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 3. 9
Domains of Nursing

Health : nursing
perspective

2
 “meaning of “health”
건강하다 는 뜻은 ?

 Description of healthy person
어떤 사람이 건강한가 ?

 How do you define “health” in
nursing
간호에서는 사람의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
definition of terms
1.
2.
3.
4.
5.
6.
7.
8.
9.

건강 (Health)
질병 (Disease)
안녕 (Wellness)
질환 (Illness)
치유 (Healing)
안녕 (Well-being)
총체성 (Wholeness)
전인 (Holistic)
건강행위 (Health behavior)
건

강

健

康

↓

↓

Strong 굳세다

Comfortable 편안하다

No disease 병이 없다

pleasant 즐겁다

Health: hal
신체 상태가 흠 없이 완전하고 양호하며

굳세다
Learning activities

 레나 마리아의 일생을 보며 건
강에 관한 여러분의 생각을 정
리하시오 .
 건강은 절대적 상태로써 보다는 연속선 , 또는 계
속되는 사건으로써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

 각각의 개인의 건강상태는 휴식 , 영양 , 스트레스
원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그날그날 달라진
다.
 질병 또한 절대적인 상태가 아니다 . 사람들은 당
뇨 또는 발작 장애와 같은 만성적 질병을 가질 수
있고 여전히 일을 하고 , 여가 활동에 참여하고 ,
적절하게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
다.
 세 계 보 건 기 구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에서는 건강을 “단지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 안녕 상
태” 라고 정의하였다 (1998). 이 정의는 다차원
으로써의 건강의 첫 번째 현대적 관점이었다 .
 세계보건기구 (WHO) 의 정의는 건강이 인간 삶의
정신적 , 영적 , 신체적 측면 사이에서 상호작용
을 나타낸다는 총체적 관점을 제시했다 .
 건강의 총체적 관점은 인간 전체를 구성하는 모든 부
분의 상관성에 초점을 둔다 . Smuts(1926) 은 사람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서구에서의 전
체론 (holism) 의 개념을 먼저 소개하였다 .
 건강을 총체적으로 볼 때 , 개인의 건강 행위는 반드
시 근거가 고려되어야 한다 . 건강 행위는 문화적으
로 결정되고 영향 습관 , 운동과 휴식의 종류와 양 ,
스르테스 대처방법 , 사람들과의 관계의 질 , 다른 생
활 스타일 요소들을 포함한다 .
 건강관리 전문가로써 , 간호사는 건강의 총체적 관점
에 가치를 둔다 .
Element of health
건강요소

정신적

신체적
요소

정신적

신체적
Era 연대

A.D.1850

Population
인구증가추세
사회적
도
의
적

양
적

정
신
적

신체적

지적

신체적

30 억

1940

10 억

사회적

1960

신체적

B.C.400
200 만년 전 ?

정
신
적

사회적

1970

사회적

20 억
양적

정
신
적
신체적

지
적
도의적

1980
40 억

2000
50 억

65-70
억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fined health as Дэлхий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байгууллагын тодорхойлсоноор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1998) . Бие махбод,
оюун ухаан, нийгэм болон сү нсний талаасаа эрүү л саруул байх
буюу ө вчин эмгэг, гаж хө гжилгү й байхыг хэлнэ.
This definition was first modern recognition of health as
multidimensional. Энэхүү тодорхойлолт нь эрүү л мэндийг олон
талаас нь харж чадсан орчин цагийн анхны ойлголт юм.



The WHO definition presented a holistic view of health that reflected the
interplay between the psychological, spiritual, and physical aspects of
human life. Дэлхий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Байгууллагын тодорхойлолт
нь хү ний амьдралын сэтгэлзү йн, сү нсний болон бие махбодын
гадаад тө рх байдлы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н ү йлчлэлийг тусгаса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талаарх холистик ү зэлтийг харуулж байна.

13




A holistic view of health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of all the parts
that make up a whole person. Smuts(1926)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holism in modern western thought by emphasizing the harmony
between people and nature. Эрүү л мэндийн холистик ү зэл нь хү нийг
бү тээж буй бү хийл хэсгий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а хамааралыг
тусгасан байдаг. Smuts(1926) нь хү н, байгаль
хоорондын
зохицолыг анхааран ү зсэнээр орчин ү еийн барууны ү зэл сурталд
холизмийн ойлголтыг оруулж ирсэн.
When viewing health holistically, individual health practic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Health practices are culturally determined and
include nutritional habits, type and amount of exercise and rest, how one
copes with stress,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ther lifestyle factors. As a profession, nurses value a holistic view of health.
Эрүү л мэндийг бү хэллэг /холистик/ талаас нь авч ү зэж байхдаа
хувь хү ний эрүү л мэндийг давхар тооцолон ү зэх ёстой. Уламжлал
талаасаа эрүү мэнд гэдэг ойлголтонд хоол хү нсний зуршил,
дасгал болон амралтын хэв маяг, хэмжээ, стрессийг хэрхэн даван
дийлж байгаа, хувь хү мүү сий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а хамаарал
болон амьдралын хэв маягт нө лөө лж байгаа бусад хү чин зү йлс
хамаарна. Мэргэжлийн талаасаа сувилагч нар эрүү л мэндийн
холистик ү злийг тодорхойлох ёстой.
14
Highest
Health
potential

Good
health

Normal
heath

Mild
illness

Poor
health

Figure 1. The health-illness continuuma holistic health model
15

Critical
illness

death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신의
환경과 평온한 - 로 존재할 수 있다 . 안녕은 역동 (dynamic)- 개인
이 앞으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으로써 개념화된다 . 기능의 더 높
은 잠재성으로 올라가는 것 (Dunn, 1956,p.447)



높은 수준의 안녕 (High-level wellness):
개인이 자신이 기능하는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이다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
1.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에서의 지속적인 과정
3.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 의 동일성
증가
 과거에는 건강은 질병의 부재라고 가장 많이 생각
했다 . “ …… 건강은 필수적인 가능성과 질병의 실
체적 본질 없이는 건강이 아니다 . 이러한 관점에
서 , 건강은 … . 이 정복된 질병이다”
 건강에 대한 생각과 “… 안녕은 단지 단일한 비정형
적인 상황이 아니다 , 오히려 안녕의 여러 단계가
축적되어 구성되는 복잡한 상태이다 .”
 더 높은 기능의 잠재성을 향하는 전진하고 상승하는 과정
에서 방향으로써 인지된 높은 수준의 안녕 : 더 충분한 잠
재성에서 살기 위한 도전을 포함하는 끝이 없고 확대되는
내일 . 그러나 이 중심점은 건강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
 그러므로 건강과 질병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많은 요인들
중에서 건강과 질병의 연속선을 따라 특별한 상황을 만들
어 낼 책임이 있는 동력이다 .
좋지 못한 건강을 보호함

매우 좋은 환경
Very good
environment

( 좋은 환경에서 , 예를 들면
사회문화적 기관을 통해 )

높은 수준의 wellness
( 좋은 환경에서 )

Environment 축

health 축

최상

죽음

wellness

Death
좋지 못한 건강
( 좋지 못한 환경에서 )

서서히 나타나는 높은 수준
( 좋지 못한 환경에서 )

매우 좋지 못한 환경
Very bad
environment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
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
신의 환경과 평온한 존재할 수 있다 .



안녕은 역동 (dynamic) 으로 개인이 앞으
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기능의 더 높은
잠 재 성 으 로 올 라 가 는 것 (Dunn,
1956,p.447)
 정의 : 개인이 그가 기능하고 있는 환경 내에서 그

개인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잠재력을 향해 나아가는
것을 통합한 방법 (Dunn, 1977)

Wellness

Illness



독립 independent



의존 dependent



근면 industry





주도적 initiative



활력 energetic



죄책감 guilty



유능감 efficacy



무기력 helpless



확신 confidence



무력감 powerless



불확실함 ambiguous

의무 회피
obligation

avoid
 자신의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
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
1. 기능하는 방법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의 지속적
과정
3. 기능하는 방법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의 동일성 증가
 Twaddle(1977)
완전한 건강

정상적인 건강
아픈 건강

조기
사망

비건강
치료모델

건강

죽음

최상의
건강
 In the past health has been most often looked
upon as the absence of disease, “ … health is not
health without the essential possibility and
existential realty of disease. In this sense, health
is disease conquered…”
 Thinking toward health and “…wellness is not just
a single amorphous condition, but rather that it is
a complex state made up of over-lapping levels of
wellness.”

24
 High-level wellness for “conceived as a direction in
progress forward and upward, toward a higher potential of
functioning: an open-ended and over-expanding tomorrow
which involves a challenge to live at a fuller potential.
But this midpoint is not synonymous with health.
 Health and illness, therefore, are dynamic among many
constantly changing factors is responsible for producing a
particular condition along the health to illness continuum.

25
 Health and disease are not static entities but are phases
of life, dependent at any time on the balance maintained
by devices, genially (sic) and experientially determined,
intent on fulfilling deeds and adapting to and mastering
stresses as they may arise from within the organism or
from without.
 Health, in a positive sense, consists may be reasonably
free of undue pain, discomfort, disability or limitation of
action including social capacity.

26
 The experience of illness comes in three stages; the first,
transition from health to illness; the second, acceptance of
the illness, and the third stage, transition from illness back
to health, which is most often called convalescence.
 This trip into and back out of illness is represented by a
movement from one spot on the left of the health and
illness continuum over to some point on the right and back
again to some location along the left.

27
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along this continuum are very significant
factors which determine what can and
should be done to help the ill person back
to a condition of optimum well-being or
high-level wellness.
 If the condition is acute, the movement along the continuum is most
likely to be rapid and therefore require nursing interventions which
focus on immediate short-term objectives in order to maintain the
life of patient. Хэрэв яаралтай нө хцө л байдал байвал шулуун
шугамын дагуу хө дө лгөө нийг ихэсгэж болох ба ө вчтө ний
байдлыг сайжруулахын тулд дунд болон богино хугацааны
зү йлсийг тусгасан сувилахуйн ү йл ажиллагаа шаардлагатай
болдог.
 If the condition is chronic, however, the nurse may have to consider
long-term objectives in light of a gradually degenerative condition of
the patient. Хэдийгээр ө вчний байдал архаг байлаа ч гэсэн
ө вчтө ний нө хцө л байдлыг аажим аажмаар сайжруулахын тулд
урт хугацаа шаардсан зү йлсийг бэлтгэх хэрэгтэй болж болно.

29
 High-level wellness for “conceived as a direction in progress forward
and upward, toward a higher potential of functioning: an open-ended
and over-expanding tomorrow which involves a challenge to live at a
fuller potential. But this midpoint is not synonymous with health.
Цоо эрүү л гэдэг нь нэг шугаманд сайжирсаар байгаа ү йл
процессийг хэлэх ба цаашид эрүү л саруулаар сэтгэж амьдрах
боломжтой байхыг хэлнэ. Гэвч энэ ойлголт нь эрүү л мэндтэй
адил тө стэй биш юм.
 Health and illness, therefore, are dynamic among many constantly
changing factors is responsible for producing a particular condition
along the health to illness continuum. Эрүү л болон ө вчин нь
хоорондоо байнга солигдож байдаг хү чин зү йлс ба эрүү лээс
ө вчтэй, ө вчтэйгээс эрүү лрүү шилжиж байдаг.

30






The experience of illness comes in three stages; the first, transition from health to
illness; the second, acceptance of the illness, and the third stage, transition from illness
back to health, which is most often called convalescence. Ө вчин эмгэг нь гурван ү е
шатаар илэрдэг, 1-р ү е шат нь эрүү лээс ө вчин эмгэг дамжих, 2-р ү е шат нь
ө вчнөө хү лээн зө вшөө рө х, 3-р ү е шат нь ө внөө сөө эргээд эрүү л ү ерүү гээ
шилжих ү е бө гөө д энэ ү еийг ихэвчлэн илаарших ү е гэж нэрлэдэг.
This trip into and back out of illness is represented by a movement from one spot on the
left of the health and illness continuum over to some point on the right and back again
to some location along the left. Ө вчтэй, ө вчингү й гэсэн энэхүү аялал нь эрүү л
мэндийн зүү н талын нэг цэгээс, ө вчтэй байдалын баруун цэгээс нэгээс нө гөө рүү
болон буцаж шилжих хө дө лгөө нөө р илэрхийлэгддэг.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along this continuum are very significant factors
which determine what can and should be done to help the ill person back to a condition
of optimum well-being or high-level wellness. Энэхүү хө дө лгөө н ий чиглэл болон
хурд нь ө вчтэй хү нийг эргээдгээд эрүү л, саруул болон цоо эрүү л байдалд нь
оруулахад юу хийж болохыг тодорхойлоход маш чухал хү чин зү йл.

31
 If the condition is acute, the movement along the
continuum is most likely to be rapid and therefore require
nursing interventions which focus on immediate shortterm objectives in order to maintain the life of patient.
 If the condition is chronic, however, the nurse may have
to consider long-term objectives in light of a gradually
degenerative condition of the patient.

32
 When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care for any patient, the nurse
should consider the optimum level of wellness to which the patient
could return following the illness. Аливаа ө вчтө нг асрах асаргааны
зү йл хийж байхдаа сувилагч ө вчтө нийэрүү л саруул байдал
буцаад ө вчтэй байдлаар солигдож болохыг бодолцох хэрэгтэй.
 This goal should not be based upon where the patient was before his
illness. In some cases it might be possible to aim for a higher level of
wellness. Энэхүү зорилго нь ө вчтө н ө вчин тусахаасаа ө мнө
хаана байсанд тулгуурлах ёсгү й. Зарим тохиолдолд ө вчтө н цоо
эрүү л болоход тустай байж болно.
 In other cases residual damage or chronic degeneration may make it
necessary to set the goal at the nurse in order to achieve. An
optimum level of health without the frustration of failure to meet
objectives that are unattainable. Бусад тохиолдолд гэмтэл болон
архаг ө вчлө лийг ү гү й нь амжилтанд хү рэхийн тулд сувилагч
нарт зорилго суулгаж ө гө х шаардлагатай болдог. Эд зү йлсэд
гэмт
33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신의
환경과 평온한 - 로 존재할 수 있다 . 안녕은 역동 (dynamic)- 개인
이 앞으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으로써 개념화된다 . 기능의 더 높
은 잠재성으로 올라가는 것 (Dunn, 1956,p.447)



높은 수준의 안녕 (High-level wellness):
개인이 자신이 기능하는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이다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
1.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에서의 지속적인 과정
3.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 의 동일성
증가













Health is a dynamic process.
Health is determined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Health is a goal.
Health is being able to take care of yourself.
Health is optimal functioning in body, mind, and spirit.
Health is integrity of self.
Health is a sense of wholeness.
Health is coping adaptively.
Health is a subjective experience.
Health is growing and becoming.
Health is a broad concept.
Health is both an individual and societal issue.
35











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역동적인 과정이다 .
주관적 , 객관적으로 결정된다 .
목표이다 .
자기 가신을 돌보기 위한 능력이다 .
신체 , 정신 , 영에서의 궁극적 기능이다 .
자신의 통합이다 .
총체성의 의미이다 .
적응하는 대처이다 .
주관적인 경험이다 .
성장하고 되어간다 .
넓은 개념이다 .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이슈이다 .
 건강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것
들을 의미한다 . 건강에 대한 우리 자신의 개념을 확인
하는 것은 우리가 잘 간직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들 뿐
만 아니라 과거의 질병 경험을 회상함으로써 가능하다 .
 개인의 재산으로써의 다른 관점은 다음의 문장에서 보
여진다 : “ 건강할 때 모든 것을 가진 것이다 .”, “ 나는
… . 할 때 내 건강을 잃었다 .” 건강은 주의 깊은 생활스
타일의 성과물이나 통제가 거의 없는 생활의 단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
 Smith(1983) 는 확장된 이론적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건강의 다른
4 가지 모델을 확인했다 .
(1) 임상적 (clinical) 모델
(2) 역할 수행 (role-performance) 모델
(3) 적응적 (adaptive) 모델
(4) 행복주의적 (eudaimonistic) 모델
건 강 에 대 한 부 가 적 인 관 점 은 원 시 적 (primitive), 역 학 적
(epidemiologic), 그리고 경험적 (experiential) 모델을 포함
한다 .
 이러한 관점을 탐색하고 간호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해보자 .
 원시모델에서 , 건강과 질병은 인간에 대한 외적 힘으로 인해 조절된
다 . 고대 사람들은 질병을 포함한 자연적 현상을 신 또는 영혼 , 종
교의 일로 생각했고 건강 행위들은 종종 밀접하게 섞여있었다 .
 의료인이나 성직자들은 불행한 질병으로부터 악령을 쫓아버렸다 .
오늘날에도 간호사들은 그들의 질병을 잘못으로 인한 벌이나 경고
없는 자율적이고 무정형적인 힘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도 한다 . 이런 사람들이 아프게 되면 “ 왜 나인가 ?” 라는 생
각을 하게 된다 . 이런 사람들을 돌볼 때 , 간호사들은 전통적인 의학
적 치료에 종교인이나 치유적인 수행을 더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지
도 모른다 .





생태학적 모델은 인간 - 환경 관계에 근거한다 .
세가지 구성요소는
1) 숙주 혹은 영향 받기 쉬운 개인
2) 상해 혹은 질병 - 생산 병원체
3) 환경 - 인간이 질병에 쉽게 걸리게 할 수
있는 가난 혹은 비위생적인 환경
질병은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직접적으로 관찰 가능하게
변형된다 . 이 모델의 장점은 그것의 초점이 개인 건강보
다는 대중의 건강에 있다는 것이다 .
 임상적 모델은 건강의 생의학적 관점으로 대표된다 . 건강은 질병이 없
거나 질병에 반대되는 것이다 . 건강이 직선의 한 쪽 끝에 있고 질병이
다른 쪽 끝에 있는 건강 - 잘병 연속선의 개념은 이 모델과 일치한다 .
 이 모델에서 돌봄의 초점은 “근본적으로 병리학적인 신체적 정신적 상
태를 제거하고 그에 수반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Smith,
1981, p. 46). 건강관리자의 역할은 질병의 증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완화가 되면 끝난다 .
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이 모델이 질병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기 때문에 이
관점을 반대한다 . 많은 질병들은 단순한 원인보다는 복합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 게다가 , 임상적 모델은 인간의 총체적 관점에 대한 인
식이 없다 .
 역할 - 수행 모델은 건강을 인간이 자신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으로써 본다 . 이는 의학적 사회학자의
작업과 Parsons(1972) 의 글에 근거하고 있다 . 역할들은
많은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돈을 버는 것과 양육을 포함한
다 . 질병은 건강하지 않게 느낌으로 인해 사회적 역할과 업
무를 수행하는데 대해 무능함으로써 나타난다 . 질병은 이
모델에서 정의하는데 어려울 수도 있다 . 인간은 어떤 역할
들을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것들을 수행하는 것은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이 모델의 이름이 유래된 행복 (Eudaemonia) 은 이성에
맞는 활동적인 삶의 결과로써 행복한 상태를 의미한다 .
 이 모 델 은 인 본 주 의 적 심 리 학 자 , 특 히 Abraham
Maslow 에 의해 기술된다 . 인본주의적 심리학자들은 그
들의 연구를 인간의 고유성과 총체성에 대한 믿음에 근
거하고 성장을 위한 잠재성 , 개인성 , 자율성 , 자기 - 이
해 , 그리고 생산성으로써 질 (quality) 이라고 인식한다 .
 인본주의적 움직임의 결과로써 , 건강의 관점은 잠재성
확장으로 넓어지기 시작했다 . 건강은 사람의 잠재성의
구체화 또는 현실화로써 정의된다 . 질병은 자기 - 구체화
를 예방하는 상황으로써 정의된다 .
Rank

Life event

Rank

Life event

1

Death of spouse

12

pregnancy

2

Divorce

13

Sex difficulties

3

Marital separation

14

Gain of new family member

4

Jail term

15

Business readjustment

5

Death of close family member

16

Change in financial state

6

Personal injury or illness

17

Death of close friend

7

Marriage

18

Change to different
line of work

8

Fired at work

19

Change in number of arguments with
spouse

9

Marital reconciliation

20

Mortgage over $10’000(in 1967
dollars)

10

Retirement

21

Foreclosure of mortgage
or loan

11

Change in health of family member

22

Change in responsibilities at work
44
Rank

Life event

Rank

Life event

23

Son or daughter leacing
home

34

Change in recreation

24

Trouble with in-laws

35

Change in church activities

25

Outstanding personal
achievement

36

Change in social activities

26

Wife beging or stop work

37

Mortgage or loan less than
$ 10’000

27

Begin or end school

38

Change in sleeping

28

Change in living conditions

39

Change in number of family gettogethers

29

Revision of personal habits

40

Change in eating habits

30

Trouble with boss

41

Change in vacation

31

Change in work hours or
conditions

42

Christmas

32

Change in residence

43

Minor violations of the law

33

Change in schools

45
1.

건강지각 - 건강관리양상
( Health perception - health management pattern)
대상자의 인지된 건강 , 안녕 , 건강관리 방법 양상을 서술한다 .

2. (Nutritional – Metabolic pattern)

3.

영양 - 대사 양상

대상자의 대사요구와 관련된 음식과 수액의 양상과 부분적
영양 공급 양상을 서술한다 .

배설양상

(Elimination pattern)
장 , 방광 , 피부등의 배설기능 양상을 서술한다 .

4.

(Activity - Exercise pattern)

활동 - 운동 양상

운동 , 활동 , 여가시간 , 레크리에이션 양상을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
5.

(Sleep – Rest pattern)

수면 - 휴식 양상

수면 , 휴식 , 이완 양상을 서술한다 .

6.

(Cognitive - Perceptual pattern)

인지 - 지각 양상

감각 - 지각과 인지양상을 서술한다 .

7.

(Self – perception Self - concept pattern)

자아 개념 양상

대상자의 자아 - 인지형태와 자아 - 개념에 관하여 서술한다 .
예 ) 자아개념 / 가치 , Body image, 지각상태

8.

(Role - Relationship pattern)

역할 - 관계 양상

대상자의 역할과 관계 양상에 관하여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
9.
상

성 - 생식 양

(Sexuality – Reproductive pattern)
성생활의 만족이나 불만족 상태를 서술한다
; 생식양상을 서술한다

10.

스트레스 대처 양상

(Coping – Stress tolerance pattern)

대상자의 일반적인 대처기전과 스트레스 인내의 효과적인
양상에 관하여 서술한다 .

11 .

양상

가치 - 신념

(Value - Belief pattern)

가치 , 신념 ( 영적인 면 포함 ) 이나 대상자가 선택하거나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의 양상의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Tarytary
 
모션그래픽2주과정2
모션그래픽2주과정2모션그래픽2주과정2
모션그래픽2주과정2sosl226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Boram Park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마음수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마음수련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마음수련
 
감성 힐링, 행복 명상
감성 힐링, 행복 명상감성 힐링, 행복 명상
감성 힐링, 행복 명상
saboo lee
 
호흡과 명상
호흡과 명상호흡과 명상
호흡과 명상
권수 김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마음수련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마음수련
 
5.환경trans
5.환경trans5.환경trans
5.환경trans
Kasilubuns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cbs15min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마음수련
 
10.간호의 관심 사람(4)
10.간호의 관심 사람(4)10.간호의 관심 사람(4)
10.간호의 관심 사람(4)
Kasilubuns
 
2014 IT Infra Plan
2014 IT Infra Plan2014 IT Infra Plan
2014 IT Infra Plan
석 허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Jo Sangwon
 
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
명호 홍명호
 

Viewers also liked (20)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다니엘 가베 독서 논술 교육
 
뜨인돌방과후교실
뜨인돌방과후교실뜨인돌방과후교실
뜨인돌방과후교실
 
모션그래픽2주과정2
모션그래픽2주과정2모션그래픽2주과정2
모션그래픽2주과정2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아이의 인성교육을 위한 명상 방학 프로그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즐거운 마음 트레이닝,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자유학기제, 인성교육에 탁월한 마음빼기 명상
 
감성 힐링, 행복 명상
감성 힐링, 행복 명상감성 힐링, 행복 명상
감성 힐링, 행복 명상
 
호흡과 명상
호흡과 명상호흡과 명상
호흡과 명상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명상할 때 알아두면 유용한 명상 꿀팁 10가지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신입사원이 마음수련 명상을 해야하는 이유 3가지
 
5.환경trans
5.환경trans5.환경trans
5.환경trans
 
개론11
개론11개론11
개론11
 
9.환경
9.환경9.환경
9.환경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세바시 15분 임치빈 멘탈스포테이너, 격투기선수 - 이기는 방법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나를 위한 행복한 명상, 마음수련
 
10.간호의 관심 사람(4)
10.간호의 관심 사람(4)10.간호의 관심 사람(4)
10.간호의 관심 사람(4)
 
2014 IT Infra Plan
2014 IT Infra Plan2014 IT Infra Plan
2014 IT Infra Plan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Definition and Tendency of Fabric Computing (패브릭 컴퓨팅의 정의와 현재 경향)
 
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스트레스와건강[1][1]
스트레스와건강[1][1]
 

Similar to 3.health%20건%20%20강[1]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Henry Hyeongrae Kim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연대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여성환경연대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sujaubuns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환경연대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actioncan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guest5a89d9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봄인터랙트미디어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mothersafe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inurikn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연대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nkrefugee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혜원 정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여성환경연대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치환 최
 

Similar to 3.health%20건%20%20강[1] (20)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행복한 노후의 시작은 건강한 삶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여성의 눈으로 보는 환경건강에 대하여 (2004)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8차시 위기중재_v1-orchuulga[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54호 (소식지, 2014)
 
건강에는 은퇴란없다-강의제안서
건강에는 은퇴란없다-강의제안서건강에는 은퇴란없다-강의제안서
건강에는 은퇴란없다-강의제안서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건강을 결정하는 사회경제적 구조 (김명희, 20091112)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암환자를 위한 영적 돌봄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
efficacy and safety of psychotropics during pregnancy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
강남 아이 한의원_강한 면역 보다 좋은 면역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전문가포럼_의료계_130626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한의학에서 보는 여성건강과 질병 (2004)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물리치료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3.health%20건%20%20강[1]

  • 2. Domains of Nursing Health : nursing perspective 2
  • 3.  “meaning of “health” 건강하다 는 뜻은 ?  Description of healthy person 어떤 사람이 건강한가 ?  How do you define “health” in nursing 간호에서는 사람의 건강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
  • 4. definition of terms 1. 2. 3. 4. 5. 6. 7. 8. 9. 건강 (Health) 질병 (Disease) 안녕 (Wellness) 질환 (Illness) 치유 (Healing) 안녕 (Well-being) 총체성 (Wholeness) 전인 (Holistic) 건강행위 (Health behavior)
  • 5. 건 강 健 康 ↓ ↓ Strong 굳세다 Comfortable 편안하다 No disease 병이 없다 pleasant 즐겁다 Health: hal 신체 상태가 흠 없이 완전하고 양호하며 굳세다
  • 6. Learning activities  레나 마리아의 일생을 보며 건 강에 관한 여러분의 생각을 정 리하시오 .
  • 7.
  • 8.
  • 9.  건강은 절대적 상태로써 보다는 연속선 , 또는 계 속되는 사건으로써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   각각의 개인의 건강상태는 휴식 , 영양 , 스트레스 원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그날그날 달라진 다.  질병 또한 절대적인 상태가 아니다 . 사람들은 당 뇨 또는 발작 장애와 같은 만성적 질병을 가질 수 있고 여전히 일을 하고 , 여가 활동에 참여하고 , 적절하게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한 다.
  • 10.  세 계 보 건 기 구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에서는 건강을 “단지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 안녕 상 태” 라고 정의하였다 (1998). 이 정의는 다차원 으로써의 건강의 첫 번째 현대적 관점이었다 .  세계보건기구 (WHO) 의 정의는 건강이 인간 삶의 정신적 , 영적 , 신체적 측면 사이에서 상호작용 을 나타낸다는 총체적 관점을 제시했다 .
  • 11.  건강의 총체적 관점은 인간 전체를 구성하는 모든 부 분의 상관성에 초점을 둔다 . Smuts(1926) 은 사람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함으로써 현대 서구에서의 전 체론 (holism) 의 개념을 먼저 소개하였다 .  건강을 총체적으로 볼 때 , 개인의 건강 행위는 반드 시 근거가 고려되어야 한다 . 건강 행위는 문화적으 로 결정되고 영향 습관 , 운동과 휴식의 종류와 양 , 스르테스 대처방법 , 사람들과의 관계의 질 , 다른 생 활 스타일 요소들을 포함한다 .  건강관리 전문가로써 , 간호사는 건강의 총체적 관점 에 가치를 둔다 .
  • 12. Element of health 건강요소 정신적 신체적 요소 정신적 신체적 Era 연대 A.D.1850 Population 인구증가추세 사회적 도 의 적 양 적 정 신 적 신체적 지적 신체적 30 억 1940 10 억 사회적 1960 신체적 B.C.400 200 만년 전 ? 정 신 적 사회적 1970 사회적 20 억 양적 정 신 적 신체적 지 적 도의적 1980 40 억 2000 50 억 65-70 억
  • 13.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fined health as Дэлхий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байгууллагын тодорхойлсоноор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social, spiritu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1998) . Бие махбод, оюун ухаан, нийгэм болон сү нсний талаасаа эрүү л саруул байх буюу ө вчин эмгэг, гаж хө гжилгү й байхыг хэлнэ. This definition was first modern recognition of health as multidimensional. Энэхүү тодорхойлолт нь эрүү л мэндийг олон талаас нь харж чадсан орчин цагийн анхны ойлголт юм.  The WHO definition presented a holistic view of health that reflected the interplay between the psychological, spiritual, and physical aspects of human life. Дэлхий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Байгууллагын тодорхойлолт нь хү ний амьдралын сэтгэлзү йн, сү нсний болон бие махбодын гадаад тө рх байдлы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н ү йлчлэлийг тусгасан эрүү л мэндийн талаарх холистик ү зэлтийг харуулж байна. 13
  • 14.   A holistic view of health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of all the parts that make up a whole person. Smuts(1926)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holism in modern western thought by emphasizing the harmony between people and nature. Эрүү л мэндийн холистик ү зэл нь хү нийг бү тээж буй бү хийл хэсгий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а хамааралыг тусгасан байдаг. Smuts(1926) нь хү н, байгаль хоорондын зохицолыг анхааран ү зсэнээр орчин ү еийн барууны ү зэл сурталд холизмийн ойлголтыг оруулж ирсэн. When viewing health holistically, individual health practic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Health practices are culturally determined and include nutritional habits, type and amount of exercise and rest, how one copes with stress,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ther lifestyle factors. As a profession, nurses value a holistic view of health. Эрүү л мэндийг бү хэллэг /холистик/ талаас нь авч ү зэж байхдаа хувь хү ний эрүү л мэндийг давхар тооцолон ү зэх ёстой. Уламжлал талаасаа эрүү мэнд гэдэг ойлголтонд хоол хү нсний зуршил, дасгал болон амралтын хэв маяг, хэмжээ, стрессийг хэрхэн даван дийлж байгаа, хувь хү мүү сийн хоорондын харилцаа хамаарал болон амьдралын хэв маягт нө лөө лж байгаа бусад хү чин зү йлс хамаарна. Мэргэжлийн талаасаа сувилагч нар эрүү л мэндийн холистик ү злийг тодорхойлох ёстой. 14
  • 15. Highest Health potential Good health Normal heath Mild illness Poor health Figure 1. The health-illness continuuma holistic health model 15 Critical illness death
  • 16.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신의 환경과 평온한 - 로 존재할 수 있다 . 안녕은 역동 (dynamic)- 개인 이 앞으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으로써 개념화된다 . 기능의 더 높 은 잠재성으로 올라가는 것 (Dunn, 1956,p.447)  높은 수준의 안녕 (High-level wellness): 개인이 자신이 기능하는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이다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 1.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에서의 지속적인 과정 3.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 의 동일성 증가
  • 17.  과거에는 건강은 질병의 부재라고 가장 많이 생각 했다 . “ …… 건강은 필수적인 가능성과 질병의 실 체적 본질 없이는 건강이 아니다 . 이러한 관점에 서 , 건강은 … . 이 정복된 질병이다”  건강에 대한 생각과 “… 안녕은 단지 단일한 비정형 적인 상황이 아니다 , 오히려 안녕의 여러 단계가 축적되어 구성되는 복잡한 상태이다 .”
  • 18.  더 높은 기능의 잠재성을 향하는 전진하고 상승하는 과정 에서 방향으로써 인지된 높은 수준의 안녕 : 더 충분한 잠 재성에서 살기 위한 도전을 포함하는 끝이 없고 확대되는 내일 . 그러나 이 중심점은 건강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  그러므로 건강과 질병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많은 요인들 중에서 건강과 질병의 연속선을 따라 특별한 상황을 만들 어 낼 책임이 있는 동력이다 .
  • 19. 좋지 못한 건강을 보호함 매우 좋은 환경 Very good environment ( 좋은 환경에서 , 예를 들면 사회문화적 기관을 통해 ) 높은 수준의 wellness ( 좋은 환경에서 ) Environment 축 health 축 최상 죽음 wellness Death 좋지 못한 건강 ( 좋지 못한 환경에서 ) 서서히 나타나는 높은 수준 ( 좋지 못한 환경에서 ) 매우 좋지 못한 환경 Very bad environment
  • 20.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 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 신의 환경과 평온한 존재할 수 있다 .  안녕은 역동 (dynamic) 으로 개인이 앞으 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기능의 더 높은 잠 재 성 으 로 올 라 가 는 것 (Dunn, 1956,p.447)
  • 21.  정의 : 개인이 그가 기능하고 있는 환경 내에서 그 개인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잠재력을 향해 나아가는 것을 통합한 방법 (Dunn, 1977) Wellness Illness  독립 independent  의존 dependent  근면 industry   주도적 initiative  활력 energetic  죄책감 guilty  유능감 efficacy  무기력 helpless  확신 confidence  무력감 powerless  불확실함 ambiguous 의무 회피 obligation avoid
  • 22.  자신의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 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 1. 기능하는 방법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의 지속적 과정 3. 기능하는 방법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의 동일성 증가
  • 23.  Twaddle(1977) 완전한 건강 정상적인 건강 아픈 건강 조기 사망 비건강 치료모델 건강 죽음 최상의 건강
  • 24.  In the past health has been most often looked upon as the absence of disease, “ … health is not health without the essential possibility and existential realty of disease. In this sense, health is disease conquered…”  Thinking toward health and “…wellness is not just a single amorphous condition, but rather that it is a complex state made up of over-lapping levels of wellness.” 24
  • 25.  High-level wellness for “conceived as a direction in progress forward and upward, toward a higher potential of functioning: an open-ended and over-expanding tomorrow which involves a challenge to live at a fuller potential. But this midpoint is not synonymous with health.  Health and illness, therefore, are dynamic among many constantly changing factors is responsible for producing a particular condition along the health to illness continuum. 25
  • 26.  Health and disease are not static entities but are phases of life, dependent at any time on the balance maintained by devices, genially (sic) and experientially determined, intent on fulfilling deeds and adapting to and mastering stresses as they may arise from within the organism or from without.  Health, in a positive sense, consists may be reasonably free of undue pain, discomfort, disability or limitation of action including social capacity. 26
  • 27.  The experience of illness comes in three stages; the first, transition from health to illness; the second, acceptance of the illness, and the third stage, transition from illness back to health, which is most often called convalescence.  This trip into and back out of illness is represented by a movement from one spot on the left of the health and illness continuum over to some point on the right and back again to some location along the left. 27
  • 28. 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along this continuum are very significant factors which determine what can and should be done to help the ill person back to a condition of optimum well-being or high-level wellness.
  • 29.  If the condition is acute, the movement along the continuum is most likely to be rapid and therefore require nursing interventions which focus on immediate short-term objectives in order to maintain the life of patient. Хэрэв яаралтай нө хцө л байдал байвал шулуун шугамын дагуу хө дө лгөө нийг ихэсгэж болох ба ө вчтө ний байдлыг сайжруулахын тулд дунд болон богино хугацааны зү йлсийг тусгасан сувилахуйн ү йл ажиллагаа шаардлагатай болдог.  If the condition is chronic, however, the nurse may have to consider long-term objectives in light of a gradually degenerative condition of the patient. Хэдийгээр ө вчний байдал архаг байлаа ч гэсэн ө вчтө ний нө хцө л байдлыг аажим аажмаар сайжруулахын тулд урт хугацаа шаардсан зү йлсийг бэлтгэх хэрэгтэй болж болно. 29
  • 30.  High-level wellness for “conceived as a direction in progress forward and upward, toward a higher potential of functioning: an open-ended and over-expanding tomorrow which involves a challenge to live at a fuller potential. But this midpoint is not synonymous with health. Цоо эрүү л гэдэг нь нэг шугаманд сайжирсаар байгаа ү йл процессийг хэлэх ба цаашид эрүү л саруулаар сэтгэж амьдрах боломжтой байхыг хэлнэ. Гэвч энэ ойлголт нь эрүү л мэндтэй адил тө стэй биш юм.  Health and illness, therefore, are dynamic among many constantly changing factors is responsible for producing a particular condition along the health to illness continuum. Эрүү л болон ө вчин нь хоорондоо байнга солигдож байдаг хү чин зү йлс ба эрүү лээс ө вчтэй, ө вчтэйгээс эрүү лрүү шилжиж байдаг. 30
  • 31.    The experience of illness comes in three stages; the first, transition from health to illness; the second, acceptance of the illness, and the third stage, transition from illness back to health, which is most often called convalescence. Ө вчин эмгэг нь гурван ү е шатаар илэрдэг, 1-р ү е шат нь эрүү лээс ө вчин эмгэг дамжих, 2-р ү е шат нь ө вчнөө хү лээн зө вшөө рө х, 3-р ү е шат нь ө внөө сөө эргээд эрүү л ү ерүү гээ шилжих ү е бө гөө д энэ ү еийг ихэвчлэн илаарших ү е гэж нэрлэдэг. This trip into and back out of illness is represented by a movement from one spot on the left of the health and illness continuum over to some point on the right and back again to some location along the left. Ө вчтэй, ө вчингү й гэсэн энэхүү аялал нь эрүү л мэндийн зүү н талын нэг цэгээс, ө вчтэй байдалын баруун цэгээс нэгээс нө гөө рүү болон буцаж шилжих хө дө лгөө нөө р илэрхийлэгддэг. The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along this continuum are very significant factors which determine what can and should be done to help the ill person back to a condition of optimum well-being or high-level wellness. Энэхүү хө дө лгөө н ий чиглэл болон хурд нь ө вчтэй хү нийг эргээдгээд эрүү л, саруул болон цоо эрүү л байдалд нь оруулахад юу хийж болохыг тодорхойлоход маш чухал хү чин зү йл. 31
  • 32.  If the condition is acute, the movement along the continuum is most likely to be rapid and therefore require nursing interventions which focus on immediate shortterm objectives in order to maintain the life of patient.  If the condition is chronic, however, the nurse may have to consider long-term objectives in light of a gradually degenerative condition of the patient. 32
  • 33.  When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care for any patient, the nurse should consider the optimum level of wellness to which the patient could return following the illness. Аливаа ө вчтө нг асрах асаргааны зү йл хийж байхдаа сувилагч ө вчтө нийэрүү л саруул байдал буцаад ө вчтэй байдлаар солигдож болохыг бодолцох хэрэгтэй.  This goal should not be based upon where the patient was before his illness. In some cases it might be possible to aim for a higher level of wellness. Энэхүү зорилго нь ө вчтө н ө вчин тусахаасаа ө мнө хаана байсанд тулгуурлах ёсгү й. Зарим тохиолдолд ө вчтө н цоо эрүү л болоход тустай байж болно.  In other cases residual damage or chronic degeneration may make it necessary to set the goal at the nurse in order to achieve. An optimum level of health without the frustration of failure to meet objectives that are unattainable. Бусад тохиолдолд гэмтэл болон архаг ө вчлө лийг ү гү й нь амжилтанд хү рэхийн тулд сувилагч нарт зорилго суулгаж ө гө х шаардлагатай болдог. Эд зү йлсэд гэмт 33
  • 34.  좋은 (Good) 건강 : 상대적으로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소극적 상태 - 개인이 자신의 환경과 평온한 - 로 존재할 수 있다 . 안녕은 역동 (dynamic)- 개인 이 앞으로 나아가는 변환의 상태 - 으로써 개념화된다 . 기능의 더 높 은 잠재성으로 올라가는 것 (Dunn, 1956,p.447)  높은 수준의 안녕 (High-level wellness): 개인이 자신이 기능하는 환경 내에서 가능한 잠재성을 최대화하려는 기능의 통합된 방법이다 . 높은 수준의 안녕은 아래와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 . 1.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지속적인 향상 2. 삶의 도전에 반응하기 위한 능력에서의 지속적인 과정 3. 우리가 기능하는 방법에서의 자신 전체 - 마음 , 몸 , 영 - 의 동일성 증가
  • 35.             Health is a dynamic process. Health is determined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Health is a goal. Health is being able to take care of yourself. Health is optimal functioning in body, mind, and spirit. Health is integrity of self. Health is a sense of wholeness. Health is coping adaptively. Health is a subjective experience. Health is growing and becoming. Health is a broad concept. Health is both an individual and societal issue. 35
  • 36.            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건강은 역동적인 과정이다 . 주관적 , 객관적으로 결정된다 . 목표이다 . 자기 가신을 돌보기 위한 능력이다 . 신체 , 정신 , 영에서의 궁극적 기능이다 . 자신의 통합이다 . 총체성의 의미이다 . 적응하는 대처이다 . 주관적인 경험이다 . 성장하고 되어간다 . 넓은 개념이다 .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이슈이다 .
  • 37.  건강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것 들을 의미한다 . 건강에 대한 우리 자신의 개념을 확인 하는 것은 우리가 잘 간직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들 뿐 만 아니라 과거의 질병 경험을 회상함으로써 가능하다 .  개인의 재산으로써의 다른 관점은 다음의 문장에서 보 여진다 : “ 건강할 때 모든 것을 가진 것이다 .”, “ 나는 … . 할 때 내 건강을 잃었다 .” 건강은 주의 깊은 생활스 타일의 성과물이나 통제가 거의 없는 생활의 단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
  • 38.  Smith(1983) 는 확장된 이론적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건강의 다른 4 가지 모델을 확인했다 . (1) 임상적 (clinical) 모델 (2) 역할 수행 (role-performance) 모델 (3) 적응적 (adaptive) 모델 (4) 행복주의적 (eudaimonistic) 모델 건 강 에 대 한 부 가 적 인 관 점 은 원 시 적 (primitive), 역 학 적 (epidemiologic), 그리고 경험적 (experiential) 모델을 포함 한다 .  이러한 관점을 탐색하고 간호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해보자 .
  • 39.  원시모델에서 , 건강과 질병은 인간에 대한 외적 힘으로 인해 조절된 다 . 고대 사람들은 질병을 포함한 자연적 현상을 신 또는 영혼 , 종 교의 일로 생각했고 건강 행위들은 종종 밀접하게 섞여있었다 .  의료인이나 성직자들은 불행한 질병으로부터 악령을 쫓아버렸다 . 오늘날에도 간호사들은 그들의 질병을 잘못으로 인한 벌이나 경고 없는 자율적이고 무정형적인 힘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도 한다 . 이런 사람들이 아프게 되면 “ 왜 나인가 ?” 라는 생 각을 하게 된다 . 이런 사람들을 돌볼 때 , 간호사들은 전통적인 의학 적 치료에 종교인이나 치유적인 수행을 더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지 도 모른다 .
  • 40.    생태학적 모델은 인간 - 환경 관계에 근거한다 . 세가지 구성요소는 1) 숙주 혹은 영향 받기 쉬운 개인 2) 상해 혹은 질병 - 생산 병원체 3) 환경 - 인간이 질병에 쉽게 걸리게 할 수 있는 가난 혹은 비위생적인 환경 질병은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직접적으로 관찰 가능하게 변형된다 . 이 모델의 장점은 그것의 초점이 개인 건강보 다는 대중의 건강에 있다는 것이다 .
  • 41.  임상적 모델은 건강의 생의학적 관점으로 대표된다 . 건강은 질병이 없 거나 질병에 반대되는 것이다 . 건강이 직선의 한 쪽 끝에 있고 질병이 다른 쪽 끝에 있는 건강 - 잘병 연속선의 개념은 이 모델과 일치한다 .  이 모델에서 돌봄의 초점은 “근본적으로 병리학적인 신체적 정신적 상 태를 제거하고 그에 수반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Smith, 1981, p. 46). 건강관리자의 역할은 질병의 증상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완화가 되면 끝난다 . 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이 모델이 질병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기 때문에 이 관점을 반대한다 . 많은 질병들은 단순한 원인보다는 복합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 게다가 , 임상적 모델은 인간의 총체적 관점에 대한 인 식이 없다 .
  • 42.  역할 - 수행 모델은 건강을 인간이 자신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능력으로써 본다 . 이는 의학적 사회학자의 작업과 Parsons(1972) 의 글에 근거하고 있다 . 역할들은 많은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돈을 버는 것과 양육을 포함한 다 . 질병은 건강하지 않게 느낌으로 인해 사회적 역할과 업 무를 수행하는데 대해 무능함으로써 나타난다 . 질병은 이 모델에서 정의하는데 어려울 수도 있다 . 인간은 어떤 역할 들을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것들을 수행하는 것은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43.  이 모델의 이름이 유래된 행복 (Eudaemonia) 은 이성에 맞는 활동적인 삶의 결과로써 행복한 상태를 의미한다 .  이 모 델 은 인 본 주 의 적 심 리 학 자 , 특 히 Abraham Maslow 에 의해 기술된다 . 인본주의적 심리학자들은 그 들의 연구를 인간의 고유성과 총체성에 대한 믿음에 근 거하고 성장을 위한 잠재성 , 개인성 , 자율성 , 자기 - 이 해 , 그리고 생산성으로써 질 (quality) 이라고 인식한다 .  인본주의적 움직임의 결과로써 , 건강의 관점은 잠재성 확장으로 넓어지기 시작했다 . 건강은 사람의 잠재성의 구체화 또는 현실화로써 정의된다 . 질병은 자기 - 구체화 를 예방하는 상황으로써 정의된다 .
  • 44. Rank Life event Rank Life event 1 Death of spouse 12 pregnancy 2 Divorce 13 Sex difficulties 3 Marital separation 14 Gain of new family member 4 Jail term 15 Business readjustment 5 Death of close family member 16 Change in financial state 6 Personal injury or illness 17 Death of close friend 7 Marriage 18 Change to different line of work 8 Fired at work 19 Change in number of arguments with spouse 9 Marital reconciliation 20 Mortgage over $10’000(in 1967 dollars) 10 Retirement 21 Foreclosure of mortgage or loan 11 Change in health of family member 22 Change in responsibilities at work 44
  • 45. Rank Life event Rank Life event 23 Son or daughter leacing home 34 Change in recreation 24 Trouble with in-laws 35 Change in church activities 25 Outstanding personal achievement 36 Change in social activities 26 Wife beging or stop work 37 Mortgage or loan less than $ 10’000 27 Begin or end school 38 Change in sleeping 28 Change in living conditions 39 Change in number of family gettogethers 29 Revision of personal habits 40 Change in eating habits 30 Trouble with boss 41 Change in vacation 31 Change in work hours or conditions 42 Christmas 32 Change in residence 43 Minor violations of the law 33 Change in schools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1. 건강지각 - 건강관리양상 ( Health perception - health management pattern) 대상자의 인지된 건강 , 안녕 , 건강관리 방법 양상을 서술한다 . 2. (Nutritional – Metabolic pattern) 3. 영양 - 대사 양상 대상자의 대사요구와 관련된 음식과 수액의 양상과 부분적 영양 공급 양상을 서술한다 . 배설양상 (Elimination pattern) 장 , 방광 , 피부등의 배설기능 양상을 서술한다 . 4. (Activity - Exercise pattern) 활동 - 운동 양상 운동 , 활동 , 여가시간 , 레크리에이션 양상을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
  • 56. 5. (Sleep – Rest pattern) 수면 - 휴식 양상 수면 , 휴식 , 이완 양상을 서술한다 . 6. (Cognitive - Perceptual pattern) 인지 - 지각 양상 감각 - 지각과 인지양상을 서술한다 . 7. (Self – perception Self - concept pattern) 자아 개념 양상 대상자의 자아 - 인지형태와 자아 - 개념에 관하여 서술한다 . 예 ) 자아개념 / 가치 , Body image, 지각상태 8. (Role - Relationship pattern) 역할 - 관계 양상 대상자의 역할과 관계 양상에 관하여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
  • 57. 9. 상 성 - 생식 양 (Sexuality – Reproductive pattern) 성생활의 만족이나 불만족 상태를 서술한다 ; 생식양상을 서술한다 10. 스트레스 대처 양상 (Coping – Stress tolerance pattern) 대상자의 일반적인 대처기전과 스트레스 인내의 효과적인 양상에 관하여 서술한다 . 11 . 양상 가치 - 신념 (Value - Belief pattern) 가치 , 신념 ( 영적인 면 포함 ) 이나 대상자가 선택하거나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목적의 양상의 서술한다 . 간호학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