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ungwon Jo
boxfacelab@gmail.com
www.boxfacelab.com
시각예술 부문 : 평면·입체
◼
◼ 경력
2012 Sejong University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B.A
2014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Visual Design M.A
2016~2017 아트 센터 나비 멘티
2017 콘텐츠 테크랩 IoT랩 콘텐츠 크리에이터
2020 AB Gallery 전속작가
◼
◼개인전
2020.12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Exhibition (장생포고래로131 작은미술관, 울산)
2020. 10 '이달의 작가 초대전' Exhibition (토이 플래닛, 서울)
2020. 09 '검은 상자' Exhibition 초대 작가전 (AB Gallery, 서울)
2020. 09 Black Box Exhibition 결과 보고전 (장생포고래로131 작은미술관, 서울)
2020. 01 Black Eye Fish Exhibition (Red Gallery, 서울)
2019 Sungwon Jo Solo Exhibition (Red Gallery, 서울)
◼
◼단체전
2021.06 Art contact istanbul(Eurasia show and art center, istanbul)
2021.05 서로드로잉전(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1.04 서울프로젝트보고전(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0.11 시선 전시회 (영등포시장역 2층 크리에티브 샘, 서울)
2020.11 제 11회 신화예술인촌 지붕 없는 미술관 전시회 (신화예술인촌Gallery, 울산)
2020.10 감각공유:SENSE12 전시회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10 제 8,9,10회 신진작가 작품구입 공모전시 (미누 현대미술관, 경기도)
2020 빅매칭 전시회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 삼인삼색전 전시회 (AB Gallery. 서울)
2020 Shine in the Light Exhibition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 Beyond Virus Exhibition (AB Gallery. 서울)
2019 Comtempoary Istanbul (Istanbul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터키)
010. 5120. 7309
boxfacelab@gmail.com
Homepage www.boxfacelab.com
2019 가을 소품 전시회 (AB Gallery. 서울)
2019 자연과 대화 (국립생물자원관 제 1전시관, 인천)
2019 제 1회 머스트레진 초대 전시회 (팥레트 서울 갤러리, 서울)
2019 레드 플래릿 아트 토이 전시회 (Red Gallery, 서울)
2019 아트토이 하면 돼지 전 (명동 8 갤러리, 서울)
2018 아트탈출 전시회 (온유 갤러리, 경기도)
2018 ACC_R CREATORS IN LAB SHOWCASE,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문화창조원, 광주)
2015~2019 Taipei Toy Festival (Huashan1914 Creative Park, Taipei)
◼
◼ 레지던시
2016~2017 강동 재활용 아트 센터
2018 국립 아시아문화 전당 레지던시 ACC_R.
2020 창작스튜디오 장생포 고래로 131 레지던시
2021 UNIST 사이언스월든 센터 과일집 과학 예술 융합 레지던시
2021 레트로봉황 레지던시 입주작가
◼
◼ Public Collections
서울 시청 박물관 (검은 눈 물고기 연작)
예술공간 서로 (구름공장 박스, 나무 박스)
◼
◼ Project
2021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노원문화원 인문협업자
2020 우리동네 공공미술 프로젝트(울산, 한국)
2020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울산남구문화재단 인문협업자
2020 예술파견지원사업 리더예술인 (주)유쾌한
2019 KT narle 오픈상담소
2019 예술인파견지원사업 퍼실리테이터 에코샵홀씨(주)
2018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참여예술인 농협중앙회
2010 ~ 2020년 문자 디자인 수상 이력
01. 2010년 제6회 한글 문화상품 공모전 좋은상 (한글에, 꽂다.)
02. 2012년 제8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을걸다.)
03. 2013년 제21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Voronoi Ecofont / 보로노이를 이용한 잉크를 아끼는 글자)
04. 2013년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에, 담다.)
05. 2013년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나무)
06. 2014년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에, 머물다.)
07. 2014년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에, 놓다.)
08.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09. 2016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장려상 (한글 자석 걸이)
10. 2017년 제13회 한글문화상품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가지)
11. 2017년 제13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12. 2020년 제1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으뜸상 (한글 사이)
13. 2013년 Adobe Design Achivement Awards Illustration Category Semifinalist(Latters having the eyes)
01. 한글에, 꽂다.
수상	 2010 제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좋은상
다양한 모양과 새로운 사용 방식으로 한글을 이용하여 메모꽂이에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공예품인 나전칠기의 주재료인 자개를
현대적인 공산품에 접목하여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의 편리성을 고려해서 디자인하였다.
크기 가로35㎜ 세로35㎜ 높이60㎜
재질 스테인글라스, 자개
02. 한글을, 걸다.
수상	 2012 제8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의 형태를 이용해 옷걸이를 디자인 하였다.
한글 옷걸이는 한글의 각각의 글자 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옷을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원하는 글자에 원하는 방식을,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옷걸이를 디자인하였으며
무엇보다 한글의 아름다운 조형성을 살려 제작하였다.
한글 옷걸이는 세로형과 가로형이 있다.
세로형은 옷걸이를 세로로 세워 옷을 걸어 보관하는 형태이며, 가로 형은 벽에 부착해 옷을 거는 방식이다.
03.보로노이를 이용한 잉크를 아끼는 글자
수상	 2013 제21회 한글 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검정은 인간을 위한 공간이라면, 흰색은 자연을 위한 공간으로 제작하였다.
폰트에 흰색공간을 만듦으로써 흰색공간에 잉크가 스며들지 않게 하였다.
즉, 흰색공간만큼 잉크를 아낄 수 있다.
타사에 에코폰트보다 잉크트랩(흰색공간)의 단위면적이 넓어 잉크를 더욱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의 벌집 구조를 통한
에코폰트(Eco Font)는 6~12pt 크기에서 사용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폰트와 같은 명도에서 잉크와 토너를 절약해서 사용할 수 있다.
04. 한글에, 담다.
수상	 2013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수납장을 디자인하였다.
한글 수납장은 한글의 모습을 살려 디자인하였기에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해 보관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한글 수납장은 홑자 수납장과 닿자 수납장이 있다.
닿자 수납장 가로4m 세로2.4m 깊이0.5m
홀자 수납장 가로2m 세로0.7m 깊이0.5m
05. 한글 나무
수상	 2013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 나무는 한글을 사용해서 만든 액세서리를 걸 수 있는 문화상품이다.
한글 나무에 사용된 글자는 한글나무를 위해 제작된 풀어쓰기로 글꼴로 제작되었다.
한글 나무에 사용되는 글자들은 정해진 기준을 통해 통일된 모습의 글자로 제작한 후
액세서리 등을 걸 수 있는 구조로 공간을 주어 제작하였다. 한글 나무를 통해서 소중한 액세서리를 아름답게 보관할 수 있다.
ㄱ·ㄴ·ㄷ·ㄹ·ㅁ·ㅂ·ㅅ을 이용한 자전거 거치대
ㅈ·ㅊ·ㅋ·ㅌ·ㅇ·ㅍ·ㅎ을 이용한 자전거 거치대
Front view
Front view
Back view
Back view
Side view
Side view
Perspective view
Perspective view
06. 한글에, 머물다.
수상	 2014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자전거 거치대를 디자인하였다.
한글 자전거 거치대는 한글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나도록 디자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즐거움과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한글 자전거 거치대이다.
크기 가로350㎝ 세로65㎝ 깊이65㎝ 재질 스테인레스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크기 가로130㎜ 세로130㎜ 높이20㎜ 재질 강화플라스틱
닿자 받침대 홀자 받침대
07. 한글에, 놓다.
수상	 2014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설명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다용도 받침대를 디자인하였다.
한글 다용도 받침대는 한글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나도록 디자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즐거움과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다용도 받침대이다.
· 휴대전화기, 명함과 같이 다른 두깨가 다른 물건도
보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다르게 했다.
· 펜과 연필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홈을 만들었으며
홈의 간격도 다르게 하였다.
· 휴대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세울 때 경사지게
세우기 위해서 경사를 두었다.
· 물건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곽을 높게 만들었다.
· 정리와 보관을 위해 각각의 받침대를 연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받침대를 제작하였다.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08. 민체 바탕.
수상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09. 한글 자석 걸이.
수상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한글을 이용해 벽 부착 걸이를 제작하였다.
자석이 제품 내부에 있으므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
한글의 기하적인 조형요소를 빌려 디자인 하였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기능을 담고 있기에 벽 부착 걸이 이외에 풀어쓰기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10. 한글 가지 .
수상	 2017년 제11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한글 가지는 나무의 가지를 모티브로 제작되었습니다.
나뭇가지들이 모여 다양한 형태를 만드는 모습처럼 한글을 가지처럼 이어지게 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이음 가지의 돌출된 부분을 삽입해 결합하는 구조로 제작하였습니다.
사용자가 상상하는 다양한 모습을 만들어 교육, 생활용품, 장식 등 목적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한글 언덕.
수상	 2017년 제11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한글 언덕은 한글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이용한 수납 용품이다.
한글 낱자에 타공을 주어 연필, 붓 등 꽂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제작하였으며,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또한, 낱자의 줄기와 줄기의 사이 공간에 명함이나, 메모지를
보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의 연관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그리드 타입을 활용해 낱자들을 연관성 있게 디자인하였다.
12. 한글 사이.
수상	 2020년 제1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으뜸상 (한글 사이)
한글에 낱자 에는 다양한 기운이 있습니다.
‘글자 사이’ 는 낱자와 낱자 사이에서 오는 기운이 생동함을 생활에서 사용하며 느끼도록 제작한 한글 문화 상품입니다.
고요함, 여백에서 오는 간극의 기운이 충만하여 생동 할수 있도록 제작하려 하였습니다.
밑판은 한글 낱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석과 홈을 만들어 제작을 하였습니다.
고정된 한글 낱자 사이에 물건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낱자를 풀어 쓰기 방식으로 배치해 메세지를 전달하고 장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한글 낱자들은 음양에서 오는 다양한 기운을 느낄수 있도록 깊이를 생각하며 기하학적인 형을 살려서 제작하였습니다.
13. Latters having the eyes
수상	 2013 Adobe Design Achivement Awards Illustration Category Semifinalist (Latters having the eyes)
설명	 우리는 인간으로부터 자유를 원한다.
눈 있는 글자
인간이 만든 것에는 영혼이 있다.
글자에도 영혼이 있다.
즉, 글자는 살아있다.
사람은 시각을 통해 글자를 읽는다.
글자들은 인간이 원할 때 읽혀야 한다.
글자들도 자유가 있다.
즉, 그들은 인간의 시각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나는 글자가 인간과 같은 인격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인간이 글자는 보는 것처럼 글자에도 눈을 주어 인간을 보게 했다.
그리고 인간을 거부할 때는 눈을 감게 했다.
꾸준히,
한글 작업
10년 가까이 한글 공모전에 출품을 하며,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상은 못하였지만,
한글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글 크레파스
2018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출품작
한글을 이용한 크레파스는 한글문화 상품으로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의 형태와 몬스터 형태를 결합해 제작한 크레파스이다.
한글 크레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만들어 그림을 그리며,
부모님과 함께 한글을 즐겁게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실놀이 블록
2019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출품작
한글을 이용한 크레파스는 한글문화 상품으로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의 형태와 몬스터 형태를 결합해 제작한 크레파스이다.
한글 크레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만들어 그림을 그리며,
부모님과 함께 한글을 즐겁게 익힐 수 있도록
한글 크레파스와 한글 크레파스를 활용할수 있는 색칠공부 그림책을 함께 구성해 디자인하였다.
박스체
설명	 제작 키워드는 글자가족, 윗선과 밑선의 통일, 단단한 글자, 대비가 큰 글자이다.
그래서 모든 글자의 윗선과 밑선이 통일되어 있으며 글자의 대비가 크다.
사각형은 글자의 무게 중심, 글자 틀 등을 잡아주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본문용이 아닌 그래픽과 제목용 글자체이다.
현재 가는 줄기는 1000자, 중간 줄기는 100자, 굵은 줄기는 500자를 만들었소, 2350자를 목표로 제작하고 있으며,
영문과 일어는 대부분 제작되었다. 앞으로는 공간조절과 시각보정을 할 계획이다.
원형체
설명	 원형체는 줄기의 처음과 맺음 부분에 원형을 넣었다.
조합식으로 글자를 제작하였으며,
이음줄기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글자의 낳자들을 조합해,
다양한 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뼈만 남은 글자체
설명	 “글자를 대할 때.
글자를 생명으로 생각하며,
뼈,
혈,
살,
기운,
생동,
혼,
담는 글자를 만들도록,
초심을 잊지 않고 글자와 호흡하며,
정진하겠다.”
이와 같은 생각으로 글자에 뼈만 남기고 살, 혈을 제외한 글자를 제작해 보았다.
뼈처럼 앙상한 줄기로 제작했으며, 줄기의 가운데 부분이 처음과 맺음보다 더 가늘게 디자인하였다.
완성형이며, 제목용 글자체로 제작하였다.
세가체
설명	 가로쓰기 글자체를 세로쓰기로 할 때 글자의 구조가 다르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세로쓰기 글자체를 가로쓰기로 할 때도 글자의 구조가 다르므로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가로쓰기 글자체와 세로쓰기 글자체를 다르게 사용한다.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함께할 수 있는 글자체가 없으므로
각각의 다른 쓰기방식의 글자체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세가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가체’를 사용한다면 본문에서도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으며,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가로쓰기에 어울리는 세로쓰기체를 찾는데 어려움 또한 줄 것이다.
또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를 개발함으로써
앞으로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 개발에 초석으로써 이바지할 수 있는 본문용 글자체라고 할 수 있다.
비약적 생략 글자
설명	 중국의 한자는 획순을 줄여 간편하게 쓰고자 간자를 만들었다.
한글도 획순을 줄여 보다 간편하게 쓰고자 글자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슈탈트의 시지각의 원리를 이용하여 몇 가지 획만 사라지게 한다며,
익숙함이란 기억이 사라진 획을 대신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제작해 보았다.
지금의 키읔(ㅋ)자도 기역(ㄱ)자가 두개로된 형태에서 축약된것이다.
그 당시 사람에게 전달되는 매체가 물성을 지닌 종이 등과 같은 것이었다면,
지금의 전달되는 매체는 비물성(물성이지만 촉감을 느낄 수 없는것)의 스크린 등으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전달되는 도구는 변화된 것이다.
도구가 변화됨으로써 글자의 형태가 다르게 변화되는 것처럼 글자도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얼리 고딕체
설명	 얼리 고딕체는 Dip pen으로 스케치를하고 제작한 글자체이다.
서양의 Early Gothic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하였으며,
동양의 모필과는 다르게 다음과 같은 생각으로 제작하였다.
“동양의 줄기는 유연함속에 오는 강함(경직, 딱딱함)
서양의 줄기는 강함(경직, 딱딱함)속에 오는 유연함”
세로 흘림체
설명	 세로 흘림체는 줄기와 줄기의 기혈맥락을 고려해 제작한 세로쓰기 흘림체이다.
흘림체와 정체를 비교해 정의하면 흘림체는 붓의 운필시 줄기(획)와 줄기(획)가 연결되어  
줄기와 줄기 사이에 줄기의 처음과 끝이 이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정체는 줄기(획)와 줄기(획)가 이어진 모습이 아닌 처음과 맺음이 구분된 모습(단절된)을 볼 수 있다.
본 세로쓰기 흘림체는 이러한 흘림의 개념으로 획의 처음과 맺음을 이어지게 하였고
서예 서법에서의 필봉(筆鋒)과 견사(牽絲)의 개념을 빌려 제작하였다.
가는 줄기와 굵은 줄기를 두 종류를 고려해 제작해 보았다. 가는줄기에는 부드러움과 유연함을 담으려고 했다.
그래서 맺음에 전봉(轉鋒)을 하였다. 반면 굵은 줄기는 줄기가 두꺼워 짐으로써 살찐 글자가 되었다.
그래서 맺은에 절봉(折鋒)을 하게되고 각(角)을 지게 제작하였다.
욕체
설명	 욕에도 감정이 있다.
필자는 욕에 네 가지 감정이 있다고 본다.
좋은 감정 뱉는 욕.
나쁜 감정 뱉는 욕.
감정 없이 뱉는 욕.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이 섞여, 뱉는 욕.
욕체는 이러한 욕을 모두 느끼게 하도록 제작하려고 하였다.
날카롭지만 부드럽게, 필자의 감각으로 중립을 지키며, 바람체를 참고해 제작하였다.
아이웃음
수상	 2012 SOKI International Design & Illustration Competition by Society of korea Illusart 우수상
2013 SOKI International Design & Illustration Competition by Society of korea Illusart 심사위원 특별상
설명 도시 아이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웃음 짓지 말아야 할 웃음으로 병들어 가고 있다.
그래서 아이 웃음을 통해 해로운 미디어에서 느끼는 웃음이 아닌
자연에서 느끼는 웃음이야말로 아이들이 가져야 하는 진정한 웃음이라고 말하고자
자연적인 요소와 아이 웃음을 결합해 그린 일러스트이다.
재료로는 한지와 동양화 물감이다.
무엇처럼
개인 작업	
도구 동양화 재료(한지, 동양화 물감, 먹, 붓), Photoshop, Indesign
설명 나의 마음가짐을 ‘무엇처럼’에 빗대어 표현한 일러스트이다.
“향기 나는 꽃처럼,
삐뚤어지지 않는 대나무의 곧은 성품처럼,
자유롭게 세상을 나는 새처럼,
투명한 푸른 시내처럼,
맑게 웃는 아이처럼,
부족한 점이 많은 나지만 흰 종이에 먹이 퍼지듯
채워가며 무엇처럼, 살아가겠습니다.”
일러스트를 전통 제본 방식을 사용해 책으로 제작하였다.
Hangul
Hangul
Hangul
Hangul
Hangul
Hangul
Hangul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Hangul

20191216 port folio
20191216 port folio20191216 port folio
20191216 port folio
Sungwon Jo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은지 조
 
2019 PortFolio_Sungwon Jo
2019 PortFolio_Sungwon Jo2019 PortFolio_Sungwon Jo
2019 PortFolio_Sungwon Jo
Sungwon Jo
 
20191206 portfolio
20191206 portfolio20191206 portfolio
20191206 portfolio
Sungwon Jo
 
2018 boxface lab
2018 boxface lab2018 boxface lab
2018 boxface lab
Sungwon Jo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Henry Hyeongrae Kim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조상현 Sang-Hyun
 
시영디 이론 과제
시영디 이론 과제시영디 이론 과제
시영디 이론 과제
han59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타이포그래피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타이포그래피
유정 김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JongHo Lee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Eunmi Park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명희 서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Npocenter Seoul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libbonkorea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fmcommunications
 
그리드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그리드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
Byoung-in Kim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Byoung-in Kim
 

Similar to Hangul (18)

20191216 port folio
20191216 port folio20191216 port folio
20191216 port folio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2019 PortFolio_Sungwon Jo
2019 PortFolio_Sungwon Jo2019 PortFolio_Sungwon Jo
2019 PortFolio_Sungwon Jo
 
20191206 portfolio
20191206 portfolio20191206 portfolio
20191206 portfolio
 
2018 boxface lab
2018 boxface lab2018 boxface lab
2018 boxface lab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천 년을 간다는 한지로 생활공예품을 만들어보자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20141025
 
시영디 이론 과제
시영디 이론 과제시영디 이론 과제
시영디 이론 과제
 
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타이포그래피한글 타이포그래피
한글 타이포그래피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0기_세꿈한길_탐방보고서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권윤지 포트폴리오 Compressed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국립현대미술관 브랜드북 /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2015_미트쉐어컨텐츠_씨앗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
허수연 포트폴리오 허수연연구소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Design Trend] 2013 Seoul Design Festival
 
그리드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그리드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디자인 매거진 <ca> 그리드 시스템
 

More from Sungwon Jo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Sungwon Jo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Sungwon Jo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Sungwon Jo
 
아트토이 체험 교육
아트토이 체험 교육아트토이 체험 교육
아트토이 체험 교육
Sungwon Jo
 
태화강 철새
태화강 철새태화강 철새
태화강 철새
Sungwon Jo
 
2021 장소 담기 소개
2021 장소 담기 소개2021 장소 담기 소개
2021 장소 담기 소개
Sungwon Jo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Sungwon Jo
 
Diy light
Diy lightDiy light
Diy light
Sungwon Jo
 
Diy light
Diy lightDiy light
Diy light
Sungwon Jo
 

More from Sungwon Jo (9)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2022 BoxboxLab Portfolio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나무 아래 아파트(Apartment under tree)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아파트 지우개(Apartment eraser)
 
아트토이 체험 교육
아트토이 체험 교육아트토이 체험 교육
아트토이 체험 교육
 
태화강 철새
태화강 철새태화강 철새
태화강 철새
 
2021 장소 담기 소개
2021 장소 담기 소개2021 장소 담기 소개
2021 장소 담기 소개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Diy light
Diy lightDiy light
Diy light
 
Diy light
Diy lightDiy light
Diy light
 

Hangul

  • 2.
  • 3. ◼ ◼ 경력 2012 Sejong University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B.A 2014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Visual Design M.A 2016~2017 아트 센터 나비 멘티 2017 콘텐츠 테크랩 IoT랩 콘텐츠 크리에이터 2020 AB Gallery 전속작가 ◼ ◼개인전 2020.12 ‘고래를 꿈꾸는 장생포’ Exhibition (장생포고래로131 작은미술관, 울산) 2020. 10 '이달의 작가 초대전' Exhibition (토이 플래닛, 서울) 2020. 09 '검은 상자' Exhibition 초대 작가전 (AB Gallery, 서울) 2020. 09 Black Box Exhibition 결과 보고전 (장생포고래로131 작은미술관, 서울) 2020. 01 Black Eye Fish Exhibition (Red Gallery, 서울) 2019 Sungwon Jo Solo Exhibition (Red Gallery, 서울) ◼ ◼단체전 2021.06 Art contact istanbul(Eurasia show and art center, istanbul) 2021.05 서로드로잉전(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1.04 서울프로젝트보고전(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0.11 시선 전시회 (영등포시장역 2층 크리에티브 샘, 서울) 2020.11 제 11회 신화예술인촌 지붕 없는 미술관 전시회 (신화예술인촌Gallery, 울산) 2020.10 감각공유:SENSE12 전시회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10 제 8,9,10회 신진작가 작품구입 공모전시 (미누 현대미술관, 경기도) 2020 빅매칭 전시회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 삼인삼색전 전시회 (AB Gallery. 서울) 2020 Shine in the Light Exhibition (장생포고래로131 작은 미술관, 울산) 2020 Beyond Virus Exhibition (AB Gallery. 서울) 2019 Comtempoary Istanbul (Istanbul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터키) 010. 5120. 7309 boxfacelab@gmail.com Homepage www.boxfacelab.com 2019 가을 소품 전시회 (AB Gallery. 서울) 2019 자연과 대화 (국립생물자원관 제 1전시관, 인천) 2019 제 1회 머스트레진 초대 전시회 (팥레트 서울 갤러리, 서울) 2019 레드 플래릿 아트 토이 전시회 (Red Gallery, 서울) 2019 아트토이 하면 돼지 전 (명동 8 갤러리, 서울) 2018 아트탈출 전시회 (온유 갤러리, 경기도) 2018 ACC_R CREATORS IN LAB SHOWCASE, (국립 아시아 문화전당 문화창조원, 광주) 2015~2019 Taipei Toy Festival (Huashan1914 Creative Park, Taipei) ◼ ◼ 레지던시 2016~2017 강동 재활용 아트 센터 2018 국립 아시아문화 전당 레지던시 ACC_R. 2020 창작스튜디오 장생포 고래로 131 레지던시 2021 UNIST 사이언스월든 센터 과일집 과학 예술 융합 레지던시 2021 레트로봉황 레지던시 입주작가 ◼ ◼ Public Collections 서울 시청 박물관 (검은 눈 물고기 연작) 예술공간 서로 (구름공장 박스, 나무 박스) ◼ ◼ Project 2021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노원문화원 인문협업자 2020 우리동네 공공미술 프로젝트(울산, 한국) 2020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울산남구문화재단 인문협업자 2020 예술파견지원사업 리더예술인 (주)유쾌한 2019 KT narle 오픈상담소 2019 예술인파견지원사업 퍼실리테이터 에코샵홀씨(주) 2018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참여예술인 농협중앙회
  • 4. 2010 ~ 2020년 문자 디자인 수상 이력 01. 2010년 제6회 한글 문화상품 공모전 좋은상 (한글에, 꽂다.) 02. 2012년 제8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을걸다.) 03. 2013년 제21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Voronoi Ecofont / 보로노이를 이용한 잉크를 아끼는 글자) 04. 2013년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에, 담다.) 05. 2013년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나무) 06. 2014년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에, 머물다.) 07. 2014년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에, 놓다.) 08.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09. 2016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장려상 (한글 자석 걸이) 10. 2017년 제13회 한글문화상품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가지) 11. 2017년 제13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12. 2020년 제1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으뜸상 (한글 사이) 13. 2013년 Adobe Design Achivement Awards Illustration Category Semifinalist(Latters having the eyes)
  • 5. 01. 한글에, 꽂다. 수상 2010 제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좋은상 다양한 모양과 새로운 사용 방식으로 한글을 이용하여 메모꽂이에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공예품인 나전칠기의 주재료인 자개를 현대적인 공산품에 접목하여 한국의 전통미와 현대의 편리성을 고려해서 디자인하였다. 크기 가로35㎜ 세로35㎜ 높이60㎜ 재질 스테인글라스, 자개
  • 6.
  • 7. 02. 한글을, 걸다. 수상 2012 제8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버금상 한글의 형태를 이용해 옷걸이를 디자인 하였다. 한글 옷걸이는 한글의 각각의 글자 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옷을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원하는 글자에 원하는 방식을,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옷걸이를 디자인하였으며 무엇보다 한글의 아름다운 조형성을 살려 제작하였다. 한글 옷걸이는 세로형과 가로형이 있다. 세로형은 옷걸이를 세로로 세워 옷을 걸어 보관하는 형태이며, 가로 형은 벽에 부착해 옷을 거는 방식이다.
  • 8.
  • 9. 03.보로노이를 이용한 잉크를 아끼는 글자 수상 2013 제21회 한글 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검정은 인간을 위한 공간이라면, 흰색은 자연을 위한 공간으로 제작하였다. 폰트에 흰색공간을 만듦으로써 흰색공간에 잉크가 스며들지 않게 하였다. 즉, 흰색공간만큼 잉크를 아낄 수 있다. 타사에 에코폰트보다 잉크트랩(흰색공간)의 단위면적이 넓어 잉크를 더욱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의 벌집 구조를 통한 에코폰트(Eco Font)는 6~12pt 크기에서 사용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폰트와 같은 명도에서 잉크와 토너를 절약해서 사용할 수 있다.
  • 10.
  • 11.
  • 12. 04. 한글에, 담다. 수상 2013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수납장을 디자인하였다. 한글 수납장은 한글의 모습을 살려 디자인하였기에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해 보관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한글 수납장은 홑자 수납장과 닿자 수납장이 있다. 닿자 수납장 가로4m 세로2.4m 깊이0.5m 홀자 수납장 가로2m 세로0.7m 깊이0.5m
  • 13.
  • 14. 05. 한글 나무 수상 2013 제9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한글 나무는 한글을 사용해서 만든 액세서리를 걸 수 있는 문화상품이다. 한글 나무에 사용된 글자는 한글나무를 위해 제작된 풀어쓰기로 글꼴로 제작되었다. 한글 나무에 사용되는 글자들은 정해진 기준을 통해 통일된 모습의 글자로 제작한 후 액세서리 등을 걸 수 있는 구조로 공간을 주어 제작하였다. 한글 나무를 통해서 소중한 액세서리를 아름답게 보관할 수 있다.
  • 15.
  • 16.
  • 17.
  • 18. ㄱ·ㄴ·ㄷ·ㄹ·ㅁ·ㅂ·ㅅ을 이용한 자전거 거치대 ㅈ·ㅊ·ㅋ·ㅌ·ㅇ·ㅍ·ㅎ을 이용한 자전거 거치대 Front view Front view Back view Back view Side view Side view Perspective view Perspective view 06. 한글에, 머물다. 수상 2014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아름상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자전거 거치대를 디자인하였다. 한글 자전거 거치대는 한글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나도록 디자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즐거움과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한글 자전거 거치대이다. 크기 가로350㎝ 세로65㎝ 깊이65㎝ 재질 스테인레스
  • 19.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 20. 크기 가로130㎜ 세로130㎜ 높이20㎜ 재질 강화플라스틱 닿자 받침대 홀자 받침대 07. 한글에, 놓다. 수상 2014 제10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아름상 설명 한글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해 다용도 받침대를 디자인하였다. 한글 다용도 받침대는 한글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한글의 우수한 조형성이 잘 나타나도록 디자인하여, 사용자로부터 즐거움과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다용도 받침대이다.
  • 21. · 휴대전화기, 명함과 같이 다른 두깨가 다른 물건도 보관할 수 있도록 간격을 다르게 했다. · 펜과 연필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홈을 만들었으며 홈의 간격도 다르게 하였다. · 휴대전화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세울 때 경사지게 세우기 위해서 경사를 두었다. · 물건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곽을 높게 만들었다. · 정리와 보관을 위해 각각의 받침대를 연결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받침대를 제작하였다. Detail view Detail view Detail view
  • 22. 08. 민체 바탕. 수상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 23.
  • 24. 09. 한글 자석 걸이. 수상 2015년 제23회 한글글꼴 디자인 공모전 아름상 (민체바탕) 한글을 이용해 벽 부착 걸이를 제작하였다. 자석이 제품 내부에 있으므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 한글의 기하적인 조형요소를 빌려 디자인 하였기에 다양한 방식으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기능을 담고 있기에 벽 부착 걸이 이외에 풀어쓰기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10. 한글 가지 . 수상 2017년 제11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한글 가지는 나무의 가지를 모티브로 제작되었습니다. 나뭇가지들이 모여 다양한 형태를 만드는 모습처럼 한글을 가지처럼 이어지게 하기 위해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이음 가지의 돌출된 부분을 삽입해 결합하는 구조로 제작하였습니다. 사용자가 상상하는 다양한 모습을 만들어 교육, 생활용품, 장식 등 목적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6.
  • 37.
  • 38. 11. 한글 언덕. 수상 2017년 제11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완성품 부문 으뜸상 (한글 언덕) 한글 언덕은 한글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이용한 수납 용품이다. 한글 낱자에 타공을 주어 연필, 붓 등 꽂이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제작하였으며,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였다. 또한, 낱자의 줄기와 줄기의 사이 공간에 명함이나, 메모지를 보관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의 연관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그리드 타입을 활용해 낱자들을 연관성 있게 디자인하였다.
  • 39.
  • 40.
  • 41.
  • 42. 12. 한글 사이. 수상 2020년 제16회 한글문화상품 아이디어 공모전 렌더링 부문 으뜸상 (한글 사이) 한글에 낱자 에는 다양한 기운이 있습니다. ‘글자 사이’ 는 낱자와 낱자 사이에서 오는 기운이 생동함을 생활에서 사용하며 느끼도록 제작한 한글 문화 상품입니다. 고요함, 여백에서 오는 간극의 기운이 충만하여 생동 할수 있도록 제작하려 하였습니다. 밑판은 한글 낱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석과 홈을 만들어 제작을 하였습니다. 고정된 한글 낱자 사이에 물건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낱자를 풀어 쓰기 방식으로 배치해 메세지를 전달하고 장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한글 낱자들은 음양에서 오는 다양한 기운을 느낄수 있도록 깊이를 생각하며 기하학적인 형을 살려서 제작하였습니다.
  • 43.
  • 44.
  • 45.
  • 46.
  • 47.
  • 48. 13. Latters having the eyes 수상 2013 Adobe Design Achivement Awards Illustration Category Semifinalist (Latters having the eyes) 설명 우리는 인간으로부터 자유를 원한다. 눈 있는 글자 인간이 만든 것에는 영혼이 있다. 글자에도 영혼이 있다. 즉, 글자는 살아있다. 사람은 시각을 통해 글자를 읽는다. 글자들은 인간이 원할 때 읽혀야 한다. 글자들도 자유가 있다. 즉, 그들은 인간의 시각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나는 글자가 인간과 같은 인격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 인간이 글자는 보는 것처럼 글자에도 눈을 주어 인간을 보게 했다. 그리고 인간을 거부할 때는 눈을 감게 했다.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꾸준히, 한글 작업 10년 가까이 한글 공모전에 출품을 하며,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상은 못하였지만, 한글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58. 한글 크레파스 2018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출품작 한글을 이용한 크레파스는 한글문화 상품으로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의 형태와 몬스터 형태를 결합해 제작한 크레파스이다. 한글 크레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만들어 그림을 그리며, 부모님과 함께 한글을 즐겁게 익힐 수 있도록
  • 59.
  • 60.
  • 61.
  • 62.
  • 63.
  • 64. 한글 실놀이 블록 2019년 한글 창의 아이디어 공모전 출품작 한글을 이용한 크레파스는 한글문화 상품으로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며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의 형태와 몬스터 형태를 결합해 제작한 크레파스이다. 한글 크레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야기책을 만들어 그림을 그리며, 부모님과 함께 한글을 즐겁게 익힐 수 있도록 한글 크레파스와 한글 크레파스를 활용할수 있는 색칠공부 그림책을 함께 구성해 디자인하였다.
  • 65.
  • 66.
  • 67.
  • 68.
  • 69. 박스체 설명 제작 키워드는 글자가족, 윗선과 밑선의 통일, 단단한 글자, 대비가 큰 글자이다. 그래서 모든 글자의 윗선과 밑선이 통일되어 있으며 글자의 대비가 크다. 사각형은 글자의 무게 중심, 글자 틀 등을 잡아주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본문용이 아닌 그래픽과 제목용 글자체이다. 현재 가는 줄기는 1000자, 중간 줄기는 100자, 굵은 줄기는 500자를 만들었소, 2350자를 목표로 제작하고 있으며, 영문과 일어는 대부분 제작되었다. 앞으로는 공간조절과 시각보정을 할 계획이다.
  • 70.
  • 71.
  • 72.
  • 73. 원형체 설명 원형체는 줄기의 처음과 맺음 부분에 원형을 넣었다. 조합식으로 글자를 제작하였으며, 이음줄기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글자의 낳자들을 조합해, 다양한 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 74.
  • 75.
  • 76. 뼈만 남은 글자체 설명 “글자를 대할 때. 글자를 생명으로 생각하며, 뼈, 혈, 살, 기운, 생동, 혼, 담는 글자를 만들도록, 초심을 잊지 않고 글자와 호흡하며, 정진하겠다.” 이와 같은 생각으로 글자에 뼈만 남기고 살, 혈을 제외한 글자를 제작해 보았다. 뼈처럼 앙상한 줄기로 제작했으며, 줄기의 가운데 부분이 처음과 맺음보다 더 가늘게 디자인하였다. 완성형이며, 제목용 글자체로 제작하였다.
  • 77.
  • 78.
  • 79. 세가체 설명 가로쓰기 글자체를 세로쓰기로 할 때 글자의 구조가 다르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세로쓰기 글자체를 가로쓰기로 할 때도 글자의 구조가 다르므로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가로쓰기 글자체와 세로쓰기 글자체를 다르게 사용한다.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함께할 수 있는 글자체가 없으므로 각각의 다른 쓰기방식의 글자체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세가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 개발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가체’를 사용한다면 본문에서도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으며,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가로쓰기에 어울리는 세로쓰기체를 찾는데 어려움 또한 줄 것이다. 또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를 개발함으로써 앞으로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를 할 수 있는 글자체 개발에 초석으로써 이바지할 수 있는 본문용 글자체라고 할 수 있다.
  • 80.
  • 81.
  • 82.
  • 83.
  • 84. 비약적 생략 글자 설명 중국의 한자는 획순을 줄여 간편하게 쓰고자 간자를 만들었다. 한글도 획순을 줄여 보다 간편하게 쓰고자 글자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슈탈트의 시지각의 원리를 이용하여 몇 가지 획만 사라지게 한다며, 익숙함이란 기억이 사라진 획을 대신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제작해 보았다. 지금의 키읔(ㅋ)자도 기역(ㄱ)자가 두개로된 형태에서 축약된것이다. 그 당시 사람에게 전달되는 매체가 물성을 지닌 종이 등과 같은 것이었다면, 지금의 전달되는 매체는 비물성(물성이지만 촉감을 느낄 수 없는것)의 스크린 등으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전달되는 도구는 변화된 것이다. 도구가 변화됨으로써 글자의 형태가 다르게 변화되는 것처럼 글자도 변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85.
  • 86.
  • 87.
  • 88. 얼리 고딕체 설명 얼리 고딕체는 Dip pen으로 스케치를하고 제작한 글자체이다. 서양의 Early Gothic의 형태를 살려 디자인하였으며, 동양의 모필과는 다르게 다음과 같은 생각으로 제작하였다. “동양의 줄기는 유연함속에 오는 강함(경직, 딱딱함) 서양의 줄기는 강함(경직, 딱딱함)속에 오는 유연함”
  • 89.
  • 90.
  • 91. 세로 흘림체 설명 세로 흘림체는 줄기와 줄기의 기혈맥락을 고려해 제작한 세로쓰기 흘림체이다. 흘림체와 정체를 비교해 정의하면 흘림체는 붓의 운필시 줄기(획)와 줄기(획)가 연결되어   줄기와 줄기 사이에 줄기의 처음과 끝이 이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정체는 줄기(획)와 줄기(획)가 이어진 모습이 아닌 처음과 맺음이 구분된 모습(단절된)을 볼 수 있다. 본 세로쓰기 흘림체는 이러한 흘림의 개념으로 획의 처음과 맺음을 이어지게 하였고 서예 서법에서의 필봉(筆鋒)과 견사(牽絲)의 개념을 빌려 제작하였다. 가는 줄기와 굵은 줄기를 두 종류를 고려해 제작해 보았다. 가는줄기에는 부드러움과 유연함을 담으려고 했다. 그래서 맺음에 전봉(轉鋒)을 하였다. 반면 굵은 줄기는 줄기가 두꺼워 짐으로써 살찐 글자가 되었다. 그래서 맺은에 절봉(折鋒)을 하게되고 각(角)을 지게 제작하였다.
  • 92.
  • 93.
  • 94.
  • 95.
  • 96.
  • 97. 욕체 설명 욕에도 감정이 있다. 필자는 욕에 네 가지 감정이 있다고 본다. 좋은 감정 뱉는 욕. 나쁜 감정 뱉는 욕. 감정 없이 뱉는 욕.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이 섞여, 뱉는 욕. 욕체는 이러한 욕을 모두 느끼게 하도록 제작하려고 하였다. 날카롭지만 부드럽게, 필자의 감각으로 중립을 지키며, 바람체를 참고해 제작하였다.
  • 98.
  • 99.
  • 100. 아이웃음 수상 2012 SOKI International Design & Illustration Competition by Society of korea Illusart 우수상 2013 SOKI International Design & Illustration Competition by Society of korea Illusart 심사위원 특별상 설명 도시 아이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웃음 짓지 말아야 할 웃음으로 병들어 가고 있다. 그래서 아이 웃음을 통해 해로운 미디어에서 느끼는 웃음이 아닌 자연에서 느끼는 웃음이야말로 아이들이 가져야 하는 진정한 웃음이라고 말하고자 자연적인 요소와 아이 웃음을 결합해 그린 일러스트이다. 재료로는 한지와 동양화 물감이다.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무엇처럼 개인 작업 도구 동양화 재료(한지, 동양화 물감, 먹, 붓), Photoshop, Indesign 설명 나의 마음가짐을 ‘무엇처럼’에 빗대어 표현한 일러스트이다. “향기 나는 꽃처럼, 삐뚤어지지 않는 대나무의 곧은 성품처럼, 자유롭게 세상을 나는 새처럼, 투명한 푸른 시내처럼, 맑게 웃는 아이처럼, 부족한 점이 많은 나지만 흰 종이에 먹이 퍼지듯 채워가며 무엇처럼, 살아가겠습니다.” 일러스트를 전통 제본 방식을 사용해 책으로 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