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9
Download to read offline
   가. 배경
   나. 현황
   다. 생명자원 분야의 육성 및 관리정책
   라. 향후 추진방향



                     학과:생화학과
                     학번:2009025010
                     이름:노형준
   저 탄소 녹색성장시대에 맞춰 산업의 기본소
    재로서 생명 자원의 가치가 재해석되고 이를
    활용한 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적용범위:안전 농.축.수산물 생산, 유전자변형 작물 개발과 안전성 연구,
      가축 형질전환과 복제, 농.생물유전체 연구, 친환경 농 자재 및 기능성식
      품 생산, 동물 질병예방,진단,위생 관련 기술
농림수산 식품부는 2011년 생명공학 관련 예산에
1,674억7,900만원을 투자하고 있다.

                        (1)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2)기술사업화지원사업
                        (3) 고부가가치 식품기술개발사업
                        (4) 융복합연구센터지원
                        (5) 수의과학기술개발연구사업
                        (6) 수산업생명공학연구사업
                        (7)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8)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목적
1. 생명자원의 생산,응용,유지   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관리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생명산업을 육성 .          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
2. 지정공모 방식의 기획과제에
비중을 두어 농정현안 해결.     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3. 자유응모 방식의 일반과제를      융복합 연구센터지원사업
통해 미래 대응 분야에 중점.
   복잡한 산업화 과정 및 대규모투자, 고 위험
    등이 동반됨에 따라 민간산업체는 개발된 기
    술의 산업화를 위한 후속 투자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의 사업화 연구(R&B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를
    통해 원천기술의 산업화 추진.
   식품산업 R&D 중장기계획('09.6)에 따라 2010년
    부터 고부가가치 사업 추진.
   농수산업과 식품산업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식
    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
   첨단 융합형 R&D 장기지원으로 농업분야 산업을
    견인할 핵심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함.
   1.대학 선발
   2.전주기적 지원
   3.우수 연구집단 육성
   4.핵심기술 확보
   1998년 추진하여 국가 재난형 동물질병, 해외 악
    성 가축전염병의 유입방지 및 검역기술 개발.
   해외전염병 검역검사기술 개발, 동물질병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기후변화대응 신종 질병 방제기술 개
    발, 동물보호 및 동물용의약품 관리기술 개발 연구
    등 수행.
   2004년에 시작하여 수산생명자원을 수집,관리하
    고 유용유전자의 기능연구를 통해 수산업을 고부
    가가치 첨단 수산업으로 육성.
   수산유전자원 분석 보존 및 활용 연구 및 육종 품
    종 브랜드화 산업화.
   2001년부터 10년간 3300억원 정도의 연구비를
    투자한 바이오 그린 21사업을 마치고 시작
   국가원천기술 기반 분야, 생명공학 실용화 분야,
    미래선도 기술분야 등 7개 사업단을 구성하여 운
    영.
   농 생명 연구실용화 촉진과 원천기술 강화 확대를
    통해 원천특허보유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함.
   바이오 장기생산사업: 바이오 장기 개발을 통해 장
    기이식문제 해결 현재 형질전환 복제돼지의 생산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를 중점으로 진행.
   목표: 생명공학 관련 기술개발을 통한 산림자원 활
    용도를 제고하고 임업의 첨단 산업화.
   산림자원의 산업재산권을 확보해 나갈 것이며 산
    림과학 기초연구 지원사업과 지방임업 연구기반
    확충사업을 통해 생물 다양성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산림 관련 유효시책을 개발.
   상황 : 생명산업의 기본 소재로 그 중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   이에 국가 차원의 농 어업 유전자원 보존, 관리 및
    이용 활성화 기본 계획을 수립(‘09.9)하였고 종합
    관리 체계를 구축.
   농수산 생명자원의 보존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1.7.25 공포)-농수산생명자원 체계적 관리 및
    확보.
   문제 : 농림수산식품분야 생명자원은 각 기관별
    로 유전자원 DB를 관리하고 있어 수요자가 접근
    이용이 어렵고 생물다양성협약(CBD)의 유전자
    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관한 국제규
    번 제정 논의에 대응이 필요하다.

   대책: 이에 2011년부터 농촌 진흥청 산림청 농림
    수산검역검사 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 종자원
    이 보유한 생명자원을 연계 통합관리 하기 위해
    생명자원 통합 DB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달성목표 : 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화 촉진,고유자
    원의 주권보호를 위한 생명자원의 국가 관리체
    계 확립.
   생명공학 기술개발은 장기간이 소요되고 복잡한 산업화 과정과
    대규모 자본투입이 필요하므로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와 독자적
    인 원천기술 개발과 사업화촉진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   생물 다양성 협약으로 생물 자원의 이용과 접근에 대한 장벽이
    강화되는 추세에 대응하여 작물 가축 미생물 유전체 연구를 강화
    할 계획이며 분자 육종을 통한 지식기반형 고부가가치 동 식물
    및 물질 생산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가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힘
    쓸 예정이다. 또한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해 안전성 평가기반도
    확립하며 소비자의 인식제고에도 노력할 예정이다.
   이에 농림수산십품부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농어업에서 동 식
    물 등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영역을 확
    장하고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농림수산식품 생
    명 산업 2020+발전전략('10.10)을 수립하였고, 이에 맞춰 생명
    산업 식품산업 등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에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농림식품 분야에서 생명공학의 투자가 많이 이루
    어 지고 있다.
   질병관련 분야와 식량 생산 증대 바이오 에너지 등
    많은 분야가 있고 차세대 바이오 그린 21사업, 융
    복합연구센터지원사업,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등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중이며 많은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   앞으로 진로계획에 농림식품 분야 관련 공부나 취
    업을 생각 할 수 있는 기회.
   농림식품 분야에서 생명공학의 역할과 다른 분야
    에서 생명공학의 접목을 알 수 있는 기회.
   책 밖의 사회에서 생명공학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자세하게 알아봄으로써 넓은 시각과 다양한 생각
    을 할 수 있는 기회.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노형준 3.1.4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atelier t*h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atelier t*h
 
공은정 특집2
공은정 특집2공은정 특집2
공은정 특집2은정 공
 
[대구] 제이에스이 2
[대구] 제이에스이 2[대구] 제이에스이 2
[대구] 제이에스이 2startupkorea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Weviokorea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drugmetabol
 
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다솜 김
 
박상신 3.17
박상신 3.17박상신 3.17
박상신 3.17ss920514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Soo-Ik Chang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Sung Yoon Bae
 
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Sangwoo Nam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영준 장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영준 장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영준 장
 
2011 농림부 업무보고[1]
2011 농림부 업무보고[1]2011 농림부 업무보고[1]
2011 농림부 업무보고[1]Gori Communication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Wesley De Neve
 

Similar to 노형준 3.1.4 (20)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의약바이오 패러다임 전환, 개인맞춤의료 지속가능한 바이오 경제, 바이오화학산업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Keit 2013-07-이슈5-농식품 위해인자 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공은정 특집2
공은정 특집2공은정 특집2
공은정 특집2
 
[대구] 제이에스이 2
[대구] 제이에스이 2[대구] 제이에스이 2
[대구] 제이에스이 2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카탈로그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
1.2011 사업단 심포지움_김은정
 
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생명공학백서 1.2
생명공학백서 1.2
 
Dkdkdkdk
DkdkdkdkDkdkdkdk
Dkdkdkdk
 
박상신 3.17
박상신 3.17박상신 3.17
박상신 3.17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창조경제와 생명공학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세미나 발표 초안
세미나 발표 초안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
 
장영준
장영준장영준
장영준
 
장영준 4.4.2
장영준 4.4.2장영준 4.4.2
장영준 4.4.2
 
2011 농림부 업무보고[1]
2011 농림부 업무보고[1]2011 농림부 업무보고[1]
2011 농림부 업무보고[1]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
Booklet for the First GUGC Research Symposium
 
제 5절
제 5절제 5절
제 5절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농촌진흥청 국민디자인단 활동자료
 

노형준 3.1.4

  • 1. 가. 배경  나. 현황  다. 생명자원 분야의 육성 및 관리정책  라. 향후 추진방향 학과:생화학과 학번:2009025010 이름:노형준
  • 2. 저 탄소 녹색성장시대에 맞춰 산업의 기본소 재로서 생명 자원의 가치가 재해석되고 이를 활용한 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적용범위:안전 농.축.수산물 생산, 유전자변형 작물 개발과 안전성 연구, 가축 형질전환과 복제, 농.생물유전체 연구, 친환경 농 자재 및 기능성식 품 생산, 동물 질병예방,진단,위생 관련 기술
  • 3.
  • 4. 농림수산 식품부는 2011년 생명공학 관련 예산에 1,674억7,900만원을 투자하고 있다. (1)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2)기술사업화지원사업 (3) 고부가가치 식품기술개발사업 (4) 융복합연구센터지원 (5) 수의과학기술개발연구사업 (6) 수산업생명공학연구사업 (7)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8)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 5. 목적 1. 생명자원의 생산,응용,유지 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관리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생명산업을 육성 . 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 2. 지정공모 방식의 기획과제에 비중을 두어 농정현안 해결. 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3. 자유응모 방식의 일반과제를  융복합 연구센터지원사업 통해 미래 대응 분야에 중점.
  • 6. 복잡한 산업화 과정 및 대규모투자, 고 위험 등이 동반됨에 따라 민간산업체는 개발된 기 술의 산업화를 위한 후속 투자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의 사업화 연구(R&B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를 통해 원천기술의 산업화 추진.
  • 7. 식품산업 R&D 중장기계획('09.6)에 따라 2010년 부터 고부가가치 사업 추진.  농수산업과 식품산업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고 식 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
  • 8. 첨단 융합형 R&D 장기지원으로 농업분야 산업을 견인할 핵심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함.  1.대학 선발  2.전주기적 지원  3.우수 연구집단 육성  4.핵심기술 확보
  • 9. 1998년 추진하여 국가 재난형 동물질병, 해외 악 성 가축전염병의 유입방지 및 검역기술 개발.  해외전염병 검역검사기술 개발, 동물질병 예방 및 치료제 개발, 기후변화대응 신종 질병 방제기술 개 발, 동물보호 및 동물용의약품 관리기술 개발 연구 등 수행.
  • 10. 2004년에 시작하여 수산생명자원을 수집,관리하 고 유용유전자의 기능연구를 통해 수산업을 고부 가가치 첨단 수산업으로 육성.  수산유전자원 분석 보존 및 활용 연구 및 육종 품 종 브랜드화 산업화.
  • 11. 2001년부터 10년간 3300억원 정도의 연구비를 투자한 바이오 그린 21사업을 마치고 시작  국가원천기술 기반 분야, 생명공학 실용화 분야, 미래선도 기술분야 등 7개 사업단을 구성하여 운 영.  농 생명 연구실용화 촉진과 원천기술 강화 확대를 통해 원천특허보유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함.  바이오 장기생산사업: 바이오 장기 개발을 통해 장 기이식문제 해결 현재 형질전환 복제돼지의 생산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를 중점으로 진행.
  • 12. 목표: 생명공학 관련 기술개발을 통한 산림자원 활 용도를 제고하고 임업의 첨단 산업화.  산림자원의 산업재산권을 확보해 나갈 것이며 산 림과학 기초연구 지원사업과 지방임업 연구기반 확충사업을 통해 생물 다양성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산림 관련 유효시책을 개발.
  • 13. 상황 : 생명산업의 기본 소재로 그 중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 이에 국가 차원의 농 어업 유전자원 보존, 관리 및 이용 활성화 기본 계획을 수립(‘09.9)하였고 종합 관리 체계를 구축.  농수산 생명자원의 보존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1.7.25 공포)-농수산생명자원 체계적 관리 및 확보.
  • 14. 문제 : 농림수산식품분야 생명자원은 각 기관별 로 유전자원 DB를 관리하고 있어 수요자가 접근 이용이 어렵고 생물다양성협약(CBD)의 유전자 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관한 국제규 번 제정 논의에 대응이 필요하다.  대책: 이에 2011년부터 농촌 진흥청 산림청 농림 수산검역검사 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 종자원 이 보유한 생명자원을 연계 통합관리 하기 위해 생명자원 통합 DB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달성목표 : 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화 촉진,고유자 원의 주권보호를 위한 생명자원의 국가 관리체 계 확립.
  • 15.
  • 16. 생명공학 기술개발은 장기간이 소요되고 복잡한 산업화 과정과 대규모 자본투입이 필요하므로 국가 차원의 집중 투자와 독자적 인 원천기술 개발과 사업화촉진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 생물 다양성 협약으로 생물 자원의 이용과 접근에 대한 장벽이 강화되는 추세에 대응하여 작물 가축 미생물 유전체 연구를 강화 할 계획이며 분자 육종을 통한 지식기반형 고부가가치 동 식물 및 물질 생산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가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힘 쓸 예정이다. 또한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해 안전성 평가기반도 확립하며 소비자의 인식제고에도 노력할 예정이다.  이에 농림수산십품부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농어업에서 동 식 물 등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영역을 확 장하고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농림수산식품 생 명 산업 2020+발전전략('10.10)을 수립하였고, 이에 맞춰 생명 산업 식품산업 등 차세대 성장 동력 분야에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17.
  • 18. 농림식품 분야에서 생명공학의 투자가 많이 이루 어 지고 있다.  질병관련 분야와 식량 생산 증대 바이오 에너지 등 많은 분야가 있고 차세대 바이오 그린 21사업, 융 복합연구센터지원사업,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등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중이며 많은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 19. 앞으로 진로계획에 농림식품 분야 관련 공부나 취 업을 생각 할 수 있는 기회.  농림식품 분야에서 생명공학의 역할과 다른 분야 에서 생명공학의 접목을 알 수 있는 기회.  책 밖의 사회에서 생명공학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자세하게 알아봄으로써 넓은 시각과 다양한 생각 을 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