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강의계획안(2013-2 학기)
교과목명

한국어형태론

개설전공

울란바타르대 한국어학과

교수명

최형용

학점

3

강의실

ECC B144 호

E-Mail

chy@ewha.ac.kr

월 10:40-12:10(한국시간)
강의시간
9:40-11:10(몽골시간)
연락처

82-10-6277-3786

1. 교과목표
단일문법의 체계에 근거하여 한국어의 형태 구조 전반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규범문법의 체계와 내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를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2. 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남기심․고영근(2011),『표준국어문법론』(제 3 판), 탑출판사.
<참고문헌>
- 단행본 고영근․구본관(2008),『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커뮤니케이션북스.
박형익(2004),『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월인.
이관규(2002),『학교문법론』(개정판), 월인.
이익섭(2003),『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이익섭 외(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이익섭․채 완(1999),『국어문법론연구』, 학연사.
전상범(1995),『형태론』, 한신문화사.
- 논문 -
고영근(1992),「형태소란

도대체

무엇인가?」,『남사

이근수박사환력기념논총』.(이병근

외

편(1993),『형태』(태학사)에 재수록)
고영근(2004),「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현행 고등학교『문법』을 검토하면서」,『우리말연구』 15.
박재연(2010),「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국어학』58.
박진호(2007),「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국어학』50.
서태룡(2006),「국어 품사 통용은 이제 그만」,『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최형용(2002),「어근과 어기에 대하여」,『형태론』4-2.
최형용(2006),「합성어 형성과 어순」,『국어국문학』143.
최형용(2009),「국어의 비접사 부사 형성에 대하여」,『정신문화연구』32-1.
최형용(2010),「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한국어학』47.
최형용(2011),「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에 대하여」,『형태론』13-1.
최형용(2012),「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에 대하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식’을
중심으로 -」,『형태론』14-2.
최형용(2013),「어휘부와 형태론」,『국어학』66.
3. 수업방법 및 활용매체
가. 해당주의 진도 부분에 대하여 교수가 요약하여 강의한다.
나. 학생들은 강의를 듣고 의문점을 이메일로 보낸다.
다. 강의는 PPT 를 이용하되 강의 전에 학생들에게 공개하여 예습하도록 한다.
4. 과제물
기말 보고서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부분 가운데 주제 하나를 정해 한국어와 몽고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서 A4 2~3 장 분량으로 제출하도록 한다.
5. 성적평가방법 및 기준
가. 성적은 중간고사(20%), 기말고사(30%), 과제(10%), 세미나(20%), 출석(20%)로 평가한다.
나. 기말고사는 강의를 마친 후에 따로 정한 날에 치른다.
6. 참고사항
가. 질문 및 상담 등은 이메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나. 과제(기말보고서)는 이메일로 제출하되 기일이 지나면 감점한다.
7. 강의내용
주별

강의내용

교재범위, 과제물 등

제 1 주(9/2)

교과목 소개, 형태론의 정의와 범위

제 2 주(9/9)

형태소, 단어

제4장

제 3 주(9/16)

품사분류의 기준, 품사분류의 실제

제5장

제 4 주(9/23)

명사, 대명사

제6장

제 5 주(9/30)

수사, 체언과 복수

제 6 주(10/7)

조사

제6장

제 7 주(10/14)

용언, 활용

제6장

제 8 주(10/21)

중간시험

제7장

제 9 주(10/28)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제7장

제 10 주(11/4)

어미

제7장

제 11 주(11/11)

관형사, 부사, 감탄사

제8장

제 12 주(11/18)

품사의 통용

제9장

제 13 주(11/25)

단어의 짜임새

제 10 장

제 14 주(12/2)

파생법

제 10 장

제 15 주(12/9)

합성법, 합성어의 파생

제 10 장

제 16 주(12/16)

한자어 조어법, 종합토론

과제물 제출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강의계획안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Nuri-sejonghakdang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Nuri-sejonghakdang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rayanshin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gbayar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gbayar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heyoungkim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Nuri-sejonghakdang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gbayar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Nuri-sejonghakdang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rayanshin
 
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anna-2013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anna-2013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Debate4All
 
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anna-2013
 
회화5 강의계획서
회화5 강의계획서회화5 강의계획서
회화5 강의계획서anna-2013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Han Doosung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skuinc
 

Similar to 강의계획안 (20)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호찌민 세종학당 조명숙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Ubd4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설문조사연구: 설문문항작성법 및 시행절차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
우한세종학교 함창명 줄줄이 말해요 & 사랑으로 맞이해요
 
Kpt3 plan
Kpt3 planKpt3 plan
Kpt3 plan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4. 고급 과정에서의 방송 시청 후 쓰기와 말하기(발표 및 토론) 활동(최원상)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 교육 방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리마 세종학당 이승훈
 
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
한국어 회화5 강의계획서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디베이트(영어토론) 방과후학교 수업 - 디베이트포올
 
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한국어회화5
한국어회화5
 
회화5 강의계획서
회화5 강의계획서회화5 강의계획서
회화5 강의계획서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청소년지도학과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잔나 교수 학과목 소개 Ppt 20110815
 
Hpn ppt
Hpn pptHpn ppt
Hpn ppt
 

강의계획안

  • 1. 강의계획안(2013-2 학기) 교과목명 한국어형태론 개설전공 울란바타르대 한국어학과 교수명 최형용 학점 3 강의실 ECC B144 호 E-Mail chy@ewha.ac.kr 월 10:40-12:10(한국시간) 강의시간 9:40-11:10(몽골시간) 연락처 82-10-6277-3786 1. 교과목표 단일문법의 체계에 근거하여 한국어의 형태 구조 전반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규범문법의 체계와 내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를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2. 교재 및 참고문헌 <주교재> 남기심․고영근(2011),『표준국어문법론』(제 3 판), 탑출판사. <참고문헌> - 단행본 고영근․구본관(2008),『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커뮤니케이션북스. 박형익(2004),『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월인. 이관규(2002),『학교문법론』(개정판), 월인. 이익섭(2003),『국어 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이익섭 외(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이익섭․채 완(1999),『국어문법론연구』, 학연사. 전상범(1995),『형태론』, 한신문화사. - 논문 -
  • 2. 고영근(1992),「형태소란 도대체 무엇인가?」,『남사 이근수박사환력기념논총』.(이병근 외 편(1993),『형태』(태학사)에 재수록) 고영근(2004),「국어문법교육의 방향 탐색-현행 고등학교『문법』을 검토하면서」,『우리말연구』 15. 박재연(2010),「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국어학』58. 박진호(2007),「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국어학』50. 서태룡(2006),「국어 품사 통용은 이제 그만」,『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최형용(2002),「어근과 어기에 대하여」,『형태론』4-2. 최형용(2006),「합성어 형성과 어순」,『국어국문학』143. 최형용(2009),「국어의 비접사 부사 형성에 대하여」,『정신문화연구』32-1. 최형용(2010),「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한국어학』47. 최형용(2011),「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에 대하여」,『형태론』13-1. 최형용(2012),「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에 대하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식’을 중심으로 -」,『형태론』14-2. 최형용(2013),「어휘부와 형태론」,『국어학』66. 3. 수업방법 및 활용매체 가. 해당주의 진도 부분에 대하여 교수가 요약하여 강의한다. 나. 학생들은 강의를 듣고 의문점을 이메일로 보낸다. 다. 강의는 PPT 를 이용하되 강의 전에 학생들에게 공개하여 예습하도록 한다. 4. 과제물 기말 보고서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부분 가운데 주제 하나를 정해 한국어와 몽고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서 A4 2~3 장 분량으로 제출하도록 한다. 5. 성적평가방법 및 기준 가. 성적은 중간고사(20%), 기말고사(30%), 과제(10%), 세미나(20%), 출석(20%)로 평가한다.
  • 3. 나. 기말고사는 강의를 마친 후에 따로 정한 날에 치른다. 6. 참고사항 가. 질문 및 상담 등은 이메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나. 과제(기말보고서)는 이메일로 제출하되 기일이 지나면 감점한다. 7. 강의내용 주별 강의내용 교재범위, 과제물 등 제 1 주(9/2) 교과목 소개, 형태론의 정의와 범위 제 2 주(9/9) 형태소, 단어 제4장 제 3 주(9/16) 품사분류의 기준, 품사분류의 실제 제5장 제 4 주(9/23) 명사, 대명사 제6장 제 5 주(9/30) 수사, 체언과 복수 제 6 주(10/7) 조사 제6장 제 7 주(10/14) 용언, 활용 제6장 제 8 주(10/21) 중간시험 제7장 제 9 주(10/28)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제7장 제 10 주(11/4) 어미 제7장 제 11 주(11/11) 관형사, 부사, 감탄사 제8장 제 12 주(11/18) 품사의 통용 제9장 제 13 주(11/25) 단어의 짜임새 제 10 장 제 14 주(12/2) 파생법 제 10 장 제 15 주(12/9) 합성법, 합성어의 파생 제 10 장 제 16 주(12/16) 한자어 조어법, 종합토론 과제물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