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공압식 디스펜서 온도 조절 블록
인천대학교기계공학과
기준범 노주찬 박성열 이영록 서재덕
TemperatureControlBlockforAir Pneumatic Type DispensingSystem
제7회INUMaker경진대회
장치 소개
제작 과정
최종 결과물
성능 실험 결과
문제점 & 개선 방안
개요
장치 소개
※ Geo Technology, ‘Cherry’
공압식 디스펜서 예시
• 공압식 디스펜서란?
공압으로 액체 재료를 정량 토출하는 장치
• 작동 과정
플라스틱 용기에
액체 재료 충전
정밀 제어된 압축 공기
용기 하부에 장착된
노즐에서 액체 재료 토출
장치 소개
• 온도 조절 블록이란?
액체 재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공압식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
• 필요한 이유
액체 재료의 점성을 낮추어 불균형한 토출량 제어
(온도 변화 → 액체 재료의 물성 변화 → 접착력에 큰 영향 → 일정 온도 유지 필수)
• 구성 및 구조
온조 블록
온도 조절 컨트롤러
설계 조건 구상
3D 모델링 & 2D 도면 제작
3D 프린터로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
부품 가공
회로도 작성 & 부품 연결
제작 과정 – 제작 순서
온조 블록 형상: 각형 (장치 탑재 용이)
제어 온도 범위: 50°C~150°C
설정 온도 단위: 0.1°C
재질: AI, STS 304, Acrylic (AI 부품 표면 Anodizing 후처리)
가열 방식: 카트리지 히터
온도 측정 방식: PT 100Ω
제어 방식: PID 제어
제작 과정 – 설계 조건 구상
제작 과정 – 도면 제작
CREO & AUTOCAD → 도면 제작
제작 과정 –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
나사선 추가
기존 M14X1.5 → M14X1.0 변경
기존 ⌀19.0 → ⌀18.5 변경
3D 프린터 사용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하여 최종 도면 작성
제작 과정 – 부품 가공
레이저 절단기 사용 → 아크릴 절단 & 가공
교내 3D 프린터로 가공 불가
외부 가공 업체 이용
제작 과정 - 회로도 작성 & 부품 연결
최종 결과물
온도 컨트롤러
무접점 릴레이
온도 측정 센서
카트리지 히터
파워 소켓
• 온도 제어 정밀성 & 신속성 측면
PID 제어 방식의 온도 컨트롤러 사용 → P=2.9, I=28, D=5 일 때
Rise time (sec) 39
Peak time (sec) 47
Settling time (sec) 78
Max imum overshoot (°C) 3.3
2% criterion
성능 실험 결과
• 카트리지 히터 직경 3.1mm로 너무 작아 발열부에 연결된 리드선 간격 좁음
→ 합선 발생
문제점
• 무접점 릴레이 사용 시, 과전압 보호소자(Varistor)를 장착하지 않아 무접점
릴레이의 작동 안정성 저하
※ Omron, G3TB-O MANUAL
문제점
• Flange nut 직경이 너무 작아,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 리드선 nut 통과 불가
• Syringe block cover 공차 문제로 커버를 닫을 때 센서 및 히터 리드선에 과도한 굽
힘 발생
• 카트리지 히터 직경 증가시켜 합선 발생 가능성 최소화하기
• 무접점 릴레이에 Varistor 장착해서 작동 안정성 확보하기
•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 리드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Flange nut 치수 변경
•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의 리드선이 최대한 굽힘을 받지 않도록 커버의 치수
및 공차 변경
개선 방향
THANK YOU
기준범 노주찬 박성열 이영록 서재덕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온조블록_메이커 경진대회.pptx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topshock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wphome13
 
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
wngks128
 
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
wngks128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topshock
 
2014.04
2014.042014.04
2014.04
정화 정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Hongsik Hwang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nfx
 
Ip(isostatic press)
Ip(isostatic press)Ip(isostatic press)
Ip(isostatic press)
ilshinautoclave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chasarang
 

Similar to 온조블록_메이커 경진대회.pptx (12)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5 2교시) 15년 사출업종 세미나(조영택)-151006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6 (2교시) 2014년 사출 세미나(조영택)-141105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4-03-01
 
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아이디어붐.pdf
아이디어붐.pdf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3년 06월 #02
 
0
00
0
 
2014.04
2014.042014.04
2014.04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업종별세미나 사출2(08년10월)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midas NFX Project Applications
 
Ip(isostatic press)
Ip(isostatic press)Ip(isostatic press)
Ip(isostatic press)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2년 11월 #2
 

온조블록_메이커 경진대회.pptx

  • 1. 공압식 디스펜서 온도 조절 블록 인천대학교기계공학과 기준범 노주찬 박성열 이영록 서재덕 TemperatureControlBlockforAir Pneumatic Type DispensingSystem 제7회INUMaker경진대회
  • 2. 장치 소개 제작 과정 최종 결과물 성능 실험 결과 문제점 & 개선 방안 개요
  • 3. 장치 소개 ※ Geo Technology, ‘Cherry’ 공압식 디스펜서 예시 • 공압식 디스펜서란? 공압으로 액체 재료를 정량 토출하는 장치 • 작동 과정 플라스틱 용기에 액체 재료 충전 정밀 제어된 압축 공기 용기 하부에 장착된 노즐에서 액체 재료 토출
  • 4. 장치 소개 • 온도 조절 블록이란? 액체 재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 공압식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 • 필요한 이유 액체 재료의 점성을 낮추어 불균형한 토출량 제어 (온도 변화 → 액체 재료의 물성 변화 → 접착력에 큰 영향 → 일정 온도 유지 필수) • 구성 및 구조 온조 블록 온도 조절 컨트롤러
  • 5. 설계 조건 구상 3D 모델링 & 2D 도면 제작 3D 프린터로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 부품 가공 회로도 작성 & 부품 연결 제작 과정 – 제작 순서
  • 6. 온조 블록 형상: 각형 (장치 탑재 용이) 제어 온도 범위: 50°C~150°C 설정 온도 단위: 0.1°C 재질: AI, STS 304, Acrylic (AI 부품 표면 Anodizing 후처리) 가열 방식: 카트리지 히터 온도 측정 방식: PT 100Ω 제어 방식: PID 제어 제작 과정 – 설계 조건 구상
  • 7. 제작 과정 – 도면 제작 CREO & AUTOCAD → 도면 제작
  • 8. 제작 과정 –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 나사선 추가 기존 M14X1.5 → M14X1.0 변경 기존 ⌀19.0 → ⌀18.5 변경 3D 프린터 사용 →시제품 제작 → 수정 사항 반영하여 최종 도면 작성
  • 9. 제작 과정 – 부품 가공 레이저 절단기 사용 → 아크릴 절단 & 가공 교내 3D 프린터로 가공 불가 외부 가공 업체 이용
  • 10. 제작 과정 - 회로도 작성 & 부품 연결
  • 11. 최종 결과물 온도 컨트롤러 무접점 릴레이 온도 측정 센서 카트리지 히터 파워 소켓
  • 12. • 온도 제어 정밀성 & 신속성 측면 PID 제어 방식의 온도 컨트롤러 사용 → P=2.9, I=28, D=5 일 때 Rise time (sec) 39 Peak time (sec) 47 Settling time (sec) 78 Max imum overshoot (°C) 3.3 2% criterion 성능 실험 결과
  • 13. • 카트리지 히터 직경 3.1mm로 너무 작아 발열부에 연결된 리드선 간격 좁음 → 합선 발생 문제점 • 무접점 릴레이 사용 시, 과전압 보호소자(Varistor)를 장착하지 않아 무접점 릴레이의 작동 안정성 저하 ※ Omron, G3TB-O MANUAL
  • 14. 문제점 • Flange nut 직경이 너무 작아,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 리드선 nut 통과 불가 • Syringe block cover 공차 문제로 커버를 닫을 때 센서 및 히터 리드선에 과도한 굽 힘 발생
  • 15. • 카트리지 히터 직경 증가시켜 합선 발생 가능성 최소화하기 • 무접점 릴레이에 Varistor 장착해서 작동 안정성 확보하기 •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 리드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Flange nut 치수 변경 • 히터와 온도 측정 센서의 리드선이 최대한 굽힘을 받지 않도록 커버의 치수 및 공차 변경 개선 방향
  • 16. THANK YOU 기준범 노주찬 박성열 이영록 서재덕

Editor's Notes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