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미래와 소통하는 창,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성대학교 디지털엔터테인먼트
지도교수 : 배운철 교수님
디지털미디어전공 이성아
leeey12@naver.com
2010/10
1. 디스플레이(Display)란?
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
② 시각적으로 표현 또는 표시된 데이터
③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display device)
위 세가지 큰 의미 중 여기서 살펴볼 것은 세 번째, display device이다.
① CDT(Color Display Tube)와
CPT(Color Picture Tube)
☞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장치
☞ CDT는 모니터용이며 CPT는 텔레비젼용
☞ 현재는 시장이 점점 쇠퇴 중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CDT(모니터용) CPT(텔레비전용)
해상도 낮음 해상도 높음
휘도(밝기)가 높음 휘도(밝기)가 낮음
잔영이 없음 잔영이 있음
‘삼성전자, 초 슬림 CDT 모니터 출시’
모니터 시장이 LCD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초 슬림 CDT모니터가 출시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제품은 두께가
358㎜로 기존 제품보다 50㎜가량 줄
었고, 특히 가격이 18만원대로 LCD 모
니터보다 10만원 가까이 저렴하다.
출처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04250106
LCD로 넘어가기 전 마지막쯤에 발표된 CDT. 2006년 상반기이다.
저렴한 가격과 기존 CDT모니터보다 슬림함을 내세웠지만 이미 모니터 시장이
LCD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큰 반응은 없었다.
‘LG전자는 CPT도 시장 감소가 예상된다고 우려’
권영수 LG전자 부사장은 LG전자의 향후 실적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CRT 자회사
인 LG필립스디스플레이를 지적하면서 “CDT와 달리 CPT는 그나마 괜찮을 것으
로 예상했는데 LCD TV 시장이 확대돼 CPT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추세”라며
“대형쪽에서는 PDP영향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2003-10
2006-04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0047922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전면유리와 뒷유리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네온, 크세논, 아르곤 등
가스를 넣은 뒤 내부전극에 전압을 가해 네온광을 발광시키는
전자표시장치
☞42인치 이상 중대형의 고선명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합
② PDP(Plasma Display Panel)
‘삼성SDI 이어 LG전자도 PDP패널
구조 단순화’
LG전자는 내년부터 출시되는 50인치, 42인
치 PDP 패널 등에 순차적으로 EMI 차폐필
름을 탑재하지 않은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
다. 아직 파나소닉 등 해외 PDP 패널 업체들
의 경우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유리
로 된 EMI 차폐필름을 사용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이 PDP 패널 구조 단순화와 원가 측
면에서 한발 더 앞서가게 됐다. 2010-10
출처 :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01020000162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 저 소비전력으로 장시간의 전지구동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 얇고 가벼움 (일반 브라운관 TV의 3분의 1)
☞ 수광형 표시이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표시가 선명
☞ 응답속도가 느림 (화면에 잔상이 남음)
③ LCD(Liquid Crystal Display)
세계 반도체-LCD 시장, 4분기 최대쟁점 ‘가격’
LCD 역시 4월 이후 장기 침체가 지속됐다. 340달러 선을 이어갔던 40인치대 패널가격은 최근
260달러대로 폭락했다. 업계 CEO와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4분기를 바닥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이다.
LG디스플레이는 내년 투자를 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화시키는 동시에 4분기에는 원가절
감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10-10
출처 : http://www.aj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0181628362190700
LCD에 밀렸던 PDP도 점점 패널이 대형화 될수록 LCD에 비해 가격이 저렴
하다는 이유로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결국 LCD는 원가절감을 통해서
가격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차세대 디스플레이들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는 OLED, 3D, 터치, e-Paper, 플렉서블 등이 있다.
좀 더 자세히 분류 하자면,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에는
① OLED, ② e-Paper 가 있고
디스플레이 형태에 관련 없이 부가될 수 있는 기능에는
① 플렉서블, ②3D, ③Touch ④ 트리플 뷰 등이 있다.
☞ 기술구현을 위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제품의 상용화 시기가
점차 당겨지는 추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의 약자로서, 빛을 내는 층이
유기 화합물로 되어 있는 박막 발광 다이오드
주로 액정화면(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PMOLED)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로
나누어 짐
☞ 디스플레이 시장은 현재 한국의 수출 3대 산업 중 하나로서,
OLED는 우리나라가 전세계 98%를 공급하고 있을 만큼 경쟁력
☞ LCD보다 응답 속도가 1000배 빠른 OLED는 최근 동영상 콘텐츠의
활성화로 인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나 MP3P 디스플레이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음
① OLED (Organic LED)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스마트폰의 힘…OLED '눈부신 성장세'
스마트폰 시장의 급신장에 힘입어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이 큰 폭 늘
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자업
계는 OLED를 적용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가는 형국이다. 특히 삼성모바일
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내년 4.5
세대(기판 사이즈 730×920㎜) 이상의 라
인을 가동하며 OLED 공급량이 크게 늘
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2010-10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02110304455713
OLED가 조금 더 안정적으로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높은 가격을 희석하기 위한 제품 차별화가 확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OLED의 슬림화나 플렉서블 장점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나 구조를 제품에 적용하여 차별화를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 아마존社의 킨들로 부터 시작된 e-Paper는 낮은 소비전력에
눈이 피로하지 않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e-Book이라는
니치 마켓을 목표로 하여 제품화되면서 시장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FPD International, CES를 통해 볼 때 대만/한국 업체의 전시
가 눈에 띄게 두드러지고 있다.
☞ e-Paper의 문제는 강력한 대체재가 있다는 점, 특허 이슈 등
으로 인해 e-Paper 재료 생산 업체가 제한적
☞ e-Paper는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e-Book이라는 특화된 시장
을 선점하고는 있지만 LCD라는 강력한 대체 디스플레이가
존재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e-Paper
☞ 최근 아이패드(iPad)의 출시는 가장 큰 위협
(최대 10시간까지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e-Paper가
구현하기 어려운 칼라 표현, 동영상 등에서도 자유로울 뿐
아니라 e-Book이라는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앱 스토어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
☞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원가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Player들이 진입하여 가격 하락이 이루어져야
하나 특허 장벽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e-Paper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8
`e리더` 설 곳 없다…삼성,
전자종이 방식 생산중단
삼성전자 갤럭시S를 통해 팔린 전자책은 1만
권에 달한 반면 삼성의 e리더를 통한 판매는
600여권에 그쳤다. 전자책 시대의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를 받던 e리더의 초라한 입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자종이 패널은 공급처
가 몇 곳에 불과한데다 가격이 비싸 더이상 사
용하지 않을 계획"이라며 "내년 내놓을 후속
모델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이용한 멀
티미디어 기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82286441
현재 아이패드와 킨들을 비교해 볼 때 사용기능 측면에서는 아이패
드가 우월하지만 가격 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 또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에 e-Paper는 일정 마니아 층을 중심으로 니
치 마켓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생각된다. 하지만 원가경쟁
력을 확보할 경우에는 시장 규모를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① 플렉서블 (flexible)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
☞향후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oll-to-Roll 공정을 통한 원가
혁신 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기판의 특성
개선이 급선무
☞당분간은 금속 재질 기판이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대세를 이룰 것
☞특성이 개선된 플라스틱 재료가 빠른 시일 안에 나오기는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면 혁신적인 플렉서블 제품은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할 것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2020년 300억불 이를 듯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체 시장은 2010년 약
3400만불에서 2015년 약 24억불, 2020년에는 약
300억불로 획기적인 시장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
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중심 애플리케이션은
2011년까지는 신규 애플리케이션인 e-paper 기술
기반의 e-Book 및 광고판 등이 될 것이며, 그 이후
로는 모바일폰을 중심으로 한 중소형 대체 애플리
케이션이 시장을 리드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63886&Branch_ID=kr&rssid=naver
기술적으로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접을 수 있게 유리 대신 플
라스틱이나 금속 박막을 기판으로 사용한다.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바꾸
는 일은 쉽지 않다. 기존 디스플레이는 섭씨 1000도 이상에서 가공되는 반도
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 역시 열에 잘 견뎌야 한다. 따라서 휘는 TFT LCD
의 개발은 열에 강하면서 잘 휘는 플라스틱을 개발하거나, 전체 공정을 플라
스틱도 견딜 수 있는 저온에서 실현한다면 발전가능성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다.
☞ 3D나 홀로그램을 통해 오감을 만족시켜 현실감 있는 경험을 제공
☞ 3D 입체 영상은 이미 180년 전 개발된 기술로 3D 산업은
1890년대와 1950년대에 크게 두 차례 Boom이 있었고 이번이
세 번째
☞ 이번 Boom의 특징은 과거와는 달리, 영화 및 영화관 중심이 아니
라 방송 및 TV 중심임
☞ 한국/일본 TV 제조업체의 3D TV 제품화 노력과 ‘아바타’ 영화의
성공에 힘입어 3D 산업이 성장
☞ 3D 기능이 LCD 뿐만 아니라 PDP,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도 적용
☞ 향후 지속적인 가격 하락이 예상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소비자들이 당장 3D TV를 산다고 해도 볼 수 있는 3D 영화나 방송 등
이 부족한 상황이다. (콘텐츠 부족)
관련 인프라 구축도 해결 과제이다. 표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고 TV에서 3D를 보려고 해도 관련 3D 카메라, 송수신 장비 등의
방송 인프라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
이다.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10
디스플레이서치
"올 3DTV 수요전망 320만대로 낮춰"
올해 3DTV 판매량이 기대치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3D콘텐츠 부족과 북미지역에서의 전
반적인 수요부족이 주된 배경이다.
지난 3월 삼성전자는 미국 내 판매량에 대해
3DTV를 포함 300만~400만대를 팔 것으로 예
상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 북미지역 총 LCDTV
판매량은 경기부진한데다 TV가격도 크게 떨어
지지 않은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3% 하락했
다.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01408135733872
☞ 과거 애플社의 아이폰(iPhone)에서 시작된 모바일에서의
터치 열풍은 노트북까지 확대되었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
☞ 기존 버튼 형식의 하드웨어 UI(User Interface)로는
표현 불가능한 것들이 터치화를 통해 가능
☞ 시장에서는 기존 노트북에 터치 기능이 추가된 플랫폼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는 아니라고 느껴짐
(키보드가 있는 상황에서 터치까지 있는 제품이 그리
매력적이지는 않다는 반응)
☞ 애플社의 아이패드에 터치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국면
☞ 터치 기능 자체를 반드시 필요한 기능으로 자리잡을 것이지만
그 형태 및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변할 것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③ 터치 (Touch)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아이패드와 풀터치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를 출력만이 아닌 입력 장치로 만들어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의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을 환경을 접하게 된 것이다. 원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목적은 입력된 데이터를 단순히 내보여주는 것, 즉 출력의 수단이었다.
때문에 사용자는 보여주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터치패널 등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안으로 들어오면서 더 이상 수동적
수용이 아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작 할 수 있는 능동적 지배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 제스처 인터랙션 디스플레이 기술이라 불리움
☞ 닌텐도 Wii의 ‘위모콘’이 이 기술을 채택
☞ 사용자는 나날이 복잡해지는 리모콘을 통해서가 아닌 직관적인
행동을 통해 TV를 제어하고 싶어하기 때문
☞ MS가 함께 개발한 스킨풋(Skinput) 기술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던 기존 터치기술을 피부로 옮겨옴
피부 위에 있는 실행, 삭제, 확대 같은 명령을 눌러 기기를
움직이는 기술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④ 터치프리 (Touch Free)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던 기존 터치기술을 피부로 옮겨옴. 피부 위에 있는
실행, 삭제, 확대 같은 명령을 눌러 기기를 움직이는 기술이다. 신체부위가
궁극적인 입력장치가 되는 것이다. 신체부위가 입력장치가 되더라도 입력을
할 수 있는 버튼을 신체부위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움직임만을 통해서 디스플레이에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MIT 미디어랩의 '식스센스'
☞ 시야 각을 제어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
☞ 왼쪽, 정면, 오른쪽에서 볼 때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모두
다름
☞ 각각 원하는 3개 채널을 동시에 볼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가 필요하고 오디오 신호도
별도로 보내야 하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님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⑤ 트리플 뷰(Triple view) 디스플레이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자동차에 탑재되는 AV 시스템에 적용하면 운전자와 조수석에 탄 사람,
그리고 뒷자리에 앉은 사람들이 작은 액정 모니터로 서로 보고 싶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보면서 운전을 하고,
조수석이나 뒷좌석에서는 주변 관광지나 식당 안내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광고용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것도 제법 유용해 보인다.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에 트리플 뷰 액정을 비치해 두고 광고화면을 내
보내면,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화면이 바뀌면서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샤프와 샤프 유럽 연구소가 개발한 이
제품은 이름 그대로 '세 방향에서 보는
화면이 각각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다.
지난해에 동시에 두 가지 화면을 보여줄
수 있는 듀얼 뷰 LCD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한 단계 발전한 기술이 개발된
셈이다.
각도 따라 화면도 바뀐다!
샤프 트리플 뷰 액정
2006-10
출처 :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594
4. 미래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의 의미
앞에서 살펴 본 사용자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기존의 LCD, OLED 등 구동원리로 구분된 기준이
아닌 용도별로 필요한 기능을 조합한 디스플레이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TV와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 등에 국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새로운 기능을 지닌 디스플레이
출현으로 상업용, 의료용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라는 개념 자체가 진화하는 것이다.
패널 안에 갇혀 있는 디스플레이, 보여주기만 하는
디스플레이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화면 크기로,
원하는 정보를 받기도 하고,
넣기도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디스플레이 경쟁 환경은 성능 경쟁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독특한 색깔을 내보이는 정체성 확장의
경쟁으로 변할 것이며, 이는 다양한 경쟁 가능성의 확장을
의미할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를 벗어나고 싶은 디스플레이의 꿈을 위해 다수의
플레이어가 한 곳을 보고 달려가는 모습이 아닌,
서로 다른 곳을 보며 달려가는 여러 그룹의 플레이어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4. 미래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의 의미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Display(디스플레이)
Display(디스플레이)Display(디스플레이)
Display(디스플레이)
Bae Dong Ryuel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Ali Ivmark
 
프로젝트 Led
프로젝트 Led프로젝트 Led
프로젝트 Led
Yeonmoon Jeong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David Yang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JunMyoung(준명) Youn(연)
 
Woojin LED ppt show
Woojin LED ppt showWoojin LED ppt show
Woojin LED ppt showtongtongsu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lunchNtouch
 
한글시계웍샵_SW
한글시계웍샵_SW한글시계웍샵_SW
한글시계웍샵_SW
영광 송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University of Ulsan
 
Display technologies
Display technologiesDisplay technologies
Display technologies
Subhajit Das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David Yang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주)핑거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JunMyoung(준명) Youn(연)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 Abin Baby
 
Screenless Display PPT
Screenless Display PPTScreenless Display PPT
Screenless Display PPT
Vikas Kumar
 

Viewers also liked (16)

Display(디스플레이)
Display(디스플레이)Display(디스플레이)
Display(디스플레이)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Future Vision: Contextual Displays & Experiences
 
프로젝트 Led
프로젝트 Led프로젝트 Led
프로젝트 Led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GP Smart Digital Signage (Building)
 
Saebit led iintro(korean)_final
Saebit led iintro(korean)_finalSaebit led iintro(korean)_final
Saebit led iintro(korean)_final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IntellianSystems Digital Signage Brochure
 
Woojin LED ppt show
Woojin LED ppt showWoojin LED ppt show
Woojin LED ppt show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Light canvas design for display
 
한글시계웍샵_SW
한글시계웍샵_SW한글시계웍샵_SW
한글시계웍샵_SW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05. 전자산업 특강 (삼성전자 이재학 마스터)
 
Display technologies
Display technologiesDisplay technologies
Display technologies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GP Smart Digital Signage Experience (매장용)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넥스프라사업소개제안서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Digital signage 소개 자료 15 08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Holographic Projection Technology COMPLETE DETAILS NEW PPT
 
Screenless Display PPT
Screenless Display PPTScreenless Display PPT
Screenless Display PPT
 

Similar to 미래와 소통하는 창,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ssuser54247f1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D:rink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윤선 장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윤선 장
 
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
JaeKwon Son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필립 이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HANDSTUDIO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M&M Networks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jylee6977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shalala46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jylee_kgit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Soomin(Simon) Shim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창우 변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창우 변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창우 변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창우 변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봉조 김
 

Similar to 미래와 소통하는 창, (20)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202204 머신비전협회보.pdf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2013 CES Recap - Screen Experience Evolution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CES 2018 Review(복습편)
CES 2018 Review(복습편)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퀀텀닷 발표(그림 버전)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Monthlyhands SMART TV Report ver2.0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I3 d]02 information
[I3 d]02 information
 
SMART TV TREND
SMART TV TRENDSMART TV TREND
SMART TV TREND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 백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
[[
[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디지털영상]hmd의 기술과 과제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미래와 소통하는 창,

  • 1. 미래와 소통하는 창,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성대학교 디지털엔터테인먼트 지도교수 : 배운철 교수님 디지털미디어전공 이성아 leeey12@naver.com 2010/10
  • 2. 1. 디스플레이(Display)란? 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 ② 시각적으로 표현 또는 표시된 데이터 ③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display device) 위 세가지 큰 의미 중 여기서 살펴볼 것은 세 번째, display device이다.
  • 3. ① CDT(Color Display Tube)와 CPT(Color Picture Tube) ☞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장치 ☞ CDT는 모니터용이며 CPT는 텔레비젼용 ☞ 현재는 시장이 점점 쇠퇴 중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CDT(모니터용) CPT(텔레비전용) 해상도 낮음 해상도 높음 휘도(밝기)가 높음 휘도(밝기)가 낮음 잔영이 없음 잔영이 있음
  • 4. ‘삼성전자, 초 슬림 CDT 모니터 출시’ 모니터 시장이 LCD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초 슬림 CDT모니터가 출시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제품은 두께가 358㎜로 기존 제품보다 50㎜가량 줄 었고, 특히 가격이 18만원대로 LCD 모 니터보다 10만원 가까이 저렴하다. 출처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04250106 LCD로 넘어가기 전 마지막쯤에 발표된 CDT. 2006년 상반기이다. 저렴한 가격과 기존 CDT모니터보다 슬림함을 내세웠지만 이미 모니터 시장이 LCD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큰 반응은 없었다. ‘LG전자는 CPT도 시장 감소가 예상된다고 우려’ 권영수 LG전자 부사장은 LG전자의 향후 실적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CRT 자회사 인 LG필립스디스플레이를 지적하면서 “CDT와 달리 CPT는 그나마 괜찮을 것으 로 예상했는데 LCD TV 시장이 확대돼 CPT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추세”라며 “대형쪽에서는 PDP영향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2003-10 2006-04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0047922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 5. ☞전면유리와 뒷유리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네온, 크세논, 아르곤 등 가스를 넣은 뒤 내부전극에 전압을 가해 네온광을 발광시키는 전자표시장치 ☞42인치 이상 중대형의 고선명 디지털 텔레비전에 적합 ② PDP(Plasma Display Panel) ‘삼성SDI 이어 LG전자도 PDP패널 구조 단순화’ LG전자는 내년부터 출시되는 50인치, 42인 치 PDP 패널 등에 순차적으로 EMI 차폐필 름을 탑재하지 않은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 다. 아직 파나소닉 등 해외 PDP 패널 업체들 의 경우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유리 로 된 EMI 차폐필름을 사용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이 PDP 패널 구조 단순화와 원가 측 면에서 한발 더 앞서가게 됐다. 2010-10 출처 :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01020000162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 6. ☞ 저 소비전력으로 장시간의 전지구동이 가능한 에너지 절약형 ☞ 얇고 가벼움 (일반 브라운관 TV의 3분의 1) ☞ 수광형 표시이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표시가 선명 ☞ 응답속도가 느림 (화면에 잔상이 남음) ③ LCD(Liquid Crystal Display) 세계 반도체-LCD 시장, 4분기 최대쟁점 ‘가격’ LCD 역시 4월 이후 장기 침체가 지속됐다. 340달러 선을 이어갔던 40인치대 패널가격은 최근 260달러대로 폭락했다. 업계 CEO와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 이후에나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4분기를 바닥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이다. LG디스플레이는 내년 투자를 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화시키는 동시에 4분기에는 원가절 감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10-10 출처 : http://www.aj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0181628362190700 LCD에 밀렸던 PDP도 점점 패널이 대형화 될수록 LCD에 비해 가격이 저렴 하다는 이유로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결국 LCD는 원가절감을 통해서 가격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2. 기존 디스플레이의 종류
  • 7.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차세대 디스플레이들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는 OLED, 3D, 터치, e-Paper, 플렉서블 등이 있다. 좀 더 자세히 분류 하자면,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에는 ① OLED, ② e-Paper 가 있고 디스플레이 형태에 관련 없이 부가될 수 있는 기능에는 ① 플렉서블, ②3D, ③Touch ④ 트리플 뷰 등이 있다.
  • 8. ☞ 기술구현을 위한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제품의 상용화 시기가 점차 당겨지는 추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의 약자로서, 빛을 내는 층이 유기 화합물로 되어 있는 박막 발광 다이오드 주로 액정화면(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PMOLED)와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로 나누어 짐 ☞ 디스플레이 시장은 현재 한국의 수출 3대 산업 중 하나로서, OLED는 우리나라가 전세계 98%를 공급하고 있을 만큼 경쟁력 ☞ LCD보다 응답 속도가 1000배 빠른 OLED는 최근 동영상 콘텐츠의 활성화로 인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나 MP3P 디스플레이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음 ① OLED (Organic LED)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 9.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스마트폰의 힘…OLED '눈부신 성장세' 스마트폰 시장의 급신장에 힘입어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출하량이 큰 폭 늘 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자업 계는 OLED를 적용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가는 형국이다. 특히 삼성모바일 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내년 4.5 세대(기판 사이즈 730×920㎜) 이상의 라 인을 가동하며 OLED 공급량이 크게 늘 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2010-10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02110304455713 OLED가 조금 더 안정적으로 많은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높은 가격을 희석하기 위한 제품 차별화가 확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OLED의 슬림화나 플렉서블 장점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나 구조를 제품에 적용하여 차별화를 확실히 해야 할 것이다.
  • 10. ☞ 아마존社의 킨들로 부터 시작된 e-Paper는 낮은 소비전력에 눈이 피로하지 않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e-Book이라는 니치 마켓을 목표로 하여 제품화되면서 시장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FPD International, CES를 통해 볼 때 대만/한국 업체의 전시 가 눈에 띄게 두드러지고 있다. ☞ e-Paper의 문제는 강력한 대체재가 있다는 점, 특허 이슈 등 으로 인해 e-Paper 재료 생산 업체가 제한적 ☞ e-Paper는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e-Book이라는 특화된 시장 을 선점하고는 있지만 LCD라는 강력한 대체 디스플레이가 존재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e-Paper
  • 11. ☞ 최근 아이패드(iPad)의 출시는 가장 큰 위협 (최대 10시간까지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e-Paper가 구현하기 어려운 칼라 표현, 동영상 등에서도 자유로울 뿐 아니라 e-Book이라는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앱 스토어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 ☞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원가경쟁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Player들이 진입하여 가격 하락이 이루어져야 하나 특허 장벽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움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e-Paper
  • 12. 1) 새로운 디스플레이 형태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8 `e리더` 설 곳 없다…삼성, 전자종이 방식 생산중단 삼성전자 갤럭시S를 통해 팔린 전자책은 1만 권에 달한 반면 삼성의 e리더를 통한 판매는 600여권에 그쳤다. 전자책 시대의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를 받던 e리더의 초라한 입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자종이 패널은 공급처 가 몇 곳에 불과한데다 가격이 비싸 더이상 사 용하지 않을 계획"이라며 "내년 내놓을 후속 모델은 액정표시장치(LCD) 패널을 이용한 멀 티미디어 기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82286441 현재 아이패드와 킨들을 비교해 볼 때 사용기능 측면에서는 아이패 드가 우월하지만 가격 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 또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에 e-Paper는 일정 마니아 층을 중심으로 니 치 마켓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 생각된다. 하지만 원가경쟁 력을 확보할 경우에는 시장 규모를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 13.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① 플렉서블 (flexible)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공간의 제약을 해결 ☞향후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oll-to-Roll 공정을 통한 원가 혁신 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기판의 특성 개선이 급선무 ☞당분간은 금속 재질 기판이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대세를 이룰 것 ☞특성이 개선된 플라스틱 재료가 빠른 시일 안에 나오기는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면 혁신적인 플렉서블 제품은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할 것
  • 14.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2020년 300억불 이를 듯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체 시장은 2010년 약 3400만불에서 2015년 약 24억불, 2020년에는 약 300억불로 획기적인 시장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 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중심 애플리케이션은 2011년까지는 신규 애플리케이션인 e-paper 기술 기반의 e-Book 및 광고판 등이 될 것이며, 그 이후 로는 모바일폰을 중심으로 한 중소형 대체 애플리 케이션이 시장을 리드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163886&Branch_ID=kr&rssid=naver 기술적으로 볼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접을 수 있게 유리 대신 플 라스틱이나 금속 박막을 기판으로 사용한다.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바꾸 는 일은 쉽지 않다. 기존 디스플레이는 섭씨 1000도 이상에서 가공되는 반도 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 역시 열에 잘 견뎌야 한다. 따라서 휘는 TFT LCD 의 개발은 열에 강하면서 잘 휘는 플라스틱을 개발하거나, 전체 공정을 플라 스틱도 견딜 수 있는 저온에서 실현한다면 발전가능성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다.
  • 15. ☞ 3D나 홀로그램을 통해 오감을 만족시켜 현실감 있는 경험을 제공 ☞ 3D 입체 영상은 이미 180년 전 개발된 기술로 3D 산업은 1890년대와 1950년대에 크게 두 차례 Boom이 있었고 이번이 세 번째 ☞ 이번 Boom의 특징은 과거와는 달리, 영화 및 영화관 중심이 아니 라 방송 및 TV 중심임 ☞ 한국/일본 TV 제조업체의 3D TV 제품화 노력과 ‘아바타’ 영화의 성공에 힘입어 3D 산업이 성장 ☞ 3D 기능이 LCD 뿐만 아니라 PDP,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도 적용 ☞ 향후 지속적인 가격 하락이 예상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②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 16. 소비자들이 당장 3D TV를 산다고 해도 볼 수 있는 3D 영화나 방송 등 이 부족한 상황이다. (콘텐츠 부족) 관련 인프라 구축도 해결 과제이다. 표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고 TV에서 3D를 보려고 해도 관련 3D 카메라, 송수신 장비 등의 방송 인프라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 이다.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2010-10 디스플레이서치 "올 3DTV 수요전망 320만대로 낮춰" 올해 3DTV 판매량이 기대치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3D콘텐츠 부족과 북미지역에서의 전 반적인 수요부족이 주된 배경이다. 지난 3월 삼성전자는 미국 내 판매량에 대해 3DTV를 포함 300만~400만대를 팔 것으로 예 상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 북미지역 총 LCDTV 판매량은 경기부진한데다 TV가격도 크게 떨어 지지 않은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3% 하락했 다.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01408135733872
  • 17. ☞ 과거 애플社의 아이폰(iPhone)에서 시작된 모바일에서의 터치 열풍은 노트북까지 확대되었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 ☞ 기존 버튼 형식의 하드웨어 UI(User Interface)로는 표현 불가능한 것들이 터치화를 통해 가능 ☞ 시장에서는 기존 노트북에 터치 기능이 추가된 플랫폼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는 아니라고 느껴짐 (키보드가 있는 상황에서 터치까지 있는 제품이 그리 매력적이지는 않다는 반응) ☞ 애플社의 아이패드에 터치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국면 ☞ 터치 기능 자체를 반드시 필요한 기능으로 자리잡을 것이지만 그 형태 및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변할 것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③ 터치 (Touch)
  • 18.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아이패드와 풀터치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를 출력만이 아닌 입력 장치로 만들어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존의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을 환경을 접하게 된 것이다. 원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목적은 입력된 데이터를 단순히 내보여주는 것, 즉 출력의 수단이었다. 때문에 사용자는 보여주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터치패널 등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안으로 들어오면서 더 이상 수동적 수용이 아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작 할 수 있는 능동적 지배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 19. ☞ 제스처 인터랙션 디스플레이 기술이라 불리움 ☞ 닌텐도 Wii의 ‘위모콘’이 이 기술을 채택 ☞ 사용자는 나날이 복잡해지는 리모콘을 통해서가 아닌 직관적인 행동을 통해 TV를 제어하고 싶어하기 때문 ☞ MS가 함께 개발한 스킨풋(Skinput) 기술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던 기존 터치기술을 피부로 옮겨옴 피부 위에 있는 실행, 삭제, 확대 같은 명령을 눌러 기기를 움직이는 기술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④ 터치프리 (Touch Free)
  • 20.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던 기존 터치기술을 피부로 옮겨옴. 피부 위에 있는 실행, 삭제, 확대 같은 명령을 눌러 기기를 움직이는 기술이다. 신체부위가 궁극적인 입력장치가 되는 것이다. 신체부위가 입력장치가 되더라도 입력을 할 수 있는 버튼을 신체부위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움직임만을 통해서 디스플레이에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MIT 미디어랩의 '식스센스'
  • 21. ☞ 시야 각을 제어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다른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 ☞ 왼쪽, 정면, 오른쪽에서 볼 때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모두 다름 ☞ 각각 원하는 3개 채널을 동시에 볼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가 필요하고 오디오 신호도 별도로 보내야 하지만 현재의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님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⑤ 트리플 뷰(Triple view) 디스플레이
  • 22. 2)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 3.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종류 자동차에 탑재되는 AV 시스템에 적용하면 운전자와 조수석에 탄 사람, 그리고 뒷자리에 앉은 사람들이 작은 액정 모니터로 서로 보고 싶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보면서 운전을 하고, 조수석이나 뒷좌석에서는 주변 관광지나 식당 안내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광고용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것도 제법 유용해 보인다.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에 트리플 뷰 액정을 비치해 두고 광고화면을 내 보내면,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화면이 바뀌면서 더 많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샤프와 샤프 유럽 연구소가 개발한 이 제품은 이름 그대로 '세 방향에서 보는 화면이 각각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다. 지난해에 동시에 두 가지 화면을 보여줄 수 있는 듀얼 뷰 LCD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한 단계 발전한 기술이 개발된 셈이다. 각도 따라 화면도 바뀐다! 샤프 트리플 뷰 액정 2006-10 출처 :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594
  • 23. 4. 미래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의 의미 앞에서 살펴 본 사용자 경험을 확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기존의 LCD, OLED 등 구동원리로 구분된 기준이 아닌 용도별로 필요한 기능을 조합한 디스플레이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TV와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 등에 국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새로운 기능을 지닌 디스플레이 출현으로 상업용, 의료용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 24.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라는 개념 자체가 진화하는 것이다. 패널 안에 갇혀 있는 디스플레이, 보여주기만 하는 디스플레이가 아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화면 크기로, 원하는 정보를 받기도 하고, 넣기도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디스플레이 경쟁 환경은 성능 경쟁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독특한 색깔을 내보이는 정체성 확장의 경쟁으로 변할 것이며, 이는 다양한 경쟁 가능성의 확장을 의미할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를 벗어나고 싶은 디스플레이의 꿈을 위해 다수의 플레이어가 한 곳을 보고 달려가는 모습이 아닌, 서로 다른 곳을 보며 달려가는 여러 그룹의 플레이어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4. 미래 디스플레이 진화 방향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