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학위논문을 중섬으로 
최민주·홍인실 
I. 서론 
1980년부터 음악치료 분야는 새로운 지식 체계로서 계속 성장하고 
있고, 의료 보조차원에서의 새로운 임상 기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에는 예방 차원의 의료 서비스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늘어나고, 장애 
아동들이 학교에 통합되면서 새로운 임상 영역으로 활동 무대를 넓히 
고 있다(Davis , W. B., Ggeller, K., & Thaut, M. H. 1999). 이 러 한 음악 
치료의 임상 영역은 국내에서도 다양해지면서 학령기 아동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에 대해서도 관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아 정선과 외래환자의 8.7%( 홍강의 · 홍경자: 
1980), 일반아동의 7.6%(조수칠 · 신윤오 1994) 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 
행 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 하 ADHD라 약 
칭)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아동기에 발병하는 
ADHD 사례 중 70-80% 가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며, 10-60%가 성년기 
까지 지속된다고 한다(B arkley 199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는 주의력 부족, 충동적 행동, 그로 인한 
과잉 행동·등 방해성 행위들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이나 청소년 
의 장애들 중 많은 관심과 논의의 중심이 되어 왔다. ADHD는 부주의
162 음 악과 문회 셰 17호 
성, 충동성, 신체활동이 발탄적으로 부적절한 수준에 속하는 장애를 분 
류하기 위 한 진단 규준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으 
로, 주요증상은 주의 산만 (imtttention) 과 과잉 행 동 충동성 (hyper 
activity-impulsivity) 이다. 이라한 행동특정은 아동발달에서 흔히 관 
찰할 수 있는 행동이나,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빈도, 지속시간, 정도를 
고려하여 ADHD 아동을 일반아동과 구분할 수 았다. 
주의력이란 집중성, 지속성, 선택성, 통제성 등 네 가지 측면이 결합 
되어 작용하는 정보처리과정으로서, 주의력결핍 즉 산만함은 이들 각 
측면에 대한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Taylor, E. 1995). 과잉행동과 충 
동성은 양자가 서로 띨접하게 관련되어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Amold ’LE- ]ensen PS 1995). 이런 행동특성으로 인해 ADHD 아동은 
학업 및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학습문제, 품행장애, 공격성, 정 
신 · 신체적인 문제, 낮은 자존감 등 이차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특성음 
갖는다. 이런 ADHD의 주요 증상들은 나이가 옮에 따라 강도가 감소 
하지만 대다수 ADHD 아동뜰은 청소년기에도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주의집중장애와 행동문제의 공존은 사춘기 
의 반사회적 행위와 불질 남용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George & Gary 1994). 
이런 점으로 볼 때 ADIID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기치료는 
이차적인 사회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정서적인 문제들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학 
문적 분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이래 ADHD의 문제행동에 대한 음악치 
료의 전반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음악치료의 효과 
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내용들음 파악하고 치료중재 효과에 대한 분 
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 에 관한 음악치료의 사 
례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어떠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내용 
들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 분석의 결
주의딱결핍 빚 파잉행동장애의 유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Hì:1 
파를 바탕으로 향후 ADHD 의 음악치료 연구와 임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II.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1. 조사대상 
1990년부터 2006년 6윌 사이에 발표된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에 대한 음악치료 사례연구에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을 검색 
하여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사이트 
를 이용하여 핵심단어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음악’ 등음 
검색하였다.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편을 검토한 결과 학위논문을 축 
약하여 발표하였으므로 석 · 박사 학위논문 총o 38편의 논문을 표집하 
였다(부록 참조). 표집된 논문윤 세분하여 보면 ADHD 연구는 57.9% 이 
며, 주의력에 관한 연구는 34.2%, ADHD나 주의력장애가 전혀 없는 
정상인 경우 주의 집중에 관련된 연구가 7.9%를 차지하고 있다<표 1>' 
<표 1> 언그CH 앙 논문 g밍 
""J-?i- τ~ -τU r -/「L (k; 
ADIID ')') 57.~1 
주의력 13 34.2 
져。。샤 tr ]} 7.9 
계 :*l 1 아),ü 
2. 조사방법 
분헌검증의 방법에는 크게 정량적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이 있는 
데, 정량적인 분석은 하나의 주제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겁증의 경우
Hi4 음악파 문화 제 17호 
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고 정성적인 분석은 실증 빛 개념 연구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다(백기복 · 신제구 · 차동욱 1998). 본 연구에 
서는 주제를 놓고 중재한 실증연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정성적 방법으로 서술적 
분석, 형태론적 분석, 실증도구 분석, 그리고 결과 중심적 분석의 네 
가지 유형을 토대로 하여 통합 · 분석하였다. 
수집된 대상 논문들을 연도별, 연구대상자의 수, 연구 대상층, 개별 
또는 집단치료, 중재기간, 독립 · 종속변인, 중재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도구들 
을 사용 순위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사용도구에 대하여 빈도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악을 강화재로 한 음악치료가 ADHD의 문제행동 
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였다. 
m. 조사결과 
1. 조사대상 논문 
조사된 연도별 연구논문 현황은 <표 2> 와 같이 1990년대에는 5편 
정도였고, 2000년 이후에는 33편으로 조사되었다 
i‘lJ묘L j • 7 
논디 A -r T 
0/ 
/0 
I앤0년대 
3 
13.2 
<R ?> 여고 여도벼 노o () 
ι L-r L-2 Li: 
연도별 
2005 I 20CXJ I 계 
6 I 1 I 38 
15.8 I 2.6 I 100.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65 
2. ADHD 연구의 경향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른 연구경향을 보면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 
로 한 연구가 전체연구의 63 .2%인 2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아와 중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각 6편으로 같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표 3>). 그러나 유아와 초등의 비율을 합한다면 ADHD 연구는 대부 
분 초등학생 이하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 꺼> 여구CH"~ Ti~으| 껴|흑변 부포 
니 L. 0 。드 
하Q 모 • 1 
계층별 
유아 :'5'→ t二O 중학 」←lτ℃= 5r 계 
뇨」二조ι깅 L ζl 二6 24 6 9 38 
% 15.8 6:3.2 15.8 5.3 100.0 
<표 4> 는 연구대상의 수에 따른 연구논문 편수를 나타내고 있다. 조 
사된 총 연구편수 가운데 연구대상의 사례수가 5명 미만인 경우가 
65.8% 인 25편을 차지하고 였다. 또한 30 명 이상의 연구도 10.5%를 차 
지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ADHD나 주의력장애가 전혀 없는 정상인 
경우 주의집중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효 4> 연구CH 앙 무 
대상자수 
하。모← 1 
Lï명 6-10명 11-20 1경 21-::1O명 30명이상 계 
즈è투ιL ζr ‘);; 
]‘] 4 4 4 38 
(/)0/ 6.5.8 10.5 10.5 2.6 10.5 1α)0 
연구대상자의 성별분포는 <표 5> 와 같은데, 38편의 총 논문편수 중
166 유악과 문화 제 17호 
68 .4%에 해당되는 26편이 남 · 여 혼성에 대한 연구인데, 연구대상자 
중 일부 여자가 포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여자에 대한 연구는 1 편 
에 불과했다. 
<RS> 여구CH"~ 1'i~으| 매벼브포 
J~ L' 0 02C 
하모 
0 • 1 n 
L-). 
口여 
-꼈 
2.0 
iζ]드L ζ二 
Lι 1 
0/ 
/() 
3. ADHD 연구의 설계 방식 
연구 설계방법올 조사한 결과<표 6>, 단일집단올 대상으로 사전 · 
사후설계에 의해 실험을 한 논문은 30편으로 전체논문의 78.%를 차지 
하고 있으며, 비교연구를 위한 실험/통제집단으로 구분한 논문은 8편 
이 있었다. 
<효 6 > 일험곤 얼껴| 방법 
。• 7 섣험 실험/통제 
n (T 
% 
30 
78.9 
8 
21.1 
계 
38 
100.0 
송l표ι 
i 
τ 
논 
연구대상자가 ADHD 이외의 중복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의 연구는 
11 편이었는데, 이중 2편은 연구대상자 일부가 중복장애를 갖고 있었다 
(<표 7>). 
<효 7> 연구CH 앙마으| 뭉복땀。H 유핀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67 
"ÕJ되L 
중복장애 일부 중복장애 
。, 논문수 
% 
9 
23.7 
2 
5.3 
<표 8> 의 치료활동의 적용에서는 개인보다는 집단 활동에 대한 연 
구가 전제연구편수의 94.7% 인 36편을 차지하고 있었다. 
<표 8> 7'i1 료 뭉1'IH 펙용방법 
0/0" 
2 
5.3 
짧 -쩌 -때 
항목 
논문 수(38편) 
개별 
<표 9> 에서 연구기간 중 치료횟수를 보면 10회 이상 20회 이내가 
총 연구편수의 57.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회 이상은 29.0%로 나타 
났다 
<R 9> 음악7'i 1 효 뭉1'IH 힘끽 
'ðJ~←1 ι 
중재횟수 
10회 이내 20회 이내 30회 이내 30회 이상 겨1 
즈LζEιLζr ::; 22 6 3 38 
?'Ô 13.5 57.9 15.8 13.2 100.0 
4. ADHD 션별 및 임상효과 평가방법 
ADHD 의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문제행동 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는 <표 10> 파 같이 나타났다. 연구대상 
자를 선별하는 방법에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관찾만으로 ADHD를 선별한 논문이 3편이 있었으며, 선별을 하지 않
lfiíl 음악과 문화 재 17호 
고 임상을 한 논문도 3편이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사용은 11 편, 
관찰은 8편, 도구와 관찰은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19편으로 조사되었 
다 
<R 10> ADHD 명까방법 
선별평가 임상효과평가 
õJ표「L 
도구 관참 도구+관찰 없음 도구 관찰 도구」관찰 
논문 수(:)8편) 30 3 9 ‘) 11 8 19 
% 78.9 7.9 5.3 7.9 28.9 21.1 50.0 
'- 
연구대상 논문들이 결과분석에 대한 기술적 신뢰성 여부를 파악하 
기 위해 질적 분석과 통계처라 여부를 조사한 결과는 <표 11> 과 같다. 
대부분의 논문플은 단순한 산술적 빈도조사나 기초통계에 의한 빈도 
분석을 사용하거나, 행동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음 수행하였다. 반면, 
[ 검정이나 상관분석 등음 사용하여 결과분석의 신뢰도를 높인 기술 
통계적 논문은 전체논문의 3 1. 6% 인 12편으로 조사되었다. 
<R 11> 분액 및 통껴!해 21 
하。모 • 1 
행동관찰 
통계분싹 
통계 
단순통계 
단순통계 j 
(칠적) +질적 +"근ζt~ 
논문 수(38편) 20 10 Hì 
f/l0/ 52.fì 15.8 15.8 26.3 42.1 
<표 12> 와 <그림 1> 은 ADHD 선별평가 시 사용된 도구 수와 순위 
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사용된 도구들의 순위를 보면 ADHD 평정 
척도 , D~M-N , 지능검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는 사회성숙 
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13> 은 <그림 1> 에서 나타난 선별평가
주의력결핍 및 과영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69 
시 사용된 도구를 군집화한 것이다. ADHD 평정척도인 경우 Conners 
평정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ACTeRs 순으로 사 
용하고 있었다 
도구 
군 
도구 
←/L「 
<효 12> 먼별명까 f1 아용된 도구 우 
지 기타 
ADHD 기?o . 공 DSl1 」。C13 
평정척 
도 
27 
격 사회 학습 
W z:l CL 
口성 성숙도 장애 려←1 
사 검사 측정 
10 8 3 3 2 7 3 
<그림 1> 먼별명까 f1 N용된 도구 
ADHD 선별도구 사용 비율 
口ADHD 평가도구 [A] 
口지능검사 [C] 
口주의력[티 
口DSM-IV [B] 
口CBC L[미 
口공격성검사 [F] 
인성 
검사 
2 
口기타(사회성숙도검사 )[G 1] 
口기타(인성검사 )[G3] 
口기타(학습장애측정도구 )[G2] 
디기타(행동김사 )[G4] 
口기타(그외 )[G5] 
<표 13> 먼별명까에머 N용된 도구곤 
행동 
검사 
그외 
3 3
170 유악과 문화 재 17호 
도뉘 군 
'i•: • T UC1 
(사용 순위) 
교사 용평 정 직도 (C]‘HS) 부 모용평 싱 척도 (λC I'HS) 단죽형부모 l 
l"onners 
용 · 괴사용 평 성 식도 (λCHSJ , 괴사용핑 정 사도 (CTHS 2?)‘ 부모 
평생석도 
쟁一냉정척도 I ACI'H 
(7 1.I ",; 1 
고섣 Ft 
ADllD 
{("]ι、Hs 
평정착도 
17.1ι 
주의녁 겹핍과잉행동상애종협교사핑정 지도(인리노이대학교) 
( 10O:'()) 
주의랙겸냄과잉행농장애평정 식도, 주의팍결핍파잉행동장애평 
기 EI 정서[,,;]1('[ 1, ADHTJ아농정지가보고지도‘ 주의텍결함과잉행동 
(]f!.:ï()(,) 장애아동 검사지, 주의 역 결핍 장애 천 ~':.넌 COPEJλ])증후세크리 
스 JEdnil C() [l(、]illld] 
DS;vr IV DSMIV, DS1V[-IVR( 자폐진단기준) 
지능검사 KEDI WISC, 지능검사(KI'1'-]1 1 , 한국핀유아아동그럼지능검사 
CRCL 
아동문제행동체크리스트 (CBCU ‘ 한국형아동문제행동세크라스 
드 (kCBC Ll 
주의력 
수 -"1 랙 섣 핍 자 기 진 단 테 스 트 , 주 의 역 겸 팝 핑 가 끽 ]노 (J EFJ J, 
Hilrrisl ]lJf! 4 J 각시핀(집줍딱 검사지) 
극Ql1「] λ。} 。}등정~공쇠상←주정도 r'l그덤도 rL J‘ 」ι사영 공각성측정도기L 
사회성숙도 
사회성숙도검사 
검사 
학습장애 기초학습기능 심사‘ 기초학습부진아판댄검사, 학습장애아선별 
기다 도←1트X。} 평정책도 
(순위에 
인성검사 한국아동인성 겁사 (KPICl 
서 제외) 
행동검사 
KISE 정서행동장애학생선별직도, 행동특성측정 mRC-Al , 자폐 
아행동건꽉표 
:L 외 
가정환경섣문지 (HSQHJ , 자펴1 정도측정 (CAHS '1')‘ 언어발달 
교육진단검사 
<표 14> 와 <그림 2> 는 치료 후 임상효파 평가에 사용된 도구수와 
순위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으로 사용 순위를 보띤 ADHD 평정척도, 
충동 및 공격성 검사, 주의력측정도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 
는 인성검사, 사회성검사 등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lfï> 는 
<그림 2> 에서 나타난 치료 후의 염상효과 평가에 사용된 도구를 꾼집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71 
화한 것이다 ADHD 평정척도인 경우 Conners 평정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ACTeRs, ADDES-SV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ADHD 평정척도의 내용은 <표 16> 과 같다. 
도구군 
도구수 
<ll 14> 임앙효과 명까 ()I M용된 도구 끽 
~δ→% 
주의력 
기타 
ADHD q;x1; 
평정척도 그。l 져1 서。 
주1으;져。 ←5:. CBCL SCRS 인성 사회 DSM 
검사 
~r- 검사 성 
15 5 4 3 2 4 3 
<그~‘ ?> ~아효고} 편까 ()I M요도| 도구 ]<./00 0 OL 
ADHD 임상평가 도구 사용 비율 
9% 7% 4% 
F119% 
3% 
F4]13% 
口ADHD 평카도구 [A] 
口CBC L[ D] 
口충돌 및 공격성검사 [B] 口주의력측정도구 [C] 
口SCRS[E] 口기타(인성검사 )[F 1] 
口기타(사회성 )[F2] 口기타 (DSM-IV)[F3] 口기타(그외 )[F4] 
<ll 15> 임앙효과 평까에애 M용된 도구곤 
IV 
2
172 음악파 문화 재 17호 
도구꾼 
도구 19 
(사용순위) 
Conners 
교사용평 정 적도(CTRS) , 부모용평정 척도(ACPRS) , 
평정척도 
단축형부모용 • 교사용평 정 척도 (ACRS) , 
(얘).7%) 
교사용평정 척도 (CTHS-2Rl, 부모용평정 척도 (ACmS-48) , 
ADH Conner와 Well's 청소년 ADHD 자기보고 섣문 
D ACTeHs 
주의 력 결핍과잉 행동장애종합교사평 정 착도{일라노이대학교] 
고。~Pà (13.3%) 
척도 lDDES 
(]OO S' 주의력결핍장애평가척도 교사측정판 [:1cCém1이] 
%) (6.7%) 
기타 
주의 략 결함과영행동장애아동검사지, 
주의력결핍장애청소년용COPELAND증후체크리스트[Edna 
(]3.3%) 
Copelandl 
충동 및 공격성 아동고[사충동성검사지(이미야‘ s) , 충동성검사(]:1FF1、), 
검사 아동용공격성측정도구(그림도구), 교사용공격성측정도구 
주의력측정도구 
Harris 격자판(집중력검사지), 주의집중성취도검사(CIAT) , 
주의벽갤핍평가적도(JEFll , FAIR주의집중력검사 
CI3CL 
아동문 제행동제크리스트(CI3CU, 
한국형아동문제행동채크리스트(k-CI3CU , 
SCHS 아동 · 교사자기통제 력 검사(SCHS) 
。l 셔。커D 
한국아동인성 검사(KPI Cl,한국판인성 검사(K-PIC) 
사 
사회성 
진사회적행동정도, 사회적능력및적응행동평가, 
기타 사회성숙도겁사 
(순위에 DSl1 
DSM-IV 
서 IV 
제외) 한국판아동용지능검사(KEDH"lSCJ , 아동용우울척도(CDO , 
그외 
가정환경설문지 mSQ- Rl, 자아개념 검사지, 
부정적인지오류질문지, 
한국판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k YSRl, 
5. 지료중재효과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결과의 긍정적 효과 유무틀 암아보기 위해서 <표 16> 과 같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볼 분석 173 
독립변인에 대한 종속변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논 
문들은 종속변인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하고 있지만 일부 연구 
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다는 논문은 3 1. 6% 의 12편으로 나 
타났고, 전체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논문도 1 편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효 16> 독립변인어I cH 한 쁨변인의 변화 
항목 | 부분적 효과 없음 l 전제적 효과 없음 
총 논문 수(3B펀). I 12 
총 논문 수 대비 % | 31.6 l 2.6 
음악치료 중재에 대해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경우를 보면 문 
경림(1 997)은 명상이 공격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연구결과 
를 발표하였다. 김윤숙 (2000) 은 한국판인성검사(K-PIC) 로 평가한 결 
과 우울, 과잉행동, 비행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아탄력성, 언어발달, 우 
울, 비행, 과잉행동척도에서도 연구대상자 3 명 중 1 병은 유의한 변화차 
이가 없었으며, 단지 행동조절에만 변화를 보였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 
경화 (2002) 의 연구에서는 남자인 경우 집중력향상에 효과가 없다고 하 
였고, 류성 (2000)은 주의집중력에 있어서 강화재로 리듬악기와 선율악 
기를 사용하여 활동하였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 하였다. 검미 
선 (2000)은 부적절한 소리 지르기 행동은 감소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 
를 제시하였다. 전은숙 (2001 )은 부주의 행동에 대해 지속적인 감소효 
과가 없었다고 하였고, 주영지 (2001) 는 문제행동수정에 효과가 없었다 
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정활란 (2003)은 중재 대상 아동 2 명 중 1 명 
인 경우 충동적 행동 감소에 변화가 없었다고 하였으며, 검은주 (2004) 
는 연구대상자틀이 충동성변화는 미미했다고 하였다. 또한 임명희 
(2004) 는 FAIR도구로 평가한 결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있어서 3명의 
대상자 중 1 명이 치-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유찬 (2005) 은 연
l74 응→악과 문회 세 17 호 
구대상자 14명중 3 명은 집중력 향상에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조미 
화 (2005) 는 연구대상자 중 여자인 경우 주의산만과 음악흥미에 대해서 
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표 17> 은 치료중재 후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연구결과를 정 
리한 표이다. 
<R 17> "'1 료뚱1'iH 후 부분떡으로 효과까 없는 연구 
연구자 
선별도구 엮상평가도구 독럽변인 
종속변 
J부분적 차이 
(년도) 익1 
이농, Jι 사정용- 
G강i] τ시 성 심 사 1 L ε↑ •。 1 기u 상 각성。iI '!l 디든 영행음 
"’ 서。 며" r- ! 
1‘rJ ~J{}Ol o 
-1" ^1 ?‘,) 。1。1 
í])971 1 성성휴띤이1 ril ~I. 
ι 각 Jd 
상걱상까1 시도 f"l F} 
~ll ~사 J ↑ I __ l ,'_l,l! 응죠 녕싱 여 "l i+ "11 yl 섞) 
l?_."근 1 시[사 성 ('011 • lt'rs 
유약치료훤동( 
낀 "1 신 
•。 Pid 이。 치1 ~ ~ 
1 니”까L ,'_ /1 리 }~- 7.1 -2 7 시 섣 한소 21 시 ,", /1 행 
h 주의 ?lth1ι} 엔생성 
120이 )1 
성애 3 딴-.l ll 시빙 상 시 
약 '1 즉흥 ~I 생등~ 등 rl fτ 되지 않음 
~(λCT이〈늬) 
'-, η ν11 만깐 '11 
;cQI 시 
‘IT• λ。 1 
11 ~λ1'CU11 I1C I"',으 1 밍 성 ,11 ’사〔‘ Ollll(、rs 섹 ~i 띤 ð~ 리간약 11 멘iI~니약 11 환 
시 lιi l' Tl iS I{! 녕정 서도 ICI 、I{S 아시할딩 •0 능에시 유의 "1 힌 사이 '1 
í20(l1)! 
사희생숙→" 서사 l{I JI{영생 rH>1’ 1。J 
& 
!):-;、1 IVIλPλ ‘ 
응악지난흑1 동( 
슈영지 lílíJ!1 한 <"이 -5-~1 성 선 
가칭 새니싹슴, 1 Jl IIJ l1) 서1 행〕강-↑ 싱。11 학파 
(~()1I 11 한 1~ (J ~-6-{{1 성 {:λ}(K 시 IKI'I ('1 
•i--q f~- , -~ζ,-。•L/l1 r/。1 생동1시 
I.-~ 세인‘쇼 c'] 회 
j'] CI 
만 i'J 
IlS1 1'1λ1';‘ 
유 0) 지료환꽁( 111 f- 의행능유 ]자 
서~t -,(그→ 二사:τ1 1'l'1(1 
US.I 1λ1' , 。! 기연 Î"" ,시 상 I !,' JII 행 활등시 간소‘ 반신 ? 
I:>()()l) 만 수 행 I? λ} 상 tïllll1l'f 
Iq()~) (;1IJ ‘ 1드이‘ 1/1 Q 2 치 할등시 응 ;1 
ACI!S [l1l 11J ‘ j • 1] ‘ / ] 3 f; ]r~-~-- 으1 행 농 '11 til 한 
‘、의굉 성 사도 I ,(I{S) 
t{-1 -1"-, 라 듭-;(힌) :.<]속석 긴 ~-~바 없음 
J; 악사 5-~ 힘깐( 한 j까,r) ~l 싱낀사(] I'!( 
선셔1 함동 )에서 1 맹-? 우 ?‘ 
감;와←약 한 ,;-까 (;1 생 7!λ1 
•'?r Q{ -~J λ。 ) 
앵-~‘::Z, 
υ} 잉생';', IJI 생에 자。! 
12에 )~I 1('; 1'[('1 
J} 시까간기 。B/} } Q1 
약 이인 F 사이 난녁 싱‘언이 1묘난, 
" υ11 ,',',.,)/) ?--g,l-l]핸 o'} 잉헨농 까 ]ι 
j 정 (;-1 {,) 에시 'il 성 1시 유써한 ,1 화 
하상회 
H"rri1 (íJ~ ↑)서 
í:.2-1-ι~1 닌학생 십강역향상 꺼 jJl 
사단1 ll jJ] 빙상유약 
( ~!이 )21 
(싱 ε 시간시지) δ 「r;;l 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75 
괴사직접관찬에 의한 
행농특 성 처1 긍l 퍼스트 
IlSlI-IVliPA‘ l!Nll 
DSI 1 1:1';, 
성활란 단축 형 .il~ 사용e<lIl ncrs 
10911 
리코더연주 문제행동 
이동 1 성은 층동적 
1:20031 의평 정 척도 (!CHSI 
인 픈형JJ!사용 co 
프보그램 변화 
행농김소에 변화 없음- 
부~~~상단(생육사,가정 
nncr~ 의 평 정 착 
흰경 및 l'c ,,]증세 
도 I:CHSI 
처]OL~] J- T三) 
주 91 띄 살핍장애 
정소년정 COI'E 
4J ,0 __- 1스 LA'D증 후λ11 크 _ò_ú17 1- λL •;X T )이 1 ιH1 J。 E 
리스드사회시 
n ., Tl 0 
二응옹성변호1 미미 
(:.;이 111 tεl 
가응행동맹까 
싸회성숙도검싸 
l‘,;[[{'?의 집 "6- 
,'1 
,L조회¥1 유 
시능 검사 IK I'l‘ 11 한 샤아능 ~l 싱 간 
。?~ 1 。η ~] 
기초학습가능김사 사 I !~J' I ('í 
약활등(악,] ι1드 91~60 F t m 족정에서 1 멍은 
1:2004l 
초학습부진야피별검사 C{)1111er ‘ τ1느 。1 1] 
'?l 우! F; , 」1LV。Lf /ll f ''"식 쳐야 없유 
중앵동 ι딩생서도 
상) 
ICTHS 1()1 
쥐l 모,괴사 c( )!lI1t ;r~ 의평 CO l1 ll t'f와 
이유잔 λ。I "기1 !‘τ- l'i 1' ,쟁소년 λ ‘I。」-。1l -í겨J λ11 、, 주의력삿 다l 상,,]→좋 ~i r껑 은 
I:!()(fil C( )J1 11er 와 'd1' " 정소닌 ])!!u서 기-보 ,L 보 ,-l 샘 핍 111 선 양상자이 없음 
J lJlD자가보U 석분 ιr1 1E1L 
주의떤 결함괴영 
여자인 정우 수의산만과 
조미회 생동 상애아동김 i양악서도프 주의산만 
I~()():') 사시‘ i~← L ~ 요p 야1 후ζf- ll1 
응악흥미에 사전 사후 
e 약흥 u] 도 신사 
차이가 없음 
<표 17> 에서 보면 남학생이 집중력향상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는 반면, 여학생인 경우 주의산만과 음악흥미에 치료중재 전후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표 18> 은 치료중재 후 문제행동에 대한 무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연구들이다. 이 연구에서의 평가도구를 보면 선별 시에는 문제행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관련된 ADHD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지만, 치료중재 
후 임상평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도구를 사용하였고, 기간에 비해 중 
재횟수도 적였다. 
<ll 18> .. 1 료뭉1'i H 후 먼태l 떡으로 효과 없음에 CH 한 연구
176 유악과 분화 세 17호 
연구자 
선별방법 염상평가도구 도변←!리口인 종속변인 효과 없음 I 
(년도) 
DSM- !V(APA, 1994) 한국판청소년자기행 。주의력결 불안경향 l 
김광연 주의력결핍과잉행동 도。펴가척도(K-YSW • U→악8버 핍과잉행 부주의행동 
C2아)2) 장애종합교사평정척유악。 요법평기침문지 iL 동 과잉행동 } 
도 (ACTeRS) 
연구논문들에서 명시한 제한점을 분석한 결과 <표 19> 와 같이 프로 
그램 적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알반화, 측정도구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표 19> 연구 깨|한덤 분엑 
하。모「 일반화 
사후 프로 증재 대상자 부←7츠;지〔j 거 
기타 
지속 그램 기간 • /L「도구 
논IDr-〈「 
18 ‘2ζU 14 14 15 ‘갓} 
C*l편) 
[/L1/) ~17 .4 15.8 {뀐.8 36.8 36.(; :19.5 68.4 
기다는 연령, 능력, 장애유무, 비교, 성별, 음악 등을 말함 
N. 논의 
먼저 ADHD 의 음악치료사례에 대한 국내 면구논문은 학위논문으로 
대부분 발표되었으며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7편이 있었으나 석사학 
위 논문음 축약하거나 재수정하여 발표된 논문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전문적인 임상분야로서의 학회들이 더 적극적으로 수행 
되어야 하며 ADlID 아동윤 위한 암상기술 빚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 연령은 주로 유아와 초등학생이 대부분이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대부분판 차지하고 였다 이는 유아 2 서1-6세부터 과잉행동을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약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77 
자주 보이면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의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남아가 여 아보다 3배 정 도 많다(Hunsucker 1993) 는 이 론을 입 증한 결 
과로 볼 수 았다. 연구대상의 수는 5 명 미만인 경우가 많이 나타났고, 
설계방법도 단일실험대상군으로 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부 
모의 동의 등 외적인 문제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특성 
상 치료중재를 위한 소그룹의 적정인원이라 할 수 았다. 그러나 임상 
효과에 대한 객관적 판단을 제공하기에는 제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 
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인원을 늘려 임상결과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 
양한 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치료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ADHD 평정척도인 Conners 평정척도 
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연구자 마다 평가기준이나 평가도구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객관성이 
결여될 수가 있다.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가설에 따라 선택 
하여 적용하는 여러 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기보다는 우리 실정에 맞 
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과 정립이 우선되어야 한다. 향후 개발되 
는 표준화된 도구에는 ADHD를 정의하는데 동일한 기준이 있어야 하 
며 문화적 차이에 대한 격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Eiraldi 1999). 이 라 한 표준회 된 평 가도구의 개 발과 사 
용은 ADHD 에 대한 일차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영 · 유아기에서부터 
청소년기, 심지어 성인기까지 지속 (Wciss & Hechtman 1993) 되는 주 
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2차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자 
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치료중재 효과인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연 
구들에서 효과가 있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만 효과가 있 
거나 효과가 전혀 없었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이라한 연구에서는 중 
재기간에 비해 중재횟수도 적었고, 행동관찰에 의해 평가하기보다는 
인성검사 등 간접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임상효과를 평가하였기 때문
178 유악과 문회 제 17호 
에 공격성, 부주의한 행동, 충동성에 대한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 
연구들에서 제시한 제한점들음 살펴보면, 표준화된 프로그램의 필요 
성을 가장 많이 나타내 주고 있다. 이는 전문음악치료사 과정에 있는 
연구자가 중재한 설험도 있지만 특수교육이나 음악교육, 유아교육, 상 
담교육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실험한 연구도 있어 프로그 
램의 내용에 전문화가 부족하다고 본다. 그 다음으로 일반화를 들고 
있다. 이는 중재 횟수와 환경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 
(Thomas & Chess 1997) 음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 
후 ADHD 아동파 관련된 실험연구가 지향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는 
중재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V. 결론 
국내 ADHD의 음악치료사례에 대한 연구물들은 학위논문들에서 대 
부분 나타났다. 그러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학위논문의 내용을 축 
약해서 발표하거나 재수정해서 발표한 내용들이다. 학위논문인 경우 
는 치료 · 교육음 전공하는 학생들의 설험연구 결과불이기 때문에 전 
문성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ADHD 의 음악치료사 
례에 대한 임상전문가가 현장에서의 검증된 기술들을 학술지를 통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DHD를 선별하거나 임상효파를 평가하는 방법에서는 연구자마다 
평가기준이나 도구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객관성이 결여되고 효파에 
대한 신뢰를 주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우리의 문화적 특성에 
타당한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과 정립이 펼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국내의 ADHD의 음악치료사례에 관련된 학위논문만음 대상 
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다른 중재활동의 설험연구 내용으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79 
로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ADHD 의 국내 · 외 전문 학술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필요 
성이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ADHD 의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 사례만을 대상 
으로 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ADHD 에 관한 환경적, 신경 심리학 
적 등의 포팔적인 연구틀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백기복·신제구·차동욱 
:Z002 “한국경영학계의 리더쉽 연구 30년" "'문헌검증 빛 비판 경영연구J , 제 27 권 
제 1 호 
조수칠·신윤오 
1994 “파탄적 행동장애의 유병율에 대한 연구" ~소아 · 청소년정신의학.! 5‘ 
147-259 
홍강의·흥정자 
1980 “소아정신과 외래환자의 과잉운동에 관한 연구" ~정신의학보~l 23, 359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nostic and Slati ν tica! ,Janlla! of Menla! Disorders(4th ed.) 
Vashington, DC 
Amold’LE . jensen PS 
EJ95 “Altcntion-deficit disorders." Comprehcnsive Textboo/( of Psychiatry 
2295-2310 
iugust GJ . Garfinkel BD 
19H9 “ Behavioral and cognitivc subtypes of ADHD" Journal 끼 f the American 
l1 cadem:v of Child ι Ado!escent Ps)'chiatry 32( 1) : 155 16G 
Bark1ey. R. 1 
1990 "Altention-deficit h,'peractivit,' disorder": 11 Handboo/( for Dia;;;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7-353 
1997 "ll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cxecuti'e [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cory of ADHD" Psycholo;;;ical Rulletin. 121‘ 
65-9.1 
Dierderman, ]. . ~ewc()rn J . Spirch S 
1991 "Colorabilit,' of Attention Ddicit Hyperactivity Disordcr with Conduct, 
Dellrcssivc. Anxicty‘ and othcr Disorder", Am ] Psychiatry 148: 564-577 
Davis, W. l:l .. C;gcller, K. . Thaut, 11. I-I
180 음악파 문회 세 17 흐 
1999 11n Jntrodllcti lJn W InIlSÚ' t!JcrajJY: Ih r>(!I)' and practial2nd cd.J. The 
lIcGrél Ilill Companies, 1m: 
Dupaul G.]. 'Stollcrs, (; 
1994 ADIJD in lhr> schoo! Asscssmclll and intcTl ‘ention strstr>fáps, NY, 
Guilford I'rcss 
George, j. D. . c;“n' , S 
1994 A /JHD in schoo!. NY, (;uild Press 
HUllsuckcr. C; 
19m AUenlion deficit disIJrdσr. Fort J.Forth, TX, Forresl Publishing 
Lambert l.1V1. • Sandval ]. . Sassonc D. 
197K "The prcvalcnce ()f hl)Crac‘ tivily in elemcntary school childrcn as a funclioll 
of social systcm dcfinerι " A 끼 1 J orthopsychiallγ lK‘ 44lì-4lì::l 
raylor, E 
1995 "Lh'sfunctions of aUention ," 1)r>ue!op Psycho!2, 2.ß 273 
Thomas & Chess 
1997 Tempr>rament and dn'r>!ojJmr>l1l, Ncw York, ßrunncr/lIazel 
Wciss, G .. Hcchtman, L 
1 99:) !lvjJerac’lÌur> children f.{rol1Jr>r upC2nd ed.J. :Y, Guilford l'ress 
<부록> 
ADHD 대상의 음악치료 주제관련 논문목록 
강;영 í200:'iJ .9,' :, f 깐 1 니1 브 l f〕약서 1] íc ",]집 6~ 성이1 야 1ι 。11!11 ,,]지영호1 ,인낀 j “ 
[11 서사 
강판쟁 120ífí) 수의이간쉬싸잉역')판상 "1] 아 -'u 9] -~i 강이 행상 -1'1 -6~-~~~ 성 1깐 r! 윤위한 1'1 이 
Frv! ]1[Cr 줍심。1 3-(1{ 지니 사라1 연 i' , 0] 회이내 사사 
[1 영Jll! 20íJ:î) 끼리li 요끼 。]-g- fjl_^ .-;5- ~,~→넌이야 까민상이I~ 이의 í~ 9] ~n ~6- 쟁 -~~-υ]91 끼 '1] ‘ 
";í LH 사사 
끼 깅 숙(띠2(α00μ띠4) λ사{μ] 
익연j [', , lè 선 디1 사 ι1 
낀깎얀 ((20021 유 oj ”인이 이까생 9] t 으 1'1 션깐 J'] 또1 앵깐 r!4τ"1] 11] 지 3:r -•‘ 아닌내 
사/、1 
심,,]선 Ø)이) 수 "1 이시까 맛 J'~ 영생닝 。}’'0- 9 ] .L1l 시응생 E→이1 대한 건약 끼~ 효 J'~ ‘ 힌시1 
디l ‘!사 
끼수 HZ001J 익시 t?-t -;:시 싱산시지1 이의 주 9] 11ε 시 {1 이 )f1 시 3 생싱。11 ,, ]λHτ 영생‘ ?( 
석 rll 이 아 
“펀까 (20021 (이 t 'l끼씌, '1 잉맹듬성이) 0):9) 행등죠션어1 "1 시는 ←Soj 치~ 9) 효"), 011 
'11 센 /‘ )rl1언 i. 01 화아니1 석시 
끼건강 120(f)) 바二J~ 니 익|주 까앙이 슈익이시까 "']앙행동싱 óB ()]_ )~- Ç!] 1 , 1 식응행 iH) ,,]시 
j ι 감 씬 III 삭 λ1
주의력결핍 및 파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81 
긴 얀주 C20(1) .. -;/낭학생으1 주의짐 ÓCC 약 행상유 위한 감악감상 g 용사내1 띤 ~lL , 선바대 석사 
끼깅1I ]1 '20ln) 수익녁식띈아야 끼나까 위한 치1 떤삭 유약간상 ~T_ ;:ι.' L 랜 연구‘ 부산..1 1 1_ 대 식 
λ} 
낚성자 1 '20()ljl 풍;판학냥에서 시동유익 6' 선의 꺼익치~ f.가 정서상애아동의 주의띤섣핍 
맛 강걱 ι~ .~이] /↑}지는 영땅, 강인 jι 내 석사 
냐생 1 '2이)()) 약!]연응이 서이}아등의 주의이견핍행동 넷 :c)잉행동 김소에 u) 시논 효 :è) , 
등아내 석사 
문성빈 (19띠생성이 아꽁의 주의 십증 및 공각성에 1I]치는 영향‘ 숙 l~ 여다} 사사 
막 11) 선(2()O;i) 선동 깐악:1 1 1_ 육 알 J동한 주우]간만 악생의 십증싹 지 -L 이l 깐한 엔구‘ 시낚니l 
시사 
ulfr 끼 1 '20041 행동수 0] 식 응익:<]딘가 수익이 긴핍 "']잉행판상애 아동의 집증이괴 사회 
성 향상에 주간 효 J'} 이1 판하 인←"‘ Il1 산내 서사 
u] 상향('2()()()J.:" 약얀등이 사페아상의 3 기 _r,~망 잇 . í-"] 집증어] ul 지까 효 J')' 에 판힌 연 
γ ‘ 내二l' 내 깐 1 사 
Ul-"t- 선 1 '200:11 이::;'-디 학습이 주 91 약 섯핍 J'I 잉생 ,c( l D I-I D) 욕 가선 아낭의 문에행 J강 개 
선 이1 1I] -"]:피 J')' , 시 카 나1 식 사 
, 1 희성 1 '2()()1 ) 건약지냐가 F 의 ".1 건 Jn . j!l 앙팽싱 상 01] 깅 선;1 의 우유)순싱 J'} ';1 시변인이1 
/11 기 { 二영 생 ‘ 렌 ιJI 내 사 사 
안에상 1 '200:j) 유악치나 판녕이 상신시지1 정소넌의 F 으lf} 승단 L’!에 ,,]치는 효파영시니} 
사사. 우 사디}략 1/' [11 학씬 삭사 
유판 ;~I '2 ()ml 유약 /.1ι~ -ll~ 까씬 E 이 다운즘?→ 1 건{jl 생 9] 선넥서 ~c"l 십숭 2-1 이1 nl 지는 it 
고1 ‘ ]1L 산 [11 λ1 사 
유이깅('20()] J 꺼악지나 '1 악,"상。11 이아 슈이 rl 승 1 서 상 ~ç;. 사정이1 111 시간 영앵, 다] 1" [11 
이 ;1 ~9' '20011 유。!λ1μ )으',:_ ,_ ~l! 이 λUllll 상생까 시민 이동 0]; 익이산핍 υ] ν} 잉행등 
셰 이 시 ; 양 깐‘ {c ~I 내 서 사 
이유 ;1(')이 f")). -~_öl 끼싱-,( 1ι rqlj5 ”이 끼소니시 91í 9 ) ~I 갇넘 시1 ~.I 011 , '1 힌 연 IL‘ ~1 
낀 L니 사 ιl 
。1 꺼 ιk!()()()1. íO]'1 끼뉘 띠 , '1 밍 렌 상이1 깅소년 와 우 1 힌 응약 시 μ 샤 l' iI연 { 이화이 rl] 
ι! λ} 
이 JB~'( 1 잇)~)). _?,_ 0) 지,, !/j ε L 아생 "]í -"] 산 '}"I '11 션이1 "1 :Z] ~ • 효파‘ 안 전 잉 다} 석사 
~]영 ι1 ('2()(J 1 ).1' (,회민 e 약사 1~} 으 응 ~f1 시감식에 서소년으1 슈 91 1]-6- 2<1 -(잉상이] 까힌 
사 에 띤 1" 이 회 여 내 사 ι1 
인 '1 잉(')이 )j)Î' 0) 이 끼뉘 , '1 잉익 ~-J 이1 유이。1] 디l 해 ‘δ 얀 .J;약 j1l 육이 u] 시 효,,]이1 
판 '1"1 이 '1' ‘ '0' 영 니1 녁 시 
시픈아 C.2애)] 1.:),익 이끼:l l:~ 51~ __ !샌이 λ])I TJ)이싱 "1 운께행낭에 1까지간 표피‘ [11 IL [11 석사 
상의 넨 C:OO‘” 이 rιL] ';1 í 프 jι 〔l1l! 이 λ1)[ 11) 이 {;O] ~i ,11 헨 5 lFl 화이1 nl 시단 효내, 내 
l' .1 ,' .i"f [11 이 ll~ , "l 사 
죠 1/] 회 1'2 ()O;) I 건 악 ζI ' L 으 ',~ L ,?! 0] "H; 이 수이 산 1샤 빗 쥐 약 당,,] 01] 111 시 깐 효마‘ E 아 
니1 사사 
「성 시('2 0()] 1. :; 익 시 μ0] 삭 텅 윤 끼 띤 ,")] 이 시 넘 ,,] 앙 앵낌이 닫이 행동 낀1 화‘ J11→산 111 시
182 음악과 문화 제 17호 
초1 성에 (2004l 음악지쉰가 iDITU 아당의 중낭상~,] 사사등시]이에 ,,]지는 fL JI} 디1 I~ ~ll!_ -;~­디} 
삭 λ} 
강}경화 (2002). uiil 맹상음악이 ι 늠<3"1 생의 주의 신 ~εI;~ 011 ,,]지~: A 파, 칭윈디} 사~] 
6] 원 0996J 응익지난단 똥핸 자이1 아악 센상수상에 까힌 얀 1'- ..1-'1 잉행능 감소와 니1 인 
{! 711 개 선응 숭삭으.:!} .. 퍼-표내 석사 
흥은희( 19~)il) 민 -{'- C:-I--í~ 프 ]ι l 넉Ij 석 용옥 JJ ?] 학→갑 -V-{-l 아 91 주의 집강넥 선장 띤 11, 년국 
r !l 사사 
흥화시( ]c)99l 유악씌 앙이 Î'9] 이 죄관 i'] 잉 행 1상 이 상으 --í~ 승상 간 -:: 넷 진사회 석 양l 낭 
강 7] 이1 ,,] λ]; :1 ι ;r 멍이내 석사 
양영 링 (200()) 비,;,니폐슨안 1。이 Îo 9] 넥 션핀 -,'] 잉 행굉 상이] 0]6 91 분 서}행동에 "]:<]1- “ "]-, 가 난 ι1 c!l 삭 λ1 
검색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음악치료,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dADHDl, Music therapy 
<Abstract> 
Currnet Status on the Study of Music 
Therapy for ADHD Children 
Min-Joo Choi, In-Sil Ho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overall tendency through the 
rcsearch results on analysis of studies about music therapy 
exampl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mplished in 
Korca. For this, 1 selected 38 thesis, which are doctor' s thesis and 
master’ s thesis, within studies about music therapy exampl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rom 1990 to Jun. 2006. The 
types of analysis on this papcr are an objcct of study, experimental 
design, the frequency of the experimental design, evaluation tools 
and dependent variable etc.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find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83 
out that elementary students are strongest in the age group of the 
object of study, and the most examples of the object of study 
showed up within the number of 5. In the methods of experimental 
design, almost a11 experiments about a single subject group without 
a control group occupied and the most frequency of treatments was 
applied in 20. Conners rating scales were used in the case of ADHD 
rating scales as the evaluation tools of clinical effects or diagnosing 
the recipients of study. There were partly research results which 
had no effects in the changing of dependent variable as therapy 
intervention effects. The discussion on the further subject outlook 
has been done.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혜원 정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혜원 정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혜원 정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혜원 정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혜원 정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혜원 정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혜원 정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혜원 정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혜원 정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혜원 정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혜원 정
 

What's hot (12)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
진선영이명주홍창희2007 adhd 굼뜬 인지적템포 주의과제진단적 유용성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 인지적 특성및 실행기능 뇌파비교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신윤희외 2010 adhd및 학교부적응학생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뇌파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이현정2013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형제의_임상특징_및_신경심리학_소견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정영철 2001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연령에_따른_특성비교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김소연 장문선서완석,배대석2009 adhd우울동반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조정숙 이효신 2013 아스퍼거 ahd 인지특성 지능과 실행기능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안정광 신민섭 2010 adhd하위유형 실행기능 비교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김소연 2009 adhd아동의 우울 동반_여부에_따른_실행기능의_차이
 

Similar to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혜원 정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혜원 정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혜원 정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혜원 정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혜원 정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혜원 정
 

Similar to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19)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김진구김홍근2008 adhd전두엽관리기능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Kiss청소년adhd또래관계 실행기능 매개효과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조정숙 이효신2013 아스커거, adhd 지능 실행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
신민섭 조수철 2006 adhd 아스퍼거, 학습장애 실행기능 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신민섭 2011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_아스퍼거_장애__학습_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D bpia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_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_향상_프로그램_적용_효과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 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학위논문을 중섬으로 최민주·홍인실 I. 서론 1980년부터 음악치료 분야는 새로운 지식 체계로서 계속 성장하고 있고, 의료 보조차원에서의 새로운 임상 기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에는 예방 차원의 의료 서비스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늘어나고, 장애 아동들이 학교에 통합되면서 새로운 임상 영역으로 활동 무대를 넓히 고 있다(Davis , W. B., Ggeller, K., & Thaut, M. H. 1999). 이 러 한 음악 치료의 임상 영역은 국내에서도 다양해지면서 학령기 아동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에 대해서도 관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아 정선과 외래환자의 8.7%( 홍강의 · 홍경자: 1980), 일반아동의 7.6%(조수칠 · 신윤오 1994) 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 행 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 하 ADHD라 약 칭)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아동기에 발병하는 ADHD 사례 중 70-80% 가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며, 10-60%가 성년기 까지 지속된다고 한다(B arkley 199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는 주의력 부족, 충동적 행동, 그로 인한 과잉 행동·등 방해성 행위들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이나 청소년 의 장애들 중 많은 관심과 논의의 중심이 되어 왔다. ADHD는 부주의
  • 2. 162 음 악과 문회 셰 17호 성, 충동성, 신체활동이 발탄적으로 부적절한 수준에 속하는 장애를 분 류하기 위 한 진단 규준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으 로, 주요증상은 주의 산만 (imtttention) 과 과잉 행 동 충동성 (hyper activity-impulsivity) 이다. 이라한 행동특정은 아동발달에서 흔히 관 찰할 수 있는 행동이나,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빈도, 지속시간, 정도를 고려하여 ADHD 아동을 일반아동과 구분할 수 았다. 주의력이란 집중성, 지속성, 선택성, 통제성 등 네 가지 측면이 결합 되어 작용하는 정보처리과정으로서, 주의력결핍 즉 산만함은 이들 각 측면에 대한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Taylor, E. 1995). 과잉행동과 충 동성은 양자가 서로 띨접하게 관련되어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Amold ’LE- ]ensen PS 1995). 이런 행동특성으로 인해 ADHD 아동은 학업 및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며, 학습문제, 품행장애, 공격성, 정 신 · 신체적인 문제, 낮은 자존감 등 이차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특성음 갖는다. 이런 ADHD의 주요 증상들은 나이가 옮에 따라 강도가 감소 하지만 대다수 ADHD 아동뜰은 청소년기에도 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주의집중장애와 행동문제의 공존은 사춘기 의 반사회적 행위와 불질 남용 문제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George & Gary 1994). 이런 점으로 볼 때 ADIID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기치료는 이차적인 사회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정서적인 문제들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음악치료가 전문적인 학 문적 분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이래 ADHD의 문제행동에 대한 음악치 료의 전반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음악치료의 효과 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내용들음 파악하고 치료중재 효과에 대한 분 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ADHD 에 관한 음악치료의 사 례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어떠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내용 들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 분석의 결
  • 3. 주의딱결핍 빚 파잉행동장애의 유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Hì:1 파를 바탕으로 향후 ADHD 의 음악치료 연구와 임상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II.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1. 조사대상 1990년부터 2006년 6윌 사이에 발표된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에 대한 음악치료 사례연구에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을 검색 하여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사이트 를 이용하여 핵심단어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음악’ 등음 검색하였다.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편을 검토한 결과 학위논문을 축 약하여 발표하였으므로 석 · 박사 학위논문 총o 38편의 논문을 표집하 였다(부록 참조). 표집된 논문윤 세분하여 보면 ADHD 연구는 57.9% 이 며, 주의력에 관한 연구는 34.2%, ADHD나 주의력장애가 전혀 없는 정상인 경우 주의 집중에 관련된 연구가 7.9%를 차지하고 있다<표 1>' <표 1> 언그CH 앙 논문 g밍 ""J-?i- τ~ -τU r -/「L (k; ADIID ')') 57.~1 주의력 13 34.2 져。。샤 tr ]} 7.9 계 :*l 1 아),ü 2. 조사방법 분헌검증의 방법에는 크게 정량적인 분석과 정성적인 분석이 있는 데, 정량적인 분석은 하나의 주제나 이론을 중심으로 한 겁증의 경우
  • 4. Hi4 음악파 문화 제 17호 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고 정성적인 분석은 실증 빛 개념 연구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다(백기복 · 신제구 · 차동욱 1998). 본 연구에 서는 주제를 놓고 중재한 실증연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정성적 방법으로 서술적 분석, 형태론적 분석, 실증도구 분석, 그리고 결과 중심적 분석의 네 가지 유형을 토대로 하여 통합 · 분석하였다. 수집된 대상 논문들을 연도별, 연구대상자의 수, 연구 대상층, 개별 또는 집단치료, 중재기간, 독립 · 종속변인, 중재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도구들 을 사용 순위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사용도구에 대하여 빈도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악을 강화재로 한 음악치료가 ADHD의 문제행동 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였다. m. 조사결과 1. 조사대상 논문 조사된 연도별 연구논문 현황은 <표 2> 와 같이 1990년대에는 5편 정도였고, 2000년 이후에는 33편으로 조사되었다 i‘lJ묘L j • 7 논디 A -r T 0/ /0 I앤0년대 3 13.2 <R ?> 여고 여도벼 노o () ι L-r L-2 Li: 연도별 2005 I 20CXJ I 계 6 I 1 I 38 15.8 I 2.6 I 100.0
  • 5.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65 2. ADHD 연구의 경향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른 연구경향을 보면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 로 한 연구가 전체연구의 63 .2%인 2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아와 중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각 6편으로 같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표 3>). 그러나 유아와 초등의 비율을 합한다면 ADHD 연구는 대부 분 초등학생 이하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R 꺼> 여구CH"~ Ti~으| 껴|흑변 부포 니 L. 0 。드 하Q 모 • 1 계층별 유아 :'5'→ t二O 중학 」←lτ℃= 5r 계 뇨」二조ι깅 L ζl 二6 24 6 9 38 % 15.8 6:3.2 15.8 5.3 100.0 <표 4> 는 연구대상의 수에 따른 연구논문 편수를 나타내고 있다. 조 사된 총 연구편수 가운데 연구대상의 사례수가 5명 미만인 경우가 65.8% 인 25편을 차지하고 였다. 또한 30 명 이상의 연구도 10.5%를 차 지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ADHD나 주의력장애가 전혀 없는 정상인 경우 주의집중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효 4> 연구CH 앙 무 대상자수 하。모← 1 Lï명 6-10명 11-20 1경 21-::1O명 30명이상 계 즈è투ιL ζr ‘);; ]‘] 4 4 4 38 (/)0/ 6.5.8 10.5 10.5 2.6 10.5 1α)0 연구대상자의 성별분포는 <표 5> 와 같은데, 38편의 총 논문편수 중
  • 6. 166 유악과 문화 제 17호 68 .4%에 해당되는 26편이 남 · 여 혼성에 대한 연구인데, 연구대상자 중 일부 여자가 포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여자에 대한 연구는 1 편 에 불과했다. <RS> 여구CH"~ 1'i~으| 매벼브포 J~ L' 0 02C 하모 0 • 1 n L-). 口여 -꼈 2.0 iζ]드L ζ二 Lι 1 0/ /() 3. ADHD 연구의 설계 방식 연구 설계방법올 조사한 결과<표 6>, 단일집단올 대상으로 사전 · 사후설계에 의해 실험을 한 논문은 30편으로 전체논문의 78.%를 차지 하고 있으며, 비교연구를 위한 실험/통제집단으로 구분한 논문은 8편 이 있었다. <효 6 > 일험곤 얼껴| 방법 。• 7 섣험 실험/통제 n (T % 30 78.9 8 21.1 계 38 100.0 송l표ι i τ 논 연구대상자가 ADHD 이외의 중복장애를 갖고 있는 경우의 연구는 11 편이었는데, 이중 2편은 연구대상자 일부가 중복장애를 갖고 있었다 (<표 7>). <효 7> 연구CH 앙마으| 뭉복땀。H 유핀
  • 7.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67 "ÕJ되L 중복장애 일부 중복장애 。, 논문수 % 9 23.7 2 5.3 <표 8> 의 치료활동의 적용에서는 개인보다는 집단 활동에 대한 연 구가 전제연구편수의 94.7% 인 36편을 차지하고 있었다. <표 8> 7'i1 료 뭉1'IH 펙용방법 0/0" 2 5.3 짧 -쩌 -때 항목 논문 수(38편) 개별 <표 9> 에서 연구기간 중 치료횟수를 보면 10회 이상 20회 이내가 총 연구편수의 57.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회 이상은 29.0%로 나타 났다 <R 9> 음악7'i 1 효 뭉1'IH 힘끽 'ðJ~←1 ι 중재횟수 10회 이내 20회 이내 30회 이내 30회 이상 겨1 즈LζEιLζr ::; 22 6 3 38 ?'Ô 13.5 57.9 15.8 13.2 100.0 4. ADHD 션별 및 임상효과 평가방법 ADHD 의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문제행동 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분석한 결과는 <표 10> 파 같이 나타났다. 연구대상 자를 선별하는 방법에는 대부분의 논문들이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관찾만으로 ADHD를 선별한 논문이 3편이 있었으며, 선별을 하지 않
  • 8. lfiíl 음악과 문화 재 17호 고 임상을 한 논문도 3편이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 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사용은 11 편, 관찰은 8편, 도구와 관찰은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19편으로 조사되었 다 <R 10> ADHD 명까방법 선별평가 임상효과평가 õJ표「L 도구 관참 도구+관찰 없음 도구 관찰 도구」관찰 논문 수(:)8편) 30 3 9 ‘) 11 8 19 % 78.9 7.9 5.3 7.9 28.9 21.1 50.0 '- 연구대상 논문들이 결과분석에 대한 기술적 신뢰성 여부를 파악하 기 위해 질적 분석과 통계처라 여부를 조사한 결과는 <표 11> 과 같다. 대부분의 논문플은 단순한 산술적 빈도조사나 기초통계에 의한 빈도 분석을 사용하거나, 행동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음 수행하였다. 반면, [ 검정이나 상관분석 등음 사용하여 결과분석의 신뢰도를 높인 기술 통계적 논문은 전체논문의 3 1. 6% 인 12편으로 조사되었다. <R 11> 분액 및 통껴!해 21 하。모 • 1 행동관찰 통계분싹 통계 단순통계 단순통계 j (칠적) +질적 +"근ζt~ 논문 수(38편) 20 10 Hì f/l0/ 52.fì 15.8 15.8 26.3 42.1 <표 12> 와 <그림 1> 은 ADHD 선별평가 시 사용된 도구 수와 순위 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사용된 도구들의 순위를 보면 ADHD 평정 척도 , D~M-N , 지능검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는 사회성숙 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 13> 은 <그림 1> 에서 나타난 선별평가
  • 9. 주의력결핍 및 과영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69 시 사용된 도구를 군집화한 것이다. ADHD 평정척도인 경우 Conners 평정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ACTeRs 순으로 사 용하고 있었다 도구 군 도구 ←/L「 <효 12> 먼별명까 f1 아용된 도구 우 지 기타 ADHD 기?o . 공 DSl1 」。C13 평정척 도 27 격 사회 학습 W z:l CL 口성 성숙도 장애 려←1 사 검사 측정 10 8 3 3 2 7 3 <그림 1> 먼별명까 f1 N용된 도구 ADHD 선별도구 사용 비율 口ADHD 평가도구 [A] 口지능검사 [C] 口주의력[티 口DSM-IV [B] 口CBC L[미 口공격성검사 [F] 인성 검사 2 口기타(사회성숙도검사 )[G 1] 口기타(인성검사 )[G3] 口기타(학습장애측정도구 )[G2] 디기타(행동김사 )[G4] 口기타(그외 )[G5] <표 13> 먼별명까에머 N용된 도구곤 행동 검사 그외 3 3
  • 10. 170 유악과 문화 재 17호 도뉘 군 'i•: • T UC1 (사용 순위) 교사 용평 정 직도 (C]‘HS) 부 모용평 싱 척도 (λC I'HS) 단죽형부모 l l"onners 용 · 괴사용 평 성 식도 (λCHSJ , 괴사용핑 정 사도 (CTHS 2?)‘ 부모 평생석도 쟁一냉정척도 I ACI'H (7 1.I ",; 1 고섣 Ft ADllD {("]ι、Hs 평정착도 17.1ι 주의녁 겹핍과잉행동상애종협교사핑정 지도(인리노이대학교) ( 10O:'()) 주의랙겸냄과잉행농장애평정 식도, 주의팍결핍파잉행동장애평 기 EI 정서[,,;]1('[ 1, ADHTJ아농정지가보고지도‘ 주의텍결함과잉행동 (]f!.:ï()(,) 장애아동 검사지, 주의 역 결핍 장애 천 ~':.넌 COPEJλ])증후세크리 스 JEdnil C() [l(、]illld] DS;vr IV DSMIV, DS1V[-IVR( 자폐진단기준) 지능검사 KEDI WISC, 지능검사(KI'1'-]1 1 , 한국핀유아아동그럼지능검사 CRCL 아동문제행동체크리스트 (CBCU ‘ 한국형아동문제행동세크라스 드 (kCBC Ll 주의력 수 -"1 랙 섣 핍 자 기 진 단 테 스 트 , 주 의 역 겸 팝 핑 가 끽 ]노 (J EFJ J, Hilrrisl ]lJf! 4 J 각시핀(집줍딱 검사지) 극Ql1「] λ。} 。}등정~공쇠상←주정도 r'l그덤도 rL J‘ 」ι사영 공각성측정도기L 사회성숙도 사회성숙도검사 검사 학습장애 기초학습기능 심사‘ 기초학습부진아판댄검사, 학습장애아선별 기다 도←1트X。} 평정책도 (순위에 인성검사 한국아동인성 겁사 (KPICl 서 제외) 행동검사 KISE 정서행동장애학생선별직도, 행동특성측정 mRC-Al , 자폐 아행동건꽉표 :L 외 가정환경섣문지 (HSQHJ , 자펴1 정도측정 (CAHS '1')‘ 언어발달 교육진단검사 <표 14> 와 <그림 2> 는 치료 후 임상효파 평가에 사용된 도구수와 순위를 백분율로 환산한 것으로 사용 순위를 보띤 ADHD 평정척도, 충동 및 공격성 검사, 주의력측정도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로 는 인성검사, 사회성검사 등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lfï> 는 <그림 2> 에서 나타난 치료 후의 염상효과 평가에 사용된 도구를 꾼집
  • 11.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71 화한 것이다 ADHD 평정척도인 경우 Conners 평정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ACTeRs, ADDES-SV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ADHD 평정척도의 내용은 <표 16> 과 같다. 도구군 도구수 <ll 14> 임앙효과 명까 ()I M용된 도구 끽 ~δ→% 주의력 기타 ADHD q;x1; 평정척도 그。l 져1 서。 주1으;져。 ←5:. CBCL SCRS 인성 사회 DSM 검사 ~r- 검사 성 15 5 4 3 2 4 3 <그~‘ ?> ~아효고} 편까 ()I M요도| 도구 ]<./00 0 OL ADHD 임상평가 도구 사용 비율 9% 7% 4% F119% 3% F4]13% 口ADHD 평카도구 [A] 口CBC L[ D] 口충돌 및 공격성검사 [B] 口주의력측정도구 [C] 口SCRS[E] 口기타(인성검사 )[F 1] 口기타(사회성 )[F2] 口기타 (DSM-IV)[F3] 口기타(그외 )[F4] <ll 15> 임앙효과 평까에애 M용된 도구곤 IV 2
  • 12. 172 음악파 문화 재 17호 도구꾼 도구 19 (사용순위) Conners 교사용평 정 적도(CTRS) , 부모용평정 척도(ACPRS) , 평정척도 단축형부모용 • 교사용평 정 척도 (ACRS) , (얘).7%) 교사용평정 척도 (CTHS-2Rl, 부모용평정 척도 (ACmS-48) , ADH Conner와 Well's 청소년 ADHD 자기보고 섣문 D ACTeHs 주의 력 결핍과잉 행동장애종합교사평 정 착도{일라노이대학교] 고。~Pà (13.3%) 척도 lDDES (]OO S' 주의력결핍장애평가척도 교사측정판 [:1cCém1이] %) (6.7%) 기타 주의 략 결함과영행동장애아동검사지, 주의력결핍장애청소년용COPELAND증후체크리스트[Edna (]3.3%) Copelandl 충동 및 공격성 아동고[사충동성검사지(이미야‘ s) , 충동성검사(]:1FF1、), 검사 아동용공격성측정도구(그림도구), 교사용공격성측정도구 주의력측정도구 Harris 격자판(집중력검사지), 주의집중성취도검사(CIAT) , 주의벽갤핍평가적도(JEFll , FAIR주의집중력검사 CI3CL 아동문 제행동제크리스트(CI3CU, 한국형아동문제행동채크리스트(k-CI3CU , SCHS 아동 · 교사자기통제 력 검사(SCHS) 。l 셔。커D 한국아동인성 검사(KPI Cl,한국판인성 검사(K-PIC) 사 사회성 진사회적행동정도, 사회적능력및적응행동평가, 기타 사회성숙도겁사 (순위에 DSl1 DSM-IV 서 IV 제외) 한국판아동용지능검사(KEDH"lSCJ , 아동용우울척도(CDO , 그외 가정환경설문지 mSQ- Rl, 자아개념 검사지, 부정적인지오류질문지, 한국판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k YSRl, 5. 지료중재효과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결과의 긍정적 효과 유무틀 암아보기 위해서 <표 16> 과 같이
  • 13.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볼 분석 173 독립변인에 대한 종속변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논 문들은 종속변인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하고 있지만 일부 연구 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다는 논문은 3 1. 6% 의 12편으로 나 타났고, 전체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논문도 1 편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효 16> 독립변인어I cH 한 쁨변인의 변화 항목 | 부분적 효과 없음 l 전제적 효과 없음 총 논문 수(3B펀). I 12 총 논문 수 대비 % | 31.6 l 2.6 음악치료 중재에 대해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경우를 보면 문 경림(1 997)은 명상이 공격성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연구결과 를 발표하였다. 김윤숙 (2000) 은 한국판인성검사(K-PIC) 로 평가한 결 과 우울, 과잉행동, 비행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아탄력성, 언어발달, 우 울, 비행, 과잉행동척도에서도 연구대상자 3 명 중 1 병은 유의한 변화차 이가 없었으며, 단지 행동조절에만 변화를 보였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 경화 (2002) 의 연구에서는 남자인 경우 집중력향상에 효과가 없다고 하 였고, 류성 (2000)은 주의집중력에 있어서 강화재로 리듬악기와 선율악 기를 사용하여 활동하였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고 하였다. 검미 선 (2000)은 부적절한 소리 지르기 행동은 감소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 를 제시하였다. 전은숙 (2001 )은 부주의 행동에 대해 지속적인 감소효 과가 없었다고 하였고, 주영지 (2001) 는 문제행동수정에 효과가 없었다 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정활란 (2003)은 중재 대상 아동 2 명 중 1 명 인 경우 충동적 행동 감소에 변화가 없었다고 하였으며, 검은주 (2004) 는 연구대상자틀이 충동성변화는 미미했다고 하였다. 또한 임명희 (2004) 는 FAIR도구로 평가한 결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있어서 3명의 대상자 중 1 명이 치-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유찬 (2005) 은 연
  • 14. l74 응→악과 문회 세 17 호 구대상자 14명중 3 명은 집중력 향상에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조미 화 (2005) 는 연구대상자 중 여자인 경우 주의산만과 음악흥미에 대해서 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표 17> 은 치료중재 후 부분적으로 효과가 없었다는 연구결과를 정 리한 표이다. <R 17> "'1 료뚱1'iH 후 부분떡으로 효과까 없는 연구 연구자 선별도구 엮상평가도구 독럽변인 종속변 J부분적 차이 (년도) 익1 이농, Jι 사정용- G강i] τ시 성 심 사 1 L ε↑ •。 1 기u 상 각성。iI '!l 디든 영행음 "’ 서。 며" r- ! 1‘rJ ~J{}Ol o -1" ^1 ?‘,) 。1。1 í])971 1 성성휴띤이1 ril ~I. ι 각 Jd 상걱상까1 시도 f"l F} ~ll ~사 J ↑ I __ l ,'_l,l! 응죠 녕싱 여 "l i+ "11 yl 섞) l?_."근 1 시[사 성 ('011 • lt'rs 유약치료훤동( 낀 "1 신 •。 Pid 이。 치1 ~ ~ 1 니”까L ,'_ /1 리 }~- 7.1 -2 7 시 섣 한소 21 시 ,", /1 행 h 주의 ?lth1ι} 엔생성 120이 )1 성애 3 딴-.l ll 시빙 상 시 약 '1 즉흥 ~I 생등~ 등 rl fτ 되지 않음 ~(λCT이〈늬) '-, η ν11 만깐 '11 ;cQI 시 ‘IT• λ。 1 11 ~λ1'CU11 I1C I"',으 1 밍 성 ,11 ’사〔‘ Ollll(、rs 섹 ~i 띤 ð~ 리간약 11 멘iI~니약 11 환 시 lιi l' Tl iS I{! 녕정 서도 ICI 、I{S 아시할딩 •0 능에시 유의 "1 힌 사이 '1 í20(l1)! 사희생숙→" 서사 l{I JI{영생 rH>1’ 1。J & !):-;、1 IVIλPλ ‘ 응악지난흑1 동( 슈영지 lílíJ!1 한 <"이 -5-~1 성 선 가칭 새니싹슴, 1 Jl IIJ l1) 서1 행〕강-↑ 싱。11 학파 (~()1I 11 한 1~ (J ~-6-{{1 성 {:λ}(K 시 IKI'I ('1 •i--q f~- , -~ζ,-。•L/l1 r/。1 생동1시 I.-~ 세인‘쇼 c'] 회 j'] CI 만 i'J IlS1 1'1λ1';‘ 유 0) 지료환꽁( 111 f- 의행능유 ]자 서~t -,(그→ 二사:τ1 1'l'1(1 US.I 1λ1' , 。! 기연 Î"" ,시 상 I !,' JII 행 활등시 간소‘ 반신 ? I:>()()l) 만 수 행 I? λ} 상 tïllll1l'f Iq()~) (;1IJ ‘ 1드이‘ 1/1 Q 2 치 할등시 응 ;1 ACI!S [l1l 11J ‘ j • 1] ‘ / ] 3 f; ]r~-~-- 으1 행 농 '11 til 한 ‘、의굉 성 사도 I ,(I{S) t{-1 -1"-, 라 듭-;(힌) :.<]속석 긴 ~-~바 없음 J; 악사 5-~ 힘깐( 한 j까,r) ~l 싱낀사(] I'!( 선셔1 함동 )에서 1 맹-? 우 ?‘ 감;와←약 한 ,;-까 (;1 생 7!λ1 •'?r Q{ -~J λ。 ) 앵-~‘::Z, υ} 잉생';', IJI 생에 자。! 12에 )~I 1('; 1'[('1 J} 시까간기 。B/} } Q1 약 이인 F 사이 난녁 싱‘언이 1묘난, " υ11 ,',',.,)/) ?--g,l-l]핸 o'} 잉헨농 까 ]ι j 정 (;-1 {,) 에시 'il 성 1시 유써한 ,1 화 하상회 H"rri1 (íJ~ ↑)서 í:.2-1-ι~1 닌학생 십강역향상 꺼 jJl 사단1 ll jJ] 빙상유약 ( ~!이 )21 (싱 ε 시간시지) δ 「r;;l 건
  • 15.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75 괴사직접관찬에 의한 행농특 성 처1 긍l 퍼스트 IlSlI-IVliPA‘ l!Nll DSI 1 1:1';, 성활란 단축 형 .il~ 사용e<lIl ncrs 10911 리코더연주 문제행동 이동 1 성은 층동적 1:20031 의평 정 척도 (!CHSI 인 픈형JJ!사용 co 프보그램 변화 행농김소에 변화 없음- 부~~~상단(생육사,가정 nncr~ 의 평 정 착 흰경 및 l'c ,,]증세 도 I:CHSI 처]OL~] J- T三) 주 91 띄 살핍장애 정소년정 COI'E 4J ,0 __- 1스 LA'D증 후λ11 크 _ò_ú17 1- λL •;X T )이 1 ιH1 J。 E 리스드사회시 n ., Tl 0 二응옹성변호1 미미 (:.;이 111 tεl 가응행동맹까 싸회성숙도검싸 l‘,;[[{'?의 집 "6- ,'1 ,L조회¥1 유 시능 검사 IK I'l‘ 11 한 샤아능 ~l 싱 간 。?~ 1 。η ~] 기초학습가능김사 사 I !~J' I ('í 약활등(악,] ι1드 91~60 F t m 족정에서 1 멍은 1:2004l 초학습부진야피별검사 C{)1111er ‘ τ1느 。1 1] '?l 우! F; , 」1LV。Lf /ll f ''"식 쳐야 없유 중앵동 ι딩생서도 상) ICTHS 1()1 쥐l 모,괴사 c( )!lI1t ;r~ 의평 CO l1 ll t'f와 이유잔 λ。I "기1 !‘τ- l'i 1' ,쟁소년 λ ‘I。」-。1l -í겨J λ11 、, 주의력삿 다l 상,,]→좋 ~i r껑 은 I:!()(fil C( )J1 11er 와 'd1' " 정소닌 ])!!u서 기-보 ,L 보 ,-l 샘 핍 111 선 양상자이 없음 J lJlD자가보U 석분 ιr1 1E1L 주의떤 결함괴영 여자인 정우 수의산만과 조미회 생동 상애아동김 i양악서도프 주의산만 I~()():') 사시‘ i~← L ~ 요p 야1 후ζf- ll1 응악흥미에 사전 사후 e 약흥 u] 도 신사 차이가 없음 <표 17> 에서 보면 남학생이 집중력향상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는 반면, 여학생인 경우 주의산만과 음악흥미에 치료중재 전후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표 18> 은 치료중재 후 문제행동에 대한 무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연구들이다. 이 연구에서의 평가도구를 보면 선별 시에는 문제행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관련된 ADHD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지만, 치료중재 후 임상평가에 대해서는 간접적인 도구를 사용하였고, 기간에 비해 중 재횟수도 적였다. <ll 18> .. 1 료뭉1'i H 후 먼태l 떡으로 효과 없음에 CH 한 연구
  • 16. 176 유악과 분화 세 17호 연구자 선별방법 염상평가도구 도변←!리口인 종속변인 효과 없음 I (년도) DSM- !V(APA, 1994) 한국판청소년자기행 。주의력결 불안경향 l 김광연 주의력결핍과잉행동 도。펴가척도(K-YSW • U→악8버 핍과잉행 부주의행동 C2아)2) 장애종합교사평정척유악。 요법평기침문지 iL 동 과잉행동 } 도 (ACTeRS) 연구논문들에서 명시한 제한점을 분석한 결과 <표 19> 와 같이 프로 그램 적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알반화, 측정도구 등의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표 19> 연구 깨|한덤 분엑 하。모「 일반화 사후 프로 증재 대상자 부←7츠;지〔j 거 기타 지속 그램 기간 • /L「도구 논IDr-〈「 18 ‘2ζU 14 14 15 ‘갓} C*l편) [/L1/) ~17 .4 15.8 {뀐.8 36.8 36.(; :19.5 68.4 기다는 연령, 능력, 장애유무, 비교, 성별, 음악 등을 말함 N. 논의 먼저 ADHD 의 음악치료사례에 대한 국내 면구논문은 학위논문으로 대부분 발표되었으며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7편이 있었으나 석사학 위 논문음 축약하거나 재수정하여 발표된 논문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전문적인 임상분야로서의 학회들이 더 적극적으로 수행 되어야 하며 ADlID 아동윤 위한 암상기술 빚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 연령은 주로 유아와 초등학생이 대부분이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대부분판 차지하고 였다 이는 유아 2 서1-6세부터 과잉행동을
  • 17. 주의력결핍 빚 과잉행동장애의 음약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77 자주 보이면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의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남아가 여 아보다 3배 정 도 많다(Hunsucker 1993) 는 이 론을 입 증한 결 과로 볼 수 았다. 연구대상의 수는 5 명 미만인 경우가 많이 나타났고, 설계방법도 단일실험대상군으로 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부 모의 동의 등 외적인 문제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특성 상 치료중재를 위한 소그룹의 적정인원이라 할 수 았다. 그러나 임상 효과에 대한 객관적 판단을 제공하기에는 제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 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인원을 늘려 임상결과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 양한 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거나 치료중재 후 임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ADHD 평정척도인 Conners 평정척도 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연구자 마다 평가기준이나 평가도구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객관성이 결여될 수가 있다.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가설에 따라 선택 하여 적용하는 여러 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기보다는 우리 실정에 맞 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과 정립이 우선되어야 한다. 향후 개발되 는 표준화된 도구에는 ADHD를 정의하는데 동일한 기준이 있어야 하 며 문화적 차이에 대한 격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Eiraldi 1999). 이 라 한 표준회 된 평 가도구의 개 발과 사 용은 ADHD 에 대한 일차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영 · 유아기에서부터 청소년기, 심지어 성인기까지 지속 (Wciss & Hechtman 1993) 되는 주 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에 대한 2차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자 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치료중재 효과인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연 구들에서 효과가 있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만 효과가 있 거나 효과가 전혀 없었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이라한 연구에서는 중 재기간에 비해 중재횟수도 적었고, 행동관찰에 의해 평가하기보다는 인성검사 등 간접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임상효과를 평가하였기 때문
  • 18. 178 유악과 문회 제 17호 에 공격성, 부주의한 행동, 충동성에 대한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 연구들에서 제시한 제한점들음 살펴보면, 표준화된 프로그램의 필요 성을 가장 많이 나타내 주고 있다. 이는 전문음악치료사 과정에 있는 연구자가 중재한 설험도 있지만 특수교육이나 음악교육, 유아교육, 상 담교육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실험한 연구도 있어 프로그 램의 내용에 전문화가 부족하다고 본다. 그 다음으로 일반화를 들고 있다. 이는 중재 횟수와 환경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이론 (Thomas & Chess 1997) 음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 후 ADHD 아동파 관련된 실험연구가 지향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는 중재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V. 결론 국내 ADHD의 음악치료사례에 대한 연구물들은 학위논문들에서 대 부분 나타났다. 그러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학위논문의 내용을 축 약해서 발표하거나 재수정해서 발표한 내용들이다. 학위논문인 경우 는 치료 · 교육음 전공하는 학생들의 설험연구 결과불이기 때문에 전 문성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ADHD 의 음악치료사 례에 대한 임상전문가가 현장에서의 검증된 기술들을 학술지를 통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DHD를 선별하거나 임상효파를 평가하는 방법에서는 연구자마다 평가기준이나 도구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객관성이 결여되고 효파에 대한 신뢰를 주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우리의 문화적 특성에 타당한 표준화된 도구의 개발과 정립이 펼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국내의 ADHD의 음악치료사례에 관련된 학위논문만음 대상 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다른 중재활동의 설험연구 내용으
  • 19.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79 로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ADHD 의 국내 · 외 전문 학술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할 필요 성이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ADHD 의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 사례만을 대상 으로 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ADHD 에 관한 환경적, 신경 심리학 적 등의 포팔적인 연구틀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백기복·신제구·차동욱 :Z002 “한국경영학계의 리더쉽 연구 30년" "'문헌검증 빛 비판 경영연구J , 제 27 권 제 1 호 조수칠·신윤오 1994 “파탄적 행동장애의 유병율에 대한 연구" ~소아 · 청소년정신의학.! 5‘ 147-259 홍강의·흥정자 1980 “소아정신과 외래환자의 과잉운동에 관한 연구" ~정신의학보~l 23, 359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nostic and Slati ν tica! ,Janlla! of Menla! Disorders(4th ed.) Vashington, DC Amold’LE . jensen PS EJ95 “Altcntion-deficit disorders." Comprehcnsive Textboo/( of Psychiatry 2295-2310 iugust GJ . Garfinkel BD 19H9 “ Behavioral and cognitivc subtypes of ADHD" Journal 끼 f the American l1 cadem:v of Child ι Ado!escent Ps)'chiatry 32( 1) : 155 16G Bark1ey. R. 1 1990 "Altention-deficit h,'peractivit,' disorder": 11 Handboo/( for Dia;;;nosis and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27-353 1997 "ll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cxecuti'e [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cory of ADHD" Psycholo;;;ical Rulletin. 121‘ 65-9.1 Dierderman, ]. . ~ewc()rn J . Spirch S 1991 "Colorabilit,' of Attention Ddicit Hyperactivity Disordcr with Conduct, Dellrcssivc. Anxicty‘ and othcr Disorder", Am ] Psychiatry 148: 564-577 Davis, W. l:l .. C;gcller, K. . Thaut, 11. I-I
  • 20. 180 음악파 문회 세 17 흐 1999 11n Jntrodllcti lJn W InIlSÚ' t!JcrajJY: Ih r>(!I)' and practial2nd cd.J. The lIcGrél Ilill Companies, 1m: Dupaul G.]. 'Stollcrs, (; 1994 ADIJD in lhr> schoo! Asscssmclll and intcTl ‘ention strstr>fáps, NY, Guilford I'rcss George, j. D. . c;“n' , S 1994 A /JHD in schoo!. NY, (;uild Press HUllsuckcr. C; 19m AUenlion deficit disIJrdσr. Fort J.Forth, TX, Forresl Publishing Lambert l.1V1. • Sandval ]. . Sassonc D. 197K "The prcvalcnce ()f hl)Crac‘ tivily in elemcntary school childrcn as a funclioll of social systcm dcfinerι " A 끼 1 J orthopsychiallγ lK‘ 44lì-4lì::l raylor, E 1995 "Lh'sfunctions of aUention ," 1)r>ue!op Psycho!2, 2.ß 273 Thomas & Chess 1997 Tempr>rament and dn'r>!ojJmr>l1l, Ncw York, ßrunncr/lIazel Wciss, G .. Hcchtman, L 1 99:) !lvjJerac’lÌur> children f.{rol1Jr>r upC2nd ed.J. :Y, Guilford l'ress <부록> ADHD 대상의 음악치료 주제관련 논문목록 강;영 í200:'iJ .9,' :, f 깐 1 니1 브 l f〕약서 1] íc ",]집 6~ 성이1 야 1ι 。11!11 ,,]지영호1 ,인낀 j “ [11 서사 강판쟁 120ífí) 수의이간쉬싸잉역')판상 "1] 아 -'u 9] -~i 강이 행상 -1'1 -6~-~~~ 성 1깐 r! 윤위한 1'1 이 Frv! ]1[Cr 줍심。1 3-(1{ 지니 사라1 연 i' , 0] 회이내 사사 [1 영Jll! 20íJ:î) 끼리li 요끼 。]-g- fjl_^ .-;5- ~,~→넌이야 까민상이I~ 이의 í~ 9] ~n ~6- 쟁 -~~-υ]91 끼 '1] ‘ ";í LH 사사 끼 깅 숙(띠2(α00μ띠4) λ사{μ] 익연j [', , lè 선 디1 사 ι1 낀깎얀 ((20021 유 oj ”인이 이까생 9] t 으 1'1 션깐 J'] 또1 앵깐 r!4τ"1] 11] 지 3:r -•‘ 아닌내 사/、1 심,,]선 Ø)이) 수 "1 이시까 맛 J'~ 영생닝 。}’'0- 9 ] .L1l 시응생 E→이1 대한 건약 끼~ 효 J'~ ‘ 힌시1 디l ‘!사 끼수 HZ001J 익시 t?-t -;:시 싱산시지1 이의 주 9] 11ε 시 {1 이 )f1 시 3 생싱。11 ,, ]λHτ 영생‘ ?( 석 rll 이 아 “펀까 (20021 (이 t 'l끼씌, '1 잉맹듬성이) 0):9) 행등죠션어1 "1 시는 ←Soj 치~ 9) 효"), 011 '11 센 /‘ )rl1언 i. 01 화아니1 석시 끼건강 120(f)) 바二J~ 니 익|주 까앙이 슈익이시까 "']앙행동싱 óB ()]_ )~- Ç!] 1 , 1 식응행 iH) ,,]시 j ι 감 씬 III 삭 λ1
  • 21. 주의력결핍 및 파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불 분석 181 긴 얀주 C20(1) .. -;/낭학생으1 주의짐 ÓCC 약 행상유 위한 감악감상 g 용사내1 띤 ~lL , 선바대 석사 끼깅1I ]1 '20ln) 수익녁식띈아야 끼나까 위한 치1 떤삭 유약간상 ~T_ ;:ι.' L 랜 연구‘ 부산..1 1 1_ 대 식 λ} 낚성자 1 '20()ljl 풍;판학냥에서 시동유익 6' 선의 꺼익치~ f.가 정서상애아동의 주의띤섣핍 맛 강걱 ι~ .~이] /↑}지는 영땅, 강인 jι 내 석사 냐생 1 '2이)()) 약!]연응이 서이}아등의 주의이견핍행동 넷 :c)잉행동 김소에 u) 시논 효 :è) , 등아내 석사 문성빈 (19띠생성이 아꽁의 주의 십증 및 공각성에 1I]치는 영향‘ 숙 l~ 여다} 사사 막 11) 선(2()O;i) 선동 깐악:1 1 1_ 육 알 J동한 주우]간만 악생의 십증싹 지 -L 이l 깐한 엔구‘ 시낚니l 시사 ulfr 끼 1 '20041 행동수 0] 식 응익:<]딘가 수익이 긴핍 "']잉행판상애 아동의 집증이괴 사회 성 향상에 주간 효 J'} 이1 판하 인←"‘ Il1 산내 서사 u] 상향('2()()()J.:" 약얀등이 사페아상의 3 기 _r,~망 잇 . í-"] 집증어] ul 지까 효 J')' 에 판힌 연 γ ‘ 내二l' 내 깐 1 사 Ul-"t- 선 1 '200:11 이::;'-디 학습이 주 91 약 섯핍 J'I 잉생 ,c( l D I-I D) 욕 가선 아낭의 문에행 J강 개 선 이1 1I] -"]:피 J')' , 시 카 나1 식 사 , 1 희성 1 '2()()1 ) 건약지냐가 F 의 ".1 건 Jn . j!l 앙팽싱 상 01] 깅 선;1 의 우유)순싱 J'} ';1 시변인이1 /11 기 { 二영 생 ‘ 렌 ιJI 내 사 사 안에상 1 '200:j) 유악치나 판녕이 상신시지1 정소넌의 F 으lf} 승단 L’!에 ,,]치는 효파영시니} 사사. 우 사디}략 1/' [11 학씬 삭사 유판 ;~I '2 ()ml 유약 /.1ι~ -ll~ 까씬 E 이 다운즘?→ 1 건{jl 생 9] 선넥서 ~c"l 십숭 2-1 이1 nl 지는 it 고1 ‘ ]1L 산 [11 λ1 사 유이깅('20()] J 꺼악지나 '1 악,"상。11 이아 슈이 rl 승 1 서 상 ~ç;. 사정이1 111 시간 영앵, 다] 1" [11 이 ;1 ~9' '20011 유。!λ1μ )으',:_ ,_ ~l! 이 λUllll 상생까 시민 이동 0]; 익이산핍 υ] ν} 잉행등 셰 이 시 ; 양 깐‘ {c ~I 내 서 사 이유 ;1(')이 f")). -~_öl 끼싱-,( 1ι rqlj5 ”이 끼소니시 91í 9 ) ~I 갇넘 시1 ~.I 011 , '1 힌 연 IL‘ ~1 낀 L니 사 ιl 。1 꺼 ιk!()()()1. íO]'1 끼뉘 띠 , '1 밍 렌 상이1 깅소년 와 우 1 힌 응약 시 μ 샤 l' iI연 { 이화이 rl] ι! λ} 이 JB~'( 1 잇)~)). _?,_ 0) 지,, !/j ε L 아생 "]í -"] 산 '}"I '11 션이1 "1 :Z] ~ • 효파‘ 안 전 잉 다} 석사 ~]영 ι1 ('2()(J 1 ).1' (,회민 e 약사 1~} 으 응 ~f1 시감식에 서소년으1 슈 91 1]-6- 2<1 -(잉상이] 까힌 사 에 띤 1" 이 회 여 내 사 ι1 인 '1 잉(')이 )j)Î' 0) 이 끼뉘 , '1 잉익 ~-J 이1 유이。1] 디l 해 ‘δ 얀 .J;약 j1l 육이 u] 시 효,,]이1 판 '1"1 이 '1' ‘ '0' 영 니1 녁 시 시픈아 C.2애)] 1.:),익 이끼:l l:~ 51~ __ !샌이 λ])I TJ)이싱 "1 운께행낭에 1까지간 표피‘ [11 IL [11 석사 상의 넨 C:OO‘” 이 rιL] ';1 í 프 jι 〔l1l! 이 λ1)[ 11) 이 {;O] ~i ,11 헨 5 lFl 화이1 nl 시단 효내, 내 l' .1 ,' .i"f [11 이 ll~ , "l 사 죠 1/] 회 1'2 ()O;) I 건 악 ζI ' L 으 ',~ L ,?! 0] "H; 이 수이 산 1샤 빗 쥐 약 당,,] 01] 111 시 깐 효마‘ E 아 니1 사사 「성 시('2 0()] 1. :; 익 시 μ0] 삭 텅 윤 끼 띤 ,")] 이 시 넘 ,,] 앙 앵낌이 닫이 행동 낀1 화‘ J11→산 111 시
  • 22. 182 음악과 문화 제 17호 초1 성에 (2004l 음악지쉰가 iDITU 아당의 중낭상~,] 사사등시]이에 ,,]지는 fL JI} 디1 I~ ~ll!_ -;~­디} 삭 λ} 강}경화 (2002). uiil 맹상음악이 ι 늠<3"1 생의 주의 신 ~εI;~ 011 ,,]지~: A 파, 칭윈디} 사~] 6] 원 0996J 응익지난단 똥핸 자이1 아악 센상수상에 까힌 얀 1'- ..1-'1 잉행능 감소와 니1 인 {! 711 개 선응 숭삭으.:!} .. 퍼-표내 석사 흥은희( 19~)il) 민 -{'- C:-I--í~ 프 ]ι l 넉Ij 석 용옥 JJ ?] 학→갑 -V-{-l 아 91 주의 집강넥 선장 띤 11, 년국 r !l 사사 흥화시( ]c)99l 유악씌 앙이 Î'9] 이 죄관 i'] 잉 행 1상 이 상으 --í~ 승상 간 -:: 넷 진사회 석 양l 낭 강 7] 이1 ,,] λ]; :1 ι ;r 멍이내 석사 양영 링 (200()) 비,;,니폐슨안 1。이 Îo 9] 넥 션핀 -,'] 잉 행굉 상이] 0]6 91 분 서}행동에 "]:<]1- “ "]-, 가 난 ι1 c!l 삭 λ1 검색어: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음악치료,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dADHDl, Music therapy <Abstract> Currnet Status on the Study of Music Therapy for ADHD Children Min-Joo Choi, In-Sil Ho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overall tendency through the rcsearch results on analysis of studies about music therapy exampl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mplished in Korca. For this, 1 selected 38 thesis, which are doctor' s thesis and master’ s thesis, within studies about music therapy exampl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rom 1990 to Jun. 2006. The types of analysis on this papcr are an objcct of study, experimental design, the frequency of the experimental design, evaluation tools and dependent variable etc.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find
  • 23.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의 음악치료사례 연구물 분석 183 out that elementary students are strongest in the age group of the object of study, and the most examples of the object of study showed up within the number of 5. In the methods of experimental design, almost a11 experiments about a single subject group without a control group occupied and the most frequency of treatments was applied in 20. Conners rating scales were used in the case of ADHD rating scales as the evaluation tools of clinical effects or diagnosing the recipients of study. There were partly research results which had no effects in the changing of dependent variable as therapy intervention effects. The discussion on the further subject outlook has been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