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 차 - 이론강의 1
철판화덕의 구조와
원리 이해
변산공동체
점토
철판화덕
기초 : 시멘콘크리
트
화덕좌대 : 시멘트
블록
화덕몸체 : 황토벽
돌
화덕몸체 : 흙미장
단열 : 연탄재 , 나
무재
연소부 : 연탄도기
관
조리상판 : 5T 철
판
굴뚝 : 150mm 연통
점토 / 벽돌
철판화덕의
기본 구조
벽돌식 철판화덕
벽돌식 철판화덕 내부 구조
전국귀농운동본부 군포텃밭 철판화덕
콘크리트 기초 , 시멘트 블록 좌대 , 적벽돌 몸체 , 단열벽돌 연소부 , 4.5T 조리상
판
공주 마곡사
철제
철판화덕
좌대 : 각 파이프
몸체 : 3T 철판
연소부 : 4T 철판
조리상판 : 4T 철
판
연통 : 150mm 강관
철근 장작받침
중남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는
◎ 적은 화목 소모
기존 화덕에 비해 60%~90%
이상 화목 사용량을 줄일 수 있
는
대안적인 조리장치
◎ 고온완전 연소
연소실 단열로 고온연소 되므로
거의 완전 연소되며 높은
연소효율
◎ 청정완전 연소
완전 연소될 뿐 아니라 연소실의
구조적 특징과 배연구조로
연기 역류 없이 실내 사용 가능
◎ 다용도 조리용 열판
고온의 탈 부착 가능한 열판이
설치되어 있어 철판요리 외에도
연통
재점검구
조리 열판
화구
( 장작투입구 )
마곡사 철제 단열 철판화덕 특징
◎ 최적 연소구조의 로켓 엘보
화구 대비 2.5 배 높이의 열기
상승관으로 구성된 ‘ L’ 자형
연소실 . 일명 로켓엘보
◎ 단열 충진된 화덕 내부
화덕 내부가 고효율 단열재로
채워져 있어 고온연소가 가능
하고 열기 손실이 거의 없음
◎ 과학적 열기전달 구조
로켓엘보 연소실 상단과
조리상판 간격 2.5~3cm 내외
열전도율 높은 철판 사용으로
직화에 가까운 열 전달
연통
화덕
개자리
내부
배연구
연소실
( 로켓엘보 )
상판
화덕 내부
( 단열재로 채움 )
철제 단열 철판화덕의 내부구조
◎ 작은 화구
과도한 공기주입으로 인한 연소실
냉각을 방지하는 작은 화구
◎ 화목받침대
화구 높이의 1/3 위치의
철근 화목받침대 장착으로
적절한 공기흐름 유지
◎ 적정비율을 가진 열기상승관
연소실 상부구조의 연소기둥은
화구 높이의 약 2.5 배 높이
상승기류와 강한 흡입력 발생 .
◎ 열기배출 지연 구조
보호판과 배연구 사이 공간
낮은 위치의 내부 배연구
배연압력을 완충하는 화덕개자리
등은 열기 배출을 지연시켜서
연소열을 조리용 상판에 충분히
전달토록 함 .
화덕
개자리
내부
배연구
보호판
화목
받침판
화덕
내부
단열재 채움
연통
받침
상판
걸침턱
열기상승관
화구
단열 철판화덕의 열기흐름 제어구조
◎ 조리상판에 4.5 T 철판 사용
◎ 상판 변형 방지 받침구조
900 도 이상 초고온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상판 배면 보강 ( 일명 갈비
살 )
◎ 열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골로루 상판에 열을 펼쳐 흐르게
하는 구조
◎ 직화 조리를 위한 상판 뚜껑
필요에 따라 철판요리와
직화 조리가 가능하도록
조리용 상판에 여닫을 수 있는
원형 뚜껑을 설치
( 단 기밀 부착 시공 필요 )
상판
뚜껑
상판
뒷면열변형 방지
철구조
내부
배연구
철제 조리상판의 구조
단열 철판화덕의 주요 부위 크기
2 차 - 이론강의 2
철판화덕의 사례
철판화덕의
변형과 기능확장
Estufas
Justa
( 정의 화덕 )
벽돌식 철판화덕 내부 구조
벽돌식 철판화덕 내부 구조
벽돌식 철판화덕 내부 구조
벽돌식 철판화덕 내부 구조
벽돌식 철판화덕
과테말라에 보급된 개량철판화
덕
다용도 로켓박스화덕 (Rocket Box
Stove)
Rocket Box Stove
시멘트 타설 또는 벽돌 철판화덕
Fogoa
Estufa
Patsari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Seongwon Kim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Seongwon Kim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Seongwon Kim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Seongwon Kim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Transitiontech Socialcoop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Seongwon Kim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Seongwon Kim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Seongwon Kim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Seongwon Kim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Seongwon Kim
 
상호지지구조
상호지지구조상호지지구조
상호지지구조
Seongwon Kim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Seongwon Kim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Seongwon Kim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Seongwon Kim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Mayank Rungta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Seongwon Kim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Seongwon Kim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Seongwon Kim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Seongwon Kim
 

What's hot (20)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량구들의 사례와 개선방향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
자연을 닮은 집 생태건축의 재발견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대장간 철단조 작업의 기초 - 대장간 워크숍 철든사람들 기초자료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
이론강의 개량 대형가마솥 화덕의 구조와 사례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패시브냉난방방법 그늘과 환기를 중심으로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시골집고쳐살기학개론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3시간 만에 만드는 다목적 스타돔 제작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통 돌담쌓기와 유럽의 마른돌담쌓기 방법을 총정리한 강의자료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
전세계 전통화덕과 개량화덕의 풍경들
 
적정기술 사례 모음
적정기술 사례 모음적정기술 사례 모음
적정기술 사례 모음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전통구들의 구조와 개선 방향에 대한 검토 자료
 
상호지지구조
상호지지구조상호지지구조
상호지지구조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수공예, 제작자 운동과 디자인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천연미장 기법 강의20150503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이태리 전통 석조 모조 석회 미장법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Good Bike Posture with Core Engaged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
난방과 주거공간의 변화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일본식 흙미장법과 석회기반 천연페인팅 기법 강의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천연 잉크 만들기 자료
 

More from Seongwon Kim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Seongwon Kim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eongwon Kim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Seongwon Kim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20)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세계의 철판화덕과 Cook top stove

  • 1. 2 차 - 이론강의 1 철판화덕의 구조와 원리 이해
  • 2. 변산공동체 점토 철판화덕 기초 : 시멘콘크리 트 화덕좌대 : 시멘트 블록 화덕몸체 : 황토벽 돌 화덕몸체 : 흙미장 단열 : 연탄재 , 나 무재 연소부 : 연탄도기 관 조리상판 : 5T 철 판 굴뚝 : 150mm 연통
  • 6. 전국귀농운동본부 군포텃밭 철판화덕 콘크리트 기초 , 시멘트 블록 좌대 , 적벽돌 몸체 , 단열벽돌 연소부 , 4.5T 조리상 판
  • 7.
  • 8.
  • 9. 공주 마곡사 철제 철판화덕 좌대 : 각 파이프 몸체 : 3T 철판 연소부 : 4T 철판 조리상판 : 4T 철 판 연통 : 150mm 강관 철근 장작받침
  • 10. 중남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 는 ◎ 적은 화목 소모 기존 화덕에 비해 60%~90% 이상 화목 사용량을 줄일 수 있 는 대안적인 조리장치 ◎ 고온완전 연소 연소실 단열로 고온연소 되므로 거의 완전 연소되며 높은 연소효율 ◎ 청정완전 연소 완전 연소될 뿐 아니라 연소실의 구조적 특징과 배연구조로 연기 역류 없이 실내 사용 가능 ◎ 다용도 조리용 열판 고온의 탈 부착 가능한 열판이 설치되어 있어 철판요리 외에도 연통 재점검구 조리 열판 화구 ( 장작투입구 ) 마곡사 철제 단열 철판화덕 특징
  • 11. ◎ 최적 연소구조의 로켓 엘보 화구 대비 2.5 배 높이의 열기 상승관으로 구성된 ‘ L’ 자형 연소실 . 일명 로켓엘보 ◎ 단열 충진된 화덕 내부 화덕 내부가 고효율 단열재로 채워져 있어 고온연소가 가능 하고 열기 손실이 거의 없음 ◎ 과학적 열기전달 구조 로켓엘보 연소실 상단과 조리상판 간격 2.5~3cm 내외 열전도율 높은 철판 사용으로 직화에 가까운 열 전달 연통 화덕 개자리 내부 배연구 연소실 ( 로켓엘보 ) 상판 화덕 내부 ( 단열재로 채움 ) 철제 단열 철판화덕의 내부구조
  • 12. ◎ 작은 화구 과도한 공기주입으로 인한 연소실 냉각을 방지하는 작은 화구 ◎ 화목받침대 화구 높이의 1/3 위치의 철근 화목받침대 장착으로 적절한 공기흐름 유지 ◎ 적정비율을 가진 열기상승관 연소실 상부구조의 연소기둥은 화구 높이의 약 2.5 배 높이 상승기류와 강한 흡입력 발생 . ◎ 열기배출 지연 구조 보호판과 배연구 사이 공간 낮은 위치의 내부 배연구 배연압력을 완충하는 화덕개자리 등은 열기 배출을 지연시켜서 연소열을 조리용 상판에 충분히 전달토록 함 . 화덕 개자리 내부 배연구 보호판 화목 받침판 화덕 내부 단열재 채움 연통 받침 상판 걸침턱 열기상승관 화구 단열 철판화덕의 열기흐름 제어구조
  • 13. ◎ 조리상판에 4.5 T 철판 사용 ◎ 상판 변형 방지 받침구조 900 도 이상 초고온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조리상판 배면 보강 ( 일명 갈비 살 ) ◎ 열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골로루 상판에 열을 펼쳐 흐르게 하는 구조 ◎ 직화 조리를 위한 상판 뚜껑 필요에 따라 철판요리와 직화 조리가 가능하도록 조리용 상판에 여닫을 수 있는 원형 뚜껑을 설치 ( 단 기밀 부착 시공 필요 ) 상판 뚜껑 상판 뒷면열변형 방지 철구조 내부 배연구 철제 조리상판의 구조
  • 15. 2 차 - 이론강의 2 철판화덕의 사례 철판화덕의 변형과 기능확장
  • 18.
  • 20.
  • 22.
  • 25.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시멘트 타설 또는 벽돌 철판화덕
  • 48. Fogoa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9.
  • 60.
  • 61.
  • 62.
  • 63.
  • 64.
  •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