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Learning by foraging: The
impact of individual knowledge
and social tags on web
navigation processes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2.
- Held, Christoph, Joachim
Kimmerle, and Ulrike Cress
/나누리
x 2017 Spring
“태그 달고 나서 들어가서 봐요”
모티베이션
“태그 달고 나서 들어가서 봐요”
“남들은 여기에 뭐 올렸나”
“많이 쓰는 태그인가”
“스팸성 게시물이 많은건 아닌가”
태그에 대한 타인의 행동을 참고한다.

태그에 대한 양적/질적 판단을 한다.
왜?
모티베이션
collective knowledge?
저자 소개
- 튀빙겐 대학, Knowledge Media Research Center
Held, Christoph, Joachim Kimmerle, and Ulrike Cress
- 인지심리학 배경, tagging의 collective knowledge에 관심 많음.
저널 소개
- 심리학 관점의 HCI 저널 (SSCI)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985~)
- 심리학의 특성(연구 문제, 연구 방법)을 반영한 user behavior 연구가 많음.

(사람/USER에 포커싱을 한다는 것이 장점)
연구 목적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연구 목적
사용자의 사전 지식 태그의 집단 지식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
연구 문제 & 가설
- 사전지식이 검색 중 navigation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이 navigation, learning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
을 미칠까?
가설 1. 사전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은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태그의 크기가 크면 관련 태그로서 많은 선택을 받을 것.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실험 디자인
weighted unweighted
correct
incorrect
모름
tag size
prior

knowledge
- 207명 리쿠르팅, 사전 설문에 적합하지 않은 참가자 제외 180명 (평균나이 29세)

- 온라인으로 진행

- 2X3 between subjects

tag size(2) X prior konwledge(3); 독립

-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사후 테스트 ; 종속
실험 디자인
weighted unweighted
correct
incorrect
모름
tag size
prior

knowledge
- 207명 리쿠르팅, 사전 설문에 적합하지 않은 참가자 제외 180명 (평균나이 29세)

- 온라인으로 진행

- 2X3 between subjects

tag size(2) X prior konwledge(3); 독립

-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사후 테스트 ; 종속

대조군실험군
실험 프로세스 1. prior knowledge 조작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그로 사람들이 navigate 어떻게하나 보기위한 것입니다.

이 태그들은 와인 전문가들이 만든 것 입니다.

당신은 대표적인 조지아 와인의 특성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지아 와인에 관한 한 블로거의 생각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ags prior knowledge
조지아 와인의 산지는 Kakheti가 대표적이다.

…

조지아 와인의 포도는 Mtasvane를 주로 사용
한다.

…

조지아 와인은 대개 Plum 향을 낸다.
+
실험 프로세스 1. prior knowledge 조작
tags prior knowledge
조지아 와인의 산지는 Kakheti가 대표적이다.

…

조지아 와인의 포도는 Mtasvane를 주로 사용
한다.

…

조지아 와인은 대개 Plum 향을 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그로 사람들이 navigate 어떻게하나 보기위한 것입니다.

이 태그들은 와인 전문가들이 만든 것 입니다.

당신은 대표적인 조지아 와인의 특성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지아 와인에 관한 한 블로거의 생각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험 프로세스 2. navigation
- 조지아 와인에 대한 태그들을 링크해가며 정보를 찾는 과정

- 9개의 태그 클라우드를 찾아본 다음에는 knowledge test를 거치게 됨.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구체적으로, 빈도를 측정
ex. 실험군별로, Kakheti 라는 correct한 태그를 선택하는 빈도
실험 프로세스 3. knowlege test
- 해당 키워드/태그가 얼마나 대표적인지에 대한 테스트 (정답이 있는 지식 테스트)

- 1(very untypical)-7(very typical)점 척도로 응답
사전에 제시한 지식과 natvigate 후의 지식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보기 위함.
(1) correct 지식인 ‘Kakheti’ 산지에 대해서 강화되었는지

(2) incorrect 지식인 ‘plum’ 향에 대해서 약화되었는지
correct
incorrect
실험 결과- 가설 검증
가설 1. 사전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은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태그의 크기가 크면 관련 태그로서 많은 선택을 받을 것.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실험 결과- 가설1.
가설 1. 사전 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prior knowledge tag selection
프리드만 테스트

주효과 O
ㄴ correct tag 얼마나 선택?
prior knowledge
tag selection
실험 결과- 가설2.
가설 2. collective knowledge는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태그의 크기가 크면 많은 선택을 받을 것.)

tag size tag selection
ㄴ correct tag 얼마나 선택?ㄴ unweighted / weighted
Mann-Whitney U 테스트

주효과 O
tag size
tag selection
실험 결과- 가설3.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correct)
ㄴ unweighted / weighted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
(correct)
ㄴknowlege test
나와 같은 지식에 대해서는 강화
(1) correct 지식인 ‘Kakheti’ 산지에 대해서 강화되었는지
실험 결과- 가설4.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incorrect)
ㄴ unweighted / weighted
X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
(incorrect)
나와 다른 지식에 대해서는 무시(?)..

연구자들은 이것이 약해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은 사전 지식을 유지했다.
ㄴknowlege test
(2) incorrect 지식인 ‘plum’ 향에 대해서 약화되었는지
결론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 prior knowledge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달기-찾기는,

1) 옳고 그른 문제의 토픽이 아님. (트위터의 경우는 다를수도..)

사용자의 사전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 prior knowledge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달기-찾기는,

1) 옳고 그른 문제의 토픽이 아님. (트위터의 경우는 다를수도..)



2) ‘도메인에 대한 사전지식’ 뿐만 아니라,

(예상) ‘해시태그에 대한 prior knowledge’가 있다&나타난다&안다. 

+ (예상) 태그탐색은 ‘해시태그에 대한 지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왜 그런 해시태그를 달았나요?
검색 유입형
유입유도 #먹방 #아이슬란드여행 #churawumi #8bit #아브
뉴프랑 #아라파파홍차밀크잼
스팸 + 사진에 드러나지
않은
#소통 #이태원
응원/지지 #나잠수앤빅웨이브즈 #오무라이스잼잼 #WKDRS
폴더 분류형 #쩌름 #지스타상봉 #종로생활 #아빠의수건개기
스토리 정박형
강조 #감바스 #반지의제왕 #물고기빵
부연 + 사진에 드러나지
않은
#팔각정 #비오고먼지낀날 #우리반이행복해지는방
법 #남산한옥마을 #크루아상
감정/생각 표현형
직설 #넘나맛있는것 #괜히탄다그랬나 #정말달콤행
함축/은유 #묻으 #산책 #꽃길
“저는 해시태그 언어같은거 일부러 안써요. 비공개 계정이거든요.”

“사진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을 태그로 표현하고, 유입용 해시태그를 달죠 항상 끝에”

“멋져 보이는 태그가 있죠. #무드 가 아니라, #묻으 로 썼어요. 이런 특이한 태그를 쓰면 들어가보죠.
누가/어떤것을 여기에 태그 하나”

“아, #맛따라멋따라 이건 쓰고 들어가 봤어요. 이게 혹시 홍보용/스팸형 태그면 다음부터 안쓰려고.
들어가서 봐요.”
연구 목적
사용자의 사전 지식
태그가 주는 집단 지식

(weighted, 빈도, 수)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태그에 대한 집단 지식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Nuri Na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Nuri Na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Nuri Na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Nuri Na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Nuri Na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Nuri Na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Nuri Na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Nuri Na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Nuri Na
 

More from Nuri Na (8)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What Does Touch Tell Us about Emotions in Touchscreen-Based Gameplay?
 
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2015 f/w ux트렌드
2015 f/w ux트렌드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UI 패턴 스터디02] 사람들은 어떻게 얼굴도 안보고 글말을 하게 되었나 (메신저 UI)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The effect of social media comments on consumers’ responses to food safety in...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H mirror : 건강 상태를 반영해주는 건강 자아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슈티글러의 기술철학: 시간, 기억, 기술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슈티글러 기술철학 나누리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피로사회를통해서본새로운시계에대한고찰 나누리
 

Learning by foraging the impact of individual knowledge and social tags on web navigation processes

  • 1. Learning by foraging: The impact of individual knowledge and social tags on web navigation processes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2. - Held, Christoph, Joachim Kimmerle, and Ulrike Cress /나누리 x 2017 Spring
  • 2. “태그 달고 나서 들어가서 봐요” 모티베이션
  • 3. “태그 달고 나서 들어가서 봐요” “남들은 여기에 뭐 올렸나” “많이 쓰는 태그인가” “스팸성 게시물이 많은건 아닌가” 태그에 대한 타인의 행동을 참고한다. 태그에 대한 양적/질적 판단을 한다. 왜? 모티베이션 collective knowledge?
  • 4. 저자 소개 - 튀빙겐 대학, Knowledge Media Research Center Held, Christoph, Joachim Kimmerle, and Ulrike Cress - 인지심리학 배경, tagging의 collective knowledge에 관심 많음.
  • 5. 저널 소개 - 심리학 관점의 HCI 저널 (SSCI)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985~) - 심리학의 특성(연구 문제, 연구 방법)을 반영한 user behavior 연구가 많음.
 (사람/USER에 포커싱을 한다는 것이 장점)
  • 6. 연구 목적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 7. 연구 목적 사용자의 사전 지식 태그의 집단 지식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
  • 8. 연구 문제 & 가설 - 사전지식이 검색 중 navigation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이 navigation, learning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 을 미칠까? 가설 1. 사전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은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태그의 크기가 크면 관련 태그로서 많은 선택을 받을 것.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 9. 실험 디자인 weighted unweighted correct incorrect 모름 tag size prior knowledge - 207명 리쿠르팅, 사전 설문에 적합하지 않은 참가자 제외 180명 (평균나이 29세) - 온라인으로 진행
 - 2X3 between subjects
 tag size(2) X prior konwledge(3); 독립 -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사후 테스트 ; 종속
  • 10. 실험 디자인 weighted unweighted correct incorrect 모름 tag size prior knowledge - 207명 리쿠르팅, 사전 설문에 적합하지 않은 참가자 제외 180명 (평균나이 29세) - 온라인으로 진행
 - 2X3 between subjects
 tag size(2) X prior konwledge(3); 독립 -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사후 테스트 ; 종속 대조군실험군
  • 11. 실험 프로세스 1. prior knowledge 조작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그로 사람들이 navigate 어떻게하나 보기위한 것입니다.
 이 태그들은 와인 전문가들이 만든 것 입니다.
 당신은 대표적인 조지아 와인의 특성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지아 와인에 관한 한 블로거의 생각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ags prior knowledge 조지아 와인의 산지는 Kakheti가 대표적이다. … 조지아 와인의 포도는 Mtasvane를 주로 사용 한다. … 조지아 와인은 대개 Plum 향을 낸다. +
  • 12. 실험 프로세스 1. prior knowledge 조작 tags prior knowledge 조지아 와인의 산지는 Kakheti가 대표적이다. … 조지아 와인의 포도는 Mtasvane를 주로 사용 한다. … 조지아 와인은 대개 Plum 향을 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그로 사람들이 navigate 어떻게하나 보기위한 것입니다.
 이 태그들은 와인 전문가들이 만든 것 입니다.
 당신은 대표적인 조지아 와인의 특성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지아 와인에 관한 한 블로거의 생각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3. 실험 프로세스 2. navigation - 조지아 와인에 대한 태그들을 링크해가며 정보를 찾는 과정 - 9개의 태그 클라우드를 찾아본 다음에는 knowledge test를 거치게 됨. 태그 선택의 로그를 수집 > 구체적으로, 빈도를 측정 ex. 실험군별로, Kakheti 라는 correct한 태그를 선택하는 빈도
  • 14. 실험 프로세스 3. knowlege test - 해당 키워드/태그가 얼마나 대표적인지에 대한 테스트 (정답이 있는 지식 테스트) - 1(very untypical)-7(very typical)점 척도로 응답 사전에 제시한 지식과 natvigate 후의 지식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보기 위함. (1) correct 지식인 ‘Kakheti’ 산지에 대해서 강화되었는지
 (2) incorrect 지식인 ‘plum’ 향에 대해서 약화되었는지 correct incorrect
  • 15. 실험 결과- 가설 검증 가설 1. 사전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집단 지식(collective knowledge)은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태그의 크기가 크면 관련 태그로서 많은 선택을 받을 것.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 16. 실험 결과- 가설1. 가설 1. 사전 지식은 관련된 링크(태그)를 선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prior knowledge tag selection 프리드만 테스트 주효과 O ㄴ correct tag 얼마나 선택? prior knowledge tag selection
  • 17. 실험 결과- 가설2. 가설 2. collective knowledge는 navigation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태그의 크기가 크면 많은 선택을 받을 것.) tag size tag selection ㄴ correct tag 얼마나 선택?ㄴ unweighted / weighted Mann-Whitney U 테스트 주효과 O tag size tag selection
  • 18. 실험 결과- 가설3. 가설 3.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correct) ㄴ unweighted / weighted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 (correct) ㄴknowlege test 나와 같은 지식에 대해서는 강화 (1) correct 지식인 ‘Kakheti’ 산지에 대해서 강화되었는지
  • 19. 실험 결과- 가설4. 가설 4. collective knowledge에 부합하는 사전 지식은 강해질 것이다.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incorrect) ㄴ unweighted / weighted X tag size strength of association (incorrect) 나와 다른 지식에 대해서는 무시(?).. 연구자들은 이것이 약해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은 사전 지식을 유지했다. ㄴknowlege test (2) incorrect 지식인 ‘plum’ 향에 대해서 약화되었는지
  • 20. 결론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 21. 그런데,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 22. 그런데, 본 논문에서 prior knowledge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달기-찾기는,
 1) 옳고 그른 문제의 토픽이 아님. (트위터의 경우는 다를수도..)
 사용자의 사전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 23. 그런데, 본 논문에서 prior knowledge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달기-찾기는,
 1) 옳고 그른 문제의 토픽이 아님. (트위터의 경우는 다를수도..)
 
 2) ‘도메인에 대한 사전지식’ 뿐만 아니라,
 (예상) ‘해시태그에 대한 prior knowledge’가 있다&나타난다&안다. + (예상) 태그탐색은 ‘해시태그에 대한 지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자의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 지식은 -> 태그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태그 탐색은 -> (옳은 지식의 경우,)사전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 24. 왜 그런 해시태그를 달았나요? 검색 유입형 유입유도 #먹방 #아이슬란드여행 #churawumi #8bit #아브 뉴프랑 #아라파파홍차밀크잼 스팸 + 사진에 드러나지 않은 #소통 #이태원 응원/지지 #나잠수앤빅웨이브즈 #오무라이스잼잼 #WKDRS 폴더 분류형 #쩌름 #지스타상봉 #종로생활 #아빠의수건개기 스토리 정박형 강조 #감바스 #반지의제왕 #물고기빵 부연 + 사진에 드러나지 않은 #팔각정 #비오고먼지낀날 #우리반이행복해지는방 법 #남산한옥마을 #크루아상 감정/생각 표현형 직설 #넘나맛있는것 #괜히탄다그랬나 #정말달콤행 함축/은유 #묻으 #산책 #꽃길 “저는 해시태그 언어같은거 일부러 안써요. 비공개 계정이거든요.” “사진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을 태그로 표현하고, 유입용 해시태그를 달죠 항상 끝에” “멋져 보이는 태그가 있죠. #무드 가 아니라, #묻으 로 썼어요. 이런 특이한 태그를 쓰면 들어가보죠. 누가/어떤것을 여기에 태그 하나” “아, #맛따라멋따라 이건 쓰고 들어가 봤어요. 이게 혹시 홍보용/스팸형 태그면 다음부터 안쓰려고. 들어가서 봐요.”
  • 25. 연구 목적 사용자의 사전 지식 태그가 주는 집단 지식
 (weighted, 빈도, 수) 웹 검색 과정 중 navigation, learning 태그에 대한 집단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