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박진형
설리번교육연구소 설리번 프로젝트 리팩토링 매니저
jinhyung@sullivanproject.in
설리번 프로젝트 2020
온라인 프로그램 리팩토링 도전기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설리번프로젝트2020리팩토링이야기
1.1우리가마주했던문제와프로젝트목적성재정의
1.22020상반기설리번프로젝트소개
1.32020하반기설리번프로젝트소개
목차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설리번 프로젝트는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특성화고
IT전공 고등학생이 주축이 되어 여름/겨울방학마다 또래 친구
들을 만나 IT 교육을 진행하는 봉사 활동을 진행했다.
초창기에는 코딩교육을 진행하는 단체가 2020년 현재만큼 많
지 않았으며, 코딩 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막 대두되기 시작했
던 시기였으므로 설리번 프로젝트가 주목을 받았다.
시간이 지날 수록 설리번 선생님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비
교과 스펙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려웠으며, 유사 목적의 단체
가 많이 생겨나면서 활동의 지속 가능성이 상실되었다.
설리번 프로젝트는 2019년 2월 리팩토링TF를 발족시키면서
지속가능한 기술교육이란 무엇일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개발자에게 교육자로 사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
https://edykim.com/ko/post/tech-has-a-toxic-tone-problem-lets-fix-it/ https://www.youtube.com/watch?v=BOkSuwKMq4M
개발자는 설리번 선생님이 되어 기술을 모르는 초심자가 기술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교육함으로써
소통과 협업의 역량을 쌓고, 사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기술의 임팩트를 고려하는 역량을 쌓을 수 있다.
“교육자로 활동하는 경험을 꾸준히 쌓는다면,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등 소프트 스킬 역량을 기르게 되어 더 좋은 팀원 또는 리더로 성장하게 된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개발자를 지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기술교육은 어떤 함의인가?
설리번 프로젝트는 불필요한 지식을 제거하고, 수요자 및 결과물 중심의 교육 커리큘럼을 기획해 왔다. 이 기조를 유지하
여 소셜 임팩트 분야에서 수강자가 본인의 일상을 주체적으로 진보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을 목표한다.
시장 수요에 따라서 개발자를 양성하는 기술교육은 많이 있지만, 개발자를 지망하지 않는 일반인이 택할 수 있는 기술교
육 옵션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교육 대부분은 단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문법 위주가 다수인 상황이다.
“일상과 사회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지속가능한 교육자 풀을 양성한다”
설리번 프로젝트 상반기 기획예시 설리번 프로젝트 2019 프로그램 예시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설리번 프로젝트는 목적성이
분명한 교육을 만들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지
향합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시간을 쪼
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향하지만, 모두가 책임을 갖
도록 하는 팀 기반으로 꾸준히
활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월 30일부터 8월 23일까지
100일간 진행하며, 현재 게임,
웹, 앱, 아두이노 분야에서 30
명 8팀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커리큘럼 개발
커리큘럼 기획
설리번 선생님
사람들의 성장을 도우려는 개발자의 욕구
비개발 분야와 소통하며 소프트 스킬 학습
교육 진행 및 성과 공유
소셜 임팩트를 고
민하는 나만의 첫
교육기획 경험
수강자의 기술에 대한 두려움 해소
수강자 스스로 기술 활용 문제해결 경험
+ =
팀 운영 전담 및 교육주제 기획
사회 문제 정의
설리번 운영진
작은 규모에서 사회문제 정의/해결 경험 학습
기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한 문제해결 경험
선생님과 운영진이 팀을 이루어 100일 동안 100% 온라인으로 교육기획 활동 진행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설리번 선생님이 되기 위해서
는 학습자가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교육을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레벨 별로 학습해야 하는 역량
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여, 나만
의 첫 교육기획 운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레벨 별로 학습해야 하는 역량
을 선생님과 운영진이 주간 미
션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
하고, 이를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각 미션은 페어 또는 팀으로 진
행하며, 낯선 지식과 낯선 경험
을 요구하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협업을 강조합니다.
https://abit.ly/sullivan-level1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100일이라는 시간 동안 교육
컨셉 기획, 교육 자료 구성, 파
트너 컨택, 실제 교육 실행까
지 진행해보는 스프린트를 통
해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습득
합니다.
각 레벨 별로 수행 성실도를 평
가하여 미달하는 선생님을 제
명조치하는 등, 선발을 통한 인
재인증 프로그램의 성격을 띄
고 있습니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사회적 문제를 정의하는 것도
처음이고, 교육자료를 제작 및
기획하는 것도 모두 처음입니
다. 이럴 때 피드백을 통한 안
정감 조성이 중요합니다.
주 1회 팀 활동 회고를 진행하
며, 주별로 진행하고 있는 성취
에 대해 Pull Request를 통해
상호 피드백을 진행합니다.
일정 수 이상의 Approve를 받
으면 Merge하여 다음 레벨로
진출합니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32020하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가안)
상반기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문제 정의와 교육 기획을 동시
에 진행하는 것이 다소 무리라
는 피드백을 반영했습니다.
목적성이 분명한 교육을 만들
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이
해 관계자를 만나고 심도 있는
리서치를 진행하며 문제를 정
의합니다.
해당 기수에 도출된 문제정의
를 바탕으로 선생님을 공모하
여 교육을 진행합니다.
문제정의를 통한 교육테마 발굴 (3개월)
사회문제 정의
설리번 기획자
사회 문제 발굴과 문제정의 수행 (2개월)
기술교육 연결 가능성 및 시나리오 검토 (1개월)
수강생 산출물 발표 및 교육경험 공유
소셜 임팩트를 고
민하는 나만의 첫
교육기획 경험
수강자의 기술에 대한 두려움 해소
수강자 스스로 기술 활용 문제해결 경험
교육 커리큘럼 도출 및 교육 실행 (2개월)
교육 구체화
설리번 선생님
기획자 정의 사회적 문제 테마로 하는 교육 제작
커리큘럼 제작 및 실행 등 교육자 역할 집중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32020하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2.1마치며..
비동기성이 강조되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의 경험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상황에 적응하며 새로운 응전과 도전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에 일단 의의를 둔다.
온라인 시대를 응수하는 우리들 각자의 레슨을 공유하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End of Document
Any Questions?
설리번 프로젝트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함께 하고 싶으신 분, 관심이 있으신 분, 후원 희망하시는 분… 어떠한 제의든 연락주세요.
jinhyung@sullivanproject.i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SEF 2020] 설리번 프로젝트 2020 온라인 프로그램 리팩토링 도전기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B Society)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the Learning & Company
 
Myt
MytMyt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Choohan Cho
 
[교보생명]황혜림 130913
[교보생명]황혜림 130913[교보생명]황혜림 130913
[교보생명]황혜림 130913
Hyelim Hwang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thecirclefoundation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규문 최
 
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
병련 김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thecirclefoundation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David 권태욱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lovebombj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thecirclefoundation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현진 김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MYSC_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Jeongtae Kim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Jihong Shim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oeclab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Kyubok Cho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thecirclefoundation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Jihyun Lee
 

Similar to [SEF 2020] 설리번 프로젝트 2020 온라인 프로그램 리팩토링 도전기 (20)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Myt
MytMyt
Myt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나의 행복한 미래 만들기 Happy Dream Come True
 
[교보생명]황혜림 130913
[교보생명]황혜림 130913[교보생명]황혜림 130913
[교보생명]황혜림 130913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매뉴얼 :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 learn project)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활용법 기초과정 1기모집 안내문 141208
 
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스마트수업설계논문
스마트수업설계논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AI교육 통합 프로그램 소개서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company Introduction of the Butt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안산YWCA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2016 Collective Impact Table: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 양성 프로그램(SAPx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D.LAB 코드아카데미를 함께 만들어나갈 분들을 찾습니다.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1st 공유회 - 두런두런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스마트교육 안착지연 원인과 극복방안(부분발췌)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스토리북 : ㄱ찾기 이야기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한국 에듀테크 스타트업 성장 수치 및 2016년 전략
 

[SEF 2020] 설리번 프로젝트 2020 온라인 프로그램 리팩토링 도전기

  • 1.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박진형 설리번교육연구소 설리번 프로젝트 리팩토링 매니저 jinhyung@sullivanproject.in 설리번 프로젝트 2020 온라인 프로그램 리팩토링 도전기
  • 2.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설리번프로젝트2020리팩토링이야기 1.1우리가마주했던문제와프로젝트목적성재정의 1.22020상반기설리번프로젝트소개 1.32020하반기설리번프로젝트소개 목차
  • 3.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설리번 프로젝트는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특성화고 IT전공 고등학생이 주축이 되어 여름/겨울방학마다 또래 친구 들을 만나 IT 교육을 진행하는 봉사 활동을 진행했다. 초창기에는 코딩교육을 진행하는 단체가 2020년 현재만큼 많 지 않았으며, 코딩 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막 대두되기 시작했 던 시기였으므로 설리번 프로젝트가 주목을 받았다. 시간이 지날 수록 설리번 선생님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비 교과 스펙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려웠으며, 유사 목적의 단체 가 많이 생겨나면서 활동의 지속 가능성이 상실되었다. 설리번 프로젝트는 2019년 2월 리팩토링TF를 발족시키면서 지속가능한 기술교육이란 무엇일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 4.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개발자에게 교육자로 사는 것은 어떠한 의미인가? https://edykim.com/ko/post/tech-has-a-toxic-tone-problem-lets-fix-it/ https://www.youtube.com/watch?v=BOkSuwKMq4M 개발자는 설리번 선생님이 되어 기술을 모르는 초심자가 기술을 활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교육함으로써 소통과 협업의 역량을 쌓고, 사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기술의 임팩트를 고려하는 역량을 쌓을 수 있다. “교육자로 활동하는 경험을 꾸준히 쌓는다면,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등 소프트 스킬 역량을 기르게 되어 더 좋은 팀원 또는 리더로 성장하게 된다.”
  • 5.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1 우리가 마주했던 문제와 프로젝트 목적성 재정의 개발자를 지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기술교육은 어떤 함의인가? 설리번 프로젝트는 불필요한 지식을 제거하고, 수요자 및 결과물 중심의 교육 커리큘럼을 기획해 왔다. 이 기조를 유지하 여 소셜 임팩트 분야에서 수강자가 본인의 일상을 주체적으로 진보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을 목표한다. 시장 수요에 따라서 개발자를 양성하는 기술교육은 많이 있지만, 개발자를 지망하지 않는 일반인이 택할 수 있는 기술교 육 옵션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교육 대부분은 단순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문법 위주가 다수인 상황이다. “일상과 사회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지속가능한 교육자 풀을 양성한다” 설리번 프로젝트 상반기 기획예시 설리번 프로젝트 2019 프로그램 예시
  • 6.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설리번 프로젝트는 목적성이 분명한 교육을 만들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지 향합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시간을 쪼 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향하지만, 모두가 책임을 갖 도록 하는 팀 기반으로 꾸준히 활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월 30일부터 8월 23일까지 100일간 진행하며, 현재 게임, 웹, 앱, 아두이노 분야에서 30 명 8팀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커리큘럼 개발 커리큘럼 기획 설리번 선생님 사람들의 성장을 도우려는 개발자의 욕구 비개발 분야와 소통하며 소프트 스킬 학습 교육 진행 및 성과 공유 소셜 임팩트를 고 민하는 나만의 첫 교육기획 경험 수강자의 기술에 대한 두려움 해소 수강자 스스로 기술 활용 문제해결 경험 + = 팀 운영 전담 및 교육주제 기획 사회 문제 정의 설리번 운영진 작은 규모에서 사회문제 정의/해결 경험 학습 기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한 문제해결 경험 선생님과 운영진이 팀을 이루어 100일 동안 100% 온라인으로 교육기획 활동 진행
  • 7.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설리번 선생님이 되기 위해서 는 학습자가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교육을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레벨 별로 학습해야 하는 역량 을 세분화하여 제시하여, 나만 의 첫 교육기획 운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 8.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레벨 별로 학습해야 하는 역량 을 선생님과 운영진이 주간 미 션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 하고, 이를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각 미션은 페어 또는 팀으로 진 행하며, 낯선 지식과 낯선 경험 을 요구하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협업을 강조합니다. https://abit.ly/sullivan-level1
  • 9.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100일이라는 시간 동안 교육 컨셉 기획, 교육 자료 구성, 파 트너 컨택, 실제 교육 실행까 지 진행해보는 스프린트를 통 해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습득 합니다. 각 레벨 별로 수행 성실도를 평 가하여 미달하는 선생님을 제 명조치하는 등, 선발을 통한 인 재인증 프로그램의 성격을 띄 고 있습니다.
  • 10.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22020상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사회적 문제를 정의하는 것도 처음이고, 교육자료를 제작 및 기획하는 것도 모두 처음입니 다. 이럴 때 피드백을 통한 안 정감 조성이 중요합니다. 주 1회 팀 활동 회고를 진행하 며, 주별로 진행하고 있는 성취 에 대해 Pull Request를 통해 상호 피드백을 진행합니다. 일정 수 이상의 Approve를 받 으면 Merge하여 다음 레벨로 진출합니다.
  • 11.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32020하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가안) 상반기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문제 정의와 교육 기획을 동시 에 진행하는 것이 다소 무리라 는 피드백을 반영했습니다. 목적성이 분명한 교육을 만들 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이 해 관계자를 만나고 심도 있는 리서치를 진행하며 문제를 정 의합니다. 해당 기수에 도출된 문제정의 를 바탕으로 선생님을 공모하 여 교육을 진행합니다. 문제정의를 통한 교육테마 발굴 (3개월) 사회문제 정의 설리번 기획자 사회 문제 발굴과 문제정의 수행 (2개월) 기술교육 연결 가능성 및 시나리오 검토 (1개월) 수강생 산출물 발표 및 교육경험 공유 소셜 임팩트를 고 민하는 나만의 첫 교육기획 경험 수강자의 기술에 대한 두려움 해소 수강자 스스로 기술 활용 문제해결 경험 교육 커리큘럼 도출 및 교육 실행 (2개월) 교육 구체화 설리번 선생님 기획자 정의 사회적 문제 테마로 하는 교육 제작 커리큘럼 제작 및 실행 등 교육자 역할 집중
  • 12.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1.32020하반기 설리번프로젝트소개
  • 13.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2.1마치며.. 비동기성이 강조되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의 경험을 그대로 재현할 수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상황에 적응하며 새로운 응전과 도전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에 일단 의의를 둔다. 온라인 시대를 응수하는 우리들 각자의 레슨을 공유하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 14. ⓒ CONNECT All Rights Reserved. End of Document Any Questions? 설리번 프로젝트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함께 하고 싶으신 분, 관심이 있으신 분, 후원 희망하시는 분… 어떠한 제의든 연락주세요. jinhyung@sullivanprojec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