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문과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 박한우
학습목표
   1. 인터넷 소셜 미디어 이론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
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과 통합적
SNS(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에 대해 알아보자.
 - 대구시 SNS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SNS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2. 링크 :
-인터넷의 등장과 인터넷 지도를 만들기 위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 위상구조 기생컴퓨팅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3. TED 강의
-목     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3) 통합적 SNS(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1) SNS 체계 구축
 (2) 통합적 SNS 채널 운영
 (3)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4) 일관된 SNS 메시지
 (5)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4. 대구시의 SNS 성과
5. 결론 및 제언
                                        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991년 3월 26일 기초의원선거, 1995년 단체장 선거로 부활한
  지방자치가 올해로 20년을 맞이하고 있어 소통의 중요성 증대

 ◈ 스마트폰 사용자의 급속한 증대로 본격적인 SNS의 이용 확대

               1000만대 돌파    트위터 이용자 : 4,004,515명
                                    (Oikolab, 2011. 6. 12)

                           페이스북 이용자 : 3,660,300명
                                  (Socialbaker, 2011. 6. 27)




                                         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방자치단체의 SNS 활용 현황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SNS 활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지역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비고

   서울시      ★        ★        ○     SNS 통합사이트, 서울소통 운영

   부산시       ○       ○       △

   대구시      △        ○        ○

   광주시      ★        ○       ⅹ

   대전시       ○       ★        ○        뉴미디어팀 운영

   인천시       ○       ○       ⅹ

   울산시       ○       △        ○
         ★ : 매우 잘함, ○ : 잘함, △ : 보통, ⅹ : 없음 또는 못함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목적


 SNS를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단편적이고 형식적인 운영으로 그 효과가 별로 높지 않은 편임.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SNS의 효률적인 운영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
 : SNS 운영체계 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례연구




                                 7
2. 이론적 배경

 (1)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 Social Network
   : 사회적 연결들에 의해 유대를 맺고 있는 인자들(people, organizations,
     group) 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Guillaume Ereteo, 2010)

   : 온라인상에서 계정, 개인 또는 조직이 노드(node)가 되고 이 노드의
     연결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조, 커뮤니티, 또는 사회

  ◈ Social Network Service
   :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로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
     하여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인맥을 관리하게 하는 서비스
   :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
                               (최재용, 2010)
   : 이용자가 오프라인에 기반하여 우선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정보의 개방,
     공유를 통해 온라인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다른 친구에게 소개하여
     관계를 넓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서비스

   : 대표적인 SNS는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이 있음
                                          8
2. 이론적 배경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 둘 혹은 그 이상의 행위자가 기호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그 의미를 교
     환하는 과정(Howard, 1974 오승원(2011) 재인용)

   : 상호 이해에 다다르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는 구성원들이 정보
     를 만들고 서로 공유하는 일련의 과정(Katz & Kahn, 1964 오승원(2011)
     재인용)

   : 정보의 획득, 공유 과정으로 관계 형성의 단초




                                         9
2. 이론적 배경


 ◈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

  : 시민과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이해 및 합의를 도출하고 이
 를 토대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

  : 지방자치단체 정보의 공개, 공유를 통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시민
 의 동원과 참여를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관계를 형성하는 커뮤니케
 이션




                              10
2. 이론적 배경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 지방자치단체 SNS 활용의 장점
   - 자발적인 시민참여 유도
   - 전통매체에 비하여 빠른 확산속도
   - 저렴한 비용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관계 형성을 통한 신뢰를 바탕으로 시민들과 항상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해주며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통하여 시민들이 원하고
   듣고 싶은 적절하고 흥미있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감정적 유대관계를 창출



                                11
2. 이론적 배경

 ◈ 통합적 SNS(iSNS, 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IMC)는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면서도 정보
    혼란에 의한 인식의 혼돈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안
   -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 메시지의
    일관성 등의 세 가지 개념적 토대(McGrath, 2001)




                                                12
2. 이론적 배경


  -지속적이고 상호작용적이고 협력적인 업무 과정으로
   모든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메시지들이 확실히 하나의 목소리,
   하나의 모습을 가지도록 하는 것(Duncan, 2005)
  - 소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이해당사자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기획,
   브랜드 접점관리를 위한 매체 통합, 일관된 메시지, 관계 구축과 행동 중
   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이 강조됨(전채남, 2007)




                                     13
2. 이론적 배경

 ◈ IMC가 중요한 이유

  - 첫 째, 정보처리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

  - 둘 째, 관계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

  - 셋 째, 메시지가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축적되기 때문

  IMC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상호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접점관리를 위한 조직과 매체를 통합하여
     일관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관계 구축과 참여 유도




                                    14
2. 이론적 배경



 ◈ iSNS의 정의
   : 효과적인 IMC의 실행으로 일관된 메시지를 다양한 SNS 채널들을
   이용해 전달하고 실시간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작용성과
   친밀감을 높여 다양한 관계맺기를 함
  : 블로그 : 정보 진지, 트위터 : 정보 확산 수단,
   페이스북 : 블로그와 트위터의 융합을 통한 관계 형성의 수단




                                   15
2. 이론적 배경

 ◈ 연구 문제

 통합적 SNS의 활용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어떻게 높여 줄 수 있을까?
  - SNS 운영체계 구축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통합적 SNS 채널 운영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지속적인 메시지 관리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일관된 SNS 메시지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16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1) SNS 운영 체계 구축
  전문성 강화와 실행능력 증대를 위해, 대구시, 대행사,
  기자단(시민참여)이 협력(collaboratio)하는 통합적 조직체계를
  구축하여 독특하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확산시킴




       공보관실         커뮤니케이션
                      대행사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17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2) 통합적 SNS 채널 운영
   포털 사이트 내 검색에 노출을 최적화 시키기 위해 분산된 블로그를
   단일화하고 새로 카페를 신설함.
   SNS의 강화를 위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새로 개설하고 페이스북
   의 프로필 중심에서 프로필과 페이지의 통합적 운영 함.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18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3)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다양한 SNS 채널의 활성화와 생동감을 확보하기 위해 콘텐츠 작성 빈
  도를 증대시키고 즉각적 대응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함.
  포털 사이트 이용자 검색을 통한 노출을 위해 콘텐츠 최적화 적용함.


 - 콘텐츠 생산량 증대 : Tweet 횟수를 일일 평균 6회 이상,
              블로그 일일 최소 1 포스터 이상,
              페이지북 담벼락 3회 이상 노트 1개 이상
 - Tweet의 형태 변화 : 일방적인 전달형에서 소통형으로
 - 활발한 모니터링


                                    19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4) 일관된 SNS 메시지

   메시지 혼잡(clutter)에 의한 혼란을 피하고 메시지 매칭,
   축적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구시의 데스킹(desking)에 의한 메시지의 일관성을 유지


  - 독특하고 강력한 메시지 작성
  - 대구시의 데스킹 역할 강화
  - 다양한 SNS 채널에 최적화된 메시지의 노출
  - 대행사를 통한 콘텐츠의 질 향상(SNS에 최적화된 편집, 디자인,
                   멀티미디어 등)



                                    20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5)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SNS의 강점인 상호작용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실시간의 관계형 메시지 작성 강화


 - 블로그 이웃맺기, 댓글과 답방글, 안부게시판 활용
 - 트위터의 멘션, RT, DM의 적극적인 활용
 - 페이스북의 친구 담벼락, 친구글에 좋아요 눌리기와 댓글 작성
 - 카페의 게시글과 방명록에 덧글 달기, 출석체크 등




                                 21
4. 대구시의 SNS 성과

 (1) 자료 수집 및 분석
  - 자료수집 : 2011년 4월 4일 ~ 6월 27일
  - 분석대상 : 대구시 블로그, 카페, 트위터, 페이스북 등
  - 분석방법 : 블로그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일주일 단위로
         검색어 ‘대구시’를 포함하는 블로그의 포스트 수 조사
         트위터는 NodeXL을 통해
         ‘대구시’의 서치네트워크분석과
         ‘@colorfuldg’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
         페이스북은 페이지의 ‘좋아요’의 추이를 분석




                                     22
4. 대구시의 SNS 성과

 (2) 대구시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 검색어 : 대구시
  - 분석방법 : TF-DI(term frequency-date index)
           (미래의 트랜드를 분석하기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특정 키워드가
            연도별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가중치(정근하, 2010)
  - 자료 : 네이버 블로그                     검색 범위 : 2011. 01 ~ 06. 29.

 SNS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4월부터 포스트의 수가 증가함
                       <2011년 월별 지방자치단체 TF-DI>
  가중치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TF-DI

  대구시    0.04218771 0.082808577 0.133171423 0.156814836 0.272384159 0.243413174 0.930779878


 경상북도   0.009614092 0.019179323 0.027120016 0.041412148 0.089093648 0.063772455 0.250191681


  인천시   0.082459325 0.160472486 0.244636713 0.310747737 0.590803579 0.466966068 1.856085908


  대전시    0.03240554 0.070872947 0.095071848 0.157691946 0.247718614 0.225848303 0.829609199

                                                                    23
4. 대구시의 SNS 성과

 (2) 대구시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2011년 월별 지방자치단체 절대적 빈도수>
  6,000

  5,500                                                                    5,557

  5,000        4,906                                      4,960
                                           4,835
                                                                                        4,679
  4,500

  4,000                       3,899
  3,500

  3,000
                                           2,632          2,517            2,562
  2,500        2,510                                      2,503                         2,439
                                                                           2,330        2,263
  2,000        1,928          2,012
                                           1,879
                              1,722
  1,500

  1,000
                                                                           838
               572                                        661                           639
   500                        466          536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대구시     경상북도         인천시          대전시


                                                                           24
4. 대구시의 SNS 성과

 (3) 대구시의 블로그와 카페 방문자 수 분석
  자료 : 네이버 블로그                                     기간 : 2011.04. 04 ~ 06.27
  포스트 수 : 월 평균 58개, 일 평균 2.8개의 포스트 생산

                                             <주별 블로그 방문자 수>
                     15,067




                                                                                               네이버블로그 방문자수




                              6,995




                                         2,072         1,736         2,060                 1,820                    1,851              1,9531,873
          1,326                                                                 1,351                 1,646                 1,535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5
4. 대구시의 SNS 성과

 (3) 대구시의 블로그와 카페 방문자 수 분석
  자료 : 네이버 카페                              기간 : 2011.04. 04 ~ 06.27
  포스트 수 : 월 평균 221개, 일 평균 7.0개의 포스트 생산

                                 <주별 카페 회원 및 방문자 수>
                                                                                                                       2,082
                                                                                                                            2025


                                                                                                               1,725
                                   네이버 카페 방문자수                            네이버카페 회원수
                                                 1,515

                                   1,303
                                                               1,135                     1,096         1,062
                          901                                                   906

                                                                       706




                 223

          0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6
4. 대구시의 SNS 성과

 (4) 대구시의 트위터와 페이스북 운영 결과 분석
  자료 : 트위터와 페이스북 페이지                                                             기간 : 2011.04. 04 ~ 06.27


             <주별 트위터 팔로어와 페이스북 페이지의 ‘좋아요’ 수>
                                                                                                                                             3,407

                                                                                                                                         3,060


                                        트위터 팔로워                  페이스북 좋아요                                                     2,645

                                                                                                                      2,351

                                                                                                        2,048
                                                                                             1,921
                                                                                  1,771
                                                         1,603         1,656
                                1,498      1,534
                     1,455
          1,372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7
4. 대구시의 SNS 성과

 ◈ 페이스북 페이지뷰
  자료 : 페이스북 페이지                                             기간 : 2011.04. 04 ~ 06.27



                                          <주별 페이스북 페이지 뷰>

                                                                                                   22,137
                                                                                                                                        20,597
                                                                                                                  18,955            19,384
                                       페이스북 페이지뷰
                                                                                          16,553
                                                                                                                           15,506
                                                                                 14,109




                                          8,833         9,261


                    5,678                                             6,088
                               5,153


         1,483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8
4. 대구시의 SNS 성과

 (5) 대구시의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트위터 ‘대구시’ 서치네트워크 분석, 2011. 6. 29>
                                    29
4. 대구시의 SNS 성과

 (5) 대구시의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트위터 ‘colorfuldg’ 에고네트워크 분석, 2011. 6. 29>

                                          30
5. 결론 및 제언
 (1) 결론

  SNS 운영체계의 정비와 재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은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주었음.

  ◈ 시사점
   - 콘텐츠의 양과 검색 결과 페이지의 위치와 순위가 콘텐츠의 내용이나
    편집보다 방문자 유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페이스북 페이지의 방문자를 증대시키는데 이벤트와 광고가 효과가 있음
   - 트위터의 팔로워를 늘리기 위해서는 파워 트위터리언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31
5. 결론 및 제언

 (2) 제언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 메시지의 내용과 질을 공무원 입장보다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와 연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파워트위터리언들과 연대을 강화하고 이들의 확산을 유도할 필요
  - 플래카드형의 구호성 홍보, 보여 주기식 홍보에서 벗어나서
   참여형, 상호작용형 홍보를 강화할 필요
  - 무미건조하고 재미없는 콘텐츠에서 생활밀착형의 재미있는 콘텐츠
   를 생산하여 주목도와 자발적 확산의 효과를 높일 필요
  - 공보 중심에서 보다 기획력 있고 창발적인 소통방식을 도입하기
   위해 홍보기획 중심으로 조직의 개편과 SNS 전담팀의 구성이 필요
                              32
5. 결론 및 제언

 (2) 제언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 메시지의 내용과 질을 공무원 입장보다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와 연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파워트위터리언들과 연대을 강화하고 이들의 확산을 유도할 필요
  - 플래카드형의 구호성 홍보, 보여 주기식 홍보에서 벗어나서
   참여형, 상호작용형 홍보를 강화할 필요
  - 무미건조하고 재미없는 콘텐츠에서 생활밀착형의 재미있는 콘텐츠
   를 생산하여 주목도와 자발적 확산의 효과를 높일 필요
  - 공보 중심에서 보다 기획력 있고 창발적인 소통방식을 도입하기
   위해 홍보기획 중심으로 조직의 개편과 SNS 전담팀의 구성이 필요
                              33
홍보, PR 등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전술
,
혁명   벤처기업       대기업의 신규사업



가
시장리더 vs   혁명가
자금력 ↑     자금력 ↓
매스미디어광고   홍보, PR
 주목력 ↑    주목력 ↓
주목 받은 홍보를 통한 소셜미디어마케
팅
   블로거나 트위터 사용자들이
    자신이 접한 뉴스를 블로그나 트위터에 올리고
      트랙백이나 RT등의 방법으로 널리 전
  파
Ⅱ. 주목을 끌었다면 소문을 내
라
 소셜스트림
웹사이트라는 공간에 멈춰있는 데이터가
무수한 웹사이트를 넘나들며 실시간으로 흘러가
는 현상


       거대한 입소문의 파도
티핑포인트



예기치 못한 일들이 갑자기 폭발하는 그 지점
일정수의 RT가 생성되어 단순한 글들이 입소문으로 변하는 순간




       티핑포인트를 만들
티핑포인트를 만들라!

 정보에 마케팅적 가치 부여하려면
     많은 사용자가   인용하도록 해야 한다.

      소비자와 끊임없는 대화
      트위터 - RT를 하게 유도
Linked
인터넷의 등장
1. 인터넷의 등장


폴 배런(Paul Baran) - 인터넷 제안

등장 배경
1959년 냉전이 심한 상황
배런에게 핵무기 공격에도 버틸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임무


->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갖는 취약성을 치밀하게 기술하는
한편 보다 나은 대안 ‘인터넷’ 을 제안
1. 인터넷의 등장



    당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3가지 유형의 네트워크로 분류




    <중앙집중형>    <탈집중형>      <분산형>
1. 인터넷의 등장



      인터넷은 그물 모양의 분산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주장


                  Why?


     일부 노드가 붕괴된다고 할지라도 나머지 노드들 상호 간에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대체 경로가 많기 때문.




        중앙집중형             탈집중형




     중앙노드에 일격을 가하기만 해도 단말국 상호간의 통신이 단
     절되는 명백한 취약점
1. 인터넷의 등장




BUT    배런의 생각과 연구 결과의 대부분이 군사 당국에 의해 무시




Why?    균일한 크기의 작은 패킷으로 메시지를 분할해서 각기 독립적
        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식을 제안




       기존의 아날로그 통신망에서는 실현 불가능
       배런은 디지털 통신망으로의 전환을 주장했기때문
1. 인터넷의 등장



   1960년대



아르파(ARPA)의 밥 테일러        도널드 데이비스




        컴퓨터를 연결 시킨다는 생각



               인터넷 네트워크의 탄생
1. 인터넷의 등장


  아르파(ARPA)의 밥 테일러


   1960년대 엄청난 액수의 컴퓨터
   같은 연구실의 컴퓨터 사이에서도 정보 교환 불가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한 프로젝트 진행



  도널드 데이비스



   패킷과 패킷 교환 방식을 고안
   고속 통신회선 위에서의 패킷 교환 방식은 효율적인 컴
   퓨터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기술이란 사
   실을 사람들에게 알림
1. 인터넷의 등장



인터넷


             라우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존해서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행함
2. 인터넷 지도


      왜 인터넷 지도를 작성해야 하는가?




  1.인터넷의 위상구조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서는 보다 나은 도구와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 불가능
    (이메일, 웹 우연히 발전; 인터넷창시자들이 그걸 알았다면 전혀 다른
     개선된 기반구조를 설계했을 것)




   2.인터넷은 복잡하면서도 진화하는 시스템의 모든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컴퓨터 칩보다는 살아있는 세포에 훨씬 더 가깝다.
    =>부분의 단순한 총합 이상의 의미
3. 인터넷 위상구조


       파루소스 형제 -   인터넷 위상구조의 멱함수 법칙 발견




     인터넷 라우터의 연결선 분포 -> 멱함수 법칙을 따른다
     -> 인터넷이 척도 없는 네트워크라는 점을 증명




   이전까지 만들어진 인터넷 구조 모델링 도구들이 틀렸다는 메시지




        무작위                  척도 없는
        네트워크                 네트워크
3. 인터넷 위상구조

멱함수 법칙이란?




  멱함수 법칙 : 다수의 작은 Link와 소수의 거대한 Link가 공존하는 것
  1.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네트워크는 그 속에 질서, 일관성이 존재한다.
  2. 멱함수 법칙은 혼돈에서 질서로의 전이과정의 표지이다.
  3. 불균등성(unevenness)이 멱함수 분포를 가진 네트워크의 특징이다.
3. 인터넷 위상구조



         척도 없는 위상구조의 필수 조건



   인터넷은 각각의 노드가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면서 지속적으로 팽창



    선호적 연결 - 아무 노드나 다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거리


   인구밀도와 인터넷 밀도 사이의 상관성 – 프렉탈 도형과 유사
3. 인터넷 위상구조

           <지속적 팽창의 사례>

                      1969년 찰리 클라인은 UCLA 연구실에서 전화
UCLA         스탠포드     선을 통해 컴퓨터 사이에 메시지 교환이 이루
                      어지는 최초의 실험을 하였다.


                      1969년 10월과 11월에 UC산타바바라와 유
UC산타바바라      유타대학     타대학에 세번째 네번째 노드를 설치함




1971년 말까지 인터넷은 15개의 노드로 구성.
또다시 1년 후에는 35개로 확대


       처음 등장한 지 20여 년이 흐른 지금, 인터넷은 각각의 노드가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면서 지속적으로 팽창.
3. 인터넷 위상구조



 선호적 연결

  더 큰 대역폭을 가진 라우터일수록 더 많은 링크를 가질 가능성도 크다.


  연결선 수가 더 많은 접속 노드에 우선적으로 관심이 끌리게 된다.



 인구밀도와 인터넷 밀도 사이의 상관성

라우터가 설치된다는 것은 수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
그 수요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이용을 희망
하는 가에 따라 결정 따라서 인구밀도와 인터넷 노드의
밀도사이에 상관관계 존재
북미 지역의 라우터들의 분포는 프랙탈 도형과 매우 흡사
5.기생 컴퓨팅



 기생 컴퓨팅(Parasitic computing)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컴퓨터들 사이에는 주종관계가 성립되
 며, 마스터의 위치에 있는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로 하여금 특정 계
 산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는 것.




 기생 컴퓨팅에 대한 실험은 수천 마일이나 떨어져 있는 다른 컴퓨터
 들도 얼마든지 어떤 계산 작업을 수행해내도록 강제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주었다.
5.기생 컴퓨팅


 문제점



  인터넷상의 다른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부려먹을 수 있는 방법
  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




  소유권 문제의 처리




  인터넷 컴퓨터의 출현 – 제3의 지능을 가진 존재로 변모 가능성
TED 강의 듣기   http://www.ted.com/

What’s TED?




                                    출처 :http://www.tedxpalgong.com/
TED 강의 듣기           http://www.ted.com/



         Chris Anderson: How web video powers global innovation
         크리스 앤더슨: 웹비디오는 어떻게 전세계에서 혁신을 움직이게 해주는가



                                        주제

                                        TED의 크리스 앤더슨은 웹비디오
                                        의 증가가 소위 "집단에 의해 가속
                                        된 혁신"이라는 전세계적 현상을
                                        움직여주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것
                                        이 자생력을 지닌 학습방식으로서
                                        인쇄의 발명 만큼이나 중요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힘
                                        을 활용하려면 각 조직은 과격한
                                        개방성을 포용해야 한다. TED에
                                        있어서도 완전히 새로운 장의 시작
                                        이다

인터넷 윤리                                                            58
학습정리

1. 인터넷 소셜 미디어 이론
SNS 운영체계의 정비와 재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은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주었음

2. 링크 :
-인터넷은 라우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존해서 상호 커
뮤니케이션을 행한다.
-척도없는 위상구조는 4가지 특징을 가진다.
*수업관련 질문사항은 다른 학생들도 참고할 수 있게 “Q&A"를
   이용해주시고, 그 외에 개인적인 질문사항은
   social.media.yeungnam@gmail.com 로 해주세요.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11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June Kim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June Kim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HwanJin 'David' Choi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Kwon-Jung Ji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kim young gyun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Minyoung Jeong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Yoonjeong Heo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준헌 이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JM code group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규문 최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dongwoodad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영진 유
 
소셜웹기초코칭 1027
소셜웹기초코칭 1027소셜웹기초코칭 1027
소셜웹기초코칭 1027호천 김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Industrial Bank of Korea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kang Anthony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NpoITcenter_Kor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NpoITcenter_Kor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호천 김
 
4주차 발표자료(100927)
4주차 발표자료(100927)4주차 발표자료(100927)
4주차 발표자료(100927)승원 서
 

Similar to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11 (20)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비즈니스에 영감을 주는 국내외 SNS 서비스들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
2013 마을공동체커뮤니티매핑사례집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소셜출판] 페북그룹50 천군천사 - 광양소셜리딩그룹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How Live SNS(SNS기획과 집행)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고양시SNS성공사례분석] 고양시, 소셜미디어로 대중과 통하다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스마트폰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증강현실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20100625발표) 강장묵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소셜스쿨] 클라우드 & Sns 활용역량 강화과정 1기모집 안내문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
2013년도 자원개발팀 사업계획서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
소셜미디어 이해 및 공공기관 홍보마케팅전략
 
소셜웹기초코칭 1027
소셜웹기초코칭 1027소셜웹기초코칭 1027
소셜웹기초코칭 1027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01강. marketing 전투의 새로운 전략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수요세미나] 디지털사회혁신&비영리it지원센터 소개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2014 비지센터 제 1회 "회원의 날" PT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
Sns를 활용한 정치포탈 구축 제안서 v1.00
 
4주차 발표자료(100927)
4주차 발표자료(100927)4주차 발표자료(100927)
4주차 발표자료(100927)
 

More from Han Woo PARK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Han Woo PARK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Han Woo PARK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Han Woo PARK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Han Woo PARK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Han Woo PARK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Han Woo PARK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Han Woo PARK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Han Woo PARK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
Han Woo PARK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Han Woo PARK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Han Woo PARK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Han Woo PARK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Han Woo PARK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Han Woo PARK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Han Woo PARK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Han Woo PARK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Han Woo PARK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Han Woo PARK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Han Woo PARK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Han Woo PARK
 

More from Han Woo PARK (20)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근혜 탄핵 촛불 빅데이터 분석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9 march2017)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2016 경주지진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11

  • 2. 학습목표 1. 인터넷 소셜 미디어 이론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활 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과 통합적 SNS(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에 대해 알아보자. - 대구시 SNS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SNS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2. 링크 : -인터넷의 등장과 인터넷 지도를 만들기 위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 위상구조 기생컴퓨팅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3. TED 강의
  • 3.
  • 4. -목 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3) 통합적 SNS(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1) SNS 체계 구축 (2) 통합적 SNS 채널 운영 (3)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4) 일관된 SNS 메시지 (5)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4. 대구시의 SNS 성과 5. 결론 및 제언 4
  • 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991년 3월 26일 기초의원선거, 1995년 단체장 선거로 부활한 지방자치가 올해로 20년을 맞이하고 있어 소통의 중요성 증대 ◈ 스마트폰 사용자의 급속한 증대로 본격적인 SNS의 이용 확대 1000만대 돌파 트위터 이용자 : 4,004,515명 (Oikolab, 2011. 6. 12) 페이스북 이용자 : 3,660,300명 (Socialbaker, 2011. 6. 27) 5
  •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방자치단체의 SNS 활용 현황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SNS 활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지역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비고 서울시 ★ ★ ○ SNS 통합사이트, 서울소통 운영 부산시 ○ ○ △ 대구시 △ ○ ○ 광주시 ★ ○ ⅹ 대전시 ○ ★ ○ 뉴미디어팀 운영 인천시 ○ ○ ⅹ 울산시 ○ △ ○ ★ : 매우 잘함, ○ : 잘함, △ : 보통, ⅹ : 없음 또는 못함 6
  •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목적 SNS를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단편적이고 형식적인 운영으로 그 효과가 별로 높지 않은 편임.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SNS의 효률적인 운영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 : SNS 운영체계 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례연구 7
  • 8. 2. 이론적 배경 (1)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 Social Network : 사회적 연결들에 의해 유대를 맺고 있는 인자들(people, organizations, group) 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Guillaume Ereteo, 2010) : 온라인상에서 계정, 개인 또는 조직이 노드(node)가 되고 이 노드의 연결에 의해 만들어진 사회적 구조, 커뮤니티, 또는 사회 ◈ Social Network Service :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로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 하여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인맥을 관리하게 하는 서비스 :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 (최재용, 2010) : 이용자가 오프라인에 기반하여 우선 서로 관계를 형성하고 정보의 개방, 공유를 통해 온라인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다른 친구에게 소개하여 관계를 넓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서비스 : 대표적인 SNS는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이 있음 8
  • 9. 2. 이론적 배경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 둘 혹은 그 이상의 행위자가 기호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그 의미를 교 환하는 과정(Howard, 1974 오승원(2011) 재인용) : 상호 이해에 다다르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에 참가하는 구성원들이 정보 를 만들고 서로 공유하는 일련의 과정(Katz & Kahn, 1964 오승원(2011) 재인용) : 정보의 획득, 공유 과정으로 관계 형성의 단초 9
  • 10. 2. 이론적 배경 ◈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 : 시민과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호 이해 및 합의를 도출하고 이 를 토대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 : 지방자치단체 정보의 공개, 공유를 통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시민 의 동원과 참여를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관계를 형성하는 커뮤니케 이션 10
  • 11. 2. 이론적 배경 (2)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 지방자치단체 SNS 활용의 장점 - 자발적인 시민참여 유도 - 전통매체에 비하여 빠른 확산속도 - 저렴한 비용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관계 형성을 통한 신뢰를 바탕으로 시민들과 항상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해주며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통하여 시민들이 원하고 듣고 싶은 적절하고 흥미있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감정적 유대관계를 창출 11
  • 12. 2. 이론적 배경 ◈ 통합적 SNS(iSNS, 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IMC)는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면서도 정보 혼란에 의한 인식의 혼돈을 발생시키지 않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안 -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 메시지의 일관성 등의 세 가지 개념적 토대(McGrath, 2001) 12
  • 13. 2. 이론적 배경 -지속적이고 상호작용적이고 협력적인 업무 과정으로 모든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메시지들이 확실히 하나의 목소리, 하나의 모습을 가지도록 하는 것(Duncan, 2005) - 소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이해당사자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기획, 브랜드 접점관리를 위한 매체 통합, 일관된 메시지, 관계 구축과 행동 중 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이 강조됨(전채남, 2007) 13
  • 14. 2. 이론적 배경 ◈ IMC가 중요한 이유 - 첫 째, 정보처리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 - 둘 째, 관계를 형성하기에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 - 셋 째, 메시지가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축적되기 때문 IMC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상호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접점관리를 위한 조직과 매체를 통합하여 일관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관계 구축과 참여 유도 14
  • 15. 2. 이론적 배경 ◈ iSNS의 정의 : 효과적인 IMC의 실행으로 일관된 메시지를 다양한 SNS 채널들을 이용해 전달하고 실시간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작용성과 친밀감을 높여 다양한 관계맺기를 함 : 블로그 : 정보 진지, 트위터 : 정보 확산 수단, 페이스북 : 블로그와 트위터의 융합을 통한 관계 형성의 수단 15
  • 16. 2. 이론적 배경 ◈ 연구 문제 통합적 SNS의 활용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어떻게 높여 줄 수 있을까? - SNS 운영체계 구축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통합적 SNS 채널 운영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지속적인 메시지 관리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일관된 SNS 메시지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줄 것인가? 16
  • 17.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1) SNS 운영 체계 구축 전문성 강화와 실행능력 증대를 위해, 대구시, 대행사, 기자단(시민참여)이 협력(collaboratio)하는 통합적 조직체계를 구축하여 독특하고 매력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확산시킴 공보관실 커뮤니케이션 대행사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17
  • 18.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2) 통합적 SNS 채널 운영 포털 사이트 내 검색에 노출을 최적화 시키기 위해 분산된 블로그를 단일화하고 새로 카페를 신설함. SNS의 강화를 위해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새로 개설하고 페이스북 의 프로필 중심에서 프로필과 페이지의 통합적 운영 함.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기자단 18
  • 19.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3)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다양한 SNS 채널의 활성화와 생동감을 확보하기 위해 콘텐츠 작성 빈 도를 증대시키고 즉각적 대응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함. 포털 사이트 이용자 검색을 통한 노출을 위해 콘텐츠 최적화 적용함. - 콘텐츠 생산량 증대 : Tweet 횟수를 일일 평균 6회 이상, 블로그 일일 최소 1 포스터 이상, 페이지북 담벼락 3회 이상 노트 1개 이상 - Tweet의 형태 변화 : 일방적인 전달형에서 소통형으로 - 활발한 모니터링 19
  • 20.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4) 일관된 SNS 메시지 메시지 혼잡(clutter)에 의한 혼란을 피하고 메시지 매칭, 축적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구시의 데스킹(desking)에 의한 메시지의 일관성을 유지 - 독특하고 강력한 메시지 작성 - 대구시의 데스킹 역할 강화 - 다양한 SNS 채널에 최적화된 메시지의 노출 - 대행사를 통한 콘텐츠의 질 향상(SNS에 최적화된 편집, 디자인, 멀티미디어 등) 20
  • 21. 3. 사례연구 : 대구시의 SNS 활용 (5)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SNS의 강점인 상호작용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실시간의 관계형 메시지 작성 강화 - 블로그 이웃맺기, 댓글과 답방글, 안부게시판 활용 - 트위터의 멘션, RT, DM의 적극적인 활용 - 페이스북의 친구 담벼락, 친구글에 좋아요 눌리기와 댓글 작성 - 카페의 게시글과 방명록에 덧글 달기, 출석체크 등 21
  • 22. 4. 대구시의 SNS 성과 (1) 자료 수집 및 분석 - 자료수집 : 2011년 4월 4일 ~ 6월 27일 - 분석대상 : 대구시 블로그, 카페, 트위터, 페이스북 등 - 분석방법 : 블로그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일주일 단위로 검색어 ‘대구시’를 포함하는 블로그의 포스트 수 조사 트위터는 NodeXL을 통해 ‘대구시’의 서치네트워크분석과 ‘@colorfuldg’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 페이스북은 페이지의 ‘좋아요’의 추이를 분석 22
  • 23. 4. 대구시의 SNS 성과 (2) 대구시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 검색어 : 대구시 - 분석방법 : TF-DI(term frequency-date index) (미래의 트랜드를 분석하기 위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특정 키워드가 연도별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가중치(정근하, 2010) - 자료 : 네이버 블로그 검색 범위 : 2011. 01 ~ 06. 29. SNS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4월부터 포스트의 수가 증가함 <2011년 월별 지방자치단체 TF-DI> 가중치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TF-DI 대구시 0.04218771 0.082808577 0.133171423 0.156814836 0.272384159 0.243413174 0.930779878 경상북도 0.009614092 0.019179323 0.027120016 0.041412148 0.089093648 0.063772455 0.250191681 인천시 0.082459325 0.160472486 0.244636713 0.310747737 0.590803579 0.466966068 1.856085908 대전시 0.03240554 0.070872947 0.095071848 0.157691946 0.247718614 0.225848303 0.829609199 23
  • 24. 4. 대구시의 SNS 성과 (2) 대구시의 데이터마이닝 분석 <2011년 월별 지방자치단체 절대적 빈도수> 6,000 5,500 5,557 5,000 4,906 4,960 4,835 4,679 4,500 4,000 3,899 3,500 3,000 2,632 2,517 2,562 2,500 2,510 2,503 2,439 2,330 2,263 2,000 1,928 2,012 1,879 1,722 1,500 1,000 838 572 661 639 500 466 536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대구시 경상북도 인천시 대전시 24
  • 25. 4. 대구시의 SNS 성과 (3) 대구시의 블로그와 카페 방문자 수 분석 자료 : 네이버 블로그 기간 : 2011.04. 04 ~ 06.27 포스트 수 : 월 평균 58개, 일 평균 2.8개의 포스트 생산 <주별 블로그 방문자 수> 15,067 네이버블로그 방문자수 6,995 2,072 1,736 2,060 1,820 1,851 1,9531,873 1,326 1,351 1,646 1,535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5
  • 26. 4. 대구시의 SNS 성과 (3) 대구시의 블로그와 카페 방문자 수 분석 자료 : 네이버 카페 기간 : 2011.04. 04 ~ 06.27 포스트 수 : 월 평균 221개, 일 평균 7.0개의 포스트 생산 <주별 카페 회원 및 방문자 수> 2,082 2025 1,725 네이버 카페 방문자수 네이버카페 회원수 1,515 1,303 1,135 1,096 1,062 901 906 706 223 0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6
  • 27. 4. 대구시의 SNS 성과 (4) 대구시의 트위터와 페이스북 운영 결과 분석 자료 : 트위터와 페이스북 페이지 기간 : 2011.04. 04 ~ 06.27 <주별 트위터 팔로어와 페이스북 페이지의 ‘좋아요’ 수> 3,407 3,060 트위터 팔로워 페이스북 좋아요 2,645 2,351 2,048 1,921 1,771 1,603 1,656 1,498 1,534 1,455 1,372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7
  • 28. 4. 대구시의 SNS 성과 ◈ 페이스북 페이지뷰 자료 : 페이스북 페이지 기간 : 2011.04. 04 ~ 06.27 <주별 페이스북 페이지 뷰> 22,137 20,597 18,955 19,384 페이스북 페이지뷰 16,553 15,506 14,109 8,833 9,261 5,678 6,088 5,153 1,483 4/4 4/11 4/18 4/25 5/2 5/9 5/16 5/23 5/30 6/6 6/13 6/20 6/27 28
  • 29. 4. 대구시의 SNS 성과 (5) 대구시의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트위터 ‘대구시’ 서치네트워크 분석, 2011. 6. 29> 29
  • 30. 4. 대구시의 SNS 성과 (5) 대구시의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트위터 ‘colorfuldg’ 에고네트워크 분석, 2011. 6. 29> 30
  • 31. 5. 결론 및 제언 (1) 결론 SNS 운영체계의 정비와 재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은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주었음. ◈ 시사점 - 콘텐츠의 양과 검색 결과 페이지의 위치와 순위가 콘텐츠의 내용이나 편집보다 방문자 유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페이스북 페이지의 방문자를 증대시키는데 이벤트와 광고가 효과가 있음 - 트위터의 팔로워를 늘리기 위해서는 파워 트위터리언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31
  • 32. 5. 결론 및 제언 (2) 제언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 메시지의 내용과 질을 공무원 입장보다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와 연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파워트위터리언들과 연대을 강화하고 이들의 확산을 유도할 필요 - 플래카드형의 구호성 홍보, 보여 주기식 홍보에서 벗어나서 참여형, 상호작용형 홍보를 강화할 필요 - 무미건조하고 재미없는 콘텐츠에서 생활밀착형의 재미있는 콘텐츠 를 생산하여 주목도와 자발적 확산의 효과를 높일 필요 - 공보 중심에서 보다 기획력 있고 창발적인 소통방식을 도입하기 위해 홍보기획 중심으로 조직의 개편과 SNS 전담팀의 구성이 필요 32
  • 33. 5. 결론 및 제언 (2) 제언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 메시지의 내용과 질을 공무원 입장보다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와 연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파워트위터리언들과 연대을 강화하고 이들의 확산을 유도할 필요 - 플래카드형의 구호성 홍보, 보여 주기식 홍보에서 벗어나서 참여형, 상호작용형 홍보를 강화할 필요 - 무미건조하고 재미없는 콘텐츠에서 생활밀착형의 재미있는 콘텐츠 를 생산하여 주목도와 자발적 확산의 효과를 높일 필요 - 공보 중심에서 보다 기획력 있고 창발적인 소통방식을 도입하기 위해 홍보기획 중심으로 조직의 개편과 SNS 전담팀의 구성이 필요 33
  • 34. 홍보, PR 등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전술
  • 35. , 혁명 벤처기업 대기업의 신규사업 가
  • 36. 시장리더 vs 혁명가 자금력 ↑ 자금력 ↓ 매스미디어광고 홍보, PR 주목력 ↑ 주목력 ↓
  • 37. 주목 받은 홍보를 통한 소셜미디어마케 팅 블로거나 트위터 사용자들이 자신이 접한 뉴스를 블로그나 트위터에 올리고 트랙백이나 RT등의 방법으로 널리 전 파
  • 38. Ⅱ. 주목을 끌었다면 소문을 내 라 소셜스트림 웹사이트라는 공간에 멈춰있는 데이터가 무수한 웹사이트를 넘나들며 실시간으로 흘러가 는 현상 거대한 입소문의 파도
  • 39. 티핑포인트 예기치 못한 일들이 갑자기 폭발하는 그 지점 일정수의 RT가 생성되어 단순한 글들이 입소문으로 변하는 순간 티핑포인트를 만들
  • 40. 티핑포인트를 만들라! 정보에 마케팅적 가치 부여하려면 많은 사용자가 인용하도록 해야 한다. 소비자와 끊임없는 대화 트위터 - RT를 하게 유도
  • 42. 1. 인터넷의 등장 폴 배런(Paul Baran) - 인터넷 제안 등장 배경 1959년 냉전이 심한 상황 배런에게 핵무기 공격에도 버틸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개발하는 임무 ->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갖는 취약성을 치밀하게 기술하는 한편 보다 나은 대안 ‘인터넷’ 을 제안
  • 43. 1. 인터넷의 등장 당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3가지 유형의 네트워크로 분류 <중앙집중형> <탈집중형> <분산형>
  • 44. 1. 인터넷의 등장 인터넷은 그물 모양의 분산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고 주장 Why? 일부 노드가 붕괴된다고 할지라도 나머지 노드들 상호 간에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대체 경로가 많기 때문. 중앙집중형 탈집중형 중앙노드에 일격을 가하기만 해도 단말국 상호간의 통신이 단 절되는 명백한 취약점
  • 45. 1. 인터넷의 등장 BUT 배런의 생각과 연구 결과의 대부분이 군사 당국에 의해 무시 Why? 균일한 크기의 작은 패킷으로 메시지를 분할해서 각기 독립적 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식을 제안 기존의 아날로그 통신망에서는 실현 불가능 배런은 디지털 통신망으로의 전환을 주장했기때문
  • 46. 1. 인터넷의 등장 1960년대 아르파(ARPA)의 밥 테일러 도널드 데이비스 컴퓨터를 연결 시킨다는 생각 인터넷 네트워크의 탄생
  • 47. 1. 인터넷의 등장 아르파(ARPA)의 밥 테일러 1960년대 엄청난 액수의 컴퓨터 같은 연구실의 컴퓨터 사이에서도 정보 교환 불가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한 프로젝트 진행 도널드 데이비스 패킷과 패킷 교환 방식을 고안 고속 통신회선 위에서의 패킷 교환 방식은 효율적인 컴 퓨터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기술이란 사 실을 사람들에게 알림
  • 48. 1. 인터넷의 등장 인터넷 라우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존해서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행함
  • 49. 2. 인터넷 지도 왜 인터넷 지도를 작성해야 하는가? 1.인터넷의 위상구조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서는 보다 나은 도구와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 불가능 (이메일, 웹 우연히 발전; 인터넷창시자들이 그걸 알았다면 전혀 다른 개선된 기반구조를 설계했을 것) 2.인터넷은 복잡하면서도 진화하는 시스템의 모든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며, 컴퓨터 칩보다는 살아있는 세포에 훨씬 더 가깝다. =>부분의 단순한 총합 이상의 의미
  • 50. 3. 인터넷 위상구조 파루소스 형제 - 인터넷 위상구조의 멱함수 법칙 발견 인터넷 라우터의 연결선 분포 -> 멱함수 법칙을 따른다 -> 인터넷이 척도 없는 네트워크라는 점을 증명 이전까지 만들어진 인터넷 구조 모델링 도구들이 틀렸다는 메시지 무작위 척도 없는 네트워크 네트워크
  • 51. 3. 인터넷 위상구조 멱함수 법칙이란? 멱함수 법칙 : 다수의 작은 Link와 소수의 거대한 Link가 공존하는 것 1.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네트워크는 그 속에 질서, 일관성이 존재한다. 2. 멱함수 법칙은 혼돈에서 질서로의 전이과정의 표지이다. 3. 불균등성(unevenness)이 멱함수 분포를 가진 네트워크의 특징이다.
  • 52. 3. 인터넷 위상구조 척도 없는 위상구조의 필수 조건 인터넷은 각각의 노드가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면서 지속적으로 팽창 선호적 연결 - 아무 노드나 다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거리 인구밀도와 인터넷 밀도 사이의 상관성 – 프렉탈 도형과 유사
  • 53. 3. 인터넷 위상구조 <지속적 팽창의 사례> 1969년 찰리 클라인은 UCLA 연구실에서 전화 UCLA 스탠포드 선을 통해 컴퓨터 사이에 메시지 교환이 이루 어지는 최초의 실험을 하였다. 1969년 10월과 11월에 UC산타바바라와 유 UC산타바바라 유타대학 타대학에 세번째 네번째 노드를 설치함 1971년 말까지 인터넷은 15개의 노드로 구성. 또다시 1년 후에는 35개로 확대 처음 등장한 지 20여 년이 흐른 지금, 인터넷은 각각의 노드가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면서 지속적으로 팽창.
  • 54. 3. 인터넷 위상구조 선호적 연결 더 큰 대역폭을 가진 라우터일수록 더 많은 링크를 가질 가능성도 크다. 연결선 수가 더 많은 접속 노드에 우선적으로 관심이 끌리게 된다. 인구밀도와 인터넷 밀도 사이의 상관성 라우터가 설치된다는 것은 수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 그 수요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이용을 희망 하는 가에 따라 결정 따라서 인구밀도와 인터넷 노드의 밀도사이에 상관관계 존재 북미 지역의 라우터들의 분포는 프랙탈 도형과 매우 흡사
  • 55. 5.기생 컴퓨팅 기생 컴퓨팅(Parasitic computing)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컴퓨터들 사이에는 주종관계가 성립되 며, 마스터의 위치에 있는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로 하여금 특정 계 산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는 것. 기생 컴퓨팅에 대한 실험은 수천 마일이나 떨어져 있는 다른 컴퓨터 들도 얼마든지 어떤 계산 작업을 수행해내도록 강제할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주었다.
  • 56. 5.기생 컴퓨팅 문제점 인터넷상의 다른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부려먹을 수 있는 방법 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 소유권 문제의 처리 인터넷 컴퓨터의 출현 – 제3의 지능을 가진 존재로 변모 가능성
  • 57. TED 강의 듣기 http://www.ted.com/ What’s TED? 출처 :http://www.tedxpalgong.com/
  • 58. TED 강의 듣기 http://www.ted.com/ Chris Anderson: How web video powers global innovation 크리스 앤더슨: 웹비디오는 어떻게 전세계에서 혁신을 움직이게 해주는가 주제 TED의 크리스 앤더슨은 웹비디오 의 증가가 소위 "집단에 의해 가속 된 혁신"이라는 전세계적 현상을 움직여주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것 이 자생력을 지닌 학습방식으로서 인쇄의 발명 만큼이나 중요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힘 을 활용하려면 각 조직은 과격한 개방성을 포용해야 한다. TED에 있어서도 완전히 새로운 장의 시작 이다 인터넷 윤리 58
  • 59. 학습정리 1. 인터넷 소셜 미디어 이론 SNS 운영체계의 정비와 재구축, 통합적 SNS 채널 운영, 지속적인 SNS 메시지 관리, 일관된 SNS 메시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은 지방자치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여 주었음 2. 링크 : -인터넷은 라우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의존해서 상호 커 뮤니케이션을 행한다. -척도없는 위상구조는 4가지 특징을 가진다.
  • 60. *수업관련 질문사항은 다른 학생들도 참고할 수 있게 “Q&A"를 이용해주시고, 그 외에 개인적인 질문사항은 social.media.yeungnam@gmail.com 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