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ontents
           prologue 도전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들에게            4


     01   창업준비 및 실행
Chapter
           0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8
           0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10
           0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나요?       12
           0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14
           0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사람을 도와주는 사업도 있나요?       15
           0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16



     02   창업초기 성장 촉진
Chapter
           0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20
           0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22
           0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24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25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26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있나요?      28



     03   창업절차 및 제도
Chapter
           13 창업을 준비중인 예비창업자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30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하는 방법은 없나요?        31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 혜택은 없나요?      32




           첨부 1                                  34
           첨부 2                                  38
Prologue


    ● ● 도전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들에게


         흔히들 10개 기업이 창업하면 2~3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고 합니다. 사실 창업이란 것은
         매우 어렵고 모험을 걸어야 하는 일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한번 실패는 인생의
         실패”
           라는 인식이 팽배해있는 문화에서 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하기란 쉽지만은 않은 결정
         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지금 우리 시대에“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 무엇일까요?
                                            는


          첫째,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신명이 나고 보람이 있습니다. 창업을 하면 본인이 좋아
          하는 일을 할수 있습니다. 샐러리맨 대부분이 초기엔 의욕적으로 일을 하지만 결국 상사
          눈치를 보면서 어쩔 수 없이 일하게 됩니다. 반면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좋아하는
          일을 하면 남이 시키지 않아도 그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잡고 있게 됩니다.

          둘째, 창업을 해서 좋은 성과를 낼 경우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샐러리맨 대부
          분은 억대 연봉을 꿈꾸지만, 연봉 1억원의 실제 수입은 8,070만원(월 672만원)에 불과
          하며, 매월 300만원씩 저축해도 1년에 3,600만원 정도 모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창업을
          해서 젊은 나이에 수백억원의 자산가로 성공한 사례들을 이제는 신문지상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셋째, 젊다면 잃을 것이 별로 없습니다. 만약 사업에 실패하더라도 투자를 유치해서
          사업을 수행했다면,
                   ‘잃는 것’ 비해 해당 분야의 내공(insight), 회사 운영 경험, 넓은
                        에
          인맥 등‘얻는 것'이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넷째, 지금이 창업하기에 최적의 시간입니다. 스마트폰·클라우드 서비스보급 확산 등
          모바일 IT혁명이 숨가쁘게 진행되면서, 창업에 따른 비용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국경개념도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또한 SNS·소셜커머스·애플리케이션 등
          불과 몇 년 전에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다양한 창업의 블루오션이 열리고 있습니다.




4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그래도, 실리콘밸리처럼 투자를 유치 하기도 쉬운 것이 아닌데, 창업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
라고 생각 하십니까? 올해부터 청년들이 창업하는데 갖고 있는 이러한 고충을 최대한 해결
하고자 정부도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습니다.

 먼저, 융자상환금조정형 청년창업자금, 엔젤투자매칭펀드 조성 등 청년창업가에 대한
 획기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융자상환금 조정형 청년창업자금은 젊은이들이 정직하게 사업하다가 실패한 경우에는
 채무액 일부를 탕감해주어 다시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위험을 일부 떠안는 제도로,
 기존의 융자방식에서는 볼 수 없었던 최초의 방식을 도입한 것입니다.
 청년창업자금은 단순히 자금만 대출해주는 것이 아니라, 전국 13개 청년창업센터에
 상주하는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지속적인 컨설팅과 사후관리를 제공함으로써 청년창업
 자의 애로를 함께 해결해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되는 엔젤투자매칭펀드는 청년창업가에게 투자하고자
 하는 개인투자가들에게 50%를 함께 투자함으로써 엔젤투자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
 으로 기대합니다.
 한편,‘미래의 벤처후보군’
              으로 육성하고 있는 1인 창조기업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전용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했습니다.

 둘째, 정부와 함께 대학·연구기관, 대기업, 언론사 등 공동체의 주요 구성원 대부분이
 청년창업 활성화에 동참하는 총력 지원체제를 가동합니다.
 지난해 200명이상의 청년CEO를 배출하여 이미 성과가 입증된“청년창업사관학교”
 (경기도 안산)를 호남과 영남권으로 확대하여, 청년창업 열기를 지방으로 전파하겠습니다.
 아울러, 지역거점별 청년창업 클러스터 형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도 대전, 광주, 제주 3개 지역 대학을 새롭게 지정하여, 광역권 단위의 빈틈없는 지원
 인프라가 완비될 것입니다.
 한편,
   “(가칭) 선도기업 연계 청년창업지원사업” 신설, 선배 벤처, 성공기업들의 구매
                         을
 수요와 연계하는‘프로젝트 창업’ 지원하여, 판로가 보장되는 新창업모델을 활성화하
                 을
 겠습니다.
 그동안 청년 창업을 지원해 온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국 435개 전문기관이 지방 중소기




                                                        ○●
                                                             5
업청과 함께“청년창업협의회” 구성하여, 각 기관이 육성한 청년 창업가들을 상호
                         를
           연계하여 후속 지원해 나감으로써 정책의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하도록 해 나가겠습니다.

           셋째, FTA체결 및 모바일 IT혁명의 급속한 진전 등으로 더 넓어진 글로벌경제영토를
           우리 청년들이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길도 열겠습니다.
           금년부터,“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본격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을
           미국 실리콘밸리 이외에 중국 등 전 세계에 한국 청년창업의 전초기지가 마련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연대보증 제도를 개선하여 설령 실패하더라도 개인의 인생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다시 재도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성공한 선배 창업가들의 얘기를 들어
           보고 창업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결해보는 토크콘서트 형태의“청년창업 한마당 투어”
                                                       을
           전국을 돌며 개최하여 창업 분위기가 무르익게 만드는 데에도 힘을 쏟겠습니다.


         청년 여러분, 아직도 안정된 삶을 바라며 대기업에 취직하고자 스펙쌓기에 열중하고 계시
         지는 않습니까? 여러분이 진정으로 평생 사랑하며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저는
         창업의 길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쉽지만은 않은 길일 것입니다. 21세기의 다빈치로 칭송받고 있는 前애플 CEO 故스티브
         잡스도 실패와 좌절을 겪지 않았습니까? 그렇지만, 세상에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에 있으며, 아프지 않고 성공하는 인생이 또 어디에 있겠습니까?
         스티브 잡스가 2005년 스탠포드大졸업식에서 연설한 내용 중 일부로 제 마지막 인사에
         갈음하고자 합니다.


         “진정한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생각건대 위대한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위대한
         일을 하는 유일한 방법은 사랑하는 사람을 찾듯이 자신이 사랑할 일을 찾는 것입니다. 아직 찾지 못했다면
         계속 찾으십시오. 주저하지 마십시오. 진심을 다하면 반드시 찾게 될 것입니다.”



                                         청년창업가가 꿈꾸는 세상을 공감하는

                                         중소기업청장                 드림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1
                                                ●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준비 및 실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  ●    ●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   ●    ●  ●    ●   ●   ●   ●   ●


                          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   ●   ●   ●   ●   ●     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역할을 ●
                          ●    ●  ●    ●   ●         하나요?
                                                        ●    ●   ●   ●   ●   ●


                         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   ●   ●   ●   ●   ●
                          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
                          ●    ●    ●
                                        사람을 도와주는●사업도 ●
                                            ●           ●
                                                     있나요?    ●   ●   ●   ●   ●


                          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청에서는 우수한 기술력 (창업 아이템)을 바탕으로 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창업자
                들과 창업 1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준비 활동을 지원하는 예비기술창자육성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62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360여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창업지원 역량이 검증된 대학·연구기관 등을 창업가양성 전문기관으로
                지정하여, 아래와 같이 (예비)창업자의 창업 준비 및 초기 상품화에 사용할 수 있도록
                3,500만원(녹색·신성장 분야는 5,0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사업화 기획(교육) :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아이템을 보다 구체화 시켜주고, 시장 트렌드
                 에 맞게 다듬어 주는 등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혀 줍니다.

                 전문 멘토링 : 대학·연구기관에 근무하는 교수, 연구진들이 (예비)창업자의 기술 및
                 경영 애로, 인력·법무·세무·회계 등 창업준비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밀착
                 해서 멘토링 해줍니다.

                 시제품 제작 : 창업아이템을 상품화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
                 해 드립니다. 또한,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시험·테스트 등
                 시제품 제작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지식재산권 인증, 홍보물 제작 및 국내외 전시회 참가 등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사용 가능합니다.




       8   ●○
창업준비 및 실행    01


 창업준비 공간 : 대학·연구기관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예비)창업자의 사업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프린터 등 기본적인 사무용품도 제공해 드립니다.


사업 신청자격은 사업 신청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 상 중소기업으로 사업공고일 기준으로
창업 후 1년 이내 기업의 대표자와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예비창업자입니다.


사업신청은 참여 신청서와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신청접수 시스템
(startbiz.changupnet.go.kr)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이후, 약 한달간 서류 및 발표평가 등
선정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예비)창업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지원기간은 사업에 선정된 다음해 2월까지이고, 최종 선정된 (예비)창업자가 총사업비
 의 10%를 현금으로 납부하면 지원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 금년도 예비창업자 지원기관(2월말 선정 예정)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 홈페이지
  (http://www.changupnet.go.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이장훈 팀장   /   Tel. 042) 480-4340




                                                                          ○●
                                                                               9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청년창업사관학교」 기술력 있는 청년창업자를 선발하여 마치 육 해 공군 사관학교처럼
                         는                        · ·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1:1 실무 코칭을 통해 미래의 혁신적인 글로벌 기업가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청년CEO 전문 양성기관입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는 기술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창업자들에 대해 창업계획 수립부터
                사업화까지의 창업 全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최대 1억원 이내의 창업지원금을 조건없이(무담보 무보증 무상환) 보조하며, 창업공간,
                                           ·   ·
                 창업코칭, 창업실무교육, 제품개발 과정 및 졸업 후 정책융자금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업공간 : 청년창업사관학교 내에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입소형은
                 약 13㎡(약4평)의 전용 사무공간을 제공하며, 준입소형인경우에는 공동사무공간이 제공
                 됩니다.

                 창업코칭 : 현장 애로해결 경험이 풍부한 업종별 창업 전문인력을 1:1 전담교수로 배
                 치하여 창업 全 과정을 함께 고민하고 지원합니다.

                 창업교육 : 창업역량을 진단하여, 개인별 역량 수준과 창업 분야를 고려한 체계적인 기
                 술창업 실무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다만, 총 30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 중에
                 서 필수 교육과정 미이수 및 의무 교육 이수시간(120시간) 부족시 중간평가를 통해 탈
                 락 또는 퇴교 조치시킬 정도로 엄격하게 평가관리 합니다.


  10       ●○
창업준비 및 실행       01


  기술지원 : 제품개발실 등을 운영하여, 제품설계(CAE, 역설계 포함) 및 디자인부터
  시제품 제작 등 제품개발 과정의 기술 및 장비를 지원합니다.

  사업비 지원 : 창업활동비, 기술개발 및 시제품제작비, 기술정보활동비, 지식재산권 취득
  및 인증비, 마케팅비 등으로 총 1억원 이내의 보조금을 정부예산으로 지원합니다.

  연계지원 :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자에 대해서는 청년전용창업자금 및 창업기업 육성자금
  등 정책융자금과 투자금 정책보증, 판로지원등 사업화 정착을 위한 후속 연계지원이
  이어집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사업공고일 기준 만 39세 이하인 자로서 예비창업자와 창업후 3년이내
중소기업의 대표자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특허권을 보유하신 경우와 대학이나 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아 창업하는 경우,
  대기업이나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에서 분사하여 창업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에 대해
  서는 40세 이상이어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청년창업자는 참여 신청서와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신청접수 시스템(startbiz.changupnet.go.kr)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 홈페이지(http://www.changupnet.go.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청년사관학교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경기 (안산)       경기 안산시 단원구 연수원로 87번길                      031) 490-1279
  호남 (광주)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465번길                       062) 250-3000
  부산ㆍ경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남영길 473번길 22                   055) 548-8045
  대구ㆍ경북         경북 경산시 경천로 222번길 86                       053) 819-5001



               중소기업청   /   안원호 사무관    /   Tel. 042) 481-8914
  문의처
               중소기업진흥공단     /   김근영 팀장      /   Tel. 031) 490-1371


                                                                          ○●
                                                                               11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나요?

                정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주요 광역경제권별로 15개의“창업선도대학” 지정하여,“창업
                                                   을
                교육 및 발굴 → 창업실행 → 초기 성장 촉진” 창업 全과정을 하나의 대학 내에서 종합
                                          등
                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창업선도대학」종합지원 프로그램 >




                 대학생 등 창업초보자를 대상으로 창업강좌, 기술창업아카데미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창
                 업동아리 활동을 지원하여, 창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창업선도대학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신청하시면 청년창업자의 창업준비와 실행에
                 필요한 사업화 기획(교육) 및 전문 멘토링, 시제품 제작,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받을수 있으며, 창업준비에 필요한 공간도 함께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금년에는 광주, 대전, 제주지역에 창업선도대학을 추가로 지정(3개)하여 총 18개의 선도
                대학이 청년창업자들의 성공의 꿈을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12       ●○
창업준비 및 실행    01


※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http://www.changupnet.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이재훈 과장    /   Tel. 042) 480-4356



<참고>    전국 15개 창업선도대학 연락처


No     학교명       연락처          지역                     주소

1      강원대   033) 250-8992    강원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공대 6호관

2    경남과기대    055) 751-3600   동남    경남 진주시 칠암동 150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인문 4호관

3      경일대   053) 850-7769    대경    경북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33 경일대학교 R&DB센터

4      계명대   053) 620-2076    대경    대구 남구 대명동 계명대학교 의양관

5      동국대   02) 2088-3735    서울    서울시 중구 필동2가 82-1 동국대학교 영상센터

6      동아대    051) 200-6451   동남    부산 사하구 하단2동 840 동아대학교 산한연구관

7      목포대    061) 450-6259   호남    전남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 61 목포대학교 중소기업BI

8      연세대    02) 2123-4318   서울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공학원

9    영남이공대   053) 650-9577    대경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274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10     인덕대    02) 950-7091    서울    서울 노원구 월계동 산76 인덕대학 창업 보육진흥원

11     인천대   032) 835-9666    인천    인천 연수구 송도동 12-1 인천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12     전주대    063) 220-2108   호남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20 전주대학교 벤처창업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북로 410 충북대학교
13     충북대    043) 261-3444   충청
                                    학연산공동기술연구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2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4   한국산기대 031) 8041-0980     경기
                                    창업보육센터

15     호서대    041) 540-5362   충청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 165 호서대학교 창업지원단 TBI




                                                                              ○●
                                                                                   13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선배 벤처기업인의 성공 노하우를 청년 및 예비창업자에게 전수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1년이내 기업을 선배 벤처기업내에 입주토록 하여, 창업준비공간부터
                멘토링, 시제품 제작, 바이어 알선 등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선도벤처기업이 바로 곁에서
                세세한 부분까지 도와줍니다.

                 참여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초기기업에게는 정부에서 최대 6천만원까지 무상으로 지원
                 합니다. 이 사업은 지난해에 처음 시작되었는데, 선배 벤처기업이 창업기업에 투자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선배기업이 창업기업이 개발한 제품이나 기술(특허)을 구매하거나
                 공동 R&D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완할 계획입니다.

                올해 3월말부터는 선배기업인과 예비창업자가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선배기업인의 생생한
                창업경험과 경영노하우를 주고받고, 사업계획서에 대해 평가도 받을 수 있는「청년창업
                한마당 투어」 전국을 순회하며 개최할 예정입니다.
                      을

                아울러, 벤처기업협회에서는 성공벤처CEO와 청년 (예비)창업자간 만남의 장인「벤처 7일
                장터」 매월 7일마다 개최하여, 예비창업자에게 성공 창업에 대한 조언과 투자유치 등
                  를
                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벤처기업협회 홈페이지(http://www.venture.or.kr 또는
                  yesleaders.com)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강봉수 사무관 / Tel. 042) 481-4423
                 문의처
                                  벤처기업협회        /   박행귀 팀장   /   Tel. 02) 890-6267


  14       ●○
창업준비 및 실행           01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사람을
             도와주는 사업도 있나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세계시장을 무대로 글로벌 창업을 꿈꾸는 청년 (예비)창업자를 위해
금년부터「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 새롭게 운영할 예정입니다.
                       을

 해외진출 의지, 우수한 제품 및 기술력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IT, 첨단제조,
 문화콘텐츠 등 분야별 다양한 현지 진출 프로그램 운영을 준비 중입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할 경우, 창업넷(www.changupnet.go.kr)을 통해 창업아이템 사업화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본 사업은 유망 청년 (예비)창업팀을 선별하여 단계
별로 운영합니다.

 먼저, 약 1개월간의 1단계 프로그램에서는 창업연수 기회를 부여합니다. 1주간 국내 사
 전 창업교육을 실시하여 미국 등 현지 기업문화 및 창업 전략 등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
 를 제공합니다.
 창업교육을 수료하면, 미국 실리콘밸리로 이동하여 스탠포드대학 등 현지전문 교수진,
 벤처캐피탈, 기업인 등과 함께 현지 창업사례 연구하고 사업모델 기획 프로젝트 등을
 추진합니다. 숙박비, 식비 등 체류비용을 제외한 항공료, 교육 및 네트워킹 등 비용은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총 3주간 현지 창업교육을 통해 현지진출 및 사업화 전략을 수립
 하여 발표하면 현지 전문가들이 졸업 발표심사를 합니다.

 2단계 프로그램으로 졸업 성적이 우수한 청년 (예비)창업팀을 선발하여 현지 창업보육
 전문 업체를 통해 창업공간 및 전문 사업화 코칭, 투자유치 설명회 (IR) 등을 제공합니다.
 총 3개월간의 현지 집중 보육을 통해 향후 현지 법인(지사) 설립 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http://www.changupnet.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박종혁 주임    /   Tel. 042) 480-4331


                                                                                      ○●
                                                                                           15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
                              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정부에서는 성장 잠재력이 큰 앱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창의적인 아이
                디어를 가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앱 개발 교육을 실시하는한편, 예비 창업자의 실전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 전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있습니다.

                먼저, 대학 등을 중심으로 전국 25곳을 앱 창작터로 지정하여 앱 개발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앱 창작터에서는 교육생이 팀을 구성하여 실제 앱을 개발해보는 140시간의 심화 교육과정
                 을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플랫폼 별로 개설·운영하며,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음원,
                 게임, 센서 등 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세부 분야별 내용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들이 쉽게 창업할 수 있도록 사업
                기획부터 개발 및 사업화까지 앱 분야 창업 전과정을 일괄 지원하는‘앱 특화 창업 코스’
                                                               를
                운영합니다.
                 1단계 : 기획·개발·디자인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선발하여 경영전략 등 창업 기본소양교
                 육을 실시하고, 이과정에서 각자 창업팀을 구성하여 팀별로 창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단계 : 사업계획이 작성된 팀들이 실제 앱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전문교육과 멘토링 등을
                 제공하며, 특히 전문분야 외주용역 등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2,000만원 내외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개발된 앱에 대해서는 평가를 거쳐 앱 특화 보육센터 입주 기회와 함께 마케팅 등 후속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앱 특화 창업 코스’ 연간 300명(상·하
                                                   는
                반기 각각 150명)을 선발하며, 팀으로 참여하는 경우 선발과정에서 우대할 예정입니다.


                                  중소기업청     /   마경준 주무관      /   Tel. 0 42)481-3982
                 문의처
                                  창업진흥원     /   조영수 팀장   /   Tel. 042) 480-4380

  16       ●○
창업준비 및 실행          01



<참고>   웹 창작터 연락처 (25개)


   지역                       주소                         연락처

   서울대학교        서울시 관악구 신림9동 관악로599 공과대학 138동 209호   02) 880-8700

   세종대학교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209 율곡관 405A              02) 3408-3904

  비트교육센터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33, 비트교육센터           02) 3486-3456

   한성대학교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254, 에듀센터 6층            02) 760-5730

   서경대학교        서울시 성북구 서경로124 북악관709호               02) 940-7667

 안양지식산업진흥원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248번길 25             031) 389-2329

   단국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복지관 601호          031) 8005-2922

  청강문화산업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청강로 162 아람관 102호         031) 639-4415

 한국디지털미디어고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사세충열로 94                 031) 363-7895

   인하대학교        인천시 남구 인하로 100, 정보통신처 4-213          032) 860-9091

   강원대학교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공학6호관 603호           033) 250-6390

   한라대학교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한라대길 28 산학협력단            033) 760-1323

   목원대학교        대전시 서구 목원길 21 캠퍼스타운 212-1호           042) 829-7627

   한밭대학교        대전시 유성구 동서대로125 산학협력단                042) 821-1784

   극동대학교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대학길76-32 공학관 403호       043) 879-3615

   건양대학교        충남 논산시 내동 대학로 119번지 산학협력단 204호       041) 730-5720

   조선대학교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09, 공과대학 613호           062) 230-7764

   전북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567 공과대학 7호관        063) 270-2357

   원광대학교        전북 익산시 익산대로460 공과대학 5407호            063) 850-6888

   경성대학교        부산시 남구 수영로309 26호관 정보관 202호          051) 663-5582

   동의대학교        부산시 부산진구 엄광로 995 산학협력부               051) 890-2933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시 남구 명덕로104 아이씨티파크 3관 1층           053) 422-9084

   대구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공학7호관 7410호    053) 850-4494

   창원대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로92 공대51관 325호        055) 213-2929

   제주대학교        제주도 제주시 제주대학로102 공과대학 4호관 4층         064) 727-0038




                                                                      ○●
                                                                           17
Mem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2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초기 성장 촉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   ●   ●   ●   ●   ●      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    ●    ●   ●    ●   ●    ●  ●    ●   ●   ●   ●   ●


                          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   ●   ●   ●   ●   ●        ●  ●     ●   ●    ●   ●    ●  ●   ●   ●   ●   ●   ●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 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   ●   ●   ●   ●   ●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
                               ●    ●   ●   ●   ●       ●
                                                     있나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하고도 자금부족,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창업을 주저하는
                청년들이 많은데, 이런 청년들의 창업위험을 정부가 일부 분담하는 융자정책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즉, 만 39세 미만의 청년 (예비)창업자에게 창업준비 및 도전에 필요한 자금을 순수 신용
                 으로 지원하는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신설하여 금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 ’
                                                          12년
                 지원규모 2,100억원)

                청년전용창업자금은 중진공 또는 민간은행(우리·기업은행)을 통해 지원합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센터(500억원) : 2.7% 저리의 창업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창업자들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자금 및 교육·컨설팅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불가피한 사유로 사업에 실패한 경우 신속한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상환금
                 일부 또는 전부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의 창업자 육성프로그램을 수료한 경험이 있는 우수 창업자에 대해서는 지방중기청에 설치된
                 “청년창업협의회” 통해 추천함으로써, 본인 희망시 교육·컨설팅 및 멘토링 과정을 생략·
                         를
                  단축하여 신속하게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신청       서류 검토 교육 컨설팅 심의위원회
                                               ·                     1:1멘토링          총 소요 시간
                            5일간 실시                      컨설팅
                 초보 창업자                약 1주     4박5일                  2회 실시              약 25일
                           (매월 1~5일)                    종료일
                              협의회                생략     서류검토          1회 실시
                준비된 창업자                 5일                                               약 15일
                              추천               (자료대체)    직후            +점검



                 민간금융기관 (우리 기업은행) (1,600억원) : 정부지원자금과 동일하게 2.7%의 저리로
                           ·
                 자금을 융자 받을수 있으며, 민간전문가의 창업컨설팅도 받을 수 있습니다.


  20       ●○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 청년전용창업자금 비교 >

     구분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우리은행

     규모                  500억 + 컨설팅 35억                 정부 800억 + 민간 800억 + 컨설팅 40억
 신청자격                           만 39세 이하의 청년(예비창업자, 3년미만 창업기업)
 지원조건                      2.7% 고정금리, 시설운전자금(3년상환(1년거치 포함))
     한도          지식서비스업 : 5천만원, 제조업 : 1억원     지식서비스업 : 7천만원, 제조업 : 1억원
 신청기간                          매월 1~5일                                  연중 수시
 신청방법            중진공 지역본부 또는 온라인(www.sbc.or.kr)               우리은행 및 기업은행 전국지점
 평가방식             사업계획서 공개심사로 자금지원 결정                         은행별 신용등급 평가방식 적용
 융자방식                중진공 직접대출(교육·컨설팅)                              은행 창구 대출(컨설팅)
융자상환금조정                          가능                                       불가능


신청자격은 자금신청일 현재 만 39세 이하인 자로서, 지식서비스업종이나 문화콘텐츠업종
또는 제조업종을 영위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와 창업 3년 미만인 기업이면 됩니다.


<참고>      청년전용창업자금 신청.접수 문의처

       구분               연락처                                       주소
  기업은행             1566-2566              전국지점
  우리은행             1599-5000              전국지점
          서울       02) 6678-4141~3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17-6중소기업유통센터 사무동 14층
          인천       032) 450-0540~2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송도동 7-50) 갯벌타워 14층
중소        경기       031) 259-7930~3        경기도 수원 영통 이의동 906-5(광교로107)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11층
기업        대전충남     042) 866-0150/1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96 (장동)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5층
진흥        충북       043) 230-681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50 (가경동)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공단        전북       063) 210-9932~4        전북 전주시 덕진 팔과정로 164 (팔복동1가) 전북경제통상진흥원 6층
          대구경북     053) 602-5273/4        대구광역시 북구 유통단지로3길 90 (산격동) 대구전시컨벤션센터 4층
청년        강원       033) 259-7621~3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54 (중앙로2가) 우리은행빌딩 5층
창업        광주전남     062) 600-3040/1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8번로 177 (도천동) 중소기업지원센터 3층
센터        부산       051) 630-7451~3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257 (감전동) 보생빌딩 에이동1층
          울산       052) 703-1161/2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74 (삼산동 1479-5) W-Center 14층
          경남       055) 212-1381~3        경남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62 (대원동) 창원컨벤션센터 3층
          제주       064) 751-2061/2        제주 연삼로 473(이도2동 390) 제주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   Tel. 042) 481-4384
  문의처
                        중소기업진흥공단              /   전봉준 팀장      /   Tel. 02) 769-6899


                                                                                          ○●
                                                                                               21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청년전용창업자금 이외에도 창업기업의 초기 안정화 및 성장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창업기업지원자금”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보유한
                            은
                5년 미만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1.1조원 규모의 시설자금 및 운전자금을 융자하여 드립니다.

                  시중은행보다 훨씬 저렴한 금리(변동금리, 12.1/4분기 3.1%)로, 업체당 연간 30억원
                  (운전자금은 5억원)까지 최장 8년간(운전자금은 5년간)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중진공 홈페이지(http://www.sbc.or.kr)의 신청양식 및 관련서류를 참고하여, 중소기
                  업진흥공단 지역본(지)부에 매월 1~5일 중 접수하면 됩니다.


                <참고>    문의처 : 중소기업진흥공단 각 지역본부 및 지부

                   지역본(지)부               전화          지역본(지)부                        전화
                   서울지역본부           02) 6678-4127    경북지역본부                   054) 476-9322
                   서울동남부            02) 2156-2222     경북동부                    054) 223-2047
                       서울북부         02) 769-6816      경북남부                    053) 212-3300
                   인천지역본부           032) 450-0521    강원지역본부                   033) 259-7622
                   인천서부지부           032) 450-0560     강원영동                    033) 655-8870
                   경기지역본부           031) 259-7911    광주지역본부                   062) 600-3000
                       경기동부         031) 259-7991    전남지역본부                   061) 280-8000
                  경기북부(고양)          031) 920-6700     전남동부                    061) 724-1056
                   대전지역본부           042) 866-0114    부산지역본부                   051) 630-7400
                   충남지역본부           041) 621-3687     부산동부                    051) 710-6880
                   충북지역본부           043) 230-6811    울산지역본부                   052) 703-1100
                       충북북부         043) 841-3600    경남지역본부                   055) 212-1350
                   전북지역본부           063) 210-9900     경남동부                    055) 212-1388
                       전북서부         063) 460-9800     경남서부                    055) 756-3060
                   대구지역본부           053) 601-5300    제주지역본부                   064) 751-2054



  22       ●○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아울러,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지원하는 총 6,000억원 규모의“청년창업
특례보증”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신용보증기금(3,000억원) : 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 및 창업 후 3년 이내 창업기업이
신청할 수 있고, 창업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최고 5,000만원까지 보증을 받을 수 있으며,
최저보증료율(0.5%)이 적용되고 100%까지 전액 신용보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신용보증기금 사이버영업점(www.kodit.co.kr)에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SMS 통보에
따라 방문 상담을 실시하며, 신청시 사업계획서와 사업자등록증 사본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기술보증기금(3,000억원) : 창업 후 3년 이내로 대표자가 만 20~39세 이하인 기술창업기
업이 이용할 수 있으며, 기술사업평가등급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보증받을수 있습니다.
보증료는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평가등급에 따라 0.5∼3.0%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기술보증기금 전지역센터에서 연중 수시로 신청 가능하며, 제출서류는 각 센터에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신용보증기금(www.kodit.co.kr) 고객센터 1588-6565, 또는 기술보
증기금(www.kibo.or.kr) 고객센터 1544-112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정책보증기관 지역본부 현황

         신용보증기금(8개)                      기술보증기금(9개)
   지역본(지)부            전화         지역본(지)부              전화

  서울동부영업본부       02) 2204-6763    서울본부           02) 785-2040
  서울서부영업본부       02) 2077-6680    강남본부           02) 563-4020
  부산경남영업본부       051) 605-3131    부산본부           051) 606-7683
  대구경북영업본부       053) 430-8999    대구본부           053) 251-5600
   호남영업본부        062) 607-9190    광주본부           062) 361-1134
   경기영업본부        031) 230-1579    수원본부           031) 8006-1500
   인천영업본부        032) 450-1649    인천본부           032) 429-5813
   충청영업본부        042) 250-2199    대전본부           042) 483-7451
                                  창원본부           055) 289-8401



                                                                  ○●
                                                                       23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투자란 투자자와 그 회사가 운명을 함께해야 하는 것으로 사실 창업기업이 투자를 받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러나 전국의 104개 벤처캐피탈과 지난해부터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엔젤투자를 통해 투자를 유치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먼저, 전국의 104개 창업투자회사 등 벤처캐피탈을 통해 투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벤처캐피탈과 투자상담을
                 받은 후,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인정받는다면 투자를 유치할 수 있습니다.

                ※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참고

                다음으로 엔젤투자가로부터 투자자금을 유치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엔젤투자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작년부터 엔젤투자에 대한 소득공제
                 비율을 10%에서 20%로 확대하는 등 세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였고, 엔젤투자지원
                 센터를 설치하여 엔젤투자 인프라도 정비하였습니다.

                 금년에는 엔젤투자매칭펀드를 700억원 규모로 조성하여, 엔젤투자자가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先투자하면 1:1의 비율로 매칭투자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엔젤투자를 받기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투자마트에서 엔젤투자
                 자를 대상으로 IR(투자설명)을 통해, 엔젤투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http://www.kban.or.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채광 사무관   /   Tel. 042) 481-4421
                 문의처
                                  엔젤투자지원센터       /   이기백 팀장     /   Tel. 02) 2156-2141~2


  24       ●○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중소기업청은 창업초기기업에게 시설·장소, 경영 및 기술분야 컨설팅서비스 등을 종합적
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 280개「창업보육센터(BI : Business Incubator)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첫째,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초보사장님
 또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 예비 창업자에게 개별 또는 공동작업장 등의 시설을 지역의
 일반 시세보다 저렴하게 제공합니다.

 둘째, 입주 후 센터의 내부 전문인력인 창업보육 전문매니저 또는 센터와 연계되어 있는
 외부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경영·세무·기술지도 등의 지원을 받음으로써 창업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셋째, 입주기업 만을 위한 정부지원사업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제품 개발에서
 시장진출까지 1개 기업 당 2천만원 한도 내에서 시장조사, 시제품 디자인 및 모형제작,
 시작금형 및 국내외 전시회 참가 사업 등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넷째, 수도권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할 경우 회사설립 시 발생하는 취·등록(면허)세 및
 재산세 중과가 적용되지 않으며, 대학·연구기관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우 건축
 물 용도나 용도지역 등에 관계없이 도시형공장 설치가 가능합니다.

입주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첨부의 280개 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창업보육센터종합정보망(www.bi.go.kr), 창업만물사전 앱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첨부2> 전국 창업보육센터 연락처 참고


              중소기업청   /   송제훈 주무관      /   Tel. 042) 481-4413
 문의처
              창업진흥원   /   변영조 팀장   /   Tel. 042) 480-4390


                                                                                      ○●
                                                                                           25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올해에는 1인 창조기업 전용 창업·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확충하여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첫째, 기술보증기금에서 운영하는「1인 창조기업 특례보증제도」 통해 기업당 최고
                                                 를
                 3억원의 창업 및 경영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1인 창조기업이 수주한 프로
                 젝트를 담보로 제품생산 등에 필요한 운전자금을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하는「1인 창조기업
                 지원자금」 신설 하였습니다.
                     도

                 둘째, 1인 창조기업이 수주한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사업화 비용을 지원하는「지식거
                 래 조건부 사업화 지원사업」 신설 하였습니다. 1인 창조기업은 과제수행을 위한 재료
                               을
                 비와 외주개발비 등의 50%이내에서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1인 창조기업 전용 R&D 지원사업」 운영합니다. 1년 이내의 자유로운 R&D과
                                        을
                 제를 신청하여 최대 5천만원까지 받을수 있으며, 특히 앱 분야 과제는 우선적으로 지원
                 됩니다.

                 넷째, 1인 창조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에 34개의「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센터에서는
                                        를
                 개인 (공동)사무실, 회의실 등의 사무공간과 세무·법률 등 전문가 상담, 교육 등의 경영
                 지원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전문 매니저를 통한 입주기업의 일감 확보도 지원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이디어 비즈뱅크(www.ideabiz.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종길 주무관      /   Tel. 042) 481-4554
                 문의처
                                  창업진흥원     /   조영수 팀장   /   Tel. 042) 480-4380


  26       ●○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참고>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연락처(34개)

       센터명                     주소                       연락처
   가산센터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34, 에이스하이엔드타워 6차 20층   02) 6299-5500
   역삼센터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525 한국콘텐츠진흥원 4층         02) 2016-4153
  서울 노원구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테크노파크 12층 1203호     02) 944-6038
  서울 마포구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18 601호                 070) 7727-4101
  서울 은평구        서울시 은평구 은평로 21길 52 은평구청 별관          02) 6015-9343
  서울 성북구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4가 260 드림트리빌딩 6층        02) 920-4394
  경기 수원시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천로 255번길 6            031) 241-1713
  경기 의정부시       경기도 의정부시 경의로114 영빈빌딩 4층             031) 828-8877
       인천시      인천시 남구 경인로 229, 인천IT타워 301호         032)250-2061
       부산시      부산시 중구 중앙대로 63, 부산우체국 4층            051) 464-0063
  부산 사하구        부산시 사하구 낙동대로 498, 초이스빌딩 4층          051) 205-1014
  경남 창원시        경남 창원시 마산 합포구 삼일오대로 203             055) 247-9387
   대구 중구        대구시 중구 태평로 160 대우빌딩 13층             053) 422-5110
  대구 수성구        대구시 수성구 지범로 157                     053) 784-8261
  경북 문경시        경상북도 문경시 중앙로 280 (농업기술센터별관 2층)      054) 552-2322
   전라남도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로 26                     061) 729-2700
  전북 전주시        전북 전주시 완산구 아중로 33 (전주정보영상진흥원)       063) 281-4221
   대전광역시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512번길 20 대전CT센터 2층     042) 864-5112
   충청남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은행나무길 223              041) 539-4548
  강원 강릉시        강릉시 경강로 2326번길 4                    033) 650-3394
 (주)르호봇비즈니스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0, 율촌빌딩 3층          02) 783-4511
 (주)메트로비즈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17길 60, KS빌딩 3층          02) 556-5665
  비즈앤택스㈜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5길 11, 인우빌딩 5층          1661-7854
 한성케이에스콘㈜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02) 6670-0021
  ㈜오피스허브        서울시 강남구 개포로 508, 소망빌딩               02) 445-8005
 용인 디지털진흥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5-20               031) 323-3050
 인천경영자총협회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 30,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032) 428-8038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1층          051) 749-9461
  ㈜크로스비즈        부산시 부산진구 동천로 109                    051) 818-0211
  울산시 울주군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동문길 20-22             052) 229-7370
   광주광역시        광주시 동구 금남로 2가 무등빌딩 10층              062) 613-2450
  제주테크노파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17호                064) 720-3021
충북 지식산업진흥원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각리 1길 7                043) 210-0820
 (사)한국캐릭터협회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1가 7번지 공영빌딩 3층          070) 8672-5682




                                                                     ○●
                                                                          27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있나요?

                창업초기기업은 R&D경험 및 인력·인프라 보유 등의 측면에서 기술혁신 역량이 상대적으
                로 낮아, 이미 성장단계에 진입한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 창업기업의 원활한 정부 R&D 사업 참여와 이를 통한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해, 창업기업들만을 위한 별도의 R&D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먼저, 창업초기기업(업력 5년 이하)만을 대상으로하는 창업전용 R&D를 통해 최대 1년
                 동안 2억원(총 사업비의 75%)의 연구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둘째,
                   ‘1인 창조기업’‘어플리케이션분야’
                            과        기술지원을 위해,
                                             ‘1인 창조기업 기술개발사
                 업’ 신설하여 최대 1년 동안 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이며,
                  을                                  ‘앱 기술개발사업’
                 을 통해 앱 자체 개발은 최대 1년 동안 5천만원, 앱 관련 요소기술개발은 최대 1년 동안
                 1억5천만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셋째, 창업초기기업들을 포함하여 정부 R&D수행경험이 없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첫걸음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술 잠재역량은 보유하고 있으나 기획력이
                 부족한 기업들을 위해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R&D 자금까지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으며,
                 최대 1년 동안 2억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http://www.smtech.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서종필 사무관    /   Tel. 042) 481-4442
                  문의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윤현영 책임        /   Tel. 02) 3787-0550



  2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3
                                               ●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절차 및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창업을●
                          ●     준비중인 예비창업자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   ●   ●    ●   ●   ●   ●   ●   ●   ●   ●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하는 방법은 없나요?
●   ●   ●   ●   ●   ●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혜택은 ●
                              ●    ●   ●   ●        없나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3         창업을 준비중인 예비창업자
                              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법령상의 행정절차를 밟기 전에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한데 먼저, 창업아이템을 선정, 사업
                타당성 분석 및 사업계획서 작성 등이 핵심 준비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사설립 단계인데,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두가지 형태중에서 선택할 수
                                   와       의
                있습니다. 창업 과정에서 기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개인기업과 법인
                기업의 여러 가지 요소를 비교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개인사업자로 창업하는 경우는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사업개시일로부터20일 이내)
                 신청만 하면 되며, 법인사업자로 창업하는 경우는 관할 지방법원 또는 등기소에 법인
                 설립 등기를 하고 관할 세무서에 법인설립신고(사업자등록)를 하여야 합니다.

                                         <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비교 >
                  비교항목                 법인기업                                   개인기업
                  설립절차          개인에 비해 복잡                       사업자등록만으로 가능
                 기업영속성          대표가 바뀌어도 계속성 유지                 대표자 바뀌면 신규사업자
                 대표자 책임         유한책임(지분한도 내)                    무한책임
                 대외 신인도         대체로 높음                          대체로 낮음
                  설립비용          일정 비용 필요                        거의 없음
                  자금조달          자금조달 용이, 대자본 가능                 조금조달 한계, 대자본 불가능
                 이익금 사용         제약있음(사적 유용 금지 등)                제약없음(개인 자금 사용)
                  관리비용          비교적 많음                          비교적 적음
                  외부감사          자산 100억이상 법인 의무                 적용 대상 아님
                  세금부담          과세표준액이 많은 경우 유리                 과세표준액이 적은 경우 유리
                  과세체제          법인세, 대표 급여의 비용 인정               소득세, 대표 급여 비용 불인정



                전국 11개 지방 중소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에서는 회사설립 및 공장설립절차 등에 대해
                자세한 상담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처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   Tel. 042) 481-4384


  30       ●○
창업절차 및 제도           03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
             하는 방법은 없나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예비창업자가 인터넷 상에서 간편하게 회사설립을 할 수 있게「온라인
재택창업시스템(http://www.startbiz.go.kr)」 운영하고 있습니다.
                                  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와 은행에서 발급해주는 전자상거래용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하기에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혹시 어려워하시는 분들
을 위해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577-5475로 전화주시면 전문상담사가 이용자의
컴퓨터와 원격으로 연결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도와 드리고 있습니다.


기존 오프라인 법인설립과 다른 점은 법인설립 서류를 제출하기 위해 은행 구청 등기소
                                       · ·    ·
세무서 및 4대 보험기관 등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재택창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기관에 온라인으로 서류를 제출하기 때문에 기관방문
 시 14일 걸리던 시간을 5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수수료 등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 측면에서도 창업기업 대표자기 직접 법인을 설립하기 때문에 약 50만원 가량의
 대행비를 아낄 수 있으며, 3만원 상당의 등기수수료도 1만원으로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법인설립 비용을 절약하면서 불필요한 행정수속 시간도 줄일 수 있는 일석이조의 재택
창업시스템을 이용해보세요!!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재택창업시스템(www.startbiz.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안원호 사무관      /   Tel. 042) 481-4553
 문의처
               창업진흥원   /   김군태 주임   /   Tel. 042) 480-4372


                                                                                       ○●
                                                                                            31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 혜택은 없나요?


                창업기업의 경우 매출이 발생하여 수익구조를 갖추기 전까지는 자금부족이 가장 큰 애로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창업기업에게 취득세, 등록세, 법인세(또는 소득세) 등을
                감면하여 창업기업이 느끼는 자금애로를 완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개인기업은 소득세, 법인기업은 법인세를 납부하여야 하는데 창업기업에 대하여는
                법인세(또는 소득세)를 4년간 50% 감면하여 주고 있으며, 취득세·등록세는 4년간 면제,
                재산세는 5년간 50% 감면하여 주고 있습니다. 다만,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창업하고, 세제감면 해당업종을 영위하는 경우에 세제감면이 가능합니다.


                   창업·벤처기업 세제감면제도 개요

                 대상 : 2012년 12월 31일 이전에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창업한 중소
                 기업(창업중소기업)과 창업후 3년 이내에 2012년 12월 31일까지 벤처기업으로 확
                 인 받은 기업( 창업벤처기업)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강화, 옹진, 서구 대곡, 불로, 마전, 금곡, 오류, 왕길,
                  당하, 원당, 인천경제자유구역 및 남동 국가산업단지는 제외), 의정부시, 구리시, 남양주시(호평,

                  평내, 금곡, 일패, 이패, 삼패, 가운, 수석, 지금동 및 도농동만 해당), 하남시, 고양시, 수원시,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 (반월특수지역은 제외)


                 해당업종 : 광업, 제조업, 건설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전문
                 디자인업, 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등(조세특례제한법 제6조제3항)




  32       ●○
창업절차 및 제도     03


 감면내용

 구분                     주요 지원내용                     근거

         창업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에 대하여 창업 후 소득세 발생연도
  소득세                                             조세특례제한법
         부터 4년간 매년 납부할 법인세(소득세)의 50% 감면(과밀억제권역
 (법인세)                                              제6조
         내 창업기업은 제외)

         창업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의 법인설립등기에 대한 등록세 면제
                                                  조세특례제한법
등록면허세    (창업 또는 벤처확인 이후 4년이내에 자본 또는 출자액 증가하는
                                                    제119조
         경우 포함), 법인주소 또는 대표이사의 주소변경으로인한 등기

         창업중소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창업일
                                                  조세특례제한법
 취득세     (창업벤처기업은 벤처확인일)로부터 4년 이내에 취득한 사업용 재
                                                    제120조
         산에 대해 취득세 면제


         창업중소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이 소유하는 사업용 재산에 대해 창       조세특례제한법
 재산세
         업일(창업벤처기업은 벤처확인일)로부터 5년간 재산세 50% 감면        제121조


         60세 이상의 부모 등이 18세 이상 자녀에게 창업자금(30억원한도)
창업자금                                              조세특례제한법
         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 과세가액에서 5억원을 공제하고 초과액은
사전상속                                               제30조의5
         10% 낮은세율로 과세한 상속 시정산


         중소기업이 창업 후 2년 이내 금융기관 융자관련 문서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인지세
         인지세 면제                                     제116조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세금을 부과하는 해당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문의처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Tel. 042)481-4384




                                                            ○●
                                                                 33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그린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92-8 소봉빌딩 6층           02) 2015-9900
           그린부산창업투자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번지                 051) 465-1214
            대경창업투자       대구시 동구 신천동 95 대구벤처센터 4층            053) 751-2537
           대교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8-9 동성빌딩 4층          02) 3452-1236
           대덕인베스트먼트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764                     070) 7770-3210
            대성창업투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02 문화콘텐츠센터 10층       02) 3153-2960
           동양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0-16 하이리빙빌딩 19층      02) 561-0056
            동훈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2-19 동훈타워 21층        02) 2051-2700
          로얄브릿지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714-32 형덕빌딩 3층        02) 535-1411
          로이언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45-2 금복오피스텔 703호       02) 3477-2563
           리딩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09-4 유빔빌딩 6층          02) 3444-5335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0-2 삼익빌딩 2층          070) 7019-4001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6 도심공항터미널 419호     02) 554-2222
           마젤란기술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5-3 플라리스빌딩 704호   031) 8023-9780
           매그넘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1-13 아레나빌딩 6층        02) 561-7008
             무한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38-11 대현블루타워 3층      02) 559-4500
            문화창업투자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 1607-4                 062) 941-2181
           미래에셋벤처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685 미래에셋벤처타워 11층   031) 780-1440
           미시간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93 대동타워 9층            02) 3445-1310
          베넥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18층         02) 786-6622
            보광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대치3동 글라스타워빌딩 8층            02) 558-2092
          비엠씨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18층         02) 786-4600
          비케이인베스트먼트      부산시 금정구 구서동 84-18                  051) 744-8088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4-5 한마루빌딩 8층        02) 3453-5500
            새한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6-5 VR빌딩 2층        02) 2156-2300
            서울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0-3 선릉대림아크로텔 626호    02) 552-0665
           서울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5-8 보성빌딩 4층         02) 566-2690
           선명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경암빌딩 10층              02) 559-0940
            소빅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방배본동 764-19 동양빌딩 6층        02) 594-8470
           소프트뱅크벤처스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신영빌딩 8층           02) 3484-9115
           스카이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53-55 심스빌딩 5층 501호     02) 508-7980



34   ●○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지역                        주소                           연락처

 스톤브릿지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662-9 에프앤에프빌딩 2층           02) 3496-6600
 스틱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1-43 MSA빌딩 10층            02) 3404-7800
씨앗과열매창업투자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여의도파크센터 A동 2601호          02) 761-0145
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강남파이낸스센터 5층                02) 2112-1777
 아이원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26-14 KTBnetwork 빌딩 8층     02) 3466-3050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43-27 신도리코빌딩 9층            02) 703-0231
 에스디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82-21 마진빌딩 3층              02) 514-6304
에스브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2 사학연금회관 11층           02) 3775-1020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37 강남파이낸스센터 20층            02) 2112-6200
에이케이강원인베스트먼트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율문리 946 강원테크노파크 100호        02) 6295-3000
 에이피엘파트너스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175 애플타워 17층                02) 2144-5000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대치3동 942-5 삼성빌딩 9층              02) 501-1031
엘티아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2 코스모타워 806호             02) 562-9560
  엠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도심공항타워 25층                 02) 6000-5533
 엠브이피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87-1 아이캐슬2빌딩 3층             02) 540-3696
  영신창업투자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546-4 테크노빌딩 1904호           02) 3424-1988
 우리들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70-5 별관 601호               02) 3448-1060
  우신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6 아세아타워 15층               02) 538-5906
 원익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7-12 서우빌딩 4층              02) 6446-7125
 위더스기술금융       부산시 남구 문현4동 한일오피스텔 601호                 051) 633-7001
 윈베스트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4-10 융전빌딩 9층              02) 565-3626
 유큐아이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2 코스모타워 5층 507호          02) 508-8187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10-2 태영빌딩 2층               02) 783-3347
  이상기술투자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239-4 ESB/D3층               02) 3397-0060
  이수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반포4동 이수화학 112-4 이수빌딩 6층         02) 3482-2010
  인터베스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 트레이드타워 1701호            02) 551-7340
  일신창업투자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5 일신빌딩 11층            02) 767-6411
  제미니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8-12번지 서영빌딩 10층           02) 2051-9636
  제일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2-9 상림빌딩 202호           02) 775-7302
지식과창조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97-23 세종빌딩 7층              02) 561-3004
 지앤텍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107-9 대승빌딩 6층              02) 549-8045



                                                                       ○●
                                                                            35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지온인베스트먼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92-2 네오위즈타워          031) 8023-7392
             캐피탈원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1706-3 법조B/D 504호          02) 595-7450
          컴퍼니케이파트너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2동 869 M-CITY 타워 7층    031) 906-3941
          케이비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신영빌딩 9층              02) 545-5091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7-24 한신인터밸리24 동관 911호   02) 2183-2740
           키움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6-1 키움파이낸스빌딩 15층       02) 3430-4881
           토러스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67-15 랜드마크A동 5층 501호     02) 541-0800
           투썬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58-6 송남빌딩 311호          02) 525-5494
           튜브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627-17 HB빌딩 5층            02) 3448-5620
           플래티넘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3-42 원방빌딩 3층            02) 6246-3114
            한국벤처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6-5 VR빌딩 5층           02) 2156-2000
           한국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강남파이낸스센터빌딩               02) 2112-5200
            한림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49-5 주호빌딩 7층              02) 511-6100
            한화기술금융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49층            02) 559-2612
            현대기술투자      서울시 중구 무교동 한국정보화진흥원 4층                02) 728-8990
            호서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1-34 서원빌딩 6층            02) 3487-8400
           화이텍기술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53-4 경림빌딩 8층         031) 707-3984
            네오플럭스       서울시 중구 을지로6가 두산타워빌딩 15층               02) 3398-1070
           리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9 도심공항타워 16층          02) 551-7750
           마이벤처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1 무역센터빌딩 4104         02) 6000-5858
          메디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9 도심공항타워 4층 406호      02) 3452-8126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95-15                    02) 564-5770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06-16 비전빌딩 5층            02) 569-0300
           솔본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청담1동 66-4 청담스포피아 F1           02) 519-7115
          슈프리마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81-16 NK빌딩 8층            02) 538-0460
          아시아인베스트먼트     부산시 남구 대연동 599-20 정보문화빌딩 3층           051) 868-9333
           어노인트앤컴퍼니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6 도심공항터미널 5층          02) 538-9824
          에스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737 강남파이낸스센터 25층         02) 6241-5400
          에스제이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49-6 논현로얄팰리스 403호        02) 512-0707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68-26 제일빌딩 2층            02) 555-0781
            원더엔젤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96-17 6층                 02) 3452-1300



36   ●○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서울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Shougo Kim
 
2013 2 careerguidebook
2013 2 careerguidebook2013 2 careerguidebook
2013 2 careerguidebookYeorm Kang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우곤 김
 
경영이란 무엇인가
경영이란 무엇인가경영이란 무엇인가
경영이란 무엇인가영한 김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애란 최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seekly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한은 정
 
벤처다이제스트 182호
벤처다이제스트 182호벤처다이제스트 182호
벤처다이제스트 182호Kwanghee Choi
 
요약북 Zero to one
요약북 Zero to one요약북 Zero to one
요약북 Zero to oneHyunkuk Cho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더게임체인저스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재단 함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thecirclefoundation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Yu Yongwoo
 

Similar to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14)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Gsc2015 봄 08 노수임-서울시창업지원과_0421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2013 2 careerguidebook
2013 2 careerguidebook2013 2 careerguidebook
2013 2 careerguidebook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
안철수의 공정성장론 in 광주
 
경영이란 무엇인가
경영이란 무엇인가경영이란 무엇인가
경영이란 무엇인가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
창조경제연구회 22차 포럼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 과제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
(2007 20)국내 자치단체의 기업지원 관련조례의 실태와 시사점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벤처다이제스트 182호
벤처다이제스트 182호벤처다이제스트 182호
벤처다이제스트 182호
 
요약북 Zero to one
요약북 Zero to one요약북 Zero to one
요약북 Zero to one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
[창업&예비창업자] 소자본창업성공전략(3시간)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함께일하는재단2013 연차보고서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사)틔움복지재단'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
나도 내가 뭘 말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 (본격 스타트업 환상 부수기)
 

4. 2012년도 청년창업 정책 안내

  • 1.
  • 2.
  • 3. Contents prologue 도전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들에게 4 01 창업준비 및 실행 Chapter 0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8 0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10 0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나요? 12 0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14 0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사람을 도와주는 사업도 있나요? 15 0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16 02 창업초기 성장 촉진 Chapter 0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20 0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22 0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24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25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26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있나요? 28 03 창업절차 및 제도 Chapter 13 창업을 준비중인 예비창업자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30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하는 방법은 없나요? 31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 혜택은 없나요? 32 첨부 1 34 첨부 2 38
  • 4. Prologue ● ● 도전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들에게 흔히들 10개 기업이 창업하면 2~3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고 합니다. 사실 창업이란 것은 매우 어렵고 모험을 걸어야 하는 일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한번 실패는 인생의 실패” 라는 인식이 팽배해있는 문화에서 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하기란 쉽지만은 않은 결정 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지금 우리 시대에“청년들이 창업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 무엇일까요? 는 첫째,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신명이 나고 보람이 있습니다. 창업을 하면 본인이 좋아 하는 일을 할수 있습니다. 샐러리맨 대부분이 초기엔 의욕적으로 일을 하지만 결국 상사 눈치를 보면서 어쩔 수 없이 일하게 됩니다. 반면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좋아하는 일을 하면 남이 시키지 않아도 그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잡고 있게 됩니다. 둘째, 창업을 해서 좋은 성과를 낼 경우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샐러리맨 대부 분은 억대 연봉을 꿈꾸지만, 연봉 1억원의 실제 수입은 8,070만원(월 672만원)에 불과 하며, 매월 300만원씩 저축해도 1년에 3,600만원 정도 모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창업을 해서 젊은 나이에 수백억원의 자산가로 성공한 사례들을 이제는 신문지상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셋째, 젊다면 잃을 것이 별로 없습니다. 만약 사업에 실패하더라도 투자를 유치해서 사업을 수행했다면, ‘잃는 것’ 비해 해당 분야의 내공(insight), 회사 운영 경험, 넓은 에 인맥 등‘얻는 것'이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넷째, 지금이 창업하기에 최적의 시간입니다. 스마트폰·클라우드 서비스보급 확산 등 모바일 IT혁명이 숨가쁘게 진행되면서, 창업에 따른 비용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국경개념도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또한 SNS·소셜커머스·애플리케이션 등 불과 몇 년 전에는 용어조차 생소했던 다양한 창업의 블루오션이 열리고 있습니다. 4 ●○
  • 5.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그래도, 실리콘밸리처럼 투자를 유치 하기도 쉬운 것이 아닌데, 창업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 라고 생각 하십니까? 올해부터 청년들이 창업하는데 갖고 있는 이러한 고충을 최대한 해결 하고자 정부도 팔을 걷어 부치고 나섰습니다. 먼저, 융자상환금조정형 청년창업자금, 엔젤투자매칭펀드 조성 등 청년창업가에 대한 획기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융자상환금 조정형 청년창업자금은 젊은이들이 정직하게 사업하다가 실패한 경우에는 채무액 일부를 탕감해주어 다시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위험을 일부 떠안는 제도로, 기존의 융자방식에서는 볼 수 없었던 최초의 방식을 도입한 것입니다. 청년창업자금은 단순히 자금만 대출해주는 것이 아니라, 전국 13개 청년창업센터에 상주하는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지속적인 컨설팅과 사후관리를 제공함으로써 청년창업 자의 애로를 함께 해결해 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되는 엔젤투자매칭펀드는 청년창업가에게 투자하고자 하는 개인투자가들에게 50%를 함께 투자함으로써 엔젤투자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 으로 기대합니다. 한편,‘미래의 벤처후보군’ 으로 육성하고 있는 1인 창조기업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전용 금융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했습니다. 둘째, 정부와 함께 대학·연구기관, 대기업, 언론사 등 공동체의 주요 구성원 대부분이 청년창업 활성화에 동참하는 총력 지원체제를 가동합니다. 지난해 200명이상의 청년CEO를 배출하여 이미 성과가 입증된“청년창업사관학교” (경기도 안산)를 호남과 영남권으로 확대하여, 청년창업 열기를 지방으로 전파하겠습니다. 아울러, 지역거점별 청년창업 클러스터 형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도 대전, 광주, 제주 3개 지역 대학을 새롭게 지정하여, 광역권 단위의 빈틈없는 지원 인프라가 완비될 것입니다. 한편, “(가칭) 선도기업 연계 청년창업지원사업” 신설, 선배 벤처, 성공기업들의 구매 을 수요와 연계하는‘프로젝트 창업’ 지원하여, 판로가 보장되는 新창업모델을 활성화하 을 겠습니다. 그동안 청년 창업을 지원해 온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국 435개 전문기관이 지방 중소기 ○● 5
  • 6. 업청과 함께“청년창업협의회” 구성하여, 각 기관이 육성한 청년 창업가들을 상호 를 연계하여 후속 지원해 나감으로써 정책의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하도록 해 나가겠습니다. 셋째, FTA체결 및 모바일 IT혁명의 급속한 진전 등으로 더 넓어진 글로벌경제영토를 우리 청년들이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길도 열겠습니다. 금년부터,“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본격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을 미국 실리콘밸리 이외에 중국 등 전 세계에 한국 청년창업의 전초기지가 마련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연대보증 제도를 개선하여 설령 실패하더라도 개인의 인생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다시 재도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성공한 선배 창업가들의 얘기를 들어 보고 창업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결해보는 토크콘서트 형태의“청년창업 한마당 투어” 을 전국을 돌며 개최하여 창업 분위기가 무르익게 만드는 데에도 힘을 쏟겠습니다. 청년 여러분, 아직도 안정된 삶을 바라며 대기업에 취직하고자 스펙쌓기에 열중하고 계시 지는 않습니까? 여러분이 진정으로 평생 사랑하며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저는 창업의 길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쉽지만은 않은 길일 것입니다. 21세기의 다빈치로 칭송받고 있는 前애플 CEO 故스티브 잡스도 실패와 좌절을 겪지 않았습니까? 그렇지만, 세상에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에 있으며, 아프지 않고 성공하는 인생이 또 어디에 있겠습니까? 스티브 잡스가 2005년 스탠포드大졸업식에서 연설한 내용 중 일부로 제 마지막 인사에 갈음하고자 합니다. “진정한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생각건대 위대한 일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위대한 일을 하는 유일한 방법은 사랑하는 사람을 찾듯이 자신이 사랑할 일을 찾는 것입니다. 아직 찾지 못했다면 계속 찾으십시오. 주저하지 마십시오. 진심을 다하면 반드시 찾게 될 것입니다.” 청년창업가가 꿈꾸는 세상을 공감하는 중소기업청장 드림 6 ●○
  • 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1 ●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준비 및 실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 ● ●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 ● ● ● ● ● ● ● ● 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 ● ● ● ● ● 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역할을 ● ● ● ● ● ● 하나요? ● ● ● ● ● ● 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 ● ● ● ● ● 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 ● ● ● 사람을 도와주는●사업도 ● ● ● 있나요? ● ● ● ● ● 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1 예비창업자의 창업준비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청에서는 우수한 기술력 (창업 아이템)을 바탕으로 창업을 준비 중인 예비창업자 들과 창업 1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준비 활동을 지원하는 예비기술창자육성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62억원의 예산을 가지고 360여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창업지원 역량이 검증된 대학·연구기관 등을 창업가양성 전문기관으로 지정하여, 아래와 같이 (예비)창업자의 창업 준비 및 초기 상품화에 사용할 수 있도록 3,500만원(녹색·신성장 분야는 5,0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사업화 기획(교육) :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아이템을 보다 구체화 시켜주고, 시장 트렌드 에 맞게 다듬어 주는 등 사업계획의 완성도를 높혀 줍니다. 전문 멘토링 : 대학·연구기관에 근무하는 교수, 연구진들이 (예비)창업자의 기술 및 경영 애로, 인력·법무·세무·회계 등 창업준비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밀착 해서 멘토링 해줍니다. 시제품 제작 : 창업아이템을 상품화할 수 있도록 제품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 해 드립니다. 또한,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시험·테스트 등 시제품 제작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지식재산권 인증, 홍보물 제작 및 국내외 전시회 참가 등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사용 가능합니다. 8 ●○
  • 9. 창업준비 및 실행 01 창업준비 공간 : 대학·연구기관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예비)창업자의 사업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컴퓨터·프린터 등 기본적인 사무용품도 제공해 드립니다. 사업 신청자격은 사업 신청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 상 중소기업으로 사업공고일 기준으로 창업 후 1년 이내 기업의 대표자와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예비창업자입니다. 사업신청은 참여 신청서와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신청접수 시스템 (startbiz.changupnet.go.kr)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이후, 약 한달간 서류 및 발표평가 등 선정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예비)창업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지원기간은 사업에 선정된 다음해 2월까지이고, 최종 선정된 (예비)창업자가 총사업비 의 10%를 현금으로 납부하면 지원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 금년도 예비창업자 지원기관(2월말 선정 예정) 등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 홈페이지 (http://www.changupnet.go.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이장훈 팀장 / Tel. 042) 480-4340 ○● 9
  • 10.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2 청년창업사관학교란 어떤 곳이며 어떻게 입학하나요? 「청년창업사관학교」 기술력 있는 청년창업자를 선발하여 마치 육 해 공군 사관학교처럼 는 · ·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1:1 실무 코칭을 통해 미래의 혁신적인 글로벌 기업가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청년CEO 전문 양성기관입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에서는 기술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창업자들에 대해 창업계획 수립부터 사업화까지의 창업 全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는데, 최대 1억원 이내의 창업지원금을 조건없이(무담보 무보증 무상환) 보조하며, 창업공간, · · 창업코칭, 창업실무교육, 제품개발 과정 및 졸업 후 정책융자금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업공간 : 청년창업사관학교 내에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입소형은 약 13㎡(약4평)의 전용 사무공간을 제공하며, 준입소형인경우에는 공동사무공간이 제공 됩니다. 창업코칭 : 현장 애로해결 경험이 풍부한 업종별 창업 전문인력을 1:1 전담교수로 배 치하여 창업 全 과정을 함께 고민하고 지원합니다. 창업교육 : 창업역량을 진단하여, 개인별 역량 수준과 창업 분야를 고려한 체계적인 기 술창업 실무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다만, 총 300시간 이상의 교육과정 중에 서 필수 교육과정 미이수 및 의무 교육 이수시간(120시간) 부족시 중간평가를 통해 탈 락 또는 퇴교 조치시킬 정도로 엄격하게 평가관리 합니다. 10 ●○
  • 11. 창업준비 및 실행 01 기술지원 : 제품개발실 등을 운영하여, 제품설계(CAE, 역설계 포함) 및 디자인부터 시제품 제작 등 제품개발 과정의 기술 및 장비를 지원합니다. 사업비 지원 : 창업활동비, 기술개발 및 시제품제작비, 기술정보활동비, 지식재산권 취득 및 인증비, 마케팅비 등으로 총 1억원 이내의 보조금을 정부예산으로 지원합니다. 연계지원 :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자에 대해서는 청년전용창업자금 및 창업기업 육성자금 등 정책융자금과 투자금 정책보증, 판로지원등 사업화 정착을 위한 후속 연계지원이 이어집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사업공고일 기준 만 39세 이하인 자로서 예비창업자와 창업후 3년이내 중소기업의 대표자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특허권을 보유하신 경우와 대학이나 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이전을 받아 창업하는 경우, 대기업이나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에서 분사하여 창업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에 대해 서는 40세 이상이어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청년창업자는 참여 신청서와 사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신청접수 시스템(startbiz.changupnet.go.kr)으로 제출하면 됩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 홈페이지(http://www.changupnet.go.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청년사관학교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경기 (안산) 경기 안산시 단원구 연수원로 87번길 031) 490-1279 호남 (광주)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465번길 062) 250-3000 부산ㆍ경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남영길 473번길 22 055) 548-8045 대구ㆍ경북 경북 경산시 경천로 222번길 86 053) 819-5001 중소기업청 / 안원호 사무관 / Tel. 042) 481-8914 문의처 중소기업진흥공단 / 김근영 팀장 / Tel. 031) 490-1371 ○● 11
  • 12.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3 창업선도대학은 어디에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나요? 정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주요 광역경제권별로 15개의“창업선도대학” 지정하여,“창업 을 교육 및 발굴 → 창업실행 → 초기 성장 촉진” 창업 全과정을 하나의 대학 내에서 종합 등 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창업선도대학」종합지원 프로그램 > 대학생 등 창업초보자를 대상으로 창업강좌, 기술창업아카데미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창 업동아리 활동을 지원하여, 창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창업선도대학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신청하시면 청년창업자의 창업준비와 실행에 필요한 사업화 기획(교육) 및 전문 멘토링, 시제품 제작,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최대 5천만원까지 지원받을수 있으며, 창업준비에 필요한 공간도 함께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금년에는 광주, 대전, 제주지역에 창업선도대학을 추가로 지정(3개)하여 총 18개의 선도 대학이 청년창업자들의 성공의 꿈을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12 ●○
  • 13. 창업준비 및 실행 01 ※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http://www.changupnet.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이재훈 과장 / Tel. 042) 480-4356 <참고> 전국 15개 창업선도대학 연락처 No 학교명 연락처 지역 주소 1 강원대 033) 250-8992 강원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192-1 강원대학교 공대 6호관 2 경남과기대 055) 751-3600 동남 경남 진주시 칠암동 150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인문 4호관 3 경일대 053) 850-7769 대경 경북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33 경일대학교 R&DB센터 4 계명대 053) 620-2076 대경 대구 남구 대명동 계명대학교 의양관 5 동국대 02) 2088-3735 서울 서울시 중구 필동2가 82-1 동국대학교 영상센터 6 동아대 051) 200-6451 동남 부산 사하구 하단2동 840 동아대학교 산한연구관 7 목포대 061) 450-6259 호남 전남 무안군 청계면 도림리 61 목포대학교 중소기업BI 8 연세대 02) 2123-4318 서울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공학원 9 영남이공대 053) 650-9577 대경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 274 영남이공대학교 산학협력단 10 인덕대 02) 950-7091 서울 서울 노원구 월계동 산76 인덕대학 창업 보육진흥원 11 인천대 032) 835-9666 인천 인천 연수구 송도동 12-1 인천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12 전주대 063) 220-2108 호남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가 120 전주대학교 벤처창업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성북로 410 충북대학교 13 충북대 043) 261-3444 충청 학연산공동기술연구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2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4 한국산기대 031) 8041-0980 경기 창업보육센터 15 호서대 041) 540-5362 충청 충남 아산시 배방읍 세출리 165 호서대학교 창업지원단 TBI ○● 13
  • 14.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4 성공한 선배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선배 벤처기업인의 성공 노하우를 청년 및 예비창업자에게 전수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1년이내 기업을 선배 벤처기업내에 입주토록 하여, 창업준비공간부터 멘토링, 시제품 제작, 바이어 알선 등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선도벤처기업이 바로 곁에서 세세한 부분까지 도와줍니다. 참여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초기기업에게는 정부에서 최대 6천만원까지 무상으로 지원 합니다. 이 사업은 지난해에 처음 시작되었는데, 선배 벤처기업이 창업기업에 투자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선배기업이 창업기업이 개발한 제품이나 기술(특허)을 구매하거나 공동 R&D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완할 계획입니다. 올해 3월말부터는 선배기업인과 예비창업자가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선배기업인의 생생한 창업경험과 경영노하우를 주고받고, 사업계획서에 대해 평가도 받을 수 있는「청년창업 한마당 투어」 전국을 순회하며 개최할 예정입니다. 을 아울러, 벤처기업협회에서는 성공벤처CEO와 청년 (예비)창업자간 만남의 장인「벤처 7일 장터」 매월 7일마다 개최하여, 예비창업자에게 성공 창업에 대한 조언과 투자유치 등 를 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벤처기업협회 홈페이지(http://www.venture.or.kr 또는 yesleaders.com)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강봉수 사무관 / Tel. 042) 481-4423 문의처 벤처기업협회 / 박행귀 팀장 / Tel. 02) 890-6267 14 ●○
  • 15. 창업준비 및 실행 01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5 해외에서 창업하려는 사람을 도와주는 사업도 있나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세계시장을 무대로 글로벌 창업을 꿈꾸는 청년 (예비)창업자를 위해 금년부터「글로벌 청년창업 활성화 지원 사업」 새롭게 운영할 예정입니다. 을 해외진출 의지, 우수한 제품 및 기술력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IT, 첨단제조, 문화콘텐츠 등 분야별 다양한 현지 진출 프로그램 운영을 준비 중입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할 경우, 창업넷(www.changupnet.go.kr)을 통해 창업아이템 사업화 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본 사업은 유망 청년 (예비)창업팀을 선별하여 단계 별로 운영합니다. 먼저, 약 1개월간의 1단계 프로그램에서는 창업연수 기회를 부여합니다. 1주간 국내 사 전 창업교육을 실시하여 미국 등 현지 기업문화 및 창업 전략 등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 를 제공합니다. 창업교육을 수료하면, 미국 실리콘밸리로 이동하여 스탠포드대학 등 현지전문 교수진, 벤처캐피탈, 기업인 등과 함께 현지 창업사례 연구하고 사업모델 기획 프로젝트 등을 추진합니다. 숙박비, 식비 등 체류비용을 제외한 항공료, 교육 및 네트워킹 등 비용은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총 3주간 현지 창업교육을 통해 현지진출 및 사업화 전략을 수립 하여 발표하면 현지 전문가들이 졸업 발표심사를 합니다. 2단계 프로그램으로 졸업 성적이 우수한 청년 (예비)창업팀을 선발하여 현지 창업보육 전문 업체를 통해 창업공간 및 전문 사업화 코칭, 투자유치 설명회 (IR) 등을 제공합니다. 총 3개월간의 현지 집중 보육을 통해 향후 현지 법인(지사) 설립 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창업넷(http://www.changupnet.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호진 주무관 / Tel. 042) 481-4386 문의처 창업진흥원 / 박종혁 주임 / Tel. 042) 480-4331 ○● 15
  • 16.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6 앱 분야의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 그램을 알고 싶습니다. 정부에서는 성장 잠재력이 큰 앱 분야의 창업과 창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창의적인 아이 디어를 가진 학생 등을 대상으로 앱 개발 교육을 실시하는한편, 예비 창업자의 실전 창업을 지원하는 창업 전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있습니다. 먼저, 대학 등을 중심으로 전국 25곳을 앱 창작터로 지정하여 앱 개발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앱 창작터에서는 교육생이 팀을 구성하여 실제 앱을 개발해보는 140시간의 심화 교육과정 을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플랫폼 별로 개설·운영하며,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음원, 게임, 센서 등 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세부 분야별 내용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들이 쉽게 창업할 수 있도록 사업 기획부터 개발 및 사업화까지 앱 분야 창업 전과정을 일괄 지원하는‘앱 특화 창업 코스’ 를 운영합니다. 1단계 : 기획·개발·디자인 각 분야별 전문가를 선발하여 경영전략 등 창업 기본소양교 육을 실시하고, 이과정에서 각자 창업팀을 구성하여 팀별로 창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단계 : 사업계획이 작성된 팀들이 실제 앱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전문교육과 멘토링 등을 제공하며, 특히 전문분야 외주용역 등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2,000만원 내외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개발된 앱에 대해서는 평가를 거쳐 앱 특화 보육센터 입주 기회와 함께 마케팅 등 후속 사업화에 필요한 자금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앱 특화 창업 코스’ 연간 300명(상·하 는 반기 각각 150명)을 선발하며, 팀으로 참여하는 경우 선발과정에서 우대할 예정입니다. 중소기업청 / 마경준 주무관 / Tel. 0 42)481-3982 문의처 창업진흥원 / 조영수 팀장 / Tel. 042) 480-4380 16 ●○
  • 17. 창업준비 및 실행 01 <참고> 웹 창작터 연락처 (25개) 지역 주소 연락처 서울대학교 서울시 관악구 신림9동 관악로599 공과대학 138동 209호 02) 880-8700 세종대학교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209 율곡관 405A 02) 3408-3904 비트교육센터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33, 비트교육센터 02) 3486-3456 한성대학교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254, 에듀센터 6층 02) 760-5730 서경대학교 서울시 성북구 서경로124 북악관709호 02) 940-7667 안양지식산업진흥원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248번길 25 031) 389-2329 단국대학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52 복지관 601호 031) 8005-2922 청강문화산업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청강로 162 아람관 102호 031) 639-4415 한국디지털미디어고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사세충열로 94 031) 363-7895 인하대학교 인천시 남구 인하로 100, 정보통신처 4-213 032) 860-9091 강원대학교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공학6호관 603호 033) 250-6390 한라대학교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한라대길 28 산학협력단 033) 760-1323 목원대학교 대전시 서구 목원길 21 캠퍼스타운 212-1호 042) 829-7627 한밭대학교 대전시 유성구 동서대로125 산학협력단 042) 821-1784 극동대학교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대학길76-32 공학관 403호 043) 879-3615 건양대학교 충남 논산시 내동 대학로 119번지 산학협력단 204호 041) 730-5720 조선대학교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09, 공과대학 613호 062) 230-7764 전북대학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567 공과대학 7호관 063) 270-2357 원광대학교 전북 익산시 익산대로460 공과대학 5407호 063) 850-6888 경성대학교 부산시 남구 수영로309 26호관 정보관 202호 051) 663-5582 동의대학교 부산시 부산진구 엄광로 995 산학협력부 051) 890-2933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시 남구 명덕로104 아이씨티파크 3관 1층 053) 422-9084 대구대학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공학7호관 7410호 053) 850-4494 창원대학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로92 공대51관 325호 055) 213-2929 제주대학교 제주도 제주시 제주대학로102 공과대학 4호관 4층 064) 727-0038 ○● 17
  • 18. Memo
  • 1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2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초기 성장 촉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 ● ● ● ● ● 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 ● ● ● ● ● ● ● ● ● ● ● ● 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 ● ● ● ● ● ● ● ● ● ● ● ● ● ● ● ● ● ●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 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 ● ● ● ● ●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 ● ● ● ● ● ● 있나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7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신청자격과 지원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하고도 자금부족,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창업을 주저하는 청년들이 많은데, 이런 청년들의 창업위험을 정부가 일부 분담하는 융자정책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즉, 만 39세 미만의 청년 (예비)창업자에게 창업준비 및 도전에 필요한 자금을 순수 신용 으로 지원하는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신설하여 금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 ’ 12년 지원규모 2,100억원) 청년전용창업자금은 중진공 또는 민간은행(우리·기업은행)을 통해 지원합니다.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센터(500억원) : 2.7% 저리의 창업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창업자들의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자금 및 교육·컨설팅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불가피한 사유로 사업에 실패한 경우 신속한 재도전이 가능하도록 상환금 일부 또는 전부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의 창업자 육성프로그램을 수료한 경험이 있는 우수 창업자에 대해서는 지방중기청에 설치된 “청년창업협의회” 통해 추천함으로써, 본인 희망시 교육·컨설팅 및 멘토링 과정을 생략· 를 단축하여 신속하게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신청 서류 검토 교육 컨설팅 심의위원회 · 1:1멘토링 총 소요 시간 5일간 실시 컨설팅 초보 창업자 약 1주 4박5일 2회 실시 약 25일 (매월 1~5일) 종료일 협의회 생략 서류검토 1회 실시 준비된 창업자 5일 약 15일 추천 (자료대체) 직후 +점검 민간금융기관 (우리 기업은행) (1,600억원) : 정부지원자금과 동일하게 2.7%의 저리로 · 자금을 융자 받을수 있으며, 민간전문가의 창업컨설팅도 받을 수 있습니다. 20 ●○
  • 21.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 청년전용창업자금 비교 > 구분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업·우리은행 규모 500억 + 컨설팅 35억 정부 800억 + 민간 800억 + 컨설팅 40억 신청자격 만 39세 이하의 청년(예비창업자, 3년미만 창업기업) 지원조건 2.7% 고정금리, 시설운전자금(3년상환(1년거치 포함)) 한도 지식서비스업 : 5천만원, 제조업 : 1억원 지식서비스업 : 7천만원, 제조업 : 1억원 신청기간 매월 1~5일 연중 수시 신청방법 중진공 지역본부 또는 온라인(www.sbc.or.kr) 우리은행 및 기업은행 전국지점 평가방식 사업계획서 공개심사로 자금지원 결정 은행별 신용등급 평가방식 적용 융자방식 중진공 직접대출(교육·컨설팅) 은행 창구 대출(컨설팅) 융자상환금조정 가능 불가능 신청자격은 자금신청일 현재 만 39세 이하인 자로서, 지식서비스업종이나 문화콘텐츠업종 또는 제조업종을 영위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와 창업 3년 미만인 기업이면 됩니다. <참고> 청년전용창업자금 신청.접수 문의처 구분 연락처 주소 기업은행 1566-2566 전국지점 우리은행 1599-5000 전국지점 서울 02) 6678-4141~3 서울시 양천구 목1동 917-6중소기업유통센터 사무동 14층 인천 032) 450-0540~2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송도동 7-50) 갯벌타워 14층 중소 경기 031) 259-7930~3 경기도 수원 영통 이의동 906-5(광교로107)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11층 기업 대전충남 042) 866-0150/1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북로 96 (장동)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5층 진흥 충북 043) 230-681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산로 50 (가경동)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공단 전북 063) 210-9932~4 전북 전주시 덕진 팔과정로 164 (팔복동1가) 전북경제통상진흥원 6층 대구경북 053) 602-5273/4 대구광역시 북구 유통단지로3길 90 (산격동) 대구전시컨벤션센터 4층 청년 강원 033) 259-7621~3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54 (중앙로2가) 우리은행빌딩 5층 창업 광주전남 062) 600-3040/1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8번로 177 (도천동) 중소기업지원센터 3층 센터 부산 051) 630-7451~3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257 (감전동) 보생빌딩 에이동1층 울산 052) 703-1161/2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74 (삼산동 1479-5) W-Center 14층 경남 055) 212-1381~3 경남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62 (대원동) 창원컨벤션센터 3층 제주 064) 751-2061/2 제주 연삼로 473(이도2동 390) 제주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 Tel. 042) 481-4384 문의처 중소기업진흥공단 / 전봉준 팀장 / Tel. 02) 769-6899 ○● 21
  • 22.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8 창업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은? 청년전용창업자금 이외에도 창업기업의 초기 안정화 및 성장촉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융자 및 보증 프로그램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창업기업지원자금”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보유한 은 5년 미만의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1.1조원 규모의 시설자금 및 운전자금을 융자하여 드립니다. 시중은행보다 훨씬 저렴한 금리(변동금리, 12.1/4분기 3.1%)로, 업체당 연간 30억원 (운전자금은 5억원)까지 최장 8년간(운전자금은 5년간)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중진공 홈페이지(http://www.sbc.or.kr)의 신청양식 및 관련서류를 참고하여, 중소기 업진흥공단 지역본(지)부에 매월 1~5일 중 접수하면 됩니다. <참고> 문의처 : 중소기업진흥공단 각 지역본부 및 지부 지역본(지)부 전화 지역본(지)부 전화 서울지역본부 02) 6678-4127 경북지역본부 054) 476-9322 서울동남부 02) 2156-2222 경북동부 054) 223-2047 서울북부 02) 769-6816 경북남부 053) 212-3300 인천지역본부 032) 450-0521 강원지역본부 033) 259-7622 인천서부지부 032) 450-0560 강원영동 033) 655-8870 경기지역본부 031) 259-7911 광주지역본부 062) 600-3000 경기동부 031) 259-7991 전남지역본부 061) 280-8000 경기북부(고양) 031) 920-6700 전남동부 061) 724-1056 대전지역본부 042) 866-0114 부산지역본부 051) 630-7400 충남지역본부 041) 621-3687 부산동부 051) 710-6880 충북지역본부 043) 230-6811 울산지역본부 052) 703-1100 충북북부 043) 841-3600 경남지역본부 055) 212-1350 전북지역본부 063) 210-9900 경남동부 055) 212-1388 전북서부 063) 460-9800 경남서부 055) 756-3060 대구지역본부 053) 601-5300 제주지역본부 064) 751-2054 22 ●○
  • 23.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아울러,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지원하는 총 6,000억원 규모의“청년창업 특례보증”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신용보증기금(3,000억원) : 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 및 창업 후 3년 이내 창업기업이 신청할 수 있고, 창업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최고 5,000만원까지 보증을 받을 수 있으며, 최저보증료율(0.5%)이 적용되고 100%까지 전액 신용보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신용보증기금 사이버영업점(www.kodit.co.kr)에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SMS 통보에 따라 방문 상담을 실시하며, 신청시 사업계획서와 사업자등록증 사본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기술보증기금(3,000억원) : 창업 후 3년 이내로 대표자가 만 20~39세 이하인 기술창업기 업이 이용할 수 있으며, 기술사업평가등급에 따라 최대 2억원까지 보증받을수 있습니다. 보증료는 창업기업의 기술사업평가등급에 따라 0.5∼3.0%까지 차등 적용됩니다. 기술보증기금 전지역센터에서 연중 수시로 신청 가능하며, 제출서류는 각 센터에서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신용보증기금(www.kodit.co.kr) 고객센터 1588-6565, 또는 기술보 증기금(www.kibo.or.kr) 고객센터 1544-112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정책보증기관 지역본부 현황 신용보증기금(8개) 기술보증기금(9개) 지역본(지)부 전화 지역본(지)부 전화 서울동부영업본부 02) 2204-6763 서울본부 02) 785-2040 서울서부영업본부 02) 2077-6680 강남본부 02) 563-4020 부산경남영업본부 051) 605-3131 부산본부 051) 606-7683 대구경북영업본부 053) 430-8999 대구본부 053) 251-5600 호남영업본부 062) 607-9190 광주본부 062) 361-1134 경기영업본부 031) 230-1579 수원본부 031) 8006-1500 인천영업본부 032) 450-1649 인천본부 032) 429-5813 충청영업본부 042) 250-2199 대전본부 042) 483-7451 창원본부 055) 289-8401 ○● 23
  • 24.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09 청년 창업기업의 투자 유치를 도와주는 제도가 있나요? 투자란 투자자와 그 회사가 운명을 함께해야 하는 것으로 사실 창업기업이 투자를 받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러나 전국의 104개 벤처캐피탈과 지난해부터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엔젤투자를 통해 투자를 유치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먼저, 전국의 104개 창업투자회사 등 벤처캐피탈을 통해 투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벤처캐피탈과 투자상담을 받은 후,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인정받는다면 투자를 유치할 수 있습니다. ※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참고 다음으로 엔젤투자가로부터 투자자금을 유치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엔젤투자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작년부터 엔젤투자에 대한 소득공제 비율을 10%에서 20%로 확대하는 등 세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였고, 엔젤투자지원 센터를 설치하여 엔젤투자 인프라도 정비하였습니다. 금년에는 엔젤투자매칭펀드를 700억원 규모로 조성하여, 엔젤투자자가 창업 3년 이내 기업에 先투자하면 1:1의 비율로 매칭투자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엔젤투자를 받기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투자마트에서 엔젤투자 자를 대상으로 IR(투자설명)을 통해, 엔젤투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엔젤투자지원센터 홈페이지(http://www.kban.or.kr)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채광 사무관 / Tel. 042) 481-4421 문의처 엔젤투자지원센터 / 이기백 팀장 / Tel. 02) 2156-2141~2 24 ●○
  • 25.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0 창업보육센터(BI)에 입주하게 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중소기업청은 창업초기기업에게 시설·장소, 경영 및 기술분야 컨설팅서비스 등을 종합적 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 280개「창업보육센터(BI : Business Incubator)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첫째,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초보사장님 또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 예비 창업자에게 개별 또는 공동작업장 등의 시설을 지역의 일반 시세보다 저렴하게 제공합니다. 둘째, 입주 후 센터의 내부 전문인력인 창업보육 전문매니저 또는 센터와 연계되어 있는 외부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경영·세무·기술지도 등의 지원을 받음으로써 창업에 따른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셋째, 입주기업 만을 위한 정부지원사업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제품 개발에서 시장진출까지 1개 기업 당 2천만원 한도 내에서 시장조사, 시제품 디자인 및 모형제작, 시작금형 및 국내외 전시회 참가 사업 등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넷째, 수도권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할 경우 회사설립 시 발생하는 취·등록(면허)세 및 재산세 중과가 적용되지 않으며, 대학·연구기관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우 건축 물 용도나 용도지역 등에 관계없이 도시형공장 설치가 가능합니다. 입주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은 첨부의 280개 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창업보육센터종합정보망(www.bi.go.kr), 창업만물사전 앱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첨부2> 전국 창업보육센터 연락처 참고 중소기업청 / 송제훈 주무관 / Tel. 042) 481-4413 문의처 창업진흥원 / 변영조 팀장 / Tel. 042) 480-4390 ○● 25
  • 26.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1 1인 창조기업을 육성하는 제도와 사업이 궁금합니다. 올해에는 1인 창조기업 전용 창업·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확충하여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첫째, 기술보증기금에서 운영하는「1인 창조기업 특례보증제도」 통해 기업당 최고 를 3억원의 창업 및 경영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1인 창조기업이 수주한 프로 젝트를 담보로 제품생산 등에 필요한 운전자금을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하는「1인 창조기업 지원자금」 신설 하였습니다. 도 둘째, 1인 창조기업이 수주한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사업화 비용을 지원하는「지식거 래 조건부 사업화 지원사업」 신설 하였습니다. 1인 창조기업은 과제수행을 위한 재료 을 비와 외주개발비 등의 50%이내에서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1인 창조기업 전용 R&D 지원사업」 운영합니다. 1년 이내의 자유로운 R&D과 을 제를 신청하여 최대 5천만원까지 받을수 있으며, 특히 앱 분야 과제는 우선적으로 지원 됩니다. 넷째, 1인 창조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에 34개의「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센터에서는 를 개인 (공동)사무실, 회의실 등의 사무공간과 세무·법률 등 전문가 상담, 교육 등의 경영 지원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전문 매니저를 통한 입주기업의 일감 확보도 지원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이디어 비즈뱅크(www.ideabiz.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김종길 주무관 / Tel. 042) 481-4554 문의처 창업진흥원 / 조영수 팀장 / Tel. 042) 480-4380 26 ●○
  • 27. 창업초기 성장 촉진 02 <참고>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 연락처(34개) 센터명 주소 연락처 가산센터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34, 에이스하이엔드타워 6차 20층 02) 6299-5500 역삼센터 서울시 강남구 논현로 525 한국콘텐츠진흥원 4층 02) 2016-4153 서울 노원구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테크노파크 12층 1203호 02) 944-6038 서울 마포구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18 601호 070) 7727-4101 서울 은평구 서울시 은평구 은평로 21길 52 은평구청 별관 02) 6015-9343 서울 성북구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4가 260 드림트리빌딩 6층 02) 920-4394 경기 수원시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천로 255번길 6 031) 241-1713 경기 의정부시 경기도 의정부시 경의로114 영빈빌딩 4층 031) 828-8877 인천시 인천시 남구 경인로 229, 인천IT타워 301호 032)250-2061 부산시 부산시 중구 중앙대로 63, 부산우체국 4층 051) 464-0063 부산 사하구 부산시 사하구 낙동대로 498, 초이스빌딩 4층 051) 205-1014 경남 창원시 경남 창원시 마산 합포구 삼일오대로 203 055) 247-9387 대구 중구 대구시 중구 태평로 160 대우빌딩 13층 053) 422-5110 대구 수성구 대구시 수성구 지범로 157 053) 784-8261 경북 문경시 경상북도 문경시 중앙로 280 (농업기술센터별관 2층) 054) 552-2322 전라남도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로 26 061) 729-2700 전북 전주시 전북 전주시 완산구 아중로 33 (전주정보영상진흥원) 063) 281-4221 대전광역시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512번길 20 대전CT센터 2층 042) 864-5112 충청남도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은행나무길 223 041) 539-4548 강원 강릉시 강릉시 경강로 2326번길 4 033) 650-3394 (주)르호봇비즈니스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0, 율촌빌딩 3층 02) 783-4511 (주)메트로비즈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17길 60, KS빌딩 3층 02) 556-5665 비즈앤택스㈜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35길 11, 인우빌딩 5층 1661-7854 한성케이에스콘㈜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02) 6670-0021 ㈜오피스허브 서울시 강남구 개포로 508, 소망빌딩 02) 445-8005 용인 디지털진흥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5-20 031) 323-3050 인천경영자총협회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215번길 30,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032) 428-8038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1층 051) 749-9461 ㈜크로스비즈 부산시 부산진구 동천로 109 051) 818-0211 울산시 울주군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곡천동문길 20-22 052) 229-7370 광주광역시 광주시 동구 금남로 2가 무등빌딩 10층 062) 613-2450 제주테크노파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17호 064) 720-3021 충북 지식산업진흥원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각리 1길 7 043) 210-0820 (사)한국캐릭터협회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1가 7번지 공영빌딩 3층 070) 8672-5682 ○● 27
  • 28.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2 창업기업만을 별도로 지원하는 R&D프로그램이 있나요? 창업초기기업은 R&D경험 및 인력·인프라 보유 등의 측면에서 기술혁신 역량이 상대적으 로 낮아, 이미 성장단계에 진입한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 창업기업의 원활한 정부 R&D 사업 참여와 이를 통한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해, 창업기업들만을 위한 별도의 R&D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먼저, 창업초기기업(업력 5년 이하)만을 대상으로하는 창업전용 R&D를 통해 최대 1년 동안 2억원(총 사업비의 75%)의 연구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둘째, ‘1인 창조기업’‘어플리케이션분야’ 과 기술지원을 위해, ‘1인 창조기업 기술개발사 업’ 신설하여 최대 1년 동안 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이며, 을 ‘앱 기술개발사업’ 을 통해 앱 자체 개발은 최대 1년 동안 5천만원, 앱 관련 요소기술개발은 최대 1년 동안 1억5천만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셋째, 창업초기기업들을 포함하여 정부 R&D수행경험이 없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첫걸음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술 잠재역량은 보유하고 있으나 기획력이 부족한 기업들을 위해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R&D 자금까지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으며, 최대 1년 동안 2억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 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http://www.smtech.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서종필 사무관 / Tel. 042) 481-4442 문의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윤현영 책임 / Tel. 02) 3787-0550 28 ●○
  • 2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pter ● ● ● ● ● ● 03 ● ● ● ● ● ● ● ● ● ● ● ● ● ● ● ● ● ● ● ● ● ● ● 창업절차 및 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창업을● ● 준비중인 예비창업자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 ● ● ● ● ● ● ● ● ● ●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하는 방법은 없나요? ● ● ● ● ● ●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혜택은 ● ● ● ● ● 없나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3 창업을 준비중인 예비창업자 인데, 창업절차가 궁금해요. 법령상의 행정절차를 밟기 전에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한데 먼저, 창업아이템을 선정, 사업 타당성 분석 및 사업계획서 작성 등이 핵심 준비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사설립 단계인데,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두가지 형태중에서 선택할 수 와 의 있습니다. 창업 과정에서 기업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개인기업과 법인 기업의 여러 가지 요소를 비교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개인사업자로 창업하는 경우는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사업개시일로부터20일 이내) 신청만 하면 되며, 법인사업자로 창업하는 경우는 관할 지방법원 또는 등기소에 법인 설립 등기를 하고 관할 세무서에 법인설립신고(사업자등록)를 하여야 합니다. <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비교 > 비교항목 법인기업 개인기업 설립절차 개인에 비해 복잡 사업자등록만으로 가능 기업영속성 대표가 바뀌어도 계속성 유지 대표자 바뀌면 신규사업자 대표자 책임 유한책임(지분한도 내) 무한책임 대외 신인도 대체로 높음 대체로 낮음 설립비용 일정 비용 필요 거의 없음 자금조달 자금조달 용이, 대자본 가능 조금조달 한계, 대자본 불가능 이익금 사용 제약있음(사적 유용 금지 등) 제약없음(개인 자금 사용) 관리비용 비교적 많음 비교적 적음 외부감사 자산 100억이상 법인 의무 적용 대상 아님 세금부담 과세표준액이 많은 경우 유리 과세표준액이 적은 경우 유리 과세체제 법인세, 대표 급여의 비용 인정 소득세, 대표 급여 비용 불인정 전국 11개 지방 중소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에서는 회사설립 및 공장설립절차 등에 대해 자세한 상담을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처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 Tel. 042) 481-4384 30 ●○
  • 31. 창업절차 및 제도 03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4 온라인으로 손쉽게 법인을 설립 하는 방법은 없나요? 중소기업청에서는 예비창업자가 인터넷 상에서 간편하게 회사설립을 할 수 있게「온라인 재택창업시스템(http://www.startbiz.go.kr)」 운영하고 있습니다. 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와 은행에서 발급해주는 전자상거래용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하기에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혹시 어려워하시는 분들 을 위해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577-5475로 전화주시면 전문상담사가 이용자의 컴퓨터와 원격으로 연결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도와 드리고 있습니다. 기존 오프라인 법인설립과 다른 점은 법인설립 서류를 제출하기 위해 은행 구청 등기소 · · · 세무서 및 4대 보험기관 등을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재택창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기관에 온라인으로 서류를 제출하기 때문에 기관방문 시 14일 걸리던 시간을 5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수수료 등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 측면에서도 창업기업 대표자기 직접 법인을 설립하기 때문에 약 50만원 가량의 대행비를 아낄 수 있으며, 3만원 상당의 등기수수료도 1만원으로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법인설립 비용을 절약하면서 불필요한 행정수속 시간도 줄일 수 있는 일석이조의 재택 창업시스템을 이용해보세요!!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재택창업시스템(www.startbiz.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소기업청 / 안원호 사무관 / Tel. 042) 481-4553 문의처 창업진흥원 / 김군태 주임 / Tel. 042) 480-4372 ○● 31
  • 32. QUESTION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Questi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5 창업초기엔 세금도 부담되는데 세금감면 혜택은 없나요? 창업기업의 경우 매출이 발생하여 수익구조를 갖추기 전까지는 자금부족이 가장 큰 애로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창업기업에게 취득세, 등록세, 법인세(또는 소득세) 등을 감면하여 창업기업이 느끼는 자금애로를 완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개인기업은 소득세, 법인기업은 법인세를 납부하여야 하는데 창업기업에 대하여는 법인세(또는 소득세)를 4년간 50% 감면하여 주고 있으며, 취득세·등록세는 4년간 면제, 재산세는 5년간 50% 감면하여 주고 있습니다. 다만,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창업하고, 세제감면 해당업종을 영위하는 경우에 세제감면이 가능합니다. 창업·벤처기업 세제감면제도 개요 대상 : 2012년 12월 31일 이전에 수도권과밀억제권역* 외의 지역에서 창업한 중소 기업(창업중소기업)과 창업후 3년 이내에 2012년 12월 31일까지 벤처기업으로 확 인 받은 기업( 창업벤처기업) * 수도권과밀억제권역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강화, 옹진, 서구 대곡, 불로, 마전, 금곡, 오류, 왕길, 당하, 원당, 인천경제자유구역 및 남동 국가산업단지는 제외), 의정부시, 구리시, 남양주시(호평, 평내, 금곡, 일패, 이패, 삼패, 가운, 수석, 지금동 및 도농동만 해당), 하남시, 고양시, 수원시, 성남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 (반월특수지역은 제외) 해당업종 : 광업, 제조업, 건설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전문 디자인업, 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등(조세특례제한법 제6조제3항) 32 ●○
  • 33. 창업절차 및 제도 03 감면내용 구분 주요 지원내용 근거 창업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에 대하여 창업 후 소득세 발생연도 소득세 조세특례제한법 부터 4년간 매년 납부할 법인세(소득세)의 50% 감면(과밀억제권역 (법인세) 제6조 내 창업기업은 제외) 창업중소기업과 창업벤처기업의 법인설립등기에 대한 등록세 면제 조세특례제한법 등록면허세 (창업 또는 벤처확인 이후 4년이내에 자본 또는 출자액 증가하는 제119조 경우 포함), 법인주소 또는 대표이사의 주소변경으로인한 등기 창업중소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창업일 조세특례제한법 취득세 (창업벤처기업은 벤처확인일)로부터 4년 이내에 취득한 사업용 재 제120조 산에 대해 취득세 면제 창업중소기업 및 창업벤처기업이 소유하는 사업용 재산에 대해 창 조세특례제한법 재산세 업일(창업벤처기업은 벤처확인일)로부터 5년간 재산세 50% 감면 제121조 60세 이상의 부모 등이 18세 이상 자녀에게 창업자금(30억원한도) 창업자금 조세특례제한법 을 증여하는 경우 증여 과세가액에서 5억원을 공제하고 초과액은 사전상속 제30조의5 10% 낮은세율로 과세한 상속 시정산 중소기업이 창업 후 2년 이내 금융기관 융자관련 문서에 대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인지세 인지세 면제 제116조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세금을 부과하는 해당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문의처 중소기업청 / 공영식 연구관 Tel. 042)481-4384 ○● 33
  • 34.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그린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92-8 소봉빌딩 6층 02) 2015-9900 그린부산창업투자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70번지 051) 465-1214 대경창업투자 대구시 동구 신천동 95 대구벤처센터 4층 053) 751-2537 대교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8-9 동성빌딩 4층 02) 3452-1236 대덕인베스트먼트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764 070) 7770-3210 대성창업투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02 문화콘텐츠센터 10층 02) 3153-2960 동양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0-16 하이리빙빌딩 19층 02) 561-0056 동훈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2-19 동훈타워 21층 02) 2051-2700 로얄브릿지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714-32 형덕빌딩 3층 02) 535-1411 로이언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45-2 금복오피스텔 703호 02) 3477-2563 리딩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09-4 유빔빌딩 6층 02) 3444-5335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0-2 삼익빌딩 2층 070) 7019-4001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6 도심공항터미널 419호 02) 554-2222 마젤란기술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5-3 플라리스빌딩 704호 031) 8023-9780 매그넘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1-13 아레나빌딩 6층 02) 561-7008 무한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38-11 대현블루타워 3층 02) 559-4500 문화창업투자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 1607-4 062) 941-2181 미래에셋벤처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685 미래에셋벤처타워 11층 031) 780-1440 미시간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93 대동타워 9층 02) 3445-1310 베넥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18층 02) 786-6622 보광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대치3동 글라스타워빌딩 8층 02) 558-2092 비엠씨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18층 02) 786-4600 비케이인베스트먼트 부산시 금정구 구서동 84-18 051) 744-8088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4-5 한마루빌딩 8층 02) 3453-5500 새한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6-5 VR빌딩 2층 02) 2156-2300 서울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0-3 선릉대림아크로텔 626호 02) 552-0665 서울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5-8 보성빌딩 4층 02) 566-2690 선명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경암빌딩 10층 02) 559-0940 소빅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방배본동 764-19 동양빌딩 6층 02) 594-8470 소프트뱅크벤처스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신영빌딩 8층 02) 3484-9115 스카이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53-55 심스빌딩 5층 501호 02) 508-7980 34 ●○
  • 35. 청년창업, 올해가적기입니다. - 2012년 청년창업 정책 안내 지역 주소 연락처 스톤브릿지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662-9 에프앤에프빌딩 2층 02) 3496-6600 스틱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1-43 MSA빌딩 10층 02) 3404-7800 씨앗과열매창업투자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여의도파크센터 A동 2601호 02) 761-0145 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강남파이낸스센터 5층 02) 2112-1777 아이원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26-14 KTBnetwork 빌딩 8층 02) 3466-3050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43-27 신도리코빌딩 9층 02) 703-0231 에스디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82-21 마진빌딩 3층 02) 514-6304 에스브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2 사학연금회관 11층 02) 3775-1020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37 강남파이낸스센터 20층 02) 2112-6200 에이케이강원인베스트먼트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율문리 946 강원테크노파크 100호 02) 6295-3000 에이피엘파트너스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175 애플타워 17층 02) 2144-5000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대치3동 942-5 삼성빌딩 9층 02) 501-1031 엘티아이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2 코스모타워 806호 02) 562-9560 엠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도심공항타워 25층 02) 6000-5533 엠브이피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87-1 아이캐슬2빌딩 3층 02) 540-3696 영신창업투자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 546-4 테크노빌딩 1904호 02) 3424-1988 우리들창업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70-5 별관 601호 02) 3448-1060 우신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26 아세아타워 15층 02) 538-5906 원익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7-12 서우빌딩 4층 02) 6446-7125 위더스기술금융 부산시 남구 문현4동 한일오피스텔 601호 051) 633-7001 윈베스트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4-10 융전빌딩 9층 02) 565-3626 유큐아이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1002 코스모타워 5층 507호 02) 508-8187 유티씨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10-2 태영빌딩 2층 02) 783-3347 이상기술투자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239-4 ESB/D3층 02) 3397-0060 이수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반포4동 이수화학 112-4 이수빌딩 6층 02) 3482-2010 인터베스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 트레이드타워 1701호 02) 551-7340 일신창업투자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5 일신빌딩 11층 02) 767-6411 제미니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8-12번지 서영빌딩 10층 02) 2051-9636 제일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2-9 상림빌딩 202호 02) 775-7302 지식과창조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97-23 세종빌딩 7층 02) 561-3004 지앤텍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107-9 대승빌딩 6층 02) 549-8045 ○● 35
  • 36. 첨부1 국내 벤처캐피탈 연락처 지역 주소 연락처 지온인베스트먼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192-2 네오위즈타워 031) 8023-7392 캐피탈원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1706-3 법조B/D 504호 02) 595-7450 컴퍼니케이파트너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2동 869 M-CITY 타워 7층 031) 906-3941 케이비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신영빌딩 9층 02) 545-5091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07-24 한신인터밸리24 동관 911호 02) 2183-2740 키움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6-1 키움파이낸스빌딩 15층 02) 3430-4881 토러스벤처캐피탈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67-15 랜드마크A동 5층 501호 02) 541-0800 투썬인베스트먼트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358-6 송남빌딩 311호 02) 525-5494 튜브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627-17 HB빌딩 5층 02) 3448-5620 플래티넘기술투자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43-42 원방빌딩 3층 02) 6246-3114 한국벤처투자 서울시 서초구 서초3동 1706-5 VR빌딩 5층 02) 2156-2000 한국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강남파이낸스센터빌딩 02) 2112-5200 한림창업투자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49-5 주호빌딩 7층 02) 511-6100 한화기술금융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대한생명빌딩 49층 02) 559-2612 현대기술투자 서울시 중구 무교동 한국정보화진흥원 4층 02) 728-8990 호서벤처투자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91-34 서원빌딩 6층 02) 3487-8400 화이텍기술투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53-4 경림빌딩 8층 031) 707-3984 네오플럭스 서울시 중구 을지로6가 두산타워빌딩 15층 02) 3398-1070 리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9 도심공항타워 16층 02) 551-7750 마이벤처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1 무역센터빌딩 4104 02) 6000-5858 메디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9 도심공항타워 4층 406호 02) 3452-8126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95-15 02) 564-5770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06-16 비전빌딩 5층 02) 569-0300 솔본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청담1동 66-4 청담스포피아 F1 02) 519-7115 슈프리마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681-16 NK빌딩 8층 02) 538-0460 아시아인베스트먼트 부산시 남구 대연동 599-20 정보문화빌딩 3층 051) 868-9333 어노인트앤컴퍼니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59-6 도심공항터미널 5층 02) 538-9824 에스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역삼1동 737 강남파이낸스센터 25층 02) 6241-5400 에스제이투자파트너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249-6 논현로얄팰리스 403호 02) 512-0707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168-26 제일빌딩 2층 02) 555-0781 원더엔젤스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96-17 6층 02) 3452-1300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