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nteraction Design
시각영상디자인
1310585 최하늘
아이디어 발전
4주차 아이디어스케치 및 리서치
Interaction Design
목 차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아이디어 정리 및 발전
1
2
구체적인 기술 방향 리서치
유비쿼터스
공간정보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
3
유사 서비스 리서치
EGEN _ 보건복지부
굿닥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대형병원 응급실 최대 23시간 `대기` 
보건복지부가 2014년 7월부터 1년 동안 전국 414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해 응급실 과밀화와 대기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응급실에서 10시간 이상 머무는 병원은
총 27곳으로 집계됨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중증 응급환자가 대형병원에서 수술을 받거나 병실을 배정받을 때, 일부 병원에서는 최대 하루를 꼬박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이 위급한 중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도 평균 7시간 가까이 기다려야 정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서울대병원, 성모병원 등 대형병원일수록 더 심각했다. 또, 응급실 병상 수보다 환자 수가 더 많은 포화 상태 병원도 11곳이나 됐다.
과밀화 지수가 100%를 넘는 병원에서는 응급실 병상 수에 비해 환자 수가 많다는 의미다. 병상이 부족하면 응급실 내원 환자는 간이침대, 의자,
바닥 등에서 대기해야 한다.
응급실 병상 포화상태, 대기시간 , 혼잡상태 알수있는 방법이 부족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응급의료기관들 존재에도 불구, 특정 병원들로만 몰리는 환자들
응급의료기관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때 주로 큰 병원 응급실로 몰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몰릴 수 밖에 없으며 포화상태가 일어난다
때문에 넘처나는 응급환자들과 모자라는 병상들 및 인력이 부족한 큰 병원들은 어쩔수 없이 환자를
제3응급의료기관으로 보내거나 다른 병원 응급실로 보내는 것이 현황이다
응급실 및 병원의 위치 찾기 서비스는 발달되어있으나
현재 현황(위치 및 혼잡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는 없다
응급실, 병원, 약국의 위치 찾기 서비스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병원이 현재 혼잡한지, 사람들이 많은지 등등 현황을 보여주는 서비스는 없다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정리 및 발전
응급실 현황 조회 앱
각 병원 응급실 베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앱
병원 관련 앱들과 병원 및 약국 찾기 앱들은 있으나 응급실 관련 앱들은 없음
응급실 병실 현황 조회 + 구급차 연동 또는 네비게이션 /
외국인들을 위한 응급실 현황조회 및 병원 조회 서비스
각 병원 응급실 및 응급의료 베드 및 혼잡상황 , 대기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과 다른 것을 합침
병원의 위치 및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들은 많지만, 정작 현재 상황이나, 혼잡한 정도를 나타내는 서비스는 없다
메이져 병원들도 진료 예약 및 다른 정보들을 제공하는 앱만 있고, 응급실 또한 전화번호 및 위치에 대해서만
나와있어서 정말 급한 사람들에게는 정보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Ubiqutious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컴퓨터 관련 기술이 생활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음을 뜻하는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과 같은 개념
곧 컴퓨터에 어떠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냉장고・안경・시계・스테레오장비 등과 같이 어떤 기기나 사물에 컴
퓨터를 집어넣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기술(IT) 환경 또는 정보기술 패러다임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만능 정보 통신망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든 각종 콘텐츠를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기술과 단말기 기술 보안과 인증기술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기술 등이 필요함
백본 네트워크의 전송용량도 현행 테라급(Tbps・초당・1테라비트)보다 1천배 빠른 페타급(Pbps・초당 1페타비트)에 달함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사례
U카드
운전면허증・의료보험증・여권・주민등록증을 국제표준에 맞는 한 개의 스마트카드로 통
합, 그리고 이 카드는 세계 어디서나 통용된다.
현재 미국・유럽・아시아가 함께 표준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카드에 내장된 IC칩에는
지문, 눈동자, 머리색 등도 입력된다. 이 카드는 복제해도 무용지물이다. 카드 안의 고
유번호만이 암호 연산논리를 구동하기 때문에 본인 말고는 이용할 수 없다.
U병원
의사가 아니라 컴퓨터가 환자 진료 기록을 분석해 진단서를 내놓는다. 수술에는 많은
첨단 로봇이 동원된다. 접수처가 아니라 그냥 자동지급기에 신용카드를 긁으면 처방전
이 나온다.
병원에 전자차트(EMR) 시스템이 일반화된다. 전자차트는 병원 업무를 자동화한다. 가
령 내과의사가 외래환자를 검진할 때 의사는 더블 클릭하면 컴퓨터 화면이 1400가지
유형의 환자진료 정보를 제공한다.
의사는 혈액검사・심전도검사・단층촬영이 필요하다고 보고 주문을 입력한 뒤 자신의 ID
와 비밀번호를 쳐 전자서명한다. 혈액 샘플에는 바코드가 붙고 샘플은 자동으로 연구실
로 보내진다. 환자는 한 번의 클릭으로 EMR에 접속해 자신의 진료정보를 검색한다. 노
인성 전립선 질환은 900MHz 전자태그로 관리할 수 있다. 환자가 몇 번 화장실 가는
지, 주방 침실에서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를 점검해 치료에 활용한다. 노인들이 달
고 있는 스마트 배지는 아파트 열쇠도 되고 위치 추적이나 긴급구호에 사용된다.
U자동차
차가 지능을 갖추고 있어서 목적지를 설정해 놓으면 안전하게 알아서 간다. 운전자는
안에서 업무도 보고 방송・영화・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누린다. 차안 전자
상거래인 M커머스도 가능하다. 자동차가 정보통신과 결합하면서 문화・휴식・업무공간
으로 바뀐 것이다. 환경과 에너지측면에선 초연비 무공해 기술이 적용된다. 자동항법장
치나 텔레매틱스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자동으로 사고를 피하는 지능형 자동차가
각광받을 것이다.
U아파트(삼성물산 정승열 팀장)
U시대 아파트는 ‘지능올 갖춘, 이동성이 보장된 아파트’일 것이다. 단지 안에 무선환경
이 구축된다. 집 밖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사이버마을이 생겨 사이버 공간에
서 교육・의료 등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적용될 것이다. 댁내 광가입자망(FTTH)과 무선
LAN 구축이 완료된다. 무선 이동식 컴퓨터인 웸패드가 제공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
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가스밸브, 조명, 전기밥솥 등을 외부에
서 켜거나 끈다.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공간정보서비스
공간정보서비스(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공간에 관한 정보를 생산․관리․유통하거나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해외 -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혼용하여 사용
공간정보(Geospatial Information, GI)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
(유무선통신기술, LBS, SNS, 증강현실(AR), RFID, Geo-Web 등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를 결합하여 LBSNS(위치기반 SNS), 시설물 원격관리 등의 서비스로 확장하는 개념)
미래 공간정보는 단순 콘텐츠 영역을 뛰어넘어 상황(Context)정보까지 범위 확장
스마트 공간정보사회에서는 지능사물이 공간정보를 이용하고 인간은 간접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로 진화
스마트 공간정보사회는 모든 영역에 걸쳐 국가 전반에 구축된 IT 인프라와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 활용함으로써 현실을 거의 있는 그대로
재창조 - 미래의 공간정보는 실시간성, 다양성(풍부성), 정밀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산업 전반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
전자 칩을 활용한 NFC를 이용하여 키(key), 티켓구매, 카드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 가능 - 자동차를 원격으로 진단 및 제어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차에 제공하며 길안
내 및 위치정보 등 모바일 텔레매틱스로 구현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공간정보서비스
스마트 사회 구현을 위한 필수요소인 공간정보서비스는
커뮤니케이션부문/ 산업부문/공공부문 등 3개 부문에서 효과적
공간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강화, 산업․생태계의 효율성 증진, 공공부문 선진화 측면에서 발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현안에 대한 미래 예측 및 대응에 기여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와 결합하게 되는 공간정보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즉시’ 이용 가능함으로써 삶의 가치를 향상하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 스마트 공간정보사회로 나아가게 하는 첫 번째 단계이며 핵심요소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위치기반서비스
위치기반서비스(LBS) - 유비쿼터스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간 서비스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 즉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
셀 방식 : 2000년을 전후해 개발・보급되기 시작한 방식으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수㎞까지 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다. 건물 안이나 지하 등의 위치도 찾을 수 있다.
GPS 방식 : 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휴대폰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 , 위치의 오차 범위가 넓어야 수백m밖에 되지 않아 거의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고층 건물이나 실내에서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업체들은 셀 방식과 GPS 방식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 상품을 개발해 출시하고 있다.
또 휴대폰 사용자가 있는 특정 장소의 날씨 서비스, 일정한 지역의 가입자에 대한 일괄 경보 통지 서비스, 지름길을 찾을 수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 주변의 백화점・의료기관・극장・음식
점 등 생활정보 서비스, 이동 중에 정보가 제공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가 가능하다.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사서비스 리서치 EGEN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 수요증가 및 급변하는 IT(정보기술) 환경에 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의료 관련 정보제공을 함
제공되는 정보는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실시간 응급실 병상정보 및 응급의료기관 정보, 관할 119연결,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
세동기, AED) 위치정보, 증상별 응급처치 요령, 독극물의 특성 및 처치요령 등이 동영상, 이미지, 문자 형태로 제공됨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사서비스 리서치 EGEN 보건복지부
웹사이트에는 병상정보가 나와있으나 앱에는 없음, 카테고리도 많고 보기에 불편함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영국 공공의료체계(국가의료서비스)와 응급실 운영 현황
스마트폰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사람에게 주변 응급실 위치와 혼잡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특정 병원으로만 환자가 몰리지 않도록 했다.
주변의 응급실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의료진을 위해서는 폭력적 성향을 보이는 환자군에 대한 대응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리서치 결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응급실 안내서를 개발했다. 더불어 응급실 현황 기록
판을 만들어 설치하였는데, 의료진은 이 보드에 응급실 현황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토대로 정기적으로 의견을 나누어 더 발전적인 의료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했다.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영국 공공의료체계와 응급실 운영 현황
https://player.vimeo.com/video/97816044
Thank you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인터랙 4주차 최하늘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atelier t*h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Devgear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PERCEPTION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bruce 문형철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atelier t*h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JeongHeon Le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Jahee Lee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M&M Networks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제관 이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제관 이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제관 이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Jongseok Choi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CHAI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RightBrain inc.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Effie Bae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CiscoKorea
 
0925 digitalhealthcare
0925 digitalhealthcare0925 digitalhealthcare
0925 digitalhealthcare
hyeonsu00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Webometrics Class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Artcoon
 

Similar to 인터랙 4주차 최하늘 (20)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
3 foresight n_envisioning_2020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RAD스튜디오를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구축방안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미래 가전기술 5대테마 분석 퍼셉션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미래 2020 가전기술 테마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다가오는 미래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조사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_research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국내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관련의료기관 정보현황의 이해 - 이제관 기술사 -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미래의료정보기술 발전전략 세미나 Mobile health v1.0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차이커뮤니케이션 PAGE180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라이트브레인] 모바일 관점에서 본 UX 디자인 트렌드 및 전망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사용자의 생각을 읽는 서비스! 시스코 CMX가 만들어드립니다
 
0925 digitalhealthcare
0925 digitalhealthcare0925 digitalhealthcare
0925 digitalhealthcare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개도국 저소득층의 삶의 변화를 이끄는 모바일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2020 계원예대 산학 ZERO
 

More from 하늘 최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하늘 최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하늘 최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하늘 최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하늘 최
 
Cafe 2 (1)pdf
Cafe 2 (1)pdfCafe 2 (1)pdf
Cafe 2 (1)pdf
하늘 최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하늘 최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하늘 최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하늘 최
 
1310585 최하늘
1310585 최하늘1310585 최하늘
1310585 최하늘하늘 최
 

More from 하늘 최 (9)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디자인과문화 1310585 최하늘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자리모아 와이어프레임+스크립트 임다혜,최하늘,황희영
 
Cafe 2 (1)pdf
Cafe 2 (1)pdfCafe 2 (1)pdf
Cafe 2 (1)pdf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테크 트렌드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인터랙션 디자인 1310585 최하늘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
색채학 기말과제 최종 1310585 최하늘
 
1310585 최하늘
1310585 최하늘1310585 최하늘
1310585 최하늘
 

인터랙 4주차 최하늘

  • 1. Interaction Design 시각영상디자인 1310585 최하늘 아이디어 발전 4주차 아이디어스케치 및 리서치
  • 2. Interaction Design 목 차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아이디어 정리 및 발전 1 2 구체적인 기술 방향 리서치 유비쿼터스 공간정보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 3 유사 서비스 리서치 EGEN _ 보건복지부 굿닥
  • 3.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대형병원 응급실 최대 23시간 `대기`  보건복지부가 2014년 7월부터 1년 동안 전국 414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해 응급실 과밀화와 대기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응급실에서 10시간 이상 머무는 병원은 총 27곳으로 집계됨
  • 4.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중증 응급환자가 대형병원에서 수술을 받거나 병실을 배정받을 때, 일부 병원에서는 최대 하루를 꼬박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이 위급한 중증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도 평균 7시간 가까이 기다려야 정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서울대병원, 성모병원 등 대형병원일수록 더 심각했다. 또, 응급실 병상 수보다 환자 수가 더 많은 포화 상태 병원도 11곳이나 됐다. 과밀화 지수가 100%를 넘는 병원에서는 응급실 병상 수에 비해 환자 수가 많다는 의미다. 병상이 부족하면 응급실 내원 환자는 간이침대, 의자, 바닥 등에서 대기해야 한다. 응급실 병상 포화상태, 대기시간 , 혼잡상태 알수있는 방법이 부족
  • 5.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 6.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도출 과정 응급의료기관들 존재에도 불구, 특정 병원들로만 몰리는 환자들 응급의료기관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때 주로 큰 병원 응급실로 몰리기 때문에, 사람들이 몰릴 수 밖에 없으며 포화상태가 일어난다 때문에 넘처나는 응급환자들과 모자라는 병상들 및 인력이 부족한 큰 병원들은 어쩔수 없이 환자를 제3응급의료기관으로 보내거나 다른 병원 응급실로 보내는 것이 현황이다 응급실 및 병원의 위치 찾기 서비스는 발달되어있으나 현재 현황(위치 및 혼잡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는 없다 응급실, 병원, 약국의 위치 찾기 서비스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병원이 현재 혼잡한지, 사람들이 많은지 등등 현황을 보여주는 서비스는 없다
  • 7. Interaction Design 1 _ 아이디어 정리 아이디어 정리 및 발전 응급실 현황 조회 앱 각 병원 응급실 베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앱 병원 관련 앱들과 병원 및 약국 찾기 앱들은 있으나 응급실 관련 앱들은 없음 응급실 병실 현황 조회 + 구급차 연동 또는 네비게이션 / 외국인들을 위한 응급실 현황조회 및 병원 조회 서비스 각 병원 응급실 및 응급의료 베드 및 혼잡상황 , 대기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과 다른 것을 합침 병원의 위치 및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들은 많지만, 정작 현재 상황이나, 혼잡한 정도를 나타내는 서비스는 없다 메이져 병원들도 진료 예약 및 다른 정보들을 제공하는 앱만 있고, 응급실 또한 전화번호 및 위치에 대해서만 나와있어서 정말 급한 사람들에게는 정보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 8.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Ubiqutious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컴퓨터 관련 기술이 생활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음을 뜻하는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과 같은 개념 곧 컴퓨터에 어떠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냉장고・안경・시계・스테레오장비 등과 같이 어떤 기기나 사물에 컴 퓨터를 집어넣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보기술(IT) 환경 또는 정보기술 패러다임
  • 9.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만능 정보 통신망 언제 어디서나 어떤 단말기로든 각종 콘텐츠를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선 네트워크 기술과 단말기 기술 보안과 인증기술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기술 등이 필요함 백본 네트워크의 전송용량도 현행 테라급(Tbps・초당・1테라비트)보다 1천배 빠른 페타급(Pbps・초당 1페타비트)에 달함
  • 10.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비쿼터스 ( Ubiquitous ) 사례 U카드 운전면허증・의료보험증・여권・주민등록증을 국제표준에 맞는 한 개의 스마트카드로 통 합, 그리고 이 카드는 세계 어디서나 통용된다. 현재 미국・유럽・아시아가 함께 표준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카드에 내장된 IC칩에는 지문, 눈동자, 머리색 등도 입력된다. 이 카드는 복제해도 무용지물이다. 카드 안의 고 유번호만이 암호 연산논리를 구동하기 때문에 본인 말고는 이용할 수 없다. U병원 의사가 아니라 컴퓨터가 환자 진료 기록을 분석해 진단서를 내놓는다. 수술에는 많은 첨단 로봇이 동원된다. 접수처가 아니라 그냥 자동지급기에 신용카드를 긁으면 처방전 이 나온다. 병원에 전자차트(EMR) 시스템이 일반화된다. 전자차트는 병원 업무를 자동화한다. 가 령 내과의사가 외래환자를 검진할 때 의사는 더블 클릭하면 컴퓨터 화면이 1400가지 유형의 환자진료 정보를 제공한다. 의사는 혈액검사・심전도검사・단층촬영이 필요하다고 보고 주문을 입력한 뒤 자신의 ID 와 비밀번호를 쳐 전자서명한다. 혈액 샘플에는 바코드가 붙고 샘플은 자동으로 연구실 로 보내진다. 환자는 한 번의 클릭으로 EMR에 접속해 자신의 진료정보를 검색한다. 노 인성 전립선 질환은 900MHz 전자태그로 관리할 수 있다. 환자가 몇 번 화장실 가는 지, 주방 침실에서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를 점검해 치료에 활용한다. 노인들이 달 고 있는 스마트 배지는 아파트 열쇠도 되고 위치 추적이나 긴급구호에 사용된다. U자동차 차가 지능을 갖추고 있어서 목적지를 설정해 놓으면 안전하게 알아서 간다. 운전자는 안에서 업무도 보고 방송・영화・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누린다. 차안 전자 상거래인 M커머스도 가능하다. 자동차가 정보통신과 결합하면서 문화・휴식・업무공간 으로 바뀐 것이다. 환경과 에너지측면에선 초연비 무공해 기술이 적용된다. 자동항법장 치나 텔레매틱스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면서 자동으로 사고를 피하는 지능형 자동차가 각광받을 것이다. U아파트(삼성물산 정승열 팀장) U시대 아파트는 ‘지능올 갖춘, 이동성이 보장된 아파트’일 것이다. 단지 안에 무선환경 이 구축된다. 집 밖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사이버마을이 생겨 사이버 공간에 서 교육・의료 등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많이 적용될 것이다. 댁내 광가입자망(FTTH)과 무선 LAN 구축이 완료된다. 무선 이동식 컴퓨터인 웸패드가 제공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 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가스밸브, 조명, 전기밥솥 등을 외부에 서 켜거나 끈다.
  • 11.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공간정보서비스 공간정보서비스(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공간에 관한 정보를 생산․관리․유통하거나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해외 -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혼용하여 사용 공간정보(Geospatial Information, GI)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 (유무선통신기술, LBS, SNS, 증강현실(AR), RFID, Geo-Web 등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를 결합하여 LBSNS(위치기반 SNS), 시설물 원격관리 등의 서비스로 확장하는 개념) 미래 공간정보는 단순 콘텐츠 영역을 뛰어넘어 상황(Context)정보까지 범위 확장 스마트 공간정보사회에서는 지능사물이 공간정보를 이용하고 인간은 간접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로 진화 스마트 공간정보사회는 모든 영역에 걸쳐 국가 전반에 구축된 IT 인프라와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 활용함으로써 현실을 거의 있는 그대로 재창조 - 미래의 공간정보는 실시간성, 다양성(풍부성), 정밀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산업 전반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 전자 칩을 활용한 NFC를 이용하여 키(key), 티켓구매, 카드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 가능 - 자동차를 원격으로 진단 및 제어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차에 제공하며 길안 내 및 위치정보 등 모바일 텔레매틱스로 구현
  • 12.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공간정보서비스 스마트 사회 구현을 위한 필수요소인 공간정보서비스는 커뮤니케이션부문/ 산업부문/공공부문 등 3개 부문에서 효과적 공간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강화, 산업․생태계의 효율성 증진, 공공부문 선진화 측면에서 발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현안에 대한 미래 예측 및 대응에 기여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와 결합하게 되는 공간정보서비스는 ‘언제, 어디서나, 즉시’ 이용 가능함으로써 삶의 가치를 향상하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 스마트 공간정보사회로 나아가게 하는 첫 번째 단계이며 핵심요소
  • 13.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위치기반서비스 위치기반서비스(LBS) - 유비쿼터스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간 서비스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 즉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 셀 방식 : 2000년을 전후해 개발・보급되기 시작한 방식으로, 위치의 오차 범위가 수㎞까지 날 수 있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다. 건물 안이나 지하 등의 위치도 찾을 수 있다. GPS 방식 : 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휴대폰에 내장된 칩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방식 , 위치의 오차 범위가 넓어야 수백m밖에 되지 않아 거의 정확하게 위치를 알 수 있다. 고층 건물이나 실내에서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업체들은 셀 방식과 GPS 방식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 상품을 개발해 출시하고 있다. 또 휴대폰 사용자가 있는 특정 장소의 날씨 서비스, 일정한 지역의 가입자에 대한 일괄 경보 통지 서비스, 지름길을 찾을 수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 주변의 백화점・의료기관・극장・음식 점 등 생활정보 서비스, 이동 중에 정보가 제공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가 가능하다.
  • 14.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사서비스 리서치 EGEN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응급의료 수요증가 및 급변하는 IT(정보기술) 환경에 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의료 관련 정보제공을 함 제공되는 정보는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실시간 응급실 병상정보 및 응급의료기관 정보, 관할 119연결,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 세동기, AED) 위치정보, 증상별 응급처치 요령, 독극물의 특성 및 처치요령 등이 동영상, 이미지, 문자 형태로 제공됨
  • 15.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유사서비스 리서치 EGEN 보건복지부 웹사이트에는 병상정보가 나와있으나 앱에는 없음, 카테고리도 많고 보기에 불편함
  • 16.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영국 공공의료체계(국가의료서비스)와 응급실 운영 현황 스마트폰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사람에게 주변 응급실 위치와 혼잡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특정 병원으로만 환자가 몰리지 않도록 했다. 주변의 응급실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의료진을 위해서는 폭력적 성향을 보이는 환자군에 대한 대응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리서치 결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응급실 안내서를 개발했다. 더불어 응급실 현황 기록 판을 만들어 설치하였는데, 의료진은 이 보드에 응급실 현황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토대로 정기적으로 의견을 나누어 더 발전적인 의료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했다.
  • 17. Interaction Design 2 _ 구체적인 기술 방향 영국 공공의료체계와 응급실 운영 현황 https://player.vimeo.com/video/97816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