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POST TOWER
210140010 강민지
1. 건축개요
- 건물명 : 서울중앙우체국 청사
- 위 치 : 서울시 중구 충무로1가 21-1
- 연면적: 72.049㎡ (21,800평)
- 규 모 : 지하7층, 지상 21층
- 구 조 : 철골 철근 콘크리트
- 기준층 : 14층 기준 바닥면적 - 2,000㎡
층고 4,1m (천정고 2.7m)
- 주용도 : 공공업무시설
- 건축설계 : (주)공간건축
2. 작가소개 및 대표작
(주)공간건축 – 김수근
1931년 서울생
1950년 경기중학교 6년 졸업
1951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2년 중퇴 - 일
본으로 밀항
1958년 일본 동경 예술대학 건축학과 졸업
일본인 미찌꼬(김도자)와 결혼
1960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국회의사당 건축현상설계 1등 당선
1961년 김수근 건축연구소 개소
홍익대학교 조교수
"워커힐" 설계 및 설계위원
1962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자유센타" 설치위원회 건축분과위원장
1966년 월간 종합문예지 "공간" 창간
1968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대표이사
1974년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위원
대한민국 건축국전 심사위원
1975년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과장
세계건축가 연맹(U.I.A) 이사
1976년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1979년 문화재 공보부 문화재 위원회 의장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장
1981년 건설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1982년 미국건축가협회(Honor,FAIA) 명예회원
1984년 서울특별시 시정자문위원회 위원
1986년 간암으로 사망 <대표작 공간사옥>
3. 작품개념 및 설계의도
대지는 근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변의 도시
환경과 더불어 서울의 도시 질서를 변화시키는 도심 심장
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백년이 넘는 한국 체신
행정의 중심이라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도시맥락적인
관점에서는 서울시청, 숭례문 등과 함께 삼각축의 한결절
점을 이루고 있어, 이에 걸맞는 상징적 게이트로써의 역할
이 필요하며, 소공동, 명동상권을 있는 연결부로 유동인구
에 대한 도시:건축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곳 이기도하다.
따라서 이곳의 건축물은 역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변화를 만들어 가면, 시민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공
공성과 사회성이 드러나는 마당으로서의 건축물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계획에 요구되는 공공성과 사회성, 대지가 지닌 역사성의 구현은
배치계획에서부터 프로그램의 구성, 조형계획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체 매스는 주
변의 로터리 공지 등과 연계된 광장을 구성하기 위해 대지의 뒤 켠으로 물러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광장은 대
지에 요구되는 도시의 결절점, 연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내부적으로는 우체국의 이용자창구 프로그램을 지하1, 2층에 배치하고 선 큰 가든인 우정원을 통해 전면 광장
과 연결되도록 계획하여, 로터리 중앙분수광장 등 주변부의 외부공간이 전면 광장을 통해 건물 내부와 자연스
럽게 소통되는 시민마당이 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10층에는 내부의 정원인 도시정원을 조성하고, 리셉션 센터 등을 배치하여 건물 사용자들의 휴식 및 만남
을 위한 장소를 계획하였다. 서울중앙우체국으로서의 기능과 제반 법규를 수용하고 도시맥락에 의해 요구되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좌우대칭인 두 개의 타워를 또 다른 외피가 감싸고 있는 형태를 계획하였다.
또한, 시간의 기억을 여러 켜로 잘 담고 있는 장소성을 감안하여 주변과 조화롭게 만나도록 하기 위해 건물의
외피는 하이테크적 재료의 사용을 가능한 한 지양하고, 자연재료인 석재와 펀치윈도우 등으로 입면을 구성함
으로써 주변과의 소통과 조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정면에서 찍은 모습> <두 매스의 사이를 올려다 찍은 모습>
<1층과 지하1층으로 연계되는 선큰가든의 모습> <입구 모습>
<옥외데크의 테라스 모습> <두 매스의 사이공간 정면 모습> <6층 전면부에서 올려다본 천창의 모습>
< 10층 홀의 모습>
<10층 휴게실 카페테리어>
<강당 내부모습> <로비 내부모습>
에필로그 (다녀와서..)
처음 중앙 우체국 청사를 보았을 때 예전 만화에서 보았던 마징가-Z 의 머리 부분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최근 이렇게 건축물의 가운데 부분이 벌어져 있는 건축물 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왜 요즘 저런 건축물들
이 많을까? 라는 의문을 가졌었는데 이번 과제로 인해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의 가로세로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사람들로 하여금 그 건축물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어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 이었다.
그래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부분으로 건축물을 갈라서 설계 하는 것이었다.
명동의 거리는 젊음의 거리로 언제나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예전부터 항상 걸을 때 마다 좁은 인도로
인해 사람에게 치이며 걷는 다는 것이 상당히 불쾌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 타워 앞의 인도는 상당히 넓어
관광자들의 쉬었다 가는공간이 되기도 하고 같이 모여 앉아서 수다떠는 수다장이 되기도 하여 좁은 명동
의 거리를 걷다가 포스트 타워앞을 지나게 되면 넓은 인도와 앉을 수 있는 밴치로 인해 피곤한 다리와 답
답한 가슴을 잠시나마 쉴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개의 MASS로 갈라져 더욱더 답답
한 도심을 트일 수 있게 만든다.
포스트 타워 입구는 양쪽밑으로 선큰으로 되어있고 마치 다리 위를 걷는 느낌을 주었다. 건축물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유리로 마감된 입면에 의해 채광이 좋으며 산뜻한 기분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지하 1,2층 지상 1층 이외에는 일반인이 마음껏 다닐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물론 오피스
의 보안을 위해서 출입이 제한 될 수밖에 없지만 상층부에서 느낄 수 있는 VIEW를 일반인에게도 공개된
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Tesoc Hah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zldnlwldms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JiYoung Moon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ssarry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Wealth Partners
 

Viewers also liked (19)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Vol.3에코건축ppt 임영환,김선현
 
1410988 김희재 디자인의디자인
1410988 김희재 디자인의디자인1410988 김희재 디자인의디자인
1410988 김희재 디자인의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위급환자 단계별 긴급서비스 개선 - 대구 소방안전본부 국민디자인단 운영
 
용사는 진행중 포스트모템_KGC2014 발표자료
용사는 진행중 포스트모템_KGC2014 발표자료용사는 진행중 포스트모템_KGC2014 발표자료
용사는 진행중 포스트모템_KGC2014 발표자료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213140037-김지은_수시과제
 
UR PDF in Korean
UR PDF in KoreanUR PDF in Korean
UR PDF in Korean
 
Automatic stamping machine
Automatic stamping machineAutomatic stamping machine
Automatic stamping machine
 
Grecia 2015
Grecia 2015Grecia 2015
Grecia 2015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스타트업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212140024 오유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디지털 건축
디지털 건축디지털 건축
디지털 건축
 
그리스 건축양식
그리스 건축양식그리스 건축양식
그리스 건축양식
 
문지영의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문지영의 프리젠테이션 클리닉문지영의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문지영의 프리젠테이션 클리닉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 안전행정부
 
212140018이진희 주택설계 ppt
212140018이진희 주택설계 ppt212140018이진희 주택설계 ppt
212140018이진희 주택설계 ppt
 
Micro Service Architecture 탐방기
Micro Service Architecture 탐방기Micro Service Architecture 탐방기
Micro Service Architecture 탐방기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Post modernism
Post modernismPost modernism
Post modernism
 
Design For Society
Design For SocietyDesign For Society
Design For Society
 

Similar to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디디포럼
디디포럼디디포럼
디디포럼
Kyle Kim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정민 이
 

Similar to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6)

태헌 도시경관사업부 2015
태헌 도시경관사업부 2015 태헌 도시경관사업부 2015
태헌 도시경관사업부 2015
 
환경논총 제59권
환경논총 제59권환경논총 제59권
환경논총 제59권
 
환경논총 제56권
환경논총 제56권환경논총 제56권
환경논총 제56권
 
건축 미디어 컨설텅(Architecture media consulting)
건축 미디어 컨설텅(Architecture media consulting)건축 미디어 컨설텅(Architecture media consulting)
건축 미디어 컨설텅(Architecture media consulting)
 
디디포럼
디디포럼디디포럼
디디포럼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새건협 도시 건축_답사]_남산-해방촌__식민지배의_흔적과_해방ㆍ분단의_산물_해방촌
 

210140010 강민지 12주차 수시과제

  • 2. 1. 건축개요 - 건물명 : 서울중앙우체국 청사 - 위 치 : 서울시 중구 충무로1가 21-1 - 연면적: 72.049㎡ (21,800평) - 규 모 : 지하7층, 지상 21층 - 구 조 : 철골 철근 콘크리트 - 기준층 : 14층 기준 바닥면적 - 2,000㎡ 층고 4,1m (천정고 2.7m) - 주용도 : 공공업무시설 - 건축설계 : (주)공간건축
  • 3. 2. 작가소개 및 대표작 (주)공간건축 – 김수근 1931년 서울생 1950년 경기중학교 6년 졸업 1951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2년 중퇴 - 일 본으로 밀항 1958년 일본 동경 예술대학 건축학과 졸업 일본인 미찌꼬(김도자)와 결혼 1960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석사학위 취득 국회의사당 건축현상설계 1등 당선 1961년 김수근 건축연구소 개소 홍익대학교 조교수 "워커힐" 설계 및 설계위원 1962년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자유센타" 설치위원회 건축분과위원장 1966년 월간 종합문예지 "공간" 창간 1968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대표이사 1974년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 위원 대한민국 건축국전 심사위원 1975년 국민대학교 조형학부 학과장 세계건축가 연맹(U.I.A) 이사 1976년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1979년 문화재 공보부 문화재 위원회 의장 국민대학교 조형대학장 1981년 건설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1982년 미국건축가협회(Honor,FAIA) 명예회원 1984년 서울특별시 시정자문위원회 위원 1986년 간암으로 사망 <대표작 공간사옥>
  • 4.
  • 5. 3. 작품개념 및 설계의도 대지는 근대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변의 도시 환경과 더불어 서울의 도시 질서를 변화시키는 도심 심장 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백년이 넘는 한국 체신 행정의 중심이라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도시맥락적인 관점에서는 서울시청, 숭례문 등과 함께 삼각축의 한결절 점을 이루고 있어, 이에 걸맞는 상징적 게이트로써의 역할 이 필요하며, 소공동, 명동상권을 있는 연결부로 유동인구 에 대한 도시:건축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곳 이기도하다. 따라서 이곳의 건축물은 역사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시변화를 만들어 가면, 시민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공 공성과 사회성이 드러나는 마당으로서의 건축물이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계획에 요구되는 공공성과 사회성, 대지가 지닌 역사성의 구현은 배치계획에서부터 프로그램의 구성, 조형계획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원칙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체 매스는 주 변의 로터리 공지 등과 연계된 광장을 구성하기 위해 대지의 뒤 켠으로 물러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광장은 대 지에 요구되는 도시의 결절점, 연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내부적으로는 우체국의 이용자창구 프로그램을 지하1, 2층에 배치하고 선 큰 가든인 우정원을 통해 전면 광장 과 연결되도록 계획하여, 로터리 중앙분수광장 등 주변부의 외부공간이 전면 광장을 통해 건물 내부와 자연스 럽게 소통되는 시민마당이 되도록 구성했다. 또한 10층에는 내부의 정원인 도시정원을 조성하고, 리셉션 센터 등을 배치하여 건물 사용자들의 휴식 및 만남 을 위한 장소를 계획하였다. 서울중앙우체국으로서의 기능과 제반 법규를 수용하고 도시맥락에 의해 요구되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좌우대칭인 두 개의 타워를 또 다른 외피가 감싸고 있는 형태를 계획하였다. 또한, 시간의 기억을 여러 켜로 잘 담고 있는 장소성을 감안하여 주변과 조화롭게 만나도록 하기 위해 건물의 외피는 하이테크적 재료의 사용을 가능한 한 지양하고, 자연재료인 석재와 펀치윈도우 등으로 입면을 구성함 으로써 주변과의 소통과 조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 6. <정면에서 찍은 모습> <두 매스의 사이를 올려다 찍은 모습> <1층과 지하1층으로 연계되는 선큰가든의 모습> <입구 모습>
  • 7. <옥외데크의 테라스 모습> <두 매스의 사이공간 정면 모습> <6층 전면부에서 올려다본 천창의 모습>
  • 8. < 10층 홀의 모습>
  • 9. <10층 휴게실 카페테리어> <강당 내부모습> <로비 내부모습>
  • 10. 에필로그 (다녀와서..) 처음 중앙 우체국 청사를 보았을 때 예전 만화에서 보았던 마징가-Z 의 머리 부분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최근 이렇게 건축물의 가운데 부분이 벌어져 있는 건축물 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왜 요즘 저런 건축물들 이 많을까? 라는 의문을 가졌었는데 이번 과제로 인해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의 가로세로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사람들로 하여금 그 건축물 때문에 답답함을 느낄 수 있어 법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 이었다. 그래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부분으로 건축물을 갈라서 설계 하는 것이었다. 명동의 거리는 젊음의 거리로 언제나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예전부터 항상 걸을 때 마다 좁은 인도로 인해 사람에게 치이며 걷는 다는 것이 상당히 불쾌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 타워 앞의 인도는 상당히 넓어 관광자들의 쉬었다 가는공간이 되기도 하고 같이 모여 앉아서 수다떠는 수다장이 되기도 하여 좁은 명동 의 거리를 걷다가 포스트 타워앞을 지나게 되면 넓은 인도와 앉을 수 있는 밴치로 인해 피곤한 다리와 답 답한 가슴을 잠시나마 쉴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일정 높이 이상부터는 2개의 MASS로 갈라져 더욱더 답답 한 도심을 트일 수 있게 만든다. 포스트 타워 입구는 양쪽밑으로 선큰으로 되어있고 마치 다리 위를 걷는 느낌을 주었다. 건축물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유리로 마감된 입면에 의해 채광이 좋으며 산뜻한 기분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지하 1,2층 지상 1층 이외에는 일반인이 마음껏 다닐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물론 오피스 의 보안을 위해서 출입이 제한 될 수밖에 없지만 상층부에서 느낄 수 있는 VIEW를 일반인에게도 공개된 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