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ity Design for Urban Robotics
Test Bed using Extended Reality
도시형 로보틱스 실증공간을 위한 확장현실 기반의 도시 설계
2020.7.24(금) 10:00
최준영 연구위원(공학박사)
Junyoung.choi@sit.re.kr
로봇시티의 방향성
• 로봇친화형 도시란 무엇인가
• 인간친화형이 아닌 로봇친화형에 대한 거부감
• 인간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도시형 로봇의 테스트 베드 공간
• Human Computer Interaction(HCI)이 아닌 Robot City Interaction
• 기존의 인식은 자율주행차량이나 서비스형 로봇을 위한 단편적 기준이거나
너무 먼 미래를 상정한 공상과학(블레이드 러너) 수준
• 현실문제에서는 로봇 및 인공지능(AI)의 법제도적 문제 상존
• 로봇/인공지능과 전자인
• 로봇/인공지능의 법인격
• 로봇/인공지능과 일자리
• 로봇/인공지능과 윤리원칙
로봇시티와 도시건축 공간
•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건설로봇, 서비스로봇, 드론 등 테스트 가능한 로봇을 상정하고 서비스 가능한 공간 설계 도입
• 건축물의 파사드와 같은 공간이 인터페이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 마련이 필요
• 계획적으로는 개발사업지구내 특별계획지구 지정후 도시건축통합설계 방식으로 디테일한 설계방안 연구
로봇시티
실증공간
• 실증 공간
• 테스트베드 또는 리빙랩 등을 통해 실현하는 실증 공간은 그동안 미국 미시건주 앤하버의 M-City, K-City에서 볼 수 있듯
사람들의 생활 및 활동공간과 분리된 실험 공간
• 세종 5-1 국가 시범사업의 경우에는 스마트 도시 솔루션에 대한 종합적 실현 공간으로 특정산업과의 연관 효과 등
고려대상이 아님
• 도시개발사업시행자에서 도시관리 코디네이터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리기능에 대한 도시 첨단산업을
관리운영하는 등 공간 관리 운영에 대한 고려 차원에서 접근
• 수서역세권은 풍부한 교통편의성/접근성, 유동인구를 바탕으로 기업 유치를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도시첨단산업의 요충지
• (시민생활속에서 살아움직이는) 실증공간의 요건
• 로봇사업체와의 접근성을 통한 연관산업과 테스트베드간 시너지 효과
• 높은 유동인구를 통한 실증상황에 대한 홍보 효과
• 신기술, 제품을 실현할 수 있는 규제의 특례 필요(규제 샌드 박스)
• 테스트 공간의 지정 및 운영 유형(예시)
• 공간의 형태에 따른 지정 및 운영
• 점(특정 지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 선(드론 및 안내로봇과 같이 동선을 가진 로봇)
• 면(특정 공간을 점유하여 서비스하는 로봇, 로봇 기반의 3D 프린티드 하우스)
• 공간의 지속성
• 연속적 지정: 도로 및 보도 등 공용공간, 건축물 내외부 공간
• 일시적 지정 및 이용: 공원 등 공개 공간에 가변적인 테스트 환경이 구성, 변경
• 규제샌드 박스
• 과기정통부, 중기청, 국토부에서 운영중
• 국토부는 2020년 2월 개정된 스마트시티법(도시경제과 소관)에 의해 규제샌드 박스를 지정할 수 있음 (다만, 기존의 유형을
활용하기 보다, 항구적으로 규제샌드박스 기반 테스트 베드로 활용하기 위해 유형 추가토록 개정 건의 필요)
로봇시티
설계기술
• 설계 기술적으로는 미래에 구현될 도시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AR, VR, MR)과 도시설계를
결합한 기법
• 디지털 트윈 내지는 CPS(Cyber Physical System)에
내재화(embedding) 방안 연구
출처: Çöltekin, A., Lochhead, I., Madden, M., Christophe, S., Devaux, A., Pettit, C., ... & Kubíček, P. (2020). Extended Reality in Spatial Sciences:
A Review of Research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9(7), 439.
로봇시티
설계기술
(예시)
• 실감현실 기반의 시각화
• 건축 및 도시공간정보의 시각화 요소 기술
• OpenGL -> Unity -> Unreal(게임 시각화
엔진)
• 언리얼 기반의 시각화 사례(하단 링크)
https://architosh.com/2020/07/xr-based-digital-twin-of-tampa-built-by-imerza-using-unreal-engine/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City Design for Urban Robotics Test Bed using Extended Reality

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
Hakyong Kim
 
로봇 로드맵
로봇 로드맵로봇 로드맵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
Tae Hwa Kim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Jong-Hyun Kim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M&M Networks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JEONG HAN Eom
 
2023-Spring-final.pptx
2023-Spring-final.pptx2023-Spring-final.pptx
2023-Spring-final.pptx
JinuChoi1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훈주 윤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Artcoon
 
bsk_03_03
bsk_03_03bsk_03_03
bsk_03_03
Tae Hwa Kim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SANGHEE SHIN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Luke Sunghyun Kim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YouchanPark
 

Similar to City Design for Urban Robotics Test Bed using Extended Reality (16)

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 로드맵
로봇 로드맵로봇 로드맵
로봇 로드맵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bsk_참여연구인력
bsk_참여연구인력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브 차량(Porbe Vehicle)을 이용한 IoT 기반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스마트 시티 서비스 2018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BLT] UX특허 및 BM특허 전략
 
2023-Spring-final.pptx
2023-Spring-final.pptx2023-Spring-final.pptx
2023-Spring-final.pptx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2023_한양대_로컬브랜드_HEDDY_HSJ_최종제출.pdf
 
bsk_03_03
bsk_03_03bsk_03_03
bsk_03_03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를 위한 디지털트윈 -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WeFocus] 인공지능 챗봇_기술시장특허 분석_20180516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KAIST NCLab 소개 자료 (2021년 ver.)
 

More from Junyoung Choi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Junyoung Choi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Junyoung Choi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Junyoung Choi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Junyoung Choi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Junyoung Choi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Junyoung Choi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Junyoung Choi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Junyoung Choi
 

More from Junyoung Choi (8)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Smart city planning in the era of post COVID-19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Shared Mobility Service for New Town Development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해외도시개발과 오픈소스 위성영상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Smart Safer City & Open Source Urbanism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Smart Urban Regeneration for All by Junyoung Choi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Urban sentiment using social media analytics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스마트도시재생과 LH 포용도시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유엔 해비타트 신도시 의제 구현을 위한 오픈소스와 오픈소스 지오스페셜(제출본)161203
 

City Design for Urban Robotics Test Bed using Extended Reality

  • 1. City Design for Urban Robotics Test Bed using Extended Reality 도시형 로보틱스 실증공간을 위한 확장현실 기반의 도시 설계 2020.7.24(금) 10:00 최준영 연구위원(공학박사) Junyoung.choi@sit.re.kr
  • 2. 로봇시티의 방향성 • 로봇친화형 도시란 무엇인가 • 인간친화형이 아닌 로봇친화형에 대한 거부감 • 인간이 편리하게 하기 위한 도시형 로봇의 테스트 베드 공간 • Human Computer Interaction(HCI)이 아닌 Robot City Interaction • 기존의 인식은 자율주행차량이나 서비스형 로봇을 위한 단편적 기준이거나 너무 먼 미래를 상정한 공상과학(블레이드 러너) 수준 • 현실문제에서는 로봇 및 인공지능(AI)의 법제도적 문제 상존 • 로봇/인공지능과 전자인 • 로봇/인공지능의 법인격 • 로봇/인공지능과 일자리 • 로봇/인공지능과 윤리원칙
  • 3. 로봇시티와 도시건축 공간 •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건설로봇, 서비스로봇, 드론 등 테스트 가능한 로봇을 상정하고 서비스 가능한 공간 설계 도입 • 건축물의 파사드와 같은 공간이 인터페이스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 마련이 필요 • 계획적으로는 개발사업지구내 특별계획지구 지정후 도시건축통합설계 방식으로 디테일한 설계방안 연구
  • 4. 로봇시티 실증공간 • 실증 공간 • 테스트베드 또는 리빙랩 등을 통해 실현하는 실증 공간은 그동안 미국 미시건주 앤하버의 M-City, K-City에서 볼 수 있듯 사람들의 생활 및 활동공간과 분리된 실험 공간 • 세종 5-1 국가 시범사업의 경우에는 스마트 도시 솔루션에 대한 종합적 실현 공간으로 특정산업과의 연관 효과 등 고려대상이 아님 • 도시개발사업시행자에서 도시관리 코디네이터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리기능에 대한 도시 첨단산업을 관리운영하는 등 공간 관리 운영에 대한 고려 차원에서 접근 • 수서역세권은 풍부한 교통편의성/접근성, 유동인구를 바탕으로 기업 유치를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도시첨단산업의 요충지 • (시민생활속에서 살아움직이는) 실증공간의 요건 • 로봇사업체와의 접근성을 통한 연관산업과 테스트베드간 시너지 효과 • 높은 유동인구를 통한 실증상황에 대한 홍보 효과 • 신기술, 제품을 실현할 수 있는 규제의 특례 필요(규제 샌드 박스) • 테스트 공간의 지정 및 운영 유형(예시) • 공간의 형태에 따른 지정 및 운영 • 점(특정 지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 선(드론 및 안내로봇과 같이 동선을 가진 로봇) • 면(특정 공간을 점유하여 서비스하는 로봇, 로봇 기반의 3D 프린티드 하우스) • 공간의 지속성 • 연속적 지정: 도로 및 보도 등 공용공간, 건축물 내외부 공간 • 일시적 지정 및 이용: 공원 등 공개 공간에 가변적인 테스트 환경이 구성, 변경 • 규제샌드 박스 • 과기정통부, 중기청, 국토부에서 운영중 • 국토부는 2020년 2월 개정된 스마트시티법(도시경제과 소관)에 의해 규제샌드 박스를 지정할 수 있음 (다만, 기존의 유형을 활용하기 보다, 항구적으로 규제샌드박스 기반 테스트 베드로 활용하기 위해 유형 추가토록 개정 건의 필요)
  • 5. 로봇시티 설계기술 • 설계 기술적으로는 미래에 구현될 도시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AR, VR, MR)과 도시설계를 결합한 기법 • 디지털 트윈 내지는 CPS(Cyber Physical System)에 내재화(embedding) 방안 연구 출처: Çöltekin, A., Lochhead, I., Madden, M., Christophe, S., Devaux, A., Pettit, C., ... & Kubíček, P. (2020). Extended Reality in Spatial Sciences: A Review of Research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9(7), 439.
  • 6. 로봇시티 설계기술 (예시) • 실감현실 기반의 시각화 • 건축 및 도시공간정보의 시각화 요소 기술 • OpenGL -> Unity -> Unreal(게임 시각화 엔진) • 언리얼 기반의 시각화 사례(하단 링크) https://architosh.com/2020/07/xr-based-digital-twin-of-tampa-built-by-imerza-using-unreal-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