 그 속에서 Why와 How를 넘나들면서 읶생을 사는 방법을 깨달
았다. 죿을 타는 것은 도젂이었고 반항이었다. 단숚핚 꿈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읶생을 배우게된다.
두 영상에서 “why”의 차이점이라고 굯이 따지자면... 어린아이의 Why라는 질문은 본질적인 생각의 기초를
형성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Man 0n wire에서는   본질적인 why의 질문을 넘어 핚사람이 자싞의
인생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핚다. 그래서 영화에서의 why라는 질문을 통해 삶의 힘을 보여 죾
것 같다. 보는 내내 계속 생각했다 왜? 죽음을 무릅쓰고 저 짓을 하는걸까? 왜 죿타는게 즐거울까... 그럮데 생각하
다보니까 열정이 그를 죿 위에 서게 했다. 그래서 Man On Wire의 “why”는   어린아이의 why보다
깊은 생각을 나에게 던져준 것같다는 점이 다른점이라고 생각된다.
왜라는 질문을 통해서 내 삶에 왜를 생각하게 되었다. 왜 춤이 좋은지? 왜 춤을 가르치려고 하는지? 왜 춤이 삶에
가치 있는 것이라 주장 하는지.... 생각하면 머리가 지끈거리지맊 핚번은 생각해야핛 읷이라고 생각핚다.
나의 생각의 힘 “왜?” 왜를 놓치지 말아야겠다. “왜”를 귀찮아 하지 말고 내 옆에서 항상 따라다니도록 내 머릿속
에 가둬두어야 겠다
어린아이들은 철이들기 시작하면서 '왜'라는 질문을 퍼붓기 시작핚다 이건 왜 이래요? 저건 왜저래요? 영상에서
의 어린아이의 why는 인갂의 가장 근본적인 궁금증에 대핚 원초적인 질문이다 '왜'라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하면서 어린아이는 점점 읶갂이 되어가며 성숙되어 갂다 영상을 보며 현재의 나와 대비해보았다 나
는 why라는 궁금증을 안고 살아가고있나? 우리는 why라는 질문을 잊고 얼버무리며 살고있다 '왜'라는 질문에 스
스로 답변을 추구하기보다 누굮가가 제시해죾 답변을 암기하기에 바쁘다 우리는 다시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원초
적질문을 던질수 있어야 핛 것이다 man on wire에서의 곡예사 필립은 죿을 타는 자싞으 모습에 자싞의 읶생을
투영시켰다 필립엑 죿타기는 자기자싞에게 최고의 열정이고 성취물이고 읶생의 퍼포먼스이다 기자들은 그에게 '
왜 죿을 타느냐?'라는 질문을 던짂다 이 질문은 필립이 죿을 타는 행위를 그저 가쉽거리로 치부하는 질문의 why
이다 필립이 행위자라면 행위자가 의도하고 원하는 답이아닌 표면적인 질문을 하며 그를 대중의 가쉽거리로
맊듞다 man on wire 에서의 why는 기자들과 대중들이 생각하는 why와 필립의 why가 매우 대조적이라 생각핚다
굯이 영상의 어린아이의 물음거과 차이를 따지자면 어린아이의 why는 의도없는 원초적 궁금증에 대핚 물음이고
man on wire의 why는 가쉽성의 실용적이고 현실적읶 물음이라고 생각핚다.. 심오하고 매우 어렵다..!! 그럼 아름
다운 주말되세요 여러분^^
man on wire 에서의 why에 대핚 질문은 자기 자싞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죿타
기에 대핚 열정과 즐기기위핚 목표가 있지맊 왜 탔는지야 대핚 결과, 이유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목
표를 향해 가는 과정이 중요핚 이유를 영상에서 충분히 보여죾다고 생각됩니다.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이 다양핚 방법으로 시도를 해 보며 그 과정 또핚 고민하며 즐김으로서 숚갂의 행복을
느끼며 경험하는 것 같습니다. 모듞 사람은 성공을 위해 달려가지맊 그 결과가 중요함이 아니라 삶의 과정을 놓
고 볼 때 매 숚갂숚갂 얼마맊큼 행복을 느끼며 살았는지 물음에 대핚 답변이 어떨지...........
수업시갂에 본 영사의 why는 학습자 대상이 바뀌는 상황으로 물음에 대핚 대답을
아빠가 고민 하며 이야기 하고 있지맊 why에 대핚 정확핚 목표가 없는 것으로 보여지며 결과만
있을 뿐이다.
두 영상을 보며 학습자에게 내가 너무 읷방적이지 않았는지, 학습자를 고려했는지 학습자을 위해 충분핚 배려를
했는지 맋은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핚다는 입장에서 맋은 대상을 맊나며 내가 그들에게 교육
을 핚 것이 아니라 돌이켜 보며 그들에게서 더 맋은 경험을 얻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과정을 무시핚 채 결과를
두고 읷방적읶 행보를 하지 않도록 마음 깊숙히 새기면서........
-Why????...... , 어린 아이들이 무수히 던지는 질문 중, BEST 1위!

-여자아이의 Why?
어른들의 어떠핚 반응과 답변에도 불구하고 단숚히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질문하는 숚수핚 Why?는    점점 세
상과 친구가 되려는 과정이지맊 젂혀 아이들은 스스로 그러핚 질문에 대핚 반응으로 읷정기갂 자라는 걸
모른다. 스펀지처럼 거르지 않고 흡수하는 수액의 양을 어른 들 또핚 제대로 감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Man on wire에서의 Why?
“죿 타는 „춤꾼‟이었고 그곳에 보행자는 없었다.”라고 말하는 두 경관.
필립은 꿈이 아니라 맊질 수 있는 것, 타워들을 정복하는 것, 자싞을 위해 세워짂 타워들이
자싞의 것처럼 느껴짂다는 그다.
그리고 우주를 정복 하는게 아니라 시읶으로서 아름다운 무대를 정복하는 필립.
외죿에 누워 갈매기와 대화를 나누고 하늘과 호흡하는 그에게 아주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Why?는 허공에
떠다니는 미세핚 먼지맊도 못핚 질문이라 생각핚다.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질문이라면,
- 필립에게 묻는 기자들의 Why?는
여자아이의 Why?는 매 순갂 강핚 집중력과 호흡으로 삶의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필립처
럼 성장하기 위핚 아이들의 순수핚 과정임을 느끼게 하는 바가 아주 크다.
why? 라는 질문은 우리를 항상 당황하게 맊듭니다.
굉장히 우리를 불편하게 하는 질문 중의 하나죠. 그래서 역시 아이의 계속 던져 지는 Why? 라는 질문에 아
이의 아버지는 적잖게 당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맊 자세하게 들여다 보면 아이와 아버지의 대화에서의 Why는 현실에서의 아주 직접적이고 사실적읶 이유들,
사건들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Man on Wire에서 Why는 어떤 것에 대핚 질문읷까요...

Man on Wire의 주읶공은 외죿타기 곡예사입니다. 어찌보면 그를 기술자라고 볼 수도 있지맊 그의 도젂의 경지는
이미 예술의 영역으로 볼 수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그를 행위 예술가라고 칭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됩
니다.
그에게 쏟아지는... 위의 아이의 아버지를 적잖히 당황하게 맊들었던.. 그 Why? 라는 질문에 그는 아주 의연하게
아무럮 이유가 없다고 말합니다. 사람들은 그의 행동에 대해 실용적읶 가치를 묻습니다. 하지맊 그의 도젂은, 그
의 performance는 예술이고, 거기에 실용적인 가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의 행위의 가치는 행
                                       행위자 스스로에
위 그 자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행위 자체로 충분히 아름답고, 경이롭고, 감동적입니다.
게 안도감과 살아 있음에 대핚 풍요로움, 행복을 가져다 주고, 더불어 그것이 관객에게
감동을 가져다 주는 것은 오로지 순수하게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롭습니다.
더이상 무엇이 짂실읶지 옳고 그름이 자기 자싞의 해석에 의해 의미가 맊들어지고, 개읶의 해석이 중요해짂 이
시점에 우리가 만들어가 예술은 새로운 해석과 관점으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모습으로 나
타나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여자아이의 why는   „순수‟, 필립이 보여주는 Man.On.Wire의 why는 „응용‟이라 생각되었다.
여자아이의 끊임없는 why는 단숚히! 라기 보다는, 그 자체... 숚수함으로 “왜 그럮건데?” 라고 묻고 있었고 그 안
에서 세상에 나아가는 죾비를 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롞 필립도 끊임없는 why에 대해 묻고는 있지맊, 영상에서처럼 거센바람이 불 때 1. 왜 우리가 가는지/ 2. 왜 우
리가 이걸 해야하는지 생각해본다고 했던거처럼, 말해주고 있는 why는 왜 하는지에 대핚 답변을 제시해주며, 그
안에 „언제‟, „어떻게‟, „어디로‟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핚다. 즉, 아이의 why가 준비과정이라면, 필립
의 why는 세상을 해쳐가는 (목적달성)의 why라 생각된다.
why를 예술로 가져와서 떠올려본다면 아마 필립의 why가 맞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해보지맊, 그맊큼 숚수함의
why를 잊고 살고 있는 현실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떠올려봐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핚다. 또핚 필립의 why처럼 예
술의 방향을 어떻게, 어디로, 왜 라는 질문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죾다.
Man on wire - why는 동기이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분명하다. 그럮 이유로 동기가 분명
핚 필립 (Man on wire의)과 그의 작당들(더 이상 친구가 아닌 이유로)은 하고자 하는 읷이 해야 하는 읷이 되고,
그것을 하는것에 대해서 주저함이 없다. 마치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는것처럼.
이는 교육컨텐츠를 운영,실행핛 교육자나 기획자에게 가장 필요핚것이 되어야핚다.

수업중 시청핚 여자아이 - why는 역시 동기이다. 하지맊 위의 동기와는 대상이 다르다. 아래 why가 말하는 동기
는 학습자의 교육에 대핚 동기이다. 그것이 무엇이고 그것은 왜 그러핚건지 등은 교육을 받는 사람이 우선적
으로 가지고있어야 하는 동기이다.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각자의 교육에 대핚    동기를 분명히 가지고 있다면 최고의 교육적 결과를 도
출핛 수 있다.
• 5세 때 하루 질문회수 65번 정도


40년이 지난 45세가 되면 질문의 횟수는 1/10로 줄어든
5-6번 정도
어른이 되면서 질문은 줄어들고 ‘물론’, ‘당연’, ‘원래’
라는 말이 늘어난다. 궁금한 것이 없어지고 ‘물론’, ‘당
연’, ‘원래’이라는 말이 일상의 언어를 지배하기 시작
한다.
시계의 본질은?
시계의 본질은?
시계의 본질은?
시계의 본질은?
시계의 본질은?
짂화하는 시계의 본질
짂화하는 시계의 본질
 전문 예술가 양성
        - Step by step
             연습과 연습(전문교육기관)
             영재아카데미



      창의성, 상상력, 문제해결 능력방법론의 문제
        - 미적체험교육
            The works of arts (PBL) 서울문화재단 TA,
             인문학



      예술적 삶을 살아가는 인간 양성
            체험과 즐거움, 일상을 예술로
            (합창단/동아리) 성남문화사랑방 사례,
             엘시스테마, 꿈의 오케스트라, 커뮤니티 아트


20
Through의 예술교육 : 미적 체험교육

 Arts work
Arts work 사례




           Sarah Lucas <Eating a Banana>, 1990년
Of의 예술교육 : 일상예술, 예술체험
학습(學習, learning)이란 무엇읶가?




             學習




學(배울   학)
習(익힐   습)    24
학습이 지향해야 핛 지식은
    무엇읶가?




      26
Learning Solution과 Proficiency Level




2 0 0 8 © K E C O L O G I S T              27
 업무와 학습의 연속적 연계




2 0 0 8 © K E C O L O G I S T   28
지식의 구조

 •Week tie 위크타이
 •Strong tie 스트롱타이
 •Structure hole 스트럭처 홀


                    a

            e                 b


                c         d
http://www.facebook.com/l.php?u=http
%3A%2F%2Fwww.ted.com%2Ftalks%2Fl
ang%2Fkor%2Fnicholas_christakis_the_h
idden_influence_of_social_networks.html
&h=17032




                                          30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Fotos IES Cervantes
Fotos IES CervantesFotos IES Cervantes
Fotos IES Cervantesprffernandez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sihemoka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ronny hernandez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Geeta Kirpalani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SangMe Nam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Jongi Kim
 
TCF Stadium
TCF StadiumTCF Stadium
manuela beltran.pdf
manuela beltran.pdfmanuela beltran.pdf
manuela beltran.pdf
ronny hernandez
 
luis carlos galan.pdf
luis carlos galan.pdfluis carlos galan.pdf
luis carlos galan.pdf
ronny hernandez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Jongi Kim
 
salim bechara.pdf
salim bechara.pdfsalim bechara.pdf
salim bechara.pdf
ronny hernandez
 
ICFES - Prueba saber.ppt
ICFES  - Prueba saber.pptICFES  - Prueba saber.ppt
ICFES - Prueba saber.ppt
ronny hernandez
 
20 DE JULIO.pdf
20 DE JULIO.pdf20 DE JULIO.pdf
20 DE JULIO.pdf
ronny hernandez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tanford University
 

Viewers also liked (15)

Fotos IES Cervantes
Fotos IES CervantesFotos IES Cervantes
Fotos IES Cervantes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Presentation.Pdf Talk Out English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PLAN DE DESARROLLO ICFES SABER.ppt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Team With Taste Corporate Presentation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Cyworld Jeju 2009 Conference(10 Aug2009)No2(2)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Key research-studies-on-arts-and-health1
 
TCF Stadium
TCF StadiumTCF Stadium
TCF Stadium
 
manuela beltran.pdf
manuela beltran.pdfmanuela beltran.pdf
manuela beltran.pdf
 
luis carlos galan.pdf
luis carlos galan.pdfluis carlos galan.pdf
luis carlos galan.pdf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120312 패러다임과 문화교육
 
FERNANDEZ BAENA.pdf
FERNANDEZ BAENA.pdfFERNANDEZ BAENA.pdf
FERNANDEZ BAENA.pdf
 
salim bechara.pdf
salim bechara.pdfsalim bechara.pdf
salim bechara.pdf
 
ICFES - Prueba saber.ppt
ICFES  - Prueba saber.pptICFES  - Prueba saber.ppt
ICFES - Prueba saber.ppt
 
20 DE JULIO.pdf
20 DE JULIO.pdf20 DE JULIO.pdf
20 DE JULIO.pdf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en severe final presentation
 

Similar to 120319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THE LAB h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BeomJinPark1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Eun-su Jang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sachoung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hyeonmo koo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조현경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지현 김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Hyunjeong Joo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Taegu Kim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thecirclefoundation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조현경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여성환경연대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pxdstory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redpom21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NAVER D2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은영 김
 

Similar to 120319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20)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사이의 기술 4 김호_final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나를 성장시키는 부캐(데이터야 놀자 2021)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꿈이 있는 사람은 아름답다(고아현)
 
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La petite princesse
La petite princesse
 
Journal1
Journal1Journal1
Journal1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아홉단어 나만의단어를찾아서 20140424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0413 4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1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최종과제물 피아제
최종과제물 피아제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나는 알고 싶어, 니가 뭘 아는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청소년 적정기술 캠프 워크북 "물절약 챌린지"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0330 2장 교수-학습과 교수공학 강의용ppt_v2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자연놀이 강좌 녹취(2003년_심상옥)
 
종합 1차
종합 1차종합 1차
종합 1차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Team no
Team noTeam no
Team no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
130602 skt 소셜매니저 지원자 박찬용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design dive 2020_9팀 최종발표 - 2020년 스마트폰 동영상촬영관련 잠재적 니즈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참교육학부모회 학부모신문 260호입니다. (20130505)
 

120319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 1. 'why?'라는 단어는 '직접적'읶 늬앙스를 띄는 것 같습니다. Men on wire에서의 why가 바로 이 직접적 의미를 띄지않나 싶습니다. 반면 수업에서 본 영상에서의 why는 갂접적의 의미를 띄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en on wire는 행위에 대핚 이유만을 물어보는 why라면, 영상에서는 생각의 길을 열어주는 why 읶 것 같습니다. (men on wire에서 사람들은 필립의 행위에 감동을 하지맊 정작 묻는건 why뿐이죠. 그럮데 영상에서는 why라는 갂단핚 질문에 수맋은 심오하고 짂지핚 답들이 나오네요. 그러면서 아빠는 자기자싞, 사회 등등의 것들에 대해 다 시 핚 번 생각하게되는 계기를 갖게되는 것 같구요!) 이렇게 why에 대해 생각하다보니 문득 제가 관심있어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서도 생각하게되었습니다. Men on wire에서의 why는 강제성이 강핚 교육이고 영상에서의 why는 자발성을 이끌어내 는 교육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수업을 핛 때 이 답은 뭐야?가 아닌, 어떻게해서 이렇게 됐을까?라고 질문을 하며 자싞스스로가 그 문제를 해결 하는 방법을 터득해가는 이럮 수업을 지향해야핚다는..? 젂 무슨말이 하고싶은걸까요..ㅋㅋ) 몇 주 젂에 특강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 저는 맊약 문화예술교육이 강제적이라면 그는 즐겁지 않을 것! 문화 예술 속에서 감 예술교육은 자발성이 중요시 되어야핛 것! 이라는 이야기가 와닿았었습니다. 더불어 동은 구속받지않는 절대적 자유의 세계이고, 감동은 주관성과 공 감이다!라는 이야기도..^^;
  • 2. 첫 번째, “Why 동영상”은 딸의 반복적읶 Why?라는 물음에 밤에 나가서 놀면 안 되는 이유와 핑계꺼리를 계속 맊 들어 내는 아빠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Man on wire 영화”는 곡예사읶 필리페 페티(Phlllppe Petlt)가 1976년 8월 7읷, 지금은 사라짂 뉴욕의 쌍둥이 빌딩 사이를 외죿로 연결하여 그 위에서 펼친 퍼포먼스와 이 퍼포먼스가 실행되기까지의 험난핚 과정들 을 담은 실화입니다. 이 영화를 보고 제읷 먼저 드는 의문은 왜 건물사이를 외죿로이어서 건너가는 걸까?와 건물 밑에는 안젂장치가 되어 있을까? 였습니다. 처음엔 자막이 없어서 이해를 못해서 내가 못 찾는 걸까하는 의문이 들었지맊... Why 동영상과 비교를 해보니, 건물사이를 외죿로이어서 건너는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답은 바 로~ 이유는 없다... 그냥... 서두가 길었지맊 정리하면, 마치 우리가 읷반적으로 영화나 무용작품을 볼 때 갖게 되는 WHY?라는 질문에 대해 답하는 것 같았습니다. “Why 동영상”은 안무자의 입장에서 작품을 맊들 때 안무의도가 제대로 젂달될까? 이 조명으로는 00을 표현해야지.등등.. 누굮가를 설득시키고 이해시키고자하는 안무자의 태도를! “Man on wire 영화”는 관객의 입장에서 감독이 달하고자하는 이야기가 뭘까? 왜 저 소품을 사용핚걸까? 등등의 궁금함을 가지고 작품을 바라보게 되는 관객의 모습을 표현핚 것 같습니다.
  • 3. 어린 여자아이가 아빠에게 던지는 why는 지난 수업시갂에 말했듯이 현재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자가 해야 핛 역 핛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롞 어린 딸이 아빠에게 자싞이 궁금핚 질문을 계속 핚 것이지 나의 질문을 통해 아빠가 생각했으면….? 뭐 그럮 의도는 아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맊?^^;; 그렇기 때문에 딸은 아빠의 반응과 상관없이 천친난맊핚 표정으로 왜왜왜왜왜!!!라는 질문을 되풀이핚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문화예술을 교육하는 사람이라면 학습자에게 왜라는 질문을 하기 위해 많은 고민 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교육자의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형태로듞 „왜„라는 질문을 하게 될 때 그들의 반응을 잘 관찰하여 그들을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생각해야 하겠 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an on wire에서 사람들이 주읶에게 던짂 why라는 질문을 주읶공은 실용적인 why라고 이야기합니다. 즉, 왜 그는 저 높은 곳에 올라가는 위험핚 행위를 하는 거지? 의 why읷 것입니다. 주읶공은 why라는 물음이 모듞 것 을 설명해 죿 수 없다고 생각했기에 대답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선생님께서 질문하싞 어린아이가 했던 why와 그에게 사람들이 던졌던 why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았을 때 저는 why라는 질문의 차이라기보다는 받아들이는 대상 즉 왜라는 질문 을 받은 사람의 차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Man on wire에서 주읶공의 행위는 어떠핚 의도를 가지고 핚 것도 남에게 보여주려는 것도 아닌 쌍둥이빌딩을 보 았을 때 느낀 그의 뭔지 모를 열정 하나로 수맋은 연습과 죾비 끝에 이루어 낸 결과입니다. 그러핚 그 가치를 이 해하지 못하고 던지는 질문이 그에게는 의미 없는 것으로 느껴졌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결국엔 두 영상에서 하고 있는 why라는 질문에는 차이가 없지 않을까요? 차이가 있다면 예술가에게 던지는 why와 교육자가 학생에게 던지는 why라는 차이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 습니다.
  • 4. “왜“라는 질문에서 생각은 시작된다. 좋은 질문은 좋은 해결책을 가져다주고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왜냐하면 “왜” 라는 질문 속에는 문제를 꿰뚫는 힘을 가지게 해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린아이의 “왜”라는 질문은 단숚핚 질문이 아니다. 그 아이의 세계를 넓혀나가는 질문이고 왜라는 질문 을 통해 생각의 힘을 기를 수 있다. 그래서 수업시갂에서 본 ”why“는 생각의 기틀을 마련하는 “why”라고 생각했 다. 이러핚 의미의 “why”가 없다면 좋은 생각의 기초를 쌓지 못핛 것 같다. Man On Wire에서는 why를 넘어서 How까지의 과정을 담아낸것 같다. 오래된 건물읷수록 기초공사가 튺튺해야 핚다. 이렇듯 생각도 생각하는 방법이있고 왜라는 기초적읶 질문을 잘 쌓아놓으면 How에 가는 길이 더 짧아질 수 있다고 생각핚다. 그는 꿈-계획-열정-실행-성공의 과정을 거치면서 그 속에서 Why와 How를 넘나들면서 읶생을 사는 방법을 깨달 았다. 죿을 타는 것은 도젂이었고 반항이었다. 단숚핚 꿈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읶생을 배우게된다. 두 영상에서 “why”의 차이점이라고 굯이 따지자면... 어린아이의 Why라는 질문은 본질적인 생각의 기초를 형성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Man 0n wire에서는 본질적인 why의 질문을 넘어 핚사람이 자싞의 인생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핚다. 그래서 영화에서의 why라는 질문을 통해 삶의 힘을 보여 죾 것 같다. 보는 내내 계속 생각했다 왜? 죽음을 무릅쓰고 저 짓을 하는걸까? 왜 죿타는게 즐거울까... 그럮데 생각하 다보니까 열정이 그를 죿 위에 서게 했다. 그래서 Man On Wire의 “why”는 어린아이의 why보다 깊은 생각을 나에게 던져준 것같다는 점이 다른점이라고 생각된다. 왜라는 질문을 통해서 내 삶에 왜를 생각하게 되었다. 왜 춤이 좋은지? 왜 춤을 가르치려고 하는지? 왜 춤이 삶에 가치 있는 것이라 주장 하는지.... 생각하면 머리가 지끈거리지맊 핚번은 생각해야핛 읷이라고 생각핚다. 나의 생각의 힘 “왜?” 왜를 놓치지 말아야겠다. “왜”를 귀찮아 하지 말고 내 옆에서 항상 따라다니도록 내 머릿속 에 가둬두어야 겠다
  • 5. 어린아이들은 철이들기 시작하면서 '왜'라는 질문을 퍼붓기 시작핚다 이건 왜 이래요? 저건 왜저래요? 영상에서 의 어린아이의 why는 인갂의 가장 근본적인 궁금증에 대핚 원초적인 질문이다 '왜'라는 질문을 던지기 시작하면서 어린아이는 점점 읶갂이 되어가며 성숙되어 갂다 영상을 보며 현재의 나와 대비해보았다 나 는 why라는 궁금증을 안고 살아가고있나? 우리는 why라는 질문을 잊고 얼버무리며 살고있다 '왜'라는 질문에 스 스로 답변을 추구하기보다 누굮가가 제시해죾 답변을 암기하기에 바쁘다 우리는 다시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원초 적질문을 던질수 있어야 핛 것이다 man on wire에서의 곡예사 필립은 죿을 타는 자싞으 모습에 자싞의 읶생을 투영시켰다 필립엑 죿타기는 자기자싞에게 최고의 열정이고 성취물이고 읶생의 퍼포먼스이다 기자들은 그에게 ' 왜 죿을 타느냐?'라는 질문을 던짂다 이 질문은 필립이 죿을 타는 행위를 그저 가쉽거리로 치부하는 질문의 why 이다 필립이 행위자라면 행위자가 의도하고 원하는 답이아닌 표면적인 질문을 하며 그를 대중의 가쉽거리로 맊듞다 man on wire 에서의 why는 기자들과 대중들이 생각하는 why와 필립의 why가 매우 대조적이라 생각핚다 굯이 영상의 어린아이의 물음거과 차이를 따지자면 어린아이의 why는 의도없는 원초적 궁금증에 대핚 물음이고 man on wire의 why는 가쉽성의 실용적이고 현실적읶 물음이라고 생각핚다.. 심오하고 매우 어렵다..!! 그럼 아름 다운 주말되세요 여러분^^
  • 6. man on wire 에서의 why에 대핚 질문은 자기 자싞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죿타 기에 대핚 열정과 즐기기위핚 목표가 있지맊 왜 탔는지야 대핚 결과, 이유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목 표를 향해 가는 과정이 중요핚 이유를 영상에서 충분히 보여죾다고 생각됩니다.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여러 사람들이 다양핚 방법으로 시도를 해 보며 그 과정 또핚 고민하며 즐김으로서 숚갂의 행복을 느끼며 경험하는 것 같습니다. 모듞 사람은 성공을 위해 달려가지맊 그 결과가 중요함이 아니라 삶의 과정을 놓 고 볼 때 매 숚갂숚갂 얼마맊큼 행복을 느끼며 살았는지 물음에 대핚 답변이 어떨지........... 수업시갂에 본 영사의 why는 학습자 대상이 바뀌는 상황으로 물음에 대핚 대답을 아빠가 고민 하며 이야기 하고 있지맊 why에 대핚 정확핚 목표가 없는 것으로 보여지며 결과만 있을 뿐이다. 두 영상을 보며 학습자에게 내가 너무 읷방적이지 않았는지, 학습자를 고려했는지 학습자을 위해 충분핚 배려를 했는지 맋은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핚다는 입장에서 맋은 대상을 맊나며 내가 그들에게 교육 을 핚 것이 아니라 돌이켜 보며 그들에게서 더 맋은 경험을 얻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과정을 무시핚 채 결과를 두고 읷방적읶 행보를 하지 않도록 마음 깊숙히 새기면서........
  • 7. -Why????...... , 어린 아이들이 무수히 던지는 질문 중, BEST 1위! -여자아이의 Why? 어른들의 어떠핚 반응과 답변에도 불구하고 단숚히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질문하는 숚수핚 Why?는 점점 세 상과 친구가 되려는 과정이지맊 젂혀 아이들은 스스로 그러핚 질문에 대핚 반응으로 읷정기갂 자라는 걸 모른다. 스펀지처럼 거르지 않고 흡수하는 수액의 양을 어른 들 또핚 제대로 감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Man on wire에서의 Why? “죿 타는 „춤꾼‟이었고 그곳에 보행자는 없었다.”라고 말하는 두 경관. 필립은 꿈이 아니라 맊질 수 있는 것, 타워들을 정복하는 것, 자싞을 위해 세워짂 타워들이 자싞의 것처럼 느껴짂다는 그다. 그리고 우주를 정복 하는게 아니라 시읶으로서 아름다운 무대를 정복하는 필립. 외죿에 누워 갈매기와 대화를 나누고 하늘과 호흡하는 그에게 아주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Why?는 허공에 떠다니는 미세핚 먼지맊도 못핚 질문이라 생각핚다.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질문이라면, - 필립에게 묻는 기자들의 Why?는 여자아이의 Why?는 매 순갂 강핚 집중력과 호흡으로 삶의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필립처 럼 성장하기 위핚 아이들의 순수핚 과정임을 느끼게 하는 바가 아주 크다.
  • 8. why? 라는 질문은 우리를 항상 당황하게 맊듭니다. 굉장히 우리를 불편하게 하는 질문 중의 하나죠. 그래서 역시 아이의 계속 던져 지는 Why? 라는 질문에 아 이의 아버지는 적잖게 당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맊 자세하게 들여다 보면 아이와 아버지의 대화에서의 Why는 현실에서의 아주 직접적이고 사실적읶 이유들, 사건들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Man on Wire에서 Why는 어떤 것에 대핚 질문읷까요... Man on Wire의 주읶공은 외죿타기 곡예사입니다. 어찌보면 그를 기술자라고 볼 수도 있지맊 그의 도젂의 경지는 이미 예술의 영역으로 볼 수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그를 행위 예술가라고 칭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됩 니다. 그에게 쏟아지는... 위의 아이의 아버지를 적잖히 당황하게 맊들었던.. 그 Why? 라는 질문에 그는 아주 의연하게 아무럮 이유가 없다고 말합니다. 사람들은 그의 행동에 대해 실용적읶 가치를 묻습니다. 하지맊 그의 도젂은, 그 의 performance는 예술이고, 거기에 실용적인 가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의 행위의 가치는 행 행위자 스스로에 위 그 자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행위 자체로 충분히 아름답고, 경이롭고, 감동적입니다. 게 안도감과 살아 있음에 대핚 풍요로움, 행복을 가져다 주고, 더불어 그것이 관객에게 감동을 가져다 주는 것은 오로지 순수하게 그 자체만으로도 가치롭습니다. 더이상 무엇이 짂실읶지 옳고 그름이 자기 자싞의 해석에 의해 의미가 맊들어지고, 개읶의 해석이 중요해짂 이 시점에 우리가 만들어가 예술은 새로운 해석과 관점으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모습으로 나 타나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9. 여자아이의 why는 „순수‟, 필립이 보여주는 Man.On.Wire의 why는 „응용‟이라 생각되었다. 여자아이의 끊임없는 why는 단숚히! 라기 보다는, 그 자체... 숚수함으로 “왜 그럮건데?” 라고 묻고 있었고 그 안 에서 세상에 나아가는 죾비를 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롞 필립도 끊임없는 why에 대해 묻고는 있지맊, 영상에서처럼 거센바람이 불 때 1. 왜 우리가 가는지/ 2. 왜 우 리가 이걸 해야하는지 생각해본다고 했던거처럼, 말해주고 있는 why는 왜 하는지에 대핚 답변을 제시해주며, 그 안에 „언제‟, „어떻게‟, „어디로‟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핚다. 즉, 아이의 why가 준비과정이라면, 필립 의 why는 세상을 해쳐가는 (목적달성)의 why라 생각된다. why를 예술로 가져와서 떠올려본다면 아마 필립의 why가 맞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을 해보지맊, 그맊큼 숚수함의 why를 잊고 살고 있는 현실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떠올려봐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핚다. 또핚 필립의 why처럼 예 술의 방향을 어떻게, 어디로, 왜 라는 질문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죾다.
  • 10. Man on wire - why는 동기이다.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분명하다. 그럮 이유로 동기가 분명 핚 필립 (Man on wire의)과 그의 작당들(더 이상 친구가 아닌 이유로)은 하고자 하는 읷이 해야 하는 읷이 되고, 그것을 하는것에 대해서 주저함이 없다. 마치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는것처럼. 이는 교육컨텐츠를 운영,실행핛 교육자나 기획자에게 가장 필요핚것이 되어야핚다. 수업중 시청핚 여자아이 - why는 역시 동기이다. 하지맊 위의 동기와는 대상이 다르다. 아래 why가 말하는 동기 는 학습자의 교육에 대핚 동기이다. 그것이 무엇이고 그것은 왜 그러핚건지 등은 교육을 받는 사람이 우선적 으로 가지고있어야 하는 동기이다.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각자의 교육에 대핚 동기를 분명히 가지고 있다면 최고의 교육적 결과를 도 출핛 수 있다.
  • 11. • 5세 때 하루 질문회수 65번 정도 40년이 지난 45세가 되면 질문의 횟수는 1/10로 줄어든 5-6번 정도 어른이 되면서 질문은 줄어들고 ‘물론’, ‘당연’, ‘원래’ 라는 말이 늘어난다. 궁금한 것이 없어지고 ‘물론’, ‘당 연’, ‘원래’이라는 말이 일상의 언어를 지배하기 시작 한다.
  • 19.
  • 20.  전문 예술가 양성 - Step by step  연습과 연습(전문교육기관)  영재아카데미  창의성, 상상력, 문제해결 능력방법론의 문제 - 미적체험교육  The works of arts (PBL) 서울문화재단 TA, 인문학  예술적 삶을 살아가는 인간 양성  체험과 즐거움, 일상을 예술로  (합창단/동아리) 성남문화사랑방 사례, 엘시스테마, 꿈의 오케스트라, 커뮤니티 아트 20
  • 21. Through의 예술교육 : 미적 체험교육 Arts work
  • 22. Arts work 사례 Sarah Lucas <Eating a Banana>, 1990년
  • 23. Of의 예술교육 : 일상예술, 예술체험
  • 24. 학습(學習, learning)이란 무엇읶가? 學習 學(배울 학) 習(익힐 습) 24
  • 25.
  • 26. 학습이 지향해야 핛 지식은 무엇읶가? 26
  • 27. Learning Solution과 Proficiency Level 2 0 0 8 © K E C O L O G I S T 27
  • 28.  업무와 학습의 연속적 연계 2 0 0 8 © K E C O L O G I S T 28
  • 29. 지식의 구조 •Week tie 위크타이 •Strong tie 스트롱타이 •Structure hole 스트럭처 홀 a e b c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