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창업도약 기업
죽음의계곡 탈출기
Made by KoMyungHwan
T H E G A M E C H A N G E R S
Profile
•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 박사 수료
• 한국관광공사 부울경 담임컨설턴트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부 비즈니스지원단 상담위원
• 부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멘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평가위원
• 소상공인, 스타트업, 중소기업 컨설팅 실적 1000건 이상
• 2019년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기법 매뉴얼(공저)
• 2020년 한국관광공사 담임컨설턴트 감사패
고 명 환
더게임체인저스 대표
경영지도사
2018-2019 2020 2021
생존방법 1.
낙타스타트업
아르고 AI 자율주행 사업 철수,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 사업 철수
NFT, 디파이, 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의구심
아마존 1만명 감원
메타 1만 1천명 감원 테슬라 3000명 감원
등돌린 벤처 캐피탈
스타트업 정부지원사업 예산 감소!
유니콘에서 낙타 스타트업으로!
낙타의 특징은?
현실의 동물 물 없이도 버팀 적응력이 강함
가상의 동물이 아니라 가장
가혹한 환경에서 실제로
살고 있는 동물이다.
3일이상 물을 섭취하지 않아도
등에 저장된 지방을 분해해 수
분과 에너지를 조달할 수 있다.
한번 물을 마시면 1분에 10-20L
씩 들이킬 정도로 빠른 수분 보
충이 가능하다.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 완벽하게
적응하는데 성공했다.
기온이 40도가 넘어도 땀을 흘
리지 않아 수분을 잃지 않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유니콘에서 낙타 스타트업으로!
기존 스타트업 성장 방
식
낙타 스타트업 성장 방
식
4차산업 BM
막대한 투자금
고용 및 DB 확보
수익모델 개발
수익 창출로
수익성, 사업성 검증
투자금 확보
고성장
한국 낙타 스타트업
수익창출의 단순한 조건
독자적인
제품(서비
스)
가격
열성 팬 보
유
생존방법 2.
생존을 위한 자금조달 전략
(투자 X)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유망 기술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도약기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제품 서비스 고도화 지원
사업목적
지원대상 창업 후 3년 초과 7년 이내 도약기 창업기업
지원내용
시제품제작, 지재권 취득,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자금을 최대 3억원 한도 지원(평균 1.2억원)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자부담금 30%)
창업프로그램
투자유치를 위한 IR 컨설팅, 투자자 매칭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시장 확대(글로벌 선행기술 조사, 글로벌 인증 획득 지원, 글로벌 투자자 연계 투자)
사업 특징
연령, 매출액, 직원 수, 지역 제한 없음
창업 도약 기업이 거쳐야 하는 필수 정부지원사업
2023년부터 대기업 협업과제 트랙이 생김
창업도약패키지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 7년 이내 스타트업
신산업 분야는 창업 10년 이내 스타트업
사업목적
지원대상
비대면 분야(에듀테크, 스마트농업, 물류, 스마트시티, ICT융합미디어, 엑티비티, AI 빅데이터 보안 등)
소부장 분야(국산화 소재, 부품, 장비)
신산업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로봇, 친환경에너지, 인공지능, 우주항공 등)
지원내용
사업 특징
시드 투자를 받은 기업이 합격에 유리함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을 졸업한 기업도 신청이 가능함
혁신분야창업패키지
(비대면, 소부장, 신산업)
비대면 분야 최대 1억원
소부장 분야 최대 2억원
신산업 분야 최대 6억원(3년간)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자부담금 30%)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SW산업 발전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SW 고성장기업의 성장동력 확충에
초점을 둔 맞춤형 지원사업
사업목적
지원대상
예비고성장 : 창업 3~7년 미만 기업
고성장 : 최근 3년간 종사자 10인 이상이고 연매출 증가율 또는 고용성장률이 20% 이상 기업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한 스타트업을 우대함
지원내용
사업 특징
연령, 성별, 지역, 매출액 제한 없음
SW 또는 IOT 기업은 추가로 신청해서 자금을 조달함
고성장PD의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음
SW고성장 200
예비고성장 사업화자금 최대 1억원
고성장 사업화자금 최대 3억원
글로벌 성장
프로그램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선발하여 해외 진출 스케일업 프로그램 등 성장 인센티브 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투자 유치 연계 지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타
제조혁신바우처 수출바우처 지원사업
데이터바우처
(지역)테크노파크
지원사업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기반지원자금
스타트업은 자금, 인력, 마케팅 등 경영상 많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음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정책자금 융자 상품 중 창업기반지원자금은 스타트업의 첫 번째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
창업기반지원자금(일반), 창업기반지원자금(청년)으로 구분됨
구분 용도 세부내용
시설
설비
구입
생산, 정보화 촉진, 유통·물류, 생산환경 개선 등에 필요한 기계장비의 구입에 필요한 자금
사업장
건축
자가 사업장 확보를 위한 토지 구입비 및 건축 자금
* 범위 : 사업장(공장) 內의 기숙사 등 복리후생 관련 복지시설 포함
** 토지구입비는 건축허가가 확정된 사업용 부지 및 산업단지 등 계획입지의 입주계약자 중 6개월 이내 건축착공이 가능한 경우에 한
함
사업장
매입
자가 사업장 확보를 위한 사업장 매입 자금(경·공매 포함)
* 자가 사업장 확보 자금은 기업당 3년 이내 1회로 지원 한정
운전
기업 경영활동
원부자재 구입, 제품의 생산, 시장 개척, 기술 개발, 인건비,
임차보증금 등 기업 경영 활동에 소요되는 자금
약속어음 감축 약속어음 폐지‧감축을 위해 대금 지급방식을 현금지급 방식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비용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융자조건
구분 융자 조건
대출한도
연간 60억원 이내
(운전자금은 연간 5억원 이내)
대출기간
(시설자금) 10년 이내 (거치기간 담보 4년 이내)
(운전자금) 5년 이내(거치기간 2년 이내)
대출금리 정책자금 기준금리(변동) – 0.3%P
대출방식 직접대출, 대리대출
구분 융자 조건
대출한도
연간 1억원 이내
(제조업 및 지역특화주력산업은 2억원 이내)
대출기간
(시설자금) 10년 이내 (거치기간 담보 4년 이내)
(운전자금) 6년 이내(거치기간 2년 이내)
대출금리 2.5% (고정)
대출방식 직접대출
창업기반지원자금(일반) 청년전용창업자금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융자절차
온라인 상담예약
상담예약 ->
자가진단
상담
대면 or 비대면
정책우선도 평가
신청가능여부 결정
온라인 융자신청
신청서 제출
사후관리
자금사용 용도 점검
대출
직접대출, 대리대출
융자결정
지원가능여부 및
지원금액 결정
기업심사
현장방문 or 비대면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보증 업무 외에 벤처기업 인증, 이노비즈 인증, 특허 가치 평가 등의 주요업무를 맡고 있음
연대보증이 폐지되어 스타트업 대표는 실패 후 상환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음
자금종류 내용
맞춤형 창업성장 분야 우대보증
창업 후 7년 이내 기업으로 맞춤형 창업성장분야 해당기업
지식문화창업, 이공계챌린지 창업, 기술경력 뿌리창업, 첨단 성장연계 창업
창업 후 3년 이내 : 1.0% 고정보증료율
청년창업기업 우대 프로그램
창업 후 5년 이내로 , 경영주가 17~39세 이하인 기술창업기업
보증금액 3억원 이내
보증료 : 연 0.3% 고정요율 적용
보증신청
(방문 및 온라인)
상담
접수/조사
자료 수집
기술평가/
조사
심사∙승인
보증서
발급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신용보증기금
스타트업의 성장단계별 금융 비금융 서비스를 융합하여 지원함으로써 혁신적 도전적 기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
성장단계 지원프로그램 업력 최대한도 보증한도 지원방식
연구개발단계
스텝업
준비기업 보증
창업 5년 이하 10억한도
연구개발 소요자
금
개별거리 또는 한도거래(2년)
초기사업화 단계
스텝업
도전기업 보증
창업 5년 이하 20억한도
3차년도
추정매출액의 1/2
3년간 Credit Line설정
→ 경영목표 달성 여부에 따
라 연차별
단계적 지원
본격성장 단계 퍼스트펭귄 보증* 창업 7년 이하 30억한도
도약 단계 Pre-ICON 보증
창업 2년초과
10년 이하
50억한도
보증료율(0.5%또는 0.7% 고정), 보증비율(90%이상) 등 우대 지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상환의무가 없는 정책자금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자금은 크게 융자와 출연으로 구분됨. 융자는 상환 의무가 있는 자금조달 방법으로 낮은 금리의 유리한 상환
조건을 가지고 있음. 지원은 상환의무가 없는 정책자금으로 일정 비율의 자기부담금(10~30%)만으로 필요 자금을 조달 할 수 있음
스타트업이 시제품 개발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계획하고 있다면 당연히 상환 의무가 없는 융자 방식이 1순위
정책자금
융자
출연
투자
중진공, 기보, 신보…
R&D, 마케팅, 수출, 인증…
매칭펀드, 크라우드펀딩, VC…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스타트업 성장의 밑거름
스타트업이 자금 조달에 실패하여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는 경우에 70%에 달하고 있음. 죽음의 계곡을 넘기기 위해 R&D 지원사업
참여를 필수불가결. R&D 지원사업에 성공적으로 참여한다면 VC로부터 투자유치 확률도 증가함
준
비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The
Chasm
The Mainstream
Market
The Early
Market
시제품 개발
정책자금
정책자금
정책자금
정책자금
투자유치
투자유치
투자유치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R&D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에 필요한 선행 연구 조사, 연구개발 사업계획서, 정량적 목표
설정,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노트 작성, 연구소 관리, 연구비 관리,
특허 출원 등 R&D 지원사업은 많은 행정적인 절차가 수반됨.
R&D 지원사업 참여를 통해 기업 내부 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기업의 체계
를 갖춰나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사업목적 : 기술창업아이템의 시장성 · 기술성 및 사업성 검증이 필요한 기술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조기 성장 촉진
기관추천 세부공고에서 정하는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사회문제해결형
창업기업 R&D지원 분야에 지정된 사회문제해결분야에 해당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창업기업
첫걸음과제
(자유공모)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으로 중기부 R&D가 처음인 창업기업 우선지원을 통해 성장 촉
진
(창경추천)
16개 시도 창조경제혁신센터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지원대상 : 창업 7년 이하이고, 직전년도 매출액 20억 원 미만인 기업
정부출연금 : 총 사업비의 80% 이내에서 최대 1년, 1.2억 원 이내 지원
민감부담금 : 총 사업비의 20% 이상을 부담
(단위 : 억원, 개)
구 분
일정 및 지원규모
계
1차(상반기) 2차(하반기)
내역사업 세부과제
신청
·접수
과제수
(예산)
신청
·접수
과제수
(예산)
디딤돌
지역 창업 허브 연계 1월
500개 내외
3월
250개 내외 750개 내외
(600억원) (150억원) (750억원)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
- - 3월
10개 내외 10개 내외
(6억원) (6억원)
여성참여활성화
(W Start-up)
- - 3월
50개 내외 50개 내외
(30억원) (30억원)
서비스 R&D - - 3월
60개 내외 60개 내외
(36억원) (36억원)
R&D 기획지원 연계 - - 3월
30개 내외 30개 내외
(18억원) (18억원)
합계
500개
-
530개 1,030개
(600억원) (338억원) (938억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사업공고
중소벤처기업부
신청 접수
주관기관
서면평가
전문기관
대면평가
전문기관
현장조사
전문기관
최종평가, 사후관리
전문기관
과제관리, 최종점검
전문기관
협약 자금지원
주관/전문기관
선정결과 통보
전문기관
선정결과 보고
전문기관
(주관기관) 과제신청기업,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사업목적 : 엑셀러레이터 등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팀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정부자금을 매칭 지원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
화 도모
세부사업명 지원 대상 지원규모 지원기간 지원한도 기업부담금 신청접수 평가선정
팁스
(TIPS)
창업성장기술개발
(TIPS과제/R&D)
팁스 운영사로부터 투자 및 추천을
받은 업력 7년 미만의 (예비) 창업팀
4,000억원 2년 최대5억원
총사업비의
20%이상
수시 수시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신청 접수
창업팀 → 운영사
투자심사
운영사
창업팀 추천
운영사 → 관리기관
사전검토
전문/관리, 전담기관
사업수행
운영사/창업팀
연계지원
관리/전담기관
R&D선정/협약
전문/관리, 전담기관
서면/대면평가
전문/관리, 전담기관
(관리기관) 한국엔젤투자협회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전담기관)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졸업제 적용
중소기업이 당해연도 주관기관으로 신규과제 신청 및 수행가능한 과제 수는 최대 2개로 한정함
동일내역사업 내에서 동일차수에 1개 세부과제만 신청 가능
졸업제 대상사업 :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수행 중인 과제 수 졸업제 적용 사업 졸업제 미적용 사업
2개 신청불가 신청불가
졸업제 적용 사업 1개 신청불가 1개 가능
졸업제 미적용 사업 1개 1개 가능 1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미선정 시)
0개 1개 가능
2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미선정 시),
1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선정 시)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R&D 신청 순서
졸업제 대상사업을 수행한 주관기관은 혁신역량 단계에 따른 내역사업기준표의 상위단계 내역사업을 수행한 경우,
하위단계 내역사업은 다시 수행할 수 없음
세부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혁신역량 단계 초기 도약 성숙 초기 도약 성숙
내역사업
명
디딤돌 전략형 TIPS
시장대응
형
시장확대
형
수출지향
형
O O O O O O
X
X
X
X
X
X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인증취득
스타트업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인증에는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이노비즈, 메인비즈가 있음
특허 개수가 많거나 국내 유일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면 위의 인증이 없어도 기술력을 높이 평가 받을 수 있음. 하지만, 정부지원사업
에는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만 신청하거나 벤처기업만 신청할 수 있는 사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건이 된다면 무조건 취득하는 것
이 좋음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획 고려사항
R&D의 사업화 성공에 있어서, 기술 비중은 1/3 ~ 1/4로 보는 것이 업계 관행
R&D 분야 발굴은 체계적인 사업성 발굴 및 평가 프로세스의 확립 필요
Profitability Test
사업화 성공시 수익성은 충분한가?
Payback Period는 원내 규정에 적합한가?
Market Test
시장이 존재하는가?
시장의 성장성은 어떠한가?
고객의 구매가치가 존재하는가?
Technology Test
기술의 완성도는 어떠한가?
기술적 구현에 어려움은 없는가?
경쟁기술에 비하여 얼마나 성능면에서 우수한가?
특허권확보/타사특허침해가능성/특허치해여부 판정용이성은?
Commercial Test
Value Chain상의 신사업개발이 용이한가?
정부규제, 관습 등 사업화 장벽은 존재하지 않는가?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술자료 조사
연구과제 선정을 위해서는 기술트렌드, 기술동향, 글로벌 경쟁기업의 기술개발 현황 등 개발하고자 하는 분야의 기술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
실현가능성 및 향후 사업성, 산업의 파급성 등을 고려해서 적절한 사업아이템을 발굴하는 것이 R&D 지원사업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소기업기술로드맵은 선행기술 조사 시 필요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http://smroadmap.smtech.go.kr/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복성 검토
과제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선행 특허 및 선행 연구 과제 조사
과제가 중복되었다고 판명되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탈락하게 됨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www.ntis.go.kr)에서 중복성 검토를 실시함
기본정보
연구과제명, 과제공개여부, 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
요약정보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한글키워드, 영문키워드
대상 내용을 상세히 기입하면 중복성 검토 가능
<대상과제 등록>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연구개발체계 구축
◾ R&D를 처음 참여하는 스타트업은 기업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이
부족하기 마련. R&D 지원사업의 실현 가능성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체계구축이 반드시 필요함
◾ 전체 연구개발 업무에서 주관기관은 60% 이상, 참여기관은 40% 이하를 유지하면
서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스타트업이 단독으로 참여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
음
◾ 기술개발 내용, 정량적 목표 설정 등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
는 기관을 사전에 섭외함
감사합니다.
THANK YOU.
Made by KoMyungHwa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창업자] 창업도약 기업 죽음의 계곡 탈출기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Jinsoo Kim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더게임체인저스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더게임체인저스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JEONG HAN Eom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더게임체인저스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Shougo Kim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더게임체인저스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더게임체인저스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Gori Communication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더게임체인저스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JeongHeon Lee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더게임체인저스
 
2017년 정책가이드북
2017년 정책가이드북2017년 정책가이드북
2017년 정책가이드북
Taesung Yun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더게임체인저스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NAVER D2 STARTUP FACTORY
 

Similar to [창업자] 창업도약 기업 죽음의 계곡 탈출기 (20)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기업의 2배, 3배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자금 100% 활용비법 특강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정책자금 로드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창업&예비창업자] 창업자금조달 및 세무전략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스타트업] 스타트업 성장 전략 Part 1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의 지원 및 사업계획서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BLT] 2015년 정부지원사업 01월 ~ 02월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스마트공방 지원사업 설명 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창업자&예비창업자] R&D 사업성 및 관리체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케일업을 위한 R&D 기획 전략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법인영업 GA] R&D 지원사업 성공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창업자&예비창업자] 창업 알뜰신잡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생존을 위한 R&D 지원사업 기획 1부ㅡ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R&D 지원체계 개편안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창업&예비창업자] R&D지원사업 성공전략
 
2017년 정책가이드북
2017년 정책가이드북2017년 정책가이드북
2017년 정책가이드북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네이버 D2SF] R&D Fund 2016년 3차_사업소개
 

More from 더게임체인저스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더게임체인저스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더게임체인저스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더게임체인저스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더게임체인저스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더게임체인저스
 

More from 더게임체인저스 (20)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예비창업자&창업자] 브랜드 개념 브랜드 구성 브랜드 중요성 브랜드 개발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창업자&예비창업자] 로컬비즈니스를 위한 아이템고도화 및 사업계획서작성의 기초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마트스토어 개설 및 판매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 네이버 블로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스타트업 해외진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3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창업자&예비창업자] R&D기획 및 사업계획서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학원 업종 네이버 온라인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스타트업 인증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스타트업 투자 유치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 로컬(LOCAL)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창업자&예비창업자] 온라인 쇼핑몰 사업계획서 양식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강연] 신고령친화시장 BM개발전략과 기술투자정책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2년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고객과 밀당, 헝거(Hunger) 마케팅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창업자&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 특강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도시재생] 공동체조직 내 민주주의 회의법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스타트업 성장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자&예비창업자) 코로나19 이 후 스타트업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자] 창업도약 기업 죽음의 계곡 탈출기

  • 1. 창업도약 기업 죽음의계곡 탈출기 Made by KoMyungHwan T H E G A M E C H A N G E R S
  • 2. Profile •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 박사 수료 • 한국관광공사 부울경 담임컨설턴트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부 비즈니스지원단 상담위원 • 부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멘토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 평가위원 • 소상공인, 스타트업, 중소기업 컨설팅 실적 1000건 이상 • 2019년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기법 매뉴얼(공저) • 2020년 한국관광공사 담임컨설턴트 감사패 고 명 환 더게임체인저스 대표 경영지도사 2018-2019 2020 2021
  • 4.
  • 5. 아르고 AI 자율주행 사업 철수, 구글 웨이모 자율주행 사업 철수 NFT, 디파이, 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의구심
  • 6. 아마존 1만명 감원 메타 1만 1천명 감원 테슬라 3000명 감원
  • 7. 등돌린 벤처 캐피탈 스타트업 정부지원사업 예산 감소!
  • 8. 유니콘에서 낙타 스타트업으로! 낙타의 특징은? 현실의 동물 물 없이도 버팀 적응력이 강함 가상의 동물이 아니라 가장 가혹한 환경에서 실제로 살고 있는 동물이다. 3일이상 물을 섭취하지 않아도 등에 저장된 지방을 분해해 수 분과 에너지를 조달할 수 있다. 한번 물을 마시면 1분에 10-20L 씩 들이킬 정도로 빠른 수분 보 충이 가능하다.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 완벽하게 적응하는데 성공했다. 기온이 40도가 넘어도 땀을 흘 리지 않아 수분을 잃지 않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 9. 유니콘에서 낙타 스타트업으로! 기존 스타트업 성장 방 식 낙타 스타트업 성장 방 식 4차산업 BM 막대한 투자금 고용 및 DB 확보 수익모델 개발 수익 창출로 수익성, 사업성 검증 투자금 확보 고성장
  • 12. 생존방법 2. 생존을 위한 자금조달 전략 (투자 X)
  • 13.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유망 기술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도약기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및 제품 서비스 고도화 지원 사업목적 지원대상 창업 후 3년 초과 7년 이내 도약기 창업기업 지원내용 시제품제작, 지재권 취득,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자금을 최대 3억원 한도 지원(평균 1.2억원)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자부담금 30%) 창업프로그램 투자유치를 위한 IR 컨설팅, 투자자 매칭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시장 확대(글로벌 선행기술 조사, 글로벌 인증 획득 지원, 글로벌 투자자 연계 투자) 사업 특징 연령, 매출액, 직원 수, 지역 제한 없음 창업 도약 기업이 거쳐야 하는 필수 정부지원사업 2023년부터 대기업 협업과제 트랙이 생김 창업도약패키지
  • 14.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 7년 이내 스타트업 신산업 분야는 창업 10년 이내 스타트업 사업목적 지원대상 비대면 분야(에듀테크, 스마트농업, 물류, 스마트시티, ICT융합미디어, 엑티비티, AI 빅데이터 보안 등) 소부장 분야(국산화 소재, 부품, 장비) 신산업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로봇, 친환경에너지, 인공지능, 우주항공 등) 지원내용 사업 특징 시드 투자를 받은 기업이 합격에 유리함 창업도약패키지 사업을 졸업한 기업도 신청이 가능함 혁신분야창업패키지 (비대면, 소부장, 신산업) 비대면 분야 최대 1억원 소부장 분야 최대 2억원 신산업 분야 최대 6억원(3년간) 총 사업비의 70% 이내 지원(자부담금 30%)
  • 15.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SW산업 발전 및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SW 고성장기업의 성장동력 확충에 초점을 둔 맞춤형 지원사업 사업목적 지원대상 예비고성장 : 창업 3~7년 미만 기업 고성장 : 최근 3년간 종사자 10인 이상이고 연매출 증가율 또는 고용성장률이 20% 이상 기업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한 스타트업을 우대함 지원내용 사업 특징 연령, 성별, 지역, 매출액 제한 없음 SW 또는 IOT 기업은 추가로 신청해서 자금을 조달함 고성장PD의 맞춤형 멘토링을 통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음 SW고성장 200 예비고성장 사업화자금 최대 1억원 고성장 사업화자금 최대 3억원 글로벌 성장 프로그램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선발하여 해외 진출 스케일업 프로그램 등 성장 인센티브 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투자 유치 연계 지원
  • 16.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타 제조혁신바우처 수출바우처 지원사업 데이터바우처 (지역)테크노파크 지원사업
  • 17.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기반지원자금 스타트업은 자금, 인력, 마케팅 등 경영상 많은 애로사항을 가지고 있음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정책자금 융자 상품 중 창업기반지원자금은 스타트업의 첫 번째 사업화 자금으로 활용 창업기반지원자금(일반), 창업기반지원자금(청년)으로 구분됨 구분 용도 세부내용 시설 설비 구입 생산, 정보화 촉진, 유통·물류, 생산환경 개선 등에 필요한 기계장비의 구입에 필요한 자금 사업장 건축 자가 사업장 확보를 위한 토지 구입비 및 건축 자금 * 범위 : 사업장(공장) 內의 기숙사 등 복리후생 관련 복지시설 포함 ** 토지구입비는 건축허가가 확정된 사업용 부지 및 산업단지 등 계획입지의 입주계약자 중 6개월 이내 건축착공이 가능한 경우에 한 함 사업장 매입 자가 사업장 확보를 위한 사업장 매입 자금(경·공매 포함) * 자가 사업장 확보 자금은 기업당 3년 이내 1회로 지원 한정 운전 기업 경영활동 원부자재 구입, 제품의 생산, 시장 개척, 기술 개발, 인건비, 임차보증금 등 기업 경영 활동에 소요되는 자금 약속어음 감축 약속어음 폐지‧감축을 위해 대금 지급방식을 현금지급 방식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비용
  • 18.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융자조건 구분 융자 조건 대출한도 연간 60억원 이내 (운전자금은 연간 5억원 이내) 대출기간 (시설자금) 10년 이내 (거치기간 담보 4년 이내) (운전자금) 5년 이내(거치기간 2년 이내) 대출금리 정책자금 기준금리(변동) – 0.3%P 대출방식 직접대출, 대리대출 구분 융자 조건 대출한도 연간 1억원 이내 (제조업 및 지역특화주력산업은 2억원 이내) 대출기간 (시설자금) 10년 이내 (거치기간 담보 4년 이내) (운전자금) 6년 이내(거치기간 2년 이내) 대출금리 2.5% (고정) 대출방식 직접대출 창업기반지원자금(일반) 청년전용창업자금
  • 19.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융자절차 온라인 상담예약 상담예약 -> 자가진단 상담 대면 or 비대면 정책우선도 평가 신청가능여부 결정 온라인 융자신청 신청서 제출 사후관리 자금사용 용도 점검 대출 직접대출, 대리대출 융자결정 지원가능여부 및 지원금액 결정 기업심사 현장방문 or 비대면
  • 20.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보증 업무 외에 벤처기업 인증, 이노비즈 인증, 특허 가치 평가 등의 주요업무를 맡고 있음 연대보증이 폐지되어 스타트업 대표는 실패 후 상환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음 자금종류 내용 맞춤형 창업성장 분야 우대보증 창업 후 7년 이내 기업으로 맞춤형 창업성장분야 해당기업 지식문화창업, 이공계챌린지 창업, 기술경력 뿌리창업, 첨단 성장연계 창업 창업 후 3년 이내 : 1.0% 고정보증료율 청년창업기업 우대 프로그램 창업 후 5년 이내로 , 경영주가 17~39세 이하인 기술창업기업 보증금액 3억원 이내 보증료 : 연 0.3% 고정요율 적용 보증신청 (방문 및 온라인) 상담 접수/조사 자료 수집 기술평가/ 조사 심사∙승인 보증서 발급
  • 21.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신용보증기금 스타트업의 성장단계별 금융 비금융 서비스를 융합하여 지원함으로써 혁신적 도전적 기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 성장단계 지원프로그램 업력 최대한도 보증한도 지원방식 연구개발단계 스텝업 준비기업 보증 창업 5년 이하 10억한도 연구개발 소요자 금 개별거리 또는 한도거래(2년) 초기사업화 단계 스텝업 도전기업 보증 창업 5년 이하 20억한도 3차년도 추정매출액의 1/2 3년간 Credit Line설정 → 경영목표 달성 여부에 따 라 연차별 단계적 지원 본격성장 단계 퍼스트펭귄 보증* 창업 7년 이하 30억한도 도약 단계 Pre-ICON 보증 창업 2년초과 10년 이하 50억한도 보증료율(0.5%또는 0.7% 고정), 보증비율(90%이상) 등 우대 지원
  • 22.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상환의무가 없는 정책자금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자금은 크게 융자와 출연으로 구분됨. 융자는 상환 의무가 있는 자금조달 방법으로 낮은 금리의 유리한 상환 조건을 가지고 있음. 지원은 상환의무가 없는 정책자금으로 일정 비율의 자기부담금(10~30%)만으로 필요 자금을 조달 할 수 있음 스타트업이 시제품 개발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계획하고 있다면 당연히 상환 의무가 없는 융자 방식이 1순위 정책자금 융자 출연 투자 중진공, 기보, 신보… R&D, 마케팅, 수출, 인증… 매칭펀드, 크라우드펀딩, VC…
  • 23.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스타트업 성장의 밑거름 스타트업이 자금 조달에 실패하여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는 경우에 70%에 달하고 있음. 죽음의 계곡을 넘기기 위해 R&D 지원사업 참여를 필수불가결. R&D 지원사업에 성공적으로 참여한다면 VC로부터 투자유치 확률도 증가함 준 비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The Chasm The Mainstream Market The Early Market 시제품 개발 정책자금 정책자금 정책자금 정책자금 투자유치 투자유치 투자유치
  • 24.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스타트업 R&D 필요성 R&D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에 필요한 선행 연구 조사, 연구개발 사업계획서, 정량적 목표 설정,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축, 연구노트 작성, 연구소 관리, 연구비 관리, 특허 출원 등 R&D 지원사업은 많은 행정적인 절차가 수반됨. R&D 지원사업 참여를 통해 기업 내부 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기업의 체계 를 갖춰나감
  • 25.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사업목적 : 기술창업아이템의 시장성 · 기술성 및 사업성 검증이 필요한 기술창업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조기 성장 촉진 기관추천 세부공고에서 정하는 연계유형별 추천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사회문제해결형 창업기업 R&D지원 분야에 지정된 사회문제해결분야에 해당하는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창업기업 첫걸음과제 (자유공모)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으로 중기부 R&D가 처음인 창업기업 우선지원을 통해 성장 촉 진 (창경추천) 16개 시도 창조경제혁신센터로부터 추천받은 창업기업
  • 26.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지원대상 : 창업 7년 이하이고, 직전년도 매출액 20억 원 미만인 기업 정부출연금 : 총 사업비의 80% 이내에서 최대 1년, 1.2억 원 이내 지원 민감부담금 : 총 사업비의 20% 이상을 부담 (단위 : 억원, 개) 구 분 일정 및 지원규모 계 1차(상반기) 2차(하반기) 내역사업 세부과제 신청 ·접수 과제수 (예산) 신청 ·접수 과제수 (예산) 디딤돌 지역 창업 허브 연계 1월 500개 내외 3월 250개 내외 750개 내외 (600억원) (150억원) (750억원)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연계 - - 3월 10개 내외 10개 내외 (6억원) (6억원) 여성참여활성화 (W Start-up) - - 3월 50개 내외 50개 내외 (30억원) (30억원) 서비스 R&D - - 3월 60개 내외 60개 내외 (36억원) (36억원) R&D 기획지원 연계 - - 3월 30개 내외 30개 내외 (18억원) (18억원) 합계 500개 - 530개 1,030개 (600억원) (338억원) (938억원)
  • 27.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사업공고 중소벤처기업부 신청 접수 주관기관 서면평가 전문기관 대면평가 전문기관 현장조사 전문기관 최종평가, 사후관리 전문기관 과제관리, 최종점검 전문기관 협약 자금지원 주관/전문기관 선정결과 통보 전문기관 선정결과 보고 전문기관 (주관기관) 과제신청기업,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28.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사업목적 : 엑셀러레이터 등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창업팀을 선별하고 민간투자와 정부자금을 매칭 지원하여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 활성 화 도모 세부사업명 지원 대상 지원규모 지원기간 지원한도 기업부담금 신청접수 평가선정 팁스 (TIPS) 창업성장기술개발 (TIPS과제/R&D) 팁스 운영사로부터 투자 및 추천을 받은 업력 7년 미만의 (예비) 창업팀 4,000억원 2년 최대5억원 총사업비의 20%이상 수시 수시
  • 29.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신청 접수 창업팀 → 운영사 투자심사 운영사 창업팀 추천 운영사 → 관리기관 사전검토 전문/관리, 전담기관 사업수행 운영사/창업팀 연계지원 관리/전담기관 R&D선정/협약 전문/관리, 전담기관 서면/대면평가 전문/관리, 전담기관 (관리기관) 한국엔젤투자협회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전담기관)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 30.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졸업제 적용 중소기업이 당해연도 주관기관으로 신규과제 신청 및 수행가능한 과제 수는 최대 2개로 한정함 동일내역사업 내에서 동일차수에 1개 세부과제만 신청 가능 졸업제 대상사업 :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수행 중인 과제 수 졸업제 적용 사업 졸업제 미적용 사업 2개 신청불가 신청불가 졸업제 적용 사업 1개 신청불가 1개 가능 졸업제 미적용 사업 1개 1개 가능 1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미선정 시) 0개 1개 가능 2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미선정 시), 1개 가능(졸업제 적용사업 선정 시)
  • 31.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R&D 신청 순서 졸업제 대상사업을 수행한 주관기관은 혁신역량 단계에 따른 내역사업기준표의 상위단계 내역사업을 수행한 경우, 하위단계 내역사업은 다시 수행할 수 없음 세부사업명 창업성장기술개발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혁신역량 단계 초기 도약 성숙 초기 도약 성숙 내역사업 명 디딤돌 전략형 TIPS 시장대응 형 시장확대 형 수출지향 형 O O O O O O X X X X X X
  • 32.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인증취득 스타트업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인증에는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 이노비즈, 메인비즈가 있음 특허 개수가 많거나 국내 유일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면 위의 인증이 없어도 기술력을 높이 평가 받을 수 있음. 하지만, 정부지원사업 에는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기업만 신청하거나 벤처기업만 신청할 수 있는 사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건이 된다면 무조건 취득하는 것 이 좋음
  • 33.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획 고려사항 R&D의 사업화 성공에 있어서, 기술 비중은 1/3 ~ 1/4로 보는 것이 업계 관행 R&D 분야 발굴은 체계적인 사업성 발굴 및 평가 프로세스의 확립 필요 Profitability Test 사업화 성공시 수익성은 충분한가? Payback Period는 원내 규정에 적합한가? Market Test 시장이 존재하는가? 시장의 성장성은 어떠한가? 고객의 구매가치가 존재하는가? Technology Test 기술의 완성도는 어떠한가? 기술적 구현에 어려움은 없는가? 경쟁기술에 비하여 얼마나 성능면에서 우수한가? 특허권확보/타사특허침해가능성/특허치해여부 판정용이성은? Commercial Test Value Chain상의 신사업개발이 용이한가? 정부규제, 관습 등 사업화 장벽은 존재하지 않는가?
  • 34.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기술자료 조사 연구과제 선정을 위해서는 기술트렌드, 기술동향, 글로벌 경쟁기업의 기술개발 현황 등 개발하고자 하는 분야의 기술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 실현가능성 및 향후 사업성, 산업의 파급성 등을 고려해서 적절한 사업아이템을 발굴하는 것이 R&D 지원사업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소기업기술로드맵은 선행기술 조사 시 필요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http://smroadmap.smtech.go.kr/
  • 35.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연구과제 중복성 검토 과제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선행 특허 및 선행 연구 과제 조사 과제가 중복되었다고 판명되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탈락하게 됨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www.ntis.go.kr)에서 중복성 검토를 실시함 기본정보 연구과제명, 과제공개여부, 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 요약정보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 키워드 한글키워드, 영문키워드 대상 내용을 상세히 기입하면 중복성 검토 가능 <대상과제 등록>
  • 36. 정부지원사업 융자 R&D지원사업 연구개발체계 구축 ◾ R&D를 처음 참여하는 스타트업은 기업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이 부족하기 마련. R&D 지원사업의 실현 가능성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체계구축이 반드시 필요함 ◾ 전체 연구개발 업무에서 주관기관은 60% 이상, 참여기관은 40% 이하를 유지하면 서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스타트업이 단독으로 참여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 음 ◾ 기술개발 내용, 정량적 목표 설정 등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 는 기관을 사전에 섭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