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 r t N o u v e a
u
INTERIOR DECORATION
PROF. KWANG OK LEE
212140010 JOO YOUNG MIN
건축은 살아있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살아있는 생명의 복잡함과 유기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된
다
빅토르 오르타
(1861-1947, 벨기에 )
• 정의 및 개요
• 당시 시대적배경 : 기원
• 아르누보의 분야
- 건축
- 회화
- 조각
- 공예
- 의류
- 폰트와 포스
터
• 아르누보의 디자이너들
• 건축양식 특징
• 실내공간 및 가구특성
• 아르누보의 영화
• 아르누보의 소멸과 현 한계점
• 출처
C o n t e n t
s
아르누보란 ? ' 신 미술 ' 이라는 뜻으로
1890 년대에 자연주의적이고 , 유기적인 형체를 구사했던 장식미술
• 정의 및 개요
아르누보
ART NOUVEAU
유겐트스틸
JUGENDSTIL
기마르양식
STYLE
GUIMARD
리버트양식
STILE
LIBERTY
1880 년대 그래픽디자인 , 건축에서 곡선적인 형태를 다용한 작품 발표
Ex. 맥머드 – 교회의 팸플릿 표지 아르누보의 선구
1880 년대
-1895 년
작가들의 활발한 작품발표와 급속도로 보급된 아르누보
Ex. 영국의 매킨토시
벨기에의 반 디 벨데와 오르타
프랑스의 기마르와 가이야르
이탈리아의 다론코
1896 년 신 양식 ( 아르누보 ) 의 유행에 박차를 가하게된다
Ex. 아르누보관 – 독자적인 장식성
1897 년 드레스덴의 박람회
1902 년 아르누보의 실내장식과 가구 등 공예품 전시회가 큰 비중을 차지
1910 년경 기능과 사회성 중요시하는 풍조강화로 예외를 제외하곤 소멸
Ex. R. 랄리크의 보석디자인 E. 가레의 유리공예 티파니의 유리그릇 가우디의 건축활동
= = =
• 당시 시대적 배경 ; 기원
1890 년 – 1910 년
섬세함이나 정교함이 결여된 당시의 기계 문명과 , 진부해지고 경화된 실증주의 문화에 대한반발로 시작된
‘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 (Art & Crafts Movement)’ 에 기원을 둔 것이었다 .
이성적으로
풍요로운 시대
시대의 변화 새로운 미의식
조형정신
아르누보 출현
18 세기 시작된 산업혁명
물직적풍요
자본주의 사회로 성장
a. 가구와 공예품은 기능에 적합한 재료의 사용과 정직한
구성으로 견고하고 실용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b. 이를 통해 일상적 삶 속에서 미적 쾌락이 추구되어야
만 한다는 것이다
고상한 예술과 대중의 간격을 좁히고 ,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는데 있었다
• 아르누보의 분야
- 표현력이 풍부한 유동적인 곡선사용
- 환기적이고 장식적인 형태의 수단을 이용해 관념을 주관적으로 표현
- 인상주의에 의해 형성된 부드러우면서도 환한 색조가 주를 이룬다
( 동양풍의 색채와 원색에 황금색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 대표 작가 구스타프클림트 , 오브리비어즐리 , 알폰스무하
조각
- 기념물의 조각형식과 실내의 벽난로 , 테이블 장식용 조각의 발달
- 상징적 표현성과 장식성 강조
- 주로 사용된 주제는 여성과 식물 , 곤충 , 물결적 표현 등의 자연물
- 기능 일치를 위해 실용성 중시
- 선의 사용에는 대체적으로 파동 치는 유기적인 곡선 과잉사용
회화
- 일반 식물형태에 기본을 둔 부드러운 선의 표현이 주가 되고 , 견고하고
직선적인 기하학적 형태와 대조를 이루는 새로운 종류의 건축양식 출현
- 대표 건축가 안토니오가우디 , 빅토르오르따 , 매킨토시
건축
AntoniGaudi, VictorHorta, Mackintosh
Gustav Klimt , Aubrey Vincent Beardsley , Alphonse Mucha
- 주요 부분은 가구
- 그 외에도 금속공예 , 스테인드 글라스 , 램프 , 유리 , 장신구 등
다양하다
- 가구의 특성은 유기적 모티브를 조용하고 섬세하게 사용
- 식물형태에서 줄기의 반복 , 굽은 마디에 의한 접합부분 단절의 형
상화
의류
- 아우러글라스 (Hourglass I Style
: 소매를 과장되게 부풀리고 허리를 조인다 ( 모래시계 )
-S-Curve Style (C.D Gibson 의 그림에서 유래 )
: 가슴과 힙을 S 자로 강조
-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곡선 형태
-호블 (Hobble Skirt) + 페그탑 (PegTopshirt) + 미나레스타일
(MinaretStyle) :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함 강조
- 이 시대의 복식은 자신의 부와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폰트와 포스터
- 강렬한 색의 조화 , 생생한 선의 리듬
- 윤곽이 강조된 이미지 , 전체구성과 잘 조화되는 글자 배치
- 그래픽 아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공예
• 아르누보의 디자이너들
빅토르 오르타 (V.Horta, 벨기에 ) 브뤼셀의 홀타 박물관의 식당
-식물에서 따온 추상 형태와 고딕 , 루이 15 세식의 영향
-네오 바로크식 형태로 율동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화가와 같은 자유로운 눈이라는 건축적 표현
루이스 마조렐 (L.Majorelle, 프랑스 ) 책상
-형태에 있어 매우 조형적
-우아하고 동적인 선이 특징이다
헨리 반 데 벨드 (H.VandeVelde, 벨기에 ) 의자와 테이블
-수공예의 장식적인 부분 수용 + 기계적인 것도 함께 수용
-이론적 기초가
에밀 갈레 (E.Galle, 프랑스 ) 침대
-프랑스 아르누보의 대표자
-구조와 디자인은 전통적
-장식에서만 아르누보의 경향을 볼 수 있다
찰스 레닌 메킨토시 (C.R Mackintosh, 영국 ) 힐하우스의 가구
-아르누보 주재료로 철과 유리 사용
-기존의 아르누보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작업
안토니오 가우디 (A.Gaudi, 스페인 ) 의자
-생물적인 형태나 형상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독자적인 아르누보 양식 창출
-고딕풍 + 종교적 색채 이용
카를로 부가티 (C.Bugatti, 이탈리아 ) 의자
-이국적이며 , 비대칭적인 모습 + 곡선적
-아치와 원형의 기하학적 패턴을 즐겨 사용
엑트로 기마르 (h.Guimard, 프랑스 ) 테이블과 의자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전형적인 아르누보 스타일
-일본의 영향을 받은 가구
-여성적이고 독특한 느낌을 주는
개성적인 인테리어의 소재
• 건축양식 특징
 
새로운 예술 양식의 추구
전통과 역사적 절충주의를 거부
예술가 개인의 주관성과 창의력을 중시한 자유로운 예술을 추구
 
철과 유리의 사용
변화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대중이라는 예술의 새로운 계층을 적극적으로 수용
새로운 재료인 공업 생산 되는 철과 유리를 적극 사용
 
곡선장식
철과 유리를 이용하여 곡선장식을 건축에 추가
자유곡선에 의한 곡선장식을 주요 건축표현 언어로서 사용하였다는 것이 특징
유기적인 유형과 기하학적인 유형으로 발전
 
역사주의의 거부
전통적인 건물의 디자인에서 탈피
고전의 특성은 사라지고 ,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곡선의 사용을 통한 반 역사주의적인 특징 산출
 
‘ 평면성’과 ‘장식성’
평면적인 장식성이 특징
건축은 3 차원 입체이기 때문에 건축에서 아르누보의 평면성은 건축표면이다
 
익명성
아르누보는 운동이 아니다 그렇지만 도시문화 최초의 자기표현으로서 아르누보는 극히 정직했다
아르누보가 보이는 평면성과 장식성에는 예술의 출신을 묻지 않는 일종의 익명성이 떠돌고 있다
아르누보 장식이 그 때까지 역사적인 모티브에서 벗어나서 일종의 추상성을 보이는 것도 익명성이다
신분에 얽매이는 귀족사회의 궁정문화가 당대에 부를 축적한 사람들과 , 자신의 재능으로 인정 받는 예술가들의 손으로 이
루어진 도시문화로 옮겨갔을 때 , 그러한 익명성은 확실히 도시 표현으로 등장했다 .
가우디의
카사밀라저택
▲ 사암으로 구성된 건물 정면의 아랫부분
빅토르오르타의
타셀저택 + 오르타주택
- 당시 공공건물 , 아파트 , 단지 등에 특히 커다란 입구를 만드는 것이 유
행하였다
- 유럽의 가장 큰 특징은 계단이 흐르는 선이나 유기적 형태를 하고 있다는
것
아르누보적인 곡선이 잘 드러나있다
▲ 타셀저택의
계단측면
▲ 오르타주택
건물 정면
AntoniGaudi_CasaMila Victor Horta_HotelTassel+Maison&AtelierHorta
▲ 매킨토시의 힐하우스 실내모습
▲ 마조렐의 가
구
▲ 윌 브래들리의 1960 년 침실 디
자인
▲ 매킨토시의 방
• 실내공간 및 가구특성
a.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격자형
태
b. 성글게 만든
칸막이
c. 독특한 색채
a. 매킨토시적인
직선형과 패
턴
b. 파스텔의 색
상
a. 단순화된
패턴의 벽
지
b. 구성적
c. 옅은 바탕에
밝은 색상의
도안 사용
a. 평면화된 식물의
모티브
b. 자연적 디자인의
벽지
Mackitosh_HillHouse
Mackitosh_Room
Majorelle_Furniture
Will Bradley_BedroomDesign
▲ 엑토르 기마르의 아바세지하철역 ▲ 샤또 라 셰즈 ( 고성 ) 의
계단
▲ 엑토르 기마르의
파리 오르세 미술관내 흡연실 의자
▲ 가우디의 카사밀라 저택 문
유기적인 곡선이
양식화된 테두리에
의하여 강조
거북이의
등 껍질 연상
Hector Guimard_Abbesses
Hector Guimard_Furniture
AntoniGaudi_CasaMila Door
a. 식물의형태 유
추
b. 철제 장식
c. 공업생산된
유리사용
▲ 현대적 아르누보 양식의 창문 ▲ 보이지 (C. Vosey) 의 카페트 ▲ 가우디의 카사바틀로 내부
단순화된 2 차원적
패턴을 사용
전형적인 녹색계열의 색채 a. 휘어진 모든 면
b. 목재와 유리 주 사용
A.Gaudi_CasaBatll
o
C o l o r S c h e m e
P a t t e r n & T i l e
a. 부드러운 파스텔 색조
b. 전형적인 ( 녹색 ) 올리브계열 + 브라운컬러
c. 골드톤 + 머스타드
d. 라일락 + 바이올렛 + 피콕블루의 조합
a. 타일 : 튜브 라이닝 기술 사용
b. 이국적 정취
c. Ex. 양식화된 플라워디자인 , 수련 , 깃털 , 공작새 , 덩쿨손 , 나뭇잎 , 줄기 , 엉겅퀴 등
- 매킨토시는 올 화이트를 실험하기도 하
였다
F l o o r i n g M a t e r i a l
쪽모이 세공
D e c o r a t i o n
대리석
a. 은 , 백랍 , 유리 소재
b. 라리크 글라스 : 펄감 있는 불투명한 유리에 디자인이 새겨진 것
• 아르누보의 영화
The Grand BudapesT hoTel,
2014
영화 속 아르누보
▲ 입구 _ 엑토르 기마르
Hector Guimard
▲ 의상 _ 구스타프 클림트
Gustav Klimt
▲ 아바세지하철역
Abbesses
▲ 아델레 블로흐 _ 바우어의초상화
Adele Bloch Bauer
▲ 빈 제체시온 건물
Vienna Secession
▲ 컨시어져프론트 _ 빈 제체시온
Vienna Secession
▲ 연회장
▲ 아르누보문양의 식물패턴
▲ 내부 및 연회장
▲ 티파니 램프 ▲ 독일 괴를리츠의 백화점
Gorlitzer Warenhaus_Warenhaus Karstadt-Hertie
▲ 실내조명
• 아르누보의 소멸과 현 한계점
아르누보의 소
멸
아르누보 스타일의 인테리어는 매우 고급스럽기는 하지만 , 오늘날 보면 무겁고 ,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파스텔 톤의 자연스러움에도 불구하고 , 심플하고 밝은 인테리어에 익숙해져 있기에 상대적으로 더 그렇게 느껴지게 한다
심지어 공간이 넓지 않으면 소화하기 어려운 앤틱 가구의 특성을 지니어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
아르누보는 기품 있는 작품들을 많이 탄생시켰지만 , 직선과 같은 편리함과 합리성 등을
무시하였기 때문에 갈수록 모양보다는 기능과 사회성을 중요시하는 풍조가 강해지면서 아르누보는 소멸해 가기 시
작한다 이렇게 아르누보는 1895 년경부터 약 10 년간 전성기를 누린 다소 짧지만 매력적인 양식이었으며 , 당시에
가장 새로운 예술이자 아름다운 양식으로 통했다
합리성 무시 + 미적 추구 기능과 사회
성
현 재
대량생산 불가
현대적 스타일의 아르누보 적용사례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_ 산트 파우 병원
Lluis Domenech I Montaner_Hospital de SantPau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_ 카탈루냐 음악당
Lluis Domenech I Montaner_Palace of Catalan Music
Maxim’s de Paris Restaurant
http://www.maxims-musee-artnouveau.com
파리 막심레스토랑
홈페이지 주소
Paul Cauchie_Mansion Cauchie (House)
Gustave Strauven_Saint.Cyr House
브뤼셀악기박물관
Old England former shops (Musical Instrument Museum since 2000)
외젠 그라세 , 스위스 , 1845-1917
Eugene Grasset
http://luc.devroye.org/fonts-33814.html
http://eugenegrasset.blogspot.kr/
http://www.panteek.com/GrassetFloral/
a. 자연의 형태 존중
b. 순수미술은 상아 , 금 , 그 외 희귀소
재 사용
c. 포스터 – 이집트영향
d. 일본예술영향
Ephraim Moses
Lilien
http://en.wikipedia.org/wiki/Ephraim_Moses_Lilien
http://www.archive.org/stream/liederdesghettoa00roseuoft#page/30/mode/2up
에브라임 모세 릴리엔 , 이스라엘 , 1874–
1925
a. 유태인으로 아르누보 활동
전개
b. 최초의 시오니즘 아티스트
c. 무표정 + 암시성 多
d. 강렬한 인상시오니즘 : 고대 유디인들이 고국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유대민족주의 적인 운동
Aubrey Vincent Beardsley
오브리 비어즐리 , 영국 , 1872-1898
a. 일본 목판화의 영향
b. 탐미주의 운동의 리더 중 하나
c. 그로테스크 , 퇴폐적인 느낌 그리고 에로
틱한 특징
http://www.wikipaintings.org/en/tag/aristophanes-lysistrata
https://www.pinterest.com/Cotton2craft/aubrey-beardsley/
http://zeroland.co.nz/directory/visualarts/art_movements/artnouveau/
http://www.peter-pho2.com/
http://paris-bise-art.blogspot.kr/
http://mylifeoasis.blog.me/
http://www.bbc.co.uk/homes/
http://www.victoriana.com/
http://terms.naver.com/
http://www.archiexpo.com/
http://plastolux.com/
http://www.whatwilsonwants.com/
• 출처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Impressionism
ImpressionismImpressionism
Impressionism
Gary Freeman
 
Art nouveau
Art nouveauArt nouveau
Art nouveau
Ng Quinnie
 
Neoplasticisme
NeoplasticismeNeoplasticisme
Neoplasticismedadasoft
 
Antonio gaudi
Antonio gaudiAntonio gaudi
Antonio gaudi
reflets
 
De stijl
De stijlDe stijl
Bauhaus
BauhausBauhaus
Bauhaus
BauhausBauhaus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chaegawoon
 
Bauhaus final ppt
Bauhaus final pptBauhaus final ppt
Bauhaus final ppt
Sajida Shah
 
El deconstructivismo
El deconstructivismoEl deconstructivismo
El deconstructivismo
jona perez
 
Dadaism Presentation
Dadaism PresentationDadaism Presentation
Dadaism Presentation
AliceDuarte17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Rizwan ul Abidin
 
Symbolism, art nouveau
Symbolism, art nouveauSymbolism, art nouveau
Symbolism, art nouveau
addierprice
 
Art deco
Art decoArt deco
Art Nouveau Architectural.
Art Nouveau Architectural.Art Nouveau Architectural.
Art Nouveau Architectural.
Mayur Waghulde
 
Minimalism powerpoint full
Minimalism powerpoint fullMinimalism powerpoint full
Minimalism powerpoint full
10polarbears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Lauragarciarivero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Alejandro J. Peimbert
 
Arquitectura moderna
Arquitectura modernaArquitectura moderna
Arquitectura moderna
Katherin Rodriguez
 

What's hot (20)

Impressionism
ImpressionismImpressionism
Impressionism
 
Art nouveau
Art nouveauArt nouveau
Art nouveau
 
Neoplasticisme
NeoplasticismeNeoplasticisme
Neoplasticisme
 
Antonio gaudi
Antonio gaudiAntonio gaudi
Antonio gaudi
 
De stijl
De stijlDe stijl
De stijl
 
Bauhaus
BauhausBauhaus
Bauhaus
 
Bauhaus
BauhausBauhaus
Bauhaus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presentation
 
Bauhaus final ppt
Bauhaus final pptBauhaus final ppt
Bauhaus final ppt
 
El deconstructivismo
El deconstructivismoEl deconstructivismo
El deconstructivismo
 
Dadaism Presentation
Dadaism PresentationDadaism Presentation
Dadaism Presentation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CONTEMPORARY ARCHITECTURE (1980 90) globally
 
Symbolism, art nouveau
Symbolism, art nouveauSymbolism, art nouveau
Symbolism, art nouveau
 
Art deco
Art decoArt deco
Art deco
 
Art Nouveau Architectural.
Art Nouveau Architectural.Art Nouveau Architectural.
Art Nouveau Architectural.
 
Minimalism powerpoint full
Minimalism powerpoint fullMinimalism powerpoint full
Minimalism powerpoint full
 
Arquitectura S. XX
Arquitectura S. XXArquitectura S. XX
Arquitectura S. XX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Movimientos Arquitectónicos en Europa y Norteamérica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La condición contemporánea de la arquitectura
 
Arquitectura moderna
Arquitectura modernaArquitectura moderna
Arquitectura moderna
 

Viewers also liked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Minjeong Lee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choiyejin
 
Color bath
Color bathColor bath
Color bath
경서 김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은지 조
 
브랜드와 디자인
브랜드와 디자인브랜드와 디자인
브랜드와 디자인
대훈 박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신엽 김
 
컬러베스
컬러베스컬러베스
컬러베스
소정 차
 
Editorial Design 2014_2
Editorial Design 2014_2Editorial Design 2014_2
Editorial Design 2014_2
EnableKorea,MoneyQ
 
컬러베스하는중임다
컬러베스하는중임다컬러베스하는중임다
컬러베스하는중임다
소정 차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Hyun Kang
 

Viewers also liked (10)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졸업전시스튜디오: 중간발표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Color bath
Color bathColor bath
Color bath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론 1516555 조은지 - 디자이너 연구 및 조사 보고서
 
브랜드와 디자인
브랜드와 디자인브랜드와 디자인
브랜드와 디자인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브랜드 저널리즘 / Brand Journalism
 
컬러베스
컬러베스컬러베스
컬러베스
 
Editorial Design 2014_2
Editorial Design 2014_2Editorial Design 2014_2
Editorial Design 2014_2
 
컬러베스하는중임다
컬러베스하는중임다컬러베스하는중임다
컬러베스하는중임다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2012 1장 지각론-1 빛과색 눈 색채지각효과
 

212140010 민주영 아르누보

  • 1. A r t N o u v e a u INTERIOR DECORATION PROF. KWANG OK LEE 212140010 JOO YOUNG MIN 건축은 살아있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살아있는 생명의 복잡함과 유기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된 다 빅토르 오르타 (1861-1947, 벨기에 )
  • 2. • 정의 및 개요 • 당시 시대적배경 : 기원 • 아르누보의 분야 - 건축 - 회화 - 조각 - 공예 - 의류 - 폰트와 포스 터 • 아르누보의 디자이너들 • 건축양식 특징 • 실내공간 및 가구특성 • 아르누보의 영화 • 아르누보의 소멸과 현 한계점 • 출처 C o n t e n t s
  • 3. 아르누보란 ? ' 신 미술 ' 이라는 뜻으로 1890 년대에 자연주의적이고 , 유기적인 형체를 구사했던 장식미술 • 정의 및 개요 아르누보 ART NOUVEAU 유겐트스틸 JUGENDSTIL 기마르양식 STYLE GUIMARD 리버트양식 STILE LIBERTY 1880 년대 그래픽디자인 , 건축에서 곡선적인 형태를 다용한 작품 발표 Ex. 맥머드 – 교회의 팸플릿 표지 아르누보의 선구 1880 년대 -1895 년 작가들의 활발한 작품발표와 급속도로 보급된 아르누보 Ex. 영국의 매킨토시 벨기에의 반 디 벨데와 오르타 프랑스의 기마르와 가이야르 이탈리아의 다론코 1896 년 신 양식 ( 아르누보 ) 의 유행에 박차를 가하게된다 Ex. 아르누보관 – 독자적인 장식성 1897 년 드레스덴의 박람회 1902 년 아르누보의 실내장식과 가구 등 공예품 전시회가 큰 비중을 차지 1910 년경 기능과 사회성 중요시하는 풍조강화로 예외를 제외하곤 소멸 Ex. R. 랄리크의 보석디자인 E. 가레의 유리공예 티파니의 유리그릇 가우디의 건축활동 = = =
  • 4. • 당시 시대적 배경 ; 기원 1890 년 – 1910 년 섬세함이나 정교함이 결여된 당시의 기계 문명과 , 진부해지고 경화된 실증주의 문화에 대한반발로 시작된 ‘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 (Art & Crafts Movement)’ 에 기원을 둔 것이었다 . 이성적으로 풍요로운 시대 시대의 변화 새로운 미의식 조형정신 아르누보 출현 18 세기 시작된 산업혁명 물직적풍요 자본주의 사회로 성장 a. 가구와 공예품은 기능에 적합한 재료의 사용과 정직한 구성으로 견고하고 실용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b. 이를 통해 일상적 삶 속에서 미적 쾌락이 추구되어야 만 한다는 것이다 고상한 예술과 대중의 간격을 좁히고 ,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의 환경을 변화시키는데 있었다
  • 5. • 아르누보의 분야 - 표현력이 풍부한 유동적인 곡선사용 - 환기적이고 장식적인 형태의 수단을 이용해 관념을 주관적으로 표현 - 인상주의에 의해 형성된 부드러우면서도 환한 색조가 주를 이룬다 ( 동양풍의 색채와 원색에 황금색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 대표 작가 구스타프클림트 , 오브리비어즐리 , 알폰스무하 조각 - 기념물의 조각형식과 실내의 벽난로 , 테이블 장식용 조각의 발달 - 상징적 표현성과 장식성 강조 - 주로 사용된 주제는 여성과 식물 , 곤충 , 물결적 표현 등의 자연물 - 기능 일치를 위해 실용성 중시 - 선의 사용에는 대체적으로 파동 치는 유기적인 곡선 과잉사용 회화 - 일반 식물형태에 기본을 둔 부드러운 선의 표현이 주가 되고 , 견고하고 직선적인 기하학적 형태와 대조를 이루는 새로운 종류의 건축양식 출현 - 대표 건축가 안토니오가우디 , 빅토르오르따 , 매킨토시 건축 AntoniGaudi, VictorHorta, Mackintosh Gustav Klimt , Aubrey Vincent Beardsley , Alphonse Mucha
  • 6. - 주요 부분은 가구 - 그 외에도 금속공예 , 스테인드 글라스 , 램프 , 유리 , 장신구 등 다양하다 - 가구의 특성은 유기적 모티브를 조용하고 섬세하게 사용 - 식물형태에서 줄기의 반복 , 굽은 마디에 의한 접합부분 단절의 형 상화 의류 - 아우러글라스 (Hourglass I Style : 소매를 과장되게 부풀리고 허리를 조인다 ( 모래시계 ) -S-Curve Style (C.D Gibson 의 그림에서 유래 ) : 가슴과 힙을 S 자로 강조 - 부드럽고 흐르는 듯한 곡선 형태 -호블 (Hobble Skirt) + 페그탑 (PegTopshirt) + 미나레스타일 (MinaretStyle) :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함 강조 - 이 시대의 복식은 자신의 부와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였다 폰트와 포스터 - 강렬한 색의 조화 , 생생한 선의 리듬 - 윤곽이 강조된 이미지 , 전체구성과 잘 조화되는 글자 배치 - 그래픽 아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공예
  • 7. • 아르누보의 디자이너들 빅토르 오르타 (V.Horta, 벨기에 ) 브뤼셀의 홀타 박물관의 식당 -식물에서 따온 추상 형태와 고딕 , 루이 15 세식의 영향 -네오 바로크식 형태로 율동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화가와 같은 자유로운 눈이라는 건축적 표현 루이스 마조렐 (L.Majorelle, 프랑스 ) 책상 -형태에 있어 매우 조형적 -우아하고 동적인 선이 특징이다 헨리 반 데 벨드 (H.VandeVelde, 벨기에 ) 의자와 테이블 -수공예의 장식적인 부분 수용 + 기계적인 것도 함께 수용 -이론적 기초가 에밀 갈레 (E.Galle, 프랑스 ) 침대 -프랑스 아르누보의 대표자 -구조와 디자인은 전통적 -장식에서만 아르누보의 경향을 볼 수 있다
  • 8. 찰스 레닌 메킨토시 (C.R Mackintosh, 영국 ) 힐하우스의 가구 -아르누보 주재료로 철과 유리 사용 -기존의 아르누보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작업 안토니오 가우디 (A.Gaudi, 스페인 ) 의자 -생물적인 형태나 형상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독자적인 아르누보 양식 창출 -고딕풍 + 종교적 색채 이용 카를로 부가티 (C.Bugatti, 이탈리아 ) 의자 -이국적이며 , 비대칭적인 모습 + 곡선적 -아치와 원형의 기하학적 패턴을 즐겨 사용 엑트로 기마르 (h.Guimard, 프랑스 ) 테이블과 의자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전형적인 아르누보 스타일 -일본의 영향을 받은 가구 -여성적이고 독특한 느낌을 주는 개성적인 인테리어의 소재
  • 9. • 건축양식 특징   새로운 예술 양식의 추구 전통과 역사적 절충주의를 거부 예술가 개인의 주관성과 창의력을 중시한 자유로운 예술을 추구   철과 유리의 사용 변화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대중이라는 예술의 새로운 계층을 적극적으로 수용 새로운 재료인 공업 생산 되는 철과 유리를 적극 사용   곡선장식 철과 유리를 이용하여 곡선장식을 건축에 추가 자유곡선에 의한 곡선장식을 주요 건축표현 언어로서 사용하였다는 것이 특징 유기적인 유형과 기하학적인 유형으로 발전   역사주의의 거부 전통적인 건물의 디자인에서 탈피 고전의 특성은 사라지고 ,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곡선의 사용을 통한 반 역사주의적인 특징 산출   ‘ 평면성’과 ‘장식성’ 평면적인 장식성이 특징 건축은 3 차원 입체이기 때문에 건축에서 아르누보의 평면성은 건축표면이다   익명성 아르누보는 운동이 아니다 그렇지만 도시문화 최초의 자기표현으로서 아르누보는 극히 정직했다 아르누보가 보이는 평면성과 장식성에는 예술의 출신을 묻지 않는 일종의 익명성이 떠돌고 있다 아르누보 장식이 그 때까지 역사적인 모티브에서 벗어나서 일종의 추상성을 보이는 것도 익명성이다 신분에 얽매이는 귀족사회의 궁정문화가 당대에 부를 축적한 사람들과 , 자신의 재능으로 인정 받는 예술가들의 손으로 이 루어진 도시문화로 옮겨갔을 때 , 그러한 익명성은 확실히 도시 표현으로 등장했다 .
  • 10. 가우디의 카사밀라저택 ▲ 사암으로 구성된 건물 정면의 아랫부분 빅토르오르타의 타셀저택 + 오르타주택 - 당시 공공건물 , 아파트 , 단지 등에 특히 커다란 입구를 만드는 것이 유 행하였다 - 유럽의 가장 큰 특징은 계단이 흐르는 선이나 유기적 형태를 하고 있다는 것 아르누보적인 곡선이 잘 드러나있다 ▲ 타셀저택의 계단측면 ▲ 오르타주택 건물 정면 AntoniGaudi_CasaMila Victor Horta_HotelTassel+Maison&AtelierHorta
  • 11. ▲ 매킨토시의 힐하우스 실내모습 ▲ 마조렐의 가 구 ▲ 윌 브래들리의 1960 년 침실 디 자인 ▲ 매킨토시의 방 • 실내공간 및 가구특성 a.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격자형 태 b. 성글게 만든 칸막이 c. 독특한 색채 a. 매킨토시적인 직선형과 패 턴 b. 파스텔의 색 상 a. 단순화된 패턴의 벽 지 b. 구성적 c. 옅은 바탕에 밝은 색상의 도안 사용 a. 평면화된 식물의 모티브 b. 자연적 디자인의 벽지 Mackitosh_HillHouse Mackitosh_Room Majorelle_Furniture Will Bradley_BedroomDesign
  • 12. ▲ 엑토르 기마르의 아바세지하철역 ▲ 샤또 라 셰즈 ( 고성 ) 의 계단 ▲ 엑토르 기마르의 파리 오르세 미술관내 흡연실 의자 ▲ 가우디의 카사밀라 저택 문 유기적인 곡선이 양식화된 테두리에 의하여 강조 거북이의 등 껍질 연상 Hector Guimard_Abbesses Hector Guimard_Furniture AntoniGaudi_CasaMila Door a. 식물의형태 유 추 b. 철제 장식 c. 공업생산된 유리사용
  • 13. ▲ 현대적 아르누보 양식의 창문 ▲ 보이지 (C. Vosey) 의 카페트 ▲ 가우디의 카사바틀로 내부 단순화된 2 차원적 패턴을 사용 전형적인 녹색계열의 색채 a. 휘어진 모든 면 b. 목재와 유리 주 사용 A.Gaudi_CasaBatll o
  • 14. C o l o r S c h e m e P a t t e r n & T i l e a. 부드러운 파스텔 색조 b. 전형적인 ( 녹색 ) 올리브계열 + 브라운컬러 c. 골드톤 + 머스타드 d. 라일락 + 바이올렛 + 피콕블루의 조합 a. 타일 : 튜브 라이닝 기술 사용 b. 이국적 정취 c. Ex. 양식화된 플라워디자인 , 수련 , 깃털 , 공작새 , 덩쿨손 , 나뭇잎 , 줄기 , 엉겅퀴 등 - 매킨토시는 올 화이트를 실험하기도 하 였다
  • 15. F l o o r i n g M a t e r i a l 쪽모이 세공 D e c o r a t i o n 대리석 a. 은 , 백랍 , 유리 소재 b. 라리크 글라스 : 펄감 있는 불투명한 유리에 디자인이 새겨진 것
  • 16. • 아르누보의 영화 The Grand BudapesT hoTel, 2014
  • 17. 영화 속 아르누보 ▲ 입구 _ 엑토르 기마르 Hector Guimard ▲ 의상 _ 구스타프 클림트 Gustav Klimt ▲ 아바세지하철역 Abbesses ▲ 아델레 블로흐 _ 바우어의초상화 Adele Bloch Bauer
  • 18. ▲ 빈 제체시온 건물 Vienna Secession ▲ 컨시어져프론트 _ 빈 제체시온 Vienna Secession ▲ 연회장 ▲ 아르누보문양의 식물패턴
  • 19. ▲ 내부 및 연회장 ▲ 티파니 램프 ▲ 독일 괴를리츠의 백화점 Gorlitzer Warenhaus_Warenhaus Karstadt-Hertie ▲ 실내조명
  • 20. • 아르누보의 소멸과 현 한계점 아르누보의 소 멸 아르누보 스타일의 인테리어는 매우 고급스럽기는 하지만 , 오늘날 보면 무겁고 ,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파스텔 톤의 자연스러움에도 불구하고 , 심플하고 밝은 인테리어에 익숙해져 있기에 상대적으로 더 그렇게 느껴지게 한다 심지어 공간이 넓지 않으면 소화하기 어려운 앤틱 가구의 특성을 지니어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 아르누보는 기품 있는 작품들을 많이 탄생시켰지만 , 직선과 같은 편리함과 합리성 등을 무시하였기 때문에 갈수록 모양보다는 기능과 사회성을 중요시하는 풍조가 강해지면서 아르누보는 소멸해 가기 시 작한다 이렇게 아르누보는 1895 년경부터 약 10 년간 전성기를 누린 다소 짧지만 매력적인 양식이었으며 , 당시에 가장 새로운 예술이자 아름다운 양식으로 통했다 합리성 무시 + 미적 추구 기능과 사회 성 현 재 대량생산 불가
  • 22.
  • 23.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_ 산트 파우 병원 Lluis Domenech I Montaner_Hospital de SantPau
  • 24. 루이스 도메네크 이 몬타네르 _ 카탈루냐 음악당 Lluis Domenech I Montaner_Palace of Catalan Music
  • 25. Maxim’s de Paris Restaurant http://www.maxims-musee-artnouveau.com 파리 막심레스토랑 홈페이지 주소
  • 26. Paul Cauchie_Mansion Cauchie (House) Gustave Strauven_Saint.Cyr House
  • 27. 브뤼셀악기박물관 Old England former shops (Musical Instrument Museum since 2000)
  • 28. 외젠 그라세 , 스위스 , 1845-1917 Eugene Grasset http://luc.devroye.org/fonts-33814.html http://eugenegrasset.blogspot.kr/ http://www.panteek.com/GrassetFloral/ a. 자연의 형태 존중 b. 순수미술은 상아 , 금 , 그 외 희귀소 재 사용 c. 포스터 – 이집트영향 d. 일본예술영향
  • 29. Ephraim Moses Lilien http://en.wikipedia.org/wiki/Ephraim_Moses_Lilien http://www.archive.org/stream/liederdesghettoa00roseuoft#page/30/mode/2up 에브라임 모세 릴리엔 , 이스라엘 , 1874– 1925 a. 유태인으로 아르누보 활동 전개 b. 최초의 시오니즘 아티스트 c. 무표정 + 암시성 多 d. 강렬한 인상시오니즘 : 고대 유디인들이 고국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유대민족주의 적인 운동
  • 30. Aubrey Vincent Beardsley 오브리 비어즐리 , 영국 , 1872-1898 a. 일본 목판화의 영향 b. 탐미주의 운동의 리더 중 하나 c. 그로테스크 , 퇴폐적인 느낌 그리고 에로 틱한 특징 http://www.wikipaintings.org/en/tag/aristophanes-lysistrata https://www.pinterest.com/Cotton2craft/aubrey-beards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