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에디티지 코리아 (editage Korea)

Helping you get published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아프리카의 에이즈 확산에 대한 연구를 끝내고 환자들에
대한 독자의 이해 필요를 느낍니다 . 그래서 논문에 현장
에서 찍은 웃는 어린 소년의 사진 ( 질병에 대한 언급 ) 을
포함합니다 .
무엇을 잘못하는 있는 걸까요 ?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논문 하나가 캐나다 의료 협회 저널
(CMAJ) 에 1998 년 4 월 발표되었습니다 .
소년의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사진출판
( 그리고 출판에 관련된 비밀유지권 위
반 ) 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를 얻었는지를
궁금하게 여긴 독자가 강하게 비판했습니
다.
독자는 과학적 목적을 위해서라면 위반해
도 되는가에 대해 계속해서 의문을 제기
했습니다 .
결국 그 후 , CMAJ 의 편집장이 “동의를
얻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 환자의 정보
뿐만 아니라 사진까지도 실었던 것은 실수
였다”라는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

알고 계십니까 ?
“ 사전 동의”는 히틀러 정권하에서
악명 높던 “나치 의사들”에 의해
행해진 만행에 분노하여 연구와
출판에서 윤리 문제로 부각되었습
니다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윤리적 지침
인간을
의견이
가능한
밀접한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에서 목적 , 방법 , 자금 출처 , 양쪽의
달라 의견충돌이 일어날 가능성 , 연구원의 기관간 제휴 , 예상
혜택과 잠재적인 위험 , 수반될지 모를 불편 , 그리고 그 연구와
다른 분야에 대해 각각의 잠재적인 대상에게 고지해야 합니다 .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 연구에 불참할 권리가 있으며 , 언제든지 불이익
을 받지 않고 참여하겠다던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합니다 .
특별히 주의가 잠재적 대상이 되는 사람의 정보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제
공하는데 사용된 방법에도 주어져야 합니다 . 잠재적 대상이 정보를 이
해했다고 확실한 후 의사 또는 적절한 자격을 갖춘 개인은 잠재적 대상
의 자발적 사전동의를 서면으로 받아야 합니다 .
- 헬싱키 선언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참가자와 관련된 연구에서 , 작성된 사전동의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
1.이 문서는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후에도 참가자가 알고 싶어하면 세부
적인 영구기록으로 제공합니다 . ( 예를 들어 , 철회하기를 원한다면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
2.이러한 문서정보는 더 세부적이며 ( 예를 들어 , 전화 / 팩스번호 ) 참가자에
게 구두상으로 전달해서는 안됩니다 .
3.윤리위원회 또는 기관감사위원회는 참가자로부터 얻은 동의에서 오간 대화를
감시할 수 있는 리소스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 따라서 연구를 위해 작성된 사
전동의는 각 개인으로부터 윤리적 승인을 얻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4. 사전동의서는 법률적 효력이 있으며 , 연구에 관한 소송이 있을 경우 증거
( 어느 편에게 ) 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5. 만약 연구자가 윤리적 관행을 적절하게 따른다는 사실을 참가자가 알게 된
다면 , 장기적 이익으로 이끌어줄 연구자라 생각해 더 신뢰하게 될 겁니
다 . “ 간명하게 , 만약 대게 --- 특히 환자의 안전에서 --- 건전한 연구를
보장할 수 없다면 , 유전자 치료와 기타 잠재적인 생명구조치료를 위한 공
공 지원은 사라질 것입니다 . 자원봉사자도 나오지 않겠지요 ?
6. 이 후에 참가자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려는 사람 ( 예를 들어 , 후속 연구를
위해서 ) 은 참가자의 연락처를 얻기 위해서 이 문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연구를 시작할 때 사전동의를 얻지 못하는 것은 , 뼈아픈 실수가 될 수 있습니
다.
예를 들어 , 미국에서 일어난 사례 하나로 , 사전동의를 받지 않아서 5 백만 개가
넘는 혈액 샘플을 파괴해야 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

윤리적 지침
사전동의 없이 환자의 사생활보호권을 침해해서는 안됩니다 .
필요한 정보가 과학적 목적이 아니고 환자 ( 혹은 부모나 보호자 ) 가 출판하
는 것에 사전동의를 해 주지 않는다면 , 이름 , 이니셜 , 또는 병원번호를 포함
하는 식별 정보는 설명 , 사진 , 또는 족보를 작성해서 게시해서는 안됩니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한 사전동의는 환자가 확인가능한 출판될 논문원고에 표시
해야 합니다 .
-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논문원고의 획일적인 필수조건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게다가 많은 저명한 저널은 사전동의를 얻지 못하면 그것을 근거로 논문을
거부합니다 . 예를 들어 , 미국 정신의학 저널은 저자가 따라야 할 지침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 만약 논문을 제출할 때 작성된 사전동의나 기관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포함시키지 않으면 , 리뷰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
미국 의학협회 저널과 같은 다른 저널은 논문의 방법 부분 ( 서론 , 본론 ,
방법 , 그리고 결론 중 ) 에 적절한 기관심사위원회나 윤리위원회에서 얻은
공식적인 리뷰 및 승인 / 기권에 대해 언급하기를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 사전동의를 얻는 것과 보고하는 것은 연구와 논문원고 각각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입니다 . 이렇게 해야 과학자와 저자로써의 믿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현재 저널 에디터는 “원고가 과학적 또는 교육적인 가치가 있다
고 하더라도 , 익명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할 수 없을 때나 서면으로 사전동의를 얻
지 않았을 때는 그 원고는 출판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합니다 .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헬싱키선언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
학연구에 대한 윤리원칙
을 다룬 선언문

http://www.wma.net/en/30public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논문원고 필수조건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원고의 윤리요건에 관한
일련의 지침

http://www.icmje.org/

미국심리학 협회 출판
매뉴얼 , 제 6 판

특히 행동과학의 경우 ,
연구 참가자의 권리와 기
밀에 대해 자세한 설명
제공

http://www.apa.org/pubs/books/4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Council of Science
Editors 의 과학 저널
출판의 성실성 장려에
대한 백서

연구대상 사람 / 동물에게
행해지는 부당취급 예 목
록

미국 의학 협회 가이
드

의학 저널에 출판하는 기 http://www.amamanualofstyle.com
사를 집필 할 때 고려해야
할 윤리적 , 법적 사항 포
함

http://www.councilscienceeditors.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References
1.Rasid, M. (1998). AIDS in Africa: A personal experienc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8(8).
1051–1053. Available at http://ukpmc.ac.uk/articles/PMC1229229/pdf/cmaj_158_8_1051.pdf
2.Barnes, R. (1998). Confidentiality in medical publishing.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9(5).
443.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229634/pdf/cmaj_159_5_443.pdf
3.Hoey, J. (1998). Patient consent for publication—an apolog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9(5). 503–504.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229651/pdf/cmaj_159_5_503.pdf
4.Pedron, J. A., & Pimple, K. D. (2001). A Brief Introduction to Informed Consent in Research with
Human Subjects. Available at http://poynter.indiana.edu/sas/res/ic.pdf
5.59th WMA General Assembly, Seoul. (2008).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vailable at
http://www.wma.net/en/30publications/10policies/b3/17c.pdf
6.Resnik, D. B. (2009). Do informed consent documents matter?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30(2).
114–114. doi: 10.1016/j.cct.2008.10.004.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70580/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References
7.Shalala, D. (2000). Protecting research subjects—what must be don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11) 808–810.
8.Akst, J. (2009). Consent issues nix blood samples. The Scientist. Available at http://classic.thescientist.com/blog/display/56230/%20and%20http://www.texascivilrightsproject.org/?p=1096
9.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Ethical Considerations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Research:
Privacy and Confidentiality. Available at http://www.icmje.org/ethical_5privacy.html
10.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Guidelines For Authors On Preparing Manuscripts. Available
athttp://ajp.psychiatryonline.org/misc/ifora.dtl
11.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tructions for Authors. Available at http://jama.amaassn.org/site/misc/ifora.xhtml#EthicalApprovalofStudiesandInformedConsent
12.Levine, S. B.,  Stagno, S. J. (2001). Informed consent for case reports: The ethical dilemma of right
to privacy versus pedagogical freedom.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10. 193–201.
Available at http://jppr.psychiatryonline.org/cgi/content/full/10/3/193
소셜 미디어에서 에디티지코리아를 찾아 주세요
!
http://blog.naver.com/editage_kr
https://www.youtube.com/user/editageinsightskorea
http://www.twitter.com/editagekorea
http://www.linkedin.com/company/cactus-communications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에디티지(Editage Korea)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에디티지(Editage Korea)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에디티지(Editage Korea)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에디티지(Editage Korea)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에디티지(Editage Korea)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에디티지(Editage Korea)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에디티지(Editage Korea)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에디티지(Editage Korea)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에디티지(Editage Korea)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에디티지(Editage Korea)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에디티지(Editage Korea)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에디티지(Editage Korea)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에디티지(Editage Korea)
 
표절(Plagiarism)
표절(Plagiarism)표절(Plagiarism)
표절(Plagiarism)
에디티지(Editage Korea)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에디티지(Editage Korea)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 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 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에디티지(Editage Korea)
 

More from 에디티지(Editage Korea) (20)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살라미 분할과 중복출판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저자와 저널 편집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팁 에디티지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에디티지]저널이 출판하는 논문의 유형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저널이 출판을 꺼리는 논문 유형(반복연구&부정적인 연구결과)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학술출판물 지적재산권 이해하기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논문투고 체크리스트 A to z (에디티지제공)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에디티지]저널 출판 논문의 6가지 유형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논문쓰는법]정치적으로 올바른 단어선택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논문쓸 때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논문컨설팅 에디티지제공 논문과 전자 문서의 폰트선택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논문에 1인칭(i 와 we) 사용여부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저널 심사와 편집 결정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논문작성팁]형용사를 나열한 명사구에서 쉼표의 사용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E g 와i e namely의차이점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연구비 지원서 거절의 주된 사유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표절(Plagiarism)
표절(Plagiarism)표절(Plagiarism)
표절(Plagiarism)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오픈 엑세스를 통해 눈 깜짝할 사이에 전 세계로!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 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저널 선택 기준: 논문을 투고할 저널을 고를 때 필요한 8가지 힌트
 

간행윤리: 사전동의 (Informed Consent)

  • 1.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에디티지 코리아 (editage Korea) Helping you get published
  • 2.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아프리카의 에이즈 확산에 대한 연구를 끝내고 환자들에 대한 독자의 이해 필요를 느낍니다 . 그래서 논문에 현장 에서 찍은 웃는 어린 소년의 사진 ( 질병에 대한 언급 ) 을 포함합니다 . 무엇을 잘못하는 있는 걸까요 ?
  • 3.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논문 하나가 캐나다 의료 협회 저널 (CMAJ) 에 1998 년 4 월 발표되었습니다 . 소년의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사진출판 ( 그리고 출판에 관련된 비밀유지권 위 반 ) 에 대해 서면으로 동의를 얻었는지를 궁금하게 여긴 독자가 강하게 비판했습니 다. 독자는 과학적 목적을 위해서라면 위반해 도 되는가에 대해 계속해서 의문을 제기 했습니다 . 결국 그 후 , CMAJ 의 편집장이 “동의를 얻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 환자의 정보 뿐만 아니라 사진까지도 실었던 것은 실수 였다”라는 사과문을 발표했습니다 . 알고 계십니까 ? “ 사전 동의”는 히틀러 정권하에서 악명 높던 “나치 의사들”에 의해 행해진 만행에 분노하여 연구와 출판에서 윤리 문제로 부각되었습 니다
  • 4.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윤리적 지침 인간을 의견이 가능한 밀접한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에서 목적 , 방법 , 자금 출처 , 양쪽의 달라 의견충돌이 일어날 가능성 , 연구원의 기관간 제휴 , 예상 혜택과 잠재적인 위험 , 수반될지 모를 불편 , 그리고 그 연구와 다른 분야에 대해 각각의 잠재적인 대상에게 고지해야 합니다 .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 연구에 불참할 권리가 있으며 , 언제든지 불이익 을 받지 않고 참여하겠다던 동의를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합니다 . 특별히 주의가 잠재적 대상이 되는 사람의 정보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제 공하는데 사용된 방법에도 주어져야 합니다 . 잠재적 대상이 정보를 이 해했다고 확실한 후 의사 또는 적절한 자격을 갖춘 개인은 잠재적 대상 의 자발적 사전동의를 서면으로 받아야 합니다 . - 헬싱키 선언
  • 5.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참가자와 관련된 연구에서 , 작성된 사전동의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 . 1.이 문서는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후에도 참가자가 알고 싶어하면 세부 적인 영구기록으로 제공합니다 . ( 예를 들어 , 철회하기를 원한다면 누구에게 연락해야 할지 ) 2.이러한 문서정보는 더 세부적이며 ( 예를 들어 , 전화 / 팩스번호 ) 참가자에 게 구두상으로 전달해서는 안됩니다 . 3.윤리위원회 또는 기관감사위원회는 참가자로부터 얻은 동의에서 오간 대화를 감시할 수 있는 리소스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 따라서 연구를 위해 작성된 사 전동의는 각 개인으로부터 윤리적 승인을 얻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
  • 6.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4. 사전동의서는 법률적 효력이 있으며 , 연구에 관한 소송이 있을 경우 증거 ( 어느 편에게 ) 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5. 만약 연구자가 윤리적 관행을 적절하게 따른다는 사실을 참가자가 알게 된 다면 , 장기적 이익으로 이끌어줄 연구자라 생각해 더 신뢰하게 될 겁니 다 . “ 간명하게 , 만약 대게 --- 특히 환자의 안전에서 --- 건전한 연구를 보장할 수 없다면 , 유전자 치료와 기타 잠재적인 생명구조치료를 위한 공 공 지원은 사라질 것입니다 . 자원봉사자도 나오지 않겠지요 ? 6. 이 후에 참가자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려는 사람 ( 예를 들어 , 후속 연구를 위해서 ) 은 참가자의 연락처를 얻기 위해서 이 문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7.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연구를 시작할 때 사전동의를 얻지 못하는 것은 , 뼈아픈 실수가 될 수 있습니 다. 예를 들어 , 미국에서 일어난 사례 하나로 , 사전동의를 받지 않아서 5 백만 개가 넘는 혈액 샘플을 파괴해야 했던 경우가 있습니다 . 윤리적 지침 사전동의 없이 환자의 사생활보호권을 침해해서는 안됩니다 . 필요한 정보가 과학적 목적이 아니고 환자 ( 혹은 부모나 보호자 ) 가 출판하 는 것에 사전동의를 해 주지 않는다면 , 이름 , 이니셜 , 또는 병원번호를 포함 하는 식별 정보는 설명 , 사진 , 또는 족보를 작성해서 게시해서는 안됩니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한 사전동의는 환자가 확인가능한 출판될 논문원고에 표시 해야 합니다 . -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논문원고의 획일적인 필수조건
  • 8.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게다가 많은 저명한 저널은 사전동의를 얻지 못하면 그것을 근거로 논문을 거부합니다 . 예를 들어 , 미국 정신의학 저널은 저자가 따라야 할 지침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 만약 논문을 제출할 때 작성된 사전동의나 기관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포함시키지 않으면 , 리뷰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 미국 의학협회 저널과 같은 다른 저널은 논문의 방법 부분 ( 서론 , 본론 , 방법 , 그리고 결론 중 ) 에 적절한 기관심사위원회나 윤리위원회에서 얻은 공식적인 리뷰 및 승인 / 기권에 대해 언급하기를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 사전동의를 얻는 것과 보고하는 것은 연구와 논문원고 각각에 반드시 필요한 요건입니다 . 이렇게 해야 과학자와 저자로써의 믿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현재 저널 에디터는 “원고가 과학적 또는 교육적인 가치가 있다 고 하더라도 , 익명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할 수 없을 때나 서면으로 사전동의를 얻 지 않았을 때는 그 원고는 출판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합니다 .
  • 9.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헬싱키선언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 학연구에 대한 윤리원칙 을 다룬 선언문 http://www.wma.net/en/30public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논문원고 필수조건 생물의학저널에 제출된 원고의 윤리요건에 관한 일련의 지침 http://www.icmje.org/ 미국심리학 협회 출판 매뉴얼 , 제 6 판 특히 행동과학의 경우 , 연구 참가자의 권리와 기 밀에 대해 자세한 설명 제공 http://www.apa.org/pubs/books/4
  • 10.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Council of Science Editors 의 과학 저널 출판의 성실성 장려에 대한 백서 연구대상 사람 / 동물에게 행해지는 부당취급 예 목 록 미국 의학 협회 가이 드 의학 저널에 출판하는 기 http://www.amamanualofstyle.com 사를 집필 할 때 고려해야 할 윤리적 , 법적 사항 포 함 http://www.councilscienceeditors.
  • 11.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References 1.Rasid, M. (1998). AIDS in Africa: A personal experienc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8(8). 1051–1053. Available at http://ukpmc.ac.uk/articles/PMC1229229/pdf/cmaj_158_8_1051.pdf 2.Barnes, R. (1998). Confidentiality in medical publishing.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9(5). 443.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229634/pdf/cmaj_159_5_443.pdf 3.Hoey, J. (1998). Patient consent for publication—an apology.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9(5). 503–504.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229651/pdf/cmaj_159_5_503.pdf 4.Pedron, J. A., & Pimple, K. D. (2001). A Brief Introduction to Informed Consent in Research with Human Subjects. Available at http://poynter.indiana.edu/sas/res/ic.pdf 5.59th WMA General Assembly, Seoul. (2008).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Available at http://www.wma.net/en/30publications/10policies/b3/17c.pdf 6.Resnik, D. B. (2009). Do informed consent documents matter?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30(2). 114–114. doi: 10.1016/j.cct.2008.10.004. Availabl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70580/
  • 12. 사전 동의 (Informed Consent) References 7.Shalala, D. (2000). Protecting research subjects—what must be don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11) 808–810. 8.Akst, J. (2009). Consent issues nix blood samples. The Scientist. Available at http://classic.thescientist.com/blog/display/56230/%20and%20http://www.texascivilrightsproject.org/?p=1096 9.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Ethical Considerations i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Research: Privacy and Confidentiality. Available at http://www.icmje.org/ethical_5privacy.html 10.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Guidelines For Authors On Preparing Manuscripts. Available athttp://ajp.psychiatryonline.org/misc/ifora.dtl 11.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structions for Authors. Available at http://jama.amaassn.org/site/misc/ifora.xhtml#EthicalApprovalofStudiesandInformedConsent 12.Levine, S. B., Stagno, S. J. (2001). Informed consent for case reports: The ethical dilemma of right to privacy versus pedagogical freedom. Journal of Psych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 10. 193–201. Available at http://jppr.psychiatryonline.org/cgi/content/full/10/3/193
  • 13. 소셜 미디어에서 에디티지코리아를 찾아 주세요 ! http://blog.naver.com/editage_kr https://www.youtube.com/user/editageinsightskorea http://www.twitter.com/editagekorea http://www.linkedin.com/company/cactus-commun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