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3D 프린팅 (적층가공)
서지우, Jiwoo Seo
Ateam Ventures
St. George’s School
3D 프린팅의 일반적인 과정
 CAD 파일,(3D 스캐닝이나 다운로드로 얻는다)
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파일 (STL, OBJ, 3Ds, 3MF)
 파일의 에러를 고친다 (netfabb, Meshmixer, Cura, Slic3r 프로그램)
 G-code 파일 (층으로 나눈파일) (Skeinforge, Slic3r, and Cura)
 3D 프린팅
 마무리 작업 (사포, 서포터 제거, 색깔 페인팅)
3D 프린팅의 표준 7가지 기술들
1. 소재 압출 (Material Extrusion)
2. 광중합 (Vat polymerization)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4. 결합제 분사 (Binder Jetting)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7. 집속 에너지 용착 (Directed Energy Deposition)
ASTM 그룹이 정한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1. 재료 압출, Material Extrusion
대표적인 방식: Fused Filament Fabrication (FFF) (FDM)
적층소재를 노즐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3차원 형상을
제조하는 기술.
플라스틱 필라멘트/ 금속 와이어가 코일에서 감겻다가 풀려저
나오면서 노즐로 공급된다.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소프트웨에 따라 움직이는 노즐은
가열해서 소재를 녹인다.
소재는 노즐에서 압출되고 빨리 다시 고체로 굳는다.
1. 재료압출, Material Extrusion
 재료압출은 가장 인기가 많은 3D 프린팅 방식이다.
 제일 흔히 사용돼는 재료:
ABS 플라스틱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 플라스틱 (Polylactic acid)
 Creatable D2 가 사용하는 프린팅 방식이다
 이 방법으로 프린트됀 제품들은 프린트된 층들이 표시되서 표면 의
매끄러움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 낮은 쪽이다.
FFF 의 문제점
 FFF 는 “overhangs, 오버행” 과 “bridges, 브릿지” 들을 프린트 할수 없다
 오버행은 돌출된 부분으로 밑에 발판으로 삼을 부분이 없기 때문에 프린트할때
문제가 생긴다.
 오버행에 대해선 메이커들이 따르는 “45° rule” 이 있는데, 이 룰은 오버행이
오버행각도가 45° 를 넘지 않으면 서포터 필요없이 성공적으로 프린트 된다는거다.
 프린터에 따라 프린트 할수 있는 오버행의 각도가 다르다. “오버행 테스트 모델” 을
프린트 해봐서 자기의 프린트는 얼마의 오버행을 프린트 할수있는지 알수 있다
45°
Overhang
angle
오버행에 대한 솔루션
 서포터 소재를 같이 프린트 한다.(더 많은 시간과 일이 필요하다. 서포터를 제거 하면서
제품에 손상을 가할수 있다)
 제품이 프린트 돼는 방향을 바꾼다.
 노즐에 fan 을 달아서 재료를 더 빨리 굳게 해서 오버행을 더 쉽게 프린트 할수 있게
한다.
서포터 소재
서포터 제거 후 상처들이 남았다
PVA, HIPS – 서포터 재료
 PVA (polyvinyl alcohol) – 수용성 열가소성 수지.
 PVA 는 특이하게 물에 녹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서포트 소재로 인기를 끌고
있다. PVA 를 사용하면 프린트후 서포터를 일일이 제거하는 힘든일대신
물에만 넣으면 끝나서 간편하다.
 HIPS (High Impact Polystyrene) – PVA 와 비슷한 재료인데, HIPS 는 물이 아닌
리모넨 (limonene) 에 녹는다.
 PVA는 흡습도가 높아서 일반공기에 나두면 엄청난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밀폐됀 공간에 제습기와 같이 보관해야한다. 그에 비하면 HIPS는 보관이 더
간편한쪽이다.
http://3dprintingforbeginners.com/3d-printing-technology/
PLA 와 PVA 서포트로
만든 제품. 물에 넣어서
PVA 서포트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한다.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sation
대표적인 방식: Stereolithography (SLA)
프린트 베드가 액상 소재 안에, 표면 바로밑에 있다.
UV 레이저가 원하는모양으로 움직이면서 밑으로 쏴서 밑에 액상을
경화 시킨다.
수지 한층이 베드 위에 원하는 모양으로 굳는다.
프린트 베드가 다음층을위해 밑으로 움직인다.
반복한다.
SLA 프린트 동영상
https://youtu.be/yYGycgnYlBM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sation
 새롭고 혁신적인 방식: CLIP (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
 수지 컨테이너 바닥이 산소투과성이다. 산소는 수지가 굳는 과정을 억제하는
기능을한다. 산소투과성 바닥은 산소가 들어오는양을 조절할수 있다. 바닥에서
산소를 들여보내면 “dead zone, 데드존” 이 바닥바로위에 만들어 지는데, 이것은
산소때매 굳혀지지않는 액체의 얇은 (30 µm) 층이다
 프린팅 베드가 액체안, 밑에서 시작하고 올라오면서 제품을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 하나의 UV 레이저가 쏴서 층을 만드는게 아니라, UV 빛이 지속적으로 모양을
바꿔가면서 쏨으로써, 비디오처럼 부드럽고 엄청나게 빠르게 프린트한다.
CLIP 에 대한 재밌는 비디오들
http://www.ted.com/talks/j
oe_desimone_what_if_3d_pr
inting_was_25x_faster?langu
age=en#t-2881
https://youtu.be/8uD0d1IPsF
4
CLIP
 3월에 ‘Carbon 3D’ 회사가 소개하엿고, 그때까지 41$의
자금을 Sequoia Capital 과 Silver Lake 에서 모앗다.
 평균 3D printing 속도의 25~100배 더 빠르다고 한다.
 아주 매끄러운 표면과 층이안보이게 프린트 가능하다.
 “우리는 분명히 이 기술로인해 3D 프린팅이 영원히
달라질것을 깨닮았다”– Jim Goetz
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프린트 할수 있다. 탄성 있는,
유연한, 그리고 딱딱한 플라스틱을 프린트 할수 있다.
Joseph DeSimone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zation
 정밀한 모양을 정확하게 프린트 할수있다
 CLIP – 엄청나게 빠르다. 3D 프린팅의 가장 큰 문제중
하나가 느린속도 이기 때문에 CLIP 은 엄청난 영향을
이르킬것이다.
 SLA – 느리지만 정확하게 프린트 한다
 프린트 후 닦고 강화 같은 해야할 일이 많다.
 재료들이 비싸고 제한돼있다. (resin)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 2D 잉크젯 프린터 와 비슷한 원리다
 액상의 적층 소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프린팅
베드에 분사하여 한층을 완리한다.
 UV 빛으로 한층의 소재를 굳힌다
 프린팅 베드가 밑으로 한층만큼 움직인다
 반복한다.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 장점:
 정확한 프린팅, 깔끔한 표면.
 한번에 많은 재료들과 색깔들을 프린트 할수 있다.
 단점:
 중합체 와 왁스성분같은 재료밖에 쓸수가 없다
 프린트된 제품들이 약하다
 프린트 속도가 느리다
 서포터 소재가 많이 필요하다.
흔히 쓰이는 재료: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HDPE, PS, PMMA,
PC, ABS, HIPS, EDP
4. 결합제 분사, Binder Jetting
 소재 분말이 프린팅베드위에 깔린다
 노즐이 액상 결합제 를 원하는 모양으로 분사한다.
 결합제가 닿은 모양에 입자상태의 소재는 결합이 돼서 제품의
한층이 완료됀다. 결합이 안됀 분말은 서포터의 역할을 한다.
 프린팅 베드가 한층 내려가고 다음 층의 소재 분말이 깔린다
재료:
금속: 스테인리스강
중합체: ABS, PA, PC
세라믹: 유리
4. 결합제 분사Binder Jetting
 장점:
 여려 가지의 가능한 재료들: 금속, 중합체, 세라믹
 일부분들이 다양한 색깔로 프린트 됄수 있다
 일반적으로 빠르다
 서포터가 필요 없다. (결합되지 않은 분말이 서포터가 됌)
 단점:
 결합제로 만들어졋기 때문에 제품들이 약하다. 구조적인 목적으로는 못쓰인다
 프린팅 후에 결합되지 않은 분말을 제거해야돼기 때문에 많은 일이 필요하다.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 대표적인 방식: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 소재 분말이 프린트베드에 한층 깔린다.
 레이저가 분말을 가열해서 분말을 융합한다. 융합히됀 분말이
제품이 되고 융합이 안됀 분말은 서포터가 됀다.
 프린트 베드가 한층 내려가고 다시 분말이 한층 깔린다.
 EBM (electron beam melting) 같은 원리지만 레이저 대신 전자 빔을
사용한다.
흔히 쓰이는 재료:
나일론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강철,
구리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 장점:
 서포터가 필요 없다. (융합되지않은 분말이 서포터가
됀다)
 다양한 가능한 재료들: 금속, 유리, 세라믹.
 항공 우주 공학에 유용하다
 단점:
 높은 전력 사용.
 프린트 후 많은 일이 필요하다.
 제품 크기가 제한돼있다.
http://www.livescience.com/38862-selective-laser-sintering.html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 대표 방식들: UAM (ultrasonic additive manufacturing), 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 한장의 소재가 베드위에 놓인다
 재소가 원하는 모양으로 잘린다.
 종이면 접착제로, 금속이면 초음파 용접으로, 소재를 밑에 층과 붙인다.
 다음장이 놓여지고 반복된다.
http://www.lboro.ac.uk/research/amrg/about/the7categoriesofadditivemanufacturing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 일반적으로 다층 라미네이션은 시각적 모델 을 만들기 위해 사용됀다
 재료: 종이, 금속, 플라스틱
 A4 종이가 싸고 얻기 쉽기때문에 가장 흔히 쓰인다.
 Pros:
 싸고 빠르게 프린트 된다.
 색깔과 많은 디테일을 넣을수 있어서 엄청난 시각적인 효과와 예술적인 시각을
넣을수 있다. (사람 머리 처럼)
 많은 소재가 사용 돼고, 또 많이 낭비된다.
 제품이 많이 약하다.
7. Directed Energy Deposition
 대표 방식들: EMB (Electron beam melting), SLM (Selective laser melting)
 소재(분말, 철사) 가 노즐에서 물체로 쏳아진다
 소재가 쏳아지면서 레이저/전자빔/플라스마가 녹이고, 물체위로 붙인다
 EMB 은 금속을 재료로 사용한다
 금속들: 코발트 크롬, 티타늄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 (polyactic acid)
PVA (polyvinyl alcohol)
From 3D Hubs database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필라멘트 (FFF 에 사용됨)
 강하고 오래 가면서, 약간의 유연성이 있고, 열기에 강함
 굉장히 다양한 응용성: 파이프, 차 부품, 안정장치 (충격흡수를 잘함) 부엌 용품,
악기, 장난감 에 사용될수있다. (LEGO 의 재료이기도 하다)
 플라스틱 필라멘트중에 제일 값이 싸다.
 프린트 후, 샌딩 과 페인팅 할수 있고 ABS glue 를 사용해 손쉽게 붙일수고 있다.
 일반적으로, 노즐은 ABS 를 210-250 °C 에 녹인다. 프린트 베드 를 가열해서
제품이 금가거나 휘는걸 방지할수 있다.
 재활용 됄수 있지만 석유가 원료여서 생물분해가 안됌.
 투명을 포함한 많은 색깔들이 있다.
 오랫동안 사용안될때 공기에서 물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밀폐됀 공간에 보관
하는게 좋다
 프린트 하면서 해로운 가스를 내뿜는데, 민감한 사람들한테 해가 됄수 있고
환기가 잘돼는곳에 프린팅을 하는게 좋다.
http://3dprintingindustry.com/3d-printing-basics-free-beginners-guide/materials/
PLA (polyactic acid) 필라멘트 (FFF, SLA 에 사용)
 PLA: 생물분해가 돼는 플라스틱
 생물분해가 되서 3D 프린팅에서 환경에 제일 좋은 재료다
 몸속에서 해롭지않게 분해가 돼기 때문에 수술분야쪽에 많은 응용이 있다. 수술로 이식된
핀, 나사 같은 부품들은 6개월에서 2년정도를 걸쳐 분해된다.
 노즐은 일반적으로 160~220°C 로 가열되고, 가스는 안나지만 팬캐익, 단옥수수 같은
냄새가 난다그런다.
 식히는게 오래걸리기때문에 FAN 을 이용해 빠르게 쿨링하는게 좋다.
 샌딩과 아크릴 페인트를 사용해 페인팅 할수 있지만, ABS 처럼 쉽게 풀로 붙일순 없다.
 PLA 는 친환경적인것과 낮은 독성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열기에 약해서 50도 에 다르면
유연해 진다. 이것이 나쁜점이 될수 있지만 제품을 쉽게 고치고 휠수 있어서 좋은점이
됄수도 있다.
 사용하기도 쉽고, 투명과 야광을 포함한 많은 색깔을 가지고 있다.
 조금 있으면 ABS 보다 더 인기가 많은 재료가 됀다는 말들도 있다.
 PLA 는 ABS 보다 더 강하게 물을 흡수한다. 물을 먹으면 사용하기가 어려워지고 재품의
퀄리티도 떨어지기 때문에 ABS 보다 더 조심히 보관해놓는게 좋다.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PVA (FFF) – (polyvinyl alcohol) 필라멘트
 PVA 는 특별하게 물에 녹는 플라스틱이다.
 하얀색, 냄새가 없다
 지금도 많은 곳에 사용돼고있으며 (종이 패키징, 낚시 (물에 넣으면 안에있는
미끼를 풀어주는 방식), 애들 장난감
 가장 흔히 서포터로 사용되고 있다. PVA 를 서포터로 사용하면 손으로 서포터를
제거하는 어려운 일대신 간단히 물속에 넣으면 되기 때문에 PVA 는 아주 편리한
서포터 재료 이다.
 다른 플라스틱들 보다 훨씬 쌔게 물을 빨아드리는 성향이 있어 보관하기가
어렵다. 밀폐됀 컨테이너에 건조제와 같이 넣어야됀다.
 노즐은 190도 에 프린트 하고, 물을 흡수했으면 프린팅 질이 떨어지기때문에
프린팅 하기 전에 말려야됄수도 있다.
 PVA 는 비싸고 구하기가 어려운편이다.
재료: 플라스틱
Nylon 12 (powder, filament)
 가격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보여서 옛날부터 인기가 많다.
 높은 약화 저항력 과 화학 저항력, 그리고 FFF 플라스틱 중에 제일 뛰어난
충격 저항력을 자랑하고 있다.
 약화 저항력이 필요한 고급 모델 과 프로토타입에 사용된다
 원래는 하얀색이지만 프린트 전/후 색깔을 입힐수도 있다
 알류미늄 파우더와 섞으면 alumide 이란 또다른 3D 프린팅의 흔한 재료를
만들수 있다.
Laywood (FFF) - 필라멘트
 Laywood 는 필라민트 형태로 나무와 폴리머 를 섞어서 만든 재료다.
 프린트됀 재품들은 나무의 냄새와 형태를 가지고 재품들은 진짜 나무 재품들처럼 샌딩,
그라인딩, 페인팅을 할수있다.
 예술과 디자인쪽에 관심있거나 플라스틱만 프린트하기 지루한 사람들중에게 인기가 많다.
 제조업자는 프린팅할때 175~250도 로 가열하는것을 권한다. 여기서 재밌는점은
Laywood 를 다른 온도로 프린트할때 다른 형태로 나오는것이다. 높은 온도로 프린팅
하면 어둡고 까칠한 텍스쳐가돼고 낮은 온도로 할때에는 더 밝고 매끄러운 텍스처가
완성됀다. 이것을 이용해서 층에따라 다른 색깔이 있는 색다른 텍스쳐를 만들수도 있다.
 필라민트가 약하고 쉽게 부러지기때문에 조심해서 다뤄야됀다
 하나의 장점은 Laywood 가 프린트 됄때 원한다면, 프린트하는 층들이 거의 안보이게
매끄럽게 만들수 있다.
 세라믹:
 실리카/ 유리
 도자기
 탄화 규소
 강하지만 프린트한다음 불에 굽고 코팅 같은 많은 작업들을 해야한다.
 종이:
 쉽게 구할수있고 싸다
 안전하고, 재활용으로 친환경적이다
 프린트 후 더이상 작업이 불필요하다
재료
재료
금속:
알루미늄, 코발트
스테인리스강 – 가장 흔하다. 강하고 금/은색으로 칠할수
있다. 파우더는 sintering, melting, EBM 에 사용될수 있다
금/은 가루. 요새 인기를 끌고있는 금속들이다. 엄청난
강함을 자랑하지만 가격이 아주 비싸다.
티타늄 sintering, melting, EBM 에 사용되고, 금속중에
제일 강하다.
 생물:
 아직 연구되고 있는중이다.
 인간 몸 부위나 살아있는 조직을 만들수 있게 연구중이다.
 음식:
 초콜릿
 고기 와 파스타
 피자
재료
Physical computing +
 인간이 컴퓨터를 통해서 소통
하는 방법.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상호적 시스템 이
세상을 감지하고 응답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Physical_computing
Digital Fabrication
 디자인을 건설/ 생산 과
연결해주는 과정
 Digital Fabrication 의 대표적은
예는 3D 프린팅이다.
3D 프린터 공유 사회
 Shape Engine: 3D 프린팅 공유 플랫폼. 3D 프린터 소유자와 프린터가 없는
이용자들을 연결시켜준다. 이 외에도 디자인 도움센터를 포함한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3D Hubs – Shape Engine 과 같은 아이디어다. 전세계로 많이 퍼져나가고 있다.
 Makerspace: 아무나 모여서 같이 기술, 부품, 아이디어 등을 공유하고 같이
창조하고 프로젝트도 할수 있는곳이다.
 Fablab: MIT 의 CBA (Center for Bits and Atoms) 에서 Neil Gershenfeld 교수가
시작햇다.
 Fab Lab 은 digital fabrication 을 사람들에게 제공해준다. 사람들이 와서 창조와
생산을 할수있는곳이다.
 “평범한사람에게도 그들의 맞는도구를 준다면, 그들은 대단한것들을 만들것이다” –
Neil Gershenfeld 교수가 FabLab 에 대한 한말씀이다.
 Thingiverse: 사용자들이 만들 파일을 공유하는 웹사이트다. 하드웨어 디자인의
오픈소스를 공급하는거다
Shape Engine , 쉐이프 엔진
 3D 프린터 소유자들이 프린터의 유휴 시간을 이용해 프린터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서 수익도 얻는을수있는 3D 프린팅 공유 플랫폼
 3D 프린터가 없지만 사용하고싶은 사람들은 쉐이프 엔진을 이용해 근처
3D 프린트 소유자와 연결하고 제품을 프린트 해달라 주문 과 지불을 하고
가지러갈수있다.
 쉐이프 엔진은 3D 모델링 도움도 주고있어서 3D 모델링이 어려운
사람들도 쉐이프엔진을 이용해 도움도 받고 성공적으로 원하는 제품을
프린트 할수 있다
Makerbot Thingiverse
 3D 파일을 공유하는 가장큰 웹사이트다
 유저들은 디자인들을 GNU 라이센스, CC 라이센스 밑에 공유 할수있고, 이
라이센스가 말하는건 제작가 허용하는선 안에서 아무나 디자인들을 공유, 수정,
저장할수 있는것이다.
 수많은 프로젝트, 메이거 공동체, RepRap 같은 큰 프로젝트들 까지
Thingiverse 를 이용하고 있다.
Thingiverse 에 저장된 파일의 수:
3D Hubs
 쉐이프엔진과 같은 원리를 사용한다.
 유저들은 3D 디자인을 업로드 한다음 프린터 장소를
고르고 원하는 제품을 고른 프린터에서 프린트
할수있다.
 가장 큰 3D 프린터 네트워크 이다
 매주 100개의 새로운 프린터가 들어온다고 한다
 현재는 거의 20,000 프린터 장소가 140 나라에
퍼져있으며, 무려 10억 명에게 자기 집에서 16km
반경에 3d 프린터 가 있다.
3D 프린트된 총기
 Defense distributed 은 오픈소스 단체로, 공유,
다운로드 및 프린트 할수 있는 무기들을 디자인 하는
곳이다.
 2013, 5월 6일 Liberator 이란 이름으로 처음으로 완전히
3d 프린트 될수있는 총 을 개발하고 인터넷에 다운로드
될수있게 공유해서 엄청나게 큰 화제를 일으켯다.
 무려 2일만에 십만 번 다운로드 됏다.
 3일만에 미국 정부에서 Liberator 을 인터넷에서
내리라는 명령을 했지만 벌써 너무 늦고 이미 10만 명이
다운로드 한 다음이엿다
 미국에서는 현재 총기에 대한 사건들과 법들에 대해
엄청나게 민감하기 때문에 이 사건은 화제가 됌으로서
3d 프린팅에 많은 관심을 끌어들엿다.
3D 프린트된 음식
 엔지니어 anjan Contractor 은 우주에 나가는
우주인들을위해 음식을 프린트 할수 있는 3d 프린터를
만들라는 계기에 돈을 얻엇다.
 그는 성공적으로 오픈소스 RepRap Mendel 3D 프린터로
피자를 만들엇다.
무중력 3D 프린팅
 Made in Space 에서 “Zero-G Printer” 라는 무중력
에서 작동하는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 2014 9월 21일 에 우주에 발사 돼엇다.
 Mataerial 은 중력과 프린트베드의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자재로 프린트 할수 있는
3디 프린터를 만들고 있다.
 이 프린터에서 나오는 재료는 노즐에서 나오는 즉시 굳기 때문에 꼭 밑에서 위로가
아닌, 거꾸로, 옆으로 프린트 할수 있다. 이 특징때문에 프린트 베드가 평평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벽이나 천장에서 프린트 할수 있다.
Zero-G Printer
- Mataerial 의 프린터들 -
의료에 3D 프린팅
 2015년 3월에 한국에 연세 세브란스 병원의 의사들이 성공적으로 3D 프린트
된 골반을 청소년 환자에게 이식하엿다. 환자의 몸을 위해 주문 제작으로
성공된 이식은 수술 시간도 엄청나게 줄이고 환자의 몸에 정확히 맞기 때문에
회복도 더 빨리 하엿다.
 교토대학에서 타이타늄으로 3D 프린트 된 척추 부분을 4명의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이식했다.
RepRap 프로젝트
 Adrian Bowyer 가 만든 랩랩 (RepRap) 은 “Replicating Rapid-prototype” 의 줄임말으로서,
FFF 을 사용해서 자기자신의 부품들을 프린트를 할수있는 자유 소프트웨어 3D 프린터 이다.
모든 랩랩의 디자인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아래 누구나 마음대로 변형하거나
배포할수있다.
 랩랩팀 의 목표는 랩랩의 자기자신을 복사할수있는 능력이 생겨서 싸게 랩랩들이 세상에
퍼져나가 많은 사람들이 물품들을 값싸고 쉽게 생산하고, 또 다른 랩랩 프린터를 만들어
친구에게 주게 할수 있는거다.
 하지만 지금 현실은 목표에서 멀다. 현재 랩랩 기계들은 비싸고 아직 자기 부품들의 반 밖에
프린트 할수 있다. 랩랩팀은 기계들이 가난한곳들에서도 쉽게 접근할수 있게 일하고 있다.
 랩랩은 처음으로 저비용 3D 프린터를 만들었고, 랩랩 프로젝트는 오픈소스 3D 프린터 혁명을
시작하였다. 랩랩은 메이커 공동체중에 제일 널리 쓰이는 3D 프린터가 됬다.
Source: Moilanen, J. & Vadén, T.: Manufacturing in motion: first survey on the 3D printing
community, Statistical Studies of Peer Production.
3D 프린팅의 영향
 3D프린팅은 시제품 제작 산업에서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3D 프린팅은 시제품 제작
기간은 최소 1/7로 제작 비용은 최소 1/8로 단축시킨다. 3D프린팅을 통해 우리는 그
어느시대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수 있게 되었다. 최근 3D 프린팅이
보급되면서 시제품 제작 뿐아니라 의료용 기구나 제조 라인에서 필요한 Jig, Fixture
등 들을 제작하고 활용분야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Source:
MEDICAL DEVICE & DIAGNOSTIC INDUSTRY, January 2009
3D 프린팅의 비용
 설문조사 결과 개인과 기업들이 3D프린터를 사용하는데 큰 장벽 중 하나는
프린터가 너무 비싸다는 것이었다(31.5% 답변).
 또한 대체재인 국내 목업/시제품을 제작하는 데에는 200달러 이상이 들어 일반인이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국내 목업/시제품 제작 업체 비용의 예
NC가공 (디자인목업) 200 달러 이상
CNC가공 (워킹목업) 500 달러 이상
3D설계 및 사업계획서 1000 달러이상
제품개발 3000 달러 이상
3D 프린팅 마켓의 성장
 Allied Market Research (AMR) 는 3D 프린팅이 2013년에
23억 달러에서 2020년에 86억으로 성장할것을 예측했다.
 3D 프린팅은 모든 중대한 마켓에 영항을 줄것이다.
Siemens prediction of future 3D printing:
Market by industries
Market growth
제조업과 3D 프린팅
 67% 의 제조사들은 현재 3D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다 했고 25% 가 미래에 3D
프린터를 이용할거라고 대답하였다.
 결론으로 자그마치 92% 의 제조사들이 3D 프린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거나 미래에
사용할것 인거다.
3D 프린팅의 회사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 Ateam Ventures
 Stratasys
 Makerbot
 Autodesk
 3Ds Systems
 WYNIT
 소매업자:
 Lulzbot
 Amazon, ebay
 인터넷/소프트웨어:
 HP, microsoft
 Google, intel
http://www.forbes.com/sites/louiscolumbus/2015/08/11/mobile-driving-more-dollars-in-tech-84-of-execs-say-they-will-meet-or-beat-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Bloterpaper 5호 20140729
Bloterpaper 5호 20140729Bloterpaper 5호 20140729
Bloterpaper 5호 20140729
LINE Plus Corp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성준 진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brainerymakers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Gitae Park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sam Cyberspace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SeongJin (SJ) Park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brainerymakers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은미 채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junil Song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junil Song
 
3d 프린팅과 그 활용
3d 프린팅과 그 활용3d 프린팅과 그 활용
3d 프린팅과 그 활용
성혁 장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sam Cyberspace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brainerymakers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seungheejeong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Gitae Park
 

What's hot (20)

Bloterpaper 5호 20140729
Bloterpaper 5호 20140729Bloterpaper 5호 20140729
Bloterpaper 5호 20140729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3d 프린팅의 정의 및 프로세스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소품 디자인과 3D 프린팅 : 송현균(아시카팩토리 디자이너)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상상을 현실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3D 프린터 V 1.0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3D프린팅 창업사례 발표자료_단국대학교 0512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초중고 교사들을 위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 3D 프린터, 학교 메이킹을 만나다 (예봉중학교 최경철 교사)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Make 3D Printer To 3D Printer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주제 발굴_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캡스톤 디자인 강경훈 송준일
 
3d 프린팅과 그 활용
3d 프린팅과 그 활용3d 프린팅과 그 활용
3d 프린팅과 그 활용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심층분석보고서]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주요국 특허동향 및 시사점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3d프린터 기반의 사업 기회와 전망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3 D 프린팅으로 만드는 생활소품 - 송현균 (아시카팩토리)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패션계에 첫 걸음을 뗀 3D 프린팅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기술 현황과 응용 사례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3d 프린팅, 개인 생산 시대를 연다
 
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3d 프린팅 혁명
3d 프린팅 혁명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3d프린팅 그리고 강원도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2.0 (펜形 3D 프린터)
 

Viewers also liked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Chiwon Song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nananhyun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Megan Detwiler
 
3 d 프린팅 uav
3 d 프린팅  uav3 d 프린팅  uav
3 d 프린팅 uav
madbull9206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topshock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chasarang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Junsang Dong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topshock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Gitae Park
 
Scholarship Report 2011.pdf
Scholarship Report 2011.pdfScholarship Report 2011.pdf
Scholarship Report 2011.pdfRoger Knight
 
Dispositivo1
Dispositivo1Dispositivo1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startupkorea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brainerymakers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YOO SE KYUN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eSAT Journals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Axel Drefahl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DREAMTERMINAL0110
 

Viewers also liked (18)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3D 프린터 동작원리와 조립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212140001이혜리212140011김나현(수정)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
3D printing undergrad symposium 2016
 
3 d 프린팅 uav
3 d 프린팅  uav3 d 프린팅  uav
3 d 프린팅 uav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2주제 전기자동차 시장 전망 및 주요 이슈(최종)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KAP 업종별기술세미나 11년 8월 #03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ICT 상용화 06 스마트 기기 부품, 외장 제조 개론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4주제 이기상전무 친환경차 전망 및 전략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3D Printing Pen v 1.0 (펜形 3D 프린터)
 
Scholarship Report 2011.pdf
Scholarship Report 2011.pdfScholarship Report 2011.pdf
Scholarship Report 2011.pdf
 
Dispositivo1
Dispositivo1Dispositivo1
Dispositivo1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중소기업청] 3D테크놀로지 기업_홍보문서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학교 메이커교육 세미나 2016 - 3D 프린팅과 STEAM 교육 (정영찬 교사)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201012_온라인 미디어 이슈 및 2011 전망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Synthesis of composite polym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PATIL_ABHISHEK
PATIL_ABHISHEKPATIL_ABHISHEK
PATIL_ABHISHEK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Application of CurlySMILES to the encoding of polymer systems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게재리포트 '멈추지 않는다'캠페인
 

Similar to 3D 프린팅 연구/리서치. 3D printing research korean version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Daniel Kim
 
writing sheet
writing sheetwriting sheet
writing sheet
성훈 정
 
몰랑이시리즈 고은비
몰랑이시리즈 고은비몰랑이시리즈 고은비
몰랑이시리즈 고은비
은비 고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Reprap 소개
Reprap 소개Reprap 소개
Reprap 소개
Changwoo Ryu
 
지혜의 공간 10호
지혜의 공간 10호지혜의 공간 10호
지혜의 공간 10호Seon Hong Kim
 
아슬하다
아슬하다아슬하다
아슬하다
동규 이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Jiwoo Kang
 

Similar to 3D 프린팅 연구/리서치. 3D printing research korean version (9)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3D 프린터 활용 방안과 구조에 따른 종류 이해.
 
writing sheet
writing sheetwriting sheet
writing sheet
 
몰랑이시리즈 고은비
몰랑이시리즈 고은비몰랑이시리즈 고은비
몰랑이시리즈 고은비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
 
Reprap 소개
Reprap 소개Reprap 소개
Reprap 소개
 
지혜의 공간 10호
지혜의 공간 10호지혜의 공간 10호
지혜의 공간 10호
 
아슬하다
아슬하다아슬하다
아슬하다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 현황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POWER ON 과학클럽 소개자료
 

3D 프린팅 연구/리서치. 3D printing research korean version

  • 1. 3D 프린팅 (적층가공) 서지우, Jiwoo Seo Ateam Ventures St. George’s School
  • 2. 3D 프린팅의 일반적인 과정  CAD 파일,(3D 스캐닝이나 다운로드로 얻는다)  컴퓨터가 읽을수 있는 파일 (STL, OBJ, 3Ds, 3MF)  파일의 에러를 고친다 (netfabb, Meshmixer, Cura, Slic3r 프로그램)  G-code 파일 (층으로 나눈파일) (Skeinforge, Slic3r, and Cura)  3D 프린팅  마무리 작업 (사포, 서포터 제거, 색깔 페인팅)
  • 3. 3D 프린팅의 표준 7가지 기술들 1. 소재 압출 (Material Extrusion) 2. 광중합 (Vat polymerization)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4. 결합제 분사 (Binder Jetting)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7. 집속 에너지 용착 (Directed Energy Deposition) ASTM 그룹이 정한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
  • 4. 1. 재료 압출, Material Extrusion 대표적인 방식: Fused Filament Fabrication (FFF) (FDM) 적층소재를 노즐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3차원 형상을 제조하는 기술. 플라스틱 필라멘트/ 금속 와이어가 코일에서 감겻다가 풀려저 나오면서 노즐로 공급된다. CAM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소프트웨에 따라 움직이는 노즐은 가열해서 소재를 녹인다. 소재는 노즐에서 압출되고 빨리 다시 고체로 굳는다.
  • 5. 1. 재료압출, Material Extrusion  재료압출은 가장 인기가 많은 3D 프린팅 방식이다.  제일 흔히 사용돼는 재료: ABS 플라스틱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 플라스틱 (Polylactic acid)  Creatable D2 가 사용하는 프린팅 방식이다  이 방법으로 프린트됀 제품들은 프린트된 층들이 표시되서 표면 의 매끄러움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서 낮은 쪽이다.
  • 6. FFF 의 문제점  FFF 는 “overhangs, 오버행” 과 “bridges, 브릿지” 들을 프린트 할수 없다  오버행은 돌출된 부분으로 밑에 발판으로 삼을 부분이 없기 때문에 프린트할때 문제가 생긴다.  오버행에 대해선 메이커들이 따르는 “45° rule” 이 있는데, 이 룰은 오버행이 오버행각도가 45° 를 넘지 않으면 서포터 필요없이 성공적으로 프린트 된다는거다.  프린터에 따라 프린트 할수 있는 오버행의 각도가 다르다. “오버행 테스트 모델” 을 프린트 해봐서 자기의 프린트는 얼마의 오버행을 프린트 할수있는지 알수 있다 45° Overhang angle
  • 7. 오버행에 대한 솔루션  서포터 소재를 같이 프린트 한다.(더 많은 시간과 일이 필요하다. 서포터를 제거 하면서 제품에 손상을 가할수 있다)  제품이 프린트 돼는 방향을 바꾼다.  노즐에 fan 을 달아서 재료를 더 빨리 굳게 해서 오버행을 더 쉽게 프린트 할수 있게 한다. 서포터 소재 서포터 제거 후 상처들이 남았다
  • 8. PVA, HIPS – 서포터 재료  PVA (polyvinyl alcohol) – 수용성 열가소성 수지.  PVA 는 특이하게 물에 녹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서포트 소재로 인기를 끌고 있다. PVA 를 사용하면 프린트후 서포터를 일일이 제거하는 힘든일대신 물에만 넣으면 끝나서 간편하다.  HIPS (High Impact Polystyrene) – PVA 와 비슷한 재료인데, HIPS 는 물이 아닌 리모넨 (limonene) 에 녹는다.  PVA는 흡습도가 높아서 일반공기에 나두면 엄청난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밀폐됀 공간에 제습기와 같이 보관해야한다. 그에 비하면 HIPS는 보관이 더 간편한쪽이다. http://3dprintingforbeginners.com/3d-printing-technology/ PLA 와 PVA 서포트로 만든 제품. 물에 넣어서 PVA 서포트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한다.
  • 9.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sation 대표적인 방식: Stereolithography (SLA) 프린트 베드가 액상 소재 안에, 표면 바로밑에 있다. UV 레이저가 원하는모양으로 움직이면서 밑으로 쏴서 밑에 액상을 경화 시킨다. 수지 한층이 베드 위에 원하는 모양으로 굳는다. 프린트 베드가 다음층을위해 밑으로 움직인다. 반복한다. SLA 프린트 동영상 https://youtu.be/yYGycgnYlBM
  • 10.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sation  새롭고 혁신적인 방식: CLIP (Continuous Liquid Interface Production)  수지 컨테이너 바닥이 산소투과성이다. 산소는 수지가 굳는 과정을 억제하는 기능을한다. 산소투과성 바닥은 산소가 들어오는양을 조절할수 있다. 바닥에서 산소를 들여보내면 “dead zone, 데드존” 이 바닥바로위에 만들어 지는데, 이것은 산소때매 굳혀지지않는 액체의 얇은 (30 µm) 층이다  프린팅 베드가 액체안, 밑에서 시작하고 올라오면서 제품을 들어올리는 방식이다.  하나의 UV 레이저가 쏴서 층을 만드는게 아니라, UV 빛이 지속적으로 모양을 바꿔가면서 쏨으로써, 비디오처럼 부드럽고 엄청나게 빠르게 프린트한다. CLIP 에 대한 재밌는 비디오들 http://www.ted.com/talks/j oe_desimone_what_if_3d_pr inting_was_25x_faster?langu age=en#t-2881 https://youtu.be/8uD0d1IPsF 4
  • 11. CLIP  3월에 ‘Carbon 3D’ 회사가 소개하엿고, 그때까지 41$의 자금을 Sequoia Capital 과 Silver Lake 에서 모앗다.  평균 3D printing 속도의 25~100배 더 빠르다고 한다.  아주 매끄러운 표면과 층이안보이게 프린트 가능하다.  “우리는 분명히 이 기술로인해 3D 프린팅이 영원히 달라질것을 깨닮았다”– Jim Goetz 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프린트 할수 있다. 탄성 있는, 유연한, 그리고 딱딱한 플라스틱을 프린트 할수 있다. Joseph DeSimone
  • 12. 2. 광중합, Vat photopolymerization  정밀한 모양을 정확하게 프린트 할수있다  CLIP – 엄청나게 빠르다. 3D 프린팅의 가장 큰 문제중 하나가 느린속도 이기 때문에 CLIP 은 엄청난 영향을 이르킬것이다.  SLA – 느리지만 정확하게 프린트 한다  프린트 후 닦고 강화 같은 해야할 일이 많다.  재료들이 비싸고 제한돼있다. (resin)
  • 13.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 2D 잉크젯 프린터 와 비슷한 원리다  액상의 적층 소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프린팅 베드에 분사하여 한층을 완리한다.  UV 빛으로 한층의 소재를 굳힌다  프린팅 베드가 밑으로 한층만큼 움직인다  반복한다.
  • 14. 3. 소재 분사, Material Jetting  장점:  정확한 프린팅, 깔끔한 표면.  한번에 많은 재료들과 색깔들을 프린트 할수 있다.  단점:  중합체 와 왁스성분같은 재료밖에 쓸수가 없다  프린트된 제품들이 약하다  프린트 속도가 느리다  서포터 소재가 많이 필요하다. 흔히 쓰이는 재료: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HDPE, PS, PMMA, PC, ABS, HIPS, EDP
  • 15. 4. 결합제 분사, Binder Jetting  소재 분말이 프린팅베드위에 깔린다  노즐이 액상 결합제 를 원하는 모양으로 분사한다.  결합제가 닿은 모양에 입자상태의 소재는 결합이 돼서 제품의 한층이 완료됀다. 결합이 안됀 분말은 서포터의 역할을 한다.  프린팅 베드가 한층 내려가고 다음 층의 소재 분말이 깔린다 재료: 금속: 스테인리스강 중합체: ABS, PA, PC 세라믹: 유리
  • 16. 4. 결합제 분사Binder Jetting  장점:  여려 가지의 가능한 재료들: 금속, 중합체, 세라믹  일부분들이 다양한 색깔로 프린트 됄수 있다  일반적으로 빠르다  서포터가 필요 없다. (결합되지 않은 분말이 서포터가 됌)  단점:  결합제로 만들어졋기 때문에 제품들이 약하다. 구조적인 목적으로는 못쓰인다  프린팅 후에 결합되지 않은 분말을 제거해야돼기 때문에 많은 일이 필요하다.
  • 17.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 대표적인 방식: 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 소재 분말이 프린트베드에 한층 깔린다.  레이저가 분말을 가열해서 분말을 융합한다. 융합히됀 분말이 제품이 되고 융합이 안됀 분말은 서포터가 됀다.  프린트 베드가 한층 내려가고 다시 분말이 한층 깔린다.  EBM (electron beam melting) 같은 원리지만 레이저 대신 전자 빔을 사용한다. 흔히 쓰이는 재료: 나일론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강철, 구리
  • 18. 5. 분말 융합, Powder Bed Fusion  장점:  서포터가 필요 없다. (융합되지않은 분말이 서포터가 됀다)  다양한 가능한 재료들: 금속, 유리, 세라믹.  항공 우주 공학에 유용하다  단점:  높은 전력 사용.  프린트 후 많은 일이 필요하다.  제품 크기가 제한돼있다. http://www.livescience.com/38862-selective-laser-sintering.html
  • 19.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 대표 방식들: UAM (ultrasonic additive manufacturing), LOM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 한장의 소재가 베드위에 놓인다  재소가 원하는 모양으로 잘린다.  종이면 접착제로, 금속이면 초음파 용접으로, 소재를 밑에 층과 붙인다.  다음장이 놓여지고 반복된다. http://www.lboro.ac.uk/research/amrg/about/the7categoriesofadditivemanufacturing
  • 20. 6. 다층 라미네이션, Sheet Lamination  일반적으로 다층 라미네이션은 시각적 모델 을 만들기 위해 사용됀다  재료: 종이, 금속, 플라스틱  A4 종이가 싸고 얻기 쉽기때문에 가장 흔히 쓰인다.  Pros:  싸고 빠르게 프린트 된다.  색깔과 많은 디테일을 넣을수 있어서 엄청난 시각적인 효과와 예술적인 시각을 넣을수 있다. (사람 머리 처럼)  많은 소재가 사용 돼고, 또 많이 낭비된다.  제품이 많이 약하다.
  • 21. 7. Directed Energy Deposition  대표 방식들: EMB (Electron beam melting), SLM (Selective laser melting)  소재(분말, 철사) 가 노즐에서 물체로 쏳아진다  소재가 쏳아지면서 레이저/전자빔/플라스마가 녹이고, 물체위로 붙인다  EMB 은 금속을 재료로 사용한다  금속들: 코발트 크롬, 티타늄
  • 22.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LA (polyactic acid) PVA (polyvinyl alcohol) From 3D Hubs database
  • 23.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필라멘트 (FFF 에 사용됨)  강하고 오래 가면서, 약간의 유연성이 있고, 열기에 강함  굉장히 다양한 응용성: 파이프, 차 부품, 안정장치 (충격흡수를 잘함) 부엌 용품, 악기, 장난감 에 사용될수있다. (LEGO 의 재료이기도 하다)  플라스틱 필라멘트중에 제일 값이 싸다.  프린트 후, 샌딩 과 페인팅 할수 있고 ABS glue 를 사용해 손쉽게 붙일수고 있다.  일반적으로, 노즐은 ABS 를 210-250 °C 에 녹인다. 프린트 베드 를 가열해서 제품이 금가거나 휘는걸 방지할수 있다.  재활용 됄수 있지만 석유가 원료여서 생물분해가 안됌.  투명을 포함한 많은 색깔들이 있다.  오랫동안 사용안될때 공기에서 물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밀폐됀 공간에 보관 하는게 좋다  프린트 하면서 해로운 가스를 내뿜는데, 민감한 사람들한테 해가 됄수 있고 환기가 잘돼는곳에 프린팅을 하는게 좋다. http://3dprintingindustry.com/3d-printing-basics-free-beginners-guide/materials/
  • 24. PLA (polyactic acid) 필라멘트 (FFF, SLA 에 사용)  PLA: 생물분해가 돼는 플라스틱  생물분해가 되서 3D 프린팅에서 환경에 제일 좋은 재료다  몸속에서 해롭지않게 분해가 돼기 때문에 수술분야쪽에 많은 응용이 있다. 수술로 이식된 핀, 나사 같은 부품들은 6개월에서 2년정도를 걸쳐 분해된다.  노즐은 일반적으로 160~220°C 로 가열되고, 가스는 안나지만 팬캐익, 단옥수수 같은 냄새가 난다그런다.  식히는게 오래걸리기때문에 FAN 을 이용해 빠르게 쿨링하는게 좋다.  샌딩과 아크릴 페인트를 사용해 페인팅 할수 있지만, ABS 처럼 쉽게 풀로 붙일순 없다.  PLA 는 친환경적인것과 낮은 독성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다. 열기에 약해서 50도 에 다르면 유연해 진다. 이것이 나쁜점이 될수 있지만 제품을 쉽게 고치고 휠수 있어서 좋은점이 됄수도 있다.  사용하기도 쉽고, 투명과 야광을 포함한 많은 색깔을 가지고 있다.  조금 있으면 ABS 보다 더 인기가 많은 재료가 됀다는 말들도 있다.  PLA 는 ABS 보다 더 강하게 물을 흡수한다. 물을 먹으면 사용하기가 어려워지고 재품의 퀄리티도 떨어지기 때문에 ABS 보다 더 조심히 보관해놓는게 좋다. 재료: 3가지 대표 플라스틱 필라멘트
  • 25. PVA (FFF) – (polyvinyl alcohol) 필라멘트  PVA 는 특별하게 물에 녹는 플라스틱이다.  하얀색, 냄새가 없다  지금도 많은 곳에 사용돼고있으며 (종이 패키징, 낚시 (물에 넣으면 안에있는 미끼를 풀어주는 방식), 애들 장난감  가장 흔히 서포터로 사용되고 있다. PVA 를 서포터로 사용하면 손으로 서포터를 제거하는 어려운 일대신 간단히 물속에 넣으면 되기 때문에 PVA 는 아주 편리한 서포터 재료 이다.  다른 플라스틱들 보다 훨씬 쌔게 물을 빨아드리는 성향이 있어 보관하기가 어렵다. 밀폐됀 컨테이너에 건조제와 같이 넣어야됀다.  노즐은 190도 에 프린트 하고, 물을 흡수했으면 프린팅 질이 떨어지기때문에 프린팅 하기 전에 말려야됄수도 있다.  PVA 는 비싸고 구하기가 어려운편이다.
  • 26. 재료: 플라스틱 Nylon 12 (powder, filament)  가격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보여서 옛날부터 인기가 많다.  높은 약화 저항력 과 화학 저항력, 그리고 FFF 플라스틱 중에 제일 뛰어난 충격 저항력을 자랑하고 있다.  약화 저항력이 필요한 고급 모델 과 프로토타입에 사용된다  원래는 하얀색이지만 프린트 전/후 색깔을 입힐수도 있다  알류미늄 파우더와 섞으면 alumide 이란 또다른 3D 프린팅의 흔한 재료를 만들수 있다.
  • 27. Laywood (FFF) - 필라멘트  Laywood 는 필라민트 형태로 나무와 폴리머 를 섞어서 만든 재료다.  프린트됀 재품들은 나무의 냄새와 형태를 가지고 재품들은 진짜 나무 재품들처럼 샌딩, 그라인딩, 페인팅을 할수있다.  예술과 디자인쪽에 관심있거나 플라스틱만 프린트하기 지루한 사람들중에게 인기가 많다.  제조업자는 프린팅할때 175~250도 로 가열하는것을 권한다. 여기서 재밌는점은 Laywood 를 다른 온도로 프린트할때 다른 형태로 나오는것이다. 높은 온도로 프린팅 하면 어둡고 까칠한 텍스쳐가돼고 낮은 온도로 할때에는 더 밝고 매끄러운 텍스처가 완성됀다. 이것을 이용해서 층에따라 다른 색깔이 있는 색다른 텍스쳐를 만들수도 있다.  필라민트가 약하고 쉽게 부러지기때문에 조심해서 다뤄야됀다  하나의 장점은 Laywood 가 프린트 됄때 원한다면, 프린트하는 층들이 거의 안보이게 매끄럽게 만들수 있다.
  • 28.  세라믹:  실리카/ 유리  도자기  탄화 규소  강하지만 프린트한다음 불에 굽고 코팅 같은 많은 작업들을 해야한다.  종이:  쉽게 구할수있고 싸다  안전하고, 재활용으로 친환경적이다  프린트 후 더이상 작업이 불필요하다 재료
  • 29. 재료 금속: 알루미늄, 코발트 스테인리스강 – 가장 흔하다. 강하고 금/은색으로 칠할수 있다. 파우더는 sintering, melting, EBM 에 사용될수 있다 금/은 가루. 요새 인기를 끌고있는 금속들이다. 엄청난 강함을 자랑하지만 가격이 아주 비싸다. 티타늄 sintering, melting, EBM 에 사용되고, 금속중에 제일 강하다.
  • 30.  생물:  아직 연구되고 있는중이다.  인간 몸 부위나 살아있는 조직을 만들수 있게 연구중이다.  음식:  초콜릿  고기 와 파스타  피자 재료
  • 31. Physical computing +  인간이 컴퓨터를 통해서 소통 하는 방법.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상호적 시스템 이 세상을 감지하고 응답한다. https://en.wikipedia.org/wiki/Physical_computing Digital Fabrication  디자인을 건설/ 생산 과 연결해주는 과정  Digital Fabrication 의 대표적은 예는 3D 프린팅이다.
  • 32. 3D 프린터 공유 사회  Shape Engine: 3D 프린팅 공유 플랫폼. 3D 프린터 소유자와 프린터가 없는 이용자들을 연결시켜준다. 이 외에도 디자인 도움센터를 포함한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3D Hubs – Shape Engine 과 같은 아이디어다. 전세계로 많이 퍼져나가고 있다.  Makerspace: 아무나 모여서 같이 기술, 부품, 아이디어 등을 공유하고 같이 창조하고 프로젝트도 할수 있는곳이다.  Fablab: MIT 의 CBA (Center for Bits and Atoms) 에서 Neil Gershenfeld 교수가 시작햇다.  Fab Lab 은 digital fabrication 을 사람들에게 제공해준다. 사람들이 와서 창조와 생산을 할수있는곳이다.  “평범한사람에게도 그들의 맞는도구를 준다면, 그들은 대단한것들을 만들것이다” – Neil Gershenfeld 교수가 FabLab 에 대한 한말씀이다.  Thingiverse: 사용자들이 만들 파일을 공유하는 웹사이트다. 하드웨어 디자인의 오픈소스를 공급하는거다
  • 33. Shape Engine , 쉐이프 엔진  3D 프린터 소유자들이 프린터의 유휴 시간을 이용해 프린터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서 수익도 얻는을수있는 3D 프린팅 공유 플랫폼  3D 프린터가 없지만 사용하고싶은 사람들은 쉐이프 엔진을 이용해 근처 3D 프린트 소유자와 연결하고 제품을 프린트 해달라 주문 과 지불을 하고 가지러갈수있다.  쉐이프 엔진은 3D 모델링 도움도 주고있어서 3D 모델링이 어려운 사람들도 쉐이프엔진을 이용해 도움도 받고 성공적으로 원하는 제품을 프린트 할수 있다
  • 34. Makerbot Thingiverse  3D 파일을 공유하는 가장큰 웹사이트다  유저들은 디자인들을 GNU 라이센스, CC 라이센스 밑에 공유 할수있고, 이 라이센스가 말하는건 제작가 허용하는선 안에서 아무나 디자인들을 공유, 수정, 저장할수 있는것이다.  수많은 프로젝트, 메이거 공동체, RepRap 같은 큰 프로젝트들 까지 Thingiverse 를 이용하고 있다. Thingiverse 에 저장된 파일의 수:
  • 35. 3D Hubs  쉐이프엔진과 같은 원리를 사용한다.  유저들은 3D 디자인을 업로드 한다음 프린터 장소를 고르고 원하는 제품을 고른 프린터에서 프린트 할수있다.  가장 큰 3D 프린터 네트워크 이다  매주 100개의 새로운 프린터가 들어온다고 한다  현재는 거의 20,000 프린터 장소가 140 나라에 퍼져있으며, 무려 10억 명에게 자기 집에서 16km 반경에 3d 프린터 가 있다.
  • 36. 3D 프린트된 총기  Defense distributed 은 오픈소스 단체로, 공유, 다운로드 및 프린트 할수 있는 무기들을 디자인 하는 곳이다.  2013, 5월 6일 Liberator 이란 이름으로 처음으로 완전히 3d 프린트 될수있는 총 을 개발하고 인터넷에 다운로드 될수있게 공유해서 엄청나게 큰 화제를 일으켯다.  무려 2일만에 십만 번 다운로드 됏다.  3일만에 미국 정부에서 Liberator 을 인터넷에서 내리라는 명령을 했지만 벌써 너무 늦고 이미 10만 명이 다운로드 한 다음이엿다  미국에서는 현재 총기에 대한 사건들과 법들에 대해 엄청나게 민감하기 때문에 이 사건은 화제가 됌으로서 3d 프린팅에 많은 관심을 끌어들엿다.
  • 37. 3D 프린트된 음식  엔지니어 anjan Contractor 은 우주에 나가는 우주인들을위해 음식을 프린트 할수 있는 3d 프린터를 만들라는 계기에 돈을 얻엇다.  그는 성공적으로 오픈소스 RepRap Mendel 3D 프린터로 피자를 만들엇다.
  • 38. 무중력 3D 프린팅  Made in Space 에서 “Zero-G Printer” 라는 무중력 에서 작동하는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 2014 9월 21일 에 우주에 발사 돼엇다.  Mataerial 은 중력과 프린트베드의 상태에 상관없이 자유자재로 프린트 할수 있는 3디 프린터를 만들고 있다.  이 프린터에서 나오는 재료는 노즐에서 나오는 즉시 굳기 때문에 꼭 밑에서 위로가 아닌, 거꾸로, 옆으로 프린트 할수 있다. 이 특징때문에 프린트 베드가 평평하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벽이나 천장에서 프린트 할수 있다. Zero-G Printer - Mataerial 의 프린터들 -
  • 39. 의료에 3D 프린팅  2015년 3월에 한국에 연세 세브란스 병원의 의사들이 성공적으로 3D 프린트 된 골반을 청소년 환자에게 이식하엿다. 환자의 몸을 위해 주문 제작으로 성공된 이식은 수술 시간도 엄청나게 줄이고 환자의 몸에 정확히 맞기 때문에 회복도 더 빨리 하엿다.  교토대학에서 타이타늄으로 3D 프린트 된 척추 부분을 4명의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이식했다.
  • 40. RepRap 프로젝트  Adrian Bowyer 가 만든 랩랩 (RepRap) 은 “Replicating Rapid-prototype” 의 줄임말으로서, FFF 을 사용해서 자기자신의 부품들을 프린트를 할수있는 자유 소프트웨어 3D 프린터 이다. 모든 랩랩의 디자인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아래 누구나 마음대로 변형하거나 배포할수있다.  랩랩팀 의 목표는 랩랩의 자기자신을 복사할수있는 능력이 생겨서 싸게 랩랩들이 세상에 퍼져나가 많은 사람들이 물품들을 값싸고 쉽게 생산하고, 또 다른 랩랩 프린터를 만들어 친구에게 주게 할수 있는거다.  하지만 지금 현실은 목표에서 멀다. 현재 랩랩 기계들은 비싸고 아직 자기 부품들의 반 밖에 프린트 할수 있다. 랩랩팀은 기계들이 가난한곳들에서도 쉽게 접근할수 있게 일하고 있다.  랩랩은 처음으로 저비용 3D 프린터를 만들었고, 랩랩 프로젝트는 오픈소스 3D 프린터 혁명을 시작하였다. 랩랩은 메이커 공동체중에 제일 널리 쓰이는 3D 프린터가 됬다. Source: Moilanen, J. & Vadén, T.: Manufacturing in motion: first survey on the 3D printing community, Statistical Studies of Peer Production.
  • 41. 3D 프린팅의 영향  3D프린팅은 시제품 제작 산업에서 혁명을 불러 일으켰다. 3D 프린팅은 시제품 제작 기간은 최소 1/7로 제작 비용은 최소 1/8로 단축시킨다. 3D프린팅을 통해 우리는 그 어느시대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수 있게 되었다. 최근 3D 프린팅이 보급되면서 시제품 제작 뿐아니라 의료용 기구나 제조 라인에서 필요한 Jig, Fixture 등 들을 제작하고 활용분야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Source: MEDICAL DEVICE & DIAGNOSTIC INDUSTRY, January 2009
  • 42. 3D 프린팅의 비용  설문조사 결과 개인과 기업들이 3D프린터를 사용하는데 큰 장벽 중 하나는 프린터가 너무 비싸다는 것이었다(31.5% 답변).  또한 대체재인 국내 목업/시제품을 제작하는 데에는 200달러 이상이 들어 일반인이 이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국내 목업/시제품 제작 업체 비용의 예 NC가공 (디자인목업) 200 달러 이상 CNC가공 (워킹목업) 500 달러 이상 3D설계 및 사업계획서 1000 달러이상 제품개발 3000 달러 이상
  • 43. 3D 프린팅 마켓의 성장  Allied Market Research (AMR) 는 3D 프린팅이 2013년에 23억 달러에서 2020년에 86억으로 성장할것을 예측했다.  3D 프린팅은 모든 중대한 마켓에 영항을 줄것이다. Siemens prediction of future 3D printing: Market by industries Market growth
  • 44. 제조업과 3D 프린팅  67% 의 제조사들은 현재 3D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다 했고 25% 가 미래에 3D 프린터를 이용할거라고 대답하였다.  결론으로 자그마치 92% 의 제조사들이 3D 프린터를 현재 사용하고 있거나 미래에 사용할것 인거다.
  • 45. 3D 프린팅의 회사들  하드웨어/소프트웨어:  Ateam Ventures  Stratasys  Makerbot  Autodesk  3Ds Systems  WYNIT  소매업자:  Lulzbot  Amazon, ebay  인터넷/소프트웨어:  HP, microsoft  Google, in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