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46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2 신동아APT 지구

 3.2.1 일반현황
 본 조사지역은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신동아APT 앞 우면산에서 발생된 산사태 구간이다. 2011년
7월 27일 오전 8시 20분쯤 집중호우로 인하여 우면산에서 토석류 산사태가 발생되었으며, 토사, 전석 등의
사태물질은 남부순환로를 넘어 불교TV방송과 신동아APT 1층까지 피해를 주었다. 사망자는 불교TV방송에
서 1명, 신동아APT에서 2명 발생하였다.




              <그림 3.2.1-1> 신동아 APT지구 산사태현장(표시 B)(자료원: 세계일보)




                                 - 105 -
<그림 3.2.1-2> 신동아 APT지구 산사태현장 (항공사진)




              - 10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신동아APT 산사태




               <그림 3.2.1-3> 신동아APT 지구 위성사진 3차원투시도




3.2.2 조사현황
1) 지형 및 지질
가. 지형 및 수계분석
 - 래미안APT 지구와 신동아APT 지구는 우면산(해발 312.6m)의 북서측에 위치하는 지역으로서 남부순
  환로와 인접함 .
 - 우면산의 주능선은 북동-남서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주능선방향에 수직으로 6개의 계곡이 발달
  함. 이번 산사태 발생지점의 분수령 내에는 4개의 계곡이 발달함.
 - 이 지역의 사면경사는 산 정상부 인근에는 25∼30° 정도이며, 산 중턱과 하부는 20∼25° 정도로서,
  정상부의 사면경사가 더 급함. 이는 지질분포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서, 산 정상부의 화강암질 편마암
  과 산 중턱 이하에 분포하는 호상 흑운모편마암의 풍화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됨.
 - 계곡의 형태는 대체로 직선적인 형태이며, 정상부에서 2개의 소규모 계곡이 시작되고 산하부로 내려
  오면서 약 7부 능선에서 합류함.




                             - 107 -
<그림 3.2.2-1> 신동아APT 지구 지형 및 수계분석


나. 지질분석
• 지질
 - 우면산 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호상 흑운모편마암(banded biotite gneiss)과 화강암질 편마암
   (granitic gneiss)으로 구성되어 있음(그림 3.2.2-2).
 - 호상 흑운모편마암은 우면산 하부와 중턱부 및 서초구 일대 전역을 구성하는 암석으로, 흑운모와
   석영/장석이 서로 교호하면서 발달.
 - 화강암질 편마암은 우면산 정상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석영, 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
 - 이 지역의 암석은 대부분 약한 풍화(slightly weathered) 또는 중간 풍화(moderately weathered)
   상태를 보이나, 산 정상부로 접근할수록 풍화가 많이 진행됨.
 - 이 지역의 암석은 전체적으로 황화광물이 많이 분포하여 지하수 또는 강우와 접촉하면서 산화철이
   생성되어서 붉은색을 띄고 있고, 이로 인해 쉽게 풍화되는 특성이 있음(그림 3.2.2-3).
 - 암석 내에 다량 포함된 흑운모는 풍화가 진행되면 점토광물로 흙속에 존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
   지역 토층내에는 점토광물이 많이 분포할 것으로 예상됨.




                                  - 10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호상 흑운모 편마암




산사태 발생구간
                      화강암질 편마암




                                        충적층




                <그림 3.2.2-2> 우면산 지역의 지질도




<그림 3.2.2-3> 우면산 지역에 분호하는 호상 흑운모 편마암(래미안 APT, 신동아 APT 공통)




                         - 109 -
<그림 3.2.2-4> 우면산 정상부에 분포하는 화강암질 편마암(래미안 APT, 신동아 APT 공통)




         <그림 3.2.2-5> 우면산 하부에 있는 풍화심도 7m 이상구간




                         - 11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지질구조
 - 이 지역에 발달하는 주요 지질구조는 엽리면, 단층, 절리임.
 - 엽리면은 광역적인 변성작용에 의해 고온 고압 하에서 암석내 광물이 재배열되면서 생성된 일종의
  불연속면임. 이 지역 엽리면의 방향은 N60∼80°E, 25∼48°SE 방향으로 발달. 엽리면은 우면산 하부
  에서는 완만하게 발달하나, 정상부로 갈수록 급한 경사를 이룸.
 - 산사태 지역에서 관찰된 주요단층은 N80°E, 35°SE 단층(그림 3.2.2-6), N30°W, 72°NE 단층(그림
  3.1.2-7), N20°W, 64°SW(그림 3.2.2-8) 단층임.
 - 이 지역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발달하고 있으며, 주요 절리방향은 N5°E, 80°NE, N60°E, 40°NW,
  N20°W, 85°SW 등임.
 - 대체적인 절리방향이 사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반내부로 강우침투가 용이한 구조이며(그림
  3.2.2-9) 집중강우시 물이 집중되는 현상이 예상되며 특히 우면산에는 13곳 이상의 약수터가 산재해
  있어 지하수위가 높게 형성되어 있고 지하수 대수층이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10).




               <그림 3.2.2-6> N80°E, 35°SE 단층 및 단층점토(fault gouge)




                                   - 111 -
<그림 3.2.2-7> N30°W, 72°NE 단층




<그림 3.2.2-8> N20°W, 64°SW 단층




          - 11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9> 대부분 절리방향이 사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반내부로 강우 침투가 용이한 구조




               <그림 3.2.2-10> 우면산 주변 약수터 분포




                         - 113 -
2) 조사지역 구분
 - 신동아APT 앞 산사태는 토석류 산사태의 발생면을 따라 하부로부터 상부로 조사를 수행하였음.
 - 토석류 산사태의 흐름방향이 변화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조사구간을 구분하였으며, ‘신동아 APT-1구
  간’ 부터 ‘신동아 APT 구간’ 까지 총 6개구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함(그림 3.2.2-11).



                                                          N

                                                          4


              1구 간




               2구 간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한 산사태
                 4구 간



       5구 간                                    군부대지역



                        6구 간




                     <그림 3.2.2-11> 신동아APT 지구의 조사구간 표시도




                                           - 114 -
N

                                                          4
                                                              3) 각 구간별 조사현황




                             1구 간




                              2구 간




- 115 -
          붕적토층과                3구 간
          기반암 사이에
          점토층

                                4구 간



                                                  군부대지역
                      5구 간

                                       6구 간




                    <그림 3.2.2-12> 신동아APT 지구의 조사구간 총괄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15 -
① 신동아APT-1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30°이며, 하부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10° 내외)를 이루고 있음.




                  <그림 3.2.2-13> 신동아APT-1구간 전경




                            - 11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지반상태
 - 상부에서 흘러내려온 전석들과 유송잡물이 좌우 양안에 퇴적되어 있으며, 퇴적층의 두께는 1.5∼
   2.5m정도임. 약 폭 10∼15m의 계곡부가 형성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다량의 유수가 흐르고 있음(그림
   3.2.2-14).




                 <그림 3.2.2-14> 상부에서 흘러내린 퇴적물


다. 대책방안검토
 - 대규모 사방댐 등을 설치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는 토사, 전석, 유송잡물 등을 차단하고, 주기적으로
   퇴적물들을 준설하여야 함.




② 신동아APT-2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15°으로서 15∼20°의 사면경사를 이루고 있음. 사면의 경사가 완만해지
   는 구간으로 붕적층이 두껍게 존재하고 있음.
 -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온 토사, 전석, 유송잡물 등이 퇴적되어 있으며, 붕적층 중앙부에 폭 5m정도의
   소규모 계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




                           - 117 -
<그림 3.2.2-15> 래미안APT-2구간 전경


나. 기반암 노출
 - 붕적층 하부에 노출된 기반암은 풍화가 심하며, 붉은색을 띠고 있음. 대상지역의 암석은 황화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흑운모호상편마암으로서 지하수 또는 강우와 접촉시 산화철이 생성되어 붉은색
  을 띄며, 이로 인해 쉽게 풍화되는 특성이 있음.




               <그림 3.2.2-16> 중앙부의 소규모 계곡부와 기반암 노출


다. 지반상태
 - 붕적층이 약 2∼3m의 두께로 발달하고 있으며, 과거의 산사태로 인하여 퇴적된 debris 퇴적층과
  상부 세립질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 붕적층은 퇴적시기별 층상을 이루고 있으며, 붕적층 하부에 암회색의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음(그림
  3.2.2-17).
 - 우측부 기반암 노출면에는 폭이 0.5m인 단층점토층이 혼입되어 있음(그림 3.2.2-18).




                             - 11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17> 층상을 이루고 있는 붕적층


           - 119 -
<그림 3.2.2-18> 기반암에 위치한 단층점토층




           - 12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라. 대책방안검토
  - 체크댐, 골막이 등을 설치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는 토사 및 유수의 속도를 완화시키고, 계곡양안 사면
   에 암반풍화, 토사침식 및 붕괴를 막기 위한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해야 함.


① 신동아APT-3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55°로서 산사태 발생폭이 매우 넓으며 다양한 크기의 전석과 암괴가 퇴적
   되어 있음. 약 2m의 직경을 갖는 암괴도 이동되어 퇴적되어 있음(그림 3.2.2-20).




                   <그림 3.2.2-19> 신동아APT-3구간 전경




               <그림 3.2.2-20> 퇴적된 다양한 크기의 전석 및 암괴




                             - 121 -
나. 지반상태
 - 붕적층이 약 1m 두께로 발달하고 있으며, 다량의 유수가 흘러내려가고 있음. 붕적층 하부에 존재하는
   기반암은 풍화가 심하여 붉은색을 띠고 있음.




                  <그림 3.2.2-21> 붕적층 및 하부 기반암


다. 대책방안검토
 - 대상지역은 붕괴폭이 상당히 크므로 중앙부에 각종 전석을 제거하고,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그리고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배수로의 선형과 크기
   를 적절하게 설치하여야 함.


④ 신동아APT-4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25°로서 붕괴면 경사는 20∼25°이며, 좌측부에 기존 배수로가 붕괴되어
   끊어져 있음.




                            - 12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22> 신동아APT-4구간의 전경




           - 123 -
나. 배수로 붕괴
 - 기존 배수로는 금번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되었으며, 배수로의 높이는 1.1m이고, 폭 1.5m로 조성되어
  있음(그림 3.2.2-23 및 그림 3.2.2-24).
 - 배수로는 붕적층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로 하부에 위치한 붕적층의 두께는 약 1.3m임(그림
  3.2.2-25).




                <그림 3.2.2-23>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하부)




                                   - 12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23>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하부)(계속)




 <그림 3.2.2-24>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상부)


                - 125 -
<그림 3.2.2-24>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상부)(계속)




    <그림 3.2.2-25> 붕적층 상부에 위치한 배수로



                - 12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붕괴된 배수로 주변에 노출된 붕적층은 2.5∼3.0m의 두께를 가지며, 2개층으로 구분되어 있음. 이는
 과거에 시기를 달리하여 2회의 산사태가 발생되어 퇴적된 것으로 판단됨. 상부에 위치한 암회색의
 퇴적층은 0.3∼0.5m의 두께로 존재하며, 하부에 위치한 적갈색 퇴적층은 2.4m두께로 존재하고 있음
 (그림 3.2.2-26).




                                        B층

                                A층




                  <그림 3.2.2-26>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붕적층




                              - 127 -
다. 지반상태
 - 대상구간의 하부에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에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으며, 집적된 점토층의 방향은
  기반암과 붕적층의 경계부와 평행하게 나타나고 있음(그림 3.2.2-27).
 - 단층과 단층점토가 발달하며, 단층과 평행한 방향의 절리가 발달함으로 인하여 기반암이 많이 파쇄되
  어 있음(그림 3.2.2-28).




                   <그림 3.2.2-27>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그림 3.2.2-28> 단층대와 암반파쇄대 양상


                              - 12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대상구간의 중간부 이끼류로 피복되어 있는 두께 1.0∼1.5m의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이끼류로
 피복된 층의 두께는 약 0.3∼0.4m임(그림 3.2.2-29).




               <그림 3.2.2-29> 붕적층 상부에 피복된 이끼류 식물


- 대상구간의 상부에도 하부에서와 마찬가지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경계부에 층상으로 암회색의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음(그림 3.2.2-30).
- 우측부 붕적층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과거에 시기를 달리하여 발생된 산사태로 인하
 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31).


                              - 129 -
<그림 3.2.2-30> 붕적층과 기반암 사이의 암회색 점토층




   <그림 3.2.2-31> 3개의 층상을 보이는 붕적층




              - 130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라. 대책방안검토
 - 붕괴된 배수로를 정비하고 통수능을 고려한 배수로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토층의 두께가 비교적 깊으므로 다열의 골막이를 설치하거나, 사방시설을 설치하여 토사가 하부로
   흘러내려가지 못하도록 할 필요없음.


⑤ 신동아APT-5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20°로서, 범바위 약수터 인근으로 다량의 물이 유출되고 있음. 범바위
   약수터는 금번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상태임(그림 3.2.2-33).
 - 산사태 발생폭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경사가 완만해지는 경향이 있음.




                  <그림 3.2.2-32> 신동아APT-5구간의 전경




                             - 131 -
<그림 3.2.2-33> 붕괴된 범바위 약수터




         - 13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지반상태
 -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에 암회색 점토층이 기반암과 평행하게 발달하고 있음. 암회색 점토층의 폭은
  약 20cm로서 암편을 포함하고 있음(그림 3.2.2-34).




                <그림 3.2.2-34>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암회색 점토층


 - 사면붕괴 발생구간의 좌우측면에 추가적인 붕괴가능성이 있는 붕적층이 약 0.3~0.5m두께로 존재하
  고 있음(그림 3.2.2-35).




                       <그림 3.2.2-35> 좌우측면에서의 토층 붕괴




                                 - 133 -
<그림 3.2.2-35> 좌우측면에서의 토층 붕괴(계속)


- 대상구간에서 토층붕괴는 기반암을 따라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됨. 붕괴토층의 하부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그림 3.2.2-36).




                <그림 3.2.2-36> 붕괴면 하부에 노출된 기반암



                            - 134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대책방안검토
 - 대상구간의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 등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 지하수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상구간의 경우 지하수배수공을 적용하거나, 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표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지하수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⑥ 신동아APT-6구간
가. 개요
 - 산 정상부에서 사면붕괴가 발생되었으며, 사면붕괴 발생방향은 275°이며, 사면경사는 약 35°임(그림
   3.2.2-37).




                <그림 3.2.2-37> 신동아APT-6구간의 붕괴 발생구간


                             - 135 -
<그림 3.2.2-37>신동아APT-6구간의 붕괴 발생구간(계속)




              - 13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주변에 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고 있어 예전부터 사면붕괴가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음(그림
  3.2.2-38).




                  <그림 3.2.2-38> 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나. 소규모 사면붕괴
 - 기존 등산로 하부에 소규모 사면붕괴가 발생되었으며, 붕괴깊이는 약 0.5m이며, 폭은 약 3m, 길이는
  약 7m임.




               <그림 3.2.2-39> 등산로 하부에서 발생된 소규모 사면붕괴




                             - 137 -
다. 지반상태
 - 기존 등산로 하부에 있는 붕적토층의 깊이는 0.5m정도이며, 일부 구간에서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




                    <그림 3.2.2-40> 퇴적된 붕적토층




                    <그림 3.2.2-41> 기반암 노출




                           - 138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사면붕괴 발생위치의 하부에는 토층이 1.5∼2.0m정도로 두껍게 존재하고 있음. 본 위치에서의 토층
  은 세립분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42).




                 <그림 3.2.2-42> 사면붕괴 발생위치 하부의 토층


라. 대책방안검토
 - 붕괴면의 상부에 군부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쏘일네일링, 앵커 등과 같은 적극적인 사면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사면을 보강할 필요없음.
 - 대상구간의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3.2.3 원인분석
1) 집중호우
 - 우면산 주변에 위치한 서초관측소와 남현관측소의 강우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사태가 발생된 7월
  27일 오전 07:40∼08:40 사이의 최대 1시간 강수량은 서초관측소의 경우 85.5mm, 남현 관측소의
  경우 112.5mm로 측정됨. 서초와 남현관측소의 관측된 강우량을 산술평균치는 99mm 로 약 50년
  빈도에 해당됨.
 - 그리고 7월 26일 16:00부터 7월 27일 16:00까지 1일 누적강수량은 서초관측소의 경우 364.5mm,
  남현관측소의 경우 424.5mm로 측정됨. 서초와 남현관측소의 관측된 강우량을 산술평균치는
  394.5mm 로 약 60년 빈도에 해당됨.




                             - 139 -
2) 과거 붕괴이력으로 인한 두꺼운 붕적층
 - 신동아APT 지구 산사태 발생구간에서는 사면의 하부로부터 고도 약 170m까지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 2010년 태풍 ‘곤파스’로 인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신동아APT 지구 인접 골짜기에서 유사한 형태의
  산사태가 발생된 바 있음.
 -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붕적층은 이전에 시기를 달리하는 산사태가 발생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
  되며, 이 구간에서는 과거에 산사태 발생으로 인한 debris(토석 및 잡석)의 퇴적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사료됨.


3) 높은 지하수위
 - 우면산의 경우 사면의 고도 200∼225m구간에 6개의 약수터가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음.
 - 산사태가 발생된 위치에서도 범바위 약수터, 유점사 약수터(상), 덕우암 약수터가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음(그림 3.2.3-3).
 - 따라서 신동아APT지구의 경우에도 범바위 약수터 주변고도까지 지하수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
  (그림 3.2.3-4).


4)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 현장조사결과 신동아APT 지구 산사태 발생구간에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암회색 점토층이 존재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은 대상지역의 사면활동면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지역에서 보다 산사태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판단됨.


5) 얕은 토층과 나무뿌리의 얕은 활착
 - 대부분 토층의 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식생이 조밀하게 자라고 있어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가
  깊게 내리지 못하고 있음. 이러한 생육조건에서 2010년 9월 태풍 곤파스로 인해 토층이 많이 이완되
  어 있어 이번 집중강우에 쉽게 넘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됨. 이 지역 주요 수종인 잣나무는
  소나무 등 다른 나무에 비해 뿌리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아 토양을 얽매는 힘이 약하고 길고 튼튼한
  상체에 비해 하체가 부실한 편으로 산사태에 취약함.




                          - 140 -
N

                                                                       4


                 1구 간




- 141 -
                   2구 간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 한 산 사 태
                    4구 간



          5구 간                                        군 부 대 지 역



                           6구 간




                                  <그림 3.2.3-1> 2개 이상의 층상을 이루는 붕적층 위치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41 -
<그림 3.2.3-2> 산사태 이력(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 142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3-3> 산사태 이력(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 143 -
N

                                         4




- 144 -
           예상 지하수위



                                 군부대지역




          <그림 3.2.3-4> 대상지구의 지하수위 추정




                     - 144 -
N

                                                                   4


                 1구 간




                   2구 간




- 145 -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 한 산 사 태
                    4구 간



          5구 간                                        군 부 대 지 역



                           6구 간




                              <그림 3.2.3-5>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출현 위치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46 -
<그림 3.2.3-6> 얕은 토층과 뿌리활착불량




          - 146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3-6> 얕은 토층과 뿌리활착불량(계속)




            - 147 -
3.2.4 추정 붕괴 과정
1) 집중호우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얕은깊이의 활동파괴와 표층유실이 발생.
2) 사면붕괴로 인해 발생된 사태물질이 계곡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
3) 사태물질 이동시 계곡 하부 및 측면부에 존재하는 붕적토, 자갈, 암괴와 함께 이동.
4) 사태물질이 하부로 흘러내려가다가 흐름방향이 바뀌거나 계곡의 폭이 좁아지는 구간에서 유목 등으로
 인해 임시 차단.
5) 이후 지속적인 강우와 계속적인 활동파괴 및 표층유실로 임시 퇴적된 사태물질이 한꺼번에 하부로 유동
 하여 신동아APT에 충격.




                         - 148 -
- 149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그림 3.2.4-1> 대상지구의 붕괴개념도
                                     ∎∎∎




                   - 150 -
3.2.5 대책방안 제안




                          - 151 -




                - 150 -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kysnyou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kysnyou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kysnyou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kysnyou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kysnyou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kysnyou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kysnyou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kysnyou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kysnyou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kysnyou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kysnyou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kysnyou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kysnyou
 

More from kysnyou (20)

1
11
1
 
6
66
6
 
1
11
1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1.09.15 우면산 산사태__1차_원인_조사단_발표자료_(한국지반공학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29)tf 10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14)tf 9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5.04)tf 8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4.09)tf 6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3.12)tf 5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24)tf 4차 회의_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2.04)tf 3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31)tf 2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2.01.19)tf 1차 회의 자료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01126 (서울시장님께)서울일원의 옹벽_석축_산사태에_대한_현장답사_결과_및_정책제안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201112 공군부대 보고서(중요부분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산사태 신문방송자료(19910830~20120308까지 산사태_관련_이수곤자료)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Umyeon mountain report 15 october 2012 am (홍콩 andrew malone 자문의견)
 

111 156

  • 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3.2 신동아APT 지구 3.2.1 일반현황 본 조사지역은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신동아APT 앞 우면산에서 발생된 산사태 구간이다. 2011년 7월 27일 오전 8시 20분쯤 집중호우로 인하여 우면산에서 토석류 산사태가 발생되었으며, 토사, 전석 등의 사태물질은 남부순환로를 넘어 불교TV방송과 신동아APT 1층까지 피해를 주었다. 사망자는 불교TV방송에 서 1명, 신동아APT에서 2명 발생하였다. <그림 3.2.1-1> 신동아 APT지구 산사태현장(표시 B)(자료원: 세계일보) - 105 -
  • 2. <그림 3.2.1-2> 신동아 APT지구 산사태현장 (항공사진) - 106 -
  • 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신동아APT 산사태 <그림 3.2.1-3> 신동아APT 지구 위성사진 3차원투시도 3.2.2 조사현황 1) 지형 및 지질 가. 지형 및 수계분석 - 래미안APT 지구와 신동아APT 지구는 우면산(해발 312.6m)의 북서측에 위치하는 지역으로서 남부순 환로와 인접함 . - 우면산의 주능선은 북동-남서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주능선방향에 수직으로 6개의 계곡이 발달 함. 이번 산사태 발생지점의 분수령 내에는 4개의 계곡이 발달함. - 이 지역의 사면경사는 산 정상부 인근에는 25∼30° 정도이며, 산 중턱과 하부는 20∼25° 정도로서, 정상부의 사면경사가 더 급함. 이는 지질분포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서, 산 정상부의 화강암질 편마암 과 산 중턱 이하에 분포하는 호상 흑운모편마암의 풍화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됨. - 계곡의 형태는 대체로 직선적인 형태이며, 정상부에서 2개의 소규모 계곡이 시작되고 산하부로 내려 오면서 약 7부 능선에서 합류함. - 107 -
  • 4. <그림 3.2.2-1> 신동아APT 지구 지형 및 수계분석 나. 지질분석 • 지질 - 우면산 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호상 흑운모편마암(banded biotite gneiss)과 화강암질 편마암 (granitic gneiss)으로 구성되어 있음(그림 3.2.2-2). - 호상 흑운모편마암은 우면산 하부와 중턱부 및 서초구 일대 전역을 구성하는 암석으로, 흑운모와 석영/장석이 서로 교호하면서 발달. - 화강암질 편마암은 우면산 정상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석영, 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 - 이 지역의 암석은 대부분 약한 풍화(slightly weathered) 또는 중간 풍화(moderately weathered) 상태를 보이나, 산 정상부로 접근할수록 풍화가 많이 진행됨. - 이 지역의 암석은 전체적으로 황화광물이 많이 분포하여 지하수 또는 강우와 접촉하면서 산화철이 생성되어서 붉은색을 띄고 있고, 이로 인해 쉽게 풍화되는 특성이 있음(그림 3.2.2-3). - 암석 내에 다량 포함된 흑운모는 풍화가 진행되면 점토광물로 흙속에 존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 지역 토층내에는 점토광물이 많이 분포할 것으로 예상됨. - 108 -
  • 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호상 흑운모 편마암 산사태 발생구간 화강암질 편마암 충적층 <그림 3.2.2-2> 우면산 지역의 지질도 <그림 3.2.2-3> 우면산 지역에 분호하는 호상 흑운모 편마암(래미안 APT, 신동아 APT 공통) - 109 -
  • 6. <그림 3.2.2-4> 우면산 정상부에 분포하는 화강암질 편마암(래미안 APT, 신동아 APT 공통) <그림 3.2.2-5> 우면산 하부에 있는 풍화심도 7m 이상구간 - 110 -
  • 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지질구조 - 이 지역에 발달하는 주요 지질구조는 엽리면, 단층, 절리임. - 엽리면은 광역적인 변성작용에 의해 고온 고압 하에서 암석내 광물이 재배열되면서 생성된 일종의 불연속면임. 이 지역 엽리면의 방향은 N60∼80°E, 25∼48°SE 방향으로 발달. 엽리면은 우면산 하부 에서는 완만하게 발달하나, 정상부로 갈수록 급한 경사를 이룸. - 산사태 지역에서 관찰된 주요단층은 N80°E, 35°SE 단층(그림 3.2.2-6), N30°W, 72°NE 단층(그림 3.1.2-7), N20°W, 64°SW(그림 3.2.2-8) 단층임. - 이 지역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발달하고 있으며, 주요 절리방향은 N5°E, 80°NE, N60°E, 40°NW, N20°W, 85°SW 등임. - 대체적인 절리방향이 사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반내부로 강우침투가 용이한 구조이며(그림 3.2.2-9) 집중강우시 물이 집중되는 현상이 예상되며 특히 우면산에는 13곳 이상의 약수터가 산재해 있어 지하수위가 높게 형성되어 있고 지하수 대수층이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10). <그림 3.2.2-6> N80°E, 35°SE 단층 및 단층점토(fault gouge) - 111 -
  • 8. <그림 3.2.2-7> N30°W, 72°NE 단층 <그림 3.2.2-8> N20°W, 64°SW 단층 - 112 -
  • 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9> 대부분 절리방향이 사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반내부로 강우 침투가 용이한 구조 <그림 3.2.2-10> 우면산 주변 약수터 분포 - 113 -
  • 10. 2) 조사지역 구분 - 신동아APT 앞 산사태는 토석류 산사태의 발생면을 따라 하부로부터 상부로 조사를 수행하였음. - 토석류 산사태의 흐름방향이 변화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조사구간을 구분하였으며, ‘신동아 APT-1구 간’ 부터 ‘신동아 APT 구간’ 까지 총 6개구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함(그림 3.2.2-11). N 4 1구 간 2구 간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한 산사태 4구 간 5구 간 군부대지역 6구 간 <그림 3.2.2-11> 신동아APT 지구의 조사구간 표시도 - 114 -
  • 11. N 4 3) 각 구간별 조사현황 1구 간 2구 간 - 115 - 붕적토층과 3구 간 기반암 사이에 점토층 4구 간 군부대지역 5구 간 6구 간 <그림 3.2.2-12> 신동아APT 지구의 조사구간 총괄현황도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15 -
  • 12. ① 신동아APT-1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30°이며, 하부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10° 내외)를 이루고 있음. <그림 3.2.2-13> 신동아APT-1구간 전경 - 116 -
  • 1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지반상태 - 상부에서 흘러내려온 전석들과 유송잡물이 좌우 양안에 퇴적되어 있으며, 퇴적층의 두께는 1.5∼ 2.5m정도임. 약 폭 10∼15m의 계곡부가 형성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다량의 유수가 흐르고 있음(그림 3.2.2-14). <그림 3.2.2-14> 상부에서 흘러내린 퇴적물 다. 대책방안검토 - 대규모 사방댐 등을 설치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는 토사, 전석, 유송잡물 등을 차단하고, 주기적으로 퇴적물들을 준설하여야 함. ② 신동아APT-2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15°으로서 15∼20°의 사면경사를 이루고 있음. 사면의 경사가 완만해지 는 구간으로 붕적층이 두껍게 존재하고 있음. -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온 토사, 전석, 유송잡물 등이 퇴적되어 있으며, 붕적층 중앙부에 폭 5m정도의 소규모 계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 - 117 -
  • 14. <그림 3.2.2-15> 래미안APT-2구간 전경 나. 기반암 노출 - 붕적층 하부에 노출된 기반암은 풍화가 심하며, 붉은색을 띠고 있음. 대상지역의 암석은 황화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흑운모호상편마암으로서 지하수 또는 강우와 접촉시 산화철이 생성되어 붉은색 을 띄며, 이로 인해 쉽게 풍화되는 특성이 있음. <그림 3.2.2-16> 중앙부의 소규모 계곡부와 기반암 노출 다. 지반상태 - 붕적층이 약 2∼3m의 두께로 발달하고 있으며, 과거의 산사태로 인하여 퇴적된 debris 퇴적층과 상부 세립질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 붕적층은 퇴적시기별 층상을 이루고 있으며, 붕적층 하부에 암회색의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음(그림 3.2.2-17). - 우측부 기반암 노출면에는 폭이 0.5m인 단층점토층이 혼입되어 있음(그림 3.2.2-18). - 118 -
  • 1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17> 층상을 이루고 있는 붕적층 - 119 -
  • 16. <그림 3.2.2-18> 기반암에 위치한 단층점토층 - 120 -
  • 1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라. 대책방안검토 - 체크댐, 골막이 등을 설치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는 토사 및 유수의 속도를 완화시키고, 계곡양안 사면 에 암반풍화, 토사침식 및 붕괴를 막기 위한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해야 함. ① 신동아APT-3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55°로서 산사태 발생폭이 매우 넓으며 다양한 크기의 전석과 암괴가 퇴적 되어 있음. 약 2m의 직경을 갖는 암괴도 이동되어 퇴적되어 있음(그림 3.2.2-20). <그림 3.2.2-19> 신동아APT-3구간 전경 <그림 3.2.2-20> 퇴적된 다양한 크기의 전석 및 암괴 - 121 -
  • 18. 나. 지반상태 - 붕적층이 약 1m 두께로 발달하고 있으며, 다량의 유수가 흘러내려가고 있음. 붕적층 하부에 존재하는 기반암은 풍화가 심하여 붉은색을 띠고 있음. <그림 3.2.2-21> 붕적층 및 하부 기반암 다. 대책방안검토 - 대상지역은 붕괴폭이 상당히 크므로 중앙부에 각종 전석을 제거하고,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그리고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배수로의 선형과 크기 를 적절하게 설치하여야 함. ④ 신동아APT-4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25°로서 붕괴면 경사는 20∼25°이며, 좌측부에 기존 배수로가 붕괴되어 끊어져 있음. - 122 -
  • 1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22> 신동아APT-4구간의 전경 - 123 -
  • 20. 나. 배수로 붕괴 - 기존 배수로는 금번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되었으며, 배수로의 높이는 1.1m이고, 폭 1.5m로 조성되어 있음(그림 3.2.2-23 및 그림 3.2.2-24). - 배수로는 붕적층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로 하부에 위치한 붕적층의 두께는 약 1.3m임(그림 3.2.2-25). <그림 3.2.2-23>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하부) - 124 -
  • 2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2-23>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하부)(계속) <그림 3.2.2-24>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상부) - 125 -
  • 22. <그림 3.2.2-24>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배수로 (상부)(계속) <그림 3.2.2-25> 붕적층 상부에 위치한 배수로 - 126 -
  • 2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붕괴된 배수로 주변에 노출된 붕적층은 2.5∼3.0m의 두께를 가지며, 2개층으로 구분되어 있음. 이는 과거에 시기를 달리하여 2회의 산사태가 발생되어 퇴적된 것으로 판단됨. 상부에 위치한 암회색의 퇴적층은 0.3∼0.5m의 두께로 존재하며, 하부에 위치한 적갈색 퇴적층은 2.4m두께로 존재하고 있음 (그림 3.2.2-26). B층 A층 <그림 3.2.2-26>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붕적층 - 127 -
  • 24. 다. 지반상태 - 대상구간의 하부에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에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으며, 집적된 점토층의 방향은 기반암과 붕적층의 경계부와 평행하게 나타나고 있음(그림 3.2.2-27). - 단층과 단층점토가 발달하며, 단층과 평행한 방향의 절리가 발달함으로 인하여 기반암이 많이 파쇄되 어 있음(그림 3.2.2-28). <그림 3.2.2-27>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그림 3.2.2-28> 단층대와 암반파쇄대 양상 - 128 -
  • 2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대상구간의 중간부 이끼류로 피복되어 있는 두께 1.0∼1.5m의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이끼류로 피복된 층의 두께는 약 0.3∼0.4m임(그림 3.2.2-29). <그림 3.2.2-29> 붕적층 상부에 피복된 이끼류 식물 - 대상구간의 상부에도 하부에서와 마찬가지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경계부에 층상으로 암회색의 점토층이 존재하고 있음(그림 3.2.2-30). - 우측부 붕적층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과거에 시기를 달리하여 발생된 산사태로 인하 여 형성된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31). - 129 -
  • 26. <그림 3.2.2-30> 붕적층과 기반암 사이의 암회색 점토층 <그림 3.2.2-31> 3개의 층상을 보이는 붕적층 - 130 -
  • 27.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라. 대책방안검토 - 붕괴된 배수로를 정비하고 통수능을 고려한 배수로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토층의 두께가 비교적 깊으므로 다열의 골막이를 설치하거나, 사방시설을 설치하여 토사가 하부로 흘러내려가지 못하도록 할 필요없음. ⑤ 신동아APT-5구간 가. 개요 - 토석류 산사태 진행방향은 320°로서, 범바위 약수터 인근으로 다량의 물이 유출되고 있음. 범바위 약수터는 금번 산사태로 인하여 붕괴된 상태임(그림 3.2.2-33). - 산사태 발생폭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고 경사가 완만해지는 경향이 있음. <그림 3.2.2-32> 신동아APT-5구간의 전경 - 131 -
  • 28. <그림 3.2.2-33> 붕괴된 범바위 약수터 - 132 -
  • 2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나. 지반상태 -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에 암회색 점토층이 기반암과 평행하게 발달하고 있음. 암회색 점토층의 폭은 약 20cm로서 암편을 포함하고 있음(그림 3.2.2-34). <그림 3.2.2-34>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암회색 점토층 - 사면붕괴 발생구간의 좌우측면에 추가적인 붕괴가능성이 있는 붕적층이 약 0.3~0.5m두께로 존재하 고 있음(그림 3.2.2-35). <그림 3.2.2-35> 좌우측면에서의 토층 붕괴 - 133 -
  • 30. <그림 3.2.2-35> 좌우측면에서의 토층 붕괴(계속) - 대상구간에서 토층붕괴는 기반암을 따라서 발생된 것으로 판단됨. 붕괴토층의 하부에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그림 3.2.2-36). <그림 3.2.2-36> 붕괴면 하부에 노출된 기반암 - 134 -
  • 31.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다. 대책방안검토 - 대상구간의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 등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 지하수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상구간의 경우 지하수배수공을 적용하거나, 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표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지하수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 ⑥ 신동아APT-6구간 가. 개요 - 산 정상부에서 사면붕괴가 발생되었으며, 사면붕괴 발생방향은 275°이며, 사면경사는 약 35°임(그림 3.2.2-37). <그림 3.2.2-37> 신동아APT-6구간의 붕괴 발생구간 - 135 -
  • 32. <그림 3.2.2-37>신동아APT-6구간의 붕괴 발생구간(계속) - 136 -
  • 3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주변에 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고 있어 예전부터 사면붕괴가 발생된 지역임을 알 수 있음(그림 3.2.2-38). <그림 3.2.2-38> 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나. 소규모 사면붕괴 - 기존 등산로 하부에 소규모 사면붕괴가 발생되었으며, 붕괴깊이는 약 0.5m이며, 폭은 약 3m, 길이는 약 7m임. <그림 3.2.2-39> 등산로 하부에서 발생된 소규모 사면붕괴 - 137 -
  • 34. 다. 지반상태 - 기존 등산로 하부에 있는 붕적토층의 깊이는 0.5m정도이며, 일부 구간에서는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음. <그림 3.2.2-40> 퇴적된 붕적토층 <그림 3.2.2-41> 기반암 노출 - 138 -
  • 35.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사면붕괴 발생위치의 하부에는 토층이 1.5∼2.0m정도로 두껍게 존재하고 있음. 본 위치에서의 토층 은 세립분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됨(그림 3.2.2-42). <그림 3.2.2-42> 사면붕괴 발생위치 하부의 토층 라. 대책방안검토 - 붕괴면의 상부에 군부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쏘일네일링, 앵커 등과 같은 적극적인 사면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사면을 보강할 필요없음. - 대상구간의 좌우 양안에 기슭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 침식 및 붕괴를 방지시켜야 함. 3.2.3 원인분석 1) 집중호우 - 우면산 주변에 위치한 서초관측소와 남현관측소의 강우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사태가 발생된 7월 27일 오전 07:40∼08:40 사이의 최대 1시간 강수량은 서초관측소의 경우 85.5mm, 남현 관측소의 경우 112.5mm로 측정됨. 서초와 남현관측소의 관측된 강우량을 산술평균치는 99mm 로 약 50년 빈도에 해당됨. - 그리고 7월 26일 16:00부터 7월 27일 16:00까지 1일 누적강수량은 서초관측소의 경우 364.5mm, 남현관측소의 경우 424.5mm로 측정됨. 서초와 남현관측소의 관측된 강우량을 산술평균치는 394.5mm 로 약 60년 빈도에 해당됨. - 139 -
  • 36. 2) 과거 붕괴이력으로 인한 두꺼운 붕적층 - 신동아APT 지구 산사태 발생구간에서는 사면의 하부로부터 고도 약 170m까지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붕적층이 존재하고 있음. - 2010년 태풍 ‘곤파스’로 인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신동아APT 지구 인접 골짜기에서 유사한 형태의 산사태가 발생된 바 있음. -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붕적층은 이전에 시기를 달리하는 산사태가 발생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 되며, 이 구간에서는 과거에 산사태 발생으로 인한 debris(토석 및 잡석)의 퇴적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사료됨. 3) 높은 지하수위 - 우면산의 경우 사면의 고도 200∼225m구간에 6개의 약수터가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음. - 산사태가 발생된 위치에서도 범바위 약수터, 유점사 약수터(상), 덕우암 약수터가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음(그림 3.2.3-3). - 따라서 신동아APT지구의 경우에도 범바위 약수터 주변고도까지 지하수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 (그림 3.2.3-4). 4)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 현장조사결과 신동아APT 지구 산사태 발생구간에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암회색 점토층이 존재하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은 대상지역의 사면활동면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지역에서 보다 산사태가 발생되기 쉬울 것으로 판단됨. 5) 얕은 토층과 나무뿌리의 얕은 활착 - 대부분 토층의 깊이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식생이 조밀하게 자라고 있어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가 깊게 내리지 못하고 있음. 이러한 생육조건에서 2010년 9월 태풍 곤파스로 인해 토층이 많이 이완되 어 있어 이번 집중강우에 쉽게 넘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됨. 이 지역 주요 수종인 잣나무는 소나무 등 다른 나무에 비해 뿌리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아 토양을 얽매는 힘이 약하고 길고 튼튼한 상체에 비해 하체가 부실한 편으로 산사태에 취약함. - 140 -
  • 37. N 4 1구 간 - 141 - 2구 간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 한 산 사 태 4구 간 5구 간 군 부 대 지 역 6구 간 <그림 3.2.3-1> 2개 이상의 층상을 이루는 붕적층 위치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41 -
  • 38. <그림 3.2.3-2> 산사태 이력(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 142 -
  • 39.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3-3> 산사태 이력(나무가 휘어져서 생장하는 모습) - 143 -
  • 40. N 4 - 144 - 예상 지하수위 군부대지역 <그림 3.2.3-4> 대상지구의 지하수위 추정 - 144 -
  • 41. N 4 1구 간 2구 간 - 145 - 3구 간 태 풍 ‘곤 파 스 ’로 인 한 산 사 태 4구 간 5구 간 군 부 대 지 역 6구 간 <그림 3.2.3-5> 붕적층과 기반암사이의 점토층 출현 위치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 146 -
  • 42. <그림 3.2.3-6> 얕은 토층과 뿌리활착불량 - 146 -
  • 43.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 <그림 3.2.3-6> 얕은 토층과 뿌리활착불량(계속) - 147 -
  • 44. 3.2.4 추정 붕괴 과정 1) 집중호우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얕은깊이의 활동파괴와 표층유실이 발생. 2) 사면붕괴로 인해 발생된 사태물질이 계곡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 3) 사태물질 이동시 계곡 하부 및 측면부에 존재하는 붕적토, 자갈, 암괴와 함께 이동. 4) 사태물질이 하부로 흘러내려가다가 흐름방향이 바뀌거나 계곡의 폭이 좁아지는 구간에서 유목 등으로 인해 임시 차단. 5) 이후 지속적인 강우와 계속적인 활동파괴 및 표층유실로 임시 퇴적된 사태물질이 한꺼번에 하부로 유동 하여 신동아APT에 충격. - 148 -
  • 45. - 149 - 제3장 산사태 원인 및 대책방안 <그림 3.2.4-1> 대상지구의 붕괴개념도 ∎∎∎ - 150 -
  • 46. 3.2.5 대책방안 제안 - 151 - -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