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김정희 살림꾼 연구조사위원장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 & )
불교는 성차별적인가 혹은 양성평등적인가 이것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
우선 불교에는 성차별주의로 보이는 비구니팔경법과 변성남자성불설 이 있( )變性男子成佛說
다 비구니 팔경법은 비구니가 비구를 공경해야 하는 여덟가지 법인데 그 중 하나를 보면. ,
비구니는 비구를 보면 연령의 고하를 막론하고 먼저 인사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듯 비구.
니 팔경법은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성차별적 규범임이 분명한데 불교계 내에서는 부처님,
이 정한 핵심 계율 특히 남방 불교에서 후대에 조작된 것 당시 지독한 가부장제 인도 사( ), ,
회에서 비구니들을 보호하기 위한 한정된 역사적 유의미성을 지녔던 계율이라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 변성남자성불설은 남자의 몸으로만 성불할 수 있다는 사상으로 일부 초기 대승경.
전에 나와 있다 이것 역시 지독한 성차별주의임은 더 말할 나위 없다. .
비구니 팔경법과 변성남자성불설은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분명한 위력을 미치고 있다 비구. ,
비구니 스님들이 함께 회의를 할 때 비구니 스님은 교단 내 지위나 연령 고하를 막론하고
비구들 뒤에 앉아야만 한다고 한다 또한 얼마 전 탁연 스님이 조계종 문화 부장 자리에 오.
른 것이 세간에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이는 역으로 불교계의 요직은 비구들이 차지하고 있,
음을 말해주며 이러한 관행의 이면에는 비구니 팔경법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비, .
구니 팔경법을 체화하고 스님으로서의 아만 에 빠진 일부 비구 스님들에 대해 여신도( )我慢
들은 실망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만이 불교의 모습이라면 많은 여성들이 비구니 혹은 재가불자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은 설명되지 않는다 부처님은 이모이면서 양모였던 마하파자파티고타미와 그녀의 추종.
자인 백 명의 석가족 여인들을 비구니 승단으로 인정하고 여성도 성불을 할 수 있음을 분5
명히 표명하셨다 테리가타 비구니의 고백 나 쌍윳타니까야 와 같이 가장 오래된 초기 불. ‘ ’( ) ‘ ’
경들에는 성불한 여성들이 도처에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앞 책에는 시집살이에 혹사당한 여
성 기생 매춘 여성들과 같이 사회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여성들의 출가와 성불이 소개되, ,
고 있다 가부장적인 결혼만이 여성의 유일한 살 길이었던 당시 인도의 풍습에 비추어 볼.
때 이는 불교의 혁명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탈 가부장적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후기 대승경전인 유마경에서 천녀와 사리불의 대화에서는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불교 세계관
에 따라 고정된 여성성을 부정하고 있으며 승만경 에서는 재가 불자인 승만 부인의 설법을‘ ’
부처님의 설법에만 붙이는 사자후 라고 붙이고 있으며 부처님이 승만 부인의 성불을 수기‘ ’
해주고 있다 승만경 은 신라시대 이래 오늘날까지 한국의 비구니들과 재가 불자에게 가장. ‘ ’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것은 한국 비구니 승단이 다른 나라의 비구니 승단 아예 남방(
불교에서는 비구니 승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상대적 독자성과 권위를)
설명해주는 한 요인이 된다고 보인다 한국의 비구니들은 주지로 사찰 운영권을 갖고 있으.
며 불교대학의 교수로 비구를 가르치기도 하고 여성 불자들의 정신적 지도자이기도 하다.
한마음 선원의 대행 스님 같은 분은 수행의 영역에서 전 세계적이라 할 수 있는 큰 스님으
로 우뚝 서기도 하셨다.
그런데 성불 혹은 해탈이란 과연 무엇일까 부처님의 말씀을 압축해 놓은 문구라 할 수 있?
는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적멸위락 은 우리, ‘ ( ) ( ) ( ) ( )’諸行無常 一體皆苦 諸法無我 寂滅爲樂
에게 어렴풋이나마 해탈의 경지를 가늠하게 한다 생명의 세계는 무한하게 생주이멸. (生住離
생노병사 가 반복되는 그만큼 고통의 세계이다 이런 세계에서 변화무쌍한 세), ( ) .滅 生老病死
계에서 불변하는 절대적인 나라고 할만한 것은 없다 이를 깨달으면 적멸로 평화롭게 된다.
는 것이다 지율 스님의 한 목숨 건 자신을 완전 연소시킬 것만 같은 지독하리 치열하면서. ,
도 숨소리조차 들리지 않을 만큼 적막한 생명 사랑 이것이 바로 적멸의 한 예이리라 이, .
경지에서 스님에게 삶과 죽음은 이미 하나고 불이 그래서 지독한 치열은 평화 해탈 와 다( ) (= )
름이 아닐 것이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Chapter Four Art Criticism
Chapter Four Art CriticismChapter Four Art Criticism
Chapter Four Art Criticism
taraballenger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honorhealth
 
Importancia de la lectura
Importancia de la lecturaImportancia de la lectura
Importancia de la lectura
Ada Sofia Nuila
 
Pisa
PisaPisa
Histoire new destour 1934
Histoire new destour 1934Histoire new destour 1934
Histoire new destour 1934
ezzedine katar
 
Plaquette verso glm transit
Plaquette verso glm transitPlaquette verso glm transit
Plaquette verso glm transit
amandabreizh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Heather Harley
 

Viewers also liked (7)

Chapter Four Art Criticism
Chapter Four Art CriticismChapter Four Art Criticism
Chapter Four Art Criticism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Challenges in Diagnostic Imaging (Dr. Phil Moeser)
 
Importancia de la lectura
Importancia de la lecturaImportancia de la lectura
Importancia de la lectura
 
Pisa
PisaPisa
Pisa
 
Histoire new destour 1934
Histoire new destour 1934Histoire new destour 1934
Histoire new destour 1934
 
Plaquette verso glm transit
Plaquette verso glm transitPlaquette verso glm transit
Plaquette verso glm transit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207 Amelia Drive Hedgesville WV 25427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불교와 여성 (2003)

  • 1. 김정희 살림꾼 연구조사위원장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 , & ) 불교는 성차별적인가 혹은 양성평등적인가 이것은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 우선 불교에는 성차별주의로 보이는 비구니팔경법과 변성남자성불설 이 있( )變性男子成佛說 다 비구니 팔경법은 비구니가 비구를 공경해야 하는 여덟가지 법인데 그 중 하나를 보면. , 비구니는 비구를 보면 연령의 고하를 막론하고 먼저 인사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듯 비구. 니 팔경법은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성차별적 규범임이 분명한데 불교계 내에서는 부처님, 이 정한 핵심 계율 특히 남방 불교에서 후대에 조작된 것 당시 지독한 가부장제 인도 사( ), , 회에서 비구니들을 보호하기 위한 한정된 역사적 유의미성을 지녔던 계율이라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 변성남자성불설은 남자의 몸으로만 성불할 수 있다는 사상으로 일부 초기 대승경. 전에 나와 있다 이것 역시 지독한 성차별주의임은 더 말할 나위 없다. . 비구니 팔경법과 변성남자성불설은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분명한 위력을 미치고 있다 비구. , 비구니 스님들이 함께 회의를 할 때 비구니 스님은 교단 내 지위나 연령 고하를 막론하고 비구들 뒤에 앉아야만 한다고 한다 또한 얼마 전 탁연 스님이 조계종 문화 부장 자리에 오. 른 것이 세간에 화제가 되기도 했는데 이는 역으로 불교계의 요직은 비구들이 차지하고 있, 음을 말해주며 이러한 관행의 이면에는 비구니 팔경법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비, . 구니 팔경법을 체화하고 스님으로서의 아만 에 빠진 일부 비구 스님들에 대해 여신도( )我慢 들은 실망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만이 불교의 모습이라면 많은 여성들이 비구니 혹은 재가불자로 살아가고 있는 현실은 설명되지 않는다 부처님은 이모이면서 양모였던 마하파자파티고타미와 그녀의 추종. 자인 백 명의 석가족 여인들을 비구니 승단으로 인정하고 여성도 성불을 할 수 있음을 분5 명히 표명하셨다 테리가타 비구니의 고백 나 쌍윳타니까야 와 같이 가장 오래된 초기 불. ‘ ’( ) ‘ ’ 경들에는 성불한 여성들이 도처에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앞 책에는 시집살이에 혹사당한 여 성 기생 매춘 여성들과 같이 사회의 가장 밑바닥에 있는 여성들의 출가와 성불이 소개되, , 고 있다 가부장적인 결혼만이 여성의 유일한 살 길이었던 당시 인도의 풍습에 비추어 볼. 때 이는 불교의 혁명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탈 가부장적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후기 대승경전인 유마경에서 천녀와 사리불의 대화에서는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불교 세계관 에 따라 고정된 여성성을 부정하고 있으며 승만경 에서는 재가 불자인 승만 부인의 설법을‘ ’ 부처님의 설법에만 붙이는 사자후 라고 붙이고 있으며 부처님이 승만 부인의 성불을 수기‘ ’ 해주고 있다 승만경 은 신라시대 이래 오늘날까지 한국의 비구니들과 재가 불자에게 가장. ‘ ’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것은 한국 비구니 승단이 다른 나라의 비구니 승단 아예 남방( 불교에서는 비구니 승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상대적 독자성과 권위를) 설명해주는 한 요인이 된다고 보인다 한국의 비구니들은 주지로 사찰 운영권을 갖고 있으. 며 불교대학의 교수로 비구를 가르치기도 하고 여성 불자들의 정신적 지도자이기도 하다. 한마음 선원의 대행 스님 같은 분은 수행의 영역에서 전 세계적이라 할 수 있는 큰 스님으 로 우뚝 서기도 하셨다.
  • 2. 그런데 성불 혹은 해탈이란 과연 무엇일까 부처님의 말씀을 압축해 놓은 문구라 할 수 있? 는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적멸위락 은 우리, ‘ ( ) ( ) ( ) ( )’諸行無常 一體皆苦 諸法無我 寂滅爲樂 에게 어렴풋이나마 해탈의 경지를 가늠하게 한다 생명의 세계는 무한하게 생주이멸. (生住離 생노병사 가 반복되는 그만큼 고통의 세계이다 이런 세계에서 변화무쌍한 세), ( ) .滅 生老病死 계에서 불변하는 절대적인 나라고 할만한 것은 없다 이를 깨달으면 적멸로 평화롭게 된다. 는 것이다 지율 스님의 한 목숨 건 자신을 완전 연소시킬 것만 같은 지독하리 치열하면서. , 도 숨소리조차 들리지 않을 만큼 적막한 생명 사랑 이것이 바로 적멸의 한 예이리라 이, . 경지에서 스님에게 삶과 죽음은 이미 하나고 불이 그래서 지독한 치열은 평화 해탈 와 다( ) (= ) 름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