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The Pitfalls and Fallacies of Startup]--What is “NOT”…
10.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
Ph.D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거쳐 논문 심사를 통과하게 되면 Ph.D 로 표시되는
박사학위를 받게 된다. Philosophical Doctorate(또는 Doctor of Philosophy)라는
뜻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철학박사를(철학을 전공한)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고대에는 모든 학문 즉 지혜를 사랑하는 모든 것을 철학이라고 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모든 학문은 철학에서부터 하나 둘 독립하여 나오면서
오늘날의 경영학이니 생물학이니 영문학이니 하는 개별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Ansoff 교수(Implementing Strategic management 에서)는 1820 년부터 1890 년
까지, 미국을 Industrial revolution(산업혁명)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의 미국은 1825 년 이리호 운하개통으로 곡물 운송비가 20 분의 1 로
떨어지고 1830 년 최초의 기차가 개통 되었다. 1861 년부터 4 년동안 진행된
남북전쟁에서 상공업이 발달한 북부의 승리로 끝나면서 철도 통신 석유 철강
등 눈부신 상공업의 발전과 Wall Street 를 중심으로 한 금융산업의 발전
등으로 이미 이때부터 20 세기 Pax-Americana 를 예견하게 하였다
1840 년 미국최초 대기업 Cooper 그룹(Peter cooper 설립)을 시작으로 이리
철도, American Express, Wells Fargo, JP 모건, 스탠더드오일, Us Steel 등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는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였다. 1849 년부터 1853 년까지
진행된 서부의 골드러시라는 노다지까지 터지면서 미국의 경제는 순풍에
돛을 달게 된다. 이러한 경제 발전에 힘입어 미국의 기업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을 이루게 되면서 한가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
확장되는 기업의 성장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만한 잘 교육 받은
인력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종업원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노사관리도
점점 힘들어지고 재무와 경리업무는 최고경영자들의 최고 골칫거리였다.
대학에서 Financial Management 가 제일 먼저 주목을 받게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대학들은 경영정책, 조직, 인사, 마케팅, 생산관리, 전략 등등 각 기능별
과목들을 속속 개발하고 학과를 개설 하였다. 1881 년 Wharton business
school 이 최초 개설 되었고 1908 년 하버드에도 MBA 코스가 개설 되는 등
체계적인 경영학 교육을 받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
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교육은 오늘 날의 startup 교육과는 달리 어떻게
회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경영할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였다. 왜냐하면
과거에는 정보의 흐름이 상당히 제한적이고 모든 상품이나 유통구조가 모두
물리적(Physical)으로 보이거나 만져지는(Tangible) 것들뿐이었고 경쟁도
오늘날처럼 그렇게 치열하지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회사를 만들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문제의 어려움 보다는 어떻게 이미 설립된 회사를 잘
경영하느냐가 제 1 의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날의 유무선
Network 를 통한 재화와 정보와 상품들이 이동하는 시대에는 정보의
흐름이나 기술의 변화와 경쟁의 정도가 과거와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경영환경이 달라졌다. 업종의 Life Cycle 이 한 없이 짧아지므로 해서 청년들의
취업 문제가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수많은 Startup 들의
출현을 촉발하였다.
지난 100 여년간의 경영학과 MBA 교육은 모두 기존회사의 경영에 관한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40 년대 후반에 하버드 대학에서 Entrepreneur 과정이 도입되면서 Startup 은
미미하나마 Entrepreneur 내에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었고 1990 년대에
들어와서야 본격적인 관심을 같기 시작하다가 겨우 독립적인 과목으로
분화하기 시작한 것은 10 여년이 조금 넘는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Stanford, Harvard, Berkley, Colombia, MIT, NYU 등 미국의 유수한 대학들이
Startup 교육에 힘을 쓰고 있으나 아직도 다른 과목들에 비하면 교수도 많지
않고 시간도 많이 배정되어있지 않다. Startup 이 정식으로 “학”으로 자리
잡으려면 많은 실증적 연구 결과들이 논문으로 발표되어야 하고
전문잡지(Journal)도 생기고 학회도 생기고 하여야 될 것 같다.
Startup=수영
수영을 배우는 것은 95%가 실습이고 5%가 이론 교육이다.
아무리 물 밖에서 이론교육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도 물속에 들어가보지 않은
사람은 물에 빠지면 빠져 죽는다. 수영은 배운 이론을 물속에 들어가 물도
많이 먹고 혹독한 훈련을 통하여 이론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터득하여야 한다. 누구도 대신하여 수영을 하여줄 수가 없다.
더 빨리 배우려면 이론 교육 없이 그냥 물속에 빠트리는 것이다. 죽기
직전까지 허우적거리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다. 서너 번만 그렇게 당금 질을
하고 나면 최소한 빠져 죽지 않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군대에서는
그렇게 수영을 가르친다.
Startup 은 수영과 같다. 이론적으로도 대단히 간단하다. 어려운 학설이나
논리를 그렇게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아주 거저먹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의 노력이면 기본 지식은 습득 할 수 있다. 일단 Startup 단계를
벗어나는 순간 기존의 경영학에서 다루는 이론들이 바통을 이어 받기 때문에
Startup 에서는 이론 보다는 실습(Experiment)이고 훈련(Discipline)이다.
수영에서 물속에 빠지듯 Startup 은 고객이라는 물속에 빠져 수없이
허우적거리면서 고객이 누구인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물건을 사는
이유는 무엇인지, 언제 어디서 얼마면 물건을 구입하는지, 무슨 고민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불만과 바램을 가지고 있는지, 나와 어떤
생각은 같고 어떤 생각은 다른지 등등을 스스로 깨우치는 것이다. 어느 정도
확인 작업을 한 후에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고객의 의견을 반영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Test marketing 을 해보면서 미비한 점을 수정해 나가게 된다.
수영은 물속에서 숨쉬는 방법과 발차기부터 시작을 한다. Startup 도 고객
속에서 숨쉬는 법과 발차기를 그들을 직접 만나서 배우는 것이다. 그들을
만나지 않고 사무실에서는 그들의 숨소리와 발차기를 몸으로 느낄 수가 없다.
Startup 은 아직 학문이(Academic) 아니다. 아니 나는 학문으로 되지 않았으면
한다. Startup 이 학문으로 되는 순간 그것은 끝이다. 정체가 있을 뿐이다.
Startup 은 운동이다. 건물 밖으로 나가 고객 속에서 살아 움직일 때 그 뜻이
있다. 교실 안으로 들어오는 순간 그것은 그냥 학문일 뿐이다.
Startup 은 Customer Development 와 Product Development 가 핵심이다.
Product Development 중 Agile Development 를 Customer Development 안으로
끌어 넣은 사람이 Steve Blank 다.
Customer Development 의 4 단계중에 앞의 두 단계가 Startup 의
핵심이다(Customer discovery+ Customer validation).
뒤의 두 단계는(Customer creation + Company building) 기존의 경영학 영역과
겹치게 된다.
국내의 거의 모든 Startup 교육은 물속에 빠트리지 않는 교육이다. 가끔
빠트리는 것이 있다 해도 물만 적시는 정도인 것 같다.
각 대학의 창업선도 대학이나 창업사관학교 커리큘럼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Startup 을 운영하는 Team 들중에 많은 Team 들이 물속에 빠지는
과정을 생략한다. 오직 빨리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는 일정을 맞추겠다는
신념뿐이다. 그것이 죽음의 함정인지도 모른다.
의외로 성공한 사람들도 Success Trap(성공의 함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한번 성공한 것에 대한 자만심이다.
최소한 100 명 이상의 customer 를 만나고 business model 의 모든 가정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Web 이나 Mobile 쪽은 이보다 훨씬 아주 훨씬
많은 고객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만나야 된다.
이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시간을 단축하는 Startup 의 방법이다.
간혹 착각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과정을 잘 거치면 성공한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은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고 실패할 확률을 줄여 주는 것이다.
성공을 보장하는 것과 실패율을 낮추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생각의 힘줄 기르기
10 회에 걸친 What is not Startup 을 마치면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 세
가지다.
1. 판단오류의 극복.
2. GOOB
3. 생각의 힘줄 기르기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지나친 긍정과 자신감에서 오는 판단의 오류를
극복하자. 그리고 GOOB 을 실천하자.
건건이 답을 얻으려 하지 말고 문제와 답을 보는 눈과(관점)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 어떠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생각의 힘줄 기르기를 실천하자.
몸에만 6 Pack 을 만들지 말고 생각의 힘줄에 6 Pack 을 만들자.
Startup 은 학문이 아니라 Discipline 이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YOO SE KYUN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Brave Cheon
 
일본지진연구
일본지진연구일본지진연구
일본지진연구Han Woo PARK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GAMENEXT Works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himcap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Le Minh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Hee Dae Kim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Kiheon Shin
 
Playground 소개
Playground 소개Playground 소개
Playground 소개승우 백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WOOSUNG HAN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Mal-Yong Yoon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Samsung Medical Center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Soo Kim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sustaintour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태균 정
 
Espoir 최종
Espoir 최종Espoir 최종
Espoir 최종greatssoo
 

Viewers also liked (19)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20120417_나스 트렌드 리포트_Nasmedia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
푸시개발 정리 - Push Notification Summary
 
일본지진연구
일본지진연구일본지진연구
일본지진연구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
[SGPKOR] 싸이월드 앱스토어 2011 0326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
(주)룩스커뮤니케이션 회사소개서 F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9788994478340(나는 꿈에도) 완료
 
좋은대학100플랜 2차 시안 자료집
좋은대학100플랜 2차 시안 자료집좋은대학100플랜 2차 시안 자료집
좋은대학100플랜 2차 시안 자료집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
어떤 일을 우리는 선택할 것인가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
2015.04.07. LG전자 - 크리에이티브.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초능력
 
Playground 소개
Playground 소개Playground 소개
Playground 소개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
디지털뷰 쇼핑하우 광고 상품 소개서 v2.0 201212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
북해도 일주 & 러시아 크루즈 썬 프린세스호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
[삼성서울병원] 07 유방암의 진단검사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
201506 tv인터넷관심도 월간리포트_슬라이드쉐어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2010 여수 교동시장커뮤니티디자인 사례 여수의 부엌안내서_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
3차 지속가능한관광 포럼- 2.공정관광을 통한 지역일자리창출방안-탐방로사업중심(정휘)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
게임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전략_글로벌게임허브센터_20150331
 
시큐어디스크 ECM
시큐어디스크 ECM시큐어디스크 ECM
시큐어디스크 ECM
 
Espoir 최종
Espoir 최종Espoir 최종
Espoir 최종
 

Similar to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10

How to startup 05 product
How to startup 05 productHow to startup 05 product
How to startup 05 product종익 주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태형 김
 
Sns olleh kt_yoonjung
Sns olleh kt_yoonjungSns olleh kt_yoonjung
Sns olleh kt_yoonjungNoh Yoon-jung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freeickim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Mike 김일영
 
존잡생각
존잡생각존잡생각
존잡생각ssuser8bfa66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Jo Sung-ku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종익 주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Jang Hyun Kim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D.CAMP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한은 정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주)위브스튜디오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Jeongtae Kim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Vivin Septiani J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osheakorea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THE LAB h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heungjae Kim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창업 에듀
 

Similar to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10 (20)

How to startup 05 product
How to startup 05 productHow to startup 05 product
How to startup 05 product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
벤처생태계활성화방안 20141211
 
Sns olleh kt_yoonjung
Sns olleh kt_yoonjungSns olleh kt_yoonjung
Sns olleh kt_yoonjung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한탕_탐방 계획서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
知慧의 장 정보지 2월호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존잡생각
존잡생각존잡생각
존잡생각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
중국수출유통출장강의안내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How to startup# 03 business model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
<혁신기업의> 김장현 성균관대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
스타트업코리아 리포트 No1. 팀아카데미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uGet Project]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Ecosystems
 
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
예비CEO를 위한 사업아이디어선정과 핵심능력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
Entrepreneurship Korea_2016 Spring(Vol.1)_STEPI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
스타트업4.0 귀국보고서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
혁신과관련된근거없는믿음7가지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
2013년 창업교육 우수사례집
 

More from 종익 주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종익 주
 
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9 scale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9 scale종익 주
 
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8 growth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8 growth종익 주
 
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7 analysis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7 analysis종익 주
 
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6 workaholic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6 workaholic종익 주
 
How to startup 04 customer
How to startup 04 customerHow to startup 04 customer
How to startup 04 customer종익 주
 
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종익 주
 
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종익 주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종익 주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종익 주
 
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Management"-8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Management"-8종익 주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종익 주
 
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a club-6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a club-6종익 주
 
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형식-5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형식-5종익 주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종익 주
 
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Idea-3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Idea-3종익 주
 
Startup is not 창업-2
Startup is not 창업-2Startup is not 창업-2
Startup is not 창업-2종익 주
 

More from 종익 주 (17)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10 aufheben(지양)
 
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9 scale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9 scale
 
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8 growth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8 growth
 
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7 analysis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7 analysis
 
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6 workaholic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6 workaholic
 
How to startup 04 customer
How to startup 04 customerHow to startup 04 customer
How to startup 04 customer
 
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How to start a startup 1-10강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Opinion Driven"-9
 
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Management"-8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Management"-8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startup is not business plan-7
 
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a club-6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a club-6
 
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형식-5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형식-5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대기업 축소판-4
 
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Idea-3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Idea-3
 
Startup is not 창업-2
Startup is not 창업-2Startup is not 창업-2
Startup is not 창업-2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10

  • 1. [The Pitfalls and Fallacies of Startup]--What is “NOT”… 10. Startup is “NOT 학문(Academic)” Ph.D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거쳐 논문 심사를 통과하게 되면 Ph.D 로 표시되는 박사학위를 받게 된다. Philosophical Doctorate(또는 Doctor of Philosophy)라는 뜻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철학박사를(철학을 전공한)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고대에는 모든 학문 즉 지혜를 사랑하는 모든 것을 철학이라고 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모든 학문은 철학에서부터 하나 둘 독립하여 나오면서 오늘날의 경영학이니 생물학이니 영문학이니 하는 개별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Ansoff 교수(Implementing Strategic management 에서)는 1820 년부터 1890 년 까지, 미국을 Industrial revolution(산업혁명)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의 미국은 1825 년 이리호 운하개통으로 곡물 운송비가 20 분의 1 로 떨어지고 1830 년 최초의 기차가 개통 되었다. 1861 년부터 4 년동안 진행된 남북전쟁에서 상공업이 발달한 북부의 승리로 끝나면서 철도 통신 석유 철강 등 눈부신 상공업의 발전과 Wall Street 를 중심으로 한 금융산업의 발전 등으로 이미 이때부터 20 세기 Pax-Americana 를 예견하게 하였다
  • 2. 1840 년 미국최초 대기업 Cooper 그룹(Peter cooper 설립)을 시작으로 이리 철도, American Express, Wells Fargo, JP 모건, 스탠더드오일, Us Steel 등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는 기업들이 속속 등장하였다. 1849 년부터 1853 년까지 진행된 서부의 골드러시라는 노다지까지 터지면서 미국의 경제는 순풍에 돛을 달게 된다. 이러한 경제 발전에 힘입어 미국의 기업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을 이루게 되면서 한가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 확장되는 기업의 성장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만한 잘 교육 받은 인력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종업원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노사관리도 점점 힘들어지고 재무와 경리업무는 최고경영자들의 최고 골칫거리였다. 대학에서 Financial Management 가 제일 먼저 주목을 받게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대학들은 경영정책, 조직, 인사, 마케팅, 생산관리, 전략 등등 각 기능별 과목들을 속속 개발하고 학과를 개설 하였다. 1881 년 Wharton business school 이 최초 개설 되었고 1908 년 하버드에도 MBA 코스가 개설 되는 등 체계적인 경영학 교육을 받는 인재들을 양성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 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교육은 오늘 날의 startup 교육과는 달리 어떻게 회사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경영할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였다. 왜냐하면 과거에는 정보의 흐름이 상당히 제한적이고 모든 상품이나 유통구조가 모두 물리적(Physical)으로 보이거나 만져지는(Tangible) 것들뿐이었고 경쟁도 오늘날처럼 그렇게 치열하지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회사를 만들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문제의 어려움 보다는 어떻게 이미 설립된 회사를 잘 경영하느냐가 제 1 의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날의 유무선 Network 를 통한 재화와 정보와 상품들이 이동하는 시대에는 정보의 흐름이나 기술의 변화와 경쟁의 정도가 과거와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경영환경이 달라졌다. 업종의 Life Cycle 이 한 없이 짧아지므로 해서 청년들의 취업 문제가 어려워지면서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수많은 Startup 들의 출현을 촉발하였다. 지난 100 여년간의 경영학과 MBA 교육은 모두 기존회사의 경영에 관한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40 년대 후반에 하버드 대학에서 Entrepreneur 과정이 도입되면서 Startup 은 미미하나마 Entrepreneur 내에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되었고 1990 년대에
  • 3. 들어와서야 본격적인 관심을 같기 시작하다가 겨우 독립적인 과목으로 분화하기 시작한 것은 10 여년이 조금 넘는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Stanford, Harvard, Berkley, Colombia, MIT, NYU 등 미국의 유수한 대학들이 Startup 교육에 힘을 쓰고 있으나 아직도 다른 과목들에 비하면 교수도 많지 않고 시간도 많이 배정되어있지 않다. Startup 이 정식으로 “학”으로 자리 잡으려면 많은 실증적 연구 결과들이 논문으로 발표되어야 하고 전문잡지(Journal)도 생기고 학회도 생기고 하여야 될 것 같다. Startup=수영 수영을 배우는 것은 95%가 실습이고 5%가 이론 교육이다.
  • 4. 아무리 물 밖에서 이론교육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도 물속에 들어가보지 않은 사람은 물에 빠지면 빠져 죽는다. 수영은 배운 이론을 물속에 들어가 물도 많이 먹고 혹독한 훈련을 통하여 이론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터득하여야 한다. 누구도 대신하여 수영을 하여줄 수가 없다. 더 빨리 배우려면 이론 교육 없이 그냥 물속에 빠트리는 것이다. 죽기 직전까지 허우적거리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다. 서너 번만 그렇게 당금 질을 하고 나면 최소한 빠져 죽지 않는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군대에서는 그렇게 수영을 가르친다. Startup 은 수영과 같다. 이론적으로도 대단히 간단하다. 어려운 학설이나 논리를 그렇게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아주 거저먹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의 노력이면 기본 지식은 습득 할 수 있다. 일단 Startup 단계를 벗어나는 순간 기존의 경영학에서 다루는 이론들이 바통을 이어 받기 때문에 Startup 에서는 이론 보다는 실습(Experiment)이고 훈련(Discipline)이다. 수영에서 물속에 빠지듯 Startup 은 고객이라는 물속에 빠져 수없이 허우적거리면서 고객이 누구인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물건을 사는 이유는 무엇인지, 언제 어디서 얼마면 물건을 구입하는지, 무슨 고민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불만과 바램을 가지고 있는지, 나와 어떤 생각은 같고 어떤 생각은 다른지 등등을 스스로 깨우치는 것이다. 어느 정도 확인 작업을 한 후에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고객의 의견을 반영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Test marketing 을 해보면서 미비한 점을 수정해 나가게 된다. 수영은 물속에서 숨쉬는 방법과 발차기부터 시작을 한다. Startup 도 고객 속에서 숨쉬는 법과 발차기를 그들을 직접 만나서 배우는 것이다. 그들을 만나지 않고 사무실에서는 그들의 숨소리와 발차기를 몸으로 느낄 수가 없다. Startup 은 아직 학문이(Academic) 아니다. 아니 나는 학문으로 되지 않았으면 한다. Startup 이 학문으로 되는 순간 그것은 끝이다. 정체가 있을 뿐이다. Startup 은 운동이다. 건물 밖으로 나가 고객 속에서 살아 움직일 때 그 뜻이 있다. 교실 안으로 들어오는 순간 그것은 그냥 학문일 뿐이다.
  • 5. Startup 은 Customer Development 와 Product Development 가 핵심이다. Product Development 중 Agile Development 를 Customer Development 안으로 끌어 넣은 사람이 Steve Blank 다. Customer Development 의 4 단계중에 앞의 두 단계가 Startup 의 핵심이다(Customer discovery+ Customer validation). 뒤의 두 단계는(Customer creation + Company building) 기존의 경영학 영역과 겹치게 된다. 국내의 거의 모든 Startup 교육은 물속에 빠트리지 않는 교육이다. 가끔 빠트리는 것이 있다 해도 물만 적시는 정도인 것 같다. 각 대학의 창업선도 대학이나 창업사관학교 커리큘럼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Startup 을 운영하는 Team 들중에 많은 Team 들이 물속에 빠지는 과정을 생략한다. 오직 빨리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는 일정을 맞추겠다는 신념뿐이다. 그것이 죽음의 함정인지도 모른다. 의외로 성공한 사람들도 Success Trap(성공의 함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한번 성공한 것에 대한 자만심이다. 최소한 100 명 이상의 customer 를 만나고 business model 의 모든 가정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Web 이나 Mobile 쪽은 이보다 훨씬 아주 훨씬 많은 고객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만나야 된다. 이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시간을 단축하는 Startup 의 방법이다. 간혹 착각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과정을 잘 거치면 성공한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은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고 실패할 확률을 줄여 주는 것이다. 성공을 보장하는 것과 실패율을 낮추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 6. 생각의 힘줄 기르기 10 회에 걸친 What is not Startup 을 마치면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 세 가지다. 1. 판단오류의 극복. 2. GOOB 3. 생각의 힘줄 기르기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지나친 긍정과 자신감에서 오는 판단의 오류를 극복하자. 그리고 GOOB 을 실천하자. 건건이 답을 얻으려 하지 말고 문제와 답을 보는 눈과(관점)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 어떠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생각의 힘줄 기르기를 실천하자. 몸에만 6 Pack 을 만들지 말고 생각의 힘줄에 6 Pack 을 만들자. Startup 은 학문이 아니라 Discipline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