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09. 7
서           문

국민 생활의 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인터넷에는 단순한 정보 습득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교육, 쇼핑, 금융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고 소통하려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반영한 서비스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SNS는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도구이자, 관계를 기반으로 한 사람들의 참여로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교류, 소비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마케팅․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우리나라에서 SNS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이용자의 SNS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61.3%가 'SNS 이용자'로 나타나, SNS가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주로 '친교․교제를 위해(93.0%)' SNS를 이용하며,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71.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SNS가 인맥관리는 물론 생산적
관계 형성에도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본 조사의 결과가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 및 인터넷 이용자의 행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
하여 정부의 정책 수립 및 학계의 연구 활동, 업계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09년 7월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박 승 규
참 여 연 구 원: 서   재   철
          조    찬   형
          김    주   영
          안    인   회
          나    은   아
          황    혜   선
이 용 자 를 위 하 여




1. 통계표와 도표내의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부 항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 복수응답은 한 개 이상(1-3순위 또는 모두 선택) 응답한 결과치를 집계(비가중)한 결과임

3. 통계표 중 사용된 기호의 뜻은 다음과 같음

  - : 해당 숫자 없음      0 : 단위 미만

4.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자료임을
  밝혀야 함

5. 일부 설문문항의 경우 표본오차를 고려하여 독립 변수를 제한하여 분석함

6. 동 조사의 결과는 인터넷조사로써 전국민의 일반화된 의식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본 보고서는「인터넷이용실태조사」(국가통계승인번호 제12005호)의 부가조사 결과임
요         약         문

1. 조사 목적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에서 더 나아가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공간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Site)의 이용 현황 및 행태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




2. 조사 개요
 조사 대상 : 만12-49세의 인터넷 이용자

 유효 응답자수 : 3,000명

 조사 기간 : 2009. 3. 26 - 3. 31 (6일간)

 조사 방법 : 이메일 전송을 통한 인터넷 조사



3. 조사 내용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


 SNS를 통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SNS 이용시 불편 및 피해 경험


 모바일 SNS 이용 현황


 SNS 이용 전망




                             - I -
4. 주요 조사 결과

가. SNS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61.3%가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SNS 이용자'로 나타남


 남성의 SNS 이용률은 60.9%, 여성은 61.8%이며, 연령별로는 20대와 만12-19세의 이용률이
 각각 77.7%와 70.1%로 상대적으로 높음


 SNS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및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이 각각 56.4%와
 54.4%로 조사됨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서비스

   전체            61.3          56.4     54.4       47.2         9.9           4.4
  남 성            60.9          56.9      52.2      46.9         12.0          4.6
  여 성            61.8          55.9     56.8       47.5         7.7           4.1
 12-19세          70.1          62.7      62.4      46.8         9.2           6.2
  20대            77.7          72.3      74.8      68.5         17.8          8.2
  30대            55.5          51.0     48.8       44.9         5.7           2.2
  40대            44.3          41.4     33.5       27.9         7.1           1.6




나. SNS 이용 행태

 일평균 SNS 이용시간은 2.5시간이며, 일평균 3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도 37.3%임
                                                                         (단위: %, 시간)

  SNS                                                                         일평균
          1시간           1-2      2-3     3-4     4-5      5-6         6시간
 이용자                                                                          (시간)
           미만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이상

 100.0    18.2          23.8     20.7    16.8    10.0     5.1          5.4     2.5




                                        - II -
SNS의 주된 이용 목적은 '친교․교제를 위해서(93.0%)'이며,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
공유' 또는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 이용하는 경우도 각각 81.0%,
78.3%임
                                                                              (단위: %)
    구      분                 이용률              구 분                   이용률
                                           재미와 즐거움을
친교․교제를 위해서                   93.0                                      63.4
                                              위해서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사업이나 업무, 학업
                              81.0                                     55.3
   관심사 공유                                등에 필요한 정보 습득
  취미․여가 활동                                시사, 현안 문제 등에
                             78.3                                      14.9
 (정보 공유 포함)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
 일상생활에 관한
                              65.7                기타                   2.5
   정보 습득



SNS 이용자의 39.8%가 SNS 이용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유형별로는 '블로그․미니
홈피' 이용자(38.2%)가 가장 많음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서비스

  전체           39.8          9.9      38.2            5.2     9.7             22.2




SNS 이용자의 대부분(98.6%)이 SNS를 통해 기존의 오프라인 인맥을 관리하고 있으며,
SNS를 통해 새로운 인맥을 형성한 경험이 있거나 신규 인맥을 현재 관리중인 경우도
각각 87.9%와 53.6%임
                                                                              (단위: %)
   구분          오프라인 인맥 관리자           신규 인맥 형성 경험자            신규 인맥 형성․관리자
SNS 이용자               98.6                     87.9                 53.6
   남 성                97.9                     88.6                 57.1
   여 성                99.4                     87.2                 49.8
  12-19세              97.6                     87.9                 62.9
    20대               99.7                     92.0                 53.6
    30대               98.1                     85.9                 49.8
    40대               98.6                     83.4                 47.9



                                     - III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95.4%)이 향후 SNS 이용 의향자이며,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의향이 82.6%로 가장 높음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서 비스     서비스

  전체     95.4      82.6          78.7          64.5      47.1        30.5




다.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5.4%가 월 1회 이상 휴대전화,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SNS(모바일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단위: %)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SNS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전체        5.4           2.3            4.6           2.4          0.5




                                - IV -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 1
          ·······································
2. 조사 내용 및 범위 ··································· 2
              ···································
               ···································
3. 주요 용어 및 정의 ··································· 3
              ···································
               ···································
4. 조사 체계 ········································
         ······································· 4
          ·······································
5. 표본 설계 ········································
         ······································· 5
          ·······································
  가. 모집단 ··········································· 5
         ···········································
          ···········································
  나. 표본 할당 ··········································
           ········································· 5
            ·········································
  다. 표본 추출 ··········································
           ········································· 5
            ·········································
6. 자료 처리 및 분석 ··································· 6
              ···································
               ···································
  가. 자료 검증 ··········································
           ········································· 6
            ·········································
  나. 자료 분석 ··········································
           ········································· 6
            ·········································
7. 가중치 산출 및 적용 ·································· 7
               ··································
                ··································
8. 표본(응답자) 현황 ····································
              ··································· 8
               ···································


제2장 SNS 이용 현황
1. SNS 이용률 ·······································
           ······································ 9
            ······································
  가. SNS 이용자 정의 ······································9
                ······································
                 ·····································
  나. SNS 이용률 ········································10
             ········································
              ·······································
  다. 학력별 SNS 이용률 ···································· 11
                 ····································
                  ····································
  라. 직업별 SNS 이용률 ···································· 11
                 ····································
                  ····································
  마. SNS 유형별 이용률 ···································· 12
                 ····································
                  ····································
2. SNS 이용 행태 ···································· 13
             ····································
              ····································
  가. SNS 이용 기간 ······································ 13
               ······································
                ······································
  나. SNS 이용 동기 ······································ 14
               ······································
                ······································
  다. SNS 이용 시간 ······································ 16
               ······································
                ······································
  라. SNS 이용 목적 ······································ 17
               ······································
                ······································
  마.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19
                              ··························
                               ·························
  바.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 ································21
                      ································
                       ·······························
  사.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22
                    ··································
                     ·································



                         - V -
3.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 24
                        ··························
                         ··························
  가.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
                    ································· 24
                     ·································
  나. SNS 주요 기능별 만족도 ··································
                    ································· 25
                     ·································
4. SNS 이용의 불편․피해 ·································26
                 ·································
                  ································
  가.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 26
                      ································
                       ································
  나.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
                         ····························· 27
                          ·····························


제3장 SNS 유형별 이용 현황
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현황 ····························
                      ··························· 29
                       ···························
  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 29
                      ·······························
                       ·······························
  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 ······························
                        ····························· 30
                         ·····························
  다.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시간 및 빈도 ························· 30
                             ·························
                              ·························
  라.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 ······························
                        ····························· 31
                         ·····························
2.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현황 ·······························32
                  ·······························
                   ······························
  가.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
                  ·································· 32
                   ··································
  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 ·································33
                    ·································
                     ································
  다.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시간 및 빈도 ·····························
                         ···························· 33
                          ····························
  라.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목적 ·································34
                    ·································
                     ································
3.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현황 ······························ 35
                  ······························
                   ······························
  가.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 ·································· 35
                  ··································
                   ··································
  나.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기간 ·································
                    ································ 36
                     ································
  다.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시간 및 빈도 ···························· 36
                         ····························
                          ····························
  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목적 ·································
                    ································ 37
                     ································
4.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현황 ····························
                      ··························· 38
                       ···························
  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률 ······························· 38
                      ·······························
                       ·······························
  나.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기간 ······························39
                        ······························
                         ·····························
  다.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시간 및 빈도 ··························
                             ························· 39
                              ·························
  라.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목적 ······························40
                        ······························
                         ·····························




                         - VI -
제4장 SNS와 인맥 관리
1.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
                      ··························· 43
                       ···························
  가.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 ··························· 43
                           ···························
                            ···························
  나.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의향 ··························· 45
                           ···························
                            ···························
2.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
                         ························· 46
                          ·························
  가.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46
                              ·························
                               ························
  나.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방법 ····························· 48
                         ·····························
                          ·····························


제5장 모바일 SNS 이용
1. 모바일 SNS 이용 현황 ·································
                 ································ 49
                  ································
2. 모바일 SNS 이용 시간 ·································
                 ································ 50
                  ································
3.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 ································
                  ······························· 51
                   ·······························


제6장 SNS 이용 전망
1. SNS 이용 의향 ···································· 53
             ····································
              ····································
2. 모바일 SNS 이용 의향 ·································
                 ································ 54
                  ································
3. SNS 추천 의향 ···································· 55
             ····································
              ····································


제7장 SNS와 광고
1. SNS 광고 게시 경험 ··································
                ································· 57
                 ·································
2. SNS 광고 게시에 대한 견해 ······························58
                    ······························
                     ·····························
3. SNS 광고 게시 의향 ··································
                ································· 59
                 ·································


<부록1> 설문지 ······································
          ····································· 61
           ·····································
<부록2> 통계표 ······································
          ····································· 73
           ·····································




                         - VII -
<그림2-1> SNS 이용자 정의 ·································· 9
                   ··································
                    ··································
<그림2-2> SNS 이용률 ···································· 10
                ····································
                 ····································
<그림2-3> 학력별 SNS 이용률 ·································
                    ································ 11
                     ································
<그림2-4> 직업별 SNS 이용률 ·································
                    ································ 11
                     ································
                    ································ 12
<그림2-5> SNS 유형별 이용률 ·································
                     ································
<그림2-6>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 13
                          ····························
                           ····························
<그림2-7>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 14
                                ·······················
                                 ·······················
<그림2-8>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 16
                              ························
                               ························
<그림2-9> 성․연령별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
                                    ··················· 16
                                     ···················
<그림2-10>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
                                 ······················ 17
                                  ······················
<그림2-11>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수-SNS 이용자 ··················· 19
                                     ···················
                                      ···················
<그림2-12> SNS 유형별 월 1회 이상 이용 계정 수 ······················ 19
                                 ······················
                                  ······················
<그림2-13>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 이유(복수응답)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자 ·····················20
                                ·····················
                                 ····················
<그림2-14>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SNS 이용자 ····················· 21
                                  ·····················
                                   ·····················
<그림2-15> SNS 유형별 이용 비용 지출 현황-SNS 유형별 이용자 ···············
                                         ·············· 21
                                          ··············
<그림2-16> SNS 이용 행동-SNS 이용자 ····························
                           ··························· 22
                            ···························
<그림2-17> SNS 이용 인식-SNS 이용자 ····························
                           ··························· 23
                            ···························
<그림2-18>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SNS 이용자 ······················
                                 ····················· 24
                                  ·····················
<그림2-19>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SNS 이용자 ····················· 25
                                 ·····················
                                  ·····················
<그림2-20>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복수응답)-SNS 이용자 ·················
                                        ················ 26
                                         ················
<그림2-21> 성․연령별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SNS 이용자 ·················
                                        ················ 26
                                         ················
<그림2-22>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복수응답)-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 ····· 27
                                                     ·····
                                                      ·····
<그림3-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
                         ··························· 29
                          ···························
<그림3-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
                                            ·········· 30
                                             ··········
<그림3-3>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빈도 및 시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
                                                  ····· 30
                                                   ·····
<그림3-4>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복수응답)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31
                                                   ·····
                                                    ····
<그림3-5>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32
                     ·······························
                      ······························
<그림3-6>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 33
                                    ·················
                                     ·················
<그림3-7>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빈도 및 시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33
                                         ·············
                                          ············
<그림3-8>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목적(복수응답)-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 34
                                          ············
                                           ············



                         - VIII -
<그림3-9>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 ·······························
                     ······························ 35
                      ······························
<그림3-10>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기간-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36
                                     ················
                                      ···············
<그림3-11>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빈도 및 시간-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
                                          ··········· 36
                                           ···········
<그림3-12>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목적(복수응답)-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37
                                           ···········
                                            ··········
<그림3-13>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률 ···························38
                          ···························
                           ··························
<그림3-14>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기간-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 39
                                             ··········
                                              ··········
<그림3-15>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시간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
                                                   ····· 39
                                                    ·····
<그림3-16>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목적(복수응답)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40
                                                    ·····
                                                     ····
<그림4-1>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복수응답)-SNS 이용자 ············ 43
                                            ············
                                             ············
<그림4-2> 성․연령별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SNS 이용자 ············43
                                            ············
                                             ···········
<그림4-3>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의향 ························
                              ······················· 45
                               ·······················
<그림4-4>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SNS 이용자 ···············46
                                         ···············
                                          ··············
<그림4-5> SNS에서 형성한 신규 인맥과 오프라인에서 만난 경험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경험자 ························47
                            ························
                             ·······················
<그림4-6>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방법(복수응답)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관리자 ·· 48
                                                        ··
                                                         ··
<그림5-1> 모바일 SNS 이용 현황 ·······························49
                      ·······························
                       ······························
<그림5-2> 성․연령별 모바일 SNS 이용 현황 ··························49
                            ··························
                             ·························
<그림5-3> 일평균 모바일 SNS 이용 시간-모바일 SNS 이용자 ·················50
                                      ·················
                                       ················
<그림5-4>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복수응답)-모바일 SNS 비이용자 ··············
                                          ············· 51
                                           ·············
<그림6-1> 향후 SNS 이용 의향 ································53
                     ································
                      ·······························
<그림6-2> SNS 유형별 향후 SNS 이용 의향 ··························
                             ························· 53
                              ·························
<그림6-3> 향후 모바일 SNS 이용 의향 ···························· 54
                         ····························
                          ····························
<그림6-4> SNS 추천 의향(복수응답) ······························55
                        ······························
                         ·····························
<그림7-1> SNS 광고 게시 경험-SNS 이용자 ··························
                             ························· 57
                              ·························
<그림7-2> SNS 광고 게시 이유-SNS 광고 게시 경험자 ···················· 57
                                   ····················
                                    ····················
<그림7-3> SNS 광고 게시에 대한 견해-SNS 이용자 ······················
                                 ····················· 58
                                  ·····················
<그림7-4> SNS 광고 게시 의향 ································59
                     ································
                      ·······························




                         - IX -
<표1-1> 표본 특성표 ······································8
              ······································
               ·····································
<표2-1> 성․연령별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 13
                               ························
                                ························
<표2-2> 성․연령별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 15
                                     ···················
                                      ···················
<표2-3> 성․연령별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 18
                                     ···················
                                      ···················
<표4-1> SNS 유형별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복수응답) -SNS 유형별 이용자 ···
                                                        ·· 44
                                                         ··
<표4-2> 성․연령별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SNS 이용자 ···········46
                                              ···········
                                               ··········




                          - X -
1. 조사 목적


인터넷은 단순한 정보 습득을 위한 공간을 넘어 사람들이 모여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고 소통하려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반영한 서비스인 SNS가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관계와 상호작용, 대화로 대표되는 SNS는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에서 더 나아가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공간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로까지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으며,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마케팅 수단, 정부나
정치인들의 정책 홍보 수단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조사는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를 파악하여 정부 정책
및 업계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 학계의 연구 활동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의성 있는 최신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SNS 이용률에 대한 정량적 측정 및 이용행태 분석


  SNS 유형(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등)별 이용현황
  분석


  SNS를 통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분석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분석


  향후 SNS 이용 전망 등



                                                     1
2. 조사 내용 및 범위
    본 조사는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 SNS를 통한 인맥 형성․관리 현황,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등을 파악하고, 향후 SNS 이용을 전망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의 구체적인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구분                             세 부 항 목

                 ․ SNS 이용률
                 ․ SNS 이용 기간, 동기, 시간, 목적 등
                 ․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SNS 이용 현황
                 ․ SNS 이용시 비용 지출 여부
     및 이용 행태
                 ․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및 대응 방법

                 ․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 및 향후 의향
     SNS를 통한
                 ․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관리 현황 및 방법
     인맥 형성․관리
                 ․ SNS를 통한 신규 인맥과의 오프라인 만남 경험

     SNS 이용의     ․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불편․피해 경험    ․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 모바일 SNS 이용 여부
     모바일 SNS
                 ․ 모바일 SNS 이용 시간
      이용 현황
                 ․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 및 향후 이용 의향

                 ․ 향후 SNS 이용 의향(SNS 유형별, 모바일 SNS 이용 의향 등)
     SNS 이용 전망
                 ․ 타인에게 SNS 추천 의향

                 ․ 본인의 SNS에 인터넷광고 게시 경험 및 이유
      SNS 광고
                 ․ SNS 광고 게시에 대한 의견
      게시 경험
                 ․ 향후 본인의 SNS에 인터넷광고 게시 의향




2
3. 주요 용어 및 정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Site)

 :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정보공유, 인맥관리, 자기표현 등을 통해
  유지․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또는 사이트)

 - SNS 이용자(률)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인터넷 상에서 취미나 관심분야가 유사한 사람들이 서로의 정보를
                     교류하거나 친목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한 모임

 -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카페․클럽․
   인터넷동호회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블로그․미니홈피: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 전문자료, 사진 등을 게시․저장하여
               타인과 공유하는 대표적인 1인 미디어

 -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블로그․미니홈피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블로그․미니홈피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인스턴트 메신저: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개인끼리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3
-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인스턴트 메신저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인맥관리(교류) 서비스:인터넷 상에서 개인의 프로필을 기반으로 타인과 인맥을 형성하고
                      메시지 전송이나 의견 및 콘텐츠 공유 등을 통해 교류하며 인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인맥관리(교류) 서비스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인맥관리
        (교류)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가상현실 서비스:본인을 대신하는 아바타(Avatar)를 생성하여 사람들과 교류하며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삶을 살아가는 3D 온라인 가상세계 서비스

     - 가상현실 서비스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가상현실 서비스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




    4. 조사 체계
     조사 대상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유효 응답자수 : 3,000명

     조사 기간 : 2009. 3. 26 - 3. 31 (6일간)

     조사 방법 : 이메일을 통한 인터넷 조사

     조사 절차 : 표본 추출 → 인터넷 설문참여 메일 발송 → 자료 집계 → 보완조사 및
              재조사 → 최종 자료 검증



4
조사 기관

 - 주관기관 : 방송통신위원회

 - 전담기관 : 한국인터넷진흥원



5. 표본 설계

가. 모집단

 목표모집단(Target Population)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조사모집단(Survey Population)

 : 2009년 3월 현재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이메일 이용자


나. 표본 할당

 개 요 : 다단층화 비례할당

 - 『200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를 기반으로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지역(4개 권역)별 및 성×연령별 이메일 이용자수에 따른 비례할당


 층화 변수

 - 지역(4개 권역) : 서울, 6개 광역시, 경기, 경기 외 8개도

 - 성(2개) : 남성, 여성

 - 연령(8개) : 만12-14세, 만15-19세, 만20-24세, 만25-29세, 만30-34세, 만35-39세,
            만40-44세, 만45-49세


다. 표본 추출

 표본틀 : 실사수행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만12-49세 인터넷 조사 패널(2009년 3월 기준
       469,072명)

 표본 추출 방법




                                                                    5
- 1차 표본 추출 : 인터넷 조사 패널을 층화 변수(지역, 성×연령)에 따라 분류한 후
                각 층별로 할당된 표본수를 기반으로 임의 추출(random sampling)
                (단, 인터넷 조사의 응답률을 고려하여 목표 표본수의 5배수를 1차
                추출함)

     - 2차 표본 추출 : 1차 추출에서 제외된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1차 추출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체 표본 추출




    6. 자료 처리 및 분석

    가. 자료 검증

     실사 과정에서 자료 검증

     - 문항간 논리성, 분기 흐름 등이 반영된 설문 프로그램을 개발․이용함으로써 무응답,
      응답오류 등을 사전 통제

     - 응답자의 이메일 주소 및 IP 제어를 통해 동일 응답자의 중복 참여 방지

     - 평균 응답시간을 기반으로 응답 소요시간이 평균보다 과다 또는 과소인 경우 해당 자료
      대체


     분석 과정에서 자료 검증

     - 내검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 수집된 자료에 대한 문항간 논리성 검증

     - 검증결과 불합격된 자료에 대한 보완 및 재조사 실시


    나. 자료 분석

     다단계 검증 과정에서 최종 합격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통계패키지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됨

     - 응답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일련번호로 부호화하거나
      자료 입력시 제외함
     분석 변수 : 성, 연령, 성×연령, 학력, 직업, 일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인터넷 이용기간


6
7. 가중치 산출 및 적용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후층화(post-stratification)'
 방법에 따라 가중치 산출 및 적용

 - 『200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의 인터넷 이용자수를 모집단으로 활용하여
  지역별(4개 권역) 및 성×연령별 가중치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가중치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음
                                    

           권역별    가중치1(권역별 가중치)

            권역    내 최종 확정된 유효표본수

           인터넷이용자수에 비례할당했을 경우의               권역의     표본수

            권역을 나타내는 첨자 (  =1-4)



                                     

             셀별 가중치2(성×연령별 가중치)

              셀별 최종 확정된 유효표본수

          인터넷이용자수에 비례할당했을 경우의                  셀별 표본수

            성을 나타내는 첨자 (  =1-2)

            연령을 나타내는 첨자 (  =1-8)




 따라서, 특정 변수에 대한 비율 추정식은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특정 변수에 대한 모비율(추정값)

         특정 변수에 대한 (    )셀의 비율(조사된 값)




                                                              7
8. 표본(응답자) 현황

     <표1-1> 표본 특성표
                           표본수(명)   구성비(%)
             전체             3,000    100.0
                   남성       1,605     53.5
       성
                   여성       1,395     46.5
                 12-19세      616      20.5
                   20대       833      27.8
      연령
                   30대       893      29.8
                   40대       658      21.9
               남성 12-19세     322      10.8
                남성 20대       433      14.5
                남성 30대       472      15.7
                남성 40대       378      12.6
     성×연령
               여성 12-19세     294       9.8
                여성 20대       400      13.3
                여성 30대       421      14.0
                여성 40대       280      9 .3
                 초․중학생       297      9 .9
                 고등학생        233       7 .7
      학력        대학(원)생       518      17 .3
                 고졸이하        428      14 .3
                 대졸이상       1,524     50.8
                전문․관리직       272      9 .0
                  사무직        738      24.6
               서비스․생산직       338      11.3
      직업
                   학생       1,048     34.9
                   주부        335      11.2
                 무직․기타       269       9.0
                2시간 미만       484      16.1
      일평균        2-3시간       540      18.0
      인터넷        3-4시간       562      18.7
     이용시간        4-6시간       749      25.0
                6시간 이상       665      22.2
                 3년 미만        58       1.9
      인터넷         3-5년       213       7.1
     이용기간         5-7년       378      12.6
                 7년 이상      2,351     78.4



8
1. SNS 이용률

 가. SNS 이용자 정의

 본 조사에서 SNS 이용자는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
 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활동을 활발히 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그림2-1> SNS 이용자 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류 활동을
       '월 1회 이상' 이용                '자주' 또는 '매우 자주'(5점 척도)하는 경우




                                                                 9
나. SNS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61.3%가 'SNS 이용자'이며, 남성과 여성의 SNS 이용률은 각각
     60.9%와 61.8%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20대 및 만12-19세의 SNS 이용률이 각각 77.7%와 70.1%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30대와 40대는 55.5%와 44.3%로 조사되었다.

     <그림2-2> SNS 이용률                                           (단위:%)




                                          77.7
                                  70.1
          61.3    60.9   61.8                    55.5
                                                        44.3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10
다. 학력별 SNS 이용률

전반적으로 일반인에 비해 학생의 SNS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학생의 경우에는
대학(원)생의 이용률이 76.8%로 가장 높고, 초․중학생 및 고등학생도 각각 71.2%와 67.4%로
조사되었다.

학생을 제외한 일반인의 경우, 대졸이상 학력자의 58.0%가 SNS 이용자이며, 고졸이하의
이용률은 47.4%로 나타났다.

<그림2-3> 학력별 SNS 이용률                                    (단위:%)

                                 학생   일반인


       71.2               76.8
                67.4
                                                58.0
                                        47.4




     초·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원)생        고졸이하    대졸이상




라. 직업별 SNS 이용률

직업별로는 학생의 SNS 이용률이 74.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문․관리직(63.9%),
사무직(62.3%), 주부(47.4%) 등의 순이었다.

<그림2-4> 직업별 SNS 이용률                                    (단위:%)



                                        74.3
       63.9     62.3
                          46.7                  47.4




    전문·관리직      사무직     서비스·생산직         학생      주부




                                                                11
마. SNS 유형별 이용률

     인터넷 이용자의 과반수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56.4%)' 및 '블로그․미니홈피(54.4%)'와
     같은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맥관리(교류) 서비스'와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각각 9.9%와 4.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림2-5> SNS 유형별 이용률                                (단위:%)




           56.4      54.4     47.2

                                        9.9       4.4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12
2. SNS 이용 행태

가. SNS 이용 기간

SNS 이용자의 대부분(86.9%)이 '3년 이상'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 신규 이용자는
2.4%에 불과했다.

 <그림2-6>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단위:%)



                        1-2년     1년 미만
                 2-3년    3.0       2.4
                  7.7



                                         3년 이상
                                           86.9




SNS를 3년 이상 이용한 경우는 남성(86.2%)과 여성(87.5%)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및 30대가 각각 96.2%와 92.0%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표2-1> 성․연령별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1-2년           2-3년     3년 이상
 남 성       2.3             2.7            8.8      86.2
 여 성       2.6             3.3            6.6      87.5
12-19세     5.6             5.4           13.8      75.2
 20대       0.8             0.6            2.4      96.2
 30대       0.8             2.1            5.1      92.0
 40대       3.9             5.6            14.1     76.4




                                                                   13
나. SNS 이용 동기

     SNS 이용자의 대부분이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93.6%)' 또는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4.5%)',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83.8%)' SNS를
     처음 이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다양한 분야의 정보습득을 위해서(55.8%)',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51.8%)'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도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2-7>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93.6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                             84.5
                   서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                           83.8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                     64.0


               다양한 분야의 정보습득을 위해서               55.8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            51.8
                     서


                  이미 가입된 회원의 초대로       22.9




14
남성은 '지식, 정보 등의 공유(87.1%)'나 '다양한 분야 정보 습득(59.1%)',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57.3%)'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다소 많고,
여성은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 공유(86.7%)',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67.5%)' 이용한 경우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90.2%)'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았으며, 만12-19세는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
(79.9%)' 이용하게 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표2-2> 성․연령별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개인의             호기심           사업이나
                                         다양한
          친교․      일상     지식,      또는           업무, 학업    이미
                                         분야의
          교제에    생활이나    정보 등을    새로운             등에     가입된
                                          정보
         도움이 될   관심사를    공유하기     재미나            도움이     회원의
                                         습득을
         것 같아서   공유하기     위해서    즐거움을            될 수     초대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있어서
 남 성      92.5   82.6     87.1   60.7    59.1    57.3    19.2
 여 성      94.9    86.7    80.3    67.5   52.3    45.8    26.8
12-19세    91.3   85.9     79.2    79.9   52.8    27.2    19.4
 20대      98.4   90.2     85.0    72.6   56.0    58.0    28.5
 30대      93.8   82.8     84.9    54.7   55.0    60.2    22.0
 40대      87.4    75.1    86.0    42.4   60.5    58.0    18.1




                                                                  15
다. SNS 이용 시간

     SNS 이용자는 일평균 2.5시간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평균 3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도
     37.3%로 나타났다.

     <그림2-8>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단위:%)



                                  6시간                        일평균 2.5시간
                37.3                      1시간
                                  이상
                           5-6시간 5.4      미만
                              5.1          18.2
                                                    1-2시간
                       4-5시간
                                                      23.8
                         10.0

                         3-4시간
                           16.8                2-3시간
                                                 20.7




     여성의 일평균 SNS 이용시간은 2.6시간으로 남성(2.4시간)보다 다소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이용시간이 일평균 3.1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그림2-9> 성․연령별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단위:시간)




          2.5          2.4        2.6               3.1
                                         2.3                   2.4       1.9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16
라. SNS 이용 목적

SNS의 주된 이용 목적은 '친교․교제를 위해서(93.0%)'이며, 다음으로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1.0%)',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78.3%)'
등의 순이었다.

한편, SNS 이용자의 과반수가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5.7%)' 또는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55.3%)'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0>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친교·교제를 위해서                                    93.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                              81.0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                           78.3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65.7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63.4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등에 필요한
       사업이나 업무, 학업 정보를 얻기
                                       55.3
            위해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시사, 현안 문제 등에시사, 현안 문제 등에 대한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위해서    14.9
            위해서




                                                                        17
남성은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0.9%)' SNS를 이용하는
     경우가 여성보다 많았으며, 여성은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8.2%)',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67.5%)' 이용하는 경우가 다소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친교․교제를 위해서(97.1%)',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5.7%)' SNS를 이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만12-19세는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76.2%)'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표2-3> 성․연령별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사업이나
                      개인의      취미․    일상                       시사,
                                                    업무, 학업
                     일상생활      여가    생활에     재미와             현안 문제
              친교․                                     등에
                       이나    활동(정보    관한    즐거움을             등에 대한
              교제를                                    필요한
                     관심사를      공유    정보를      얻기             의견 표현
              위해서                                    정보를
                     공유하기     포함)을    얻기     위해서             및 공유를
                                                      얻기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남 성     91.3    79.4    78.5   63.4   59.6     60.9     17.8
      여 성     94.8    82.7    78.2   68.2    67.5    49.3     11.7
     12-19세   90.1    76.6    83.5   57.4    76.2    30.2     13.8
      20대     97.1    85.7    80.0   64.9    71.8    64.2     14.5
      30대     94.5   82.9     75.7   70.2   55.8     60.1     13.2
      40대     86.8    75.1    72.9   70.9    43.7    62.7     19.4




18
마.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SNS 이용자의 과반수(55.6%)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 가운데 3개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1>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수-SNS 이용자                                   (단위:개)



                                 4개      5개
                                 16.3    2.8   1개
                                               5.0

             3개
             55.6
                                                      2개
                                                      20.3




SNS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SNS의 총 계정 수는 평균 9.2개이며,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계정이
평균 5.6개로 가장 많고, 블로그․미니홈피 및 인스턴트 메신저는 각각 2.8개와 1.6개로
조사되었다.

<그림2-12> SNS 유형별 월 1회 이상 이용 계정 수                                       (단위:개)


      9.2
                    5.6
                           2.8
                                         1.6             1.3     1.0

   SNS 이용자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19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교류중인 친구들이 여러 SNS를
     이용하고 있어서'가 69.1%로 가장 많았으며, 'SNS마다 모두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및 '개인용, 업무용 등 목적에 따라 다르게 이용하기 위해서'도 각각 56.5%와 50.3%로
     나타났다.


     <그림2-13>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 이유(복수응답)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자                           (단위:%)



     교류중인 친구들이 여러 SNS를 이용하고 있어서                           69.1


      SNS마다 모두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56.5


     개인용, 업무용 등개인용, 업무용 등 목적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다르게 이용하기
                                                 50.3
                  다르게 이용하기 위해서
                위해서


      여러 SNS의 부가서비스·콘텐츠 이용을 위해서           27.7


             새로운 SNS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14.5




20
바.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

SNS 이용자의 39.8%가 SNS를 이용하면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여성(47.3%)이
남성(32.9%)보다 지출 비율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과반수인 50.8%가 SNS 이용을 위해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만12-19세(45.7%), 30대(31.4%), 40대(25.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2-14>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SNS 이용자                                               (단위:%)




                               47.3    45.7     50.8
    39.8         32.9                                     31.4           25.2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SNS 유형별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는 경우는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가 38.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상현실 서비스(22.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9.9%), 인맥관리
(교류) 서비스(9.7%) 등의 순이었다.

<그림2-15> SNS 유형별 이용 비용 지출 현황-SNS 유형별 이용자                                        (단위:%)



                        38.2
                                                                  22.2
           9.9                                     9.7
                                       5.2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21
사.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SNS 이용자의 71.5%가 SNS를 통해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이 있으며, '타인의 게시물에 댓글 게시 또는 타인에게 쪽지 전송(63.5%)'을
     하거나 '과거에 알던 사람 또는 오프라인 지인의 정보를 검색한 경험(61.9%)'이 있는
     경우도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2-16> SNS 이용 행동-SNS 이용자                                                                             (단위:%)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비율


                             1.1                     71.5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이 있음     4.0             23.4                          55.7                          15.8

                          1.5                                63.5
       타인의 게시물에 댓글 게시 또는
     타인에게 쪽지 전송을 한 경험이 있음 5.2                 29.8                             48.3                       15.2

                                                               61.9
        과거에 알던 사람 또는 오프라인
                          3.2 11.6                   23.3                          49.5                    12.4
       지인의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음

                                                                               44.3
           SNS에서 형성된 인맥과의     9.6         22.7                     23.4                    38.7                  5.6
         관계를 차단해 본 경험이 있음

                             1.4                                                   40.2
         SNS 이용 시간이 점차 증가함      14.3                        44.1                           29.7            10.5

                                                                                           30.0
          나의 일상 등에 관한 변화를
                          4.4          21.8                          43.8                       24.5             5.5
             타인에게 수시로 알림

                                                                                             26.4
            특정 이슈에 관한 토론에
                          7.2             29.0                              37.4                  21.7       4.7
                참여한 적이 있음




22
SNS 이용자 10명 중 7명(71.4%)이 'SNS는 타인과의 교류에 중요한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기존 오프라인 인맥 관리 활동이 증가'하거나
'신규 오프라인 인맥 형성 및 관리 활동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경우도 각각 68.5%와 60.9%로
조사되었다.

또한, SNS 이용자의 과반수가 SNS 이용으로 '사회적 현상 및 이슈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
(57.3%)'하거나 '타인의 감정 및 일상생활 등을 잘 알 수 있게 되었다(53.1%)'고 응답하였다.

<그림2-17> SNS 이용 인식-SNS 이용자                                                                         (단위:%)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비율

                             0.4                         71.4
    SNS는 타인과의 교류에 중요한 수단임      4.1       24.1                              52.8                  18.6

                              0.8                          68.5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4.7        26.0                             52.4                 16.1
    기존 오프라인 인맥 관리 활동이 증가함
                             1.2                                  60.9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5.1          32.8                                  50.6           10.3
신규 오프라인 인맥 형성 및 관리 활동이 증가함
                             1.1                                   57.3
         SNS 이용으로 사회적 현상 및
                              7.3                 34.3                             45.9           11.4
         이슈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1.2
                                                                         53.1
        SNS를 통해 가능한 많은 사람과         8.8             36.9                             39.6          13.5
                  교류하고 싶음
                             1.2                                         53.1
         SNS 이용으로 타인의 감정 및         9.8              35.9                             44.8           8.3
          일상변화를 잘 알 수 있게 됨
                              2.0                                           47.0
      때로는 SNS를 통한 타인과의 교류가
                                    16.8                   34.2                           39.2      7.8
            귀찮거나 번거롭다고 느낌
                                                                             45.8
         본인의 SNS 운영·이용을 위한 3.2 6.7                       44.3                             34.0    11.8
               지출 비용은 적절함




                                                                                                            23
3.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가.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SNS 이용자의 80% 이상이 SNS가 제공하는 기능 및 특성 중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87.6%)' 또는 '쉬운 정보 공유 방법(87.2%)',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80.6%)'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8>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SNS 이용자                                  (단위:%)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87.6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

                  쉬운 정보 공유 방법                                   87.2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                                 80.6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                           69.5


                 다양한 교류 방법 지원                          67.2

                    오락 등에 관한                    50.4
                부가서비스·콘텐츠 제공
            다양한 정보통신기기(휴대전화,
         PDA, IPTV 등)를 통한 서비스 제공              44.6



 ※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를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음, 중요하지 않음, 보통, 중요함, 매우 중요함)로 조사한 결과,
   각각에 대해 '중요함'+'매우 중요함'으로 응답한 비율임




24
나. SNS 주요 기능별 만족도

 SNS가 제공하는 기능 및 특성 가운데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88.3%)', '쉬운
 정보 공유 방법(86.1%)',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83.1%)', '쉬운 이용 방법
 (81.6%)' 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SNS 이용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에 대해서는 52.2%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NS 이용자 10명 중 8명(84.5%)은 전반적인 SNS 기능 및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림2-19>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SNS 이용자                                     (단위:%)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                                      88.3


                쉬운 정보 공유 방법                                    86.1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                                   83.1


                   쉬운 이용 방법                                  81.6


               다양한 교류 방법 지원                           71.1


             간편하고 쉬운 가입 절차                            69.5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                     52.2


                  오락 등에 관한                    50.6
              부가서비스·콘텐츠 제공

         다양한 정보통신기기(휴대전화,
                                             46.8
      PDA, IPTV 등)를 통한 서비스 제공


          전반적인 SNS 기능 및 서비스                                   84.5




※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를 5점 척도(전혀 만족하지 않음, 만족하지 않음, 보통, 만족함, 매우 만족함)로 조사한 결과,
  각각에 대해 '만족함'+'매우 만족함'으로 응답한 비율임




                                                                                25
4. SNS 이용의 불편․피해

     가.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SNS 이용자의 80.1%가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언어폭력, 모욕(악성 댓글 등)(46.0%)',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
     (44.8%)', '부정확한 정보 유통(43.7%)' 등의 불편․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림2-20>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언어폭력, 모욕(악성 댓글 등)                               46.0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                                44.8

                          부정확한 정보 유통                             43.7          불편·피해 경험자
                                                                                   80.1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                          32.6

         본인 콘텐츠·게시글의 무단 도용(저작권
      본인 콘텐츠·게시글의 무단 도용(저작권 침해)                         28.5
                  침해)

         명예훼손(본인에 대한 거짓정보 유포 등)                  12.6

                                     기타    1.3

                          불편·피해 경험 없음              19.9




     남성(82.7%)이 여성(77.2%)보다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다소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불편․피해 경험이 84.7%로 가장 높았다.

     <그림2-21> 성․연령별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SNS 이용자                                             (단위:%)


          80.1     82.7       77.2        79.1          84.7            79.6      73.4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26
나.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의 44.8%는 본인이 경험한 불편․피해에 대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담․항의․신고'를 하였으며,'가해자에게 직접 호소․항의' 및 '민원처리기관에 상담'을 한
경우는 각각 24.5%와 13.4%로 조사되었다.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피해를 경험했으나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은 경우(40.7%), 절반에
가까운 42.3%가 '번거롭고 귀찮아서'라고 응답했으며,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해서' 대응하지
않은 경우도 27.4%로 나타났다.

<그림2-22>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복수응답)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                                           (단위:%)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담·항의·신고                            44.8
           담ㆍ항의ㆍ신고
                                                          불편· 피해 대응자
       가해자에게 직접 직접 호소
         가해자에게 호소·항의
                                     24.5                      59.3
             ㆍ항의
            민원처리 기관
           민원처리 기관에게          13.4
          (사이버경찰청, 정보
             상담·항의·신고
              통신

                  기타    1.5

          특별한 대응을 하지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음                          40.7
              않음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하지 않은 이유>

                 번거롭고 귀찮아서                              42.3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해서                     27.4

    항의ㆍ신고를 해도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항의·신고를 해도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서             12.5
               서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워서            8.9


               대응 방법을 잘 몰라서           8.2




                                                                                27
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현황

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56.4%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은 각각 56.9%와 55.9%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72.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만12-19세(62.7%), 30대(51.0%) 등의
순이었다.

 <그림3-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단위:%)




                            62.7    72.3
     56.4   56.9    55.9                   51.0   41.4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29
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10명 중 8명(79.0%)이 '3년 이상'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의 신규 이용자는 4.9%에 불과했다.

     <그림3-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1-2년     4.9
                     5.6
                                           3년 이상
                   2-3년                      79.0
                    10.5




     다.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시간 및 빈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의 66.1%가 하루에 1회 이상('하루에도 여러 번' 35.5%,
     '하루 1번 정도' 30.6%)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평균 이용시간은 55.2분
     으로 나타났다.

     <그림3-3>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빈도 및 시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단위:%)


                                   하루에도              일평균 55.2분
                       월 1회이상      여러 번
                          3.8       35.5      66.1
                 1주 1-2회
                   9.6

                                      하루 1번
                 1주 3-4회               정도
                   20.5                30.6




30
라.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는 주로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63.6%)' 또는 '친교․교제
(60.9%)'를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48.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47.6%)'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3-4>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복수응답)
                                                           (단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                         63.6


                친교·교제를 위해서                         60.9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48.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47.6
            해서 공유하기 위해서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필요한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정보를
                                     36.2
           얻기 위해서 얻기 위해서
                정보를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32.8

    시사, 현안 문제 등에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위해서    7.4
            공유를 위해서




                                                                    31
2.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현황

     가.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과반수(54.4%)가 '블로그․미니홈피'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블로그․미니홈피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로
     나타났다.

     여성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은 56.8%로 남성(52.2%)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74.8%) 및 만12-19세(62.4%)의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림3-5>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단위:%)




                                        74.8
          54.4   52.2   56.8    62.4
                                               48.8
                                                      33.5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32
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의 70.7%가 '3년 이상' 블로그․미니홈피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 신규 이용자는 5.1%로 조사되었다.

<그림3-6>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5.1
              1-2년
               8.1
                                        3년 이상
                                          70.7

              2-3년
               16.1




다.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시간 및 빈도

일평균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시간은 48.8분이며,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의 66.4%가 하루에
1회 이상('하루에도 여러 번' 36.3%, '하루 1번 정도' 30.1%)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3-7>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빈도 및 시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단위:%)


                              하루에도               일평균 48.8분
                 월 1회이상       여러 번
                    5.3        36.3       66.4

            1주 1-2회
              11.5

                                하루 1번
            1주 3-4회              정도
              16.8               30.1




                                                                      33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SCOTOSS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Gi Hwan Lee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Agenda King KeynaSee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Gretech-GomTV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MezzoMedia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MezzoMedia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tv stalker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YOO SE KYUN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Yubyeol Kim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YOO SE KYUN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MezzoMedia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daumfoundation
 
2009 KNP 조사보고서
2009 KNP 조사보고서2009 KNP 조사보고서
2009 KNP 조사보고서Dong-Yeop Kim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YOO SE KYUN
 
2019 npr (f)
2019 npr (f)2019 npr (f)
2019 npr (f)
Nasmedia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So Young Eom
 
2018 npr_nasmedia_(f)
2018 npr_nasmedia_(f)2018 npr_nasmedia_(f)
2018 npr_nasmedia_(f)
Nasmedia
 
소셜웹전략실무
소셜웹전략실무소셜웹전략실무
소셜웹전략실무영진 유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DMC미디어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Taboola
 

Similar to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20)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기업 브랜드 트위터 팔로워 인식조사 보고서 -에스코토스 20120515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오픈앱스관련 뉴스 20090622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2011 소셜미디어 참여_trend_report(요약본)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_사용형태_조사_보고서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4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TVstalker V2.0_매체소개서_휴빌론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007_SNS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 보고서_DMC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20120608_SNS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식조사_DMC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_10대_2014.07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NPO Media 2012: 한국 비영리 조직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_김은미
 
2009 KNP 조사보고서
2009 KNP 조사보고서2009 KNP 조사보고서
2009 KNP 조사보고서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201211_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_DMC미디어
 
2019 npr (f)
2019 npr (f)2019 npr (f)
2019 npr (f)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2018 npr_nasmedia_(f)
2018 npr_nasmedia_(f)2018 npr_nasmedia_(f)
2018 npr_nasmedia_(f)
 
소셜웹전략실무
소셜웹전략실무소셜웹전략실무
소셜웹전략실무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소셜커머스 인지도 및 이용실태 조사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10대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형태 조사 보고서
 

2009.09인터넷사용자의 SNS이용실태 방통위

  • 2.
  • 3. 문 국민 생활의 전반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인터넷에는 단순한 정보 습득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교육, 쇼핑, 금융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고 소통하려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반영한 서비스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SNS는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도구이자, 관계를 기반으로 한 사람들의 참여로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교류, 소비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마케팅․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우리나라에서 SNS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이용자의 SNS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61.3%가 'SNS 이용자'로 나타나, SNS가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주로 '친교․교제를 위해(93.0%)' SNS를 이용하며,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71.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SNS가 인맥관리는 물론 생산적 관계 형성에도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본 조사의 결과가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 및 인터넷 이용자의 행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 하여 정부의 정책 수립 및 학계의 연구 활동, 업계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2009년 7월 한국인터넷진흥원장 박 승 규
  • 4.
  • 5. 참 여 연 구 원: 서 재 철 조 찬 형 김 주 영 안 인 회 나 은 아 황 혜 선
  • 6.
  • 7. 이 용 자 를 위 하 여 1. 통계표와 도표내의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부 항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2. 복수응답은 한 개 이상(1-3순위 또는 모두 선택) 응답한 결과치를 집계(비가중)한 결과임 3. 통계표 중 사용된 기호의 뜻은 다음과 같음 - : 해당 숫자 없음 0 : 단위 미만 4.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자료임을 밝혀야 함 5. 일부 설문문항의 경우 표본오차를 고려하여 독립 변수를 제한하여 분석함 6. 동 조사의 결과는 인터넷조사로써 전국민의 일반화된 의식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본 보고서는「인터넷이용실태조사」(국가통계승인번호 제12005호)의 부가조사 결과임
  • 8.
  • 9. 약 문 1. 조사 목적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에서 더 나아가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공간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Site)의 이용 현황 및 행태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 2. 조사 개요 조사 대상 : 만12-49세의 인터넷 이용자 유효 응답자수 : 3,000명 조사 기간 : 2009. 3. 26 - 3. 31 (6일간) 조사 방법 : 이메일 전송을 통한 인터넷 조사 3. 조사 내용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 SNS를 통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SNS 이용시 불편 및 피해 경험 모바일 SNS 이용 현황 SNS 이용 전망 - I -
  • 10. 4. 주요 조사 결과 가. SNS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61.3%가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SNS 이용자'로 나타남 남성의 SNS 이용률은 60.9%, 여성은 61.8%이며, 연령별로는 20대와 만12-19세의 이용률이 각각 77.7%와 70.1%로 상대적으로 높음 SNS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및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이 각각 56.4%와 54.4%로 조사됨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서비스 전체 61.3 56.4 54.4 47.2 9.9 4.4 남 성 60.9 56.9 52.2 46.9 12.0 4.6 여 성 61.8 55.9 56.8 47.5 7.7 4.1 12-19세 70.1 62.7 62.4 46.8 9.2 6.2 20대 77.7 72.3 74.8 68.5 17.8 8.2 30대 55.5 51.0 48.8 44.9 5.7 2.2 40대 44.3 41.4 33.5 27.9 7.1 1.6 나. SNS 이용 행태 일평균 SNS 이용시간은 2.5시간이며, 일평균 3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도 37.3%임 (단위: %, 시간) SNS 일평균 1시간 1-2 2-3 3-4 4-5 5-6 6시간 이용자 (시간) 미만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이상 100.0 18.2 23.8 20.7 16.8 10.0 5.1 5.4 2.5 - II -
  • 11. SNS의 주된 이용 목적은 '친교․교제를 위해서(93.0%)'이며,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 공유' 또는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 이용하는 경우도 각각 81.0%, 78.3%임 (단위: %) 구 분 이용률 구 분 이용률 재미와 즐거움을 친교․교제를 위해서 93.0 63.4 위해서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사업이나 업무, 학업 81.0 55.3 관심사 공유 등에 필요한 정보 습득 취미․여가 활동 시사, 현안 문제 등에 78.3 14.9 (정보 공유 포함)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 일상생활에 관한 65.7 기타 2.5 정보 습득 SNS 이용자의 39.8%가 SNS 이용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유형별로는 '블로그․미니 홈피' 이용자(38.2%)가 가장 많음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서비스 전체 39.8 9.9 38.2 5.2 9.7 22.2 SNS 이용자의 대부분(98.6%)이 SNS를 통해 기존의 오프라인 인맥을 관리하고 있으며, SNS를 통해 새로운 인맥을 형성한 경험이 있거나 신규 인맥을 현재 관리중인 경우도 각각 87.9%와 53.6%임 (단위: %) 구분 오프라인 인맥 관리자 신규 인맥 형성 경험자 신규 인맥 형성․관리자 SNS 이용자 98.6 87.9 53.6 남 성 97.9 88.6 57.1 여 성 99.4 87.2 49.8 12-19세 97.6 87.9 62.9 20대 99.7 92.0 53.6 30대 98.1 85.9 49.8 40대 98.6 83.4 47.9 - III -
  • 12.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95.4%)이 향후 SNS 이용 의향자이며,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의향이 82.6%로 가장 높음 (단위: %)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가상현실 SNS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서 비스 서비스 전체 95.4 82.6 78.7 64.5 47.1 30.5 다.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5.4%가 월 1회 이상 휴대전화, PDA 등의 모바일 기기를 통해 SNS(모바일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단위: %)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모바일 SNS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교류) 서비스 전체 5.4 2.3 4.6 2.4 0.5 - IV -
  • 13.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 1 ······································· 2. 조사 내용 및 범위 ··································· 2 ··································· ··································· 3. 주요 용어 및 정의 ··································· 3 ··································· ··································· 4. 조사 체계 ········································ ······································· 4 ······································· 5. 표본 설계 ········································ ······································· 5 ······································· 가. 모집단 ··········································· 5 ··········································· ··········································· 나. 표본 할당 ·········································· ········································· 5 ········································· 다. 표본 추출 ·········································· ········································· 5 ········································· 6. 자료 처리 및 분석 ··································· 6 ··································· ··································· 가. 자료 검증 ·········································· ········································· 6 ········································· 나. 자료 분석 ·········································· ········································· 6 ········································· 7. 가중치 산출 및 적용 ·································· 7 ·································· ·································· 8. 표본(응답자) 현황 ···································· ··································· 8 ··································· 제2장 SNS 이용 현황 1. SNS 이용률 ······································· ······································ 9 ······································ 가. SNS 이용자 정의 ······································9 ······································ ····································· 나. SNS 이용률 ········································10 ········································ ······································· 다. 학력별 SNS 이용률 ···································· 11 ···································· ···································· 라. 직업별 SNS 이용률 ···································· 11 ···································· ···································· 마. SNS 유형별 이용률 ···································· 12 ···································· ···································· 2. SNS 이용 행태 ···································· 13 ···································· ···································· 가. SNS 이용 기간 ······································ 13 ······································ ······································ 나. SNS 이용 동기 ······································ 14 ······································ ······································ 다. SNS 이용 시간 ······································ 16 ······································ ······································ 라. SNS 이용 목적 ······································ 17 ······································ ······································ 마.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19 ·························· ························· 바.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 ································21 ································ ······························· 사.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22 ·································· ································· - V -
  • 14. 3.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 24 ·························· ·························· 가.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 ································· 24 ································· 나. SNS 주요 기능별 만족도 ·································· ································· 25 ································· 4. SNS 이용의 불편․피해 ·································26 ································· ································ 가.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 26 ································ ································ 나.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 ····························· 27 ····························· 제3장 SNS 유형별 이용 현황 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현황 ···························· ··························· 29 ··························· 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 29 ······························· ······························· 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 ······························ ····························· 30 ····························· 다.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시간 및 빈도 ························· 30 ························· ························· 라.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 ······························ ····························· 31 ····························· 2.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현황 ·······························32 ······························· ······························ 가.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 ·································· 32 ·································· 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 ·································33 ································· ································ 다.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시간 및 빈도 ····························· ···························· 33 ···························· 라.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목적 ·································34 ································· ································ 3.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현황 ······························ 35 ······························ ······························ 가.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 ·································· 35 ·································· ·································· 나.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기간 ································· ································ 36 ································ 다.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시간 및 빈도 ···························· 36 ···························· ···························· 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목적 ································· ································ 37 ································ 4.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현황 ···························· ··························· 38 ··························· 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률 ······························· 38 ······························· ······························· 나.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기간 ······························39 ······························ ····························· 다.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시간 및 빈도 ·························· ························· 39 ························· 라.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목적 ······························40 ······························ ····························· - VI -
  • 15. 제4장 SNS와 인맥 관리 1.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 ··························· 43 ··························· 가.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 ··························· 43 ··························· ··························· 나.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의향 ··························· 45 ··························· ··························· 2.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 ························· 46 ························· 가.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46 ························· ························ 나.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방법 ····························· 48 ····························· ····························· 제5장 모바일 SNS 이용 1. 모바일 SNS 이용 현황 ································· ································ 49 ································ 2. 모바일 SNS 이용 시간 ································· ································ 50 ································ 3.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 ································ ······························· 51 ······························· 제6장 SNS 이용 전망 1. SNS 이용 의향 ···································· 53 ···································· ···································· 2. 모바일 SNS 이용 의향 ································· ································ 54 ································ 3. SNS 추천 의향 ···································· 55 ···································· ···································· 제7장 SNS와 광고 1. SNS 광고 게시 경험 ·································· ································· 57 ································· 2. SNS 광고 게시에 대한 견해 ······························58 ······························ ····························· 3. SNS 광고 게시 의향 ·································· ································· 59 ································· <부록1> 설문지 ······································ ····································· 61 ····································· <부록2> 통계표 ······································ ····································· 73 ····································· - VII -
  • 16. <그림2-1> SNS 이용자 정의 ·································· 9 ·································· ·································· <그림2-2> SNS 이용률 ···································· 10 ···································· ···································· <그림2-3> 학력별 SNS 이용률 ································· ································ 11 ································ <그림2-4> 직업별 SNS 이용률 ································· ································ 11 ································ ································ 12 <그림2-5> SNS 유형별 이용률 ································· ································ <그림2-6>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 13 ···························· ···························· <그림2-7>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 14 ······················· ······················· <그림2-8>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 16 ························ ························ <그림2-9> 성․연령별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 ··················· 16 ··················· <그림2-10>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 ······················ 17 ······················ <그림2-11>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수-SNS 이용자 ··················· 19 ··················· ··················· <그림2-12> SNS 유형별 월 1회 이상 이용 계정 수 ······················ 19 ······················ ······················ <그림2-13>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 이유(복수응답)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자 ·····················20 ····················· ···················· <그림2-14>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SNS 이용자 ····················· 21 ····················· ····················· <그림2-15> SNS 유형별 이용 비용 지출 현황-SNS 유형별 이용자 ··············· ·············· 21 ·············· <그림2-16> SNS 이용 행동-SNS 이용자 ···························· ··························· 22 ··························· <그림2-17> SNS 이용 인식-SNS 이용자 ···························· ··························· 23 ··························· <그림2-18>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SNS 이용자 ······················ ····················· 24 ····················· <그림2-19>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SNS 이용자 ····················· 25 ····················· ····················· <그림2-20>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복수응답)-SNS 이용자 ················· ················ 26 ················ <그림2-21> 성․연령별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SNS 이용자 ················· ················ 26 ················ <그림2-22>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복수응답)-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 ····· 27 ····· ····· <그림3-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 ··························· 29 ··························· <그림3-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 ·········· 30 ·········· <그림3-3>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빈도 및 시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 ····· 30 ····· <그림3-4>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복수응답)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31 ····· ···· <그림3-5>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32 ······························· ······························ <그림3-6>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 33 ················· ················· <그림3-7>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빈도 및 시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33 ············· ············ <그림3-8>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목적(복수응답)-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 34 ············ ············ - VIII -
  • 17. <그림3-9>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 ······························· ······························ 35 ······························ <그림3-10>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기간-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36 ················ ··············· <그림3-11>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빈도 및 시간-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 ··········· 36 ··········· <그림3-12>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목적(복수응답)-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 ···········37 ··········· ·········· <그림3-13>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률 ···························38 ··························· ·························· <그림3-14>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기간-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 39 ·········· ·········· <그림3-15>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시간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 ····· 39 ····· <그림3-16>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 목적(복수응답)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 ·····40 ····· ···· <그림4-1>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복수응답)-SNS 이용자 ············ 43 ············ ············ <그림4-2> 성․연령별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SNS 이용자 ············43 ············ ··········· <그림4-3>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의향 ························ ······················· 45 ······················· <그림4-4>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SNS 이용자 ···············46 ··············· ·············· <그림4-5> SNS에서 형성한 신규 인맥과 오프라인에서 만난 경험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경험자 ························47 ························ ······················· <그림4-6>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방법(복수응답)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관리자 ·· 48 ·· ·· <그림5-1> 모바일 SNS 이용 현황 ·······························49 ······························· ······························ <그림5-2> 성․연령별 모바일 SNS 이용 현황 ··························49 ·························· ························· <그림5-3> 일평균 모바일 SNS 이용 시간-모바일 SNS 이용자 ·················50 ················· ················ <그림5-4>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복수응답)-모바일 SNS 비이용자 ·············· ············· 51 ············· <그림6-1> 향후 SNS 이용 의향 ································53 ································ ······························· <그림6-2> SNS 유형별 향후 SNS 이용 의향 ·························· ························· 53 ························· <그림6-3> 향후 모바일 SNS 이용 의향 ···························· 54 ···························· ···························· <그림6-4> SNS 추천 의향(복수응답) ······························55 ······························ ····························· <그림7-1> SNS 광고 게시 경험-SNS 이용자 ·························· ························· 57 ························· <그림7-2> SNS 광고 게시 이유-SNS 광고 게시 경험자 ···················· 57 ···················· ···················· <그림7-3> SNS 광고 게시에 대한 견해-SNS 이용자 ······················ ····················· 58 ····················· <그림7-4> SNS 광고 게시 의향 ································59 ································ ······························· - IX -
  • 18. <표1-1> 표본 특성표 ······································8 ······································ ····································· <표2-1> 성․연령별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 13 ························ ························ <표2-2> 성․연령별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 15 ··················· ··················· <표2-3> 성․연령별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 18 ··················· ··················· <표4-1> SNS 유형별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복수응답) -SNS 유형별 이용자 ··· ·· 44 ·· <표4-2> 성․연령별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SNS 이용자 ···········46 ··········· ·········· - X -
  • 19.
  • 20.
  • 21. 1. 조사 목적 인터넷은 단순한 정보 습득을 위한 공간을 넘어 사람들이 모여 교류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고 소통하려는 인간의 기본 욕구를 반영한 서비스인 SNS가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관계와 상호작용, 대화로 대표되는 SNS는 타인과의 인맥 형성 및 관리에서 더 나아가 정보나 콘텐츠를 생산, 공유, 소비하는 공간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로까지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으며,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마케팅 수단, 정부나 정치인들의 정책 홍보 수단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조사는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를 파악하여 정부 정책 및 업계의 비즈니스 전략 수립, 학계의 연구 활동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의성 있는 최신 통계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SNS 이용률에 대한 정량적 측정 및 이용행태 분석 SNS 유형(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등)별 이용현황 분석 SNS를 통한 인맥 형성 및 관리 현황 분석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분석 향후 SNS 이용 전망 등 1
  • 22. 2. 조사 내용 및 범위 본 조사는 SNS 이용 현황 및 이용 행태, SNS를 통한 인맥 형성․관리 현황, 모바일 SNS 이용 현황 등을 파악하고, 향후 SNS 이용을 전망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의 구체적인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구분 세 부 항 목 ․ SNS 이용률 ․ SNS 이용 기간, 동기, 시간, 목적 등 ․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SNS 이용 현황 ․ SNS 이용시 비용 지출 여부 및 이용 행태 ․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및 대응 방법 ․ SNS를 통한 오프라인 인맥 관리 현황 및 향후 의향 SNS를 통한 ․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관리 현황 및 방법 인맥 형성․관리 ․ SNS를 통한 신규 인맥과의 오프라인 만남 경험 SNS 이용의 ․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불편․피해 경험 ․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 모바일 SNS 이용 여부 모바일 SNS ․ 모바일 SNS 이용 시간 이용 현황 ․ 모바일 SNS 비이용 이유 및 향후 이용 의향 ․ 향후 SNS 이용 의향(SNS 유형별, 모바일 SNS 이용 의향 등) SNS 이용 전망 ․ 타인에게 SNS 추천 의향 ․ 본인의 SNS에 인터넷광고 게시 경험 및 이유 SNS 광고 ․ SNS 광고 게시에 대한 의견 게시 경험 ․ 향후 본인의 SNS에 인터넷광고 게시 의향 2
  • 23. 3. 주요 용어 및 정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Site) :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정보공유, 인맥관리, 자기표현 등을 통해 유지․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또는 사이트) - SNS 이용자(률)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인터넷 상에서 취미나 관심분야가 유사한 사람들이 서로의 정보를 교류하거나 친목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한 모임 -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카페․클럽․ 인터넷동호회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블로그․미니홈피:개인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 칼럼, 전문자료, 사진 등을 게시․저장하여 타인과 공유하는 대표적인 1인 미디어 -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블로그․미니홈피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블로그․미니홈피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인스턴트 메신저: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개인끼리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3
  • 24. -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인스턴트 메신저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인맥관리(교류) 서비스:인터넷 상에서 개인의 프로필을 기반으로 타인과 인맥을 형성하고 메시지 전송이나 의견 및 콘텐츠 공유 등을 통해 교류하며 인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인맥관리(교류) 서비스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인맥관리 (교류)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자(의 비율) 가상현실 서비스:본인을 대신하는 아바타(Avatar)를 생성하여 사람들과 교류하며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삶을 살아가는 3D 온라인 가상세계 서비스 - 가상현실 서비스 이용자(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가상현실 서비스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 4. 조사 체계 조사 대상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유효 응답자수 : 3,000명 조사 기간 : 2009. 3. 26 - 3. 31 (6일간) 조사 방법 : 이메일을 통한 인터넷 조사 조사 절차 : 표본 추출 → 인터넷 설문참여 메일 발송 → 자료 집계 → 보완조사 및 재조사 → 최종 자료 검증 4
  • 25. 조사 기관 - 주관기관 : 방송통신위원회 - 전담기관 : 한국인터넷진흥원 5. 표본 설계 가. 모집단 목표모집단(Target Population) :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조사모집단(Survey Population) : 2009년 3월 현재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이메일 이용자 나. 표본 할당 개 요 : 다단층화 비례할당 - 『200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를 기반으로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지역(4개 권역)별 및 성×연령별 이메일 이용자수에 따른 비례할당 층화 변수 - 지역(4개 권역) : 서울, 6개 광역시, 경기, 경기 외 8개도 - 성(2개) : 남성, 여성 - 연령(8개) : 만12-14세, 만15-19세, 만20-24세, 만25-29세, 만30-34세, 만35-39세, 만40-44세, 만45-49세 다. 표본 추출 표본틀 : 실사수행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만12-49세 인터넷 조사 패널(2009년 3월 기준 469,072명) 표본 추출 방법 5
  • 26. - 1차 표본 추출 : 인터넷 조사 패널을 층화 변수(지역, 성×연령)에 따라 분류한 후 각 층별로 할당된 표본수를 기반으로 임의 추출(random sampling) (단, 인터넷 조사의 응답률을 고려하여 목표 표본수의 5배수를 1차 추출함) - 2차 표본 추출 : 1차 추출에서 제외된 조사 패널을 대상으로 1차 추출과 동일한 방식으로 대체 표본 추출 6. 자료 처리 및 분석 가. 자료 검증 실사 과정에서 자료 검증 - 문항간 논리성, 분기 흐름 등이 반영된 설문 프로그램을 개발․이용함으로써 무응답, 응답오류 등을 사전 통제 - 응답자의 이메일 주소 및 IP 제어를 통해 동일 응답자의 중복 참여 방지 - 평균 응답시간을 기반으로 응답 소요시간이 평균보다 과다 또는 과소인 경우 해당 자료 대체 분석 과정에서 자료 검증 - 내검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 수집된 자료에 대한 문항간 논리성 검증 - 검증결과 불합격된 자료에 대한 보완 및 재조사 실시 나. 자료 분석 다단계 검증 과정에서 최종 합격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통계패키지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됨 - 응답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일련번호로 부호화하거나 자료 입력시 제외함 분석 변수 : 성, 연령, 성×연령, 학력, 직업, 일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인터넷 이용기간 6
  • 27. 7. 가중치 산출 및 적용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후층화(post-stratification)' 방법에 따라 가중치 산출 및 적용 - 『200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의 인터넷 이용자수를 모집단으로 활용하여 지역별(4개 권역) 및 성×연령별 가중치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가중치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음      권역별 가중치1(권역별 가중치)   권역 내 최종 확정된 유효표본수  인터넷이용자수에 비례할당했을 경우의  권역의 표본수  권역을 나타내는 첨자 (  =1-4)       셀별 가중치2(성×연령별 가중치)    셀별 최종 확정된 유효표본수  인터넷이용자수에 비례할당했을 경우의   셀별 표본수  성을 나타내는 첨자 (  =1-2)  연령을 나타내는 첨자 (  =1-8) 따라서, 특정 변수에 대한 비율 추정식은 다음과 같음                 특정 변수에 대한 모비율(추정값)  특정 변수에 대한 (    )셀의 비율(조사된 값) 7
  • 28. 8. 표본(응답자) 현황 <표1-1> 표본 특성표 표본수(명) 구성비(%) 전체 3,000 100.0 남성 1,605 53.5 성 여성 1,395 46.5 12-19세 616 20.5 20대 833 27.8 연령 30대 893 29.8 40대 658 21.9 남성 12-19세 322 10.8 남성 20대 433 14.5 남성 30대 472 15.7 남성 40대 378 12.6 성×연령 여성 12-19세 294 9.8 여성 20대 400 13.3 여성 30대 421 14.0 여성 40대 280 9 .3 초․중학생 297 9 .9 고등학생 233 7 .7 학력 대학(원)생 518 17 .3 고졸이하 428 14 .3 대졸이상 1,524 50.8 전문․관리직 272 9 .0 사무직 738 24.6 서비스․생산직 338 11.3 직업 학생 1,048 34.9 주부 335 11.2 무직․기타 269 9.0 2시간 미만 484 16.1 일평균 2-3시간 540 18.0 인터넷 3-4시간 562 18.7 이용시간 4-6시간 749 25.0 6시간 이상 665 22.2 3년 미만 58 1.9 인터넷 3-5년 213 7.1 이용기간 5-7년 378 12.6 7년 이상 2,351 78.4 8
  • 29.
  • 30.
  • 31. 1. SNS 이용률 가. SNS 이용자 정의 본 조사에서 SNS 이용자는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 중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 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활동을 활발히 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그림2-1> SNS 이용자 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류 활동을 '월 1회 이상' 이용 '자주' 또는 '매우 자주'(5점 척도)하는 경우 9
  • 32. 나. SNS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 이용자의 61.3%가 'SNS 이용자'이며, 남성과 여성의 SNS 이용률은 각각 60.9%와 61.8%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20대 및 만12-19세의 SNS 이용률이 각각 77.7%와 70.1%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30대와 40대는 55.5%와 44.3%로 조사되었다. <그림2-2> SNS 이용률 (단위:%) 77.7 70.1 61.3 60.9 61.8 55.5 44.3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10
  • 33. 다. 학력별 SNS 이용률 전반적으로 일반인에 비해 학생의 SNS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학생의 경우에는 대학(원)생의 이용률이 76.8%로 가장 높고, 초․중학생 및 고등학생도 각각 71.2%와 67.4%로 조사되었다. 학생을 제외한 일반인의 경우, 대졸이상 학력자의 58.0%가 SNS 이용자이며, 고졸이하의 이용률은 47.4%로 나타났다. <그림2-3> 학력별 SNS 이용률 (단위:%) 학생 일반인 71.2 76.8 67.4 58.0 47.4 초·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원)생 고졸이하 대졸이상 라. 직업별 SNS 이용률 직업별로는 학생의 SNS 이용률이 74.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문․관리직(63.9%), 사무직(62.3%), 주부(47.4%) 등의 순이었다. <그림2-4> 직업별 SNS 이용률 (단위:%) 74.3 63.9 62.3 46.7 47.4 전문·관리직 사무직 서비스·생산직 학생 주부 11
  • 34. 마. SNS 유형별 이용률 인터넷 이용자의 과반수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56.4%)' 및 '블로그․미니홈피(54.4%)'와 같은 SNS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맥관리(교류) 서비스'와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각각 9.9%와 4.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림2-5> SNS 유형별 이용률 (단위:%) 56.4 54.4 47.2 9.9 4.4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12
  • 35. 2. SNS 이용 행태 가. SNS 이용 기간 SNS 이용자의 대부분(86.9%)이 '3년 이상'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 신규 이용자는 2.4%에 불과했다. <그림2-6>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단위:%) 1-2년 1년 미만 2-3년 3.0 2.4 7.7 3년 이상 86.9 SNS를 3년 이상 이용한 경우는 남성(86.2%)과 여성(87.5%)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 및 30대가 각각 96.2%와 92.0%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표2-1> 성․연령별 SNS 이용 기간-SNS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1-2년 2-3년 3년 이상 남 성 2.3 2.7 8.8 86.2 여 성 2.6 3.3 6.6 87.5 12-19세 5.6 5.4 13.8 75.2 20대 0.8 0.6 2.4 96.2 30대 0.8 2.1 5.1 92.0 40대 3.9 5.6 14.1 76.4 13
  • 36. 나. SNS 이용 동기 SNS 이용자의 대부분이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93.6%)' 또는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4.5%)',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83.8%)' SNS를 처음 이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다양한 분야의 정보습득을 위해서(55.8%)',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51.8%)'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도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2-7>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93.6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 84.5 서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 83.8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 64.0 다양한 분야의 정보습득을 위해서 55.8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 51.8 서 이미 가입된 회원의 초대로 22.9 14
  • 37. 남성은 '지식, 정보 등의 공유(87.1%)'나 '다양한 분야 정보 습득(59.1%)',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57.3%)'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다소 많고, 여성은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 공유(86.7%)',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67.5%)' 이용한 경우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90.2%)' SNS를 이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았으며, 만12-19세는 '호기심 또는 새로운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서 (79.9%)' 이용하게 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표2-2> 성․연령별 SNS 이용 동기(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개인의 호기심 사업이나 다양한 친교․ 일상 지식, 또는 업무, 학업 이미 분야의 교제에 생활이나 정보 등을 새로운 등에 가입된 정보 도움이 될 관심사를 공유하기 재미나 도움이 회원의 습득을 것 같아서 공유하기 위해서 즐거움을 될 수 초대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있어서 남 성 92.5 82.6 87.1 60.7 59.1 57.3 19.2 여 성 94.9 86.7 80.3 67.5 52.3 45.8 26.8 12-19세 91.3 85.9 79.2 79.9 52.8 27.2 19.4 20대 98.4 90.2 85.0 72.6 56.0 58.0 28.5 30대 93.8 82.8 84.9 54.7 55.0 60.2 22.0 40대 87.4 75.1 86.0 42.4 60.5 58.0 18.1 15
  • 38. 다. SNS 이용 시간 SNS 이용자는 일평균 2.5시간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평균 3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도 37.3%로 나타났다. <그림2-8>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단위:%) 6시간 일평균 2.5시간 37.3 1시간 이상 5-6시간 5.4 미만 5.1 18.2 1-2시간 4-5시간 23.8 10.0 3-4시간 16.8 2-3시간 20.7 여성의 일평균 SNS 이용시간은 2.6시간으로 남성(2.4시간)보다 다소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이용시간이 일평균 3.1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그림2-9> 성․연령별 일평균 SNS 이용 시간-SNS 이용자 (단위:시간) 2.5 2.4 2.6 3.1 2.3 2.4 1.9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16
  • 39. 라. SNS 이용 목적 SNS의 주된 이용 목적은 '친교․교제를 위해서(93.0%)'이며, 다음으로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1.0%)',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78.3%)' 등의 순이었다. 한편, SNS 이용자의 과반수가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5.7%)' 또는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55.3%)'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0>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친교·교제를 위해서 93.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 81.0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 78.3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65.7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63.4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등에 필요한 사업이나 업무, 학업 정보를 얻기 55.3 위해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시사, 현안 문제 등에시사, 현안 문제 등에 대한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위해서 14.9 위해서 17
  • 40. 남성은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0.9%)' SNS를 이용하는 경우가 여성보다 많았으며, 여성은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68.2%)',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67.5%)' 이용하는 경우가 다소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친교․교제를 위해서(97.1%)',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5.7%)' SNS를 이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만12-19세는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76.2%)'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표2-3> 성․연령별 SNS 이용 목적(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사업이나 개인의 취미․ 일상 시사, 업무, 학업 일상생활 여가 생활에 재미와 현안 문제 친교․ 등에 이나 활동(정보 관한 즐거움을 등에 대한 교제를 필요한 관심사를 공유 정보를 얻기 의견 표현 위해서 정보를 공유하기 포함)을 얻기 위해서 및 공유를 얻기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위해서 남 성 91.3 79.4 78.5 63.4 59.6 60.9 17.8 여 성 94.8 82.7 78.2 68.2 67.5 49.3 11.7 12-19세 90.1 76.6 83.5 57.4 76.2 30.2 13.8 20대 97.1 85.7 80.0 64.9 71.8 64.2 14.5 30대 94.5 82.9 75.7 70.2 55.8 60.1 13.2 40대 86.8 75.1 72.9 70.9 43.7 62.7 19.4 18
  • 41. 마.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및 계정 수 SNS 이용자의 과반수(55.6%)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블로그․미니홈피', '인스턴트 메신저', '인맥관리(교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 가운데 3개의 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1> 월 1회 이상 이용 SNS 유형 수-SNS 이용자 (단위:개) 4개 5개 16.3 2.8 1개 5.0 3개 55.6 2개 20.3 SNS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SNS의 총 계정 수는 평균 9.2개이며, 유형별로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계정이 평균 5.6개로 가장 많고, 블로그․미니홈피 및 인스턴트 메신저는 각각 2.8개와 1.6개로 조사되었다. <그림2-12> SNS 유형별 월 1회 이상 이용 계정 수 (단위:개) 9.2 5.6 2.8 1.6 1.3 1.0 SNS 이용자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이용자 19
  • 42.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는 '교류중인 친구들이 여러 SNS를 이용하고 있어서'가 69.1%로 가장 많았으며, 'SNS마다 모두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및 '개인용, 업무용 등 목적에 따라 다르게 이용하기 위해서'도 각각 56.5%와 50.3%로 나타났다. <그림2-13>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 이유(복수응답) -2개 이상의 SNS 유형 또는 계정 이용자 (단위:%) 교류중인 친구들이 여러 SNS를 이용하고 있어서 69.1 SNS마다 모두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56.5 개인용, 업무용 등개인용, 업무용 등 목적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다르게 이용하기 50.3 다르게 이용하기 위해서 위해서 여러 SNS의 부가서비스·콘텐츠 이용을 위해서 27.7 새로운 SNS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14.5 20
  • 43. 바.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 SNS 이용자의 39.8%가 SNS를 이용하면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여성(47.3%)이 남성(32.9%)보다 지출 비율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과반수인 50.8%가 SNS 이용을 위해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만12-19세(45.7%), 30대(31.4%), 40대(25.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2-14> SNS 이용시 비용 지출 현황-SNS 이용자 (단위:%) 47.3 45.7 50.8 39.8 32.9 31.4 25.2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SNS 유형별로 금전적 비용을 지출하는 경우는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가 38.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가상현실 서비스(22.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9.9%), 인맥관리 (교류) 서비스(9.7%) 등의 순이었다. <그림2-15> SNS 유형별 이용 비용 지출 현황-SNS 유형별 이용자 (단위:%) 38.2 22.2 9.9 9.7 5.2 카페·클럽· 블로그· 인스턴트 인맥관리(교류) 가상현실 인터넷동호회 미니홈피 메신저 서비스 서비스 21
  • 44. 사. SNS 이용 행동 및 인식 SNS 이용자의 71.5%가 SNS를 통해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이 있으며, '타인의 게시물에 댓글 게시 또는 타인에게 쪽지 전송(63.5%)'을 하거나 '과거에 알던 사람 또는 오프라인 지인의 정보를 검색한 경험(61.9%)'이 있는 경우도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2-16> SNS 이용 행동-SNS 이용자 (단위:%)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비율 1.1 71.5 타인과 업무, 학업, 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움을 주고 받은 경험이 있음 4.0 23.4 55.7 15.8 1.5 63.5 타인의 게시물에 댓글 게시 또는 타인에게 쪽지 전송을 한 경험이 있음 5.2 29.8 48.3 15.2 61.9 과거에 알던 사람 또는 오프라인 3.2 11.6 23.3 49.5 12.4 지인의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음 44.3 SNS에서 형성된 인맥과의 9.6 22.7 23.4 38.7 5.6 관계를 차단해 본 경험이 있음 1.4 40.2 SNS 이용 시간이 점차 증가함 14.3 44.1 29.7 10.5 30.0 나의 일상 등에 관한 변화를 4.4 21.8 43.8 24.5 5.5 타인에게 수시로 알림 26.4 특정 이슈에 관한 토론에 7.2 29.0 37.4 21.7 4.7 참여한 적이 있음 22
  • 45. SNS 이용자 10명 중 7명(71.4%)이 'SNS는 타인과의 교류에 중요한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기존 오프라인 인맥 관리 활동이 증가'하거나 '신규 오프라인 인맥 형성 및 관리 활동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경우도 각각 68.5%와 60.9%로 조사되었다. 또한, SNS 이용자의 과반수가 SNS 이용으로 '사회적 현상 및 이슈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 (57.3%)'하거나 '타인의 감정 및 일상생활 등을 잘 알 수 있게 되었다(53.1%)'고 응답하였다. <그림2-17> SNS 이용 인식-SNS 이용자 (단위:%) 전혀 그렇지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않다 그렇다 '그렇다'+'매우 그렇다'의 비율 0.4 71.4 SNS는 타인과의 교류에 중요한 수단임 4.1 24.1 52.8 18.6 0.8 68.5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4.7 26.0 52.4 16.1 기존 오프라인 인맥 관리 활동이 증가함 1.2 60.9 SNS를 통한 신규 인맥 형성으로 인해 5.1 32.8 50.6 10.3 신규 오프라인 인맥 형성 및 관리 활동이 증가함 1.1 57.3 SNS 이용으로 사회적 현상 및 7.3 34.3 45.9 11.4 이슈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1.2 53.1 SNS를 통해 가능한 많은 사람과 8.8 36.9 39.6 13.5 교류하고 싶음 1.2 53.1 SNS 이용으로 타인의 감정 및 9.8 35.9 44.8 8.3 일상변화를 잘 알 수 있게 됨 2.0 47.0 때로는 SNS를 통한 타인과의 교류가 16.8 34.2 39.2 7.8 귀찮거나 번거롭다고 느낌 45.8 본인의 SNS 운영·이용을 위한 3.2 6.7 44.3 34.0 11.8 지출 비용은 적절함 23
  • 46. 3.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및 만족도 가. SNS 주요 기능별 중요도 SNS 이용자의 80% 이상이 SNS가 제공하는 기능 및 특성 중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87.6%)' 또는 '쉬운 정보 공유 방법(87.2%)',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80.6%)'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18>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SNS 이용자 (단위:%)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87.6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 쉬운 정보 공유 방법 87.2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 80.6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 69.5 다양한 교류 방법 지원 67.2 오락 등에 관한 50.4 부가서비스·콘텐츠 제공 다양한 정보통신기기(휴대전화, PDA, IPTV 등)를 통한 서비스 제공 44.6 ※ SNS의 주요 기능별 중요도를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음, 중요하지 않음, 보통, 중요함, 매우 중요함)로 조사한 결과, 각각에 대해 '중요함'+'매우 중요함'으로 응답한 비율임 24
  • 47. 나. SNS 주요 기능별 만족도 SNS가 제공하는 기능 및 특성 가운데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88.3%)', '쉬운 정보 공유 방법(86.1%)',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83.1%)', '쉬운 이용 방법 (81.6%)' 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SNS 이용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에 대해서는 52.2%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SNS 이용자 10명 중 8명(84.5%)은 전반적인 SNS 기능 및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림2-19>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SNS 이용자 (단위:%) 자유로운 의견 및 정보 제시 방법 88.3 쉬운 정보 공유 방법 86.1 다수의 다양한 교류 대상 보유 83.1 쉬운 이용 방법 81.6 다양한 교류 방법 지원 71.1 간편하고 쉬운 가입 절차 69.5 개인정보보호, 스팸, 광고성 글 필터링 등의 환경 및 제도 52.2 오락 등에 관한 50.6 부가서비스·콘텐츠 제공 다양한 정보통신기기(휴대전화, 46.8 PDA, IPTV 등)를 통한 서비스 제공 전반적인 SNS 기능 및 서비스 84.5 ※ SNS의 주요 기능별 만족도를 5점 척도(전혀 만족하지 않음, 만족하지 않음, 보통, 만족함, 매우 만족함)로 조사한 결과, 각각에 대해 '만족함'+'매우 만족함'으로 응답한 비율임 25
  • 48. 4. SNS 이용의 불편․피해 가.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 SNS 이용자의 80.1%가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언어폭력, 모욕(악성 댓글 등)(46.0%)',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 (44.8%)', '부정확한 정보 유통(43.7%)' 등의 불편․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림2-20>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복수응답)-SNS 이용자 (단위:%) 언어폭력, 모욕(악성 댓글 등) 46.0 원하지 않는 불건전 정보 노출 44.8 부정확한 정보 유통 43.7 불편·피해 경험자 80.1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 32.6 본인 콘텐츠·게시글의 무단 도용(저작권 본인 콘텐츠·게시글의 무단 도용(저작권 침해) 28.5 침해) 명예훼손(본인에 대한 거짓정보 유포 등) 12.6 기타 1.3 불편·피해 경험 없음 19.9 남성(82.7%)이 여성(77.2%)보다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피해를 경험한 경우가 다소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의 불편․피해 경험이 84.7%로 가장 높았다. <그림2-21> 성․연령별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SNS 이용자 (단위:%) 80.1 82.7 77.2 79.1 84.7 79.6 73.4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26
  • 49. 나.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의 44.8%는 본인이 경험한 불편․피해에 대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담․항의․신고'를 하였으며,'가해자에게 직접 호소․항의' 및 '민원처리기관에 상담'을 한 경우는 각각 24.5%와 13.4%로 조사되었다. SNS를 이용하면서 불편․피해를 경험했으나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은 경우(40.7%), 절반에 가까운 42.3%가 '번거롭고 귀찮아서'라고 응답했으며,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해서' 대응하지 않은 경우도 27.4%로 나타났다. <그림2-22>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 방법(복수응답) -SNS 이용시 불편․피해 경험자 (단위:%)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담·항의·신고 44.8 담ㆍ항의ㆍ신고 불편· 피해 대응자 가해자에게 직접 직접 호소 가해자에게 호소·항의 24.5 59.3 ㆍ항의 민원처리 기관 민원처리 기관에게 13.4 (사이버경찰청, 정보 상담·항의·신고 통신 기타 1.5 특별한 대응을 하지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음 40.7 않음 <SNS 불편․피해 경험시 대응하지 않은 이유> 번거롭고 귀찮아서 42.3 사소한 일이라고 생각해서 27.4 항의ㆍ신고를 해도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항의·신고를 해도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서 12.5 서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워서 8.9 대응 방법을 잘 몰라서 8.2 27
  • 50.
  • 51.
  • 52.
  • 53. 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현황 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56.4%가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이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은 각각 56.9%와 55.9%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72.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만12-19세(62.7%), 30대(51.0%) 등의 순이었다. <그림3-1>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률 (단위:%) 62.7 72.3 56.4 56.9 55.9 51.0 41.4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29
  • 54. 나.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10명 중 8명(79.0%)이 '3년 이상'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의 신규 이용자는 4.9%에 불과했다. <그림3-2>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기간-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1-2년 4.9 5.6 3년 이상 2-3년 79.0 10.5 다.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시간 및 빈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의 66.1%가 하루에 1회 이상('하루에도 여러 번' 35.5%, '하루 1번 정도' 30.6%)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평균 이용시간은 55.2분 으로 나타났다. <그림3-3>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빈도 및 시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단위:%) 하루에도 일평균 55.2분 월 1회이상 여러 번 3.8 35.5 66.1 1주 1-2회 9.6 하루 1번 1주 3-4회 정도 20.5 30.6 30
  • 55. 라.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는 주로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63.6%)' 또는 '친교․교제 (60.9%)'를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48.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47.6%)'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를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림3-4>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 목적(복수응답) (단위:%) -카페․클럽․인터넷동호회 이용자 취미·여가 활동(정보 공유 포함)을 위해서 63.6 친교·교제를 위해서 60.9 일상생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48.0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47.6 해서 공유하기 위해서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필요한 필요한 사업이나 업무, 학업 등에 정보를 36.2 얻기 위해서 얻기 위해서 정보를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32.8 시사, 현안 문제 등에 대한 의견 표현 및 공유를 위해서 7.4 공유를 위해서 31
  • 56. 2.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현황 가.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만12-49세 인터넷이용자의 과반수(54.4%)가 '블로그․미니홈피'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며 블로그․미니홈피를 통해 타인과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로 나타났다. 여성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은 56.8%로 남성(52.2%)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74.8%) 및 만12-19세(62.4%)의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림3-5>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률 (단위:%) 74.8 54.4 52.2 56.8 62.4 48.8 33.5 전체 남성 여성 12-19세 20대 30대 40대 32
  • 57. 나.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의 70.7%가 '3년 이상' 블로그․미니홈피를 이용하고 있으며, '1년 미만' 신규 이용자는 5.1%로 조사되었다. <그림3-6>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기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단위:%) 1년 미만 5.1 1-2년 8.1 3년 이상 70.7 2-3년 16.1 다.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시간 및 빈도 일평균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시간은 48.8분이며, 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의 66.4%가 하루에 1회 이상('하루에도 여러 번' 36.3%, '하루 1번 정도' 30.1%)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3-7> 블로그․미니홈피 이용 빈도 및 시간-블로그․미니홈피 이용자 (단위:%) 하루에도 일평균 48.8분 월 1회이상 여러 번 5.3 36.3 66.4 1주 1-2회 11.5 하루 1번 1주 3-4회 정도 16.8 30.1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