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시경과 만엽집 , 현대유행가로 알아
본 이데올로기의 변화

0978398 황희선 1313065 오
하경
1346024 이윤하 1301375 이
혜선
우리가 오늘 살펴볼 것
은

Contents 1

중국의 시경

Contents 2

일본의 만엽집

Contents 3

Theme 1. 사회 비판

Contents 4

Theme 2. 군주와 신하

Contents 5

Theme 3. 사랑의 증표

Contents 6

Theme 4. 새

Contents 7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점과 차
이점
영화 ‘연인’ 중 가인
곡
북방에 가인 있어
세상에 둘도 없는 절세 미인
한 번 눈길에 성이 기울고
두 번 눈길에 나라 기우네
어찌 나라 기우는 것을 모르리
다만 미인은 다시 얻기 어려워라
중국의 시경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중국의 시경
1. 어떤 것 ?
•
•

황허강 중류 중원 지방의 시
본디 3,000 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 편으로 간
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 오늘날 전하는 것
은 305 편

2. 제작 시기

주나라 초 ~ 춘추시대 초
춘추시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음악으로
사용
음악적 요소들이 점차 상실
진대의 분서갱유 이후 한대에 이르러 시
가 의미를 판별하는 것만으로 사용
중국의 시경
3. 활용
• 채시관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
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
치에 참고
•조정의 악관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
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
중국의 시경
4. 내용
•각부를 통하여 상고인의 유유한 생활을 구가하는 시
•현실의 정치를 풍자하고 학정을 원망하는 시
중국의 시경
5. 배경 사상 _ 공자가 시경을 편찬한 이
유
천하가 어지러운 춘추시대에 유교 사상이 태어남
당시 최고의 덕목은 ‘인’ 이를 기반으로 ‘치국평천하’를 하는 것이
당대 최고의 목적
‘ 음악 ' 의 사회적 기능 : 심성 도야 , 민풍 순화
☞ 음악이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풍조와 관습을 바꾸어 사회구성원 전체
의 도덕수양과 심미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
‘ 음악’과 사회의 관계
사회정감실천으로서의 ‘흥 ( 興 )’
사회도덕에 대한 관찰로서의 ‘관 ( 觀 )’
사회적 협조관계로서의 ‘군 ( 群 )’
사회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합리적 비판으로서의 ‘원 ( 怨 )’
일본의 만엽집 ( 萬
葉集 )
일본의 만엽집
1. 어떤 것 ?
•
•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높은 경지의 문학인 일본
의 고대 문화유산
단가 ( 短歌 ) 및 장가 ( 長歌 ) 등의 노래가 총 4500
여 수 수록

2. 서명의 유래
•
•
•

만요슈라고도 읽는다 .
엽 ( 葉 ) 을 시가 ( 詩歌 ) 로 해석해 , ‘ 많은 시가를 모은
책’
엽 ( 葉 ) 을 ‘대 ( 代 )’, ‘ 세 ( 世 )’ 의 의미로 해석해 ‘만
세에까지 영원히 전해져야만 할 가집’
일본의 만엽집

3. 시기별 구분 : 4C~8C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조메이 천황 ( 舒明天皇 ) 시대인 629 년부터 준닌 천황 ( 淳仁天皇 ) 시대인 759
년까지
특히 ! 만엽시대 (645~759) 는 다이카 개신 ( 大化改新 ) 으로 인해 활발한 작
일본의 만엽집
4. 내용
일본의 만엽집
5. 배경 사상

신도 사상

불교 사상

선조신 숭앙 및
자연 숭배

무상 관념

1. Description of the contents
일본의 만엽집
6. 특징
오랜 세월에 걸쳐 위로 천황에서부터 아래로는 서민 · 한량에 이르기까지
작자가 각양각색이다 .
고대인들이 가졌던 즉흥적이고 의욕적인 힘인 섬약한 아름다움이
여과되지 않은 발랄한 생명의 숨소리를 느낄 수 있다 .
가체 ( 歌體 ) 가 일정하지 않고 표현형식도 모두 다르다 .

이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이나 장소가 매우 다양하다 .

사용한 어휘가 생활실태와 밀착된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시대별 ( 時代別 ) 언어 연구에는 이 가집이 기본이 된다 .
Theme 1. 사회비판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Theme 1. 사회비판 _ 공통
점
1. 서태지 _ 시대유감
검게 물든 입술 / 정직한 사람들의 시대는 갔어
숱한 가식 속에 / 오늘은 아우성을 들을 수 있어
( 중략 )
모두를 뒤집어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네 (wow!)
가식적이고 거짓된 세상을 뒤엎고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
라는
소망이 담겨져 있다 .
2. 시경 _ 큰 쥐
큰 쥐야 , 큰 쥐야 , 우리 곡식 먹지 마라
세 해나 너를 섬겼거늘 나를 보살피지 않는구나
이제는 너를 떠나 저 즐거운 마을로 가련다
즐거운 마을 , 즐거운 마을 , 누가 길이 울부짖으리
지배 계급의 가렴주구에 시달리던 하층민이 그에 대한 불만
을 표시
착취가 없는 이상세계를 동경
자세한 내용은 다를지라도 고대 중국인과 현대인
Theme 1. 사회비판 _ 차이
점
1. 빅뱅 _Dirty Cash
눈 뜨면 뭐가 돈 될까 머리 또 굴리지 / dirty cash 에 배부른 니 주머니
제발 좀 작작해 독 같은 dirty money / 부모 형제와 친구마저도 버린 거니
학교에선 하얀 마음대신 하얀 봉투들이 사랑이고
사과 하나 없는 사과 상자 속엔 비열한 자들의 욕심이 가득해
☞ 물질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비판
2. 시경 _ 하루살이
쾅쾅 바퀴 감 베어 황하 가에 놓으니 황하 물은 맑고도 일렁이네 .
뿌리지도 거두지도 않으면서 어이하여 삼백 더미나 받나 ?
새도 짐승도 사냥하지 않으면서 어이하여 그대 집 뜰에 걸린 메추리가 보이
나?
저 군자들은 놀고먹지는 않는다네 .
☞ 하층민들을 착취하는 귀족들의 실상을 드러내고 불만을 표시
☞ 과거에는 계층간의 부당함과 학정에 관련된 비판을 많이 한 반면
현대는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물질주의와 경쟁심화를 비판하는 노
래가 많다 .
Theme 1. 사회비판
☞ 시경은 사회비판과 관련된 것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
음
춘추시대에 이르러서야 ‘시경’이 편찬 되었기 때문에
고단한 백성들의 삶을 담은 작품들이 많음
이런 시들은 당대의 백성들과 치정자들의 생활 태도
를 엿볼
수 있고 더불어 태평성대를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동경도 반영되어 있음
☞ 만엽집은 사회비판에 관련된 것들을 찾기 힘듦
그저 단순히 일상적인 부분에 치중하여 있는 그대로
를
Theme 2. 군주와 신
하
Theme 2. 군주와 신하 _ 시
경
< 왕풍 > 내 < 토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 일이 없었는데
내가 자라난 이후로 , / 백 가지 근심을 겪게 되는 구나 ,
차라리 , 잠이 들어 어려운 일을 모르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
백 가지 걱정을 겪게 되는 구나 ./ 차라리 , 잠이 들어 알지나 말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
온갖 흉한 일을 다 보게 되는 구나 , / 차라리 , 잠이 들어 듣지나 말자 .
☞ 군왕이 믿음을 잃어 제후가 배반을 하여 군대가 패배한 시기에 나
온 것
선비는 나라의 장래를 근심하여 단순하게 비관을 하는 것이 아니
고
군왕에게 화자가 어렸을 때와 현재의 비극적인 상황을 비교하여
자신의
걱정되는 심정과 함께 그 원인과 결과를 가르쳐 주려고 함 .
왕이 그 원인을 고쳐 치국에 더욱 힘써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
Theme 2. 군주와 신하 _ 만엽
집
1. 19-4260
대왕님은 신이다 아카고마 늪지 밭을 서울로 만드시네
2. 19-4261
대왕님은 신이시어라 물새 많은 늪지 서울로 만드시니
☞ 신에 대한 외경심 , 신은 전지전능자라는 신념으로 신
을 자연
속의 존재로 추구
지배자의 권력과 부합되어 ‘천황은 신’라는 현신사상
반영
샤머니즘을 근간으로 한 도교와 신선 사상이 결합되
어 나옴
Theme 2. 군주와 신하

☞ 시경에서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유교적 덕목 중 ‘충’을
중시
이는 군주에게 간언을 하면서 유교적으로 이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왕과 신하가 서로 얘기
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
☞ 만엽집에서는 군주를 신적인 존재로 인식
이는 일본 전통의 신도사상이라고 하여 도교에 근거
하는
신선사상과 관련되어 나옴
Theme 3. 사랑의 증
표
Theme 3. 사랑의 증표 _ 현
대
1. 2AM_ 이 노래
예쁜 목걸일 사주고 싶지만
멋진 차를 태워주고 싶지만
예쁜 옷을 입혀주고 싶지만

☞ 상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한다 .
더불어 상대에 대한 애정을 물건을 줌으로써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Theme 3. 사랑의 증표 _ 시
경
1. 『야유사균』
들에 죽은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싸다 줬지요 . 아가씨 봄날 그리
는
님 있으니 , 미쁜 사나이가 유혹하지요 . 숲에는 잔 나무가 있고 , 들
에는 죽은
큰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묶나니 , 옥같은 여자가 있네요
2. 『한풍 , 목과 3 장』
내게 모과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패옥으로 하고 ( 중략 )
내게 복숭아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아름다운 구슬로 하고 |( 중
략)
☞ 고대사회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구애를 할 때 사냥한 들짐승을 여
자에게 주었음
여자들이 밭에서 쉽게 딸 수 있는 과일을 남자에게 줌으로써 자
신의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고 서로 잘 지내자고 하는 풍습
이에 대응하여 남자는 자신이 지니고 있던 옥 종류의 패물을 줌
으로써 그 구애에 화답하는 것이 일종의 풍조였음
Theme 3. 사랑의 증표 _ 만엽
집
1. 1092 / 작자미상
속옷에 배는 만큼은 비야 내리지 마라 , 내 아내의 속옷을 입고 있으
니
2. 권 16 : 3809 / 작자미상
산 물건을 불량품도 아닌데 제멋대로 계약을 깨고 되돌려줘도 좋다는
법률이
이 천자의 나라에 있다고 한다면 제가 당신에게 주었던 속옷은 반송
되어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디 그런 법률이 있던가요 ?
☞ 옛날에 일본에는 사랑하는 남녀가 서로 속옷을 교환해서 입고 상
대의
안전을 기원하는 풍습
남자가 변심할 경우 남자는 여자에게서 받은 속옷을 되돌려 줌
그 속옷을 받은 여자는 그것을 파경으로 해석
사랑하는 마음을 속옷이라는 증표로 표현
Theme 3. 사랑의 증표
☞ 시경과 만엽집 모두에서 자유 연애를 하고 있음을 시사
모두 거리낌 없이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으나
조심스러웠던 자세들을 엿볼 수 있음
더불어 당시의 사회 풍조를 알 수 있음
☞ 시경에서의 경우 고대 사회가 수렵사회임을 시사
노루고기와 채집한 열매로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풍조
☞ 만엽집은 속옷을 사랑의 증표로 인식
당대의 사회상으로 봤을 때 속옷을 그만큼 귀중하게
여긴 것이므로 자신의 사랑의 증표로 쓰인 것이라고
해석 가능
Theme 4. 새
Theme 4. 새 _ 시경
1. 권아 제 1 장
봉황이 날으며 / 우르를 날개소리 치고
멈출곳에 모여드네 / 많고 많은 왕의 길사들
군자의 사자들로 / 천자에게 사랑 받네
2. 권아 제 3 장
봉황 울음소리 / 저 높은 언덕에서 들리네
오동나무가 자라는 곳 / 저 산 동쪽 양지 바른 곳이로다
오동나무 무성하고 / 봉황 우는 소리 화락하도다
☞ 봉황은 신조 ( 神鳥 ) 로 천하가 평안함을 잘 나타냄으로써 현군
을 상징 .
더불어 이 새의 성질이 변함없이 일정하므로 이를 비유적으로
표현 .
☞ 특히 시경에서는 새를 이용하여 시의 ( 詩義 ) 를 표현한 방법
새의 아름다운 외모 , 새의 습성 , 새의 울음 , 나는 모습
Theme 4. 새 _ 만엽집
1. 8.1494
여름의 산 나무 끝 잎과 가지가 무성한데 두견새 우는소리 울리는 듯
하구나 .
2. 5.827
봄이 오면 , 매화나무 가지에 몰래 숨어서 꾀꼬리는 울면서 옮겨 다
니네 .
매화가 흩날리는 가지 아래로 매화가 흩날리는 언덕 가에는 꾀꼬리
울고
있네 .
☞ 계절마다 나오는 대표적인 새들을 의미함 .
이는 고대인들이 자연과 친화했음을 알 수 있다 .
☞ 계절에 대한 표현이 하나의 정 형화된 형식으로 발전해 나간다 .
- 봄 : 꾀꼬리 , 여름 : 두견새 , 가을 : 기러기 , 겨울 : 학
Theme 4. 새
☞ 시경에서의 새는 ‘치국평천하’를 이루는 ‘군자’가 되기
위해 함양해야 할 자세들과 관련하여 많은 것들을 표
현
이는 당시 어지러웠던 춘추 전국 시대였기 때문에 ‘군
자’가
되기 위한 사회적인 열망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음
새를 상징으로서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함
☞ 만엽집에서는 계절별로 대표하는 새들이 있음
그러나 시경과는 달리 어떤 다른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음
이는 도가사상의‘무위자연’과 불가의 ‘무아’등 이상을
담아냄
시경과 만엽집의 공
통점과 차이점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시경과 만엽집의 차이
점
항목

시경

만엽집

사상

유교사상
=‘ 仁’을 바탕으로 한
‘ 치국평천하’

도교와 불교
= 인간 이외의 것은 모두 ‘
신’이라고 규정

내용

사회비판 , 사랑 ,
군자에 대한 표현
그러나 순수한 자연의 변
화와 관련된 시는 찾아보
기
힘듦

사계절의 변화
식물 , 사랑 등에 대한 표현
은 있으나 사회비판이나
군자를 표현 하는 등의 표
현은
미미함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
점
1. 각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들이다 .
2. 당대의 사상 , 의식 , 생활풍습들을 잘 반영하여 매우 가치 있다 .
3. 당시 나라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백성들의 민심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들
을 수집했다 .
4. 백성들에게 자신들의 지배 이념을 심어주기 위해 직접 만들어 퍼뜨리기도
했다 .
5. 자연물을 이용하여 상징성을 부여함
5. 후대 문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시경 , 만엽집 그리고 현
대
같은 문화권이었기 때문에 표현하는 방법이
나 상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테마
를 네 개로 나눠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비슷
한 풍습이나 생활양식 등이 많았다 .
더불어 과거와 현재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
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의 변화 , 생활양식 ,
풍습 등을 살펴보면서 동일한 문화권 내에
서 어떻게 자주적인 문학양식이 발전했는지
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1. 단행본
남종진 역주 , 『명언과 역사로 보는 시경 이야기』 , ( 다산미디어 , 2008)
류종목 외 3 명 역주 , 『시경 초사』 , ( 명문당 ,2012)
2. 논문
김해명 , 「공자의 음악사상이 갖는 교육 · 사회적 의미」 , ( 『중어중문학 41 』
, 2007)
박충순 , 「시경을 통해 본 시대고」 , ( 『중어중문학 6 』 , 1984)
오만종 , 「중국 사대부의 정치적 역할과 시경해석」 , ( 『중국인문과학 32 』 ,
2006)
임성철 , 「시조와 만엽집의 자연관」 , ( 『일본문화 연구 29 』 ,2009)
최광준 , 「 만요슈에 보이는 자연과 재해 」 ,( 『일어일문학 56 』 ,2012)
황명천 , 「만요슈 의 사상」 , ( 『일본문화연구 21 』 ,2007)
참고문헌
3. 사이트
< 고전해설 ZIP>,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66&docId=730917&mobile&categoryId=1073
< 두산백과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00000000&docId=1117822&mobile&categoryId=200000803
위와 동일 ,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00000000&docId=1091415&mobile&categoryId=200000810
< 박헌순의 한시감상실 >, 2013.03.13. http://user.chollian.net/~tsym/
< 세계문학사 작은 사전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65&docId=892799&mobile&categoryId=1066
1조 시경과 만엽집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1조 시경과 만엽집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Hyun Chul Kim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saedwq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여성환경연대
 
5th 개조명운
5th 개조명운5th 개조명운
5th 개조명운guest28331d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godwww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cbs15min
 
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prdgy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Seungtaek Kim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여성환경연대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phghome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bongoti
 
6월 지혜의공간 ii
6월 지혜의공간 ii6월 지혜의공간 ii
6월 지혜의공간 ii
Dong-Joon Kim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Henry Hyeongrae Kim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문 예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여성환경연대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Hanscoaching
 
유자소전 1610김준식
유자소전   1610김준식유자소전   1610김준식
유자소전 1610김준식CUP+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나라사랑 국가 상징물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parkds2
 

Similar to 1조 시경과 만엽집 (20)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
2011 고구려의 북을 울려라 취지문 프린트용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
하334 사설시조(辭說時調)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7호 (소식지, 2003)
 
5th 개조명운
5th 개조명운5th 개조명운
5th 개조명운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
성과문학 프리젠테이션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52만 6,500자의 메시지 @김영수 (사)한국사마천학회 회장
 
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땡땡해방 정민
땡땡해방 정민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정민, [용산2가동(해방촌)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대략적인 기술]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9호 (소식지, 2002)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박홍근홈패션 2013 여름호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어린이잡지 <개똥이네 놀이터> 소개
 
6월 지혜의공간 ii
6월 지혜의공간 ii6월 지혜의공간 ii
6월 지혜의공간 ii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도시 농업으로 부식은 자급하자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8호 (소식지, 2001)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
프로이트와 이별하다(무료도서)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
60.故문순홍님 추모모임에 다녀오신 정상명 님의 글
 
K.study. 9.5
K.study. 9.5K.study. 9.5
K.study. 9.5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유자소전 1610김준식
유자소전   1610김준식유자소전   1610김준식
유자소전 1610김준식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나라사랑 국가 상징물
나라사랑 국가 상징물
 

More from 윤하 이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윤하 이
 
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제출용 최종 Lesson plan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윤하 이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윤하 이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윤하 이
 
제출용 최종보고서
제출용 최종보고서제출용 최종보고서
제출용 최종보고서
윤하 이
 
Between wireframe 최종
Between wireframe 최종Between wireframe 최종
Between wireframe 최종
윤하 이
 
Scratch
ScratchScratch
Scratch
윤하 이
 
File download
File downloadFile download
File download
윤하 이
 
File download (2)
File download (2)File download (2)
File download (2)
윤하 이
 
Behavriorism
BehavriorismBehavriorism
Behavriorism
윤하 이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윤하 이
 
우글피피티 끝
우글피피티 끝우글피피티 끝
우글피피티 끝윤하 이
 

More from 윤하 이 (13)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제출용 Facilitator guidance
 
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제출용 최종 Lesson plan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제출용 최종 Lesson plan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lide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제출용 최종Student guidance swing
 
제출용 최종보고서
제출용 최종보고서제출용 최종보고서
제출용 최종보고서
 
Between wireframe 최종
Between wireframe 최종Between wireframe 최종
Between wireframe 최종
 
Scratch
ScratchScratch
Scratch
 
Mail complex
Mail complexMail complex
Mail complex
 
File download
File downloadFile download
File download
 
File download (2)
File download (2)File download (2)
File download (2)
 
Behavriorism
BehavriorismBehavriorism
Behavriorism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
우리는 하나조 Ppt 최종 완성본 [복구]
 
우글피피티 끝
우글피피티 끝우글피피티 끝
우글피피티 끝
 

1조 시경과 만엽집

  • 1. 시경과 만엽집 , 현대유행가로 알아 본 이데올로기의 변화 0978398 황희선 1313065 오 하경 1346024 이윤하 1301375 이 혜선
  • 2. 우리가 오늘 살펴볼 것 은 Contents 1 중국의 시경 Contents 2 일본의 만엽집 Contents 3 Theme 1. 사회 비판 Contents 4 Theme 2. 군주와 신하 Contents 5 Theme 3. 사랑의 증표 Contents 6 Theme 4. 새 Contents 7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점과 차 이점
  • 3. 영화 ‘연인’ 중 가인 곡 북방에 가인 있어 세상에 둘도 없는 절세 미인 한 번 눈길에 성이 기울고 두 번 눈길에 나라 기우네 어찌 나라 기우는 것을 모르리 다만 미인은 다시 얻기 어려워라
  • 4. 중국의 시경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 5. 중국의 시경 1. 어떤 것 ? • • 황허강 중류 중원 지방의 시 본디 3,000 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 편으로 간 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 오늘날 전하는 것 은 305 편 2. 제작 시기 주나라 초 ~ 춘추시대 초 춘추시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음악으로 사용 음악적 요소들이 점차 상실 진대의 분서갱유 이후 한대에 이르러 시 가 의미를 판별하는 것만으로 사용
  • 6. 중국의 시경 3. 활용 • 채시관을 파견해 거리에 나돌고 있는 노래 며 가사들을 모아 민심의 동향을 알아보고 정 치에 참고 •조정의 악관에게 곡조를 붙이게 해 다시 유 행시킴으로써 민심의 순화
  • 7. 중국의 시경 4. 내용 •각부를 통하여 상고인의 유유한 생활을 구가하는 시 •현실의 정치를 풍자하고 학정을 원망하는 시
  • 8. 중국의 시경 5. 배경 사상 _ 공자가 시경을 편찬한 이 유 천하가 어지러운 춘추시대에 유교 사상이 태어남 당시 최고의 덕목은 ‘인’ 이를 기반으로 ‘치국평천하’를 하는 것이 당대 최고의 목적 ‘ 음악 ' 의 사회적 기능 : 심성 도야 , 민풍 순화 ☞ 음악이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풍조와 관습을 바꾸어 사회구성원 전체 의 도덕수양과 심미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 ‘ 음악’과 사회의 관계 사회정감실천으로서의 ‘흥 ( 興 )’ 사회도덕에 대한 관찰로서의 ‘관 ( 觀 )’ 사회적 협조관계로서의 ‘군 ( 群 )’ 사회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합리적 비판으로서의 ‘원 ( 怨 )’
  • 9. 일본의 만엽집 ( 萬 葉集 )
  • 10. 일본의 만엽집 1. 어떤 것 ? • • 일본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높은 경지의 문학인 일본 의 고대 문화유산 단가 ( 短歌 ) 및 장가 ( 長歌 ) 등의 노래가 총 4500 여 수 수록 2. 서명의 유래 • • • 만요슈라고도 읽는다 . 엽 ( 葉 ) 을 시가 ( 詩歌 ) 로 해석해 , ‘ 많은 시가를 모은 책’ 엽 ( 葉 ) 을 ‘대 ( 代 )’, ‘ 세 ( 世 )’ 의 의미로 해석해 ‘만 세에까지 영원히 전해져야만 할 가집’
  • 11. 일본의 만엽집 3. 시기별 구분 : 4C~8C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조메이 천황 ( 舒明天皇 ) 시대인 629 년부터 준닌 천황 ( 淳仁天皇 ) 시대인 759 년까지 특히 ! 만엽시대 (645~759) 는 다이카 개신 ( 大化改新 ) 으로 인해 활발한 작
  • 13. 일본의 만엽집 5. 배경 사상 신도 사상 불교 사상 선조신 숭앙 및 자연 숭배 무상 관념 1. Description of the contents
  • 14. 일본의 만엽집 6. 특징 오랜 세월에 걸쳐 위로 천황에서부터 아래로는 서민 · 한량에 이르기까지 작자가 각양각색이다 . 고대인들이 가졌던 즉흥적이고 의욕적인 힘인 섬약한 아름다움이 여과되지 않은 발랄한 생명의 숨소리를 느낄 수 있다 . 가체 ( 歌體 ) 가 일정하지 않고 표현형식도 모두 다르다 . 이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이나 장소가 매우 다양하다 . 사용한 어휘가 생활실태와 밀착된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시대별 ( 時代別 ) 언어 연구에는 이 가집이 기본이 된다 .
  • 15. Theme 1. 사회비판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 16. Theme 1. 사회비판 _ 공통 점 1. 서태지 _ 시대유감 검게 물든 입술 / 정직한 사람들의 시대는 갔어 숱한 가식 속에 / 오늘은 아우성을 들을 수 있어 ( 중략 ) 모두를 뒤집어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라네 (wow!) 가식적이고 거짓된 세상을 뒤엎고 새로운 세상이 오기를 바 라는 소망이 담겨져 있다 . 2. 시경 _ 큰 쥐 큰 쥐야 , 큰 쥐야 , 우리 곡식 먹지 마라 세 해나 너를 섬겼거늘 나를 보살피지 않는구나 이제는 너를 떠나 저 즐거운 마을로 가련다 즐거운 마을 , 즐거운 마을 , 누가 길이 울부짖으리 지배 계급의 가렴주구에 시달리던 하층민이 그에 대한 불만 을 표시 착취가 없는 이상세계를 동경 자세한 내용은 다를지라도 고대 중국인과 현대인
  • 17. Theme 1. 사회비판 _ 차이 점 1. 빅뱅 _Dirty Cash 눈 뜨면 뭐가 돈 될까 머리 또 굴리지 / dirty cash 에 배부른 니 주머니 제발 좀 작작해 독 같은 dirty money / 부모 형제와 친구마저도 버린 거니 학교에선 하얀 마음대신 하얀 봉투들이 사랑이고 사과 하나 없는 사과 상자 속엔 비열한 자들의 욕심이 가득해 ☞ 물질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비판 2. 시경 _ 하루살이 쾅쾅 바퀴 감 베어 황하 가에 놓으니 황하 물은 맑고도 일렁이네 . 뿌리지도 거두지도 않으면서 어이하여 삼백 더미나 받나 ? 새도 짐승도 사냥하지 않으면서 어이하여 그대 집 뜰에 걸린 메추리가 보이 나? 저 군자들은 놀고먹지는 않는다네 . ☞ 하층민들을 착취하는 귀족들의 실상을 드러내고 불만을 표시 ☞ 과거에는 계층간의 부당함과 학정에 관련된 비판을 많이 한 반면 현대는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물질주의와 경쟁심화를 비판하는 노 래가 많다 .
  • 18. Theme 1. 사회비판 ☞ 시경은 사회비판과 관련된 것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 음 춘추시대에 이르러서야 ‘시경’이 편찬 되었기 때문에 고단한 백성들의 삶을 담은 작품들이 많음 이런 시들은 당대의 백성들과 치정자들의 생활 태도 를 엿볼 수 있고 더불어 태평성대를 꿈꾸는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동경도 반영되어 있음 ☞ 만엽집은 사회비판에 관련된 것들을 찾기 힘듦 그저 단순히 일상적인 부분에 치중하여 있는 그대로 를
  • 20. Theme 2. 군주와 신하 _ 시 경 < 왕풍 > 내 < 토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 일이 없었는데 내가 자라난 이후로 , / 백 가지 근심을 겪게 되는 구나 , 차라리 , 잠이 들어 어려운 일을 모르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 백 가지 걱정을 겪게 되는 구나 ./ 차라리 , 잠이 들어 알지나 말자 . 내가 어렸을 때에는 , 일이 없었는데 ./ 내가 자라난 이후로 , 온갖 흉한 일을 다 보게 되는 구나 , / 차라리 , 잠이 들어 듣지나 말자 . ☞ 군왕이 믿음을 잃어 제후가 배반을 하여 군대가 패배한 시기에 나 온 것 선비는 나라의 장래를 근심하여 단순하게 비관을 하는 것이 아니 고 군왕에게 화자가 어렸을 때와 현재의 비극적인 상황을 비교하여 자신의 걱정되는 심정과 함께 그 원인과 결과를 가르쳐 주려고 함 . 왕이 그 원인을 고쳐 치국에 더욱 힘써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
  • 21. Theme 2. 군주와 신하 _ 만엽 집 1. 19-4260 대왕님은 신이다 아카고마 늪지 밭을 서울로 만드시네 2. 19-4261 대왕님은 신이시어라 물새 많은 늪지 서울로 만드시니 ☞ 신에 대한 외경심 , 신은 전지전능자라는 신념으로 신 을 자연 속의 존재로 추구 지배자의 권력과 부합되어 ‘천황은 신’라는 현신사상 반영 샤머니즘을 근간으로 한 도교와 신선 사상이 결합되 어 나옴
  • 22. Theme 2. 군주와 신하 ☞ 시경에서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유교적 덕목 중 ‘충’을 중시 이는 군주에게 간언을 하면서 유교적으로 이상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왕과 신하가 서로 얘기 할 수 있는 존재임을 시사 ☞ 만엽집에서는 군주를 신적인 존재로 인식 이는 일본 전통의 신도사상이라고 하여 도교에 근거 하는 신선사상과 관련되어 나옴
  • 24. Theme 3. 사랑의 증표 _ 현 대 1. 2AM_ 이 노래 예쁜 목걸일 사주고 싶지만 멋진 차를 태워주고 싶지만 예쁜 옷을 입혀주고 싶지만 ☞ 상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인 단어로 표현한다 . 더불어 상대에 대한 애정을 물건을 줌으로써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 25. Theme 3. 사랑의 증표 _ 시 경 1. 『야유사균』 들에 죽은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싸다 줬지요 . 아가씨 봄날 그리 는 님 있으니 , 미쁜 사나이가 유혹하지요 . 숲에는 잔 나무가 있고 , 들 에는 죽은 큰 노루가 있는데 , 흰 띠풀로 묶나니 , 옥같은 여자가 있네요 2. 『한풍 , 목과 3 장』 내게 모과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패옥으로 하고 ( 중략 ) 내게 복숭아를 던져주기에 / 보답하기를 아름다운 구슬로 하고 |( 중 략) ☞ 고대사회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구애를 할 때 사냥한 들짐승을 여 자에게 주었음 여자들이 밭에서 쉽게 딸 수 있는 과일을 남자에게 줌으로써 자 신의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고 서로 잘 지내자고 하는 풍습 이에 대응하여 남자는 자신이 지니고 있던 옥 종류의 패물을 줌 으로써 그 구애에 화답하는 것이 일종의 풍조였음
  • 26. Theme 3. 사랑의 증표 _ 만엽 집 1. 1092 / 작자미상 속옷에 배는 만큼은 비야 내리지 마라 , 내 아내의 속옷을 입고 있으 니 2. 권 16 : 3809 / 작자미상 산 물건을 불량품도 아닌데 제멋대로 계약을 깨고 되돌려줘도 좋다는 법률이 이 천자의 나라에 있다고 한다면 제가 당신에게 주었던 속옷은 반송 되어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디 그런 법률이 있던가요 ? ☞ 옛날에 일본에는 사랑하는 남녀가 서로 속옷을 교환해서 입고 상 대의 안전을 기원하는 풍습 남자가 변심할 경우 남자는 여자에게서 받은 속옷을 되돌려 줌 그 속옷을 받은 여자는 그것을 파경으로 해석 사랑하는 마음을 속옷이라는 증표로 표현
  • 27. Theme 3. 사랑의 증표 ☞ 시경과 만엽집 모두에서 자유 연애를 하고 있음을 시사 모두 거리낌 없이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으나 조심스러웠던 자세들을 엿볼 수 있음 더불어 당시의 사회 풍조를 알 수 있음 ☞ 시경에서의 경우 고대 사회가 수렵사회임을 시사 노루고기와 채집한 열매로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풍조 ☞ 만엽집은 속옷을 사랑의 증표로 인식 당대의 사회상으로 봤을 때 속옷을 그만큼 귀중하게 여긴 것이므로 자신의 사랑의 증표로 쓰인 것이라고 해석 가능
  • 29. Theme 4. 새 _ 시경 1. 권아 제 1 장 봉황이 날으며 / 우르를 날개소리 치고 멈출곳에 모여드네 / 많고 많은 왕의 길사들 군자의 사자들로 / 천자에게 사랑 받네 2. 권아 제 3 장 봉황 울음소리 / 저 높은 언덕에서 들리네 오동나무가 자라는 곳 / 저 산 동쪽 양지 바른 곳이로다 오동나무 무성하고 / 봉황 우는 소리 화락하도다 ☞ 봉황은 신조 ( 神鳥 ) 로 천하가 평안함을 잘 나타냄으로써 현군 을 상징 . 더불어 이 새의 성질이 변함없이 일정하므로 이를 비유적으로 표현 . ☞ 특히 시경에서는 새를 이용하여 시의 ( 詩義 ) 를 표현한 방법 새의 아름다운 외모 , 새의 습성 , 새의 울음 , 나는 모습
  • 30. Theme 4. 새 _ 만엽집 1. 8.1494 여름의 산 나무 끝 잎과 가지가 무성한데 두견새 우는소리 울리는 듯 하구나 . 2. 5.827 봄이 오면 , 매화나무 가지에 몰래 숨어서 꾀꼬리는 울면서 옮겨 다 니네 . 매화가 흩날리는 가지 아래로 매화가 흩날리는 언덕 가에는 꾀꼬리 울고 있네 . ☞ 계절마다 나오는 대표적인 새들을 의미함 . 이는 고대인들이 자연과 친화했음을 알 수 있다 . ☞ 계절에 대한 표현이 하나의 정 형화된 형식으로 발전해 나간다 . - 봄 : 꾀꼬리 , 여름 : 두견새 , 가을 : 기러기 , 겨울 : 학
  • 31. Theme 4. 새 ☞ 시경에서의 새는 ‘치국평천하’를 이루는 ‘군자’가 되기 위해 함양해야 할 자세들과 관련하여 많은 것들을 표 현 이는 당시 어지러웠던 춘추 전국 시대였기 때문에 ‘군 자’가 되기 위한 사회적인 열망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음 새를 상징으로서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함 ☞ 만엽집에서는 계절별로 대표하는 새들이 있음 그러나 시경과는 달리 어떤 다른 것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음 이는 도가사상의‘무위자연’과 불가의 ‘무아’등 이상을 담아냄
  • 32. 시경과 만엽집의 공 통점과 차이점 Click to add sub titl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 33. 시경과 만엽집의 차이 점 항목 시경 만엽집 사상 유교사상 =‘ 仁’을 바탕으로 한 ‘ 치국평천하’ 도교와 불교 = 인간 이외의 것은 모두 ‘ 신’이라고 규정 내용 사회비판 , 사랑 , 군자에 대한 표현 그러나 순수한 자연의 변 화와 관련된 시는 찾아보 기 힘듦 사계절의 변화 식물 , 사랑 등에 대한 표현 은 있으나 사회비판이나 군자를 표현 하는 등의 표 현은 미미함
  • 34. 시경과 만엽집의 공통 점 1. 각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들이다 . 2. 당대의 사상 , 의식 , 생활풍습들을 잘 반영하여 매우 가치 있다 . 3. 당시 나라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백성들의 민심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들 을 수집했다 . 4. 백성들에게 자신들의 지배 이념을 심어주기 위해 직접 만들어 퍼뜨리기도 했다 . 5. 자연물을 이용하여 상징성을 부여함 5. 후대 문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 35. 시경 , 만엽집 그리고 현 대 같은 문화권이었기 때문에 표현하는 방법이 나 상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테마 를 네 개로 나눠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비슷 한 풍습이나 생활양식 등이 많았다 . 더불어 과거와 현재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 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의 변화 , 생활양식 , 풍습 등을 살펴보면서 동일한 문화권 내에 서 어떻게 자주적인 문학양식이 발전했는지 도 알 수 있다 .
  • 36. 참고문헌 1. 단행본 남종진 역주 , 『명언과 역사로 보는 시경 이야기』 , ( 다산미디어 , 2008) 류종목 외 3 명 역주 , 『시경 초사』 , ( 명문당 ,2012) 2. 논문 김해명 , 「공자의 음악사상이 갖는 교육 · 사회적 의미」 , ( 『중어중문학 41 』 , 2007) 박충순 , 「시경을 통해 본 시대고」 , ( 『중어중문학 6 』 , 1984) 오만종 , 「중국 사대부의 정치적 역할과 시경해석」 , ( 『중국인문과학 32 』 , 2006) 임성철 , 「시조와 만엽집의 자연관」 , ( 『일본문화 연구 29 』 ,2009) 최광준 , 「 만요슈에 보이는 자연과 재해 」 ,( 『일어일문학 56 』 ,2012) 황명천 , 「만요슈 의 사상」 , ( 『일본문화연구 21 』 ,2007)
  • 37. 참고문헌 3. 사이트 < 고전해설 ZIP>,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66&docId=730917&mobile&categoryId=1073 < 두산백과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00000000&docId=1117822&mobile&categoryId=200000803 위와 동일 ,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00000000&docId=1091415&mobile&categoryId=200000810 < 박헌순의 한시감상실 >, 2013.03.13. http://user.chollian.net/~tsym/ < 세계문학사 작은 사전 >, 2013.03.13. http://terms.naver.com/entry.nhn? cid=265&docId=892799&mobile&categoryId=1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