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Urban r-
 ehabilitation and redevelopment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 조명호, 김재진 [지음]. -- 춘천 :
 강원발전연구원, 2012
    p. ;     cm. -- (연구보고 ; 12-42)

 영어 요약 있음
 ISBN 978-89-5705-422-2 93690 : 비매품

 도시 정비[都市整備]
 강릉(강원도)[江陵]

 539.73-KDC5
 711.58-DDC21                           CIP2012006121
발|간|사
목차




  목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 ········ ·····2
                ········· ········ ········ ····
                 ········· ········ ········ ····
                         ·        ·        ·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계획 ········ ··· ···· ···5
                           ········ ··· ···· ··
                            ··· ···· ··· ···· ··
                               ·   ·   ·    ·

 1. 인구 및 고용분포 ································ 5
              ································
               ································

 2. 공간구조 · ········· ·········· ·········· ······9
         · ········· ·········· ·········· ·····
          · ········· ·········· ·········· ·····
          ·         ·          ·          ·

  2.1 교통망 ···················· ·········· ······9
          ···················· ·········· ·····
           ·········· ········· ·········· ·····
                     ·        ·          ·

  2.2 토지이용 ·································· 10
           ··································
            ··································

 3. 도로율 및 건축물 노후도 · ···· ···· ····· ···· ····· ···12
                  · ···· ···· ····· ···· ····· ··
                   · ···· ···· ····· ···· ····· ··
                   ·    ·    ·     ·    ·     ·

  3.1 건축물 노후도 분석 ·····························12
                 ····························
                  ····························

  3.2 도로율 ·········· ···· ···· ····· ···· ···· ···13
          ·········· ···· ···· ····· ···· ···· ··
           ···· ····· ···· ···· ····· ···· ···· ··
               ·    ·    ·    ·     ·    ·    ·

  3.3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15
                    ·························
                     ·························

 4. 동계올림픽 관련시설 및 이동동선 계획 ···················· 18
                         ····················
                          ···················

  4.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요 ························ 18
                       ························
                        ·······················

  4.2 강릉 코스탈 클러스터 조성계획 · ············ ·········24
                       · ············ ········
                        · ············ ········
                        ·            ·

                           - i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3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 및 이동동선 계획 ···········26
                                   ··········
                                    ··········

  4.4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 31
                          ····················
                           ····················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 ····· ····37
                     ···· ····· ····· ····· ···
                      ···· ····· ····· ····· ···
                          ·    ·     ·     ·

 1. 분석의 기본틀 ································· 37
            ·································
             ·································

 2. 동계 올림픽 관련 수요추정 ·························· 39
                   ··························
                    ··························

  2.1 과거 동계올림픽 관람수요 사례조사 ···················· 39
                         ····················
                          ···················

  2.2 동계올림픽 관련 방문객 추정 ······················· 41
                      ·······················
                       ·······················

 3.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45
                       ·····················
                        ·····················

  3.1 공간구문론의 개념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통합도의 산출 ····· ·· ·· ·· ·· ·· ·· ·· ·· ·· ··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강릉시 가로의 통합도 산출 ······· ······ ······· ····52
                     ······· ······ ······· ···
                      ······· ······ ······· ···
                            ·      ·       ·

  3.4 중심성이 높은 시가화 지역 추출 ······················57
                        ·····················
                         ·····················

 4. 교통수요 추정모형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60
                           ·················
                            ·················

  4.1 전제조건 ·································· 60
           ··································
            ··································

  4.2 교통수요 추정 방법론 ··························· 61
                  ···························
                   ···························

  4.3 동계올림픽 교통수요 전망 ························· 69
                    ·························
                     ························

 5. 다기준 평가를 통한 시가지 정비 우선순위 ·················· 73
                           ··················
                            ··················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77
                        ····················
                         ····················

 1. 강릉시 시가지 정비를 위한 제도적 수단 ··················· 77
                          ···················
                           ···················



                         - ii -
목차




  1.1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 ················ 77
                             ················
                              ················

  1.2 기타 정비사업 제도 ·····························79
                 ····························
                  ····························

  1.3 올림픽 특구 지정에 따른 정비계획(안) ··· ····· ······ ····80
                            ··· ····· ······ ···
                             ··· ····· ······ ···
                               ·     ·      ·

2. 정비대상지역 유형에 따른 정비방향 설정 ··· ·· ·· ·· ·· ·· ··· ·84
                         ··· ·· ·· ·· ·· ·· ···
                          ··· ·· ·· ·· ·· ·· ···
                            · · · · · ·        ·



Ⅴ. 결론 및 정책제언 ································89
             ·······························
              ·······························

1. 결론 ···· ···· ···· ··· ···· ···· ··· ···· ···· ··8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정책제언 · ···· ···· ····· ···· ···· ····· ···· ···93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민참여형 정비사업의 추진 · 93
                                           ··

  2.2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연계한 강릉역 주변지역의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 ·· 94
                                          ··
                                           ·

  2.3 광역 및 도시내 교통망과의 효율적 연계체제를 위한 ITS 시스템 구축 ·· 95
                                             ··
                                              ·

  2.4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만들기 ·············· 96
                               ··············
                                ·············



참고문헌 ······································ 99
     ······································
      ······································



ABSTRACT ···· ·· · ·· ·· · ·· ·· ·· · ·· ·· · ·· ·· · ·· 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제목


<표 Ⅱ-1> 강릉시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및 서비스수준 분석 ········· 15
                                     ·········
                                      ········

<표 Ⅱ-2> 강릉시 주요가로 구간속도 및 지체도 분석결과 ············· 16
                                 ·············
                                  ············

<표 Ⅱ-3> 동계올림픽대회 세부종목 현황 ······················19
                        ·····················
                         ·····················

<표 Ⅱ-4>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계획 ····· ···· ···· ···21
                               ····· ···· ···· ··
                                ····· ···· ···· ··
                                    ·    ·    ·

<표 Ⅱ-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신설・보완 시설 개요 ··········· 22
                                     ···········
                                      ···········

<표 Ⅱ-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부대시설 조성계획 ············ 22
                                   ············
                                    ············

<표 Ⅱ-7> 기존(비드파일) 진입도로 사업계획 ····················23
                           ···················
                            ···················

<표 Ⅱ-8> 강릉시(코스탈 클러스터) 빙상경기장 개요 ················24
                               ···············
                                ···············

<표 Ⅱ-9> 코스탈 클러스터 부대시설 입지계획 ···················25
                           ··················
                            ··················

<표 Ⅱ-10>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계획 개요 ············· 26
                                 ·············
                                  ·············

<표 Ⅱ-1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안)의 개요 ············32
                                     ···········
                                      ···········

<표 Ⅲ-1> 동계올림픽을 대비한 시가지정비 우선순위 분석의 판단기준 ····· 38
                                       ·····
                                        ·····

<표 Ⅲ-2> 나가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 39
                         ·····················
                          ····················

<표 Ⅲ-3>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40
                           ··················
                            ··················

<표 Ⅲ-4> 토리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 40
                         ·····················
                          ····················

<표 Ⅲ-5> 3개 대회 종목별, 경기장별 평균 관람률 ·················41
                               ················
                                ················

<표 Ⅲ-6>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결승경기 최대 관람인원 추정 ·········· 42
                                     ··········
                                      ·········

<표 Ⅲ-7> 종목별 예상 인기도 ··························· 43
                   ···························
                    ···························

<표 Ⅲ-8> 예상 객석 수용량 ·····························43
                  ····························
                   ····························



                        - iv -
목차



<표 Ⅲ-9> 경기장 관람객 예측치 ·························· 44
                    ··························
                     ··························

<표 Ⅲ-10> 본 연구의 시나리오 구분 · ·· ·· ·· ·· ·· ·· ·· ·· ··· ·6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 Ⅲ-11> 강릉시 장래개발계획 ·························· 63
                    ··························
                     ·························

                          ․ ․
<표 Ⅲ-12> 강릉시 세부 교통존 설정 및 읍면동별 인구 수(2011년 기준) ···· 64
                                             ····
                                              ····

<표 Ⅲ-13> 2018년 승용차의 지역별 통행발생량 비율 ···············65
                                 ··············
                                  ··············

<표 Ⅲ-14>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관람객 수단분담율 · ·· ·· ·· ·· ·· ·66
                                  · ·· ·· ·· ·· ··
                                   · ·· ·· ·· ·· ··
                                   · · · · · ·

<표 Ⅲ-15> 버스와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 ····················67
                          ···················
                           ···················

<표 Ⅲ-16> 전국 기반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파라미터 값과 차로용량 ······68
                                         ·····
                                          ·····

<표 Ⅲ-17> 동계올림픽 대회기간의 교통수단별 추가발생 교통량 분석 ······ 69
                                       ······
                                        ·····

<표 Ⅳ-1> 기성시가지 정비 관련 제도 ······················· 83
                       ·······················
                        ·······················

<표 Ⅳ-2>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분류 ··· ·· ·· ··· ·· ·· ·· ·· ·· ··8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 Ⅳ-3>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별 정비방향 및 정비 사업방식 ···········88
                                   ··········
                                    ··········

<표 Ⅴ-1 >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95
                          ·····················
                           ·····················




                         - v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제목



<그림 Ⅰ-1> 연구수행 과정도 ·····························4
                  ····························
                   ····························

<그림 Ⅱ-1> 강릉시가지 인구분포 ··························6
                    ·························
                     ·························

<그림 Ⅱ-2> 강릉시 인구증감률(2000-2005) ·····················7
                              ····················
                               ····················

<그림 Ⅱ-3> 강릉시 서비스업종사자수 변화(2000-2005) ·············· 7
                                    ··············
                                     ··············

<그림 Ⅱ-4> 강릉시 고차서비스 고용밀도 ······················ 8
                        ······················
                         ······················

<그림 Ⅱ-5> 강릉 시가지 가로망 현황도 ············· ····· ····10
                        ············· ····· ···
                         ······ ······ ····· ···
                               ·     ·     ·

<그림 Ⅱ-6> 강릉 용도지역 현황도 ························· 11
                     ·························
                      ························

<그림 Ⅱ-7> 강릉시 20년 이상 경과 주택비율 ··················· 12
                            ···················
                             ··················

<그림 Ⅱ-8> 강릉시 집계구별 도로율 분포 ····················· 13
                         ·····················
                          ····················

<그림 Ⅱ-9> 강릉시 도로면적 대비 연장 ············· ····· ····14
                        ············· ····· ···
                         ······ ······ ····· ···
                               ·     ·     ·

<그림 Ⅱ-10> 강릉시 시가화지역 내 토지밀도 ․ 교통량 분포 현황도 ······· 17
                                        ·······
                                         ·······

<그림 Ⅱ-1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전체 대회관련 시설배치도 ·········· 20
                                     ··········
                                      ·········

<그림 Ⅱ-12> 코스탈 클러스터(강릉시) 배치도 ··················· 25
                            ···················
                             ··················

<그림 Ⅱ-13> 선수촌-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 ··················· 27
                           ···················
                            ···················

<그림 Ⅱ-14>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IC-경기장간) ·········· 28
                                      ··········
                                       ·········

<그림 Ⅱ-15>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역-경기장간) ·········· 29
                                     ··········
                                      ·········

<그림 Ⅱ-16>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 버스터미널-경기장간) ····· 30
                                          ·····
                                           ····

<그림 Ⅱ-17>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 34
                              ·················
                               ·················



                        - vi -
목차



<그림 Ⅱ-18>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지구별 개발방향 ·············34
                                 ············
                                  ············

                ․
<그림 Ⅱ-19> 녹색비즈니스해양휴양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
<그림 Ⅱ-20> 문화체육 복합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그림 Ⅱ-21> 올림픽 공원지구 토지이용계획 ····················35
                          ···················
                           ···················

<그림 Ⅱ-22> 올림픽 다운타운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그림 Ⅲ-1> 공간인지에서 방향전환의 영향력 ··················· 46
                          ···················
                           ···················

<그림 Ⅲ-2> 문화시설의 전체통합도 분석(춘천시) ·················47
                             ················
                              ················

<그림 Ⅲ-3> 공간구문론 분석에 따른 북촌 역사탐방로 계획 ············48
                                  ···········
                                   ···········

<그림 Ⅲ-4> 축선도 작성 방법 ··························· 50
                   ···························
                    ···························

<그림 Ⅲ-5> 강릉시 시가지 도로망 ························· 53
                     ·························
                      ························

<그림 Ⅲ-6> 강릉시 축선도 · · ·· ·· ·· · ·· ·· ·· ·· · ·· ·· ·· ·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7> 강릉시가지 축선별 전체 통합도 분포        · ··· ···· ···· ···55
                                    · ··· ···· ···· ··
                                     · ··· ···· ···· ··
                                     ·   ·    ·    ·

<그림 Ⅲ-8> 강릉 시가지 축선별 통제도 분포 ···················56
                           ··················
                            ··················

<그림 Ⅲ-9> 통합도 상위 1% 축선의 완충공간 설정 ··············· 58
                               ···············
                                ···············

<그림 Ⅲ-10> 통합도 상위 1% 축선과 인접한 필지 ····· ···· ··· ··· 59
                               ····· ···· ··· ···
                                · ··· ···· ··· ··
                                 ·  ·    ·   ·

<그림 Ⅲ-11>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미반영 네트워크(2012년 기준) ······ 62
                                            ······
                                             ·····

<그림 Ⅲ-12>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반영 네트워크(2018년 기준) ······· 62
                                           ·······
                                            ······

<그림 Ⅲ-13>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 반영결과 ······71
                                          ·· ··
                                           ·· ··
                                             · ·

<그림 Ⅲ-14>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결과 ········71
                                        ·······
                                         ·······

<그림 Ⅲ-15> 교통량 10,000대/일 이상 가로에 인접한 필지 ··········· 72
                                      ···········
                                       ···········

<그림 Ⅲ-16> 통합도-교통량 분석에 의한 정비효과성 유형분류 ··········73
                                    ·········
                                     ·········

<그림 Ⅲ-17> 정비시급성과 효과성 비교검토 ····················75
                          ···················
                           ···················



                          - vii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Ⅳ-1> Type II 지역 예시 ·························· 85
                       ··························
                        ··························

<그림 Ⅳ-2> Type III 지역 예시 · ······ ······· ······· ····86
                        · ······ ······· ······· ···
                         · ······ ······· ······· ···
                         ·      ·       ·       ·

<그림 Ⅳ-3> Type IV 지역 예시 ···· ······ ······ ····· ····87
                       ···· ······ ······ ····· ···
                        ···· ······ ······ ····· ···
                           ·      ·      ·     ·

<그림 Ⅳ-4> Type V 지역 예시 ·························· 87
                      ··························
                       ··························

<그림 Ⅴ-1> 트램을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해외사례(프랑스, 홍콩) ········ 97
                                       ········
                                        ········




                        - viii -
요약문



요 약 문




 - ix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x -
Ⅰ. 서론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Ⅰ. 서론




<그림 Ⅰ-7> 연구수행 과정도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계획




1. 인구 및 고용분포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 강릉시가지 인구분포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2> 강릉시       <그림 Ⅱ-3> 강릉시 서비스업종사자수
인구증감률(2000-2005)          변화(2000-2005)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4> 강릉시 고차서비스 고용밀도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2. 공간구조


2.1 교통망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5> 강릉 시가지 가로망 현황도




2.2 토지이용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6> 강릉 용도지역 현황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3. 도로율 및 건축물 노후도


3.1 건축물 노후도 분석




            <그림 Ⅱ-7> 강릉시 20년 이상 경과 주택비율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3.2 도로율




          <그림 Ⅱ-8> 강릉시 집계구별 도로율 분포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Ⅱ-9> 강릉시 도로면적 대비 연장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3.3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표 Ⅱ-1> 강릉시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및 서비스수준 분석

                                 교통량
     조사지점 (가로명)        구   간               V/C    LOS
                                 (대/일)

  (구)동해고속도로(국도7호선)    시청↔모전        7,324   0.18   A

     소금강(국도6호선)       강릉↔오대산       2,726   0.24   A

    통일공원(국도7호선)       강릉↔동해        3,566   0.25   B

   양양군경계(국도7호선)       강릉↔양양       13,686   0.31   B

    청솔공원(국도7호선)       강릉↔속초       23,254   0.45   C

  중고차매매단지(국도7호선)      안인↔강릉       18,743   0.52   C

   망상해수욕장(국도7호선)      강릉↔동해       10,165   0.75   D

  기분좋은주유소(국도35호선)     서울↔강릉       15,129   0.33   B

  선혜원 삼거리(국도35호선)     강릉↔왕산        2,004   0.10   A

  대관령박물관(지방도456호선)    서울↔강릉        1,859   0.11   A

 선혜원 삼거리(지방도415호선)    강릉↔선혜원        847    0.05   A

        박월로           금광리↔강릉       2,877   0.39   B

     옥계(군도7호선)       한라아파트↔파출소     1,538   0.31   B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2> 강릉시 주요가로 구간속도 및 지체도 분석결과
                                           통행
                                 교통량               서비스
 가로명       구     간        차로수              속도
                                 (pcu/h)           수준
                                           (㎞/h)

        구터미널입구사거리→터미널광장   2-3     717      20.08    E
 감나무로
        터미널광장→구터미널입구사거리   2-3     851      16.91    E

        한국은행사거리→성산면경계        2    250      57.41    A
 경강로
        성산면경계→한국은행사거리        2    273      52.62    A

        구터미널입구사거리→강릉경찰서      2    317      45.38    B
 교동로
        강릉경찰서→구터미널입구사거리      2    305      47.10    B

         강릉경찰서→월송로삼거리     2-3     323      44.50    B
 동명로
         월송로삼거리→강릉경찰서     2-3     303      47.44    B

        터미널광장→홍제동고가도로        2    408      35.22    C
 시청로
        홍제동고가도로→터미널광장        2    464      30.99    C

        옥천오거리→한국은행사거리        2   1,187     12.13    F
 중앙로
        한국은행사거리→옥천오거리        2   1,310     10.99    F

          옥천오거리→견소동          2    293      49.06    B
 한송로
          견소동→옥천오거리          2    281      51.13    B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0> 강릉시 시가화지역 내 토지밀도 ․ 교통량 분포 현황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 동계올림픽 관련시설 및 이동동선 계획


4.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요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3> 동계올림픽대회 세부종목 현황
  경기명         종목명                              세부종목
  7경기        15종목                           98개 세부종목
                                        남/여 : 활강, 슈퍼대회전
           알파인 스키(10)
                                        슈퍼복합, 대회전, 회전
                         남 : Skiathlon(15KmC+15KmF), 15KmF, 50KmC 단체출발,
                             SprintC, Sprint RelayF, 4×10Km Relay(2C+2F)
          크로스컨트리(12)
                            여 : Skiathlon(7.5KmC+7.5KmF), 10KmF, 30kmC
                          단체출발, SprintC, Sprint RelayF, 4×5km Relay(2C+2F)
  스키                        남 : NH(Normal Hill), LH(Large Hill), Team LH 
  (49)      스키점프(4)
                                       여 : NH(Normal Hill)
                          남 : 개인 NH+10Km, 개인 LH+10Km, 팀 LH+4×5Km
           노르딕복합(3)
                                                Relay
                                   남/여 : 모글, 에어리얼, 스키크로스
          프리스타일 스키(10)
                                   스키하프파이프, 스키슬로프스타일
                          남/여 : 평행대회전, 하프파이프, 스노보드크로스, 평행회전,
            스노보드(10)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남 : 10Km Sprint, 20Km Individual, 4×7.5Km Relay,
                                    12.5Km추적, 15Km Mass Start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11)       여 : 7.5Km Sprint, 15Km Individual, 4×6Km Relay,
   (11)
                                    10Km추적, 12.5Km Mass Start
                                   혼성계주: 여자2x6km+남자2x7.5km
                                           남 : 2인승, 4인승
 봅슬레이       봅슬레이(3)
                                              여 : 2인승
  (5)
            스켈레톤(2)                             남,여
                                         남 : 1인승
  루지
             루지(4)                       여 : 1인승
  (4)
                              2인승, 팀 릴레이(여자1인승+남자1인승+2인승)
                          남 :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Team
                                               Pursuit
          스피드스케이팅(12)
                          여 : 500m, 1,000m, 1,500m, 3,000m, 5,000m, Team
 스케이팅                                          Pursuit
  (25)     피겨스케이팅(5)      싱글스케이팅(남·여), 페어스케이팅, 아이스댄스, 팀경기
                              남 : 500m, 1,000m, 1,500m, 5,000m(릴레이)
            쇼트트랙(8)
                              여 : 500m, 1,000m, 1,500m, 3,000m(릴레이)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2)                             남, 여
   (2)
  컬링
             컬링(2)                              남, 여
  (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그림 Ⅱ-1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전체 대회관련 시설배치도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4>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계획
                     신설             사   업      계    획
          구   분       및
                     보완                 위치 / 규모
          합 계                       13개소
            소 계                     8개소
               활강                                L = 3,360m
      알              신설     정선 중봉
              슈퍼-G                               L = 2,560m
      파
      인       대회전                                L = 1,191m
                     기존    용평리조트
               회전                                 L = 583m
      봅슬레이/스켈레톤/루지   신설   알펜시아리조트                L = 1,400m
               모글                                 L = 250m
             에어리얼                                 L = 120m
     프 리     스키크로스   보완                          L = 1,100m
설상   스타일
             하프파이프                                L = 180m
종목          슬로프스타일                                L = 720m
                           보광리조트
               PGS                                L = 550m
           스노보드크로스                                L = 900m
     스 노
             하프파이프   보완                           L = 180m
     보 드
               PSL                                L = 350m
            슬로프스타일                                L = 936m
          스키점프                             K125, K98(K60, K25, K15)
         크로스 컨트리     기존   알펜시아리조트                L = 7,500m
          바이애슬론                                  L = 4,000m
           소 계                      5개소
        스피드스케이팅                                     8,000석
빙상       피겨/쇼트트랙          강릉체육시설 단지                12,000석
         아이스하키Ⅰ      신설                            10,000석
종목
         아이스하키Ⅱ            관동대학교                    6,000석
            컬링       보완    강릉빙상장                    3,500석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신설・보완 시설 개요
                       구분                     개소
                       총계                    57개소
                       소계                     9개소
                                    신설        2개소
                      설상
                                    보완        2개소
      경기장
                                    신설        4개소
                      빙상
                                    보완        1개소
                     소계                      38개소
                           광역간선교통망            4개소
      진입도로                 보조간선교통망           16개소
                          경기장진입교통망           18개소
                     소계                      10개소
      부대시설      IBC/MPC, 선수촌·미디어촌, 개폐회식장 등   10개소
 주) 기존시설 활용 대상시설 6개소(알펜시아경기시설 및 용평리조트, 알펜시아미디어촌, 기타
    부대시설 등) 제외


<표 Ⅱ-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부대시설 조성계획
                            신설
          구    분             및                위치 / 규모
                            보완
    IBC           IBC                                  40,000㎡
                            신설    알펜시아리조트
      /           MPC                                  20,000㎡
    MPC        코스탈미디어센터     신설   강릉 체육시설 단지             8,000㎡
                평창클러스터            알펜시아리조트         954세대 / 3,500bed
    선수촌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유천택지 내         575세대 / 2,640bed
               중봉대체선수촌            중봉알파인스키장               200실
                평창클러스터      기존    알펜시아리조트               4,190실
   미디어촌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유천택지 내         2,625세대 / 6,285실
   개・폐회식장
                   평창클러스터   신설   횡계리 고원훈련장              50,000석
(메달플라자, 홍보관)
                                                     저수량:304만톤
 급수체계 구축사업         평창클러스터   신설   대관령면 횡계리          (L=192m, H=45m)
                                               23,000㎡/일(기존:4,000㎡/일)
  도핑컨트롤센터      코스탈클러스터      기존    KIST강릉분원            기존시설 활용
                                  그린르네상스
 올림픽 아트센터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랜드마크 조성사업              28,742㎡
                                      부지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7> 기존(비드파일) 진입도로 사업계획
                       사업명                      사 업 량
      구    분
                       (구 간)                    (정비유형)
      합 계                            14개
        소 계                           3개
광역         공항          양양공항                   탑승교 1개 추가
간선         철도          원주~강릉                 복선 L = 120km
교통망
          고속국도      영동고속도로 임시 IC               임시 IC 신설
           소 계                        2개

보조         국도
                       무이~간평               L = 30.3km (2⇒4차로)
간선         6호
교통망
          국도 59호       마평~나전                L = 20.3km (2차로)

           소 계                        9개
                      지방도456호               L = 7.2km (2차로)
           지방도
                      지방도408호               L = 5.5km (2차로)

                      평창군도12호          L = 1.7km (4차로 1.7km)
           군도
경기장                   평창군도13호               L = 4.2km (4차로)
진입
교통망                  평창도암205호               L = 2.9km (4차로)
          농어촌도로
                     평창도암209호               L = 1.36km (2차로)
                   용평알파인경기장 진입도로            L = 2.36km (2차로)
      내부연결도로         진부역 진입도로               L = 8.76km (2차로)
                     녹색교통시스템                    ITS 시스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2 강릉 코스탈 클러스터 조성계획




<표 Ⅱ-8> 강릉시(코스탈 클러스터) 빙상경기장 개요

                  경기장                          5개소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90,969㎡)
                                                       8,000석
      ・ 시설명 : 사이언스 오발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더블트랙)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32,937㎡)
                                           강릉체육시설단지    12,000석
      ・ 시설명 : 경포 아이스홀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2면, 연습 링크장
 빙상                                   신설
      아이스하키Ⅰ경기장
 종목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21,167㎡)
                                                       10,000석
      ・ 시설명 : 유니온 하키센터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1면, 연습 링크장

      아이스하키Ⅱ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내곡동
                                            관동대학교      6,000석
      ・ 시설명 : 관동대학교 체육관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1면, 연습 링크장

      컬링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교동 11
                                      보완   강릉 실내 빙상장   3,500석
      ・ 시설명 : 강릉실내 빙상장
      ・ 주요 경기시설 : 컬링시트 4개, 아이스링크 2면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 그림 Ⅱ-12> 코스탈 클러스터(강릉시) 배치도




<표 Ⅱ-9> 코스탈 클러스터 부대시설 입지계획

구분    대회관련시설           위치          부지면적(㎡)     도시계획 사항     비고

신설   선수촌 / 미디어촌   강릉시 교동 유천택지 내     125,000     주거지역
                     강릉시 대전동
기존    도핑컨트롤센터      강릉과학산업지방단지 내     165,290        준공업지역
                     KIST강릉 분원

                  강릉시 초당동 그린르네상스              자연환경보전지역
신설   올림픽 아트센터                       28,742               연구시설
                     랜드마크 부지                   생산녹지지역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3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 및 이동동선 계획




<표 Ⅱ-10>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계획 개요
   사업명         위치         사업내용        사업기간                 필요성
                                               ・ 강릉 체육시설단지내 올림픽 파크로의
             강릉시 교동
  올림픽 파크                   2차로      2013년∼       접근성 향상 도모
            강릉종합운동장
   진입도로                 신설(L=2.6km) 2016년      ・ 경기장 진입우회도로 역할 가능
             - 난설헌로
                                                 (경기장간 30분 이내 접근 가능)
                                               ・ 강릉체육시설단지와 가장 가까운 강릉
                                                 체육시설단지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로 신설                  필요
 강릉역∼경기장간                             2013년∼
            강릉시 교동-교동                          ・ 대회기간 중 철도이용객(약 26,000여
    도로                   (L=1.0km)     2016년
                                                 명)의 편의 도모를 위한 경기장 연결
                                                 최단거리 도로개설을 통해 시내권 교
                                                 통량 분산
                                               ・ 선수촌 미 미디어촌에서 국도 7호선을
                                                 통해 강릉 체육시설단지로 연결되는
                                                 최단 도로로 차로협소 및 불량으로 진
                                                 입도로 시설 및 확포장 필요
                        4차로 신설 및               ・대회기간 코스탈 클러스터에 약 60,000
선수촌・미디어촌∼                             2013년∼
            강릉시 교동-교동       확장                  여명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장간 도로                               2016년
                         (L=2.4km)              교통량 분산 필요(경기장간 30분대 접
                                                근 가능)
                                               ・ 국도 7호선에서 경기장으로 연결되는
                                                 기존 도로차로 협소 및 불량으로 진입
                                                 도로 신설 및 확포장 필요
                                               ・ 선수촌 및 미디어촌에서 국도 7호선을
                                                 통해 아이스하키 Ⅱ경기가 개최되는
                                                 관동대학교로 연결되는 기존 도로는
                                                 차로 협소 및 불량으로 진입도로 신설
선수촌∼아이스하키 강릉시 홍제동-내곡동      교량신설       2013년∼
                                                 및 확포장 필요
 Ⅱ경기장간 도로      일원        (L=0.17km)    2016년
                                               ・ 경기장 구역(내곡동)현지 거주인구는
                                                 약 12,000여명으로서 관람객 및 지역
                                                 주민 교통량의 분산 필요(경기장간 30
                                                 분대 접근 가능)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3> 선수촌-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4>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IC-경기장간)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5>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역-경기장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6>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 버스터미널-경기장간)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4.4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1)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40조(특구의 지정)
   ① 도지사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특구의 지정을 요청할 수 있다. ② 도지사가 제1항에 따라 특
   구의 지정을 요청하려는 경우에는 특구에 관한 종합계획(이하 “특구종합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1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안)의 개요




◦ 특구수 : 6개소
   (종합특구 2개소,기능특구 4개소)
◦ 총면적 : 32.65㎢(9,876,625평)
◦ 종합특구 2개소 :
   - 평창 건강올림픽 종합특구
   -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 기능특구
   - 봉평 레저・문화창작특구
   - 정선 생태체험특구
   - 오대산 자연명상특구
   - 금진온천 휴양특구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7>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그림 Ⅱ-18>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지구별 개발방향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
<그림 Ⅱ-19> 녹색비즈니스해양휴양지구                 ․
                           <그림 Ⅱ-20> 문화체육 복합지구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




  <그림 Ⅱ-21> 올림픽 공원지구       <그림 Ⅱ-22> 올림픽 다운타운지구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1. 분석의 기본틀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 동계올림픽을 대비한 시가지정비 우선순위 분석의 판단기준

    정비 우선순위 판단기준
                          분석지표             분석방법
   대분류        소분류

            건축물 노후도    구역별 주택 노후도    통계청 집계구별 주택통계 분석
 정비의 시급성
            도로공급 수준     구역별 도로율      통계청 집계구별 도로면적 산출

                                     공간구문론에 의한 가로의 통합도
            가로의 중심성     공간의 통합도
                                            도출
 정비의 효과성
            가로 통행 빈도       교통량      4단계 교통모형을 이용한 교통량 추정




2) 본 연구에서는 2018년 강릉시 주요도로의 교통량 분석을 위해 강원도가 비드파일이외에 제시한 올
   림픽파크 진입도로, 강릉역 ∼ 경기장간 도로, 선수촌・미디어촌 ∼경기장간 도로, 선수촌 ∼아이스
   하키Ⅱ 경기장도로를 추가로 교통네트워크에 반영하였음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2. 동계 올림픽 관련 수요추정


2.1 과거 동계올림픽 관람수요 사례조사




<표 Ⅲ-2> 나가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나가노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10,000       9,990     9,690     9,840

   쇼트트랙          7,351       7,342     7,282     7,312

    피겨           7,351       7,343     7,082     7,213

 아이스하키(남)       10,000      27,070     9,888    18,479

 아이스하키(여)        6,000      17,718     7,733    12,726

    컬링            -1)        5,755     5,500     5,628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3>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솔트레이크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5,236         -1)       -1)     4,375

    쇼트트랙          17,500     15,012       -1)     14,970

     피겨           17,500     14,767       -1)     14,600

  아이스하키(남)        10,500      8,256       -1)     7,960

  아이스하키(여)        8,400       5,891       -1)     5,461

     컬링           2,000       1,410       -1)     1,300

주1) :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표 Ⅲ-4> 토리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토리노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8,250        -1)       -1)      6,500

   쇼트트랙          8,000        -1)       -1)      6,000

    피겨           8,000        -1)       -1)      6,000

  아이스하키          12,500       -1)       -1)

  아이스하키          5,400       4,447      -1)      3,000

    컬링           2,000        -1)       -1)      1,400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5> 3개 대회 종목별, 경기장별 평균 관람률

      구분            나가노          솔트레이크          토리노

   스피드스케이팅          98.40%        83.56%        78.79%

     쇼트트랙           99.47%        85.54%        75.00%

      피겨            98.12%        83.43%        75.00%

    아이스하키             -1)         75.81%          -1)

    아이스하키             -1)         65.01%        55.56%

      컬링              -1)         65.00%        70.00%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2.2 동계올림픽 관련 방문객 추정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6>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결승경기 최대 관람인원 추정

  스포츠          종목     관객          기타관람            결 전관 객
                                                   승 람 수 결승전            최대치 가정
                     수용력(A)      (B=A*15%))       (C=(A-B)*D)) 관람율(D)    (E=B+C)

                        12,000         1,800             8,670    85%       10,470
               알파인
                        12,000         1,800             9,690    95%       11,490

          크로스컨츄리        15,000         2,250             8,925    70%       11,175

           스키점핑         26,000         3,900            20,995    95%       24,895
  스키
           프리스타일        14,000         2,100            10,115    85%       12,215

           스노우보드        14,000         2,100            11,305    95%       13,405

                        26,000                -              -      -            -
          노르딕컴바인
                        15,000         2,250             8,925    70%       11,175

               스피드       8,000         1,200             6,460    95%        7,660

 스케이트          피겨       12,000         1,800            10,200   100%       12,000

          쇼트트랙스피드       12,000         1,800            10,200   100%       12,000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20,000         3,000            14,450    85%       17,450

  컬링           컬링        3,500           525             2,082    70%        2,607

           봅슬레이         11,000         1,650             6,545    70%        8,195
 봅슬레이
           스켈레톤         11,000         1,650             6,545    70%        8,195

  루지           루지       11,000         1,650             6,545    70%        8,195

                        10,000         1,500             8,075    95%        9,575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
                         6,000           900             4,335    85%        5,235

         개최식            50,000         7,500                                50,000

         폐막식            50,000         7,500                                50,000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7> 종목별 예상 인기도

  순위                          스포츠

   A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B        스피드 스케이팅, 스키 점핑, 스노보드, 알파인 다운힐, 아이스하키 I

   C              알파인, 아이스하키 II, 프리스타일, 바이애슬론

   D         노르딕 컴바인, 루지, 크로스 컨츄리, 컬링, 봅슬레이/스켈레톤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표 Ⅲ-8> 예상 객석 수용량

                           예상 객석 수용량 (%)
       등급
                 예선             준결승             결승

       A          85             90             100

       B          75             85              95

       C          65             75              85

       D          55             65              70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9> 경기장 관람객 예측치

                                        경기당                      경기당
                         1일 관람객                     1일 대회인력
   경기장       경기/종목                      관람객                      대회인력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19,125 30,600 13,700 18,000 2,505 3,135 2,027 2,377
바이애슬론 센타

  알펜시아
              스키점프       17,901 20,995 17,901 20,995 2,345 2,151 2,648 2,773
스키점프 경기장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13,600 20,400 10,200 10,200 1,781 2,090 1,509 1,347
 노르딕 센타

  알펜시아   루지/봅슬레이스
                  6,981 8,415 6,617 8,415            914   862    979 1,111
 슬라이딩 센타   /켈레톤

 용평 알파인
           알파인-테크니컬 13,770 16,200 16,200 16,200 1,804 1,660 2,397 2,140
  경기장

    중봉      알파인-스피드 13,770 16,200 13,770 13,770 1,804 1,660 2,037 1,819

             프리스타일       13,685 22,610 9,917 11,305 1,792 2,316 1.467 1,493
보광휘닉스파크
              스노보드       11,305 11,305 11,305 11,305 1,481 1,158 1,672 1,493

 경포아이스홀     피겨/쇼트트랙       9,350 10,200 9,350 10,200 1,225 1,045 1,383 1,347

강릉실내빙상장        컬링         3,685 4,288 1,330 2,140    479   439    197    283

유니온하키센타     아이스하키        10,200 12,750 5,100 7,650 1,336 1,306    754 1,010

 사이언스오발    스피드스케이팅        3,803 4,845 4,250 4,845    498   496    629    640

강릉대학체육관     아이스하키         4,250 5,100 4,250 5,100    557   523    629    674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3.1 공간구문론의 개념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 공간인지에서 방향전환의 영향력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2> 문화시설의 전체통합도 분석(춘천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3> 공간구문론 분석에 따른 북촌 역사탐방로 계획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2 통합도의 산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4> 축선도 작성 방법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

                  
                 
                       
                          공간 노드 의 총갯수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
                        
                                 
                                   


      바로 인접한 공간의 총갯수   번쨰인접한공간의연결도




3.3 강릉시 가로의 통합도 산출




3)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는 통계자료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각 통계년도에 맞는 행정구역경
   계, 도로, 철도, 하천, 등고, 건축물 등에 대한 공간정보(GIS data)를 제공하고 있다.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5> 강릉시 시가지 도로망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6> 강릉시 축선도



4) 통계청의 도로주제도는 모든 세가로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축선도 작성의 편의를 위해 개별필지 진입
   도로 성격의 세가로들을 제외시킨 후 축선도를 작성하였다.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7> 강릉시가지 축선별 전체 통합도 분포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8> 강릉 시가지 축선별 통제도 분포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4 중심성이 높은 시가화 지역 추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9> 통합도 상위 1% 축선의 완충공간 설정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0> 통합도 상위 1% 축선과 인접한 필지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 교통수요 추정모형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4.1 전제조건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0> 본 연구의 시나리오 구분

        시나리오 구분                  비고


         시나리오 1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반영


         시나리오 2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




4.2 교통수요 추정 방법론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1>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미반영 네트워크(2012년 기준)




      <그림 Ⅲ-12>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반영 네트워크(2018년 기준)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1> 강릉시 장래개발계획

   구분          사업명        수용인구(인)   총면적(㎡)      준공년도   반영년도

            강릉유천 보금자리
 택지개발계획                    13,236   670,098     2013   2018
            주택지구 조성사업

  산업단지
           강릉과학일반산업단지        -      1,496,813   2013   2018
  개발계획




5) 본 연구에서는 인구 수가 많은 지역에 통행량이 많다는 일반적인 가정하에 분석을 수행함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2> 강릉시 세부 교통존 설정 및 읍․면․동별 인구 수(2011년 기준)
                                                 (단위: 명, %)

    구분           지역     소존번호       인구 수           비율

               주문진읍       1        20,154         9.16

                성산면       2         3,382         1.54

                왕산면       3         1,735         0.79

                구정면       4         4,041         1.84

                강동면       5         5,296         2.41

                옥계면       6         4,481         2.04

                사천면       7         4,269         1.94

                연곡면       8         6,861         3.12

                홍제동       9         8,930         4.06

                중앙동       10        6,642         3.02

   강릉시          옥천동       11        4,409         2.00

                교1동       12       29,814        13.54

                교2동       13        9,790         4.45

                포남1동      14       12,206         5.55

                포남2동      15       16,897         7.68

                초당동       16        6,046         2.75

                송정동       17        7,563         3.44

                내곡동       18       11,349         5.16

                강남동       19       21,701         9.86

                성덕동       20       29,378        13.35

                경포동       21        5,177         2.35

                 합계                220,121       100.00

자료 : 강릉시(2011) 통계연보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3> 2018년 승용차의 지역별 통행발생량 비율

             구분                               승용차

                                  통행발생량
    존             소존체계                                비율
                                  (통행/일)

     1            종로구             169817.5           0.63%

     2            중구              165433.5           0.62%

     3            용산구             116927.1           0.44%

     4            성동구             130910.3           0.49%

     5            광진구             128288.6           0.48%

    ⦙              ⦙                 ⦙                 ⦙

    286        정선군 여량면            762.1742           0.003%

    287        정선군 북평면            940.2299           0.004%

    288        정선군 임계면            1287.847           0.005%

자료 : KTDB(2009), 전국수단별 기종점통행량자료를 통해 산출함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4>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관람객 수단분담율

      구분           승용차            버스         철도

   수단분담율(%)         45            28         27

 자료: 한국개발연구원(2007), 「원주-강릉 철도건설사업 타당성 재조사」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5> 버스와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

               버스                          트럭

 구분             소형    보통            소형           중형       대형
       평균     (16인승 (16인승   평균     (2.5톤        (2.5톤   (세미트레
               미만)   이상)            미만)          이상)    일러 이상)

 전국    2.13   1.30   3.70   1.56   1.30         3.70     3.80

 수도권          2.00                         -

자료: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
                      ․                       ․
    판)」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6> 전국 기반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파라미터 값과 차로용량

                                 자유                  1차로당
VDF            도로유형                                           가중치
                                 속도                   용량
 1        1차로 고속도로(폐쇄식)          80    0.58   2.4    1,600    0.072(분/km)
 2        2차로 고속도로(폐쇄식)          117   0.645 2.047   2,200    0.144(분/km)
 3       3차로 이상 고속도로(폐쇄식)        119   0.601 2.378   2,200    0.173(분/km)
 4            1차로 국도             70    0.15   4.0     750          -
 5            2차로 국도             80    0.15   4.0    1,000         -
 6          3차로 이상 국도            90    0.15   4.0    1,000         -
 7       편도 1차로 지방도, 국지도         60    0.15   4.0     750          -
 8       편도 3차로 지방도, 국지도         70    0.15   4.0    1,000         -
 9      편도 3차로 이상 지방도, 국지도       80    0.15   4.0    1,000         -
 10      광역시도, 시 군도(1차로)         40    0.15   4.0     650          -
 11      광역시도, 시 군도(2차로)         50    0.15   4.0     900
 12     광역시도, 시 군도(3차로 이상)       60    0.15   4.0     900
 13         존중심 연결링크             20     -      -     99,999        -
 14      도시고속화도로(3차로 이상)         90    0.15   2.4    2,220         -
 15      도시고속화도로(2차로 이하)         90    0.15   4.0    2,000         -
 16         고속도로 연결램프            50    0.15   4.0    1,600         -
 17         고속도로 톨게이트            50    0.15   4.0    1,600     1.568(분)
       1차로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80    0.58   2.4    1,600         -
       2차로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117   0.645 2.047   2,200         -
      3차로 이상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119   0.601 2.378   2,200         -
기타
      개방식 고속도로 요금부과구간(톨게이트)                                      (분)
          민자 유료도로(톨게이트)                                          (분)
        민자 유료도로(평균 통행요율)                                       (분/km)
주 1): 고속도로 통행요금의 일반화비용 가중치는 1종(승용차) 기준이며, 2011년 기준으로 산정된 값임.
 2): VDF 10~12의 자유속도와 1차로당 용량은 시간당 용량을 적용하기 위해 재산정한 값임.
자료: 한국교통연구원(2008), 「2007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 제6권 전국 지역간 여객 기종점통행량 자
  료의 현행화」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4.3 동계올림픽 교통수요 전망




<표 Ⅲ-17> 동계올림픽 대회기간의 교통수단별 추가발생 교통량 분석

                         수송 교통량
            최대관람객
  교통수단                                                  방향별 분류
              (명)      AADT    시간교통량
                      (대/일)     (대/시)
   철도망      26,000     54        -                        -
                                        제2영동선+영동선+중앙선(원주→진부)            :     9 대/시
 고속버스망      11,160     279       11
                                        동해선(강릉→진부)                      :     3 대/시

                                        인천국제공항(강릉→진부)                   : 16 대/시
항공망+일반버스    20,000     500       20
                                        양양국제공항(강릉→진부)                   : 4 대/시

                                        알펜시아 클러스터                       : 12 대/시
   셔틀버스
            17,200     758       31     코스탈 클러스터                        : 8 대/시
 (배뉴간 이동)
                                        보광 휘닉스파크                        : 11 대/시

                                        서울 등 외부도시                       : 297 대/시
  개인차량      35,640    14,256    594     알펜시아 클러스터                       : 59 대/시
                                        코스탈 존                           : 268 대/시

    계       110,000                         중방향 교통량 : 9+16+12+297 = 334 대/시
1) 최대수송인원은 첫 번째 목요일로 예측(대회6일째) : 110,000명(유치신청서 237page 참조)
2) 수송분담율 : 승용차 2.5명, 버스 40명, 셔틀버스 20명, 철도 481명 적용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3>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 반영결과




<그림 Ⅲ-14>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결과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5> 교통량 10,000대/일 이상 가로에 인접한 필지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5. 다기준 평가를 통한 시가지 정비 우선순위




      <그림 Ⅲ-16> 통합도-교통량 분석에 의한 정비효과성 유형분류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7> 정비시급성과 효과성 비교검토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1. 강릉시 시가지 정비를 위한 제도적 수단




1.1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1.2 기타 정비사업 제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1.3 올림픽 특구 지정에 따른 정비계획(안)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6)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제44조:특구지정
   의 효과)
7)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제57조:다른법률
   에 따른 허가등의 의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표 Ⅳ-1> 기성시가지 정비 관련 제도
                                                         사업추진
          구분        근거법           사업내용         사업방식
                                                          주체
                             상업지역·공업지역 등 도심
         도시환경                                  조합방식       조합
                             기능회복 및 상권활성화가
         정비사업*                                 환지방식      민관 공동
                               필요한 지역의 정비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조합방식       조합
         주택재개발*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환지방식      민관 공동
                                 지역의 정비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주택재건축*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조합방식       조합
                   도시 및       지역의 주거환경개선
                   주거환경      도시내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현지개량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법       노후·불량주택 밀집지역의    공동주택개발   지자체, 공사
                             기반시설 및 주거환경 정비     거점확산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
                                                          조합
 가로주택정비사업*                     가로구역에서의 소규모     현지개량
                                                         민관공동
                                    주거환경 개선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관리사업*                                     현지개량       지자체
                                   정비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의 확충
                  도시재정비                        조합방식
         도시재정비                생활권 규모의 광역적인                상기
                  촉진을 위한                       환지방식
          촉진지구                    도시정비                  사업시행주체
                   특별법                         수용방식
                  전통시장 및
                              전통시장 및 주변지역의              시장정비사업
     시장정비사업       상점가 육성을                        -
                                 환경정비                   추진위원회
                   위한 특별법
                                                          개별
                            도시·군계획 수립 대상지역
                                                        토지건축물
     지구단위계획       국토의 계획 및 일부에 대한 토지 이용 합리화      -
                                                         소유자,
                   이용에 관한   및 미관을 개선을 위한 계획
                                                         지자체
                    특별법
 도시계획시설사업                    개별 도시계획시설의 설치       -        지자체

                  역세권의 개발
                                                        지자체, 공사,
     역세권개발구역      및 이용에 관한    철도역세권의 개발사업      수용방식
                                                          민간
                     법률
                             경관계획 수립지역 내에서의
         경관사업       경관법                          -        지자체
                                경관개선사업

     *
주:       는 동계올림픽특구 지정과 관련하여 정주환경개선관련 사업내용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 정비대상지역 유형에 따른 정비방향 설정




<표 Ⅳ-2>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분류

         주택노후도
                  노후주택비율 80%이상   노후주택비율 60~80%
 가로중심성
  교통량
                      Type I         Type III
                  도시환경의 노후화가      방문객에게 노출될
      유형 A        심하면서 방문객에게     가능성이 가장 높으면서
                 노출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적인 노후화가 진행된
                       지역             지역

                       Type II       Type IV
                   도시환경의 노후화가      부분적인 노후화가
      유형 B
                    심하고 공간구조상     진행되고 공간구조상
                   중심성이 높은 지역     중심성이 높은 지역


                                     Type V
      유형 C             해당없음      통과교통이 많고 부분적인
                                  노후화가 진행된 지역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그림 Ⅳ-1> Type II 지역 예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Ⅳ-2> Type III 지역 예시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그림 Ⅳ-3> Type IV 지역 예시




<그림 Ⅳ-4> Type V 지역 예시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Ⅳ-3>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별 정비방향 및 정비 사업방식

   유형               정비방향                정비사업방식


           간선도로 전면부의 가로환경 개선 및 도로
           정비, 후면부의 소구역 단위 주택정비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우선 추진                  가로주택정비사업
  Type Ⅰ   올림픽 방문객을 대비한 임영교차로 주변지 도시환경정비-역세권 개발
           역의 집중정비                주택재건축
           강릉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도시환경정비사업 도시계획시설사업(도로정비)
           추진


           주택 및 주거환경 정비를 통한 우수한 도심 주거환경개선사업
  Type Ⅱ
           주거지 조성                  가로주택정비사업

           도로확충, 교통시스템 정비, 간판정비 등 교 도시계획시설사업
  Type Ⅲ
           통 편의성 향상과 가로환경 개선        간판정비사업


           도심활성화의 중심공간으로 육성
           가로경관정비                  지구단위계획
  Type Ⅳ   주차장, 오픈스페이스 및 테마가로 조성 등 상권활성화 구역
           의 환경정비 사업 추진            도시계획시설사업
           공공미술 프로젝트 등의 S/W사업 추진


  Type Ⅴ   부분적인 가로경관 정비와 교통인프라 확충   도시계획시설사업
Ⅴ. 결론 및 정책제언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Ⅴ. 결론 및 정책제언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 정책제언


2.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민참여형 정비사업의 추진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2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연계한 강릉역 주변지역의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3 광역 및 도시내 교통망과의 효율적 연계체제를 위한 ITS 시스템 구축




< 표 Ⅴ-1 >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구분             종류                        목표
           - 지점정보수집시스템
                                  - 도로의 통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정보수집 시스템 - 구간정보수집시스템
                                    파악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정보수집
           - CCTV 카메라
           - 통합관리시스템              - 수집체계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운영
  정보가공 시스템
           (상황판, 운영단말기)             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로 신속히 가공
           - 도로전광표지시스템(VMS)
           - Web 시스템
                                  - 도로이용자들에게 정확/신속한 정보를
  정보제공 시스템 - 버스정보제공시스템
                                    적절한 곳에 제공
           - ARS시스템
           - 휴대용 단말 시스템
           - 신호제어시스템              - 철저한 단속을 통한 도로의 용량증대
 교통류제어 시스템 - 단속시스템(주차/속도/신호)        와 효율적인 대중교통 지원을 통한 원
           - 버스운행관리시스템              활한 교통류 제어
           - 타 시스템 연계시스템          - 도로이용자 및 운영자에게 필요한 정
     기타
           - 요금징수시스템                보수집 및 제공
 자료: 장덕형 외(2006),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관동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11권,p.137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4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만들기




8) 국토해양부는 차세대 교통수단인 ‘바이모달 트램(Bi-modality Tram)’과 ‘마그네틱 도로’기술을 교통
   신기술 제10호 지정함. 특히 마그네틱 도로기술은 도로에 지름 15㎜, 길이 30㎜ 크기의 자석을
   4-5m간격으로 심어 철제 궤도 없이 바이모달 트램이나 경전철을 자동 운행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
   로 바이모달 트램을 보다 활성화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Ⅴ. 결론 및 정책제언




<그림 Ⅴ-1> 트램을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해외사례(프랑스, 홍콩)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

⦁


⦁


⦁

⦁


⦁
Abstract




Urban renewal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연구보고 12-4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Urban renewal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2012년 12월 일 인쇄
2012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김종민
발 행 처 : 강원발전연구원
(200-014)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5
전화 : (033)250-1310/20/30/40/70/90
FAX : (033)250-1319/1329
URL : http://www.rig.re.kr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는 한 자유로이 인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나 복사는 금합니다.
※ 이 연구는 본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준일 홍
 
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준일 홍
 
Biljana bojevska portfolio
Biljana bojevska portfolioBiljana bojevska portfolio
Biljana bojevska portfolio
bibi1607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준일 홍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준일 홍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준일 홍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El nacionalismo y liberalismo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Diego Galarza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ROBSON MASSON
 
Juan ramón y_moguer
Juan ramón y_moguerJuan ramón y_moguer
Juan ramón y_moguercacofer638
 
Construir um vira vento
Construir um vira ventoConstruir um vira vento
Construir um vira vento
Célia Barbosa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danielle213
 
Anuario ntu2013
Anuario ntu2013Anuario ntu2013
Anuario ntu2013
Roberta Soares
 

Viewers also liked (17)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
 
Biljana bojevska portfolio
Biljana bojevska portfolioBiljana bojevska portfolio
Biljana bojevska portfolio
 
Adv
AdvAdv
Adv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Biodata
BiodataBiodata
Biodata
 
Otgwrk060003
Otgwrk060003Otgwrk060003
Otgwrk060003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El nacionalismo y liberalismo
El nacionalismo y liberalismo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
Regulamento técnico de suíço
 
Juan ramón y_moguer
Juan ramón y_moguerJuan ramón y_moguer
Juan ramón y_moguer
 
Resume James (james)
Resume James (james)Resume James (james)
Resume James (james)
 
Construir um vira vento
Construir um vira ventoConstruir um vira vento
Construir um vira vento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
Ead ad1 danielle_monica_simone
 
Apresenta..
Apresenta..Apresenta..
Apresenta..
 
Anuario ntu2013
Anuario ntu2013Anuario ntu2013
Anuario ntu2013
 

Similar to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Henry Hyeongrae Kim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성원 정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seekly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seekly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kysnyou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khkim4123
 
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
JongHyoun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seekly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seekly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enhancedsubong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Young Keun Keun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seekly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seekly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seekly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seekly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atelier t*h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jsm720
 

Similar to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20)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2007 11)도시재생전략의 도입을 통한 경상남도 도시지역 경쟁력 강화방안
 
135
 135 135
135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
11 br02 11gi03_전라북도 관광실태조사-전라북도 관광객 방문행태 및 소비특성을 중심으로_정명희
 
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
6 마상열 살기좋은지역만들기세부추진전략수립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
(2008 7)eu지역의 요트산업
 
Bb560
Bb560Bb560
Bb560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
2011년도사회복지시설관리안내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및 개인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Korean Sports
Korean SportsKorean Sports
Korean Sports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
(2008 14)경남지역폐교의활용-이슈분석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경남지역의 창업과 부도실태 분석[이슈분석2007 11호]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2007 8)경남지역 외국인노동자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
00 2012 학교생활기록부_기재요령(초등용)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 1.
  • 2.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도서목록(CIP)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Urban r- ehabilitation and redevelopment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 조명호, 김재진 [지음]. -- 춘천 : 강원발전연구원, 2012 p. ; cm. -- (연구보고 ; 12-42) 영어 요약 있음 ISBN 978-89-5705-422-2 93690 : 비매품 도시 정비[都市整備] 강릉(강원도)[江陵] 539.73-KDC5 711.58-DDC21 CIP2012006121
  • 4.
  • 5. 목차 목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 ········ ·····2 ········· ········ ········ ···· ········· ········ ········ ···· · · ·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계획 ········ ··· ···· ···5 ········ ··· ···· ·· ··· ···· ··· ···· ·· · · · · 1. 인구 및 고용분포 ································ 5 ································ ································ 2. 공간구조 · ········· ·········· ·········· ······9 · ········· ·········· ·········· ····· · ········· ·········· ·········· ····· · · · · 2.1 교통망 ···················· ·········· ······9 ···················· ·········· ····· ·········· ········· ·········· ····· · · · 2.2 토지이용 ·································· 10 ·································· ·································· 3. 도로율 및 건축물 노후도 · ···· ···· ····· ···· ····· ···12 · ···· ···· ····· ···· ····· ·· · ···· ···· ····· ···· ····· ·· · · · · · · 3.1 건축물 노후도 분석 ·····························12 ···························· ···························· 3.2 도로율 ·········· ···· ···· ····· ···· ···· ···13 ·········· ···· ···· ····· ···· ···· ·· ···· ····· ···· ···· ····· ···· ···· ·· · · · · · · · 3.3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15 ························· ························· 4. 동계올림픽 관련시설 및 이동동선 계획 ···················· 18 ···················· ··················· 4.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요 ························ 18 ························ ······················· 4.2 강릉 코스탈 클러스터 조성계획 · ············ ·········24 · ············ ········ · ············ ········ · · - i -
  • 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3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 및 이동동선 계획 ···········26 ·········· ·········· 4.4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 31 ···················· ····················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 ····· ····37 ···· ····· ····· ····· ··· ···· ····· ····· ····· ··· · · · · 1. 분석의 기본틀 ································· 37 ································· ································· 2. 동계 올림픽 관련 수요추정 ·························· 39 ·························· ·························· 2.1 과거 동계올림픽 관람수요 사례조사 ···················· 39 ···················· ··················· 2.2 동계올림픽 관련 방문객 추정 ······················· 41 ······················· ······················· 3.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45 ····················· ····················· 3.1 공간구문론의 개념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통합도의 산출 ····· ·· ·· ·· ·· ·· ·· ·· ·· ·· ··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강릉시 가로의 통합도 산출 ······· ······ ······· ····52 ······· ······ ······· ··· ······· ······ ······· ··· · · · 3.4 중심성이 높은 시가화 지역 추출 ······················57 ····················· ····················· 4. 교통수요 추정모형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60 ················· ················· 4.1 전제조건 ·································· 60 ·································· ·································· 4.2 교통수요 추정 방법론 ··························· 61 ··························· ··························· 4.3 동계올림픽 교통수요 전망 ························· 69 ························· ························ 5. 다기준 평가를 통한 시가지 정비 우선순위 ·················· 73 ·················· ··················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77 ···················· ···················· 1. 강릉시 시가지 정비를 위한 제도적 수단 ··················· 77 ··················· ··················· - ii -
  • 7. 목차 1.1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 ················ 77 ················ ················ 1.2 기타 정비사업 제도 ·····························79 ···························· ···························· 1.3 올림픽 특구 지정에 따른 정비계획(안) ··· ····· ······ ····80 ··· ····· ······ ··· ··· ····· ······ ··· · · · 2. 정비대상지역 유형에 따른 정비방향 설정 ··· ·· ·· ·· ·· ·· ··· ·84 ··· ·· ·· ·· ·· ·· ··· ··· ·· ·· ·· ·· ·· ··· · · · · · · · Ⅴ. 결론 및 정책제언 ································89 ······························· ······························· 1. 결론 ···· ···· ···· ··· ···· ···· ··· ···· ···· ··8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정책제언 · ···· ···· ····· ···· ···· ····· ···· ···93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민참여형 정비사업의 추진 · 93 ·· 2.2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연계한 강릉역 주변지역의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 ·· 94 ·· · 2.3 광역 및 도시내 교통망과의 효율적 연계체제를 위한 ITS 시스템 구축 ·· 95 ·· · 2.4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만들기 ·············· 96 ·············· ············· 참고문헌 ······································ 99 ······································ ······································ ABSTRACT ···· ·· · ·· ·· · ·· ·· ·· · ·· ·· · ·· ·· · ·· 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i -
  • 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제목 <표 Ⅱ-1> 강릉시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및 서비스수준 분석 ········· 15 ········· ········ <표 Ⅱ-2> 강릉시 주요가로 구간속도 및 지체도 분석결과 ············· 16 ············· ············ <표 Ⅱ-3> 동계올림픽대회 세부종목 현황 ······················19 ····················· ····················· <표 Ⅱ-4>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계획 ····· ···· ···· ···21 ····· ···· ···· ·· ····· ···· ···· ·· · · · <표 Ⅱ-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신설・보완 시설 개요 ··········· 22 ··········· ··········· <표 Ⅱ-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부대시설 조성계획 ············ 22 ············ ············ <표 Ⅱ-7> 기존(비드파일) 진입도로 사업계획 ····················23 ··················· ··················· <표 Ⅱ-8> 강릉시(코스탈 클러스터) 빙상경기장 개요 ················24 ··············· ··············· <표 Ⅱ-9> 코스탈 클러스터 부대시설 입지계획 ···················25 ·················· ·················· <표 Ⅱ-10>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계획 개요 ············· 26 ············· ············· <표 Ⅱ-1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안)의 개요 ············32 ··········· ··········· <표 Ⅲ-1> 동계올림픽을 대비한 시가지정비 우선순위 분석의 판단기준 ····· 38 ····· ····· <표 Ⅲ-2> 나가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 39 ····················· ···················· <표 Ⅲ-3>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40 ·················· ·················· <표 Ⅲ-4> 토리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 40 ····················· ···················· <표 Ⅲ-5> 3개 대회 종목별, 경기장별 평균 관람률 ·················41 ················ ················ <표 Ⅲ-6>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결승경기 최대 관람인원 추정 ·········· 42 ·········· ········· <표 Ⅲ-7> 종목별 예상 인기도 ··························· 43 ··························· ··························· <표 Ⅲ-8> 예상 객석 수용량 ·····························43 ···························· ···························· - iv -
  • 9. 목차 <표 Ⅲ-9> 경기장 관람객 예측치 ·························· 44 ·························· ·························· <표 Ⅲ-10> 본 연구의 시나리오 구분 · ·· ·· ·· ·· ·· ·· ·· ·· ··· ·6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 Ⅲ-11> 강릉시 장래개발계획 ·························· 63 ·························· ························· ․ ․ <표 Ⅲ-12> 강릉시 세부 교통존 설정 및 읍면동별 인구 수(2011년 기준) ···· 64 ···· ···· <표 Ⅲ-13> 2018년 승용차의 지역별 통행발생량 비율 ···············65 ·············· ·············· <표 Ⅲ-14>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관람객 수단분담율 · ·· ·· ·· ·· ·· ·66 · ·· ·· ·· ·· ·· · ·· ·· ·· ·· ·· · · · · · · <표 Ⅲ-15> 버스와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 ····················67 ··················· ··················· <표 Ⅲ-16> 전국 기반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파라미터 값과 차로용량 ······68 ····· ····· <표 Ⅲ-17> 동계올림픽 대회기간의 교통수단별 추가발생 교통량 분석 ······ 69 ······ ····· <표 Ⅳ-1> 기성시가지 정비 관련 제도 ······················· 83 ······················· ······················· <표 Ⅳ-2>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분류 ··· ·· ·· ··· ·· ·· ·· ·· ·· ··8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표 Ⅳ-3>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별 정비방향 및 정비 사업방식 ···········88 ·········· ·········· <표 Ⅴ-1 >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95 ····················· ····················· - v -
  • 1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제목 <그림 Ⅰ-1> 연구수행 과정도 ·····························4 ···························· ···························· <그림 Ⅱ-1> 강릉시가지 인구분포 ··························6 ························· ························· <그림 Ⅱ-2> 강릉시 인구증감률(2000-2005) ·····················7 ···················· ···················· <그림 Ⅱ-3> 강릉시 서비스업종사자수 변화(2000-2005) ·············· 7 ·············· ·············· <그림 Ⅱ-4> 강릉시 고차서비스 고용밀도 ······················ 8 ······················ ······················ <그림 Ⅱ-5> 강릉 시가지 가로망 현황도 ············· ····· ····10 ············· ····· ··· ······ ······ ····· ··· · · · <그림 Ⅱ-6> 강릉 용도지역 현황도 ························· 11 ························· ························ <그림 Ⅱ-7> 강릉시 20년 이상 경과 주택비율 ··················· 12 ··················· ·················· <그림 Ⅱ-8> 강릉시 집계구별 도로율 분포 ····················· 13 ····················· ···················· <그림 Ⅱ-9> 강릉시 도로면적 대비 연장 ············· ····· ····14 ············· ····· ··· ······ ······ ····· ··· · · · <그림 Ⅱ-10> 강릉시 시가화지역 내 토지밀도 ․ 교통량 분포 현황도 ······· 17 ······· ······· <그림 Ⅱ-1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전체 대회관련 시설배치도 ·········· 20 ·········· ········· <그림 Ⅱ-12> 코스탈 클러스터(강릉시) 배치도 ··················· 25 ··················· ·················· <그림 Ⅱ-13> 선수촌-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 ··················· 27 ··················· ··················· <그림 Ⅱ-14>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IC-경기장간) ·········· 28 ·········· ········· <그림 Ⅱ-15>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역-경기장간) ·········· 29 ·········· ········· <그림 Ⅱ-16>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 버스터미널-경기장간) ····· 30 ····· ···· <그림 Ⅱ-17>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 34 ················· ················· - vi -
  • 11. 목차 <그림 Ⅱ-18>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지구별 개발방향 ·············34 ············ ············ ․ <그림 Ⅱ-19> 녹색비즈니스해양휴양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 <그림 Ⅱ-20> 문화체육 복합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그림 Ⅱ-21> 올림픽 공원지구 토지이용계획 ····················35 ··················· ··················· <그림 Ⅱ-22> 올림픽 다운타운지구 토지이용계획 ················· 35 ················· ················· <그림 Ⅲ-1> 공간인지에서 방향전환의 영향력 ··················· 46 ··················· ··················· <그림 Ⅲ-2> 문화시설의 전체통합도 분석(춘천시) ·················47 ················ ················ <그림 Ⅲ-3> 공간구문론 분석에 따른 북촌 역사탐방로 계획 ············48 ··········· ··········· <그림 Ⅲ-4> 축선도 작성 방법 ··························· 50 ··························· ··························· <그림 Ⅲ-5> 강릉시 시가지 도로망 ························· 53 ························· ························ <그림 Ⅲ-6> 강릉시 축선도 · · ·· ·· ·· · ·· ·· ·· ·· · ·· ·· ·· ·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Ⅲ-7> 강릉시가지 축선별 전체 통합도 분포 · ··· ···· ···· ···55 · ··· ···· ···· ·· · ··· ···· ···· ·· · · · · <그림 Ⅲ-8> 강릉 시가지 축선별 통제도 분포 ···················56 ·················· ·················· <그림 Ⅲ-9> 통합도 상위 1% 축선의 완충공간 설정 ··············· 58 ··············· ··············· <그림 Ⅲ-10> 통합도 상위 1% 축선과 인접한 필지 ····· ···· ··· ··· 59 ····· ···· ··· ··· · ··· ···· ··· ·· · · · · <그림 Ⅲ-11>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미반영 네트워크(2012년 기준) ······ 62 ······ ····· <그림 Ⅲ-12>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반영 네트워크(2018년 기준) ······· 62 ······· ······ <그림 Ⅲ-13>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 반영결과 ······71 ·· ·· ·· ·· · · <그림 Ⅲ-14>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결과 ········71 ······· ······· <그림 Ⅲ-15> 교통량 10,000대/일 이상 가로에 인접한 필지 ··········· 72 ··········· ··········· <그림 Ⅲ-16> 통합도-교통량 분석에 의한 정비효과성 유형분류 ··········73 ········· ········· <그림 Ⅲ-17> 정비시급성과 효과성 비교검토 ····················75 ··················· ··················· - vii -
  • 1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Ⅳ-1> Type II 지역 예시 ·························· 85 ·························· ·························· <그림 Ⅳ-2> Type III 지역 예시 · ······ ······· ······· ····86 · ······ ······· ······· ··· · ······ ······· ······· ··· · · · · <그림 Ⅳ-3> Type IV 지역 예시 ···· ······ ······ ····· ····87 ···· ······ ······ ····· ··· ···· ······ ······ ····· ··· · · · · <그림 Ⅳ-4> Type V 지역 예시 ·························· 87 ·························· ·························· <그림 Ⅴ-1> 트램을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해외사례(프랑스, 홍콩) ········ 97 ········ ········ - viii -
  • 1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x -
  • 15. Ⅰ. 서론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7. Ⅰ. 서론 <그림 Ⅰ-7> 연구수행 과정도
  • 18.
  • 19.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계획 1. 인구 및 고용분포
  • 2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 강릉시가지 인구분포
  • 21.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2> 강릉시 <그림 Ⅱ-3> 강릉시 서비스업종사자수 인구증감률(2000-2005) 변화(2000-2005)
  • 2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4> 강릉시 고차서비스 고용밀도
  • 23.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2. 공간구조 2.1 교통망
  • 2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5> 강릉 시가지 가로망 현황도 2.2 토지이용
  • 25.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6> 강릉 용도지역 현황도
  • 2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3. 도로율 및 건축물 노후도 3.1 건축물 노후도 분석 <그림 Ⅱ-7> 강릉시 20년 이상 경과 주택비율
  • 27.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3.2 도로율 <그림 Ⅱ-8> 강릉시 집계구별 도로율 분포
  • 2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Ⅱ-9> 강릉시 도로면적 대비 연장
  • 29.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3.3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표 Ⅱ-1> 강릉시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및 서비스수준 분석 교통량 조사지점 (가로명) 구 간 V/C LOS (대/일) (구)동해고속도로(국도7호선) 시청↔모전 7,324 0.18 A 소금강(국도6호선) 강릉↔오대산 2,726 0.24 A 통일공원(국도7호선) 강릉↔동해 3,566 0.25 B 양양군경계(국도7호선) 강릉↔양양 13,686 0.31 B 청솔공원(국도7호선) 강릉↔속초 23,254 0.45 C 중고차매매단지(국도7호선) 안인↔강릉 18,743 0.52 C 망상해수욕장(국도7호선) 강릉↔동해 10,165 0.75 D 기분좋은주유소(국도35호선) 서울↔강릉 15,129 0.33 B 선혜원 삼거리(국도35호선) 강릉↔왕산 2,004 0.10 A 대관령박물관(지방도456호선) 서울↔강릉 1,859 0.11 A 선혜원 삼거리(지방도415호선) 강릉↔선혜원 847 0.05 A 박월로 금광리↔강릉 2,877 0.39 B 옥계(군도7호선) 한라아파트↔파출소 1,538 0.31 B
  • 3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2> 강릉시 주요가로 구간속도 및 지체도 분석결과 통행 교통량 서비스 가로명 구 간 차로수 속도 (pcu/h) 수준 (㎞/h) 구터미널입구사거리→터미널광장 2-3 717 20.08 E 감나무로 터미널광장→구터미널입구사거리 2-3 851 16.91 E 한국은행사거리→성산면경계 2 250 57.41 A 경강로 성산면경계→한국은행사거리 2 273 52.62 A 구터미널입구사거리→강릉경찰서 2 317 45.38 B 교동로 강릉경찰서→구터미널입구사거리 2 305 47.10 B 강릉경찰서→월송로삼거리 2-3 323 44.50 B 동명로 월송로삼거리→강릉경찰서 2-3 303 47.44 B 터미널광장→홍제동고가도로 2 408 35.22 C 시청로 홍제동고가도로→터미널광장 2 464 30.99 C 옥천오거리→한국은행사거리 2 1,187 12.13 F 중앙로 한국은행사거리→옥천오거리 2 1,310 10.99 F 옥천오거리→견소동 2 293 49.06 B 한송로 견소동→옥천오거리 2 281 51.13 B
  • 31.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0> 강릉시 시가화지역 내 토지밀도 ․ 교통량 분포 현황도
  • 3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 동계올림픽 관련시설 및 이동동선 계획 4.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요
  • 33.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3> 동계올림픽대회 세부종목 현황 경기명 종목명 세부종목 7경기 15종목 98개 세부종목 남/여 : 활강, 슈퍼대회전 알파인 스키(10) 슈퍼복합, 대회전, 회전 남 : Skiathlon(15KmC+15KmF), 15KmF, 50KmC 단체출발, SprintC, Sprint RelayF, 4×10Km Relay(2C+2F) 크로스컨트리(12) 여 : Skiathlon(7.5KmC+7.5KmF), 10KmF, 30kmC 단체출발, SprintC, Sprint RelayF, 4×5km Relay(2C+2F) 스키 남 : NH(Normal Hill), LH(Large Hill), Team LH  (49) 스키점프(4) 여 : NH(Normal Hill) 남 : 개인 NH+10Km, 개인 LH+10Km, 팀 LH+4×5Km 노르딕복합(3) Relay 남/여 : 모글, 에어리얼, 스키크로스 프리스타일 스키(10) 스키하프파이프, 스키슬로프스타일 남/여 : 평행대회전, 하프파이프, 스노보드크로스, 평행회전, 스노보드(10) 스노보드 슬로프스타일 남 : 10Km Sprint, 20Km Individual, 4×7.5Km Relay, 12.5Km추적, 15Km Mass Start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11) 여 : 7.5Km Sprint, 15Km Individual, 4×6Km Relay, (11) 10Km추적, 12.5Km Mass Start 혼성계주: 여자2x6km+남자2x7.5km 남 : 2인승, 4인승 봅슬레이 봅슬레이(3) 여 : 2인승 (5) 스켈레톤(2) 남,여 남 : 1인승 루지 루지(4) 여 : 1인승 (4) 2인승, 팀 릴레이(여자1인승+남자1인승+2인승) 남 :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Team Pursuit 스피드스케이팅(12) 여 : 500m, 1,000m, 1,500m, 3,000m, 5,000m, Team 스케이팅 Pursuit (25) 피겨스케이팅(5) 싱글스케이팅(남·여), 페어스케이팅, 아이스댄스, 팀경기 남 : 500m, 1,000m, 1,500m, 5,000m(릴레이) 쇼트트랙(8) 여 : 500m, 1,000m, 1,500m, 3,000m(릴레이)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2) 남, 여 (2) 컬링 컬링(2) 남, 여 (2)
  • 3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그림 Ⅱ-11>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전체 대회관련 시설배치도
  • 35.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4>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계획 신설 사 업 계 획 구 분 및 보완 위치 / 규모 합 계 13개소 소 계 8개소 활강 L = 3,360m 알 신설 정선 중봉 슈퍼-G L = 2,560m 파 인 대회전 L = 1,191m 기존 용평리조트 회전 L = 583m 봅슬레이/스켈레톤/루지 신설 알펜시아리조트 L = 1,400m 모글 L = 250m 에어리얼 L = 120m 프 리 스키크로스 보완 L = 1,100m 설상 스타일 하프파이프 L = 180m 종목 슬로프스타일 L = 720m 보광리조트 PGS L = 550m 스노보드크로스 L = 900m 스 노 하프파이프 보완 L = 180m 보 드 PSL L = 350m 슬로프스타일 L = 936m 스키점프 K125, K98(K60, K25, K15) 크로스 컨트리 기존 알펜시아리조트 L = 7,500m 바이애슬론 L = 4,000m 소 계 5개소 스피드스케이팅 8,000석 빙상 피겨/쇼트트랙 강릉체육시설 단지 12,000석 아이스하키Ⅰ 신설 10,000석 종목 아이스하키Ⅱ 관동대학교 6,000석 컬링 보완 강릉빙상장 3,500석
  • 3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신설・보완 시설 개요 구분 개소 총계 57개소 소계 9개소 신설 2개소 설상 보완 2개소 경기장 신설 4개소 빙상 보완 1개소 소계 38개소 광역간선교통망 4개소 진입도로 보조간선교통망 16개소 경기장진입교통망 18개소 소계 10개소 부대시설 IBC/MPC, 선수촌·미디어촌, 개폐회식장 등 10개소 주) 기존시설 활용 대상시설 6개소(알펜시아경기시설 및 용평리조트, 알펜시아미디어촌, 기타 부대시설 등) 제외 <표 Ⅱ-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부대시설 조성계획 신설 구 분 및 위치 / 규모 보완 IBC IBC 40,000㎡ 신설 알펜시아리조트 / MPC 20,000㎡ MPC 코스탈미디어센터 신설 강릉 체육시설 단지 8,000㎡ 평창클러스터 알펜시아리조트 954세대 / 3,500bed 선수촌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유천택지 내 575세대 / 2,640bed 중봉대체선수촌 중봉알파인스키장 200실 평창클러스터 기존 알펜시아리조트 4,190실 미디어촌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유천택지 내 2,625세대 / 6,285실 개・폐회식장 평창클러스터 신설 횡계리 고원훈련장 50,000석 (메달플라자, 홍보관) 저수량:304만톤 급수체계 구축사업 평창클러스터 신설 대관령면 횡계리 (L=192m, H=45m) 23,000㎡/일(기존:4,000㎡/일) 도핑컨트롤센터 코스탈클러스터 기존 KIST강릉분원 기존시설 활용 그린르네상스 올림픽 아트센터 코스탈클러스터 신설 랜드마크 조성사업 28,742㎡ 부지
  • 37.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표 Ⅱ-7> 기존(비드파일) 진입도로 사업계획 사업명 사 업 량 구 분 (구 간) (정비유형) 합 계 14개 소 계 3개 광역 공항 양양공항 탑승교 1개 추가 간선 철도 원주~강릉 복선 L = 120km 교통망 고속국도 영동고속도로 임시 IC 임시 IC 신설 소 계 2개 보조 국도 무이~간평 L = 30.3km (2⇒4차로) 간선 6호 교통망 국도 59호 마평~나전 L = 20.3km (2차로) 소 계 9개 지방도456호 L = 7.2km (2차로) 지방도 지방도408호 L = 5.5km (2차로) 평창군도12호 L = 1.7km (4차로 1.7km) 군도 경기장 평창군도13호 L = 4.2km (4차로) 진입 교통망 평창도암205호 L = 2.9km (4차로) 농어촌도로 평창도암209호 L = 1.36km (2차로) 용평알파인경기장 진입도로 L = 2.36km (2차로) 내부연결도로 진부역 진입도로 L = 8.76km (2차로) 녹색교통시스템 ITS 시스템
  • 3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2 강릉 코스탈 클러스터 조성계획 <표 Ⅱ-8> 강릉시(코스탈 클러스터) 빙상경기장 개요 경기장 5개소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90,969㎡) 8,000석 ・ 시설명 : 사이언스 오발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더블트랙)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32,937㎡) 강릉체육시설단지 12,000석 ・ 시설명 : 경포 아이스홀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2면, 연습 링크장 빙상 신설 아이스하키Ⅰ경기장 종목 ・ 위치 : 강릉시 포남동(121,167㎡) 10,000석 ・ 시설명 : 유니온 하키센터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1면, 연습 링크장 아이스하키Ⅱ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내곡동 관동대학교 6,000석 ・ 시설명 : 관동대학교 체육관 ・ 주요 경기시설 : 아이스링크 1면, 연습 링크장 컬링 경기장 ・ 위치 : 강릉시 교동 11 보완 강릉 실내 빙상장 3,500석 ・ 시설명 : 강릉실내 빙상장 ・ 주요 경기시설 : 컬링시트 4개, 아이스링크 2면
  • 39.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 그림 Ⅱ-12> 코스탈 클러스터(강릉시) 배치도 <표 Ⅱ-9> 코스탈 클러스터 부대시설 입지계획 구분 대회관련시설 위치 부지면적(㎡) 도시계획 사항 비고 신설 선수촌 / 미디어촌 강릉시 교동 유천택지 내 125,000 주거지역 강릉시 대전동 기존 도핑컨트롤센터 강릉과학산업지방단지 내 165,290 준공업지역 KIST강릉 분원 강릉시 초당동 그린르네상스 자연환경보전지역 신설 올림픽 아트센터 28,742 연구시설 랜드마크 부지 생산녹지지역
  • 4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3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 및 이동동선 계획 <표 Ⅱ-10> 강릉 코스탈 경기장 접근도로 건설계획 개요 사업명 위치 사업내용 사업기간 필요성 ・ 강릉 체육시설단지내 올림픽 파크로의 강릉시 교동 올림픽 파크 2차로 2013년∼ 접근성 향상 도모 강릉종합운동장 진입도로 신설(L=2.6km) 2016년 ・ 경기장 진입우회도로 역할 가능 - 난설헌로 (경기장간 30분 이내 접근 가능) ・ 강릉체육시설단지와 가장 가까운 강릉 체육시설단지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로 신설 필요 강릉역∼경기장간 2013년∼ 강릉시 교동-교동 ・ 대회기간 중 철도이용객(약 26,000여 도로 (L=1.0km) 2016년 명)의 편의 도모를 위한 경기장 연결 최단거리 도로개설을 통해 시내권 교 통량 분산 ・ 선수촌 미 미디어촌에서 국도 7호선을 통해 강릉 체육시설단지로 연결되는 최단 도로로 차로협소 및 불량으로 진 입도로 시설 및 확포장 필요 4차로 신설 및 ・대회기간 코스탈 클러스터에 약 60,000 선수촌・미디어촌∼ 2013년∼ 강릉시 교동-교동 확장 여명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장간 도로 2016년 (L=2.4km) 교통량 분산 필요(경기장간 30분대 접 근 가능) ・ 국도 7호선에서 경기장으로 연결되는 기존 도로차로 협소 및 불량으로 진입 도로 신설 및 확포장 필요 ・ 선수촌 및 미디어촌에서 국도 7호선을 통해 아이스하키 Ⅱ경기가 개최되는 관동대학교로 연결되는 기존 도로는 차로 협소 및 불량으로 진입도로 신설 선수촌∼아이스하키 강릉시 홍제동-내곡동 교량신설 2013년∼ 및 확포장 필요 Ⅱ경기장간 도로 일원 (L=0.17km) 2016년 ・ 경기장 구역(내곡동)현지 거주인구는 약 12,000여명으로서 관람객 및 지역 주민 교통량의 분산 필요(경기장간 30 분대 접근 가능)
  • 41.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3> 선수촌-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
  • 4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4>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IC-경기장간)
  • 43.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그림 Ⅱ-15>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역-경기장간)
  • 4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6> 관람객-경기장간 이동동선 계획(강릉 버스터미널-경기장간)
  • 45.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4.4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1)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40조(특구의 지정) ① 도지사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 특구의 지정을 요청할 수 있다. ② 도지사가 제1항에 따라 특 구의 지정을 요청하려는 경우에는 특구에 관한 종합계획(이하 “특구종합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
  • 4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Ⅱ-1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종합계획(안)의 개요 ◦ 특구수 : 6개소 (종합특구 2개소,기능특구 4개소) ◦ 총면적 : 32.65㎢(9,876,625평) ◦ 종합특구 2개소 : - 평창 건강올림픽 종합특구 -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 기능특구 - 봉평 레저・문화창작특구 - 정선 생태체험특구 - 오대산 자연명상특구 - 금진온천 휴양특구
  • 47.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 4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Ⅱ-17>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계획(안) <그림 Ⅱ-18>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 지구별 개발방향
  • 49. Ⅱ. 강릉시 시가지 현황 및 동계올림픽 관련 계획 ․ <그림 Ⅱ-19> 녹색비즈니스해양휴양지구 ․ <그림 Ⅱ-20> 문화체육 복합지구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 <그림 Ⅱ-21> 올림픽 공원지구 <그림 Ⅱ-22> 올림픽 다운타운지구 토지이용계획 토지이용계획
  • 50.
  • 51.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1. 분석의 기본틀
  • 5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 동계올림픽을 대비한 시가지정비 우선순위 분석의 판단기준 정비 우선순위 판단기준 분석지표 분석방법 대분류 소분류 건축물 노후도 구역별 주택 노후도 통계청 집계구별 주택통계 분석 정비의 시급성 도로공급 수준 구역별 도로율 통계청 집계구별 도로면적 산출 공간구문론에 의한 가로의 통합도 가로의 중심성 공간의 통합도 도출 정비의 효과성 가로 통행 빈도 교통량 4단계 교통모형을 이용한 교통량 추정 2) 본 연구에서는 2018년 강릉시 주요도로의 교통량 분석을 위해 강원도가 비드파일이외에 제시한 올 림픽파크 진입도로, 강릉역 ∼ 경기장간 도로, 선수촌・미디어촌 ∼경기장간 도로, 선수촌 ∼아이스 하키Ⅱ 경기장도로를 추가로 교통네트워크에 반영하였음
  • 53.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2. 동계 올림픽 관련 수요추정 2.1 과거 동계올림픽 관람수요 사례조사 <표 Ⅲ-2> 나가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나가노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10,000 9,990 9,690 9,840 쇼트트랙 7,351 7,342 7,282 7,312 피겨 7,351 7,343 7,082 7,213 아이스하키(남) 10,000 27,070 9,888 18,479 아이스하키(여) 6,000 17,718 7,733 12,726 컬링 -1) 5,755 5,500 5,628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 5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3>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솔트레이크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5,236 -1) -1) 4,375 쇼트트랙 17,500 15,012 -1) 14,970 피겨 17,500 14,767 -1) 14,600 아이스하키(남) 10,500 8,256 -1) 7,960 아이스하키(여) 8,400 5,891 -1) 5,461 컬링 2,000 1,410 -1) 1,300 주1) :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표 Ⅲ-4> 토리노 동계올림픽 관람객 자료 토리노올림픽 구분 경기장 수용규모 최대관람객 최소관람객 평균 스피드스케이팅 8,250 -1) -1) 6,500 쇼트트랙 8,000 -1) -1) 6,000 피겨 8,000 -1) -1) 6,000 아이스하키 12,500 -1) -1) 아이스하키 5,400 4,447 -1) 3,000 컬링 2,000 -1) -1) 1,400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 55.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5> 3개 대회 종목별, 경기장별 평균 관람률 구분 나가노 솔트레이크 토리노 스피드스케이팅 98.40% 83.56% 78.79% 쇼트트랙 99.47% 85.54% 75.00% 피겨 98.12% 83.43% 75.00% 아이스하키 -1) 75.81% -1) 아이스하키 -1) 65.01% 55.56% 컬링 -1) 65.00% 70.00% 주: 1) 자료의 부재로 확인하지 못함.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2.2 동계올림픽 관련 방문객 추정
  • 5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6>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결승경기 최대 관람인원 추정 스포츠 종목 관객 기타관람 결 전관 객 승 람 수 결승전 최대치 가정 수용력(A) (B=A*15%)) (C=(A-B)*D)) 관람율(D) (E=B+C) 12,000 1,800 8,670 85% 10,470 알파인 12,000 1,800 9,690 95% 11,490 크로스컨츄리 15,000 2,250 8,925 70% 11,175 스키점핑 26,000 3,900 20,995 95% 24,895 스키 프리스타일 14,000 2,100 10,115 85% 12,215 스노우보드 14,000 2,100 11,305 95% 13,405 26,000 - - - - 노르딕컴바인 15,000 2,250 8,925 70% 11,175 스피드 8,000 1,200 6,460 95% 7,660 스케이트 피겨 12,000 1,800 10,200 100% 12,000 쇼트트랙스피드 12,000 1,800 10,200 100% 12,000 바이애슬론 바이애슬론 20,000 3,000 14,450 85% 17,450 컬링 컬링 3,500 525 2,082 70% 2,607 봅슬레이 11,000 1,650 6,545 70% 8,195 봅슬레이 스켈레톤 11,000 1,650 6,545 70% 8,195 루지 루지 11,000 1,650 6,545 70% 8,195 10,000 1,500 8,075 95% 9,575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 6,000 900 4,335 85% 5,235 개최식 50,000 7,500 50,000 폐막식 50,000 7,500 50,000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 57.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7> 종목별 예상 인기도 순위 스포츠 A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B 스피드 스케이팅, 스키 점핑, 스노보드, 알파인 다운힐, 아이스하키 I C 알파인, 아이스하키 II, 프리스타일, 바이애슬론 D 노르딕 컴바인, 루지, 크로스 컨츄리, 컬링, 봅슬레이/스켈레톤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표 Ⅲ-8> 예상 객석 수용량 예상 객석 수용량 (%) 등급 예선 준결승 결승 A 85 90 100 B 75 85 95 C 65 75 85 D 55 65 70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 5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9> 경기장 관람객 예측치 경기당 경기당 1일 관람객 1일 대회인력 경기장 경기/종목 관람객 대회인력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평균 최대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19,125 30,600 13,700 18,000 2,505 3,135 2,027 2,377 바이애슬론 센타 알펜시아 스키점프 17,901 20,995 17,901 20,995 2,345 2,151 2,648 2,773 스키점프 경기장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 13,600 20,400 10,200 10,200 1,781 2,090 1,509 1,347 노르딕 센타 알펜시아 루지/봅슬레이스 6,981 8,415 6,617 8,415 914 862 979 1,111 슬라이딩 센타 /켈레톤 용평 알파인 알파인-테크니컬 13,770 16,200 16,200 16,200 1,804 1,660 2,397 2,140 경기장 중봉 알파인-스피드 13,770 16,200 13,770 13,770 1,804 1,660 2,037 1,819 프리스타일 13,685 22,610 9,917 11,305 1,792 2,316 1.467 1,493 보광휘닉스파크 스노보드 11,305 11,305 11,305 11,305 1,481 1,158 1,672 1,493 경포아이스홀 피겨/쇼트트랙 9,350 10,200 9,350 10,200 1,225 1,045 1,383 1,347 강릉실내빙상장 컬링 3,685 4,288 1,330 2,140 479 439 197 283 유니온하키센타 아이스하키 10,200 12,750 5,100 7,650 1,336 1,306 754 1,010 사이언스오발 스피드스케이팅 3,803 4,845 4,250 4,845 498 496 629 640 강릉대학체육관 아이스하키 4,250 5,100 4,250 5,100 557 523 629 674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2012),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시설(경기장,진입도로)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 59.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3.1 공간구문론의 개념
  • 6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 공간인지에서 방향전환의 영향력
  • 61.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2> 문화시설의 전체통합도 분석(춘천시)
  • 6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3> 공간구문론 분석에 따른 북촌 역사탐방로 계획
  • 63.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2 통합도의 산출
  • 6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4> 축선도 작성 방법
  • 65.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         공간 노드 의 총갯수   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         바로 인접한 공간의 총갯수   번쨰인접한공간의연결도 3.3 강릉시 가로의 통합도 산출 3)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서는 통계자료의 공간적 분석을 위해 각 통계년도에 맞는 행정구역경 계, 도로, 철도, 하천, 등고, 건축물 등에 대한 공간정보(GIS data)를 제공하고 있다.
  • 67.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5> 강릉시 시가지 도로망
  • 6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6> 강릉시 축선도 4) 통계청의 도로주제도는 모든 세가로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축선도 작성의 편의를 위해 개별필지 진입 도로 성격의 세가로들을 제외시킨 후 축선도를 작성하였다.
  • 69.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7> 강릉시가지 축선별 전체 통합도 분포
  • 7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8> 강릉 시가지 축선별 통제도 분포
  • 71.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3.4 중심성이 높은 시가화 지역 추출
  • 7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9> 통합도 상위 1% 축선의 완충공간 설정
  • 73.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0> 통합도 상위 1% 축선과 인접한 필지
  • 7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4. 교통수요 추정모형을 이용한 핵심가로 도출 4.1 전제조건
  • 75.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0> 본 연구의 시나리오 구분 시나리오 구분 비고 시나리오 1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반영 시나리오 2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 4.2 교통수요 추정 방법론
  • 7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1>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미반영 네트워크(2012년 기준) <그림 Ⅲ-12>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반영 네트워크(2018년 기준)
  • 77.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1> 강릉시 장래개발계획 구분 사업명 수용인구(인) 총면적(㎡) 준공년도 반영년도 강릉유천 보금자리 택지개발계획 13,236 670,098 2013 2018 주택지구 조성사업 산업단지 강릉과학일반산업단지 - 1,496,813 2013 2018 개발계획 5) 본 연구에서는 인구 수가 많은 지역에 통행량이 많다는 일반적인 가정하에 분석을 수행함
  • 7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2> 강릉시 세부 교통존 설정 및 읍․면․동별 인구 수(2011년 기준) (단위: 명, %) 구분 지역 소존번호 인구 수 비율 주문진읍 1 20,154 9.16 성산면 2 3,382 1.54 왕산면 3 1,735 0.79 구정면 4 4,041 1.84 강동면 5 5,296 2.41 옥계면 6 4,481 2.04 사천면 7 4,269 1.94 연곡면 8 6,861 3.12 홍제동 9 8,930 4.06 중앙동 10 6,642 3.02 강릉시 옥천동 11 4,409 2.00 교1동 12 29,814 13.54 교2동 13 9,790 4.45 포남1동 14 12,206 5.55 포남2동 15 16,897 7.68 초당동 16 6,046 2.75 송정동 17 7,563 3.44 내곡동 18 11,349 5.16 강남동 19 21,701 9.86 성덕동 20 29,378 13.35 경포동 21 5,177 2.35 합계 220,121 100.00 자료 : 강릉시(2011) 통계연보
  • 79.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3> 2018년 승용차의 지역별 통행발생량 비율 구분 승용차 통행발생량 존 소존체계 비율 (통행/일) 1 종로구 169817.5 0.63% 2 중구 165433.5 0.62% 3 용산구 116927.1 0.44% 4 성동구 130910.3 0.49% 5 광진구 128288.6 0.48% ⦙ ⦙ ⦙ ⦙ 286 정선군 여량면 762.1742 0.003% 287 정선군 북평면 940.2299 0.004% 288 정선군 임계면 1287.847 0.005% 자료 : KTDB(2009), 전국수단별 기종점통행량자료를 통해 산출함
  • 8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4>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관람객 수단분담율 구분 승용차 버스 철도 수단분담율(%) 45 28 27 자료: 한국개발연구원(2007), 「원주-강릉 철도건설사업 타당성 재조사」
  • 81.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표 Ⅲ-15> 버스와 트럭의 승용차 환산계수 버스 트럭 구분 소형 보통 소형 중형 대형 평균 (16인승 (16인승 평균 (2.5톤 (2.5톤 (세미트레 미만) 이상) 미만) 이상) 일러 이상) 전국 2.13 1.30 3.70 1.56 1.30 3.70 3.80 수도권 2.00 - 자료: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 ․ ․ 판)」
  • 8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Ⅲ-16> 전국 기반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파라미터 값과 차로용량 자유 1차로당 VDF 도로유형   가중치 속도 용량 1 1차로 고속도로(폐쇄식) 80 0.58 2.4 1,600 0.072(분/km) 2 2차로 고속도로(폐쇄식) 117 0.645 2.047 2,200 0.144(분/km) 3 3차로 이상 고속도로(폐쇄식) 119 0.601 2.378 2,200 0.173(분/km) 4 1차로 국도 70 0.15 4.0 750 - 5 2차로 국도 80 0.15 4.0 1,000 - 6 3차로 이상 국도 90 0.15 4.0 1,000 - 7 편도 1차로 지방도, 국지도 60 0.15 4.0 750 - 8 편도 3차로 지방도, 국지도 70 0.15 4.0 1,000 - 9 편도 3차로 이상 지방도, 국지도 80 0.15 4.0 1,000 - 10 광역시도, 시 군도(1차로) 40 0.15 4.0 650 - 11 광역시도, 시 군도(2차로) 50 0.15 4.0 900 12 광역시도, 시 군도(3차로 이상) 60 0.15 4.0 900 13 존중심 연결링크 20 - - 99,999 - 14 도시고속화도로(3차로 이상) 90 0.15 2.4 2,220 - 15 도시고속화도로(2차로 이하) 90 0.15 4.0 2,000 - 16 고속도로 연결램프 50 0.15 4.0 1,600 - 17 고속도로 톨게이트 50 0.15 4.0 1,600 1.568(분) 1차로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80 0.58 2.4 1,600 - 2차로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117 0.645 2.047 2,200 - 3차로 이상 개방식 고속도로(일반구간) 119 0.601 2.378 2,200 - 기타 개방식 고속도로 요금부과구간(톨게이트) (분) 민자 유료도로(톨게이트) (분) 민자 유료도로(평균 통행요율) (분/km) 주 1): 고속도로 통행요금의 일반화비용 가중치는 1종(승용차) 기준이며, 2011년 기준으로 산정된 값임. 2): VDF 10~12의 자유속도와 1차로당 용량은 시간당 용량을 적용하기 위해 재산정한 값임. 자료: 한국교통연구원(2008), 「2007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 제6권 전국 지역간 여객 기종점통행량 자 료의 현행화」
  • 83.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4.3 동계올림픽 교통수요 전망 <표 Ⅲ-17> 동계올림픽 대회기간의 교통수단별 추가발생 교통량 분석 수송 교통량 최대관람객 교통수단 방향별 분류 (명) AADT 시간교통량 (대/일) (대/시) 철도망 26,000 54 - - 제2영동선+영동선+중앙선(원주→진부) : 9 대/시 고속버스망 11,160 279 11 동해선(강릉→진부) : 3 대/시 인천국제공항(강릉→진부) : 16 대/시 항공망+일반버스 20,000 500 20 양양국제공항(강릉→진부) : 4 대/시 알펜시아 클러스터 : 12 대/시 셔틀버스 17,200 758 31 코스탈 클러스터 : 8 대/시 (배뉴간 이동) 보광 휘닉스파크 : 11 대/시 서울 등 외부도시 : 297 대/시 개인차량 35,640 14,256 594 알펜시아 클러스터 : 59 대/시 코스탈 존 : 268 대/시 계 110,000 중방향 교통량 : 9+16+12+297 = 334 대/시 1) 최대수송인원은 첫 번째 목요일로 예측(대회6일째) : 110,000명(유치신청서 237page 참조) 2) 수송분담율 : 승용차 2.5명, 버스 40명, 셔틀버스 20명, 철도 481명 적용
  • 8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85.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3> 시나리오 1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미 반영결과 <그림 Ⅲ-14> 시나리오 2 : 동계올림픽 수요 및 네트워크 반영결과
  • 8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Ⅲ-15> 교통량 10,000대/일 이상 가로에 인접한 필지
  • 87.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5. 다기준 평가를 통한 시가지 정비 우선순위 <그림 Ⅲ-16> 통합도-교통량 분석에 의한 정비효과성 유형분류
  • 8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89. Ⅲ. 시가지 정비 대상지역 및 유형화 <그림 Ⅲ-17> 정비시급성과 효과성 비교검토
  • 90.
  • 91.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1. 강릉시 시가지 정비를 위한 제도적 수단 1.1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른 정비사업
  • 9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93.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1.2 기타 정비사업 제도
  • 9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1.3 올림픽 특구 지정에 따른 정비계획(안)
  • 95.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6)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제44조:특구지정 의 효과) 7)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 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제57조:다른법률 에 따른 허가등의 의제)
  • 9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97.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표 Ⅳ-1> 기성시가지 정비 관련 제도 사업추진 구분 근거법 사업내용 사업방식 주체 상업지역·공업지역 등 도심 도시환경 조합방식 조합 기능회복 및 상권활성화가 정비사업* 환지방식 민관 공동 필요한 지역의 정비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조합방식 조합 주택재개발*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환지방식 민관 공동 지역의 정비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주택재건축*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조합방식 조합 도시 및 지역의 주거환경개선 주거환경 도시내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현지개량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법 노후·불량주택 밀집지역의 공동주택개발 지자체, 공사 기반시설 및 주거환경 정비 거점확산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 조합 가로주택정비사업* 가로구역에서의 소규모 현지개량 민관공동 주거환경 개선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관리사업* 현지개량 지자체 정비기반시설과 공동이용시설의 확충 도시재정비 조합방식 도시재정비 생활권 규모의 광역적인 상기 촉진을 위한 환지방식 촉진지구 도시정비 사업시행주체 특별법 수용방식 전통시장 및 전통시장 및 주변지역의 시장정비사업 시장정비사업 상점가 육성을 - 환경정비 추진위원회 위한 특별법 개별 도시·군계획 수립 대상지역 토지건축물 지구단위계획 국토의 계획 및 일부에 대한 토지 이용 합리화 - 소유자, 이용에 관한 및 미관을 개선을 위한 계획 지자체 특별법 도시계획시설사업 개별 도시계획시설의 설치 - 지자체 역세권의 개발 지자체, 공사, 역세권개발구역 및 이용에 관한 철도역세권의 개발사업 수용방식 민간 법률 경관계획 수립지역 내에서의 경관사업 경관법 - 지자체 경관개선사업 * 주: 는 동계올림픽특구 지정과 관련하여 정주환경개선관련 사업내용임
  • 9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 정비대상지역 유형에 따른 정비방향 설정 <표 Ⅳ-2>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분류 주택노후도 노후주택비율 80%이상 노후주택비율 60~80% 가로중심성 교통량 Type I Type III 도시환경의 노후화가 방문객에게 노출될 유형 A 심하면서 방문객에게 가능성이 가장 높으면서 노출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적인 노후화가 진행된 지역 지역 Type II Type IV 도시환경의 노후화가 부분적인 노후화가 유형 B 심하고 공간구조상 진행되고 공간구조상 중심성이 높은 지역 중심성이 높은 지역 Type V 유형 C 해당없음 통과교통이 많고 부분적인 노후화가 진행된 지역
  • 99.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그림 Ⅳ-1> Type II 지역 예시
  • 10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그림 Ⅳ-2> Type III 지역 예시
  • 101. Ⅳ. 구역특성에 따른 시가지 정비방향 검토 <그림 Ⅳ-3> Type IV 지역 예시 <그림 Ⅳ-4> Type V 지역 예시
  • 10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표 Ⅳ-3> 정비대상지역의 유형별 정비방향 및 정비 사업방식 유형 정비방향 정비사업방식 간선도로 전면부의 가로환경 개선 및 도로 정비, 후면부의 소구역 단위 주택정비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우선 추진 가로주택정비사업 Type Ⅰ 올림픽 방문객을 대비한 임영교차로 주변지 도시환경정비-역세권 개발 역의 집중정비 주택재건축 강릉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도시환경정비사업 도시계획시설사업(도로정비) 추진 주택 및 주거환경 정비를 통한 우수한 도심 주거환경개선사업 Type Ⅱ 주거지 조성 가로주택정비사업 도로확충, 교통시스템 정비, 간판정비 등 교 도시계획시설사업 Type Ⅲ 통 편의성 향상과 가로환경 개선 간판정비사업 도심활성화의 중심공간으로 육성 가로경관정비 지구단위계획 Type Ⅳ 주차장, 오픈스페이스 및 테마가로 조성 등 상권활성화 구역 의 환경정비 사업 추진 도시계획시설사업 공공미술 프로젝트 등의 S/W사업 추진 Type Ⅴ 부분적인 가로경관 정비와 교통인프라 확충 도시계획시설사업
  • 103. Ⅴ. 결론 및 정책제언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 10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105. Ⅴ. 결론 및 정책제언
  • 10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107.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 정책제언 2.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의 수립과 시민참여형 정비사업의 추진
  • 108.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2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연계한 강릉역 주변지역의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
  • 109.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3 광역 및 도시내 교통망과의 효율적 연계체제를 위한 ITS 시스템 구축 < 표 Ⅴ-1 >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구분 종류 목표 - 지점정보수집시스템 - 도로의 통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정보수집 시스템 - 구간정보수집시스템 파악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정보수집 - CCTV 카메라 - 통합관리시스템 - 수집체계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운영 정보가공 시스템 (상황판, 운영단말기) 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로 신속히 가공 - 도로전광표지시스템(VMS) - Web 시스템 - 도로이용자들에게 정확/신속한 정보를 정보제공 시스템 - 버스정보제공시스템 적절한 곳에 제공 - ARS시스템 - 휴대용 단말 시스템 - 신호제어시스템 - 철저한 단속을 통한 도로의 용량증대 교통류제어 시스템 - 단속시스템(주차/속도/신호) 와 효율적인 대중교통 지원을 통한 원 - 버스운행관리시스템 활한 교통류 제어 - 타 시스템 연계시스템 - 도로이용자 및 운영자에게 필요한 정 기타 - 요금징수시스템 보수집 및 제공 자료: 장덕형 외(2006), 강릉시 ITS 시스템 구축방향, 관동대학교 환경연구논문집 11권,p.137
  • 110.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2.4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만들기 8) 국토해양부는 차세대 교통수단인 ‘바이모달 트램(Bi-modality Tram)’과 ‘마그네틱 도로’기술을 교통 신기술 제10호 지정함. 특히 마그네틱 도로기술은 도로에 지름 15㎜, 길이 30㎜ 크기의 자석을 4-5m간격으로 심어 철제 궤도 없이 바이모달 트램이나 경전철을 자동 운행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 로 바이모달 트램을 보다 활성화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111. Ⅴ. 결론 및 정책제언 <그림 Ⅴ-1> 트램을 도입을 통한 도시명물 해외사례(프랑스, 홍콩)
  • 112.
  • 114.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 ⦁ ⦁ ⦁ ⦁ ⦁
  • 115. Abstract Urban renewal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 116.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 117. 연구보고 12-42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강릉시 시가지 정비 전략 Urban renewal strategy for the Olympic venue city Gangneung 2012년 12월 일 인쇄 2012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김종민 발 행 처 : 강원발전연구원 (200-014)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 5 전화 : (033)250-1310/20/30/40/70/90 FAX : (033)250-1319/1329 URL : http://www.rig.re.kr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는 한 자유로이 인용할 수 있으나 무단전재나 복사는 금합니다. ※ 이 연구는 본 연구원의 공식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