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기반 교수 학습지도안 양식 이론NCS - ( )
교수 학습지도안 차시( 1/24 )-
교 과 명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교사명 송치원
수업일시
시간( )
2019. 6. 1
분(17 )
능력단위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LM2001020215)
교재쪽 p.3 ~ p.5 평가방법
지필평가
선다형( )능력단위요소
기본문법 활용하기
(2001020215_15v3.1)
최종수업목표 기본문법을 활용할 수 있다
세부
수업목표
1. 와 의 관계와 단위를 설명할 수 있다bit byte .
필요매체
장비 재료/
교수자 학습자
자료 화이트보드PT , 배부자료 평가지,
단계
시간
분( )
학습활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도입
활동
분(2 )
주의
집중
분(1 )
상호인사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한다. 함께 인사한다. 강의법
수업과 관련된 질문으로 관심을 유도한다.
! 손가락 개로 최대 몇까지 셀 수 있을까요10 ?
진수로 표현하면=> 2 210
으로 부터 까지0 1023
이야기에 집중하며 질문에,
답한다.
문답법
세부
수업
목표
제시
분(0.5 )
수업의 내용구성 및 세부목표를 제시한다 자료. (PT #2)
! 비트와 바이트의 관계
! 바이트를 표기하는 단위
수업목표를 경청한다. 강의법
수업 후 알게 될 지식에 대해 소개한다.
! 데이터의 기본 단위와 표기법을 이해할 수 있다.
경청하고 수업을 기대
한다.
강의법
선수
선행( )
학습
확인
분(0.5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개념에 대해 질문한다.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차이점에 대해 대답한다.
문답법
전기로 디지털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한다. 전기의 디지털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대답한다.
문답법
단계
시간
분( )
학습활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전개
활동
분(13 )
수업목표 비트와 바이트의 관계와 단위를 설명할 수 있다1. .
내용
및 예
제시
비트의 정의를 설명한다.
! 의 용어의 유래를 설명한다 자료Bit . (PT #3)
! 데이터의 특성을 설명한다Binary .
설명을 경청한다. 강의법
바이트의 정의를 설명한다.
! 의 구성을설명한다 자료Byte . (PT #4)
! 의 단위와유효범위를 설명한다Byte . 자료(PT #5)
! 단위간의 변환을 구두로 물어본다.
는 몇 인가요- 1 Giga byte Kilo Byte ?
(1,024 * 1,024 = 1,048,576)
설명을 경청한다.
질문에 답변한다.
- 1,048,576 KB
강의법
바이트의 표기법을 설명한다 자료. (PT #6~7)
! 진수 표기법을 설명한다2 .
! 진수 표기법을 설명한다16 .
설명을 경청한다. 강의법
진법의 변환방법을 설명한다 자료. (PT #8)
! 진수를 진수로 변환하는방법을 설명한다10 2 .
! 화이트보드에 적어 진수에서 진수 변환과정을 보여준다10 2 .
! 진수를 진수로 나타내는방법을 설명한다2 16 .
! 화이트보드에 적힌 진수를 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을2 16
보여준다.
설명과 풀이과정을경청한다.
풀이과정을 구두 따라한다.
각자 직접 풀이해본다.
강의법
개별실습
화이트보드( )
단계
시간
분( )
학 습 활 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정리
활동
분(2 )
요약
분(1 )
오늘의 수업내용을 중요부분을 요약한다 자료.(PT #9)
! 와 의 관계bit byte
! 를 표현하는 단위byte
! 진법을 활용한 데이터 표기16
간단한 문제를 통해 학습내용을 확인한다.
수업내용을 상기한다.
수업내용을 상기하며 문제에
답한다.
강의법
문답법
차시
수업
안내
분(1 )
다음 실습시간의 수행내용을 안내한다 자료.(PT #10)
! 컴퓨터 명령어의 구성
! 컴퓨터 명령어 번역기
다음 수업의 연속성을 인지한다. 강의법
평
가
문
제
다음 중 단위 변환이1. 틀린 것은?
① 1,024 Bytes == 1 Kilo Bytes
② 1,024 Kilo Bytes == 1 Mega Bytes
③ 1,024 Mega Bytes == 1 Tera Bytes
④ 1,024 Tera Bytes == 1 Peta Bytes
다음 중 진법의 변환이 옳은 것은2. ?
① 610 == 01012
② F16 == 11102
③ 1210 == D16
④ 10012 == 910
정답: 1. 2.⓷ ⓶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Chiwon Song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Chiwon Song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Chiwon Song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Chiwon Song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Chiwon Song
 
20201121 코드 삼분지계
20201121 코드 삼분지계20201121 코드 삼분지계
20201121 코드 삼분지계
Chiwon Song
 
20200815 inversions
20200815 inversions20200815 inversions
20200815 inversions
Chiwon Song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Chiwon Song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Chiwon Song
 
20190330 immutable data
20190330 immutable data20190330 immutable data
20190330 immutable data
Chiwon Song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Chiwon Song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Chiwon Song
 
20180721 code defragment
20180721 code defragment20180721 code defragment
20180721 code defragment
Chiwon Song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Chiwon Song
 
20171104 FRP 패러다임
20171104 FRP 패러다임20171104 FRP 패러다임
20171104 FRP 패러다임
Chiwon Song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Chiwon Song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Chiwon Song
 
아두이노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RC카 만들기아두이노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RC카 만들기
Chiwon Song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Chiwon Song
 
[4] 아두이노와 인터넷
[4] 아두이노와 인터넷[4] 아두이노와 인터넷
[4] 아두이노와 인터넷
Chiwon Song
 
[2] 아두이노 활용 실습
[2] 아두이노 활용 실습[2] 아두이노 활용 실습
[2] 아두이노 활용 실습
Chiwon Song
 

More from Chiwon Song (20)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20240330_고급진 코드를 위한 exception 다루기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요즘 유행하는 AI 나도 해보자 (feat. CoreML)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20220716_만들면서 느껴보는 POP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20210812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20201121 코드 삼분지계
20201121 코드 삼분지계20201121 코드 삼분지계
20201121 코드 삼분지계
 
20200815 inversions
20200815 inversions20200815 inversions
20200815 inversions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20191116 custom operators in swift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
 
20190330 immutable data
20190330 immutable data20190330 immutable data
20190330 immutable data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20190306 만들면서 배우는 IoT / IoT의 이해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20181020 advanced higher-order function
 
20180721 code defragment
20180721 code defragment20180721 code defragment
20180721 code defragment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20180310 functional programming
 
20171104 FRP 패러다임
20171104 FRP 패러다임20171104 FRP 패러다임
20171104 FRP 패러다임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스크래치로 시작하는 코딩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메이커운동과 아두이노
 
아두이노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RC카 만들기아두이노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RC카 만들기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5] 아두이노로 만드는 IoT
 
[4] 아두이노와 인터넷
[4] 아두이노와 인터넷[4] 아두이노와 인터넷
[4] 아두이노와 인터넷
 
[2] 아두이노 활용 실습
[2] 아두이노 활용 실습[2] 아두이노 활용 실습
[2] 아두이노 활용 실습
 

[20190601] 직업훈련교사_수업의실행_교안

  • 1. 기반 교수 학습지도안 양식 이론NCS - ( ) 교수 학습지도안 차시( 1/24 )- 교 과 명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교사명 송치원 수업일시 시간( ) 2019. 6. 1 분(17 ) 능력단위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LM2001020215) 교재쪽 p.3 ~ p.5 평가방법 지필평가 선다형( )능력단위요소 기본문법 활용하기 (2001020215_15v3.1) 최종수업목표 기본문법을 활용할 수 있다 세부 수업목표 1. 와 의 관계와 단위를 설명할 수 있다bit byte . 필요매체 장비 재료/ 교수자 학습자 자료 화이트보드PT , 배부자료 평가지, 단계 시간 분( ) 학습활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도입 활동 분(2 ) 주의 집중 분(1 ) 상호인사로 밝은 분위기를 조성한다. 함께 인사한다. 강의법 수업과 관련된 질문으로 관심을 유도한다. ! 손가락 개로 최대 몇까지 셀 수 있을까요10 ? 진수로 표현하면=> 2 210 으로 부터 까지0 1023 이야기에 집중하며 질문에, 답한다. 문답법 세부 수업 목표 제시 분(0.5 ) 수업의 내용구성 및 세부목표를 제시한다 자료. (PT #2) ! 비트와 바이트의 관계 ! 바이트를 표기하는 단위 수업목표를 경청한다. 강의법 수업 후 알게 될 지식에 대해 소개한다. ! 데이터의 기본 단위와 표기법을 이해할 수 있다. 경청하고 수업을 기대 한다. 강의법 선수 선행( ) 학습 확인 분(0.5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개념에 대해 질문한다.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차이점에 대해 대답한다. 문답법 전기로 디지털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한다. 전기의 디지털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대답한다. 문답법
  • 2. 단계 시간 분( ) 학습활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전개 활동 분(13 ) 수업목표 비트와 바이트의 관계와 단위를 설명할 수 있다1. . 내용 및 예 제시 비트의 정의를 설명한다. ! 의 용어의 유래를 설명한다 자료Bit . (PT #3) ! 데이터의 특성을 설명한다Binary . 설명을 경청한다. 강의법 바이트의 정의를 설명한다. ! 의 구성을설명한다 자료Byte . (PT #4) ! 의 단위와유효범위를 설명한다Byte . 자료(PT #5) ! 단위간의 변환을 구두로 물어본다. 는 몇 인가요- 1 Giga byte Kilo Byte ? (1,024 * 1,024 = 1,048,576) 설명을 경청한다. 질문에 답변한다. - 1,048,576 KB 강의법 바이트의 표기법을 설명한다 자료. (PT #6~7) ! 진수 표기법을 설명한다2 . ! 진수 표기법을 설명한다16 . 설명을 경청한다. 강의법 진법의 변환방법을 설명한다 자료. (PT #8) ! 진수를 진수로 변환하는방법을 설명한다10 2 . ! 화이트보드에 적어 진수에서 진수 변환과정을 보여준다10 2 . ! 진수를 진수로 나타내는방법을 설명한다2 16 . ! 화이트보드에 적힌 진수를 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을2 16 보여준다. 설명과 풀이과정을경청한다. 풀이과정을 구두 따라한다. 각자 직접 풀이해본다. 강의법 개별실습 화이트보드( )
  • 3. 단계 시간 분( ) 학 습 활 동 교육방법 기타( )교수자 활동 학습자 활동 정리 활동 분(2 ) 요약 분(1 ) 오늘의 수업내용을 중요부분을 요약한다 자료.(PT #9) ! 와 의 관계bit byte ! 를 표현하는 단위byte ! 진법을 활용한 데이터 표기16 간단한 문제를 통해 학습내용을 확인한다. 수업내용을 상기한다. 수업내용을 상기하며 문제에 답한다. 강의법 문답법 차시 수업 안내 분(1 ) 다음 실습시간의 수행내용을 안내한다 자료.(PT #10) ! 컴퓨터 명령어의 구성 ! 컴퓨터 명령어 번역기 다음 수업의 연속성을 인지한다. 강의법 평 가 문 제 다음 중 단위 변환이1. 틀린 것은? ① 1,024 Bytes == 1 Kilo Bytes ② 1,024 Kilo Bytes == 1 Mega Bytes ③ 1,024 Mega Bytes == 1 Tera Bytes ④ 1,024 Tera Bytes == 1 Peta Bytes 다음 중 진법의 변환이 옳은 것은2. ? ① 610 == 01012 ② F16 == 11102 ③ 1210 == D16 ④ 10012 == 910 정답: 1. 2.⓷ 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