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애자일,
그리고 퍼스널 애자일
Agenda
1.What is 애자일?
2.How? 애자일?
3.How? 퍼스널 애자일?
2. 퍼스널 애자일의 시간 관리
2 of 137
1. What is 『애자일』?
3
엘리베이터 없는 47층 건물
 스페인, 엘리베이터 없는 47층 건물
(인템포, 2013)
토목, 건축
→ Project Management
소프트웨어
→ 전통적 PM 기법 (X)
→ Agile 방법론 탄생
4 of 137
우리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또한 다른 사람의 개발을 도와주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더 나은 방법들을 찾아나가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치를 추구한다:
 프로세스나 도구보다는, 개인과 상호 작용을
 문서보다는, 실제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 계약에 대한 협상보다는, 고객과의 협력을
 계획을 고수하기 보다는, 변화에 대응을
더욱 가치 있게 여긴다.
이 말은, 전자도 가치가 있긴 하지만,
우리는 후자 쪽에 더 많은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2001년 1월
애자일 선언문
5 of 137
기존(폭포수) 방식 vs. 애자일 방식
6 of 137
이터레이션(iteration)
이터레이션(iteration)
: 반복되는 업무 수행 마디 단위, 주기
- 스크럼 방법론에서는
‘스프린트(sprint)’라고 칭함
 이터레이션 Review를 통해,
다음 이터레이션 계획 조정
(Adapting/Pivoting)
7 of 137
폭포수 방식의 분할 정복(Divide & Conquer)
8 of 137
애자일 방식의 점진적 개선(Incremental Improvement)
9 of 137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이터레이션)
10 of 137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폭포수] 세밀하고 확정적인 “장기 계획"
장기 계획을 기준으로, 구간 계획 일괄 종합 수립
당장 해야 할 단기 계획만 수립/실행 후 순차적 변경 수립
구간 계획
[애자일] 개략적이고 가변적인 “장기 계획” (방향성[의도]만 명확화)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11 of 137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12 of 137
Speed(속도) Agility(민첩성)
vs.
빠름 vs. 민첩함
13 of 137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내/외부 역량을 지속적으
로 통합하고 구축하고 재구성하는 조직의 역량으로,
• 변화 감지(sensing),
• 기회 포착(seizing),
• 변화 대응(transforming)
의 과정을 담고 있다(Teece, 2007).
애자일 vs. 동적역량(Dynamic Capability)
14 of 137
[출처] 컨그루언트애자일 CASE워크샵
15 of 137
Dynamic
Capability
Sensing
(변화 감지)
Seizing
(기회 포착)
Transforming
(변화 대응)
Agile
Capability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Shared Meta-Cognition
& Self-Organizing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Software
Development
Method
Scrum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 백로그(Backlog)
- 스프린트 계획 회의
(Sprint Planning Meeting)
- 일일 스크럼 회의
(Daily Scrum Meeting)
- 시각화(Visualization)
- 스프린트 개발 주기(Sprint)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 스프린트 회고
(Sprint Retrospective)
XP
- 지속적 테스트
(Continuous Tests)
- 고객 참여(On-site Customer)
-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 계획 게임(Planning Game)
-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 코드 공동 소유
(Collective Code Ownership)
- 코딩 표준(Coding Standards)
- 은유(Metaphor)
- 작은 배포(Small Release)
- 리팩토링(Refactoring)
-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 짧은 반복 개발주기(Iteration)
Biz Model
Development
Method
Design
Thinking
- 공감(Empathize)
- 테스트(Test)
- 문제 정의하기(Define)
- 아이디어 도출(Ideation)
-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Lean Startup - 측정(Measure) - 만들기(Build) - 학습(Learn)
애자일의 공통 핵심 요소 분석
16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Shared Meta-
Cognition &
Self-Organiz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Agile
Sensing
Transforming
Seizing
애자일 밈의 i-요소(지침)
*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등에 대해 인지하는 것을
‘메타인지'라고 하는데, 이를 집단 전체 구성원 모두가 유사한 수
준으로 공유하는 것
17 of 137
찐 애자일 조직은?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지만,
애자일하지 않은 조직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지만,
애자일한 조직
18 of 137
특정 애자일 방법론(m-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더라도,
아래의 3가지 애자일 지침(i-요소)을 잘 실천하고 있다면,
애자일 조직이라 할 수 있음
1.(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2.(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3.(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애자일 조직의 조작적 정의
19 of 137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Shared Meta-
Cognition &
Self-Organiz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Agile
Sensing
Transforming
Seizing
애자일 밈의 i-요소(지침)
*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등에 대해 인지하는 것을
‘메타인지'라고 하는데, 이를 집단 전체 구성원 모두가 유사한 수
준으로 공유하는 것
20 of 137
찐 애자일 조직은?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지만,
애자일하지 않은 조직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지만,
애자일한 조직
21 of 137
특정 애자일 방법론(m-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더라도,
아래의 3가지 애자일 지침(i-요소)을 잘 실천하고 있다면,
애자일 조직이라 할 수 있음
1.(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2.(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3.(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애자일 조직의 조작적 정의
22 of 137
[Summary#1] What is 애자일?
1. 애자일은, 일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가 아닌,
제대로(가치 창출) 하기 위해서!
2.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 (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 (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 (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23 of 137
2. How? 『애자일』?
24
[출처] 컨그루언트애자일 CASE워크샵
25 of 137
https://digital.ai/resource-center/analyst-reports/state-of-agile-report
현업에서의 애자일 방법론 점유율
https://digital.ai/resource-center/analyst-reports/state-of-agile-report
출처: 15th(2021) Annual State Of Agile Report
26 of 137
스크럼 프로세스
27 of 137
스크럼 프레임워크
28 of 137
. 전체 해야할 일 목록(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29 of 137
. 전체 해야할 일 목록(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30 of 137
①. 스프린트 플래닝/백로그 수립
31 of 137
①. 스프린트 플래닝/백로그 수립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이번 스프린트에 우선 해야할 일>
스프린트
플래닝
32 of 137
WTSTTCPW부터 파악하기
What’s The Simplest Thing
That Could Possibly Work?
33 of 137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34 of 137
②③. 스프린트 실행 & 데일리 스크럼
35 of 137
②③. 스프린트 실행 & 데일리 스크럼
1.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2. 어제 다 못 끝낸 일은 무엇인지?
3.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무엇인지? 등 참고
36 of 137
④ 성과(Performance) 리뷰
37 of 137
④ 성과(Performance) 리뷰
1.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은 얼마나 완료하였는지?
2.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은 우선순위가 높은 일인지?
3.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의 질(Quality)은 우수한지? 등
38 of 137
문제 해결 Type A activity : Business as Usual.
개선
Type B activity : Improving how we do that.
개선의 개선 Type C activity : Improving how we improve.
ABC 모델 by Douglas Engelbart
• 『퍼포먼스(결과)의 개선』: Reviews
 “고객의 피드백 청취 및 반영”
• 『프로세스(과정)의 개선』: Retrospectives
 “메타인지 확장 및 외부 자원 활용”
 “WTSTTCPW & 이터레이션/점진적 개선”
39 of 137
⑤ 일하는 방식(Process) 회고
40 of 137
⑤ 일하는 방식(Process) 회고
1.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좋은 점은 무엇인지?
2.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3. 새롭게 시도해 보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지? 등
41 of 137
많이 사용하는 애자일 실천 기법(practices) 순위
[출처] 2021, https://stateofagile.com/
42 of 137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자일 실천법 Top 6
[출처] 2021, https://stateofagile.com/
1
Daily Standup
87%
2
Retrospectives
83%
3
Iteration Planning
83%
4
Iteration Reviews
81%
5
Short Iterations
63%
6
Kanban Board
61%
43 of 137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칸반 보드
44 of 137
45 of 137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업무의 흐름(Flow)
46 of 137
Ready Doing (3) Done
WIP Limit
Pulling
: 멀티태스킹의 제약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업무의 흐름(flow)
47 of 137
열심히 보다는, 잘! (쓰루풋: Throughput)
처리
얼마나 많이(양),
얼마나 빨리(속도)
실제 가치를 창출하는가(효과성)?
쓰루풋
(Throughput)
실제 가치창출
얼마나 많은 일(양)을
처리할 수 있는가? (생산성, 효율성)
수용량
(Capacity)
많은 일을 벌리는 것보다는,
일단 시작한 일을 완결하는 것에 집중
하다 말은 일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48 of 137
칸반의 원리
• 머릿속 생각으로서의 일을 눈에 보이게 시각화한다. (칸반 보드)
• 일을 ‘흐름(flow)’으로 다루고, 이 흐름을 개선한다.
• 흐름의 개선을 위해, 인간의 한계(병목)를 보호한다. (WIP 제한)
• 병목의 보호를 위해, 준비가 되었을 때만 일을 당긴다. (Pulling)
• 일을 당길 때는, 중요한 일을 골라 선택과 집중한다. (우선순위 의사결정)
• 일단 시작한 일부터 끝낸다. (쓰루풋 중시)
• 성찰과 회고를 통해 흐름을 끊임없이 개선한다. (POOGI*)
* Process Of On-Going Improvement: 지속적 개선
49 of 137
시간 상에 따른 주요 애자일 실천방법
1 week
1 day
Daily Standup
Retrospectives
Iteration Reviews
Iteration Planning
50 of 137
[Summary#2] How? 애자일?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WTSTTCPW)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성과 리뷰
[5] 프로세스 회고
[6] 칸반 보드
51 of 137
3. How? 『퍼스널 애자일』?
52
‘애자일’은 한 때 유행에 불과할까요?
53 of 137
“변화가 일상이 되어버린
VUCA*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하기”
 ‘생존’을 위한 필수 역량
*Volatility(변동성), Uncertainty(불확실성), Complexity(복잡성), Ambiguity(모호성)
Why, 애자일?
54 of 137
조직 조직 차원의 Structure, Infrastructure, Rule & Policy 혁신
- 스포티파이(Spotify)社 애자일 혁신 모델
- SAFe, LeSS (Large Scale Agile)
팀 팀 차원의 일하는 방식(Methodology) 혁신
- SW 개발 분야: SCRUM, XP, Kanban 등
개인
개인 차원
- Only Mindset?
- 非 SW 개발 분야: SCRUM, Kanban 외
디자인씽킹, 구글SPRINT, 린스타트업 등
애자일 방법론의 발전과 확산
55 of 137
개인이 애자일 해야, 조직이 애자일 할 수 있다.
조직은 학습하는 개인을 통해서만
학습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이 조직의 학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학습하지
않으면 조직의 학습도 일어나지 않는다.
- 피터 센거의 <학습하는 조직>
8장 『개인적 숙련』 첫 구절
56 of 137
이 책을 번역하고 소개하게 된 이유
조직은 agile한 개인을 통해서만
agile할 수 있다.
개인의 agility가 조직의 agility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agile하지
않으면 조직의 agility도 일어나지 않는다.
 “퍼스널 애자일”에 주목
57 of 137
“변화가 일상이 되어버린
VUCA*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하기”
 개인에게도 ‘애자일 역량’은 필요
*Volatility(변동성), Uncertainty(불확실성), Complexity(복잡성), Ambiguity(모호성)
Why, 퍼스널 애자일?
58 of 137
퍼스널 애자일 역량을 키우려면
뭘 해야 하는 거지?
개인 차원에서의 애자일 역량 키우기
59 of 137
스크럼 프레임워크
60 of 137
. 년간 목표(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61 of 137
[개인과제] 년간 할 일 목록을 작성해 봅시다.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62 of 137
Mission
업무
ERRC 등
자기계발
학습/운동 등
개인
가정/재정 등
‘Mindmap’과 같은 툴로 Backlog 목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
Backlog 목록의 관리
63 of 137
①. 주간 계획(스프린트 플래닝) 수립
64 of 137
[개인과제] 이번 주에 당장 할 일 목록을 추려봅시다.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이번 스프린트에 우선 해야할 일>
스프린트
플래닝
65 of 137
대기 진행중(3) 완료
칸반 보드
66 of 137
WTSTTCPW부터 파악하기
What’s The Simplest Thing
That Could Possibly Work?
67 of 137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68 of 137
 실행(데일리 스크럼 & 스프린트)
69 of 137
[개인과제] ‘오늘’ 꼭 해야 할 일 목록을 추려봅시다.
1.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2. 어제 다 못 끝낸 일은 무엇인지?
3.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무엇인지? 등 참고
70 of 137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칸반 보드
71 of 137
 성과 리뷰
72 of 137
[개인과제]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의 결과를 점검해봅니다.
1.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은 얼마나 완료하였는지?
2.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은 우선순위가 높은 일인지?
3.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의 질(Quality)은 우수한지? 등
73 of 137
 일하는 방식 회고
74 of 137
[개인과제] 나의 일하는 방식을 성찰해 봅니다.
1.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좋은 점은 무엇인지?
2.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3. 새롭게 시도해 보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지? 등
75 of 137
[Summary#3] How? 퍼스널 애자일?
1. 빠른 변화 속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역량은,
비단 조직뿐만이 아니라 개인에게도 필요
2. WTSTTCPW & 퍼스널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1. 메타인지의 확장과 외부 자원의 활용
2. 핵심사항을 중심으로 한,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3. 고객 중심 테스트와 피드백을 수시로 반영하여 조정
3. 퍼스널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리뷰, [5] 회고, [6] 칸반 보드
76 of 137
4. 『퍼스널 애자일』의
시간 관리
77
퍼스널 애자일, 퍼스널 칸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옮긴이의 글. 활사개공, 개인이 애자일해야
조직이 애자일해진다.
1장. 퍼스널 칸반 기본 다지기
2장. 첫 번째 퍼스널 칸반 만들기
3장. 교통 관리와 같은 시간 관리
4장. 흐름 관리: 자연의 모든 것은 흐른다.
5장. 충만한 삶의 요소들
6장. 우선순위 관리
7장. 지속적인 개선
8장. 엔드 게임
부록 <A. 퍼스널 칸반의 프레임 응용 변형 사례>
78 of 137
퍼스널 애자일을 ‘일’에서 ‘삶’으로 확장하기
퍼스널 애자일의 궁극적 목적은,
‘Well Working’ 하기가 아니고
‘Well Living‘ 하기
79 of 137
가장 큰 자원, 시간!
80 of 137
크로노스 vs. 카이로스의 시간
• 정량적(일정 속도), 산술적
• 순차적(단방향: 과거->현재->미래)
• 분절적(discrete), 독립적
'연대기(chronicle)', '연대학(chronology)' 등
정량적/산술적 시간의 단어들이 유래
• '새긴다'라는 어원에서 유래
• 체험적, 주관적, 질적
• 흐름적, 지속적
개인의 주관적인 의미를 삶에 '새기는' 경험으로,
이와 관련한 '감각'과 '운동(추동)'을 농밀하게 하고
이 흐름을 보다 '지속'하는 질적 몰입을 의미
크로노스 카이로스
81 of 137
크로노스적 시간 관념에 익숙해진 우리
'시계'에 의존하게 되면서, 시간을
'카이로스'가 아닌 '크로노스'의 개념으로
바라보는게 익숙해졌다.
시계는 원형의 공간 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바늘이 움직이는 '공간'적 도구이다.
이렇게 '공간화된 시간'은,
정량적이고 산술적이며,
독립적이고 분절적(discrete)으로 존재한다.
82 of 137
욕심쟁이 우후훗! (복합유연성) by 사회심리학자 허태균 교수
어쩌다 어른 中
83 of 137
짬짜면을 시키면,
짜장과 짬뽕의 온전한 맛을
모두 만끽할 수 있을 거라는 착각!
욕심쟁이 우후훗!
 짜장면을 시키고,
짬뽕을 아쉬워 하지 않는 여유와
손에 든 짜장면을 만끽할 수 있는 몰입
(짬뽕은 다음에 또 정성스럽게 먹어주면 되지!)
84 of 137
한국인의 복합유연성
경제 발전 민주화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할 때,
갈아 넣기 신공으로 달성!
85 of 137
복합유연성의 성공 경험은 축복일까?
86 of 137
충만한 삶을 위한 앙리 베르그송의 제안
삶을 충만하게 살기 위해서는 ‘크로노스적‘ 시간보다
‘카이로스’적 시간에 주목해야 한다.
즉, 동일한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일들을 처리했는가 보다는
얼마나 농밀하게 시간을 경험하는가가 훨씬 중요하다.
카이로스적 흐름의 ‘현재’는
언제나 ‘근접 과거’와 ‘근접 미래’를 포함하는 일정한 지속을 의미한다.
한편, ‘근접 과거’의 의식은 방금 느낀 ‘감각’이며,
‘근접 미래’의 의식은 취할 ‘행동’에 대한 ‘정향(orientation)’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현재는 감각인 동시에 운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시간을 농밀하게 경험한다는 것은,
주관적 의미를 자신의 삶에 '새기는' 경험으로,
그 경험의 '감각'과 '운동(추동)'을 농밀하게 하고
이러한 흐름을 보다 '지속'하는 질적 몰입을 의미한다.
87 of 137
‘안도 다다오’의 건축물하면 떠오르는 것은?
88 of 137
건축물에 카이로스적 시퀀스를 담다.
교토
오사카
‘물의 절’
효고현
아와지시
효고
부산
히로시마
후쿠오카
대마도
89 of 137
건축물에 카이로스적 시퀀스를 담다.
90 of 137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퍼스널 칸반 속 ‘카이로스’
91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2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3 of 137
시간 관리에 대한 오만과 편견
시간은 관리의 대상이 아니다.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주어진 시간에
무엇을 할 것인가의 선택 뿐이다.
94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해, 언제 무엇을 할 것인가?
큰 돌 ●
작은 돌 ●
● 할 일(To-do lists)
● 약속(schedule)
95 of 137
Microsoft사의 회의 일정 Setting 방식
96 of 137
집중이 잘되는 시간에, 중요한 일을 배정하기
97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8 of 137
카이로스를 위한 슬랙 확보하기
교통 흐름(flow)을 이루는 것은?
1) 자동차
2) 자동차 사이의 공간(슬랙)
: 슬랙이 전혀 없다면, 도로는 ‘주차장’이 됨
 슬랙(slack): 업무의 흐름(flow)을
원활하게 만드는, 업무와 업무 사이에
존재하는 여백
99 of 137
자원의 과부하에 따른 쓰루풋 저하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쓰루풋
(Throughput)
부하율
(%)
수용량 (Capacity)
100 of 137
성찰과 회고를 통한 일하는 방식 개선 시간의 확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쓰루풋
(Throughput)
부하율
(%)
수용량 (Capacity)
Work Diet
기존 업무 수행의 효율화
(100%  65~70%)
A type
계획 &
성찰/회고
(10%)
B/C type
Slack
버퍼및충전
(20%)
Slack
101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102 of 137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해 해야할 연습
• 우선순위(선택) 결정의 연습!
• 포기한 것에 미련을 두지 않는 여유의 연습!
• 선택한 것에 몰입(집중)하는 연습!
103 of 137
[Summary#4] 퍼스널 애자일과 시간 관리
1. 퍼스널 애자일의 범위를 업무로 한정하지 말고,
삶 전체로 확장하여 활용하기
2. 충만한 삶을 위해, ‘크로노스’의 시간보다
‘카이로스’의 시간 늘리기
3. ‘카이로스’의 시간을 늘리기 위한 Tips
[Tip#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배정 고민하기
[Tip#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7:2:1)
[Tip#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104 of 137
전체 Summary
1.What is 애자일?
2.How? 애자일?
3.How? 퍼스널 애자일?
4. 퍼스널 애자일의 시간 관리
105 of 137
[Summary#1] What is 애자일?
1. 애자일은, 일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가 아닌,
제대로(가치 창출) 하기 위해서!
2.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 (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 (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 (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106 of 137
[Summary#2] How? 애자일?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WTSTTCPW)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성과 리뷰
[5] 프로세스 회고
[6] 칸반 보드
107 of 137
1. 빠른 변화 속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역량은,
비단 조직뿐만이 아니라 개인에게도 필요
2. WTSTTCPW & 퍼스널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1. 메타인지의 확장과 외부 자원의 활용
2. 핵심사항을 중심으로 한,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3. 고객 중심 테스트와 피드백을 수시로 반영하여 조정
3. 퍼스널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리뷰, [5] 회고, [6] 칸반 보드
[Summary#3] How? 퍼스널 애자일?
108 of 137
1. 퍼스널 애자일의 범위를 업무로 한정하지 말고,
삶 전체로 확장하여 활용하기
2. 충만한 삶을 위해, ‘크로노스’의 시간보다
‘카이로스’의 시간 늘리기
3. ‘카이로스’의 시간을 늘리기 위한 Tips
[Tip#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배정 고민하기
[Tip#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7:2:1)
[Tip#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Summary#4] 퍼스널 애자일과 시간 관리
109 of 137
여러분의 ‘애자일의 여정’과 ‘Well Living’을 응원합니다!
poohv21@nate.com
:
110 of 137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애자일, 그리고 퍼스널 애자일

애자일의 모든것
애자일의 모든것애자일의 모든것
애자일의 모든것
KH Park (박경훈)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대박성진 DaeBak.Sungjin
 
퍼스널 애자일과 TOC
퍼스널 애자일과 TOC퍼스널 애자일과 TOC
퍼스널 애자일과 TOC
대박성진 DaeBak.Sungjin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영기 김
 
애자일 안한 이야기
애자일 안한 이야기애자일 안한 이야기
애자일 안한 이야기
Sungchul Park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AgileKoreaConference Alliance
 
애자일 S/W 개발
애자일 S/W 개발애자일 S/W 개발
애자일 S/W 개발영기 김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Kook Maeng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정 희찬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종범 고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영기 김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Kay Kim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agilekorea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Jaehoon Oh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humana12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gileKoreaConference Alliance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Kay Kim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Unyong (Sheldon) Choi
 
스크럼 101
스크럼 101스크럼 101
스크럼 101
Daniel Lim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Kiwon Kyung
 

Similar to 애자일, 그리고 퍼스널 애자일 (20)

애자일의 모든것
애자일의 모든것애자일의 모든것
애자일의 모든것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퍼스널 애자일로 개인의 Agility 향상시키기 (Personal Agile & TOC)
 
퍼스널 애자일과 TOC
퍼스널 애자일과 TOC퍼스널 애자일과 TOC
퍼스널 애자일과 TOC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린 소프트웨어 개발(Lean software development)
 
애자일 안한 이야기
애자일 안한 이야기애자일 안한 이야기
애자일 안한 이야기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AKC2021] 애자일 안한 이야기 (박성철)
 
애자일 S/W 개발
애자일 S/W 개발애자일 S/W 개발
애자일 S/W 개발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Scrum - Agile Development Process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Itsm팀 내부세미나 익스트림프로그래밍_정희찬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성공하는 애자일을 위한 짧은 이야기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애자일 게임 개발이란?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애자일 도입과 사례 공유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를 이용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20141215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8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KC2021] 힐링페이퍼의 애자일 전환(고찬혁 / 김종우)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Agile의 의미와 Agile 계획 수립(Gdc2007)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0. review. 린과 애자일 개발
 
스크럼 101
스크럼 101스크럼 101
스크럼 101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
Si 프로젝트에서 바라보는...traditional vs agile
 

애자일, 그리고 퍼스널 애자일

  • 2. Agenda 1.What is 애자일? 2.How? 애자일? 3.How? 퍼스널 애자일? 2. 퍼스널 애자일의 시간 관리 2 of 137
  • 3. 1. What is 『애자일』? 3
  • 4. 엘리베이터 없는 47층 건물  스페인, 엘리베이터 없는 47층 건물 (인템포, 2013) 토목, 건축 → Project Management 소프트웨어 → 전통적 PM 기법 (X) → Agile 방법론 탄생 4 of 137
  • 5. 우리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또한 다른 사람의 개발을 도와주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더 나은 방법들을 찾아나가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치를 추구한다:  프로세스나 도구보다는, 개인과 상호 작용을  문서보다는, 실제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 계약에 대한 협상보다는, 고객과의 협력을  계획을 고수하기 보다는, 변화에 대응을 더욱 가치 있게 여긴다. 이 말은, 전자도 가치가 있긴 하지만, 우리는 후자 쪽에 더 많은 가치를 둔다는 것이다. 2001년 1월 애자일 선언문 5 of 137
  • 6. 기존(폭포수) 방식 vs. 애자일 방식 6 of 137
  • 7. 이터레이션(iteration) 이터레이션(iteration) : 반복되는 업무 수행 마디 단위, 주기 - 스크럼 방법론에서는 ‘스프린트(sprint)’라고 칭함  이터레이션 Review를 통해, 다음 이터레이션 계획 조정 (Adapting/Pivoting) 7 of 137
  • 8. 폭포수 방식의 분할 정복(Divide & Conquer) 8 of 137
  • 9. 애자일 방식의 점진적 개선(Incremental Improvement) 9 of 137
  • 10.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이터레이션) 10 of 137
  • 11.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폭포수] 세밀하고 확정적인 “장기 계획" 장기 계획을 기준으로, 구간 계획 일괄 종합 수립 당장 해야 할 단기 계획만 수립/실행 후 순차적 변경 수립 구간 계획 [애자일] 개략적이고 가변적인 “장기 계획” (방향성[의도]만 명확화)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구간 계획 11 of 137
  • 12.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12 of 137
  • 14.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내/외부 역량을 지속적으 로 통합하고 구축하고 재구성하는 조직의 역량으로, • 변화 감지(sensing), • 기회 포착(seizing), • 변화 대응(transforming) 의 과정을 담고 있다(Teece, 2007). 애자일 vs. 동적역량(Dynamic Capability) 14 of 137
  • 16. Dynamic Capability Sensing (변화 감지) Seizing (기회 포착) Transforming (변화 대응) Agile Capability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Shared Meta-Cognition & Self-Organizing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Software Development Method Scrum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 백로그(Backlog) - 스프린트 계획 회의 (Sprint Planning Meeting) - 일일 스크럼 회의 (Daily Scrum Meeting) - 시각화(Visualization) - 스프린트 개발 주기(Sprint)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 스프린트 회고 (Sprint Retrospective) XP - 지속적 테스트 (Continuous Tests) - 고객 참여(On-site Customer) -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 계획 게임(Planning Game) -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 코드 공동 소유 (Collective Code Ownership) - 코딩 표준(Coding Standards) - 은유(Metaphor) - 작은 배포(Small Release) - 리팩토링(Refactoring) -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 짧은 반복 개발주기(Iteration) Biz Model Development Method Design Thinking - 공감(Empathize) - 테스트(Test) - 문제 정의하기(Define) - 아이디어 도출(Ideation) -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Lean Startup - 측정(Measure) - 만들기(Build) - 학습(Learn) 애자일의 공통 핵심 요소 분석 16
  • 17.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Shared Meta- Cognition & Self-Organiz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Agile Sensing Transforming Seizing 애자일 밈의 i-요소(지침) *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등에 대해 인지하는 것을 ‘메타인지'라고 하는데, 이를 집단 전체 구성원 모두가 유사한 수 준으로 공유하는 것 17 of 137
  • 18. 찐 애자일 조직은?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지만, 애자일하지 않은 조직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지만, 애자일한 조직 18 of 137
  • 19. 특정 애자일 방법론(m-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더라도, 아래의 3가지 애자일 지침(i-요소)을 잘 실천하고 있다면, 애자일 조직이라 할 수 있음 1.(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2.(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3.(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애자일 조직의 조작적 정의 19 of 137
  • 20.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Iteration & Incremental Lifecycle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Shared Meta- Cognition & Self-Organiz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Customer Centered Test-first Process Agile Sensing Transforming Seizing 애자일 밈의 i-요소(지침) *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하는 지 등에 대해 인지하는 것을 ‘메타인지'라고 하는데, 이를 집단 전체 구성원 모두가 유사한 수 준으로 공유하는 것 20 of 137
  • 21. 찐 애자일 조직은?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지만, 애자일하지 않은 조직 애자일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지만, 애자일한 조직 21 of 137
  • 22. 특정 애자일 방법론(m-요소)를 도입하지 않았더라도, 아래의 3가지 애자일 지침(i-요소)을 잘 실천하고 있다면, 애자일 조직이라 할 수 있음 1.(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2.(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3.(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애자일 조직의 조작적 정의 22 of 137
  • 23. [Summary#1] What is 애자일? 1. 애자일은, 일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가 아닌, 제대로(가치 창출) 하기 위해서! 2.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 (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 (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 (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23 of 137
  • 26. https://digital.ai/resource-center/analyst-reports/state-of-agile-report 현업에서의 애자일 방법론 점유율 https://digital.ai/resource-center/analyst-reports/state-of-agile-report 출처: 15th(2021) Annual State Of Agile Report 26 of 137
  • 29. . 전체 해야할 일 목록(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29 of 137
  • 30. . 전체 해야할 일 목록(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30 of 137
  • 32. ①. 스프린트 플래닝/백로그 수립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이번 스프린트에 우선 해야할 일> 스프린트 플래닝 32 of 137
  • 33. WTSTTCPW부터 파악하기 What’s The Simplest Thing That Could Possibly Work? 33 of 137
  • 34.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34 of 137
  • 35. ②③. 스프린트 실행 & 데일리 스크럼 35 of 137
  • 36. ②③. 스프린트 실행 & 데일리 스크럼 1.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2. 어제 다 못 끝낸 일은 무엇인지? 3.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무엇인지? 등 참고 36 of 137
  • 38. ④ 성과(Performance) 리뷰 1.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은 얼마나 완료하였는지? 2.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은 우선순위가 높은 일인지? 3.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의 질(Quality)은 우수한지? 등 38 of 137
  • 39. 문제 해결 Type A activity : Business as Usual. 개선 Type B activity : Improving how we do that. 개선의 개선 Type C activity : Improving how we improve. ABC 모델 by Douglas Engelbart • 『퍼포먼스(결과)의 개선』: Reviews  “고객의 피드백 청취 및 반영” • 『프로세스(과정)의 개선』: Retrospectives  “메타인지 확장 및 외부 자원 활용”  “WTSTTCPW & 이터레이션/점진적 개선” 39 of 137
  • 40. ⑤ 일하는 방식(Process) 회고 40 of 137
  • 41. ⑤ 일하는 방식(Process) 회고 1.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좋은 점은 무엇인지? 2.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3. 새롭게 시도해 보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지? 등 41 of 137
  • 42. 많이 사용하는 애자일 실천 기법(practices) 순위 [출처] 2021, https://stateofagile.com/ 42 of 137
  • 43.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애자일 실천법 Top 6 [출처] 2021, https://stateofagile.com/ 1 Daily Standup 87% 2 Retrospectives 83% 3 Iteration Planning 83% 4 Iteration Reviews 81% 5 Short Iterations 63% 6 Kanban Board 61% 43 of 137
  • 44.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칸반 보드 44 of 137
  • 46.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업무의 흐름(Flow) 46 of 137
  • 47. Ready Doing (3) Done WIP Limit Pulling : 멀티태스킹의 제약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업무의 흐름(flow) 47 of 137
  • 48. 열심히 보다는, 잘! (쓰루풋: Throughput) 처리 얼마나 많이(양), 얼마나 빨리(속도) 실제 가치를 창출하는가(효과성)? 쓰루풋 (Throughput) 실제 가치창출 얼마나 많은 일(양)을 처리할 수 있는가? (생산성, 효율성) 수용량 (Capacity) 많은 일을 벌리는 것보다는, 일단 시작한 일을 완결하는 것에 집중 하다 말은 일 참고: 제약이론(TOC, Theory Of Constraints) 48 of 137
  • 49. 칸반의 원리 • 머릿속 생각으로서의 일을 눈에 보이게 시각화한다. (칸반 보드) • 일을 ‘흐름(flow)’으로 다루고, 이 흐름을 개선한다. • 흐름의 개선을 위해, 인간의 한계(병목)를 보호한다. (WIP 제한) • 병목의 보호를 위해, 준비가 되었을 때만 일을 당긴다. (Pulling) • 일을 당길 때는, 중요한 일을 골라 선택과 집중한다. (우선순위 의사결정) • 일단 시작한 일부터 끝낸다. (쓰루풋 중시) • 성찰과 회고를 통해 흐름을 끊임없이 개선한다. (POOGI*) * Process Of On-Going Improvement: 지속적 개선 49 of 137
  • 50. 시간 상에 따른 주요 애자일 실천방법 1 week 1 day Daily Standup Retrospectives Iteration Reviews Iteration Planning 50 of 137
  • 51. [Summary#2] How? 애자일?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WTSTTCPW)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성과 리뷰 [5] 프로세스 회고 [6] 칸반 보드 51 of 137
  • 52. 3. How? 『퍼스널 애자일』? 52
  • 53. ‘애자일’은 한 때 유행에 불과할까요? 53 of 137
  • 54. “변화가 일상이 되어버린 VUCA*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하기”  ‘생존’을 위한 필수 역량 *Volatility(변동성), Uncertainty(불확실성), Complexity(복잡성), Ambiguity(모호성) Why, 애자일? 54 of 137
  • 55. 조직 조직 차원의 Structure, Infrastructure, Rule & Policy 혁신 - 스포티파이(Spotify)社 애자일 혁신 모델 - SAFe, LeSS (Large Scale Agile) 팀 팀 차원의 일하는 방식(Methodology) 혁신 - SW 개발 분야: SCRUM, XP, Kanban 등 개인 개인 차원 - Only Mindset? - 非 SW 개발 분야: SCRUM, Kanban 외 디자인씽킹, 구글SPRINT, 린스타트업 등 애자일 방법론의 발전과 확산 55 of 137
  • 56. 개인이 애자일 해야, 조직이 애자일 할 수 있다. 조직은 학습하는 개인을 통해서만 학습할 수 있다. 개인의 학습이 조직의 학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학습하지 않으면 조직의 학습도 일어나지 않는다. - 피터 센거의 <학습하는 조직> 8장 『개인적 숙련』 첫 구절 56 of 137
  • 57. 이 책을 번역하고 소개하게 된 이유 조직은 agile한 개인을 통해서만 agile할 수 있다. 개인의 agility가 조직의 agility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개인이 agile하지 않으면 조직의 agility도 일어나지 않는다.  “퍼스널 애자일”에 주목 57 of 137
  • 58. “변화가 일상이 되어버린 VUCA*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하기”  개인에게도 ‘애자일 역량’은 필요 *Volatility(변동성), Uncertainty(불확실성), Complexity(복잡성), Ambiguity(모호성) Why, 퍼스널 애자일? 58 of 137
  • 59. 퍼스널 애자일 역량을 키우려면 뭘 해야 하는 거지? 개인 차원에서의 애자일 역량 키우기 59 of 137
  • 61. . 년간 목표(프로덕트 백로그) 수립 61 of 137
  • 62. [개인과제] 년간 할 일 목록을 작성해 봅시다.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62 of 137
  • 63. Mission 업무 ERRC 등 자기계발 학습/운동 등 개인 가정/재정 등 ‘Mindmap’과 같은 툴로 Backlog 목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 Backlog 목록의 관리 63 of 137
  • 64. ①. 주간 계획(스프린트 플래닝) 수립 64 of 137
  • 65. [개인과제] 이번 주에 당장 할 일 목록을 추려봅시다. <백로그(Backlog): 해야 할 일들의 전체 목록> <이번 스프린트에 우선 해야할 일> 스프린트 플래닝 65 of 137
  • 67. WTSTTCPW부터 파악하기 What’s The Simplest Thing That Could Possibly Work? 67 of 137
  • 68. 애자일 점전적 개선 프로세스 68 of 137
  • 69.  실행(데일리 스크럼 & 스프린트) 69 of 137
  • 70. [개인과제] ‘오늘’ 꼭 해야 할 일 목록을 추려봅시다. 1. 이번 주에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는 무엇인지? 2. 어제 다 못 끝낸 일은 무엇인지? 3. 예상치 못한 장애물은 무엇인지? 등 참고 70 of 137
  • 71.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칸반 보드 71 of 137
  • 73. [개인과제]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의 결과를 점검해봅니다. 1. 지난 주에 계획한 일은 얼마나 완료하였는지? 2.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은 우선순위가 높은 일인지? 3. 지난 주에 완료한 일의 질(Quality)은 우수한지? 등 73 of 137
  • 74.  일하는 방식 회고 74 of 137
  • 75. [개인과제] 나의 일하는 방식을 성찰해 봅니다. 1.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좋은 점은 무엇인지? 2. 나의 일하는 방식 중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3. 새롭게 시도해 보고 싶은 방식은 무엇인지? 등 75 of 137
  • 76. [Summary#3] How? 퍼스널 애자일? 1. 빠른 변화 속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역량은, 비단 조직뿐만이 아니라 개인에게도 필요 2. WTSTTCPW & 퍼스널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1. 메타인지의 확장과 외부 자원의 활용 2. 핵심사항을 중심으로 한,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3. 고객 중심 테스트와 피드백을 수시로 반영하여 조정 3. 퍼스널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리뷰, [5] 회고, [6] 칸반 보드 76 of 137
  • 78. 퍼스널 애자일, 퍼스널 칸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옮긴이의 글. 활사개공, 개인이 애자일해야 조직이 애자일해진다. 1장. 퍼스널 칸반 기본 다지기 2장. 첫 번째 퍼스널 칸반 만들기 3장. 교통 관리와 같은 시간 관리 4장. 흐름 관리: 자연의 모든 것은 흐른다. 5장. 충만한 삶의 요소들 6장. 우선순위 관리 7장. 지속적인 개선 8장. 엔드 게임 부록 <A. 퍼스널 칸반의 프레임 응용 변형 사례> 78 of 137
  • 79. 퍼스널 애자일을 ‘일’에서 ‘삶’으로 확장하기 퍼스널 애자일의 궁극적 목적은, ‘Well Working’ 하기가 아니고 ‘Well Living‘ 하기 79 of 137
  • 80. 가장 큰 자원, 시간! 80 of 137
  • 81. 크로노스 vs. 카이로스의 시간 • 정량적(일정 속도), 산술적 • 순차적(단방향: 과거->현재->미래) • 분절적(discrete), 독립적 '연대기(chronicle)', '연대학(chronology)' 등 정량적/산술적 시간의 단어들이 유래 • '새긴다'라는 어원에서 유래 • 체험적, 주관적, 질적 • 흐름적, 지속적 개인의 주관적인 의미를 삶에 '새기는' 경험으로, 이와 관련한 '감각'과 '운동(추동)'을 농밀하게 하고 이 흐름을 보다 '지속'하는 질적 몰입을 의미 크로노스 카이로스 81 of 137
  • 82. 크로노스적 시간 관념에 익숙해진 우리 '시계'에 의존하게 되면서, 시간을 '카이로스'가 아닌 '크로노스'의 개념으로 바라보는게 익숙해졌다. 시계는 원형의 공간 속에서 일정한 속도로 바늘이 움직이는 '공간'적 도구이다. 이렇게 '공간화된 시간'은, 정량적이고 산술적이며, 독립적이고 분절적(discrete)으로 존재한다. 82 of 137
  • 83. 욕심쟁이 우후훗! (복합유연성) by 사회심리학자 허태균 교수 어쩌다 어른 中 83 of 137
  • 84. 짬짜면을 시키면, 짜장과 짬뽕의 온전한 맛을 모두 만끽할 수 있을 거라는 착각! 욕심쟁이 우후훗!  짜장면을 시키고, 짬뽕을 아쉬워 하지 않는 여유와 손에 든 짜장면을 만끽할 수 있는 몰입 (짬뽕은 다음에 또 정성스럽게 먹어주면 되지!) 84 of 137
  • 85. 한국인의 복합유연성 경제 발전 민주화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할 때, 갈아 넣기 신공으로 달성! 85 of 137
  • 86. 복합유연성의 성공 경험은 축복일까? 86 of 137
  • 87. 충만한 삶을 위한 앙리 베르그송의 제안 삶을 충만하게 살기 위해서는 ‘크로노스적‘ 시간보다 ‘카이로스’적 시간에 주목해야 한다. 즉, 동일한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일들을 처리했는가 보다는 얼마나 농밀하게 시간을 경험하는가가 훨씬 중요하다. 카이로스적 흐름의 ‘현재’는 언제나 ‘근접 과거’와 ‘근접 미래’를 포함하는 일정한 지속을 의미한다. 한편, ‘근접 과거’의 의식은 방금 느낀 ‘감각’이며, ‘근접 미래’의 의식은 취할 ‘행동’에 대한 ‘정향(orientation)’이다. 그러므로 그에게 "현재는 감각인 동시에 운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시간을 농밀하게 경험한다는 것은, 주관적 의미를 자신의 삶에 '새기는' 경험으로, 그 경험의 '감각'과 '운동(추동)'을 농밀하게 하고 이러한 흐름을 보다 '지속'하는 질적 몰입을 의미한다. 87 of 137
  • 88. ‘안도 다다오’의 건축물하면 떠오르는 것은? 88 of 137
  • 89. 건축물에 카이로스적 시퀀스를 담다. 교토 오사카 ‘물의 절’ 효고현 아와지시 효고 부산 히로시마 후쿠오카 대마도 89 of 137
  • 91. 대기 진행중(3) 완료 당김 (Pulling ) WIP Limit : 멀티태스킹의 제약 퍼스널 칸반 속 ‘카이로스’ 91 of 137
  • 92.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2 of 137
  • 93.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3 of 137
  • 94. 시간 관리에 대한 오만과 편견 시간은 관리의 대상이 아니다.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주어진 시간에 무엇을 할 것인가의 선택 뿐이다. 94 of 137
  • 95.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해, 언제 무엇을 할 것인가? 큰 돌 ● 작은 돌 ● ● 할 일(To-do lists) ● 약속(schedule) 95 of 137
  • 96. Microsoft사의 회의 일정 Setting 방식 96 of 137
  • 97. 집중이 잘되는 시간에, 중요한 일을 배정하기 97 of 137
  • 98.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98 of 137
  • 99. 카이로스를 위한 슬랙 확보하기 교통 흐름(flow)을 이루는 것은? 1) 자동차 2) 자동차 사이의 공간(슬랙) : 슬랙이 전혀 없다면, 도로는 ‘주차장’이 됨  슬랙(slack): 업무의 흐름(flow)을 원활하게 만드는, 업무와 업무 사이에 존재하는 여백 99 of 137
  • 100. 자원의 과부하에 따른 쓰루풋 저하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쓰루풋 (Throughput) 부하율 (%) 수용량 (Capacity) 100 of 137
  • 101. 성찰과 회고를 통한 일하는 방식 개선 시간의 확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쓰루풋 (Throughput) 부하율 (%) 수용량 (Capacity) Work Diet 기존 업무 수행의 효율화 (100%  65~70%) A type 계획 & 성찰/회고 (10%) B/C type Slack 버퍼및충전 (20%) Slack 101 of 137
  • 102.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한 3가지 Tips! 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효과적으로 배정하기 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 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102 of 137
  • 103. 카이로스를 늘리기 위해 해야할 연습 • 우선순위(선택) 결정의 연습! • 포기한 것에 미련을 두지 않는 여유의 연습! • 선택한 것에 몰입(집중)하는 연습! 103 of 137
  • 104. [Summary#4] 퍼스널 애자일과 시간 관리 1. 퍼스널 애자일의 범위를 업무로 한정하지 말고, 삶 전체로 확장하여 활용하기 2. 충만한 삶을 위해, ‘크로노스’의 시간보다 ‘카이로스’의 시간 늘리기 3. ‘카이로스’의 시간을 늘리기 위한 Tips [Tip#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배정 고민하기 [Tip#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7:2:1) [Tip#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104 of 137
  • 105. 전체 Summary 1.What is 애자일? 2.How? 애자일? 3.How? 퍼스널 애자일? 4. 퍼스널 애자일의 시간 관리 105 of 137
  • 106. [Summary#1] What is 애자일? 1. 애자일은, 일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가 아닌, 제대로(가치 창출) 하기 위해서! 2.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 (Sensing) 고객 중심 검증(피드백) • (Seizing) 공유된 메타인지 및 자기조직화 • (Transforming)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106 of 137
  • 107. [Summary#2] How? 애자일?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WTSTTCPW)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성과 리뷰 [5] 프로세스 회고 [6] 칸반 보드 107 of 137
  • 108. 1. 빠른 변화 속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역량은, 비단 조직뿐만이 아니라 개인에게도 필요 2. WTSTTCPW & 퍼스널 애자일의 3가지 핵심 가치 1. 메타인지의 확장과 외부 자원의 활용 2. 핵심사항을 중심으로 한, 이터레이션 및 점진적 개선 3. 고객 중심 테스트와 피드백을 수시로 반영하여 조정 3. 퍼스널 애자일의 실천 기법 Top 6 [1] 이터레이션, [2] 이터레이션 계획, [3] 데일리 스탠드업 [4] 이터레이션 리뷰, [5] 회고, [6] 칸반 보드 [Summary#3] How? 퍼스널 애자일? 108 of 137
  • 109. 1. 퍼스널 애자일의 범위를 업무로 한정하지 말고, 삶 전체로 확장하여 활용하기 2. 충만한 삶을 위해, ‘크로노스’의 시간보다 ‘카이로스’의 시간 늘리기 3. ‘카이로스’의 시간을 늘리기 위한 Tips [Tip#1] 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 배정 고민하기 [Tip#2] 메타인지와 슬랙을 위한 시간 확보(7:2:1) [Tip#3] 카이로스를 위한 ‘선택과 집중’ 연습하기 [Summary#4] 퍼스널 애자일과 시간 관리 109 of 137
  • 110. 여러분의 ‘애자일의 여정’과 ‘Well Living’을 응원합니다! poohv21@nate.com : 110 of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