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만 실험의 법칙
급변하는 세상에서는
의도적인 노력보다 의도적인 실험이 더 중요하다.
흔히 한 분야의 전문가로 등극하려면
1만 시간의 법칙을 거론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발명왕 에디슨
Thomas Alva Edison
나는 1,000번을 실패한 것이 아니다.
단지 실패할 수 있는
1,000가지 방법을 알아낸 것이다
아마존 제프 베조스
Jeff Bezos
아마존 성공은 매년, 매달, 매주, 매일
수많은 실험들을 했기 때문이다.
페이스북
Mark Elliot Zuckerberg
페이스북은 단 한 가지의 버전만 운영된 적이 없고
아마 10,000개 정도의 버전이 있을 것이다.
세 사람의 공통점?
유감이지만 최소한 10년,
1만 시간의 법칙을 실천한 적이 없다.
대신 1만 실험의 법칙을 지켰다.
Michael Simmons Empact 공동 창업자로 MichaelDSimmons.com 블로그를 운영.
저술가, 교사, 강사 및 기업가. Business Week의 25세 미만 25대 기업가 선정.
USA Today, AOL, CBS, NBC, ABC 등에 소개된 바 있다. 16세에 첫 사업으로
Princeton Web Solutions 공동 창업하였다. Student Success Manifesto 작가다.
세계 최초로 전구를 발명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1878년 36세 에디슨은
전구에 집중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이미 전구 초기 형태인
전극 램프가 세상에 나와 있었다.
앞 섰던 사람들이 무려 23명.
뒤늦었던 에디슨은
어떻게 치열한 경쟁에서 이겼을까?
팀을 이루어 수천 번 실험했다. 1879년 10월 21일 일상적으로 쓸 수 있는 전구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전기, 영화, 통신, 전지, 음향 기록 장치 등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5개 분야 시장 개척에 나섰다. 성공 배경에는 늘 신중하게 실험하는 태도가 있었다.
에디슨은 엘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마크 저커버그를 다 합친 그런 사람이었다.
성공은 단 두 단어, 고의적 실험.
그에게는 발명 공장 건축과 동일한 의미였다.
오늘날도 강력한 이 방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세계 1위 갑부 아마존 베조스는 만일 연간 실험 횟수를 2배로 늘리면
창의력 2배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즉, 단순히 시간을 쏟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시도를 해 보았는 지가 성공의 핵심이라는 말이다.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도 실험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정말로 그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는 실험 체계다. 페이스북은 단 한 가지의 버전만이 운영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아마 10,000개 정도의 버전이 있을 것이라고 인터뷰를 했다.
실험은 단순히 전략 일부가 아니라 성공전략 그 자체다.
1만 번의 실험이
1만 시간의 법칙을 능가하는 이유는?
Malcolm Gladwell
저서 아웃라이어는 1만 시간의 법칙을 퍼뜨렸다.
어떤 분야든 1만 시간 동안 의도적인 노력을 하면
세계 수준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특히 직업적인 성공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미흡하다.
2014년 88종 연구를 검토한 결과, 의도적인 노력만으로는
실적 차이가 게임은 26%, 음악은 21%, 스포츠는 18%,
교육은 4%, 직업은 1% 미만의 차이를 만든 것으로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의도적인 노력이 중요하지만
그동안 주장하는 만큼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음악, 스포츠 같이 시간이 흘러도 근간이 전혀 안 변하거나
변하더라도 아주 천천히 바뀌는 분야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앞으로도 이전과 똑같은 과제를 하는 분야라면
1만 시간의 법칙이 도움이 되지만
기술과 사업처럼 급변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분야는 소용이 없다.
출처: Deliberate Practice & Performance in Music, Games, Sports, Education,
and Professions: A Meta-Analysis
에디슨 등의 교훈은 시간의 길이가 아니라 실험 수를 최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1만 시간의 법칙 대신 1만 번의 실험 법칙이 필요하다.
역사를 통틀어 여느 철학보다도 과학적방식이 인류의 진보를 이루어냈다.
그 중심은 실험이다. 가설을 세우고 옳고 그름은 입증하는 테스트를 하며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른 가설을 세운다. 1만 번의 실험 법칙은
실험에 대한 강력한 위력을 실험실에서 일상 생활로 옮겨준다.
1만 실험의 법칙은 다빈치 같이 그날 할 일 목록을 정하고 실험을 시작하는 것이다.
다빈치 전기 작가 Walter Isaacson에 따르면,
"매일 아침 그의 생활 꿀팁은 알고 싶은 목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사람은 왜 하품을 하나? 딱따구리 혀는 어떻게 생겼나?" 등 이었다.
하루 일과를 거치며 1만 번의 실험 규칙을 따르는 것은
단지 필요한 작업 수행이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할 기회를 끊임없이 찾는 것을 의미한다.
하루를 마치기 전에 데이터를 검토하고
의도적인 반영 과정을 추가하는 것이다.
영업 방문 시 새로운 질문을 통해 판매 결과를 개선하고 싶다면?
면담 중 질문을 통해 데이터를 더 수집하는 것이
방법을 개선할 기회인 것이다.
일과 중 더 에너지를 발휘하기 위해 더 숙면을 취하고 싶다면?
이상적인 수면 패턴을 연구하고. 수면 추적 장치를 사용하여
양과 질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한 다음
일상에 적용해야 수면이 개선된다.
1만 시간의 의도적인 노력을 하려면
10년 동안 매일 3시간이 필요하다.
1만 번의 실험 법칙 역시 하루 3번의 실험이 요구된다.
Forget 10,000-Hours: Edison, Bezos & Zuckerberg
Follow the 10,000-Experiment Rule By Michael Simmons 기사에서 발췌
수십 년간 연구를 통해 밝혀진
1만 번 실험의 법칙이 성공하는 이유!
심리학자 Dean Keith Simonton은
세계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 관해 조사하고,
그들의 경력에 어떤 공통적 패턴이 있는지를 찾아내기
위해 평생을 바쳐 연구해왔다.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340개 이상의 학술 논문과
천재란 무엇인가? 창의성에 관한 다윈의 관점 등
13권의 저서를 펴냈다. 그의 연구를 보면,
두 가지 흥미로운 통찰을 볼 수 있다.
창의적 개인이 아무리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었을 지라도 성공률을 높이지는 못한다.
창의적 인물, 소위 천재조차도
자신의 지적 성취나 미학적 창작물 중에서
어떤 것이 갈채를 받을지 예측할 수 없다.
가장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소수 슈퍼스타가 만든다.
어떤 분야든 새로운 아이디어 50% 이상은
상위 10% 사람이 만들어낸다.
슈퍼스타들도 다른 사람들만큼
형편없는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낸다.
더 아이디어가 많다는 사실은
더 많은 실패작과
더 많은 히트작을 의미한다.
1만 실험의 법칙은 모든 분야,
개인적 삶, 건강부터
스탠드업 코미디까지 다 그렇다.
그런 이유는?
매년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는
과학자, 수학자는 1%도 안된다.
아인스타인은 상대성 이론 논문 외에
248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수론, 그래프 이론 등 업적을 남긴
헝가리 수학자, Paul Erdős(폴 에르되시)는
평생 1,500편 이상 수학 연구논문을 공동 집필했다.
대부분은 잊혀졌지만 소수의 논문은
그를 20 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수학자의 하나로 만들었다.
Gray's Anatomy, Scandal 등 인기 쇼
PD/작가인 Shonda Rhimes도 있다.
사회적 불안감, 일 중독의 한계,
자신 극복을 위해 The Year of Yes라는
실험을 시작했다.
1년 내내 거부하는 대신 예라고 답했다.
이 경험에서 배운 가장 큰 귀한 교훈
무엇에 집중할 지 알려면
먼저 많은 것을 시도해야한다는 것.
창업가 Jia Jang은
거부 받는 두려움 때문에
100일 거부 프로젝트를 실험했다.
매일 예로 남의 뒷마당에서
축구를 한다고 요청하는 일 등
사회적으로 꺼리는 일을 자처하고
전부 비디오 녹화를 했다.
저널리스트 Elizabeth Gilbert는
자신을 발견하기 위해
직장을 때려치우고
1년 간 세계여행을 했다.
식사, 기도, 사랑의 3가지로
실험을 나누었다.
그 경험은 베스트셀러
서적과 영화로 바뀌었다.
젊은 기업가 Ari Meisel은
주치의가 턱도 없다고 말린
데이터와 실험을 하여
크론병 완치의 결과를 얻었다.
글로벌 기업들이
매년 실험을 진행하는 횟수는?
유명한 영화 제작사 Pixar는 월-E 최종 시나리오를 만들기까지
10만 개 이상의 스토리보드를 만들었다. 스토리보드란 시나리오를
순서대로 그림으로 내려는 것인데, 이런 것을 10만 개 만드는
노력을 들인 끝에 탄생한 명작이었다.
역사상 가장 오래 방영되는 TV 프로그램 한 편 제작에
많은 제작진이 매주 브레인스토밍과 조사를 한다.
고된 실험을 통해 대본을 만들면서
버려지는 대본과 스케치 아이디어는 수도 없다.
The New Yorker를 상징적 만화는 50명 이상의 프리랜서가
매주마다 최대 10개의 스케치를 제출하는 과정을 걸친다.
광고계 전설 벤 클라크와 존 본드는
'Fast Company'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
새로운 기술과 효율적인 사업 전략 덕분에
세계적 혁신 기업들은 연간 수천 번
실험을 수행한다고 말한다.
충분한 실험이 성공을 보장한다면서
사람들은 왜 안 할까?
발명가, 연구가에게 국한된 일인 줄 알지만,
누구나 얼마나 시도하고 도전하느냐?
즉, 마주하게 될 일 속에서 어느 정도까지
열정적으로 도전하느냐?
당연하지만 충분히 실험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
성공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시간 투자보다
얼마나 끈기 있게 시도하고 부딪히고,
더 많은 통찰을 얻는지가 성패를 좌우한다.
생산성 향상 강박증 문화
더 짧은 시간에 빠른 결과를 내려고
체계화, 자동화, 아웃소싱 등에 집착한다.
단기 생산성 틀에 억매이면 놀라운 결과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육성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장기적으로 생산적인 것은
종종 당장 생산적이지 않다고 인식한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실험 수행은 시간 소요
매일 일부 고의적인 학습을 쥐어 짜내려면
최소 15분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실패하므로
더욱 어려운 일이 된다. 실패에 대해 점점
너그러운 세상이 되었지만, 대부분 사람은
여전히 수치심과 실망감에 사로잡히고 있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실험 이면의 수학을 이해 못 하면
실패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다.
본 내용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실험을 하면 할수록 확률적으로 유리하다.
이전 실험의 교훈을 적용하면서
점차 후속 실험의 질이 향상된다.
선형이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좋아진다.
명심할 점
Jeff Bezos가 설명했듯이 한 번 승리로
이전의 모든 실패 비용과 비견되지 않을
정도로 얻게 된다. 100 배 수익을 올릴
확률이 10%라면 매번 베팅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9번은 틀린다.
방망이를 수 없이 휘둘러야 홈런 나온다.
야구와 사업의 차이점은
야구는 아주 잘 해야 4할 타율이고
점수가 날 수도 안 날 수도 있지만,
사업에서는 한 방에 1,000 점
득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명심할 점
오늘날에는 툴을 잘 활용하면
누구나 실험 량을 몇 배나 늘릴 수 있다.
저렴한 앱, 서비스, 추적기 등으로
다른 사람에게 배우고, 자기 데이터를 수집,
해석하고 진척도를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예로 건강 분야 요즘 툴은 혈당치, 수면, 활동,
심박수, 내장 세균 분포, 유전자 지도 등
실험을 돕는 생체 해킹 및 정량 도구들이 있다.
관계, 성, 지능, 행복, 생산성 및 개인 자산
관리 분야도 엄청난 실험 폭발이 이어지고 있다.
명심할 점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Jahee Lee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Jahee Lee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Jahee Lee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Jahee Lee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Jahee Lee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Jahee Lee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Jahee Lee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Jahee Lee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Jahee Lee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Jahee Lee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Jahee Lee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Jahee Lee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Jahee Lee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Jahee Lee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Jahee Lee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Jahee Lee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Jahee Lee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Jahee Lee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Jahee Lee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Jahee Lee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Jahee Lee
 

More from Jahee Lee (20)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What Shall I do for my Inner Child 우리 안에 사는 아이 어쩌나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Inner Child 우리 안에 살고 있는 아이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selling 영업에 도전해 보세요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DRIVE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Attributes of an Ideal Boss 무엇이 좋은 보스를 만드나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Nuclear Family Extended Family 핵가족과 대가족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Happiness is The Way 행복이 길이다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Unbeatable Eliud Kipchoge 무적의 마라토너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Roll the Ball 커피 볼을 굴리자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Da Vici From Art to Science. 예술에서 과학으로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Leonardo Da Vinci's notebooks 다빈치 수첩 훔쳐보기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War and Marketing 마케팅이냐 전쟁이냐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Regrets of Dying 내 인생은 도대체 뭐란 말인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Letter to the Future 미래로 부치는 편지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Micro Plastic Planet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 천국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The World's Fastest Indian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Lifelong Friends 고교 동창이 평생 친구인 이유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Best Friend Forever 평생 베프 고교 동창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4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3
 

10,000 experiment rule 1만 실험의 법칙

  • 2. 급변하는 세상에서는 의도적인 노력보다 의도적인 실험이 더 중요하다. 흔히 한 분야의 전문가로 등극하려면 1만 시간의 법칙을 거론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 3. 발명왕 에디슨 Thomas Alva Edison 나는 1,000번을 실패한 것이 아니다. 단지 실패할 수 있는 1,000가지 방법을 알아낸 것이다
  • 4. 아마존 제프 베조스 Jeff Bezos 아마존 성공은 매년, 매달, 매주, 매일 수많은 실험들을 했기 때문이다.
  • 5. 페이스북 Mark Elliot Zuckerberg 페이스북은 단 한 가지의 버전만 운영된 적이 없고 아마 10,000개 정도의 버전이 있을 것이다.
  • 6. 세 사람의 공통점? 유감이지만 최소한 10년, 1만 시간의 법칙을 실천한 적이 없다. 대신 1만 실험의 법칙을 지켰다.
  • 7. Michael Simmons Empact 공동 창업자로 MichaelDSimmons.com 블로그를 운영. 저술가, 교사, 강사 및 기업가. Business Week의 25세 미만 25대 기업가 선정. USA Today, AOL, CBS, NBC, ABC 등에 소개된 바 있다. 16세에 첫 사업으로 Princeton Web Solutions 공동 창업하였다. Student Success Manifesto 작가다.
  • 8. 세계 최초로 전구를 발명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1878년 36세 에디슨은 전구에 집중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이미 전구 초기 형태인 전극 램프가 세상에 나와 있었다. 앞 섰던 사람들이 무려 23명. 뒤늦었던 에디슨은 어떻게 치열한 경쟁에서 이겼을까?
  • 9. 팀을 이루어 수천 번 실험했다. 1879년 10월 21일 일상적으로 쓸 수 있는 전구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전기, 영화, 통신, 전지, 음향 기록 장치 등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5개 분야 시장 개척에 나섰다. 성공 배경에는 늘 신중하게 실험하는 태도가 있었다. 에디슨은 엘론 머스크, 제프 베조스, 마크 저커버그를 다 합친 그런 사람이었다.
  • 10. 성공은 단 두 단어, 고의적 실험. 그에게는 발명 공장 건축과 동일한 의미였다. 오늘날도 강력한 이 방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 11. 세계 1위 갑부 아마존 베조스는 만일 연간 실험 횟수를 2배로 늘리면 창의력 2배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즉, 단순히 시간을 쏟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시도를 해 보았는 지가 성공의 핵심이라는 말이다.
  • 12.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도 실험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정말로 그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는 실험 체계다. 페이스북은 단 한 가지의 버전만이 운영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아마 10,000개 정도의 버전이 있을 것이라고 인터뷰를 했다. 실험은 단순히 전략 일부가 아니라 성공전략 그 자체다.
  • 13. 1만 번의 실험이 1만 시간의 법칙을 능가하는 이유는?
  • 14. Malcolm Gladwell 저서 아웃라이어는 1만 시간의 법칙을 퍼뜨렸다. 어떤 분야든 1만 시간 동안 의도적인 노력을 하면 세계 수준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특히 직업적인 성공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미흡하다.
  • 15. 2014년 88종 연구를 검토한 결과, 의도적인 노력만으로는 실적 차이가 게임은 26%, 음악은 21%, 스포츠는 18%, 교육은 4%, 직업은 1% 미만의 차이를 만든 것으로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의도적인 노력이 중요하지만 그동안 주장하는 만큼은 아니라는 것이다.
  • 16. 즉 음악, 스포츠 같이 시간이 흘러도 근간이 전혀 안 변하거나 변하더라도 아주 천천히 바뀌는 분야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앞으로도 이전과 똑같은 과제를 하는 분야라면 1만 시간의 법칙이 도움이 되지만 기술과 사업처럼 급변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분야는 소용이 없다. 출처: Deliberate Practice & Performance in Music, Games, Sports, Education, and Professions: A Meta-Analysis
  • 17. 에디슨 등의 교훈은 시간의 길이가 아니라 실험 수를 최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1만 시간의 법칙 대신 1만 번의 실험 법칙이 필요하다. 역사를 통틀어 여느 철학보다도 과학적방식이 인류의 진보를 이루어냈다. 그 중심은 실험이다. 가설을 세우고 옳고 그름은 입증하는 테스트를 하며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다른 가설을 세운다. 1만 번의 실험 법칙은 실험에 대한 강력한 위력을 실험실에서 일상 생활로 옮겨준다.
  • 18. 1만 실험의 법칙은 다빈치 같이 그날 할 일 목록을 정하고 실험을 시작하는 것이다. 다빈치 전기 작가 Walter Isaacson에 따르면, "매일 아침 그의 생활 꿀팁은 알고 싶은 목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사람은 왜 하품을 하나? 딱따구리 혀는 어떻게 생겼나?" 등 이었다.
  • 19. 하루 일과를 거치며 1만 번의 실험 규칙을 따르는 것은 단지 필요한 작업 수행이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할 기회를 끊임없이 찾는 것을 의미한다. 하루를 마치기 전에 데이터를 검토하고 의도적인 반영 과정을 추가하는 것이다.
  • 20. 영업 방문 시 새로운 질문을 통해 판매 결과를 개선하고 싶다면? 면담 중 질문을 통해 데이터를 더 수집하는 것이 방법을 개선할 기회인 것이다.
  • 21. 일과 중 더 에너지를 발휘하기 위해 더 숙면을 취하고 싶다면? 이상적인 수면 패턴을 연구하고. 수면 추적 장치를 사용하여 양과 질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한 다음 일상에 적용해야 수면이 개선된다.
  • 22. 1만 시간의 의도적인 노력을 하려면 10년 동안 매일 3시간이 필요하다. 1만 번의 실험 법칙 역시 하루 3번의 실험이 요구된다.
  • 23. Forget 10,000-Hours: Edison, Bezos & Zuckerberg Follow the 10,000-Experiment Rule By Michael Simmons 기사에서 발췌
  • 24. 수십 년간 연구를 통해 밝혀진 1만 번 실험의 법칙이 성공하는 이유!
  • 25. 심리학자 Dean Keith Simonton은 세계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둔 사람들에 관해 조사하고, 그들의 경력에 어떤 공통적 패턴이 있는지를 찾아내기 위해 평생을 바쳐 연구해왔다.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340개 이상의 학술 논문과 천재란 무엇인가? 창의성에 관한 다윈의 관점 등 13권의 저서를 펴냈다. 그의 연구를 보면, 두 가지 흥미로운 통찰을 볼 수 있다.
  • 26. 창의적 개인이 아무리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었을 지라도 성공률을 높이지는 못한다. 창의적 인물, 소위 천재조차도 자신의 지적 성취나 미학적 창작물 중에서 어떤 것이 갈채를 받을지 예측할 수 없다.
  • 27. 가장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소수 슈퍼스타가 만든다. 어떤 분야든 새로운 아이디어 50% 이상은 상위 10% 사람이 만들어낸다.
  • 28. 슈퍼스타들도 다른 사람들만큼 형편없는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낸다. 더 아이디어가 많다는 사실은 더 많은 실패작과 더 많은 히트작을 의미한다.
  • 29. 1만 실험의 법칙은 모든 분야, 개인적 삶, 건강부터 스탠드업 코미디까지 다 그렇다. 그런 이유는?
  • 30. 매년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는 과학자, 수학자는 1%도 안된다. 아인스타인은 상대성 이론 논문 외에 248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 31. 정수론, 그래프 이론 등 업적을 남긴 헝가리 수학자, Paul Erdős(폴 에르되시)는 평생 1,500편 이상 수학 연구논문을 공동 집필했다. 대부분은 잊혀졌지만 소수의 논문은 그를 20 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수학자의 하나로 만들었다.
  • 32. Gray's Anatomy, Scandal 등 인기 쇼 PD/작가인 Shonda Rhimes도 있다. 사회적 불안감, 일 중독의 한계, 자신 극복을 위해 The Year of Yes라는 실험을 시작했다. 1년 내내 거부하는 대신 예라고 답했다. 이 경험에서 배운 가장 큰 귀한 교훈 무엇에 집중할 지 알려면 먼저 많은 것을 시도해야한다는 것.
  • 33. 창업가 Jia Jang은 거부 받는 두려움 때문에 100일 거부 프로젝트를 실험했다. 매일 예로 남의 뒷마당에서 축구를 한다고 요청하는 일 등 사회적으로 꺼리는 일을 자처하고 전부 비디오 녹화를 했다.
  • 34. 저널리스트 Elizabeth Gilbert는 자신을 발견하기 위해 직장을 때려치우고 1년 간 세계여행을 했다. 식사, 기도, 사랑의 3가지로 실험을 나누었다. 그 경험은 베스트셀러 서적과 영화로 바뀌었다.
  • 35. 젊은 기업가 Ari Meisel은 주치의가 턱도 없다고 말린 데이터와 실험을 하여 크론병 완치의 결과를 얻었다.
  • 36. 글로벌 기업들이 매년 실험을 진행하는 횟수는?
  • 37. 유명한 영화 제작사 Pixar는 월-E 최종 시나리오를 만들기까지 10만 개 이상의 스토리보드를 만들었다. 스토리보드란 시나리오를 순서대로 그림으로 내려는 것인데, 이런 것을 10만 개 만드는 노력을 들인 끝에 탄생한 명작이었다.
  • 38. 역사상 가장 오래 방영되는 TV 프로그램 한 편 제작에 많은 제작진이 매주 브레인스토밍과 조사를 한다. 고된 실험을 통해 대본을 만들면서 버려지는 대본과 스케치 아이디어는 수도 없다.
  • 39. The New Yorker를 상징적 만화는 50명 이상의 프리랜서가 매주마다 최대 10개의 스케치를 제출하는 과정을 걸친다.
  • 40. 광고계 전설 벤 클라크와 존 본드는 'Fast Company'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 새로운 기술과 효율적인 사업 전략 덕분에 세계적 혁신 기업들은 연간 수천 번 실험을 수행한다고 말한다.
  • 41. 충분한 실험이 성공을 보장한다면서 사람들은 왜 안 할까?
  • 42. 발명가, 연구가에게 국한된 일인 줄 알지만, 누구나 얼마나 시도하고 도전하느냐? 즉, 마주하게 될 일 속에서 어느 정도까지 열정적으로 도전하느냐? 당연하지만 충분히 실험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 성공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시간 투자보다 얼마나 끈기 있게 시도하고 부딪히고, 더 많은 통찰을 얻는지가 성패를 좌우한다.
  • 43. 생산성 향상 강박증 문화 더 짧은 시간에 빠른 결과를 내려고 체계화, 자동화, 아웃소싱 등에 집착한다. 단기 생산성 틀에 억매이면 놀라운 결과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육성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장기적으로 생산적인 것은 종종 당장 생산적이지 않다고 인식한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 44. 실험 수행은 시간 소요 매일 일부 고의적인 학습을 쥐어 짜내려면 최소 15분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실패하므로 더욱 어려운 일이 된다. 실패에 대해 점점 너그러운 세상이 되었지만, 대부분 사람은 여전히 수치심과 실망감에 사로잡히고 있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 45. 실험 이면의 수학을 이해 못 하면 실패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다. 본 내용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실험을 안 하거나 못 하는 이유
  • 46. 실험을 하면 할수록 확률적으로 유리하다. 이전 실험의 교훈을 적용하면서 점차 후속 실험의 질이 향상된다. 선형이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좋아진다. 명심할 점
  • 47. Jeff Bezos가 설명했듯이 한 번 승리로 이전의 모든 실패 비용과 비견되지 않을 정도로 얻게 된다. 100 배 수익을 올릴 확률이 10%라면 매번 베팅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9번은 틀린다. 방망이를 수 없이 휘둘러야 홈런 나온다. 야구와 사업의 차이점은 야구는 아주 잘 해야 4할 타율이고 점수가 날 수도 안 날 수도 있지만, 사업에서는 한 방에 1,000 점 득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명심할 점
  • 48. 오늘날에는 툴을 잘 활용하면 누구나 실험 량을 몇 배나 늘릴 수 있다. 저렴한 앱, 서비스, 추적기 등으로 다른 사람에게 배우고, 자기 데이터를 수집, 해석하고 진척도를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예로 건강 분야 요즘 툴은 혈당치, 수면, 활동, 심박수, 내장 세균 분포, 유전자 지도 등 실험을 돕는 생체 해킹 및 정량 도구들이 있다. 관계, 성, 지능, 행복, 생산성 및 개인 자산 관리 분야도 엄청난 실험 폭발이 이어지고 있다. 명심할 점
  • 49. Mail: mci9306@naver.com Facebook: Jaheelee.33 Blog: naver.com/mci9306 Slideshare: jaheelee Linkedin: jahee-lee-2521b512